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9077A -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9077A
KR20170089077A KR1020160008784A KR20160008784A KR20170089077A KR 20170089077 A KR20170089077 A KR 20170089077A KR 1020160008784 A KR1020160008784 A KR 1020160008784A KR 20160008784 A KR20160008784 A KR 20160008784A KR 20170089077 A KR20170089077 A KR 20170089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ime series
atopic dermatitis
data
sympt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8965B1 (ko
Inventor
장보형
정원모
김현호
윤영희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08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8965B1/ko
Publication of KR20170089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06F19/3456
    • G06F19/347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는 외부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로서,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복약정보, 신체정보, 식습관정보 및 증상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통해서 환자의 상태와 생활패턴을 판단하여 상태데이터를 생성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에 입력되는 정보인 복약정보, 신체정보, 식습관 정보 및 증상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에 시계열 데이터를 매칭시켜 시계열 정보를 생성하고, 판단부에서 생성되는 상태데이터에 시계열 데이터를 매칭시켜 시계열 상태데이터를 생성하는 카운터 클락 및 상기 카운터 클락에서 생성된 시계열 상태데이터를 이용하여 생활처방데이터를 생성하는 진단처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관리 시스템.{ATOPIC DERMATITIS MANEAGEMENT DEVICE AND MANEAGE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관리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토피 피부염 환자가 입력하는 시계열 데이터를 통해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게 진단 및 케어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속도로 발달하고 있는 모바일 네트워크 산업을 다양한 분야에 접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어왔다. 한의학, 의학산업도 예외없이 모바일 네트워크 시스템과의 접목을 위한 법률적 논의, 기술적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 한의학, 의학분야 산업에서 원격의료진료에 대한 제도적 도입문제가 수면위로 부상하고 있는 시점에 소비자들의 편의성과 동시에 오진없는 진단을 위한 시스템 개발과 시스템 안정성, 개인정보 유출방지를 위한 다양한 기술적 해결책들이 제시되어오고 있다.
종래 모바일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아토피 피부염을 가진 환자의 개인 건강기록을 위한 모델들은 삼성서울병원에서 개발한 아토피 수첩, PO-Scorad phone, 힐링차일드 소아아토피피부염, Skin medication monitor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개별환자의 프로파일을 등록한 이후 환자의 아토피 피부염과 관련된 증상(가려움증, 야간 수면장애, 발적, 건조, 진물, 부종, 딱지, 두꺼워진 피부) 등을 정량적 수치로 기록하도록 하고, 이러한 증상을 기록하는 형태는 크게 자가 개발된 설문지의 형태와 아토피 피부염 증상 평가에 사용되는 SCORAD Index를 이용하는 방법, 두가지로 나뉜다. 일부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이를 그래프 형태로 주, 개월 단위의 정보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이중 일부 어플리케이션은 아토피 피부염 증상외의 정보(식사, 복약 등)를 기록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모델들은 환자의 기록만을 효율적으로 저장하는데만 그치고 있고, 이러한 아토피 피부염 관련 정보를 효율적으로 진료나 증상관리에 활용하기 적합하지 않다.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질병은 환자의 일상적인 생활습관이나 섭취음식 등에 매우 민감하게 호전되거나 악화되는 생활질병으로, 증상호전과 악화의 요인을 제대로 찾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특히 진료하는 의사가 환자의 생활정보를 일일히 파악하기는 거의 불가능하고, 환자의 기억에 의존해야 하기 때문에 실제 환자의 증상호전, 악화 요인을 찾아 진단하고 처방하는 것 자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종래기술인 대한민국 출원번호 제10-2003-0038842호 "개인의 건강정보를 이용한 건강리듬 관리 시스템 및 검진방법"은 개인의 건강정보를 이용하여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질병들을 예상하여 통보해주는 시스템으로서,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질환에는 적용되기 어려운 시스템이며, 대한민국 출원번호 제10-2010-0041900호 "한의학 진단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은 메인서버를 이용하여 진단정보를 온라인으로 수신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 또한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생활정보가 매우 중요한 질환에서는 적용하기 어려운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토피 피부염 환자가 입력하는 모든 생활정보를 통해서 환자를 진단하고, 치료의견을 제시하거나 의사가 환자의 생활패턴 등을 통해서 신뢰성 높은 진단 및 처방을 수행할 수 있는 기본데이터를 제공하는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정보가 환자 자신이 원하는 의사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는 외부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로서,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복약정보, 신체정보, 식습관정보 및 증상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통해서 환자의 상태와 생활패턴을 판단하여 상태데이터를 생성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에 입력되는 정보인 복약정보, 신체정보, 식습관 정보 및 증상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에 시계열 데이터를 매칭시켜 시계열 정보를 생성하고, 판단부에서 생성되는 상태데이터에 시계열 데이터를 매칭시켜 시계열 상태데이터를 생성하는 카운터 클락 및 상기 카운터 클락에서 생성된 시계열 상태데이터를 이용하여 생활처방데이터를 생성하는 진단처방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는 상기 시계열 정보와 상기 시계열 상태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진단처방부에서 생활처방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복약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환자의 복약횟수, 복약시간 및 복약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복약정보와 비교하는 복약판단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체정보는 환자의 키, 몸무게, 나이 및 성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생장곡선정보와 상기 신체정보를 비교하여 기 정해진 오차범위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성장판단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습관 정보는 섭취음식의 종류, 식사횟수, 식사량, 음주여부 및 흡연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식습관 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식습관 정보를 비교하는 식습관패턴 판단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증상정보는 환자의 증상이나 상태와 관련된 텍스트 정보 또는 피부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증상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과거증상정보를 비교하는 증상판단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진단처방부는 상기 증상정보를 이용하여 상태의 악화 또는 호전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상태데이터를 기초로 외용제추천정보 또는 병원내방추천정보를 포함하는 생활처방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와 복약정보, 신체정보, 식습관정보 및 증상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상기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에 전송하는 제1단말 및 상기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에서 생성된 시계열 정보 또는 시계열 상태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단말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단말과 상기 제2단말은 상기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에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인증부를 통해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후에 상기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단말이 상기 시계열 정보 또는 시계열 상태데이터의 수신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인증부는 상기 제1단말에 상기 제2단말의 접근허용을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관리방법은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에 의해서 수행되는 아토피 피부염 관리방법으로서, 복약정보, 신체정보, 식습관정보 및 증상정보 증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약정보, 신체정보, 식습관정보 및 증상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상태와 생활패턴을 포함하는 상태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상태데이터에 시계열 데이터를 매칭시켜 시계열 상태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시계열 상태데이터를 이용하여 환자의 상태를 진단하고, 처방하는 생활처방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관리방법은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에 접속을 요청하는 외부장치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계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약정보, 신체정보, 식습관정보 및 증상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와 시계열 데이터를 매칭시켜 시계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태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증상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텍스트 정보의 형태소를 분석하고, 피부이미지의 화소분석을 통해 증상의 변화를 정량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는 환자가 입력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아토피 피부염의 호전 내지는 악화를 진단하며, 생활처방을 통해 손쉽게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환자의 일상을 기록한 데이터를 환자가 선택한 의사에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다 신뢰성 높은 처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환자의 지극히 개인적인 생활패턴에 관한 정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비밀유지 의무가 있고, 환자가 선택한 의료진에게만 공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개인건강기록 데이터의 축적 및 임상적 치료효과 기록을 데이터화하고 있어 임상의에게 유용한 자료로 구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임상적 특성, 변증 아형, 예후 등의 특성을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치료의 유효율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사물인터넷과 연동을 통한 아토피 피부염 발생, 악화, 호전 환경의 역학적 조사 및 조절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단부의 상세 기능블록도이다.
도 3은 한국소아의 발육곡선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관리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는 서버일 수 있으며, 아토피 피부염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웹서버와 웨어플리케이션 서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웹서버는 Apache, IIS 또는 WebtoB 일 수 있으며, 웹어플리케이션 서버(WAS : Web Application Server)는 tomcat, Glassfish, Websphere, Weblogic, JBoss 또는 JEUS 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10)는 외부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00)를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10)로서, 상기 통신부(100)를 통해서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200)와 복약정보, 신체정보, 식습관정보 및 증상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통해서 환자의 상태와 생활패턴을 판단하여 상태데이터를 생성하는 판단부(300), 상기 판단부(300)에 입력되는 정보인 복약정보, 신체정보, 식습관 정보 및 증상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에 시계열 데이터를 매칭시켜 시계열 정보를 생성하고, 판단부(300)에서 생성되는 상태데이터에 시계열 데이터를 매칭시켜 시계열 상태데이터를 생성하는 카운터 클락(400); 및 상기 카운터 클락(400)에서 생성된 시계열 상태데이터를 이용하여 생활처방데이터를 생성하는 진단처방부(500)를 포함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10)는 시계열 정보와 시계열 상태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진단처방부(500)에서 생활처방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600)를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부'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100)는 외부장치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10)간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망은, 개방형 인터넷, 폐쇄형 인트라넷을 포함한 유선 인터넷망, 이동 통신망과 연동된 무선 인터넷 통신망뿐만 아니라, 각종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 네트워크 등의 가능한 통신 수단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바람직하게는 무선 네트워크망을 통신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증부(200)는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접속을 위한 아이디와 비밀번호일 수 있으며, 처음 접속을 통해서 입력했던 개인정보, 즉 사용자 이름, 생년월일, 핸드폰번호 등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에 저장되고, 인증부(200)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했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스마트폰의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면 사용자의 단말을 스마트폰 번호를 통해서 자동으로 인식하고, 이를 사용자로 식별하는 주 식별코드로 활용하여 각 개인을 식별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별도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개인설정행위를 통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10)와 스마트폰은 연결될 수 있다.
판단부(300)는 복약정보, 신체정보, 식습관정보 및 증상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통해서 환자의 상태와 생활패턴을 판단하여 상태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단부의 상세 기능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단부(300)는 복약판단모듈(310), 성장판단모듈(320), 식습관패턴판단모듈(330) 및 증상판단모듈(340)을 포함한다.
복약판단모듈(310)은 복약정보인 환자의 복약횟수, 복약시간 및 복약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기준복약정보와 비교한다. 기준복약정보는 아래 설명할 저장부(600)에 저장되어 있으며, 복약정보는 외부장치, 즉 환자의 휴대용 단말(스마트폰)을 통해서 입력되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환자가 아토피피부염과 관련된 약을 복용할 때, 복약횟수, 복약량을 자신의 휴대용 단말을 통해서 입력하고, 복약판단모듈(310)은 기준복약정보와 입력된 복약횟수, 복약량을 비교하게 된다. 기준복약정보는 아래 설명하게 될 시스템에서 제2단말(의사 단말)에서 입력되어 저장부(600)에 저장된 정보일 수 있다.
판단부(300)는 신체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600)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생장곡선정보와 비교하여 기 정해진 오차범위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성장판단모듈(320)을 포함한다.
도 3은 한국소아의 발육곡선 그래프이다.
저장부(600)에 기준생장곡선정보인 도 3과 같은 한국소아의 발육곡선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환자에 의해서 입력된 신체정보 중 환자의 키에 관한 정보를 한국소아의 발육곡선정보와 비교하게 된다. 이 때, 신체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나이 및 성별정보 또는 몸무게를 기준으로 환자의 키 발육상태를 점검하게 된다.
만일 아토피 피부염 환자가 유아(만 5세)이고, 남아인 경우, 나이와 성별정보를 통해서 일반적인 기준키가 기준생장곡선정보에 의해서 도출되고, 이를 입력되는 신체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환자의 키와 비교하여 키성장이 더딘지, 빠른지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오차범위 내에서 판단하게 된다. 이는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경우 대부분 성장이 활발한 20세미만에서 많이 나타나고, 가려움증 등으로 인해 충분한 수면을 방해받게 되어 성장발육에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입력되는 신체정보를 통해서 기준키와의 차이에 대해서 살펴보게 된다. 또한 몸무게와 키의 관계를 통해서 비만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식습관패턴 판단모듈(330)은 섭취음식의 종류, 식사횟수, 식사량, 음주여부 및 흡연여부를 포함하는 식습관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식습관정보와 비교한다.
기준식습관정보는 아토피환자가 먹지 말아야 할 유제품이나 기름기가 많은 음식, 흡연이나 음주습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환자의 스마트폰을 통해서 입력되는 우유나 치즈 등을 섭취하게 되는 경우 식습관패턴 판단모듈(330)은 기준식습관정보에서 먹지 말아야 할 음식으로 분류된 음식을 섭취한 경우이므로 진단처방부(500)에서 생활처방데이터로서 환자에게 알리고, 자제할 것을 경고하도록 한다. 또한, 알코올이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기 어려운 칵테일이나 발효주스 등을 먹고, 섭취음식의 종류를 입력하게 되면 기준식습관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알코올성분을 함유한 종류에 속하는 음료로서, 환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또한, 아침, 점심, 저녁 식사의 식사량이나 식사의 종류 등을 입력하게 되면, 이후 이러한 정보가 모두 저장된다.
증상판단모듈(340)은 환자의 증상이나 상태와 관련된 텍스트 정보 또는 피부이미지를 포함하는 증상정보를 저장부(600)에 저장된 과거 증상정보와 비교한다.
텍스트 정보는 환자의 스마트폰에 자유롭게 입력하는 환자 자신의 상태와 피부의 가려움 정도 등 아토피로 발현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증상이나 일상적인 기분 등을 자유롭게 기재할 수 있으며, 피부이미지는 직접 자신의 피부사진을 찍어서 과거 증상정보와 비교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판단부(300)가 포함하고 있는 복약판단모듈(310)은 외부장치(환자의 스마트폰)를 통해 입력되는 복약정보를 기준복약정보와 비교한 데이터, 성장판단모듈(320)은 신체정보를 기준생장곡선과 비교한 데이터, 식습관패턴판단모듈(330)은 식습관정보를 기준식습관정보와 비교한 데이터, 증상판단모듈(340)은 증상정보를 텍스트 분석 및 과거 이미지와 비교한 데이터인 상태데이터를 생성한다.
카운터 클락(400)은 외부장치에 의해서 판단부(300)에 입력되는 정보인 복약정보, 신체정보, 식습관정보, 증상정보에 시계열 데이터를 매칭시켜 시계열 정보를 생성하고, 판단부(300)에서 생성된 상태데이터에 시계열 데이터를 매칭시켜 시계열 상태데이터를 생성한다.
시계열 데이터는 날자, 시, 분, 초 단위의 달력/시계로서, 입력되거나 생성된 정보에 시간을 시, 분, 초 단위로 분류하여 매칭된다.
예를 들어 외부장치에 의해서 입력되는 신체정보에 대해서 입력한 날자, 시간, 분, 초 등을 함께 매칭시켜서 시계열 정보를 생성하며, 식습관정보에 대해서 식사량, 식사의 종류를 입력하면 카운터 클락에서는 자동으로 언제, 몇시, 몇분에 어떤 종류의 식사를 했는지를 별도로 입력하지 않더라도 매칭시켜 시계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만일 소정시간이 지난 이후에 외부장치를 통해서 각종 정보(복약정보, 신체정보, 식습관정보, 증상정보 등)를 입력할 때는 수동으로 시간입력이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카우터 클락(400)을 통과한 각종 정보와 상태데이터는 각각 시계열 정보와 시계열 상태데이터로 변환된다.
시계열 정보는 환자의 모든 행위에 대해서 날자, 시간정보가 함께 매칭되는 정보를 의미하고, 상태데이터는 환자에 의해서 입력된 각종 정보에 대한 판단으로서, 날자, 시간정보가 함께 매칭되어 시계열 상태데이터가 된다.
시계열 상태데이터는 입력된 식습관 정보를 통해서 환자가 먹지 말아야 할 음식을 섭취했다고 판단하는 상태데이터가 생성되면, 이에 날자, 시간정보를 매칭시켜서 “2015.10.10일 14시 23분에 알코올 성분함유 주스 섭취” 등과 같은 시계열 상태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러한 시계열 상태데이터는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게 명확하게 도움이 되지 않거나 해를 발생시킬 수 있는 판단부(300)에서 판단된 사항에 대해서 이후 의사 등에게 전달하여 손쉽게 문제가 있는 행위나 환자의 상태 등에 대해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진단처방부(500)는 카운터 클락(400)에서 생성된 시계열 상태데이터를 이용하여 생활처방데이터를 생성한다. 진단처방부(500)는 저장부(600)에 저장되어 있는 기본처방가이드 등을 이용해서 성장판단모듈(320)에서 검색된 비만판단에 대해서 식습관 패턴에서 식사시간이나 횟수를 줄이도록 하는 가이드를 제공한다.
또한 진단처방부(500)는 보다 능동적으로 증상정보에 입력된 이미지를 판단한 결과 국부적으로 아토피 피부염 발생부위가 늘어나는 것으로 판단한 상태데이터를 확인하고, 스테로이드 계열의 연고(외용제)를 얇게 바르도록 하는 정보를 제공하고, 병원내방을 추천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저장부(600)는 카운터 클락(400)에서 생성된 복약정보, 신체정보, 식습관정보 및 증상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에 시계열 데이터가 매칭된 시계열 정보와 판단부(300)에서 생성된 상태데이터에 시계열 데이터가 매칭된 시계열 상태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600)에는 판단부(300)에 입력되는 각종 정보의 기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준데이터(예를 들어, 기준식습관정보, 기준생장곡선정보 등)가 저장된다. 저장부(600)에 저장되어 있는 시계열 정보와 시계열 상태데이터는 뒤에 설명하게 될 시스템에서 제2단말(여기서는 의사의 단말)에 전달된다. 제2단말은 웹 클라이언트가 설치된 단말로서,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서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인 서버와의 통신이 가능한 모든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양태인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인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대해서 살펴본다.
앞선 실시예와 중복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10)와 복약정보, 신체정보, 식습관정보 및 증상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상기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에 전송하는 제1단말(20) 및 상기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10)에서 생성된 시계열 정보 또는 시계열 상태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단말(30)을 포함한다.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10)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단말(20)은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10)에 접속가능한 환자의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제1단말(20)에는 별도의 입력모듈이 구비되어 있으며,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토피 피부염 건강기록과 관련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앱)이 설치되어 있는 단말이다.
제2단말(30)은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10)와 접속가능하며, 웹클라이언트가 설치되어 있는 의료진의 단말일 수 있다.
제1단말(@0)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10)를 통해서 제2단말(30)로 전달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제1단말(20)은 복약정보, 신체정보, 식습관정보 및 증상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10)에 전송한다.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10)는 제1단말로(20)부터 전송받은 위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시계열 정보, 시계열 상태데이터를 제2단말(30)의 요청에 의해서 전송할 수 있다.
제2단말(30)은 제1단말(20)로부터 전송되는 환자관련 시계열 정보, 시계열 상태데이터를 수신하고, 진단하여 이상여부 또는 처방 등에 대한 전문적인 판단을 수행하고, 이를 기초로 진단 및 처방의견을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10)에 전송하고, 제1단말(20)이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단, 제1단말(20)과 제2단말(30)은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10)에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고 인증부(200)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완료한 이후에 접속이 가능하다. 앞서 제1단말(20)의 경우 사용자 인증절차를 인증부(200)를 통해서 수행함을 설명하였고, 제2단말(30)의 경우 입력되는 고유아이디나 비밀번호를 이용해서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10)에 접속할 수 있다.
제2단말(30)에 웹클라이언트가 설치되어 있고, 제2단말(30)이 이를 실행함으로서,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10)에 접속을 시도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인증을 통한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제2단말(30)이 제1단말(20)에서 생성되어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10)에 저장되어 있는 시계열 정보, 시계열 상태데이터의 수신을 요청하는 경우, 제1단말(20)에서 제2단말(30)의 접근허용을 요청받아, 동의하는 경우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10)로부터 제2단말(30)로 시계열 정보와 시계열 상태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10)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인 아토피 피부염 관리방법에 대해서 도 5를 통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관리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토피 피부염 관리방법은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에 의해서 수행되는 아토피 피부염 관리방법으로서, 복약정보, 신체정보, 식습관정보 및 증상정보 증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00), 상기 복약정보, 신체정보, 식습관정보 및 증상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상태와 생활패턴을 포함하는 상태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300), 상기 상태데이터에 시계열 데이터를 매칭시켜 시계열 상태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400) 및 상기 시계열 상태데이터를 이용하여 환자의 상태를 진단하고, 처방하는 생활처방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또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에 접속을 요청하는 외부장치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S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에 접속을 요청하는 외부장치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S100)는 개인적인 생활패턴이나 식습관 등 지극히 비밀을 요하는 사항이 온라인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정보가 공중으로 노출되는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절차가 완료된 접속 요청자의 장치에만 접속을 허용한다.
복약정보, 신체정보, 식습관정보 및 증상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00)는 외부장치(여기서는 환자의 단말 내지는 스마트폰)에서 앱이나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서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와 접속되고, 프로그램이나 앱이 실행된 상태에서 위 각종 정보를 입력하면,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로 전달된다.
복약정보, 신체정보, 식습관정보 및 증상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상태와 생활패턴을 포함하는 상태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300)는 입력받은 정보와 저장되어 있는 기준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준정보에 맞는지를 판단하여 상태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상태데이터는 진단, 처방하기 이전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데이터를 이용하여 아토피 피부염에 적합한 복약인지, 음식의 섭취인지, 증상이 악화되었는지, 호전되었는지를 판단한 데이터를 말한다.
상태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입력되는 증상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텍스트 정보의 형태소를 분석하고, 피부이미지의 화소분석을 통해 증상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표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으로서, 상세한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태데이터에 시계열 데이터를 매칭시켜 시계열 상태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400)는 카운터 클락에 의해서 자동으로 입력된 정보에 날자 및 시간정보인 시계열 데이터를 매칭시켜 시계열 상태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는 환자의 행동이나 습관 등에 대한 시계열적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음식에 의해 발현되는 증상이 몇시간 후에 발생하는지, 복약결과 효과가 있는지, 효과가 있다면 어느 정도의 시간 이후에 복약효과가 발생하는지, 그 효과는 언제까지 지속되는지 등을 매우 상세한 환자의 치료생활, 일상생활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된다.
상태데이터에 시계열 데이터를 매칭시켜 시계열 상태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400)는 또한, 상기 복약정보, 신체정보, 식습관정보 및 증상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와 시계열 데이터를 매칭시켜 시계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는 환자의 사실적 행위에 대한 정보도 함께 시계열적으로 제공하기 위함이다.
시계열 상태데이터를 이용하여 환자의 상태를 진단하고, 처방하는 생활처방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500)는 기준데이터와 각종 정보(복약정보, 신체정보, 식습관정보, 증상정보)의 비교를 통해서 생성된 상태데이터를 시계열로 표현된 시계열 상태데이터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코칭을 하기 위한 생활처방데이터를 생성한다. 생활처방데이터에서는 시계열 상태데이터를 이용하여 병원에 내원을 하거나 외용제 바르기를 추천하거나, 유지방이 있는 음식의 섭취를 금지하도록 하거나, 음주나 흡연을 줄이도록 하는 등의 처방데이터 생성한다.
이러한 생활처방데이터가 생성되면, 이를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는 환자의 단말 내지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 또한, 위 시계열 정보와 시계열 상태데이터는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에 저장되어, 이후 의사에 의해서 환자의 생활습관이나 식습관 등을 확인하고, 일상에서의 이상유무를 판정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한다.
본 발명에서 개시된 블록도들은 본 발명의 원리들을 구현하기 위한 회로를 개념적으로 표현한 형태라고 당업자에게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유사하게, 임의의 흐름 차트, 흐름도, 상태 전이도, 의사코드 등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서 실질적으로 표현되어,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시적으로 도시되든지 아니든지 간에 이러한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낸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인식될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 20 제1단말
30 제2단말 100 통신부
200 인증부 300 판단부
310 복약판단모듈 320 성장판단모듈
330 식습관패턴판단모듈 340 증상판단모듈
400 카운터클락 500 진단처방부
600 저장부

Claims (15)

  1. 외부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로서,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복약정보, 신체정보, 식습관정보 및 증상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통해서 환자의 상태와 생활패턴을 판단하여 상태데이터를 생성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에 입력되는 정보인 복약정보, 신체정보, 식습관 정보 및 증상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에 시계열 데이터를 매칭시켜 시계열 정보를 생성하고, 판단부에서 생성되는 상태데이터에 시계열 데이터를 매칭시켜 시계열 상태데이터를 생성하는 카운터 클락; 및
    상기 카운터 클락에서 생성된 시계열 상태데이터를 이용하여 생활처방데이터를 생성하는 진단처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열 정보와 상기 시계열 상태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진단처방부에서 생활처방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복약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환자의 복약횟수, 복약시간 및 복약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복약정보와 비교하는 복약판단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정보는 환자의 키, 몸무게, 나이 및 성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생장곡선정보와 상기 신체정보를 비교하여 기 정해진 오차범위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성장판단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습관 정보는 섭취음식의 종류, 식사횟수, 식사량, 음주여부 및 흡연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식습관 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 식습관 정보를 비교하는 식습관패턴 판단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상정보는 환자의 증상이나 상태와 관련된 텍스트 정보 또는 피부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증상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과거증상정보를 비교하는 증상판단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처방부는 상기 증상정보를 이용하여 상태의 악화 또는 호전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상태데이터를 기초로 외용제추천정보 또는 병원내방추천정보를 포함하는 생활처방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
    복약정보, 신체정보, 식습관정보 및 증상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상기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에 전송하는 제1단말; 및
    상기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에서 생성된 시계열 정보 또는 시계열 상태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과 상기 제2단말은 상기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에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인증부를 통해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후에 상기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말이 상기 시계열 정보 또는 시계열 상태데이터의 수신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인증부는 상기 제1단말에 상기 제2단말의 접근허용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에 의해서 수행되는 아토피 피부염 관리방법으로서,
    (a) 복약정보, 신체정보, 식습관정보 및 증상정보 증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복약정보, 신체정보, 식습관정보 및 증상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상태와 생활패턴을 포함하는 상태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상태데이터에 시계열 데이터를 매칭시켜 시계열 상태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시계열 상태데이터를 이용하여 환자의 상태를 진단하고, 처방하는 생활처방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관리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에 접속을 요청하는 외부장치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관리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복약정보, 신체정보, 식습관정보 및 증상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와 시계열 데이터를 매칭시켜 시계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관리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증상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텍스트 정보의 형태소를 분석하고, 피부이미지의 화소분석을 통해 증상의 변화를 정량화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관리방법.
KR1020160008784A 2016-01-25 2016-01-25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968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784A KR101968965B1 (ko) 2016-01-25 2016-01-25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784A KR101968965B1 (ko) 2016-01-25 2016-01-25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077A true KR20170089077A (ko) 2017-08-03
KR101968965B1 KR101968965B1 (ko) 2019-04-16

Family

ID=59655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784A KR101968965B1 (ko) 2016-01-25 2016-01-25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89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4585A (ko) * 2019-11-26 2021-06-03 김도환 아토피 피부염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KR20230014958A (ko) * 2021-07-22 2023-01-31 주식회사 유비케어 소아 환자를 위한 댁내 건강 처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1609A (ko) * 2000-06-27 2002-01-09 추후보충 진단 시스템, 진단 데이터 생성 방법, 그에 이용되는 정보처리 장치 및 단말 장치 및 기록 매체
JP2004157596A (ja) * 2002-11-01 2004-06-03 Junichi Ninomiya 健康管理システム及び健康管理方法
KR20070008316A (ko) * 2005-07-13 2007-01-17 최용재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아토피 진단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KR20080035854A (ko) * 2006-10-20 2008-04-24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아바타를 이용한 성장앨범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1609A (ko) * 2000-06-27 2002-01-09 추후보충 진단 시스템, 진단 데이터 생성 방법, 그에 이용되는 정보처리 장치 및 단말 장치 및 기록 매체
JP2004157596A (ja) * 2002-11-01 2004-06-03 Junichi Ninomiya 健康管理システム及び健康管理方法
KR20070008316A (ko) * 2005-07-13 2007-01-17 최용재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아토피 진단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KR20080035854A (ko) * 2006-10-20 2008-04-24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아바타를 이용한 성장앨범 서비스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4585A (ko) * 2019-11-26 2021-06-03 김도환 아토피 피부염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KR20230014958A (ko) * 2021-07-22 2023-01-31 주식회사 유비케어 소아 환자를 위한 댁내 건강 처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8965B1 (ko) 201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uarez et al. Peer reviewed: factors associated with poor glycemic control or wide glycemic variability among diabetes patients in Hawaii, 2006–2009
Innes et al. Association of a woman's own birth weight with subsequent risk for gestational diabetes
Bell et al. Shortened nighttime sleep duration in early life and subsequent childhood obesity
Bertakis et al.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in primary care: physician and patient gender and gender concordance
Hirst et al. Acceptability and user satisfaction of a smartphone-based, interactive blood glucose management system in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Mehrotra et al. Dropping the baton: specialty referrals in the United States
Sullivan et al. Protein-energy undernutrition among elderly hospitalized patients: a prospective study
US20170262609A1 (en) Personalized adaptive risk assessment service
Frader et al. Health care professionals and intersex conditions
WO2005122033A1 (ja) 医療総合情報装置及び医療総合情報システム
US2015019948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preting Medical Information
Hain The CMS annual wellness visit: bridging the gap
US20180060518A1 (en) Electronic community medical marijuana network
US20220246299A1 (en) Electronic patient advisor and healthcare system for remote management of chronic conditions
AU2020102115A4 (en) MCHO- Blockchain Technology: MEDICINE, CLINICAL TEST AND HEALTHCARE OBSERVATION USING BLOCKCHAIN TECHNOLOGY
CN113436693A (zh) 完全自主的医疗解决方案(我的医生)
Birinci A digital opportunity for patients to manage their health: Turkey National Personal Health Record System (The e-Nabız)
US20210134403A1 (en) Medical questionnaire creation assist device,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TW201428668A (zh) 健康分析管理系統
Shapiro FDA approval of nonadjunctive use of continuous glucose monitors for insulin dosing: a potentially risky decision
Dingley et al. Caregiver activation and home hospice nurse communication in advanced cancer care
Wen et al.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concordance between preferred life-sustaining treatment states in their last six months of life and received life-sustaining treatment states in their last month: an observational study
CN115116569A (zh) 一种用于提供癌症数字化疾病管理的数字化系统
KR101968965B1 (ko) 아토피 피부염 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관리 시스템 및 방법
Smulowitz et al. Association of functional status, cognition, social support, and geriatric syndrome with admission from the emergency depar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