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2357A - 파일 연결을 위한 조립식 조인트 - Google Patents

파일 연결을 위한 조립식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2357A
KR20170092357A KR1020160013586A KR20160013586A KR20170092357A KR 20170092357 A KR20170092357 A KR 20170092357A KR 1020160013586 A KR1020160013586 A KR 1020160013586A KR 20160013586 A KR20160013586 A KR 20160013586A KR 20170092357 A KR20170092357 A KR 20170092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ncrete pile
hole
coupling hole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기용
Original Assignee
이엑스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엑스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엑스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3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2357A/ko
Priority to PCT/KR2016/007816 priority patent/WO2017135527A1/ko
Publication of KR20170092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3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6Connection means between pil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원발명은 파일 연결을 위한 조립식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파일을 연결하는 조인트에 있어서, 콘크리트 파일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 파일의 형성된 구멍에 맞게 제1결합공이 뚫려 있는 판 형상의 상부판과, 또 다른 콘크리트 파일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 파일의 형성된 구멍에 맞게 제2결합공이 뚫려 있는 판 형상의 하부판 및, 육면체 형상에서 상,하면이 오픈된 구조로 상기 제1결합공에 맞게 제3결합공이 뚫린 일측면이 상기 상부판의 하면에 상기 제1결합공과 상기 제3결합공이 일직선상에 있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공에 맞게 제4결합공이 뚫린 타측면이 상기 하부판의 상면에 상기 제2결합공과 상기 제4결합공이 일직선상에 있도록 결합되는 지지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판, 상기 하부판 및 상기 지지부재로 구성된 모듈이 연결되는 상기 콘크리트 파일의 일단 형상에 맞게 다수개가 조립되어 2개의 상기 콘크리트 파일을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파일 연결을 위한 조립식 조인트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파일을 연결하는 조인트에 있어서, 콘크리트 파일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 파일의 형성된 구멍에 맞게 제1결합공이 뚫려 있는 판 형상의 상부판과, 또 다른 콘크리트 파일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 파일의 형성된 구멍에 맞게 제2결합공이 뚫려 있는 판 형상의 하부판 및, 단면이 'H' 형상의 구조로 상기 제1결합공에 맞게 제3결합공이 뚫린 일측면이 상기 상부판의 하면에 상기 제1결합공과 상기 제3결합공이 일직선상에 있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공에 맞게 제4결합공이 뚫린 타측면이 상기 하부판의 상면에 상기 제2결합공과 상기 제4결합공이 일직선상에 있도록 결합되는 지지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판, 상기 하부판 및 상기 지지부재로 구성된 모듈이 연결되는 상기 콘크리트 파일의 일단 형상에 맞게 다수개가 조립되어 2개의 상기 콘크리트 파일을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연결용 조인트를 사용하여 현장에서 손쉽게 파일들을 연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용접 등의 부차적인 공정 없이 바로 파일을 연결용 조인트에 결합시킬 수 있어 기초의 시공기간 및 시공비를 절약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일 연결을 위한 조립식 조인트{ The assembly joint for connecting a pile }
본 발명은 구조물의 기초로 시공되는 파일들을 연결하는 조립식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파일기초는 지지층 심도가 깊은 경우에 채용되는 기초형식의 하나로서, 상기 지지층까지 시공된 파일 위에 상부 구조물을 구축함으로서 구조물의 중량을 지지층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파일기초에 이용하는 파일으로는 콘크리트 파일, 강관파일, 합성파일이 이용되고 있다. 콘크리트 파일은 RC파일, PHC파일, PC파일 등을 말하는 것으로서 파일 자체의 선단부가 폐쇄되어 선단지지력이 높은 장점이 있으며, 자재비가 강관파일에 비해 2~3배정도 저렴하여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제작된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은 건축물의 규모나 지반의 상태에 따라서 그 파일을 일정 깊이 이상 시공하게 되며, 필요한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을 서로 연결하여 시공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들을 서로 연결하여 시공하기 위해서는 이음하고자 하는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의 각 단부에 금속 재질의 조인트캡을 씌운 후에 조인트캡을 용접함으로써 콘트리트 파일의 이음 시공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음하고자 하는 두 개의 콘크리트 파일에 각각의 금속성 조인트캡을 끼운 후에 두 조인트캡을 용접하여 이음 작업을 함으로써 시공상의 불편함이 있었고, 많은 작업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가 제안되고 있으나 체결구의 중량이 상대적으로 무거워서 현장에서 파일들을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2명 이상의 작업자가 투입되어야 하고 작업자끼리 손,발이 맞지 않는 경우에는 작업능률이 떨어져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 많은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5985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일들의 결합시 연결용 조인트를 사용하여 손쉽게 파일들을 결합하되 조인트가 조립식으로 되어 있어 작업자가 현장에서 용이하게 운반하면서 조립하기 위한 조립식 조인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은 콘크리트 파일을 연결하는 조인트에 있어서, 콘크리트 파일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 파일의 형성된 구멍에 맞게 제1결합공이 뚫려 있는 판 형상의 상부판과, 또 다른 콘크리트 파일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 파일의 형성된 구멍에 맞게 제2결합공이 뚫려 있는 판 형상의 하부판 및, 육면체 형상에서 상,하면이 오픈된 구조로 상기 제1결합공에 맞게 제3결합공이 뚫린 일측면이 상기 상부판의 하면에 상기 제1결합공과 상기 제3결합공이 일직선상에 있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공에 맞게 제4결합공이 뚫린 타측면이 상기 하부판의 상면에 상기 제2결합공과 상기 제4결합공이 일직선상에 있도록 결합되는 지지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판, 상기 하부판 및 상기 지지부재로 구성된 모듈이 연결되는 상기 콘크리트 파일의 일단 형상에 맞게 다수개가 조립되어 2개의 상기 콘크리트 파일을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연결을 위한 조립식 조인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콘크리트 파일을 연결하는 조인트에 있어서, 콘크리트 파일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 파일의 형성된 구멍에 맞게 제1결합공이 뚫려 있는 판 형상의 상부판과, 또 다른 콘크리트 파일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 파일의 형성된 구멍에 맞게 제2결합공이 뚫려 있는 판 형상의 하부판 및, 단면이 'H' 형상의 구조로 상기 제1결합공에 맞게 제3결합공이 뚫린 일측면이 상기 상부판의 하면에 상기 제1결합공과 상기 제3결합공이 일직선상에 있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공에 맞게 제4결합공이 뚫린 타측면이 상기 하부판의 상면에 상기 제2결합공과 상기 제4결합공이 일직선상에 있도록 결합되는 지지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판, 상기 하부판 및 상기 지지부재로 구성된 모듈이 연결되는 상기 콘크리트 파일의 일단 형상에 맞게 다수개가 조립되어 2개의 상기 콘크리트 파일을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연결을 위한 조립식 조인트를 제공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연결용 조인트를 사용하여 현장에서 손쉽게 파일들을 연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용접 등의 부차적인 공정 없이 바로 파일을 연결용 조인트에 결합시킬 수 있어 기초의 시공기간 및 시공비를 절약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파일에 결합되는 연결용 조인트가 다수개로 분할되어 있어 현장에서 파일 연결 작업시 조인트의 운반 및 조립이 용이하다.
도1은 본원발명의 조인트를 이루는 모듈에 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모듈로 구성된 조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조인트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파일을 연결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는 본원발명의 조인트를 이루는 모듈에 관한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는 도4의 모듈로 구성된 조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6은 도5의 조인트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파일을 연결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7은 본원발명의 조인트를 이루는 모듈에 관한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8은 도7의 모듈로 구성된 조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9는 도8의 조인트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파일을 연결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0은 본원발명의 조인트를 이루는 모듈에 관한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1은 도10의 모듈로 구성된 조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2는 도11의 조인트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파일을 연결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일 연결을 위한 조립식 조인트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원발명의 조인트를 이루는 모듈에 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모듈로 구성된 조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조인트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파일을 연결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는 본원발명의 조인트를 이루는 모듈에 관한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5는 도4의 모듈로 구성된 조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6은 도5의 조인트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파일을 연결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원발명은 파일 연결을 위한 조립식 조인트(20)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파일을 연결하는 조인트에 있어서, 콘크리트 파일(10)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 파일(10)의 형성된 구멍에 맞게 제1결합공(110)이 뚫려 있는 판 형상의 상부판(100)과, 또 다른 콘크리트 파일(10)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 파일(10)의 형성된 구멍에 맞게 제2결합공(210)이 뚫려 있는 판 형상의 하부판(200) 및, 육면체 형상에서 상,하면이 오픈된 구조로 상기 제1결합공(110)에 맞게 제3결합공(310)이 뚫린 일측면이 상기 상부판(100)의 하면에 상기 제1결합공(110)과 상기 제3결합공(310)이 일직선상에 있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공(210)에 맞게 제4결합공(320)이 뚫린 타측면이 상기 하부판(200)의 상면에 상기 제2결합공(210)과 상기 제4결합공(320)이 일직선상에 있도록 결합되는 지지부재(300)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판(100), 상기 하부판(200) 및 상기 지지부재(300)로 구성된 모듈(30)이 연결되는 상기 콘크리트 파일(10)의 일단 형상에 맞게 다수개가 조립되어 2개의 상기 콘크리트 파일(10)을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은 상부판(100), 하부판(200) 및 지지부재(300)로 구성된 모듈(30)이 연결되는 2개의 콘크리트 파일(10) 사이에 다수개가 설치되는 조립식 조인트(20)에 관한 것으로 용접 등의 부차적인 공정 없이 바로 파일을 연결용 조인트에 결합시킬 수 있어 기초의 시공기간 및 시공비를 절약할 수 있는 발명이다.
파일기초는 지지층 심도가 깊은 경우에 채용되는 기초형식의 하나로서, 상기 지지층까지 시공된 파일 위에 상부 구조물을 구축함으로서 구조물의 중량을 지지층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파일기초에 이용하는 파일으로는 콘크리트 파일, 강관파일, 합성파일이 이용되고 있다. 콘크리트 파일은 RC파일, PHC파일, PC파일 등을 말하는 것으로서 파일 자체의 선단부가 폐쇄되어 선단지지력이 높은 장점이 있으며, 자재비가 강관파일에 비해 2~3배정도 저렴하여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제작된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은 건축물의 규모나 지반의 상태에 따라서 그 파일을 일정 깊이 이상 시공하게 되며, 필요한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을 서로 연결하여 시공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들을 서로 연결하여 시공하기 위해서는 이음하고자 하는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의 각 단부에 금속 재질의 조인트캡을 씌운 후에 조인트캡을 용접함으로써 콘트리트 파일의 이음 시공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음하고자 하는 두 개의 콘크리트 파일에 각각의 금속성 조인트캡을 끼운 후에 두 조인트캡을 용접하여 이음 작업을 함으로써 시공상의 불편함이 있었고, 많은 작업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가 제안되고 있으나 체결구의 중량이 상대적으로 무거워서 현장에서 파일들을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2명 이상의 작업자가 투입되어야 하고 작업자끼리 손,발이 맞지 않는 경우에는 작업능률이 떨어져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 많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일들의 결합시 연결용 조인트를 사용하여 손쉽게 파일들을 결합하되 조인트가 조립식으로 되어 있어 작업자가 현장에서 용이하게 운반하면서 조립하기 위한 조립식 조인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연결용 조인트를 사용하여 현장에서 손쉽게 파일들을 연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용접 등의 부차적인 공정 없이 바로 파일을 연결용 조인트에 결합시킬 수 있어 기초의 시공기간 및 시공비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일에 결합되는 연결용 조인트가 다수개로 분할되어 있어 현장에서 파일 연결 작업시 조인트의 운반 및 조립이 용이하다.
상부판(100)은 연결되는 콘크리트 파일(10)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 파일(10)의 형성된 구멍에 맞게 제1결합공(110)이 뚫려 있는 판 형상의 부재이다. 상부판(100)은 모듈(30)의 상부 부재로 현장에서 결합되는 콘크리트 파일의 형상에 맞게 조립될 수 있도록 공장에서 미리 제작될 수 있다. 제1결합공(110)은 콘크리트 파일(10)의 형성된 구멍에 맞게 뚫려 있는 구멍으로 1개 이상의 구멍이 뚫려 있을 수 있다.
상부판(100)은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하부판(200)은 연결되는 또 다른 콘크리트 파일(10)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 파일(10)의 형성된 구멍에 맞게 제2결합공(210)이 뚫려 있는 판 형상의 부재이다. 하부판(200)은 상부판(100)과 모듈(30)을 생성하는 것으로 상부판(100)의 크기와 동일하게 제작될 수 있다. 하부판(200)은 모듈(30)의 하부 부재로 현장에서 결합되는 콘크리트 파일의 형상에 맞게 조립될 수 있도록 공장에서 미리 제작될 수 있다. 제2결합공(210)은 콘크리트 파일(10)의 형성된 구멍에 맞게 뚫려 있는 구멍으로 1개 이상의 구멍이 뚫려 있을 수 있다.
하부판(200)은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판(100)과 상기 하부판(200)은 결합되는 상기 콘크리트 파일(10)의 일단 형상에 맞게 외측의 직경이 내측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부채꼴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판(100)과 상기 하부판(200)은 상기 콘크리트 파일(10)의 일단 형상에 맞게 각각 다수개가 서로 맞물려 원형 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일단이 상기 상부판(100)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판(20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판(100)과 하부판(200)의 내측면의 형태에 맞게 만곡되게 제작된 막음판(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막음판(400)은 연결된 상기 콘크리트 파일(10) 시공시 토사가 상기 콘크리트 파일(10)의 내측으로 침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구성이다. 즉, 막음판(400)은 상부판(100)과 하부판(200)의 내측면 크기로 제작된 것으로 상부판(100)과 하부판(200)이 콘크리트 파일(10)의 일단 형상에 맞게 다수개가 서로 맞물려 원형 형태로 조립될 때 막음판(400)도 자연적으로 맞물려 콘크리트 파일(10)의 내측 공간 형태인 원형 기둥 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원형기둥 형태로 조립된 막음판(400)으로 인해 콘크리트 파일(10) 시공시 토사가 상기 콘크리트 파일(10)의 내측으로 침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지지부재(300)는 육면체 형상에서 상,하면이 오픈된 구조로 일측면이 상기 상부판(100)의 하면에 결합되고 타측면이 상기 하부판(200)의 상면에 결합되는 부재이다. 상세하게 지지부재(300)는 육면체 형상에서 상,하면이 오픈된 구조로 상기 제1결합공(110)에 맞게 제3결합공(310)이 뚫린 일측면이 상기 상부판(100)의 하면에 상기 제1결합공(110)과 상기 제3결합공(310)이 일직선상에 있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공(210)에 맞게 제4결합공(320)이 뚫린 타측면이 상기 하부판(200)의 상면에 상기 제2결합공(210)과 상기 제4결합공(320)이 일직선상에 있도록 결합되는 부재이다. 제3결합공(310)은 제1결합공(110)과 일직선상에 놓여 있어 볼트를 이용하여 모듈(30)과 콘크리트 파일(1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4결합공(320)은 제2결합공(210)과 일직선상에 놓여 있어 볼트를 이용하여 모듈(30)과 콘크리트 파일(1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지지부재(300)는 상부판(100)과 하부판(200)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판(100)으로부터 오는 하중을 하부판(200)으로 전달하는 구조부재이다. 따라서, 지지부재(300)는 상기 상부판(100)과 상기 하부판(200) 사이에 연결되는 콘크리트 파일(10)의 구조계산에 따라 다수개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지지부재(30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판(100), 상기 하부판(200) 및 상기 지지부재(300)로 구성된 모듈(30)은 다수개가 연결되는 콘크리트 파일(10) 사이에 조립되는 구성이다. 즉, 모듈(30)은 다수개가 모여 콘크리트 파일(10)을 연결하는 조인트(20) 형태로 형성된다. 조인트(20)는 연결되는 콘크리트 파일(10)의 일단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연결되는 콘크리트 파일(10) 형상 크기로 조립될 수 있고, 상기 콘크리트 파일(10)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콘크리트 파일(10)의 지지력을 더 크게 확보할 수도 있다.
또한, 조인트(20)는 다수개의 모듈(30)이 현장에서 연결되는 콘크리트 파일(10) 형상에 맞게 조립될 수 있어 숙련자가 아니라도 손쉽게 콘크리트 파일(10)의 연결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조인트(20)는 다수개의 모듈(30) 형태가 조립되는 형상으로 모듈(30) 자체가 무겁지 않아 작업자가 손쉽게 현장에서 운반하여 조립할 수 있어 기초의 시공기간 및 시공비를 절약할 수 있다.
도7은 본원발명의 조인트를 이루는 모듈에 관한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8은 도7의 모듈로 구성된 조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9는 도8의 조인트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파일을 연결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0은 본원발명의 조인트를 이루는 모듈에 관한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11은 도10의 모듈로 구성된 조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2는 도11의 조인트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파일을 연결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원발명은 파일 연결을 위한 조립식 조인트(20)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파일을 연결하는 조인트에 있어서, 콘크리트 파일(10)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 파일(10)의 형성된 구멍에 맞게 제1결합공(110)이 뚫려 있는 판 형상의 상부판(100)과, 또 다른 콘크리트 파일(10)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 파일(10)의 형성된 구멍에 맞게 제2결합공(210)이 뚫려 있는 판 형상의 하부판(200) 및, 단면이 'H' 형상의 구조로 상기 제1결합공(110)에 맞게 제3결합공(310)이 뚫린 일측면이 상기 상부판(100)의 하면에 상기 제1결합공(110)과 상기 제3결합공(310)이 일직선상에 있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공(210)에 맞게 제4결합공(320)이 뚫린 타측면이 상기 하부판(200)의 상면에 상기 제2결합공(210)과 상기 제4결합공(320)이 일직선상에 있도록 결합되는 지지부재(300)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판(100), 상기 하부판(200) 및 상기 지지부재(300)로 구성된 모듈(30)이 연결되는 상기 콘크리트 파일(10)의 일단 형상에 맞게 다수개가 조립되어 2개의 상기 콘크리트 파일(10)을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은 상부판(100), 하부판(200) 및 지지부재(300)로 구성된 모듈(30)이 연결되는 2개의 콘크리트 파일(10) 사이에 다수개가 설치되는 조립식 조인트(20)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용접 등의 부차적인 공정 없이 바로 파일을 연결용 조인트에 결합시킬 수 있어 기초의 시공기간 및 시공비를 절약할 수 있는 발명이다.
상부판(100)은 연결되는 콘크리트 파일(10)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 파일(10)의 형성된 구멍에 맞게 제1결합공(110)이 뚫려 있는 판 형상의 부재이다. 상부판(100)은 모듈(30)의 상부 부재로 현장에서 결합되는 콘크리트 파일의 형상에 맞게 조립될 수 있도록 공장에서 미리 제작될 수 있다. 제1결합공(110)은 콘크리트 파일(10)의 형성된 구멍에 맞게 뚫려 있는 구멍으로 1개 이상의 구멍이 뚫려 있을 수 있다.
상부판(100)은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하부판(200)은 연결되는 또 다른 콘크리트 파일(10)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 파일(10)의 형성된 구멍에 맞게 제2결합공(210)이 뚫려 있는 판 형상의 부재이다. 하부판(200)은 상부판(100)과 모듈(30)을 생성하는 것으로 상부판(100)의 크기와 동일하게 제작될 수 있다. 하부판(200)은 모듈(30)의 하부 부재로 현장에서 결합되는 콘크리트 파일의 형상에 맞게 조립될 수 있도록 공장에서 미리 제작될 수 있다. 제2결합공(210)은 콘크리트 파일(10)의 형성된 구멍에 맞게 뚫려 있는 구멍으로 1개 이상의 구멍이 뚫려 있을 수 있다.
하부판(200)은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판(100)과 상기 하부판(200)은 결합되는 상기 콘크리트 파일(10)의 일단 형상에 맞게 외측의 직경이 내측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부채꼴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판(100)과 상기 하부판(200)은 상기 콘크리트 파일(10)의 일단 형상에 맞게 각각 다수개가 서로 맞물려 원형 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일단이 상기 상부판(100)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판(20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판(100)과 하부판(200)의 내측면의 형태에 맞게 만곡되게 제작된 막음판(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막음판(400)은 연결된 상기 콘크리트 파일(10) 시공시 토사가 상기 콘크리트 파일(10)의 내측으로 침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구성이다. 즉, 막음판(400)은 상부판(100)과 하부판(200)의 내측면 크기로 제작된 것으로 상부판(100)과 하부판(200)이 콘크리트 파일(10)의 일단 형상에 맞게 다수개가 서로 맞물려 원형 형태로 조립될 때 막음판(400)도 자연적으로 맞물려 콘크리트 파일(10)의 내측 공간 형태인 원형 기둥 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원형기둥 형태로 조립된 막음판(400)으로 인해 콘크리트 파일(10) 시공시 토사가 상기 콘크리트 파일(10)의 내측으로 침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지지부재(300)는 육면체 형상에서 상,하면이 오픈된 구조로 일측면이 상기 상부판(100)의 하면에 결합되고 타측면이 상기 하부판(200)의 상면에 결합되는 부재이다. 상세하게 지지부재(300)는 단면이 'H' 형상의 구조로 상기 제1결합공(110)에 맞게 제3결합공(310)이 뚫린 일측면이 상기 상부판(100)의 하면에 상기 제1결합공(110)과 상기 제3결합공(310)이 일직선상에 있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공(210)에 맞게 제4결합공(320)이 뚫린 타측면이 상기 하부판(200)의 상면에 상기 제2결합공(210)과 상기 제4결합공(320)이 일직선상에 있도록 결합되는 부재이다. 지지부재(300)는 플랜지 부분이 일측면과 타측면에 해당하는 단면이 'H' 형상의 구조이다. 제3결합공(310)은 제1결합공(110)과 일직선상에 놓여 있어 볼트를 이용하여 모듈(30)과 콘크리트 파일(1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4결합공(320)은 제2결합공(210)과 일직선상에 놓여 있어 볼트를 이용하여 모듈(30)과 콘크리트 파일(1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지지부재(300)는 상부판(100)과 하부판(200)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판(100)으로부터 오는 하중을 하부판(200)으로 전달하는 구조부재이다. 따라서, 지지부재(300)는 상기 상부판(100)과 상기 하부판(200) 사이에 연결되는 콘크리트 파일(10)의 구조계산에 따라 다수개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지지부재(30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판(100), 상기 하부판(200) 및 상기 지지부재(300)로 구성된 모듈(30)은 다수개가 연결되는 콘크리트 파일(10) 사이에 조립되는 구성이다. 즉, 모듈(30)은 다수개가 모여 콘크리트 파일(10)을 연결하는 조인트(20) 형태로 형성된다. 조인트(20)는 연결되는 콘크리트 파일(10)의 일단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연결되는 콘크리트 파일(10) 형상 크기로 조립될 수 있고, 상기 콘크리트 파일(10)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콘크리트 파일(10)의 지지력을 더 크게 확보할 수도 있다.
또한, 조인트(20)는 다수개의 모듈(30)이 현장에서 연결되는 콘크리트 파일(10) 형상에 맞게 조립될 수 있어 숙련자가 아니라도 손쉽게 콘크리트 파일(10)의 연결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조인트(20)는 다수개의 모듈(30) 형태가 조립되는 형상으로 모듈(30) 자체가 무겁지 않아 작업자가 손쉽게 현장에서 운반하여 조립할 수 있어 기초의 시공기간 및 시공비를 절약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파일 연결을 위한 조립식 조인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10 : 파일 20 : 조인트
30 : 모듈
100 : 상부판 110 : 제1결합공
200 : 하부판 210 : 제2결합공
300 : 지지부재
310 : 제3결합공 320 : 제4결합공
400 : 막음판

Claims (6)

  1. 콘크리트 파일을 연결하는 조인트에 있어서,
    콘크리트 파일(10)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 파일(10)의 형성된 구멍에 맞게 제1결합공(110)이 뚫려 있는 판 형상의 상부판(100);
    또 다른 콘크리트 파일(10)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 파일(10)의 형성된 구멍에 맞게 제2결합공(210)이 뚫려 있는 판 형상의 하부판(200); 및,
    육면체 형상에서 상,하면이 오픈된 구조로 상기 제1결합공(110)에 맞게 제3결합공(310)이 뚫린 일측면이 상기 상부판(100)의 하면에 상기 제1결합공(110)과 상기 제3결합공(310)이 일직선상에 있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공(210)에 맞게 제4결합공(320)이 뚫린 타측면이 상기 하부판(200)의 상면에 상기 제2결합공(210)과 상기 제4결합공(320)이 일직선상에 있도록 결합되는 지지부재(300)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판(100), 상기 하부판(200) 및 상기 지지부재(300)로 구성된 모듈(30)이 연결되는 상기 콘크리트 파일(10)의 일단 형상에 맞게 다수개가 조립되어 2개의 상기 콘크리트 파일(10)을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연결을 위한 조립식 조인트.
  2. 콘크리트 파일을 연결하는 조인트에 있어서,
    콘크리트 파일(10)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 파일(10)의 형성된 구멍에 맞게 제1결합공(110)이 뚫려 있는 판 형상의 상부판(100);
    또 다른 콘크리트 파일(10)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 파일(10)의 형성된 구멍에 맞게 제2결합공(210)이 뚫려 있는 판 형상의 하부판(200); 및,
    단면이 'H' 형상의 구조로 상기 제1결합공(110)에 맞게 제3결합공(310)이 뚫린 일측면이 상기 상부판(100)의 하면에 상기 제1결합공(110)과 상기 제3결합공(310)이 일직선상에 있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공(210)에 맞게 제4결합공(320)이 뚫린 타측면이 상기 하부판(200)의 상면에 상기 제2결합공(210)과 상기 제4결합공(320)이 일직선상에 있도록 결합되는 지지부재(300)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판(100), 상기 하부판(200) 및 상기 지지부재(300)로 구성된 모듈(30)이 연결되는 상기 콘크리트 파일(10)의 일단 형상에 맞게 다수개가 조립되어 2개의 상기 콘크리트 파일(10)을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연결을 위한 조립식 조인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100)과 상기 하부판(200)은 결합되는 상기 콘크리트 파일(10)의 일단 형상에 맞게 외측의 직경이 내측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부채꼴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판(100)과 상기 하부판(200)은 상기 콘크리트 파일(10)의 일단 형상에 맞게 각각 다수개가 서로 맞물려 원형 형태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연결을 위한 조립식 조인트.
  4. 제3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상부판(100)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판(20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판(100)과 하부판(200)의 내측면의 형태에 맞게 만곡되게 제작된 막음판(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막음판(400)은 연결된 상기 콘크리트 파일(10) 시공시 토사가 상기 콘크리트 파일(10)의 내측으로 침입되는 것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연결을 위한 조립식 조인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300)는 상기 상부판(100)과 상기 하부판(200) 사이에 연결되는 콘크리트 파일(10)의 구조계산에 따라 다수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연결을 위한 조립식 조인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30)이 연결되는 상기 콘크리트 파일(10)의 일단 형상에 맞게 다수개가 조립되어 2개의 상기 콘크리트 파일(10)을 서로 연결하되, 다수개가 조립된 상기 모듈(30)의 크기가 상기 콘크리트 파일(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파일(10)의 지지력을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연결을 위한 조립식 조인트.
KR1020160013586A 2016-02-03 2016-02-03 파일 연결을 위한 조립식 조인트 KR2017009235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586A KR20170092357A (ko) 2016-02-03 2016-02-03 파일 연결을 위한 조립식 조인트
PCT/KR2016/007816 WO2017135527A1 (ko) 2016-02-03 2016-07-19 파일 연결을 위한 조립식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연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586A KR20170092357A (ko) 2016-02-03 2016-02-03 파일 연결을 위한 조립식 조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357A true KR20170092357A (ko) 2017-08-11

Family

ID=59499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3586A KR20170092357A (ko) 2016-02-03 2016-02-03 파일 연결을 위한 조립식 조인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092357A (ko)
WO (1) WO20171355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89029B (zh) * 2017-11-24 2023-09-15 华中科技大学 一种桩与桩连接系统及其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924Y1 (ko) * 2003-12-04 2004-03-22 김영란 콘크리트 말뚝의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이음장치
KR100976563B1 (ko) * 2007-11-13 2010-08-18 삼부건설공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
KR101171285B1 (ko) * 2009-11-02 2012-08-09 정인배 규격이 상이한 파일의 이음장치
KR101207092B1 (ko) * 2011-01-18 2012-11-30 (주)비제이피코리아 콘크리트 파일의 이음장치
KR101498480B1 (ko) * 2013-04-30 2015-03-11 이석광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파일 연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35527A1 (ko) 2017-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1939B2 (ja) 切梁装置および山留め支保工
KR101676707B1 (ko) 기둥-보 접합 구조
KR100835778B1 (ko)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가능 이음장치
JP2016176216A (ja) 仕口部の接合装置、仕口部の接合構造、及び仕口部の接合方法
KR20140003834A (ko) 해상 지지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299023B1 (ko) 다이아프램을 매개로 하여 각형강관의 이음위치와 철골보의 상부레벨을 서로 일치시키는 접합구조
KR20150055497A (ko) 소켓타입 접합부를 갖는 모듈러 유닛을 이용한 모듈러 유닛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4474430B2 (ja) 杭の継ぎ手構造
KR20170092357A (ko) 파일 연결을 위한 조립식 조인트
KR101839306B1 (ko) 콘크리트 파일 및 강관 이음장치
JP5656065B2 (ja) 鋼板コンクリート構造の構造部材
KR20110016846A (ko) 견고한 연장수단을 갖는 철골빔
KR101958519B1 (ko) 시공현장에 맞게 조립되는 파일
US8661764B2 (en) Method of forming multilayered netlock girder system
KR101871156B1 (ko) 시공현장에 맞는 파일의 조립방법
JP3162264U (ja) 支持杭の構造
KR101622165B1 (ko) 콘크리트 충전형 합성기둥
JP6530614B2 (ja) 建造物における無溶接補強構造
KR200490635Y1 (ko) 지반 강화용 파일의 연결장치
KR200448755Y1 (ko) 건축용 파일의 조립식 두부보강장치
JP5892439B2 (ja) 杭の無溶接継ぎ手
JP5954679B2 (ja) 杭の無溶接継ぎ手
KR101870941B1 (ko) 파형강판 구조물의 곡선부 결합구조
JP6871493B2 (ja) 杭頭補強構造
JP2007308967A (ja) 鉄骨柱の接合構造および鉄骨柱の接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19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523

Effective date: 2019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