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0132A - 열교환기 튜브 단부의 고정 구조 및 이를 적용한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튜브 단부의 고정 구조 및 이를 적용한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0132A
KR20170090132A KR1020160010624A KR20160010624A KR20170090132A KR 20170090132 A KR20170090132 A KR 20170090132A KR 1020160010624 A KR1020160010624 A KR 1020160010624A KR 20160010624 A KR20160010624 A KR 20160010624A KR 20170090132 A KR20170090132 A KR 20170090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diameter portion
diameter
fastening hole
b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0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9912B1 (ko
Inventor
문진환
임종길
Original Assignee
문진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진환 filed Critical 문진환
Priority to KR1020160010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912B1/ko
Publication of KR20170090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0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6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 F28F9/262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for radiators
    • F28F9/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for radiators by screw-typ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1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e.g. concentr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1/00Arrangements for sealing leaky tubes and conduits
    • F28F11/02Arrangements for sealing leaky tubes and conduits using obturating elements, e.g. washers, inserted and opera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2Arrangements for directing heat-exchange media into successive compartments, e.g. arrangements of guide plates
    • F28F2009/222Particular guide plates, baffles or deflectors, e.g. having particular orientation relative to an elongated casing or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20/00Closure means, e.g. end caps on header boxes or plugs on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30/00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20Fastening; Joining with thread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개시되는 열교환기 튜브 단부의 고정 구조는, 열교환 매체가 유동하는 튜브;와, 상기 튜브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의 제1 직경부와, 상기 제1 직경부에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제1 직경부보다 내경이 더 큰 제2 직경부와, 상기 제2 직경부에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제2 직경부의 내경보다 산지름이 더 큰 암나사부가 동심을 이루도록 형성된 체결공이 구비된 튜브 시트;와, 상기 튜브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의 삽입공 및 상기 체결공의 제2 직경부와 암나사부에 상보하는 형상의 외경부와 수나사부가 동심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의 말단에 축경부가 형성된 부싱; 및 상기 체결공의 상기 제1 직경부와 제2 직경부 사이에 형성된 단턱부에 배치되는 밀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 시트의 체결공에 삽입된 상기 튜브를 상기 부싱이 상기 체결공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튜브 시트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교환기 튜브 단부의 고정 구조 및 이를 적용한 열교환기{Installation structure for tube ends of heat exchanger and heat exchang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열교환기 튜브 단부의 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용접되는 부분이 전혀 없이 나사결합되는 튜브 시트와 부싱을 통해 튜브를 고정하는 한편 밀봉 부재로 기밀을 유지하는 구조를 가져 손상된 일부 튜브만을 선택적으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고, 튜브와 튜브 시트가 금속이 아닌 이종 재질로 만들어지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열교환기 튜브 단부의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열교환기(heat exchaner)는 두 유체 간에 열을 주고 받도록 하는 장치를 말한다. 즉, 고온유체와 저온유체의 두 개 유체 사이에서 열의 이동이 일어나도록 하는 장치를 말하며, 화학공업이나 일반 빌딩의 난방, 급탕(給湯)용 등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압력용기를 말한다. 보통은 열의 회수를 목적으로 하는 것을 열교환기라고 하지만, 넓은 의미로는 가열기, 냉각기, 응축기 등도 포함된다.
열교환기는 열의 전달방법, 사용목적, 구조에 의해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우선 열의 전달방법에 따라는 표면식 열교환기(surface heat exchanger), 축열식 열교환기(regenerator), 액체연결 간접식 열교환기(liquid-coupled indirect-type exchanger), 직접 접촉식 열교환기(direct-contact heat exchanger)가 있다.
그리고, 사용목적에 의해서는 가열기(heater), 예열기(preheater), 과열기(superheater), 증발기(evaporator), 재가열기(reheater), 냉각기(cooler), 응축기(condenser)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구조에 따라 분류한다면 코일식 열교환기(submerged pipe coil exchanger), 개방형 열교환기(open type exchanger), 이중관식 열교환기(double pipe exchanger), 원통다관식 열교환기(shell and tube exchanger), 스파이럴 열교환기(spiral tube type exchanger), 공냉식 열교환기(air cooling type exchanger), 자켓형 열교환기(jacketed type exchanger), 판형 열교환기(plate type exchanger), 나선형 열교환기(volute type exchanger), 블록형 열교환기(block type exchanger), 콤팩트 열교환기(compact exchanger)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원통다관식 열교환기(shell and tube exchanger)는 원통형의 통(외피관) 내부에 다수의 튜브를 평행으로 배치시켜 수용하는 열교환기로서 화학장치에 있어서는 거의 대부분의 열교환기가 이런 방식을 따르고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열교환기 형식이 이러한 원통다관식 열교환기인데, 이는 넓은 범위의 열전달량을 얻을 수 있어 적용범위가 매우 넓고 신뢰성과 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원통다관식 열교환기의 일례로는 '특허문헌 1'의 한국공개특허 제2015-0126677호를 소개할 수 있다.
그런데, 외피관 내부에 평행으로 배치된 다수의 튜브가 제자리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튜브를 잡아주는 고정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외피관 내부에서는 유체의 유동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게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배플에 형성된 구멍에 튜브를 삽입하여 제자리를 잡고, 외피관의 양단에는 튜브를 고정시키기 위한 튜브 시트를 마련한다.
종래에는 튜브 시트에 형성된 체결공에 튜브를 끼워넣고 용접을 하여 밀봉 고정시키는 방식이 사용되었는데(특허문헌 1 참조), 용접 방식은 고정상태와 기밀성을 유지하는데 상당히 좋지만 몇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열교환기를 흐르는 유체가 부식성이 있는 화학물질이거나 유체 중에 일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시간이 흐름에 따라 튜브가 부식되어 못쓰게 된다. 이럴 경우 못쓰게 된 튜브를 교체해야 하는데 모든 튜브가 튜브 시트에 용접으로 붙어있기 때문에 전체 튜브를 신품으로 바꿔야한다. 이는 유지 비용의 상승으로 이어진다.
또한, 강도가 높을 필요가 없는 튜브 시트를 부식에 강한 합성수지 재질, 예를 들면 테프론(불소수지)로 제작한다면 열교환기의 유지·관리에 도움이 될 것이지만, 금속재(스틸이나 스테인리스스틸 등)의 튜브를 합성수지 재질의 튜브 시트에 용접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적용시킬 수가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2015-0126677호 (2015.11.12 공개)
본 발명은 원통다관식 열교환기의 튜브 양단을 용접 방식이 아닌 교체 가능한 고정 방식으로 만듦으로써 수선이 필요한 튜브만을 선별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튜브와 튜브 시트가 서로 이종 재질로 제작될 수 있도록 한 열교환기 튜브 단부의 고정 구조 및 이를 적용한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튜브 단부의 고정 구조는, 열교환 매체가 유동하는 튜브;와, 상기 튜브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의 제1 직경부와, 상기 제1 직경부에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제1 직경부보다 내경이 더 큰 제2 직경부와, 상기 제2 직경부에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제2 직경부의 내경보다 산지름이 더 큰 암나사부가 동심을 이루도록 형성된 체결공이 구비된 튜브 시트;와, 상기 튜브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의 삽입공 및 상기 체결공의 제2 직경부와 암나사부에 상보하는 형상의 외경부와 수나사부가 동심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의 말단에 축경부가 형성된 부싱; 및 상기 체결공의 상기 제1 직경부와 제2 직경부 사이에 형성된 단턱부에 배치되는 밀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 시트의 체결공에 삽입된 상기 튜브를 상기 부싱이 상기 체결공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튜브 시트에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부싱의 축경부 외면에는 공구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봉 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링(O-ring)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오링이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될 경우 상기 오링 사이에 가이드 링이 개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는, 제1 열교환 매체가 유동하는 외피관;과, 상기 외피관 안에 배치되고, 제2 열교환 매체가 유동하는 튜브;와, 상기 튜브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의 제1 직경부와, 상기 제1 직경부에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제1 직경부보다 내경이 더 큰 제2 직경부와, 상기 제2 직경부에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제2 직경부의 내경보다 산지름이 더 큰 암나사부가 동심을 이루도록 형성된 체결공이 복수 개로 구비된 튜브 시트;와, 상기 튜브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의 삽입공 및 상기 체결공의 제2 직경부와 암나사부에 상보하는 형상의 외경부와 수나사부가 동심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의 말단에 축경부가 형성된 부싱; 및 상기 체결공의 상기 제1 직경부와 제2 직경부 사이에 형성된 단턱부에 배치되는 밀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관의 양단에 고정되는 상기 튜브 시트의 체결공에 삽입된 상기 튜브를 상기 부싱이 상기 체결공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튜브 시트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튜브를 고정하며, 상기 외피관 안을 유동하는 상기 제1 열교환 매체의 흐름을 교번으로 전환시키는 복수 개의 배플이 상기 외피관 내벽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배플은 원판의 일부분이 절단된 판체이고, 상기 절단된 부분이 교번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튜브 시트에 구비된 복수 개의 체결공 중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부싱의 외형에 대응하는 플러그가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피관의 양단에는 상기 튜브 시트를 감싸는 헤더가 각각 연결된다.
상기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열교환기 튜브 단부의 고정 구조는 용접되는 부분이 전혀 없이 나사결합되는 튜브 시트와 부싱을 통해 튜브를 고정하는 한편 밀봉 부재로 기밀을 유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손상된 일부 튜브만을 선택적으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열교환기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그 비용도 절감된다.
또한, 용접 작업이 필요 없기 때문에 튜브와 튜브 시트가 금속이 아닌 이종 재질로 만들어지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아울러 열교환기의 성능에 큰 지장을 주지 않을 정도로 일부 튜브만이 손상되었거나 또는 튜브를 교체하는 작업을 준비하는 동안에도 임시로 열교환기를 운전해야 할 경우에는 문제가 되는 튜브를 플러그로 막아 계속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열교환기를 상황에 맞춰 융통성 있게 운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전체적인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절개선을 따라 열교환기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 부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2의 "C" 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어 있으며, 또한 일부 도면에서는 열교환기의 구조가 명확히 파악되도록 일부 구성이 생략되어 도시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10)의 전체적인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인데, 튜브(200)를 수용하고 있으며 제1 열교환 매체(M1)가 유동하는 외피관(100)과, 외피관(100)의 양단에 노출된 튜브 시트(300)와, 튜브 시트(300)를 감싸도록 외피관(100)의 양단에 연결되는 헤더(700)가 나타나 있다. 튜브(200) 안을 흐르는 제2 열교환 매체(M2)는 한편의 헤더(700) 안쪽의 공간(플레넘 챔버)을 통해 튜브(200)로 공급되어 반대편 헤더(700)를 통해 배출된다. 외피관(100)의 양단과 헤더(700)에는 각각 플랜지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플랜지를 볼트(미도시)로 연결하여 결합하게 된다.
도 2는 도 1의 "A-A" 절개선을 따라 열교환기(10)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인데,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피관(100)의 안에는 복수의 튜브(200)가 가지런하게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외피관(100)을 흐르는 제1 열교환 매체(M1)는 튜브(200)를 경계로 하여 그 안에 흐르는 제2 열교환 매체(M2)와 열을 교환하게 되며, 제1 열교환 매체(M1)의 유동이 가능한 균일하게 형성되어 열 교환이 전체 영역에 걸쳐 골고루 일어날 수 있게 복수의 튜브(200)가 나란히 배치된다.
튜브(200)를 외피관(100) 안에 정렬·배치시키는 구조는 외피관(100) 안에서의 지지와 외피관(100) 양단에서의 고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각각의 구조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B" 부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로서, 이는 본 발명에서의 외피관(100) 양단에서의 고정 구조를 보여준다.
튜브(200)를 외피관(100) 양단에서 고정하기 위해 외피관(10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외형(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원형)을 가진 튜브 시트(300)가 구비된다. 튜브 시트(300)에는 튜브(200)를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310)이 복수 개 구비되어 있으며, 이 복수의 체결공(310)이 정렬되는 형태로 튜브(200)의 배치형태가 설계된다. 복수의 체결공(3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균일한 열 교환을 위해 균일하게 형성되며, 예를 동심원 구조나 격자 구조를 이루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는 복수의 체결공(310)이 격자 형태로 배열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4는 체결공(310)의 구조를 좀더 명확히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며, 이러한 구조는 모든 체결공(310)이 동일하다.
체결공(310)은 2단의 단차진 구조를 가지는데, 튜브(20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의 제1 직경부(312)와, 제1 직경부(312)보다 더 큰 내경을 갖도록 연이어 형성되는 제2 직경부(314)와, 제2 직경부(314)에 연이어 형성되면서 제2 직경부(314)의 내경보다 산지름이 더 큰 암나사부(318)가 동심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체결공(310)의 외측으로는 튜브(200)를 고정하기 위한 부싱(400)이 결합되는데, 이 부싱(400)은 튜브(20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의 삽입공(410)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형은 체결공(310)의 제2 직경부(314)와 암나사부(318)에 각각 상보하는 형상의 외경부(416)와 수나사부(418)가 동심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체결공(310)의 제2 직경부(314)와 암나사부(318)에 부싱(400)의 외경부(416)와 수나사부(418)가 딱 들어맞는 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또한, 삽입공(410)의 말단에는 축경부(412)가 형성되어 있는데, 도시된 실시형태와 같이 90°로 꺾인 단턱을 이루도록 하여 튜브(200)의 단부에 정확히 밀착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조로 튜브 시트(300)의 체결공(310)과 부싱(400)을 만들고, 튜브(200)의 전체 길이를 외피관(100)의 길이와 튜브 시트(300)의 두께를 합한 정도로 하면, 외피관(100) 양단에 결합되는 튜브 시트(300)의 체결공(310) 안에 삽입된 튜브(200)는 양측 부싱(400)의 축경부(412)에 의해 압력을 받아 제자리에 고정된다. 또한, 체결공(310)의 제1 직경부(312)와 부싱(400)의 삽입공(410)의 내경은 튜브(200)의 외경에 대응하는 사이즈이기 때문에 튜브 시트(300) 상에서 유격이 거의 없이 흔들리지도 않게 된다.
여기서, 튜브 시트(300)의 체결공(310)을 경계로 하여 제1 열교환 매체(M1)와 제2 열교환 매체(M2)가 섞이거나 누출되지 않도록 기밀을 확실히 할 필요가 있는데, 체결공(310)과 부싱(400) 사이의 나사결합만으로는 충분치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체결공(310)의 제1 직경부(312)와 제2 직경부(314) 사이(경계)에 형성된 단턱부(316)에 밀봉 부재(500)를 배치하여 기밀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밀봉 부재(500)로서 공지의 오링(O-ring)을 적용하고 있다. 여기서 오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는데, 오링을 두 개 이상 복수 개로 넣는다면 오링 사이에 가이드 링(510)을 개재시키는 것이 좋다. 이는 탄력이 있는 오링끼리 직접 접촉하는 것은 기밀에 불리하기 때문에, 그 사이에 탄성이 낮은 가이드 링(510)을 끼워넣음으로써 오링이 기밀작용을 할 수 있는 접촉부위의 면적 내지는 개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이 밖에 설명되지 않은 구성으로는 부싱(400)의 축경부(412) 외면에 드라이버 홈과 같은 공구홈(414)이 형성된 것이다. 이 공구홈(414)은 부싱(400)을 충분한 힘으로 조여 튜브(200)에 적당한 압력을 가하면서 체결공(310)에 확실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4에 가장 하단의 체결공(310)에 도시된 플러그(450)의 구성도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450)는 부싱(400)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지만, 부싱(400)에는 있는 삽입공(410)은 없이 완전히 막혀 있는 일종의 마개이다. 이는 열교환기(10)의 성능에 큰 지장을 주지 않을 정도로 일부 튜브(200)만이 손상되었거나 또는 튜브(200)를 교체하는 작업을 준비하는 동안에도 임시로 열교환기(10)를 운전해야 할 경우에는 문제가 되는 튜브(200)를 플러그(450)로 막아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플러그(450)에도 공구홈(41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으며, 해당 튜브(200)가 제거된 경우를 위해 체결공(310)의 제1 직경부(312)의 적어도 일부까지 막을 수 있도록 돌출된 단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5는 도 2의 "C" 부분은 확대 도시한 사시도로서, 튜브(200)를 외피관(100) 안에서의 지지하는 구조를 보여준다.
외피관(100)의 안에는 제1 열교환 매체(M1)의 흐름을 교번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배플(600)이 구비되는데, 이 배플(600)에 형성된 구멍에 튜브(200)를 삽입함으로써 기다란 튜브(200)가 처짐이 없이 나란히 배열된다. 물론 배플(600)에 형성된 구멍의 배열은 튜브 시트(300)에 형성된 체결공(310)의 배열에 대응된다.
여기서, 배플(600)은 튜브(200)를 지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은 물론 외피관(100) 안을 흐르는 제1 열교환 매체(M1)의 흐름을 교번으로 전환시켜 제1 열교환 매체(M1)가 튜브(200)와 접촉하는 시간을 늘려 충분한 열 교환이 이루어지게 하는 역할도 한다.
따라서, 배플(600)의 일부는 절개 또는 관통되어 제1 열교환 매체(M1)가 흘러갈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주어야 하는데,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배플(600)이 원판의 일부분이 절단된 판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배플(600)의 절단된 부분을 교번으로 배치(도면에서는 상하 교번)함으로써 제1 열교환 매체(M1)의 흐름을 교번으로 전환시키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열교환기 100: 외피관
200: 튜브 300: 튜브 시트
310: 체결공 312: 제1 직경부
314: 제2 직경부 316: 단턱부
318: 암나사부 400: 부싱
410: 삽입공 412: 축경부
414: 공구홈 416: 외경부
418: 수나사부 450: 플러그
500: 밀봉 부재 510: 가이드 링
600: 배플 700: 헤더
M1: 제1 열교환 매체 M2: 제2 열교환 매체

Claims (9)

  1. 열교환 매체가 유동하는 튜브;
    상기 튜브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의 제1 직경부와, 상기 제1 직경부에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제1 직경부보다 내경이 더 큰 제2 직경부와, 상기 제2 직경부에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제2 직경부의 내경보다 산지름이 더 큰 암나사부가 동심을 이루도록 형성된 체결공이 구비된 튜브 시트;
    상기 튜브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의 삽입공 및 상기 체결공의 제2 직경부와 암나사부에 상보하는 형상의 외경부와 수나사부가 동심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의 말단에 축경부가 형성된 부싱; 및
    상기 체결공의 상기 제1 직경부와 제2 직경부 사이에 형성된 단턱부에 배치되는 밀봉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 시트의 체결공에 삽입된 상기 튜브를 상기 부싱이 상기 체결공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튜브 시트에 고정하는 열교환기 튜브 단부의 고정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의 축경부 외면에 공구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튜브 단부의 고정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링(O-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튜브 단부의 고정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링은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고, 상기 오링 사이에 가이드 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튜브 단부의 고정 구조.
  5. 제1 열교환 매체가 유동하는 외피관;
    상기 외피관 안에 배치되고, 제2 열교환 매체가 유동하는 튜브;
    상기 튜브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의 제1 직경부와, 상기 제1 직경부에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제1 직경부보다 내경이 더 큰 제2 직경부와, 상기 제2 직경부에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제2 직경부의 내경보다 산지름이 더 큰 암나사부가 동심을 이루도록 형성된 체결공이 복수 개로 구비된 튜브 시트;
    상기 튜브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의 삽입공 및 상기 체결공의 제2 직경부와 암나사부에 상보하는 형상의 외경부와 수나사부가 동심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의 말단에 축경부가 형성된 부싱; 및
    상기 체결공의 상기 제1 직경부와 제2 직경부 사이에 형성된 단턱부에 배치되는 밀봉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관의 양단에 고정되는 상기 튜브 시트의 체결공에 삽입된 상기 튜브를 상기 부싱이 상기 체결공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튜브 시트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를 고정하며, 상기 외피관 안을 유동하는 상기 제1 열교환 매체의 흐름을 교번으로 전환시키는 복수 개의 배플이 상기 외피관 내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원판의 일부분이 절단된 판체이고, 상기 절단된 부분이 교번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시트에 구비된 복수 개의 체결공 중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부싱의 외형에 대응하는 플러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관의 양단에 상기 튜브 시트를 감싸는 헤더가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KR1020160010624A 2016-01-28 2016-01-28 열교환기 튜브 단부의 고정 구조 및 이를 적용한 열교환기 KR101789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624A KR101789912B1 (ko) 2016-01-28 2016-01-28 열교환기 튜브 단부의 고정 구조 및 이를 적용한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624A KR101789912B1 (ko) 2016-01-28 2016-01-28 열교환기 튜브 단부의 고정 구조 및 이를 적용한 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132A true KR20170090132A (ko) 2017-08-07
KR101789912B1 KR101789912B1 (ko) 2017-10-25

Family

ID=59653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0624A KR101789912B1 (ko) 2016-01-28 2016-01-28 열교환기 튜브 단부의 고정 구조 및 이를 적용한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991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31622A (zh) * 2018-12-17 2019-04-16 重庆华森制药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双效浓回机组冷却器的水冷循环结构
CN110260687A (zh) * 2019-06-28 2019-09-20 河南豫氢装备有限公司 一种片状串联的管壳式换热器
CN111678363A (zh) * 2020-07-10 2020-09-18 贵州兰鑫石墨机电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单板双封结构的双管板碳化硅换热器
KR102317617B1 (ko) * 2021-04-12 2021-10-26 주식회사 태진중공업 압축수소 열교환기
CN110260687B (zh) * 2019-06-28 2024-06-07 河南豫氢装备有限公司 一种片状串联的管壳式换热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35621B2 (ja) 2014-03-28 2018-12-12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接続具
KR101550176B1 (ko) 2015-04-03 2015-09-03 세원셀론텍(주) 쉘앤튜브 열교환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31622A (zh) * 2018-12-17 2019-04-16 重庆华森制药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双效浓回机组冷却器的水冷循环结构
CN110260687A (zh) * 2019-06-28 2019-09-20 河南豫氢装备有限公司 一种片状串联的管壳式换热器
CN110260687B (zh) * 2019-06-28 2024-06-07 河南豫氢装备有限公司 一种片状串联的管壳式换热器
CN111678363A (zh) * 2020-07-10 2020-09-18 贵州兰鑫石墨机电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单板双封结构的双管板碳化硅换热器
KR102317617B1 (ko) * 2021-04-12 2021-10-26 주식회사 태진중공업 압축수소 열교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9912B1 (ko) 201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6086B1 (en) Multi-pass tube side heat exchanger with removable bundle
US3489209A (en) Heat exchanger having plastic and metal components
KR101789912B1 (ko) 열교환기 튜브 단부의 고정 구조 및 이를 적용한 열교환기
US20070170660A1 (en) Heat exchanger seal
US20150013949A1 (en) Heat-exchange apparatus for insertion into a storage tank, and mounting components therefor
US8967234B2 (en) Tube plug for a heat exchanger tube
LU102100B1 (en) Portable heat exchange device having arrayed planar elastic vortex tubes
US9671181B2 (en) Heat exchanger with improved tank and tube construction
US11215400B2 (en) Heat exchanger
EP1900931A1 (en) Thermal expansion feature for an exhaust gas cooler
KR20110128709A (ko) 열교환기의 튜브와 튜브 시트의 조립 방법
RU2008605C1 (ru) Теплообменник
CN210441708U (zh) 换热器
KR102150309B1 (ko) 튜브(열교환관) 피팅장치가 구비된 핀리스 타입 다관식 이중관 열 교환기
CN106225524A (zh) 单管板换热器
CN209978698U (zh) 管板组件及包括该管板组件的热交换器
KR102088374B1 (ko) 냉각기용 열교환기
CN208920922U (zh) 一种碳化硅换热器
KR20140034558A (ko) 이중관 열교환기 패킹 어셈블리
JP2012154540A (ja) 熱交換器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コネクタ
CN211291119U (zh) 一种固定管板式通用冷却器
US11976887B1 (en) Heat exchange arrangement for use with a vessel
KR102475164B1 (ko) 전기가열 장치를 구비한 핀리스 타입 다관식이중관 열교환기
EP0067699A1 (en) Heat exchangers
US9562724B2 (en) Heat-exchange apparatus for insertion into a storage tank, and mounting components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