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1832A -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1832A
KR20170091832A KR1020160012395A KR20160012395A KR20170091832A KR 20170091832 A KR20170091832 A KR 20170091832A KR 1020160012395 A KR1020160012395 A KR 1020160012395A KR 20160012395 A KR20160012395 A KR 20160012395A KR 20170091832 A KR20170091832 A KR 20170091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devices
data
memory
program
b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성
김진웅
이종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2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1832A/ko
Priority to TW105119883A priority patent/TWI699770B/zh
Priority to US15/204,401 priority patent/US9984001B2/en
Priority to CN201610581722.XA priority patent/CN107025065B/zh
Publication of KR20170091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18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29Configuration or reconfiguration of storage systems
    • G06F3/0631Configuration or reconfiguration of storage systems by allocating resources to storag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1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memory bus
    • G06F13/1668Details of memory controller
    • G06F13/1673Details of memory controller using buff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8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in hierarchically structured memory systems, e.g. virtual memory systems
    • G06F12/0802Addressing of a memory level in which the access to the desired data or data block requires associative addressing means, e.g. caches
    • G06F12/0866Addressing of a memory level in which the access to the desired data or data block requires associative addressing means, e.g. caches for peripheral storage systems, e.g. disk cache
    • G06F12/0868Data transfer between cache memory and other subsystems, e.g. storage devices or hos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223User address space allocation, e.g. contiguous or non contiguous base addressing
    • G06F12/023Free address space management
    • G06F12/0238Memory management in non-volatile memory, e.g. resistive RAM or ferroelectric memory
    • G06F12/0246Memory management in non-volatile memory, e.g. resistive RAM or ferroelectric memory in block erasable memory, e.g. flash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6Addressing a physical block of locations, e.g. base addressing, module addressing, memory dedication
    • G06F12/0607Interleaved addr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8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in hierarchically structured memory systems, e.g. virtual memory systems
    • G06F12/0802Addressing of a memory level in which the access to the desired data or data block requires associative addressing means, e.g. caches
    • G06F12/0877Cache access modes
    • G06F12/0882Page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1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memory bus
    • G06F13/1605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memory bus based on arbitration
    • G06F13/1652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memory bus based on arbitration in a multiprocessor architecture
    • G06F13/1657Access to multiple mem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55Vertical data movement, i.e. input-output transfer; data movement between one or more hosts and one or more storage devices
    • G06F3/0656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06F3/0679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g. flash memory, one time programmable memory [OTP]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08Address circuits; Decoders; Word-line control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8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in hierarchically structured memory systems, e.g. virtual memory systems
    • G06F12/0802Addressing of a memory level in which the access to the desired data or data block requires associative addressing means, e.g. caches
    • G06F12/0804Addressing of a memory level in which the access to the desired data or data block requires associative addressing means, e.g. caches with main memory upd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10Providing a specific technical effect
    • G06F2212/1016Performance improvement
    • G06F2212/1021Hit rate improv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0Employing a main memory using a specific memory technology
    • G06F2212/202Non-volatile memory
    • G06F2212/2022Flash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8Using a specific disk cache architecture
    • G06F2212/281Single cach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31Providing disk cache in a specific location of a storage system
    • G06F2212/312In storage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60Details of cache memory
    • G06F2212/608Details relating to cache ma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72Details relating to flash memory management
    • G06F2212/7203Temporary buffering, e.g. using volatile buffer or dedicated buffer blo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28DMA
    • G06F2213/2806Space or buffer allocation for DMA transf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ad Only Memory (AREA)

Abstract

본 기술은 멀티 레벨 셀을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데이터 입/출력 동작에 관한 것으로서, M비트(M은 2이상의 정수임) 멀티레벨 셀과 M비트 멀티버퍼 및 전달버퍼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및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및 상기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으로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캐싱하기 위한 캐시메모리; 및 프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에 프로그램시키기 위해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가 상기 캐시메모리에 M비트씩 캐싱될 때마다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중 선택된 하나의 제1 메모리 장치의 M비트 멀티버퍼로 상기 캐시메모리에 캐싱된 M비트 데이터를 이동시키되,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의 입력이 끝나거나 또는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가 가득 찰 때까지,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에서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필수준비동작만 시작하고 보조준비동작을 시작하지 않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MEMORY SYSTEM AND OPERATION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설계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멀티 레벨 셀을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데이터 입/출력 동작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 환경에 대한 패러다임(paradigm)이 언제, 어디서나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로 인해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는 일반적으로 메모리 장치를 이용하는 메모리 시스템, 다시 말해 데이터 저장 장치를 사용한다. 데이터 저장 장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주 기억 장치 또는 보조 기억 장치로 사용된다.
메모리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 장치는 기계적인 구동부가 없어서 안정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며, 또한 정보의 액세스 속도가 매우 빠르고 전력 소모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을 갖는 메모리 시스템의 일 예로 데이터 저장 장치는,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장치,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메모리 카드,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Solid State Drive)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다수의 메모리 장치에 프로그램하는 동작이 시작된 이후, 갑작스럽게 프로그램 동작을 대기 또는 중단시켜야 하는 경우에도 매우 빠르고 안정적으로 프로그램 동작을 대기 또는 중단시킬 수 있는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은, M비트(M은 2이상의 정수임) 멀티레벨 셀과 M비트 멀티버퍼 및 전달버퍼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및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및 상기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으로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캐싱하기 위한 캐시메모리; 및 프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에 프로그램시키기 위해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가 상기 캐시메모리에 M비트씩 캐싱될 때마다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중 선택된 하나의 제1 메모리 장치의 M비트 멀티버퍼로 상기 캐시메모리에 캐싱된 M비트 데이터를 이동시키되,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의 입력이 끝나거나 또는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가 가득 찰 때까지,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에서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필수준비동작만 시작하고 보조준비동작을 시작하지 않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에 프로그램시키기 위해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가 상기 캐시메모리에 M비트씩 캐싱될 때마다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중 선택된 하나의 제2 메모리 장치의 M비트 멀티버퍼로 상기 캐시메모리에 캐싱된 M비트 데이터를 이동시키되,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의 입력이 끝나거나 또는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가 가득 찰 때까지,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필수준비동작만 시작하고 보조준비동작을 시작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에 프로그램시킬 때,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의 입력이 끝난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가 가득 찬 것으로 확인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보조준비동작을 시작하고, 이어서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전달버퍼를 통해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셀에 원-샷 프로그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에 프로그램시킬 때,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의 입력이 끝난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가 가득 찬 것으로 확인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보조준비동작을 시작하고, 이어서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전달버퍼를 통해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셀에 원-샷 프로그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필수준비동작은,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의 멀티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정렬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보조준비동작은, 상기 정렬하는 동작을 통해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의 멀티버퍼에 정렬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하는 동작을 통해 확인된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셀에 원-샷 프로그램할 때 사용되는 전압을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에 프로그램시킬 때,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의 입력이 끝나지 않은 상태 또는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가 가득 차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에 대한 리드 동작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각각의 M비트 셀로부터 리드 데이터를 1비트씩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전달버퍼로 리드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에 프로그램시킬 때,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의 입력이 끝나지 않은 상태 또는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가 가득 차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에 대한 리드 동작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각각의 M비트 셀로부터 리드 데이터를 1비트씩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전달버퍼로 리드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에서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보조준비동작이 시작된 이후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M비트 멀티레벨 셀에 원-샷 프로그램하는 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에서,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에서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필수준비동작만 시작하고 보조준비동작을 시작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에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에서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보조준비동작이 시작된 이후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M비트 멀티레벨 셀에 원-샷 프로그램하는 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에서,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에서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필수준비동작만 시작하고 보조준비동작을 시작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에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에 프로그램시킬 때,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의 입력이 끝나지 않은 상태 또는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가 가득 차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에 대한 리드 동작 요구에 의해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리드 데이터는, 호스트의 요구에 의해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로부터 출력이 요청된 데이터 또는 가비지 컬렉션 동작과정에서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희생블록에 저장되어 있던 유효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는, 호스트의 요구에 의해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에 저장이 요청된 데이터 또는 가비지 컬렉션 동작과정에서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타겟블록으로 저장 예정인 유효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은, M비트(M은 2이상의 정수임) 멀티레벨 셀과 M비트 멀티버퍼 및 전달버퍼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및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및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및 상기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으로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캐싱하기 위한 캐시메모리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에 프로그램시키기 위해 프로그램 데이터가 상기 캐시메모리에 M비트씩 캐싱될 때마다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중 선택된 하나의 제1 메모리 장치의 M비트 멀티버퍼로 상기 캐시메모리에 캐싱된 M비트 데이터를 이동시키는 제1 이동단계; 및 상기 제1 이동단계를 통해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가 모두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에 저장되거나 또는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가 가득 찰 때까지,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필수준비동작만 시작하고 보조준비동작을 시작하지 않는 제1 준비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에 프로그램시키기 위해 프로그램 데이터가 상기 캐시메모리에 M비트씩 캐싱될 때마다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중 선택된 하나의 제2 메모리 장치의 M비트 멀티버퍼로 상기 캐시메모리에 캐싱된 M비트 데이터를 이동시키는 제2 이동단계; 및 상기 제2 이동단계를 통해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가 모두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에 저장되거나 또는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가 가득 찰 때까지,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필수준비동작만 시작하고 보조준비동작을 시작하지 않는 제2 준비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동단계를 통해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가 모두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에 저장된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가 가득 찬 것으로 확인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보조준비동작을 시작하는 제1 시작단계; 및 상기 제1 시작단계 이후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전달버퍼를 통해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셀에 원-샷 프로그램하는 제1 원-샷 프로그램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이동단계를 통해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가 모두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에 저장된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가 가득 찬 것으로 확인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보조준비동작을 시작하는 제2 시작단계; 및 상기 제2 시작단계 이후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전달버퍼를 통해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셀에 원-샷 프로그램하는 제2 원-샷 프로그램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필수준비동작은,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의 멀티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정렬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보조준비동작은, 상기 정렬하는 동작을 통해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의 멀티버퍼에 정렬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하는 동작을 통해 확인된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셀에 원-샷 프로그램할 때 사용되는 전압을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동단계를 통해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가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에 저장하는 동작이 수행중인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에 대한 리드 동작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각각의 M비트 셀로부터 리드 데이터를 1비트씩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전달버퍼로 리드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이동단계를 통해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가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에 저장하는 동작이 수행중인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에 대한 리드 동작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각각의 M비트 셀로부터 리드 데이터를 1비트씩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전달버퍼로 리드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원-샷 프로그램 단계가 수행되는 구간에서 상기 제2 시작단계 및 상기 제2 준비단계가 수행되고, 상기 제2 원-샷 프로그램 단계가 수행되는 구간에서 상기 제1 시작단계 및 상기 제1 준비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이동단계를 통해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가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에 저장하는 동작이 수행중인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에 대한 리드 동작 요구에 의해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리드 데이터는, 호스트의 요구에 의해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로부터 출력이 요청된 데이터 또는 가비지 컬렉션 동작과정에서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희생블록에 저장되어 있던 유효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는, 호스트의 요구에 의해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에 저장이 요청된 데이터 또는 가비지 컬렉션 동작과정에서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타겟블록으로 저장 예정인 유효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기술은 프로그램 데이터를 다수의 메모리 장치에 프로그램시킬 때, 다수의 메모리 장치의 모든 페이지 버퍼에 프로그램 데이터가 버퍼링될 때까지 다수의 메모리 장치 각각에서 프로그램 준비동작이 시작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 데이터를 다수의 메모리 장치에 프로그램하는 동작이 시작된 이후, 다수의 메모리 장치의 모든 페이지 버퍼에 프로그램 데이터가 버퍼링되기 전에 갑작스럽게 프로그램 동작을 대기 또는 중단시켜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다수의 메모리 장치 각각에 대한 프로그램 준비동작을 취소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매우 빠르고 안정적으로 프로그램 동작을 대기 또는 중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에서 메모리 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에서 메모리 블록들의 메모리 셀 어레이 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에서 메모리 장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참고하여 다수의 메모리 장치가 포함된 메모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다수의 메모리 장치 각각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다수의 메모리 장치 각각에서 일반적인 프로그램 동작이 수행될 때, 프로그램 동작 중 갑자기 프로그램 동작이 대기 또는 중단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타이밍 다이어그램.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다수의 메모리 장치 각각에서 본 발명의 특징적인 프로그램 동작이 수행될 때, 프로그램 동작 중 갑자기 프로그램 동작이 대기 또는 중단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타이밍 다이어그램.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징적인 프로그램 동작이 수행될 때, 프로그램 대상이 되는 메모리 장치 내부의 버퍼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7 및 도 18은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프로그램 동작이 적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데이터 처리 시스템(100)은, 호스트(Host)(102) 및 메모리 시스템(110)을 포함한다.
그리고, 호스트(102)는, 예컨대, 휴대폰, MP3 플레이어, 랩탑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들,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 게임기, TV, 프로젝터 등과 같은 전자 장치들을 포함한다.
또한, 메모리 시스템(110)은, 호스트(102)의 요청에 응답하여 동작하며, 특히 호스트(102)에 의해서 액세스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다시 말해, 메모리 시스템(110)은, 호스트(102)의 주 기억 장치 또는 보조 기억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시스템(110)은 호스트(102)와 연결되는 호스트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저장 장치들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 시스템(110)은,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Solid State Drive), MMC, eMMC(embedded MMC), RS-MMC(Reduced Size MMC), micro-MMC 형태의 멀티 미디어 카드(MMC: Multi Media Card), SD, mini-SD, micro-SD 형태의 시큐어 디지털(SD: Secure Digital) 카드, USB(Universal Storage Bus) 저장 장치, UFS(Universal Flash Storage) 장치, CF(Compact Flash) 카드, 스마트 미디어(Smart Media) 카드,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저장 장치들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메모리 시스템(110)을 구현하는 저장 장치들은,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장치와 ROM(Read Only Memory), MROM(Mask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ROM), FRAM(Ferromagnetic ROM), PRAM(Phase change RAM), MRAM(Magnetic RAM), RRAM(Resistive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 시스템(110)은, 호스트(102)에 의해서 액세스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150), 및 메모리 장치(150)로의 데이터 저장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컨트롤러(130) 및 메모리 장치(150)는 하나의 반도체 장치로 집적될 수 있다. 일 예로, 컨트롤러(130) 및 메모리 장치(150)는 하나의 반도체 장치로 집적되어 SSD를 구성할 수 있다. 메모리 시스템(110)이 SSD로 이용되는 경우, 메모리 시스템(110)에 연결되는 호스트(102)의 동작 속도는 획기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컨트롤러(130) 및 메모리 장치(150)는 하나의 반도체 장치로 집적되어, 메모리 카드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130) 및 메모리 장치(150)는, 하나의 반도체 장치로 집적되어, PC 카드(PCMCIA: 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 컴팩트 플래시 카드(CF), 스마트 미디어 카드(SM, SMC), 메모리 스틱, 멀티미디어 카드(MMC, RS-MMC, MMCmicro), SD 카드(SD, miniSD, microSD, SDHC), 유니버설 플래시 기억 장치(UFS) 등과 같은 메모리 카드를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메모리 시스템(110)은, 컴퓨터, UMPC (Ultra Mobile PC), 워크스테이션, 넷북(net-book),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포터블(portable) 컴퓨터, 웹 타블렛(web tablet),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무선 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e-북(e-book),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블랙박스(black box),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3차원 텔레비전(3-dimensional television), 스마트 텔레비전(smart television),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영상 녹화기(digital picture recorder), 디지털 영상 재생기(digital picture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데이터 센터를 구성하는 스토리지, 정보를 무선 환경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 중 하나, 컴퓨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 중 하나, 텔레매틱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 중 하나, RFID 장치, 또는 컴퓨팅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 중 하나 등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 시스템(110)의 메모리 장치(150)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라이트(write) 동작을 통해 호스트(102)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리드(read) 동작을 통해 저장된 데이터를 호스트(102)로 제공한다. 그리고, 메모리 장치(150)는, 복수의 메모리 블록(memory block)들(152,154,156)을 포함하며, 각각의 메모리 블록들은, 복수의 페이지들(pages)을 포함하며, 또한 각각의 페이지들은, 복수의 워드라인(WL: Word Line)들이 연결된 복수의 메모리 셀들을 포함한다. 또한, 메모리 장치(150)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일 예로 플래시 메모리가 될 수 있으며, 이때 플래시 메모리는 3D 입체 스택(stack) 구조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장치(150)의 구조 및 메모리 장치(150)의 3D 입체 스택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할 예정임으로, 여기서는 그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메모리 시스템(110)의 컨트롤러(130)는, 호스트(102)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메모리 장치(150)를 제어한다. 예컨대, 컨트롤러(130)는, 메모리 장치(150)로부터 리드된 데이터를 호스트(102)로 제공하고, 호스트(102)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메모리 장치(150)에 저장하며, 이를 위해 컨트롤러(130)는, 메모리 장치(150)의 리드, 라이트, 프로그램(program), 이레이즈(erase)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컨트롤러(130)는, 호스트 인터페이스(Host I/F) 유닛(132), 프로세서(Processor)(134), 에러 정정 코드(ECC: Error Correction Code) 유닛(138), 파워 관리 유닛(PMU: Power Management Unit)(140), 낸드 플래시 컨트롤러(NFC: NAND Flash Controller)(142), 및 메모리(Memory)(144)를 포함한다.
또한, 호스트 인터페이스 유닛(134)은, 호스트(102)의 커맨드(command) 및 데이터를 처리하며, USB(Universal Serial Bus), MMC(Multi-Media Card), PCI-E(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Express), SAS(Serial-attached SCSI), SATA(Seria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PATA(Paralle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ESDI(Enhanced Small Disk Interface), IDE(Integrated Drive Electronics) 등과 같은 다양한 인터페이스 프로토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호스트(102)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ECC 유닛(138)은, 메모리 장치(150)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드할 경우, 메모리 장치(150)로부터 리드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에러를 검출 및 정정한다. 다시 말해, ECC 유닛(138)은, 메모리 장치(150)로부터 리드한 데이터에 대하여 에러 정정 디코딩을 수행한 후, 에러 정정 디코딩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지시 신호를 출력하며, ECC 인코딩 과정에서 생성된 패리티(parity) 비트를 사용하여 리드된 데이터의 에러 비트를 정정할 수 있다. 이때, ECC 유닛(138)은, 에러 비트 개수가 정정 가능한 에러 비트 한계치 이상 발생하면, 에러 비트를 정정할 수 없으며, 에러 비트를 정정하지 못함에 상응하는 에러 정정 실패(fail)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ECC 유닛(138)은,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code, BCH(Bose, Chaudhri, Hocquenghem) code, turbo code, 리드-솔로몬 코드(Reed-Solomon code), convolution code, RSC(recursive systematic code), TCM(trellis-coded modulation), BCM(Block coded modulation) 등의 코디드 모듈레이션(coded modulation)을 사용하여 에러 정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ECC 유닛(138)는 오류 정정을 위한 회로, 시스템 또는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PMU(140)는, 컨트롤러(130)의 파워, 즉 컨트롤러(13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의 파워를 제공 및 관리한다.
또한, NFC(142)는, 컨트롤러(130)가 호스트(102)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메모리 장치(150)를 제어하기 위해, 컨트롤러(130)와 메모리 장치(150) 간의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로서, 메모리 장치(150)이 플래시 메모리, 특히 일 예로 메모리 장치(150)이 낸드 플래시 메모리일 경우에, 프로세서(134)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 장치(150)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데이터를 처리한다.
아울러, 메모리(144)는, 메모리 시스템(110) 및 컨트롤러(130)의 동작 메모리로, 메모리 시스템(110) 및 컨트롤러(130)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메모리(144)는, 컨트롤러(130)가 호스트(102)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메모리 장치(150)를 제어, 예컨대 컨트롤러(130)가, 메모리 장치(150)로부터 리드된 데이터를 호스트(102)로 제공하고, 호스트(102)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메모리 장치(150)에 저장하며, 이를 위해 컨트롤러(130)가, 메모리 장치(150)의 리드, 라이트, 프로그램, 이레이즈(erase) 등의 동작을 제어할 경우, 이러한 동작을 메모리 시스템(110), 즉 컨트롤러(130)와 메모리 장치(150) 간이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메모리(144)는,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또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4)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호스트(102)와 메모리 장치(150) 간 데이터 라이트 및 리드 등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및 데이터 라이트 및 리드 등의 동작 수행 시의 데이터를 저장하며, 이러한 데이터 저장을 위해,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 라이트 버퍼, 리드 버퍼, 맵(map) 버퍼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34)는, 메모리 시스템(11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며, 호스트(102)로부터의 라이트 요청 또는 리드 요청에 응답하여, 메모리 장치(150)에 대한 라이트 동작 또는 리드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프로세서(134)는, 메모리 시스템(11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플래시 변환 계층(FTL: Flash Translation Layer, 이하 'FTL'이라 칭하기로 함)이라 불리는 펌웨어(firmware)를 구동한다. 또한, 프로세서(134)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중앙 처리 장치(CPU)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4)에는, 메모리 장치(150)의 배드 관리(bad management), 예컨대 배드 블록 관리(bad block management)를 수행하기 위한 관리 유닛(도시하지 않음)이 포함되며, 관리 유닛은, 메모리 장치(150)에 포함된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에서 배드 블록(bad block)을 확인한 후, 확인된 배드 블록을 배드 처리하는 배드 블록 관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배드 관리, 다시 말해 배드 블록 관리는, 메모리 장치(150)가 플래쉬 메모리, 예컨대 낸드 플래시 메모리일 경우, 낸드의 특성으로 인해 데이터 라이트, 예컨대 데이터 프로그램(program) 시에 프로그램 실패(program fail)이 발생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실패가 발생한 메모리 블록을 배드(bad) 처리한 후, 프로그램 실패된 데이터를 새로운 메모리 블록에 라이트, 즉 프로그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메모리 장치(150)가 3D 입체 스택 구조를 가질 경우에는, 프로그램 실패에 따라 해당 블록을 배드 블록으로 처리할 경우, 메모리 장치(150)의 사용 효율 및 메모리 시스템(100)의 신뢰성이 급격하게 저하되므로, 보다 신뢰성 있는 배드 블록 관리 수행이 필요하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메모리 장치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에서 메모리 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에서 메모리 블록들의 메모리 셀 어레이 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에서 메모리 장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메모리 장치가 3차원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로 구현될 경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메모리 장치(150)는,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 예컨대 블록0(Block0)(210), 블록1(Block1)(220), 블록2(Block2)(230), 및 블록N-1(BlockN-1)(240)을 포함하며, 각각의 블록들(210,220,230,240)은, 복수의 페이지들(Pages), 예컨대 2M개의 페이지들(2MPages)을 포함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이 각각 2M개의 페이지들을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복수의 메모리들은, 각각 M개의 페이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각각의 페이지들은, 복수의 워드라인(WL: Word Line)들이 연결된 복수의 메모리 셀들을 포함한다.
또한, 메모리 장치(150)는,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을, 하나의 메모리 셀에 저장 또는 표현할 수 있는 비트의 수에 따라, 단일 레벨 셀(SLC: Single Level Cell) 메모리 블록 및 멀티 레벨 셀(MLC: Multi Level Cell) 메모리 블록 등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SLC 메모리 블록은, 하나의 메모리 셀에 1 비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셀들에 의해 구현된 복수의 페이지들을 포함하며, 데이터 연산 성능이 빠르며 내구성이 높다. 그리고, MLC 메모리 블록은, 하나의 메모리 셀에 멀티 비트 데이터(예를 들면, 2 비트 이상)를 저장하는 메모리 셀들에 의해 구현된 복수의 페이지들을 포함하며, SLC 메모리 블록보다 큰 데이터 저장 공간을 가질 수, 다시 말해 고집적화 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메모리 셀에 3 비트 데이터를 저정할 수 있는 메모리 셀들에 의해 구현된 복수의 페이지들을 포함하는 MLC 메모리 블록을, 트리플 레벨 셀(TLC: Triple Level Cell) 메모리 블록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각각의 블록들(210,220,230,240)은, 라이트 동작을 통해 호스트 장치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리드 동작을 통해 저장된 데이터를 호스트(102)로 제공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메모리 시스템(110)에서 메모리 장치(300)의 메모리 블록(330)은, 비트라인들(BL0 to BLm-1)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셀 스트링들(340)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열(column)의 셀 스트링(340)은, 적어도 하나의 드레인 선택 트랜지스터(DST)와, 적어도 하나의 소스 선택 트랜지스터(SST)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 트랜지스터들(DST, SST) 사이에는, 복수 개의 메모리 셀들, 또는,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C0 to MCn-1)이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메모리 셀(MC0 to MCn-1)은, 셀 당 복수의 비트의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 멀티 레벨 셀(MLC: Multi-Level Cell)로 구성될 수 있다. 셀 스트링들(340)은 대응하는 비트라인들(BL0 to BLm-1)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은 낸드 플래시 메모리 셀로 구성된 메모리 블록(330)을 일 예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300)의 메모리 블록(330)은,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라 노어 플래시 메모리(NOR-type Flash memory), 적어도 두 종류 이상의 메모리 셀들이 혼합된 하이브리드 플래시 메모리, 및 메모리 칩 내에 컨트롤러가 내장된 One-NAND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반도체 장치의 동작 특성은 전하 저장층이 전도성 부유 게이트로 구성된 플래시 메모리 장치는 물론, 전하 저장층이 절연막으로 구성된 차지 트랩형 플래시(Charge Trap Flash; CTF)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 장치(300)의 전압 공급부(310)는, 동작 모드에 따라서 각각의 워드라인들로 공급될 워드라인 전압들(예를 들면, 프로그램 전압, 리드 전압, 패스 전압 등)과, 메모리 셀들이 형성된 벌크(예를 들면, 웰 영역)로 공급될 전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전압 공급 회로(310)의 전압 발생 동작은 제어 회로(도시하지 않음)의 제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전압 공급부(310)는, 다수의 리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복수의 가변 리드 전압들을 생성할 수 있으며, 제어 회로의 제어에 응답하여 메모리 셀 어레이의 메모리 블록들(또는 섹터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메모리 블록의 워드라인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워드라인 전압을 선택된 워드라인 및 비선택된 워드라인들로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메모리 장치(300)의 리드/라이트(read/write) 회로(320)는, 제어 회로에 의해서 제어되며, 동작 모드에 따라 감지 증폭기(sense amplifier)로서 또는 라이트 드라이버(write driver)로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증/정상 리드 동작의 경우 리드/라이트 회로(320)는, 메모리 셀 어레이로부터 데이터를 리드하기 위한 감지 증폭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동작의 경우 리드/라이트 회로(320)는, 메모리 셀 어레이에 저장될 데이터에 따라 비트라인들을 구동하는 라이트 드라이버로서 동작할 수 있다. 리드/라이트 회로(320)는, 프로그램 동작 시 셀 어레이에 라이트될 데이터를 버퍼(미도시)로부터 수신하고,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비트라인들을 구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리드/라이트 회로(320)는, 열(column)들(또는 비트라인들) 또는 열쌍(column pair)(또는 비트라인 쌍들)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 개의 페이지 버퍼들(PB)(322,324,326)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페이지 버퍼(page buffer)(322,324,326)에는 복수의 래치들(도시하지 않음)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여기서,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에서 메모리 장치가 3차원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로 구현될 경우의 메모리 장치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메모리 장치(1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BLK 1 to BLKh)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블록을 보여주는 블록도로서, 각 메모리 블록(BLK)은, 3차원 구조(또는 수직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메모리 블록(BLK)은 제1방향 내지 제3방향들, 예컨대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을 따라 신장된 구조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메모리 블록(BLK)은 제2방향을 따라 신장된 복수의 낸드 스트링들(NS)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방향 및 제3방향들을 따라 복수의 낸드 스트링들(NS)이 제공될 수 있다. 각 낸드 스트링(NS)은 비트라인(BL),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선택라인(SSL), 적어도 하나의 접지 선택라인(GSL), 복수의 워드라인들(WL), 적어도 하나의 더미 워드라인(DWL), 그리고 공통 소스라인(CSL)에 연결될 수 있다. 즉, 각 메모리 블록은 복수의 비트라인들(BL), 복수의 스트링 선택라인들(SSL), 복수의 접지 선택라인들(GSL), 복수의 워드라인들(WL), 복수의 더미 워드라인들(DWL), 그리고 복수의 공통 소스라인(CSL)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메모리 장치(150)의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에서 임의의 메모리 블록(BLKi)은, 제1방향 내지 제3방향들을 따라 신장된 구조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가 제1구조의 3차원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로 구현될 경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4의 복수의 메모리 블록에서 제1구조로 구현된 임의의 메모리 블록(BLKi)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메모리 블록(BLKi)을 임의의 제1선(I-I')에 따른 단면도이다.
우선, 기판(5111)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기판(5111)은 제1타입 불순물로 도핑된 실리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판(5111)은 p-타입 불순물로 도핑된 실리콘 물질을 포함하거나, p-타입 웰(예를 들면, 포켓 p-웰)일 수 있고, p-타입 웰을 둘러싸는 n-타입 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판(5111)은 p-타입 실리콘인 것으로 가정하지만, 기판(5111)은 p-타입 실리콘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기판(5111) 상에, 제1방향을 따라 신장된 복수의 도핑 영역들(5311,5312,5313,5314)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도핑 영역들((5311,5312,5313,5314)은 기판(1111)과 상이한 제2타입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도핑 영역들(5311,5312,5313,5314)은 n-타입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도핑 영역 내지 제4도핑 영역들(5311,5312,5313,5314)은, n-타입인 것으로 가정하지만, 제1도핑 영역 내지 제4도핑 영역들(5311,5312,5313,5314)은 n-타입인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도핑 영역 및 제2도핑 영역들(5311,5312) 사이에 대응하는 기판(5111) 상의 영역에서, 제1방향을 따라 신장되는 복수의 절연 물질들(5112)이 제2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절연 물질들(5112) 및 기판(5111)은 제2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절연 물질들(5112)은 각각 제2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절연 물질들(5112)은 실리콘 산화물(Silicon Oxide)과 같은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도핑 영역 및 제2도핑 영역들(5311,5312) 사이에 대응하는 기판(5111) 상의 영역에서, 제1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제2방향을 따라 절연 물질들(5112)을 관통하는 복수의 필라들(5113)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필라들(5113) 각각은 절연 물질들(5112)을 관통하여 기판(5111)과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각 필라(5113)는 복수의 물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필라(1113)의 표면층(1114)은 제1타입으로 도핑된 실리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필라(5113)의 표면층(5114)은 기판(5111)과 동일한 타입으로 도핑된 실리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필라(5113)의 표면층(5114)은 p-타입 실리콘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지만, 각 필라(5113)의 표면층(5114)은 p-타입 실리콘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각 필라(5113)의 내부층(5115)은 절연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필라(5113)의 내부층(5115)은 실리콘 산화물(Silicon Oxide)과 같은 절연 물질로 충진될 수 있다.
제1도핑 영역 및 제2도핑 영역들(5311,5312) 사이의 영역에서, 절연 물질들(5112), 필라들(5113), 그리고 기판(5111)의 노출된 표면을 따라 절연막(5116)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절연막(5116)의 두께는 절연 물질들(5112) 사이의 거리의 1/2 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절연 물질들(5112) 중 제1절연 물질의 하부 면에 제공된 절연막(5116), 그리고, 제1절연 물질 하부의 제2절연 물질의 상부 면에 제공된 절연막(5116) 사이에, 절연 물질들(5112) 및 절연막(5116) 이외의 물질이 배치될 수 있는 영역이 제공될 수 있다.
제1도핑 영역 및 제2도핑 영역들(5311,5312) 사이의 영역에서, 절연막(5116)의 노출된 표면 상에 도전 물질들(5211,5221,5231,5241,5251,5261,5271,5281,5291)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판(5111)에 인접한 절연 물질(5112) 및 기판(5111) 사이에 제1방향을 따라 신장되는 도전 물질(5211)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기판(5111)에 인접한 절연 물질(5112)의 하부 면의 절연막(5116) 및 기판(5111) 사이에, 제1방향으로 신장되는 도전 물질(5211)이 제공될 수 있다.
절연 물질들(5112) 중 특정 절연 물질 상부 면의 절연막(5116) 및 특정 절연 물질 상부에 배치된 절연 물질의 하부 면의 절연막(5116) 사이에, 제1방향을 따라 신장되는 도전 물질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절연 물질들(5112) 사이에, 제1방향으로 신장되는 복수의 도전 물질들(5221,5231,5241,5251,5261,5271,5281)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절연 물질들(5112) 상의 영역에 제1방향을 따라 신장되는 도전 물질(5291)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방향으로 신장된 도전 물질들(5211,5221,5231,5241,5251,5261,5271,5281,5291)은 금속 물질일 수 있다. 예컨대, 제1방향으로 신장된 도전 물질들(5211,5221,5231,5241,5251,5261,5271,5281,5291)은 폴리 실리콘 등과 같은 도전 물질일 수 있다.
제2도핑 영역 및 제3도핑 영역들(5312,5313) 사이의 영역에서, 제1도핑 영역 및 제2도핑 영역들(5311,5312) 상의 구조물과 동일한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제2도핑 영역 및 제3도핑 영역들(5312,5313) 사이의 영역에서, 제1방향으로 신장되는 복수의 절연 물질들(5112), 제1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제3방향을 따라 복수의 절연 물질들(5112)을 관통하는 복수의 필라들(5113), 복수의 절연 물질들(5112) 및 복수의 필라들(5113)의 노출된 표면에 제공되는 절연막(5116), 그리고, 제1방향을 따라 신장되는 복수의 도전 물질들(5212,5222,5232,5242,5252,5262,5272,5282,5292)이 제공될 수 있다.
제3도핑 영역 및 제4도핑 영역들(5313,5314) 사이의 영역에서, 제1도핑 영역 및 제2도핑 영역들(5311,5312) 상의 구조물과 동일한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제3도핑 영역 및 제4도핑 영역들(5312,5313) 사이의 영역에서, 제1방향으로 신장되는 복수의 절연 물질들(5112), 제1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제3방향을 따라 복수의 절연 물질들(5112)을 관통하는 복수의 필라들(5113), 복수의 절연 물질들(5112) 및 복수의 필라들(5113)의 노출된 표면에 제공되는 절연막(5116), 그리고 제1방향을 따라 신장되는 복수의 도전 물질들(5213,5223,5243,5253,5263,5273,5283,5293)이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필라들(5113) 상에 드레인들(5320)이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드레인들(5320)은 제2타입으로 도핑된 실리콘 물질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드레인들(5320)은 n-타입으로 도핑된 실리콘 물질들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드레인들(5320)는 n-타입 실리콘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지만, 드레인들(5320)은 n-타입 실리콘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각 드레인(5320)의 폭은 대응하는 필라(5113)의 폭 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드레인(5320)은 대응하는 필라(5113)의 상부면에 패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드레인들(5320) 상에, 제3방향으로 신장된 도전 물질들(5331,5332,5333)이 제공될 수 있다. 도전 물질들(5331,5332,5333)은 제1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전 물질들(5331,5332,5333) 각각은 대응하는 영역의 드레인들(5320)과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드레인들(5320) 및 제3방향으로 신장된 도전 물질(5333)은 각각 콘택 플러그들(contact plug)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3방향으로 신장된 도전 물질들(5331,5332,5333)은 금속 물질일 수 있다. 예컨대, 제3방향으로 신장된 도전 물질들(5331,5332,53333)은 폴리 실리콘 등과 같은 도전 물질일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각 필라(5113)는 절연막(5116)의 인접한 영역 및 제1방향을 따라 신장되는 복수의 도체라인들(5211 내지 5291, 5212 내지 5292, 및 5213 내지 5293) 중 인접한 영역과 함께 스트링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필라(5113)는 절연막(5116)의 인접한 영역 및 제1방향을 따라 신장되는 복수의 도체라인들(5211 내지 5291, 5212 내지 5292, 및 5213 내지 5293) 중 인접한 영역과 함께 낸드 스트링(NS)을 형성할 수 있다. 낸드 스트링(NS)은 복수의 트랜지스터 구조들(TS)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도 6에 도시한 트랜지스터 구조(TS)에서의 절연막(5116)은, 제1서브 절연막 내지 제3서브 절연막들(5117,5118,5119)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은, 도 6의 트랜지스터 구조(TS)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필라(5113)의 p-타입 실리콘(5114)은 바디(body)로 동작할 수 있다. 필라(5113)에 인접한 제1서브 절연막(5117)은 터널링 절연막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열산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서브 절연막(5118)은 전하 저장막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서브 절연막(5118)은 전하 포획층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질화막 또는 금속 산화막(예컨대, 알루미늄 산화막, 하프늄 산화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전 물질(5233)에 인접한 제3 서브 절연막(5119)은 블로킹 절연막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방향으로 신장된 도전 물질(5233)과 인접한 제3서브 절연막(5119)은 단일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서브 절연막(5119)은 제1서브 절연막 및 제2서브 절연막들(5117,5118)보다 높은 유전상수를 갖는 고유전막(예컨대, 알루미늄 산화막, 하프늄 산화막 등)일 수 있다.
도전 물질(5233)은 게이트(또는 제어 게이트)로 동작할 수 있다. 즉, 게이트(또는 제어 게이트(5233)), 블로킹 절연막(5119), 전하 저장막(5118), 터널링 절연막(5117), 및 바디(5114)는, 트랜지스터(또는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서브 절연막 내지 제3서브 절연막들(5117,5118,5119)은 ONO(oxide-nitride-oxide)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필라(5113)의 p-타입 실리콘(5114)을 제2방향의 바디라 칭하기로 한다.
메모리 블록(BLKi)은 복수의 필라들(511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메모리 블록(BLKi)은 복수의 낸드 스트링들(NS)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메모리 블록(BLKi)은 제2방향(또는 기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신장된 복수의 낸드 스트링들(NS)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낸드 스트링(NS)은 제2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트랜지스터 구조들(TS)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낸드 스트링(NS)의 복수의 트랜지스터 구조들(TS) 중 적어도 하나는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ST)로 동작할 수 있다. 각 낸드 스트링(NS)의 복수의 트랜지스터 구조들(TS) 중 적어도 하나는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GST)로 동작할 수 있다.
게이트들(또는 제어 게이트들)은 제1방향으로 신장된 도전 물질들(5211 내지 5291, 5212 내지 5292, 및 5213 내지 5293)에 대응할 수 있다. 즉, 게이트들(또는 제어 게이트들)은 제1방향으로 신장되어 워드라인들, 그리고 적어도 두 개의 선택라인들(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선택라인(SSL) 및 적어도 하나의 접지 선택라인(GSL))을 형성할 수 있다.
제3방향으로 신장된 도전 물질들(5331,5332,5333)은 낸드 스트링들(NS)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3방향으로 신장된 도전 물질들(5331,5332,5333)은 비트라인들(BL)로 동작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메모리 블록(BLKi)에서, 하나의 비트라인(BL)에 복수의 낸드 스트링들(NS)이 연결될 수 있다.
제1방향으로 신장된 제2타입 도핑 영역들(5311,5312,5313,5314)이 낸드 스트링들(NS)의 타단에 제공될 수 있다. 제1방향으로 신장된 제2타입 도핑 영역들(5311,5312,5313,5314)은 공통 소스라인들(CSL)로 동작할 수 있다.
즉, 메모리 블록(BLKi)은 기판(5111)에 수직한 방향(제2방향)으로 신장된 복수의 낸드 스트링들(NS)을 포함하며, 하나의 비트라인(BL)에 복수의 낸드 스트링들(NS)이 연결되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블록(예를 들면, 전하 포획형)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서는, 제1방향으로 신장되는 도체라인들(5211 내지 5291, 5212 내지 5292, 및 5213 내지 5293)이 9개의 층에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제1방향으로 신장되는 도체라인들(5211 내지 5291, 5212 내지 5292, 및 5213 내지 5293)이 9개의 층에 제공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방향으로 신장되는 도체라인들은 8개의 층, 16개의 층, 또는 복수의 층에 제공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낸드 스트링(NS)에서, 트랜지스터는 8개, 16개, 또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전술한 도 5 내지 도 7에서는, 하나의 비트라인(BL)에 3 개의 낸드 스트링들(NS)이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비트라인(BL)에 3개의 낸드 스트링들(NS)이 연결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메모리 블록(BLKi)에서, 하나의 비트라인(BL)에 m 개의 낸드 스트링들(NS)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비트라인(BL)에 연결되는 낸드 스트링들(NS)의 수만큼, 제1방향으로 신장되는 도전 물질들(5211 내지 5291, 5212 내지 5292, 및 5213 내지 5293)의 수 및 공통 소스라인들(5311,5312,5313,5314)의 수 또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에서는, 제1방향으로 신장된 하나의 도전 물질에 3 개의 낸드 스트링들(NS)이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방향으로 신장된 하나의 도전 물질에 3 개의 낸드 스트링들(NS)이 연결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방향으로 신장된 하나의 도전 물질에, n 개의 낸드 스트링들(NS)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방향으로 신장된 하나의 도전 물질에 연결되는 낸드 스트링들(NS)의 수만큼, 비트라인들(5331,5332,5333)의 수 또한 조절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메모리 장치(150)의 복수의 블록들에서 제1구조로 구현된 임의의 블록(BLKi)에는, 제1비트라인(BL1) 및 공통 소스라인(CSL) 사이에 낸드 스트링들(NS11 to NS31)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도 8은, 도 5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제1구조로 구현된 메모리 블록(BLKi)의 등가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그리고, 제1비트라인(BL1)은 제3방향으로 신장된 도전 물질(5331)에 대응할 수 있다. 제2비트라인(BL2) 및 공통 소스라인(CSL) 사이에 낸드 스트링들(NS12, NS22, NS32)이 제공될 수 있다. 제2비트라인(BL2)은 제3방향으로 신장된 도전 물질(5332)에 대응할 수 있다. 제3비트라인(BL3) 및 공통 소스라인(CSL) 사이에, 낸드 스트링들(NS13, NS23, NS33)이 제공될 수 있다. 제3비트라인(BL3)은 제3방향으로 신장된 도전 물질(5333)에 대응할 수 있다.
각 낸드 스트링(NS)의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ST)는 대응하는 비트라인(BL)과 연결될 수 있다. 각 낸드 스트링(NS)의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GST)는 공통 소스라인(CSL)과 연결될 수 있다. 각 낸드 스트링(NS)의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ST) 및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GST) 사이에 메모리 셀들(MC)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행(row) 및 열(column)) 단위로 낸드 스트링들(NS)을 정의할 수 있으며, 하나의 비트라인에 공통으로 연결된 낸드 스트링들(NS)은 하나의 열을 형성할 수 있음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면, 제1비트라인(BL1)에 연결된 낸드 스트링들(NS11 내지 NS31)은 제1열에 대응할 수 있고, 제2비트라인(BL2)에 연결된 낸드 스트링들(NS12 내지 NS32)은 제2열에 대응할 수 있으며, 제3비트라인(BL3)에 연결된 낸드 스트링들(NS13 내지 NS33)은 제3열에 대응할 수 있다. 하나의 스트링 선택라인(SSL)에 연결되는 낸드 스트링들(NS)은 하나의 행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스트링 선택라인(SSL1)에 연결된 낸드 스트링들(NS11 내지 NS13)은 제1행을 형성할 수 있고, 제2스트링 선택라인(SSL2)에 연결된 낸드 스트링들(NS21 내지 NS23)은 제2행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3스트링 선택라인(SSL3)에 연결된 낸드 스트링들(NS31 내지 NS33)은 제3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각 낸드 스트링(NS)에서, 높이가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각 낸드 스트링(NS)에서,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GST)에 인접한 메모리 셀(MC1)의 높이는 1이다. 각 낸드 스트링(NS)에서,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ST)에 인접할수록 메모리 셀의 높이는 증가할 수 있다. 각 낸드 스트링(NS)에서,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ST)에 인접한 메모리 셀(MC7)의 높이는 7이다.
그리고, 동일한 행의 낸드 스트링들(NS)의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SST)은 스트링 선택라인(SSL)을 공유할 수 있다. 상이한 행의 낸드 스트링들(NS)의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SST)은 상이한 스트링 선택라인들(SSL1, SSL2, SSL3)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동일한 행의 낸드 스트링들(NS)의 동일한 높이의 메모리 셀들은 워드라인(WL)을 공유할 수 있다. 즉, 동일한 높이에서, 상이한 행의 낸드 스트링들(NS)의 메모리 셀들(MC)에 연결된 워드라인들(WL)은 공통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동일한 행의 낸드 스트링들(NS)의 동일한 높이의 더미 메모리 셀들(DMC)은 더미 워드라인(DWL)을 공유할 수 있다. 즉, 동일한 높이에서, 상이한 행의 낸드 스트링들(NS)의 더미 메모리 셀들(DMC)에 연결된 더미 워드라인들(DWL)은 공통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워드라인들(WL) 또는 더미 워드라인들(DWL)은 제1방향으로 신장되는 도전 물질들(5211 내지 5291, 5212 내지 5292, 및 5213 내지 5293)이 제공되는 층에서 공통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방향으로 신장되는 도전 물질들(5211 내지 5291, 5212 내지 5292, 및 5213 내지 5293)은 콘택을 통해 상부 층에 연결될 수 있다. 상부 층에서 제1방향으로 신장되는 도전 물질들(5211 내지 5291, 5212 내지 5292, 및 5213 내지 5293)이 공통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동일한 행의 낸드 스트링들(NS)의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들(GST)은 접지 선택라인(GSL)을 공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이한 행의 낸드 스트링들(NS)의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들(GST)은 접지 선택라인(GSL)을 공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낸드 스트링들(NS11 내지 NS13, NS21 내지 NS23, 및 NS31 내지 NS33)은 접지 선택라인(GSL)에 공통으로 연결될 수 있다.
공통 소스라인(CSL)은 낸드 스트링들(NS)에 공통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판(5111) 상의 활성 영역에서, 제1도핑 영역 내지 제4도핑 영역들(5311,5312,5313,5314)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도핑 영역 내지 제4도핑 영역들(5311,5312,5313,5314)은 콘택을 통해 상부 층에 연결될 수 있고, 또한 상부 층에서 제1도핑 영역 내지 제4도핑 영역들(5311,5312,5313,5314)이 공통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깊이의 워드라인들(WL)은 공통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워드라인(WL)이 선택될 때, 특정 워드라인(WL)에 연결된 모든 낸드 스트링들(NS)이 선택될 수 있다. 상이한 행의 낸드 스트링들(NS)은 상이한 스트링 선택라인(SSL)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링 선택라인들(SSL1 내지 SSL3)을 선택함으로써, 동일 워드라인(WL)에 연결된 낸드 스트링들(NS) 중 비선택 행의 낸드 스트링들(NS)이 비트라인들(BL1 내지 BL3)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스트링 선택라인들(SSL1 내지 SSL3)을 선택함으로써, 낸드 스트링들(NS)의 행이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비트라인들(BL1 내지 BL3)을 선택함으로써, 선택 행의 낸드 스트링들(NS)이 열 단위로 선택될 수 있다.
각 낸드 스트링(NS)에서, 더미 메모리 셀(DMC)이 제공될 수 있다. 더미 메모리 셀(DMC) 및 접지 선택라인(GST) 사이에 제1메모리 셀 내지 제3메모리 셀들(MC1 내지 MC3)이 제공될 수 있다.
더미 메모리 셀(DMC) 및 스트링 선택라인(SST) 사이에 제4메모리 셀 내지 제6메모리 셀들(MC4 내지 MC6)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각 낸드 스트링(NS)의 메모리 셀들(MC)은, 더미 메모리 셀(DMC)에 의해 메모리 셀 그룹들로 분할될 수 있으며, 분할된 메모리 셀 그룹들 중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GST)에 인접한 메모리 셀들(예를 들면, MC1 to MC3)을 하부 메모리 셀 그룹이라 할 수 있고, 분할된 메모리 셀 그룹들 중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ST)에 인접한 메모리 셀들(예를 들면, MC4 내지 MC6)을 상부 메모리 셀 그룹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에서 메모리 장치가 제1구조와 다른 구조의 3차원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로 구현될 경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메모리 장치(150)의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에서 제2구조로 구현된 임의의 메모리 블록(BLKj)은, 제1방향 내지 제3방향들을 따라 신장된 구조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가 앞선 도 5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제1구조와 다른 제2구조의 3차원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로 구현될 경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4의 복수의 메모리 블록에서 제2구조로 구현된 임의의 메모리 블록(BLKj)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메모리 블록(BLKj)을 임의의 제2선(Ⅶ-Ⅶ')에 따른 단면도이다.
우선, 기판(6311)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기판(6311)은 제1타입 불순물로 도핑된 실리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판(6311)은 p-타입 불순물로 도핑된 실리콘 물질을 포함하거나, p-타입 웰(예를 들면, 포켓 p-웰)일 수 있고, p-타입 웰을 둘러싸는 n-타입 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판(6311)은 p-타입 실리콘인 것으로 가정하지만, 기판(6311)은 p-타입 실리콘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기판(6311) 상에,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1도전 물질 내지 제4도전 물질들(6321,6322,6323,6324)이 제공된다. 여기서, 제1도전 물질 내지 제4도전 물질들(6321,6322,6323,6324)은 z-축 방향을 따라 특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제공된다.
또한, 기판(6311) 상에 x-축 방향 및 y-축으로 신장되는 제5도전 물질 내지 제8도전 물질들(6325,6326,6327,6328)이 제공된다. 여기서, 제5도전 물질 내지 제8도전 물질들(6325,6326,6327,6328)은 z-축 방향을 따라 특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제공된다. 그리고, 제5도전 물질 내지 제8도전 물질들(6325,6326,6327,6328)은 y-축 방향을 따라 제1도전 물질 내지 제4도전 물질들(6321,6322,6323,6324)과 이격되어 제공된다.
아울러, 제1도전 물질 내지 제4도전 물질들(6321,6322,6323,6324)을 관통하는 복수의 하부 필라들이 제공된다. 각 하부 필라(DP)는 z-축 방향을 따라 신장된다. 또한, 제5도전 물질 내지 제8도전 물질들(6325,6326,6327,6328)을 관통하는 복수의 상부 필라들이 제공된다. 각 상부 필라(UP)는 z-축 방향을 따라 신장된다.
하부 필라(DP) 및 상부 필라(UP) 각각은 내부 물질(6361), 중간층(6362) 및 표면층(6363)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간층(6362)은 셀 트랜지스터의 채널로서 동작할 것이다. 표면층(6363)은 블로킹 절연막, 전하 저장막 및 터널링 절연막을 포함할 것이다.
하부 필라(DP) 및 상부 필라(UP)는 파이프 게이트(PG)를 통해 연결된다. 파이프 게이트(PG)는 기판(6311)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일 예로, 파이프 게이트(PG)는 하부 필라(DP) 및 상부 필라(UP)와 동일한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필라(DP)의 상부에,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 2 타입의 도핑 물질(6312)이 제공된다. 예컨대, 제2타입의 도핑 물질(6312)은 n-타입의 실리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타입의 도핑 물질(6312)은 공통 소스라인(CSL)으로서 동작한다.
상부 필라(UP)의 상부에 드레인(6340)이 제공된다. 예컨대, 드레인(6340)은 n-타입의 실리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드레인들의 상부에 y-축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1상부 도전 물질 및 제2상부 도전 물질들(6351,6352)이 제공된다.
제1상부 도전 물질 및 제2상부 도전 물질들(6351,6352)은 x-축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제공된다. 예컨대, 제1상부 도전 물질 및 제2상부 도전 물질들(6351,6352)은 금속으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제1상부 도전 물질 및 제2상부 도전 물질들(6351,6352)과 드레인들은 콘택 플러그들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1상부 도전 물질 및 제2상부 도전 물질들(6351,6352)은 각각 제1비트라인 및 제2비트라인들(BL1, BL2)로 동작한다.
제1도전 물질(6321)은 소스 선택라인(SSL)으로 동작하고, 제2도전 물질(6322)은 제1더미 워드라인(DWL1)으로 동작하며, 제3도전 물질 및 제4도전 물질들(6323,6324)은 각각 제1메인 워드라인 및 제2메인 워드라인들(MWL1, MWL2)로 동작한다. 그리고, 제5도전 물질 및 제6도전 물질들(6325,6326)은 각각 제3메인 워드라인 및 제4메인 워드라인들(MWL3, MWL4)로 동작하고, 제7도전 물질(6327)은 제2더미 워드라인(DWL2)으로 동작하며, 제8도전 물질(6328)은 드레인 선택라인(DSL)로서 동작한다.
하부 필라(DP), 그리고 하부 필라(DP)에 인접한 제1도전 물질 내지 제4도전 물질들(6321,6322,6323,6324)은 하부 스트링을 구성한다. 상부 필라(UP), 그리고 상부 필라(UP)에 인접한 제5도전 물질 내지 제8도전 물질들(6325,6326,6327,6328)은 상부 스트링을 구성한다. 하부 스트링 및 상부 스트링은 파이프 게이트(PG)를 통해 연결된다. 하부 스트링의 일단은 공통 소스라인(CSL)으로 동작하는 제2타입의 도핑 물질(6312)에 연결된다. 상부 스트링의 일단은 드레인(6320)을 통해 해당 비트라인에 연결된다. 하나의 하부 스트링 및 하나의 상부 스트링은 제2타입의 도핑 물질(6312)과 해당 비트라인 사이에 연결된 하나의 셀 스트링을 구성할 것이다.
즉, 하부 스트링은 소스 선택 트랜지스터(SST), 제1더미 메모리 셀(DMC1), 그리고 제1메인 메모리 셀 및 제2메인 메모리 셀들(MMC1, MMC2)을 포함할 것이다. 그리고, 상부 스트링은 제3메인 메모리 셀 및 제4메인 메모리 셀들(MMC3, MMC4), 제2더미 메모리 셀(DMC2), 그리고 드레인 선택 트랜지스터(DST)를 포함할 것이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서 상부 스트림 및 하부 스트링은, 낸드 스트링(NS)을 형성할 수 있으며, 낸드 스트링(NS)은 복수의 트랜지스터 구조들(TS)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9 및 도 10에서의 낸드 스트림에 포함된 트랜지스터 구조는, 앞서 도 7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그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11을 참조하면, 메모리 장치(150)의 복수의 블록들에서 제2구조로 구현된 임의의 블록(BLKj)에는, 도 9 및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상부 스트링과 하나의 하부 스트링이 파이프 게이트(PG)를 통해 연결되어 구현된 하나의 셀 스트링들이 각각 복수의 쌍들을 이루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1은, 도 9 및 도 10에서 설명한 제2구조로 구현된 메모리 블록(BLKj)의 등가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구조로 구현된 임의의 블록(BLKj)에서 한 쌍을 구성하는 제1스트링과 제2스트링만을 도시하였다.
즉, 제2구조로 구현된 임의의 블록(BLKj)에서, 제1채널(CH1)을 따라 적층된 메모리 셀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소스 선택 게이트 및 적어도 하나의 드레인 선택 게이트는, 제1스트링(ST1)을 구현하고, 제2채널(CH2)을 따라 적층된 메모리 셀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소스 선택 게이트 및 적어도 하나의 드레인 선택 게이트는 제2스트링(ST2)을 구현한다.
또한, 제1스트링(ST1)과 제2스트링(ST2)은, 동일한 드레인 선택라인(DSL) 및 동일한 소스 선택라인(SSL)에 연결되며, 또한 제1스트링(ST1)은, 제1비트라인(BL1)에 연결되고, 제2스트링(ST2)은 제2비트라인(BL2)에 연결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1에서는, 제1스트링(ST1)과 제2스트링(ST2)이 동일한 드레인 선택라인(DSL) 및 동일한 소스 선택라인(SSL)에 연결되는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제1스트링(ST1)과 제2스트링(ST2)이 동일한 소스 선택라인(SSL) 및 동일한 비트라인(BL)에 연결되어, 제1스트링(ST1)이 제1드레인 선택라인(DSL1)에 연결되고 제2스트링(ST2)이 제2드레인 선택라인(DSL2)에 연결되거나, 또는 제1스트링(ST1)과 제2스트링(ST2)이 동일한 드레인 선택라인(DSL) 및 동일한 비트라인(BL)에 연결되어, 제1스트링(ST1)이 제1소스 선택라인(SSL1)에 연결되고 제2스트링(ST2)은 제2소스 선택라인(SDSL2)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참고하여 다수의 메모리 장치가 포함된 메모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메모리 시스템(110)의 구성을 참조하여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및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가 포함된 메모리 시스템(110)의 구성이 도시된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서는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로서 네 개의 메모리 장치가 포함되고,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로서 네 개의 메모리 장치가 포함되는 구성을 개시하였는데,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실제로는 더 많거나 더 적은 개수의 메모리 장치가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또는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로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컨트롤러(130)에 포함된 것으로 도시되었던, ECC 유닛(138)과, 파워 관리 유닛(140)이 도 12에는 컨트롤러(130)에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어디까지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서 생략된 것일 뿐, 실제로는 컨트롤러(130)에 포함되어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메모리 시스템(110)은, 컨트롤러(130)와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를 포함한다. 또한, 컨트롤러(130)는, 호스트 인터페이스(132)와, 프로세서(134)와, 메모리(144), 및 메모리 인터페이스(142)를 포함한다.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는, 제1 채널(CH1)을 통해 메모리 인터페이스(142)와 연결됨으로써, 컨트롤러(130) 내부의 버스(BUS)에 연결된다.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는, 제2 채널(CH2)을 통해 메모리 인터페이스(142)와 연결됨으로써, 컨트롤러(130) 내부의 버스(BUS)에 연결된다.
따라서,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및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는, 인터리빙(interleaving)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참고로,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와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가 서로 다른 채널(CH1, CH2)을 통해 연결되어 인터리빙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와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가 얼마든지 다른 방식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인터리빙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예컨대,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와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가 서로 동일한 채널에 연결된 형태에서 인터리빙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호스트(102)는 호스트 인터페이스(132)을 통해 버스(BUS)에 연결된다.
메모리(144)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130)의 동작 메모리로, 컨트롤러(130)에서 메모리 장치(150)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커맨드, 어드레스,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특히, 메모리(144)는,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및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으로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캐싱하기 위한 캐시메모리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대, 메모리(144)는,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및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으로 저장될 예정인 프로그램 데이터를 캐싱하기 위한 라이트 캐시메모리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마찬가지로,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및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에서 리드되는 데이터를 캐싱하기 위한 리드 캐시메모리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프로세서(134)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모리 시스템(11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한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다수의 메모리 장치 각각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12에 도시된 메모리 시스템(110)의 구성요소 중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및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이 어떤 구성을 갖는지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및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에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의 메모리 블록(152, 154, 156)이 포함되고, 다수의 메모리 블록(152, 154, 156) 각각에는 다수의 메모리 셀(미도시)이 포함된다.
이때,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및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에 포함된 메모리 셀은 3비트 데이터를 한 번에 저장할 수 있는 트리플 멀티 레벨 셀(triple multi level cell, TLC)이다.
참고로, 도 13에서는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및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에 포함된 다수의 메모리 셀이 트리플 멀티 레벨 셀(TLC)로 예시되었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및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에 포함된 다수의 메모리 셀은 트리플(triple)보다 낮은 더블(double)이나 트리플보다 높은 쿼드(quad)나 헥사(hexa)나 옥타(octo) 등의 멀티 레벨 셀(MLC)로 설정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은 원-샷 프로그램(one shot program) 동작을 지원한다. 즉, 한 번의 프로그램 동작을 통해 3비트 데이터를 동시에 한 개의 트리플 레벨 셀(TLC)에 프로그램하는 동작을 지원한다.
이렇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에서 원-샷 프로그램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및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은, 3비트의 멀티버퍼(MMB, MCB, MLB) 및 전달버퍼(TMB, TCB)를 포함한다.
이때,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및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각각에 포함되는 3비트의 멀티버퍼(MMB, MCB, MLB)는, 원-샷 프로그램 동작시 트리플 레벨 셀(TLC)에 저장되는 3비트 데이터를 한 번에 저장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트리플 레벨 셀(TLC)에 대응하는 형태에서는 3비트의 멀티버퍼(MMB, MCB, MLB)가 포함되어야 하지만, 더블 레벨 셀에 대응하는 형태에서는 2비트의 멀티버퍼(미도시)가 포함되어야 하고, 쿼드 레벨 셀에 대응하는 형태에서는 4비트의 멀티버퍼(미도시)가 포함되어야 한다. 즉,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및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각각에 포함되는 멀티버퍼(MMB, MCB, MLB)의 개수는,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및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에 어떠한 형태의 메모리 셀이 포함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그리고,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및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에 포함되는 전달버퍼(TMB, TCB)는,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및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외부로부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캐시버퍼(TCB), 및 다수의 메모리 블록(152, 154, 156)과의 사이에서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메인버퍼(TMB)를 의미한다. 이때, 전달버퍼(TMB, TCB)는, 다수의 메모리 블록(152, 154, 156)에 포함된 메모리 셀이 어떠한 형태를 갖는지와 상관없이 항상 동일하게 캐시버퍼(TCB)와 메인버퍼(TMB)를 포함한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다수의 메모리 장치 각각에서 일반적인 프로그램 동작이 수행될 때, 프로그램 동작 중 갑자기 프로그램 동작이 대기 또는 중단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타이밍 다이어그램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프로그램 동작에서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또는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은, 프로그램 시작 커맨드가 입력(WT START CMD)되고, 이어서 프로그램 어드레스가 입력(ADDRESS INPUT)되며, 이어서 프로그램 데이터가 입력(DATA INPUT)되고, 프로그램 어드레스 및 프로그램 데이터가 모두 입력되었다는 것을 확인하는 커맨드가 입력(CONFIRM CMD)되면 그에 응답하여 '프로그램 준비동작'을 시작하게 된다(T1).
이때, 프로그램 어드레스는,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또는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중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될 위치를 찾는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프로그램 데이터는,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또는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중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되어야 하는 메모리 장치에 포함된 3비트의 멀티버퍼(MMB, MCB, MLB)에 저장된다.
여기서, 프로그램 데이터가 페이지 단위로 입력된다고 가정하면,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 각각에 한 개씩의 페이지 단위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되어 총 세 개의 페이지 단위 프로그램 데이터가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에 저장될 것이다. 또한,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또는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에 포함된 메모리 셀이 트리플 멀티 레벨 셀(TLC)이라고 가정할 수 있으므로,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에 저장된 총 세 개의 페이지 단위 프로그램 데이터는, 물리적으로는 한 개의 페이지 단위이고 논리적으로는 세 개의 페이지 단위인 메모리 셀들에 원-샷 프로그램 될 것이다.
그리고,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또는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 준비동작'에는,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또는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의 3비트의 멀티버퍼(MMB, MCB, MLB)에 저장된 데이터를 정렬하는 동작(DATA SETTING IN)과, 데이터를 정렬하는 동작(DATA SETTING IN)을 통해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또는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의 3비트의 멀티버퍼(MMB, MCB, MLB)에 정렬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확인하는 동작(IO CHECK, CSC), 및 확인하는 동작(IO CHECK, CSC)을 통해 확인된 데이터를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또는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에서 원-샷 프로그램 대상으로 선택된 메모리 셀에 대해 원-샷 프로그램 동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전압을 생성하는 동작(PUMP ON)이 포함된다. 즉, '프로그램 준비동작'은, 실제 '프로그램 동작'을 통해 프로그램 데이터를 다수의 메모리 셀에 프로그램하기 위해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또는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각각의 내부에서 수행되는 동작이다.
이렇게,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또는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에서 실제 '프로그램 동작'이 수행하기 전에 먼저 '프로그램 준비동작'이 수행된다. 이때, 실제 '프로그램 동작'은,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또는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에서 원-샷 프로그램 대상으로 선택된 메모리 셀에 '프로그램 준비동작'을 통해 생성될 수 있는 프로그램 펄스를 ISPP(incremental step pulse program)와 같은 방식으로 공급하여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작이 될 것이다(PGM PULSE).
참고로. 데이터를 정렬하는 동작(DATA SETTING IN)은,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또는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의 3비트의 멀티버퍼(MMB, MCB, MLB)에 저장된 데이터를 물리적으로는 한 개의 페이지 단위이고 논리적으로는 세 개의 페이지 단위인 트리플 멀티 레벨 메모리 셀(TLC)들에 원-샷 프로그램할 때, 원-샷 프로그램되는 데이터들 간의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형태로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또는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의 3비트의 멀티버퍼(MMB, MCB, MLB)에 저장된 데이터의 저장위치를 정렬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전술한 과정을 통해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또는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에서 '프로그램 동작'이 시작된 이후, 갑작스럽게 '프로그램 동작'을 중지 또는 대기시키기 위한 커맨드가 입력(STOP CMD)될 수 있다(T2).
여기서, '프로그램 동작'을 중지 또는 대기시키는 상황은 예측하기 힘든 여러 가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호스트(102)에서 '프로그램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져서 호스트(102)로부터 직접적으로 '프로그램 동작'을 중단시키는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동작'이 매우 오래 걸리기 때문에, '프로그램 동작'보다 앞서서 수행될 것을 요구받은 '리드 동작'이 수행되기 위해 잠시 동안 '프로그램 동작'을 대시키는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여러 가지 알 수 없는 오류로 인해 메모리 시스템(110)을 리셋시키는 동작이 수행되기 위해 '프로그램 동작'을 중단시키는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렇게,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또는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에서 '프로그램 동작'이 시작된 이후, 갑작스럽게 '프로그램 '프로그램 동작'을 중지 또는 대기시키기 위한 커맨드가 입력(STOP CMD)되면, 그에 응답하여 '프로그램 중지 또는 대기를 위해 필요한 동작'을 수행된다. 즉, '프로그램 동작'을 수행하기 전에 '프로그램 준비동작'을 수행했던 것처럼, '프로그램 동작'을 중단 또는 대기하기 위해 '프로그램 중지 또는 대기를 위해 필요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때, '프로그램 중지 또는 대기를 위해 필요한 동작'에는, '프로그램 동작'에서 사용되었던 전압을 방전하는 동작(PUMP DISCHARGE)과, '프로그램 동작'이 수행되면서 원-샷 프로그램 대상으로 선택된 메모리 셀의 상태가 달라짐에 따라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또는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의 3비트의 멀티버퍼(MMB, MCB, MLB)에 저장된 데이터를 다시 정렬하는 동작(DATA SETTING OUT), 및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또는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중 프로그램 대상이 되었던 메모리 장치 내부에서 '프로그램 동작'에 적합하게 설정되었던 내부 회로를 초기화시키는 동작(RESET BEHAVIOR)이 포함된다.
이와 같이,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또는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으로 '프로그램 동작'을 중지 또는 대기시키기 위한 커맨드가 입력(STOP CMD)된 후, 실제 '프로그램 동작'을 중단 또는 대기시키기 까지는 '프로그램 중지 또는 대기를 위해 필요한 동작'이 수행되어야하기 때문에 시점의 차이, 즉, 'T2'와 'T3'의 차이가 존재한다.
참고로,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또는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 동작'은, '프로그램 준비동작'에 비해 매우 긴 시간동안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도면에서는 '프로그램 동작'이 시작된 직후 '프로그램 동작'이 중지 또는 대기되었기 때문에 매우 짧은 시간동안만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또는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에서 '프로그램 동작'이 시작된 이후, 갑작스럽게 '프로그램 '프로그램 동작'을 중지 또는 대기시키는 경우, '프로그램 준비동작'에서 불필요한 동작(Unnecessary)이라고 볼 수 있는 부분이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프로그램 동작'을 시작하기 전에 '프로그램 준비동작'에서 수행되었던 동작 중 '프로그램 중지 또는 대기를 위해 필요한 동작'에서 초기화되는 동작의 경우, '프로그램 준비동작'에서 불필요한 동작(Unnecessary)이라고 볼 수 있다.
즉, '프로그램 준비동작'에서 수행되는 동작 중 전압을 생성하는 동작(PUMP ON)은, '프로그램 중지 또는 대기를 위해 필요한 동작'에서 전압을 방전하는 동작(PUMP DISCHARGE)을 통해 초기화되는 동작이다. 또한, '프로그램 준비동작'에서 수행되는 동작 중 데이터를 확인하는 동작(IO CHECK, CSC)은, '프로그램 중지 또는 대기를 위해 필요한 동작'에서 데이터를 다시 정렬하는 동작(DATA SETTING OUT)이 수행되는 경우, 다시 수행되어야하기 때문에 '프로그램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어 완료되지 않는 경우에서는 미리 수행할 필요가 없는 동작이다.
따라서, '프로그램 동작'의 수행이 완료되기 전에 '프로그램 중지 또는 대기를 위해 필요한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프로그램 준비동작'에서 수행되는 동작 중 전압을 생성하는 동작(PUMP ON)과 데이터를 확인하는 동작(IO CHECK, CSC)은 불필요한 동작이라고 볼 수 있다.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프로그램 준비동작'에서 수행되는 동작 중 전압을 생성하는 동작(PUMP ON)과 데이터를 확인하는 동작(IO CHECK, CSC)을 '보조준비동작'으로 설정하였다.
하지만, '프로그램 준비동작'에서 수행되는 동작 중 데이터를 정렬하는 동작(DATA SETTING IN)은, 불필요한 동작(Unnecessary)으로 분류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하기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특징적인 프로그램 동작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겠지만, '프로그램 준비동작'에서 수행되는 동작 중 데이터를 정렬하는 동작(DATA SETTING IN)을 필요한 동작(Needed)으로 구분할 경우, '프로그램 중지 또는 대기를 위해 필요한 동작'에 필요한 시간을 최소화하는데 더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프로그램 준비동작'에서 수행되는 동작 중 데이터를 정렬하는 동작(DATA SETTING IN)을 '필수준비동작'으로 설정하였다.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다수의 메모리 장치 각각에서 본 발명의 특징적인 프로그램 동작이 수행될 때, 프로그램 동작 중 갑자기 프로그램 동작이 대기 또는 중단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타이밍 다이어그램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 14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또는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은, 프로그램 시작 커맨드가 입력(WT START CMD)되고, 이어서 프로그램 어드레스가 입력(ADDRESS INPUT)되며, 이어서 프로그램 데이터가 입력(DATA INPUT)되고, 프로그램 어드레스 및 프로그램 데이터가 모두 입력되었다는 것을 확인하는 커맨드가 입력(CONFIRM CMD)되면 그에 응답하여 '프로그램 준비동작'이 시작되어야 한다.
이때, 본 발명의 특징적인 프로그램 동작에서는 프로그램 어드레스 및 프로그램 데이터가 모두 입력되었다는 것을 확인하는 커맨드가 입력(CONFIRM CMD)될 때, 동시에 '프로그램 동작'을 중지 또는 대기시키기 위한 커맨드를 입력(STOP CMD)시킨다.
때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프로그램 동작에서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및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는, 프로그램 어드레스 및 프로그램 데이터가 모두 입력되었다는 것을 확인하는 커맨드와 '프로그램 동작'을 중지 또는 대기시키기 위한 커맨드가 동시에 입력(CONFIRM CMD & STOP CMD)되는 것에 응답하여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필수준비동작'만 시작하고 '보조준비동작'을 시작하지 않는다(T1N).
즉, 본 발명의 특징적인 프로그램 동작에서는, 전술한 도 14에서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필수준비동작'으로 설정된 데이터를 정렬하는 동작(DATA SETTING IN)만 시작하고,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보조준비동작'으로 설정된 데이터를 확인하는 동작(IO CHECK, CSC) 및 전압을 생성하는 동작(PUMP ON)은 시작하지 않는다.
이렇게, 본 발명의 특징적인 프로그램 동작에서는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필수준비동작'을 수행한 뒤, 이어서 '프로그램 중지 또는 대기를 위해 필요한 동작'을 시작한다(T2N).
이때, 본 발명의 특징적인 프로그램 동작에서 '프로그램 중지 또는 대기를 위해 필요한 동작'에는, 내부 회로를 초기화시키는 동작(RESET BEHAVIOR)만 포함된다.
즉, 본 발명의 특징적인 프로그램 동작에서 '프로그램 중지 또는 대기를 위해 필요한 동작'이전에 '프로그램 준비동작'중 '필수준비동작'인 데이터를 정렬하는 동작(DATA SETTING IN)을 수행하였기 때문에 '프로그램 중지 또는 대기를 위해 필요한 동작'에서 데이터를 다시 정렬하는 동작(DATA SETTING OUT)이 수행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프로그램 동작에서 '프로그램 중지 또는 대기를 위해 필요한 동작'이전에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보조준비동작'인 데이터를 확인하는 동작(IO CHECK, CSC) 및 전압을 생성하는 동작(PUMP ON)을 수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프로그램 중지 또는 대기를 위해 필요한 동작'에서 전압을 방전하는 동작(PUMP DISCHARGE)이 수행될 필요가 없다.
이렇게, 본 발명의 특징적인 프로그램 동작에서는, 프로그램 어드레스 및 프로그램 데이터가 모두 입력되었다는 것을 확인하는 커맨드와 '프로그램 동작'을 중지 또는 대기시키기 위한 커맨드가 동시에 입력(CONFIRM CMD & STOP CMD)시킴으로써, '프로그램 준비동작' 및 '프로그램 중지 또는 대기를 위해 필요한 동작'이 매우 간략해지고, 그에 따라 필요한 시간이 최소화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또는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중 프로그램 대상으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메모리 장치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프로그램 동작을 적용한 시점(T3N), 즉, 선택된 메모리 장치에서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필수준비동작'을 수행하고, 이어서 '프로그램 중지 또는 대기를 위해 필요한 동작'을 수행한 시점(T3N) 이후에서 선택된 메모리 장치에 포함된 3비트의 멀티버퍼(MMB, MCB, MLB)에는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되고 전달버퍼(TMB, TCB)는 비어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선택된 메모리 장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프로그램 동작을 적용한 시점(T3N)이후에, 도면에서와 같이 리드 시작 커맨드가 입력(RD START CMD)되고, 이어서 리드 어드레스가 입력(ADDRESS INPUT)되며, 리드 어드레스가 모두 입력되었다는 것을 확인하는 커맨드(CINFIRM CMD)가 입력되면, 3비트의 멀티버퍼(MMB, MCB, MLB)를 사용하지 않고 전달버퍼(TMB, TCB)만을 사용하여 '프로그램 중지 또는 대기 상태에서 리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징적인 프로그램 동작이 수행될 때, 프로그램 대상이 되는 메모리 장치 내부의 버퍼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또는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은, 프로그램 시작 커맨드 및 프로그램 어드레스가 입력(WT START CMD & ADDRESS INPUT)된 후 입력되는 프로그램 데이터(DATA INPUT)를 3비트의 멀티버퍼(MMB, MCB, MLB)에 순차적으로 저장한다.
여기서, 프로그램 어드레스는,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또는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중 어느 하나의 메모리 장치를 본 발명의 특징적인 프로그램 대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메모리 장치 내부에서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될 물리적으로는 한 개의 페이지 단위(TARGET PAGE)이고 논리적으로는 세 개의 페이지 단위(TLSB, TCSB, TMSB)인 메모리 셀들을 찾는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프로그램 데이터는, 페이지 단위로 입력되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메모리 장치에 포함된 3비트의 멀티버퍼(MMB, MCB, MLB) 각각에 한 개씩의 페이지 단위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되어 총 세 개의 페이지 단위 프로그램 데이터가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에 저장될 것이다.
즉, 도면에서와 같이 선택된 메모리 장치는, 프로그램 데이터 중 LSB 데이터가 캐시버퍼(TCB)를 통해 입력되면, 이를 3비트의 멀티버퍼(MMB, MCB, MLB) 중 LSB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버퍼(MLB)에 저장한다(1. LSB DATA INPUT). 이어서, 프로그램 데이터 중 CSB 데이터가 캐시버퍼(TCB)를 통해 입력되면, 이를 3비트의 멀티버퍼(MMB, MCB, MLB) 중 CSB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버퍼(MCB)에 저장한다(2. CSB DATA INPUT). 이어서, 프로그램 데이터 중 MSB 데이터가 캐시버퍼(TCB)를 통해 입력되면, 이를 3비트의 멀티버퍼(MMB, MCB, MLB) 중 MSB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버퍼(MMB)에 저장한다(3. MSB DATA INPUT).
이렇게, 선택된 메모리 장치의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에 프로그램 데이터가 모두 입력(DATA INPUT)된 후, 프로그램 어드레스 및 프로그램 데이터가 모두 입력되었다는 것을 확인하는 커맨드와 '프로그램 동작'을 중지 또는 대기시키기 위한 커맨드가 동시에 입력(CONFIRM CMD & STOP CMD)되면, 선택된 메모리 장치는,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필수준비동작' 및 '프로그램 중지 또는 대기를 위해 필요한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도 1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그램 어드레스 및 프로그램 데이터가 모두 입력되었다는 것을 확인하는 커맨드와 '프로그램 동작'을 중지 또는 대기시키기 위한 커맨드가 동시에 입력(CONFIRM CMD & STOP CMD)되는 것으로 인해,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필수준비동작' 에 이어서 '프로그램 중지 또는 대기를 위해 필요한 동작'이 수행되기 때문에 선택된 메모리 장치로 입력된 프로그램 데이터는 선택된 메모리 셀들(TARGET PAGE / TLSB, TCSB, TMSB)에 프로그램되지 않고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에 저장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4. HOLD ON ONE SHOT PROGRAM).
이렇게, 선택된 메모리 장치로 입력된 프로그램 데이터가 선택된 메모리 셀들(TARGET PAGE / TLSB, TCSB, TMSB)에 프로그램되지 않고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에 저장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4. HOLD ON ONE SHOT PROGRAM)할 때, 선택된 메모리 장치의 전달버퍼(TMB, TCB)는 비어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선택된 메모리 장치에 대해 리드 동작이 요구되는 경우, 즉, 도 15에서와 같이 리드 시작 커맨드가 입력(RD START CMD)되고 리드 어드레스가 입력(ADDRESS INPUT)되며 리드 어드레스가 모두 입력되었다는 것을 확인하는 커맨드(CINFIRM CMD)가 입력되는 경우,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된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전달버퍼(TMB, TCB)만을 사용하여 선택된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셀들(TRPB)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드할 수 있다(5. RANDOM READ). 즉, 선택된 메모리 장치에 대해 '프로그램 중지 또는 대기 상태에서 리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5. RANDOM READ).
이때, 선택된 메모리 장치로 입력된 프로그램 데이터가 원-샷 프로그램될 선택된 메모리 셀들(TARGET PAGE / TLSB, TCSB, TMSB)과 '프로그램 중지 또는 대기 상태에서 리드 동작'의 대상이 되는 메모리 셀들(TRPB)의 물리적인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로 달라야 한다.
또한, '프로그램 중지 또는 대기 상태에서 리드 동작'의 대상이 되는 메모리 셀들(TRPB)도 트리플 멀티 레벨 메모리 셀(TLC)이기 때문에, 최대 세 개의 페이지 단위 데이터, 즉, 하나의 메모리 셀마다 3비트씩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선택된 메모리 장치에서는, '프로그램 중지 또는 대기 상태에서 리드 동작'의 대상이 되는 메모리 셀들(TRPB)에서 한 개의 페이지 단위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전달버퍼(TMB, TCB), 즉, 하나의 메모리 셀마다 1비트씩의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전달버퍼(TMB, TCB)만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프로그램 중지 또는 대기 상태에서 리드 동작'의 대상이 되는 메모리 셀들(TRPB)에서 세 개의 페이지 단위 데이터를 리드할 때에는, '프로그램 중지 또는 대기 상태에서 리드 동작'의 대상이 되는 메모리 셀들(TRPB)에서 한 개의 페이지 단위 데이터씩을 반복하여 세 번 리드하는 방식, 즉, 하나의 메모리 셀마다 1비트씩의 데이터를 반복하여 세 번 리드하는 방식을 사용해야 한다.
물론, 선택된 메모리 장치로 입력된 프로그램 데이터가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에 저장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4. HOLD ON ONE SHOT PROGRAM)하는 동작 이후에 선택된 메모리 장치에 대해 수행되는 리드 동작(5. RANDOM READ)은 선택적인 동작이다. 즉, 선택된 메모리 장치로 입력된 프로그램 데이터가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에 저장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4. HOLD ON ONE SHOT PROGRAM)하는 동작 이후에 선택된 메모리 장치에 대해 수행되는 리드 동작(5. RANDOM READ)은 발생할 수도 있고,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선택된 메모리 장치로 입력된 프로그램 데이터가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에 저장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4. HOLD ON ONE SHOT PROGRAM)하는 동작 이후에 선택된 메모리 장치에 대해 수행되는 리드 동작(5. RANDOM READ)이 수행되는 것과 상관없이 '프로그램 동작'이 다시 시작될 수 있다(6. ONE SHOT PROGRAM RESUME).
이렇게, 선택된 메모리 장치에 대해 '프로그램 동작'을 다시 시작하는 동작은, 도 15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프로그램 재시작 커맨드가 입력(WT RESTART CMD)되어야 할 것이다.
이렇게, 프로그램 재시작 커맨드가 입력(WT RESTART CMD)된 이후의 동작은, 마찬가지로 도 15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프로그램 중지 또는 대기'동작이 수행되기 이전에 수행되지 못했던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보조준비동작'이 수행되고, 이어서, '프로그램 동작'이 수행될 것이다.
이때, '프로그램 동작'은, 도 16에서와 같이 선택된 메모리 장치의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에 저장된 프로그램 데이터가 선택된 메모리 장치의 선택된 메모리 셀들(TARGET PAGE / TLSB, TCSB, TMSB)로 원-샷 프로그램하는 동작이 될 것이다.
참고로, 도 16에서는 선택된 메모리 장치의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에 저장된 프로그램 데이터가 메인버퍼(TMB)를 거치지 않고, 선택된 메모리 장치의 선택된 메모리 셀들(TARGET PAGE / TLSB, TCSB, TMSB)로 원-샷 프로그램되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을 간략화한 것일 뿐이며, 실제로는 메인버퍼(TMB)를 거쳐서 원-샷 프로그램 될 것이다.
도 17 및 도 18은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프로그램 동작이 적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먼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110)에 포함된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와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중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110)에 포함된 컨트롤러(130)에 포함된 메모리(144)의 역할 중 '캐시메모리'의 역할을 강조하여 캐시메모리(1441)로서 도시한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30)에서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4>)를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에 프로그램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정에서, 캐시메모리(1441)에 캐싱된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4>)는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로 전달되어 프로그램될 것이다. 즉, 제1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는 첫 번째 제1 메모리 장치(1501<1>)로 전달되어 프로그램되고, 제2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2>)는 두 번째 제1 메모리 장치(1501<2>)로 전달되어 프로그램되며, 제3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3>)는 세 번째 제1 메모리 장치(1501<3>)로 전달되어 프로그램되고, 제4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4>)는 네 번째 제1 메모리 장치(1501<4>)로 전달되어 프로그램된다.
이때,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로 프로그램되는 모든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4>)를 캐시메모리(1441)에 한 번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캐시메모리(1441)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매우 커져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특징적인 프로그램 동작에서는,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각각으로 프로그램될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4>)를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각각에 포함된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제1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가 캐시메모리(1441)에 캐싱되는 시점에서 제1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를 첫 번째 제1 메모리 장치(1501<1>)에 포함된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로 이동시켜 저장하고, 제2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2>)가 캐시메모리(1441)에 캐싱되는 시점에서 제2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2>)를 두 번째 제1 메모리 장치(1501<2>)에 포함된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로 이동시켜 저장하며, 제3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3>)가 캐시메모리(1441)에 캐싱되는 시점에서 제3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3>)를 세 번째 제1 메모리 장치(1501<3>)에 포함된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로 이동시켜 저장하고, 제4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4>)가 캐시메모리(1441)에 캐싱되는 시점에서 제4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4>)를 네 번째 제1 메모리 장치(1501<4>)에 포함된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로 이동시켜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30)는, 캐시메모리(1441)에 캐싱되는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4>)의 크기가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각각에 포함된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에 동시에 저장할 수 있는 크기, 예컨대, 세 개의 페이지 단위에 대응하는 크기가 될 때마다 캐시메모리(1441)에 캐싱된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4>)를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각각에 포함된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로 이동시켜 저장한다.
그리고, 컨트롤러(130)는, 캐시메모리(1441)에 캐싱된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4>)를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각각에 포함된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로 이동시켜 저장할 때,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반적인 프로그램 동작 방식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 15 및 도 16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프로그램 동작 방식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반적인 프로그램 동작 방식은, 이미 공지된 프로그램 동작 방식이므로 이후의 설명에서는 도 15 및 도 16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프로그램 동작 방식이 적용되는 것을 가정하도록 하겠다.
따라서, 컨트롤러(130)는, 캐시메모리(1441)에 캐싱된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4>)를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각각에 포함된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로 이동시켜 저장하는 동작을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각각의 리드 대상 메모리 셀들(TRPB<1:4>)에 저장된 리드 데이터(RD_DATA<1:4>)를 출력하는 동작과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컨트롤러(130)는,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4>)를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에 프로그램시킬 때,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4>)의 입력이 끝나지 않은 상태 또는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각각의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가 가득 차지 않은 상태에서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에 대한 리드 동작이 요구되는 경우에도,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각각에 포함된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전달버퍼(TMB, TCB)만을 사용하여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각각의 리드 대상 메모리 셀(TRPB<1:4>)로부터 리드 데이터(RD_DATA<1:4>)를 리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컨트롤러(130)의 동작, 즉, 캐시메모리(1441)에 캐싱된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4>)를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각각에 포함된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로 이동시켜 저장하는 동작은,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4>)의 입력이 종료되어 캐시메모리(1441)에 더 이상 캐싱되지 않거나,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각각에 포함된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가 가득 찰 때까지 계속된다.
이렇게,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4>)의 입력이 종료되어 캐시메모리(1441)에 더 이상 캐싱되지 않거나,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각각에 포함된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가 가득차면, 컨트롤러(130)는,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각각에서 동시에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보조준비동작'이 수행되고, 이어서,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각각에서'프로그램 동작'을 수행하여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각각에 포함된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에 저장된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4>)가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각각의 프로그램 대상 메모리 셀들(TARGET PAGE / TLSB, TCSB, TMSB)에 원-샷 프로그램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17에 도시된 동작, 즉, 컨트롤러(130)에서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4>)를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에 프로그램시키는 동작은, 컨트롤러(130)에서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4>)를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프로그램시키는 동작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시메모리(1441)에 캐싱된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4>)는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로 전달되어 프로그램될 것이다. 즉, 제1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는 첫 번째 제2 메모리 장치(1502<1>)로 전달되어 프로그램되고, 제2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2>)는 두 번째 제2 메모리 장치(1502<2>)로 전달되어 프로그램되며, 제3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3>)는 세 번째 제2 메모리 장치(1502<3>)로 전달되어 프로그램되고, 제4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4>)는 네 번째 제2 메모리 장치(1502<4>)로 전달되어 프로그램된다.
이때,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로 프로그램되는 모든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4>)를 캐시메모리(1441)에 한 번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캐시메모리(1441)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매우 커져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특징적인 프로그램 동작에서는,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으로 프로그램될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4>)를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에 포함된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제1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가 캐시메모리(1441)에 캐싱되는 시점에서 제1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를 첫 번째 제2 메모리 장치(1502<1>)에 포함된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로 이동시켜 저장하고, 제2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2>)가 캐시메모리(1441)에 캐싱되는 시점에서 제2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2>)를 두 번째 제2 메모리 장치(1502<2>)에 포함된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로 이동시켜 저장하며, 제3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3>)가 캐시메모리(1441)에 캐싱되는 시점에서 제3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3>)를 세 번째 제2 메모리 장치(1502<3>)에 포함된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로 이동시켜 저장하고, 제4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4>)가 캐시메모리(1441)에 캐싱되는 시점에서 제4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4>)를 네 번째 제2 메모리 장치(1502<4>)에 포함된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로 이동시켜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30)는, 캐시메모리(1441)에 캐싱되는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4>)의 크기가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에 포함된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에 동시에 저장할 수 있는 크기, 예컨대, 세 개의 페이지 단위에 대응하는 크기가 될 때마다 캐시메모리(1441)에 캐싱된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4>)를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각각에 포함된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로 이동시켜 저장한다.
그리고, 컨트롤러(130)는, 캐시메모리(1441)에 캐싱된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4>)를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에 포함된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로 이동시켜 저장할 때,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반적인 프로그램 동작 방식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 15 및 도 16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프로그램 동작 방식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반적인 프로그램 동작 방식은, 이미 공지된 프로그램 동작 방식이므로 이후의 설명에서는 도 15 및 도 16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프로그램 동작 방식이 적용되는 것을 가정하도록 하겠다.
따라서, 컨트롤러(130)는, 캐시메모리(1441)에 캐싱된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4>)를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에 포함된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로 이동시켜 저장하는 동작을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의 리드 대상 메모리 셀들(TRPB<1:4>)에 저장된 리드 데이터(RD_DATA<1:4>)를 출력하는 동작과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컨트롤러(130)는,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4>)를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에 프로그램시킬 때,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4>)의 입력이 끝나지 않은 상태 또는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의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가 가득 차지 않은 상태에서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에 대한 리드 동작이 요구되는 경우에도,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에 포함된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전달버퍼(TMB, TCB)만을 사용하여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의 리드 대상 메모리 셀들(TRPB<1:4>)로부터 리드 데이터(RD_DATA<1:4>)를 리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컨트롤러(130)의 동작, 즉, 캐시메모리(1441)에 캐싱된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4>)를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에 포함된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로 이동시켜 저장하는 동작은,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4>)의 입력이 종료되어 캐시메모리(1441)에 더 이상 캐싱되지 않거나,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에 포함된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가 가득 찰 때까지 계속된다.
이렇게,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4>)의 입력이 종료되어 캐시메모리(1441)에 더 이상 캐싱되지 않거나,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에 포함된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가 가득차면, 컨트롤러(130)는,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각각에서 동시에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보조준비동작'이 수행되고, 이어서,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에서 '프로그램 동작'을 수행하여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에 포함된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에 저장된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4>)가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의 프로그램 대상 메모리 셀들(TARGET PAGE / TLSB, TCSB, TMSB)에 원-샷 프로그램되도록 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징적인 프로그램 동작이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및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에서 서로 인터리빙 형태로 수행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에서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보조준비동작'이 시작된 이후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의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에 저장된 데이터를 프로그램 대상 메모리 셀들(TARGET PAGE / TLSB, TCSB, TMSB)에 원-샷 프로그램하는 '프로그램 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에서,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각각에서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필수준비동작'만 시작하고 '보조준비동작'을 시작하지 않은 상태로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4>)를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에 저장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반대로,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각각에서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보조준비동작'이 시작된 이후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각각의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에 저장된 데이터를 프로그램 대상 메모리 셀들(TARGET PAGE / TLSB, TCSB, TMSB)에 원-샷 프로그램하는 '프로그램 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에서,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에서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필수준비동작'만 시작하고 '보조준비동작'을 시작하지 않은 상태로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4>)를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의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에 저장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징적인 프로그램 동작은, 전술한 도 18에서의 설명처럼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및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를 서로 인터리빙 방식으로 동작시킬 때, 매우 효과적인 동작방식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4>)가 호스트(102)로부터 직접 입력되어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또는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에 저장될 때,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또는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에 포함된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를 캐시메모리(1441)와 동일한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캐시메모리(1441)의 물리적인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4>)가 호스트(102)로부터 직접 입력되어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또는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에 저장될 때, 프로그램 동작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중간에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또는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으로부터 리드 데이터(RD_DATA<1:4>)를 리드하여 호스트(102)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호스트(102)로부터 프로그램 동작과 리드 동작이 번갈아가면서 랜덤(random)하게 요청되는 경우에도 최소한의 대기시간만을 소모한 상태에서도 프로그램 동작과 리드 동작을 모두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징적인 프로그램 동작은, 호스트(102)로부터의 요청이 아닌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또는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에서 가비지 컬렉션 동작이 백그라운드로 수행되어야 할 때, 매우 효과적인 동작방식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징적인 프로그램 동작을 사용하게 되면,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가 하나의 그룹으로 묶인 형태로 공통으로 가비지 컬렉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가 하나의 그룹으로 묶인 형태로 공통으로 가비지 컬렉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와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가 각각 그룹으로 묶인 상태에서 서로 인터리빙 방식으로 번갈아가면서 가비지 컬렉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먼저,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가 하나의 그룹으로 묶인 형태로 공통으로 가비지 컬렉션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리드 데이터(RD_DATA<1:4>)는,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각각의 희생블록(victim block)에 저장되어 있던 유효 데이터이다. 이렇게,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각각의 희생블록에 저장되어 있던 유효 데이터가 리드 데이터(RD_DATA<1:4>)로서 리드되어 캐시메모리(1441)에 캐싱된 후,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4>)로서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각각의 타겟블록(target block)에 프로그램된다. 즉,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4>)는, 가비지 컬렉션 동작과정에서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로부터 랜덤하게 리드되는 리드 데이터(RD_DATA<1:4>)이다.
따라서,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은 다음, 동시에 가비지 컬렉션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각각에서 프로그램 동작을 수행하는 도중에도 리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특징적인 프로그램 동작을 적용하게 되면,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은 다음, 동시에 가비지 컬렉션을 원활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프로그램 동작에서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4>)를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에 프로그램시킬 때,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4>)의 입력이 끝나지 않은 상태 또는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각각의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가 가득 차지 않은 상태에서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에 대한 리드 동작이 요구되는 경우에도,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각각에 포함된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전달버퍼(TMB, TCB)만을 사용하여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각각의 리드 대상 메모리 셀(TRPB<1:4>)로부터 리드 데이터(RD_DATA<1:4>)를 리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가 하나의 그룹으로 묶인 형태로 공통으로 가비지 컬렉션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리드 데이터(RD_DATA<1:4>)는,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의 희생블록(victim block)에 저장되어 있던 유효 데이터이다. 이렇게,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의 희생블록에 저장되어 있던 유효 데이터가 리드 데이터(RD_DATA<1:4>)로서 리드되어 캐시메모리(1441)에 캐싱된 후,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4>)로서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의 타겟블록(target block)에 프로그램된다. 즉,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4>)는, 가비지 컬렉션 동작과정에서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로부터 랜덤하게 리드되는 리드 데이터(RD_DATA<1:4>)이다.
따라서,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은 다음, 동시에 가비지 컬렉션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각각에서 프로그램 동작을 수행하는 도중에도 리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특징적인 프로그램 동작을 적용하게 되면,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은 다음, 동시에 가비지 컬렉션을 원활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프로그램 동작에서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4>)를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에 프로그램시킬 때, 프로그램 데이터(WT DATA<1:4>)의 입력이 끝나지 않은 상태 또는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의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가 가득 차지 않은 상태에서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에 대한 리드 동작이 요구되는 경우에도,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에 포함된 3비트 멀티버퍼(MMB, MCB, MLB)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전달버퍼(TMB, TCB)만을 사용하여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의 리드 대상 메모리 셀(TRPB<1:4>)로부터 리드 데이터(RD_DATA<1:4>)를 리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1501<1:4>) 각각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은 상태에서 가비지 컬렉션 동작을 수행하는 것과,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1502<1:4>) 각각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은 상태에서 가비지 컬렉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서로 인터리빙 방식으로 번갈아 가면서 수행될 수 있는 것은, 도 18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원리로 컨트롤러(130)가 동작하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2 : 호스트 130 : 컨트롤러
1501<1:4> :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1502<1:4> :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1441 : 캐시메모리

Claims (20)

  1. M비트(M은 2이상의 정수임) 멀티레벨 셀과 M비트 멀티버퍼 및 전달버퍼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및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및 상기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으로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캐싱하기 위한 캐시메모리; 및
    프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에 프로그램시키기 위해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가 상기 캐시메모리에 M비트씩 캐싱될 때마다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중 선택된 하나의 제1 메모리 장치의 M비트 멀티버퍼로 상기 캐시메모리에 캐싱된 M비트 데이터를 이동시키되,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의 입력이 끝나거나 또는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가 가득 찰 때까지,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에서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필수준비동작만 시작하고 보조준비동작을 시작하지 않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에 프로그램시키기 위해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가 상기 캐시메모리에 M비트씩 캐싱될 때마다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중 선택된 하나의 제2 메모리 장치의 M비트 멀티버퍼로 상기 캐시메모리에 캐싱된 M비트 데이터를 이동시키되,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의 입력이 끝나거나 또는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가 가득 찰 때까지,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필수준비동작만 시작하고 보조준비동작을 시작하지 않는 메모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에 프로그램시킬 때,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의 입력이 끝난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가 가득 찬 것으로 확인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보조준비동작을 시작하고,
    이어서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전달버퍼를 통해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셀에 원-샷 프로그램하는 메모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에 프로그램시킬 때,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의 입력이 끝난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가 가득 찬 것으로 확인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보조준비동작을 시작하고,
    이어서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전달버퍼를 통해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셀에 원-샷 프로그램하는 메모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필수준비동작은,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의 멀티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정렬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보조준비동작은, 상기 정렬하는 동작을 통해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의 멀티버퍼에 정렬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하는 동작을 통해 확인된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셀에 원-샷 프로그램할 때 사용되는 전압을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에 프로그램시킬 때,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의 입력이 끝나지 않은 상태 또는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가 가득 차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에 대한 리드 동작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각각의 M비트 셀로부터 리드 데이터를 1비트씩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전달버퍼로 리드하여 출력하는 메모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에 프로그램시킬 때,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의 입력이 끝나지 않은 상태 또는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가 가득 차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에 대한 리드 동작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각각의 M비트 셀로부터 리드 데이터를 1비트씩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전달버퍼로 리드하여 출력하는 메모리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에서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보조준비동작이 시작된 이후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M비트 멀티레벨 셀에 원-샷 프로그램하는 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에서,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에서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필수준비동작만 시작하고 보조준비동작을 시작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에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에서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보조준비동작이 시작된 이후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M비트 멀티레벨 셀에 원-샷 프로그램하는 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에서,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에서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필수준비동작만 시작하고 보조준비동작을 시작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에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메모리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에 프로그램시킬 때,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의 입력이 끝나지 않은 상태 또는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가 가득 차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에 대한 리드 동작 요구에 의해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리드 데이터는,
    호스트의 요구에 의해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로부터 출력이 요청된 데이터 또는 가비지 컬렉션 동작과정에서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희생블록에 저장되어 있던 유효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는,
    호스트의 요구에 의해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에 저장이 요청된 데이터 또는 가비지 컬렉션 동작과정에서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타겟블록으로 저장 예정인 유효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11. M비트(M은 2이상의 정수임) 멀티레벨 셀과 M비트 멀티버퍼 및 전달버퍼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및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및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및 상기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으로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캐싱하기 위한 캐시메모리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에 프로그램시키기 위해 프로그램 데이터가 상기 캐시메모리에 M비트씩 캐싱될 때마다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중 선택된 하나의 제1 메모리 장치의 M비트 멀티버퍼로 상기 캐시메모리에 캐싱된 M비트 데이터를 이동시키는 제1 이동단계; 및
    상기 제1 이동단계를 통해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가 모두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에 저장되거나 또는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가 가득 찰 때까지,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필수준비동작만 시작하고 보조준비동작을 시작하지 않는 제1 준비단계
    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에 프로그램시키기 위해 프로그램 데이터가 상기 캐시메모리에 M비트씩 캐싱될 때마다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중 선택된 하나의 제2 메모리 장치의 M비트 멀티버퍼로 상기 캐시메모리에 캐싱된 M비트 데이터를 이동시키는 제2 이동단계; 및
    상기 제2 이동단계를 통해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가 모두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에 저장되거나 또는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가 가득 찰 때까지,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필수준비동작만 시작하고 보조준비동작을 시작하지 않는 제2 준비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단계를 통해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가 모두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에 저장된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가 가득 찬 것으로 확인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보조준비동작을 시작하는 제1 시작단계; 및
    상기 제1 시작단계 이후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전달버퍼를 통해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셀에 원-샷 프로그램하는 제1 원-샷 프로그램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단계를 통해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가 모두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에 저장된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가 가득 찬 것으로 확인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보조준비동작을 시작하는 제2 시작단계; 및
    상기 제2 시작단계 이후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전달버퍼를 통해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셀에 원-샷 프로그램하는 제2 원-샷 프로그램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필수준비동작은,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의 멀티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정렬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준비동작 중 보조준비동작은, 상기 정렬하는 동작을 통해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의 멀티버퍼에 정렬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하는 동작을 통해 확인된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셀에 원-샷 프로그램할 때 사용되는 전압을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단계를 통해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가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에 저장하는 동작이 수행중인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에 대한 리드 동작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각각의 M비트 셀로부터 리드 데이터를 1비트씩 상기 다수의 제1 메모리 장치 각각의 전달버퍼로 리드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단계를 통해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가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에 저장하는 동작이 수행중인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에 대한 리드 동작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각각의 M비트 셀로부터 리드 데이터를 1비트씩 상기 다수의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전달버퍼로 리드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샷 프로그램 단계가 수행되는 구간에서 상기 제2 시작단계 및 상기 제2 준비단계가 수행되고,
    상기 제2 원-샷 프로그램 단계가 수행되는 구간에서 상기 제1 시작단계 및 상기 제1 준비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이동단계를 통해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가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M비트 멀티버퍼에 저장하는 동작이 수행중인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에 대한 리드 동작 요구에 의해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리드 데이터는,
    호스트의 요구에 의해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로부터 출력이 요청된 데이터 또는 가비지 컬렉션 동작과정에서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희생블록에 저장되어 있던 유효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는,
    호스트의 요구에 의해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에 저장이 요청된 데이터 또는 가비지 컬렉션 동작과정에서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 메모리 장치 각각의 타겟블록으로 저장 예정인 유효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KR1020160012395A 2016-02-01 2016-02-01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KR2017009183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395A KR20170091832A (ko) 2016-02-01 2016-02-01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TW105119883A TWI699770B (zh) 2016-02-01 2016-06-24 記憶體系統及其操作方法
US15/204,401 US9984001B2 (en) 2016-02-01 2016-07-07 Memory system for reducing program preparation operation tim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201610581722.XA CN107025065B (zh) 2016-02-01 2016-07-21 存储器系统及其操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395A KR20170091832A (ko) 2016-02-01 2016-02-01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832A true KR20170091832A (ko) 2017-08-10

Family

ID=59386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395A KR20170091832A (ko) 2016-02-01 2016-02-01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84001B2 (ko)
KR (1) KR20170091832A (ko)
CN (1) CN107025065B (ko)
TW (1) TWI69977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63126B2 (en) 2019-11-19 2022-03-01 SK Hynix Inc. Data storag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40274B2 (en) * 2016-03-29 2020-01-21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devices including dynamic superblocks, and related methods and electronic systems
US10043557B1 (en) 2017-10-10 2018-08-07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arallel I/O operations in a memory
JP2019133391A (ja) * 2018-01-31 2019-08-08 東芝メモリ株式会社 メモリ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CN110896406A (zh) * 2018-09-13 2020-03-20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存储方法、装置及服务器
KR102564566B1 (ko) * 2018-11-02 2023-08-1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029903A (ko) * 2020-09-02 2022-03-1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3330B2 (ja) * 1999-09-28 2006-12-27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
KR100621632B1 (ko) * 2005-03-22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시리얼 센싱 동작을 수행하는 노어 플래시 메모리 장치
KR100733954B1 (ko) * 2006-06-15 2007-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향상된 스캔 구조를 갖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
US20100017556A1 (en) * 2008-07-19 2010-01-21 Nanostar Corporationm U.S.A. Non-volatile memory storage system with two-stage controller architecture
EP2172927A1 (en) * 2008-10-02 2010-04-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operation of a multi-buffer graphics memory refresh, multi-buffer graphics memory arrangement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20140115241A1 (en) * 2011-05-30 2014-04-24 Qingsong Wei Buffer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KR20130060791A (ko) * 2011-11-30 2013-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마모도 제어 로직을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데이터 저장 장치, 메모리 카드, 그리고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CN104685543B (zh) * 2012-09-27 2017-04-12 三菱电机株式会社 图形描绘装置
KR102226367B1 (ko) 2014-01-02 2021-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시스템
KR20150095139A (ko) * 2014-02-12 2015-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채널 버퍼로의 직접 접근이 가능한 직접 메모리 접근 컨트롤러 및 시스템.
KR102289919B1 (ko) * 2014-04-15 2021-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토리지 컨트롤러, 스토리지 장치, 스토리지 시스템 및 상기 스토리지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
KR20170008339A (ko) 2015-07-13 2017-01-2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63126B2 (en) 2019-11-19 2022-03-01 SK Hynix Inc. Data storag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20472A1 (en) 2017-08-03
CN107025065A (zh) 2017-08-08
TWI699770B (zh) 2020-07-21
TW201729198A (zh) 2017-08-16
US9984001B2 (en) 2018-05-29
CN107025065B (zh) 2020-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1441B1 (ko)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309471B1 (ko)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160127524A (ko)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160112135A (ko)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310580B1 (ko)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160058458A (ko)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160032910A (ko)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170050953A (ko) 메모리 시스템 및 그의 동작방법
KR102438552B1 (ko) 메모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N107025065B (zh) 存储器系统及其操作方法
KR20160148952A (ko)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170057902A (ko)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170084460A (ko)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170078307A (ko)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KR20160075165A (ko)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170074264A (ko)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KR20170118284A (ko)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170078315A (ko)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KR20160149463A (ko) 비휘발성 메모리 시스템 및 비휘발성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KR20170056782A (ko)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KR20170046862A (ko)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170025714A (ko)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170040466A (ko) 데이터 처리 시스템
KR20170060204A (ko)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170021402A (ko) 메모리 시스템 및 그의 동작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