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2884A - 행주 살균 소독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행주 살균 소독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2884A
KR20170092884A KR1020160014120A KR20160014120A KR20170092884A KR 20170092884 A KR20170092884 A KR 20170092884A KR 1020160014120 A KR1020160014120 A KR 1020160014120A KR 20160014120 A KR20160014120 A KR 20160014120A KR 20170092884 A KR20170092884 A KR 20170092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ot air
sterilizing
unit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4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지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허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허킨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허킨스
Priority to KR1020160014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2884A/ko
Publication of KR20170092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8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03Small self-contained devices, e.g.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을 이용하여 행주를 살균 소독함과 동시에 열풍을 이용하여 행주를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행주의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한 행주 살균 소독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행주 살균 소독 건조장치는 행주를 걸어두는 걸이부(101)와 열풍공급수단(102)을 구비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서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상기 열풍공급수단(102)에서 공급되는 열풍을 방출하는 윈드슬릿(201)과, 자외선발산수단(202)을 갖추어 행주를 살균, 소독하는 살균건조부(200)와; 상기 본체(100)를 사용자가 원하는 부착면에 탈부착 가능케 고정 설치하는 부착판(30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행주의 살균 소독과 건조가 함께 이루어짐으로써 사용편의성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행주의 위생적인 관리가 매우 용이하며, 살균건조부의 절첩을 통해 콤팩트한 구조를 달성함으로써 공간 활용도가 탁월하며, 뛰어난 미감을 가짐으로써 인테리어 효과도 뛰어나 상품성이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행주 살균 소독 건조장치{Dishcloth sterilizing drying equipment}
본 발명은 행주 살균 소독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행주를 간편하게 살균 소독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열풍을 이용하여 행주를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행주의 위생적인 관리가 용이하게 한 행주 살균 소독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행주는 주방에서 음식물 등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물이나 음식물이 묻은 손을 닦거나,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더러워진 조리대나, 식사 과정에서 음식물 등이 흐른 식탁 등의 물기나 오염물을 닦을 때 사용하는 작은 크기의 천(헝겊)을 말하는데, 이러한 행주는 사용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물에 젖은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인체에 유해한 각종 세균이 서식할 가능성이 큰 문제점이 있다.
특히 행주는 손이나, 조리대, 식탁 등 주방 곳곳을 닦는데 사용하기 때문에 각종 세균으로 오염된 행주를 사용하는 경우에 행주뿐만 아니라, 세균으로 오염된 손을 사용하여 만든 음식물, 오염된 행주를 사용하여 닦은 식기나 도마, 식탁 등에도 세균이 전파됨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세균이 인체로 전파될 가능성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천으로 된 행주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행주의 사용 특성상 위생적인 관리가 절대적으로 필요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행주의 위생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행주를 주기적으로 삶아 햇볕에 건조하도록 권장하고 있으나, 이는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며, 행주를 완전히 건조하는데도 오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일반 가정뿐만 아니라, 업소에서도 행주를 삶거나 햇볕에 말리지 않고 대충 물로 씻은 후, 완전히 건조되지 않은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예가 비일비재하고 그로 인해 각종 세균 감염 등에 의한 식중독 등의 질병 발생이 빈번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 일부 가정에서는 행주를 대신하여 펄프 재질의 일회용 키친타월 등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일회용 키친타월의 사용이 위생적이고 편리한 반면, 사용에 따른 비용 지출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경제적 부담이 적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행주를 손쉽게 살균 소독하기 위한 행주 살균 소독 건조장치에 관한 기술은 기존에도 다양하게 제안된 바 있는데, 그 대표적인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2091호에는 첨부도면 도 5와 같이 도어(3)를 가진 건조실(2)의 상부에 히터와 송풍기로 이루어진 열풍공급장치(4)를 설치하여 열풍이 건조실에 하향 공급되게 하고 상기한 건조실(2)의 양측에는 각각 슬라이더(5)(6)가 진퇴 가능하게 끼워진 안내봉(7)(8)을 설치하며 양쪽의 슬라이더(5)(6) 사이에 다수의 걸이봉(9)을 가진 지지대(10)를 일체로 연결하여 각 걸이봉에 행주를 걸어서 위생적으로 건조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행주 건조기가 게재되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8525호에는 첨부도면 도 6과 같이 공기 흡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살균소독 및 건조 작업이 수행되는 건조실과 이 건조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된 하우징; 오존발생기와 히터 및 팬으로 이루어져 상기 건조실로 오존-열풍 혼합기를 송급하는 오존-열풍 발생부; 상기 오존-열풍 발생부에서 발생된 오존-열풍 혼합기가 모이는 혼합기 탱크; 상기 오존-열풍 혼합기가 분출되는 분출구가 구비된 중공의 행거; 상기 하우징의 내 ·외부로 슬라이딩하여 출입되면서 상기 혼합기 탱크에 대해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건조실 내에 설치되고, 상기 행거가 상기 혼합기 탱크와 연통되도록 고정되는 행거 고정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행주 및 수건용 살균소독 건조기가 게재되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2091호(2001. 11. 23.)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8525호(2004. 01. 16.)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은 도어를 이용하여 개폐 가능한 건조실을 갖추어, 건조실 내부에 설치된 걸이봉이나 행거와 같은 행거수단에 젖은 행주를 널어놓은 후, 밀폐된 건조실 내부에 열풍을 공급함으로써 행주를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게 한 것으로서, 행주의 건조가 용이한 장점이 있는 반면에, 밀폐 가능한 건조실을 갖추기 위해서 함체형으로 된 본체를 반드시 필요로 함으로써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기에는 부피가 너무 큰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을 이용하여 행주를 건조하기 위해서는 함체형으로 된 본체의 도어를 열고, 다수의 걸이봉(또는 행거)을 형성한 지지대(또는 행거 고정 부재)를 본체의 개방부로 당겨낸 후, 걸이봉에 젖은 행주를 널고, 다시 지지대를 원래 위치로 밀어 넣은 후, 도어를 닫고, 건조실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발생장치를 작동시켜야 함으로써 행주를 건조하는 과정이 상당히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건조실 내부에서 건조가 완료된 행주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이 도어를 열고, 지지대를 당겨낸 후 걸이봉에 널린 행주를 걷어서 사용해야 함으로써 건조된 행주를 사용한데 따른 과정도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최근에는 주거 공간에 있어서 사용자가 가장 오랜 시간 동안 머물게 되는 거실과, 주방이 하나의 공간으로 연결되는 설계를 가진 아파트가 보편화함에 따라서 실내 인테리어에서도 거실 뿐만 아니라, 주방의 인테리어에 상당한 공을 들이는 분위기임에도 종래기술은 사각 함체 형태로 되어 투박한 외관을 가짐으로써 미적 요소가 부족하기 때문에 상품성을 어필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어서 대중화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기술의 결점인 부피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콤팩트한 구조를 가짐과 동시에 미적으로 뛰어나면서도 행주의 살균 소독과 건조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행주의 위생적 관리가 용이하게 하고, 사용편의성과 상품성도 우수한 행주 살균 소독 건조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행주 살균 소독 건조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전면에는 행주를 걸어두는 걸이부(101)를 형성하고, 내부에 열풍공급수단(102)을 설치하며, 하부에는 회동부(103)를 형성하여 상기 회동부(103)로 열풍을 공급하며, 후면에는 다수의 결합공(104)을 구비한 본체(100)와;
관체를 원호형으로 형성하여 그 관체의 양단부가 상기 본체(100)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본체(100)의 회동부(103)에서 회전 가능케 설치하고, 내주연에 상기 본체(100)에서 공급되는 열풍을 방출하는 윈드슬릿(201)을 방사형으로 형성하며, 내부에는 자외선발산수단(202)을 설치하여, 상기 걸이부(101)에 걸린 행주를 살균 소독하는 자외선을 내주연에 설치된 광커버(203)를 통해 중앙부로 발산하는 살균건조부(200)와;
사용자가 원하는 부착면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고정나사가 투입되는 나사투입공(301)을 다수 형성하고, 전면에는 상기 본체(100)의 상기 결합공(104)에 대응하는 결합돌편(302)을 형성하여 상기 본체(100)를 착탈 가능케 지지하는 부착판(30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본체(100)는, 탈부착 가능한 항균필터(105a)를 구비한 외기흡입부(105)와, 상기 행주의 걸림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06)와, 상기 열풍공급수단(102)과 상기 자외선발산수단(202)의 동작을 제어하는 타이머회로(10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살균건조부(200)는, 상기 열풍공급수단(102)과 상기 자외선발산수단(202)의 동작 여부를 점등으로 표시하는 표시램프(20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행주 살균 소독 건조장치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통해서 행주를 간편하게 살균 소독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행주를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행주의 위생적인 관리가 용이하게 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콤팩트한 절첩식 구조와 우수한 미감을 통해서 사용편의성과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한 목적도 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행주 살균 소독 건조장치는 본체에서 회전 가능케 설치된 살균건조부를 펼친 후, 본체 전방에 형성된 걸이부에 행주를 걸어 두기만 하면, 행주의 살균 소독과 건조가 함께 이루어짐으로써 사용편의성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행주의 위생적인 관리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또한, 행주의 살균 소독을 위한 자외선 발산과 행주를 건조시키기 위한 열풍이 함께 방출되는 살균건조부를 본체에서 회전 가능케 구성함으로써 간소한 동작을 통해서 살균건조부의 절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살균건조부의 절첩을 통해 콤팩트한 구조를 달성함으로써 공간 활용도가 뛰어난 장점이 있다.
아울러, 뛰어난 미감을 가짐으로써 인테리어 효과도 뛰어나 상품성이 매우 우수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행주 살균 소독 건조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행주 살균 소독 건조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본체 정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행주 살균 소독 건조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행주 살균 소독 건조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도.
도 5, 도 6은 행주 살균 소독 건조장치에 관한 종래기술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행주 살균 소독 건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행주 살균 소독 건조장치는 행주를 걸어두는 걸이부(101)와 열풍공급수단(102)을 구비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서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상기 열풍공급수단(102)에서 공급되는 열풍을 방출하는 윈드슬릿(201)과, 자외선발산수단(202)을 갖추어 행주를 살균, 소독하는 살균건조부(200)와; 상기 본체(100)를 사용자가 원하는 부착면에 탈부착 가능케 고정 설치하는 부착판(30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본체(100)는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도 콤팩트하도록 납작하면서도 세로로 긴 상자 형태로 형성하여 전면에는 행주를 걸어두는 걸이부(101)를 형성하고, 내부에 열풍공급수단(102)을 설치하며, 하부에는 회동부(103)를 형성하여 상기 회동부(103)로 열풍을 공급하며, 후면에는 다수의 결합공(104)을 구비한다.
상기 걸이부(101)는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되, 선단부를 상향으로 꺾어 직각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행주를 신속하게 간편하며 안정적으로 걸어둘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걸이부(10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 돌출 형성하며, 걸이부(101)를 다수로 구성하는 경우에 각 걸이부(101)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풍공급수단(102)은 바람을 발생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서 방출되는 바람을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열풍공급수단(102)을 구성하는 송풍팬과 히터는 모듈화된 제품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시판중이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의 도시나 작동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회동부(103)는 본체(100)의 하단부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하되, 본체(100)의 측면보다 외측으로 다소 돌출되게 형성하며, 회동부(103)의 측면 형상은, 상기 회동부(103)에 회전 가능케 결합하는 상기 살균건조부(200)의 단부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공(104)은 벽면과 같은 부착면에 고정 설치된 상기 부착판(300)과의 탈부착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을 형성하되, 결합공(104)의 형상은 세로로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아울러, 상기 본체(100)는, 탈부착 가능한 항균필터(105a)를 구비한 외기흡입부(105)와, 상기 행주의 걸림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06)와, 상기 열풍공급수단(102)과 상기 자외선발산수단(202)의 동작을 제어하는 타이머회로(10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기흡입부(105)는 상기 열풍공급수단(102)을 통해 열풍을 생산함에 있어서 더욱 원활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하여 본체(100) 일측벽에 본체(100) 내부로 외부 공기의 유입이 가능케 형성한다. 이때, 상기 외기흡입부(105)의 내측에는 열풍공급수단(102)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기압차에 의해 외부에서 본체(10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 중에 함유된 먼지 등 각종 유해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항균필터(105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센서(106)는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 형성된 걸이부(101)에 행주를 걸었을 때, 이를 감지하여 상기 열풍공급수단(102)이나 자외선발산수단(202)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제공함으로써 행주의 걸림 여부에 따라 열풍공급수단(102)이나 자외선발산수단(202)의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감지센서(106)는 본체(100) 전면에 형성된 걸이부(101)에 행주를 걸었을 때, 이를 쉽게 감지할 수 있도록 본체(100)의 전방으로 감지광을 발광하여 그 광이 행주에 부딪혀 반사되어 오는 것을 감지하는 방식의 포토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타이머회로(107)는 상기 열풍공급수단(102)이나 자외선발산수단(202)의 제어부와 연동하여 상기 열풍공급수단(102)이나 자외선발산수단(202)의 동작시간을 수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작시간 설정을 위한 터치식 스위치 또는 다이얼식 스위치와 같은 스위치 방식으로 된 시간설정부(107a)와, 설정 시간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07b)를 포함한다.
상기 시간설정부(107a)와 디스플레이(107b)는 본체(100)의 전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살균건조부(200)는 관체를 원호형으로 형성하여 그 관체의 양단부가 상기 본체(100)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본체(100)의 회동부(103)에서 소정 각도로 회전 가능케 설치하고, 내주연에 상기 본체(100)에서 공급되는 열풍을 방출하는 윈드슬릿(201)을 방사형으로 형성하며, 내부에는 자외선발산수단(202)을 설치하여, 상기 걸이부(101)에 걸린 행주를 살균 소독하는 자외선을 내주연에 설치된 광커버(203)를 통해 발산하게 구성한다.
상기 살균건조부(200)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관체를 원호 형으로 형성하여 그 양단부가 본체(100) 내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본체(100)의 회동부(103)에 회전 가능케 결합하되, 회전 각도는 90° 이내로 회전 가능케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본체(100)와 나란하게 수직으로 세워지면, 상기 열풍공급수단(102)이나 자외선발산수단(202)의 작동이 정지하고, 상기 본체(100)와 직각이 되도록 수평으로 눕혀지면 상기 걸이부(101)에 걸린 행주가 살균건조부(200) 내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열풍공급수단(102)이나 자외선발산수단(202)의 작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회동부(103)에는 상기 살균건조부(200)의 위치를 감지하는 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써 살균건조부(200)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열풍공급수단(102)이나 자외선발산수단(202)의 작동을 자동을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본체(100)의 회동부(103)와 상기 살균건조부(200)의 양단부 결합은 주지된 바와 같은 피벗힌지 결합을 통해 살균건조부(200)위 회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윈드슬릿(201)은 상기 본체(100)의 상기 열풍공급수단(102)에서 만들어진 열풍이 회동부(103)를 통해 살균건조부(200) 내부로 공급된 후 윈드슬릿(201)을 통해 배출되도록 윈드슬릿(201)을 상기 살균건조부(200)의 내주연에 방사형으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윈드슬릿(201)은 세로 방향으로 긴 장공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윈드슬릿(201) 간의 간격은 회동부(103)에서 멀어질수록 좁아지게 하거나, 윈드슬릿(201)의 세로 길이를 회동부(103)에서 멀어질수록 길어지게 함으로써 열풍공급수단(102)에 의해 만들어진 열풍이 회동부(103)를 통해 살균건조부(200) 내부로 공급되어 윈드슬릿(201)을 통해 살균건조부(200) 중앙으로 방출될 때, 평면상 원호형으로 된 살균건조부(200)의 중앙으로 전체적으로 고른 풍량의 열풍이 방출되어 젖은 행주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건조된다.
상기 자외선발산수단(202)은 주지된 바와 같이 각종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에 대해 강한 살균력을 발휘하는 253.7㎚의 파장을 가지는 UV-C단파를 발산하는 것을 사용하되, 상기 살균건조부(200)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호 형으로 된 자외선램프 또는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자외선발광다이오드(UVLED)를 사용하며, 자외선발산수단(202)에서 발산되는 자외선이 살균건조부(200)의 중앙부로만 자외선이 발산되도록 살균건조부(200)의 내주연에 광커버(203)를 설치한다.
자외선램프를 설치하는 경우에 상기 광커버(203)는 자외선램프에서 발산되는 다중 스펙트럼 중 특정 스펙트럼을 선택하기 위하여 원하는 대역만을 걸러주는 필터링물질을 도포, 코팅할 수 있다.
자외선발광다이오드(UVLED)를 설치하는 경우에 상기 광커버(203)는 반투명의 아크릴 등과 같은 플라스틱류로 되어 표면에는 빛을 산란시키는 주름을 형성함으로써 자외선발광다이오드에서 발산되는 점광원의 자외선을 면광원으로 확산하는 확산판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건조부(200) 내부에는 상기 자외선발산수단(202)에서 발산되는 자외선을 살균건조부(200)의 중앙으로 집중시키기 위하여 반사판(202a)을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살균건조부(200)는, 상기 열풍공급수단(102)과 상기 자외선발산수단(202)의 동작 여부를 점등으로 표시하는 표시램프(20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표시램프(204)는 상기 열풍공급수단(102)과 상기 자외선발산수단(202)과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살균건조부(200) 내부에 설치하되, 원거리에서 쉽게 식별 가능하도록 살균건조부(200)의 외주연으로 발광이 이루어질 수 있게, 살균건조부(200)의 외주연에 표시램프(204) 커버 또는 표시램프(204)의 발광이 이루어지는 발광슬릿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착판(300)은 사용자가 원하는 주방 벽면이나 싱크대 외면과 같은 부착면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고정나사가 투입되는 나사투입공(301)을 다수 형성하고, 전면에는 상기 본체(100)의 상기 결합공(104)에 대응하는 결합돌편(302)을 형성하여 상기 본체(100)를 착탈 가능케 지지한다.
상기 부착판(300)은 금속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나사투입공(301)은 부착판(300)을 부착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부착판(30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형성한다.
상기 결합돌편(302)은 상기 부착판(300)의 전면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의 후면에 형성된 결합공(104)으로 투입된 후, 본체(100)의 뒤판이 끼워지면서 본체(100)와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선단부를 상향으로 꺾어 측면에서 볼 때, "L"자 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행주 살균 소독 건조장치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행주 살균 소독 건조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부착판(300)의 후면이 원하는 부착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고정나사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한 후, 부착판(300)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돌편(302)이 본체(100)의 후면에 형성된 결합공(104)으로 투입되도록 본체(100)를 부착판(300)의 전면에 밀착시킨 후, 본체(100)를 하방으로 내리면 부착판(300)의 결합돌편(302)이 본체(100)의 결합공(104)에 끼워짐으로써 본체(100)의 부착 설치가 완료되며, 본체(100)를 부착판(300)에서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본체(100)를 상방으로 들어올린 후, 전면으로 당겨내면 본체(100)가 부착판(300)에서 분리됨으로써 본체(100)의 탈부착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부착면에 고정된 부착판(300)에 본체(100)를 장착한 후 행주를 살균 건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본체(100)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전원선을 연결한 후, 본체(100)에 회동 가능케 설치된 살균건조부(200)가 본체(100)와 직각을 이루도록 본체(100)의 회동부(103)에서 회전시켜 내린다.
이어서, 본체(100)의 전면에 형성된 걸이부(101)에 살균 건조하고자 하는 젖은 행주를 걸어두면, 행주는 살균건조부(200)의 중앙부에 통과하는 형태로 놓이게 된다.
이때, 본체(100) 내부에 설치된 열풍공급수단(102)이 작동하여 열풍공급수단(102)에서 만들어진 열풍이 회동부(103)를 통해 살균건조부(200) 내부로 공급된 후, 살균건조부(200)의 내주연에 형성된 윈드슬릿(201)을 통해 살균건조부(200)의 중앙부로 방출됨으로써 살균건조부(200)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젖은 행주가 열풍에 의해 뽀송하게 건조된다.
또한, 살균건조부(200)의 내부에 설치된 자외선발산수단(202)에서 살균건조부(200)의 중앙부로 자외선이 발산됨으로써 살균건조부(200)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행주가 자외선에 살균되어 가정 내 주요 세균인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살모넬라균, 폐렴간균, 녹농균 등 각종 세균이나 바이러스뿐만 아니라, 곰팡이의 번식을 방지함으로써 행주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체(100)의 전면에 설치되어 행주의 걸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06)나, 본체(100)의 회동부(103)에 설치되어 살균건조부(200)의 회전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복잡한 사용 조작 없이, 행주를 걸이부(101)에 걸거나, 살균건조부(200)를 본체(100)의 회동부(103)에서 회전시켜 내리는 동작만으로도 상기와 같은 열풍공급수단(102)이나, 자외선발산수단(202)의 작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간편하게 된다.
아울러, 본체(100)에는 상기 열풍공급수단(102)과 상기 자외선발산수단(202)의 동작을 제어하는 타이머회로(107)를 더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 동안 선택적으로 행주의 살균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행주의 살균 건조 과정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살균건조부(200)에는 상기 열풍공급수단(102)과 상기 자외선발산수단(202)의 동작 여부를 점등으로 표시하는 표시램프(204)를 더 구비함으로써 행주의 살균 건조를 위한 본 발명의 동작 상태를 원거리에서 쉽게 식별할 수 있으며, 행주의 살균 건조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살균건조부(200)를 회전시켜 본체(100)와 밀착되게 함으로써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주방 내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외관이 미려하여 인테리어에도 도움이 되는 등 매우 다양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본체 101: 걸이부
102: 열풍공급수단 103: 회동부
104: 결합공 105: 외기흡입부
105a: 항균필터 106: 감지센서
107: 타이머회로 107a: 시간설정부
107b: 디스플레이 200: 살균건조부
201: 윈드슬릿 202: 자외선발산수단
203: 광커버 204: 표시램프
300: 부착판 301: 나사투입공
302: 결합돌편

Claims (3)

  1. 전면에는 행주를 걸어두는 걸이부(101)를 형성하고, 내부에 열풍공급수단(102)을 설치하며, 하부에는 회동부(103)를 형성하여 상기 회동부(103)로 열풍을 공급하며, 후면에는 다수의 결합공(104)을 구비한 본체(100)와;
    관체를 원호형으로 형성하여 그 관체의 양단부가 상기 본체(100)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본체(100)의 회동부(103)에서 회전 가능케 설치하고, 내주연에 상기 본체(100)에서 공급되는 열풍을 방출하는 윈드슬릿(201)을 방사형으로 형성하며, 내부에는 자외선발산수단(202)을 설치하여, 상기 걸이부(101)에 걸린 행주를 살균 소독하는 자외선을 내주연에 설치된 광커버(203)를 통해 중앙부로 발산하는 살균건조부(200)와;
    사용자가 원하는 부착면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고정나사가 투입되는 나사투입공(301)을 다수 형성하고, 전면에는 상기 본체(100)의 상기 결합공(104)에 대응하는 결합돌편(302)을 형성하여 상기 본체(100)를 착탈 가능케 지지하는 부착판(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주 살균 소독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탈부착 가능한 항균필터(105a)를 구비한 외기흡입부(105)와,
    상기 행주의 걸림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06)와,
    상기 열풍공급수단(102)과 상기 자외선발산수단(202)의 동작을 제어하는 타이머회로(107)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주 살균 소독 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건조부(200)는, 상기 열풍공급수단(102)과 상기 자외선발산수단(202)의 동작 여부를 점등으로 표시하는 표시램프(204)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주 살균 소독 건조장치.
KR1020160014120A 2016-02-04 2016-02-04 행주 살균 소독 건조장치 KR201700928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120A KR20170092884A (ko) 2016-02-04 2016-02-04 행주 살균 소독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120A KR20170092884A (ko) 2016-02-04 2016-02-04 행주 살균 소독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884A true KR20170092884A (ko) 2017-08-14

Family

ID=60142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4120A KR20170092884A (ko) 2016-02-04 2016-02-04 행주 살균 소독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28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472B1 (ko) * 2017-12-26 2018-02-26 김형주 마스크 살균 및 건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472B1 (ko) * 2017-12-26 2018-02-26 김형주 마스크 살균 및 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4277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disinfecting using UV light
US5524358A (en) Dishwasher ventilation filtration kit
KR100960540B1 (ko) 주방용 칼 세척 및 살균소독기
US20100043249A1 (en) Portable Dish Dryer with Drying Lamp
KR20180114405A (ko) 주방용품 살균 장치
KR20170108242A (ko) 살균건조장치
KR20130092662A (ko) 가정용 플라즈마 멸균 건조기
KR20130002604U (ko) 다목적 살균장치
KR20170092884A (ko) 행주 살균 소독 건조장치
KR200395086Y1 (ko) 주방용품 살균건조대
KR200220690Y1 (ko) 칼,도마 살균건조기
KR200381578Y1 (ko) 행주 살균 및 건조용 걸이기구
KR101025560B1 (ko) 조리도구용 세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62128B1 (ko) 행주 세탁기
KR200299256Y1 (ko) 주방용 다기능 수납장
US20100180462A1 (en) Holding assembly and method of use
CN218515721U (zh) 一种具有餐具保管功能的洗碗机
CN214910893U (zh) 除菌机
KR200392933Y1 (ko) 행주도마 살균건조기의 컨트롤판넬 설치구조
KR20050096777A (ko) 주방용 살균건조장치
KR200313496Y1 (ko) 행주 및 주방용품 살균건조기
CN114098477B (zh) 一种家用石英石洗手盆台柜及使用方法
CN217885680U (zh) 一种酒店用品置放盒
KR20110009441U (ko) 가정용 주부 습진 방지용 손 건조기 및 행주 건조기
CN218832307U (zh) 保洁柜及具有其的集成洗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