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8119A -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 - Google Patents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8119A
KR20170088119A KR1020160008042A KR20160008042A KR20170088119A KR 20170088119 A KR20170088119 A KR 20170088119A KR 1020160008042 A KR1020160008042 A KR 1020160008042A KR 20160008042 A KR20160008042 A KR 20160008042A KR 20170088119 A KR20170088119 A KR 20170088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receiving bore
bore
receiving
press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6498B1 (ko
Inventor
김은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60008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498B1/ko
Publication of KR20170088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8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41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12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 B60T13/1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using accumulators or reservoirs fed by pumps
    • B60T13/142Systems with master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5/00Construction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alves incorporated in power brake systems and not covered by groups B60T11/00 or B60T13/00
    • B60T15/02Application and release valves
    • B60T15/025Electrically controlled valves
    • B60T15/028Electrically controlled valves in hydraulic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5/00Construction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alves incorporated in power brake systems and not covered by groups B60T11/00 or B60T13/00
    • B60T15/02Application and release valves
    • B60T15/04Driver's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1Detecting parameters used in the regulation; Measuring values used in the reg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두 개의 유압회로를 갖도록 형성되며, 마스터실린더와 연결되어 각 차륜에 설치된 휠 실린더로 공급되는 제동유압의 조절을 위하여 다수의 밸브, 펌프, 저압 어큐뮬레이터, 압력센서 및 모터가 설치되는 다수의 수용보어가 형성되고 내부에 다수의 수용보어를 연결하는 다수의 유로가 형성된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에 있어서, 상기 밸브블록에는 다수의 NO밸브를 각각 수용하는 다수의 NO밸브 수용보어가 제1 밸브열에 배치되고, 다수의 NC밸브를 각각 수용하는 다수의 NC밸브 수용보어가 제2 밸브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밸브열의 상측에는 상기 제1 밸브열과 평행한 배열을 갖도록 한 쌍의 구동력 제어밸브 수용보어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밸브열과 제2 밸브열 사이에는 상기 제1 및 제2 밸브열과 평행한 배열을 갖도록 한 쌍의 셔틀밸브 수용보어가 형성되며, 상기 압력센서 수용보어는 마스터실린더의 유압 압력을 검출하기 위해 마련된 실린더 압력센서 수용보어와, 휠 실린더의 유압 압력을 검출하기 위해 마련된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을 갖추고, 상기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는 두 유압회로에 각각 마련되어 제1 밸브열과 한 쌍의 구동력 제어밸브 수용보어 사이에 형성되는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Valve block for electronic control brake system}
본 발명은 밸브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 내의 제동압력을 전자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에 관한 것이다.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은 차량의 제동, 급발진, 또는 급가속시 발생할 수 있는 슬립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차량용 브레이크시스템의 배력장치, 마스터실린더, 휠 실린더 뿐 아니라 제동유압의 조절을 위한 밸브블록, 밸브블록의 제어를 위한 전자제어유닛(Electronic Control Unit)을 포함한다.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직육면체의 밸브블록 내부에는 각 차륜에 마련된 휠 실린더 측으로 전달되는 제동유압을 제어하는 다수개의 솔레노이드밸브(NO/NC밸브)와, 휠 실린더로부터 빠져나온 오일을 일시 저장하기 위한 저압 어큐뮬레이터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펌프와, 펌프의 흡입부와 토출부 측에 각각 마련되는 셔틀밸브 및 구동력 제어밸브 등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밸브블록에는 다수의 부품을 콤팩트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다수의 밸브 수용보어, 펌프 수용보어 및 모터 수용보어, 저압 어큐뮬레이터 수용보어, 마스터 실린더 및 휠 실린더와의 연결을 위한 포트,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 수용보어, 각 포트 및 수용보어와 연결되어 유압 흐름의 방향을 제안하는 복수의 유로가 가공된다.
한편, 최근에는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부가기능이 증가됨에 따라 마스터실린더로부터 발생되는 유압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실린더 압력센서 이외에, 별도로 휠 실린더 측의 유압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한 쌍의 휠 압력센서를 설치하여 사용되고 있다.
또한, 밸브블록에는 펌프의 작동에 의해 가압 토출되는 오일의 압력 맥동을 저감시키기 위해 선택적으로 펌프의 토출구측과 연결되는 맥동 저감장치가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밸브블록은 다수의 부품이 배치되는 공간 이외의 사용되지 않는 공간이 불필요하게 존재하여 부품의 배치구조 개선이 요구되며, 특히 밸브블록에 휠 압력센서를 설치 시 상기 휠 압력센서와 연결되는 유로 등을 별도로 가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밸브블록에 콤팩트하게 설치되는 구성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즉, 밸브블록의 경량화 및 사이즈 최소화를 위해서 내부 구조를 콤팩트하게 구성하여야 하지만, 별도의 휠 압력센서의 설치로 인하여 밸브블록의 사이즈가 증가함은 물론, 이로 인하여 밸브블록이 이원화되어 관리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밸브블록에 맥동 저감장치를 형성하는 경우 밸브블록 내의 유로 구조가 변동됨에 따라, 맥동 저감장치가 마련된 밸브블록과 맥동 저감장치가 마련되지 않은 밸브블록 간의 호환성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 제10-2010-0057889(로베르트 보쉬) 2010. 06. 0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은 상기 밸브블록 내에 형성되는 유로를 이용하여 휠 압력센서를 설치함으로써, 휠 압력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수용보어의 가공 시간을 감소시킴은 물론, 가공의 용이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은 상기 밸브블록 내의 사용되지 않는 공간을 활용함으로써 밸브블록의 크기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은 맥동 저감장치의 유무와 관계없이 동일한 유로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여 밸브블록의 사이즈 변동없이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두 개의 유압회로를 갖도록 형성되며, 마스터실린더와 연결되어 각 차륜에 설치된 휠 실린더로 공급되는 제동유압의 조절을 위하여 다수의 밸브, 펌프, 저압 어큐뮬레이터, 압력센서 및 모터가 설치되는 다수의 수용보어가 형성되고 내부에 다수의 수용보어를 연결하는 다수의 유로가 형성된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에 있어서, 상기 밸브블록에는 다수의 NO밸브를 각각 수용하는 다수의 NO밸브 수용보어가 제1 밸브열에 배치되고, 다수의 NC밸브를 각각 수용하는 다수의 NC밸브 수용보어가 제2 밸브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밸브열의 상측에는 상기 제1 밸브열과 평행한 배열을 갖도록 한 쌍의 구동력 제어밸브 수용보어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밸브열과 제2 밸브열 사이에는 상기 제1 및 제2 밸브열과 평행한 배열을 갖도록 한 쌍의 셔틀밸브 수용보어가 형성되며, 상기 압력센서 수용보어는 마스터실린더의 유압 압력을 검출하기 위해 마련된 실린더 압력센서 수용보어와, 휠 실린더의 유압 압력을 검출하기 위해 마련된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을 갖추고, 상기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는 두 유압회로에 각각 마련되어 제1 밸브열과 한 쌍의 구동력 제어밸브 수용보어 사이에 형성되는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는 휠 실린더 포트와 상기 NO밸브 수용보어를 연결하는 유로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는 제1 밸브열의 최외측 NO밸브 수용보어와 구동력 제어밸브 수용보어와 함께 삼각형 구도를 갖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 압력센서 수용보어는 두 유압회로를 구획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중심선 상에 형성되어 마스터실린더와 연결되는 한 쌍의 실린더 접속부 중 어느 하나와 유로를 통해 연결되며, 한 쌍의 구동력 제어밸브 수용보어의 상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두 개의 유압회로를 갖도록 형성되며, 마스터실린더와 연결되어 각 차륜에 설치된 휠 실린더로 공급되는 제동유압의 조절을 위하여 다수의 밸브, 펌프, 저압 어큐뮬레이터, 압력센서 및 모터가 설치되는 다수의 수용보어가 형성되고 내부에 다수의 수용보어를 연결하는 다수의 유로가 형성된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에 있어서, 상기 밸브블록에는 다수의 NO밸브를 각각 수용하는 다수의 NO밸브 수용보어가 제1 밸브열에 배치되고, 다수의 NC밸브를 각각 수용하는 다수의 NC밸브 수용보어가 제2 밸브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밸브열의 상측에는 상기 제1 밸브열과 평행한 배열을 갖도록 한 쌍의 구동력 제어밸브 수용보어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밸브열과 제2 밸브열 사이에는 상기 제1 및 제2 밸브열과 평행한 배열을 갖도록 한 쌍의 셔틀밸브 수용보어가 형성되며, 상기 압력센서 수용보어는 마스터실린더의 유압 압력을 검출하기 위해 마련된 실린더 압력센서 수용보어와, 휠 실린더의 유압 압력을 검출하기 위해 마련된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을 갖추고, 상기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는 두 유압회로에 각각 마련되어 제1 밸브열과 제2 밸브열 사이에 형성되는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는 NO밸브 수용보어와 NC밸브 수용보어를 연결하는 유로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 압력센서 수용보어는 두 유압회로를 구획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중심선 상에 형성되어 마스터실린더와 연결되는 한 쌍의 실린더 접속부 중 어느 하나와 유로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1 밸브열과 한 쌍의 셔틀밸브 수용보어가 형성되는 밸브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블록의 정면에는 NO밸브, NC밸브, 구동력 제어밸브, 셔틀밸브, 압력센서가 설치되는 수용보어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블록의 배면에는 모터 및 모터커넥터가 설치되는 수용보어와, 마스터실린더와 연결되는 마스터실린더 접속부가 형성되며, 상기 밸브블록의 양측면에는 펌프가 수용되는 펌프 수용보어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블록의 하면에는 한 쌍의 저압 어큐뮬레이터 수용보어가 형성되며, 상기 밸브블록의 상면에는 휠 실린더 포트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 수용보어는 한 쌍의 펌프 수용보어 사이에 배치되고, 모터 커넥터 수용보어는 모터 수용보어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모터 수용보어와, 모터 커넥터 수용보어는 두 유압회로를 구획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중심선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 압력센서 수용보어는 상기 모터 커넥터 수용보어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모터 수용보어와 모터 커넥터 수용보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저압 어큐뮬레이터 수용보어 사이에 누수 보어가 더 형성되고, 상기 누수 보어는 상기 밸브블록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틀밸브 수용보어는 펌프 수용보어의 흡입측 및 마스터실린더 접속부와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 수용보어는 상기 제1 밸브열과 제2 밸브열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모터 수용보어를 기준으로 밸브블록의 양측면에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블록의 양측면에는 댐핑보어가 더 형성되되, 상기 댐핑보어는 상기 펌프 수용보어와 평행한 배열을 가지며 상기 펌프 수용보어의 상측에서 모터 커넥터 수용보어를 사이에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핑보어는 상기 제1 밸브열과 셔틀밸브 구동력 제어밸브 수용보어가 형성되는 밸브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핑보어의 흡입측은 상기 펌프 수용보어의 토출측과 연결되고, 상기 댐핑보어의 배출측에는 오리피스가 형성되어 구동력 제어밸브 수용보어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은 유압흐름의 제어를 위해 설치되는 각 부품들 배치구조를 개선함은 물론, 각 부품 사이의 공간을 활용함으로써 밸브블록의 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여 밸브블록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밸브블록 내에 형성되는 유로를 이용하여 휠 압력센서를 설치함으로써 별도로 휠 압력센서와의 연결을 위한 유로 가공이 불필요하여 휠 압력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수용보어의 가공 시간을 감소시킴은 물론, 가공의 용이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맥동 저감장치의 유무와 관계없이 동일한 유로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여 제품간의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는 밸브블록의 사이즈 변동이 없도록 하여 동일 사이즈 내에서 다양한 제품 선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유압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의 정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밸브블록의 배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에 형성된 휠 실린더 포트와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가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측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밸브블록의 배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의 정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밸브블록의 정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밸브블록의 배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다른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의 정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밸브블록의 배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에 형성된 휠 실린더 포트와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가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측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밸브블록의 배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의 정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밸브블록의 정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밸브블록의 배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유압 회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은 브레이크 페달(10)과 연계된 부스터(11) 및 마스터실린더(20)를 통해 형성된 제동 유압이 각 차륜(FL, FR, RL, RR)에 설치된 휠 실린더(30)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유압회로(40A, 40B)가 형성된 밸브블록(100)을 구비한다. 이때, 유압회로(40A, 40B)는 마스터실린더(20)의 제1포트(21)와 두 개의 차륜(FR, RL)에 마련된 휠 실린더(30)를 연결하여 액압 전달을 제어하는 제1 유압회로(40A)와, 마스터실린더(20)의 제2포트(22)와 나머지 두 개의 차륜(FL, RR)에 마련된 휠 실린더(30)를 연결하여 액압 전달을 제어하는 제2 유압회로(40B)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유압회로(40A, 40B)는 밸브블록(100)에 콤팩트하게 마련된다.
제1 유압회로(40A)와 제2 유압회로(40B)는 각각 두 개씩의 휠 실린더(30) 측으로 전달되는 제동유압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솔레노이드밸브(41, 42)와, 휠 실린더(30) 측에서 빠져나온 오일을 일시 저장하는 저압 어큐뮬레이터(43)와, 저압 어큐뮬레이터(43) 또는 마스터실린더(20) 측 오일을 펌핑하기 위한 한 쌍의 펌프(44)와, 이 펌프(44)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45)와, 펌프(44)의 작동에 의해 토출되는 오일의 압력 맥동을 저감시키기 위해 출구측에 오리피스(46a)가 배치된 맥동 저감장치(46)와, 오일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력 제어밸브(47) 및 셔틀밸브(48)와,상기 맥동 저감장치(46)로부터 토출된 액압 또는 마스터실린더(20)로부터 발생된 액압이 선택적으로 휠 실린더(30) 또는 펌프(44)의 흡입 측으로 전달되도록 연결하는 유로(49, 49a) 및 맥동 저감장치(46)의 토출단과 구동력 제어밸브(47)를 연결하는 유압유로(49)로부터 분기되는 포트연결유로(35)를 구비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솔레노이드밸브(41, 42), 저압 어큐뮬레이터(43), 펌프(44), 맥동 감쇠장치(46), 구동력 제어밸브(47), 셔틀밸브(48)와, 유로(35, 49, 49a) 등은 밸브블록(100)에 콤팩트하게 마련되어 제1 및 제2 유압회로(40A, 40B)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수개의 솔레노이드밸브(41, 42)는 휠 실린더(30)의 상류 측과 연계되며 평상시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는 노멀 오픈형(NO type) 솔레노이드밸브(41)(이하 'NO밸브'라 함)와, 휠 실린더(30)의 하류 측과 연계되며 평상시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는 노멀 클로즈형(NC type) 솔레노이드밸브(42)(이하 'NC밸브'라 함)로 구별된다. 이들 NO 및 NC밸브(41, 42)의 개폐작동은 각 차륜(FL, FR, RL, RR)에 배치된 휠센서(미도시)를 통해 차량속도를 감지하는 전자제어유닛(미도시)에 의해 각각 제어된다.
또한,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은 마스터실린더(20)의 출구측과 맥동 저감장치(46) 및 구동력 제어밸브(47)를 연결하는 유압유로(49)로부터 분기되어 펌프(44)의 입구 측을 연결하는 우회유로(49a)를 구비하고, 이 우회유로(49a)에는 평소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다 개방신호에 따라 열리는 셔틀밸브(ESV)(48)가 설치된다. 즉, 우회유로(49a)는 셔틀밸브(48)의 동작에 따라 마스터실린더(20)의 오일이 펌프(44)의 입구로 흡입되게 안내한다.
또한, 마스터실린더(20)의 출구측과 맥동 저감장치(46)의 출구 사이의 유압유로(49)에는 구동력 제어밸브(TC NO valve)(47)가 마련되어 평소 열린 상태를 유지하다가 차량의 급출발 등으로 바퀴의 노면슬립이 발생할 때 유로를 폐쇄함으로써, 펌프(44)의 구동으로 발생된 제동압이 각 차륜(FL, FR, RL, RR)의 휠 실린더(30) 측으로 전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10)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도 차량의 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포트연결유로(35)는 맥동 저감장치(46)의 토출단과 구동력 제어밸브(47)를 연결하는 유압유로(49)로부터 분기된다. 포트연결유로(35)는 NO밸브(41) 및 NC밸브(42)를 거쳐 각 차륜(FL, FR, RL, RR)의 휠 실린더(30)와 연결된다.
한 쌍의 펌프(44)는 하나의 모터(45)에 의해 180도 위상차를 가지면서 구동되어 저압 어큐뮬레이터(43) 또는 마스터실린더(20) 측 오일을 가압하여 맥동 저감장치(46)측으로 펌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밸브블록(100)에 맥동 저감장치(46)가 마련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선택적으로 맥동 저감장치(46)를 마련하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맥동 저감장치(46)가 마련되지 않더라도 유로의 구조가 변경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미설명된 참조부호 '51'은 마스터실린더(20)로부터 발생된 액압의 측정을 위해 마련된 실린더 압력센서이다. 또한, 참조부호 '52'는 휠 실린더(30)로 전달되는 액압을 검출하는 휠 압력센서로서 두 유압회로(40A, 40B) 상에 각각 마련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에 마련된 밸브블록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의 정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밸브블록의 배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상기 밸브블록에 형성된 휠 실린더 포트와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가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밸브블록의 측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때, 밸브블록(100)의 방향을 제시하는 정면(F1), 배면(F2), 상면(F3), 하면(F4) 및 양측면(F5)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밸브블록(100)의 기준으로 설정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밸브블록(100)이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밸브블록(100)의 방향을 제시하는 면이 바뀔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밸브블록(100)은 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이 밸브블록(100)의 정면(F1)에는 NO밸브(41), NC밸브(42), 구동력 제어밸브(47), 셔틀밸브(48), 압력센서(51, 52)가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수용보어(141, 142, 147, 148, 151, 152)가 형성된다. 밸브블록(100)의 배면(F2)에는 모터(45) 및 모터 커넥터(미도시)가 삽입되는 수용보어(145, 160)와, 마스터실린더(20)와 연결되는 마스터실린더 접속부(121, 122)가 형성된다. 밸브블록(100)의 상면(F3)에는 휠 실린더 포트(130)가 형성되고, 밸브블록(100)의 하면(F4)에는 저압 어큐뮬레이터(43)가 마련되는 저압 어큐뮬레이터 수용보어(143)가 형성된다. 또한, 밸브블록(100)의 양측면(F5)에는 펌프(44) 및 맥동 저감장치(46)가 수용되는 펌프 수용보어(144) 및 댐핑보어(146)가 형성된다.
여기서 밸브블록(100)에 설치되는 각 구성요소 중 밸브블록(100)의 중심선(C)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를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는 상기 중심선(C)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밸브블록(100)에 설치되는 구성요소의 배치 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밸브블록(100)의 정면(F1)에는 다수의 NO밸브(41)를 각각 수용하는 다수의 NO밸브 수용보어(141)가 제1 밸브열(L1)에 형성되고, 다수의 NC밸브(42)를 각각 수용하는 다수의 NC밸브 수용보어(142)가 제2 밸브열(L2)에 형성된다. 제1 및 제2 밸브열(L1, L2)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며, 다수의 제1 및 제2 밸브 수용보어(141, 142)는 각각 밸브블록(100)의 정면(F1)에서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배열된다.
구동력 제어밸브(47)를 수용하는 구동력 제어밸브 수용보어(147)는 제1 밸브열(L1)의 상측에 형성된다. 이 구동력 제어밸브 수용보어(147)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밸브블록(100)의 정면(F1)에서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제1 밸브열(L1)과 평행하도록 횡방향으로 배열된다.
셔틀밸브(48)를 수용하는 셔틀밸브 수용보어(148)는 제1 밸브열(L1)과 제2 밸브열(L2) 사이에 형성된다. 이 셔틀밸브 수용보어(148)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밸브블록의 정면(F1)에서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제1 밸브열(L1)과 평행하도록 횡방향으로 배열된다. 이 셔틀밸브 수용보어(148)는 펌프 수용보어(145)의 흡입측 및 마스터실린더 접속부(121, 122)와 연결된다.
압력센서(51, 52)가 설치되는 압력센서 수용보어(151, 152)는 마스터실린더(20)의 유압 압력을 검출하기 위해 마련된 실린더 압력센서 수용보어(151)와, 휠 실린더(30)의 유압 압력을 검출하기 위해 마련된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152)를 갖춘다.
실린더 압력센서 수용보어(151)는 두 유압회로(40A, 40B)를 구획하는 중심선(C) 상에 형성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실린더 압력센서 수용보어(151)는 한 쌍의 구동력 제어밸브 수용보어(147)가 배열된 밸브열 상측 즉, 후술할 모터 커넥터 수용보어(16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실린더 압력센서 수용보어(151)는 마스터실린더(20)의 제1포트(21)와 연결된 마스터실린더 접속부(121)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로의 형성 위치를 변경하여 제2포트(22)와 연결된 마스터실린더 접속부(122)와 연결시킬 수도 있다.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152)는 제1 밸브열(L1)과 한 쌍의 구동력 제어밸브 수용보어(147) 사이에 형성되며, 두 유압회로(40A, 40B) 상에 각각 마련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즉,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152)는 제1 밸브열(L1)의 최외측 NO밸브 수용보어(141)와 구동력 제어밸브 수용보어(147)와 함께 삼각형 구도를 갖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152)는 휠 실린더 포트(130)와 NO밸브 수용보어(141)를 연결하는 유로(35)와 연결되어 휠 실린더(30) 측의 유압 압력을 검출하게 된다. 여기서, 휠 실린더 포트(130)와 NO밸브 수용보어(141)를 연결하는 유로는 포트연결유로(35)로서,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152)와의 접속을 위해 별도로 가공된 유로가 아니라 휠 실린더 포트(130)로 액압을 전달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제공되는 유로이다. 즉, 포트연결유로(35)는 차륜(FL, FR, RL, RR)과 연결되는 휠 실린더 포트(130)와 각각 연결되며, NO밸브 수용보어(141) 및 NC밸브 수용보어(142)와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포트연결유로(35)에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152)가 접속하도록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152)만 가공함으로써, 유로를 연장하거나 별도의 유로를 가공하는 공정을 제외시킬 수 있으므로 가공 시간을 감소시킴은 물론, 가공의 용이성이 향상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152)가 전륜(FL, FR)과 연결된 휠 실린더 포트(130)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선택적으로 후륜(RL, RR)과 연결된 휠 실린더 포트(130) 또는 우측전륜(FR)과 우측후륜(RR)을 연결하는 휠 실린더 포트(13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즉, 한 쌍의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152)가 횡방향으로 배열된 구조에서,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152)가 배열되는 횡방향으로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152)의 형성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152)의 위치를 변경하여 형성하더라도 기존 휠 실린더 포트(130)와 NO밸브 수용보어(141)를 연결하는 포트연결유로(35)와 접속됨으로써,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152)와의 접속을 위한 별도의 유로를 가공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와 같이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152)가 주변의 구성품들과의 간섭없이 형성됨에 따라 밸브블록(100)의 사이즈를 증가시키지 않고 콤팩트하게 구성요소를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밸브블록(100)의 배면(F2)에는 모터(45)가 설치되는 모터 수용보어(145)가 형성된다. 이 모터 수용보어(145)는 밸브블록(100)의 중심선(C) 상에 형성되며, 제1 밸브열(L1)과 제2 밸브열(L2) 사이에 배치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모터 수용보어(145)는 제1 밸브열(L1)과 제2 밸브열(L2) 사이에 배열된 한 쌍의 셔틀밸브 수용보어(148)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모터 수용보어(145)는 후술할 한 쌍의 펌프 수용보어(144) 사이에서 펌프 수용보어(144)와 직교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밸브블록(100)의 배면(F2)에는 모터 수용보어(145)에 설치되는 모터(45)와 전기 연결하기 위하여 모터 커넥터 수용보어(160)가 마련된다. 모터 커넥터 수용보어(160)는 밸브블록(100)의 중심선(C)을 상에서 모터 수용보어(145)의 상측에 형성된다. 이 모터 커넥터 수용보어(160)는 제1 밸브열(L1)과 구동력 제어밸브 수용보어(147) 사이에 배치되어 밸브블록(10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밸브블록(100)의 배면(F2)에는 누수 보어(16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수 보어(162)는 밸브블록(100)의 중심선(C) 상에서 모터 수용보어(145)와 연결되며, 제2 밸브열(L2)의 하측에 배치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누수 보어(162)는 후술할 한 쌍의 저압 어큐뮬레이터 수용보어(143)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누수 보어(162)는 펌프 수용보어(144) 내에서 누수된 오일이 모터 수용보어(145) 안으로 통과함에 따라 이 오일이 유입 되도록 한다. 이 누수 보어(162)는 모터 조립 시 배면에 배포되어 접착되어 굳은 실런트에 의해 블라인드 보어로 구성된다. 이에 유압 시스템의 침지 누출 방지성 및 누수 안정성을 보장해준다.
상기와 같은 실린더 압력센서 수용보어(151), 모터 커넥터 수용보어(160), 모터 수용보어(145), 누수 보어(162)는 밸브블록(100)의 중심선(C) 상에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밸브블록(100)의 배면(F2) 상측에는 마스터실린더(20)의 제1 및 제2포트(21, 22)를 통해 제동유압을 공급받기 위한 한 쌍의 마스터실린더 접속부(121, 122)가 횡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고, 밸브블록(100)의 하면(F4)에는 한 쌍의 저압 어큐뮬레이터 수용보어(143)가 횡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또한, 밸브블록(100)의 상면(F3)에는 제동 유압을 각 차륜(FL, FR, RL, RR)의 휠 실린더(30)로 전달하기 위한 다수의 휠 실린더 포트(130)가 형성된다. 이때 휠 실린더 포트(130)는 밸브블록(100)의 정면(F1)과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형성된다.
밸브블록(100)의 양측면(F5)에는 펌프(44)가 수용되는 펌프 수용보어(144)가 각각 마련된다. 이 펌프 수용보어(144)는 제1 밸브열(L1)과 제2 밸브열(L2)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밸브블록(100)의 양측면(F5)에서 제1 및 제2 밸브열(L1, L2) 방향과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이 펌프 수용보어(144)는 모터 수용보어(145)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밸브블록(100)의 양측면(F5)에는 맥동 저감장치(46)가 설치되는 댐핑보어(146)가 형성된다. 댐핑보어(146)는 펌프 수용보어(144)와 평행한 배열을 갖도록 펌프 수용보어(144)의 상측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댐핑보어(146)는 제1 밸브열(L1)과 구동력 제어밸브 수용보어(147) 사이에 배치되고, 댐핑보어(146)의 흡입측은 펌프 수용보어(144)의 토출측과 연결되며, 댐핑보어(146)의 배출측에는 오리피스(도 1의 '46a' 참조)가 형성되어 구동력 제어밸브 수용보어(147)와 연결된다. 이때, 오리피스(46a)는 댐핑보어(146)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오리피스(46a)가 형성된 유로를 통해 구동력 제어밸브 수용보어(147)와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밸브블록(100) 내에 마련되는 댐핑보어(146)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추가되는 요소로서, 상기 댐핑보어(146)를 사용하지 않는 밸브블록(100)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블록(200)에 댐핑보어(146)가 마련되지 않더라도 유로의 구조가 변경되지 않고 댐핑보어(146)가 마련된 구조를 갖는 제1 실시예의 밸브블록(100)과 동일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의 정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밸브블록의 정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밸브블록의 배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제1 실시예의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재를 가리킨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밸브블록(200)의 정면(F1)에는 NO밸브(41), NC밸브(42), 구동력 제어밸브(47), 셔틀밸브(48), 압력센서(51, 52)가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수용보어(141, 142, 147, 148, 151, 152)가 형성되고, 밸브블록(200)의 배면(F2)에는 모터(45) 및 모터 커넥터(미도시)가 삽입되는 수용보어(145, 160)와, 마스터실린더(20)와 연결되는 마스터실린더 접속부(121, 122)가 형성된다. 또한, 밸브블록(200)의 양측면(F5)에는 펌프(44)가 수용되는 펌프 수용보어(144)가 형성되고, 밸브블록(200)의 하면(F4)에는 한 쌍의 저압 어큐뮬레이터 수용보어(143)가 형성되며, 밸브블록(200)의 상면(F3)에는 휠 실린더 포트(130)가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블록(200)은 제1 실시예의 밸브블록(100)과 댐핑보어(146)의 유무에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요소 배치 구조 및 유로의 형성 구조는 모두 동일하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펌프 수용보어(144)의 토출측은 유압유로(49)를 통해 구동력 제어밸브 수용보어(147)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력 제어밸브 수용보어(147)는 우회유로(49a)를 통해 셔틀밸브 수용보어(148)와 연결된다. 이때, 유압유로(49)에는 오리피스(미도시)가 형성된다. 즉, 펌프 수용보어(144)의 토출단과 연결되는 유압유로(49)가 제1 실시예의 댐핑보어(146)가 형성되는 공간에 마련됨에 따라 댐핑보어(146)가 마련되지 않더라도 유로의 구조가 변경되지 않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다른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의 정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밸브블록의 배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상기 밸브블록에 형성된 휠 실린더 포트와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가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밸브블록의 정면측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밸브블록의 배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여기서,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밸브블록과 앞선 제1 실시예의 밸브블록의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재를 가리킨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밸브블록(300)의 정면(F1)에는 NO밸브(41), NC밸브(42), 구동력 제어밸브(47), 셔틀밸브(48), 압력센서(51, 52)가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수용보어(141, 142, 147, 148, 351, 352)가 형성된다. 밸브블록(100)의 배면(F2)에는 모터(45) 및 모터 커넥터(미도시)가 삽입되는 수용보어(145, 160)와, 마스터실린더(20)와 연결되는 마스터실린더 접속부(121, 122) 및 모터 수용보어(145)와 연결되는 누수 보어(162)가 형성된다. 또한, 밸브블록(300)의 양측면(F5)에는 펌프(44) 및 맥동 저감장치(46)가 수용되는 펌프 수용보어(144) 및 댐핑보어(146)가 형성된다. 밸브블록(300)의 하면(F4)에는 한 쌍의 저압 어큐뮬레이터 수용보어(143)가 형성되며, 밸브블록(300)의 상면(F3)에는 휠 실린더 포트(130)가 형성된다. 모터 커넥터 수용보어(160), 실린더 압력센서 수용보어(351), 모터 수용보어(145), 누수 보어(162)는 밸브블록(300)의 중심선(C) 상에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블록(300)은 제1 실시예의 밸브블록(100)과 실린더 압력센서 수용보어(351) 및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352)의 형성위치에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요소 배치 구조 및 유로의 형성 구조는 모두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실린더 압력센서 수용보어(351)는 두 유압회로(40A, 40B)를 구획하는 중심선(C) 상에 형성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실린더 압력센서 수용보어(351)는 제1 밸브열(L1)과 한 쌍의 셔틀밸브 수용보어(148)가 형성되는 밸브열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모터 수용보어(145)와 모터 커넥터 수용보어(160)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실린더 압력센서 수용보어(351)는 마스터실린더(20)의 제1포트(21)와 연결된 마스터실린더 접속부(121)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로의 형성 위치를 변경하여 제2포트(22)와 연결되는 마스터실린더 접속부(122)와 연결시킬 수도 있다.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352)는 제1 밸브열(L1)과 제2 밸브열(L2) 사이에 형성되며, 두 유압회로(40A, 40B) 상에 각각 마련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352)는 NO밸브 수용보어(141)와 NC밸브 수용보어(142)를 연결하는 유로(35)와 연결되어 휠 실린더(30) 측의 유압 압력을 검출하게 된다. 여기서, NO밸브 수용보어(141)와 NC밸브 수용보어(142)를 연결하는 유로(35)는 포트연결유로(35)로서,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352)와의 접속을 위해 별도로 가공된 유로가 아니라 휠 실린더 포트(130)로 액압을 전달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제공되는 유로이다. 즉, 포트연결유로(35)는 차륜(FL, FR, RL, RR)과 연결되는 휠 실린더 포트(130)와 각각 연결되며, NO밸브 수용보어(141) 및 NC밸브 수용보어(142)와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포트연결유로(35)에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352)가 접속하도록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352)만 가공함으로써, 유로를 연장하거나 별도의 유로를 가공하는 공정을 제외시킬 수 있으므로 가공 시간을 감소시킴은 물론, 가공의 용이성이 향상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352)가 전륜(FL, FR)과 연결된 휠 실린더 포트(130)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선택적으로 후륜(RL, RR)과 연결된 휠 실린더 포트(130) 또는 우측전륜(FR)과 우측후륜(RR)을 연결하는 휠 실린더 포트(13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즉, 한 쌍의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352)가 횡방향으로 배열된 구조에서,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352)가 배열되는 횡방향으로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352)의 형성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352)의 위치를 변경하여 형성하더라도 기존 NO밸브 수용보어(141)와 NC밸브 수용보어(142)를 연결하는 포트연결유로(35)와 접속됨으로써,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352)와의 접속을 위한 별도의 유로를 가공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와 같이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352)가 주변의 구성품들과의 간섭없이 형성됨에 따라 밸브블록(300)의 사이즈를 증가시키지 않고 콤팩트하게 구성요소를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밸브블록(300) 내에 마련되는 댐핑보어(146)는 앞선 실시예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추가되는 요소로서, 상기 댐핑보어(146)를 사용하지 않는 밸브블록(400)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블록(400)에 댐핑보어(146)가 마련되지 않더라도 유로의 구조가 변경되지 않고 댐핑보어(146)가 마련된 구조를 갖는 제3 실시예의 밸브블록(300)과 동일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의 정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밸브블록의 정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밸브블록의 배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제3 실시예의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재를 가리킨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밸브블록(400)의 정면(F1)에는 NO밸브(41), NC밸브(42), 구동력 제어밸브(47), 셔틀밸브(48), 압력센서(51, 52)가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수용보어(141, 142, 147, 148, 351, 352)가 형성되고, 밸브블록(400)의 배면(F2)에는 모터(45) 및 모터 커넥터(미도시)가 삽입되는 수용보어(145, 160)와, 마스터실린더(20)와 연결되는 마스터실린더 접속부(121, 122)가 형성된다. 또한, 밸브블록(400)의 양측면(F5)에는 펌프(44)가 수용되는 펌프 수용보어(144)가 형성되고, 밸브블록(400)의 하면(F4)에는 한 쌍의 저압 어큐뮬레이터 수용보어(143)가 형성되며, 밸브블록(400)의 상면(F3)에는 휠 실린더 포트(130)가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블록(400)은 제3 실시예의 밸브블록(300)과 댐핑보어(146)의 유무에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요소 배치 구조 및 유로의 형성 구조는 모두 동일하다.
제4 실시예에 따르면, 펌프 수용보어(144)의 토출측은 유압유로(49)를 통해 구동력 제어밸브 수용보어(147)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력 제어밸브 수용보어(147)는 우회유로(49a)를 통해 셔틀밸브 수용보어(148)와 연결된다. 이때, 유압유로(49)에는 오리피스(미도시)가 형성된다. 즉, 펌프 수용보어(144)의 토출단과 연결되는 유압유로(49)가 제1 실시예의 댐핑보어(146)가 형성되는 공간에 마련됨에 따라 댐핑보어(146)가 마련되지 않더라도 유로의 구조가 변경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각 실시예의 밸브블록(100, 200, 300, 400)에 형성되는 NO밸브 및 NC밸브 수용보어(141, 142), 펌프 수용보어(144), 휠 실린더 포트(130), 마스터실린더 접속부(121, 122), 저압 어큐뮬레이터 수용보어(143), 셔틀밸브 수용보어(148), 구동력 제어밸브 수용보어(147) 및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152, 352)는 밸브블록(100)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정렬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마스터실린더(20)로부터 전달되는 유압이 제1 및 제2 유압회로(40A, 40B)를 통해 각각 두 개의 차륜에 전달되는 제동유압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 최적의 배치조건을 갖추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은 밸브블록(100, 200, 300, 400)은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152, 352)를 휠 실린더 포트(130)와 NO밸브 수용보어(141) 및 NC밸브 수용보어(142)를 연결하는 포트연결유로(35)에 접속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밸브블록(100, 200, 300, 400) 내의 유로 설계를 변경하지 않고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152, 352)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압력 맥동을 감쇠시키기 위한 댐핑보어(146)의 사용유무와 관계없이 동일한 유로를 갖도록 구현됨에 따라 밸브블록(100, 200, 300, 400)의 사이즈 변동이 없으며, 이에 동일 사이즈 내에서 다양한 제품 선택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오리피스(도 1의 '46a' 참조)가 적용되는 위치가 동일함에 따라 유로에 오리피스(46a)만 적용하거나 혹은 댐핑보어(146)의 구조와 함께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20 : 마스터실린더 40A : 제1 유압회로
40B : 제2 유압회로 100, 200, 300, 400 : 밸브블록
121, 122 : 마스터실린더 접속부 130 : 휠 실린더 포트
141 : NO밸브 수용보어 142 : NC밸브 수용보어
143 : 저압 어큐뮬레이터 수용보어 144 : 펌프 수용보어
145 : 모터 수용보어 146 : 댐핑보어
147 : 구동력 제어밸브 수용보어 148 : 셔틀밸브 수용보어
151, 351 : 실린더 압력센서 수용보어
152, 352 :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
160 : 모터 커넥터 수용보어 162 : 누수 보어
L1 : 제1 밸브열 L2 : 제2 밸브열
F1 : 정면 F2 : 배면
F3 : 상면 F4 : 하면
F5 : 양측면 C : 중심선

Claims (18)

  1. 두 개의 유압회로를 갖도록 형성되며, 마스터실린더와 연결되어 각 차륜에 설치된 휠 실린더로 공급되는 제동유압의 조절을 위하여 다수의 밸브, 펌프, 저압 어큐뮬레이터, 압력센서 및 모터가 설치되는 다수의 수용보어가 형성되고 내부에 다수의 수용보어를 연결하는 다수의 유로가 형성된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에 있어서,
    상기 밸브블록에는 다수의 NO밸브를 각각 수용하는 다수의 NO밸브 수용보어가 제1 밸브열에 배치되고, 다수의 NC밸브를 각각 수용하는 다수의 NC밸브 수용보어가 제2 밸브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밸브열의 상측에는 상기 제1 밸브열과 평행한 배열을 갖도록 한 쌍의 구동력 제어밸브 수용보어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밸브열과 제2 밸브열 사이에는 상기 제1 및 제2 밸브열과 평행한 배열을 갖도록 한 쌍의 셔틀밸브 수용보어가 형성되며,
    상기 압력센서 수용보어는 마스터실린더의 유압 압력을 검출하기 위해 마련된 실린더 압력센서 수용보어와, 휠 실린더의 유압 압력을 검출하기 위해 마련된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을 갖추고,
    상기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는 두 유압회로에 각각 마련되어 제1 밸브열과 한 쌍의 구동력 제어밸브 수용보어 사이에 형성되는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는 휠 실린더 포트와 상기 NO밸브 수용보어를 연결하는 유로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는 제1 밸브열의 최외측 NO밸브 수용보어와 구동력 제어밸브 수용보어와 함께 삼각형 구도를 갖도록 배열되는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압력센서 수용보어는 두 유압회로를 구획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중심선 상에 형성되어 마스터실린더와 연결되는 한 쌍의 실린더 접속부 중 어느 하나와 유로를 통해 연결되며, 한 쌍의 구동력 제어밸브 수용보어의 상측으로 형성되는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
  5. 두 개의 유압회로를 갖도록 형성되며, 마스터실린더와 연결되어 각 차륜에 설치된 휠 실린더로 공급되는 제동유압의 조절을 위하여 다수의 밸브, 펌프, 저압 어큐뮬레이터, 압력센서 및 모터가 설치되는 다수의 수용보어가 형성되고 내부에 다수의 수용보어를 연결하는 다수의 유로가 형성된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에 있어서,
    상기 밸브블록에는 다수의 NO밸브를 각각 수용하는 다수의 NO밸브 수용보어가 제1 밸브열에 배치되고, 다수의 NC밸브를 각각 수용하는 다수의 NC밸브 수용보어가 제2 밸브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밸브열의 상측에는 상기 제1 밸브열과 평행한 배열을 갖도록 한 쌍의 구동력 제어밸브 수용보어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밸브열과 제2 밸브열 사이에는 상기 제1 및 제2 밸브열과 평행한 배열을 갖도록 한 쌍의 셔틀밸브 수용보어가 형성되며,
    상기 압력센서 수용보어는 마스터실린더의 유압 압력을 검출하기 위해 마련된 실린더 압력센서 수용보어와, 휠 실린더의 유압 압력을 검출하기 위해 마련된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을 갖추고,
    상기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는 두 유압회로에 각각 마련되어 제1 밸브열과 제2 밸브열 사이에 형성되는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휠 압력센서 수용보어는 NO밸브 수용보어와 NC밸브 수용보어를 연결하는 유로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압력센서 수용보어는 두 유압회로를 구획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중심선 상에 형성되어 마스터실린더와 연결되는 한 쌍의 실린더 접속부 중 어느 하나와 유로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1 밸브열과 한 쌍의 셔틀밸브 수용보어가 형성되는 밸브열 사이에 형성되는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
  8.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블록의 정면에는 NO밸브, NC밸브, 구동력 제어밸브, 셔틀밸브, 압력센서가 설치되는 수용보어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블록의 배면에는 모터 및 모터커넥터가 설치되는 수용보어와, 마스터실린더와 연결되는 마스터실린더 접속부가 형성되며,
    상기 밸브블록의 양측면에는 펌프가 수용되는 펌프 수용보어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블록의 하면에는 한 쌍의 저압 어큐뮬레이터 수용보어가 형성되며,
    상기 밸브블록의 상면에는 휠 실린더 포트가 형성되는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수용보어는 한 쌍의 펌프 수용보어 사이에 배치되고, 모터 커넥터 수용보어는 모터 수용보어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모터 수용보어와, 모터 커넥터 수용보어는 두 유압회로를 구획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중심선 상에 배열되는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압력센서 수용보어는 상기 모터 커넥터 수용보어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모터 수용보어와 모터 커넥터 수용보어 사이에 형성되는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저압 어큐뮬레이터 수용보어 사이에 누수 보어가 더 형성되는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 보어는 상기 밸브블록의 배면에 형성되는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밸브 수용보어는 펌프 수용보어의 흡입측 및 마스터실린더 접속부와 연결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수용보어는 상기 제1 밸브열과 제2 밸브열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모터 수용보어를 기준으로 밸브블록의 양측면에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블록의 양측면에는 댐핑보어가 더 형성되되,
    상기 댐핑보어는 상기 펌프 수용보어와 평행한 배열을 가지며 상기 펌프 수용보어의 상측에서 모터 커넥터 수용보어를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보어는 상기 제1 밸브열과 한 쌍의 구동력 제어밸브 수용보어가 형성되는 밸브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보어의 흡입측은 상기 펌프 수용보어의 토출측과 연결되고, 상기 댐핑보어의 배출측에는 오리피스가 형성되어 구동력 제어밸브 수용보어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는 한 쌍의 구동력 제어밸브 수용보어가 형성되는 밸브열과 평행하도록 상기 밸브블록의 측면에서 형성되며, 상기 오리피스의 출구는 구동력 제어밸브 수용보어와 유로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

KR1020160008042A 2016-01-22 2016-01-22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 KR101796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042A KR101796498B1 (ko) 2016-01-22 2016-01-22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042A KR101796498B1 (ko) 2016-01-22 2016-01-22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119A true KR20170088119A (ko) 2017-08-01
KR101796498B1 KR101796498B1 (ko) 2017-11-10

Family

ID=59650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042A KR101796498B1 (ko) 2016-01-22 2016-01-22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4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712B1 (ko) 2018-01-25 2020-08-31 고용권 통합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압 블록의 선택적 양극산화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6498B1 (ko) 201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6497B1 (ko)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
KR20170111310A (ko)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밸브블록
KR101913120B1 (ko) 전자제어식 브레이크시스템의 유압유닛
US8622486B2 (en) Hydraulic unit for regulating the brake pressure in a vehicle brake system
KR100808482B1 (ko) 전자제어식 브레이크시스템의 유압유닛
KR102146432B1 (ko)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유압블럭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전자제동장치
KR20210080316A (ko)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리던던시용 유압블럭
US8998350B2 (en) Pressure damping device for brake system
JP5086084B2 (ja) オートバイブレーキ装置
JP2004075052A (ja) 車両ブレーキ装置のための液圧ユニット
US9428165B1 (en) Hydraulic unit of electronic control brake system
KR101796498B1 (ko)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
EP0595293A1 (en) Brake fluid pressure control device
CN112566823A (zh) 用于液压制动系统的阀块
US7018003B2 (en) Hydraulic unit for slip-controlled brake systems
CN114435326A (zh) 用于车辆的电子制动装置的液压块
KR101947063B1 (ko)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
EP2842820B1 (en) Brake fluid pressure control unit
CN111757826A (zh) 鞍乘型车辆用制动系统的液压控制单元和鞍乘型车辆用制动系统
EP0545338A1 (en) Antilock brake control fluid pressure system
KR20150061132A (ko) 브레이크 시스템의 압력 완충장치
KR102249800B1 (ko)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유압블럭
JP2001191908A (ja) 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KR101415204B1 (ko) 안티록 브레이크시스템용 유압유닛
JP5307863B2 (ja) ブレー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