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0488A - 무선마우스의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무선마우스의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0488A
KR20090060488A KR1020070127314A KR20070127314A KR20090060488A KR 20090060488 A KR20090060488 A KR 20090060488A KR 1020070127314 A KR1020070127314 A KR 1020070127314A KR 20070127314 A KR20070127314 A KR 20070127314A KR 20090060488 A KR20090060488 A KR 20090060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harging
wireless mouse
voltage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7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다은
Original Assignee
정다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다은 filed Critical 정다은
Priority to KR1020070127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0488A/ko
Publication of KR20090060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04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Arrangements integrating additional peripherals in a keyboard, e.g. card or barcode reader, optical scann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G06F3/0395Mouse p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시스템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마우스패드를 통해 무선마우스를 충전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시스템; 상기 컴퓨터시스템에 구비된 전원부; 상기 전원부에 전기적인 연결수단으로 충전상태표시부가 구비된 충전유니트부에 연결되어 전원공급을 받는 마우스패드(Mouse Pad); 상기 마우스패드(Mouse Pad)에 구비된 바디(Body)부의 소정부위에 1차전압발생부가 구비된 충전부; 상기 충전부의 1차전압발생부에서 발생된 유도기전력에 의한 2차유도전압을 생성시키기 위해 무선마우스에 구비된 2차유도전압생성부; 그리고, 상기 1차전압발생부와 2차유도전압생성부를 충전부의 충전포인트에 정위치시켜 주기 위해 충전부에 구비된 안착표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무선마우스에 내장된 충전지를 충전하기 위해 별도의 충전용 어댑터를 휴대하지 않아도 되며, 또한 무선마우스 동작용 충전지를 재사용함에 따른 친환경차원에서도 매우 유익한 효과를 제공한다.
컴퓨터시스템, 마우스패드, 무선마우스, 충전

Description

무선마우스의 충전장치{CHARGING APPARATUS FOR WIRELESS MOUSE}
본 발명은 데스크탑컴퓨터를 비롯한 휴대용 노트북검퓨터(이하 "컴퓨터시스템"라 한다.)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마우스패드를 통해 무선마우스를 충전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컴퓨터시스템의 정보처리에 사용되는 상기 무선마우스에 내장된 충전지를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시스템의 정보처리를 위해서 문자와 숫자 등을 이용하여 자료의 입력과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보조수단으로 키보드(Key Board)와 함께 유선 또는 무선마우스가 구성된다.
그런데, 최근 들어서는 상기 컴퓨터시스템에 유선마우스 보다는 무선마우스가 사용상 편리하기 때문에 점차적으로 많이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무선마우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공급 수단으로 일회성 건전지를 사용함에 따른 환경파괴의 요인이 문제점으로 발생하고 있어서, 그에 따른 대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컴퓨터시스템으로부터 마우스패드에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마우스패드에 구비된 충전유니트부에서 발생된 1차전압을 무선마우스에 구비된 2차전압생성부를 통해 유도기전력을 생성시켜 무선방식에 의해 충전지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컴퓨터시스템에 전원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부에 전기적인 연결수단으로 충전상태표시부가 구비된 충전유니트부에 연결되어 전원공급을 받는 마우스패드(Mouse Pad)가 구비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우스패드에 구비된 바디(Body)부의 소정부위에 1차전압발생부가 구비된 충전부가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전부의 1차전압발생부에서 발생된 유도기전력에 의한 2차유도전압을 생성시키기 위해 무선마우스에 구비된 2차유도전압생성부가 구비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1차전압발생부와 2차유도전압생성부를 충전부의 충전포인트에 정위치시켜 주기 위해 충전부에 구비된 안착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 컴퓨터시스템에 전원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부에 전기적인 연결수단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을 받는 마우스패드(Mouse Pad)에 구비되며, 충전상태표시부를 가진 충전유니트부가 구비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전유니트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원부를 통해 출력되는 직류전압(DC)을 교류전압(AC)으로 변환시키는 DC/AC변환부가 구비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C/AC변환부에서 변환된 교류전압을 소정의 전압으로 승압 또는 강압시키기 위한 1차전압발생부와 무선마우스에 구비된 2차유도전압생성부로 이루어진 전압변환부가 구비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압변환부에서 출력된 전압을 상기 무선마우스에 내장된 충전지에 공급하기 위해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정류하는 충전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컴퓨터시스템에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 구비된 USB포트(Universal Serial Bus Port) 및 상기 마우스패드(Mouse Pad)에 구비된 USB플러그(Universal Serial Bus Plug)와 USB신호케이블(Universal Serial Bus Signal Cable)로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및 해결수단들은 첨부한 도면에 나타난 다양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보다 더 명백하여 질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마우스에 내장된 충전지를 충전하기 위해 마우스패드에서 무선으로 유도기전력을 발생시켜 충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별도의 충전용 어댑터를 휴대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무선마우스 동작용 충전지를 수회 재사용함에 따른 친환경차원에서도 매우 유익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사례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도면에 의해 도시되어 있고 이에 따른 구성과 작용들은 적어도 하나의 일실시 예로서 설명되어 지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들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참고할 사항으로, 본 발명에서 설명되어 지는 각 도면에 부호를 표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기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음에 특히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무선마우스의 충전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컴퓨터를 이용하여 무선마우스가 충전되고 있은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제1실시사례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스크탑컴퓨터를 이용하여 무선마우스가 충전되고 있은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제2실시사례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패드의 충전부에 무선마우스를 정위치에 안착시켜 충전을 하기 위한 상태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패드의 충전부에 안착되어 지는 무선마우스의 저면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패드의 충전부에 무선마우스가 안착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상세하게 나타낸 일부절개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컴퓨터시스템(10)에는 덮개부(11) 안쪽으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부(1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화면부(12)와 대응하는 부위에는 문자와 숫자, 기호 등을 이용하여 자료의 입력과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개의 각종 키 버튼(Key Button)으로 이루어진 자판부(14)가 구비된 본체부(13)가 구성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또 다른 컴퓨터시스템(10a)에는 본체부(13a)에 신호케이블(부호 생략함.)로 연결되어 문자와 숫자, 기호 등을 이용하여 자료의 입력과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개의 각종 키 버튼(Key Button)으로 이루어진 자판부(14a)가 구비된 키보드(Key Board)(8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3a)에 신호케이블(부호 생략함.)로 연결되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60)가 구비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컴퓨터시스템(10)(10a)이 구비되고, 상기 컴퓨터시스템(10)(10a)에 구비된 전원부(100)에 전기적인 연결수단(200)으로 충전상태표시부(70)(700)가 구비된 충전유니트부(26)(800)에 연결되어 전원공급을 받는 마우스패드(Mouse Pad)(20)가 구성된다.
상기 컴퓨터시스템(10)(10a)에는 데스크탑컴퓨터를 비롯한 휴대용 노트북검 퓨터가 포함되며, 상기 컴퓨터시스템(10)(10a)에 종속되어 연결되는 무선마우스(30)(일반 유선마우스도 포함.) 및 키보드(80)를 비롯하여, 프린터, 테블렛(Tablet)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전원부(100)는 일반적으로 별도의 어댑터(Adapter)를 사용하여 컴퓨터시스템(10)(10a)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 외에도, 상기 컴퓨터시스템(10)(10a)에 내장되어 구비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200)은 상기 컴퓨터시스템(10)(10a)에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 구비된 USB포트(Universal Serial Bus Port)(15) 및 상기 마우스패드(Mouse Pad)(20)에 구비된 USB플러그(Universal Serial Bus Plug)(50)와 USB신호케이블(Universal Serial Bus Signal Cable)(51)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상기 연결수단(200) 외에 전기적인 신호로 연결이 가능한 또 다른 연결수단인 잭(Jack) 및 상기 잭에 접속되는 플러그(Plug)를 사용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할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컴퓨터시스템(10)(10a)에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USB포트(Universal Serial Bus Port)(15)을 구비하고, 상기 USB포트(15)에 연결된 USB플러그(Universal Serial Bus Plug)(50) 및 USB신호케이블(Universal Serial Bus Cable)(51)을 통해 마우스패드(Mouse Pad)(20)에 구비된 충전유니트(Unit)부(26)(800)에 전원이 공급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충전유니트부(26)(800)에는 연결수단(200), DC/AC변환부(300), 충전상태표시부(70)(70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내장 설치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충전유니트부(26)(800)는 마우스패드(20)의 재질과 디자인을 고려하여 합성수지물, 금속물질과 같은 케이스(Case)로 구성하여, 상기 케이스내에 연결수단(200), DC/AC변환부(300), 충전상태표시부(70)(700)를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마우스패드(20)와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여, 상기 연결수단(200), DC/AC변환부(300), 충전상태표시부(700)를 내부에 넣어서 일체로 형성시키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충전상태표시부(70)(700)에는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램프가 구비된 충전표시부(27)(701) 및 경고표시부(28)(702)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충전상태표시부(70)(700)에는 영구자석(23)에 금속편(33)이 부착되면 점등(On)이 되는 충전표시부(27)(701)를 구비하되, 이는 충전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려주는 것으로, 표시램프의 색상을 녹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충전상태표시부(70)(700)에는 영구자석(23)에 금속편(33)이 부착되지 않으면 점등(On)이 되는 경고표시부(28)(702)를 구비하되, 이는 충전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을 알려주는 것으로, 표시램프의 색상을 상기 충전표시부(27)(701)와 다른 색상인 적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충전표시부(27)(701) 및 경고표시부(28)(702)에 구비된 표시램프의 점등(On) 동작은 충전부(21)에 별도의 위치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안착표시부(22)의 밑에 내장 구비된 영구자석(23)에 무선마우스(30)의 저면부(31) 의 요홈(32) 내에 구비된 금속편(33)이 정상적으로 부착되어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그 표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마우스패드(20)에 구비된 바디(Body)부(29)의 소정부위에 1차전압발생부(24)(401)가 구비된 충전부(21)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충전부(21)는 마우스패드(20)의 크기와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바디부(29)의 가운데 부위 또는 모서리 부위 중에서 선정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충전부(21)는 상기 바디부(29)의 표면에 무선마우스(30)의 테두리 보다 좀 더 크게 인쇄 또는 마킹처리에 의해 충전가능한 영역을 잘 보일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충전부(21)의 1차전압발생부(24)(401)에서 발생된 유도기전력에 의한 2차유도전압을 생성시키기 위해 무선마우스(30)에 구비된 2차유도전압생성부(34)(402)가 구성된다.
물론, 상기 1차전압발생부(24)(401)는 충전부(21)의 바디부(29) 내부에 내장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1차전압발생부(24)(401) 및 2차유도전압생성부(34)(402)에는 유기전압 즉, 유도기전력을 발생하기 위한 유도코일(Coil)을 소정의 횟수로 감아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1차전압발생부(24)(401)에 공급되는 교류(AC)전압 및 충전회로부(500)를 통해 충전지(600)에 공급되는 충전용 직류(DC)전압을 고려하여, 상기 1차전압발생부(24)(401)와 2차유도전압생성부(34)(402)에 구비된 상기 유도코일의의 권선비를 조정하여, 상기 충전지(600)에 공급되는 충전용 출력전압의 조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충전회로부(500)에는 교류(AC)전압을 직류(DC)전압으로 정류하기 위해 통상적인 브리지(Bridge) 정류회로(이하 "정류회로"라 한다.)와, 상기 정류회로를 통과한 직류성분 중에 잔존하는 교류성분을 평활시켜 주는 평활회로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1차전압발생부(24)(401)와 2차유도전압생성부(34)(402)를 충전부(21)의 충전포인트(25)(35)에 정위치시켜 주기 위해 충전부(21)에 구비된 안착표시부(22)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안착표시부(22)는 상기 충전부(21)내에 무선마우스(30)의 충전방향을 나타내는 기호 또는 부호를 인쇄 또는 마킹처리에 의해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상기 마우스패드(20) 및 무선마우스(30)에 구비된 충전포인트(25)(35)가 방향이 서로 바뀌어서 충전부위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주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안착표시부(22) 밑에는 영구자석(23)이 바디부(29) 내부에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영구자석(23)에는 무선마우스(30)의 저면부(31)의 요홈(32) 내에 구비된 금속편(33)이 부착되는 구성으로 된다.
한편, 상기 영구자석(23)과 금속편(33)의 부착위치는 실제의 제품에 적용함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패드(20) 또는 무선마우스(30)에 서로 바꾸어서 구성하여도 제한받지 않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인 회로구성 및 동작에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컴퓨터를 이용하여 무선마우스를 충전하기 위한 회로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컴퓨터시스템(10)(10a)이 구비되고, 상기 전원부(100)에 전기적인 연결수단(200)으로 연결수단(200)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을 받는 충전상태표시부(70)(700)가 구비된 충전유니트부(26)(800)가 구성된다.
상기 전원부(100)는 일반적으로 별도의 어댑터(Adapter)를 사용하여 컴퓨터시스템(10)(10a)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 외에도, 상기 컴퓨터시스템(10)(10a)에 별도로 구비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200)은 상기 컴퓨터시스템(10)(10a)에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 구비된 USB포트(Universal Serial Bus Port)(15) 및 상기 마우스패드(Mouse Pad)(20)에 구비된 USB플러그(Universal Serial Bus Plug)(50)와 USB신호케이블(Universal Serial Bus Signal Cable)(51)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연결수단(200) 외에 전기적인 신호로 연결이 가능한 또 다른 연결수단인 잭(Jack) 및 상기 잭에 접속되는 플러그(Plug)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충전유니트부(26)(800)는 마우스패드(Mouse Pad)(20)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충전유니트부(26)(800)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원부(100)를 통해 출력되는 직류전압(DC)을 교류전압(AC)으로 변환시키는 DC/AC변환부(300)가 구성된다.
상기 DC/AC변환부(300)에서 변환된 교류(AC)전압을 소정의 전압으로 승압 또는 강압시키기 위한 1차전압발생부(24)(401)와 무선마우스(30)에 구비된 2차유도전압생성부(34)(402)로 이루어진 전압변환부(400)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압변환부(400)는 상기 마우스패드(20)의 충전부(21)에 1차전압발생부(24)(401)가 구비되고, 상기 1차전압발생부(24)(401)에서 발생된 유도기전력에 의해 2차유도전압을 생성시키기 위해 무선마우스(30)에는 2차유도전압생성부(34)(402)가 구비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1차전압발생부(24)(401) 및 2차유도전압생성부(34)(402)에는 유기전압에 의한 유도기전력을 발생하기 위한 유도코일(Coil)을 소정의 횟수로 감아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1차전압발생부(24)(401)에 공급되는 교류(AC)전압 및 충전회로부(500)를 통해 충전지(600)에 공급되는 충전용 직류(DC)전압을 고려하여, 상기 1차전압발생부(24)(401)와 2차유도전압생성부(34)(402)에 구비된 상기 유도코일의의 권선비를 조정하여, 상기 충전지(600)에 공급되는 충전용 출력전압의 조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압변환부(400)에서 출력된 전압을 상기 무선마우스(30)에 내장된 충전지(600)에 공급하기 위해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정류하는 충전회로부(500)가 구성된다.
상기 충전회로부(500)에는 교류(AC)전압을 직류(DC)전압으로 정류하기 위해 통상적인 브리지(Bridge) 정류회로(이하 "정류회로"라 한다.)와, 상기 정류회로를 통과한 직류성분 중에 잔존하는 교류성분을 평활시켜 주는 평활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충전유니트부(26)(800)의 충전상태표시부(70)(700)에는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램프가 구비된 충전표시부(27)(701) 및 경고표시부(28)(702)가 구성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충전상태표시부(70)(700)에는 영구자석(23)에 금속편(33)이 부착되면 점등(On)이 되는 충전표시부(27)(701)를 구비하되, 이는 충전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려주는 것으로, 표시램프의 색상을 녹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충전상태표시부(70)(700)에는 영구자석(23)에 금속편(33)이 부착되지 않으면 점등(On)이 되는 경고표시부(28)(702)를 구비하되, 이는 충전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을 알려주는 것으로, 표시램프의 색상을 상기 충전표시부(27)(701)과 다른 적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충전표시부(27)(701) 및 경고표시부(28)(702)에 구비된 표시램프의 동작은 충전부(21)에 별도의 위치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안착표시부(22)의 밑에 구비된 영구자석(23)에 무선마우스(30)의 저면부(31)에 구비된 금속편(33)이 정상적으로 부착되어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그 표시가 가능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 등이 가능함을 자명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언급된 바와 같은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를 이용한 무선마우스의 충전장치는 무선마우스에 내장된 충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별도의 충전용 어댑터가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상기 충전지를 재사용함에 따른 친환경차원에서 매우 유익한 효과를 제공하는 등의 산업상 이용성이 매우 높은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컴퓨터를 이용하여 무선마우스가 충전되고 있은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제1실시사례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스크탑컴퓨터를 이용하여 무선마우스가 충전되고 있은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제2실시사례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패드의 충전부에 무선마우스를 정위치에 안착시켜 충전을 하기 위한 상태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패드의 충전부에 안착되어 지는 무선마우스의 저면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패드의 충전부에 무선마우스가 안착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상세하게 나타낸 일부절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컴퓨터를 이용하여 무선마우스를 충전하기 위한 회로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a : 컴퓨터시스템 11 : 덮개부
12, 12a : 화면부 13, 13a : 본체부
14, 14a : 자판부 15 : USB포트
20 : 마우스패드 21 : 충전부
22 : 안착표시부 23 : 영구자석
24, 401 : 1차전압발생부 25, 35 : 충전포인트
26, 800 : 충전유니트부 27, 701 : 충전표시부
28, 702 : 경고표시부 29 : 바디부
30 : 무선마우스 31 : 저면부
32 : 요홈 33 : 금속편
34, 402 : 2차유도전압생성부 36 : 충전지
50 : USB플러그 51 : USB신호케이블
60 : 모니터 70, 700 : 충전상태표시부
80 : 키보드 100 : 전원부
200 : 연결수단 300 : DC/AC변환부
400 : 전압변환부 500 : 충전회로부
600 : 충전지

Claims (12)

  1. 컴퓨터시스템;
    상기 컴퓨터시스템에 구비된 전원부;
    상기 전원부에 전기적인 연결수단으로 충전상태표시부가 구비된 충전유니트부에 연결되어 전원공급을 받는 마우스패드;
    상기 마우스패드에 구비된 바디부의 소정부위에 1차전압발생부가 구비된 충전부;
    상기 충전부의 1차전압발생부에서 발생된 유도기전력에 의한 2차유도전압을 생성시키기 위해 무선마우스에 구비된 2차유도전압생성부; 그리고,
    상기 1차전압발생부와 2차유도전압생성부를 충전부의 충전포인트에 정위치시켜 주기 위해 상기 충전부에 구비된 안착표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마우스의 충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컴퓨터시스템에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 구비된 USB포트 및 상기 마우스패드에 구비된 USB플러그와 USB신호케이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마우스의 충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상기 바디부의 표면에 무선마우스의 테두리 보다 크게 인쇄 또는 마킹처리에 의해 충전영역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선마우스의 충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표시부는 상기 충전부내에 무선마우스의 충전방향을 나타내는 기호 또는 부호를 인쇄 또는 마킹처리에 의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마우스의 충전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표시부 밑에는 영구자석이 바디부 내부에 내장 설치되며, 상기 영구자석에 무선마우스의 저면부에 구비된 금속편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마우스의 충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유니트부에는 연결수단, DC/AC변환부, 충전상태표시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내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마우스의 충전장치.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상태표시부에는 영구자석에 금속편이 부착되면 점등(On)이 되는 충전표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마우스의 충전장치.
  8.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상태표시부에는 영구자석에 금속편이 부착되지 않으면 점등(On)이 되는 경고표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마 우스의 충전장치.
  9. 컴퓨터시스템;
    상기 컴퓨터시스템에 구비된 전원부;
    상기 전원부에 전기적인 연결수단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을 받는 충전상태표시부가 구비된 충전유니트부;
    상기 충전유니트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원부를 통해 출력되는 직류전압(DC)을 교류전압(AC)으로 변환시키는 DC/AC변환부;
    상기 DC/AC변환부에서 변환된 교류전압을 소정의 전압으로 승압 또는 강압시키기 위한 1차전압발생부와 무선마우스에 구비된 2차유도전압생성부로 이루어진 전압변환부; 그리고,
    상기 전압변환부에서 출력된 전압을 상기 무선마우스에 내장된 충전지에 공급하기 위해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정류하는 충전회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마우스의 충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컴퓨터시스템에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 구비된 USB포트 및 상기 마우스패드에 구비된 USB플러그와 USB신호케이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마우스의 충전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상태표시부에는 영구자석에 금속편이 부착되면 점 등(On)이 되는 충전표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마우스의 충전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상태표시부에는 영구자석에 금속편이 부착되지 않으면 점등(On)이 되는 경고표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마우스의 충전장치.
KR1020070127314A 2007-12-10 2007-12-10 무선마우스의 충전장치 KR200900604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7314A KR20090060488A (ko) 2007-12-10 2007-12-10 무선마우스의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7314A KR20090060488A (ko) 2007-12-10 2007-12-10 무선마우스의 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0488A true KR20090060488A (ko) 2009-06-15

Family

ID=40990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7314A KR20090060488A (ko) 2007-12-10 2007-12-10 무선마우스의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0488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5935A (ko) * 2014-09-24 2016-04-01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마우스, 마우스 패드 및 무선 마우스 장치
KR101702377B1 (ko) * 2015-10-01 2017-02-03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우스 패드 겸용 무선 충전 장치
CN106873810A (zh) * 2017-03-20 2017-06-20 苏州凯丰电子电器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的智能鼠标套件
CN108885504A (zh) * 2016-02-15 2018-11-23 Lg伊诺特有限公司 包括无线电力传输装置的鼠标垫以及鼠标
KR20200083752A (ko) 2018-12-28 2020-07-0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전지를 이용한 무선충전 마우스 패드
KR20200144945A (ko) * 2019-06-20 2020-12-30 (주) 세노텍 다기능 마우스 장패드
KR20210084787A (ko) 2019-12-27 2021-07-0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균일한 자기장을 갖는 무선마우스 급전패드 및 무선전력전송 수신모듈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5935A (ko) * 2014-09-24 2016-04-01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마우스, 마우스 패드 및 무선 마우스 장치
KR101702377B1 (ko) * 2015-10-01 2017-02-03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우스 패드 겸용 무선 충전 장치
CN108885504A (zh) * 2016-02-15 2018-11-23 Lg伊诺特有限公司 包括无线电力传输装置的鼠标垫以及鼠标
CN108885504B (zh) * 2016-02-15 2022-04-26 Lg伊诺特有限公司 包括无线电力传输装置的鼠标垫以及鼠标
CN106873810A (zh) * 2017-03-20 2017-06-20 苏州凯丰电子电器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的智能鼠标套件
KR20200083752A (ko) 2018-12-28 2020-07-0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전지를 이용한 무선충전 마우스 패드
KR20200144945A (ko) * 2019-06-20 2020-12-30 (주) 세노텍 다기능 마우스 장패드
KR20210084787A (ko) 2019-12-27 2021-07-0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균일한 자기장을 갖는 무선마우스 급전패드 및 무선전력전송 수신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60488A (ko) 무선마우스의 충전장치
JP4885004B2 (ja) 携帯端末及び送電装置、無接点電力伝送システム
US8870591B2 (en) Power supply system using an adapter with a transparent member and a reading sensor
WO2011159090A2 (ko) 모바일 기기용 타블렛 케이스
US20140339903A1 (en) Electric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power transmission
US6965518B2 (en) Power converter with output voltage level indicating device
JP2009157877A (ja) 拡張装置およびこの拡張装置に接続される電子機器
KR20090061732A (ko) 휴대전화기의 충전장치
KR20090060076A (ko) 컴퓨터를 이용한 무선마우스의 충전장치
KR20090068040A (ko) 모바일폰의 무선충전장치
US20200379536A1 (en) Uninterruptible power system
KR101976214B1 (ko)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무선 마이크 및 이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KR102170996B1 (ko) 팬텀 전압 검출기가 있는 정전 감지 시스템
KR20100133835A (ko) 컴퓨터를 이용한 무선마우스 충전기
KR20100133733A (ko) 컴퓨터를 이용한 무선마우스 충전기
JP6440081B2 (ja) 電力監視システム、及び、電力消費装置
JP5174761B2 (ja) 配線端末設定システム
WO2021064739A1 (en) A charger displaying battery status in real time
CN219833971U (zh) 一种电测量仪表的临时辅助电源
CN105353857A (zh) 一种电池充电管理方法
CN212210551U (zh) 一种用于电力轨道的usb适配器
TWI547698B (zh) 分離式智慧型電流錶
CN202404225U (zh) 一种便携式智能信号发生校验装置
TW386319B (en) Charge time display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CN208207189U (zh) 一种电能表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