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0063A - 의료 학술연구 지원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 학술연구 지원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0063A
KR20170090063A KR1020160010441A KR20160010441A KR20170090063A KR 20170090063 A KR20170090063 A KR 20170090063A KR 1020160010441 A KR1020160010441 A KR 1020160010441A KR 20160010441 A KR20160010441 A KR 20160010441A KR 20170090063 A KR20170090063 A KR 20170090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search
data
keyword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0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5897B1 (ko
Inventor
이정하
김현기
임수종
배정수
장후원
조지원
Original Assignee
(주)중외정보기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중외정보기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주)중외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160010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897B1/ko
Publication of KR20170090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0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9/3443
    • G06F17/30011
    • G06F17/30318
    • G06F17/30398
    • G06F17/30864
    • G06F19/322
    • G06F19/3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의료기관의 환자 상태 정보, 환자진료기록, 학술연구자료 등 각종 의료 정보를 수집, 분류,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쉽게 통합 검색할 수 있는 의료 가이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의사 및 연구자의 학술연구를 지원하는 의료 학술연구 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의료 가이드 프로그램의 대시보드 화면에서 의학 전문 용어나 병명을 포함한 상병코드 기반 환자 데이터세트(Data Set), 및 환자진료기록에 관한 검색조건을 검색어로 입력받고 검색어로부터 연관 키워드 분석을 통해 주요 키워드를 선정하여 선정된 주요 키워드를 기반으로 통합 검색함으로써 학술연구에 필요한 각종 의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 학술연구 지원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MEDICAL ACADEMIC RESEARCH}
본 발명은 각종 의료 정보를 수집하여 의사의 학술연구를 지원하는 의료 학술연구 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보 제공 장치는 정보를 수집하여 필요에 따라 검색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정보화 사회에서 인간의 지적 활동에 필수 불가결한 행위 중 하나는 정보의 수집과 축적, 및 검색과 이용이라고 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는 필요한 정보나 데이터를 보다 신속, 정확하게 입수하여 연구개발이나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고, 사회적으로는 사회 각 부문에서의 다양한 정보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정보 제공 장치를 어떻게 구축, 유지, 운영하느냐가 중요하다.
의료 분야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최근 들어 의료 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해 기존 종이 차트로 관리되었던 진료기록 등 병원에서 발생하는 의료 정보를 전산화하고 이를 병원 내 의사들에게 정보 검색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병원 관리는 물론, 유사환자의 처방시 의사 결정하는 데 지원하는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의료 정보 제공은 한 의료기관 내 진료기록에만 국한되어 제공하고 다른 의료기관에 대한 진료 정보에 대해서는 정보 검색 및 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장치는 논문, 연구보고서, 특허 등을 서로 독립적으로 그 자체만 제시할 뿐 과학기술과 관련된 이들 각각의 정보들을 융합하여 제시하지는 못하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문헌으로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47135호(발명의 명칭: 학술정보 자원의 분석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등록일: 2011년 06월 30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각 의료기관의 환자 상태 정보, 환자진료기록, 학술연구자료 등 각종 의료 정보를 수집, 분류,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쉽게 통합 검색할 수 있는 의료 가이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의사 및 연구자의 학술연구를 지원하는 의료 학술연구 지원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료 학술연구 지원 시스템은, 의료 가이드 프로그램의 대시보드 화면에서 의학 전문 용어나 병명을 포함한 상병코드 기반 환자 데이터세트(Data Set), 및 환자진료기록에 관한 검색조건을 입력받는 검색조건 입력부; 및 상기 상병코드 기반 환자데이터세트 및 환자진료기록에 관한 검색조건에 부합되는 검색어로부터 주요 키워드를 선정하고, 선정된 주요 키워드를 기반으로 의료기관의 내부 데이터베이스와 외부 데이터베이스, 및 게시 웹사이트에 기 저장된 데이터를 통합 검색하여, 학술연구에 필요한 각종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자료 검색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의료 학술연구 지원 시스템은, 상기 의료기관의 내부 데이터베이스와 외부 데이터베이스, 및 게시 웹사이트에 기 저장된 각종 의료 정보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통합 검색하기에 용이한 형식으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 빅데이터 구축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자료 검색 모듈은 상기 빅데이터 구축모듈을 통해 데이터베이스화된 수집 데이터를 기준으로 검색을 수행한다.
상기 자료 검색 모듈은, 상기 상병코드 기반 환자데이터세트 및 환자진료기록에 관한 검색조건으로부터 상기 검색조건에 부합되는 검색어를 추출하고, 상기 선정된 주요 키워드를 기반으로 통합 검색을 수행하여 그 검색 결과로 관련 논문 및 저널, 유사 환자 리스트를 제공하는 검색 결과 제공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자료 검색 모듈은, 상기 상병코드 기반 환자데이터세트 및 환자진료기록에 관한 상기 검색조건에 부합되는 검색어로부터 파생 또는 연관되는 연관 키워드를 추출하거나, 상기 검색어에서 각 매체마다 일정 시간 단위별 출현 빈도수가 상위인 최빈 키워드를 추출한다.
또한, 상기 자료 검색 모듈은, 추출된 연관 키워드 또는 최빈 키워드를 상기 의료 가이드 프로그램의 화면에 제시하고, 제시된 연관 키워드 또는 최빈 키워드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주요 키워드로 선정할지 여부를 선택 입력받아 상기 주요 키워드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료 학술연구 지원 시스템에서, 상기 의료기관의 내부 데이터베이스와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데이터는, 상기 의료기관의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내부 진료기록, 내부 신약 또는 의학 연구자료와, 상기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외부 논문자료를 포함하고, 상기 게시 웹사이트에 기 저장된 데이터는, 블로그나 뉴스, 매거진을 포함한 웹 사이트들에 게재된 의료 관련 게시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색조건에 부합되는 검색어는, 상기 검색조건에 포함되는 키워드 뿐만 아니라, 상기 검색조건에 부합되는 관련 자료에 포함되어 있는 키워드를 포함한다.
상기 의료 가이드 프로그램은, 상기 대시보드 화면에,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직접 상기 검색조건을 문자 입력받는 직접 검색 메뉴, 상기 상병코드 기반 환자데이터세트 및 또는 환자진료기록에 관한 검색 조건을 입력할 수 있는 선택화면이 제시되는 확장 검색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자료 검색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직접 검색 메뉴 또는 상기 확장 검색 메뉴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메뉴를 통해 검색조건을 입력받고, 상기 직접 검색 메뉴 및 상기 확장 검색 메뉴의 동시 선택이 있는 경우 상기 직접 검색 메뉴 및 상기 확장 검색 메뉴를 통해 입력받는 검색어에 대하여 관계 연산자(AND, OR 등)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료 학술연구 지원 방법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의료 학술연구 지원 시스템이 의료 가이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의 검색조건 입력부가, 실행 중인 의료 가이드 프로그램의 대시보드 화면으로부터 의학 전문 용어나 병명을 포함한 상병코드 기반 환자 데이터세트(Data Set), 및 환자진료기록에 관한 검색조건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시스템의 자료 검색 모듈이, 상기 상병코드 기반 환자데이터세트 및 환자진료기록에 관한 검색조건에 부합되는 검색어로부터 주요 키워드를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시스템의 자료 검색 모듈이, 선정된 주요 키워드를 기반으로 의료기관의 내부 데이터베이스와 외부 데이터베이스, 및 게시 웹사이트에 기 저장된 데이터를 통합 검색하여 학술연구에 필요한 각종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주요 키워드를 선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시스템의 자료 검색 모듈이, 상기 상병코드 기반 환자데이터세트 및 환자진료기록에 관한 검색조건으로부터 상기 검색조건에 부합되는 검색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요 키워드를 선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시스템의 자료 검색 모듈이, 상기 상병코드 기반 환자데이터세트 및 환자진료기록에 관한 상기 검색조건에 부합되는 검색어로부터 파생 또는 연관되는 연관 키워드를 추출하거나, 상기 검색어에서 각 매체마다 일정 시간 단위별 출현 빈도수가 상위인 최빈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스템의 자료 검색 모듈이, 추출된 연관 키워드 또는 최빈 키워드를 상기 의료 가이드 프로그램의 화면에 제시하고, 제시된 연관 키워드 또는 최빈 키워드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주요 키워드로 선정할지 여부를 선택 입력받아 상기 주요 키워드를 선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사 및 연구자가 의료 상병코드 기반 환자데이터세트 및 환자진료기록에 근거하여 검색조건을 입력하여 학술연구에 필요한 각종 의료 정보를 통합 검색할 수 있고, 논문이나 저널, 유사 환자 리스트 등 다양한 관점의 정보를 쉽게 추출할 수 있으므로 연구와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사 및 연구자에게 리서치 범위를 획기적으로 넓힐 수 있으며, 기존에는 수동 작업하던 제한된 양의 정보를 활용했다면 본 발명은 거의 모든 자료를 빠른 시간에 수행하여 다양한 측면의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환자 치료를 위한 자료 수집이 가능하고, 유사환자 처방사례 등의 검색이 가능하므로 초보 의사를 대상으로 한 학습도구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학술연구 지원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학술연구 지원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학술연구 지원을 위한 의료 가이드 프로그램의 대시보드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대시보드 화면의 확장 검색을 위한 입력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학술연구 지원을 위한 주요키워드를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가이드 프로그램을 통해 검색한 결과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학술연구 지원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학술연구 지원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검색조건 입력부(200), 자료 검색 모듈(300)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학술연구 지원 시스템은 각 의료기관의 환자 정보, 진료기록, 학술연구자료, 전문기사 등 각종 의료 정보를 통합 검색할 수 있는 의료 가이드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검색조건 입력부(200) 및 자료 검색 모듈(300)을 통해 의사 및 연구자에게 다양한 관점의 정보를 쉽게 추출할 수 있는 학습 도구를 제시한다.
검색조건 입력부(200)는 의료 가이드 프로그램의 대시보드 화면에서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원하는 의료 정보는 검색하기 위한 검색조건을 입력받는다. 특히, 의료 가이드 프로그램의 대시보드 화면에서 의학 전문 용어나 병명을 포함한 상병코드 기반 환자 데이터세트(Data Set) 및 환자진료기록에 관한 검색 조건을 입력받는다.
검색조건 입력부(200)는 사용자의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기구적으로 사용자의 입력이 가능한 키패드,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널 등의 조작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 패널의 경우 표시 화면과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검색조건은 의학 전문 용어나 병명,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상병코드, 환자 상태, 처방 기록 등에 관한 정보들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정보들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직접 문자 입력받거나, 검색 또는 선택지 화면을 통한 선택으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자료 검색 모듈(300)은 의사 또는 연구자의 단말에 의료 가이드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설치된 의료 가이드 프로그램의 자동 업데이트, 실행, 종료 등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자료 검색 모듈(300)은 의료 가이드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검색조건 입력부(200)를 통해 입력받은 검색조건에 기초하여 연관 키워드 분석을 통해 주요 키워드를 선정하고, 선정된 주요 키워드를 기반으로 의료기관의 내부 데이터베이스와 외부 데이터베이스, 및 게시 웹사이트(700)에 기 저장된 데이터를 통합 검색하여 학술연구에 필요한 각종 의료 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자료 검색 모듈(300)은 내부 데이터베이스(400)와 외부 데이터베이스(500) 및 게시 웹사이트(600)와 직접 연결되어 원하는 의료 정보를 통합 검색할 수 있지만,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빅데이터 구축모듈(100)을 통해 빅데이터 구축모듈(100)에 데이터베이스화된 수집 데이터를 기준으로 통합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학술연구 지원 시스템은 빅데이터 구축모듈(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빅데이터 구축모듈(100)은 데이터 수집부(110), 분류부(120), 수집 DB(130) 등으로 구성되어, 의료기관 내 내부 데이터베이스(400) 또는 외부 데이터베이스(500), 게시 웹사이트(600)로부터 각종 의료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통합 검색하기에 용이한 형식으로 분류 및 저장한다.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는 다양한 의료 정보를 포함하므로 이를 '빅(big) 데이터'라 칭한다.
데이터 수집부(110)는 내부 데이터베이스(400)의 진료기록 DB로부터 내부 진료기록을 수집한다. 또, 데이터 수집부(110)는 내부 데이터베이스(400)로부터 연구자료 DB에 기 저장되어 있는 내부 신약 또는 의학 연구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집부(110)는 외부 데이터베이스(500)의 외부 논문자료DB에 기 저장되어 있는 외부 논문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집부(110)는 블로그나 카페, 뉴스, 매거진 등을 포함한 게시 웹사이트(600)로부터 해당 웹페이지에 게재된 의료 관련 게시글을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수집부(110)는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집기 모듈을 이용하여 실시간 수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뉴스 크로울러, 트위터 수집기, 네이버 블록 수집기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집부(110)는 각 수집 대상에 따라 메타 데이터의 공통 속성에 따른 필드를 정의하여 정의된 필드에 포함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작업으로 자동화가 가능하다.
분류부(120)는 데이터 수집부(110)를 통해 수집된 빅 데이터를 통합 검색하기에 용이한 형식(예컨대, 카테고리 또는 파일 포맷)으로 분류하고 수집 DB(130)에 분류 저장한다. 이때, 분류부(120)는 데이터 수집부(110)로부터 수집된 빅 데이터를 공통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료 검색 모듈(300)로 보내기 위해 중간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수집 DB(130)는 환자진료기록 또는 환자 증상에 관한 정보를 수집한 환자 군집 DB(상병코드 기반 환자데이터세트 DB), 논문자료나 연구보고, 전문기사, 뉴스 등을 포함하여 수집한 학술 분류 DB 등으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는 자료 검색 모듈(300)에서 검색조건에 부합되는 관련자료를 분석하거나 주요 키워드 기반 통합 검색 시 검색 자료로 활용된다.
자료 검색 모듈(300)은 검색조건 입력부(200)를 통해 입력받은 상병코드 기반 환자데이터세트 및 환자진료기록에 관한 검색조건으로부터 해당 검색조건에 부합되는 검색어를 자연어 처리와 연관 키워드 분석을 통해 주요 키워드를 선정하고, 선정된 주요 키워드를 기반으로 의료기관의 내부 데이터베이스(400)와 외부 데이터베이스(500), 및 게시 웹사이트(600)에 기 저장된 데이터를 통합 검색하여, 학술연구에 필요한 각종 의료 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자료 검색 모듈(300)은 텍스트 분석부(310), 연관 키워드 추출부(320), 검색결과 제공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검색결과 제공부(330)는 검색조건 입력부(200)를 통해 입력받은 상병코드 기반 환자데이터세트 및 환자진료기록에 관한 검색조건으로부터 해당 검색조건에 부합되는 검색어를 추출한다. 이때, 검색어는 검색조건에 포함되는 키워드 뿐만 아니라, 검색조건에 부합되는 관련 자료에 포함되어 있는 키워드가 될 수 있다. 이를 테면, 환자ID, 환자명, 주치의 등에 관한 검색조건을 입력받는 경우, 환자ID, 환자명, 주치의가 검색어에 포함될 수 있지만, 내부 데이터베이스의 조회를 통해 획득한 환자진료기록에서 환자진료기록에 포함되어 있는 병명, 처방약 등이 검색어로 추출될 수 있다.
텍스트 분석부(310)는 검색조건에 부합되는 검색어를 형태소 또는 구문 등의 문법 기반으로 분석한다. 예를 들어 '배 아픔'이라는 검색어에서 형태소 분석을 통해 '배', '아픔'이라는 각각의 형태소를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형태소를 검색할 키워드로 선정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미래창조과학부 주관의 대형 국책과제인 일명 '엑소브레인(Exobrain)' 과제의 일환으로 최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개발한 자연어 처리 기술을 적용하여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텍스트 분석부(310)는 전체 검색율을 높이거나 또는 연관 키워드 추출부(320)의 수행 시 연관 키워드의 추출 히팅율을 높이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연관 키워드 추출부(320)는 검색조건에 부합되는 검색어로부터 선택적으로 대상 비정형 데이터의 자연어 처리를 적용한 후 파생 또는 연관되는 연관 키워드를 추출한다. 또는, 연관 키워드 추출부(320)는 검색조건에 부합되는 검색어에서 각 매체마다 일정 시간 단위별 출현 빈도수가 상위인 최빈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연관 키워드는 의료분야 개체명사전(Named Entity Dictionary: NER)을 기반으로 해당 검색어와 유사하거나 파생될 수 있는 질병(증상) 이름, 학계 또는 의료계의 주요 인물 또는 논문의 식별 등으로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배 아픔'이라는 검색어에서 연관 키워드 분석을 통해 '복통', '본태성 고혈압', '구토', '식욕부진' 등이 연관 키워드로 추출될 수 있다.
또한, 검색 결과 제공부(330)는 연관 키워드 추출부(320)를 통해 추출된 연관 키워드 또는 최빈 키워드를 기반으로 통합 검색하고 그 검색 결과로 관련 내부 연구자료나 논문, 기사 등을 제공한다.
이때, 자료 검색 모듈(300)은 검색 결과 제공부(330)에서 연관 키워드 추출부(320)를 통해 추출된 연관 키워드 또는 최빈 키워드를 의료 가이드 프로그램의 화면에 제시하고, 제시된 연관 키워드 또는 최빈 키워드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주요 키워드로 선정할지 여부를 선택 입력받아 주요 키워드를 선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하기 도 5에서 예시하고 있는 사용자 화면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자료 검색 모듈(300)은 검색 유형에 따라 직접 검색 메뉴, 확장 검색 메뉴로 구분되는데, 사용자로부터 직접 검색 메뉴 또는 확장 검색 메뉴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메뉴를 통해 검색조건을 입력받고, 직접 검색 메뉴 및 확장 검색 메뉴의 동시 선택이 있는 경우 직접 검색 메뉴 및 확장 검색 메뉴를 통해 입력받는 검색조건에 대하여 관계 연산자(AND, OR 등)를 입력받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학술연구 시스템은 의료 가이드 프로그램을 통해 의료 관련 학술자료를 통합 검색 및 추출할 수 있고, 특정 환자 치료를 위한 자료 수집이 가능하여 연구화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유사환자 처방사례 등의 검색이 가능하므로 초보 의사를 대상으로 한 학습도구가 될 수 있다.
이상의 시스템 구성에 기초하여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학술연구 지원 방법을 제공하는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참고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의료 가이드 프로그램의 대시보드 화면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S100 단계에서, 사용자(의사 또는 연구자)의 요청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이 의료 가이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의료 가이드 프로그램은 내부 및 외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각종 의료 정보를 수집하여 통합 검색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도 3과 같은 대시보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서는 대시보드 화면 상에 직접 검색 메뉴(812)와 확장 검색 메뉴(814)를 포함한 검색 화면(810)을 보여주고 있다. 직접 검색 메뉴(812)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직접 검색어를 문자 입력받아 바로 검색을 수행하는 기능이고, 확장 검색 메뉴(814)는 검색 조건 선택(814a)을 수행하여 검색할 선택화면이 팝업창으로 제시됨에 따라 검색의 범위를 확장하여 더 세부적인 검색을 수행하는 기능이다.
이처럼, 의료 가이드 프로그램은 검색 화면(810)을 통해 직접 검색 기능과 확장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 S110 및 S120 단계에서, 시스템의 검색조건 입력부가, 의료 가이드 프로그램의 대시보드 화면에서 직접 검색 기능 또는 확장 검색 기능으로부터 검색조건을 입력받는다.
직접 검색 메뉴(도 3의 812)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직접 검색조건을 문자 입력받을 수 있다. 즉, 직접 검색 메뉴(도 3의 812)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의학 전문 용어나 병명,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상병코드, 환자 상태, 처방 기록 등에 관한 정보들을 입력받을 수 있다.
확장 검색 메뉴(도 3의 814)는 상병코드 기반 환자 데이터세트를 참조하여 환자 상태 정보를 입력받거나, 환자진료기록을 참조하여 해당 환자 또는 유사환자의 진료기록, 처방전 등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검색조건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확장 검색 메뉴(도 3의 814)에서 검색 조건 선택(814a)을 선택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장 검색 조건을 선택 입력하는 선택화면(820)을 팝업창으로 제시하고, 이 선택화면(820)에서 상병코드 기반 환자 데이터세트(822) 또는 환자진료기록(Progress Note: 824)에 관한 상세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선택화면(820)은 사지선다형으로 의학 전문 용어나 병명을 포함한 상병코드, 환자 상태, 환자진료기록에 관한 검색 조건을 선택하도록 제시될 수 있다.
이를 테면, 상병코드 기반 환자 데이터세트(822)는 성별, 나이, 지역, 직업군 등을 포함한 환자 프로파일 정보, 과거력 또는 가족력을 포함한 특정 증상 정보, 흡연 또는 음주 관련 생활패턴 정보에 대하여 해당 제시된 정보의 선택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환자진료기록(Progress Note: 824)은 내부 진료기록의 조회를 통해 관련 자료를 획득하여 검색어로 추출할 수 있다. 즉, 팝업창(820)에서 환자명, 환자 ID, 성별, 나이, 주치의 등 진료기록에 포함된 정보를 입력하여 색인하면 원하는 범주의 진료기록 목록이 추출되고, 목록에서 원하는 진료기록을 선택하면 해당 진료기록에 포함되는 관련 자료를 내부 진료기록 DB로부터 파싱하여 관련 자료에 포함되어 있는 키워드를 검색어로 추출할 수 있다. 목록에서 원하는 진료기록에 대하여 '상세보기'를 요청하면, 특정 환자 또는 유사환자의 진료 및 처방 기록에 관한 관련 자료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이처럼 위 대시보드 화면에서 상병코드 기반 환자 데이터세트 및 환자진료기록에 관한 검색조건이 입력되면, 시스템의 자료 검색 모듈이 검색조건에 부합되는 검색어를 추출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 S130 단계에서, 시스템의 자료 검색 모듈이 검색조건에 부합되는 검색어에 대하여 연관 키워드 분석을 통해 검색어로부터 연관 또는 파생되는 연관 키워드를 추출한다.
또는 S140 단계와 같이, 시스템의 자료 검색 모듈이 검색조건에 부합되는 검색어에서, 일정 시간 단위별 출현 빈도수가 높은 최빈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130 단계 이전에, 직접 검색 메뉴 또는 확장 검색 메뉴를 통해 검색조건이 입력되면, 시스템의 자료 검색 모듈이 검색조건에 부합되는 검색어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텍스트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텍스트 분석은 기본적인 언어 문법을 기반으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개발한 자연어 처리 기술을 적용한다.
다음 S150 단계에서, 시스템의 자료 검색 모듈이 추출된 연관 키워드 또는 최빈 키워드를 참조하여 주요 키워드로 선정한다.
이 과정에서, 시스템의 자료 검색 모듈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S130 및 S140 단계를 통해 추출된 연관 키워드들 또는 최빈 키워드들(834)을 모두 화면(830)에 제시하고, 제시된 연관 키워드들 또는 최빈 키워드들(834)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주요 키워드로 선정할지 여부를 선택 입력받아 주요 키워드를 선정할 수 있다. 선정 시, 키워드의 선택 여부에 따라 활성화, 비활성화를 설정할 수 있으며 키워드가 활성화로 설정되면 해당 키워드를 주요 키워드로 선정한 것이고 비활성화로 설정되면 주요 키워드로 선정하지 않는다. 또, 키워드별로 X버튼을 선택하여 완전히 삭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 주요 키워드의 선정 시, 대시보드 화면(830)에는 직접 검색 입력란(832)을 추가적으로 제공하여 연관 키워드 또는 최빈 키워드 외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키워드를 직접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되는 키워드간 관계 연산자(836)를 설정하여 검색의 히팅율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S160 단계에서, 시스템의 자료 검색 모듈이 상기 S150 단계를 통해 선정된 주요 키워드를 기반으로 의료기관의 내부 데이터베이스와 외부 데이터베이스, 및 게시 웹사이트에 기 저장된 데이터를 통합 검색하여 학술연구에 필요한 각종 의료 정보를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 예컨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련 논문 및 저널(842), 유사환자 리스트(844)를 각 데이터 소스별로 탭으로 구분하여 정보 시각화한 검색 결과 화면(840)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시스템은 거의 모든 자료를 빠른 시간에 수행하여 다양한 측면의 분석을 수행하여 원하는 의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참고로, 이상의 설명에서 각 과정을 수행하는 주체를 시스템으로 설명하였지만, 의료 가이드 프로그램을 통해 검색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검색어를 분석하여 관련 자료를 통합 검색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들이 하나의 단말(예컨대, 컴퓨터, 태블릿, 스마트폰 등)에 구현되는 경우 단말에서 각 과정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 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빅데이터 구축모듈 110: 데이터 수집부
120: 분류부 130: 수집 DB
200: 검색조건 입력부 300: 자료 검색 모듈
310: 텍스트 분석부 320: 연관 키워드 추출부
330: 검색 결과 제공부 400: 내부 데이터베이스
500: 외부 데이터베이스 600: 게시 웹사이트

Claims (12)

  1. 의료 가이드 프로그램의 대시보드 화면에서 의학 전문 용어나 병명을 포함한 상병코드 기반 환자 데이터세트(Data Set), 및 환자진료기록에 관한 검색조건을 입력받는 검색조건 입력부; 및
    상기 상병코드 기반 환자데이터세트 및 환자진료기록에 관한 검색조건에 부합되는 검색어로부터 주요 키워드를 선정하고, 선정된 주요 키워드를 기반으로 의료기관의 내부 데이터베이스와 외부 데이터베이스, 및 게시 웹사이트에 기 저장된 데이터를 통합 검색하여, 학술연구에 필요한 각종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자료 검색 모듈;
    을 포함하는 의료 학술연구 지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관의 내부 데이터베이스와 외부 데이터베이스, 및 게시 웹사이트에 기 저장된 각종 의료 정보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통합 검색하기에 용이한 형식으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 빅데이터 구축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자료 검색 모듈은 상기 빅데이터 구축모듈을 통해 데이터베이스화된 수집 데이터를 기준으로 검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학술연구 지원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료 검색 모듈은,
    상기 상병코드 기반 환자데이터세트 및 환자진료기록에 관한 검색조건으로부터 상기 검색조건에 부합되는 검색어를 추출하고, 상기 선정된 주요 키워드를 기반으로 통합 검색을 수행하여 그 검색 결과로 관련 논문 및 저널, 유사 환자 리스트를 제공하는 검색 결과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학술연구 지원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료 검색 모듈은,
    상기 상병코드 기반 환자데이터세트 및 환자진료기록에 관한 상기 검색조건에 부합되는 검색어로부터 파생 또는 연관되는 연관 키워드를 추출하거나, 상기 검색어에서 각 매체마다 일정 시간 단위별 출현 빈도수가 상위인 최빈 키워드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학술연구 지원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료 검색 모듈은,
    추출된 연관 키워드 또는 최빈 키워드를 상기 의료 가이드 프로그램의 화면에 제시하고, 제시된 연관 키워드 또는 최빈 키워드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주요 키워드로 선정할지 여부를 선택 입력받아 상기 주요 키워드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학술연구 지원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관의 내부 데이터베이스와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데이터는, 상기 의료기관의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내부 진료기록, 내부 신약 또는 의학 연구자료와, 상기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외부 논문자료를 포함하고,
    상기 게시 웹사이트에 기 저장된 데이터는, 블로그나 뉴스, 매거진을 포함한 웹 사이트들에 게재된 의료 관련 게시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학술연구 지원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조건에 부합되는 검색어는,
    상기 검색조건에 포함되는 키워드 뿐만 아니라, 상기 검색조건에 부합되는 관련 자료에 포함되어 있는 키워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학술연구 지원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가이드 프로그램은, 상기 대시보드 화면에,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직접 상기 검색조건을 문자 입력받는 직접 검색 메뉴,
    상기 상병코드 기반 환자데이터세트 및 또는 환자진료기록에 관한 검색 조건을 입력할 수 있는 선택화면이 제시되는 확장 검색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자료 검색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직접 검색 메뉴 또는 상기 확장 검색 메뉴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메뉴를 통해 검색조건을 입력받고, 상기 직접 검색 메뉴 및 상기 확장 검색 메뉴의 동시 선택이 있는 경우 상기 직접 검색 메뉴 및 상기 확장 검색 메뉴를 통해 입력받는 검색어에 대하여 관계 연산자(AND, OR 등)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학술연구 지원 시스템.
  9.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의료 학술연구 지원 시스템이 의료 가이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의 검색조건 입력부가, 실행 중인 의료 가이드 프로그램의 대시보드 화면으로부터 의학 전문 용어나 병명을 포함한 상병코드 기반 환자 데이터세트(Data Set), 및 환자진료기록에 관한 검색조건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시스템의 자료 검색 모듈이, 상기 상병코드 기반 환자데이터세트 및 환자진료기록에 관한 검색조건에 부합되는 검색어로부터 주요 키워드를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시스템의 자료 검색 모듈이, 선정된 주요 키워드를 기반으로 의료기관의 내부 데이터베이스와 외부 데이터베이스, 및 게시 웹사이트에 기 저장된 데이터를 통합 검색하여 학술연구에 필요한 각종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의료 학술연구 지원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키워드를 선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시스템의 자료 검색 모듈이, 상기 상병코드 기반 환자데이터세트 및 환자진료기록에 관한 검색조건으로부터 상기 검색조건에 부합되는 검색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 학술연구 지원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키워드를 선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시스템의 자료 검색 모듈이, 상기 상병코드 기반 환자데이터세트 및 환자진료기록에 관한 상기 검색조건에 부합되는 검색어로부터 파생 또는 연관되는 연관 키워드를 추출하거나, 상기 검색어에서 각 매체마다 일정 시간 단위별 출현 빈도수가 상위인 최빈 키워드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학술연구 지원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자료 검색 모듈이,
    추출된 연관 키워드 또는 최빈 키워드를 상기 의료 가이드 프로그램의 화면에 제시하고, 제시된 연관 키워드 또는 최빈 키워드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주요 키워드로 선정할지 여부를 선택 입력받아 상기 주요 키워드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학술연구 지원 방법.
KR1020160010441A 2016-01-28 2016-01-28 의료 학술연구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1845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441A KR101845897B1 (ko) 2016-01-28 2016-01-28 의료 학술연구 지원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441A KR101845897B1 (ko) 2016-01-28 2016-01-28 의료 학술연구 지원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063A true KR20170090063A (ko) 2017-08-07
KR101845897B1 KR101845897B1 (ko) 2018-04-05

Family

ID=59653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0441A KR101845897B1 (ko) 2016-01-28 2016-01-28 의료 학술연구 지원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89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35339A (zh) * 2019-01-31 2019-06-25 北京汉博信息技术有限公司 医疗终端
KR20190076381A (ko) * 2017-12-22 2019-07-02 (주)블루와이즈 빅 데이터를 활용한 건강정보 콘텐츠 추천 서비스 시스템
KR102084513B1 (ko) * 2019-07-17 2020-03-04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뇌질환 연구 보조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20200093850A (ko) * 2019-01-29 2020-08-06 제노플랜코리아 주식회사 큐레이션 지원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59955A (ko) * 2019-11-18 2021-05-26 주식회사 메드올스 의료 기기 및 약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11458A (ko) * 2020-03-03 2021-09-13 리걸테크 주식회사 정보처리 시스템
KR20220145597A (ko) * 2021-04-22 2022-10-31 서울대학교병원 암환자 정보 수집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853B1 (ko) * 2020-07-15 2021-03-16 재단법인 미래의학연구재단 미래의학 생명과학 분야의 연구 발굴 및 창업 생태계 구축 시스템
KR102354270B1 (ko) 2021-05-14 2022-01-20 재단법인 미래의학연구재단 미래의학 생명과학 분야의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한 선순환 연구 지원 및 창업 생태계 구축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6381A (ko) * 2017-12-22 2019-07-02 (주)블루와이즈 빅 데이터를 활용한 건강정보 콘텐츠 추천 서비스 시스템
KR20200093850A (ko) * 2019-01-29 2020-08-06 제노플랜코리아 주식회사 큐레이션 지원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09935339A (zh) * 2019-01-31 2019-06-25 北京汉博信息技术有限公司 医疗终端
KR102084513B1 (ko) * 2019-07-17 2020-03-04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뇌질환 연구 보조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20210059955A (ko) * 2019-11-18 2021-05-26 주식회사 메드올스 의료 기기 및 약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21101106A3 (ko) * 2019-11-18 2021-07-15 주식회사 메드올스 의료 기기 및 약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11458A (ko) * 2020-03-03 2021-09-13 리걸테크 주식회사 정보처리 시스템
KR20220145597A (ko) * 2021-04-22 2022-10-31 서울대학교병원 암환자 정보 수집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5897B1 (ko)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5897B1 (ko) 의료 학술연구 지원 시스템 및 방법
CN108877921B (zh) 医疗智能分诊方法和医疗智能分诊系统
MacLean et al. Identifying medical terms in patient-authored text: a crowdsourcing-based approach
US20060136259A1 (en)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medical data
US7529737B2 (en) Content and quality assess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biomedical information retrieval
CN110291555B (zh) 用于促进对健康状况的计算分析的系统和方法
CN110415828B (zh) 一种基于数据分析的预检信息交互方法及相关设备
US20200075135A1 (en) Trial planning support apparatus, trial planning support method, and storage medium
EP2656274B1 (en) Creating an access control policy based on consumer privacy preferences
KR102521963B1 (ko) 임상시험 검색을 위한 데이터 분류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N112035757A (zh) 医疗瀑布流推送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9036506B (zh) 互联网医疗问诊的监管方法、电子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10851506B (zh) 临床大数据的搜索方法及装置、存储介质、服务器
JP5017046B2 (ja) バリアンス原因フィルタリングシステム
CN111126034A (zh) 医学变量关系的处理方法及装置、计算机介质和电子设备
CN110993116A (zh) 诊疗数据提取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CN111223533A (zh) 一种医疗数据检索方法及系统
JP2017134693A (ja) 意味情報登録支援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意味情報登録支援方法
US20210272038A1 (en) Healthcare Decision Platform
Liao et al. Evaluation of the mining techniques in constructing a traditional Chinese-language nursing recording system
Lama Clustering system based on text mining using the k-means algorithm
KR102084513B1 (ko)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뇌질환 연구 보조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US11269937B2 (en) System and method of presenting information related to search query
JP4169618B2 (ja) テキスト情報管理装置
CN111078976A (zh) 一种基于医疗系统爬虫提取数据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