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4723B1 - Vegetation rope and apparatus for hydroponic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Vegetation rope and apparatus for hydroponics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4723B1
KR101334723B1 KR1020110133523A KR20110133523A KR101334723B1 KR 101334723 B1 KR101334723 B1 KR 101334723B1 KR 1020110133523 A KR1020110133523 A KR 1020110133523A KR 20110133523 A KR20110133523 A KR 20110133523A KR 101334723 B1 KR101334723 B1 KR 101334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vegetation
wick
plant
culture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35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66830A (en
Inventor
김원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리텍
Priority to KR1020110133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4723B1/en
Publication of KR20130066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68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7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1/042Tapes, bands or cor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oil Science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으로 식물 배양액이 담겨지는 제1 수조; 복수의 미세 섬유를 꼬아 이루어지고 상기 미세 섬유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식물의 종자가 삽입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제1 수조 상의 식물 배양액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조에 복수로 연결되는 로프 형태의 식생 심지; 상기 제1 수조에 대응하는 형상이고, 상기 제1 수조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식생 심지의 타단이 연결되는 제2 수조; 및 상기 제1 수조에 연결되는 상기 식생 심지의 일단 측에 배치되어 상기 식생 심지를 가압하여 상기 식생 심지를 통한 상기 식물 배양액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배양액 공급 조절기를 포함하는 수경 재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식물의 종자가 삽입되어 배양액에 일단을 담그는 작업만으로 의해 종자의 발아 및 성장이 이루어질 수 있고, 배양액이 저장된 수조에 식물의 종자가 삽입된 식생 심지를 연결하여 식생 심지를 통한 배양액의 흡수에 의해 종자의 발아와 재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배양액이 저장된 수조를 상하로 배치한 이를 식생 심지에 연결하여 실내 장식, 채광 조절 및 가습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ank in which the plant culture is contained; A plurality of fine fibers are twisted and the seeds of the plant are insert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fine fibers, and a plurality of ropes are connected to the first tank so that one end can absorb the plant culture solution on the first tank. Vegetation wick; A second tank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ank,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first tank,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vegetation wick; And a culture solution supply controller disposed at one end of the vegetation wick connected to the first tank to pressurize the vegetation wick to adjust the supply amount of the plant culture solution through the vegetation wick.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germination and growth of the seed can be achieved only by the operation of soaking one end in the culture medium by inserting the seed of the plant, the vegetation wick by connecting the vegetation wick into which the seed of the plant is inserted into the tank in which the culture medium is stored. The germination and cultivation of the seed can be made by the absorption of the culture solution through, and the culture tank is stored up and down and connected to the vegetation wick to obtain the effect of interior decoration, light control and humidification.

Description

식생 심지 및 이를 이용한 수경재배장치{Vegetation rope and apparatus for hydroponics using the same}Vegetation wick and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Vegetation rope and apparatus for hydroponic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식생 심지 및 이를 이용한 수경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자가 이식된 식생 심지를 배양액 저장조에 연결하여 식생 심지를 통해 배양액이 흡수된 후 상부에서 하부로 배양액이 이동하며 식물의 재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식생 심지 및 이를 이용한 수경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getation wick and a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by connecting the vegetation wick implanted with seeds to a culture medium storage tank, the culture solution is absorbed through the vegetation wick, and then the culture solution is mov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plant. It relates to a vegetation wick and a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to cultivate.

수경재배장치는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식물에 공급하여 식물이 배양액을 흡수하도록 하여 성장하도록 하는 것으로, 배양액이 들어 있는 탱크에 스티로폼과 같은 재질의 덮개로 상부를 덮고 덮개에 소정의 구멍을 형성한 후, 구멍을 통하여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을 삽입하되 식물의 뿌리가 배양액에 침수되게 하여 식물이 배양액의 수분이 영양분을 흡수하여 성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is to supply the nutrients necessary for the growth of the plant to the plant to grow by absorbing the culture medium, cover the top with a cover made of styrofoam in the tank containing the culture medium and form a predetermined hole in the cover After that, the plants to be cultivated are inserted through the holes, but the roots of the plants are submerged in the culture medium, so that the plants are configured to grow by absorbing nutrients from the culture medium.

종래의 수경재배장치는 식물의 뿌리가 일정 이상 성장한 후에 이식이 가능하므로, 종자의 발아를 위해서는 별도의 재배 장치를 사용해야 하고, 발아 장치에서 수경재배장치로 옮기는 과정이 수행되어야 하므로 작업량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The conventional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is transplantable after the root of the plant grows more than a certain amount, so that a separate growing device must be used for germination of seeds, and the process of transferring from the germination device to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has to be performed. There is this.

또한, 수경재배장치의 크기가 커 실내에서는 사용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실용신안공보 실1992-0005538, ‘수경 재배장치’, 등록실용 20-0284633 ‘실내 조경용 수경재배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ize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is large, there is a problem that occupies a lot of use space indoors.
As a prior art for the present inventio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2-0005538, 'Horizontal cultivation device', registration room 20-0284633 'Horizontal landscaping cultivation device' can be presented.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식물의 종자가 삽입되어 배양액에 일단을 담그는 작업에 의해 종자의 발아 및 성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식생 심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getation wick that allows germination and growth of seeds by inserting a seed of a plant into a culture solution.

또한, 배양액이 저장된 수조에 식물의 종자가 삽입된 식생 심지를 연결하여 식생 심지를 통한 배양액의 흡수에 의해 종자의 발아와 재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수경재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that allows germination and cultivation of seeds by absorption of the culture medium through the vegetation wick by connecting the vegetation wick into which the seed of the plant is inserted into the tank in which the culture solution is stored.

또한, 배양액이 저장된 수조를 상하로 배치한 후 식생 심지에 의해 연결하여 실내 장식, 채광 조절 및 가습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수경재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that can be arranged by the vegetation wick after placing the tank in which the culture solution is stored up and down to obtain the effect of interior decoration, light control and humidifica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미세 섬유를 꼬아 이루어진 로프로서, 일정한 간격으로 식물의 종자가 상기 미세 섬유 사이에 삽입 배치되는 식생 심지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op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fine fibers twisted, to provide a vegetation wick in which the seed of the plant is inserted between the fine fibers at regular interval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내측으로 식물 배양액이 담겨지는 제1 수조; 복수의 미세 섬유를 꼬아 이루어지고 상기 미세 섬유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식물의 종자가 삽입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제1 수조 상의 식물 배양액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조에 복수로 연결되는 로프 형태의 식생 심지; 상기 제1 수조에 대응하는 형상이고, 상기 제1 수조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식생 심지의 타단이 연결되는 제2 수조; 및 상기 제1 수조에 연결되는 상기 식생 심지의 일단 측에 배치되어 상기 식생 심지를 가압하여 상기 식생 심지를 통한 상기 식물 배양액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배양액 공급 조절기를 포함하는 수경 재배 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ank containing the plant culture solution inward; A plurality of fine fibers are twisted and the seeds of the plant are insert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fine fibers, and a plurality of ropes are connected to the first tank so that one end can absorb the plant culture solution on the first tank. Vegetation wick; A second tank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ank,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first tank,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vegetation wick; And a culture solution supply controller disposed at one end of the vegetation wick connected to the first tank to pressurize the vegetation wick to adjust the supply amount of the plant culture solution through the vegetation wick.

상기 식생 심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식생 심지에 대하여 조명을 하는 조명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Is disposed between the vegetation wick, and may further include a lighting means for illuminating the vegetation wick.

상기 제1 수조 및 상기 제2 수조의 외주측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로드 및 상기 제2 수조의 하부에 배치되는 이동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rod for conne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first tank and the second tank with each other and a moving means disposed below the second tank.

상기 제1 수조는 사각형통일 수 있다.The first tank may be a rectangular cylinder.

상기 제1 수조는 원형 링 형태로서, 상기 제1 수조의 중심축 상에 상기 조명 수단이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tank has a circular ring shape, and the lighting means may be disposed on a central axis of the first tank.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식물의 종자가 삽입되어 배양액에 일단을 담그는 작업만으로 의해 종자의 발아 및 성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allowing the germination and growth of the seed to be achieved only by inserting the seed of the plant into the culture medium.

또한, 배양액이 저장된 수조에 식물의 종자가 삽입된 식생 심지를 연결하여 식생 심지를 통한 배양액의 흡수에 의해 종자의 발아와 재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germination and cultivation of the seed can be made by the absorption of the culture medium through the vegetation wick by connecting the vegetation wick into which the seed of the plant is inserted into the tank in which the culture solution is stored.

또한, 배양액이 저장된 수조를 상하로 배치한 이를 식생 심지에 연결하여 실내 장식, 채광 조절 및 가습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by placing the tank in which the culture solution is stored up and down to the vegetation wick can be obtained the effect of interior decoration, light control and humid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생 심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경재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식생 심지와 제1 수조의 연결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경재배장치의 다른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경재배장치의 또 다른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getation w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nection state of the vegetation wick and the first tank.
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xample of a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xample of a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생 심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getation w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생 심지(100)는 소정의 길이와 지름을 갖는 플렉서블(flexible)한 특성을 갖는 로프(rope)로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vegetation wic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rope (flexible) having a flexible (flexible) characteristic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diameter.

식생 심지(100)는 미세한 섬유를 복수로 꼬아서 이루어지고, 미세 섬유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식물의 종자(110)가 삽입 배치된다. 이때, 식물 종자의 발아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종자(110)는 식생 심지(100)의 동일 위치에 복수개로 삽입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Vegetation wick (100) is made by twisting a plurality of fine fibers, the seed of the plant 110 is inserted into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fine fibers. At this time, in order to improve the germination efficiency of the plant seed, it is preferable that the seed 110 is inserted and arranged in plural at the same position of the vegetation wick 100.

여기서, 식생 심지(100)를 구성하는 미세 섬유는 천연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종자의 발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면 화학 섬유의 사용도 가능하다. 이때, 식생 심지(100) 상에 삽입 배치되는 식물의 종자(110)는 샐러드와 같이 재배가 쉬운 채소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식물 종자를 삽입 배치할 수 있다. Here, the fine fibers constituting the vegetation wick 100 are preferably natural fibers, but chemical fibers may be used as long as they do not affect the germination of seeds. At this time, the seed 110 of the plant inserted into the vegetation wick 100 is preferably a vegetable that is easy to cultivate, such as a salad, but may be arranged to insert a variety of plant seed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식생 심지(100)는 양단 중 어느 일단 또는 양단을 소정의 위치에 저장된 배양액에 담가 식물의 발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식생 심지(100)의 일단이 배양액에 담기면, 심지를 통해 배양액이 흡수된 후, 심지를 따라 이동한다. 배양액이 소정 위치의 종자에 닿으면, 종자는 배양액에 포함되어 있는 영양분을 흡수하여 발아하고, 성장한다. Vegetation wick 100 soaks one or both ends in a culture solution stor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so that the germination of the plant is made. That is, when one end of the vegetation wick 100 is contained in the culture medium, the culture medium is absorbed through the wick and then moves along the wick. When the culture liquid reaches the se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seed absorbs the nutrients contained in the culture liquid, germinates, and grows.

배양액은 식생 심지(100)를 따라 계속적으로 이동하며 식생 심지(100)에 배치되어 있는 종자에 영양을 공급할 수 있다. The culture solution continuously moves along the vegetation wick 100 and may supply nutrition to the seeds disposed on the vegetation wick 100.

본 발명에 따른 식생 심지(100)는 배양액이 담겨있는 수조 또는 물통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수경 재배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식생 심지(100)는 토양에 배치될 수도 있다. Vegetation wic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any hydroponic cultivation if any tank or bucket containing the culture solution. In addition, the vegetation wick 100 may be disposed in the soi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경재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경재배장치(200)는 제1 수조(210), 식생 심지(220), 배양액 공급 조절기(230), 제2 수조(240)를 포함한다. 2, the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ank 210, a vegetation wick 220, a culture medium supply controller 230, and a second tank 240.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장치(200)는 조명 수단(250)을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lighting means (250).

제1 수조(210)는 내측에 소정량의 식물 배양액을 담는다. 제1 수조(210)는 식물 배양액을 담을 수 있다면, 직사각형의 용기 등, 다양한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The first water tank 210 contains a predetermined amount of plant culture solution inside. If the first tank 210 can hold a plant culture, a variety of forms, such as a rectangular container can be used.

제1 수조(210)는 소정의 높이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water tank 210 is preferably arranged at a predetermined height.

식생 심지(220)는 소정의 길이와 지름을 갖는 플렉서블(flexible)한 특성을 갖는 로프(rope)로 이루어져, 일단이 제1 수조(210)의 배양액을 흡수할 수 있도록 제1 수조(210)에 연결된다. 흡수된 배양액은 식생 심지(220)를 따라 이동하며, 식생 심지(220)에 삽입 배치되어 있는 식물의 종자가 영양분을 흡수하여 발아 성장할 수 있도록 한다. Vegetation wick 220 is made of a rope having a flexible (flexible) characteristic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diameter, the first tank 210 so that one end can absorb the culture solution of the first tank (210) Connected. The absorbed culture fluid is moved along the vegetation wick 220, so that the seeds of the plant inserted into the vegetation wick 220 can absorb nutrients to germinate and grow.

식생 심지(220)는 제1 수조(210)에 대하여 복수개가 배치되되, 일단은 제1 수조(210)의 배양액을 흡수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여기서, 식생 심지(220)는 제1 수조(210)의 하부에 소정의 홀을 형성한 후, 홀을 통해 배양액에 담길 수 있고, 제1 수조(210)의 상부를 통해 배양액에 담기는 등 사용자에게 적합한 방식으로 배양액에 담길 수 있다. 식생 심지(220)의 타단은 제1 수조(210)의 하부를 향하도록 배치된 후, 후술하는 제2 수조(240)에 연결된다. Vegetation wick 220 is disposed in plurality with respect to the first tank 210, one end is connected to absorb the culture solution of the first tank (210). Here, the vegetation wick 220 forms a predetermined hol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tank 210, can be put in the culture medium through the hole, the user, such as in the culture solution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tank 210 It may be added to the culture in a manner appropriate to the. The other end of the vegetation wick 220 is disposed to face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tank 210, and is then connected to the second tank 240 to be described later.

식생 심지(220)는 심지 자체가 직접 배양액에 담겨질 수 있지만, 배양액의 흡수를 보다 용이하게 하거나, 제1 수조(210)와의 연결 강도를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식생 심지(220)의 단부 중심에 보조 심지(222)가 배치될 수 있다. The vegetation wick 220 may be directly contained in the culture medium, but the auxiliary wick at the center of the end of the vegetation wick 220 in order to facilitate the absorption of the culture solution or to further improve the strength of the connection with the first tank 210. 222 may be disposed.

식생 심지(220)는 미세한 섬유를 복수로 꼬아서 이루어지고, 미세 섬유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식물의 종자가 삽입 배치된다. 이때, 식물 종자의 발아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동일 위치에 복수개로 삽입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식생 심지(220)를 구성하는 미세 섬유는 천연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화학 섬유의 사용도 가능하다. Vegetation wick 220 is made by twisting a plurality of fine fibers, the seed of the plant is inserted between the fine fibers at regular intervals. In this case, in order to improve the germination efficiency of the plant seed,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inserts are placed at the same position. Here, the fine fibers constituting the vegetation wick 220 are preferably natural fibers, but chemical fibers may also be used.

여기서, 식생 심지(220)는 식물 종자가 필요로 하는 양보다 많은 양의 배양액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식물의 종자가 발아하기 전에 부패될 수 있다. Here, the vegetation wick 220 may absorb a larger amount of the culture solution than the plant seed needs, and thus may decay before the seed of the plant germinates.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식생 심지(220)의 일단측에는 즉, 식생 심지(220)의 배양액이 담겨있는 제1 수조(210) 측 일단에는 배양액 공급 조절기(230)가 배치된다. In order to solve this, the culture medium supply regulator 230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vegetation wick 220, that is, at one end of the first tank 210 side in which the culture solution of the vegetation wick 220 is contained.

배양액 공급 조절기(230)는 식생 심지(220)에 대하여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식생 심지(220)의 일단을 통해 흡수된 배양액의 이동을 제한한다. The culture medium supply controller 230 applies a predetermined pressure to the vegetation wick 220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culture solution absorbed through one end of the vegetation wick 220.

배양액 공급 조절기(230)는 식생 심지(220)의 주위를 감싸는 링 형태의 본체(232)와 본체(232)를 통해 식생 심지(220)에 대하여 압력을 가하는 볼트(2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식생 심지(220)에 대한 가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볼트(234)의 단부에는 가압판(236)이 부착될 수 있다. The culture medium supply controller 230 may include a ring-shaped body 232 surrounding the vegetation wick 220 and a bolt 234 for applying pressure to the vegetation wick 220 through the body 232. At this time, the pressure plate 236 may be attached to the end of the bolt 234 to facilitate the pressing on the vegetation wick 220.

제2 수조(240)는 제1 수조(210)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제2 수조(240)는 일단이 제1 수조(210)의 배양액에 담겨진 식생 심지(220)의 타단이 연결된다.The second tank 240 is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first tank 210. The second tank 24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vegetation wick 220 contained in the culture solution of the first tank 210.

제2 수조(240)에도 배양액이 담겨 있어서 심지의 길이가 길어 배양액이 심지 하단까지 이르지 못할 경우 위로 흡수할 수 있는 기능 및 위에서 떨어지는 배양액을 받는 두 가지 기능을 제공한다. The second tank 240 also contains a culture medium, so that the length of the wick is long, so that the culture medium does not reach the bottom of the wick provides a function to absorb up and receive the culture solution falling from the stomach.

수경 재배 장치(200)가 위치한 곳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자연 채광이 사라져 식물의 성장이 멈춰질 수 있다. 또한, 수경 재배 장치(200)의 설치 위치가 실내인 경우에는 채광량이 부족할 수 있다. Where the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200 is located, natural light may disappear as time passes and the growth of the plant may be stopped. In addition, whe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200 is indoors, the amount of mining may be insufficient.

따라서, 수경 재배 장치(200)는 식생 심지(220) 상의 식물에 광을 조명하는 조명 수단(25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us, the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200 preferably includes lighting means 250 for illuminating light on the plant on the vegetation wick 220.

조명 수단(250)은 식생 심지(220)의 종자가 발아된 후, 식물의 성장을 촉진되도록 하기 위해 식생 심지(220) 상의 식물에 대하여 빛을 조명한다.The lighting means 250 illuminates the light on the plants on the vegetation wick 220 in order to promote the growth of the plants after the seeds of the vegetation wick 220 are germinated.

조명 수단(250)은 형광등 또는 LED 램프를 포함한다. The lighting means 250 comprises a fluorescent or LED lamp.

조명 수단(250)은 식생 심지(220)의 사이에 식생 심지(220)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식생 심지(220) 상의 식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조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명 수단(250)은 필요에 따라 동작될 수 있도록 전원 스위치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ighting means 250 is preferably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vegetation wick 220 between the vegetation wick 220 so as to uniformly illuminate the entire plant on the vegetation wick 220. In addition, the lighting means 250 is preferably connected to a power switch so that it can be operated as needed.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조명 수단(250)으로서 LED 램프(254)를 사용함을 알 수 있다. 2,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LED lamp 254 is used as the lighting means 250.

조명 수단(250)이 LED 램프인 경우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전원선(252)을 식생 심지(220)와 평행하게 상하로 배치한 후, 전원선(252) 상에 복수개의 LED 램프(254)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lighting means 250 is an LED lamp, the power line 252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disposed up and down in parallel with the vegetation wick 220, and then the plurality of LED lamps 254 are disposed on the power line 252. It is preferable to arrange.

전원선(252) 상의 LED 램프(254)는 식생 심지(220) 상의 식물 종자의 배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ED lamp 254 on the power line 252 is preferably arranged at the same interval as the arrangement interval of the plant seeds on the vegetation wick 220.

도면에는 미 도시되어 있으나, 조명 수단(250)으로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형광등을 사용할 수 있다. 조명 수단(250)으로서 형광등이 사용되는 경우, 식생 심지(220)의 사이에 형광등은 양단이 상하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fluorescent lamp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may be used as the lighting means 250. When a fluorescent lamp is used as the lighting means 250, it is preferable that the fluorescent lamp is disposed between the vegetation wicks 220 so that both ends face upward and downwar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The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제1 수조(210)는 건물 내부의 창문(미도시)의 상부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등, 소정의 높이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tank 210 is preferably disposed at a predetermined height, such as disposed on an upper frame of a window (not shown) inside the building.

제1 수조(210)가 창문의 상부 프레임 상에 배치된다면, 제2 수조(240)는 창문의 하부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f the first water tank 210 is disposed on the upper frame of the window, the second water tank 240 is preferably disposed on the lower frame of the window.

이후, 식생 심지(220)의 일단의 제1 수조(210) 상의 배양액에 담가 배양액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타단은 제2 수조(240)에 연결하여, 제1 수조(210)와 제2 수조(240)는 식생 심지(220)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Subsequently, the culture medium on one end of the first tank 210 of the vegetation wick 220 to absorb the culture solution,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tank 240, the first tank 210 and the second tank 240 maintains a state connected by the vegetation wick (220).

도 3은 식생 심지(220)와 제1 수조(210)의 연결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vegetation wick 220 and the first water tank 210.

도 3을 참조하면, 식생 심지(220)의 일단은 제1 수조(210) 상부측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경우, 배치된 식생 심지(220)의 일단은 배양액에 담겨진 상태가 계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별도의 연결 고리(224)를 사용하여 제1 수조(210) 측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3, one end of the vegetation wick 220 may be connected through an upper side of the first water tank 210. 3, one end of the disposed vegetation wick 220 is preferably fixed to the first tank 210 using a separate link ring 224 so that the state contained in the culture solution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Do.

식생 심지(220)는 제1 수조(210)에 담겨있는 배양액을 흡수하고, 흡수된 배양액은 식생 심지(220)를 따라 이동하며, 식생 심지(220) 상에 삽입 배치되어 있는 종자에 영양분을 공급하여, 종자가 발아되도록 한다. The vegetation wick 220 absorbs the culture solution contained in the first water tank 210, and the absorbed culture solution moves along the vegetation wick 220, and supplies nutrients to the seeds inserted and placed on the vegetation wick 220. So that the seeds germinate.

종자가 발아된 후, 식물은 성장한다. After the seeds germinate, the plants grow.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수조(210)와 제2 수조(240)가 창문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면, 식생 심지(220)에서 발아된 후 성장하는 식물에 의해 창문을 통해 유입되는 햇빛의 채광 조절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식물의 잎에서 증산되는 수분에 의해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tank 210 and the second tank 240 are dispos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window frame, respectively, sunlight introduced through the window by the plants growing after germination in the vegetation wick 220 The light control effect can be obtain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a humidifier for controlling the humidity of the room by the water transpiration from the leaves of the plant.

사용자는 야간에 조명 수단(250)을 점등시켜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 The user may turn on the lighting means 250 at night to promote plant growth.

한편, 수경재배장치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llowing form.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경재배장치(300)의 다른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xample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제1 수조(310)는 원형의 링 형태로 제작되고, 제1 수조(310)에는 식생 심지(320)가 배양액을 흡수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연결된다. 제1 수조(310)에는 수경재배장치(300)를 천정에 매달 수 있도록 고리(302)가 연결되어 있고, 제1 수조(210)의 중심축 상에는 조명 수단(350)으로서 LED 램프(354)가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first water tank 310 is manufactured in a circular ring shape, and a plurality of first water tanks 310 are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tank 310 so that the vegetation wick 320 may absorb the culture solution. A ring 302 is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tank 310 so that the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300 can be suspended from the ceiling, and the LED lamp 354 is provided as the lighting means 350 on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water tank 210. It can be seen that it is arrang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수경재배장치(300)는 실내 공간의 천정에 매달아 채소의 재배가 가능하고, 실내에 배치되므로 가습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3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cultivated by hanging on the ceiling of the indoor space, it can be arranged indoors can obtain the effect of the humidifier.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경재배장치의 또 다른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5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xample of a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수경재배장치(400)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5,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400 may be made as follows.

제1 수조(410)와 제2 수조(440)는 각각 동일한 크기의 사각형 통 형태로 제작되고, 제1 수조(410)와 제2 수조(440)의 모서리 부위는 연결 로드(402)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제1 수조(410)와 제2 수조(440)는 사각형의 프레임 형태로 제작된다. 이때, 제1 수조(410)는 상부에 위치된다. The first tank 410 and the second tank 440 are each manufactur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tub of the same size, and the corner portions of the first tank 410 and the second tank 44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ng rod 402. In connection, the first tank 410 and the second tank 440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frame. At this time, the first tank 410 is located at the top.

제1 수조(410)의 하부를 통하여 식생 심지(420)가 배양액을 흡수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연결된다. 식생 심지(420)의 타단은 제2 수조(440) 측으로 배치된다.A plurality of vegetation wicks 420 are connected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tank 410 so as to absorb the culture solution. The other end of the vegetation wick 420 is disposed toward the second water tank 440.

또한, 제2 수조(440)의 하단에는 바퀴(442)가 연결되어 있어, 수경재배장치(400)는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 즉, 예를 들어 채광 효과의 향상을 위해 태양빛이 들어오지 않는 곳에서 들어오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a wheel 442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second tank 440, so that the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400 is coming from the place where the user wants, for example, where sunlight does not come in to improve the light effect. Can move to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수경재배장치(400)는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배치하여 채소의 재배가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여러 장소로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4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ossible to cultivate vegetables by placing the user in a desired plac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ove to various places as need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220: 식생 심지
200, 300, 400: 수경 재배 장치
210, 310, 410: 제1 수조
230: 배양액 공급 조절기
240, 340, 440: 제2 수조
250, 350: 조명 수단
100, 220: vegetation wick
200, 300, 400: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210, 310, 410: first tank
230: culture medium supply regulator
240, 340, 440: second tank
250, 350: lighting means

Claims (6)

삭제delete 내측으로 식물 배양액이 담겨지는 제1 수조;
복수의 미세 섬유를 꼬아 이루어지고 상기 미세 섬유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식물의 종자가 삽입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제1 수조 상의 식물 배양액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조에 복수로 연결되는 로프 형태의 식생 심지;
상기 제1 수조에 대응하는 형상이고, 상기 제1 수조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식생 심지의 타단이 연결되는 제2 수조; 및
상기 제1 수조에 연결되는 상기 식생 심지의 일단 측에 배치되어 상기 식생 심지를 가압하여 상기 식생 심지를 통한 상기 식물 배양액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배양액 공급 조절기를 포함하는 수경 재배 장치.
A first water tank containing the plant culture solution inward;
A plurality of fine fibers are twisted and the seeds of the plant are insert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fine fibers, and a plurality of ropes are connected to the first tank so that one end can absorb the plant culture solution on the first tank. Vegetation wick;
A second tank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ank,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first tank,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vegetation wick; And
A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comprising a culture medium supply controll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vegetation wick connected to the first tank to pressurize the vegetation wick to adjust the supply amount of the plant culture solution through the vegetation wick.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 심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식생 심지에 대하여 조명을 하는 조명 수단을 더 포함하는 수경 재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lighting means disposed between the vegetation wicks and illuminating the vegetation wick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조 및 상기 제2 수조의 외주측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로드 및
상기 제2 수조의 하부에 배치되는 이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수경 재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connecting rod conne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s of the first tank and the second tank to each other;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moving means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tank.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조는 사각형통인 수경 재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hydroponic tank is a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조는 원형 링 형태로서, 상기 제1 수조의 중심축 상에 상기 조명 수단이 배치되는 수경 재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water tank is in the form of a circular ring, the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is dispo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tank.
KR1020110133523A 2011-12-13 2011-12-13 Vegetation rope and apparatus for hydroponics using the same KR1013347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523A KR101334723B1 (en) 2011-12-13 2011-12-13 Vegetation rope and apparatus for hydroponic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523A KR101334723B1 (en) 2011-12-13 2011-12-13 Vegetation rope and apparatus for hydroponic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830A KR20130066830A (en) 2013-06-21
KR101334723B1 true KR101334723B1 (en) 2013-12-02

Family

ID=48862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3523A KR101334723B1 (en) 2011-12-13 2011-12-13 Vegetation rope and apparatus for hydroponics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472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09641A (en) * 2015-12-23 2016-03-23 代福香 Water retention and fertilizer supply type rope support for climbing plants
KR20190129639A (en) * 2018-05-11 2019-11-20 최재빈 Plant growing apparatus
KR20220051535A (en) * 2020-10-19 2022-04-26 유채화 Landscaping device using garden plan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81113B (en) * 2014-11-14 2016-09-28 林庆 A kind of window vertical hanging-ring type hydroponic device
KR102439707B1 (en) * 2021-07-07 2022-09-06 홍지애 door type potted pla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8818A (en) * 1996-12-19 1998-07-07 Shizuoka Prefecture Sowing method for plant seed and material for sowing therefor
KR20010002772A (en) * 1999-06-17 2001-01-15 이영범 A sheet for sowing of the seed-rope
JP2003105767A (en) * 2001-10-02 2003-04-09 Kasanami Sangyo:Kk Greening method and greening rope material for use in it
KR200420135Y1 (en) * 2006-04-11 2006-07-03 김진흥 A separate type hydroponics flower port for environment beautific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8818A (en) * 1996-12-19 1998-07-07 Shizuoka Prefecture Sowing method for plant seed and material for sowing therefor
KR20010002772A (en) * 1999-06-17 2001-01-15 이영범 A sheet for sowing of the seed-rope
JP2003105767A (en) * 2001-10-02 2003-04-09 Kasanami Sangyo:Kk Greening method and greening rope material for use in it
KR200420135Y1 (en) * 2006-04-11 2006-07-03 김진흥 A separate type hydroponics flower port for environment beautificatio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09641A (en) * 2015-12-23 2016-03-23 代福香 Water retention and fertilizer supply type rope support for climbing plants
KR20190129639A (en) * 2018-05-11 2019-11-20 최재빈 Plant growing apparatus
KR102123729B1 (en) * 2018-05-11 2020-06-16 최재빈 Plant growing apparatus
KR20220051535A (en) * 2020-10-19 2022-04-26 유채화 Landscaping device using garden plants
KR102534813B1 (en) * 2020-10-19 2023-05-19 유채화 Landscaping device using garden pl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830A (en) 201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7860B1 (en) The Device of the Multiple Vertical Planting Vegetation
JP5232929B1 (en) Plant growing device
KR101424058B1 (en) Industrial hydroponic system for ginseng
KR101408932B1 (en) Vegetables growing apparatus of home electronic appliance type based on digital for growing vegetables
KR101334723B1 (en) Vegetation rope and apparatus for hydroponics using the same
KR20140122821A (en) Hydroponic culturing device
CN105104154A (en) Intelligent cultivation device and method for indoor plant
KR20140049249A (en) A hydroponics culture apparatus
US20120186153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s for hydroponic gardening
KR20120128526A (en) Hanger type multilayer apparatus with column structure for hydroponic cultivating
CN102440174A (en) Energy-saving irrigation system with automatic water absorption bars
KR100943824B1 (en) A flowerpot
KR101693029B1 (en) Indoor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N205455108U (en) Fast device of giving birth to of plant
KR20160090023A (en) Vertical hook vegetation device
KR101260430B1 (en) Indoor plant cultivation apparatus
KR20210157755A (en) A Device of Green-Plant Cultivation on Cylinderically Vertical Wall Employing Non-Soil Polymeric Vegetation And Plant Cultivation Pots Used For This
KR101477721B1 (en) Indoor plant cultivation apparatus
KR20150094277A (en) Cultivating device
KR20150083359A (en) Flowerpot kit for cultivating Hydroponic plants and equipment used for growing plants
KR20130000897U (en) Dual flowerpot
KR102076813B1 (en) Flower container
CN206481706U (en) One kind is based on intelligentized facility of nursing young plants in hothouses
CN216650844U (en) Household planting box with adjustable light source
KR102492425B1 (en) System for plant cultiv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