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0591A - 플랜트의 운용설비 유지보수용 경보시스템 - Google Patents

플랜트의 운용설비 유지보수용 경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0591A
KR20170090591A KR1020160011113A KR20160011113A KR20170090591A KR 20170090591 A KR20170090591 A KR 20170090591A KR 1020160011113 A KR1020160011113 A KR 1020160011113A KR 20160011113 A KR20160011113 A KR 20160011113A KR 20170090591 A KR20170090591 A KR 20170090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unit
alarm
maintenance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1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4851B1 (ko
Inventor
신호선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1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851B1/ko
Publication of KR20170090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0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2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플랜트의 운용설비 유지보수용 경보시스템은, 경보장치를 통해 플랜트의 운용설비에 대한 유지보수 상태를 점검하는 플랜트의 운용설비 유지보수용 경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경보장치는, 상기 플랜트에 설치된 상기 운용설비에 설치되며, 해당 운용설비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유닛, 상기 검출유닛의 검출 결과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사운드 재생유닛 및 상기 검출유닛의 검출 결과를 타 통신장치에 송신하는 통신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랜트의 운용설비 유지보수용 경보시스템{Alarm System of Plant for Equipment Maintenance}
본 발명은 플랜트의 운용설비 유지보수용 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운드를 통해 이상이 발생한 운용설비의 위치를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랜트의 운용설비 유지보수용 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플랜트, 육상플랜트 등을 포함하는 플랜트에는 다양한 종류의 계측 및 제어기기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수많은 종류의 장비들은 필수적으로 주기적으로 유지 보수가 수행되어야 하나, 이들을 관리하기는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이들을 용이하게 관리하기 위한 유지보수 시스템이 개발되었으며, 이는 장비의 프로세스의 오류나 특이사항 발생 시, 통합 제어관리 시스템(ICSS 또는 DCS)에 전송되어 관리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간단한 비상조치는 통합제어시스템을 통하여 조치할 수 있으나, 장비를 교체하여야 하는 상황 등이 발생할 경우, 해당 장비가 설치된 세부 위치를 수많은 도면을 통해서 찾아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장비의 고장 등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없도록 하는 원인이 되며, 특히 중요 장비일수록 피해가 가중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36931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플랜트에 설치된 다양한 설비 중 이상이 발생된 설비의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랜트의 운용설비 유지보수용 경보시스템은, 경보장치를 통해 플랜트의 운용설비에 대한 유지보수 상태를 점검하는 플랜트의 운용설비 유지보수용 경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경보장치는, 상기 플랜트에 설치된 상기 운용설비에 설치되며, 해당 운용설비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유닛, 상기 검출유닛의 검출 결과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사운드 재생유닛 및 상기 검출유닛의 검출 결과를 타 통신장치에 송신하는 통신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사운드 재생유닛은, 상기 검출유닛에 의해 검출된 상기 운용설비의 이상 상태 별로, 서로 다른 종류의 사운드 또는 서로 다른 패턴을 가지는 사운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유닛은, 타 통신장치가 통신범위 밖에 존재할 경우, 다른 운용설비에 구비된 경보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검출유닛의 검출 결과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경보장치 및 상기 타 통신장치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중앙제어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타 통신장치의 현재 위치와, 이상이 검출된 운용설비 사이의 이동경로에 위치된 경보장치의 사운드 재생유닛을 구동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이상이 검출된 운용설비에 구비된 경보장치와 상기 이동경로에 위치된 경보장치가 서로 다른 사운드를 재생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랜트의 운용설비 유지보수용 경보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운드를 통해 이상이 발생한 설비의 위치를 안내하므로, 작업자가 신속하게 위치를 파악하여 유지 보수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방폭지역에서도 안전하게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중앙제어시스템이 에러 발생 등의 원인에 따라 셧다운될 경우에도 사운드를 인지하여 조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트의 운용설비 유지보수용 경보시스템이 구축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트의 운용설비 유지보수용 경보시스템에 있어서, 경보장치가 운용설비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트의 운용설비 유지보수용 경보시스템 운용 중 임의의 운용설비에 이상이 발생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트의 운용설비 유지보수용 경보시스템이 구동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트의 운용설비 유지보수용 경보시스템에 있어서, 경보장치가 구동됨에 따라 작업자가 이상이 발생한 운용설비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트의 운용설비 유지보수용 경보시스템에 있어서, 이상이 발생한 운용설비에 설치된 경보장치가 다른 운용설비에 구비된 경보장치를 경유하여 검출유닛의 검출 결과를 송신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트의 운용설비 유지보수용 경보시스템에 있어서, 이상이 검출된 운용설비와 작업자 사이의 이동경로에 위치된 경보장치의 사운드 재생유닛을 구동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트의 운용설비 유지보수용 경보시스템이 구축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트의 운용설비 유지보수용 경보시스템은, 해양플랜트 또는 육상플랜트 등 다양한 플랜트에 설치된 운용설비(D)에 구비되는 경보장치(100)를 포함한다.
상기 운용설비(D)는 계측 및 제어기기를 비롯한 유지 보수가 요구되는 다양한 종류의 장비일 수 있다. 즉 상기 운용설비(D)는 특정의 장비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경보장치(100)는, 각 운용설비(D)마다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경보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보수가 요구되는 장비의 위치마다 대응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경보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유닛(110)과, 사운드 재생유닛(120)과, 통신유닛(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유닛(110)은 플랜트에 설치된 운용설비(D)에 구비되며, 해당 운용설비(D)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에서 상기 검출유닛(110)은 계측장비 형태의 운용설비(D)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였으며, 상기 운용설비(D)의 동작 상태를 센싱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검출유닛(110)은 상기 운용설비(D)의 동작 유/무를 비롯하여 이상 동작 여부, 전원공급 상태 등을 센싱할 수 있도록 내부에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해당 운용설비(D)의 형태에 따라 정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사운드 재생유닛(120)은 상기 검출유닛(110)의 검출 결과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검출유닛(110)이 운용설비(D)가 비정상 상태인 것을 검출하였을 경우, 사운드를 발생시켜 현재의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사운드 재생유닛(120)은, 상기 운용설비(D)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사운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증상에 다라 서로 다른 종류의 사운드 또는 서로 다른 패턴의 사운드를 발생시키거나, 이들을 조합한 형태로 사운드를 발생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는 볼륨의 차로 정보를 나타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사운드 재생유닛(120)이 구비됨에 따라 본 발명은 작업자가 신속하게 위치를 파악하여 유지 보수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고주파 등과 달리 방폭지역에서도 화재의 위험 없이 안전하게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이들을 제어하고 상호 통신하는 중앙제어시스템이 에러 발생 등의 원인에 따라 셧다운될 경우에도, 작업자가 사운드를 인지하여 조치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통신유닛은 상기 검출유닛(110)의 검출 결과를 타 통신장치에 송신하는 구성요소이다. 타 통신장치라 함은 작업자가 소유하고 있는 스마트기기, PDA 등 휴대용 전자기기일수도 있으며, 또는 중앙제어시스템일 수도 있다. 즉 상기 통신유닛과 통신이 가능한 모든 장치를 말한다.
이에 따라 상기 통신유닛은, 상기 사운드 재생유닛(120)과는 별도로 운용설비(D)의 상태를 타 통신장치에 안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트의 운용설비 유지보수용 경보시스템을 이용한 유지 보수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과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전체 운용설비(D)에는 각각 전술한 경보장치(100)가 구비되며, 이들은 실시간으로 각 운용설비(D)의 상태를 체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이상이 발생한 운용설비(D0)가 발생할 경우, 상기 경보장치는 해당 증상에 따라 도 4와 같이 사운드 재생유닛(120)을 구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현재 이상이 발생한 운용설비(D0)의 위치를 안내하는 동시에, 상기 통신유닛은 중앙제어시스템(S), 작업자의 휴대용 전자기기(M) 등의 타 통신장치에 해당 정보를 송신하게 된다. 이때 상기 통신유닛은 작업자의 휴대용 전자기기(M)에 직접 해당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으나, 상기 중앙제어시스템(S)에 먼저 해당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중앙제어시스템(S)이 이를 작업자의 휴대용 전자기기(M)에 송신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타 통신장치에는, 상기와 같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프트웨어에는 이상이 발생한 운용설비(D0)의 현재 증상, 대응법, 현재 위치 및 방향 등을 화면으로 표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도 5와 같이 상기의 정보를 확인한 작업자(A)는, 현재 사운드가 재생되고 있는 이상이 발생한 운용설비(D0)의 위치를 시각적 및 청각적 정보로 정확히 인지하게 되며, 빠른 시간 내에 해당 위치로 이동하여 유지 보수를 수행하게 된다.
이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트의 운용설비 유지보수용 경보시스템의 기본적인 구동에 대해 설명한 것이며, 이하에서는 보다 확장된 기능에 대해 추가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트의 운용설비 유지보수용 경보시스템에 있어서, 이상이 발생한 운용설비(D0)에 설치된 경보장치(100)가 다른 운용설비(D1)에 구비된 경보장치(100)를 경유하여 검출유닛의 검출 결과를 송신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보장치(100)에 구비된 통신유닛은, 타 통신장치, 즉 작업자의 휴대용 전자기기 등이 통신범위 밖에 존재할 경우, 다른 운용설비(D1)에 구비된 경보장치(100)를 경유하여 상기 검출유닛의 검출 결과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른 운용설비(D1)는, 이상이 발생한 운용설비(D0)에 설치된 경보장치(100)에 구비된 통신유닛의 통신 범위 내에 위치되는 운용설비(D)이며, 2회 이상의 경유 횟수를 통해 타 통신장치에 검출 결과를 송신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트의 운용설비 유지보수용 경보시스템에 있어서, 이상이 검출된 운용설비(D0)와 작업자(A) 사이의 이동경로에 위치된 경보장치(100)의 사운드 재생유닛을 구동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복수의 경보장치(100) 및 타 통신장치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중앙제어장치(S, 도 4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중앙제어장치(S)는 타 통신장치, 즉 작업자의 현재 위치와, 이상이 검출된 운용설비(D0)의 위치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각 경보장치(100)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중앙제어장치(S)는, 현재 이상이 검출된 운용설비(D0)와 현재 작업자(A) 사이의 이동경로에 위치된 경보장치(100)들의 사운드 재생유닛을 구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작업자(A)는 본인의 현재 위치로부터 사운드가 재생되는 운용설비(D)를 따라 이동하여 이상이 발생된 운용설비(D0)에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작업자(A)의 혼란 방지를 위해, 상기 중앙제어장치(S)는 이상이 검출된 운용설비(D0)에 구비된 경보장치(100)와 상기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경보장치(D)가 서로 다른 사운드를 재생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
즉 작업자(A)는 현재 각 경보장치(D)에서 발생되는 사운드가 경로 안내를 위한 것인지, 또는 실제 이상이 발생된 운용설비(D)를 나타내기 위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경보장치 110: 검출유닛
120: 사운드 재생유닛 D: 운용설비
A: 작업자 S: 중앙제어장치
M: 휴대용 전자기기

Claims (5)

  1. 경보장치를 통해 플랜트의 운용설비에 대한 유지보수 상태를 점검하는 플랜트의 운용설비 유지보수용 경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경보장치는,
    상기 플랜트에 설치된 상기 운용설비에 설치되며, 해당 운용설비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유닛;
    상기 검출유닛의 검출 결과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사운드 재생유닛; 및
    상기 검출유닛의 검출 결과를 타 통신장치에 송신하는 통신유닛을 포함하는 플랜트의 운용설비 유지보수용 경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재생유닛은, 상기 검출유닛에 의해 검출된 상기 운용설비의 이상 상태 별로, 서로 다른 종류의 사운드 또는 서로 다른 패턴을 가지는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플랜트의 운용설비 유지보수용 경보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유닛은, 타 통신장치가 통신범위 밖에 존재할 경우, 다른 운용설비에 구비된 경보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검출유닛의 검출 결과를 송신하는 플랜트의 운용설비 유지보수용 경보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경보장치 및 상기 타 통신장치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중앙제어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타 통신장치의 현재 위치와, 이상이 검출된 운용설비 사이의 이동경로에 위치된 경보장치의 사운드 재생유닛을 구동시키도록 형성된 플랜트의 운용설비 유지보수용 경보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이상이 검출된 운용설비에 구비된 경보장치와 상기 이동경로에 위치된 경보장치가 서로 다른 사운드를 재생하도록 구동시키는 플랜트의 운용설비 유지보수용 경보시스템.
KR1020160011113A 2016-01-29 2016-01-29 플랜트의 운용설비 유지보수용 경보시스템 KR101774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113A KR101774851B1 (ko) 2016-01-29 2016-01-29 플랜트의 운용설비 유지보수용 경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113A KR101774851B1 (ko) 2016-01-29 2016-01-29 플랜트의 운용설비 유지보수용 경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591A true KR20170090591A (ko) 2017-08-08
KR101774851B1 KR101774851B1 (ko) 2017-09-05

Family

ID=59653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113A KR101774851B1 (ko) 2016-01-29 2016-01-29 플랜트의 운용설비 유지보수용 경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8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2826A (ko) 2017-10-17 2019-04-25 주식회사 히트스 플랜트용 디지털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9420A (ko) * 2018-10-30 2020-05-08 주식회사 온품 건물 안전상태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8972B2 (ja) * 2003-01-30 2008-11-12 三浦工業株式会社 機器の警報方法および機器の保守管理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2826A (ko) 2017-10-17 2019-04-25 주식회사 히트스 플랜트용 디지털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9420A (ko) * 2018-10-30 2020-05-08 주식회사 온품 건물 안전상태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4851B1 (ko) 2017-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7704B2 (en) Oil leakage detection device
US11199829B2 (en) Remote monitoring of industrial control systems
KR101774851B1 (ko) 플랜트의 운용설비 유지보수용 경보시스템
CN107850644A (zh) 用于检查机器内部密闭空间的本地化、映射和触觉反馈
CA2706970A1 (en) Electrical circuit with physical layer diagnostics system
JP2006242382A (ja) 別々の出力信号を備える光学式通過センサ装置
KR101037661B1 (ko) 선로전환기 감시 시스템
US9007069B2 (en) Method of testing a spur short circuit protection system and diagnostic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2049425B1 (ko) 전력 시스템에서 아크 검출의 정상 동작 자가 진단 방법 및 장치
KR20130102278A (ko) 설비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2011501593A (ja) 光通信ネットワークの診断方法
US10109440B2 (en) Safety switch
CN107272538A (zh) 一种多重监控挖掘机系统
CN103745617A (zh) 一种辅助靠泊监控系统
KR101430680B1 (ko) 선행보전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57442A (ko) 선박의 가스 경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스 경보 감시 방법
JP2018114792A (ja) 光ケーブルを利用した鉄道制御システム
CN106405562A (zh) 一种用于船舶定位的监控系统
KR102344471B1 (ko) 데이지 체인 방식을 통한 스마트 eocr용 데이터 통신 시스템
CN113924191B (zh) 自动保护通过移动操作装置控制的机器人系统运行的方法和系统
JP5057158B2 (ja) 踏切制御システム
US20220120160A1 (en) Emergency stop system for drill floor safety
JP2019052977A (ja) Dvor装置の自動故障診断システム、dme装置の自動故障診断システム、ils装置の自動故障診断システム、dvor装置の自動故障診断方法
KR102210068B1 (ko) 엔코더신호용 점검 및 분배기
US7482942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starting a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