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0319A - 정보 보호를 위한 영상 처리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보호를 위한 영상 처리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0319A
KR20170090319A KR1020160011026A KR20160011026A KR20170090319A KR 20170090319 A KR20170090319 A KR 20170090319A KR 1020160011026 A KR1020160011026 A KR 1020160011026A KR 20160011026 A KR20160011026 A KR 20160011026A KR 20170090319 A KR20170090319 A KR 20170090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images
data
copyright information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1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4711B1 (ko
Inventor
윤은준
Original Assignee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11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711B1/ko
Publication of KR20170090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0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36Monitoring of piracy processes or activ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5Generation of a revocation list, e.g. of client devices involved in piracy a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7Rights management associated to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8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waterma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4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data relating to permitted access or usage, e.g. level of access or usage parameters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related to still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 보호를 위한 영상 처리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원본 영상에 대한 저작권 정보로부터 미리 설정된 데이터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서브 저작권 정보를 생성하고, 복수의 구분 규칙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원본 영상으로부터 복수의 서브 영상을 특정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를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로부터 도출되는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전체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에 따라 은닉 가능한 서브 저작권 정보를 특정하며, 스태가노그라피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된 서브 저작권 정보를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에 분산하여 은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와 이를 위한 방법 그리고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정보 보호를 위한 영상 처리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pparatus for processing picture intended for information protection,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영상 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에 대한 저작권 보호 혹은 위변조 방지를 위해 저작권 정보를 영상에 은닉하고, 저작권 검증, 위조, 변조 여부 판별이 필요한 경우 영상에 은닉된 저작권 정보를 추출하는 영상 처리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교통사고 발생 시 사고 발생의 책임 소재에 대한 판단을 용이하게 하고 사고 예방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차량 주변의 상황을 영상으로 기록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장착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EDR(Event Data Recorder)로 알려져 있는 블랙박스 장치는 비행기에 장착되어 항공기의 추락이나 대형 참사 등으로 동체가 거의 소멸되었을 때 사고의 원인 규명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장치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블랙박스의 개념을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 해결에 적용한 것이 차량용 블랙박스이다. 차량용 블랙박스는 차량 충돌 사고 시점의 전ㅇ후 일정 시간 동안의 상황을 기록하여 피해자와 가해자의 주장이 서로 상반될 때 시시비비를 가리기 위한 증거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최근 각광받고 있다.
최근 차량용 블랙박스의 악용으로 인한 다양한 형태의 사생활 침해 문제가 발생한다. 차량용 블랙박스는 특성상 블랙박스에 접근할 수 있는 대상이 차량 소유자나 운전자와 같이 제한적이므로 블랙박스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공격자는 차량의 주인이나 운전자일 가능성이 크다. 블랙박스 데이터에 대한 공격자는 차량에 부착된 블랙박스 데이터에 대해 완벽한 접근 권한을 갖고 있을 확률이 높으며, 공격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시간적인 제약도 없는 상황이다. 일반적인 차량용 블랙박스 데이터는 공격자의 이해관계 또는 필요에 따라 위ㅇ변조 가능성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400556호 2011년 04월 20일 공개 (명칭: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변조 방지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에 대한 저작권 보호 혹은 위조 변조 방지를 위해 저작권 정보를 영상에 은닉하고, 저작권 검증이 필요한 경우 영상에 은닉된 저작권 정보를 추출하는 영상 처리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보호를 위한 영상 처리 장치는 원본 영상에 대한 저작권 정보로부터 미리 설정된 데이터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서브 저작권 정보를 생성하고, 복수의 구분 규칙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원본 영상으로부터 복수의 서브 영상을 특정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를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로부터 도출되는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전체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에 따라 은닉 가능한 서브 저작권 정보를 특정하며, 스태가노그라피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된 서브 저작권 정보를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에 분산하여 은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된 서브 저작권 정보를 스태가노그라피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의 비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에 분산하여 은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보호를 위한 영상 처리 장치는 원본 영상에 적어도 하나의 서브 저작권 정보가 은닉된 스테고 영상으로부터 상기 은닉 시 사용된 구분 규칙에 따라 복수의 서브 영상을 특정하고,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를 산출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로부터 도출되는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전체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 및 복수의 서브 저작권 정보의 미리 설정된 데이터 크기를 비교하여 은닉된 서브 저작권 정보를 특정하고, 상기 은닉 시 사용된 스태가노그라피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으로부터 특정된 서브 저작권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은닉 시 사용된 스태가노그라피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으로부터 상기 특정된 서브 저작권 정보의 데이터 크기 및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의 비율에 따라 상기 특정된 서브 저작권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보호를 위한 영상 처리 방법은 원본 영상으로부터 복수의 구분 규칙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복수의 서브 영상을 특정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전체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 및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의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전체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에 따라 은닉 가능한 서브 저작권 정보를 특정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전체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 및 복수의 서브 저작권 정보의 미리 설정된 데이터 크기를 비교하여 은닉 가능한 서브 저작권 정보를 특정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된 서브 저작권 정보를 스태가노그라피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의 비율에 따라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에 분산하여 은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보호를 위한 영상 처리 방법은 원본 영상에 적어도 하나의 서브 저작권 정보가 은닉된 스테고 영상으로부터 상기 은닉 시 사용된 구분 규칙에 따라 복수의 서브 영상을 특정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 복수의 서브 영상 전체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 및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의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전체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 및 복수의 서브 저작권 정보의 미리 설정된 데이터 크기를 비교하여 은닉된 서브 저작권 정보를 특정하는 단계와, 상기 은닉 시 사용된 스태가노그라피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으로부터 상기 특정된 서브 저작권 정보의 데이터 크기 및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의 비율에 따라 상기 특정된 서브 저작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원본 영상으로부터 도출되는 복수의 서브 영상을 이용하여 저작권 정보를 은닉하기 때문에 복수의 서브 영상을 구성하는 구분 규칙을 알 수 있는 권한이 없는 자는 원본 영상의 손상 없이 저작권 정보를 제거할 수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보안의 레벨이 높기 때문에, 저작권 보호에 유리하다. 더욱이, 타인이 흔적 없이 위조 혹은 변조하기 어렵기 때문에 원본 영상의 위조 혹은 변조를 손쉽게 판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보호를 위한 영상 처리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3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정보 은닉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 크기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본 영상에 저작권 정보를 은닉하는 영상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본 영상에 저작권 정보를 은닉하기 위한 영상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스테고 영상에 은닉된 저작권 정보를 복원하기 위한 영상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스테고 영상에 은닉된 저작권 정보를 복원하기 위한 영상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보호를 위한 영상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보호를 위한 영상 처리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영상 처리 장치(300)를 포함하는 서버(10) 및 복수의 블랙박스(20)를 포함한다.
블랙박스(20)는 차량에 장착된 차량용 블랙박스이며, 촬영된 영상을 소정의 정책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정책은 특정 이벤트가 될 수 있다. 예컨대, 교통사고가 발생할 시, 교통사고 발생 시점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교통사고 시점의 전후로 소정 기간 동안 촬영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의 영상 처리 장치(300)는 블랙박스(20)로부터 수신된 영상, 즉, 원본 영상을 가공하여 원본 영상이 가지는 정보를 보호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이때, 영상 처리 장치(300)는 원본 영상에 저작권과 관련된 각종 정보인 저작권 정보를 은닉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처리 장치(300)는 저작권 정보를 스태가노그래피 기법에 따라 은닉한다. 이에 따라, 권한이 없는 자가 해당 원본 영상을 사용하는 경우, 영상 처리 장치(300)를 통해 스태가노그래피 기법에 따라 은닉된 저작권 정보를 추출하여, 저작권을 주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작권 정보가 은닉된 영상이 위조 혹은 변조된 경우, 스태가노그래피 기법에 따라 은닉된 저작권 정보를 추출할 수 없기 때문에 원본 영상이 위조 혹은 변조되었음을 판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영상 처리 장치(3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3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300)는 입출력부(310), 저장부(320) 및 제어부(330)를 포함한다.
입출력부(310)는 서버(20)의 다른 모듈과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다른 모듈은 대표적으로,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예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버(10)가 수신한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저장부(320)는 영상 처리 장치(3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영상 처리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영상 처리 장치(3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영상 처리 장치(3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또한, 저장부(320)는 영상 처리 장치(300)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각 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저장부(320)에 저장되는 각 종 데이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삭제, 변경, 추가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영상 처리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영상 처리 장치(3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33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 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혹은 GPU(graphic processing unit)이거나, 이들 중 적어도 2개의 조합이 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저장부(32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로드시켜 실행시키고, 필요한 경우, 임시 저장 공간으로 버퍼를 할당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3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입력되는 영상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330)의 동작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원본 영상의 정보를 보호하기 위하여 그 저작권에 대한 정보인 저작권 정보를 원본 영상에 은닉한다. 저작권 정보는 원본 영상에 할당되는 원본 영상의 식별 정보, 원본 영상의 저작권자, 원본 영상을 생성한 날짜, 시간 등의 생성 시간 정보, 원본 영상을 생성한 장소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원본 영상을 생성한 기기의 식별정보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저작권 정보는 음성, 이미지 혹은 텍스트 등의 다양한 형식이 될 수 있다. 또한, 저작권 정보는 정보의 기 설정된 중요도에 따라 다음의 표 1에 보인 예와 같이 복수의 서브 저작권 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중요도 서브 저작권 정보 내용
1 제1 서브 저작권 정보 원본 영상의 식별 정보
2 제2 서브 저작권 정보 원본 영상의 저작권자 정보
3 제3 서브 저작권 정보 원본 영상을 생성한 날짜, 시간, 등의 시간 정보
4 제4 서브 저작권 정보 원본 영상을 생성한 장소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5 제5 서브 저작권 정보 원본 영상을 생성한 기기의 식별정보
... ... ...
예컨대, 원본 영상의 식별 정보는 이 식별 정보를 통해 저작권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추정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다. 또한, 저작권자와 저작권이 발생한 시점은 가장 직접적인 저작권에 대한 정보이기 때문에 원본 영상의 저작권자 그리고 원본 영상을 생성한 날짜, 시간 등의 시간 정보는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높다. 위치 정보, 기기의 식별정보 등은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브 저작권 정보의 중요도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저작권 정보 각각은 원본 영상에 무관하게 고정 길이를 가지는 바이너리 코드로 생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원본 영상으로부터 도출되는 복수의 서브 영상에 저작권 보호를 위해 저작권 정보(데이터)를 은닉한다. 이와 같이, 저작권 정보(데이터)를 서브 영상에 은닉하기 전,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를 산출한다. 이러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정보 은닉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 크기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은 원본 영상 혹은 서브 영상에 데이터를 은닉하여 발생하는 원본 영상 혹은 서브 영상의 왜곡이 인간의 시각에 의해 판별되지 않으면서, 데이터를 은닉할 수 있는 양이다. 이러한 은닉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태가노그래피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는 LSB(Least Significant Bit)에 데이터를 은닉하는 LSB 기반 스태가노그래피 기법을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다.
도 3에 원본 영상 중 픽셀 좌표가 (1, 1), (2, 1) 그리고 (3, 1)인 일부 픽셀을 바이너리 코드로 도식화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은 한 픽셀 당 각각 1 byte 크기의 3개의 채널(R, G, B)을 가지며, LSB 기반 스태가노그래피 기법은 3개의 채널 각각의 LSB를 변경하기 때문에 한 픽셀 당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는 3bit이다. 하지만, 본 발명이 LSB 기반 스태가노그래피 기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데이터 은닉 기법의 종류 혹은 스태가노그래피 기법의 종류에 따라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는 상이할 수 있고, 각각의 데이터 은닉 기법의 종류 혹은 각각의 스태가노그래피 기법의 종류에 따라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 및 그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를 산정하는 방법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저작권 정보를 원본 영상으로부터 도출되는 복수의 서브 영상에 분산하여 은닉한다. 이러한 서브 영상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부(330)는 미리 설정된 구분 규칙을 적용하여 원본 영상으로부터 복수의 서브 영상을 특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구분 규칙이 미리 정해지며, 제어부(330)는 복수의 구분 규칙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원본 영상을 복수의 서브 영상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복수의 서브 영상을 특정한다. 원본 영상은 정지 영상 혹은 동영상이 될 수 있다. 여기서, 동영상은 블랙박스(20)가 촬영한 영상일 수 있다. 그리고 정지 영상은 블랙박스(20)가 촬영한 영상 중 I 프레임 혹은 블랙박스(20)가 촬영한 영상의 재생 중에 캡처된 영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본 영상이 정지 영상인 경우, 제어부(330)는 원본 영상인 정지 영상을 어느 하나의 구분 규칙에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복수의 영역을 복수의 서브 영상으로 특정한다.
정지 영상에 적용되는 구분 규칙의 일군은 예컨대, mㅧn 방식을 예시할 수 있다. 이 구분 규칙은 가로를 m 등분하고, 세로를 n 등분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구분 규칙은 2ㅧ2, 2ㅧ3, 3ㅧ2, 3ㅧ3, 3ㅧ4, 4ㅧ3, 4ㅧ4 등이 될 수 있다. 구분 규칙 4ㅧ4이 적용된 예가 도 4의 (A)에 도시되었다. 도 4의 (A)에 보인 바와 같이, 제어부(330)는 정지 영상을 가로 4등분 세로 4등분하여 복수의 서브 영상을 특정할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는 예는 대칭적인 구분이 적용되는 예를 보였지만, 구분 규칙은 비대칭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정지 영상에 적용되는 구분 규칙의 다른 군은 예컨대, 일부 영역을 배제하고 나머지 부분만을 이용하여 복수의 서브 영상으로 구분하는 방식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서브 영상으로부터 배제되는 영역을 배제 영역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여기서, 배제 영역은 증거로 사용될 수 있는 이미지가 담겨 있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차량 사고 시, 차량이 보여지는 영역과 그 차량이 보여지는 영역의 소점 범위 이내의 주변 영역은 사고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복수개로 구분하는 구분 규칙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규칙이 적용된 일례가 도 4의 (B)에 도시되었다. 보인 바와 같이, 차량이 나타난 영역은 배제되었으며(배제 영역), 6개의 서브 영상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도 4의 (B)는 도 4의 (A)와 같은 방식으로 원본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복수의 영역 중 차량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된 영역을 배제하는 방식으로 도출될 수 있다. 여기서, 구분된 복수의 영역 중 차량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이미지 프로세싱은 잘 알려진 이미지 프로세싱의 객체 인식 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배제 영역은 프라이버시 보호가 필요한 영역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차량용 블랙박스(20)는 차량 주변의 상황을 촬영하기 때문에 타인은 자신의 의도와 무관하게 차량용 블랙박스(20)를 통해 촬영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타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해 해당 영역에 대한 모자이크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모자이크 처리는 저작권 정보를 은닉하는 영상 처리와 충돌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영역을 배제 영역으로 설정하고, 그 배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복수개로 구분하여 서브 영상을 특정할 수 있다. 여기까지, 원본 영상이 정지 영상인 경우, 정지 영상을 복수의 서브 영상으로 구분하여 특정하는 구분 규칙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앞서 설명된 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다양한 방식으로 정지 영상을 복수의 서브 영상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복수의 서브 영상을 특정하기 위한 규칙을 이용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원본 영상이 동영상인 경우, 제어부(330)는 복수의 구분 규칙 중 어느 하나의 규칙에 따라 원본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중 일부 프레임을 선택하며, 선택된 일부 프레임을 복수의 서브 영상으로 특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지 영상에 적용되는 구분 규칙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로 프레임 형식 및 프레임 번호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를 참조하면, 프레임 번호를 사용하는 일례로, 프레임 번호가 3배수인 프레임을 서브 영상으로 선택하는 구분 규칙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형식을 사용하는 일례로 동영상의 프레임의 종류가 I(Intra) 프레임, B(Bidirectionally Predictive) 프레임 및 P(Unidirectionally Predicted) 프레임일 때, 전체 프레임 중 I 프레임만을 서브 영상으로 선택하는 구분 규칙이 적용될 수 있다. 게다가, 프레임 번호 및 프레임 형식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일례로 I 프레임 중 프레임 번호가 3배수인 프레임을 서브 영상으로 선택하는 구분 규칙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까지, 동영상을 복수의 서브 영상으로 구분하여 특정하는 구분 규칙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다양한 방식 혹은 규칙으로 동영상으로부터 일부 프레임을 선택하고, 선택된 일부 프레임을 복수의 서브 영상으로 특정하기 위한 다양한 파라미터 및 규칙을 이용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저작권 정보를 원본 영상에 은닉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본 영상에 저작권 정보를 은닉하는 영상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본 영상에 저작권 정보를 은닉하기 위한 영상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제어부(330)는 S110 단계에서 입출력부(310)을 통해 원본 영상 및 그 원본 영상에 대한 저작권 정보를 입력 받는다. S120 단계에서 저작권 정보를 미리 설정된 중요도에 따라 상기한 표 1과 같이 복수의 서브 저작권 정보로 구분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330)는 S130 단계에서 서브 저작권 정보 각각을 미리 설정된 데이터 크기의 바이너리 코드로 변환한다. 저작권 정보는 아스키 코드 형식으로 입력될 수 있으며, 이를 이진화하여 바이너리 코드로 변환한다. 예컨대, 제2 서브 저작권 정보는 원본 영상의 저작권자 정보를 나타내며, 이러한 저작권자 정보는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등의 텍스트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데이터 크기를 미리 설정한다. 이때, 남는 비트는 0 또는 1의 패딩을 추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4 서브 저작권 정보 각각의 데이터 크기는 70k byte, 35k byte, 100k byte, 20k byte로 미리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르면 저작권 정보 중 적어도 일부(적어도 일부의 서브 저작권 정보)를 복수의 서브 영상에 분산하여 은닉한다. 이를 위해서, 제어부(330)는 S140 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복수의 구분 규칙 중 어느 하나의 구분 규칙을 이용하여 원본 영상으로부터 복수의 서브 영상을 특정한다. 원본 영상이 정지 영상일 때, 일례로, 도 4의 (A)에 보인 바와 같이, 제어부(330)는 구분 규칙 4ㅧ4에 따라 정지 영상을 가로 4등분 그리고 세로 4등분하여 복수의 서브 영상을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30)는 배제 영역을 설정하고, 배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복수의 서브 영상을 특정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원본 영상이 동영상일 때, 프레임 형식 및 프레임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구분 규칙에 따라, 제어부(330)는 프레임 번호가 3배수인 프레임을 서브 영상으로 선택하거나, 전체 프레임 중 I 프레임만을 서브 영상으로 선택하거나, I 프레임 중 프레임 번호가 3배수인 프레임을 서브 영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서브 영상을 특정한 후, 제어부(330)는 S150 단계에서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를 산출하고, 이로부터 복수의 서브 영상 전체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 및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의 비율을 산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LSB 기반의 스태가노그래피 기법을 데이터 은닉 기법의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데이터 은닉 기법의 종류 혹은 스태가노그래피 기법의 종류에 따라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가 상이할 수 있으며, 특히, 하나의 원본 영상으로부터 도출되는 각 서브 영상 별로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S160 단계에서 복수의 서브 영상 전체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에 따라 은닉 가능한 서브 저작권 정보를 특정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서브 영상으로 제1 내지 제4 서브 영상이 존재하며, 제1 내지 제4 서브 영상 각각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는 20k byte, 20k byte, 40k byte, 60k byte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복수의 서브 영상 전체, 즉, 제1 내지 제4 서브 영상 전체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는 140k byte이다. 또한, 복수의 서브 저작권 정보의 우선순위는 제1, 제2, 제3 및 제4 서브 저작권 정보 순이며, 미리 설정된 제1 내지 제4 서브 저작권 정보 각각의 데이터 크기는 70k byte, 35k byte, 100k byte, 20k byte이다. 그러면, 제1 내지 제4 서브 영상 전체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는 140k byte이기 때문에, 우선순위에 따라 제1 및 제2 서브 저작권 정보까지 은닉 가능하고, 제3 서브 저작권 정보부터 은닉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330)는 은닉 가능한 서브 저작권 정보로 제1 및 제2 서브 저작권 정보를 특정한다.
이어서, 제어부(330)는 S170 단계에서 특정된 서브 저작권 정보를 암호화한다. 이러한 암호화는 하나의 비밀키(Secret Key)를 이용하여 암호화 및 복호화가 가능한 대칭키 암호화 방식, 공개키(Public Key) 및 개인키(Private Key) 키 쌍을 이용하여 암호화 및 복호화가 가능한 비대칭키 암호화 방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30)는 암호화키, 즉, 비밀키 혹은 공개키와 개인키 키 쌍을 생성하고, 생성된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특정된 서브 저작권 정보를 암호화한다. 이때, 특정된 서브 저작권 정보가 복수개인 경우, 각각에 대해 암호화키를 생성하고, 서브 저작권 정보 각각을 암호화할 수 있다.
암호화가 완료되면, 제어부(330)는 S180 단계에서 스태가노그라피 기법을 이용하여 각 서브 저작권 정보를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의 비율에 따라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에 분산하여 은닉한다. 이에 따라, 스테고 영상(stego-imgae)이 생성된다. 예컨대, 도 7에 보인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서브 영상 각각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가 20k byte, 20k byte, 40k byte, 60k byte이다. 따라서 복수의 서브 영상(제1 내지 제4 서브 영상)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의 비율은 1:1:2:3이다. 또한, 제1 서브 저작권 정보의 데이터 크기는 70k byte이다. 따라서 제어부(330)는 제1 서브 저작권 정보를 10k byte, 10k byte, 20k byte 및 30k byte의 크기로 분할하여 제1 내지 제4 서브 영상에 은닉한다. 그리고 제2 서브 저작권 정보의 데이터 크기는 35k byte이다. 따라서 제어부(330)는 제1 서브 저작권 정보를 은닉한 후, 제2 서브 저작권 정보를 5k byte, 5k byte, 10k byte 및 15k byte로 분할하여 제1 내지 제4 서브 영상에 분산하여 은닉한다. 여기서, 제어부(330)는 제1 서브 저작권 정보와 달리 제2 서브 저작권 정보를 비트의 순서를 변경한 후, 분산 은닉할 수 있다. 즉, 제어부(330)는 서브 저작권 정보를 인터리빙(interleaving)한 후, 은닉할 수 있다.
스테고 영상이 완성되면, 저작권 정보의 확인이 필요할 때, 스테고 영상으로부터 저작권 정보를 복원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저작권 정보를 스테고 영상으로부터 복원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스테고 영상에 은닉된 저작권 정보를 복원하기 위한 영상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스테고 영상에 은닉된 저작권 정보를 복원하기 위한 영상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8 및 도 9의 영상 처리 장치(300)는 도 6 및 도 7의 영상 처리 장치(300)와 같은 장치이거나, 다른 장치가 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330)는 S210 단계에서 스테고 영상을 입력 받을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30)는 S220 단계에서 앞서 S140 단계에서 저작권 정보를 은닉하기 위해 복수의 서브 영상을 특정한 것과 사용된 동일한 구분 규칙에 따라 스테고 영상으로부터 복수의 서브 영상을 특정한다. 예컨대, 제어부(330)는 구분 규칙에 따라 스테고 영상으로부터 복수의 서브 영상으로 제1 내지 제4 서브 영상을 특정할 수 있으며, 이는 앞서 S140 단계에서 저작권 정보를 은닉하기 위해 특정한 복수의 서브 영상과 서브 저작권 정보가 은닉된 것을 제외하면 동일하다.
그런 다음, 제어부(330)는 S230 단계에서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를 산출하고, 이로부터 복수의 서브 영상 전체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 및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의 비율을 산출한다. 제어부(330)는 앞서 S140 단계에서 저작권 정보를 은닉하기 위해 특정한 복수의 서브 영상을 특정하였기 때문에, S230 단계에서 산출되는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 복수의 서브 영상 전체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 및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는 앞서 S150 단계에서 산출된 것과 동일하다. 즉, 제어부(330)는 스테고 영상으로부터 특정된 제1 내지 제4 서브 영상 각각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 20k byte, 20k byte, 40k byte, 60k byte를 산출하고, 이로부터, 복수의 서브 영상 전체, 즉, 제1 내지 제4 서브 영상 전체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 140k byte를 산출하며, 복수의 서브 영상(제1 내지 제4 서브 영상)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의 비율 1:1:2:3을 산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어부(330)는 S240 단계에서 복수의 서브 영상 전체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와 서브 저작권 정보의 중요도에 따른 우선순위를 고려한 데이터 크기를 비교하여 은닉된 서브 저작권 정보를 특정한다. S140 단계와 동일한 서브 영상을 특정하고, S150 단계와 동일한 크기의 복수의 서브 영상 전체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를 산출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S240 단계에서 제어부(330)는 앞서 S160 단계에서 특정된 은닉 가능한 서브 저작권 정보와 동일한 은닉된 서브 저작권 정보를 특정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영상 전체, 즉, 제1 내지 제4 서브 영상 전체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는 140k byte이고, 복수의 서브 저작권 정보의 우선순위는 제1, 제2, 제3 및 제4 서브 저작권 정보 순이며, 미리 설정된 제1 내지 제4 서브 저작권 정보 각각의 데이터 크기는 70k byte, 35k byte, 100k byte, 20k byte이기 때문에 제어부(330)는 우선순위에 따라 제1 및 제2 서브 저작권 정보만 은닉되었으며, 제3 서브 저작권 정보부터 은닉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그런 다음, 제어부(330)는 S250 단계에서 스태가노그라피 기법을 이용하여 은닉된 서브 저작권 정보의 데이터 크기 및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의 비율에 따라 은닉된 서브 저작권 정보를 추출한다.
예컨대,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의 서브 영상(제1 내지 제4 서브 영상)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의 비율은 1:1:2:3이고, 제1 서브 저작권 정보의 데이터 크기는 70k byte이며, 제2 서브 저작권 정보의 데이터 크기는 35k byte이다. 따라서 제1 내지 제4 서브 영상에 각각 10k byte, 10k byte, 20k byte 및 30k byte 크기의 제1 서브 저작권 정보가 은닉되었고, 제1 내지 제4 서브 영상에 각각 5k byte, 5k byte, 10k byte 및 15k byte 크기의 제2 서브 저작권 정보가 은닉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30)는 제1 내지 제4 서브 영상으로부터 각각 15k byte, 15k byte, 30k byte 및 45k byte 크기의 제1 내지 제 4 데이터를 추출하고, 제1 내지 제4 데이터로부터 각각 10k byte, 10k byte, 20k byte 및 30k byte 크기의 데이터를 추출한 후, 이를 연결하여 제1 서브 저작권 정보를 완성한다. 또한, 제1 내지 제4 데이터로부터 각각 5k byte, 5k byte, 10k byte 및 15k byte 크기의 데이터를 추출한 후, 이를 앞서 인터리빙된 순서의 역순으로 데이터를 연결하여 제2 서브 저작권 정보를 완성한다.
이와 같이 추출된 제1 서브 저작권 정보 및 제2 서브 저작권 정보는 암호화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어부(330)는 S260 단계에서 추출된 서브 저작권 정보를 복호화한다. 즉, 제어부(330)는 제1 서브 저작권 정보 및 제2 서브 저작권 정보를 복호화한다. 이에 따라, 서브 저작권 정보, 즉, 제1 서브 저작권 정보 및 제2 서브 저작권 정보가 복원된다. 여기서, 암호화 방식에 따라 비밀키 혹은 개인키가 사용 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도 6 내지 도 9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태가노그래피 기법에 따라 저작권 정보를 은닉하고, 필요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즉, 도 6 및 도 7의 영상 처리 장치(300)는 스태가노그래피 기법에 따라 저작권 정보를 은닉하고, 도 8 및 도 9의 영상 처리 장치(300)는 스태가노그래피 기법에 따라 저작권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6 및 도 7의 영상 처리 장치(300)와 도 8 및 도 9의 영상 처리 장치(300)는 같은 장치이거나, 다른 장치가 될 수 있고, 도 6 및 도 7의 영상 처리 장치(300)를 은닉 장치라고 하고, 도 8 및 도 9의 영상 처리 장치(300)를 추출 장치라고 한다. 여기서, 추출에 필요한 정보, 예컨대, 스태가노그래피 기법의 종류, 스태가노그래피 기법의 종류에 따른 데이터 은닉 위치 정보, 서브 영상을 특정하기 위한 구분 규칙, 서브 저작권 정보의 중요도에 따른 우선순위, 서브 저작권 정보 각각의 미리 설정된 데이터 크기 및 은닉된 서브 저작권 정보에 대한 암호화키(비밀키 혹은 개인키), 인터리빙이 적용되는 경우, 인터리빙 규칙 등의 정보는 은닉 장치와 추출 장치 상호간에 미리 협상되어 결정되거나, 은닉하는 장치가 필요한 정보를 암호화 기법을 통해 추출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본 영상에 저작권 정보를 은닉한다. 이에 따라, 필요한 경우, 저작권 정보를 추출할 수 있어 저작권 보호에 유리하며, 원본 영상이 위조 혹은 변조된 경우, 저작권 정보를 바르게 추출할 수 없기 때문에 원본 영상의 위조 혹은 변조 여부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구분 규칙을 이용하여 복수의 서브 영상으로 구분하고, 저작권 정보를 분산하여 저장한다. 따라서 악의의 사용자는 구분 규칙, 비율, 서브 저작권 정보의 설정된 데이터 크기 등을 모르는 경우, 저작권 정보를 추출할 수 없기 때문에 흔적 없이, 원본 영상을 위조 혹은 변조 할 수 없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와이어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 서버 20: 블랙박스
300: 영상 처리 장치 310: 입출력부
320: 저장부 330: 제어부

Claims (7)

  1. 정보 보호를 위한 영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원본 영상에 대한 저작권 정보로부터 미리 설정된 데이터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서브 저작권 정보를 생성하고,
    복수의 구분 규칙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원본 영상으로부터 복수의 서브 영상을 특정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를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로부터 도출되는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전체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에 따라 은닉 가능한 서브 저작권 정보를 특정하며,
    스태가노그라피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된 서브 저작권 정보를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에 분산하여 은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된 서브 저작권 정보를 스태가노그라피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의 비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에 분산하여 은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3. 정보 보호를 위한 영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원본 영상에 적어도 하나의 서브 저작권 정보가 은닉된 스테고 영상으로부터 상기 은닉 시 사용된 구분 규칙에 따라 복수의 서브 영상을 특정하고,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를 산출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로부터 도출되는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전체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 및 복수의 서브 저작권 정보의 미리 설정된 데이터 크기를 비교하여 은닉된 서브 저작권 정보를 특정하고,
    상기 은닉 시 사용된 스태가노그라피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으로부터 특정된 서브 저작권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은닉 시 사용된 스태가노그라피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으로부터 상기 특정된 서브 저작권 정보의 데이터 크기 및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의 비율에 따라 상기 특정된 서브 저작권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보호를 위한 영상 처리 장치.
  5. 정보 보호를 위한 영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원본 영상으로부터 복수의 구분 규칙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복수의 서브 영상을 특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전체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 및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의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전체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에 따라 은닉 가능한 서브 저작권 정보를 특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전체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 및 복수의 서브 저작권 정보의 미리 설정된 데이터 크기를 비교하여 은닉 가능한 서브 저작권 정보를 특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된 서브 저작권 정보를 스태가노그라피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의 비율에 따라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에 분산하여 은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보호를 위한 영상 처리 방법.
  6. 정보 보호를 위한 영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원본 영상에 적어도 하나의 서브 저작권 정보가 은닉된 스테고 영상으로부터 상기 은닉 시 사용된 구분 규칙에 따라 복수의 서브 영상을 특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 복수의 서브 영상 전체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 및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의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전체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 및 복수의 서브 저작권 정보의 미리 설정된 데이터 크기를 비교하여 은닉된 서브 저작권 정보를 특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은닉 시 사용된 스태가노그라피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으로부터 상기 특정된 서브 저작권 정보의 데이터 크기 및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각각의 은닉 가능한 데이터 크기의 비율에 따라 상기 특정된 서브 저작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보호를 위한 영상 처리 방법.
  7. 제5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60011026A 2016-01-28 2016-01-28 정보 보호를 위한 영상 처리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784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026A KR101784711B1 (ko) 2016-01-28 2016-01-28 정보 보호를 위한 영상 처리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026A KR101784711B1 (ko) 2016-01-28 2016-01-28 정보 보호를 위한 영상 처리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319A true KR20170090319A (ko) 2017-08-07
KR101784711B1 KR101784711B1 (ko) 2017-10-17

Family

ID=59654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026A KR101784711B1 (ko) 2016-01-28 2016-01-28 정보 보호를 위한 영상 처리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47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115B1 (ko) * 2017-11-20 2019-05-15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실시간 영상의 정보 보호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137659B1 (ko) * 2020-01-13 2020-07-27 국방과학연구소 영상 스테가노그래피 판별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116B1 (ko) * 2017-11-24 2018-03-15 주식회사 이노벡스 원형 동영상의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115B1 (ko) * 2017-11-20 2019-05-15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실시간 영상의 정보 보호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137659B1 (ko) * 2020-01-13 2020-07-27 국방과학연구소 영상 스테가노그래피 판별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4711B1 (ko) 2017-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57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acting video for compression and identification of releasing party
US1115764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and handling privacy-sensitive image data
JP5269033B2 (ja) 映像のプライバシーマスキング方法及び装置
US10062406B2 (en) Video masking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335308B1 (ko) 워터마크를 이용한 인간 지각가능 데이터 세트의 배포와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EP2832102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ryptographic access control of video
ES2538804T3 (es) Método para convertir en irreconocibles y restaurar contenidos de una imagen
KR101746167B1 (ko)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영상 처리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ppersmith et al. Fragile imperceptible digital watermark with privacy control
WO2017026356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復元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復元方法
KR101784711B1 (ko) 정보 보호를 위한 영상 처리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648188B1 (ko) 개별 객체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영상 처리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90085225A (ko) 객체별 독립암호를 이용한 영상내 개인정보보호 방법
KR101621723B1 (ko) 얼굴 인식 기반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영상 처리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14390316A (zh) 一种图像采集同步加密隐私保护的处理方法和装置
CN111526325A (zh) 利用形态保存加密技术的隐私遮蔽方法及记录介质
KR101746168B1 (ko)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U2020267957A1 (en) An imaging system for superimposing at least two images and a related method
CN103650459A (zh) 一种信息呈现方法及设备
US11463240B2 (en) Methods and image processing devices for encoding and decoding private data
KR101639258B1 (ko) 녹화 영상의 개인정보 보호 처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JP2007150559A (ja) 防犯装置
KR101648190B1 (ko) 환경 변화에 따른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동적 객체 영상 처리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08833921B (zh) 一种编解码方法及装置
KR20120053451A (ko) 차량용 프라이버시 마스킹 장치와 이를 이용한 프라이버시 보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