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4562A - 목록에서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목록에서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4562A
KR20170094562A KR1020177022184A KR20177022184A KR20170094562A KR 20170094562 A KR20170094562 A KR 20170094562A KR 1020177022184 A KR1020177022184 A KR 1020177022184A KR 20177022184 A KR20177022184 A KR 20177022184A KR 20170094562 A KR20170094562 A KR 20170094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ck
graphic object
displayed
objects
graph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2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2555B1 (ko
Inventor
지안 로우
토비아스 버드진스키
마티아스 쿤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70094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4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1Instrument graphical user interfaces or menu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1Instrument graphical user interfaces or menu aspects
    • B60K2360/115Selection of menu i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60K2360/1438Touch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록의 객체(8)를 선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방법에서 표시 화면(2)에는 목록의 일부가 그래픽 객체들(8)을 이용하여 표시되고, 그래픽 객체들(8)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각각 기능들이 편입되며, 목록은 스택으로서 표시되는데, 이러한 스택에서 제1 그래픽 객체(8-1)는 스택 위에 상부에 완전하게 볼 수 있게 표현되고, 추가적인 그래픽 객체들(8-2 내지 8-4)은 원근법적으로 제1 그래픽 객체(8-1)의 후방에 일부분만 볼 수 있게 표현되며, 선택-조작 과정에 의해 추가적 그래픽 객체들(8-2 내지 8-4) 중 하나의 객체가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선택-조작 과정이 감지되었을 때 스택 위에 상부에 표현되는 적어도 제1 그래픽 객체(8-1)가 소실되고, 추가적 객체들(8-2 내지 8-4) 중 하나의 객체(8-2)가 제1 그래픽 객체(8-1)의 소실 후에 스택 위에 상부에 표현되고, 이러한 그래픽 객체(8-2)가 자동으로 선택됨으로써, 이러한 그래픽 객체(8-2)에 편입된 기능이 실행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및 그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1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목록에서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AN OBJECT FROM A LIST}
본 발명은 목록에서 하나의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에서, 목록의 일부는 그래픽 객체들을 이용하여 표시 화면에 표시된다. 그래픽 객체들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각각 기능들이 편입된다. 목록은 스택(stack)으로 표현되는데, 이러한 스택에서 제1 그래픽 객체는 스택 위에서 상부에 완전하게 볼 수 있게 표현되며, 추가적 그래픽 객체들은 원근법적으로 제1 그래픽 객체의 후방에 일부분만 볼 수 있게 표현되어 있다. 선택-조작 과정을 통해 추가적 그래픽 객체들 중 하나가 선택된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 화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목록의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치는 표시 화면 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다수의 객체들(8)을 포함하는 목록을 저장하고 그래픽 객체들에 편입된 기능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장치는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이러한 제어 장치는 표시 장치와 결합되며,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표시 화면에 재현된 표시물이 제어될 수 있어서, 목록의 일부는 그래픽 객체들을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목록은 스택으로서 표현되는데, 이러한 스택에서 제1 그래픽 객체는 스택 위에 상부에서 완전하게 볼 수 있게 표현되고, 추가적 그래픽 객체들은 원근법적으로 제1 그래픽 객체의 후방에 일부분만 볼 수 있게 표현되어 있다. 또한, 장치는 선택-조작 과정을 통해 추가적 그래픽 객체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가 작동시킬 수 있는 조작 장치를 포함한다.
종래에는 차량에서 운전자를 위해 특히 구동과 관련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다양한 정보들이 표시된다. 또한, 차량에서 운전자를 위해 교통과 관련된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표시를 위해, 이전에는 유사한 기계적 표시 기구들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표시 기구들은 특히 소위 자동차 계기판 내에서 운전자의 1차적 시야의 근방 내에서 스티어링 휠 뒤에 배치되었다. 자동차 계기판은 특히 차량의 속도, 탱크 용량, 냉각기 온도 및 구동과 관련된 여타 차량 정보를 표시하는 역할이다.
차량 내의 전자 설비들이 증가할수록, 차량에서 표시되어야 하는 정보량은 더 많아졌다. 현대 차량은 예컨대 다수의 운전자 보조 시스템을 포함하고, 이러한 시스템의 정보는 차량에서 표시되어야 한다. 또한 차량은 다양한 방식으로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포함한다. 그러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그래픽 도로 맵은 경로 및 경우에 따라서 다양한 추가 정보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현대 차량은 이동 전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통신- 및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및 음악과 언어의 재현을 위한 설비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포함한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을 위해서도 차량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차량에 다기능 조작 시스템이 장착되고, 이러한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다기능 디스플레이(들) 및 조작 부재들을 포함하고, 이러한 디스플레이 및 조작 부재들을 이용하여 차량에 포함된 설비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조작될 수 있다. 조작은 다기능 디스플레이상에 재현된 정보에 의해 지원되거나 가이드된다. 또한 조작 시스템에 의해, 다기능 디스플레이상에 어떤 정보를 표시해야 할 지가 선택될 수 있다.
다양한 정보를 유연하게 표시할 수 있기 위해, 예컨대 자유롭게 프로그래밍 가능한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며,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종래의 기계적 기구들을 재현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DE 10 2006 032 118 A1에는 예컨대 자동차의 계기판이 설명되어 있으며, 이러한 계기판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이러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속도, 자동차 엔진의 회전 속도, 자동차 엔진의 온도, 탱크 충진 및/또는 시간이 다양하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전화, 음악 설비, 인포테인먼트시스템 및/또는 기후 설비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계기판에 대해 부가적으로, 차량의 중앙 콘솔 위에 표시 장치가 다양한 방식으로 배치되는데, 이러한 표시 장치에 의해 추가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는 특히 다기능 디스플레이로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그래픽 맵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한 다기능 디스플레이는 예컨대 DE 199 41 956 A1에 설명되어 있다.
차량에서 정보를 표시하고, 차량의 다양한 설비들을 조작하기 위해 특정한 요건이 도출된다. 정보 습득 및 조작은 차량에서 특히 운전자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정보는 운전자에 의한 정보의 습득이 주행 중에 부주의를 야기하지 않도록 표현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표현되는 정보는 직관적이고 신속하게 운전자에 의해 파악됨으로써, 운전자가 정보 습득을 위해 주행 상황에서 시선을 돌리는 것이 매우 단시간동안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차량 설비의 조작은 가급적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실행 가능하여, 운전자가 주행 중에도 이러한 설비들을 조작할 수 있어야 한다. 조작 과정이 디스플레이에 의해 지원 또는 가이드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는, 운전자가 조작을 위해 매우 단시간동안 디스플레이를 관찰하여 조작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작동되어야 할 것이다.
차량에서 정보의 표현 시, 목록으로 정리된 정보의 표현 및 조작은 매우 중요하다. 차량에서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목록의 일부만이 차량에서 표시된다. 조작 과정에 의해 사용자는 스크롤(scroll)을 야기하여, 도시된 일부 목록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목록의 항목 또는 목록의 객체가 선택되어, 편입된 기능의 실행을 개시시킬 수 있다. 목록의 조작과 연관되는 조작 과정은 매우 간단하고 신속하게 예컨대 차량의 운전자에 의해 실행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목록으로 정리된 정보의 표시 및 차량에서 그러한 목록의 조작을 위한 방법 및 장치는 이하의 공개 문헌들에서 설명되어 있다: DE 10 2008 051 051 A1, DE 10 2008 052 485 A1, DE 10 2009 019 560 A1, DE 10 2009 019 563 A1.
본 발명의 과제는 서두에 언급한 기술 분야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되, 이러한 방법 및 장치에서는 목록의 특정한 객체의 기능 실행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개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는 본 발명에 따르면 제1항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방법 및 제7항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장치에 의하여 해결된다. 유리한 형성예들 및 발전예들은 종속항들로부터 도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선택-조작 과정이 감지되었을 때 스택 위에 상부에 표현되는 적어도 제1 그래픽 객체가 소실되어, 추가적 그래픽 객체들 중 하나가 제1 그래픽 객체의 소실 후에 스택 위에 상부에 표현되고, 이러한 객체는 자동으로 선택되어, 이러한 그래픽 객체에 편입된 기능이 수행된다는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선택-조작 과정에 의해, 사용자는 한편으로는 목록의 표시된 일부분을 변경할 수 있는데, 본래에 스택 위에 상부에 표현되는 그래픽 객체는 소실되고, 다른 그래픽 객체는 스택 위에 상부에 표현되고, 경우에 따라서 이러한 객체 후방에 여타의 그래픽 객체들이 원근법적으로 부분적으로만 볼 수 있게 표현되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으로, 표시된 일부 목록이 변경될 뿐만 아니라, 특정한 그래픽 객체의 기능의 실행이 자동으로 개시된다.
선택-조작 과정에 의해 특히, 본래에 스택 위에 상부에 표현된 그래픽 객체는 소실되고, 본래 상기의 최상부 그래픽 객체 바로 아래에 표현된 그 다음의 그래픽 객체는 스택 위에서 상부에 표시된다. 대안적으로, 스택 위에 상부에 표현되는 복수의 그래픽 객체들은 선택-조작 과정에 의해 소실된다. 선택-조작 과정에 의해 소실되는 그래픽 객체들의 수는 예컨대 사전에 확정될 수 있다. 선택-조작 과정에 의해 최상부의 2개, 3개, 4개 또는 6개의 그래픽 객체들이 소실될 수 있다.
선택-조작 과정은 예컨대 문지름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고, 문지름 제스처는 표시 화면 앞에서 또는 표시 화면의 접촉 감지 표면 위에 수행된다. 문지름 제스처는 사용자의 손 또는 손가락으로 수행될 수 있다. 문지름 제스처는 예컨대 사용자의 손 또는 손가락의 수평 이동으로, 이는 표시 화면 앞에 또는 표시 화면의 접촉 감지 표면 위에서 수행된다. 이러한 문지름 제스처는 제스처 감지 장치에 의해 감지되고, 표시 화면 위의 변경된 표시물로 변환된다. 또한, 감지된 문지름 제스처는 제어 신호로 변환되고, 이러한 제어 신호는 이제 스택 위에서 상부에 표현되는 객체의 기능 실행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형성예에 따르면, 선택-조작 과정이 감지되었을 때 애니메이션이 표시되고, 이러한 애니메이션에서 스택 위에 상부에 표현되는 제1 그래픽 객체는 우선 스택으로부터 멀어지며 이동하고, 이후 소실된다. 그러한 애니메이션에 의해 관찰자는 그래픽 객체의 소실을 직관적으로 감지할 수 있어서, 관찰자는 목록의 표현물을 용이하게 개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형성예에 따르면, 선택-조작 과정의 실행 가능성은 기호 또는 지침 객체에 의해 신호화되어, 표시 화면 위에 표현된다. 이러한 기호 또는 지침 객체에 의해, 사용자는 이러한 특정한 조작 과정의 가능성을 신속하고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형성예에 따르면, 스크롤-조작 과정에 의해 다른 그래픽 객체가 스택 위에 상부에 표현된다. 스크롤-조작 과정 후, 스택 위에 상부에 표현된 그래픽 객체는 마킹(marking)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이 경우 2개의 서로 다른 조작 과정들이 정의되어 있다. 2개의 조작 과정들에서, 다른 그래픽 객체는 스택 위에 상부에 표시된다. 그러나 선택-조작 과정 시, 이러한 조작 과정 후에 스택 위에 상부에 표현되는 객체는 자동으로 선택됨으로써, 이러한 그래픽 객체에 편입된 기능이 수행된다. 스크롤-조작 과정 시, 반면, 이러한 객체의 편입된 기능이 실행되지 않는다. 그러나 객체는 마킹된 상태로 표현된다. 그러한 마킹 시, 예컨대 이러한 그래픽 객체에 대한 추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객체에 편입된 기능은 실행되지 않는다. 이러한 2개의 조작 과정들에 의해, 사용자는 유리하게는 간단하고 신속하게, 사용자가 목록의 그래픽 객체들에 의해 스크롤만을 생성할지 또는 단일의 선택-조작 과정을 통해 직접적으로 하나의 기능만을 작동시킬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표시 화면이 제어 가능하되, 선택-조작 과정이 감지되었을 때 스택 위에 상부에 표현되는 적어도 제1 그래픽 객체가 소실되어 추가적 그래픽 객체들 중 하나가 제1 그래픽 객체의 소실 후에 스택 위에 상부에 표현되고, 이러한 그래픽 객체가 자동으로 선택되어, 이러한 그래픽 객체에 편입된 기능이 실행되는 방식으로 제어 가능하다는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특히, 이러한 장치가 앞서 설명된 방법 단계들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로써 장치는 방법과 동일한 이점들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형성예에 따르면, 조작 장치는 접촉 감지 표면을 포함한다. 접촉 감지 표면은 표시 화면 위에 배치되거나, 이러한 표시 화면과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소위 터치스크린 또는 소위 터치패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른 형성예에 따르면, 조작 장치는 제스처 감지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스처 감지 장치를 이용하여, 선택-조작 과정 및 경우에 따라서 스크롤-조작 과정이 더 유리하게 감지될 수 있다. 제스처 감지 장치는 제어 장치와 결합되어, 특정한 조작 과정의 감지 후에 이에 상응하는 신호를 제어 장치에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특히 전술한 장치를 구비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은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실시예들에 의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이러한 장치와 차량의 다른 장치들과의 결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차량에서 표시 장치의 배치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장치의 표시물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에 의해 생성된 표시 장치의 다른 표시물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표시 화면(2)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1)를 포함하고, 이러한 표시 장치는 차량(10)의 실내 공간 내에 배치되어, 이러한 장치는 적어도 1명의 차량 승객, 특히 운전자에 의해 양호하게 볼 수 있으며, 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표시 화면(2)은 임의의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제어 장치(3)와 결합되어 있다.
제어 장치(3)는 그래픽 데이터들을 생성하고, 그래픽 데이터들은 표시 장치(1)를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제어 장치(3)는 이를 위해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4)와 연결된다. 데이터는 특히 목록으로 정리된 정보를 포함한다. 목록은 다수의 목록 항목을 포함한다. 목록 항목의 일부는 표시 장치(1)의 표시 화면(2) 위에 그래픽 객체를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되는 바와 같다. 또한, 메모리(4)에는 그래픽 객체들 또는 목록의 목록 항목들에 편입되는 기능들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데이터들은 예컨대 특정한 기능의 실행을 개시하는 제어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3)는 또한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어 표시된 일부의 목록을 조작 과정에 의해 변경하고 목록의 특정한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거나 목록의 그래픽 객체를 마킹할 수 있는 조작 장치의 일부이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조작 장치는 접촉 감지 표면(5)을 포함하고, 이러한 접촉 감지 표면은 표시화면(2) 위에 형성된다. 또한 조작 장치는 제스처 감지 장치(7)를 포함하고, 제스처 감지 장치는 사용자가 표시 화면(2) 앞에서 수행하는 특정한 제스처를 감지하고 제어 명령으로 변환한다.
대안적으로, 접촉 감지 표면(5) 및/또는 제스처 감지 장치(7)는 표시 화면(2)과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조작 장치는 터치스크린 대신 터치패드를 포함하고, 제스처는 터치패드의 주변에서 감지되며 표시 화면(2)의 앞에서 감지되지 않는다.
또한, 제어 장치(3)는 차량(10)의 데이터버스(6)와 결합되며, 데이터버스를 통해 데이터들은 차량(10)의 다양한 설비들과 교환될 수 있다. 예컨대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데이터버스(6)와 연결되어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 어떻게 목록의 표시된 일부가 변경되고, 이러한 목록의 그래픽 객체가 선택될 수 있는지가 설명된다. 방법은 전술한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그래픽 객체들(8-1 내지 8-4)은 스택의 형태로 표시 화면(2) 위에 표현된다. 그래픽 객체들(8-1 내지 8-4)은 이하에서 전반적으로 참조 번호 8로 표시된다. 스택은 원근법적으로 표현되어, 하나의 그래픽 객체, 즉 도 3에서 그래픽 객체(8-1)는 스택 위에 상부에 완전하게 볼 수 있게 표현되고, 추가적 그래픽 객체들, 즉 도 3의 도면에서 그래픽 객체들(8-2 내지 8-4)은 원근법적으로 스택 위에 상부에 표현된 그래픽 객체(8-1)의 후방에 표현된다. 추가적 그래픽 객체들(8-2 내지 8-4)은 부분적으로만 볼 수 있게 표현된다. 이러한 그래픽 개체들의 가장자리들만이 인지된다.
도 3에 도시된 예시에서, 스택 위에 상부에 표현된 그래픽 객체(8-1)도 또한 선택되는데, 이러한 그래픽 객체(8-1)에 편입된 기능이 실행되는 상황에서 그러하다. 본원에 설명된 예시에서, 그래픽 객체들(8)에는 각각 오디오데이터들이 편입되어 있다. 특정한 그래픽 객체(8-1)의 선택 시, 편입된 오디오 데이터는 차량(10)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의해 재생된다. 이는 표시 화면(2) 위에서 그래픽 기호(12)에 의해 시각화된다. 또한, 선택된 그래픽 객체(8-1)에는 부가 정보(9)가 표시된다. 이 경우, 이는 알파벳과 숫자로 이루어진 텍스트 표현물이며, 이는 선택된 그래픽 객체(8-1)에 편입된 오디오 데이터의 해설 및 명칭을 가리킨다.
그러나 그래픽 객체들(8)에는 예컨대 라디오 송신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목적지로서의 지리적 장소 또는 차량의 구동 상태와 같은 다른 기능이 편입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제 목록의 그래픽 객체(8)의 선택을 선택-조작 과정에 의해 변경하는 가능성을 가진다. 이러한 가능성은 2개의 작은 화살표로 표시된 기호(11)로 시각화된다. 이러한 기호(11)가 표시될 때, 선택-조작 과정을 위한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선택-조작 과정은 사용자의 문지름 제스처를 포함한다. 문지름 제스처는 표시 화면(2)의 접촉 감지 표면(5) 위에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문지름 제스처는 접촉 감지 표면(5)에 의해 감지된다. 대안적으로, 문지름 제스처는 표시 화면(2) 앞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문지름 제스처는 제스처 감지 장치(7)에 의해 감지된다. 문지름 제스처를 할 때, 사용자는 그의 손 또는 손가락을 특정한 방향으로 움직인다. 본원 실시예에서, 이러한 이동은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기호(11)의 양쪽 화살표에 의해 암시되는 바와 같다.
그러한 문지름 제스처가 감지되었을 때, 제어 장치(3)는 애니메이션을 위한 그래픽 데이터들을 생성한다. 이러한 애니메이션에서, 스택 위에 상부에 표시되는 그래픽 객체(8-1)는 문지름 제스처의 방향으로, 즉 본원 경우에 좌측을 향하여 이동한다. 이때 경우에 따라서 원근법적으로 표현된 회전- 또는 선회 이동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중에, 그래픽 객체(8-1)의 표현의 투명도가 변경됨으로써, 그래픽 객체(8-1)는 애니메이션의 말미에서 완전하게 소실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택 위에서 상부에는 이제 다음의 그래픽 객체(8-2)가 표현된다. 그 뒤에, 부분적으로만 볼 수 있게, 이제까지의 그래픽 객체들(8-3, 8-4)이 표현된다. 또한, 후방에는 추가적 그래픽 객체(8-5)가 부분적으로만 볼 수 있게 표현된다.
또한 제어 장치(3)는 메모리(4)로의 액세스에 의해, 이제 스택 위에 상부에 표현된 그래픽 객체(8-2)에 어떤 기능이 편입되어 있는지를 산출한다. 제어 장치(3)는 이제 스택 위에 상부에 표현된 이러한 그래픽 객체(8-2)를 선택 상태로 전환하며, 즉 이러한 그래픽 객체(-2)에 편입된 기능이 실행된다. 이제 그래픽 객체(9-2)에 편입된 오디오데이터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의해 재현된다. 또한 이에 상응하는 해설 및 제목을 포함하는 부가 정보(9)가 표시된다.
선택-조작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다수의 단계들을 신속하고 간단하게 수행한다: 그래픽 객체(8-1)에 편입된 오디에데이터의 재생이 중지된다. 애니메이션이 생성되고, 이는 사용자에게 시각화됨으로써, 그래픽 객체(8-1)는 이제 더 이상 선택되지 않는다. 다른 그래픽 객체(8-2)는 스택 위에 상부에 표시된다. 이러한 그래픽 객체(8-2)에 편입된 오디오 데이터는 시작되고,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의해 재생된다. 이는 그래픽 기호(12)에 의해 시각화된다.
선택-조작 과정에 대해 부가적으로, 본 방법에서 스크롤-조작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스크롤-조작 과정은 제스처, 예컨대 문지름 제스처에 의해 개시된다. 예컨대 사용자는 위로부터 아래로 또는 아래로부터 위로 문지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스크롤-조작 과정을 위한 그러한 문지름 제스처가 감지되면, 제어 장치(3)에 의해 이하의 단계들이 수행된다: 도 3에 따른 도면으로부터 시작하여, 스택 위에 상부에 표현되는 그래픽 객체(1)는 스택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이동한다. 예컨대 문지름 제스처의 방향으로의 이동, 즉 위쪽으로 또는 아래쪽으로의 이동이 수행된다. 이러한 이동을 위한 애니메이션 동안, 그래픽 객체(8-1)가 소실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아래 위치한 그래픽 객체(8-2)가 스택 위에 표현된다. 이러한 그래픽 객체(8-2)는 이 경우 선택되지 않고, 다만 마킹된다. 이는, 그래픽 객체(8-2)에 대한 부가 정보(9)가 표시되긴 하나 그래픽 객체(8-2)에 편입된 오디오 데이터는 시작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3과 달리, 기호(12)는 표시되지 않고, 그래픽 객체(8-2)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가 추가적 조작 과정에 의해 시작될 수 있음을 암시하는 다른 기호가 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그래픽 객체의 선택과 마킹을 구분한다.
1 표시 장치 2 표시 화면
3 제어 장치 4 메모리
5 접촉 감지 표면 6 데이터버스
7 제스처 감지 장치 8, 8-1 내지 8-5 그래픽 객체들
9 부가 정보 10 차량
11 기호 12 기호

Claims (8)

  1. 목록의 객체(8)를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목록의 일부를 그래픽 객체들(8)을 이용하여 표시 화면(2) 위에 표시하되, 이때 그래픽 객체들(8)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각각 기능들이 편입되어 있는 단계,
    상기 목록은 스택으로서 표현되고, 상기 스택에서 제1 그래픽 객체(8-1)는 상기 스택 위에 상부에 완전하게 볼 수 있게 표현되고, 추가적 그래픽 객체들(8-2 내지 8-4)은 원근법적으로 상기 제1 그래픽 객체(8-1)의 후방에 부분적으로만 볼 수 있게 표시되고, 상기 스택 옆으로 상기 제1 그래픽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가 함께 표시되는 단계, 그리고
    선택-조작 과정에 의해 상기 추가적 그래픽 객체들(8-2 내지 8-4) 중 하나의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조작 과정이 감지되었을 때 상기 스택 위에 상부에 표현되는 적어도 상기 제1 그래픽 객체(8-1)가 소실되어, 상기 추가적 그래픽 객체들(8-2 내지 8-4) 중 하나의 객체(8-2)는 상기 제1 그래픽 객체(8-1)의 소실 후 상기 스택 위에 상부에 표현되고, 그리고 이러한 그래픽 객체(8-2)는 자동으로 선택되어, 이러한 그래픽 객체(8-2)에 편입된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택-조작 과정은 문지름 제스처를 포함하고, 상기 문지름 제스처는 상기 표시 화면(2) 앞에서 또는 상기 표시 화면(2)의 접촉 감지 표면(5) 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택-조작 과정이 감지되었을 때, 애니메이션이 표시되고, 상기 애니메이션에서 상기 스택 위의 상부에 표현되는 상기 제1 그래픽 객체(8-1)는 상기 스택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소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택-조작 과정의 수행 가능성은 상기 표시 화면(2) 위에 표현되는 기호(11)에 의해 신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스크롤링 동작에 의해 상기 스택 위의 상부에 또다른 그래픽 객체가 표시되며, 상기 스크롤링 동작 후에 상기 스택 위의 상부에 표시되는 그래픽 객체는 마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목록의 객체(8)를 선택하는 장치로서, 표시 화면(2)을 구비한 표시 장치(1), 상기 표시 화면(2) 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다수의 객체들(8)을 포함하는 목록을 저장하고 상기 객체들(8)에 편입된 기능들을 저장하는 메모리(4), 상기 표시 장치(1)와 결합되는 제어 장치(3)로서, 상기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 화면(2) 위에 재현되는 표시물이 제어되되, 목록의 일부가 상기 객체들(8)을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되고, 상기 목록은 스택(stack)으로 표현되며, 상기 스택에서 제1 그래픽 객체(8-1)는 상기 스택 위에 상부에서 완전하게 볼 수 있고, 추가적 그래픽 객체들(8-2 내지 8-4)은 원근법적으로 상기 제1 그래픽 객체(8-1)의 후방에 부분적으로만 볼 수 있게 제시되고, 상기 스택 옆으로 상기 제1 그래픽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가 함께 표시되는 것인, 제어 장치(3), 및 선택-조작 과정에 의해 상기 추가적 그래픽 객체들(8-2 내지 8-4)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조작 장치(5, 7)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3)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 화면(2)은 제어될 수 있어서, 선택-조작 과정이 감지되었을 때 상기 스택 위에 상부에 표현되는 적어도 제1 그래픽 객체(8-1)가 소실되어, 상기 추가적 그래픽 객체들(8-2 내지 8-4) 중 하나의 추가적 그래픽 객체(8-2)가 상기 제1 그래픽 객체(8-1)의 소실 후 상기 스택 위에 상부에 표현되고, 그리고 상기 추가적 그래픽 객체(8-2)는 자동으로 선택되어, 상기 추가적 그래픽 객체(8-2)에 편입된 기능이 실행되는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장치(5, 7)는 접촉 감지 표면(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장치(5, 7)는 제스처 감지 장치(7)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77022184A 2013-05-02 2014-02-21 목록에서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825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007576.9 2013-05-02
DE102013007576.9A DE102013007576A1 (de) 2013-05-02 2013-05-02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swählen eines Objekts einer Liste
PCT/EP2014/053418 WO2014177297A1 (de) 2013-05-02 2014-02-21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swählen eines objekts einer list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2694A Division KR20160004306A (ko) 2013-05-02 2014-02-21 목록에서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4562A true KR20170094562A (ko) 2017-08-18
KR102082555B1 KR102082555B1 (ko) 2020-02-27

Family

ID=501904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2694A KR20160004306A (ko) 2013-05-02 2014-02-21 목록에서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177022184A KR102082555B1 (ko) 2013-05-02 2014-02-21 목록에서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2694A KR20160004306A (ko) 2013-05-02 2014-02-21 목록에서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87008B2 (ko)
EP (1) EP3017356B1 (ko)
KR (2) KR20160004306A (ko)
CN (1) CN105144064B (ko)
DE (1) DE102013007576A1 (ko)
WO (1) WO20141772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01882B2 (en) * 2015-06-05 2018-10-16 Apple Inc. Movement between multiple views
DE102015010135B3 (de) * 2015-08-01 2017-01-12 Audi Ag Verfahren zur Auswahl eines Auswertungsobjekts für eine Funktion in einem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EP3342622B1 (de) * 2017-01-02 2022-03-3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edienschnittstelle und bedienschnittstelle
US10466889B2 (en) 2017-05-16 2019-11-0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ccessing notifications
JP7207140B2 (ja) * 2019-05-07 2023-01-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US11188202B2 (en) 2020-03-10 2021-11-30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user interface objects corresponding to applications
US11842028B2 (en) 2022-05-06 2023-12-12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updating a session region
EP4273678A1 (en) 2022-05-06 2023-11-08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updating a session reg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7170A (ko) * 2009-02-17 2011-10-26 샌디스크 아이엘 엘티디 사용자-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US20110296351A1 (en) * 2010-05-26 2011-12-01 T-Mobile Usa, Inc. User Interface with Z-axis Interaction and Multiple Stack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63C (de) 1877-07-01 C. HÖRIG in Minkwitz bei Leisnig Dengelmaschine
DE19941956B4 (de) 1999-09-03 2006-12-14 Volkswagen Ag Multifunktionsbedienelement mit einem Display
US8683362B2 (en) * 2008-05-23 2014-03-25 Qualcomm Incorporated Card metaphor for activities in a computing device
DE102006032118B4 (de) 2006-07-12 2022-03-03 Volkswagen Ag Kombiinstrument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DE102008051051A1 (de) 2008-09-03 2010-03-04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zeigen von Information in einem Fahrzeug
DE102008052485A1 (de) 2008-10-21 2010-04-22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zeigen von in Listen geordneter Information
US8762885B2 (en) * 2008-12-15 2014-06-24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Three dimensional icon stacks
DE102009019560A1 (de) 2009-04-30 2010-11-04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zeigen von in Listen geordneter Information
DE102009019563A1 (de) 2009-04-30 2010-11-04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zeigen von in Listen geordneter Information
DE102010021343A1 (de) * 2009-09-04 2011-03-10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reitstellen von Informationen in einem Fahrzeug
DE102009048834A1 (de) * 2009-10-09 2011-04-14 Volkswagen Ag Verfahren und Anzeigeeinrichtung zum Anzeigen von Informationen
US9654426B2 (en) * 2012-11-20 2017-05-16 Dropbox, Inc. System and method for organizing messages
DE102013000751B4 (de) 2013-01-17 2024-02-29 HELLA GmbH & Co. KGaA Sensorvorrichtung zum Erfassen von Feuchtigkeit auf einer Scheibe
DE202013000751U1 (de) * 2013-01-25 2013-02-1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Anzeigen einer Vielzahl von flächigen Objekt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7170A (ko) * 2009-02-17 2011-10-26 샌디스크 아이엘 엘티디 사용자-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US20110296351A1 (en) * 2010-05-26 2011-12-01 T-Mobile Usa, Inc. User Interface with Z-axis Interaction and Multiple Stac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62614A1 (en) 2016-03-03
WO2014177297A1 (de) 2014-11-06
DE102013007576A1 (de) 2014-11-06
EP3017356B1 (de) 2019-04-10
CN105144064A (zh) 2015-12-09
CN105144064B (zh) 2018-10-19
KR102082555B1 (ko) 2020-02-27
EP3017356A1 (de) 2016-05-11
KR20160004306A (ko) 2016-01-12
US10387008B2 (en) 201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2555B1 (ko) 목록에서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891008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operating device for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449857B2 (en) Information reproduction system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the user of a vehicle
US9221342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a vehicle
EP2751650B1 (en) Interactive system for vehicle
KR101609024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50286393A1 (en)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adapting a view on a display unit
KR20150052331A (ko) 차량 내 조작 장치
US9597962B2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display control program
US20180307405A1 (en) Contextual vehicle user interface
ITUB20160367A1 (it) Dispositivo di sterzata per un veicolo a motore, nonche' procedimento per l'azionamento di un dispositivo di sterzata
US20160231977A1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
KR20160023550A (ko)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경험을 강화하기 위한 클러스터-라디오 정보 교환 시스템
JP2006264615A (ja) 車両用表示装置
US9530182B2 (en)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particular in a vehicle and display unit for a vehicle
JP2016097928A (ja) 車両用表示制御装置
JP6266090B2 (ja) 操作装置
US11099715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in a vehicle
KR20130028230A (ko) Avm시스템 정보와 avn시스템 정보의 표시 방법
CN107977179B (zh) 在车辆中跨屏幕地显示和/或操作的方法和装置
US9188450B2 (en) Method for providing an operating device in a vehicle, and operating device for a vehicle
US10168858B2 (en)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a vehicle, and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display
WO2020196561A1 (ja) 操作装置
KR20160063451A (ko) 차량용 화면 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09090A (ko) 작동 방법 및 작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