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2335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2335A
KR20170092335A KR1020160013554A KR20160013554A KR20170092335A KR 20170092335 A KR20170092335 A KR 20170092335A KR 1020160013554 A KR1020160013554 A KR 1020160013554A KR 20160013554 A KR20160013554 A KR 20160013554A KR 20170092335 A KR20170092335 A KR 20170092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 air
air flow
duct
door
col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원
이수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3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2335A/ko
Publication of KR20170092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3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41/0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4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의 후면에 제 1 냉기 유로와 제 2 냉기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냉기 유로와 제 2 냉기 유로 중 어느 하나의 입구단의 일부분을 폐쇄하는 솔레노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는, 전류가 흐르는 코일 형태의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의 내부에 삽입되는 변동자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음식물을 냉장 또는 냉동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가정 기기로서, 내부에 냉장실 또는 냉동실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는, 상기 냉장실 또는 냉동실 내부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 사이클을 구비한다.
상세히, 상기 냉각 사이클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변, 및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가 설치된 증발실에서 저온의 냉기가 생성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실 냉기는 냉기 유로를 따라 흘러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로 공급한다.
한편, 일반적인 냉장고의 경우, 저장실 후면에 형성된 냉기 유로와 냉기 공급 덕트를 통하여, 증발실에서 생성된 냉기가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냉기 공급 덕트에는 다수의 냉기 토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냉기 토출홀은 댐퍼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최근에는 냉장고가 대형화됨에 따라 저장실 용적이 증가하여, 단일 저장실 내부에서도 위치에 따라 온도 차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한 쌍의 회동식 도어(프렌치 도어)에 의하여 개폐되는 냉장실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경우, 냉장실 내부가 멀리언에 의하여 구획되지 않고 단일의 저장 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단일의 저장 공간의 개구된 전면은 상기 한 쌍의 회동식 도어에 의하여 좌측과 우측이 나뉘어 개폐된다. 따라서, 좌측 도어와 우측 도어 중 어느 하나만을 개방하거나, 음식물을 상기 저장 공간의 좌측과 우측 중 어느 한 쪽으로 치우쳐서 저장하는 경우, 상기 저장 공간의 좌측 온도와 우측 온도가 다른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1-0072428호에 개시되는 냉장고에 의하면, 냉장고의 네 모서리에 다수의 냉기 안내 유로가 연장되고, 다수의 냉기 안내 유로가 교차하는 지점에 분배실이 형성되며, 상기 분배실에 댐퍼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냉기가 고내의 특정 영역으로 분배되어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부하가 많은 영역으로 냉기를 집중하여 보내기 위해 댐퍼 구조가 적용되는 냉장고의 경우, 어느 한 쪽으로 냉기가 쏠릴 때 다른 한 쪽으로는 냉기가 전혀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냉기가 공급되지 않는 쪽의 부하가 다시 급격히 증가하여 온도 불균형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냉기 유로가 다수 개인 경우, 다수 개의 냉기 유로 각각에 댐퍼가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냉장고의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의 경우는, 분배실 구조가 필요하기 때문에 저장실 용적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되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의 후면에 제 1 냉기 유로와 제 2 냉기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냉기 유로와 제 2 냉기 유로 중 어느 하나의 입구단의 일부분을 폐쇄하는 솔레노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는, 전류가 흐르는 코일 형태의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의 내부에 삽입되는 변동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다수의 냉기 유로가 나뉘어지는 지점에 솔레노이드 부재가 장착되어, 어느 일측의 냉기 유로의 일부를 폐쇄함과 동시에 다른 일측의 냉기 유로는 개방하여, 고내 부하가 높은 영역으로 냉기가 상대적으로 많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고내 온도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솔레노이드 부재가 냉기의 전부를 폐쇄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만 폐쇄하므로, 온도의 역 불균형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다수의 냉기 유로가 나뉘어지는 지점에 솔레노이드 부재가 장착되므로, 냉기 분배를 위한 별도의 분배실이 필요하지 않으며, 냉기 유로마다 솔레노이드 부재를 장착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기 유동 제어 구조가 구비된 냉장고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기 덕트 어셈블리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전방에서 바라본 상기 냉기 덕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상기 냉기 덕트 어셈블리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후방에서 바라본 상기 냉기 덕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기 덕트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미들 덕트의 배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부재가 프런트 덕트의 배면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도.
도 8은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가 제거된 상태의 상기 프런트 덕트 배면을 보여주는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의 횡단면 절개 사시도.
도 11은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의 종단면 절개 사시도.
도 12는 도 4의 12-12를 따라 절개되는 횡단면도로서, 우측 안내 유로의 일부가 솔레노이드 부재에 의하여 폐쇄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도 4의 12-12를 따라 절개되는 횡단면도로서, 좌측 안내 유로의 일부가 솔레노이드 부재에 의하여 폐쇄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기 유동 제어 구조가 구비된 냉장고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기 유동 제어 구조가 구비된 냉장고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는, 내부에 저장 공간이 구비되는 캐비닛(11)과, 상기 캐비닛(1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저장 공간은, 음식물을 냉장 상태로 보관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냉장실(111)과, 상기 냉장실(111)의 하측에 배치되며, 음식물을 냉동 상태로 보관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냉동실(11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11)과 상기 냉동실(112)은 상기 캐비닛(11) 내부에 가로 방향으로 놓이는 수평 멀리언(14)에 의하여 상하로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동실(112) 내부 공간은 상기 냉동실(112)의 중앙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 멀리언(17)에 의하여 좌측 냉동실과 우측 냉동실로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실(111)은, 상기 냉동실(112)과 달리, 중간에 수직 멀리언이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용적이 큰 대용량 저장실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11)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하여 한 쌍의 냉장실 도어(12)가 제공된다.
상세히, 상기 한 쌍의 냉장실 도어(12)는, 상기 캐비닛(11)의 좌측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냉장실 도어와, 상기 캐비닛(11)의 우측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냉장실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와 제 2 냉장실 도어를 프렌치 도어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와 상기 제 2 냉장실 도어에 의하여 상기 냉장실(111)은 좌측 영역과 우측 영역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제 2 냉장실 도어에 의하여 폐쇄되는 영역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에 의하여 폐쇄되는 영역에 비하여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와 상기 제 2 냉장실 도어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도어-인-도어(door-in-door)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도어-인-도어 구조는, 전후 방향으로 두 개의 도어가 겹쳐져 있는 구조를 의미한다.
상세히,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와 상기 제 2 냉장실 도어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상기 캐비닛(11)의 측면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배면 가장자리가 상기 캐비닛(11)의 전면과 상기 수평 멀리언(14)의 전면에 밀착되는 인너 도어(121)와, 상기 인너 도어(121)의 측면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배면 가장자리가 상기 인너 도어(121)의 전면에 밀착되는 아우터 도어(1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너 도어(121)의 배면에는 음식물을 저장하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123)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대응하는 상기 인너 도어(121)의 내측 부분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 도어(122)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23) 내부로 접근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인너 도어(121)의 배면이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23)은 상기 냉장실(111) 내부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도어(122)의 회전축은 상기 인너 도어(121)의 회전축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1)의 전면, 구체적으로 상기 인너 도어(121)의 배면 가장자리가 밀착되는 면의 어느 지점에는 상기 냉장실 도어(12)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스위치(15)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실(111)의 후면에는 냉장실 증발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증발기의 상측에 해당하는 상기 냉장실(111)의 후면에는 냉기 덕트 어셈블리(20)가 장착되어, 상기 냉장실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가 상기 냉기 덕트 어셈블리(20)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상기 냉장실(111) 내부로 토출된다.
상기 냉기 덕트 어셈블리(20)의 좌우 폭은 상기 냉장실 후면의 좌우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냉기 덕트 어셈블리(20)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은 상기 냉장실(111)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과 일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기 덕트 어셈블리(20)의 좌측 단부와 상기 냉장실(111)의 후면의 좌측 단부 사이에 해당하는 영역 및 상기 냉기 덕트 어셈블리(20)의 우측 단부와 상기 냉장실(111)의 후면의 우측 단부 사이에 해당하는 영역에는 온도 센서(16)가 각각 장착되어, 상기 냉장실(111)의 좌측 영역과 우측 영역의 온도가 각각 감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와 상기 제 2 냉장실 도어의 폭이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냉장실(111)의 좌측 영역과 우측 영역이 동일한 체적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장실(111)의 좌측 절반 영역을 제 1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고, 상기 냉장실(111)의 우측 절반 영역을 제 2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기 덕트 어셈블리(20)의 중앙부 상측에는 살균 장치(S)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11) 내부에는 다수의 선반(111a)과 수납 박스(111b)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냉동실(112) 내부에도 마찬가지로 다수의 선반 및/또는 다수의 수납 박스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기 덕트 어셈블리(20)의 구조 및 상기 냉기 덕트 어셈블리(20)에 구비되는 냉기 유동 제어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기 덕트 어셈블리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전방에서 바라본 상기 냉기 덕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상기 냉기 덕트 어셈블리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5는 후방에서 바라본 상기 냉기 덕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기 덕트 어셈블리(20)는, 상기 냉장실(111)의 후면 중앙부에 장착된다.
상세히, 상기 냉기 덕트 어셈블리(20)는, 냉장실에 노출되는 프런트 덕트(21)와, 상기 프런트 덕트(21)의 배면에 결합되는 미들 덕트(22)와, 상기 미들 덕트(22)의 배면에 결합되는 덕트 커버(2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기 덕트 어셈블리(20)의 중앙부 상단에는 상기 살균 장치(S)가 장착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프런트 덕트(21)는, 냉장실의 배면 일부를 정의하는 프런트 덕트 바디(211)와, 상기 프런트 덕트 바디(211)의 하단에서 연장되는 팬 하우징(212)과, 상기 프런트 덕트 바디(211)와 상기 팬 하우징(212)을 상하로 구획하는 구획턱(21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 하우징(212)에는 쉬라우드(212a)가 형성되며, 상기 쉬라우드(212a)를 통하여 냉장실 증발기에 의하여 냉각된 냉기가 상기 냉기 덕트 어셈블리(20)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덕트 바디(211)의 중앙부에는 선반 지지부(214)가 수직하게 연장되며, 상기 선반 지지부(214)는 상기 프런트 덕트 바디(211)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프런트 덕트 바디(211)의 전면에 함몰부가 정의되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선반(111a)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놓이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면은 캔틸레버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캔틸레버의 후단부에는 걸림 후크가 돌출 및 절곡 형성되고, 상기 걸림 후크는 상기 선반 지지부(214)에 형성된 걸림홀에 걸려서, 상기 선반(111a)이 상기 프런트 덕트(21)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반(111a)은 상기 냉장실(111)의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1 영역에 놓이는 선반의 우측 가장자리와 상기 제 2 영역에 놓이는 선반의 좌측 가장자리가 상기 선반 지지부(214)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런트 덕트 바디(211)에는 다수의 냉기 토출구(215)가 형성될 수 있고, 중앙부 상단에는 살균 장치 안착부(21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턱(213)은 상기 프런트 덕트 바디(211)의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냉기 덕트 어셈블리(20)가 상기 냉장실(111)의 후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구획턱(213)의 하측 영역에 상기 냉장실 증발기가 수용되는 증발실이 형성된다. 즉, 상기 구획턱(213)은 상기 증발실의 상단부를 차폐하는 경계부로 기능한다. 그리고, 상기 팬하우징(212)의 전방에 상기 냉장실 증발기가 놓여서, 상기 냉장실 증발기에 의하여 저온으로 냉각된 냉기가 상기 쉬라우드(212a)를 통하여 상기 팬 하우징(212) 내부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미들 덕트(22)는 상기 프런트 덕트(21)의 배면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프런트 덕트(21)에 형성된 냉기 토출구(215)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에 냉기 토출구(22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미들 덕트(22)의 하단부에도 상기 프런트 덕트(21)의 구획턱(213)과 같은 구획턱(223)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덕트(21)의 선반 지지부(214)에 대응하는 위치에 선반 지지부(224)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프런트 덕트(21)의 후면으로 돌출되는 상기 선반 지지부(214)는 상기 미들 덕트(22)의 전면 중앙에 함몰되는 상기 선반 지지부(224)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런트 덕트(21)의 살균 장치 안착부(216)에 대응하는 상기 미들 덕트(22)의 상단부 중앙 영역에도 살균 장치 안착부(226)가 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팬 하우징(212) 내부에는 송풍팬 어셈블리(3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30)는, 송풍팬(31)과, 상기 송풍팬(31)을 회전시키는 팬모터(3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30)는 상기 팬 하우징(212)의 배면 개구부를 덮는 하우징 커버(24)에 의하여 덮인다. 상기 하우징 커버(24)가 상기 팬 하우징(212)의 배면에 결합되면, 내부에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3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정의하고, 상기 팬 하우징(212)과 상기 하우징 커버(24)의 상단부 사이에는 냉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선반 지지부(214,224)를 중심으로 좌측 토출구와 우측 토출구로 구획된다.
또한, 상기 선반 지지부(214,224)의 하단부에는 솔레노이드 부재(40)가 장착되어, 상기 좌측 토출구와 우측 토출구 중 어느 하나의 일부가 폐쇄됨과 동시에 다른 하나를 완전히 개방되도록 하여, 어느 일 영역으로 냉기가 편중되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 커버(23)의 하단부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40)가 장착되는 솔레노이드 수용부(232)와, 변동자 수용홈(23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기 덕트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미들 덕트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들 덕트(22)는, 미들 덕트 바디(221)와, 상기 미들 덕트 바디(221)의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구획턱(2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미들 덕트 바디(221)의 배면에는 냉기 안내를 위한 안내 유로가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 유로는, 상기 선반 지지부(224)를 중심으로 좌측에 형성되는 좌측 안내 유로(227)와, 우측에 형성되는 우측 안내 유로(22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 안내 유로(227)와 상기 우측 안내 유로(227)에는 다수의 냉기 토출구(22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측 안내 유로(227)와 우측 안내 유로(228)의 하단부, 즉 입구단은 상기 팬 하우징(212)과 하우징 커버(24)의 상단에 형성되는 토출구와 연통한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30)에 의하여 강제 유동하는 증발실 냉기는 상기 좌측 안내 유로(227)와 우측 안내 유로(228)로 나뉘어 흐른다.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40)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좌측 안내 유로(227)와 상기 우측 안내 유로(228) 중 어느 하나의 입구단 일부는 폐쇄된다. 그러면, 입구단의 일부가 폐쇄되지 않은 안내 유로 쪽으로 더 많은 냉기가 공급된다.
예를 들어, 냉장실(111)의 좌측 영역, 즉 제 1 영역을 개폐하는 제 1 도어가 개방된 경우, 제 1 영역의 온도가 상기 제 2 영역의 온도보다 낮을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40)가 작동하여 상기 제 1 영역 쪽으로 냉기가 더 많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측 안내 유로(227)와 우측 안내 유로(228)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미들 덕트(22)의 배면 하단에는 솔레노이드 장착부(228)가 형성된다.
상기 솔레노이드 장착부(228)는, 상기 솔레 노이드의 케이스가 수용되도록 단차지는 케이스 수용부(228a)와, 상기 케이스 수용부(228a)의 측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솔레노이드의 변동자가 수용되는 변동자 수용부(228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반 지지부(224)는 상기 미들 덕트(22)의 전면부가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되, 상기 솔레노이드 장착부(228)의 상단부 까지만 함몰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부재가 프런트 덕트의 배면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도이고, 도 8은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가 제거된 상태의 상기 프런트 덕트 배면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프런트 덕트(21)의 선반 지지부(214) 하단에도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40)가 안착되기 위한 솔레노이드 장착턱(219)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솔레노이드 장착턱(219)은, 상기 선반 지지부(214)의 하단부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절개되는 면에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40)의 전면이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반 지지부(214)의 배면에는 지지 보스(217)가 돌출될 수 있고, 상기 지지 보스(217)의 외주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지지 리브(218)가 소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40)의 상면을 밀착 지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의 횡단면 절개 사시도이며, 도 11은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의 종단면 절개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부재(40)는, 케이스(41)와, 상기 케이스(41)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자(42)와, 상기 고정자(42)를 관통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변동자(43), 및 상기 케이스(41)의 전면을 덮는 커버(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41)의 전면에는 상기 고정자(42)가 삽입되기 위한 고정자 삽입홀(41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자 삽입홀(411)은 상기 커버(41)에 의하여 차폐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41)의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변동자 관통홀(412)이 형성되며, 상기 변동자 관통홀(412)을 통하여 상기 변동자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또한, 상기 고정자(42)는 상기 변동자(43)의 외주면에 감기는 코일로, 상기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상기 변동자(43)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는 솔레노이드의 원리이므로 구체적인 작동 원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변동자(43)의 양 단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30)에 의하여 공급되는 냉기가 상기 변동자(43)의 단부에 부딪혀서 와류를 형성하는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상기 변동자(43)의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30)에 의하여 상승하는 냉기가 상기 변동자(43)의 단부를 따라 부드럽게 안내되어, 유동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도 12는 도 4의 12-12를 따라 절개되는 횡단면도로서, 우측 안내 유로의 일부가 솔레노이드 부재에 의하여 폐쇄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은 도 4의 12-12를 따라 절개되는 횡단면도로서, 좌측 안내 유로의 일부가 솔레노이드 부재에 의하여 폐쇄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자(42)에 전류가 어느 일 방향으로 공급되면, 상기 코일에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하여 상기 변동자(43)가 상기 우측 안내 유로(228)의 하단부 횡단면 일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상기 우측 안내 유로(228)로 안내되는 냉기의 양이 줄어드는 반면, 상기 좌측 안내 유로(227)는 완전 개방된 상태가 되므로, 상기 좌측 안내 유로(227)로 더 많은 냉기가 흐르게 된다.
상세히, 상기 도어 스위치(15)로부터 좌측 냉장실 도어의 개방 신호가 냉장고의 제어부로 전송되면,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40)로 공급되는 전류의 흐름 방향이 결정되고, 그 결과 상기 변동자(43)가 상기 우측 안내 유로(228)의 일부가 폐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냉장실(111) 내부에 장착된 온도 센서(16)로부터 전송되는 측정값을 상기 냉장고의 제어부에서 수신하여, 상기 냉장실의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중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다고 판단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냉기 유로의 일부분이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변동자(43)의 배면 일부는 상기 덕트 커버(23)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함몰되는 상기 변동자 수용홈(23)에 수용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우측 냉기 유로(228)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변동자(43)가 이동할 때, 상기 변동자(43)는 상기 변동자 수용홈(23)의 우측 단부에 닿을 때까지 이동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가 작동하되, 다만 상기 고정자(42)로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이 반대로 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즉, 상기 고정자(42)로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이 바뀌면, 상기 고정자(42) 내부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방향이 바뀌게 되어, 상기 변동자(43)가 반대 방향, 즉 상기 좌측 안내 유로(227)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Claims (11)

  1.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증발기가 수용되는 증발실;
    상기 저장실 후면에 장착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냉기 유로를 포함하는 냉기 덕트 어셈블리;
    상기 냉기 유로의 입구단과 연통하는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증발실 냉기를 상기 다수의 냉기 유로로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팬 어셈블리; 및
    상기 냉기 유로의 입구단에 장착되어, 상기 냉기 유로로 이동하는 냉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냉기 유로는,
    제 1 냉기 유로 및 제 2 냉기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는,
    전류가 흐르는 코일 형태의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의 내부에 삽입되는 변동자를 포함하며,
    상기 변동자는, 상기 고정자로 공급되는 전류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하여, 상기 제 1 냉기 유로의 입구단과 상기 제 2 냉기 유로의 입구단 중 어느 하나의 일부분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는 상기 제 1 냉기 유로와 상기 제 2 냉기 유로가 분기되는 지점에 장착되고, 상기 변동자는 좌우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여 상기 냉기 유로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냉기 유로의 입구단과 상기 제 2 냉기 유로의 입구단 중 어느 하나의 일부분이 폐쇄되면, 다른 하나는 완전히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덕트 어셈블리는,
    배면에 상기 냉기 유로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냉기 유로에 대응하는 부분에 다수의 냉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덕트와,
    상기 덕트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를 수용하며, 상기 증발실의 냉기가 유입되기 위한 쉬라우드가 형성되는 팬 하우징과,
    상기 냉기 덕트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냉기 유로와 상기 제 2 냉기 유로가 구획되도록 하는 덕트 커버를 포함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제 1 냉기 유로와 상기 제 2 냉기 유로 사이에서 후방으로 함몰되는 선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는 상기 선반 지지부의 하단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는,
    상기 상기 팬 하우징에 수용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는 팬 모터를 포함하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냉기 유로는 상기 저장실의 좌측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냉기 유로는 상기 저장실의 우측 후면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는,
    상기 저장실의 좌측 영역을 개폐하는 제 1 도어와,
    상기 저장실의 우측 영역을 개폐하는 제 2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 1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 1 도어 스위치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 2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 2 도어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도어 스위치에 의하여 상기 제 1 도어의 개방 감지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변동자는 상기 제 2 냉기 유로의 입구단의 일부분을 개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 2 도어 스위치에 의하여 상기 제 2 도어의 개방 방지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변동자는 상기 제 1 냉기 유로의 입구단의 일부분을 개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좌측 영역에 장착되는 제 1 온도 센서와,
    상기 저장실의 우측 영역에 장착되는 제 2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온도 센서 및 제 2 온도 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온도값으로부터, 상기 좌측 영역과 우측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온도가 높다고 판단되면, 온도가 낮은 영역의 냉기 유로의 입구단의 일부분이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기 변동자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는,
    전면에 상기 고정자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좌우측면에 상기 변동자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전면을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동자의 단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커버는,
    상기 변동자를 수용하도록 함몰되어 상기 변동자의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상기 변동자의 이동 한계를 설정하는 변도자 수용홈을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160013554A 2016-02-03 2016-02-03 냉장고 KR201700923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554A KR20170092335A (ko) 2016-02-03 2016-02-03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554A KR20170092335A (ko) 2016-02-03 2016-02-03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335A true KR20170092335A (ko) 2017-08-11

Family

ID=59651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3554A KR20170092335A (ko) 2016-02-03 2016-02-03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233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6739A1 (en) * 2020-06-17 2021-1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WO2022149699A1 (ko) * 2021-01-06 2022-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WO2023282486A1 (ko) * 2021-07-06 2023-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6739A1 (en) * 2020-06-17 2021-1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1946685B2 (en) 2020-06-17 2024-04-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WO2022149699A1 (ko) * 2021-01-06 2022-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WO2023282486A1 (ko) * 2021-07-06 2023-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0448B1 (ko) 냉장고
US5692383A (en) Cool air discharge controller for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20084003A (ko) 냉장고
KR101810736B1 (ko) 냉장고
KR101835336B1 (ko) 냉장고
US20100126205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09543017A (ja) 温度制御室を有する冷蔵庫
KR20180129472A (ko) 냉장고
KR20170092335A (ko) 냉장고
KR20190092021A (ko) 냉장고
KR102222501B1 (ko) 냉장고
KR20110085394A (ko) 냉장고
JP3439981B2 (ja) 冷蔵庫
KR101395112B1 (ko) 냉장고
JP2011133151A (ja) 冷蔵庫
KR20140124115A (ko) 냉장고
JP7266624B2 (ja) 冷蔵庫
CN114061252B (zh) 风冷冰箱的控制方法与风冷冰箱
KR19990031033A (ko) 냉장고
KR20060006535A (ko) 냉장고
JPH11325713A (ja) 冷蔵庫
KR100451344B1 (ko)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냉장고의 급속냉동장치
KR100438936B1 (ko)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
KR20220153552A (ko) 냉장고
JP2001343180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