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1026A - 제어장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제어장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1026A
KR20170091026A KR1020170010806A KR20170010806A KR20170091026A KR 20170091026 A KR20170091026 A KR 20170091026A KR 1020170010806 A KR1020170010806 A KR 1020170010806A KR 20170010806 A KR20170010806 A KR 20170010806A KR 20170091026 A KR20170091026 A KR 20170091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ntrol
selection information
sensor
detection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2690B1 (ko
Inventor
마사히로 한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91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1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39Details of the system layout
    • G08B13/19641Multiple cameras having overlapping views on a single scene
    • H04N5/2320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G08B13/19656Network used to communicate with a camera, e.g. WAN, LAN, Interne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G08B13/1966Wireless systems, other than telephone systems, used to communicate with a camer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65Details related to the storage of video surveillance data
    • G08B13/19667Details realated to data compression, encryption or encoding, e.g. resolution modes for reducing data volume to lower transmission bandwidth or memory requir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65Details related to the storage of video surveillance data
    • G08B13/19669Event triggers storage or change of storage polic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95Arrangements wherein non-video detectors start video recording or forwarding but do not generate an alarm themsel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5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 H04N23/951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by using two or more images to influence resolution, frame rate or aspect ratio
    • H04N5/232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8Capturing isolated or intermittent images triggered by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event, e.g. an objec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제어장치는, 복수의 촬상장치 중 단말장치에 의해 표시 및/또는 기억될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장치를, 센서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선택하기 위한 선택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유닛과, 복수의 촬상장치 중에서 취득된 선택 정보에 근거하여 선택될 가능성이 없는 촬상장치로부터의 촬상 화상에 관련되는 통신량이, 취득한 선택 정보에 근거하여 선택될 가능성이 많은 촬상장치로부터의 촬상 화상에 관련되는 통신량보다도 작아지도록 제어를 행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제어장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촬상장치를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감시 대상의 시설 내에 복수의 촬상장치를 설치한 감시 시스템이 보급되어 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촬상장치가 촬상한 화상을 화상을 표시 및 녹화하는 단말장치에 모은다. 모인 촬상 화상에 대해 해석 처리나 경비원에 의한 육안 확인을 행함으로써, 시설 내의 이상 등을 검출 및 기록할 수 있다. 일본국 특개 2011-217055호 공보에는 이 기술과 관련된 다음과 같은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감시 대상의 시설 내에 촬상장치 이외에 복수의 센서를 설치한다. 이들 센서가 이상을 검지할 때, 이상 발생시의 상황 확인에 최적의 촬상장치를 촬상장치들로부터 선택한다. 그후, 선택된 촬상장치로부터의 촬상 화상을 기억한다.
그렇지만, 센서들로부터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복수의 촬상장치로부터 선택된 촬상장치로부터의 촬상 화상이 표시 및/또는 기억되는 시스템은 이하와 같은 과제를 갖는다. 예를 들면, 화상의 표시 및/또는 기억을 행하는 단말장치에 시스템 내의 모든 촬상장치가 균일하게 촬상 화상을 송신하는 경우에는, 선택되지 않은 촬상장치에 의한 촬상 화상의 송신에 의해 촬상장치, 단말장치 및 네트워크에 걸리는 부하가 증대한다. 선택되지 않은 촬상장치 모두가 촬상 화상의 송신을 정지한 경우에는, 촬상 화상의 송신이 지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촬상 화상의 송신을 정지하고 있는 선택되지 않은 촬상장치 중에서 새롭게 촬상장치가 선택되었을 때에, 그 선택된 촬상장치가 송신을 개시하여 촬상 화상이 표시 및/또는 기억 가능해질 때까지 지연이 생길 수도 있다.
제어장치는, 복수의 촬상장치 중 단말장치에 의해 표시 및/또는 기억될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장치를, 센서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선택하기 위한 선택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 유닛과, 상기 복수의 촬상장치 중에서 취득된 상기 선택 정보에 근거하여 선택될 가능성이 없는 촬상장치로부터의 촬상 화상에 관련되는 통신량이, 취득한 상기 선택 정보에 근거하여 선택될 가능성이 많은 촬상장치로부터의 촬상 화상에 관련되는 통신량보다도 작아지도록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국면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촬상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다.
도 3은 제어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선택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선택 정보의 내용을 나타낸 표이다.
도 6은 촬상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처리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도 7은 제어장치에 의한 선택 정보의 취득에 관한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8은 제어장치에 의한 검지 결과의 수신에 관한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때, 이하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특징의 조합의 모두가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시스템 구성]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촬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다. 촬상 시스템은, 제어장치(100), 단말장치(200), 촬상장치 300-1, 촬상장치 300-2, …, 촬상장치 300-n, 센서 군(400), 및 지시장치(500)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특별한 설명이 없는 경우에는, 촬상장치 300-1 내지 촬상장치 300-n을 포함하는 n대의 촬상장치를 합쳐서 촬상장치(300)로 기재한다. 제어장치(100), 단말장치(200), 촬상장치(300), 및 지시장치(500)는, 네트워크 10을 거쳐 접속되어 있다. 제어장치(100) 및 센서 군(400)은 네트워크 20을 거쳐 접속되어 있다.
상기한 접속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어장치(100)와 단말장치(200) 및 지시장치(500)를 접속하는 네트워크가, 제어장치(100)와 촬상장치(300)를 접속하는 네트워크와 다를 수 있다. 이와 달리, 예를 들면, 네트워크 10과 네트워크 20이 접속되어 한개의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제어장치(100)와 단말장치(200)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단말장치(200)와 지시장치(500)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10 및 네트워크 20은 각각, 인터넷, 유선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LAN), 무선 LAN, 광대역 네트워크(WAN) 등일 수 있다. 네트워크 10 및 네트워크 20의 통신 규격, 규모, 및 구성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10 및 네트워크 20은 각각, 애드혹 네트워크, ultra-wide band(UWB) 등일 수 있다. 네트워크 10 및 네트워크 20은 통신 규격으로서, 예를 들면, Ethernet(등록상표), Bluetooth(등록상표), Zigbee(등록상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10과 네트워크 20 각각의 통신 규격이나 구성 등이 다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장치(100)는, 단말장치(200), 촬상장치(300), 센서 군(400), 및 지시장치(500)의 각각과 네트워크 10 또는 네트워크 20을 거쳐 접속되어 있다. 제어장치(100)는, 복수의 촬상장치(300)가 송신한 촬상 화상을 수신한다. 제어장치(100)는, 지시장치(500)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하여 선택 정보(600)를 취득한다. 그후, 그 선택 정보(600)와 센서 군(400)으로부터 수신한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제어장치(100)는 복수의 촬상장치(300) 중에서 특정한 촬상장치(300)를 선택한다.
도 4에 예를 나타낸 것과 같이, 선택 정보(600)는 센서 군(400)으로부터 수신한 검지 결과(조건(620-1))를 촬상장치(300)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행동(630))와 관련시키는 정보(조건식 610-1, 조건식 610-2 및 조건식 610-3)를 포함한다. 선택 정보(600)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어장치(100)는, 수신한 촬상 화상 중, 선택된 촬상장치(300)로부터 송신된 촬상 화상을 단말장치(200)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어장치(100)는, 센서로부터의 검지 결과에 따른 최적의 촬상장치(300)로부터의 촬상 화상을 단말장치(200)에 송신할 수 있다. 제어장치(100)는, 단말장치(200)에 전송되는 화상에 대해 화상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제어장치(100)가 시스템 내의 촬상장치(300) 모두로부터 균일하게 촬상 화상을 수신한 후, 단말장치(200)에 전송할 촬상 화상을 선택하는 경우, 촬상장치(300), 제어장치(100) 및 네트워크 10에 걸리는 부하가 증가할 수 있다. 제어장치(100)가 단말장치(200)에 전송할 촬상 화상만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전송해야 할 촬상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장치(300)가 변경될 때에, 제어장치(100)는 촬상장치(300)로부터의 촬상 화상의 송신의 개시/정지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제어는, 새롭게 선택된 촬상장치(300)로부터의 촬상 화상이 단말장치(200)에 전송될 때까지 지연을 일으켜, 시스템의 사용 편리성이 손상되어 버린다. 전술한 상황을 감안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장치(100)는, 단말장치(200)로 촬상 화상이 전송될 가능성이 많은 촬상장치(300)로부터 촬상 화상이 수신되도록 제어를 행한다. 이에 따라, 그 이외의 촬상장치(300)로부터 송신된 촬상 화상의 데이터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어장치(100)의 구체적인 예로는, 퍼스널 컴퓨터(PC), 마이크로 서버, 홈 게이트웨이, 라우터 등의 중계장치, 비디오 관리 소프트웨어(video management software: VMS)를 구비한 서버 장치, 및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의 모바일 단말을 들 수 있다. 제어장치(100)는 이들 구체적인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기기일 수 있다.
단말장치(200)는, 제어장치(100) 및 촬상장치(300)와 네트워크 10을 거쳐 접속되어 있다. 단말장치(200)는, 촬상장치(300)에 의해 촬상되고 제어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촬상 화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화상을 표시 및 녹화한다. 단말장치(200)는, 제어장치(100)에 의해 선택된 촬상장치(300)로부터 송신된 촬상 화상을, 제어장치(100)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수신할 수 있다. 단말장치(200)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디스플레이와 녹화 서버를 들 수 있다.
촬상장치(300)는, 제어장치(100) 및 단말장치(200)와 네트워크 10을 거쳐 접속되어 있다. 촬상장치(300)는, Open Network Video Interface Forum(ONVIF), Universal Plug and Play(UPnP), 또는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DLNA) 등의 규격을 준거하고 있다. 촬상장치(300)는 이들 규격에 준거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표준 규격에 준거하거나 다른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촬상장치(300)는 화상을 촬상하고, 제어장치(100)에 촬상 화상을 송신한다. 본 실시형태의 예시적인 구성에서는, 촬상장치(300)에 의해 송신되는 촬상 화상이 동화상이다. 그러나, 촬상 화상은 동화상에 한정되지 않고 정지 화상일 수도 있다. 촬상 화상에는 음성이 포함될 수 있다. 촬상장치(300)는 촬상 화상을 단말장치(200)에 송신할 수 있다.
촬상장치(300)는 제어장치(100)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장치(100)에 의해 촬상장치(300)에 대해 행해지는 제어의 예로는, 데이터 제어, 촬상 제어, 및 상태 제어가 있다. 데이터 제어는, 촬상장치(300)의 송신 기능과 관련된다. 데이터 제어의 대상의 예로는, 송신의 개시/정지와, 송신될 촬상 화상의 프레임 레이트, 해상도 및 비트 레이트가 있다. 촬상 제어는, 촬상장치(300)의 촬상 기능과 관련된다. 촬상 제어의 대상의 예로는, 촬상의 개시/정지, 촬상의 프레임 레이트, 촬상될 화상의 해상도 및 비트 레이트가 있다. 상태 제어는 촬상장치(300)의 상태에 관련된다. 상태 제어의 예로는, 촬상장치의 기동/정지, 및 촬상장치의 팬/틸트/줌(PTZ)이 있다. 제어장치(100)에 의해 촬상장치(300)에 대해 행해지는 제어의 내용은 상기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종류의 제어가 행해질 수 있다.
센서 군(400)은, 복수의 센서에 의해 구성되고, 제어장치(100)와 네트워크 20을 거쳐 접속되어 있다. 센서 군(400)은, 각 센서로부터의 검지 결과를 제어장치(100)에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100)에 의해 수신된 센서 군(400)으로부터의 검지 결과는, 온도, 조도, 진동, 적외선, 시각, 시간대, 및 도어의 개폐 여부의 적어도 어느 한개에 관련된다. 단, 센서 군(400)이 검지할 수 있는 것은 전술한 항목에 한정되지 않고, 센서 군(400)은 다른 정보를 검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군(400) 내부의 복수의 센서는, 각각 다른 내용의 검지를 행해도 되고, 다른 위치에서 같은 내용의 검지를 행해도 된다.
지시장치(500)는, 제어장치(100)와 네트워크 10을 거쳐 접속되어 있고, 제어장치(100)에게 선택 정보(600)를 취득하게 하기 위한 지시를 송신한다. 지시장치(500)의 예로는, PC, 마이크로 서버, VMS을 구비한 서버 장치, 및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의 모바일 단말을 들 수 있다. 지시장치(500)는 이들 기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기기 종류일 수 있다.
[제어장치(100)의 기능 구성]
도 2를 참조해서 제어장치(100)의 기능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장치(100)는 선택 정보 관리부(101)(이하, 관리부(101)라고 한다), 센서 제어부(102), 촬상장치 제어부(103)(이하, 촬상 제어부(103)라고 한다), 센서 선택부(104), 촬상장치 선택부(105)(이하, 촬상 선택부(105)라고 한다), 화상 취득부(106) 및 송신부(107)를 구비한다.
관리부(101)는, 지시장치(500)로부터 수신한 지시에 근거하여 선택 정보(600)를 취득하여 관리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선택 정보(600)는, 복수의 촬상장치(300) 중에서 단말장치(200)에 의해 표시 및/또는 기억될 촬상 화상을 송신하는 촬상장치(300)를, 센서로부터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선택하기 위해 제어장치(100)에 의해 사용된다. 선택 정보(600)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센서 제어부(102)는, 네트워크 20에 접속되어 동작하는 센서 군(400)을 인식하기 위해, 센서의 검색, 애드버타이즈(advertise) 메시지의 감시, 및 센서의 동작 확인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센서 제어부(102)는, 인식한 센서를 관리하고, 센서로부터 검지 결과를 수신한다. 센서 제어부(102)는, 센서로부터 검지 이벤트를 서브스크라이브(subscribe)함으로써 검지 결과를 수신하거나(즉, 센서 제어부(102)는 검지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검지 결과를 송신하도록 센서에게 명령하거나), 검지 결과를 송신하도록 센서에 대해 정기적으로 요구할 수 있다. 센서 제어부(102)는, 후술하는 센서 선택부(104)로부터의 특정 결과에 근거하여 센서의 제어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센서 제어부(102)는, 센서에 의한 검지의 개시/정지, 측정의 샘플링 레이트, 및 검지 결과의 송신의 개시/정지를 제어한다. 센서 제어부(102)는 전술한 제어만에 한정되지 않는다.
촬상 제어부(103)는, 네트워크 10에 접속되어 동작하는 촬상장치(300)를 인식하기 위해, 촬상장치(300)의 검색, 애드버타이즈 메시지의 감시, 및 촬상장치(300)의 동작 확인 등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촬상 제어부(103)는, 인식한 촬상장치(300)를, 후술하는 촬상 선택부(105)에 의해 얻어진 특정 결과에 근거하여 제어한다. 촬상 제어부(103)는, 화상 취득부(106)에 의한 화상의 수신/송신을 더 제어한다.
센서 선택부(104)는, 관리부(101)에 의해 취득된 선택 정보(600)에 근거하여, 센서 군(400) 중에서 검지 처리에 관련되는 처리량을 저감시켜야 할 센서를 특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촬상 선택부(105)는, 센서 제어부(102)에 의해 수신된 검지 결과와 관리부(101에 의해 취득된 선택 정보(600)에 근거하여, 단말장치(200)에 의해 표시 및/또는 기억될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장치(300)를 선택한다. 촬상 선택부(105)는, 상기한 선택과는 다른 처리를 더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촬상 선택부(105)는, 관리부(101)에 의해 취득된 선택 결과에 근거하여, 복수의 촬상장치(300) 중 송신된 촬상 화상의 데이터량을 저감시켜야 할 촬상장치(300)를 특정한다.
화상 취득부(106)는, 촬상 제어부(103)에 의해 행해진 제어에 근거하여, 촬상장치(300)로부터 송신된 촬상 화상을 수신한다. 그후, 화상 취득부(106)는, 수신한 촬상 화상 중에서, 특정한 촬상장치(300)에 의해 촬상된 촬상 화상을, 송신부(107)에 송신한다. 송신부(107)는, 화상 취득부(106)로부터 수신한 화상을 단말장치(200)에 전송한다. 화상 취득부(106)는, 촬상장치(300)로부터 수신한 화상에 대해 화상처리를 행한 후, 그 결과 얻어진 화상을 송신부(107)에 송신할 수 있다.
[제어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
도 3은, 제어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다. 제어장치(100)는, 중앙처리장치(CPU)(111), 판독 전용 메모리(ROM)(112),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13), 보조 기억장치(114), 표시부(115), 조작부(116), 통신부(117), 및 버스(118)를 구비한다.
CPU(111)은, ROM(112) 및 RAM(113)에 격납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사용해서 제어장치(100)의 제어를 행한다. CPU(111)은, 도 2에 나타낸 제어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의 기능을 실현한다. ROM(112)은,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는 프로그램 및 파라미터를 격납한다. RAM(113)은, 보조 기억장치(114)로부터 공급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 및 통신부(117)를 거쳐 외부에서 제어장치(100)에 취득된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보조 기억장치(114)는,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를 구비하고, 촬상 화상과 센서로부터의 검지 결과 등의 데이터를 기억한다.
표시부(115)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를 구비하고, 유저가 제어장치(1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등을 표시한다. 조작부(116)는, 예를 들면, 키보드와 마우스를 구비하고, 유저 조작에 근거하여 각종의 지시를 CPU(111)에게 제공한다. 통신부(117)는, 단말장치(200), 촬상장치(300), 센서 군(400), 지시장치(500), 및 중계장치(미도시) 등의 외부의 장치와 통신을 행한다. 통신부(117)는, 제어장치(100)가 외부의 장치와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안테나를 구비한다. 제어장치(100)와 외부의 장치 사이에서 유선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예를 들면, LAN 케이블이 통신부(117)에 접속된다. 버스(118)는, 제어장치(100)의 각 부를 연결하여 정보를 전달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어부(100) 내부에 설치되는 표시부(115) 및/또는 조작부(116)는 제어장치(100) 외부의 별개의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CPU(111)이, 표시부(115)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 및/또는 조작부(116)를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로서 동작한다.
[선택 정보의 내용]
이하, 관리부(101)에 의해 관리되는 선택 정보(600)의 내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관리부(101)는, 선택 정보(600)를 지시장치(500)로부터 취득하거나, 지시장치(500)로부터의 지시에 응답하여 선택 정보(600)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선택 정보(600)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선택 정보(600)에는, 조건식 610-1, 조건식 610-2, 및 조건식 610-3이 기재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에는, 이러한 조건식 610-1, 610-2 및 610-3을 합쳐서 조건식(610)으로 부른다. 선택 정보(600)에는, 조건문(620), 행동(630), 지시자(650), 및 우선도(640)가 더 기재되어 있다. 조건문(620)은 조건(620-1) 및 연산자(620-2)를 포함한다. 도 5는 선택 정보(600)에 기재되는 조건(620-1), 행동(630), 및 우선도(640)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고 있다. 선택 정보(600)의 내용은 도 5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거기에 기재된 다른 항목과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선택 정보(600)에, 분기를 표시하는 조건식 610-1 뒤에 조건문(620)이 뒤따른다. 조건문(620)이 참인 경우에 실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행동(630)이 조건식 610-2에 뒤따른다. 선택 정보(600)의 최후를 표시하는 지시자(650)가 행동(630)에 뒤따른다. 선택 정보(600)에는 우선도(640)가 기재될 수 있다. 제어장치(100)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선택 정보(600)가 센서로부터의 검지 결과와 촬상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사이의 관련을 표시하는 복수의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우선도(640)는 각각의 관련의 우선도를 표시한다. 따라서, 제어장치(100)는, 취득한 복수의 선택 정보(600) 중에서 우선도(640)의 값이 더 큰 선택 정보(600)에 근거하여 처리를 실행한다.
선택 정보(600)에는 복수의 조건식(610)이 기재될 수 있다. 조건문(620)에는, 복수의 조건(620-1)과 복수의 연산자(620-2)가 기재될 수 있다. 관리부(101)는 복수의 선택 정보(600)를 합쳐서 한개의 콘텐츠로서 취득/관리할 수 있다. 연산자(620-2)의 구체적인 예로는, AND, OR, NOT, NAND, NOR, 및 EXOR를 들 수 있다. 조건식(610)은 단일 분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중 분기, 케이스 구조(SWITCH 문장) 등일 수 있다. 행동(630)에는, 복수 종류의 처리가 기재될 수 있다. 선택 정보(600)는, 도 4에 기재된 서식 및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Extensible Markup Lamguage(XML)를 포함하는 구조화 언어, Python을 포함하는 스크립트 언어, 및 프로그램 언어 등의 다른 서식으로 기재될 수 있다.
[시스템의 처리 플로우]
다음에, 촬상 시스템의 처리 플로우에 대해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촬상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제어장치(100)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다. 도 7의 처리는, 제어장치(100)와 지시장치(500)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접속이 확립된 타이밍에서 개시한다. 도 8의 처리는, 제어장치(100)와 센서 군(400)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접속이 확립된 타이밍에서 개시한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처리가 개시하는 타이밍은 상기 타이밍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처리는, CPU(111)이 ROM(112)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RAM(113)에 전개해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이하에서는, 도 6과 도 7 및 도 8을 동시에 설명한다.
스텝 S100(S200)에서는, 관리부(101)가, 지시장치(500)로부터의 지시를 수신하고, 그 지시에 근거하여 선택 정보(600)를 취득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선택 정보(600)는, 복수의 촬상장치(300) 중에서 단말장치(200)에 의해 표시 및/또는 기억될 촬상 화상을 송신하는 촬상장치(300)를, 센서 군(400)으로부터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선택하기 위해 제어장치(100)에 의해 사용된다. 이전에 취득한 선택 정보(600)가 현재 관리되고 있는 경우, 관리부(101)는, 이 이전에 취득된 선택 정보(600)를 삭제할지, 또는 이전에 선택된 선택 정보(600)와 새롭게 취득한 선택 정보(600)의 양쪽을 유지할지의 판정에 근거하여 관리를 행한다. 관리부(101)는, 선택 정보(600)를 지시장치(500)로부터 취득하거나, 지시장치(500)로부터의 지시에 응답하여 선택 정보(600)를 생성할 수 있다.
스텝 S101(S201)에서는, 센서 제어부(102)가 네트워크 20에 접속되어 있는 센서를 검색한다. 네트워크 20에 접속되어 있는 센서가 센서 제어부(102)에 의해 이미 검색된 경우에, 이 스텝의 처리를 스킵할 수 있다. 스텝 S102(S202)에서는, 촬상 제어부(103)가 네트워크 10에 접속되어 있는 촬상장치(300)를 검색한다. 촬상 제어부(103)에 의해 네트워크 10에 접속되어 있는 촬상장치(300)가 이미 검색된 경우에는, 이 스텝의 처리를 스킵할 수 있다. 스텝 S101(S201)의 처리와 스텝 S102(S202)의 처리는 역순으로 실행되거나,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스텝 S103(S203)에서는, 촬상 선택부(105)가, 스텝 S200에서 관리부(101)에 의해 취득된 선택 정보(600)를 해석하고, 복수의 촬상장치(300)의 각각에 대해 평가값을 설정한다. 이 평가값은, 관리부(101)에 의해 취득된 선택 정보(600)에 근거하여 설정된다. 이 평가값은, 단말장치(200)에 의해 표시 및/또는 기억될 촬상 화상을 송신하는 촬상장치(300)로서 각 촬상장치(300)가 선택될 가능성(likelihood)에 해당한다. 예를 들면, 관리부(101)에 의해 취득된 선택 정보(600)에 제어 대상으로서 기재되어 있지 않으며 센서로부터의 검지 결과의 값에 상관없이 촬상 화상을 단말장치(200)에 전송하니 않는 촬상장치(300)에는 낮은 평가값이 설정된다. 예를 들면, 평가값은, 각 촬상장치(300)가 선택된 상황이나 촬상장치(300)가 선택된 횟수를 표시하는 이력에 근거하여 설정될 수 있다.
촬상 선택부(105)는, 관리부(101)에 의해 취득된 선택 정보(600)에 근거하여, 복수의 촬상장치(300) 중 송신할 촬상 화상의 데이터량이 저감되는 촬상장치(300)를 특정한다. 예를 들어, 평가값이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작은 촬상장치(300)가 특정된다. 이와 같은 특정 방법에서는, 관리부(101)에 의해 취득된 선택 정보(600)에 근거하여 선택되지 않을 촬상장치(300)가, 데이터량이 저감되는 촬상장치(300)로서 특정된다. 관리부(101)가 새롭게 선택 정보(600)를 취득하지 않으면, 이 촬상 화상은 센서로부터의 검지 결과에 상관없이 특정된 촬상장치(300)로부터 전송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은 촬상 화상의 데이터량의 저감은 시스템의 사용 편리성을 크게 손상하지 않는다. 촬상 화상의 데이터량을 저감시켜야 할 촬상장치(300)의 특정 방법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기준에 근거하여 촬상장치(300)를 특정하는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시스템은, 선택 정보(600)의 내용에 상관없이 송신 데이터량이 저감시키지 않을 촬상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선택부(104)는, 관리부(101)에 의해 취득된 선택 정보(600)에 근거하여, 센서 군(400)에 포함되는 복수의 센서 중에서, 검지 처리에 관련되는 처리량을 저감시켜야 할 센서를 특정한다. 예를 들면, 관리부(101)에 의해 취득된 선택 정보(600) 내부의 조건문(620)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센서, 즉 그 센서의 검지 결과가 관리부(101)에 의해 취득된 선택 정보(600)에 근거하여 촬상 선택부(105)에 의한 상기한 특정에 관여하지 않는 센서이다. 이들 센서에 의해 얻어진 검지 결과는, 관리부(101)가 새롭게 선택 정보(600)를 취득하지 않으면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검지 처리를 얻기 위한 검지 처리에 대한 처리량의 저감이 시스템의 사용 편리성을 크게 손상시키지 않는다. 센서 선택부(104)에 의한 센서의 선택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센서 선택부(104)는, 촬상 선택부(105)에 의해 촬상장치(300)가 특정되는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각 센서에 평가값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검지 처리에 관련되는 처리량을 저감시켜야 할 센서를 이 평가값에 근거해서 특정할 수 있다. 시스템은, 선택 정보(600)의 내용에 상관없이 처리량을 저감시키지 않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텝 S104(S204)에서는, 센서 제어부(102)가, 스텝 S103(S203)에 있어서의 센서 선택부(104)에 의해 행해진 특정 결과에 근거하여 센서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센서 제어부(102)는, 센서 선택부(104)에 의해 특정된 센서를 제어함으로써, 센서를 OFF시키거나, 검지를 정지시키거나, 더 낮은 샘플링 레이트에서 측정을 하거나, 기타 방식으로 동작을 한다. 이에 따라, 이와 같이 제어된 제어에 의해 실행된 검지 처리에 관련되는 처리량이 저감되어, 더 낮은 소비 전력이 달성된다. 센서 제어부(102)는, 센서 선택부(104)에 의해 특정되지 않은 센서를 제어하여, 센서를ON시키거나, 검지를 개시하거나, 더 높은 샘플링 레이트에서 측정을 행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센서 제어부(102)에 의해 행해진 제어는 상기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종류의 제어일 수 있다.
스텝 S105(S205)에서는, 촬상 제어부(103)가, 스텝 S103(S203)에서 촬상 선택부(105)에 의해 행해진 특정 결과에 근거하여 촬상장치(30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촬상 제어부(103)는, 촬상 선택부(105)에 의해 특정된 촬상장치(300)를 제어함으로써, 촬상장치(300)를 OFF시키거나, 촬상을 정지하거나, 촬상 화상의 송신을 정지한다. 촬상 제어부(103)에 의해 행해진 제는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송신될 촬상 화상의 해상도가 저감되거나, 촬상될 화상의 해상도가 저감되거나, 송신될 촬상 화상의 프레임 레이트가 저감되거나, 화상이 더 낮은 프레임 레이트에서 촬상되도록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와 같이 제어된 촬상장치(300)로부터 송신된 촬상 화상의 데이터량이 저감되어, 네트워크 10에 걸리는 부하와 촬상장치(300)의 소비 전력이 저감된다. 촬상 제어부(103)는, 촬상 선택부(105)에 의해 특정되지 않은 촬상장치(300)를 제어함으로써, 촬상장치(3000)를 ON시키거나, 촬상 화상의 송신을 개시하거나, 더 높은 프레임 레이트/해상도로 촬상을 할 수 있다. 스텝 S104(S204)의 처리와 스텝 S105(S205)의 처리는, 역순으로 실행되거나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스텝 S206에서는, 관리부(101)가, 선택 정보(600)의 취득을 종료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관리부(101)가 선택 정보(600)의 취득을 종료하도록 판단한 경우(스텝 S206에서 YES), 도 7의 처리를 종료한다. 관리부(101)가 선택 정보(600)의 취득을 종료하지 않도록 판단한 경우(스텝 S206에서 NO), 관리부(101)는 지시장치(500)로부터의 새로운 지시를 기다린다.
스텝 S106(S300)에서는, 센서 제어부(102)가, 센서 군(400)으로부터 검지 결과를 수신한다. 검지 결과를 수신하기 위해, 센서 제어부(102)가 각 센서에 대해 폴링(polling)을 행하거나, 각 센서에 대해 검지 이벤트를 서브스크라이브할 수 있다.
스텝 S301에서는, 촬상 선택부(105)가, 선택 정보(600)에 대해 검지 결과를 대조하여, 선택 정보(600)의 조건문(620)이 참인지 아닌지 확인한다. 조건문(620)이 참인 경우에는(스텝 S301에서 YES), 스텝 S302로 처리를 진행한다. 참인 조건문(620)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스텝 S301에서 NO), 스텝 S304로 처리를 진행한다. 이전에 참이라고 판단한 조건문(620)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촬상 선택부(105)는, 그 조건이 여전히 참인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스텝 S107(S302)에서는, 촬상 선택부(105)가, 센서 제어부(102)에 의해 수신된 검지 결과와 관리부(101)에 의해 취득한 선택 정보(600)에 근거하여, 단말장치(200)에 의해 표시 및/또는 기억될 촬상 화상을 송신하는 촬상장치(300)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촬상 선택부(105)는, 선택 정보(600) 내부의 참이 되는 조건문(620)에 대응하는 행동(630)에 기재된 촬상장치(300)를 선택한다.
스텝 S303에서는, 제어장치(100)가, 참이 되는 조건문(620)에 대응하는 행동(630)에 기재된 처리를 실행한다. 도 6에 기재된 시퀀스의 예에서는, 스텝 S108에서, 화상 취득부(106)가 복수의 촬상장치(300)로부터 송신된 촬상 화상을 수신한다. 그리고, 스텝 S109에서, 송신부(107)는, 스텝 S108에서 화상 취득부(106)에 의해 수신된 촬상 화상 중, 촬상 선택부(105)에 의해 선택된 촬상장치(300)에 의해 송신된 촬상 화상을, 단말장치(200)에 전송한다. 또한, 참이 되는 복수의 조건문(620)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행동(630)이 동시에 실행가능하지 않는 경우, 제어장치(100)는, 선택 정보(600)가 설정되는 타이밍, 우선도(640) 등에 따라, 우선할 행동(630)을 판단해서, 처리를 실행한다. 실행중인 처리가 기재된 행동(630)에 대응하는 조건문(620)이 더 이상 참이 아닌 경우에는, 제어장치(100)는 실행중인 처리를 정지한다.
스텝 S110(S304)에서는, 촬상 선택부(105)가, 스텝 S103(S203)에서 설정된 평가값을, 스텝 S300에서 수신된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재산출한다. 평가값의 산출 방법의 예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대상인 촬상장치(300)가 선택되는 조건을 기재한 조건문(620)이, AND의 연산자(620-2)로 연결되는 10개의 조건(620-1)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경우에 근거하여 설명이 주어진다. 촬상 선택부(105)는, 10개의 조건(620-1) 중에서 한개가 참이고 나머지 조건(620-1)이 거짓인 경우에 대상인 촬상장치(300)의 평가값으로서 10을 설정한다. 참이 되는 조건(620-1)이 1만큼 증가할 때마다 평가값을 10만큼 증가시킨다. 이와 달리, 검지 결과에 의해 표시된 물리량에 근거하여 평가값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온도가 100℃를 초과할 때 선택되는 촬상장치(300)의 평가값을 검지 결과에 의해 표시된 온도에 근거하여 설정할 수 있다. 평가값은, 예를 들어, 온도가 40℃이면 40으로 설정되고, 온도가 60℃이면 6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렇게 평가값을 산출함으로써, 제어장치(100)에 의해, 선택 정보(600)에 근거하여 선택될 수 있는 촬상장치(300) 중에서, 선택될 가능성이 많은 촬상장치(300)와 선택될 가능성이 없는 촬상장치를 구별하면서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센서 선택부(104)는, 촬상 선택부(105)가 촬상장치(300)의 평가값을 산출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각 센서의 평가값을 산출한다. 예를 들면, 건물 내의 어떤 도어가 개폐되었는지를 검지하는 센서의 평가값을, 도어가 개폐되었는지를 검지하는 인근의 센서로부터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설정할 수 있다.
스텝 S111(S305)에서는, 촬상 제어부(103)가, 촬상 선택부(105)에 의해 산출된 평가값에 근거하여 촬상장치(300)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촬상 제어부(103)는, 평가값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낮은 촬상장치(300)를 제어하여, 전술한 스텝 S105(S205)에서와 같아, 촬상장치(300)로부터 송신된 촬상 화상의 데이터량을 저감한다. 스텝 S112(S306)에서는, 센서 제어부(102)가, 센서 선택부(104)에 의해 산출된 평가값 따라 센서 군(400)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센서 제어부(102)는, 평가값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낮은 센서를 제어하여, 전술한 스텝 S104(S204)의 처리에서와 같이, 이와 같은 센서에 의해 실행된 검지 처리에 관련되는 처리량을 저감한다. 이들 종류의 제어에 의해, 촬상장치(300)와 센서 군(400)의 소비 전력, 및 네트워크 10에 걸리는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스텝 S111(S305)의 처리와 스텝 S112(S306)의 처리는, 역순으로 실행되거나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촬상 제어부(103)는, 평가값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낮은 촬상장치(300)를 균일하게 제어하거나, 평가값의 차이에 따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촬상 제어부(103)는, 촬상 화상의 송신을 정지시키는 촬상장치(300)를 더 낮은 프레임 레이트에서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장치(300)와 구별하도록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센서 제어부(102)에 의해 센서에 대해 행해지는 제어도 마찬가지이다.
제어 대상인 촬상장치(300)가 슬립 모드에 있는 경우에, 촬상 제어부(103)는, 촬상장치(300)가 슬립 모드로부터 복귀할 때까지 기다려 촬상장치(300)에 제어를 위한 통지를 발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촬상 제어부(103)는 슬립 모드로부터 촬상장치(300)의 복귀를 개시하는 통지를 적절한 타이밍에 발행할 수 있다. 촬상 제어부(103)는, 촬상장치(300)가 슬립 모드로부터 복귀하는 타이밍을 기다릴 것인지 아닌지를, 그 촬상장치에 설정된 평가값에 근거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촬상 제어부(103)는, 평가값이 낮은 촬상장치(300)에는 복귀 타이밍을 기다려 통지를 발행할 수 있으며, 평가값이 높은 촬상장치(300)에는 복귀 타이밍을 기다리지 않고 통지를 발행할 수 있다. 센서 제어부(102)에 의해 센서에 대해 행해지는 제어도 마찬가지이다. 센서 제어부(102)는, 센서에 대해 행해진 폴링의 간격을 평가값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제어부(102)는, 평가값이 높은 센서에 대해 짧은 폴링 간격을 설정할 수 있으며, 평가값이 낮은 센서에 대해 긴 폴링 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
스텝 S307에서는, 센서 제어부(102)가, 센서 군(400)으로부터의 검지 결과의 수신을 종료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센서 제어부(102)가 수신을 종료할 것으로 판단한 경우(스텝 S307에서 YES), 도 8의 처리를 종료한다. 센서 제어부(102)가 수신을 종료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스텝 S307에서 NO), 센서 제어부(102)는 센서 군(400)으로부터의 새로운 검지 결과가 수신될 때까지 기다린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장치(100)는, 센서 군(400)으로부터 검지 결과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장치(100)는, 복수의 촬상장치(300) 중 단말장치(200)에 의해 표시 및/또는 기억될 촬상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장치(300)를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선택하기 위한 선택 정보(600)를 취득한다. 제어장치(100)는, 취득한 선택 정보(600)에 근거하여, 복수의 촬상장치(300) 중 송신할 촬상 화상의 데이터량을 저감시켜야 할 촬상장치(300)를 특정한다. 그후, 제어장치(100)는, 그 특정 결과에 근거하여 촬상장치(30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센서 군(400)으로부터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복수의 촬상장치(300)로부터 선택된 촬상장치(300)로부터의 촬상 화상이 표시 및/또는 기억되는 촬상 시스템에 있어서,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모든 촬상장치(300)가 균일하게 촬상 화상을 송신하는 경우에 비해, 시스템에 걸리는 더 낮은 부하를 달성할 수 있다. 모든 선택되지 않은 촬상장치(300)가 촬상 화상의 송신을 정지하는 경우에 비해, 촬상 화상의 송신의 지연을 저감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전술한 구성에서는, 제어장치(100)가, 촬상장치(300) 및 센서들 각각에 대해 평가값을 설정한다. 따라서, 송신할 촬상 화상의 데이터량을 저감시켜야 할 촬상장치(300) 및 검지 처리에 관련되는 처리량을 저감시켜야 할 센서가 특정된다. 제어장치(100)는 선택 정보(600)에 근거하여 촬상장치(300) 및 센서를 특정하고, 평가값을 반드시 설정하지 않아도 된다. 제어장치(100)는, 센서의 처리량을 저감시키는 제어를 행하지 않고, 촬상장치(30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량이 저감되도록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도, 시스템의 사용 편리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시스템에 대한 더 낮은 부하를 달성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데어터량을 저감하여 촬상 화상을 송신하는 촬상장치(300)를 특정해서 제어하는 구성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데이터량을 증가시켜 촬상 화상을 송신하는 촬상장치(300)를 특정해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장치(100)는, 취득한 선택 정보(600)에 근거하여 선택될 가능성이 없는 촬상장치의 촬상 화상에 관련되는 통신량이, 선택 정보(600)에 근거하여 선택될 가능성이 많은 촬상장치의 촬상 화상에 관련되는 통신량보다도 작아지도록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장치(100)는, 선택할 가능성에 근거하여 설정된 평가값이 임계값보다 작은 촬상장치의 촬상 화상에 관련되는 통신량이, 상기 평가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큰 촬상장치의 촬상 화상에 관련되는 통신량보다도 작아지도록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에서는, 제어장치(100)가 촬상장치(300)에 의한 촬상 화상의 송신에 관련되는 통신량을 제어한다. 그러나, 이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어장치(100)는 단말장치(200)에 대한 촬상 화상의 전송에 관련되는 통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촬상장치(300)가 제어장치(100)에 복수의 촬상 화상을 송신한다. 그리고, 제어장치(100)는, 복수의 촬상 화상 중, 선택 정보(600)에 근거하여 선택될 가능성이 많은 촬상 화상을 고화질로 단말장치(200)에 전송한다. 제어장치(100)는, 이와 같이 수신된 복수의 촬상 화상 중, 선택 정보(600)에 근거하여 선택될 가능성이 업는 촬상 화상을 저화질로 단말장치(200)에 전송하거나, 단말장치(200)에 전송하지 않도록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촬상장치로부터 선택된 촬상장치의 촬상 화상이 사용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시스템의 사용 편리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시스템에 걸리는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기타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더 상세히 언급해도 된다)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예를 들어, 1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거나 및/또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나,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1개 이상의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 처리장치(MPU) 또는 기타 회로를 구비하고, 별개의 컴퓨터들의 네트워크 또는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들을 구비해도 된다.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은, 예를 들어, 기억매체의 네트워크로부터 컴퓨터로 주어져도 된다. 기록매체는, 예를 들면, 1개 이상의 하드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 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등), 플래시 메모리소자, 메모리 카드 등을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행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는 가장 넓게 해석되어 모든 변형, 동등물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여야 한다.

Claims (19)

  1. 복수의 촬상장치 중 단말장치에 의해 표시 및/또는 기억될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장치를, 센서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선택하기 위한 선택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 유닛과,
    상기 복수의 촬상장치 중에서 취득된 상기 선택 정보에 근거하여 선택될 가능성이 없는 촬상장치로부터의 촬상 화상에 관련되는 통신량이, 취득한 상기 선택 정보에 근거하여 선택될 가능성이 많은 촬상장치로부터의 촬상 화상에 관련되는 통신량보다도 작아지도록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구비한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촬상장치 중 한 개 이상의 촬상장치 각각에 대하여, 취득된 상기 선택 정보에 근거하여 촬상장치가 선택될 가능성에 대응하는 평가값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설정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평가값이 임계값보다 작은 촬상장치로부터의 촬상 화상에 관련되는 통신량이, 상기 평가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큰 촬상장치로부터의 촬상 화상에 관련되는 통신량보다도 작아지도록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제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로부터의 검지 결과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설정 유닛은, 수신된 검지 결과에 의해 표시된 물리량과 취득된 상기 선택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평가값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제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촬상장치가 취득된 상기 선택 정보에 근거하여 선택될 가능성이 많은지 여부가 상기 검지 결과에 상관없이 결정되는 제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로부터의 상기 검지 결과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유닛과,
    상기 복수의 촬상장치로부터의 송신된 복수의 촬상 화상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 유닛과,
    취득된 상기 선택 정보와 수신된 상기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촬상장치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선택 유닛과,
    상기 복수의 촬상 화상 중에서, 선택된 촬상장치로부터 송신된 촬상 화상을,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유닛을 더 구비한 제어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촬상 화상에 관련되는 통신량은, 촬상장치에 의한 촬상 화상의 송신에 관련되는 통신량이고,
    상기 제어 유닛은, 촬상장치로부터의 촬상 화상의 송신에 관련되는 통신량에 대해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제어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에 의해 통신량에 대해 행해진 제어는, 촬상장치로부터 촬상 화상의 송신을 정지시키는 처리, 촬상장치로부터 송신된 촬상 화상의 해상도를 저감시키는 처리, 및 촬상장치로부터 송신된 촬상 화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저감시키는 처리 중에서 적어도 한개를 포함하는 제어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에 의해 통신량에 대해 행해진 제어는, 촬상장치에 의한 촬상을 정지하는 처리, 촬상장치에 의해 촬상된 화상의 해상도를 저감시키는 처리, 및 촬상장치에 의해 행해진 촬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저감시키는 처리 중에서 적어도 한개를 포함하는 제어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촬상장치로부터 송신된 복수의 촬상 화상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과,
    수신된 상기 복수의 촬상 화상 중 적어도 한개를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유닛을 더 구비하고,
    촬상 화상에 관련되는 통신량은, 상기 전송 유닛에 의한 촬상 화상의 전송에 관련되는 통신량이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전송 유닛에 의한 촬상 화상의 전송에 관련되는 통신량에 대해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제어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에 의해 행해진 제어는, 취득된 상기 선택 정보에 근거하여 선택될 가능성이 없는 촬상장치로부터의 촬상 화상에 관련되는 통신량을 저감시키는 처리와, 상기 선택 정보에 근거하여 선택될 가능성이 많은 촬상장치로부터의 촬상 화상에 관련되는 통신량을 증가시키는 처리 중에서 적어도 한개를 포함하는 제어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로부터 검지 결과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과,
    상기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복수의 센서의 검지 결과 중에서, 취득된 상기 선택 정보에 근거한 선택에 검지 결과가 관여하지 않는 센서에 의해 실행된 검지 처리에 관련되는 처리량이, 상기 선택 정보에 근거한 선택에 검지 결과가 관여하는 센서에 의해 실행된 검지 처리에 관련되는 처리량보다도 작아지도록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제2 제어 유닛을 더 구비한 제어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유닛에 의해 행해지는 제어는, 상기 센서에 의한 검지를 정지시키는 처리, 상기 센서에 의해 행해진 측정의 샘플링 레이트를 저감시키는 처리, 및 상기 센서로부터의 검지 결과의 송신을 정지시키는 처리 중 적어도 한개를 포함하는 제어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취득된 상기 선택 정보는, 상기 검지 결과와 촬상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사이의 관련을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취득된 상기 선택 정보는, 상기 검지 결과와 촬상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사이의 각각의 관련의 우선도를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결과는, 온도, 조도, 진동, 적외선, 시각, 시간대, 및 도어의 개폐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한 개의 검지 결과와 관련되는 제어장치.
  16. 복수의 촬상장치 중 단말장치에 의해 표시 및/또는 기억될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장치를, 센서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선택하기 위한 선택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촬상장치 중에서 취득된 상기 선택 정보에 근거하여 선택될 가능성이 없는 촬상장치로부터의 촬상 화상에 관련되는 통신량이, 취득한 상기 선택 정보에 근거하여 선택될 가능성이 많은 촬상장치로부터의 촬상 화상에 관련되는 통신량보다도 작아지도록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장치의 제어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촬상장치 중 한 개 이상의 촬상장치 각각에 대하여, 취득된 상기 선택 정보에 근거하여 촬상장치가 선택될 가능성에 대응하는 평가값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평가값이 임계값보다 작은 촬상장치로부터의 촬상 화상에 관련되는 통신량이, 상기 평가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큰 촬상장치로부터의 촬상 화상에 관련되는 통신량보다도 작아지도록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촬상장치가 취득된 상기 선택 정보에 근거하여 선택될 가능성이 많은지 여부가 상기 검지 결과에 상관없이 결정되는 제어방법.
  19. 제어장치에,
    복수의 촬상장치 중 단말장치에 의해 표시 및/또는 기억될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장치를, 센서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선택하기 위한 선택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촬상장치 중에서 취득된 상기 선택 정보에 근거하여 선택될 가능성이 없는 촬상장치로부터의 촬상 화상에 관련되는 통신량이, 취득한 상기 선택 정보에 근거하여 선택될 가능성이 많은 촬상장치로부터의 촬상 화상에 관련되는 통신량보다도 작아지도록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기억한 기억매체.
KR1020170010806A 2016-01-29 2017-01-24 제어장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KR1020826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16371 2016-01-29
JP2016016371A JP6742739B2 (ja) 2016-01-29 2016-01-29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026A true KR20170091026A (ko) 2017-08-08
KR102082690B1 KR102082690B1 (ko) 2020-02-28

Family

ID=59387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806A KR102082690B1 (ko) 2016-01-29 2017-01-24 제어장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43091B2 (ko)
JP (1) JP6742739B2 (ko)
KR (1) KR102082690B1 (ko)
CN (1) CN1070269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59662B2 (ja) * 2018-02-02 2022-04-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遠隔操作システム、及びその通信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9335A1 (ja) * 2012-05-30 2013-12-05 株式会社 日立製作所 監視カメラ制御装置及び映像監視システム
JP2015089119A (ja) * 2013-10-30 2015-05-07 ソニー株式会社 物体を追跡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360A (ja) * 1994-06-20 1996-01-12 Fujitsu General Ltd 監視カメラシステム
JPH10271492A (ja) * 1997-03-27 1998-10-09 Hitachi Ltd 画像蓄積端末装置
JP4492062B2 (ja) * 2003-08-20 2010-06-30 ソニー株式会社 監視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6109404A (ja) * 2004-09-07 2006-04-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ダプタ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カメラシステム
EP1900216A2 (en) * 2005-05-12 2008-03-19 Tenebraex Corporation Improved methods of creating a virtual window
JP4928275B2 (ja) * 2007-01-10 2012-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636205B2 (ja) 2010-03-31 2014-12-03 綜合警備保障株式会社 画像記録制御装置及び監視システム
JP5054175B2 (ja) * 2010-09-08 2012-10-2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撮影制御装置、撮影制御方法
JP2012249117A (ja) * 2011-05-30 2012-12-13 Hitachi Ltd 監視カメラシステム
JP5703454B1 (ja) * 2014-04-15 2015-04-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監視カメラ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9335A1 (ja) * 2012-05-30 2013-12-05 株式会社 日立製作所 監視カメラ制御装置及び映像監視システム
JP2015089119A (ja) * 2013-10-30 2015-05-07 ソニー株式会社 物体を追跡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43091B2 (en) 2021-06-22
US20170221329A1 (en) 2017-08-03
KR102082690B1 (ko) 2020-02-28
CN107026971A (zh) 2017-08-08
JP2017135676A (ja) 2017-08-03
CN107026971B (zh) 2021-06-08
JP6742739B2 (ja) 202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04810B2 (en) Digital fingerprint tracking
US9153111B2 (en) Image surveillance and reporting technology
US11516041B2 (en) Method and device for event notification in home network system
US10419442B2 (en) Detecting device movement through analysis of device environment
JP6094903B2 (ja) 受信装置及び受信側画像処理方法
KR20150084587A (ko) 보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US9992401B2 (en) Configuring a device in a network
CN108401247B (zh) 控制蓝牙设备的方法及电子设备、存储介质
KR101068145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댁내 디바이스 제어시스템
KR102082690B1 (ko) 제어장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CN114579394A (zh) 日志查看方法、日志生成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JP2017200132A (ja) 監視システム
KR101082969B1 (ko) 네트워크 영상 보안 시스템
CN113784057B (zh) 目标区域的监控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0841932B1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상태 점검 시스템 및 휴대 단말기그리고 상태 점검 방법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KR20150057427A (ko) 댁내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