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1932A - 조직 유착 방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조직 유착 방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1932A
KR20170091932A KR1020160012853A KR20160012853A KR20170091932A KR 20170091932 A KR20170091932 A KR 20170091932A KR 1020160012853 A KR1020160012853 A KR 1020160012853A KR 20160012853 A KR20160012853 A KR 20160012853A KR 20170091932 A KR20170091932 A KR 20170091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on
viscosity
carboxymethyl cellulose
weigh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9534B1 (ko
Inventor
김홍숙
최형철
이용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피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피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피앤씨
Priority to KR1020160012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534B1/ko
Publication of KR20170091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1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61L17/06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 A61L17/10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61L17/06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원료 수급이 용이하고 원재료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여 시장 진입이 용이하면서도 체내 온도에 의해 졸에서 겔로 전환되어 상처에 정확히 도포가 가능한 최소 침습 수술법이나 복강경 수술 등에 적용 가능한 조직 유착 방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직 유착 방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mposition for preventing tissue adhes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알지네이트,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및 염화칼슘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생체적합성이 뛰어나며 유착 방지성이 우수한 조직유착 방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술 후 흔히 발생하는 장기 및 조직의 유착은 손상된 세포가 회복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생화학적 반응의 결과로써, 많은 의료적 문제가 야기된다. 유착은 육아나 반흔을 형성할 때 서로 엉겨붙거나 다량으로 석출되는 섬유소가 엉겨있는 것을 말하며 정상적으로 분리되어 있던 생체 조직들이 수술로 인해 인접한 생체 조직과 비정상적으로 연결된다. 거칠고 반복적인 수술, 수술 후 조직 손상, 감염, 과도한 출혈, 봉합 재료 및 이물질과의 염증 반응, 허혈, 관주액 노출 등에 의해 유착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조직의 유착은 대부분 외과 수술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장기의 기능 장애를 초래하여 비수술적 치료로 치료가 되지 않을 시 경우에 따라서는 유착 박리 재수술을 필요로 하며 생명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또한 환자에게 계속되는 불편감을 느끼게 하며 많은 합병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유착은 수술 부위 또는 수술이 시행되지 않은 부위에 생기는 경우인 유착이 없던 부위에 처음 발생하는 경우와 유착 제거술 이후 유착이 재발하는 경우인 재유착의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유착은 거의 인체의 모든 부분에서 일어나지만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복막 유착이나 장 유착으로 복부 수술 후 약 60~95%의 높은 발생 빈도를 보인다. 또한 유착은 합병증으로 인한 재수술 시 많은 비용이 발생하여 사회적 비용 측면에서도 커다란 부담이 되고 있으며, 미국의 통계 자료에 따르면 복부 수술 후 유착으로 인한 합병증의 치료에 사용된 비용이 약 13억 달러에 달한다고 보고되었다.
유착에 의한 합병증으로는 장폐색증, 장 천공, 소장폐쇄, 성기능 장애, 불임, 만성 통증 등이 있다. 이러한 조직 유착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정확한 조직의 박리, 수술 중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적절한 수술 방법, 조직 유착을 억제할 수 있는 다양한 약물 치료 및 물리적 장벽으로써 조직 유착의 억제가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유착 방지제 사용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수술 방법의 경우 유착 형성을 감소시킬 수는 있지만 완전히 예방할 수는 없으며, 다양한 약물 치료의 경우 체내에 쉽게 흡수되어 그 효능을 다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비해 유착 방지제의 경우 손상된 조직과 주변 조직과의 접촉을 차단시켜 수술 부위와 정상 조직 사이에 유착이 형성되는 것을 막아주는 물리적 장벽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다른 방법에 비해 우수한 효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있다.
유착 방지제는 독성이 적고 적용이 쉬우며 비용이 효과적인지의 여부가 중요한 요소가 된다. 대표적인 유착 방지제의 종류로는 필름, 용액 및 겔 형태 등이 있다. 다양한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소재로 한 멤브레인 같은 필름 형태의 제품이 이용되고 있는데, 비분해성 고분자와 분해성 고분자 등이 사용되고 있다. 많이 사용되는 고분자로는 polyethylene glycol-polypropylene glycol (PEG-PPG, Poloxamer), polyethylene glycol (PEG), Gore-Tex, carboxymethyl cellulose, polylacetic acid 등의 고분자가 많이 사용된다. 비분해성 고분자는 분리 기술이 뛰어나 유착 방지 효과가 뛰어나지만 체내에 이물질로 존재하여 염증을 유발시키거나 조직 재생의 장애요인이 되어 제거를 위한 재수술을 필요로 한다.
반면 분해성 고분자는 체내에서 분해되므로 별도의 제거가 필요하지 않으나 비분해성 고분자에 비해서는 성능이 떨어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필름 형태의 유착 방지제의 경우, 상대적으로 생체 조직에 잘 부착되지 않으며 유연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척추 수술 및 산부인과 등에 제한적으로 사용되며 미세한 형태의 상처 부위에는 도입이 어렵고 조직 내에서 이물질로 인식되어 서로 뭉쳐짐으로써 장기 유착 방지 효과가 미흡한 단점이 있다.
아울러 유착 방지막의 이동을 막기 위해 주변 조직과 봉합을 하는 과정에서 주변 조직의 봉합 부위에서 새로운 조직 유착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용액의 경우, 흡수가 빠른 장점이 있으나 흐름성이 있어 체내에서 흘러내려 상처에 정확히 도포되기 어려워 수술 부위에서 벗어나 복강 내에 전체적으로 퍼지게 되며 일찍 분해되는 경우가 있어 그 효능이 반감된다. 겔 형태는 국소화 되기 쉬우며 주사가 가능한 이점이 있는 반면, 상처가 치유되기 전에 체내에서 쉽게 분해되거나 흡수되어 체내에 머무르는 시간이 적어 유착 방지 효과를 제대로 나타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생체 내에서 이물 반응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하이드로겔을 기반으로 한 유착 방지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이드로겔은 수화 겔이라고도 하며 친수성과 소수성을 모두 갖을 수 있으며 물 속에서 녹지 않고 삼차원적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수술 후 합병증을 줄일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요인인 유착 방지를 위해 세심한 수술적 방법이나 유착 방지제 등 다양한 예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완벽한 유착 방지의 효과를 나타내는 재료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조직 유착 방지제로써 치유 기간 동안 체내에 존재하고 조직 유착의 억제 후 체내에서 분해 혹은 흡수될 수 있으며 적용 부위에 안정되게 점착되어 제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소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알지네이트,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및 염화칼슘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생체 적합성이 뛰어나고 유착 방지성이 우수하며 외과적 수술, 감염 및 외상으로 발생하는 유착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조직 유착 방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조직유착 방지용 조성물은 체내 온도에 의해 졸에서 겔로 전환되어 상처의 정확한 부위만 도포가 가능하여 기존 용액형태의 제품에서 볼 수 있는 다른 부위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저점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고점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알지네이트,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및 염화칼슘(CaCl2)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직유착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저점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점도(viscosity)는 50 내지 200 cps이고, 상기 고점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점도(viscosity)는 1,500 내지 3,000 cps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점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함유량은 0.1 내지 0.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3 중량%이 포함되며, 상기 저점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는 0.5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2 중량%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에서 알지네이트의 점도가 4 내지 12 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유착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함량은 0.2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6 중량%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가 17 내지 19 중량% 포함되는 조직유착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은 상기 염화칼슘(CaCl2)이 0.05 mol 농도 용액으로 0.8 내지 1.2 중량% 포함되는 조직유착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멸균증류수의 총량 중 87.5%의 양에 고점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혼합하고 교반속도가 80-100rpm이 되도록 교반하는 단계; (b)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를 첨가하는 단계; (c) 멸균증류수의 총량 중 12.5%의 양을 첨가하고 저점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첨가 및 교반하는 단계; (d) 알지네이트를 18 내지 23 ℃에서 첨가하고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 및 (e) 멤브레인 필터한 CaCl2 용액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직유착방지용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멸균증류수는 3차 증류수를 오토클레이브 멸균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pH 6~7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 단계에서는 상온에서 혼합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상온은 약 18 내지 25℃를 뜻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0℃를 유지하면서 첨가한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고점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는 점도(viscosity)가 1,500 내지 3,000 cps이고 0.1 내지 0.3 중량%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저점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는 점도가 50 내지 200 cps이고 함량은 0.8 내지 1.2 중량%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 단계에서 알지네이트는 점도가 4 내지 12 cps인 것이 바람직하고, 함량은 0.2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6 중량%를 첨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를 17 내지 19 중량% 첨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은 상기 염화칼슘(CaCl2)이 0.05 mol 농도 용액으로 0.8 내지 1.2 중량% 포함되는 조직유착방지용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유착 방지용 조성물은 원료 수급이 용이하고 원재료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여 시장 진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체내 온도에 의해 졸에서 겔로 전환되어 상처에 정확히 도포가 가능하여 기존 용액 타입의 제품과 같이 다른 부위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막아 유착 방지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최소 침습 수술법이나 복강경 수술 등에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온도에 따라 조직유착방지용 조성물의 점도변화를 나타낸다.
도 2는 조직유착방지제의 조성에 따라 유착이 일어나지 않은 경우, 하나의 얇은 필름형 유착이 발생한 경우, 둘 이상의 필름형 유착이 발생한 경우, 점상의 집중화된 두꺼운 유착이 발생하여 상당한 압력이 있어야 분리할 수 있는 경우의 동물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동물의 장기 조직에 유착방지용 조성물을 적용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4는 동물의 장기 조직에 유착방지용 조성물이 적용된 후의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많은 특정 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조직 유착 방지"란 염증, 창상, 마찰, 수술 등에 의한 창상 등 으로 조직 손상이 발생하여 생긴 상처의 치유과정에서 섬유조직이 과도하게 생성되거나, 혈액이 유출되어 응고하여 서로 분리되어 있어야 할 주변 장기 또는 조직이 서로 달라붙는 현상인 유착을 방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조직 주변의 혈관조직이 손상을 입어 혈액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가지 호르몬과 사이토카인들에 의해 혈관내피세포, 섬유아세포, 근육섬유세포들이 성장하여 콜라겐을 중심으로 조직의 수복을 위해 엉키면서 발생하는 것을 저해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는 실온에서는 졸 형태이고 체온에서 겔 형태로 바뀌는 사용편의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온도에 따라 점도의 변화를 유도하는 요소로서 사용되었으며, 상용화된 제품으로 플루로닉 F127(Pluronic F127, (EO99PO65EO99, Mw 12,500; BASF, USA))를 사용할 수 있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는 셀룰로오스 분자의 단위에 글리콜산 에테르기를 도입한 것으로서, 점성 및 ~90,000 달톤 (Da)의 분자량을 갖는 반합성 친수성 셀룰로오스 유도체로, 과립 또는 섬유질 분말이며 흰색, 노란색, 회색빛을 보이고 약간의 습흡성, 무취 및 무미한 특성을 갖는다. 이는 생체내 저항성이 월등한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는 단독, 또는 유화제와 맞추어서 안정제, 점성제로 사용하고 로션, 화장품유제, 안과용 연고기제, 점안제, 주사제, 시럽제 등에 응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유착방지의 주요성분으로 사용하였으며, 상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는 저점도와 고점도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고점도 CMC는 1% 수용액으로 1,500~3,000 cps의 점도를 지니고 있는 것을 뜻하며, 저점도 CMC는 4% 수용액 점도가 50~200 cps를 갖는 것을 뜻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점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와 저점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혼합하여 사용함에 있어 그 혼합순서에 따라 물성이 변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는 나트륨염, 칼슘염 또는 아연염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알지네이트 (alginate)는 4~12 cps의 low viscosity를 갖으며 β-D-마누론산 (β-D-mannuronic acid)과 α-D-마누론산 (α-D-mannuronic acid) 사슬로 구성되어 있는 알지닉 산이 주성분일 수 있다. 10,000~600,000 달톤 (Da)의 분자량을 가지며 흰색, 노란색을 띄는 파우더 형태이다. 주로 지혈작용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서도 지혈효과를 위한 성분으로 부가된 구성이다. 상기 알지네이트는 알긴산나트륨, 알긴산칼슘, 알긴산칼륨 등의 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CaCl2 (Cacium chloride)는 칼슘과 염소로 이루어진 흰 빛깔의 결정 구조를 가진 염으로 습기를 흡수하는 성질이 있으며 110 달톤 (Da)의 분쟈량을 갖는다. 점도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구성성분으로 첨가되었으며 염화칼슘의 첨가량에 따라 전체 조성물의 점도를 변화시킬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는 저점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와 고점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혼합순서와 농도, 함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순서대로 혼합하였을 경우 생체내 적용시 적절한 점성과 주요 구성성분인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의 LCST, 출혈정도 등의 요구되는 물성 및 특성을 최적화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조성물 제조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68.95 % water 7/8 (689.5 g)을 첨가하고 80-100 rpm으로 교반한 후, 0.2 % 고점도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SCMC-high viscosity) (2.0 g)을 첨가하고 80-100 rpm으로 교반하였다. 이 때 하이드로 겔이 형성되지 않도록 주의하며 팽창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18.5 %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185.0 g)을 첨가하고 80-100 rpm으로 교반시킨다. 15% 이하일 때는 겔이 형성되지 않으며 온도가 낮을수록 (20 ℃ 이하) 잘 녹는다. 20 ℃ 이하에서는 다른 원료가 녹지 않는 특성이 있다. 팽창되지 않은 상태에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9.85 % water 1/8 (98.5 g)을 첨가하고 80-100 rpm으로 교반한다. 이 때 water는 최대 +0.5 %까지 추가가 가능하다. 1% SCMC (low viscosity) (10.0 g)을 첨가하고 80-100 rpm으로 교반시킨다. 총 SCMC 비율은 1.0-1.2 %이며 팽창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0.5 % Sodium Alginate (5.0 g)를 첨가하고 80-100 rpm으로 교반한다. 온도가 낮으면 잘 녹지 않으며 20 ℃를 유지한다. 용액이 백색의 불투명한 상태에서 미황색의 투명한 상태로 변화 시 점도가 증가하며 투명해지면 다음 단계를 진행한다. 기포 제거 후, 빠른 속도로 교반하면서 1.0% CaCl2 (10.0 g, 0.05 mol)를 천천히 투입한다.가교 반응을 시킨 후에 반응이 완료되면 멤브레인 필터 후 사용한다.
<실시예 2-6>
상기 실시예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고, 각 성분의 함량을 달리하여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2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의 첨가를 저점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와 고점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먼저 혼합한 후 첨가하여 순서를 달리하였다. 각 실시예에서 각 성분의 함량은 하기 표과 같다.
고점도 CMC PEO-PPO 공중합체 저점도 CMC 알긴산나트륨 0.05 mol 염화칼슘 멸균증류수
중량%
실시예 1 0.2 18.5 1.0 0.5 1.0 78.8
실시예 2 0.2 18.5 1.0 0.5 1.0 78.8
실시예 3 0.3 18 1.2 0.6 1.0 78.9
실시예 4 0.1 19 1.2 0.4 0.9 78.4
실시예 5 0.4 20 1.5 0.6 - 77.5
실시예 6 1.3 18.5 - 0.7 1.2 78.3
<실시예 2>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최적 배합비 측정
일반적으로 온도 감응성 고분자(temperature-responsive polymer)는 외부 온도에 따라서 그 성질이 바뀌는 고분자로서 특정 온도에서 가역적인 졸-겔 상전이(sol-gel phase transition) 또는 부피 상전이(volume phase transition)가 일어난다. 졸-겔 상전이 시스템은 온도로 인해 물리적으로 수화 겔 (hydrogel)을 형성하는 시스템으로서 가역적인 상전이 현상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상전이가 나타나는 온도를 임계 용해 온도(critical solution temperature)라 하고 상전이에 대한 농도-온도 다이어그램에서 가장 낮은 상전이 온도를 아래 임계용해 온도(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LCST) 라 하고 높은 상전이 온도를 위 임계용해 온도(upp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UCST)라고 정의한다. UCST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이기 때문에 약물이나 생분자의 성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한계가 있어 대부분의 약물전달에서는 LCST 시스템이 더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플루로닉 F-127)의 농도에 따른 LCST 변화를 관찰한 결과 F-127의 농도는 일반적인 상온에서 LCST를 갖는 17 내지 19 중량%가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8%~18.5 중량% 배합비가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기 표 2 참고)
농도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17도 - 585 - 671 806 836 748 993 1268 -
20도 535 605 562 719 877 967 985 1278 1772 1760
23도 548 686 706 931 962 1225 1132 1849 3751 2551
26도 667 829 1011 1373 1139 1966 1564 3836 - 7680
29도 906 1127 1955 2757 1782 3787 3072 - - -
32도 1468 2200 - - 3827 - - - - -
Density
(g/cm3)
1.0982 1.0668 1.0580 1.0495 1.0618 1.0961 1.0800 1.0698 1.0483 1.1099
PH 6.62 6.62 7.05 6.85 7.07 6.93 7.04 6.92 6.99 7.12
LCST 29 26 25 23 22 21 20 19 18 17
<실시예 3> 동물실험
유착방지 실험에 사용한 동물모델로 Sprague-Dawely rat은 5주령의 수컷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1주일 동안 주위 환경에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물과 사료를 자유롭게 공급하며 실내 온도 23±2 ℃와 습도 55±5%를 유지했으며, 광주기와 암주기를 12시간으로 조절하였다. 실험동물의 마취를 위해 zoletil (체중 100 g 당 5 mg)과 Ronpun (체중 100 g 당 5 mg)을 허벅지 근육에 주사하였다. 마취가 되면 복부를 포비돈과 알코올로 소독한 다음 중앙선을 따라 3~4 cm 개복술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맹장을 꺼내어 1×1 ㎠ 크기로 사포를 이용하여 출혈이 일어날 정도로 장막에 손상을 가하고, 마주 보이는 복막에 같은 크기로 사포로 손상을 가하였다. 대조군인 경우에는 별도의 조치 없이, 실험군의 경우에는 각각의 유착 방지용 하이드로겔을 주입하고, 복강막을 연속봉합방법에 의하여 봉합하고, 피부도 마찬가지로 봉합하였다. 마지막으로 페니실린을 0.5 ml 씩 주사하였다. 수술이 끝난 동물은 물과 먹이를 충분히 주면서 1주간 키운 후 희생시켜 유착의 정도를 평가하였다. 유착의 정도에 대한 평가는 각 군에서 유착의 정도와 유착의 세기를 하기 표의 기준에 따라 구분하여 평가하였으며, 전체적인 유착의 크기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유착면의 분리시 떨어지는 세기 분류>
등급 정의 Vascularity
0 유착이 일어나지 않음 No
1 하나의 얇은 필름형 유착이 발생되며 매우 약한 힘으로도 떨어짐 No bleeding
2 둘 이상의 필름형 유착이 발생하며 중간 정도의 힘이 요구됨 Petechial bleeding
3 점상의 집중화된 두꺼운 유착이 발생되며 상당한 압력이 걸려야 분리할 수 있음 Bleeding that required suture
유착의 강도 유착의 면적(㎠) 유착면적 감소율(%)
실시예 1 0.19±1.81* 0.07±0.06* 80.5
실시예 2 0.95±1.81* 0.20±0.06* 75.7
실시예 3 0.70±1.81* 0.15±0.15* 80.0
실시예 4 0.89±1.81* 0.15±0.15* 80.0
실시예 5 2.80±1.81* 0.60±0.16* 45.5
실시예 6 2.50±1.81* 0.79±0.18* 55.4
대조군** 1.17±2.99* 0.81±0.07* 0
* p<0.05 Versus None
** 대조군은 멸균수 처리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해 실시예 1의 조직 유착이 감소됨을 확인하였으며, 조성물의 구성성분 함량비가 동일하고 저점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와 고점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혼합 순서가 상이한 실시예 1과 2를 비교하여 보았을때,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실시예 1에 의한 유착면적이 상대적으로 적고 유착의 강도 또한 매우 낮아 유착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 내지 4의 경우도 비록 실시예 1에 비하여 유착 강도 및 면적의 값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왔으나, 최적의 배합비의 범위에 포함되는 구성으로 조합되었기에 유착방지제로 사용하기에 적절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5 및 실시예 6의 경우를 보았을 때,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두가지 종류 사용한 경우(실시예 1-4)와 알지네이트 사용 유무에 따른 효과의 차이를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착의 정도를 측정하였고,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유착이 전혀 발생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나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저점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고점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알지네이트,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및 CaCl2를 포함하는 조직유착방지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점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점도(viscosity)는 50 내지 200 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유착방지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점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점도(viscosity)는 1,500 내지 3,000 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유착방지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지네이트는 점도가 4 내지 12 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유착방지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점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0.1 내지 0.3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유착방지용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점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0.8 내지 1.2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유착방지용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가 17 내지 19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유착방지용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지네이트를 0.3 내지 0.6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유착방지용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칼슘(CaCl2)는 0.05mol 농도 용액으로 0.8 내지 1.2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유착방지용 조성물
  10. (a) 멸균증류수의 총량 중 87.5%의 양에 고점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혼합하고 교반속도가 80-100rpm이 되도록 교반하는 단계;
    (b)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를 첨가하는 단계;
    (c) 멸균증류수의 총량 중 12.5%의 양을 첨가하고 저점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첨가 및 교반하는 단계;
    (d) 알지네이트를 18 내지 23 ℃에서 첨가하고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
    및 (e) 멤브레인 필터한 CaCl2 용액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직유착방지용 조성물 제조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점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는 0.1 내지 0.3 중량%, 상기 저점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는 0.8 내지 1.2 중량%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유착방지용 조성물 제조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가 17 내지 19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유착방지용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160012853A 2016-02-02 2016-02-02 조직 유착 방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99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853A KR101799534B1 (ko) 2016-02-02 2016-02-02 조직 유착 방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853A KR101799534B1 (ko) 2016-02-02 2016-02-02 조직 유착 방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932A true KR20170091932A (ko) 2017-08-10
KR101799534B1 KR101799534B1 (ko) 2017-11-20

Family

ID=59652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853A KR101799534B1 (ko) 2016-02-02 2016-02-02 조직 유착 방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5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921A (ko) 2018-01-05 2019-07-1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직 유착방지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38119A (ko) 2020-11-30 2020-12-0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직 유착방지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921A (ko) 2018-01-05 2019-07-1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직 유착방지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38119A (ko) 2020-11-30 2020-12-0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직 유착방지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9534B1 (ko) 2017-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63459B2 (ja) 癒着予防のためのハイドロゲル膜
ES2311455T3 (es) Composiciones de poliacidos, de polimeros no ionicos de monomeros de oxido de alquileno y cationes multivalentes y su utilizacion para la reduccion de adherencias.
KR101452041B1 (ko) 유착방지재 및 유착방지 방법
US10105387B2 (en) Temperature sensitive adhesion prevention composition and use thereof
US20130252921A1 (en) Adhesion barrier containing hyaluronic acids and l-arginine
KR102444452B1 (ko) 온도 감응성 고분자 조성물
CN107519541B (zh) 一种预防腹腔术后粘连的水凝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22546512A (ja) 温度感応型組織癒着防止用ハイドロゲル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65881B1 (ko) 생체적합성 공중합체를 이용한 조직유착 방지제
KR101799534B1 (ko) 조직 유착 방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5768497A (zh) 抗粘连聚合物组合物
KR101668349B1 (ko) 유착 방지제
KR101869280B1 (ko)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포함하는 조직 유착 방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45885B1 (ko) 입자형 무세포 진피 기반의 온도감응성 유착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US20190269820A1 (en) Biological adhesives and sealant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116271265A (zh) 一种预防术后组织粘连的温敏型水凝胶及其制备方法
KR20160131423A (ko)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포함하는 조직 유착 방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46770A (ko) 굴곡형 히알루론산 피복제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