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0120A - 보존 성능이 향상된 실리콘 덮개의 음식물 보존 용기 - Google Patents

보존 성능이 향상된 실리콘 덮개의 음식물 보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0120A
KR20170090120A KR1020160010601A KR20160010601A KR20170090120A KR 20170090120 A KR20170090120 A KR 20170090120A KR 1020160010601 A KR1020160010601 A KR 1020160010601A KR 20160010601 A KR20160010601 A KR 20160010601A KR 20170090120 A KR20170090120 A KR 20170090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food
cover
stretchable
receiv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0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2283B1 (ko
Inventor
김병일
Original Assignee
(주)웰로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웰로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웰로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010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283B1/ko
Publication of KR20170090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0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1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 B65D43/022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259Materials used
    • B65D2543/00296P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존 성능이 향상된 실리콘 덮개의 음식물 보존 용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신축성을 가진 실리콘 덮개에 의하여 구조적으로 간단하면서 밀폐 성능이 향상된 보존 성능이 향상된 실리콘 덮개의 음식물 보존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보존 성능이 향상된 실리콘 덮개의 음식물 보존 용기는 합성수지 소재의 수용 몸체(11); 수용 몸체(11)의 위쪽 부분에 형성된 밀폐 테두리(12); 및 수용 몸체(11)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신축 실리콘 소재의 신축 본체(21) 및 신축 본체(21)의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면서 밀폐 테두리(12)의 아래쪽 부분을 덮도록 연장되는 신축 테두리(22)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 테두리(22)는 신축 본체(21)와 일체로 만들어지면서 신축 본체(21)의 신축에 의하여 수용 몸체(11)의 둘레 면에 밀착된다.

Description

보존 성능이 향상된 실리콘 덮개의 음식물 보존 용기{A Vessel for Storing Food with a Silicone Cover Having Improved Preservation Property}
본 발명은 보존 성능이 향상된 실리콘 덮개의 음식물 보존 용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신축성을 가진 실리콘 덮개에 의하여 구조적으로 간단하면서 밀폐 성능이 향상된 보존 성능이 향상된 실리콘 덮개의 음식물 보존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 용기는 작은 양으로 분리하는 분리 기능, 이동을 위한 기능 또는 저장 기능을 가질 수 있고, 각각의 용도에 적합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용기 내에 음식이 저장이 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균에 의한 음식의 부패가 발생되므로 밀폐성이 높은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저장 용기의 밀폐는 제조비용을 상승시키면서 용기 전체의 중량 또는 부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음식이 용기 내에 저장이 되는 경우 신선도 또는 맛의 유지가 필요하다. 이동성 저장 용기는 이와 같은 밀폐 기능 또는 맛의 유지 기능을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음식물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용기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1998-028253호 ‘음식용기의 밀폐구조’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뚜껑의 밀폐 구조의 향상과 음식물의 누설을 방지하고 원적외선에 의거 음식물의 신선도와 맛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뚜껑의 내측 저면에 용기가 들어갈 수 있는 직경을 가진 둥근 테를 아래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안쪽 면에 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둥근 테와 나사 결합하는 원형 테 및 다수 개의 미세 공을 뚫은 캡을 둥근 테에 나사 붙임으로 결합하여 그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원적외선 발산 물질을 장입하고 뚜껑의 둥근 테 저면과 캡의 안쪽 둘레 면 사이에 바깥 방향 돌출부가 형성된 고무 패킹이 삽입되는 음식용기의 밀폐 구조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음식물의 저장 용기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211205호 ‘식품 저장용 용기’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식품을 저장하는 용기 및 용기를 커버하는 덮개에 저장된 내용물의 부패방지 또는 내용물에 의한 냄새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부패 방지 팩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상기 선행기술은 내부에 식품을 보관하도록 상향으로 개방된 본체와 본체를 커버할 수 있는 덮개로 이루어진 식품 저장용 용기에 있어서, 옥돌, 숯, 냄새 제거용 세라믹재로 가공되어 이루어진 부패 방지 팩이 덮개의 내측에 일체형으로 부착되어 성형되도록 하고, 상기 본체 내의 공간과 부패 방지 팩이 통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도록 하는 식품 저장용 용기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보존 용기는 간단한 구조로 만들어지면서 보존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구조가 복잡해지면 사용 편의성이 감소되고 이와 동시에 제조비용이 높아지면서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을 가진다. 상기 선행기술 또는 공지된 보존 용기는 보존 성능의 향상을 위하여 추가적인 구성이 만들어져야 한다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1: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1998-028253호(김영종, 1998년08월05일 공개) 음식용기의 밀폐구조 선행기술2: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211205호(김진희, 2001년01월15일 공고) 식품 저장용 용기
본 발명의 목적은 덮개가 신축성을 가진 실리콘 소재로 만들어지는 것에 의하여 항균 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면서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보존 성능이 향상된 실리콘 덮개의 음식물 보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보존 성능이 향상된 실리콘 덮개의 음식물 보존 용기는 합성수지 소재의 수용 몸체; 수용 몸체의 위쪽 부분에 형성된 밀폐 테두리; 및 수용 몸체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신축 실리콘 소재의 신축 본체 및 신축 본체의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면서 밀폐 테두리의 아래쪽 부분을 덮도록 연장되는 신축 테두리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 테두리는 신축 본체와 일체로 만들어지면서 신축 본체의 신축에 의하여 수용 몸체의 둘레 면에 밀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신축 본체는 20 내지 50 ㎛의 두께에서 공기 투과도가 0.1 내지 20(g/㎡·24h)이 되는 합성수지 소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신축 테두리는 신축 본체에 비하여 신율이 작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존 용기는 신축성을 가진 실리콘 소재로 덮개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밀폐 및 보존 기능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존 용기는 실리콘 소재가 가진 공기 투과성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보존 과정에서 음식물의 변질이 방지되도록 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보존 용기는 온도에 변화에 따른 낮은 신축율의 변화로 인하여 온도에 관계없이 내용물이 변질되지 않고 장시간 보존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존 용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존 용기에 적용되는 밀폐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존 용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덮개의 음식물 보존 용기는 합성수지 소재의 수용 몸체(11); 수용 몸체(11)의 위쪽 부분에 형성된 밀폐 테두리(12); 및 수용 몸체(11)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신축 실리콘 소재의 신축 본체(21) 및 신축 본체(21)의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면서 밀폐 테두리(12)의 아래쪽 부분을 덮도록 연장되는 신축 테두리(22)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 테두리(22)는 신축 본체(21)와 일체로 만들어지면서 신축 본체(21)의 신축에 의하여 수용 몸체(11)의 둘레 면에 밀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존 용기는 야채, 과일, 음료, 조리 음식, 생선 또는 고기와 같이 임의의 음식을 담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음식 종류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야외 음식 섭취를 위한 이동 용기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음식의 분리 또는 보관을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존 용기는 용도, 장소 또는 보관되는 음식의 종류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보존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몸체(10)와 몸체(10)의 위쪽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몸체(10)를 밀폐시키는 덮개(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10)는 견고한 합성수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덮개(20)는 신축성을 가지거나 신율이 큰 실리콘 소재, 실리콘 수지 또는 실리콘 고무와 같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수용 몸체(11)는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위쪽 면이 개방된 다각면체 또는 원통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수용 몸체(11)는 일체형으로 만들어지면서 경도가 높은 합성수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폴리아크릴, 폴리스티렌,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덮개(20)에 비하여 충분히 높은 경도를 가진 합성수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수용 몸체(11)의 위쪽에 밀폐 테두리(12)가 형성될 수 있고 밀폐 테두리(12)는 바깥쪽으로 돌출되면서 단면이 사각형이 되는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밀폐 테두리(12)를 사각형 단면으로 만드는 것은 덮개(20)의 안쪽 부분에 접하는 경우 밀폐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밀폐 테두리(12)는 수용 몸체(11)에 비하여 큰 두께로 만들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수용 몸체(11)의 두께의 2 내지 4 배가 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밀폐 테두리(12)의 가장자리는 곡면 처리가 될 수 있지만 전체적인 단면은 사각형이 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곡면 처리가 된 사각형 단면 형상이 될 수 있다. 밀폐 테두리(12)는 수용 몸체(11)와 동일 소재로 일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수용 몸체(11)의 아래쪽에 수용 몸체(11)와 동일 소재에 의하여 일체로 만들어지는 바닥 부분(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존 용기의 몸체(10)는 전체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몸체(10)의 위쪽에 결합되는 덮개(20)는 신율 또는 신축성이 큰 실리콘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ASTM D2240에 따른 쇼어 경도(shore A)가 20 내지 80; ASTM D412에 따른 인장 강도는 1.0 내지 3.0 N/㎟; ASTM D412에 따른 신율이 200 내지 800 %; 그리고 선팽창 계수가 1.0×10-6 내지 1.0×10-4(K-1)이 될 수 있다. 덮개(20)는 몸체(10)에 대하여 큰 신율, 큰 마찰 계수 및 큰 탄성 계수를 가진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덮개(20)는 몸체(10)에 비하여 온도에 따른 신율 변화가 충분히 작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덮개(20)는 신율이 큰 실리콘 수지 또는 실리콘 고무와 같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온도에 따른 신율 변화가 충분히 작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덮개(20)가 이와 같은 소재로 만들어지면서 수용 몸체(11)와 다른 특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밀폐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덮개(20)가 실리콘 소재로 만들어지면 공기 투과도가 높아진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덮개에 공기 투과도가 낮은 합성수지가 제조과정에서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투과도가 20 내지 50 ㎛의 두께에서 공기 투과도가 0.1 내지 20(g/㎡·24h)가 되는 합성수지 소재가 실리콘 소재에 첨가될 수 있다. 합성수지 소재는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염화비닐리덴과 같은 합성수지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공기 투과도가 낮은 합성수지 소재는 덮개(20) 전체 중량의 3 내지 20 wt%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덮개(20)는 판형의 신축 본체(21) 및 신축 본체(21)의 테두리 또는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밀폐 테두리(12)의 아래쪽 부분을 덮도록 연장되는 신축 테두리(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신축 본체(21)와 신축 테두리(22) 사이에 테두리 수용 부분(211)이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 수용 부분(211)은 밀폐 테두리(12)의 수용을 위한 것으로 신축 본체(21)의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으로 밀폐 테두리(12)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또는 작은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신축 테두리(22)는 테두리 수용 부분(211)으로부터 다시 아래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테두리 수용 부분(211)은 바깥쪽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테두리 수용 부분(211)의 끝 부분은 신축 본체(21)의 가장자리의 안쪽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위치에서 신축 테두리(22)가 아래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신축 테두리(22)가 수용 몸체(11)의 외부 면에 신축성에 의하여 밀착될 수 있다. 테두리 수용 부분(211)은 신축 테두리(22)의 연장 길이와 유사하거나 큰 연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신축 테두리(22)는 밀폐 테두리(12)의 아래쪽 부분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덮개(20)가 큰 신율을 가진 실리콘 소재로 만들어지는 것에 의하여 몸체(10)가 밀폐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덮개(20)는 중심 부분을 기준으로 모든 방향으로 균일하게 신축이 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를 위하여 신축 본체(21)의 중앙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하여 신율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중앙 부분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신축 본체(21)의 전체 면적의 1/20 내지 1/10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중앙 부분의 신율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중앙 부분이 다른 두께로 형성되거나, 신율이 작은 소재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신율이 작은 소재로 코팅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부분은 신축 본체(21)의 전체 형상이 축소된 형상으로 만들어지거나 원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신축 본체(21)의 중앙 부분이 작은 신율로 만들어지는 것에 의하여 덮개(20)가 균일하게 신축되고 이로 인하여 밀폐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아래에서 이와 같은 구조로 만들어지는 덮개(20)의 안쪽 부분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존 용기에 적용되는 밀폐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가)는 덮개(20)의 내부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2의 (나)는 바닥 부분(13)의 외부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가)를 참조하면, 덮개(20)는 밀폐 테두리(12)가 수용되는 테두리 수용 부분(211) 및 신축 테두리(22)로 이루어질 수 있고, 테두리 수용 부분(211)과 신축 본체(21)의 경계 면에 유입 둘레(222)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 둘레(222)는 밀폐 테두리(1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밀폐 테두리(12)가 사각형 단면이 되는 경우 한쪽 면이 개방된 사각형상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축 본체(21)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밀폐 테두리(12)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안쪽으로 오목하도록 곡면 형상으로 된 신축 테두리(22)가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인하여 신축 테두리(22)의 끝 부분은 바깥쪽으로 향하게 된다.
테두리 수용 부분(211)과 신축 테두리(22)는 신축 본체(2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껍게 만들어지고 이로 인하여 신축 본체(21)에 비하여 신율이 작아질 수 있다. 또한 테두리 수용 수분(211)은 신축 테두리(22)에 비하여 신율이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신율은 두께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신축 본체(21)가 신축 테두리(22)에 비하여 신율이 작아지도록 만드는 것에 의하여 덮개(20)가 몸체(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신축 본체(21)가 신장되어 밀폐 테두리(12)에 강하게 밀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보존 용기의 밀폐 성능 및 보존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덮개(20)의 서로 다른 부분의 신율을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의 (나)를 참조하면, 바닥 면(13)의 외부에 돌출 테두리(131)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 테두리(131)는 바닥 면(13)의 외부 면이 다른 물체의 표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존 용기는 다양한 항균 또는 탈취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10) 또는 덮개(20)의 제조과정에서 피톤치드 함유 제올라이트 성분, 항균 실리콘 또는 은 나노 입자와 같은 것이 첨가될 수 있다. 다양한 항균 또는 탈취 성분이 발명에 따른 보존 용기에 포함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존 용기는 신축성을 가진 실리콘 소재로 덮개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밀폐 및 보존 기능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존 용기는 실리콘 소재가 가진 공기 투과성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보존 과정에서 음식물의 변질이 방지되도록 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보존 용기는 온도에 변화에 따른 낮은 신축율의 변화로 인하여 온도에 관계없이 내용물이 변질되지 않고 장시간 보존될 수 있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몸체 11: 수용 몸체
12: 밀폐 테두리 13: 바닥 부분
20: 덮개 21: 신축 본체
22: 신축 테두리 131: 돌출 테두리
211: 테두리 수용 부분 222: 유입 둘레

Claims (3)

  1. 합성수지 소재의 수용 몸체(11);
    수용 몸체(11)의 위쪽 부분에 형성된 밀폐 테두리(12); 및
    수용 몸체(11)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신축 실리콘 소재의 신축 본체(21) 및 신축 본체(21)의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면서 밀폐 테두리(12)의 아래쪽 부분을 덮도록 연장되는 신축 테두리(22)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 테두리(22)는 신축 본체(21)와 일체로 만들어지면서 신축 본체(21)의 신축에 의하여 수용 몸체(11)의 둘레 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 성능이 향상된 실리콘 덮개의 음식물 보존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신축 본체(21)는 20 내지 50 ㎛의 두께에서 공기 투과도가 0.1 내지 20(g/㎡·24h)이 되는 합성수지 소재를 더 포함하는 실리콘 덮개의 음식물 보존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신축 테두리(22)는 신축 본체(21)에 비하여 신율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덮개의 음식물 보존 용기.
KR1020160010601A 2016-01-28 2016-01-28 보존 성능이 향상된 실리콘 덮개의 음식물 보존 용기 KR101802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601A KR101802283B1 (ko) 2016-01-28 2016-01-28 보존 성능이 향상된 실리콘 덮개의 음식물 보존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601A KR101802283B1 (ko) 2016-01-28 2016-01-28 보존 성능이 향상된 실리콘 덮개의 음식물 보존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120A true KR20170090120A (ko) 2017-08-07
KR101802283B1 KR101802283B1 (ko) 2017-11-28

Family

ID=59653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0601A KR101802283B1 (ko) 2016-01-28 2016-01-28 보존 성능이 향상된 실리콘 덮개의 음식물 보존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283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873B1 (ko) * 2013-03-18 2014-03-25 옥윤선 원터치방식 밀폐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2283B1 (ko) 201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82079A (zh) 用于容器的盖部件
ES2390203T3 (es) Barril de gollete ancho de plástico termoplástico
US9145242B2 (en) Airtight storage container
CA2595088A1 (en) Fast freeze container and seal
CN106864973A (zh) 食品容器
KR101802283B1 (ko) 보존 성능이 향상된 실리콘 덮개의 음식물 보존 용기
EP3257778B1 (en) Caps and containers comprising the same
KR20180113332A (ko) 식품의 신선도의 유지 기간 및 보관 기간을 향상시킨 밀폐 용기
KR100732247B1 (ko) 밀폐 용기
JP2007330574A (ja) 食品保温容器
KR20140095141A (ko) 깊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
US10787302B2 (en) Object retention and storage system
KR101506325B1 (ko) 항균 및 탈취 기능을 가진 보존력이 향상된 저장성 음식 용기
KR102112837B1 (ko)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KR200395480Y1 (ko) 용기용 밀폐덮개
KR100808541B1 (ko) 용기의 절첩뚜껑
KR20170017233A (ko) 보존 기능이 향상된 저장성 음식 용기
US10486848B2 (en) Storage container with sealable opening in base
KR200478706Y1 (ko) 식품 용기용 체크 밸브장치
ES2943001T3 (es) Recipiente con presión negativa para mantener la frescura de alimentos
KR200483477Y1 (ko) 김치용 밀폐용기
KR101485135B1 (ko) 식기
KR20000017476U (ko) 발효식품 저장용기
KR101864660B1 (ko) 탄력성 부재를 이용한 내부용기를 구비한 저장용기
KR200212614Y1 (ko) 용기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