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4587A - 보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보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4587A
KR20150084587A KR1020140004735A KR20140004735A KR20150084587A KR 20150084587 A KR20150084587 A KR 20150084587A KR 1020140004735 A KR1020140004735 A KR 1020140004735A KR 20140004735 A KR20140004735 A KR 20140004735A KR 20150084587 A KR20150084587 A KR 20150084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sensor
sensor module
place
sens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4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라운 폴
제이 김 제니퍼
그레고리 엑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4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4587A/ko
Priority to EP15151006.2A priority patent/EP2894613A1/en
Priority to US14/596,499 priority patent/US20150199894A1/en
Publication of KR20150084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45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보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에서, 플러그인 형태의 제1 센서 모듈에 구비된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복수의 센서들의 센서 데이터의 상관성에 기초하여 센서 데이터를 통합하여, 제1 센서 모듈이 플러그인된 장소의 보안 상황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curity ser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보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보안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여러 가지 보안 시스템이 보급되고 있으나, 기존의 보안 시스템은 설치 및 이전이 어려우며, 경제적으로도 많은 부담이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은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플러그인 형태의 제1 센서 모듈, 및 상기 제1 센서 모듈에 구비된 상기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들의 센서 데이터의 상관성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 데이터를 통합하고, 통합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센서 모듈이 플러그인된 장소의 보안 상황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이동 단말기에서, 플러그인 형태의 제1 센서 모듈에 구비된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복수의 센서들의 센서 데이터의 상관성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 데이터를 통합하여, 상기 제1 센서 모듈이 플러그인된 장소의 보안 상황을 분석하는 과정, 및 이동 단말기에서,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는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들은 당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후술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의 특징들 및 기술적인 장점들을 다소 넓게 약술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 및 장점들 이외에도 본 개시의 청구범위의 주제를 형성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후술되는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보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센서 모듈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들 사이의 시너지 효과를 이용하여, 현재의 보안 상황을 복합적으로 판단하여, 정확한 보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와 간단하게 설치 및 제거가 가능한 플러그인 형태의 센서 모듈을 이용함으로써, 추가적인 비용 없이 보안 시스템의 이동 및 변경할 수 있으며, 손쉽게 보안 시스템의 확장이 가능한 경제적인 보안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서 장소의 보안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이동 단말기가 표시하는 화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서 센서 모듈을 설정하는 화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침입이 발생한 경우 이동 단말기가 표시하는 화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한다. 이때, 각각의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또한, 이미 공지된 기능 및/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개시된 내용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이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그 설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각각의 도면에 그려진 구성요소들의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여기에 기재되는 내용들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200)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100)로 구성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는 하나의 이동 단말기(200)만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의 이동 단말기(200)들이 다수의 센서 모듈(100)들과 연결될 수 있다.
센서 모듈(100)은 복수의 센서들을 구비한 센서 장치이다. 센서 모듈(100)은 보안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200)와 통신하여, 복수의 센서들의 센서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00)은 플러그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 모듈(100)은 벽에 부착된 콘센트 소켓에 플러그인되어 구동될 수 있다. 센서 모듈(100)의 형태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 2를 참조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센서 모듈(100)은 복수의 센서들(120, 130)과 통신 인터페이스(110)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센서들은 모션 센서, 마이크 센서, 온도 센서, 조도 센서 및 일산화탄소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센서 모듈(100)은 보안 상황의 분석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센서 모듈(100)에 2개 내지 5개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센서 모듈(100)에 포함될 수 있는 센서들의 수는 더 늘어날 수 있다.
센서 모듈(100)은 복수의 센서들(120, 130)에서 획득된 센서 데이터를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서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유, 무선 네트워크 또는 유선 직렬 통신 등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network)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가 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알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 모듈(100)은 이동 단말기(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구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기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FD(Wi-Fi Direct)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제1 센서 모듈(100)에 구비된 복수의 센서들(120, 130)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복수의 센서들(120, 130)의 센서 데이터의 상관성에 기초하여 센서 데이터를 통합하고, 통합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센서 모듈(100)이 플러그인된 장소의 보안 상황을 분석할 수 있다.
센서 데이터의 상관성은 하나의 센서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센서 데이터와 연관시켜서 판단하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마이크 센서를 통해 소리가 감지되었는데, 모션 센서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 이동 단말기(200)는 외부에서의 침입의 시도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는 서로 관련성이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 데이터를 통합하여, 통합된 정보에 기초하여 센서 모듈(100)이 설치된 장소의 보안 상황을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200)는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더 획득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여 보안 상황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에 의하면 사용자가 센서 모듈(100)이 설치된 장소에 없는데, 이동 단말기(200)는 센서 모듈(100)의 모션 센서 또는 마이크 센서를 통해 상기 장소에서 움직임과 소리 중 적어도 하나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합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장소에 침입자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장소의 장소적 특성을 더 획득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장소적 특성을 더 포함하여 보안 상황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장소의 장소적 특성이 부엌과 같이 조리하는 곳이 아닌데, 이동 단말기(200)는 센서 모듈(100)의 온도 센서 또는 일산화탄소 센서를 통해 상기 장소에서 온도와 일산화탄소 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수치 이상으로 높아진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합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장소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행동 정보를 더 획득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행동 정보를 더 포함하여 보안 상황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행동 정보가 수면 상태인데, 이동 단말기(200)는 센서 모듈(100)의 모션 센서 또는 마이크 센서를 통해 상기 장소에서 움직임과 소리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합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장소에 침입자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안 시스템은 두 개 이상의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보안 상황을 분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두 개 이상의 센서 모듈을 제1 센서 모듈(100)과 제2 센서 모듈(101)로 설명한다.
상기 장소는 제1 공간과 제2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보안 시스템은 제1 센서 모듈(100) 및 제1 센서 모듈(100)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 제2 센서 모듈(101)을 각각 상기 장소의 제1 공간 및 제2 공간에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집이라는 장소에 보안 시스템을 설치하는 경우, 거실과 복도에 각각 제1 센서 모듈(100)과 제2 센서 모듈(101)을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200)는 제1 센서 모듈(100) 및 제2 센서 모듈(101) 각각에 구비된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복수의 센서들의 센서 데이터의 공간적 상관성에 기초하여 센서 데이터를 통합하고, 통합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장소의 보안 상황을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200)는 장소의 출입 및 이동에 따른 제1 공간 및 제2 공간 사이의 경로 특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경로 특성을 더 포함하여 보안 상황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공간이 출입문 쪽이고, 상기 장소에 출입하려면 제1 공간에서부터 움직임이 시작되어야 함에도, 이동 단말기(200)는 제2 센서 모듈(101)의 모션 센서를 통해 제2 공간에서 움직임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합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장소에서 움직임이 발생한 위치가 상기 장소의 경로 특성에 비추어 비정상적인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장소에 침입자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200)는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200)는 사용자에게 경고의 푸쉬 알림(push notification)을 제공함으로써,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200)는 분석 결과로 이상 상황이 발생하면, 센서 데이터의 구체적인 내용의 확인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200)는 제1 센서 모듈(10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101, 102) 각각이 위치하는 공간별로 보안 상황의 모니터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200)는 제1 센서 모듈(100)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101. 102) 각각의 센서별로 센서 데이터의 모니터링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 5를 참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200)는 분석 결과로 이상 상황이 발생하면, 가장 최근의 소정의 시간 동안의 마이크 센서에서 감지한 센서 데이터의 재생을 제공하는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 6을 참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200)는 분석 결과에 따라 위급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신고 센터에 전화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 7을 참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태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센서 모듈(100)과 통신을 수행하고, 보안 상황을 분석할 수 있는 휴대성을 갖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센서 모듈(100)은 도 2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 모듈(100)은, 도 2의 우측과 같이 벽에 부착된 콘센트 소켓(10)에 플러그인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센서 모듈(100)의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음으로써, 간단하게 보안 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콘센트로부터 센서 모듈(100)의 플러그를 뽑음으로써, 센서 모듈(100)의 간단한 제거가 가능하다. 또한, 추가적인 비용의 발생 없이, 센서 모듈(100)의 이동과 보안 시스템의 변경도 가능하다. 나아가, 복수의 센서 모듈(100)을 복수의 공간에 추가적으로 설치함으로써, 보안 시스템의 확장도 용이하다.
사용자는 단순히 원하는 형태의 센서들을 구비한 플러그 형태의 센서 모듈(100)을 콘센트에 플러그인함으로써, 원하는 형태로 보안 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센서 모듈(100)을 구동시킴으로써, 복잡한 조작 없이 보안 시스템을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100)과 이동 단말기(200)로 구성된 보안 시스템은 가전 기기들 또는 통신 서비스 장치와 연계하여 확장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200)는 센서 모듈(100)로부터 수신한 센서 데이터와 가전 기기들(300)로부터 수신한 가전 기기들(300)의 상태 정보를 통합하고, 통합된 정보에 기초하여 집 또는 사무소 등과 같은 장소의 보안 상황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00)는 부엌에 플러그인된 센서 모듈(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온도 및 일산화탄소 농도가 높은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이동 단말기(200)는 가전 기기들(300)의 상태 정보로부터 오븐이 동작 중임을 수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수신한 센서 데이터와 가전 기기들(300)의 상태 정보를 통합하여, 오븐의 사용으로 온도 및 일산화탄소 농도가 올라간 것으로 보안 상황에 이상이 없음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00)는 거실에 플러그인된 센서 모듈(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움직임은 없는데 소리가 감지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이동 단말기(200)는 가전 기기들(300)의 상태 정보로부터 거실의 TV(television)가 동작 중임을 수신할 수 있다. 이로부터, 이동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거실에서 TV를 시청 중이라는 행동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수신한 센서 데이터와 가전 기기들(300)의 상태 정보를 통합하여, 사용자가 거실에서 TV를 시청하고 있는 것으로, 보안 상황에 이상이 없음을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200)는 통신 서비스 장치를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통신 서비스 장치는 상기 장소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2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여 보안 상황을 분석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상기 장소에 진입하면,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장소의 통신 서비스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 서비스 장치는 통신 서비스 장치와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200)를 통하여, 상기 장소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유무와 상기 장소에 어떠한 사용자가 위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명의 사람이 거주하는 집에 설치된 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 서비스 장치는 상기 2명 중 한 명의 이동 단말기(200)가 현재 접속 중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통신 서비스 장치를 통해서 한 명은 상기 장소에 있으며, 다른 한명은 상기 장소에 없다는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 모듈(100)의 모션 센서 또는 마이크 센서를 통해 상기 장소에서 움직임과 소리 중 적어도 하나의 발생을 감지하더라도, 이동 단말기(200)는 다른 한 명에 의한 움직임 또는 소리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수신한 센서 데이터와 통신 서비스 장치로부터의 위치 정보를 통합하여, 보안 상황에 이상이 없음을 분석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보안 시스템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하나의 센서 모듈(100)을 설치한 집의 보안 시스템을 나타낸다.
이동 단말기(200)는 거실(Living Room)에 설치된 센서 모듈(100)의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200)에서 수신된 센서 데이터를 통하여, 거실에 소리와 움직임이 동시에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200)에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집으로 나타나면, 집의 보안 상황을 정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200)에서 수신된 센서 데이터를 통하여, 거실에서 움직임 없이 소리만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200)에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외부로 나타나면, 집의 보안 상황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분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200)는 푸쉬 알림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려줄 수 있다.
도 4의 (b)는 집의 여러 공간에 복수의 센서 모듈(101, 102, 103)을 설치한 경우의 보안 시스템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도(Hallway), 거실(Living Room), 침실(Bedroom)에 각각 센서 모듈(100)이 플러그인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도, 거실, 침실의 각각에 설치된 센서 모듈을 제1 센서 모듈(101), 제2 센서 모듈(102), 제3 센서 모듈(103)이라고 설명한다. 이때, 복도, 거실, 침실은 각각 집이라는 장소의 제1 공간, 제2 공간, 제3 공간에 대응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제1 센서 모듈(101), 제2 센서 모듈(102) 및 제3 센서 모듈(103) 각각에 구비된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복수의 센서들의 센서 데이터의 공간적 상관성에 기초하여 센서 데이터를 통합하여 집의 보안 상황을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200)는 집의 출입 및 이동에 따른 복도, 거실, 침실 사이의 경로 특성을 획득하고, 경로 특성을 더 포함하여 보안 상황을 분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200)는 통합된 정보로부터 판단된 집에서 움직임이 발생한 위치가 경로 특성에 비추어 비정상적인 것으로 판단되면, 이동 단말기(200)는 집에 침입자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의 (b)에 도시된 집의 경로 특성에 따르면, 복도 쪽에 출입문이 위치하고, 집에 출입하려면 복도에서부터 움직임이 시작되어야 한다. 집에 아무도 없는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200)가 복도에서 시작하여 거실로 이어지는 움직임(#1)을 감지하면, 정상 출입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200)가 침실에서 시작하여 거실로 이어지는 움직임(#2)을 감지하면, 이동 단말기(200)는 침실을 통한 비정상적인 출입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이동 단말기(200)는 집에서 비정상적인 출입이 발생했음을 판단하고, 이동 단말기(200)는 집에 침입자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서 장소의 보안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화면이다.
도 5의 (a)는 이동 단말기(200)에서 집(Home)의 상황을 나타내는 화면(Home Status)이다. 이동 단말기(200)는 집(Home)의 각 공간별로 보안 상황의 모니터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100) 각각이 위치하는 공간별로 보안 상황의 모니터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00)는 집의 부엌(Kitchen), 침실 1(Bedroom 1), 침실 2(Bedroom 2), 복도 1(Hallway 1), 복도 2(Hallway 2) 각각의 보안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부엌, 침실 1, 침실 2, 복도 1, 복도 2에 설치된 센서 모듈(100)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부엌, 침실 1, 침실 2, 복도 1, 복도 2는 각각 집(Home)이라는 장소의 제1 공간, 제2 공간, 제3 공간, 제4 공간 및 제5 공간에 대응될 수 있다.
도 5의 (a)에 표시된 공간들 중 어느 하나에서 이상 상황이 발생하면, 이동 단말기(200)는 집(Home)의 상황을 나타내는 화면(Home Status)에서 해당 공간에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소정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200)는 집의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화면(Home Status)에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행동 정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00)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화면(Home Status)에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행동 정보를 "당신은 집에 있으며, 깨어있습니다(You are: Home & Awake.)"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도 5의 (a)에 표시된 공간들 중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공간을 선택하게 되면, 이동 단말기(200)는 도 5의 (b)와 같이, 선택된 공간에 설치된 센서 모듈(100)의 복수의 센서들의 현재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의 (b)는 부엌에 설치된 센서 모듈(100)의 복수의 센서들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이동 단말기(200)는 소정의 공간에 설치된 센서 모듈(100)의 복수의 센서들의 현재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200)는, 부엌에 설치된 센서 모듈(100)을 통해서 부엌의 소리(Sound), 온도(Temperature), 움직임(Motion) 및 일산화탄소(Carbon monoxide)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부엌에 설치된 센서 모듈(100)은 마이크 센서, 온도 센서, 모션 센서 및 일산화탄소 센서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각 센서 종류 밑에 센서의 현재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200)는, 부엌 상황을 나타내는 화면(Kitchen Status)에서, 센서 모듈(100)을 통해 감지하는 소리, 온도, 움직임 및 일산화탄소의 현재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00)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리 없음(No noise)", "정상(Normal)", "움직임 없음(No motion)", "정상(Normal)"과 같이, 소리(Sound), 온도(Temperature), 움직임(Motion) 및 일산화탄소(Carbon monoxide) 각각의 현재 상태를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200)는 부엌에 소리 및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며, 온도와 일산화탄소 농도도 정상이라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센서 모듈(100)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센서를 선택하면, 이동 단말기(200)는 도 5의 (c)와 같이, 선택된 센서의 시간에 따른 센서 데이터의 모니터링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200)는 공간별로, 각 공간에 설치된 센서 모듈(100)의 각 센서별로 센서 데이터의 모니터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의 (c)는 부엌에 설치된 센서 모듈(100)의 온도 센서의 센서 데이터를 표시하는 화면이다.
이동 단말기(200)는 소정의 공간에 설치된 센서 모듈(100)에 포함된 소정의 센서의 시간에 따른 센서 데이터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200)는 부엌에 설치된 센서 모듈(100)에 포함된 온도 센서를 통해 시간에 따른 센서 데이터의 구체적인 내용의 확인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00)는,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엌 상황을 나타내는 화면(Kitchen Status)에서, 시간에 따른 온도(Temperature) 데이터와 온도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200)는 부엌에서의 시간에 따른 온도값의 변화 등과 같은 센서 데이터의 구체적인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이동 단말기가 표시하는 화면이다.
도 6의 (a)는 이동 단말기(200)에서 집(Home)의 상황을 나타내는 화면(Home Status)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200)는 부엌, 침실 1, 침실 2, 복도 1, 복도 2 각각에 설치된 센서 모듈(100)의 보안 상황을 표시하고 있다. 이때, 부엌, 침실 1, 침실 2, 복도 1, 복도 2은 각각 집(Home)이라는 장소의 제1 공간, 제2 공간, 제3 공간, 제4 공간 및 제5 공간에 대응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집(Home)의 상황을 나타내는 화면(Home Status)에서, 표시된 공간들 중 어느 하나에 이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공간에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200)는 도 6의 (a)에 표시된 공간들 중 어느 하나에서 이상 상황이 발생하면, 이동 단말기(200)는 집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화면(Home Status)에서, 이상 상황이 발생한 공간에 소정의 형태를 부가하여, 어느 공간에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200)는 집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화면(Home Status)에서, 어떤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00)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Home)의 상황을 나타내는 화면(Home Status)에서, 복도 2(Hallway 2)의 위치에 아이콘을 표시하고, "소리가 감지되고 있음(There is noise.)"을 표시하여, 현재 복도 2에서 발생한 이상 상황과 이상 상황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다만, 도 6의 (a)에 표시된 소정의 형태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동 단말기(200)는 다양한 형태로 이상 상황이 발생한 공간과 어떤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이상 상황이 발생한 공간을 선택하게 되면, 이동 단말기(200)는 도 5의 (b)와 같이, 선택된 공간에 설치된 센서 모듈(100)의 복수의 센서들 중 이상 상황이 발생한 센서의 센서 데이터 및 현재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의 (b)는 사용자가 복도 2에 설치된 센서 모듈(100)의 마이크 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서 데이터를 표시하는 화면이다.
사용자가 이상 상황이 발생한 공간을 선택하면, 이동 단말기(200)는 선택된 공간의 이상 상황이 발생한 센서의 시간에 따른 센서 데이터의 모니터링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00)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도2의 상황을 나타내는 화면(Hallway2 Status)에서, 마이크 센서에서 감지한 시간에 따른 소리(Sound)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비정상 소리가 발생한 시간, 비정상 소리 크기 및 시간에 따른 소리의 변화와 같은 소리 데이터의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200)는 마이크 센서에서 감지된 소리의 재생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00)는, 복도2의 상황을 나타내는 화면(Hallway2 Status)에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최근 30초 동안의 소리의 재생(Replay last 30 seconds.)"과 같은 형태로, 복도 2에 설치된 센서 모듈(100)의 마이크 센서에서 획득한 소리의 재생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의 (c)는 사용자가 복도 2에 설치된 센서 모듈(100)을 통해 감지한 소리를 재생하는 화면이다.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00)는 분석 결과로 이상 상황이 발생하면, 가장 최근의 소정의 시간 동안의 마이크 센서에서 감지한 센서 데이터의 재생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00)는, 복도2의 상황을 나타내는 화면(Hallway2 Status)에서, 사용자가 재생 버튼(▷)을 누르면,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최근 30초 동안의 소리의 재생(Replay last 30 seconds.)"과 같은 형태로, 복도 2에 설치된 센서 모듈(100)의 마이크 센서에서 획득한 소리 데이터(Sound) 중 가장 최근의 30초 동안의 소리의 재생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복도 2로 가는 것 없이, 사용자는 가장 최근의 소정 시간 동안 마이크 센서에 의해 감지된 센서 데이터를 확인하고, 이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서 센서 모듈을 구동 및 설정하는 화면이다.
도 7의 (a)는 이동 단말기(200)에 의해서 구동된 센서 모듈의 이름을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센서 모듈(100)이 플러그인되면, 이동 단말기(200)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센서 모듈(100)에 접속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센서 모듈(100)로부터 센서 모듈(100)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200)는 센서 모듈(100)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2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센서 모듈(100)을 빠르게 구동시킬 수 있다. 이후, 이동 단말기(200)는 센서 모듈(100)을 인식하고, 사용자로부터 센서 모듈(100)의 설정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200)는 사용자에게 인식된 센서 모듈(100)의 이름을 설정하도록 요구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이름을 인식된 센서 모듈(100)의 이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집의 소정의 공간에 설치된 센서 모듈(100)의 경우, 이동 단말기(200)는, 센서 모듈(100)의 이름을 설정하는 화면(Name Your Sensor Module)에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모듈(100)의 이름을 부엌(Kitchen), 거실(Living room), 침실 1(Bedroom 1), 침실 2(Bedroom 2), 복도(Hallway) 등과 같은 해당 공간을 나타내는 명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200)는 이동 단말기의 앱을 통하여 센서 모듈을 구동하거나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의 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200)에 인식된 센서 모듈(100)이 설치된 장소의 장소적 특성 또는 장소의 경로 특성을 더 설정할 수 있다.
도 7의 (b)는 이동 단말기(200)에서 센서 모듈(100)이 설정되어, 구동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이동 단말기(200)에 의해 인식된 센서 모듈(100)의 설정이 완료된 후, 이동 단말기(200)는 센서 모듈(100)의 설정 상태 및 구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00)는, 도 7의 (b)와 같은 설정 완료 화면(Set Up Complete)에서, "센서 모듈(100)이 부엌(Kitchen)에 설치되었고, 센서 모듈(100)이 구동 중임(Kitchen is set up and running.)"을 표시할 수 있다.
센서 모듈(100)이 이동 단말기(200)에 설정된 후, 이동 단말기(200)는 센서 모듈(100)의 동작을 테스트할 수 있는 테스트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00)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센서 모듈의 테스트(Test this sensor module."와 같은 형태로, 테스트 모드로의 진입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의 (c)는 부엌에 플러그인된 센서 모듈(100)에 대하여 테스트를 수행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7의 (c)의 센서 모듈(100)의 테스트 화면(Sensor Module Test)은 설정된 센서 모듈(100)이 테스트 중임(Testing...)을 표시하고 있다. 센서 모듈(100)의 테스트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200)는 사용자에게 센서 모듈(100)의 복수의 센서들에 대한 센서 입력을 제공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200)는 사용자에게 센서 모듈(100)을 향해서 걸어오도록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00)는,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모듈(100)의 테스트 화면(Sensor Module Test)에 "테스트 중인 센서 모듈(100)을 향해서 걸어오세요(Please walk to the testing sensor module)."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테스트의 수행을 통해서, 이동 단말기(200)는 센서 모듈(100)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 데이터들이 정상적으로 이동 단말기(200)에 수신되고 있음을 보여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침입이 발생한 경우 이동 단말기가 표시하는 화면이다.
이동 단말기(200)는 센서 모듈(100)로부터 수신한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거실(Living room)에서 침입(break-in)이 발생했다고 보안 상황을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200)는 경보(alert), 푸쉬 알림(push notification)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거실에서 침입이 발생했음을 알릴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실 상황을 나타내는 화면(Living room Status)에 "침입 발생(You have a break-in.)"을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거실에서 침입(break-in)이 발생했음을 알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200)는 분석 결과에 따라 침입의 발생과 같이 위급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이동 단말기(200)는 신고 센터에 전화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911로 전화 연결(Call 911)"을 표시하고, 신고 센터(911)에 전화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200)는 사용자에게 침입이 발생한 경우에 사용자가 당황하여 실수하지 않도록, 구체적인 행동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을 잠그고, 조용히 하세요(Lock your door, stay calm)."와 같은 행동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200)는 침입 발생을 알린 후, 침입 발생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100)의 복수의 센서들의 센서 데이터의 모니터링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경보에 대한 세부 내용의 확인(See details about this alert)."과 같은 센서 데이터의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보안 시스템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과정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보안 시스템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9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910 과정에서 이동 단말기(200)는 플러그인 형태의 센서 모듈(100)에 구비된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신한다.
920 과정에서 이동 단말기(200)는 복수의 센서들의 센서 데이터의 상관성에 기초하여 센서 데이터를 통합하여, 센서 모듈(100)이 플러그인된 장소의 보안 상황을 분석한다.
930 과정에서 이동 단말기(200)는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200)는 분석 결과로 이상 상황이 발생하면, 센서 데이터의 구체적인 내용의 확인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200)는 분석 결과로 이상 상황이 발생하면, 가장 최근의 소정의 시간 동안의 마이크 센서에서 감지한 센서 데이터의 재생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200)는 분석 결과로 이상 상황이 발생하면,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푸쉬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200)는 분석 결과에 따라 위급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신고 센터에 전화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200)는 위치 정보를 더 획득하고, 930 과정에서 이동 단말기(200)는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여 보안 상황을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200)는 센서 모듈(100)에 설치된 장소의 장소적 특성을 더 획득하고, 930 과정에서 이동 단말기(200)는 센서 모듈(100)에 설치된 장소의 장소적 특성을 더 포함하여 보안 상황을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행동 정보를 더 획득하고, 930 과정에서 이동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행동 정보를 더 포함하여 보안 상황을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200)는 플러그인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910 과정에서 이동 단말기(200)는 복수의 센서 모듈에 구비된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930 과정에서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장소 내에서 복수의 센서 모듈들이 플러그인된 공간에 기초하여, 복수의 센서 모듈들의 복수의 센서들의 센서 데이터의 공간적 상관성을 더 포함하여 상기 장소의 전체적인 보안 상황을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장소 내에서 복수의 센서 모듈들이 플러그인된 공간들 사이의 경로 특성을 더 획득하고, 930 과정에서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경로 특성을 더 포함하여 보안 상황을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200)는 복수의 센서 모듈들 각각이 위치하는 공간별로 보안 상황의 모니터링을 더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 각각의 센서별로 센서 데이터의 모니터링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2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센서 모듈(100)에 접속하고, 센서 모듈(10)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센서 모듈을 구동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동 단말기(200)는 센서 모듈(100)의 설정 정보의 입력을 수신하고,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200) 상에서 센서 모듈(100)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200)는 센서 모듈(100)의 동작을 테스트할 수 있는 테스트 모드를 더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매체(예를 들면,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모든 실시예들과 조건부 예시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의도로 기술된 것으로, 당업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1 센서 모듈
101: 제2 센서 모듈
102: 제3 센서 모듈
110: 통신 인터페이스
120-160: 센서
200: 이동 단말기

Claims (32)

  1. 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플러그인 형태의 제1 센서 모듈; 및
    상기 제1 센서 모듈에 구비된 상기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들의 센서 데이터의 상관성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 데이터를 통합하고, 통합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센서 모듈이 플러그인된 장소의 보안 상황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보안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여 상기 보안 상황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들은 모션 센서 및 마이크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된 정보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장소에 없는데, 상기 장소에 움직임 및 소리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장소에 침입자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장소의 장소적 특성을 획득하고, 상기 장소적 특성을 더 포함하여 상기 보안 상황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들은 온도 센서 및 일산화탄소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된 정보가 상기 장소의 장소적 특성이 조리하는 곳이 아닌데, 상기 장소에 온도 및 일산화탄소 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수치 이상으로 높아진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장소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의 행동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행동 정보를 더 포함하여 상기 보안 상황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들은 모션 센서 및 마이크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된 정보가 상기 사용자의 행동 정보가 수면 상태인데, 상기 장소에 움직임 및 소리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장소에 침입자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모듈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 제2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 모듈 및 상기 제2 센서 모듈 각각은 상기 장소의 제1 공간 및 제2 공간에 플러그인되어 위치하고,
    상기 제1 센서 모듈 및 상기 제2 센서 모듈 각각에 구비된 상기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들의 센서 데이터의 공간적 상관성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 데이터를 통합하고, 통합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장소의 보안 상황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장소의 출입 및 이동에 따른 상기 제1 공간 및 상기 제2 공간 사이의 경로 특성을 획득하고, 상기 경로 특성을 더 포함하여 상기 보안 상황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들은 모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된 정보가 상기 장소에서 움직임이 발생한 위치가 상기 경로 특성에 비추어 비정상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장소에 침입자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스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분석 결과로 이상 상황이 발생하면, 상기 센서 데이터의 구체적인 내용의 확인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스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들은 마이크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분석 결과로 이상 상황이 발생하면, 가장 최근의 소정의 시간 동안의 상기 마이크 센서에서 감지한 센서 데이터의 재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스템.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분석 결과로 이상 상황이 발생하면, 상기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푸쉬 알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스템.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위급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신고 센터에 전화 연결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스템.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모듈이 상기 장소에 플러그인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센서 모듈을 구동시키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앱을 통하여 상기 보안 상황의 분석 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스템.
  16. 제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1 센서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 각각이 위치하는 공간별로 상기 보안 상황의 모니터링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센서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 각각의 센서별로 센서 데이터의 모니터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스템.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1 센서 모듈이 구동되면, 상기 제1 센서 모듈의 동작을 테스트할 수 있는 테스트 모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스템.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소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 서비스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통신 서비스 장치를 통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여 상기 보안 상황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스템.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들은 모션 센서, 마이크 센서, 온도 센서, 조도 센서 및 일산화탄소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스템.
  20.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에서, 플러그인 형태의 제1 센서 모듈에 구비된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복수의 센서들의 센서 데이터의 상관성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 데이터를 통합하여, 상기 제1 센서 모듈이 플러그인된 장소의 보안 상황을 분석하는 과정; 및
    이동 단말기에서,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석하는 과정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여 상기 보안 상황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소의 장소적 특성을 획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석하는 과정은 상기 장소적 특성을 더 포함하여 상기 보안 상황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행동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분석하는 과정은 상기 행동 정보를 더 포함하여 상기 보안 상황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20 항에 있어서,
    플러그인 형태의 제2 센서 모듈에 구비된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 모듈 및 상기 제2 센서 모듈 각각은 상기 장소의 제1 공간 및 제2 공간에 플러그인되어 위치하고,
    상기 분석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센서들의 센서 데이터의 공간적 상관성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 데이터를 통합하여 상기 장소의 보안 상황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장소의 출입 및 이동에 따른 상기 제1 공간 및 상기 제2 공간 사이의 경로 특성을 획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석하는 과정은 상기 경로 특성을 더 포함하여 상기 보안 상황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결과로 이상 상황이 발생하면, 상기 센서 데이터의 구체적인 내용의 확인을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27.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들은 마이크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 결과로 이상 상황이 발생하면, 가장 최근의 소정의 시간 동안의 상기 마이크 센서에서 감지한 센서 데이터의 재생을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28.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결과로 이상 상황이 발생하면, 상기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푸쉬 알림을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29.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위급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신고 센터에 전화 연결을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30. 제20 항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센서 모듈에 접속하는 과정;
    상기 제1 센서 모듈로부터 상기 제1 센서 모듈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센서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1 센서 모듈을 구동시키는 과정;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센서 모듈의 설정 정보의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이동 단말기 상에 상기 제1 센서 모듈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31.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모듈의 동작을 테스트할 수 있는 테스트 모드를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32. 제20 항에 있어서,
    플러그인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에 구비된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제1 센서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 각각이 위치하는 공간별로 상기 보안 상황의 모니터링을 더 제공하고, 상기 제1 센서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 각각의 센서별로 센서 데이터의 모니터링을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40004735A 2014-01-14 2014-01-14 보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15008458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735A KR20150084587A (ko) 2014-01-14 2014-01-14 보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EP15151006.2A EP2894613A1 (en) 2014-01-14 2015-01-13 Security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security service by using the same
US14/596,499 US20150199894A1 (en) 2014-01-14 2015-01-14 Security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security service by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735A KR20150084587A (ko) 2014-01-14 2014-01-14 보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587A true KR20150084587A (ko) 2015-07-22

Family

ID=52472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4735A KR20150084587A (ko) 2014-01-14 2014-01-14 보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199894A1 (ko)
EP (1) EP2894613A1 (ko)
KR (1) KR2015008458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320916A1 (en) * 2015-11-04 2018-11-08 Carrier Corporation Hvac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06297184A (zh) * 2016-08-26 2017-01-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监控移动终端周围环境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7195156A (zh) * 2017-07-11 2017-09-22 合肥众磊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家居安全防盗系统
CN107317716A (zh) * 2017-07-25 2017-11-03 北京市天元网络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管理系统及其应用方法
CN108924780A (zh) * 2018-06-15 2018-11-30 四川斐讯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音箱的分布式传感器监控方法及系统
WO2020191758A1 (zh) * 2019-03-28 2020-10-01 李修球 智慧家庭机器人
US11760170B2 (en) 2020-08-20 2023-09-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Olfaction sensor preserv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636870B2 (en) 2020-08-20 2023-04-25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moking cess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881093B2 (en) 2020-08-20 2024-01-23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smoking in vehicles
US11813926B2 (en) 2020-08-20 2023-11-14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Binding agent and olfaction sensor
US11828210B2 (en) 2020-08-20 2023-11-28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of vehicles using olfaction
US11932080B2 (en) 2020-08-20 2024-03-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Diagnostic and recirculation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11760169B2 (en) 2020-08-20 2023-09-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Particulat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olfaction sensor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65397A1 (en) * 2001-03-06 2006-11-23 Knowledge Vector, In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extensible, profile-and context-based information correlation, routing and distribution
US20060154642A1 (en) * 2004-02-20 2006-07-13 Scannell Robert F Jr Medication & health, environmental, and security monitoring, alert, intervention, information and network system with associated and supporting apparatuses
US7174176B1 (en) * 2004-07-12 2007-02-06 Frank Kung Fu Liu Cordless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7528711B2 (en) * 2005-12-19 2009-05-05 Lawrence Kates Portable monitoring unit
US7800496B2 (en) * 2006-07-07 2010-09-21 Innovalarm Corporation Methods, devices and security systems utilizing wireless networks and detection devices
US8193929B1 (en) * 2007-11-09 2012-06-05 Oceanit Laboratories, Inc. Integrated adaptive wireless mesh sensor platform and energy visualization and management system
US20090287456A1 (en) * 2008-05-13 2009-11-19 Steve Tran Distributed Sensor System
US8049613B2 (en) * 2008-11-26 2011-11-01 Comcast Cable Holdings, Llc Building security system
WO2010116364A1 (en) * 2009-04-05 2010-10-14 Tadsec Advanced Homeland Security Technologies Ltd A secur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EP3528392B1 (en) * 2009-11-13 2024-01-03 Zoll Medical Corporation Community-based response system
US9240111B2 (en) * 2010-10-06 2016-01-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ferring building metadata from distributed sensors
US9208676B2 (en) * 2013-03-14 2015-12-08 Google Inc. Devices, methods, and associated information processing for security in a smart-sensored home
US9276826B1 (en) * 2013-03-22 2016-03-01 Google Inc. Combining multiple signals to determine global system st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94613A1 (en) 2015-07-15
US20150199894A1 (en) 2015-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84587A (ko) 보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US10630943B1 (en) Smart surveillance systems
US9801033B1 (en) Family member tracking
EP3241198B1 (en) Digital fingerprint tracking
US20160110085A1 (en) Presenting environmental conditions using visual perception information
US10026304B2 (en) Calibrating an environmental monitoring device
US20160269533A1 (en) Notifications with embedded playback capability
US20160091471A1 (en) Detection and prevention of toxic gas
US11516041B2 (en) Method and device for event notification in home network system
US10743782B1 (en) Monitoring baby physical characterstics
CN104994335A (zh) 一种报警的方法及终端
CN104360653A (zh) 故障排除方法和装置
US10043377B2 (en) Monitoring system
KR101221437B1 (ko)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한 cctv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US1098942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electronic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US10582161B2 (en) Monitor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US10965899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on of a television into a connected-home monitoring system
US20120081547A1 (en) Conducting surveillance using a digital picture frame
US11133952B2 (en) Notification control apparatus, detection apparatus, notification control system, notification control method, and detection method
US9883350B2 (en) Positioning method and device
KR20160074829A (ko) 실내 주거 환경 센싱 및 로깅 방법 및 시스템과 실내 주거 환경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02914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선 보안 시스템
KR20170091026A (ko) 제어장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US20240160298A1 (en) Point and gesture control of remote devices
CN114220242A (zh) 室内状态的监测方法、装置、存储介质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