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9644A -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9644A
KR20170089644A KR1020160010115A KR20160010115A KR20170089644A KR 20170089644 A KR20170089644 A KR 20170089644A KR 1020160010115 A KR1020160010115 A KR 1020160010115A KR 20160010115 A KR20160010115 A KR 20160010115A KR 20170089644 A KR20170089644 A KR 20170089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ehicle
support portion
roll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0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준
이종주
Original Assignee
유도로보틱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도로보틱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도로보틱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0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9644A/ko
Publication of KR20170089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6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80Exchanging energy storage elements, e.g. removable batteries
    • B60L11/182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L11/1824
    • B60L11/1827
    • B60L11/187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H01M2/1083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02T90/124
    • Y02T90/1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차량의 배터리 안착부에 배치되어 배터리를 가이드 하는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안착부 상에 배치되고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에서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에 일단이 지지되어 회전가능한 복수개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상기 제2 지지부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계단식으로 배치되는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Guide device for battery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량물인 배터리를 차량이나 충전스테이션의 특정 위치에서 정확하게 안착되도록 하는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화석연료의 고갈 염려 등으로 인해 전기로 구동되는 차량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전기로 모터를 구동시켜 차량의 주행을 수행하거나, 내연기관과 모터를 병용하여 차량의 주행을 수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기를 사용하여 차량의 주행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필요하다. 하지만, 배터리의 충전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차량의 배터리 자체를 교환하는 방식이 채택되어 연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차량에 사용되는 배터리를 차량에서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차량과 충전스테이션에는 배터리를 안착할 수 있는 구조를 확보해야 한다. 상기 배터리는 중량물이기 때문에, 배터리를 차량과 충전스테이션의 특정 위치에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매우 신중한 이동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차량과 충전스테이션의 다양한 환경 때문에 배터리를 차량이나 충전스테이션에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어느 정도의 위치 벗어남이 발생하는데, 이와 같은 위치 벗어남을 보정하기 위해서는 배터리가 안착되는 부분에 배터리를 가이드 하기 위한 구성을 두게 된다.
중량물인 배터리를 차량이나 충전스테이션의 특정 위치에 안착시킬 때, 배터리가 정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가이드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는 경사구조를 가진 가이드부재를 사용하게 된다. 가이드부재는 배터리가 진입하는 쪽에서 배터리가 안착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경사면을 가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가이드부재의 경사면이 배터리의 하면 가장자리부분을 안내하여 배터리가 가이드부재가 설치된 범위 내에서 정위치를 벗어날 때, 배터리를 정위치로 안내하게 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가이드부재는 단순히 경사면으로만 이루어져 있어 배터리가 안착되는 과정에서 마찰력을 제공하므로, 가이드부재나 배터리의 외관이 손상되는 문제점과 마찰력이 작용하는 쪽과 그렇지 않은 쪽 사이의 불균형이 발생하게 되어 배터리의 안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안착되었던 배터리가 빠져나오는 과정에서도 배터리의 일측이 가이드부재에 닿게 되면 배터리나 가이드부재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고 배터리가 가이드부재에 걸려 분리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배터리의 장착과 분리시에 배터리가 정위치를 벗어남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최소화하는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의 배터리 안착부에 배치되어 배터리를 가이드 하는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안착부 상에 배치되고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에서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에 일단이 지지되어 회전가능한 복수개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상기 제2 지지부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계단식으로 배치되는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롤러의 타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지지부를 마주보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에 배치된 상기 롤러의 수평방향 반지름과 대응하는 범위에서 하부에 배치된 상기 롤러의 회전 중심이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롤러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배터리 안착부의 코너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는 중량물인 배터리를 차량이나 충전스테이션에 장착하고 분리하는 과정에서 배터리가 정위치를 벗어난 위치로 장착되고 분리될 때, 롤러와의 접촉을 통해 마찰력을 최소화하면서 배터리를 정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배터리나 안내장치의 손상이 없도록 하면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배터리를 안내할 수 있다.
특히, 배터리가 장착되었던 상태에서 분리되어 나올 때, 배터리에 접촉되어 있던 롤러가 회전하면서 배터리를 안내하게 되어 배터리와 롤러 사이에 걸림이 없이 배터리가 원활하게 분리되어 나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가 배치된 차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와 배터리 안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배터리와 배터리 안착부가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배터리가 장착방향으로 가이드 되는 것을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
도 8은 도 2의 배터리가 분리방향으로 안내되는 것을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가 배치된 차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와 배터리 안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차량(10)의 상면으로 개방되게 수납부(12)가 형성된다. 수납부(12)는 배터리 안착부(11)와 배터리(16)가 배치될 공간을 정의한다. 수납부(12)는 차량(10)의 상면에 오목하게 들어간 공간으로 형성되거나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어(12')에 의해 개폐된다. 도어(12')는 일종의 슬라이딩도어 또는 윙구조의 도어가 사용될 수 있다.
수납부(12)에 배터리 안착부(11)가 설치된다. 배터리 안착부(11)는 수납부(12)의 바닥면에서 소정 높이에 구비된다. 배터리 안착부(11)는 수납부(12)를 형성하는 차량(10)의 차체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바닥판(13)은 수납부(12)의 바닥에 위치될 수 있는 모양을 가진 판형상이다.
바닥판(13)의 일측에 커넥터설치부(14)가 형성된다. 커넥터설치부(14)는 바닥판(13)의 일단부의 일부를 잘라내어 형성한 것으로, 커넥터 구동장치(15)가 설치되는 부분이다. 도면부호 15'는 커넥터로서 아래에서 설명될 배터리(16)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바닥판(13) 상에 배터리(16)가 장착되는데, 배터리(16)의 구성은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관련 부분만을 설명한다. 배터리(16)의 외관을 구성하는 배터리케이스(17)는 대략 납작한 육면체 형상이다. 배터리케이스(17)에서 바닥판(13)과 마주보는 면의 일단부에 커넥터설치공간(도시되지 않음)이 오목하게 들어가게 형성된다. 커넥터설치공간에 커넥터(15')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대 커넥터(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한편, 배터리(16)는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20)와 맞닿는 부분에 배터리 코너부(17a)가 설치된다.
바닥판(13) 상에 다수개의 고정홀더(18)가 설치된다. 고정홀더(18)는 바닥판(13)의 양단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배터리(16)가 진입할 때 선단이 서로 멀어지도록 동작되고, 배터리(16)가 바닥판(13)에 장착된 상태에서 선단이 배터리(16)의 측면에 걸어지도록 동작된다. 고정홀더(18)는 측방향에서 볼 때, 대략 'ㄱ'자 형상으로 만들어져 선단 부분이 상기 배터리(16)의 측면에 형성된 걸이구조에 걸어지게 된다. 고정홀더(18)는 배터리(16)의 외측면에 걸어져 배터리(16)를 바닥판(13) 상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홀더(18)는 별도의 구동원(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되어 동작된다.
한편, 상기 바닥판(13)의 일측 단부, 즉, 커넥터 구동장치(15)가 장착된 반대쪽 단부에는 블로어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블로어장치는 배터리(16)의 내부로 냉각을 위한 공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바닥판(13)에 배터리(16)가 바닥판(13)상에 장착될 때와 분리될 때, 배터리(16)의 이동을 안내하는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20)가 설치된다.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20)는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16)의 코너부(17a)에 인접하는 배터리(16) 측면의 양단에 대응되는 위치의 바닥판(13)상에 설치된다. 배터리(16)가 납작한 육면체인 본 실시예에서 총 4개의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 (20)가 사용된다. 하지만,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20)의 개수는 배터리(16)의 크기 등 다른 설계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20)가 설치되는 부위는 배터리(16)의 코너부(17a)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는 배터리(16)의 장착과 분리 중에 모서리 부분에서 위치벗어남이 가장 크게 일어나기 때문이다. 즉, 배터리(16)의 기하학적 중심을 기준으로 배터리(16)가 회전되는 경우에 대각선의 양단에 대응되는 모서리에 해당되는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20)들이 배터리(16)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6)의 길이방향이나 폭방향으로 배터리(16)가 정위치를 벗어나게 되더라도 배터리(16)의 하나의 변의 양단 모서리에 해당되는 위치에 있는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20)들이 배터리(16)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20)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20)는 지지부(21), 롤러(24), 회전축(25), 및 고정부(26)를 포함한다.
지지부(21)는 바닥판(13)에 장착되는 부분이다. 지지부(21)는 제1 지지부(22)와 제2 지지부(23)로 구성된다. 지지부(21)는 배터리 안착부(11)의 바닥판(13)에 배치된다.
제1 지지부(22)는 바닥판(13)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제2 지지부(23)는 제1 지지부(22)에서 연장되어 서로 마주본다. 제2 지지부(23)는 제1 지지부(22)의 양단에서 절곡되어 서로 마주보고 롤러(24)가 배치된다. 제1 지지부(22)와 제2 지지부(23)는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지지부(21)는 제2 지지부(23)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바닥판(13)에 고정되는 연장부(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27)는 볼트(30)에 체결되어 바닥판(13)에 고정된다.
제2 지지부(23)에 롤러(24)가 설치된다. 롤러(24)는 제2 지지부(23)에 일단이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롤러(24)는 회전축(25)에 관통되어 제2 지지부(23)에 일단이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고정부(26)는 롤러(24)의 타단에 배치되어 제2 지지부(23)를 마주본다. 롤러(24)는 그 자체가 탄성재질로 되거나, 최소한 그 표면을 구성하는 물질이 탄성재질로 되는 것이 좋다. 롤러(24)에 배터리(16)가 충돌하더라도, 배터리(16)나 롤러(24)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롤러(24)는 그 회전중심인 회전축(25)의 일단이 제2 지지부(23)에 지지된다. 롤러(24)는 다수개가 제2 지지부(23)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롤러(24)는 최소한 2개 이상이 사용되는 것이 좋다.
롤러(24)는 제2 지지부(23)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계단식으로 배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롤러(24) 중에서 제2 지지부(23)의 상부에 배치된 롤러(24)보다 제2 지지부(23)의 하부에 배치된 롤러(24)가 제1 지지부(22)에서 더 멀리 떨어지도록 돌출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롤러(24)는 8개가 설치되어 있는데, 롤러(24)는 다수개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롤러(24)는 제2 지지부(23)를 사이에 두고 대칭되는 구조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롤러(24)는 측면에서 볼 때, 제2 지지부(23)의 선단보다 돌출된 위치에 있는 외면을 서로 연결한 선이 제2 지지부(23)의 선단의 경사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것이 배터리(16)를 안내하기에 좋다.
실제 상대적으로 하부에 배치된 롤러(24)의 회전중심은 상대적으로 상부에 배치된 롤러(24)의 최하단보다는 배터리(16) 방향으로 이동된 위치에 있다. 즉,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상부에 있는 롤러(24)의 수평방향 반지름과 대응되는 위치 내에, 상대적으로 하부에 있는 롤러(24)의 회전중심이 위치하도록 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서로 인접한 롤러(24)들이 설치됨에 의해 배터리(16)가 롤러(24)들을 따라 연속적으로 미끄러지게 안내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2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배터리와 배터리 안착부가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배터리가 장착방향으로 가이드 되는 것을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 도 8은 도 2의 배터리가 분리방향으로 안내되는 것을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20)는 배터리(16)의 4 개의 코너부(17a)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즉,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20)는 배터리 안착부(11)의 코너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배터리(16)의 모서리를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배터리(16)는 상부에서 각각의 코너부(17a)가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20)에 대응되도록 하부로 수직이동하여 배터리 안착부(11)에 설치된다. 하기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20)가 사용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차량(10)의 배터리 안착부(11)에 배터리(16)가 장착되어 있다. 배터리(16)는 차량(10)의 구동을 위한 동력뿐만 아니라, 차량(10)에서 다양한 전장품을 구동시키도록 전원을 공급한다. 이를 위해서 배터리(16)가 배터리 안착부(11)에 안착된 상태에서 커넥터(15')에 상대 커넥터가 결합된다.
이와 같은 결합이 되기 위해서 배터리(16)를 바닥판(13)의 상부에서부터 하강시켜 바닥판(13) 상의 정위치에 정확하게 안착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20)가 사용된다.
배터리(16)를 바닥판(13)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6)의 코너부(17a)가 A의 위치에 있도록 수직으로 하강하게 되면, 롤러(24)들과 배터리(16)가 접촉하지 않게 된다. 이는 가장 이상적인 상태로서, 롤러(24)와 배터리(16) 사이에 마찰력이 전혀 작용하지 않게 된다.
하지만, 실제로 배터리(16)를 바닥판(13)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배터리(16)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B의 위치로 하강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하강하면 가장 상부에 있는 롤러(24)에 배터리(16)의 코너부(17a)가 안내된다. 이와 같이 되면 가장 상부에 있는 롤러(24)는 도 7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배터리(16)를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배터리(16)는 가장 상부에 있는 롤러(24)와 인접한 하부의 롤러(24)로 안내되고, 이를 반복하여 최하부에 있는 롤러(24)에 안내되어 A위치로 배터리(16)가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배터리(16)가 롤러(24)에 의해 안내되는 것은 배터리(16)가 정위치를 배터리(16)가 안착되는 영역 외측으로 벗어난 쪽에서 일어나게 되고, 그 반대쪽에서는 배터리(16)의 가장자리가 롤러(24)들에 대해 배터리(16)가 안착되는 영역 내측에 있게 되므로, 배터리(16)와 롤러(24)는 해당 부분 쪽에서는 서로 접촉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동작되어, 배터리(16)가 도 7의 A상태로 바닥판(13)에 안착되면, 고정홀더(18)를 동작시켜 바닥판(13)에 배터리(16)를 고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커넥터구동장치(15)가 구동되어 배터리(16)의 상대 커넥터와 커넥터(15')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배터리(16)와 차체 측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배터리(16)의 전원을 사용하여 차량이 구동될 수 있다.
한편, 배터리(16)가 방전되거나 거의 방전되어 교체하기 위해서는 위에서 설명된 것의 역순으로 진행된다.
즉, 커넥터구동장치(15)가 동작되어 커넥터(15')가 상대 커넥터에서 분리되게 하고, 상기 고정홀더(18)가 배터리(16)에 결합된 상태를 해제한다.
그리고, 배터리(16)를 파지하는 장치가 배터리(16)를 잡아 상승시켜 바닥판(13)에서 분리하게 된다. 배터리(16)가 바닥판(13)에서 분리되어 상승되는 과정에서 상기 배터리(16)가 바닥판(13)에 안착된 상태에서 수직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최하부의 롤러(24)와만 접촉하면 되고, 나머지 롤러(24)들과는 접촉하지 않게 된다. 하지만, 배터리(16)의 상승궤적이 틀어지면 배터리(16)는 다수개의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20) 중 일부의 롤러(24)에 안내된다. 이때, 롤러(24)는 배터리(16)의 코너부(17a) 외면에 밀착되어 회전하여 마찰력을 최소화하면서 배터리(16)를 안내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본 발명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예를 포함할 수 있다.
10: 차량 11: 배터리 안착부
12: 수납부 12’: 도어
13: 바닥판 14: 커넥터 설치부
15: 커텍터 구동장치 16: 배터리
17: 배터리 케이스 17a: 배터리 코너부
18: 고정홀더 20: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
21: 지지부 22: 제1 지지부
23: 제2 지지부 24: 롤러
25: 회전축 26: 고정부

Claims (6)

  1. 차량의 배터리 안착부에 배치되어 배터리를 가이드 하는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안착부 상에 배치되고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에서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에 일단이 지지되어 회전가능한 복수개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상기 제2 지지부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계단식으로 배치되는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타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지지부를 마주보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부에 배치된 상기 롤러의 수평방향 반지름과 대응하는 범위에서 하부에 배치된 상기 롤러의 회전 중심이 위치하는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배터리 안착부의 코너에 배치된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일체인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
KR1020160010115A 2016-01-27 2016-01-27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 KR201700896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115A KR20170089644A (ko) 2016-01-27 2016-01-27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115A KR20170089644A (ko) 2016-01-27 2016-01-27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644A true KR20170089644A (ko) 2017-08-04

Family

ID=59654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0115A KR20170089644A (ko) 2016-01-27 2016-01-27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96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22372A (zh) * 2021-05-31 2021-06-25 北京辉程动力科技有限公司 车辆动力装置的快速装脱装置及快速装脱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22372A (zh) * 2021-05-31 2021-06-25 北京辉程动力科技有限公司 车辆动力装置的快速装脱装置及快速装脱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59893A1 (en) Battery pack
US20120235643A1 (en) Charging seat having cleaning member
US11581603B2 (en) Electric power equipment
KR101394907B1 (ko) 차량 배터리 위치안내장치
CN1218427C (zh) 电池充电和放电系统
KR101758959B1 (ko) 전지셀용 지그장치
KR20170089644A (ko) 차량 배터리 가이드 장치
WO2023098864A1 (zh) 换电设备及包含其的换电站
CN1213503C (zh) 电池组充电装置
KR101383364B1 (ko) 차량 배터리 위치안내장치
CN216761516U (zh) 托盘安装机构、换电设备以及换电站
CN216761514U (zh) 换电设备及包含其的换电站
CN115303110A (zh) 托盘安装机构、换电设备以及换电站
KR101342167B1 (ko) 차량 배터리 위치안내장치
JP2003059543A (ja) 充放電装置
KR101383365B1 (ko) 차량 배터리 위치안내장치
CN111312960A (zh) 一种电池固定结构及电池仓
US6889841B2 (en) Interface apparatus for reception and delivery of an integrated circuit package from one location to another
CN216443458U (zh) 锁止装置、托架总成及电动汽车
CN217965681U (zh) 一种齿轮的调向装置及电子锁装配设备
CN218295132U (zh) 一种用于电装控制器的便捷安装结构
KR101283637B1 (ko) 반도체 디바이스 탑재용 인서트
KR101873542B1 (ko) 경첩 설치용 도어 승강 장치
CN217719529U (zh) 料盘存取机构
WO2023098898A1 (zh) 一种托盘安装机构、换电设备以及换电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