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115B1 - 실시간 영상의 정보 보호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실시간 영상의 정보 보호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79115B1 KR101979115B1 KR1020170155019A KR20170155019A KR101979115B1 KR 101979115 B1 KR101979115 B1 KR 101979115B1 KR 1020170155019 A KR1020170155019 A KR 1020170155019A KR 20170155019 A KR20170155019 A KR 20170155019A KR 101979115 B1 KR101979115 B1 KR 1019791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ea
- protection
- grid
- image
- lay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38000013528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11176 p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621 AMOLED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27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707 rearrang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7—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encryption
- H04N21/2347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encryption by pre-encrypting
-
- G06K9/00765—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4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video content
- G06V20/49—Segmenting video sequences, i.e. computational techniques such as parsing or cutting the sequence, low-level clustering or determining units such as shots or sce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04N21/2351—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involving encryption of additio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신경망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를 은닉하여 정보를 보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과 같이 은닉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영역과 비보호 영역을 구분하여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보호 영역 중 은닉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은닉 영역의 이미지를 변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120: 입력부 130: 표시부
140: 저장부 150: 제어부
200: 설정부 300: 은닉부
400: 변환부 500: 인공신경망
Claims (11)
- 실시간 영상의 정보 보호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원본 영상에서 정보 보호가 요구되는 보호 영역과 상기 보호 영역 이외의 영역인 비보호 영역을 구분하는 설정부; 및
스테가노그래피 기법에 따라 상기 비보호 영역에 데이터를 은닉하는 은닉부;를 포함하며,
상기 설정부는
상기 원본 영상을 검출 격자를 이용하여 균등 분할하여 복수의 격자 영상으로 구분하고, 상기 검출 격자의 크기를 증가시키면서 상기 복수의 격자 영상 각각을 상기 보호 영역 및 비보호 영역으로 구분하여 검출하되, 검출된 모든 보호 영역이 개별 격자 영역에 포함되면서, 검출된 보호 영역의 수가 최대인 검출 격자를 기준 격자로 설정하고, 상기 기준 격자에 의해 검출된 보호 영역을 최종으로 보호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의 정보 보호를 위한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입력계층, 컨볼루션계층, 풀링계층, 완전연결계층 및 출력계층을 포함하며, 상기 입력계층, 컨볼루션계층, 풀링계층, 완전연결계층 및 출력계층 각각이 가중치가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을 수행하는 인공신경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설정부는 상기 입력계층의 행렬의 크기에 맞춰 상기 원본 영상이 상기 검출 격자에 의해 균등 분할된 복수의 격자 영상 각각의 픽셀값을 상기 입력계층에 입력하고, 상기 입력에 따른 상기 인공신경망의 출력값에 따라 상기 복수의 격자 영상 각각을 상기 보호 영역과 비보호 영역으로 구분하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의 정보 보호를 위한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은닉부는
상기 기준 격자에 의해 검출된 비보호 영역을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기준 격자 단위로 선택하여 은닉 영역을 구성하고, 상기 은닉 영역에 스테가노그래피 기법에 따라 데이터를 은닉하여 은닉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의 정보 보호를 위한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영역 중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보호 영역을 상기 인공신경망의 학습에 이용된 적어도 하나의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보호 영역의 이미지를 변경하는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의 정보 보호를 위한 장치. - 실시간 영상의 정보 보호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정보 보호가 요구되는 보호 영역과 상기 보호 영역 이외의 영역인 비보호 영역이 구분된 원본 영상에 스테가노그래피 기법에 따라 데이터가 은닉된 은닉 영상에서 상기 보호 영역과 비보호 영역을 구분하여 검출하는 설정부;
스테가노그래피 기법에 따라 상기 비보호 영역에 은닉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은닉부; 및
입력계층, 컨볼루션계층, 풀링계층, 완전연결계층 및 출력계층을 포함하며, 상기 입력계층, 컨볼루션계층, 풀링계층, 완전연결계층 및 출력계층 각각이 가중치가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을 수행하는 인공신경망;을 포함하며,
상기 설정부는
상기 은닉 영상을 검출 격자에 의해 균등 분할된 복수의 격자 영상 각각의 픽셀값을 상기 입력계층의 행렬의 크기에 맞춰 상기 입력계층에 입력하고, 상기 입력에 따른 상기 인공신경망의 출력값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영상 각각을 상기 보호 영역과 비보호 영역으로 구분하여 검출하되, 검출된 모든 보호 영역이 개별 격자 영역에 포함되면서, 검출 격자의 크기를 증가시킴에 따라 상기 검출된 보호 영역의 수가 최대인 검출 격자를 기준 격자로 설정하고, 상기 기준 격자에 의해 검출된 보호 영역을 최종으로 상기 은닉 영상의 보호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의 정보 보호를 위한 장치. - 삭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은닉부는
상기 기준 격자에 의해 검출된 비보호 영역을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기준 격자 단위로 선택하여 은닉 영역을 구성하고, 상기 은닉 영역으로부터 스테가노그래피 기법에 따라 은닉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의 정보 보호를 위한 장치. - 보호장치의 실시간 영상의 정보 보호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원본 영상에서 정보 보호가 요구되는 보호 영역과 상기 보호 영역 이외의 영역인 비보호 영역을 구분하여 검출하는 단계; 및
스테가노그래피 기법에 따라 상기 비보호 영역에 데이터를 은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원본 영상을 검출 격자를 이용하여 균등 분할하여 복수의 격자 영상으로 구분하고, 상기 검출 격자의 크기를 증가시키면서 상기 복수의 격자 영상 각각을 상기 보호 영역 및 비보호 영역으로 구분하여 검출하되, 검출된 모든 보호 영역이 개별 격자 영역에 포함되면서, 검출된 보호 영역의 수가 최대인 검출 격자를 기준 격자로 설정하고, 상기 기준 격자에 의해 검출된 보호 영역을 최종으로 보호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의 정보 보호를 위한 방법. - 입력계층, 컨볼루션계층, 풀링계층, 완전연결계층 및 출력계층을 포함하며, 상기 입력계층, 컨볼루션계층, 풀링계층, 완전연결계층 및 출력계층 각각이 가중치가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을 수행하는 인공신경망을 포함하는 보호장치의 실시간 영상의 정보 보호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정보 보호가 요구되는 보호 영역과 상기 보호 영역 이외의 영역인 비보호 영역이 구분된 원본 영상에 스테가노그래피 기법에 따라 데이터가 은닉된 은닉 영상에서 상기 보호 영역과 비보호 영역을 구분하여 검출하는 단계; 및
스테가노그래피 기법에 따라 상기 비보호 영역에 은닉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은닉 영상을 검출 격자에 의해 균등 분할된 복수의 격자 영상 각각의 픽셀값을 상기 입력계층의 행렬의 크기에 맞춰 상기 입력계층에 입력하고, 상기 입력에 따른 상기 인공신경망의 출력값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영상 각각을 상기 보호 영역과 비보호 영역으로 구분하여 검출하되, 검출된 모든 보호 영역이 개별 격자 영역에 포함되면서, 검출 격자의 크기를 증가시킴에 따라 상기 검출된 보호 영역의 수가 최대인 검출 격자를 기준 격자로 설정하고, 상기 기준 격자에 의해 검출된 보호 영역을 최종으로 상기 은닉 영상의 보호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의 정보 보호를 위한 방법. - 제9항 또는 제10항에 따른 사용자장치의 실시간 영상의 정보 보호를 위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5019A KR101979115B1 (ko) | 2017-11-20 | 2017-11-20 | 실시간 영상의 정보 보호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5019A KR101979115B1 (ko) | 2017-11-20 | 2017-11-20 | 실시간 영상의 정보 보호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79115B1 true KR101979115B1 (ko) | 2019-05-15 |
Family
ID=66579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55019A Expired - Fee Related KR101979115B1 (ko) | 2017-11-20 | 2017-11-20 | 실시간 영상의 정보 보호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79115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80155A (ko) * | 2019-12-20 | 2021-06-30 |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 실내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
WO2021137357A1 (ko) * | 2019-12-31 | 2021-07-08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다중 경로 혼합 기반 학습 데이터 획득 장치 및 방법 |
KR20220105024A (ko) * | 2021-01-19 | 2022-07-26 | 주식회사 에이아이웨어 | 컨벌루셔널 신경망 연산 방법 |
US11645406B2 (en) | 2020-07-16 | 2023-05-09 | Humanscape Inc. | System for verifying data access and method thereof |
US11836274B2 (en) | 2020-07-16 | 2023-12-05 | Humanscape Inc. | System for embedding digital verification fingerprint and method thereof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98077A (ko) | 2010-02-26 | 2011-09-01 |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비트플레인의 블록패턴 매칭을 이용한 비밀정보 삽입장치 및 그 방법 |
KR101746167B1 (ko) * | 2016-01-28 | 2017-06-13 |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영상 처리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KR20170090319A (ko) * | 2016-01-28 | 2017-08-07 |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 정보 보호를 위한 영상 처리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KR20170101723A (ko) * | 2016-02-29 | 2017-09-06 |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 항공 영상 분류 장치 및 그 방법 |
-
2017
- 2017-11-20 KR KR1020170155019A patent/KR101979115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98077A (ko) | 2010-02-26 | 2011-09-01 |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비트플레인의 블록패턴 매칭을 이용한 비밀정보 삽입장치 및 그 방법 |
KR101746167B1 (ko) * | 2016-01-28 | 2017-06-13 |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영상 처리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KR20170090319A (ko) * | 2016-01-28 | 2017-08-07 |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 정보 보호를 위한 영상 처리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KR20170101723A (ko) * | 2016-02-29 | 2017-09-06 |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 항공 영상 분류 장치 및 그 방법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80155A (ko) * | 2019-12-20 | 2021-06-30 |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 실내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
KR102327395B1 (ko) * | 2019-12-20 | 2021-11-17 |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 실내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
WO2021137357A1 (ko) * | 2019-12-31 | 2021-07-08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다중 경로 혼합 기반 학습 데이터 획득 장치 및 방법 |
KR20210085702A (ko) * | 2019-12-31 | 2021-07-08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다중 경로 혼합 기반 학습 데이터 획득 장치 및 방법 |
KR102420895B1 (ko) | 2019-12-31 | 2022-07-13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다중 경로 혼합 기반 학습 데이터 획득 장치 및 방법 |
US11645406B2 (en) | 2020-07-16 | 2023-05-09 | Humanscape Inc. | System for verifying data access and method thereof |
US11836274B2 (en) | 2020-07-16 | 2023-12-05 | Humanscape Inc. | System for embedding digital verification fingerprint and method thereof |
KR20220105024A (ko) * | 2021-01-19 | 2022-07-26 | 주식회사 에이아이웨어 | 컨벌루셔널 신경망 연산 방법 |
KR102466156B1 (ko) * | 2021-01-19 | 2022-11-14 | 주식회사 에이아이웨어 | 컨벌루셔널 신경망 연산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79115B1 (ko) | 실시간 영상의 정보 보호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
Zhang et al. | Protecting intellectual property of deep neural networks with watermarking | |
CN113780123B (zh) | 一种对抗样本生成方法、系统、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 |
JP6359538B2 (ja) | マルチモードフィードバックでイメージを認識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 |
KR101986912B1 (ko) |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데이터가 은닉된 영상을 탐지 및 추출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
Jagadeesh et al. | Robust digital image watermarking based on fuzzy inference system and back propagation neural networks using DCT | |
CN110555527A (zh) | 延时摄影视频的生成方法及设备 | |
Chang | [Retracted] Neural Reversible Steganography with Long Short‐Term Memory | |
EP3834107B1 (en) | Method for training and testing data embedding network to generate marked data by integrating original data with mark data, and training device and testing device using the same | |
KR20220058143A (ko) | 영상 복원 방법 및 장치 | |
KR20190098487A (ko) | 워터마킹 공격을 식별하는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워터마킹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
CN108229682A (zh) | 一种基于反向传播攻击的图像检测对抗方法 | |
US20210012003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 |
Kumar et al. | Studies on Steganography Images and Videos Using Deep Learning Techniques | |
CN110084142B (zh) | 一种用于人脸识别的年龄隐私保护方法及系统 | |
KR102028824B1 (ko) | 객체를 식별하는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워터마킹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
Krauß et al. | {ClearStamp}: A {Human-Visible} and Robust {Model-Ownership} Proof based on Transposed Model Training | |
CN111144492A (zh) | 面向移动端虚拟现实与增强现实的场景图谱生成方法 | |
Xue et al. | Removing watermarks for image processing networks via referenced subspace attention | |
Xu et al. | Inconspicuous data augmentation based backdoor attack on deep neural networks | |
CN114090968A (zh) | 用于数据集的所有权验证方法和装置 | |
CN113762053A (zh) | 一种图像处理方法、装置、计算机及可读存储介质 | |
CN114493971A (zh) | 媒体数据转换模型训练、数字水印嵌入方法和装置 | |
CN114254275A (zh) | 一种基于对抗样本指纹的黑盒深度学习模型版权保护方法 | |
KR102045140B1 (ko) |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워터마킹 공격 기법을 도출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0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5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