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9361A - 과전류 계전기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과전류 계전기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9361A
KR20170089361A KR1020160009677A KR20160009677A KR20170089361A KR 20170089361 A KR20170089361 A KR 20170089361A KR 1020160009677 A KR1020160009677 A KR 1020160009677A KR 20160009677 A KR20160009677 A KR 20160009677A KR 20170089361 A KR20170089361 A KR 20170089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itude
sampling data
magnitude value
sampling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9699B1 (ko
Inventor
윤재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9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699B1/ko
Publication of KR20170089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02Monitoring or fail-safe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0Testing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단기의 턴온 동작 시, 부하로 공급되는 AC 전원을 계측한 전원계측신호를 출력하는 계측부, 상기 전원계측신호를 샘플링한 샘플링 데이터를 출력하는 샘플링부 및 상기 샘플링 데이터 중 상기 AC 전원의 제1 반주기에 해당되는 제1 샘플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1 크기값 및 상기 AC 전원의 제2 반주기에 해당되는 제2 샘플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2 크기값을 연산하고, 상기 제1, 2 크기값이 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하면 상기 차단기가 턴온 동작으로 유지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과전류 계전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과전류 계전기 및 그 동작방법{Over current relay and the operating method}
본 발명은 과전류 계전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외란 발생시, 전원에 포함된 외란으로 의한 계전 오동작을 방지하기 용이한 과전류 계전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전류 계전기는 부하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제어가 가능하며 부하에 흐르는 전류에 있어서 과전류, 단락전류와 같은 사고전류 발생시 부하를 보호할 수 있는 계전기이다.
이러한 부하의 보호목적을 위해서 과전류 계전기는 전원공급 회로상의 전류 또는 전압을 검출하는 측정부 및 사고전류 발생시 과전류 계전기에 의해 제어되어 회로를 차단함으로써 부하를 사고전류로부터 보호하는 차단기와 접속하여 사용되고 있다.
즉, 과전류 계전기는 단상 또는 3상 전력 시스템에서 쓰이는 전류/전압을 입력 받을 수 있는 레벨로 측정부를 이용하여 변환한다.
과전류 계전기는 변환된 전류/전압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 신호를 샘플링하여 샘플링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후, 과전류 계전기는 샘플링 데이터를 전원의 한 주기에 대응되게 저장한 후 설정된 크기 검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산출된 크기를 기반으로 사고 판단을 할 수 있다.
보통, 과전류 계전기는 계산된 크기가 사용자가 설정한 값보다 크거나 또는 작으면 외부로 신호를 출력하여 사고를 차단하거나 사용자에게 고장정보를 알려 주게 된다. 사고가 아닐 경우는 감시를 지속할 수 있는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최근들어, 외란, 예를 들어 낙뢰, 고조파, 노이즈 등이 수 ms 정도 짧은 순간 발생하여, 크기가 급격히 증가된 샘플링 데이터를 취득하는 경우, 과전류 계전기는 한 주기에 해당되는 샘플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크기를 산출할 경우 외란의 영향이 한 주기 동안 유지되게 되어 오동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란 발생시, 전원에 포함된 외란으로 의한 계전 오동작을 방지하기 용이한 과전류 계전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과전류 계전기는, 차단기의 턴온 동작 시, 부하로 공급되는 AC 전원을 계측한 전원계측신호를 출력하는 계측부, 상기 전원계측신호를 샘플링한 샘플링 데이터를 출력하는 샘플링부 및 상기 샘플링 데이터 중 상기 AC 전원의 제1 반주기에 해당되는 제1 샘플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1 크기값 및 상기 AC 전원의 제2 반주기에 해당되는 제2 샘플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2 크기값을 연산하고, 상기 제1, 2 크기값이 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하면 상기 차단기가 턴온 동작으로 유지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측부는, 상기 AC 전원의 전류 및 전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전원계측신호를 출력하는 CT(Current transformer) 및 PT(potential transform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샘플링부는, 상기 전원계측신호를 설정된 샘플링주기에 따라 샘플링한 상기 샘플링 데이터를 출력하는 ADC(analog digital converter)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2 크기값이 오차범위 내에서 동일한지 판단하는 제1 판단부 및 상기 제1, 2 크기값이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하면, 상기 차단기가 턴온 동작을 유지하게 제어하는 동작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2 샘플링 데이터를 설정된 이산푸리에변환(DFT) 및 실효치(RMS) 알고리즘에 대입하여 상기 제1, 2 크기값을 연산하는 연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는, 상기 샘플링 데이터 중 상기 AC 전원의 한 주기에 해당되는 제3 샘플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3 크기값을 연산할 수 있다.
상기 한 주기는, 상기 제1, 2 반주기를 합한 주기이며, 상기 제3 샘플링 데이터는, 상기 제1, 2 샘플링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3 크기값은, 상기 제1, 2 크기값을 합한 크기값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크기값이 설정된 기준 크기값 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제2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제1, 2 크기값이 오차 범위 내에서 서로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제2 판단부로 상기 제3 크기값이 상기 기준 크기값 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제3 크기값이 상기 기준 크기값 범위에 속하면 상기 차단기가 턴온 동작을 유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제3 크기값이 상기 기준 크기값 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부하로 공급되는 상기 AC 전원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차단기가 턴오프 동작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차단기의 턴오프 동작시, 상기 AC 전원의 이상을 알리는 알림 정보가 표시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과전류 계전기의 동작방법은, 차단기의 턴온 동작 시, 부하로 공급되는 AC 전원을 계측한 전원계측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전원계측신호를 샘플링한 샘플링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샘플링 데이터 중 상기 AC 전원의 제1 반주기에 해당되는 제1 샘플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1 크기값 및 상기 AC 전원의 제2 반주기에 해당되는 제2 샘플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2 크기값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제1, 2 크기값이 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2 크기값이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하면, 상기 차단기가 턴온 동작으로 유지되게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과전류 계전기의 동작방법은, 상기 판단 단계 이후, 상기 제1, 2 크기값이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샘플링 데이터 중 상기 AC 전원의 한 주기에 해당되는 제3 샘플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3 크기값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제3 크기값이 설정된 기준 크기값 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크기값이 상기 기준 크기값 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부하로 공급되는 상기 AC 전원의 차단을 위해 상기 차단기가 턴오프 동작되게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과전류 계전기의 동작방법은, 상기 판단 단계 이후, 상기 제3 크기값이 상기 기준 크기값 범위에 속하면, 상기 차단기가 턴온 동작으로 유지되게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기가 턴오프 동작되게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차단기의 턴오프 동작시, 상기 AC 전원의 이상을 알리는 알림 정보가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과전류 계전기 및 그 동작방법은 부하로 입력되는 AC 전원의 반주기에 해당되는 전원계측신호를 샘플링한 샘플링 데이터의 크기값을 서로 비교하여 AC 전원에 외란 성분이 포함되는 경우 외란 성분을 확인함으로써, 외란 성분에 의한 오동작, 즉 차단기가 턴오프 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전류 계전기의 제어구성을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과전류 계전기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과전류 계전기 및 그 동작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또는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전류 계전기의 제어구성을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과전류 계전기(100)는 차단기(110), 계측부(130), 샘플링부(15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기(11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부하(load)로 AC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즉, 차단기(110)는 상기 AC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와 부하(load)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AC 전원의 이상으로 인한 과전류가 부하(load)로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차단기(110)는 턴온 동작시, 부하(load)로 상기 AC 전원을 공급하며, 턴오프 동작시 부하(load)로 공급되는 상기 AC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계측부(130)는 상기 AC 전원의 전류 및 전압 중 적어도 하나를 연속적으로 계측한 전원계측신호(s1)를 제어부(17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계측신호(s1)는 아날로그 형태의 상기 AC 전원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로써, CT(Current transformer) 및 PT(potential transform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샘플링부(150)는 전원계측신호(s1)를 설정된 샘플링 주기에 따라 샘플링한 샘플링 데이터(s2)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샘플링부(150)는 ADC(analog digital converter)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어부(170)는 연산부(182), 제1 판단부(184), 제2 판단부(186) 및 동작제어부(188)를 포함할 수 있다.
연산부(182)는 샘플링 데이터(s2) 중 상기 AC 전원의 제1 반주기, 예를 들면 220V 60Hz를 갖는 AC 전원 입력시, 30Hz 주기에 해당되는 제1 샘플링 데이터(s2_1)를 기반으로 설정된 크기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제1 크기값(d1)을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연산부(182)는 샘플링 데이터(s2) 중 상기 제1 반주기를 제외한 상기 AC 전원의 제2 반주기에 해당되는 제2 샘플링 데이터(s2_2)를 기반으로 상기 크기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제2 크기값(d2)을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연산부(182)는 제2 크기값(d2)이 연산되면, 샘플링 데이터(s2) 중 상기 AC 전원의 한 주기에 해당되는 제3 샘플링 데이터(s2_12)를 기반으로 제3 크기값(d12)을 연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주기는 상기 제1, 2 반주기를 합한 주기이며, 제3 샘플링 데이터(s2_12)는 제1, 2 샘플링 데이터(s2_1, s2_2)를 포함하며, 제3 크기값(d12)은 제1, 2 크기값(d1, d2)을 합한 크기값일 수 있다.
상기 크기 알고리즘은 이산푸리에변환(DFT) 및 실효치(RMS)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2 크기값(d1, d2)을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즉, 전력 계통의 신호는 50Hz 또는 60Hz로 고정된 계통이다. 약간의 변동폭이 있을 수 있으나, 높게 잡아도 1% 미만으로 보고 있다.
과전류 계전기에 연속적으로 들어오고 있는 50 / 60Hz 정현파 신호의 경우는 반주기, 한주기 평균값이 어떤 시점에서 일정하다. 그러므로, 파형의 평균적인 크기를 이야기할 수 있는 것이다. 1/2주기와 배수 관계가 없는 주기를 사용하여 평균을 구한다면, 그 시작 시점에 따라 평균값은 항상 다르게 나온다.
즉, 파형의 크기를 정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와 같은 이유로, 평균값의 개념을 적용할 수 있는 최소한의 시간인 1/2 주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1/2 주기로 평균값을 계산하면 한 주기 평균값을 계산할 때 중복되는 부분이 있으므로 계산량을 줄일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d1 or d2는 제1, 2 크기값(d1, d2), T/2는 제1, 2 반주기, s1 or s2는 제1, 2 샘플링 데이터(s1, s2) 일 수 있다.
[수학식 1]은 제1, 2 반주기에 해당되는 제1, 2 크기값이며, 한 주기에 해당되는 제3 크기값은 제1, 2 크기값을 합한 값일 수 있다.
제1 판단부(184)는 연산부(182) 또는 동작제어부(188)에서 제공된 제1, 2 크기값(d1, d2)이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서 서로 동일한지 판단할 수 있다.
즉, 제1 판단부(184)는 제1, 2 크기값(d1, d2) 중 어느 하나에 외란 성분, 예를 들면 수 ms 정도로 짧은 순간 발생되는 낙뢰, 고조파 및 노이즈 중 적어도 하나의 성분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판단부(184)는 제1, 2 크기값(d1, d2)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외란 성분이 존재하면, 그 크기값이 크게 변동되므로, 제1, 2 크기값(d1, d2)이 서로 동일하지 않는 경우에 제1, 2 크기값(d1, d2)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외란 성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제1 판단부(184)는 제1, 2 크기값(d1, d2)이 서로 동일한지 여부를 제어부(188)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판단부(186)는 연산부(182) 또는 동작제어부(188)에서 제공된 제3 크기값(d12)이 설정된 기준 크기값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2 판단부(186)는 제1 판단부(184)의 판단 결과 제1, 2 크기값(d1, d2)가 서로 동일하지 않으면, 제1, 2 크기값(d1, d2) 중 어느 하나에 외란 성분이 존재하는지 확인검증을 할 수 있다.
제2 판단부(186)는 제3 크기값(d12)이 상기 기준 크기값 범위에 속하면 제1, 2 크기값(d1, d2)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외란 성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 검증하여, 상기 AC 전원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2 판단부(186)는 제3 크기값(d12)이 상기 기준 크기값 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AC 전원이 이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2 판단부(186)는 판단결과를 동작제어부(188)로 출력할 수 있다.
동작제어부(188)는 제1 판단부(184)의 판단 결과, 제1, 2 크기값(d1, d2)가 서로 동일하지 않으면 제2 판단부(186)가 동작되게 제어할 수 있다.
먼저, 동작제어부(188)는 제1 판단부(184)의 판단 결과, 제1, 2 크기값(d1, d2)가 서로 허용오차 범위 내에서 서로 동일하면 계측부(130)에서 상기 AC 전원이 계측되게 제어하며, 차단기(110)가 턴온 동작으로 유지되게 제어할 수 있다.
동작제어부(188)는 제1 판단부(184)의 판단 결과, 제1, 2 크기값(d1, d2)가 서로 동일하지 않으면 계측부(130)에서 상기 AC 전원이 계측되지 않도록 제어하며, 차단기(110)를 턴오프 동작으로 전환되게 제어할 수 있다.
이후, 동작제어부(188)는 제2 판단부(186)가 제3 크기값(d12)가 상기 기준 크기값 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동작제어부(188)는 제2 판단부(186)의 판단 결과, 제3 크기값(d12)이 상기 기준 크기값 범위에 속하면 상기 AC 전원이 정상인 것으로 확인하여, 차단기(110)가 턴온 동작으로 유지되게 제어하며, 계측부(130)에서 상기 AC 전원이 계측되게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동작제어부(188)는 제2 판단부(186)의 판단 결과, 제3 크기값(d12)이 상기 기준 크기값 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부하(load)로 공급되는 상기 AC 전원이 차단되게 차단기(110)가 턴오프 동작으로 전환되게 제어하며, 계측부(130)에서 상기 AC 전원이 계측되지 않게 제어할 수 있다.
이후, 동작제어부(188)는 상기 AC 전원이 이상에 대한 알림 정보(f)를 표시부(미도시)에 표시되게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판단부(184)는 제1, 2 크기값(d1, d2)이 서로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이전에, 제1, 2 크기값(d1, d2)이 설정된 상기 기준 크기값 범위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먼저 확인할 수 있으며, 제1, 2 크기값(d1, d2) 모두가 상기 기준 크기값 범위에 해당되지 않으면 차단기(110)가 턴오프 동작되게 동작 제어부(188)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과전류 계전기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과전류 계전기(100)의 계측부(130)는 차단기(110)의 턴온 동작 시, 부하(load)로 공급되는 AC 전원을 계측한 전원계측신호(s1)를 출력할 수 있다(S210).
샘플링부(150)는 전원계측신호(s1)를 샘플링한 샘플링 데이터(s2)를 출력할 수 있다(S220).
제어부(170)는 샘플링 데이터(s2) 중 상기 AC 전원의 제1 반주기에 해당되는 제1 샘플링 데이터(s2_1)를 기반으로 제1 크기값(d1) 및 상기 AC 전원의 제2 반주기에 해당되는 제2 샘플링 데이터(s2_2)를 기반으로 제2 크기값(d2)을 연산할 수 있다(S230).
제어부(170)는 제1, 2 크기값(d1, d2)이 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지 판단할 수 있다(S240).
(S240) 단계 이후, 제어부(170)는 제1, 2 크기값(d1, d2)이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하면, 차단기(110)가 턴온 동작으로 유지되게 제어할 수 있다(S250).
(S240) 단계 이후, 제어부(170)는 제1, 2 크기값(d1, d2)이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하지 않으면, 샘플링 데이터(s3) 중 상기 AC 전원의 한 주기에 해당되는 제3 샘플링 데이터(s2_12)를 기반으로 제3 크기값(d12)을 연산할 수 있다(S260).
제어부(170)는 제3 크기값(d12)이 설정된 기준 크기값 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270).
이후, 제어부(170)는 제3 크기값(d12)이 상기 기준 크기값 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부하(load)로 공급되는 상기 AC 전원의 차단을 위해 차단기(110)가 턴어프 동작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AC 전원의 이상을 알리는 알림 정보가 표시되게 제어할 수 있다(S280).
(S270) 단계 이후, 제어부(170)는 제3 크기값(d12)이 상기 기준 크기값 범위에 속하면, 차단기(110)가 턴온 동작으로 유지되게 제어할 수 있다(S290).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6)

  1. 차단기의 턴온 동작 시, 부하로 공급되는 AC 전원을 계측한 전원계측신호를 출력하는 계측부;
    상기 전원계측신호를 샘플링한 샘플링 데이터를 출력하는 샘플링부; 및
    상기 샘플링 데이터 중 상기 AC 전원의 제1 반주기에 해당되는 제1 샘플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1 크기값 및 상기 AC 전원의 제2 반주기에 해당되는 제2 샘플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2 크기값을 연산하고, 상기 제1, 2 크기값이 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하면 상기 차단기가 턴온 동작으로 유지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과전류 계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부는,
    상기 AC 전원의 전류 및 전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전원계측신호를 출력하는 CT(Current transformer) 및 PT(potential transform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과전류 계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부는,
    상기 전원계측신호를 설정된 샘플링주기에 따라 샘플링한 상기 샘플링 데이터를 출력하는 ADC(analog digital converter)인 과전류 계전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2 크기값이 오차범위 내에서 동일한지 판단하는 제1 판단부; 및
    상기 제1, 2 크기값이 오차범위 내에서 동일하면, 상기 차단기가 턴온 동작을 유지하게 제어하는 동작제어부를 포함하는 과전류 계전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2 샘플링 데이터를 설정된 이산푸리에변환(DFT) 및 실효치(RMS) 알고리즘에 대입하여 상기 제1, 2 크기값을 연산하는 연산부를 더 포함하는 과전류 계전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샘플링 데이터 중 상기 AC 전원의 한 주기에 해당되는 제3 샘플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3 크기값을 연산하는 과전류 계전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주기는,
    상기 제1, 2 반주기를 합한 주기이며,
    상기 제3 샘플링 데이터는,
    상기 제1, 2 샘플링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3 크기값은,
    상기 제1, 2 크기값을 합한 크기값인 과전류 계전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크기값이 설정된 기준 크기값 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제2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과전류 계전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제1, 2 크기값이 오차 범위 내에서 서로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제2 판단부로 상기 제3 크기값이 상기 기준 크기값 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하게 제어하는 과전류 계전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제3 크기값이 상기 기준 크기값 범위에 속하면 상기 차단기가 턴온 동작을 유지하게 제어하는 과전류 계전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제3 크기값이 상기 기준 크기값 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부하로 공급되는 상기 AC 전원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차단기가 턴오프 동작되게 제어하는 과전류 계전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차단기의 턴오프 동작시, 상기 AC 전원의 이상을 알리는 알림 정보가 표시되게 제어하는 과전류 계전기.
  13. 차단기의 턴온 동작 시, 부하로 공급되는 AC 전원을 계측한 전원계측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전원계측신호를 샘플링한 샘플링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샘플링 데이터 중 상기 AC 전원의 제1 반주기에 해당되는 제1 샘플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1 크기값 및 상기 AC 전원의 제2 반주기에 해당되는 제2 샘플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2 크기값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제1, 2 크기값이 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2 크기값이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하면, 상기 차단기가 턴온 동작으로 유지되게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전류 계전기의 동작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 이후,
    상기 제1, 2 크기값이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샘플링 데이터 중 상기 AC 전원의 한 주기에 해당되는 제3 샘플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3 크기값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제3 크기값이 설정된 기준 크기값 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크기값이 상기 기준 크기값 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부하로 공급되는 상기 AC 전원의 차단을 위해 상기 차단기가 턴오프 동작되게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과전류 계전기의 동작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 이후,
    상기 제3 크기값이 상기 기준 크기값 범위에 속하면, 상기 차단기가 턴온 동작으로 유지되게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과전류 계전기의 동작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가 턴오프 동작되게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차단기의 턴오프 동작시, 상기 AC 전원의 이상을 알리는 알림 정보가 표시하는 과전류 계전기의 동작방법.
KR1020160009677A 2016-01-26 2016-01-26 과전류 계전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769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677A KR101769699B1 (ko) 2016-01-26 2016-01-26 과전류 계전기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677A KR101769699B1 (ko) 2016-01-26 2016-01-26 과전류 계전기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361A true KR20170089361A (ko) 2017-08-03
KR101769699B1 KR101769699B1 (ko) 2017-08-18

Family

ID=59655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677A KR101769699B1 (ko) 2016-01-26 2016-01-26 과전류 계전기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96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4845A (ko) * 2017-12-01 2019-06-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보호계전기
KR102014067B1 (ko) * 2018-07-04 2019-08-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고장을 진단하는 지능형 전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동작 방지 방법
KR20190122104A (ko) * 2018-04-19 2019-10-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보호 계전기 및 이의 오동작 방지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2872B1 (en) * 1999-06-03 2001-07-17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onic trip unit with user-adjustable sensitivity to current spik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4845A (ko) * 2017-12-01 2019-06-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보호계전기
KR20190122104A (ko) * 2018-04-19 2019-10-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보호 계전기 및 이의 오동작 방지 방법
KR102014067B1 (ko) * 2018-07-04 2019-08-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고장을 진단하는 지능형 전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동작 방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9699B1 (ko) 2017-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82409B1 (en) DC Arc fault detection and protection
KR101769699B1 (ko) 과전류 계전기 및 그 동작방법
US20160181794A1 (en) Inrush Current Limiting Circuit
CN106329474A (zh) 保护装置及操作其的方法、计算机程序产品及电气设施
JP5972638B2 (ja) 保護制御装置
US20220231497A1 (en) Overcurrent protection device for protecting a consumer arranged in a dc grid
US11870235B2 (en) Self-power relay and method for preventing malfunction thereof
JP6805332B2 (ja) 交流電力線内の直流成分がいつ指定の閾値を通過したか判定するように構成された制御回路
CN109038485B (zh) 一种漏电流故障的检测方法、装置和系统
KR101332842B1 (ko) 차량의 쇼트 판단장치
US11050362B2 (en) Power conversion device and abnormality detection method
EP2744100B1 (en) Systems and methods of transformer failure detection and control
KR101328622B1 (ko) 전원부 및 부하부 보호시스템
JP5758226B2 (ja) 電子サーマル保護装置と電子サーマル保護装置の動作方法
KR101037000B1 (ko) 디지털입력 감지에 대한 지연 설정이 가능한 디지털 계전기 및 디지털 계전기의 입력신호 처리 방법
JP2008151693A (ja) 半導体試験装置
WO2024057625A1 (ja) 電力変換装置および電力変換装置による電気系統異常検出方法
KR101308054B1 (ko) 전압 변동률 및 고조파 분석을 이용한 지락고장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JP6604179B2 (ja) 充電装置及び充電制御方法
KR20160063873A (ko) 고장진단이 가능한 전력변환장치
KR102006186B1 (ko) 디지털 보호 계전기
KR102441016B1 (ko) 인버터 직류단 전압 검출장치
CN108233331B (zh) 电源断路器
KR102182635B1 (ko) 인버터 고장 검출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인버터 고장 검출 시스템
KR100215755B1 (ko) 지티오(gto) 병렬 운전을 위한 전류 분담율 측정 및 고장진단 장치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