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5539A -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포함하는 마우스 패드 및 마우스 - Google Patents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포함하는 마우스 패드 및 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5539A
KR20170095539A KR1020160017052A KR20160017052A KR20170095539A KR 20170095539 A KR20170095539 A KR 20170095539A KR 1020160017052 A KR1020160017052 A KR 1020160017052A KR 20160017052 A KR20160017052 A KR 20160017052A KR 20170095539 A KR20170095539 A KR 20170095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ower
mo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state
m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7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9276B1 (ko
Inventor
배수호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7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276B1/ko
Priority to CN201780019257.3A priority patent/CN108885504B/zh
Priority to EP17753396.5A priority patent/EP3418866B1/en
Priority to PCT/KR2017/001111 priority patent/WO2017142235A1/ko
Priority to US16/077,845 priority patent/US11011932B2/en
Publication of KR20170095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5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59Power saving in cursor control device, e.g. mouse, joystick, trackbal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G06F3/0395Mouse p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02J7/02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포함하는 마우스 패드 및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바디, 제어부, 상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모션 정보를 획득하는 모션 센서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부 및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받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포함하는 마우스 패드 및 마우스{APPARATUS OF MOUSE PAD AND MOUSE INCLUDING WIRELESS POWER TRANSCEIVER AND RECEIVER}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전송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포함하는 마우스 패드 및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근 정보 통신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정보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사회가 이루어지고 있다.
언제 어디서나 정보통신 기기들이 접속되기 위해서는 사회 모든 시설에 통신 기능을 가진 컴퓨터 칩을 내장시킨 센서들이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들 기기나 센서의 전원 공급 문제는 새로운 과제가 되고 있다. 또한 휴대폰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핸드셋과 아이팟 같은 뮤직 플레이어 등의 휴대기기 종류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배터리를 충전하는 작업이 사용자에게 시간과 수고를 요구하고 됐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이 최근 들어 관심을 받고 있다.
무선 전력 전송 기술(wireless power transmission 또는 wireless energy transfer)은 자기장의 유도 원리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송신기에서 수신기로 전기 에너지를 전송하는 기술로서, 이미 1800년대에 전자기유도 원리를 이용한 전기 모터나 변압기가 사용되기 시작했고, 그 후로는 라디오파나 레이저, 고주파,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전자파를 방사해서 전기에너지를 전송하는 방법도 시도되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전동 칫솔이나 일부 무선면도기도 실상은 전자기유도 원리로 충전된다.
현재까지 무선을 이용한 에너지 전달 방식은 크게 자기 유도 방식, 자기 공진(Electromagnetic Resonance) 방식 및 단파장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RF 전송 방식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의 그래픽 환경에서 사용되는 입력장치 중 하나인 마우스는 컴퓨터의 본체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식이 주된 종류였으나, 최근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컴퓨터와 직접 연결하지 않고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마우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무선 마우스의 경우 컴퓨터의 본체와 직접 연결하여 사용하는 마우스와는 달리 별도의 전력원을 필요로 하여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건전지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무선 마우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마우스에 전력을 공급하는 건전지를 자주 교체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무선 마우스의 전력을 무선으로 공급하여, 주기적으로 건전지를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하는 마우스패드 및 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바디, 제어부, 상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모션 정보를 획득하는 모션 센서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부 및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받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는 자기 공진 방식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부는 제1 방식으로 무선 통신을 하는 제1 통신부 및 제2 방식으로 무선 통신을 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션 정보는 제1 모션 정보 및 제2 모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모션 센서부는 상기 제1 모션 정보 및 제2 모션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부에 상기 제1 모션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제2 통신부에 상기 제2 모션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통신부에 전달된 상기 제1 모션 정보는 사용자의 피씨(PC)로 입력되고, 상기 제2 통신부에 전달된 상기 제2 모션 정보는 복수 개의 송신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전달되어 상기 복수 개의 송신 코일의 상태 천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션 정보는 상기 제어부에 전달되며, 상기 모션 정보를 전달받은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모션 정보를 사용자의 피씨(PC)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션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피씨로부터 상기 모션 정보를 복수 개의 송신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 전송되어 상기 복수 개의 송신 코일의 상태 천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마우스를 수용하는 바디, 제어부, 상기 마우스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모션 정보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부 및 복수 개의 송신 코일을 포함하고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포함하는 마우스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제1 방식으로 통신하도록 구비되는 제1 통신부 및 제2 방식으로 통신하도록 구비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션 정보는 제1 모션 정보 및 제2 모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모션 정보는 제1 통신부를 거쳐 사용자의 피씨로 전달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모션 정보는 제2 통신부를 거쳐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로 전달된 상기 제2 모션 정보는 상기 복수 개의 송신 코일의 상태 천이를 제어하는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코일의 상태를 선택적으로 활성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로 천이시키는 코일 선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태 변경 정보는 상기 코일 선택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션 정보는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며, 상기 모션 정보를 수신받은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송신 코일의 상태 천이를 제어하는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피씨와 직접 통신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션 정보는 상기 통신부로 전달되며, 상기 통신부는 전달받은 상기 모션 정보를 사용자의 피씨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의 피씨는 상기 모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송신 코일의 상태 천이를 제어하는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코일의 상태를 선택적으로 활성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로 천이시키는 코일 선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태 변경 정보는 상기 코일 선택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마우스 및 상기 마우스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며 복수 개의 송신 코일을 구비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포함하는 마우스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마우스는 상기 마우스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모션 정보를 수집하는 모션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션 정보는 상기 마우스패드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 전송되어 상기 복수 개의 코일의 상태 천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및 마우스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우스패드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마우스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모션 정보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우스는 바디, 제2 제어부, 상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모션 정보를 획득하는 모션 센서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및 마우스 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통신부는 제1 방식으로 무선 통신하는 제1-1통신부 및 제2 방식으로 무선 통신하는 제1-2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부는 제1 방식으로 무선 통신하는 제2-1통신부 및 제2 방식으로 무선 통신하는 제2-2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션 센서부에서 수집한 상기 모션 정보는 제1 모션 정보 및 제2 모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션 정보는 상기 제2-1통신부 및 상기 제1-1통신부를 거쳐 사용자의 피씨로 전달되고, 상기 제2 모션 정보는 상기 제2-2통신부 및 상기 제1-2통신부를 거쳐 상기 제1 제어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및 마우스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션 정보는 사용자의 피씨로 전송되며, 상기 사용자의 피씨는 상기 모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송신 코일의 상태 천이를 제어하는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상태 변경 정보는 상기 마우스패드의 상기 무선 전력 송신장치에 전달되어 상기 복수 개의 전송 코일의 상태 천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및 마우스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마우스 패드에 무선 전력 송신기를 구비하고, 마우스에 무선 전력 수신기를 구비함으로 인하여, 마우스에 전력을 무선으로 공급하여, 주기적으로 건전지를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하는 마우스패드 및 마우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타입 및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타입 및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에서의 상태 천이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상태 천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ECT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동작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무선 충전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포함하는 마우스패드 및 마우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포함하는 마우스패드 및 마우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포함하는 마우스패드 및 마우스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무선 전력 송신기(100)와 무선 전력 수신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 1에는 무선 전력 송신기(100)가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기(200)에 무선 파워를 전송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200)에 무선 파워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련 수신기(200)는 복수의 무선 전력 송신기(100)로부터 동시에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특정 전력 전송 주파수를 이용하여 자기장을 발생시켜 무선 전력 수신기(200)에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200)는 무선 전력 송신기(100)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로 동조하여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전력 전송을 위한 주파수는 6.78MHz 대역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즉, 무선 전력 송신기(100)에 의해 전송된 전력은 무선 전력 송신기(100)와 공진을 이루는 무선 전력 수신기(200)에 전달될 수 있다.
하나의 무선 전력 송신기(100)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수신기(200)의 최대 개수는 무선 전력 송신기(100)의 최대 전송 파워 레벨, 무선 전력 수신기(200)의 최대 전력 수신 레벨, 무선 전력 송신기(100) 및 무선 전력 수신기(200)의 물리적인 구조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와 무선 전력 수신기(200)는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주파수 대역-즉, 공진 주파수 대역-과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으로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양방향 통신은 반이중 방식의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와 무선 전력 수신기(200)는 상기 양방향 통신을 통해 서로의 특성 및 상태 정보-즉, 전력 협상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수신기(200)는 무선 전력 송신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전력 레벨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 전력 수신 상태 정보를 양방향 통신을 통해 무선 전력 송신기(1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수신된 전력 수신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동적으로 전송 전력 레벨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전력 전송 효율을 최적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전압(Over-Voltage)에 따른 부하 파손을 방지하는 기능, 저전압(Under-Voltage)에 따라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양방향 통신을 통해 무선 전력 수신기(200)에 대한 인증 및 식별하는 기능, 호환되지 않는 장치 또는 충전이 불가능한 물체를 식별하는 기능, 유효한 부하를 식별하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공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과정을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전원공급부(power supplier, 110), 전력변환부(Power Conversion Unit, 120), 매칭회로(Matching Circuit, 130), 송신공진기(Transmission Resonator, 140), 주제어부(Main Controller, 150) 및 통신부(Communication Unit, 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는 데이터 송신기(Data Transmitter)와 데이터 수신기(Data receiver)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10)는 주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전력변환부(120)에 특정 공급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공급 전압은 DC 전압 또는 AC 전압일 수 있다.
전력변환부(120)는 주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전력공급부(110)로부터 수신된 전압을 특정 전압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력변환부(210)는 DC/DC 변환기(DC/DC convertor), AC/DC 변환기(AC/DC convertor), 파워 증폭기(Power amplifi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매칭회로(130)는 전력 전송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전력변환부(210)와 송신공진기(140) 사이의 임피던스를 정합하는 회로이다.
송신공진기(140)는 매칭회로(130)로부터 인가된 전압에 따라 특정 공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100)는 수신공진기(Reception Resonator, 210), 정류기(Rectifier, 220), DC-DC 변환기(DC-DC Converter, 230), 부하(Load, 240), 주제어부(Main Controller, 250) 및 통신부(Communication Unit, 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는 데이터 송신기(Data Transmitter)와 데이터 수신기(Data receiver)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공진기(210)는 공진 현상을 통해 송신공진기(140)에 의해 송출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정류기(210)는 수신공진기(210)로부터 인가되는 AC 전압을 DC 전압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DC-DC 변환기(230)는 정류된 DC 전압을 부하(240)에 요구되는 특정 DC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주제어부(250)는 정류기(220) 및 DC-DC 변환기(23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무선 전력 수신기(200)의 특성 및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통신부(260)를 제어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100)에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200)의 특성 및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주제어부(250)는 정류기(220)와 DC-DC 변환기(230)에서의 출력 전압 및 전류의 세기를 모니터링하여 정류기(220) 및 DC-DC 변환기(2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모니터링된 출력 전압 및 전류의 세기 정보는 통신부(260)를 통해 무선 전력 송신기(100)에 실시간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주제어부(250)는 정류된 DC 전압을 소정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과전압 상태(Over-Voltage State)인지 저전압 상태(Under-Voltage State)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시스템 오류 상태가 감지되면, 감지 결과를 통신부(260)를 통해 무선 전력 송신기(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주제어부(250)는 시스템 오류 상태가 감지되면, 부하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정류기(220) 및 DC-DC 변환기(23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스위치 또는(및) 제너 다이오드를 포함한 소정 과전류 차단 회로를 이용하여 부하(240)에 인가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한 도 1에서는 주제어부(150, 250)와 통신부(160, 260)가 서로 다른 모듈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주제어부(150, 250)와 통신부(160, 260)가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타입 및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와 무선 전력 수신기는 각각 등급(Class)과 카테고리(Category)로 타입 및 특성이 분류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의 타입 및 특성은 크게 다음의 3가지 파라메터를 통해 식별될 수 있다.
첫째, 무선 전력 송신기는 송신 공진기(140)에 인가되는 최대 전력의 세기에 따라 결정되는 등급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전력 송신기의 등급은 송신 공진기(140)에 인가되는 파워(PTX_IN_COIL)의 최대 값을 하기 무선 전력 송신기 등급 테이블-이하, 테이블 1이라 명함-에 명기된 등급 별 미리 정의된 최대 입력 파워(PTX _IN_MAX)와 비교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PTX _IN_COIL은 송신공진기(140)에 단위 시간 동안 인가되는 전압(V(t))과 전류(I(t))의 곱을 해당 단위 시간으로 나누어 산출되는 평균 실수 값일 수 있다.
등급(Class) 최대 입력 파워 최소 카테고리
지원 요구 조건
지원 가능 최대
디바이스의 개수
등급 1 2W 1 x 등급1 1 x 등급1
등급 2 10W 1 x 등급3 2 x 등급2
등급 3 16W 1 x 등급4 2 x 등급3
등급 4 33W 1 x 등급5 3 x 등급3
등급 5 50W 1 x 등급6 4 x 등급3
등급 6 70W 1 x 등급6 5 x 등급3
상기 표 1에 개시된 등급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새로운 등급이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또한, 등급 별 최대 입력 파워, 최소 카테고리 지원 요구 조건, 지원 가능 최대 디바이스 개수에 대한 값도 무선 전력 송신기의 용도, 형상 및 구현 형태 등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일 예로,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송신 공진기(140)에 인가되는 파워(PTX_IN_COIL)의 최대 값이 등급 3에 대응되는 PTX _IN_MAX 값보다 크거나 같고, 등급 4에 대응되는 PTX _IN_MAX 값보다 작은 경우, 해당 무선 전력 송신기의 등급은 등급 3으로 결정될 수 있다.
둘째, 무선 전력 송신기는 식별된 등급에 대응되는 최소 카테고리 지원 요구 조건(Minimum Category Support Requirements)에 따라 식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최소 카테고리 지원 요구 조건은 해당 등급의 무선 전력 송신기가 지원 가능한 무선 전력 수신기 카테고리 중 가장 높은 수준의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지원 가능 개수일 수 있다. 즉, 최소 카테고리 지원 요구 조건은 해당 무선 전력 송신기가 지원 가능한 최대 카테고리 디바이스의 최소 개수일 수 있다. 이때, 무선 전력 송신기는 상기 최소 카테고리 요구 조건에 따른 최대 카테고리 이하에 해당하는 모든 카테고리의 무선 전력 수신기를 지원할 수 있다.
다만, 만약, 무선 전력 송신기가 상기 최소 카테고리 지원 요구 조건에 명시된 카테고리보다 더 높은 카테고리의 무선 전력 수신기를 지원할 수 있다면, 무선 전력 송신기가 해당 무선 전력 수신기를 지원하는 것을 제한하지는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등급 3인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5인 무선 전력 수신기를 지원해야 한다. 물론, 이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는 최소 카테고리 지원 요구 조건에 해당되는 카테고리 수준 보다 낮은 수준의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100)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최소 카테고리 지원 요구 조건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보다 더 높은 수준의 카테고리를 지원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더 높은 수준의 카테고리를 갖는 무선 전력 수신기를 지원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셋째, 무선 전력 송신기는 식별된 등급에 대응되는 지원 가능 최대 디바이스 개수에 의해 식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지원 가능 최대 디바이스 개수는 해당 등급에서 지원 가능한 카테고리 중 가장 낮은 수준의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최대 지원 가능 개수-이하, 간단히 지원 가능 디바이스의 최대 개수라 명함-에 의해 식별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등급 3의 무선 전력 송신기는 최소 카테고리 3인 무선 전력 수신기를 최대 2개까지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다만, 무선 전력 송신기가 자신의 등급에 상응하는 최대 디바이스 개수 이상을 지원할 수 있는 경우, 최대 디바이스 개수 이상을 지원하는 것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전력 전송 요청을 허락하지 않을 특별한 이유가 없는 경우, 가용한 파워 내에서 적어도 상기 테이블 1에 정의된 개수까지는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할 있어야 한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는 해당 전력 전송 요청을 수용할 정도의 가용한 파워가 남아있지 않는 경우, 해당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전력 전송 요청을 수락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무선전력 수신기의 전력 조정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전송 요청을 수락하면 수용 가능한 무선 전력 수신기의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전력 전송 요청을 수락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전송을 요청한 무선 전력 수신기의 카테고리가 자신의 등급에서 지원 가능한 카테고리 수준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전력 전송 요청을 수락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는 내부 온도가 기준치 이상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전력 전송 요청을 수락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타입 및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공진기(210)의 평균 출력 전압(PRX _OUT)은 단위 시간 동안 수신공진기(210)에 의해 출력되는 전압(V(t))와 전류(I(t))의 곱을 해당 단위 시간으로 나누어 산출되는 실수 값일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의 카테고리는 하기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공진기(210)의 최대 출력 전압(PRX_OUT_MAX)에 기반하여 정의될 수 있다.
카테고리(Category) 최대 입력 파워 응용 예
카테고리 1 TBD 블루투스 핸드셋
카테고리 2 3.5W 피쳐폰
카테고리 3 6.5W 스마트폰
카테고리 4 13W 테블릿
카테고리 5 25W 소형 랩탑
카테고리 6 37.5W 랩탑
카테고리 6 50W TBD
일 예로, 부하단에서의 충전 효율이 80%이상인 경우, 카테고리 3의 무선 전력 수신기는 부하의 충전 포트에 5W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표 2에 개시된 카테고리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새로운 카테고리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 2에 보여지는 카테고리 별 최대 출력 파워, 응용 어플리케이션의 예도 무선 전력 수신기의 용도, 형상 및 구현 형태 등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등가 회로도이다.
상세하게, 도 4는 후술할 레퍼런스 파라메터들이 측정되는 등가 회로상에서의 인터페이스 지점을 보여준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 4에 표시된 레퍼런스 파라메터들의 의미를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ITX와 ITX _COIL은 각각 무선 전력 송신기의 매칭 회로(또는 매칭 네트워크)(420)에 인가되는 RMS(Root Mean Square) 전류와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공진기 코일(425)에 인가되는 RMS 전류를 의미한다.
ZTX _IN 은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전원부/증폭기/필터(410) 후단의 입력 임피던스(Input Impedance)와 매칭 회로(420) 전단의 입력 임피던스(Input Impedance)를 의미한다.
ZTX _IN_COIL은 매칭 회로(420) 후단 및 송신 공진기 코일(425) 전단에서의 입력 임피던스를 의미한다.
L1과 L2는 각각 송신 공진기 코일(425)의 인덕턴스 값과 수신 공진기 코일(427)의 인덕턴스 값을 의미한다.
ZRX _IN은 무선전력수신기의 매칭 회로(430) 후단과 무선전력수신기의 필터/정류기/부하(440) 전단에서의 입력 임피던스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동작에 사용되는 공진 주파수는 6.78MHz ± 15㎑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동시 충전-즉, 멀티 충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무선 전력 수신기가 새로 추가되거나 삭제되더라도 남아 있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수신 파워 변화량은 소정 기준치 이상을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수신 파워 변화량은 ±10%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수신 파워 변화량을 유지하기 위한 조건은 무선 전력 수신기가 충전 영역에 추가 또는 삭제 시 기존 무선 전력 수신기와 중첩되지 않아야 한다.
무선 전력 수신기의 매칭 회로(430)가 정류기에 연결된 경우, 상기 ZTX _IN의 실수부(Real Part)는 정류기의 부하 저항-이하, RRECT이라 명함-과 역의 관계일 수 있다. 즉, RRECT의 증가는 ZTX _IN을 감소시키고, RRECT의 감소는 ZTX _IN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진기 정합 효율(Resonator Coupling Efficiency)은 수신공진기 코일에서 부하(440)로 전달되는 파워를 송신공진기 코일(425)에서 공진 주파수 대역에 실어주는 파워로 나누어 산출되는 최대 파워 수신 비율일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와 무선 전력 수신기 사이의 공진기 정합 효율은 송신공진기의 레퍼런스 포트 임피던스(ZTX_IN)과 수신공진기의 레퍼런스 포트 임피던스(ZRX _IN)가 완벽하게 매칭되는 경우에 산출될 수 있다.
하기 테이블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등급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클래스에 따른 최소 공진기 정합 효율의 예이다.
카테고리 1 카테고리 2 카테고리 3 카테고리 4 카테고리 5 카테고리 6 카테고리 7
등급 1 N/A N/A N/A N/A N/A N/A N/A
등급 2 N/A 74%(-1.3) 74%(-1.3) N/A N/A N/A N/A
등급 3 N/A 74%(-1.3) 74%(-1.3) 76%(-1.2) N/A N/A N/A
등급 4 N/A 50%(-3) 65%(-1.9) 73%(-1.4) 76%(-1.2) N/A N/A
등급 5 N/A 40%(-4) 60%(-2.2) 63%(-2) 73%(-1.4) 76%(-1.2) N/A
등급 5 N/A 30%(-5.2) 50%(-3) 54%(-2.7) 63%(-2) 73%(-1.4) 76%(-1.2)
만약,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가 사용될 경우, 상기 표 3에 표시된 클래스 및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최소 공진기 정합 효율은 증가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에서의 상태 천이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기의 상태는 크게 구성 상태(Configuration State, 510), 전력 절약 상태(Power Save State, 520), 저전력 상태(Low Power State, 530), 전력 전송 상태(Power Transfer State, 540), 로컬 장애 상태(Local Fault State, 550) 및 잠금 장애 상태(Latching Fault State, 5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에 전력이 인가되면, 무선 전력 송신기는 구성 상태(510)로 천이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구성 상태(510)에서 소정 리셋 타이머가 만료되거나 초기화 절차가 완료되면, 전력 절약 상태(520)로 천이할 수 있다.
전력 절약 상태(520)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는 비콘 시퀀스를 생성하여 공진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절약 상태(520)에 진입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비콘 시퀀스가 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절약 상태(520) 천이 후 50ms 이내에 비콘 시퀀스가 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전력 절약 상태(520)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전력 수신기를 감지하기 위한 제1 비콘 시퀀스(First Beacon Sequece)를 주기적으로 생성하여 전송하고, 수신 공진기의 임피던스 변화-즉, Load Variation-를 감지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비콘과 제1 비콘 시퀀스를 각각 Short Beacon과 Short Beacon 시퀀스라 명하기로 한다.
특히, Short Beacon 시퀀스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감지되기 전까지 무선 전력 송신기의 대기 전력이 절약될 수 있도록 짧은 구간 동안(tSHORT _BEACON) 일정 시간 간격(tCYCLE)으로 반복 생성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일 예로, tSHORT _BEACON은 30ms이하, tCYCLE은 250ms ±5 ms로 각각 설정될 수 있다. 또한, Short Beacon의 전류 세기는 소정 기준치이상이고, 일정 시간 구간 동안 점증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일 예로, Short Beacon의 최소 전류 세기는 상기 표 2의 카테고리 2 이상의 무선 전력 수신기가 감지될 수 있도록 충분히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Short Beacon에 따른 수신 공진기에서의 리액턴스(reactance) 및 저항(resistance)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소정 센싱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력 절약 상태(520)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부팅(Booting) 및 응답에 필요한 충분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2 비콘 시퀀스를 주기적으로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비콘과 제2 비콘 시퀀스를 각각 Long Beacon과 Long Beacon 시퀀스라 명하기로 한다.
즉, 무선 전력 수신기는 제2 비콘 시퀀스를 통해 부팅이 완료되면, 대역외 통신 채널을 통해 소정 응답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특히, Long Beacon 시퀀스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부팅에 필요한 충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Short Beacon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구간 동안(tLONG_BEACON)동안 일정 시간 간격(tLONG _BEACON_PERIOD)으로 생성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일 예로, tLONG _BEACON은 105 ms+5 ms, tLONG _BEACON_PERIOD 은 850ms로 각각 설정될 수 있으며, Long Beacon의 전류 세기는 Short Beacon의 전류 세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할 수 있다. 또한, Long Beacon은 전송 구간 동안 일정 세기의 파워가 유지될 수 있다.
이 후, 무선 전력 송신기는 수신 공진기의 임피던스 변화가 감지된 후, 무선 전력 송신기는 Long Beacon 전송 구간 동안 소정 응답 시그널의 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응답 시그널을 광고 시그널(Advertisement Signal)이라 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무선 전력 수신기는 공진 주파수 대역과는 상이한 대역외 통신 주파수 대역을 통해 광고 시그널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일 예로, 광고 시그널은 해당 대역외 통신 표준에 정의된 메시지를 식별하기 위한 메시지 식별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가 적법한 또는 해당 무선 전력 송신기에 호환 가능한 수신기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한 서비스 또는 무선 전력 수신기 식별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출력 파워 정보, 부하에 인가되는 정격 전압/전류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안테나 이득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카테고리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 인증 정보, 과전압 보호 기능의 탑재 여부에 관한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에 탑재된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광고 시그널이 수신되면, 전력 절약 상태(520)에서 저전력 상태(530)로 천이한 후, 무선 전력 수신기와의 대역외 통신 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 연이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설정된 대역외 통신 링크를 통해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대역외 통신이 블루투스 저전력 통신인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전력 수신기와 블루투스 페어링을 수행하고, 페어링된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서로의 상태 정보, 특성 정보 및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교환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가 저전력 상태(530)에서 대역외 통신을 통해 충전을 개시하기 위한 소정 제어 신호-즉, 무선 전력 수신기가 부하에 전력을 전달하도록 요청하는 소정 소정 제어 신호-를 무선 전력 송신기에 전송하면, 무선 전력 송신기의 상태는 저전력 상태(530)에서 전력 전송 상태(540)로 천이될 수 있다.
만약, 저전력 상태(530)에서 대역외 통신 링크 설정 절차 또는 등록 절차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은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상태는 저전력 상태(530)에서 전력 절약 상태(520)에 천이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각 무선 전력 수신기와의 접속을 위한 별도의 분리된 링크 만료 타이머(Link Expiration Timer)가 구동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소정 시간 주기로 무선 전력 송신기에 자신이 존재함을 알리는 소정 메시지를 링크 만료 타이머가 만료되기 이전에 전송해야 한다. 링크 만료 타이머는 상기 메시지가 수신될 때마다 리셋되며, 링크 만료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으면 무선 전력 수신기와 무선 전력 수신기 사이에 설정된 대역외 통신 링크는 유지될 수 있다.
만약, 저전력 상태(530) 또는 전력 전송 상태(540)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와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기 사이에 설정된 대역외 통신 링크에 대응되는 모든 링크 만료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상태는 전력 절약 상태(520)로 천이될 수 있다.
또한, 저전력 상태(530)의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유효한 광고 시그널이 수신되면 소정 등록 타이머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등록 타이머가 만료되면, 저전력 상태(530)의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절약 상태(520)로 천이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전력 송신기는 등록에 실패하였음을 알리는 소정 알림 신호를 무선 전력 송신기에 구비된 알림 표시 수단-예를 들면, LED 램프, 디스플레이 화면, 비퍼(beeper) 등을 포함함-을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전력 전송 상태(540)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접속된 모든 무선 전력 수신기의 충전이 완료되면, 저전력 상태(530)로 천이될 수 있다.
특히, 무선 전력 수신기는 구성 상태(510), 로컬 장애 상태(550) 및 잠금 장애 상태(560)를 제외한 나머지 상태에서 새로운 무선 전력 수신기의 등록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전송 상태(540)에서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전송 전력을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무선 전력 송신기에 전송되는 수신기 상태 정보는 요구 전력 정보, 정류기 후단에서 측정된 전압 및/또는 전류 정보, 충전 상태 정보, 과전류 및/또는 과전압 및/또는 과열 상태를 통보하기 위한 정보, 과전류 또는 과전압에 따라 부하에 전달되는 전력을 차단하거나 감소시키는 수단이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신기 상태 정보는 미리 지정된 주기로 전송되거나 특정 이벤트가 발생될 때마다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전류 또는 과전압에 따라 부하에 전달되는 전력을 차단하거나 감소시키는 수단은 ON/OFF 스위치, 제너다이오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무선 전력 송신기에 전송되는 수신기 상태 정보는 무선 전력 수신기에 유선으로 외부 전원이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정보, 대역외 통신 방식이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정보-일 예로, NFC(Near Field Communication)에서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으로 변경될 수 있음-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자신의 현재 가용한 전력, 무선 전력 수신기 별 우선 순위, 접속된 무선 전력 수신기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 별 수신해야 할 파워 세기를 적응적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무선 전력 수신기 별 파워 세기는 해당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기에서 처리 가능한 최대 파워 대비 얼마의 비율로 파워를 수신해야 하는지로 결정될 수 있다.
이 후, 무선 전력 송신기는 결정된 파워 세기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소정 전력 제어 명령을 해당 무선 전력 수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전력 수신기는 무선 전력 송신기에 의해 결정된 파워 세기로 전력 제어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소정 전력 제어 응답 메시지를 통해 무선 전력 송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전력 제어 명령에 따라 무선 전력 제어가 가능한지 여부를 지시하는 소정 수신기 상태 정보를 상기 전력 제어 명령을 수신하기 이전에 전송할 수도 있다.
전력 전송 상태(540)는 접속된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전력 수신 상태에 따라 제1 상태(541), 제2 상태(542) 및 제3 상태(543) 중 어느 하나의 상태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 상태(541)는 무선 전력 송신기에 접속된 모든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전력 수신 상태가 정상 전압인 상태임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상태(542)는 무선 전력 송신기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전력 수신 상태가 저전압 상태이고 고전압 상태인 무선 전력 수신기가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제3 상태(543)는 무선 전력 송신기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전력 수신 상태가 고전압 상태임을 의미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절약 상태(520) 또는 저전력 상태(530) 또는 전력 전송 상태(540)에서 시스템 오류가 감지되면, 잠금 장애 상태(560)로 천이될 수 있다
잠금 장애 상태(560)의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접속된 모든 무선 전력 수신기가 충전 영역에서 제거된 것으로 판단되면, 구성 상태(510) 또는 전력 절약 상태(520)로 천이할 수 있다.
또한, 잠금 장애 상태(560)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는 로컬 장애가 감지되면, 로컬 장애 상태(550)로 천이할 수 있다. 여기서, 로컬 장애 상태(550)인 무선 전력 송신기는 로컬 장애가 해제되면, 다시 잠금 장애 상태(560)로 천이될 수 있다.
반면, 구성 상태(510), 전력 절약 상태(520), 저전력 상태(530), 전력 전송 상태(540)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로컬 장애 상태(550)로 천이된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는 로컬 장애가 해제되면, 구성 상태(510)로 천이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로컬 장애 상태(550)로 천이되면, 무선 전력 송신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는 과전압, 과전류, 과열 등의 장애가 감지되면 로컬 장애 상태(550)로 천이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는 과전류, 과전압, 과열 등이 감지되면, 무선 전력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전력의 세기를 감소시키기 위한 소정 전력 제어 명령을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전송할 수도 있다.
다른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는 과전류, 과전압, 과열 등이 감지되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충전을 중단시키기 위한 소정 제어 명령을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전력 제어 절차를 통해, 무선 전력 송신기는 과전압, 과전류, 과열 등에 따른 기기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송신 공진기의 출력 전류의 세기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잠금 장애 상태(560)로 천이할 수 있다. 이때, 잠금 장애 상태(560)로 천이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송신 공진기의 출력 전류의 세기를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기준치 이하가 되도록 시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도는 미리 지정된 회수 동안 반복 수행될 수 있다. 만약,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잠금 장애 상태(560)가 해제되지 않는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는 소정 알림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잠금 장애 상태(560)가 해제되지 않음을 지시하는 소정 알림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전력 송신기의 충전 영역에 위치한 모든 무선 전력 수신기가 사용자에 의해 충전 영역에서 제거되면, 잠금 장애 상태(560)가 해제될 수 있다.
반면, 송신 공진기의 출력 전류의 세기가 미리 지정된 시간 이내에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거나 상기 미리 지정된 반복 수행 동안 송신 공진기의 출력 전류의 세기가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잠금 장애 상태(560)는 자동으로 해제될 수 있으며, 이때, 무선 전력 송신기의 상태는 잠금 장애 상태(560)에서 전력 절약 상태(520)로 자동 천이되어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감지 및 식별 절차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전력 전송 상태(540)의 무선 전력 송신기는 연속된 전력을 송출하고, 무선 전력 수신기의 상태 정보 및 미리 정의된 최적 전압 영역(Optimal Voltage Region) 설정 파라메터에 기반하여 적응적으로 송출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최적 전압 영역(Optimal Voltage Region) 설정 파라메터는 저전압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파라메터, 최적 전압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파라메터, 고전압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파라메터, 과전압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파라메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전력 수신 상태가 저전압 영역에 있으면, 송출 전력을 증가시키고, 고전압 영역에 있으면, 송출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화되도록 송출 전력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전력 수신기에 의해 요구된 전력량의 편차가 기준치 이하가 되도록 송출 전력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기 출력 전압이 소정 과전압 영역에 도달한 경우-즉, Over Voltage가 감지된 경우-, 전력 전송을 중단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상태 천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상태는 크게 비활성화 상태(Disable State, 610), 부트 상태(Boot State, 620), 활성화 상태(Enable State, 630)(또는, On state) 및 시스템 오류 상태(System Error State, 6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무선 전력 수신기의 상태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기단에서의 출력 전압의 세기-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VRECT이라 명함-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활성화 상태(630)는 VRECT의 값에 따라 최적 전압 상태(Optimum Voltage State, 631), 저전압 상태(Low Voltage State, 632) 및 고전압 상태(High Voltage State, 633)로 구분될 수 있다.
비활성화 상태(610)의 무선 전력 수신기는 측정된 VRECT 값이 미리 정의된 VRECT_BOOT 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부트 상태(620)로 천이할 수 있다.
부트 상태(620)에서, 무선 전력 수신기는 무선 전력 송신기와의 대역외 통신 링크를 설정하고 VRECT 값이 부하단에 요구되는 전력에 도달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부트 상태(620)의 무선 전력 수신기는 VRECT 값이 부하단에 요구되는 전력에 도달된 것이 확인되면, 활성화 상태(630)로 천이하여 충전을 시작할 수 있다.
활성화 상태(630)의 무선 전력 수신기는 충전이 완료되거나 충전이 중단된 것이 확인되면, 부트 상태(620)로 천이될 수 있다.
또한, 활성화 상태(630)의 무선 전력 수신기는 소정 시스템 오류가 감지되면, 시스템 오류 상태(640)로 천이할 수 있다. 여기서, 시스템 오류는 과전압, 과전류 및 과열뿐만 아니라 미리 정의된 다른 시스템 오류 조건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활성화 상태(630)의 무선 전력 수신기는 VRECT 값이 VRECT _BOOT 값 이하로 떨어지면, 비활성화 상태(610)로 천이될 수도 있다.
또한, 부트 상태(620) 또는 시스템 오류 상태(640)의 무선 전력 수신기는 VRECT 값이 VRECT _BOOT 값 이하로 떨어지면, 비활성화 상태(610)로 천이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활성화 상태(630)내에서의 무선 전력 수신기의 상태 천이를 후술할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ECT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동작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VRECT 값이 소정 VRECT _ BOOT 보다 작으면, 무선 전력 수신기는 비활성화 상태(610)에 유지된다.
이 후, VRECT 값이 VRECT _BOOT 이상으로 증가되면, 무선 전력 수신기는 부트 상태(620)로 천이되며, 미리 지정된 시간 이내에 광고 시그널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이 후, 광고 시그널이 무선 전력 송신기에 의해 감지되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대역외 통신 링크 설정을 위한 소정 연결 요청 시그널을 무선 전력 수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대역외 통신 링크가 정상적으로 설정되고, 등록에 성공한 경우, VRECT 값이 정상적인 충전을 위한 정류기에서의 최소 출력 전압-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VRECT _ MIN이라 명함-에 도달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VRECT 값이 VRECT _MIN을 초과하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상태는 부트 상태(620)에서 활성화 상태(630)로 천이되며 부하에 충전을 시작할 수 있다.
만약, 활성화 상태(630)에서 VRECT 값이 과전압을 판단하기 위한 소정 기준치인 VRECT _MAX을 초과하면, 무선 전력 수신기는 활성화 상태(630)에서 시스템 오류 상태(640)로 천이될 수 있다.
도 7를 참조하면, 활성화 상태(630)는 VRECT의 값에 따라 저전압 상태(Low Voltage State, 632), 최적 전압 상태(Optimum Voltage State, 631) 및 고전압 상태(High Voltage State, 633)로 구분될 수 있다.
저전압 상태(632)는 VRECT _BOOT <= VRECT <= VRECT _ MIN인 상태를 의미하고, 최적 전압 상태(631)은 VRECT _MIN < VRECT <=VRECT _ HIGH인 상태를 의미하고, 고전압 상태(633)는 VRECT_HIGH < VRECT <=VRECT _ MAX인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특히, 고전압 상태(633)로 천이된 무선 전력 수신기는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동작을 미리 지정된 시간-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고전압 상태 유지 시간이라 명함- 동안 유보시킬 수도 있다. 이때, 고전압 상태 유지 시간은 고전압 상태(633)에서 무선 전력 수신기 및 부하에 피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시스템 오류 상태(640)로 천이되면, 과전압 발생을 지시하는 소정 메시지를 미리 지정된 시간 이내에 대역외 통신 링크를 통해 무선 전력 송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수신기는 시스템 오류 상태(630)에서 과전압에 따른 부하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 과전압 차단 수단을 이용하여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과전압 차단 수단으로 ON/OFF 스위치 또는/및 제너다이오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무선 전력 수신기에 과전압이 발생되어 시스템 오류 상태(640)로 천이된 경우,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의 시스템 오류 대응 방법 및 수단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무선 전력 수신기에 과열, 과전류 등에 의해서도 시스템 오류 상태로 천이될 수도 있다.
일 예로, 과열에 따라 시스템 오류 상태로 천이된 경우, 무선 전력 수신기는 과열 발생을 알리는 소정 메시지를 무선 전력 송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전력 수신기는 구비된 냉각팬 등을 구동하여 내부 발생된 열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는 복수의 무선 전력 송신기와 연동하여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실제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로 결정된 무선 전력 송신기와 실제 대역외 통신 링크가 설정된 무선 전력 송신기가 서로 상이한 것으로 판단되면, 시스템 오류 상태(640)로 천이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무선 충전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원 인가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 구성, 즉, 부팅이 완료되면, 비콘 시퀀스를 생성하여 송신 공진기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S901).
무선 전력 수신기는 비콘 시퀀스가 감지되면 자신의 식별 정보 및 특성 정보가 포함된 광고 시그널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S903). 이때, 광고 시그널은 후술할 연결 요청 신호가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수신되기 이전까지 소정 주기로 반복 전송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광고 시그널이 수신되면, 대역외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소정 연결 요청 신호를 무선 전력 수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S905).
무선 전력 수신기는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대역외 통신 링크를 설정하고, 설정된 대역외 통신 링크를 통해 자신의 정적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907).
여기서,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적 상태 정보는 카테고리 정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 최대 정류기 출력 파워 정보, 전력 제어를 위한 초기 기준 파라메터 정보, 요구 전압 또는 전력에 관한 정보, 전력 조절 기능 탑재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지원 가능한 대역외 통신 방식에 관한 정보, 지원 가능한 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관한 정보, 무선전력수신기에 초기 설정된 선호 정류기단 전압값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적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정적 상태 정보를 대역외 통신 링크를 통해 무선 전력 수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S909).
여기서,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정적 상태 정보는 송신기 전력 정보, 클래스 정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 지원 가능한 무선 전력 수신기의 최대 개수에 관한 정보 및/또는 현재 접속된 무선 전력 수신기의 개수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후, 무선 전력 수신기는 자신의 실시간 전력 수신 상태 및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주기적 또는 특정 이벤트 발생 시 동적 상태 정보를 무선 전력 송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S911).
여기서, 무선 전력 수신기의 동적 상태 정보는 정류기 출력 전압 및 전류에 관한 정보,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에 관한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의 내부 측정 온도에 관한 정보, 전력 제어를 위한 기준 파라메터 변경 정보(정류 전압 최소 값, 정류 전압 최대 값, 초기 설정된 선호 정류기단 전압 변경 값), 충전 상태 정보, 시스템 오류 정보, 경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상기 전력 제어를 위한 기준 파라메터 변경 정보 수신시 기존 정적 상태 정보에 포함된 설정 값을 변경하여 전력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전력 수신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분한 전력이 준비되면, 대역외 통신 링크를 통해 소정 제어 명령을 송출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가 충전을 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913).
이 후,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동적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송출 전력을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S915).
또한, 무선 전력 수신기는 내부 시스템 오류가 감지되거나 충전이 완료된 경우, 동적 상태 정보에 해당 시스템 오류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 및/또는 충전이 완료되었음을 지시하는 데이터를 포함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에 전송할 수도 있다(S917). 여기서, 시스템 오류는 과전류, 과전압, 과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현재 가용한 전력이 접속된 모든 무선 전력 수신기의 요구 전력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각 무선 전력 수신기에 전송할 전력을 재분배하고 이를 소정 제어 명령을 통해 해당 무선 전력 수신기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충전 중 새로운 무선 전력 수신기가 등록된 경우, 현재 가용한 전력에 기반하여 접속된 무선 전력 수신기 별 수신할 전력을 재분배하고, 이를 소정 제어 명령을 통해 해당 무선 전력 수신기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충전 중 기존 접속된 무선 전력 수신기의 충전이 완료되거나 대역외 통신 링크가 해제-예를 들면, 무선 전력 수신기가 충전 영역에서 제거된 경우를 포함함-되는 경우, 남아있는 무선 전력 수신기 별 수신할 전력을 재분배하고 이를 소정 제어 명령을 통해 해당 무선 전력 수신기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소정 제어 절차를 통해 무선 전력 수신기가 전력 조절 기능이 탑재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재분배 상황이 발생된 경우, 전력 조절 기능이 탑재된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해서만 전력 재분배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전력 재분배 상황은 연결되지 않은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유효한 광고 시그널을 수신하여 새로운 무선 전력 수신기가 추가되거나 연결된 무선 전력 수신기의 현재 상태 등을 지시하는 동적 파라메터가 수신되거나, 기 연결된 무선 전력 수신기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음이 확인되거나, 기 연결된 무선 전력 수신기의 충전이 완료되거나, 기 연결된 무선 전력 수신기의 시스템 오류 상태를 지시하는 알람(Alert) 메시지가 수신되는 등의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시스템 오류 상태는 과전압 상태, 과전류 상태, 과열 상태, 네트워크 연결 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소정 제어 명령을 통해 전력 재분배 관련 정보를 무선 전력 수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력 재분배 관련 정보는 무선 전력 수신기 전력 제어를 위한 명령 정보, 전력 전송 요청에 대한 허여(Permission) 또는 거절(deny)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가 유효한 부하 변화(Valid Load Variation)을 생성하는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전력 수신기 전력 제어를 위한 명령은 무선 전력 수신기가 부하에 수신된 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제1 명령, 무선 전력 수신기가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지시하는 것을 허여하기 위한 제2 명령, 무선 전력 수신기의 최대 정류기 파워 대비 무선 전력 송신기에 의해 제공 가능한 최대 파워의 비율을 지시하는 파워 조절 명령(Adjust Power Comman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무선 전력 수신기가 상기 파워 조절 명령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는 파워 조절 명령을 해당 무선 전력 수신기에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새로운 무선 전력 수신기가 등록되면, 자신의 가용한 전력량에 기반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에 의해 요구된 전력량을 제공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요구된 전력량이 가용한 전력량을 초과하는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는 해당 무선 전력 수신기에 전력 조절 기능이 탑재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전력 조절 기능이 탑재된 경우, 무선 전력 수신기는 가용한 전력량 내에서 무선 전력 수신기가 수신할 전력의 양을 결정하고, 결정된 결과를 소정 제어 명령을 통해 무선 전력 수신기에 전송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전력 재분배는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가 정상적으로 동작 가능한 범위 및/또는 정상적인 충전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전송 요청에 대한 허여(Permission) 또는 거절(deny)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는 허여 조건 및 거절 이유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허여 조건은 가용한 파워 부족으로 인한 일정 시간 동안의 대기를 조건으로 한 허여가 포함될 수 있다. 거절 이유는 가용한 파워 부족으로 인한 거절, 수용 가능한 무선 전력 수신기 개수의 초과로 인한 거절, 무선 전력 송신기의 과열로 인한 거절,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한된 등급에 따른 거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는 복수의 대역외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만약, 현재 설정된 대역외 통신 링크를 다른 방식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무선 전력 수신기는 대역외 통신 변경을 요청하는 소정 제어 신호를 무선 전력 송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대역외 통신 변경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현재 설정된 대역외 통신 링크를 해제하고, 무선 전력 수신기에 의해 요청된 대역외 통신 방식으로 새로운 대역외 통신 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대역외 통신 방식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 LTE(Long Term Evolution)/LTE-Advance 통신, Wi-Fi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포함하는 마우스패드 및 마우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실시 예의 마우스패드 및 마우스(이하, 마우스 시스템이라 한다)는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300A), 전원부(300A)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마우스(300C)와 통신 등을 하도록 구비되는 마우스패드(300B) 및 피씨(PC, Personal Computer)에 외부의 명령을 입력하는 마우스(300C)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실시 예의 마우스 시스템은 종래 피씨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유선 마우스 시스템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피씨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명령을 무선 통신 방법으로 피씨에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무선 마우스 시스템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마우스패드(300B)는 무선 전력 송신기(100)를 포함할 수 있고, 마우스(300C)는 무선 전력 수신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우스패드(300B)는 전원부(300A)로부터 마우스(300C)에 무선으로 송신할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실시 예의 전원부(300A)는 단순히 전원만을 마우스패드(300B)에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피씨의 일 부분으로써 전원을 외부에 공급하는 전력원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예컨대, 실시 예의 전원부(300A)는 피씨의 USB단자일 수 있다.
마우스패드(300B)상에 배치되어 사용되는 마우스(300C)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지속적 혹은 단속적으로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전력 송신 표준 중에서 공진 방식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공진 방식은 A4WP의 표준을 만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유도 방식으로 전력을 송신하기 위해서는 무선 전력 송신기(100)의 송신 코일과 무선 전력 수신기(200)의 수신 코일의 위치가 조정(Alignment)되어야 충분한 양의 전력이 송신될 수 있으나, 실시 예의 마우스(300C)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속적 혹은 단속적으로 위치가 변화되기 때문에 보다 충전 범위가 넓은 공진 방식으로 구비되는 것이 전력 송신 효율적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실시 예의 송신 공진기(14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코일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마우스패드(300B)의 상부면 전체를 하나의 코일만을 사용하여 구성하게 되면 마우스(300C)의 위치에 따라 전력이 송신되지 않는 부분인 널포인트(null point)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마우스패드(300B)의 상부면을 소정 섹션으로 나누어 복수 개의 송신 코일을 배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마우스패드(300B)는 복수 개의 송신 코일 중 어떤 송신 코일을 사용하여 마우스(300C)의 공진 수신기(210)에 전력을 송신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코일 선택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마우스(300C)의 위치를 이동시켜 사용하다 소정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복수 개의 송신 코일 중 하나인 제1 코일과의 결합 계수보다 다른 코일인 제2 코일과의 결합 계수가 높은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기존의 제1 코일을 사용하여 전력을 송신하는 것 보다 보다 결합 계수가 높은 제2 코일을 사용하여 전력을 송신하는 것이 충전 효율 측면에서 우수하다.
따라서, 이 경우 코일 선택부(141)는 전력을 송신하는 코일을 제1 코일에서 제2 코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에는 지속적으로 무선 전력 수신기(200)의 충전 효율을 모니터링하고, 충전 효율이 소정 레벨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복수 개의 송신 코일 중에서 가장 결합 계수가 높은 송신 코일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복수 개의 송신 코일 중에 무선 전력 수신기(200)와 가장 높은 결합 계수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선택시간이 길어 높은 충전 효율을 도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실시 예의 마우스 시스템은 종래의 코일 선택부(141)에서 송신 코일을 선택하는 방법 대신 마우스(300C)에 구비되는 모션 센서부(300C-4)를 이용하여 마우스(300C)에 포함된 무선 전력 수신기(200)의 위치를 예상하여 보다 높은 충전 효율을 도모할 수 있는 구성을 제시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실시 예의 마우스(300C)는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200), 마우스(300C)의 모션에 의한 위치 변화량을 센싱하는 모션 센서부(300C-4), 제1 방식으로 무선 통신을 하는 제2-1통신부(300C-1), 제2 방식으로 무선 통신을 하는 제2-2통신부(300C-2) 및 마우스(300C)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300C-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1통신부(300C-1) 및 제2-2통신부(300C-2)는 각각 제1 방식 및 제2 방식으로 제1-1통신부(300B-1) 및 제1-2통신부(300B-2)와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데, 제1 방식 및 제2 방식은 서로 상이한 방식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방식은 RF통신 방식일 수 있고 제2 방식은 BLE방식일 수 있다.
또한, 제1 방식 및 제2 방식은 서로 동일한 통신 방식이되, 서로 상이한 주파수 대역대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모션 센서부(300C-4)를 이용한 마우스(300C)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마우스패드(300B)에 배치되는 무선 전력 송신기(100)의 코일을 선택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모션 센서부(300C-4)는 마우스(300C)의 위치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컨대, 마우스(300C)의 하부면에 배치된 볼 또는 광 센서를 이용하여 마우스패드(300B)와 마우스(300C)의 상대 적인 벡터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모션 센서부(300C-4)는 수집된 마우스(300C)의 벡터정보를 제2 제어부(300C-3)에 전달 할 수 있다.
제2 제어부(300C-3)은 상기 마우스(300C)의 벡터정보를 제2-1통신부(300C-1) 및 제2-2통신부(300C-2)에 각각 전달 할 수 있다.
제2-1통신부(300C-1)은 상기 벡터정보를 마우스패드(300B)의 제1-1통신부(300B-1)에 제1 방식으로 전달 할 수 있고, 제1-1통신부(300B-1)은 전원부(300A)를 포함하는 피씨에 상기 벡터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제2-1통신부(300C-1), 제1-1통신부(300B-1) 및 전원부(300A)를 통하여 피씨에 전달된 마우스(300C)의 벡터정보는 피씨에 연결된 모니터에 마우스커서가 사용자가 입력한 대로 움직이도록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2-2통신부(300C-2)는 상기 벡터정보를 제1-2통신부(300B-2)에 제2 방식으로 전달할 수 있고, 제1-2통신부(300B-2)는 상기 벡터정보를 제1 제어부(300B-3)에 전달할 수 있다.
제1 제어부(300B-3)는 상기 모션 센서부(300C-4)에서 수집한 마우스(300C)의 벡터정보를 이용하여 송신 공진기(14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송신 코일 중 어떠한 송신 코일을 선택할지 여부에 대한 판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마우스(300C)의 벡터정보를 이용하여 송신 코일 선택에 관한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실시 예의 제1 제어부(300B-3)은 마우스(300C)의 벡터정보와 실시 예의 마우스패드(300B)의 전체 면적을 매핑하여 마우스(300C)의 위치를 예상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예상된 마우스(300C)의 위치에 따라 복수 개의 송신 코일 중 가장 결합 계수가 높은 송신 코일을 선택하는 판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마우스(300C)의 벡터정보를 이용하여 송신 코일 선택에 관한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지도 아니한다.
상기 제1 제어부(300B-3)에서 생성된 판단 정보는 코일 선택부(141)에 전달 될 수 있고, 코일 선택부(141)은 상기 판단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 공진기(140)에 구비된 복수 개의 코일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 상태로 천이시킬 수 있다.
도 9에서 설명한, 실시 예의 코일 선택 알고리즘은 마우스(300C)에서 수집한 벡터 정보를 전원부(300A)를 포함하는 피씨를 거치지 아니하고, 직접 제1-2통신부(300B-2)를 거쳐 벡터 정보를 전달받은 제1 제어부(300B-3)에서 판단 정보를 생성하기 때문에 제1 제어부(300B-3)에 과부하가 생겨 코일 선택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하 제1 제어부(300B-3)에서 처리하는 데이터의 부하를 감소시키는 구성을 이하 도 10을 통하여 제안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포함하는 마우스패드 및 마우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기본적인 구성은 도 9에서 설명한 마우스 시스템과 동일하며, 모션 센서부(300C-4)에서 수집된 마우스(300C)의 벡터 정보의 처리과정이 상이한바, 차이점에 대해서만 서술하도록 한다.
실시 예의 마우스 시스템은 후술하는 도 11에 도시된 마우스와 달리 마우스(300C)의 벡터 정보가 직접 전원부(300A)를 포함하는 피씨에 전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션 센서부(300C-4)에서 수집된 마우스(300C)의 벡터 정보는 제2 제어부(300C-3)으로 전달 될 수 있고, 제2 제어부(300C-3)은 상기 벡터 정보를 제2-1통신부(300C-1)에 전달할 수 있다.
벡터 정보를 전달 받은 제2-1통신부(300C-1)은 바로 전원부(300A)를 포함하는 피씨에 상기 벡터 정보를 제1 방식을 이용하여 송신할 수 있다.
모션 센서부(300C-4)에서 수집된 마우스(300C)의 벡터 정보를 제2-1통신부(300C-1) 및 제2-2통신부(300C-2)를 통하여 각각 전송하는 도 9에 도시된 실시 예와 달리 본 실시 예에서는 모션 센서부(300C-4)에서 수집된 마우스(300C)의 벡터 정보는 제2-1통신부(300C-1)만 통하여 전송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사용에 따른 마우스(300C)의 위치 정보는 필요적으로 전원부(300A)를 포함하는 피씨에 전송 되어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두 개의 통신부로 나누어 각각 데이터를 처리할 필요가 없어 데이터 처리의 효율성이 증대되어 처리 속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마우스(300C)의 벡터 정보를 전달받은 전원부(300A)를 포함하는 피씨는 마우스(300C)의 위치에 따라 송신 코일 선택에 관한 판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전원부(300A)를 포함하는 피씨에서 생성된 송신 코일 선택에 대한 판단 정보는 제1 제어부(300B-3)로 전달 될 수 있고, 제1 제어부(300B-3)는 상기 판단 정보를 코일 선택부(141)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코일 선택부(141)은 판단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 공진기(140)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송신 코일 중 하나를 활성 상태로 천이시킬 수 있다.
전원부(300A)를 포함하는 피씨에서 송신 코일 선택에 관한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방식은 사용자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도 9에서 전술한 바와 같기 때문에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코일 선택부(141)은 판단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 공진기(140)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송신 코일 중 하나를 활성 상태로 천이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포함하는 마우스패드 및 마우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기본적인 구성은 도 9 및 도 10에서 설명한 마우스 시스템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서술하도록 한다.
실시 예의 마우스 시스템은 전술한 도 10에 도시된 마우스와 달리 마우스(300C)의 벡터 정보가 직접 전원부(300A)를 포함하는 피씨에 전달되지 아니하고, 마우스패드(300B)로 전달된 후에 마우스패드(300B)에서 피씨로 상기 벡터 정보가 전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의 마우스 시스템의 경우 상기 모션 센서부(300C-4)에서 수집된 마우스(300C)의 벡터 정보는 제2 제어부(300C-3)으로 전달 될 수 있고, 제2 제어부(300C-3)은 상기 벡터 정보를 제2-1통신부(300C-1)에 전달할 수 있다.
벡터 정보를 전달 받은 제2-1통신부(300C-1)는 상기 마우스(300B)의 벡터 정보를 마우스패드(300B)의 제1-1통신부(300B-1)에 제1 방식으로 전달 할 수 있다.
제1-1통신부(300B-1)는 수집된 마우스(300C)의 벡터 정보를 전원부(300A)를 포함하는 피씨에 전달 할 수 있다.
모션 센서부(300C-4)에서 수집된 마우스(300C)의 벡터 정보를 제2-1통신부(300C-1) 및 제2-2통신부(300C-2)를 통하여 각각 전송하는 도 9에 도시된 실시 예와 달리 본 실시 예에서는 모션 센서부(300C-4)에서 수집된 마우스(300C)의 벡터 정보는 제2-1통신부(300C-1)만 통하여 전송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사용에 따른 마우스(300C)의 위치 정보는 필요적으로 전원부(300A)를 포함하는 피씨에 전송 되어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두 개의 통신부로 나누어 각각 데이터를 처리할 필요가 없어 데이터 처리의 효율성이 증대되어 처리 속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마우스(300C)의 벡터 정보를 전달받은 전원부(300A)를 포함하는 피씨는 마우스(300C)의 위치에 따라 송신 코일 선택에 관한 판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전원부(300A)를 포함하는 피씨에서 생성된 송신 코일 선택에 대한 판단 정보는 제1 제어부(300B-3)로 전달 될 수 있고, 제1 제어부(300B-3)는 상기 판단 정보를 코일 선택부(141)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코일 선택부(141)은 판단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 공진기(140)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송신 코일 중 하나를 활성 상태로 천이시킬 수 있다.
전원부(300A)를 포함하는 피씨에서 송신 코일 선택에 관한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방식은 사용자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전원부: 300A 마우스패드: 300B
마우스: 300C 제1 제어부: 300B-3
제1-1통신부: 300B-1 제1-2통신부: 300B-2
제2 제어부: 300C-3 제2-1통신부: 300C-1
제2-2통신부: 300C-2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00
무선 전력 수신 장치: 200

Claims (20)

  1. 바디;
    제어부;
    상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모션 정보를 획득하는 모션 센서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부; 및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받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는,
    자기 공진 방식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부는,
    제1 방식으로 무선 통신을 하는 제1 통신부; 및
    제2 방식으로 무선 통신을 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정보는 제1 모션 정보 및 제2 모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모션 센서부는 상기 제1 모션 정보 및 제2 모션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부에 상기 제1 모션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제2 통신부에 상기 제2 모션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에 전달된 상기 제1 모션 정보는 사용자의 피씨(PC)로 입력되고, 상기 제2 통신부에 전달된 상기 제2 모션 정보는 복수 개의 송신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전달되어 상기 복수 개의 송신 코일의 상태 천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정보는 상기 제어부에 전달되며, 상기 모션 정보를 전달받은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모션 정보를 사용자의 피씨(PC)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피씨로부터 상기 모션 정보를 복수 개의 송신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 전송되어 상기 복수 개의 송신 코일의 상태 천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8. 마우스를 수용하는 바디;
    제어부;
    상기 마우스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모션 정보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부; 및
    복수 개의 송신 코일을 포함하고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포함하는 마우스패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제1 방식으로 통신하도록 구비되는 제1 통신부; 및
    제2 방식으로 통신하도록 구비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패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정보는 제1 모션 정보 및 제2 모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모션 정보는 제1 통신부를 거쳐 사용자의 피씨로 전달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모션 정보는 제2 통신부를 거쳐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패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 전달된 상기 제2 모션 정보는 상기 복수 개의 송신 코일의 상태 천이를 제어하는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패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코일의 상태를 선택적으로 활성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로 천이시키는 코일 선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태 변경 정보는 상기 코일 선택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패드.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정보는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며,
    상기 모션 정보를 수신받은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송신 코일의 상태 천이를 제어하는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패드.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피씨와 직접 통신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패드.
  15.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정보는 상기 통신부로 전달되며,
    상기 통신부는 전달받은 상기 모션 정보를 사용자의 피씨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의 피씨는 상기 모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송신 코일의 상태 천이를 제어하는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패드.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코일의 상태를 선택적으로 활성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로 천이시키는 코일 선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태 변경 정보는 상기 코일 선택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패드.
  17.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마우스; 및
    상기 마우스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며 복수 개의 송신 코일을 구비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포함하는 마우스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마우스는 상기 마우스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모션 정보를 수집하는 모션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션 정보는 상기 마우스패드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 전송되어 상기 복수 개의 코일의 상태 천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및 마우스패드.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패드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마우스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모션 정보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우스는,
    바디;
    제2 제어부;
    상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모션 정보를 획득하는 모션 센서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및 마우스 패드.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는,
    제1 방식으로 무선 통신하는 제1-1통신부; 및
    제2 방식으로 무선 통신하는 제1-2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부는,
    제1 방식으로 무선 통신하는 제2-1통신부; 및
    제2 방식으로 무선 통신하는 제2-2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션 센서부에서 수집한 상기 모션 정보는,
    제1 모션 정보 및 제2 모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션 정보는 상기 제2-1통신부 및 상기 제1-1통신부를 거쳐 사용자의 피씨로 전달되고,
    상기 제2 모션 정보는 상기 제2-2통신부 및 상기 제1-2통신부를 거쳐 상기 제1 제어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및 마우스패드.
  20.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정보는 사용자의 피씨로 전송되며, 상기 사용자의 피씨는 상기 모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송신 코일의 상태 천이를 제어하는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상태 변경 정보는 상기 마우스패드의 상기 무선 전력 송신장치에 전달되어 상기 복수 개의 전송 코일의 상태 천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및 마우스패드.
KR1020160017052A 2016-02-15 2016-02-15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포함하는 마우스 패드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102409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052A KR102409276B1 (ko) 2016-02-15 2016-02-15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포함하는 마우스 패드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CN201780019257.3A CN108885504B (zh) 2016-02-15 2017-02-02 包括无线电力传输装置的鼠标垫以及鼠标
EP17753396.5A EP3418866B1 (en) 2016-02-15 2017-02-02 Mouse pad compris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mouse
PCT/KR2017/001111 WO2017142235A1 (ko) 2016-02-15 2017-02-02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포함하는 마우스 패드 및 마우스
US16/077,845 US11011932B2 (en) 2016-02-15 2017-02-02 Mouse pad compris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mo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052A KR102409276B1 (ko) 2016-02-15 2016-02-15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포함하는 마우스 패드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539A true KR20170095539A (ko) 2017-08-23
KR102409276B1 KR102409276B1 (ko) 2022-06-15

Family

ID=59625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7052A KR102409276B1 (ko) 2016-02-15 2016-02-15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포함하는 마우스 패드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11932B2 (ko)
EP (1) EP3418866B1 (ko)
KR (1) KR102409276B1 (ko)
CN (1) CN108885504B (ko)
WO (1) WO20171422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002146A1 (de) * 2016-03-04 2017-09-07 Logitech Europe S.A. Drahtloses Laden für eine Eingabeeinrichtung
JP7100572B2 (ja) * 2018-12-14 2022-07-13 キヤノン株式会社 受電装置、受電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6325429A (zh) * 2020-09-22 2023-06-23 米沃奇电动工具公司 用于动力工具电池包的无线充电垫
TWI783272B (zh) 2020-09-29 2022-11-11 寶德科技股份有限公司 具動態調整組態之多線圈滑鼠墊
KR102468936B1 (ko) * 2020-12-14 2022-11-23 한국과학기술원 복수의 송신 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16455099B (zh) * 2023-06-20 2023-08-29 成都斯普奥汀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无线鼠标的无线充供电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6532A (ko) * 1999-04-19 2000-11-15 홍상표 무선 마우스 장치
WO2013012114A1 (ko) * 2011-07-21 2013-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신호를 통한 무선 전력 수신기의 통신
KR20140129172A (ko) * 2012-02-16 2014-11-06 오클랜드 유니서비시즈 리미티드 다중 코일 플럭스 패드
US20150241999A1 (en) * 2014-02-21 2015-08-27 Lg Innotek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8474B1 (ko) * 1999-09-17 2001-04-16 임재신 무기성 악취와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혼합된 공기를 동시에 제거하는 미생물 담체충전형 모듈러 생물여과장치
WO2005089388A2 (en) * 2004-03-16 2005-09-29 Jaalaa, Inc. Wireless transceiver system for computer input devices
TW200540681A (en) * 2004-06-15 2005-12-16 Four Tech Co Ltd A Winding method for mouse pad with induction coil
US20070097078A1 (en) * 2005-10-27 2007-05-03 A-Four Tech Co., Ltd. Battery-free wireless optical mouse
KR100898059B1 (ko) * 2007-04-30 2009-05-19 (주)제이씨 프로텍 무선 전력을 이용한 무선마우스세트 및/또는소형전자기기세트
KR20090060488A (ko) * 2007-12-10 2009-06-15 정다은 무선마우스의 충전장치
JP2009271846A (ja) * 2008-05-09 2009-11-19 Harumi Takeda ワイヤレスマウスの非接触給電システム
JP5365276B2 (ja) * 2009-03-17 2013-12-11 ソニー株式会社 電力伝送システムおよび電力出力装置
US9652052B2 (en) * 2013-06-20 2017-05-16 Pixart Imaging Inc. Optical mini-mouse
KR101465750B1 (ko) * 2013-12-17 2014-12-01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Nfc 통신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무선 마우스 시스템 및 그 충전 방법
CN203882280U (zh) * 2014-06-04 2014-10-15 淄博建筑工程学校 一种无线供电鼠标套件
US9570926B2 (en) * 2014-07-23 2017-02-14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Determining a re-configuration of a wireless surface with a multi-coil system
KR102081352B1 (ko) * 2014-09-24 2020-04-14 주식회사 위츠 무선 마우스, 마우스 패드 및 무선 마우스 장치
CN105183193A (zh) * 2015-09-11 2015-12-23 北京微能高芯科技有限公司 一种自发电无线鼠标和鼠标垫组合装置及电能采集方法
US20180224888A1 (en) * 2015-09-25 2018-08-09 Intel Corporation Wireless charging mouse with battery
US10622828B2 (en) * 2018-06-25 2020-04-14 Hades-Gaming Corporation Intelligent wireless power-supplying mouse pa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6532A (ko) * 1999-04-19 2000-11-15 홍상표 무선 마우스 장치
WO2013012114A1 (ko) * 2011-07-21 2013-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신호를 통한 무선 전력 수신기의 통신
KR20140129172A (ko) * 2012-02-16 2014-11-06 오클랜드 유니서비시즈 리미티드 다중 코일 플럭스 패드
US20150241999A1 (en) * 2014-02-21 2015-08-27 Lg Innotek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9276B1 (ko) 2022-06-15
US11011932B2 (en) 2021-05-18
EP3418866B1 (en) 2021-09-08
US20200076233A1 (en) 2020-03-05
EP3418866A4 (en) 2019-08-28
CN108885504A (zh) 2018-11-23
EP3418866A1 (en) 2018-12-26
CN108885504B (zh) 2022-04-26
WO2017142235A1 (ko) 2017-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9345B2 (en) Method of managing power using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EP3480918A1 (en) Shape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and coil configuration method
KR102409276B1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포함하는 마우스 패드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EP3319206A1 (en) Multi-m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for same
US10797507B2 (en)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KR20170021011A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이와 연결되는 차량 제어 유닛
EP3404796A1 (en) Wireless power control method and device therefor
US20180138749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wireless power 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US10809343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in wireless charging system
US201802194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wireless power receiver
EP3410563A1 (en) Wireless power supply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US11271432B2 (en) Wireless power control method and device
KR20240056702A (ko)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무선 전력 송신 방법 및 장치
KR102544167B1 (ko)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무선 전력 송신 방법 및 장치
KR20170016171A (ko) 무선 전력 수신기 식별 방법 및 장치
KR20170077587A (ko) 유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80056181A (ko) 멀티 코일을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439256B1 (ko)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44173A (ko) 무선 충전 예상 시간 표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20170130974A (ko) 멀티 모드 수신기의 동작 방법
KR20180012962A (ko)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을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124894A (ko) 무선 전력 전송 모드 전환 방법 및 장치
KR20170085402A (ko) 무선 전력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20170012959A (ko) 무선 전력 수신기 식별 방법 및 장치
KR20170005696A (ko) 무선 전력 공급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