KR20170096307A - Vegetation plant for growing plants vertically - Google Patents

Vegetation plant for growing plants vertical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6307A
KR20170096307A KR1020160017525A KR20160017525A KR20170096307A KR 20170096307 A KR20170096307 A KR 20170096307A KR 1020160017525 A KR1020160017525 A KR 1020160017525A KR 20160017525 A KR20160017525 A KR 20160017525A KR 20170096307 A KR20170096307 A KR 20170096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vertical
cultivation
plant
hoo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75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기승철
Original Assignee
기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승철 filed Critical 기승철
Priority to KR1020160017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6307A/en
Publication of KR20170096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630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vegetation apparatus for vertical farm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getation apparatus includes a vertical farming unit which is provided on an outer lateral side of a vertical hanging member having a flexible structure and on which plant-planted vegetation containers are placed. The plurality of the vertical farming units are arranged and installed continuously in a space at regular intervals.

Description

수직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식생장치{omitted}Vegetation devices for growing plants vertically {omitted}

본 발명은 수직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식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재배수단들을 수직으로 세워 식물을 재배하되, 다수의 수직재배수단들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공간상에 연속으로 배열되는 수직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식생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getation apparatus for vertically growing plant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getation apparatus for vertically growing plants by vertically growing means, wherein a plurality of vertical cultivation mean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are arranged continuously in space.

사람들은 식재료 중에서 엽채류나 과채류, 근채류는 매일 섭취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우리의 음식재료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자리하고 있다. 특히, 건강을 위한 식생활 문화가 점차 확대되면서 친환경 엽채류나 과채류, 근채류에 대한 관심도 점차 커져가고 있는 현실이다.People are taking daily leafy vegetables, fruit vegetables, root vegetables among the ingredients, and they are very important factors for our food ingredients. Especially, as the dietary culture for health is gradually expanding, interest in eco-friendly leafy vegetables, fruit vegetables, and root vegetables is gradually increasing.

엽채류나 과채류, 근채류 등의 재배방식은 노지 또는 비닐하우스 등에서 평면상에서 키우고 가꾼다는 고정관념이 우리 일상의 상식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도시인의 귀농, 귀촌이 늘면서 중, 소규모의 실내 식물농장이 활성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The stereotypes of cultivating leafy vegetables, fruit vegetables, and root vegetables in flat or green houses have been recognized as common sense in our everyday life. Recently, however, It is a trend that is being activated.

그러나, 실내 식물농장에서 식물을 재배할 때, 좁은 면적에서 다량의 식물을 재배하는데, 한계가 있어 귀농인의 농업 생산성 향상을 통한 경쟁력 확보에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However, when cultivating a plant in an indoor plant farm, there is a limitation in cultivating a large amount of plants in a narrow area, and it is difficult to secure competitiveness through improvement of agricultural productivity of the farm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식물의 재배에 있어서, 좁은 공간에서도 다량의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다수의 수직 재배수단 들을 상호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공간상에 수직으로 연속하여 배열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수직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식생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growing a plant in which a plurality of vertical cultivation means are maintained at a constant interval, And to provide a vegetation device for cultivating a plant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plant can be arranged.

또한, 자연의 태양광과 인공광원을 이용하여 일출시간에는 태양광을 일몰시간 또는 흐리거나 비가 오는 날에는 인공광원을 적절히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비닐 하우스나 유리온실 등의 시설재배를 통한 식물의 재배 시에 광합성 진행 및 식물의 생육을 증대시켜 식물의 재배 및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수직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식생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In addition, by using natural sunlight and artificial light source, it is possible to utilize artificial light source efficiently at sunrise at sunrise time or cloudy or rainy day, and cultivate plants through the cultivation of greenhouse or plastic house And to provide a vegetation plant for vertically growing plants which is configur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cultivation and management of plants by promoting the progress of photosynthesis and the growth of plants.

이울러, 수직재배수단들의 길이를 재배시설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길게 형성하여 좁은 면적의 재배시설에서도 대량의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여 인건비 절약과 작업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수직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식생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The length of the vertical cultivation means is maximized within the range allowed by the cultivation facility so that a large amount of plants can be cultivated even in a small-sized cultivation facility, thereby cultivating the plant vertically to increase labor efficiency and work efficienc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vegetation syst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직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식생장치는 임의로 지정된 공간의 천장 상부나 조립 구조물 상부에 메달리며, 배치되는 유연성을 갖는 수직걸이부재;A vegetation apparatus for vertically growing pl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rtical hook member having flexibility to be placed on top of a ceiling or an assembled structure of an arbitrarily designated space;

상기 수직걸이부재 외측면에 결합되어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안착부;At least one seating portion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hook member;

상기 안착부들에 착탈되거나, 넣거나, 꺼내는 것으로서, 내부에 재배수단이 채워져 식물을 재배 또는 배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생용기를 더 포함하는 수직재배수단; 및Vertical cultivation means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vegetation vessel which is attached to, detached from, or taken out of the seating portions, the planting means being filled with a cultivation means therein to cultivate or cultivate a plant; And

상기 다수의 수직재배수단 들은 상호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연속하여 배열 구성 된다.The plurality of vertical cultivation means are successively arranged with a constant spacing therebetween.

상기 수직걸이부재 상부에는 수평지지부가 결합될 수 있다.A horizontal support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hook member.

상기 수평지지부 상부에는 승하강와이어가 결합되고 상기 승하강와이어를 감거나 풀러주는 권취회전체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winding rotating body to which the lifting wire is coupled and which winds up or unwinds the lifting wire.

상기 권취회전체는 모터로 구동될 수 있다.The winding rotating body can be driven by a motor.

상기 식생용기들은 상기 수직걸이부재의 한 방향 또는 양방향 중에서 어느 한 방향 또는 양방향 모두에 구성될 수 있다.The vegetation vessels may be configured in either one or both directions of the vertical hook member in one direction or both directions.

한편, 상기 식생장치는 재배환경을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센서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임의의 장소에서 생성된 재배환경 데이터를 센싱 데이터의 분석이 이루어지는 관제수단에 제공하며, 상기 센싱 데이터의 분석 결과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재배환경을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센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vegeta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module for controlling the cultivation environment, wherein the sensor module provides the cultivation environment data generated at the arbitrary place to the control means for analyzing the sensing data, And controlling the cultivation environment using the control data provided by the analysis result of the sensor module.

상기 센서모듈에서 분석한 결과를 기초하여, 상기 식생장치에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한 냉난방수단; 상기 식생장치에 수분 또는 양액 또는 배양액을 공급하기 위한 관수수단 ; 및 상기 식생장치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환기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Cooling / heating means for cooling or heating the vegetated vegetation based on a result of analysis by the sensor module; An irrigation means for supplying water or a nutrient solution or a culture solution to the vegetation apparatus; And ventilation means for ventilating the air of the vegetation apparatus.

상기 배출부에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배출관부가 형성된다.A discharge tube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in the discharge portion.

상기 배출관부에는 물 또는 양액 또는 배양액의 배출을 조절하는 밸브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The discharge pipe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valve device for controlling discharge of water or nutrient solution or culture solution.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식생장치에 의하면, 식물을 식재하는 식생장치의 수직걸이부재를 유연한 구조를 사용함으로서, 이동, 보관, 설치가 용이하고, 다수의 수직재배수단들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공간상에 연속적으로 배열 설치할 수 있으므로 좁은 면적에서 많은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경제성이 있다.According to the vegetation apparatus for vertically growing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flexible structure of the vertical hook member of the vegetation apparatus for planting plants, it is easy to move, store and install, It is economical to cultivate a large number of plants in a narrow area since the plants can be arranged continuously in the space while maintaining the spacing.

또한, 수직재배수단의 안착부에 식물이 식재 또는 배양된 식생용기를 손쉽게 착탈하거나, 넣었다 끼낼 수 있으며, 수직재배수단을 상,하로 내리고 올리는 권취회전체의 승하강와이어를 사용하여 편리성과 경제성을 부가하고, 식생장치 가 독립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캐리어(carrier)장치에 설치 구성되어, 식물의 생육 환경에 따른 공간이동 과 식물을 수확할 때, 편리성 과 노동력을 절감하여 인건비와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 생산원가를 절감하는 효과 와 수직재배수단의 길이를 최대한 길게 할 수 있어서 좁은 공간에서도 다량의 식물을 생산하는 효과를 제공한다.It is also possible to easily attach and detach vegetation containers planted or cultivated in the seating portion of the vertical cultivation means, and to use the lifting and lowering wire of the wind-up rotary body to vertically lower and raise the vertical cultivation means, And the vegetation device is independently installed in at least one carrier device. When the plant is harvested and the space is moved according to the growing environment of the plant, the convenience and the labor power are reduced, and the labor cost and the working time are drastically reduc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and the length of the vertical cultivation means to be maximized, thereby providing the effect of producing a large amount of plants in a narrow spa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직재배수단의 주요부분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생장치를 캐리어장치에 설치한 상태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의한 수직재배수단의 주요부분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식생용기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vertical cultivation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ege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carrier apparatus.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the vertical cultivation mean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vegetation vessel.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수직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식생장치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 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Firs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embodiments suitable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vegetation apparatus for vertically growing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or explain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생장치를 도시한다.1 to 4 show a vege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생장치(100)는 임의의 공간상에 메달리는 유연성을 갖는 구조로 구성된 수직걸이부재(133) 및 상기 수직걸이부재(133) 외측면에 결합되어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안착부(153)들,The veget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rtical hook member 133 having a flexible structure to hang on an arbitrary space and at least one The seating portions 153,

상기 안착부(153)들에 착탈되거나, 넣거나, 꺼내는 것으로서, 내부에 재배수단(154)이 채워져 식물을 재배 또는 배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생용기(155)를 더 포함하는 수직재배수단(160)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수직재배수단(160)들은 상호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연속하여 배열 구성된다.The vertical cultivation means 160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vegetation container 155 which is attached to, dismounted from, or taken out of the seating portions 153 and is filled with a cultivation means 154 to cultivate or cultivate a plant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vertical cultivation means 160 are arranged continuously with a constant spacing.

상기 수직재배수단(160)들은 임의로 지정된 공간의 천장 상부나 조립 구조물 상부에 배치되어 안착된다.The vertical cultivation means 160 are arranged and mounted on top of a ceiling or an assembled structure of an arbitrarily designated space.

즉 상기 수직재배수단(160)들은 비닐하우스 또는 유리온실 등과 같은 재배공간에 설치된 상부의 철 구조물에 배치 안착될 수 있고, 별도로 제작된 운반용 구조체인 캐리어장치(360)에 배치 안착될 수 있다.That is, the vertical cultivation means 160 may be placed on an upper iron structure installed in a cultivating space such as a greenhouse or a greenhouse, or may be placed on a carrier device 360, which is a separately manufactured transport structure.

그리고 상기 수직걸이부재(133)는 유연하고, 자유롭게 굴곡성을 지닌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Further, the vertical hook member 133 may be flexible and freely bendable.

상기 수직걸이부재(133)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 소재로서 다수의 고리부를 지닌 체인(chain)형태 또는 와이어(wire)에 고리가 결합된 형태 또는 시이트(sheet)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vertical hook member 133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in the form of a chain having a plurality of rings or a form in which a ring is connected to a wire or a sheet.

여기서 상기 수직걸이부재(133)가 시이트(sheet) 형태 일때에는 제1표면부(150)와 제2표면부(151)를 구비하고 제1표면부(150)와 제2표면부(151) 사이에는 별도의 보강부재를 더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상기 시이트(sheet) 형태의 가벼운 소재의 수직걸이부재(133)의 전체적인 인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When the vertical hook member 133 is in the form of a sheet, the first surface portion 150 and the second surface portion 151 are provided and between the first surface portion 150 and the second surface portion 151 And this structure can increase the overall tensile force of the vertical hook member 133 of the sheet-like light material.

그리고 상기 수직걸이부재(133) 상부면에는 수평지지부(131)가 더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지지부(131)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서, 휨강도가 요구되는 구조체로서, 관 형태, 또는 봉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A horizontal support part 131 may be further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hook member 133. The horizontal support part 131 may be a metal or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a bending strength required in a tubular shape or a rod shape Lt; / RTI >

또한, 상기 수평지지부(131)에는 승하강와이어(120)가 결합되는데. 상기 승하강와이어(120)를 감거나 풀러주는 권취회전체(130)가 결합 구성된다.The lifting wire 120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support 131. And a winding rotating body (130) for winding or unwinding the lifting / lowering wire (120).

상기의 승하강와이어(120)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될 수 있다.The ascending / descending wire 12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또한 상기 권취회전체(130)는 드럼 형태 또는 휠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권취회전체(130)는 전기로 구동하는 모터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사람의 인력을 이용한 수동으로 작동도 가능할 것이다.Further, the winding rotating body 130 may be configured in a drum shape or a wheel shape, and the winding rotating body 130 may be operated by an electric motor, and may be manually operated will be.

또한 상기 수평지지부(131)는 상기의 권취회전체(130)에 연결된 승하강와이어(120) 일단부와 상호 결속 연결되며, 그 연결방법이나 연결부재는 제한이 없다.Further, the horizontal support part 131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lifting wire 120 connected to the winding rotation body 130, and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connection method or the connection member.

또한, 상기 수직걸이부재(133)에는 하나 이상의 안착부(153)들이 결합된다.One or more seat portions 153 are coupled to the vertical hook member 133.

즉 수직걸이부재(133) 외측면에 구성되는 상기 안착부(153)들은 상기 수직걸이부재(133)의 한쪽방향 또는 양방향 중에서 어느 한쪽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양쪽 모두에 구성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seating portions 153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hook member 133 can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f the one direction or both directions of the vertical hook member 133, or both.

이러한 것은 수직재배수단(160)의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형성 될 수 있을 것이다.This may be variably formed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use of the vertical cultivation means 160.

또한, 상기 안착부(153)들은 그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갖는 주머니형태, 또는 후크(hook)와 루프(loop)로 구성되어, 단단하게 고정되거나, 쉽게 떼어낼 수도 있는 벨크로(velcro)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걸이부에 의해 고정되는 형태 또는 한 쌍의 체결철물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일정한 공간을 갖는 주머니 형태의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seating portions 153 are formed in a bag shape having a certain space in the inside thereof, or a hook and a loop, and are formed in a velcro shape which can be firmly fixed or easily detached Or a plurality of holes may be formed and fixed by hooks or a pair of fastening hardware. Here, a bag type having a certain space will be described.

또한 상기 안착부(153)에는 하나 이상의 식생용기(155)들이 착탈되거나, 넣거나, 끼낼 수 있도록 한다.Also, one or more vegetation vessels 155 can be attached to, detached from, or inserted into the seating part 153.

상기 식생용기(155)는 내부에 식물을 재배 또는 배양하기 위한 재배수단(154)이 채워지는데, 재배수단(154)으로는 식물의 생장을 위한 적절한 소재로서, 예를 들면, 토양, 식생토, 유리 솜(glass wool), 암면(rockwool) ,스폰지 또는 단순히 물 또는 양액 또는 배양액이 그 내부에 존재하도록 수용될 수 있다.The vegetation vessel 155 is filled with cultivation means 154 for cultivating or cultivating plants. The cultivation means 154 may be any suitable material for growing plants such as soil, vegetation soil, A glass wool, a rockwool, a sponge or simply water or a nutrient solution or a culture solution may be accommodated therein.

또한 상기 식생용기(155) 소재는 종이류 또는 직조된 패브릭(fablic)류 또는 합성수지 중에서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고, 그 소재나 형상에는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포대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vegetation vessel 155 may be selectively formed from paper, woven fabrics, or synthetic resin, and may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to the material and the shape. For example, the vegetation vessel 155 may be formed into a bag- .

아울러 상기 식생용기(155)는 상부에 주입부(300)가 형성되어 상기 식생용기(155) 내부에 채워지는 재배수단(154)의 물 또는 양액 또는 배양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식생용기(155) 하부에는 물 또는 양액 또는 배양액의 배출을 위한 배출부(330)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vegetation vessel 155 is provided with an injection unit 300 at an upper portion thereof to supply water, a nutrient solution or a culture liquid of the cultivation means 154 filled in the vegetation vessel 155, and the vegetation vessel 155 A discharge portion 330 for discharging water or a nutrient solution or culture liquid is formed.

그리고 상기 식생용기(155)의 상기 배출부(330)에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배출관부(340)가 형성되어 상부에 위치한 상기 식생용기(155)의 배출관부(340) 하단부가 아래에 위치한 또 다른 식생용기(155)의 주입부(300)와 상호 연결되어 상부 식생용기(155)의 주입부(300)에 투입된 물 또는 양액 또는 배양액을 중력에 의해 내려 보낼 수 있으며, 상기 배출관부(340)에는 물 또는 양액 또는 배양액의 배출을 조절하는 밸브장치(350)가 형성될 수 있다.A discharge tube portion 34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in the discharge portion 330 of the vegetation vessel 155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discharge tube portion 340 of the vegetation vessel 155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is connected to another vegetation The water or the nutrient solution or the culture liquid injected into the injection section 300 of the upper vegetation vessel 155 can be sent down by gravity by being interconnected with the injection section 300 of the vessel 155. In the discharge pipe section 340, Or a valve device 350 for regulating the discharge of nutrient solution or culture liquid may be formed.

이러한 것은 물 또는 양액 또는 배양액의 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This is economical because it can save the amount of water or nutrient solution or culture used.

또한 상기 식생장치(100)는 독립적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캐리어장치(360)에 설치 구성되며, 상기 캐리어장치(360)는 공간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에 이동장치(700)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vegetation apparatus 100 is installed in at least one independent carrier apparatus 360, and the carrier apparatus 360 includes a moving apparatus 700 at a lower portion so as to be able to move in space.

이렇게 상기 식생장치(100)를 캐리어장치(360)에 설치하여 식물을 식생하면 공간을 이동하여 식물을 식생 시킬 수 있어, 식물의 광합성 시간을 늘려 식물의 성장을 도우고 식물을 식재, 배양 또는 수확할 때, 작업 공간 확보 및 수확 시간을 절약하여 인건비 지출을 최소화하여 경제적인 이익을 도모할 수 있다.When the vegetation device 100 is installed in the carrier device 360, the plants can be planted by shifting the space, thereby increasing the photosynthesis time of the plants to help the plants grow, and the plants can be planted, cultured or harvested , It is possible to save the work space and harvest time, thereby minimizing the labor cost expenditure, thereby achieving economic benefits.

그리고 상기 식생장치(100)는 재배환경을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센서모듈(5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모듈(500)은 상기 임의의 장소에서 생성된 재배환경 데이터를 센싱 데이터의 분석이 이루어지는 관제수단(미도시)에 제공하며, 상기 센싱 데이터의 분석 결과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재배환경을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센서모듈(500)을 포함하는 것과 상기 센서모듈(500)을 온도, 습도, 조도 및 C02량 데이터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것과 상기 센서모듈(500)에서 분석한 결과를 기초하여, 상기 식생장치(100)에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한 냉난방수단(미도시), 상기 식생장치(100)에 수분 또는 양액 또는 배양액을 공급하기 위한 관수수단(미도시) 및 상기 식생장치(100)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환기수단(미도시)이 더 포함된다.The vegetation apparatus 100 further includes a sensor module 500 for controlling the cultivation environment so that the sensor module 500 can control the cultivation environment data generated at the arbitrary place from the control system And a sensor module (500) for controlling the cultivation environment by using control data provided by an analysis result of the sensing data. The sensor module (500) (Not shown) for cooling or heating the vegetation apparatus 100 on the basis of the control of at least one of the temperature, the illuminance and the CO2 data, and the analysis result of the sensor module 500, (Not shown) for supplying water, a nutrient solution, or a culture liquid to the vegetation apparatus 100, and ventilation means (not shown) for ventilating the air of the vegetation apparatus 100 do.

즉 상기 센서모듈(500)은 온도센서, 습도센서, 조도센서 및 C02센서 등을 포함하며, 이와 같은 다양한 센서들을 이용함으로써 임의 장소에서 재배 또는 배양되는 식물의 최적화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모듈(500)은 각각의 센서를 통해 취득되는 센싱 데이터를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고, 게이트웨이는 해당 데이터를 관제장치로 제공함으로써 관제장치의 제어에 따라 하우스 또는 식물공장 내의 환경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관제장치는 센싱 데이터의 분석 결과에 따라 관리자용 운영장치로 식물공장 등의 내부 환경을 최적화하도록 정보를 제공하여 작업을 지시하거나 또는 센서모듈(500)은 게이트웨이와의 근거리 유,무선 통신망을 컨트롤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식생장치(100)에 설치된 송풍 팬 또는 관수밸브(물 또는 양액 또는 배양액), 히터나 습도밸브, 인공광원부 온/오프 duty 등을 제어함으로써 최적화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That is, the sensor module 500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n illuminance sensor, and a CO2 sensor. By using such various sensors, an optimized environment of a plant cultivated or cultivated at any place can be created. For example, the sensor module 500 transmits the sensing data acquired through each sensor to the gateway, and the gateway provides the data to the control device, thereby optimizing the environment in the house or plant factory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device . In the course of this process, the control device instructs the manager to provide information to optimize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plant factory or the like to the ope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ensing data, or the sensor module 500 may transmit the data to the gateway, (Water or a nutrient solution or a culture liquid), a heater, a humidity valve, and an artificial light source on / off duty installed in the vegetation apparatus 100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 unit And thus an optimized environment can be created.

즉 식물의 종류에 따라, 식물의 생장에 최적인 환경조건, 즉 온도, 습도, 조도 및 C02 존재량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도센서, 습도센서, 조도센서 및 C02 센서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생장치(100) 의 재배환경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That is, depending on the type of plant, environmental conditions optimal for plant growth, that is,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nce and CO 2 abundance may be different. Therefore, the cultivation environment of the vegetation apparatus 100 can be efficiently controlled based on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the humidity sensor, the illuminance sensor, and the CO2 sensor.

이러한 상기의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센서모듈(500)을 제어하는 것은 사물에 센서를 부착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인터넷으로 주고받는 기술 환경인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Controlling the sensor module 500 using the above-mentioned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understood as a technology environment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to the Internet in real time by attaching a sensor to an object (Internet of Things)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t is easy to know.

100 : 식생장치 120: 승하강와이어 130 : 권취회전체 131: 수평지지부
133 : 수직걸이부재 153 : 안착부 154: 재배수단 155 : 식생용기
160 : 수직재배수단 300 : 주입부 330 : 배출부 340: 배출관부
350: 밸브장치 360: 캐리어장치 500 : 센서모듈 700 :이동장치
100: vegetation device 120: ascending / descending wire 130: winding rotating body 131:
133: vertical hook member 153: seat part 154: cultivation means 155: vegetable vessel
160: vertical cultivation means 300: injection part 330: discharge part 340: discharge pipe part
350: valve device 360: carrier device 500: sensor module 700: mobile device

Claims (9)

임의로 지정된 공간의 천장 상부나 조립 구조물 상부에 메달리며, 배치되는 유연성을 갖는, 수직걸이부재;
상기 수직걸이부재 외측면에 결합되어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안착부;
상기 안착부들에 착탈되거나, 넣거나, 꺼내는 것으로서, 내부에 재배수단이 채워져 식물을 재배 또는 배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생용기를 더 포함하는 수직재배수단; 및
상기 다수의 수직재배수단 들은 상호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연속하여 배열 구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식생장치.
A vertical hook member having flexibility to be mounted and arranged on a ceiling portion or an upper part of an assembled structure of an arbitrarily designated space;
At least one seating portion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hook member;
Vertical cultivation means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vegetation vessel which is attached to, detached from, or taken out of the seating portions, the planting means being filled with a cultivation means therein to cultivate or cultivate a plant; And
Wherein the plurality of vertical cultivation means are continuously arranged with a constant spacing therebetwee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걸이부재 상부에는 수평지지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식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horizontal support portion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hook memb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 상부에는 승하강와이어가 결합되고 상기 승하강와이어를 감거나 풀러주는 권취회전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식생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winding rotating bod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so as to wind up and unwind the upward and downward wir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회전체는 모터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식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wind-up rotary body is driven by a mot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용기들은 상기 수직걸이부재의 한 방향 또는 양방향 중에서 어느 한 방향 또는 양방향 모두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식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getation vessels are configured in one or both directions of one or both directions of the vertical hooking memb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장치는 재배환경을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센서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임의의 장소에서 생성된 재배환경 데이터를 센싱 데이터의 분석이 이루어지는 관제수단에 제공하며, 상기 센싱 데이터의 분석 결과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재배환경을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센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식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egetation system further includes a sensor module for controlling the cultivation environment,
Wherein the sensor module provides the control means for analyzing the sensing data to the cultivation environment data generated at the arbitrary location and controls the cultivation environment by using the control data provided by the analysis result of the sensing data, Wherein the vegetable plant is a vertical plan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에서 분석한 결과를 기초하여, 상기 식생장치에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한 냉난방수단;
상기 식생장치에 수분 또는 양액 또는 배양액을 공급하기 위한 관수수단 ; 및
상기 식생장치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환기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식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Cooling / heating means for cooling or heating the vegetated vegetation based on a result of analysis by the sensor module;
An irrigation means for supplying water or a nutrient solution or a culture solution to the vegetation apparatus; And
And a ventilation means for ventilating the air of the vegetation apparatu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에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배출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식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ischarge pipe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in the discharge portion.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부에는 물 또는 양액 또는 배양액의 배출을 조절하는 밸브장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식생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discharge pipe portion is formed with a valve device for regulating discharge of water or nutrient solution or culture liquid.
KR1020160017525A 2016-02-16 2016-02-16 Vegetation plant for growing plants vertically KR2017009630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525A KR20170096307A (en) 2016-02-16 2016-02-16 Vegetation plant for growing plants vertical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525A KR20170096307A (en) 2016-02-16 2016-02-16 Vegetation plant for growing plants vertical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307A true KR20170096307A (en) 2017-08-24

Family

ID=59758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7525A KR20170096307A (en) 2016-02-16 2016-02-16 Vegetation plant for growing plants vertical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630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6472A (en) * 2020-06-18 2021-12-27 주식회사 그린맥스 Mobile closed plant factory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6472A (en) * 2020-06-18 2021-12-27 주식회사 그린맥스 Mobile closed plant factory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581565U (en) Vertical hanging seeding apparatus
AU20172878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hydroponic plant growth
US8776432B2 (en) Integrated trellis machine
US20160143234A1 (en) Tubular greening unit
KR20120094769A (en) Plant growing system
CN105104153A (en) Intelligent indoor plant cultivating devic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and cultivating method
JP5603669B2 (en) Temperature control method for plant cultivation,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plant cultivation, unit for plant cultivation, and plant for plant cultivation
KR101408932B1 (en) Vegetables growing apparatus of home electronic appliance type based on digital for growing vegetables
US20160286733A1 (en) Agricultural system and method
JPWO2018037577A1 (en) Plant cultivation equipment in plant factories
KR20120014305A (en) Led hydroponics multi flat plant refrigerator
KR20160108055A (en) Hydroponics cultivation apparatus
KR101334723B1 (en) Vegetation rope and apparatus for hydroponics using the same
JP2012170349A (en) Temperature controlling sheet, temperature controlling method for plant cultivation,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plant cultivation, plant cultivation unit, and plant cultivation plant
KR101633424B1 (en) Rotate type plant cultivation device
KR20170096307A (en) Vegetation plant for growing plants vertically
KR20160090023A (en) Vertical hook vegetation device
KR101702445B1 (en) Water culture apparatus
KR101865628B1 (en) Vertical hook vegetation device
KR101477721B1 (en) Indoor plant cultivation apparatus
KR100796460B1 (en) Cultivation device for potted plants of hanger type
CN202958316U (en) Sunshade heat preservation shed for cultivating nursery stock seeding
KR20210157755A (en) A Device of Green-Plant Cultivation on Cylinderically Vertical Wall Employing Non-Soil Polymeric Vegetation And Plant Cultivation Pots Used For This
KR102553360B1 (en) Vertically Movable Multi-bed Crop Cultivation System
CN213368994U (en) Temperature control greenhouse for tropical fruit seedling cul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