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6669A - 상승된 피부-접촉 상면시트층을 갖는 흡수 용품 - Google Patents

상승된 피부-접촉 상면시트층을 갖는 흡수 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6669A
KR20170086669A KR1020177019348A KR20177019348A KR20170086669A KR 20170086669 A KR20170086669 A KR 20170086669A KR 1020177019348 A KR1020177019348 A KR 1020177019348A KR 20177019348 A KR20177019348 A KR 20177019348A KR 20170086669 A KR20170086669 A KR 20170086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article
layer
topsheet layer
liquid
top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9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4107B1 (ko
Inventor
문영 조
형범 김
주형 이
형우 박
성대 노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170086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6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18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a raised crotch region, e.g. hum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A61F13/512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the apertures being formed on a multilayer top 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the topsheet and the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2013/5118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specially shaped topsheets
    • A61F2013/51195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specially shaped topsheets not contacting the absorb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흡수 용품은 제1 상면시트층이 제2 상면시트층의 길이 방향 말단들로부터 매달려 있는 2개의 평면형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을 포함한다. 제1 상면시트층은 제2 상면시트층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짐으로써 이완된 흡수 용품이 그 길이를 따라서 굴곡을 포함한다. 제1 상면시트층은 용품을 통한 공기 순환을 허용하고 또한 제2 상면시트층이 제1 상면시트층을 통해 보일 수 있게 하는, 중앙 개구 및 2개의 말단 개구를 한정한다. 제1 상면시트층은 적어도 연장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탄성이 있다.

Description

상승된 피부-접촉 상면시트층을 갖는 흡수 용품{ABSORBENT ARTICLE WITH ELEVATED SKIN-CONTACTING TOPSHEET LAYE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흡수성 개인 위생 용품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여성 및 성인 위생 흡수성 개인 위생 용품, 예컨대 라이너, 패드, 브리프, 의복, 기저귀 및 이들과 관련된 피부-접촉층(또는 상면시트층) 및 이러한 용품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성 및 성인 위생 흡수성 개인 위생 용품은 종종 오염으로부터 소비자 속옷과 겉옷을 보호하고, 생리, 혈액 또는 소변과 같은 신체 삼출물을 수집하고 보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용품은 사용 동안 의복의 가랑이 영역에 가장 보편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제품의 맥락에서, 흡수성과 편안함이 2가지 주요 제품 속성이며 이러한 용품의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영역이다. 특히, 사용자는 종종 자신의 의복 또는 침대 시트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이러한 제품이 신체 삼출물을 충분하게 흡수한다는 것을 아는 것에 대해 관심이 있다. 사용자는, 제품 사용 중에 오염되거나 또는 배설되면 이러한 제품이 감소된 축축한 느낌을 나타내는 것에 또한 관심이 있다. 불행하게도, 이러한 제품이 오염되면, 상면시트층(즉, 용품의 사용자 대향의 피부-접촉면층)은 종종 사용 기간 전반에 걸쳐서 일부 시간 동안 축축함을 유지하거나 적어도 축축함을 느낀다. 상면시트층은 흔히 흡수성일 수도 있는데, 이는 친수성 구성 물질, 예를 들어 천연 섬유 또는 계면활성제 처리된 중합체 물질로부터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이들 물질은 종종 그들의 표면에서 오염 후에 약간의 뚜렷한 수분을 보유함으로써, 그들의 연속적인 사용 중에 불편하고 축축한 감각이 생기게 한다. 이상적인 상황에서는, 실제로 오염이 생기면 이러한 용품이 사용자 또는 돌보는 사람(caregiver)에 의해 교체되지만, 일부 경우에는 사용자 또는 돌보는 사람이 오염이 생긴 것을 처음에 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인식 시, 사용자는 제품의 교환이 가능하거나 편리한 장소에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이들 용품의 빈번한 교체는 또한 축축함이 오염 직후에 검출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특정한 일상 활동을 고려할 때 비실용적일 수도 있다.
장기간 사용 중에 (피부-건강 근거뿐만 아니라 물리적 편안함 양쪽 모두에 대해) 제품으로부터 감소된 축축한 감각을 경험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요구 결과로서, 제조사들은 제품 배설 다음에 이러한 느낌을 다루기 위한 다수의 기술적 접근법을 탐구하였다. 제조사들은 축축한 최초의 느낌 및 “재습윤(rewet)”의 계속되는 감각도 모두 감소시키고자 시도하였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용어 “재습윤(rewet)”은 상면시트층을 통해 생리혈 또는 소변과 같은 유체 또는 액체를 흡수하여 용품 내부 및 아래의 흡수층에 전달하고, 다음에 그것을 연속하는 착용 압력 하에서 흡수층(들)으로부터 상면시트층으로 재차 방출시키기 위한 개인 위생 흡수 용품의 성향을 지칭하고 있다. 상면시트층으로의 재차 유체/액체의 이러한 방출은 종종 연속되는 축축함의 소비자 인식으로 이어진다.
흡수 용품 제조사들은 상면시트층에 대한 화학적 강화에 기초하여, 감소된 축축함 (및 재습윤)을 위해 개별적인 상면시트층들을 특별히 설계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용품이 용품의 피부-접촉면에서 연장된 건조한 느낌을 나타내도록, 소수성 상면시트층들은 중합체 섬유상 부직포층들 또는 천공된 필름층들로부터 개발되어 왔다. 또한, 이들 상면시트층 아래의 흡수층들 내에 보유되는 흡수된 유체는, 상면시트의 소수성 내부 표면 특성의 결과로서, 상면시트층을 통해 사용자의 피부로 다시 통과하려는 성향이 덜할 수도 있다. 일부 예에서, 상면시트층은 일방향 밸브로서 작용하여, 수분을 일 방향으로 통과시켜 사용자 대향, 피부-접촉면 아래에 유지시킬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면시트 설계는 아래에 놓인 흡수층으로의 유체의 직접 통로를 허용하기 위한 비교적 작거나 큰 개구들을 포함하였다. 예를 들면, Nomura 등의 호주 특허 제703676호는, 유체가 제품 내로 통과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노출된 중앙 개구를 가지면서, 패드의 길이 방향 말단들 및 가로 방향 측면 에지들에 부착되는 상면시트층을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설계는 소비자가 더욱 긴 건조한 느낌을 형성하는데 다소 성공적이었지만, 통기성과 공기 순환 증가를 제공하며, 소비자가 초기 오염이나 재습윤의 결과로서, 계속되는 축축한 느낌을 실제로 경험할 가능성이 적은, 흡수층(들) 내의 유체로부터 사용자를 물리적으로 분리시킬 것이라는 소비자 신뢰와 인식 증대를 제공하는 제품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AU 703676에서의 상면시트층 구성은, 측면 포켓들과는 다른 층들 사이의 예측 가능한 공간적 간극이 없는, 이차 상면시트층 및 아래에 놓인 흡수 구조체에 인접하게 놓이는 피부-접촉면층을 제공한다. 또한, 비교적 큰 개구들을 갖는 소수성의 필름 기반 상면시트들은 종종 제품들에 대해 불편한 “플라스틱”같은 느낌을 제공하며, 이러한 바람직하지 않은 감각을 해결할 필요가 여전하다. 또한, 아래의 흡수 구조체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상면시트층 내에 비교적 큰 개구들을 갖는 이러한 제품에서는, 이러한 제품이 빈번하게 사용자의 일상 활동 중에 속옷 주위에서 움직이거나 시프트되기 때문에, 이러한 상면시트층은 사용자의 생식기 또는 회음 영역과의 직접 접촉부 밖으로(총체적으로, 또는 특정 위치에서, 예를 들어 사용자의 질을 둘러싸는 영역과의 접촉부 밖으로) 이동하려는 성향을 가질 수도 있고, 궁극적으로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방출될 수도 있는 신체 유체 또는 삼출물의 적은 포획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제조사들은 또한 상기 층이 사용자 대향의 피부-접촉면을 가로지르는 상이한 영역들에서 상이한 물질들을 포함하는 다성분 상면시트층들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층들에서, 제1 물질은 제품 중앙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물질과 나란히(side-by-side) 있을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JP 1-122727U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의 상이한 물질을 둘러쌀 수 있다. 이러한 층들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X-Y 평면 내에 2개의 물질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용품 주변 측면 에지들에 비해서 용품 상의 중앙에 위치한 유체-침전 영역(또는 배설 영역)에서 다른 감각을 느끼도록 부분적으로 설계되어 왔다. 예를 들어 이러한 설계에서, 개구된 중합체 필름들은 제품의 중앙에 위치한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고, 더 유연한 부직포 물질이 제품의 주변 측면 에지들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Miao Lin 등의 국제공개 WO 2014/085974에서와 같은 일부 특허 참조문헌에서, 이러한 다성분 상면시트층들은, 용품 깊이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매크로-개구된(macro-apertured) 하부층 위에 배치되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위 “이중-커버(dual-cover)”, “다성분”, 또는 “이성분” 상면시트들을 가짐에도, 흡수 용품에서, 특히 상면시트층 에지들 안과 주위에서 통기성 및 공기 순환 증가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또한, 재습윤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사용자 신뢰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아래에 놓인 흡수층들로부터 상면시트층의 용품 깊이 방향을 따른 물리적인 분리의 필요성도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일상 활동 중에 사용자의 속옷과 함께 움직이는 다른 용품 층들에 불구하고, 사용자의 신체의 생식기 또는 회음 영역과의 접촉 또는 밀접한 연관성을 유지하는 이러한 상면시트층들에 대한 필요성이 또한 존재하고 있다.
소수성 및 다성분 상면시트층들은 초기 축축함 또는 계속되는 재습윤 감각에 부분적인 해결책만을 제공했기 때문에, 흡수 용품 제조사들은 또한 사용자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개별 층 또는 물질 설계와 대조적으로, 더욱 복잡한 구조적 해결책을 탐구해 왔다. 예를 들면, 제조사들은 용품 상면시트의 초기 유체 배설 영역으로부터 멀리 유체를 더욱 신속하게 또는 효과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유체 분배 시스템들을 생성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들은 상면시트층들 내에 유체의 표면 보유를 만족스럽게 해소하지 못했고, 아래에 놓인 오염된 구조체들로부터 상면시트층들을 물리적으로 분리하는데 도움을 주지도 못했다.
따라서, 제조사들은 유용품의 초기 오염 영역을 하나 이상의 아래의 흡수층(들)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또는 흡수 용품 내의 흡수된 유체를 유체 침착 영역으로부터 달리 격리하기 위한 구조체들을 또한 설계해 왔다. 이러한 물리적 분리는 종종 강성화 간격층들 또는 구조체들, 또는 다수의 물질 유형의 사용을 통해, 더 많은 비용 및 용품 복잡성으로 달성되어 왔다. 간격층들은, 예를 들면, 상면시트와 아래의 흡수성 코어층 사이에 위치한 이격 또는 분리된 험프형(hump-like) 구조체의 사용을 기술하고 있는 Visscher 등의 미국특허 제 5,324,278호, 및 상부의 이격된 흡수 구조체가 하부의 흡수 패드 구조체 위에 위치하고 있는 복합체 같은 패드를 기술하고 있는 Mizutani의 미국특허 제6,296,628호 및 Mizutani 등의 미국특허 제7,160,278호에서 볼 수도 있다. 이러한 복합체 패드들에서, 상승된 상면시트층은 여전히 흡수층에 바로 인접하게 유지되거나 그에 부착되어, 연속된 사용 중에 수분이 사용자의 피부와 잠재적으로 재접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러한 상승된 층들은, 사용자가 사용 중에 여성의 회음 영역에서 비교적 딱딱한 돌출부를 느낄 수도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안함을 희생시킬 수도 있다.
그 외의 상승된 액체 취급층들은 아래에 놓인 흡수층과 사용자 대향 액체 취급층 사이에 공간적 간극을 생성하기 위해서 다양한 흡수 용품용으로 설계되어 왔다. 예를 들어 Tanzer 등의 미국특허 제5,853,403호에서는, 이러한 천공되고 상승된 액체 취급층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층은 층과 용품 길이 방향 말단들을 가로질러서(그리고 일부 예에서는, 측방향 측면 에지들을 따라) 연결되며, 비교적 대량의 액체를 취급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추가의 보조 또는 유동 구조체들이 Tanaka의 JP2007167191, Mizutani 등의 미국공개 20050027278 및 Gustafsson의 미국특허 제6,423,043호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구조체는 추가 및 고비용의 제조 단계들을 필요로 하고 사용자에게 잠재적인 불편함의 원인을 제공하는 다수의 추가 물질을 포함하거나; 다양한 연속적인 부착 기구를 포함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추가 액체 취급 또는 흡수층에 바로 인접하게 상부 사용자 대향면을 위치시킨다. 따라서, 추가 및 고비용의 중간층들 또는 구조체들에 대한 의존 없이, 흡수층으로부터 상면시트층을 물리적으로 분리하며, 그 결과, 재습윤을 감소시키고 사용 동안에 용품을 통한 통기성 및 공기 순환을 촉진시키는 흡수 용품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Mishima의 미국특허 제6,913,599호에는, 상부의 중앙에 천공되고 신축 가능한 액체 불투과성 피부 대향층이 기저귀 같은 속옷 위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승되고 천공된 층은 길이 방향 말단들 및 측방향 측면 에지들 양쪽 모두를 가로질러서 의복에 완전히 부착되어, 특히 이러한 피부 대향층이 액체 불투과성인 것으로 기술되어 있는 것을 고려하면, 용품의 길이 방향 말단들을 따른 기류를 최소화한다. 따라서, 제품의 주변 측면 에지들의 모든 측면들로부터 주변 공기 순환을 또한 제공하는 흡수 용품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하고 있다.
제1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은 길이 방향, 가로 방향, 및 깊이 방향을 가지고 있다. 상기 흡수 용품은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제1 및 제2 길이 방향 말단, 상기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제1 및 제2 길이 방향 말단 사이에서 연장되는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들을 가지고 있다. 상기 흡수 용품은 제1 상면시트층 이완된 길이,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 및 상기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들을 갖는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개구를 한정하며, 적어도 흡수 용품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연장 가능하고, 대안적으로는 탄성이다. 상기 흡수 용품은 흡수 용품 깊이 방향을 따라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아래에 있는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은 제1 상면시트층 이완된 길이보다 더 긴 제2 상면시트층 이완된 길이를 가지고 있다.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부착 구역들에 의해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에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개구를 통해 보일 수 있다. 상기 흡수 용품은 상기 흡수 용품 깊이 방향을 따라 상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 아래에 있는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 및 상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과 상기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 사이에 개재된 적어도 하나의 흡수성 코어층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흡수 용품은 상기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에서 또는 그에 인접하게 적어도 2개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 개구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길이 방향 말단 개구들은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2 실시예에서, 상기 흡수 용품은 적어도 4개의 분리된 부착 구역에 의해 흡수 용품 상에 부착되는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을 포함하며, 상기 부착 구역들 중 적어도 2개는 각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에서 또는 그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어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내의 적어도 하나의 말단 개구가 각각의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에서 또는 그에 인접하게, 그리고 적어도 2개의 부착 구역 사이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에 의해 한정된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흡수 용품은 중앙 길이 방향, 및 중앙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하고 있는, 적어도 2개인,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 개구를 포함하고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 개구들은 곡선 에지형, 반원형, 또는 U 형상 개구 구성으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적어도 2개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 개구는 흡수 용품 중앙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정렬되어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부착 구역들은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되어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부착 구역들은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의 안쪽으로 이격되어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및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은 각각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에서 또는 그에 인접하게 주변 에지들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주변 에지들은 액체 투과성 제1 및 제2 상면시트층 각각에 대해 대체로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에서의 또는 그에 인접한 각 상면시트층의 주변 에지들은 대체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적어도 하나의 중앙에 위치한 개구를 포함하고 있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흡수 용품은 중앙 길이방향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에 위치한 개구는 대향하는 길이방향 말단 개구들 사이에서 흡수 용품 중앙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하고 있는 계란형, 원형, 긴타원형(oblong), 다수의 근접한 개구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흡수 용품은 중앙에 위치한 천공을 가지는 천공층을 포함하며, 상기 천공층은 흡수 용품 깊이 방향으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과 흡수성 코어층 사이에 놓이며, 또한 상기 중앙에 위치한 천공은 중앙에 위치한 개구와 흡수 용품 깊이 방향을 따라 정렬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중앙에 위치한 개구 및 중앙에 위치한 천공은 모두 타원형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흡수 용품은, 각각의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에서 또는 그에 인접하게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에 의해 한정된 하나보다 많은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 개구를 포함하고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들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또는 그에 인접하게, 흡수 용품 깊이 방향을 따라 그 아래의 층에 부착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들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에서 또는 그에 인접하게, 흡수 용품 깊이 방향을 따라 그 아래의 층에 부착된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예를 들어 용품 길이 방향을 따라 탄성이다. 이러한 탄성 상면시트층은, 단일의 탄성층 또는 탄성 적층체층, 예컨대 신축-접합된(stretch-bonded) 탄성 적층체층으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신축-접합된 탄성 적층체층은 신축된 필름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신축된 필름은, 상기 필름이 신축된 구성일 동안에 하나 이상의 비탄성 부직포층에 접합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신축된 부직포 웹 또는 일련의 가닥(예를 들어, 미리 형성된 섬유/실 또는 압출된 가닥)가 신축된 구성일 동안에 하나 이상의 비탄성 부직포층에 접합되는 신축된 부직포 웹 또는 일련의 가닥에 접합된다. 이러한 신축 접합된 적층체들은 적어도 용품 길이 방향으로 탄성이지만, 또한 용품 가로 방향으로 탄성일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1 상면시트층은 용품 길이 방향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길이 및 가로 방향 양쪽으로 연장 가능하거나 탄성일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은 중앙 상면시트부 및 측면 상면시트부를 가지는 다성분 상면시트층이고, 여기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의 중앙 상면시트부는 중간층의 시각적 방해 없이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내의 개구를 통해 보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소수성이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 깊이 방향으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아래에 있는 층 상의 표면형태의 시각 특징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통해 보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용품 사용 중에 약 0.0mm와 약 6mm 사이, 대안적으로 약 0.01과 약 6mm 사이의 거리만큼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길이방향 말단들에서만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에 부착되고, 상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은 흡수 용품이 이완된 구성에 있을 때에 만곡된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은 다수의 상면시트층, 배면시트층 및 상면시트층들 중 하나와 흡수성 코어층 사이에 개재된 흡수성 코어층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흡수 용품은 특히 제1 평면형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 및 제2 평면형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을 포함하며, 양쪽의 제1 평면형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 및 제2 평면형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은 길이 방향 및 가로 방향을 실질적으로 세장형 형상을 가지며, 각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은 2개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평면형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은 바람직하게는 연장 가능하며, 대안적으로 탄성이고, 그 안에 중앙에 위치한 개구 및 적어도 2개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 개구를 한정하며, 이에 따라 제2 평면형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이 상기 중앙에 위치한 개구 및 적어도 2개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 개구를 통해 보일 수 있다. 상기 제1 평면형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은 제2 평면형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 사이에 매달려 있고, 이에 따라 2개의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이 그들의 대향하는 길이방향 말단들에서만 또는 그에 인접하게 상호 결합된다. 상기 제2 평면형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은, 빈 공간(void space)이 제1 평면형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과 제2 평면형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 사이에 존재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평면형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은, 양쪽의 상면시트층이 이완된 상태에 있을 때 제2 평면형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의 길이 미만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평면형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은 흡수 용품 내부에 미리 인장력이 가해진(pretensioned) 상태로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1 평면형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은 탄성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평면형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은 소수성이고, 상기 제2 평면형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친수성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평면형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은 단일의 탄성 시트 또는 탄성 적층체, 대안적으로 신축 접합된 탄성 적층체로부터 형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흡수 용품은 길이 방향, 가로 방향, 및 깊이 방향을 가지며, 상기 흡수 용품은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제1 및 제2 길이 방향 말단, 및 상기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제1 및 제2 길이 방향 말단 사이에서 연장되는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들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흡수 용품은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 및 상기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들을 가지는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개구를 한정하고 있다.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적어도 흡수 용품 길이 방향을 따라 탄성이다.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이 흡수 용품 깊이 방향을 따라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아래에 있다. 상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은 부착 구역들에 의해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에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에 부착되어,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에 대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부착이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을 향하여 흡수 용품에 굴곡을 부여한다. 상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개구를 통해 보일 수 있다. 상기 흡수 용품은 흡수 용품 깊이 방향을 따라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 아래에 있는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 및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과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 사이에 개재된 적어도 하나의 흡수성 코어층을 또한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흡수 용품은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에서 또는 그에 인접하게 적어도 2개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 개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길이 방향 말단 개구들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의 일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완전하고 사용 가능한 개시 내용은 다음과 같이 첨부한 참조 도면들을 비롯해 명세서의 나머지 부분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생리대 형태의, 본 발명에 따른 여성용 위생 흡수성 개인 위생 용품의 상부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생리대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들 아래로 접히는 날개들을 가지는 생리대의 다른 실시예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a는 생리대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들로부터 바깥쪽으로 위치해 있는 날개들을 가지는 생리대의 다른 실시예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b는 대향하는 측방향 에지들로부터 바깥쪽으로 위치하고 있는 날개들을 가지며,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들을 따라 제한된 상면시트층 부착부를 포함하는 생리대의 다른 실시예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c는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들로부터 바깥쪽으로 위치하고 있는 날개들을 가지며,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들을 따라 연속하는 상면시트층 부착부들을 포함하는 생리대의 다른 실시예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d는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의 안쪽으로 부착된, 이전의 실시예들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치수의 상승된 피부-접촉 제1 상면시트층을 가지는 생리대의 다른 실시예의 상부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e는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들로부터 바깥쪽으로 위치하고 있는 날개들을 가지며,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들을 따라 제한된 상면시트층 부착부들을 포함하는 생리대의 다른 실시예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도 1의 생리대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대안적인, 상승된 피부-접촉 제1 상면시트층의 상부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도 1의 생리대의 5-5 선을 따라 취한 분해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정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부직포 또는 부직 웹"는 용어는, 편직물(knitted fabric)에서와 같이 식별 가능한 방식은 아니지만 인터레이드된(interlaid) 개별적인 섬유 또는 실의 구조를 갖는 웹을 지칭한다. 부직포 또는 부직 웹은, 예를 들어, 멜트블로잉 공정, 스펀본딩 공정, 코폼 공정, 고수압 직조 및 (스루-에어 본디드 카디드 웹 또는 TABCW와 같은) 본디드 카디드 웹 공정과 같은 많은 공정에서 형성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멜트블로운 웹"은 일반적으로, 용융 열가소성 재료가 용융 섬유로서 복수의 미세한, 보통 원형인, 다이 모세관을 통하여 수렴 고속 가스(예를 들어, 공기) 스트림 내로 압출되며 가스 스트림은 용융 열가소성 재료의 섬유를 약화시켜 섬유의 직경을 극세사 직경으로 될 수 있도록 감소시키는 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부직포 웹을 지칭한다. 이후, 멜트블로운 섬유는 고속 가스 흐름에 의하여 운반되고 수집 표면 상에 침착(deposit)되어 무작위로 분배된 섬유들의 웹을 형성한다. 이러한 공정은, 예를 들어, Butin 등의 미국 특허 제3,849,241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위 특허는 전체적으로 내용은 본 명세서 내에서 참고로 원용된다. 일반적으로, 멜트블로운 섬유는 실질적으로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이며, 일반적으로 직경이 10㎛보다 작으며, 수집 표면 상에 침착될 때 일반적으로 접착성(tacky)인 극세사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스펀본드 웹"은 일반적으로, 작은 직경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섬유를 포함하고 있는 웹을 지칭한다. 섬유는 방적돌기(spinnerette)의 다수의 미세한, 일반적으로 원형인 모세관으로부터 용융된 열가소성 재료를 압출함에 의하여 형성되며, 그후 예를 들어 유도적 인발 및/또는 기타 공지된 스펀본딩 기구에 의해 압출된 섬유의 직경은 급격히 감소된다. 스펀본드 웹의 제조는, 예를 들어 Appel 등에 의한 미국특허 제4,340,563호, Dorschner 등에 의한 제3,692,618호, Matsuki 등에 대한 제3,802,817호, Kinney에 대한 제3,338,992호, Kinney에 대한 제3,341,394호, Hartman에 대한 제3,502,763호, Levy에 대한 제3,502,538호, Dobo 등에 대한 제3,542,615호 및 Pike 등에 대한 제5,382,400호에 설명되고 도시되어 있으며, 위 특허들 각각은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 내에서 참고로 원용된다. 스펀본드 섬유들은, 수집 표면 상에 침착(deposit)될 때 일반적으로 끈적거리지 않는다. 스펀본드 섬유는, 가끔 약 5 내지 약 20㎛와 같은, 약 40㎛ 미만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과 같이, 용어 "코폼"은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섬유들과 제2 비-열가소성 재료의 혼합물 또는 안정화된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복합 물질을 가리킨다. 예로서, 코폼 물질은 적어도 하나의 멜트블로운 다이 헤드가 슈트(chute) 가까이에 배치되고 그것을 통해 다른 재료가 웹이 형성되는 동안 웹에 첨가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그런 다른 재료는, 한정되지는 않지만, 섬유상 유기 재료, 예를 들어, 목질계 펄프 또는 비-목질계 펄프, 예를 들어, 면, 레이온, 재생 종이, 펄프 플러프 및 또한 초흡수성 입자, 무기 및/또는 유기 흡수 물질, 처리된 고분자 스테이플 섬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폼 재료의 일부 예가 Anderson 등에 대한 미국특허 제4,100,324호; Everhart 등에 대한 제5,284,703호; 및 Georger 등에 대한 제5,350,624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위 특허들 각각은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 내에서 참고로 원용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저장 구성요소"는 주요 기능이 신체 삼출물을 액체/유체 폐기물의 형태로 궁극적으로 저장하도록 설계된 흡수 용품 층을 지칭한다. 즉, 이러한 저장 구성요소는 액체가 상면시트층을 통하여 그리고 선택적으로 서지(surge), 전달 및 분배층과 같은 액체 처리층을 통하여 흡수 용품 내로 수용된 후에 수성 기반 액체/유체를 유지하도록 설계된 흡수층이다. 이러한 저장 구성요소 층은 예를 들어 흡수 용품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은 초흡수성 재료(또는 SAP)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셀룰로오스 솜 또는 다른 셀룰로오스 기반 재료, 다공성 폼 또는 예를 들어 다른 친수성 액체 유지 재료와 같은 모든 또는 일차적인 친수성 재료를 포함한다. 액체/유체 저장 구성요소는 상면시트층 또는 서지, 전달, 분배 또는 유도층과 같은 중간 액체/유체 처리층과 구별되어야 하며, 이 층들은 “통과(pass-through)층”으로 설계되어 액체가 초기 액체/유체 수용층으로부터 유체 저장 구성요소로 이동할 때 액체 상에서 기능을 수행한다. 액체가 궁극적인 저장 목적지로 이동함에 따라 통과층은 층을 통하여 액체를 이동시킨다. 통과층의 다양한 기능의 예로는 액체가 층을 통하여 저장층으로 이동할 때 액체 흐름을 늦추고, 인접한 층 상에서 다수의 방향을 따르는 액체의 흐름을 넓히고, 유체를 용품 내의 하부 층으로 신속하게 보내고, 또는 특정 분리 작동 또는 액체 상에서의 처리를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적어도 상면시트층, 흡수성 코어층 및 배면시트층 (즉, 용품 깊이 방향으로의 다층 흡수 용품의 적어도 제1 사용자 대향 상면시트층)을 갖는 흡수 용품의 초기 액체/유체 수용층(즉, 상면시트층)은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하여 "저장 구성요소"로 간주되지 않는다. 상면시트층 상의 초기에 수용된 액체/유체의 부수적인 존재 또는 이러한 상면시트층의 재습윤은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하여 궁극적인 액체 저장을 구성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상면시트층은 액체를 거의 또는 전혀 보유하지 않는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이러한 상면시트층 및 상면시트층 길이를 따르는 상면시트 의복 대향 하부 표면의 실질적으로 대부분(50% 넘게)을 가로질러 부착된, 상면시트층에 대한 임의의 직접적으로 부착된 층은 액체를 거의 또는 전혀 보유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서, 이러한 상면시트층 및 임의의 선택적으로 직접적으로 부착된 층은 전체적으로 소수성 재료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상면시트층은 대향하는 길이방향 말단을 제외하고는 상면시트층에 부착된 임의의 다른 층을 포함하지 않으며, 이러한 다른 부착된 층은 이차 상면시트층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신축 가능한(stretchable)” 및 “연장 가능한(extensible)”은 상호 교환 가능해야 하며, 일반적으로 인가된 힘의 방향(예컨대, 교차-기계 방향 또는 CD, 또는 기계 방향 또는 MD)으로 그의 이완된 길이 및 폭의 약 50% 이상,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100% 이상,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200% 이상 신축하거나 연장되는 물질을 지칭하고 있다. 용어 “기계 방향(machine direction)”은, 물질 또는 용품이 이루어지는 방향을 의미하며, 종종 용품 또는 물질의 길이 방향을 지칭하고 있다. 용어 “교차-기계 방향(cross-machine direction)”은 기계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의미하며, 종종 용품 또는 물질의 가로 방향을 지칭하고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탄성"은 일반적으로 신축력의 적용 시에 적어도 한 방향(예를 들면, CD 또는 MD)으로 신축가능하며, 신축력의 해제 시에 대략 원래 치수로 수축/복귀하는 연장가능 물질을 지칭한다. 예를 들면, 신축된 물질은 신축된 길이의 적어도 약 5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80%을 수축 또는 복귀할 수도 있다. 연장가능 물질은 복귀 성질이 결여되어서 “비탄성” 물질로 고려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탄성 물질은 연장 가능하지만, 연장 가능한 물질이 탄성이 없을 수도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하여,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흡수 용품 길이방향(기계 방향)을 따라 적어도 연장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흡수 용품 길이방향을 따라 탄성이 있다. 대체 실시예에서, 그러한 제1 상면시트층은 흡수 용품 길이방향과 가로방향 모두에서 연장가능하고 그리고/또는 탄성이 있다.
물질은 주기적 시험 절차를 사용하여 그 탄성 특성에 대해 시험될 수 있다. 특히, 2-주기 시험은 100% 정의된 신장에 채용될 수 있다. 이 시험을 위하여, 샘플 크기는 기계 방향으로 6인치(15.2 cm) x 교차-기계 방향으로 3인치(7.6 cm)일 수 있다. 그립 크기는 폭으로 3인치(7.6 cm)일 수 있다. 그립 분리는 4인치(10.2 cm)일 수 있다. 샘플은, 샘플의 기계 방향이 수직 방향이 되도록, 로딩될 수 있다. 약 20 내지 30 g의 전부하가 채용될 수 있다. 이 실험은, 분당 20 인치(50.8 cm)의 속도로 샘플을 100% 신장으로 당긴 다음, 즉시(일시 정지하지 않고) 분당 20 인치(50.8 cm)의 속도로 샘플을 0% 신장으로 복원한다. 시험 데이터의 결과는 바람직하게제1 주기와 제2 주기로부터 나온다. 시험은 (노스 캐롤라이나주의 캐리(Cary)에 소재한 Sintech Corp의) TESTWORKS 4.07b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Renew MTS 몽구스 박스(컨트롤)를 구비한 Sintech Corp.의 정속 인장 시험기 2/S에서 실시될 수 있으며, 대기 조건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접합된"(bonded)은 본원에서 두 요소의 결합, 접착, 연결, 부착 등을 의미한다. 두 요소는, 그들이 서로 직접적으로 또는 각각이 중간 요소들에 접합될 때처럼 서로 간접적으로 결합, 접착, 연결, 부착 등이 될 때에 함께 접합된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접합은 예를 들어, 접착제, 압력 접합, 열 접합, 초음파 접합, 스티치, 봉합, 및/또는 용접을 통해 일어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흡수 용품"은 본원에서 생리대와 패드, 오버나이트 여성용 패드, 팬티라이너 및 팬티 실드와 같은 생리 용품, 실금 패드, 기저귀 장치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의복 또는 기타 최종 사용 개인 관리/위생 흡수 용품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소수성”은 적어도 90도의 공기 속의 물의 접촉각을 가지는 물질을 지칭해야 한다. 용어 “친수성(hydrophilic)” 및 “습윤성(wettable)”은 90도 미만의 공기 속의 물의 접촉각을 가지는 물질을 지칭하도록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문구 “더 친수성(more hydrophilic)”은 비교적 더 낮은 접촉각을 가지는 물질을 지칭해야 한다. 문구 “더 소수성(more hydrophobic)”은 비교적 더 높은 접촉각을 가지는 물질을 지칭해야 한다. 소수성 및 친수성은 모두 물질을 구성하는 조성물의 고유한 특성의 결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및/또는 엘라스토머 중합체는 통상적으로 소수성인 반면에, 셀룰로오스 물질은 통상적으로 친수성이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특성은 기본 물질에 첨가되어 있는 코팅층들의 결과일 수도 있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접촉각 측정은 Cahn SFA-222 Surface Force Analyzer System, 또는 실질적으로 균등한 시스템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접촉각은, 1979년에 Plenum Press의 R.J. Good 및 R.R. Stromberg에 의해 편집된, 31-91페이지의 Neumann, A.W. 및 R.J. Good의 "Techniques of Measuring Contact Angles", Chapter 2, Surface and Colloid Science - Experimental Methods, Vol. 1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결정될 수 있고, 이는 본원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코팅된 기재에 대해, 접촉각 측정은, “Standard Practice for Surface Wettability of Coatings, Substrates and Pigments by Advancing Contact Angle Measurement”로 명명된, ASTM D-7334에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전진 접촉각 측정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바람직하다. 특정 상면시트층들을 코팅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는 소수성 표면 처리의 예는 Abuto 등의 미국 특허공개 2013/0197462에 기재된 것들을 포함하며, 상기 문헌은 본원과 모순되지 않는 목적을 위해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용어 “최대 연신(ultimate elongation)” 또는 “최대 연장(ultimate extension)”은 동의어이며, (예를 들어, 분리, 파열, 잡아 찢음, 또는 찢음에 의한) 층 무결성의 손상 전에, 흡수 용품 길이 방향을 따라 층의 최대 허용 가능한 연장 능력을 지칭해야 한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용어 “매크로-개구(macro opening)”는 중앙에 위치한 개구 및/또는 흡수 용품 내의 다양한 층의 말단 개구들을 지칭해야 한다. 이러한 개구들은 일 실시예에서 절개 또는 펀칭된 구멍 특징부들을 포함해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매크로-개구(들) 및 선택적으로 (개구(들)를 통한) 제2 상면시트층 사용자 대향면은, 흡수 용품의 사용자 대향 상면시트 표면들을 보았을 때, 적어도 약 0.25ft(0.075m) 내지 약 3ft(0.91m)의 범위로부터 개별의 용품 사용자에게 보일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이러한 매크로-개구들은 보통 개구 배경색 대비(즉, 개구와 바로 둘러싸는 용품 표면들 사이의 대비) 없이 적어도 3m, 또는 개구 배경색 대비를 가지고 5m의 거리로부터 용품 사용자에게 보일 수 있다. 용어 “매크로-개구”는 상면시트층 물질 내에 존재할 수도 있는 미세 구멍 또는 간극 공간(interstitial space), 예를 들어 부직포 웹의 섬유들 사이에 형성된 통상적인 간극 공간, 또는 진공 천공된 필름 내에 존재할 수도 있는 미세천공을 포함하지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이완된(relaxed)”은, 용품 또는 층이 평평한 평면형(평탄한) 표면(예를 들어 데스크톱) 상의 개방된 구성으로 놓일 때, 용품 사용자 대향면이 위쪽을 향하고 임의의 외부로 유도된 장력 또는 압력이 그의 용품, 또는 층 표면들의 어느 것에 인가되지 않은, 용품 또는 층(명시된 바와 같이)의 조건을 지칭해야 한다. 즉, 이완된 용품은 위쪽으로 향한 사용자 대향면을 가지는 개방된 구성으로 평탄하고 평평한 표면 상에 배치된 것일 것이다. 이러한 용품 구성의 예가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되어 있다. “용품”의 이러한 이완된 조건은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전체 용품이 평탄한 표면에 대하여 평탄하게 놓여 있음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완된 “층”은 위쪽으로 향한 사용자 대향면을 가지는, 평탄한 조건으로 평탄하고 평평한 표면 상에 배치된 것일 것이다. 이러한 것이 도 4에서 층으로 예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액체 투과성”은 다공성이며 구멍들을 통한 물 및 다른 수성 액체 또는 유체의 흐름으로 인해 물 투과성인 물질을 지칭해야 한다. 상기 구멍들은 액체 물의 누출 및 흐름을 허용하기에 충분히 크고 충분히 많다. “액체 불투과성”은 물 또는 수성 액체/유체가 통상의 사용 조건 하에서 통과할 수 없게 하는 물질을 지칭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구성한다", "구성하는" 및 원형 "구성하다"로부터 파생된 기타 용어는 명시된 특징, 요소, 완전체, 단계 또는 구성 요소의 존재를 특정하는 수정 가능한 용어로 사용되나,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요소, 완전체, 단계, 구성 요소 또는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용어 "포함한다", "포함하는", "가지다" 및 이에 따른 파생어는 단어 "구성하다"로 해석하기 위한 의도이며, 명시된 특징, 요소, 완전체, 단계 또는 구성 요소의 존재를 특정하는 수정 가능한 용어로 의도한 것이나,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요소, 완전체, 단계, 구성 요소 또는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하나 이상의 예가 후술되어 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각의 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제공된다. 실제로,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있어서 다양한 수정과 변형을 행할 수 있다는 점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예에 일부로서 예시하거나 설명하는 특징들을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사용하여 추가적인 실시예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유사한 특징들은 도면들 간에 유사한 번호로 표현할 수 있다. 추가적인 위치 강조가 요구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통적인 흡수 용품 구성용 접착제(또는 다른 접합 기술)가 설명된 용품의 다양한 층을 함께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구성용 접착제 또는 다른 접합 기술은, 예를 들어 흡수성 코어층을 향한 깊이 방향으로, 용품을 통한 유체/액체 폐기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배치되거나, 또는 언급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공간적 간극들 또는 빈 공간들의 발생을 방해하거나 지연시키지 않도록 한 장소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접착제 또는 다른 접합 기술은, 액체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회피하고 공간적 간극들을 보존하도록(이에 따라 특정 영역 내의 불필요한 하부층 접촉을 회피함) 바로 아래의 층들의 주변 측면 에지들에서만 또는 그들 사이에서만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빈 공간들이 잠재적으로 존재하는 언급된 흡수 용품 영역에서, 접착제 또는 다른 접합 특징부들은 존재하지 않거나 제한된 양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본 발명의 흡수용 개인 위생 용품은 이상적으로 여성 및 성인용 위생 제품 카테고리 내의 위생 용품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이러한 용품은, 예를 들어 여성용 위생 생리대 및 라이너, 및 성인용 위생 의복 인서트, 패드, 및 라이너를 포함한다. 패드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제품 용도들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영아 및 유아 위생 제품 용도는 마찬가지로 용어 “흡수 용품”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흡수성 및 편안함의 양쪽 속성을 가지는 흡수성 위생 용품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속옷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상승된 층의 사용자의 신체와 연속적인 긴밀한 접촉을 허용하는 상승된 피부-접촉 상면시트층을 가지는 흡수 용품이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용품들은 다수의 상면시트층 사이에서 다수의 환기 말단 개구 및 공간적 간극을 통해 예측 가능한 공기 순환을 제공하고 있다. 용품의 다수의(바람직하게는 4개의) 측면/에지를 따르는 이러한 개구들은 재습윤 감각의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탄성으로 분리된 상면시트들의 사용을 통해, 장기간의 용품 사용 중에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신체 배설물의 연속적인 분리 가능성이 증가된다.
이러한 상승된 피부-접촉 상면시트층은 용품의 하부 흡수 부분 위에 부유된 또는 “유동하는(floating)” 층으로서 기능한다. 상승된 피부-접촉 상면시트층은 연장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탄성이고, 용품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에만, 또는 그들에 인접하게; 대안적으로, 이러한 말단들에서 또는 그들에 인접하게, 그리고 또한 부분적으로 용품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들의 개별 영역들을 따라; 또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말단들 및 흡수 용품의 전체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들에서 또는 그들에 인접하게, 용품의 나머지 부분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 부착부는, 흡수 용품의 나머지 하부 구조체로부터 상승된 피부-접촉 상면시트층으로 연장되는, (용품 날개 특징부 근처의 각각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에서) 비교적 수직으로 세워진 벽 같은 배리어층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벽 같은 배리어층은 용품 사용 중에 확장하는 확장 가능한 벽 같은 구조체일 수도 있다.
임의의 경우에, 이러한 상승된 피부-접촉 상면시트층(“상부” 제1 상면시트층)은 층 내에 존재하는 임의의 매크로-개구들을 제외하고는 그 자체로 액체 투과성이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용품의 하부의 이격된 흡수 부분으로의 액체의 방해받지 않는 흐름을 위해 적어도 중앙에 위치한 매크로-개구를 포함하고 있다. 상승된 피부-접촉층은 터치에 부드럽지만 습윤성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상승된 층은, 사용 전반에 걸쳐서 사용자의 신체와 일정한 접촉을 유지하기 때문에, 수성 액체/유체 흡수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상승된 층은 임의의 액체/유체 저장 구성요소에 직접 부착되지 않는다. 용품의 하부의 이격된 흡수 부분은 제1 상면시트층 아래의 “하부”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에 의해 덮여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하부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은, 제1 상면시트층의 전체 길이, 또는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를 따라 바람직하게 빈 공간을 생성하도록, 그의 길이 방향 말단들에서만 제외하고는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은 제1 상면시트층의 중앙에 위치한 매크로-개구, 또는 제1 상면시트층의 말단 개구들에서의 가끔의 접촉을 제외하고는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지 않는다. 제1 상면시트층이 제2 상면시트층보다 용품 가로 방향으로 더 좁은 경우, 추가 접촉부가 생길 수도 있다. 상면시트층들 사이의 잠재적인 빈 공간은 신체 움직임에 따라 나타나고 사라진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상승된 피부-접촉 상면시트층의 탄성 속성(및 바람직하게는 패드의 말단들에 접합되는 시점에서의 상기 층의 미리 신축된 상태)은 장기간의 용품 사용의 기간에 걸쳐서 이격된 구성으로 복귀하려고 하는 상부 상면시트층의 성향을 생성한다. 이러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이 패드의 하부 부분에 대한 부착 시에 장력 하에 있는 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그의 정상적으로 완전히 수축된 길이는 흡수 용품의 하부 부분보다도 짧다. 상승된 층은 상부, 바람직하게는 소수성 상면시트층으로부터 패드의 오염된 하부 부분을 분리시켜서, 사용자의 축축함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있다.
중앙에 위치한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삼출물이 흐르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분, 예를 들어 생리혈이 삼출하는 여성의 회음 영역을 수용하도록 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중앙에 위치한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인접한 질 영역만을 수용하도록 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흡수 용품의 하부의 이격된 흡수 부분은, 중간층의 시각적 방해가 거의 또는 전혀 없이, 제1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 내의 이러한 중앙에 위치한 개구를 통해 보일 수 있어,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흡수 용품의 하부 내부 부분으로 액체/유체의 직접적인 통과를 허용한다. 즉, 자신의 길이를 따라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하측면에 직접 접합될 수도 있는 임의의 중간층은 중앙에 위치한 개구를 통해 하부층의 가시화를 차단하지 않으며, 상기 개구를 통한 액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제1 상면시트층의 의복 대향 측면을 따라 직접 접합되는 임의의 선택적인 중간층은 바람직하게는 용품 깊이 방향으로 제1 상면시트층의 매크로-개구(들)과 정렬되는 유사한 크기 및 형상의 매크로-개구를 포함하고 있다.
상부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제1 상면시트)의 이완된 길이는 항상 하부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흡수 용품의 하부 부분) 보다도 짧다. 하부 상면시트층은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제1 상면시트층 중앙 또는 말단 개구들을 통해, 패드 상에 삼출될 수도 있는 수분에 대해 더욱 잘 수용하도록 친수성이다.
상승된 피부-접촉 상면시트층(상부 제1 상면시트층)은 바람직하게는 일상적인 활동 중에 사용자의 신체와 상부 상면시트층의 긴밀한 유대를 유지하고, 장기간의 사용에 걸쳐서 이러한 층을 파열시키지 않으면서, 사용자 및 사용자의 속옷이 움직임에 따라 상기 층의 신장 및 수축을 허용하도록 탄성이다. 용품 사용 중 제1 액체 투과성 상부 상면시트층과 제2 액체 투과성 하부 상면시트층 사이의 공간적 간극은 수분이 흡수성 코어층(들)으로부터 상부의 상승된 사용자 대향의 피부-접촉층으로 다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면시트층들 사이의 이러한 예측 가능한 공간적 간극 또는 빈 공간은 용품 사용(용품이 펼쳐지고 사용자의 속옷 안에 배치된 후에 사용하는 시간) 중 어느 시점에 발생한다. 예를 들면, 이러한 공간적 간극은 사용자가 옆으로 눕거나, 엎드리거나, 또는 태아의 수면 자세로 있을 때, 또는 사용자가 걷고 있을 때에 발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서, 빈 공간은 상부 상면시트층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를 따라 2개의 상면시트층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실질적으로란, 제1 상면시트층 길이(일부 예에서는 전체 용품 컵 모양 길이의 50%일 수 있음)의 적어도 50%를 의미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용품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상면시트층 길이의 적어도 80% 또는 대안적으로, 제1 상면시트층 길이의 적어도 90%를 의미하고 있다.
환기 개구들은 용품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들을 따라, 용품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을 따라 또는 양쪽 모두의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환기 말단 개구들은, 상승된 피부-접촉 상면시트층이 적어도 4개의 분리된 부착 구역에서 흡수 용품의 하부 부분에 부착되도록 제1 상면시트 사용자 대향면을 따르는 위치에 존재할 수도 있고, 환기 개구들이 용품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 각각에서 또는 그에 인접하게 부착 구역들의 쌍들 사이에 놓인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상승된 피부-접촉 상면시트층(제1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은 그의 부착 구역 구성에 의해 길이 방향 말단 개구들을 부분적으로 한정한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말단 개구들은 길이 방향 말단들을 향하여, 상승된 피부-접촉 상면시트층 내부에 전체적으로 한정될 수도 있다. (즉, 상승된 피부-접촉 상면시트층의 일부분에 의해 모든 측면 상에 둘러싸인다)
언급된 바와 같이, 이러한 상승된 피부-접촉층은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사용 중에 건조 감각을 향상시키도록, 소수성 또는 반소수성 물질(액체 불투과성 물질과는 대조적으로)로부터 형성되지만, 여전히 액체가 하부 흡수층으로 투과할 수 있게 한다. 액체는 중앙에 위치한 개구를 통해 직접, 말단 개구를 통해 직접, 또는 층 물질 자체를 통해 흡수 용품의 하부층들로 통과할 수도 있다. 용어 반소수성은 친수성 및 소수성 물질 둘 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신축 가능한, 바람직하게는 탄성인 피부-접촉 상면시트층은 또한 일상적인 활동 중에 속옷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하부층들에 의한 궁극적인 흡수 또는 신체 삼출물의 포획을 허용하도록 사용자의 신체에 순응한다. 아래에 놓인 층들이 사용자의 속옷과 함께 움직일 수도 있으므로, 상부 상면시트층은 그의 신축 가능한 기능의 결과로서 사용자의 신체와 직접 접촉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상승된 상면시트층과 제2 이격된 하부 상면시트층 사이에 예측 가능한 공간적 간극을 유지함으로써, 사용 중에 축축함 및 재습윤 감각을 감소시키는 흡수 제품이 생산된다. 하부 흡수 용품 부분으로부터 분리되는 성향이 있게 함으로써, 이러한 제1 상면시트층은, 적어도 삼출물이 흐르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 아래에 위치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용품의 영역에서, 흡수 용품의 오염된 구역과 사용자의 피부/신체의 연속적인 직접 접촉을 막는다. 저장 구성요소와 제1 상면시트층의 연속적인 직접 접촉을 막음으로써, 재습윤 감각에 대한 성향이 감소된다. 이러한 3차원 구조는 또한 건조를 유지하도록 용품 전반에 걸쳐서 공기 순환을 허용한다. 제1 상면시트층 아래에, 또는 제1 및 제2 상면시트층 사이에 (상면시트층들 사이에 빈 공간을 여전히 유지하면서) 추가 측방향 에지 배리어들을 선택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측방향 누출로부터의 향상된 보호가 용품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이제 각각 도 1, 도 3, 및 도 5를 구체적으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개인 위생 용품(10)의 상부 평면도, 분해 사시도, 및 분해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흡수성 개인 위생 용품은 여성용 위생 생리대(10)의 형태이다. 간략화를 위해 각각의 도면에는 생리대가 도시되어 있지만, 다양한 흡수 용품이 본 개시의 발명의 이점을 취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흡수 용품(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패드)(10)은 길이 방향 L, 가로 방향 T, 및 깊이 방향 Z를 포함하고 있다. 흡수 용품은, 용품을 2개의 대칭적인 길이 방향으로 향하는 절반들로 분리하는 중앙 길이 방향 Lc을 또한 포함하며, (적어도 도 3에 도시된 패드에서) 용품을 2개의 대칭적인 절반들로 분리하는 중앙 가로 방향 Tc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패드가 비대칭 형상, 예를 들어 오버나이트 패드 제품들(미도시)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형상인 경우이면, 중앙 가로 방향은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흡수 용품(10)은 대향하는 제1 및 제2 길이 방향 말단(11, 12), 및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제1 및 제2 길이 방향 말단(11, 12) 사이에서 연장되는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들(13, 14)을 포함하고 있다.
흡수 용품(10)은 사용자 대향 피부-접촉 표면(26A), 및 의복 대향면(26B)(도 5 참조)을 가지는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을 포함하고 있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일 실시예에서, 상이한 구성 물질들의 조합에 대조적으로, 전체적으로 평면형 시트이며, 용품 내의 상부 상면시트층으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바람직하게 부드럽고 평면형 시트는, 평면형 시트와 조합하여 리본, 스트링, 또는 실에 의해 제공된 상이한 텍스처를 포함하는 구성에 대조적으로, 사용자에게 향상된 편안함을 제공한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본질적으로, 용품 사용 중 몇몇 기간에, 흡수 용품의 하부 부분(100)(도 5) 위에서 상승되거나 “유동(float)”하는 것처럼 보이며, 용품 길이 방향을 따라 그의 길이의 일부분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를 따라 그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상승된 피부-접촉층이다. “실질적으로”란, 제1 실시예에서, 그의 길이의 적어도 50%, 대안적으로 그의 길이의 적어도 80%,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그의 길이의 적어도 90%가 흡수 용품 하부 부분(100)(및 하부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으로부터의 공간적 간극에 의해 어느 시점에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27)에, 또는 그에 인접하게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용품 깊이 방향 Z에서의 하부 상면시트층)에 접합되어서, 그의 의복 대향면(26B)의 적어도 90%가 하부의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 사용자 대향면에 접합되지 않게 되며; 대안적으로 그의 의복 대향면(26B)의 적어도 80%가 하부의 제2 상면시트층 사용자 대향면에 접합되지 않게 된다. 대안적으로(미도시), 이러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그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27)에서, 흡수 용품의 하부 부분(100) 내부의 다른 층에, 예를 들어 제2 상면시트층이 아닌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22)에 접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2 상면시트층은 배면시트층보다 길이가 짧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서는, 전술된 말단 접합부 외에는, 제1 상면시트 길이를 따라 2개의 상면시트층을 연결하는 추가 접합부는 없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말단 접합부/부착부만이 제1 및 제2 상면시트층을 서로 유지시킨다.
용품 사용 중 어느 기간에서의 그의 상승된 상태에서, 흡수 용품의 하부 부분(100)으로부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및 그 위의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의 가장 큰 분리 거리는 높이 H1(도 2a, 도 5)로서 측정될 수 있다. 가장 큰 분리 거리 H1은, 종종 (패드의 중앙 길이 방향 및 중앙 가로 방향의 교차점을 따라) 패드(10)의 중앙 배설 영역에 인접한 위치에, 및/또는 존재하는 경우에는 종종 용품 날개들(15)에 인접한 위치에 있다. 분리 거리(즉, 상면시트층들 사이의 빈 공간의 높이)는 상면시트층 길이의 큰 부분을 따라 상당히 일정할 수 있거나, 또는 중앙 배설 영역으로부터, 분리 거리에 접근하지 않는(그리고 결과적으로 빈 공간이 없는) 용품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 각각으로 감소될 수도 있다. 이러한 분리 거리는 상면시트층들(또는 제1 상면시트층 및 다른 층)을 함께 보유하는 부착 구역들(52)의 존재, 및 길이, 제1 상면시트층의 연장성 또는 탄성, 및 패드의 사용자의 압축에 부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높이 H1은 약 0.0mm와 30mm 사이, 대안적으로 약 0.05mm와 30mm 사이, 대안적으로 약 0.1mm와 20mm 사이, 대안적으로 약 0.0mm와 약 6mm 사이, 대안적으로 약 0.1mm와 6mm 사이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높이 H1은 흡수 용품이 이완된(그리고 개방된) 상태에 있을 때에 약 0.05mm와 30mm 사이이다. 용품의 사용 중, 분리 거리 H는 사용자의 활동에 의존하여 흡수 용품(10)의 길이 방향(L)을 따라 변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앉은 자세로 있을 때, 분리 거리(공간)는 제거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취침 또는 걷는 자세로 있을 때, 분리 거리는 그의 최대 가능한 값에 접근할 수도 있다. 장기간의 용품 사용에 걸쳐서 분리 거리가 그의 최대 가능한 값에 연속적으로 도달할 수 있는 능력은 또한 제1 상면시트층의 탄성 특성 및 제1 및 제2 상면시트층(또는 패드의 하부 부분 내부의 다른 층들) 사이의 접합 강도에 의존할 것이다.
언급된 바와 같이, 평면형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27), 및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27)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들(28)을 포함하고 있다. 패드 제조 후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27)은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11, 12)(도 1, 도 3, 및 도 5 참조) 사이에서 직접 연장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은 위쪽으로 향한 컵 모양 구성을 취하고, 즉 흡수 용품 하부 부분(100)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을 향하여 굴곡을 취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패드 제조 다음에,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11, 12)은 도 2d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27)을 바깥쪽으로 넘어서는 위치까지 연장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 흡수 용품은 또한 위쪽으로 컵 모양인 구성을 취한다. 실시예와 상관없이, (이완되고 평평한 상태에서, 그리고 용품 구성 전에) 길이 방향을 따른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실제 이완된 길이는 항상 흡수 용품(10)의 이완된 하부 부분(100), 및 바람직하게는 또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보다도 짧을 것이다. 흡수 용품이 이완된 위치(압축이 없고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이 상방을 향하도록 평평한 표면 상에 개방됨)에 있는 상태에서, 층/용품 시작 길이의 이러한 차이의 결과로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용품을 이완된 상태에 있는 동안에 만곡되거나 컵 모양의 구성으로 유지시킨다. 즉, 적어도 흡수 용품 하부 부분(100) 또는 전체 용품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이 하부 부분(1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수평하거나, 그 자체가 또한 위쪽으로 만곡된 상태로, 길이 방향을 따라 만곡된 구성을 취할 것이다. 이완된 개방 상태에서, 이러한 용품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에 의해 이러한 만곡된 구성으로 유지된다.
이러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적어도 흡수 용품 길이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하거나 연장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이러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적어도 흡수 용품 길이 방향을 따라 탄성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이러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흡수 용품 하부 부분(100)(또는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에 부착되기 전에 또는 그 동안에, 적어도 흡수 용품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인장력이 가해진 상태(및 탄성)로 있어, 부착 다음에 강조된 만곡된 형상을 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그의 완전히 수축된(이완된) 길이는 흡수 용품의 하부 부분(100)보다도 짧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흡수 용품 하부 부분(100)(또는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에 대한 부착 전에 그의 길이의 약 2와 18% 사이, 대안적으로 그의 길이의 약 3과 12% 사이, 대안적으로 그의 길이의 약 3과 8% 사이에서 신축될 수도 있다. 부착 다음에, 탄성층의 수축이 전체 흡수 용품의 만곡된 상태를 초래할 것이다. 이러한 사전 부착의 신축된 거리는 일 실시예에서 이완된 흡수 용품 하부 부분(100)(및 제2 상면시트층) 길이 L7과 이완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길이 L2 사이의 길이 차와 동일할 수 있다(도 3 참조). 이완된 흡수 용품 하부 부분(100) 길이 L7은 항상 이완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길이 L2보다도 길다. 이완된 제2 상면시트층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서, 이완된 제1 상면시트층 길이 L2보다도 길다(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2 상면시트층 길이는 배면시트층 길이와 동일하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미도시)에서, 이러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상기 층이 궁극적으로 적어도 흡수 용품 길이 방향을 따라 탄성이 되도록, 흡수 용품 가로 방향을 가로질러서 연속하는 스트립들(상기 층의 길이를 따라 탄성 및 비탄성이 교대로 있는 스트립들)에서 이동하는 물질의 교대로 있는 탄성 및 비탄성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비탄성 부분은 그 자체로 연장 불가능하거나 연장 가능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탄성일 수도 있지만, 미리 인장력이 가해진 상태에 있는 동안에는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에 접합되지 않는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신축 특성은 장기간의 사용 중에 사용자의 신체에 원하는 수준의 순응성을 달성하기 위해서, 그리고 상면시트층들 사이의 원한 분리 거리를 달성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그러나, 일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 길이 방향을 따른 액체 투과성 제1상면시트층(26)의 3% 연장에서의 하중은 바람직하게는 20과 200gf 사이이다. 제2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 길이 방향을 따른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5% 연장에서의 하중은 바람직하게는 약 50과 350gf 사이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 길이 방향을 따른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8% 연장에서의 하중은 바람직하게는 약 80과 450gf 사이이다. 마지막으로,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 길이 방향을 따른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12% 연장에서의 하중은 바람직하게는 약 100과 600gf 사이이다. 제1 상면시트층의 물질이 탄성이지만 부착 시점에서 인장력이 가해진 상태로 제2 상면시트층에 접합되지 않는 경우, 제1 상면시트층은 용품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11, 12)에서 자체적으로 말릴 가능성이 적다. 제1 상면시트층이 인장력이 가해진 상태에 있을 때 제2 상면시트층에 접합되는 경우, 제1 상면시트층의 수축력은 흡수 용품 말단들을 말리게 해서 그들이 제1 상면시트층 위로 연장되도록 제2 상면시트층(또는 흡수 용품의 하부 부분)의 저항력보다 그다지 강하지 않아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2e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특히 도 2에서, 이러한 용품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11, 12)은 모두 바깥쪽으로 만곡되지만, 제1 상면시트층(26)이 자신의 상부로 다시 연장되는 구성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들(28)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전체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들(13, 14) 사이의 거리보다도 흡수 용품 가로 방향을 따라 짧다(도 1 참조).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가로 방향을 따른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들(28) 사이의 거리는 전체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들(13, 14) 사이의 거리와 거의 동일할 수도 있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부착 구역들(52)에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 사용자 대향 측면에서, 흡수 용품의 하부 부분(100)에(본질적으로 흡수 용품 깊이 방향으로 하부 층, 바람직하게는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에) 부착된다.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에 대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부착 후, 흡수 용품은, 흡수 용품 그 자체가 개방되고 이완된 상태에 있을 때, 오목부가 길이 방향 L을 따라 적어도 흡수 용품의 하부 부분(100)을 따라 연장되도록, 만곡된 구성을 취한다(도 2a 내지 도 2c 참조). 이러한 오목부는 적어도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이 전체 이완된 흡수 용품 하부 부분(100) 길이보다도 항상 이완된 길이가 짧은 것의 결과이다.
2개의 상면시트층 사이에 형성된 공간적 간극은 이러한 경우에 보관을 위해 흡수 용품(10)을 접기 전에, 또는 대안적으로 흡수 용품 보관 중에 존재한다. 접힌 경우, 이러한 공간적 간극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이 탄성인 경우에 일시적으로 제거될 수도 있다. 보관을 위해 접힌 경우, 흡수 용품(10)의 펼침 시에, 이러한 공간적 간극은, 적어도 제품이 도 2 내지 도 2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완된 상태로 있을 때, 흡수 용품의 길이를 따라 재형성되어야 한다. 접힌 구성으로 보관된 경우, 접음 및 보관의 제조 단계는, 펼침 시에 그의 이완될 길이 치수가 흡수 용품(10)의 하부 부분(100)의 이완된 길이와 동일하도록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영구 변형을 초래하지 않아야 한다. 본질적으로 그의 이완된 길이는 펼친 후에 용품 하부 부분(100)의 이완된 길이 치수, 또한 바람직하게는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 및 배면시트층(22)의 이완된 길이와 결코 동일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경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오버랩의 전체 길이를 따라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 상에 단지 평평하게(사용 중에 분리 거리 없이) 놓여질 것이고, 그 위로 상승하지 않을 것이어서, 용품의 하부 흡수 부분과 연속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접음과 보관의 동작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이 사용 전에 그의 궁극적인 연신/연장을 영구적으로 유지하지 않게 해야 한다.
보관 용기로부터의 제거 시 또는 펼침 다음에 흡수 용품(10)의 보여지는 속성은, 사용자의 속옷에서 흡수 용품의 사용 중,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추가적으로 가능한 연신이어야 한다. 이러한 추가적으로 가능한 연신은, 그 층이 탄성 물질로부터 제조되는 경우, 그의 탄성 특성의 결과일 수 있다. 이러한 흡수 용품은, 흡수 용품 길이 방향을 따라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불필요한 영구적인 변형을 회피하도록, 하나 이상의 가로 방향 접음선보다는 그의 중앙 길이 방향을 따라 접힐 수도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적어도 흡수 용품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하다(바람직하게는 탄성이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이 연장할 수 있는 능력은, 상기 층이 만들어지는 물질의 기계적 처리로부터, 상기 층이 제조되는 물질의 고유한 중합체 특성의 결과일 수도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층(26)을 구성하는 거시 구조체들로부터 기인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층(26)은 섬유 또는 직조 가닥이 층 연장 시에 구조체 내에서 서로 미끄러짐에 따라, 연장성을 허용하는 섬유상 또는 직조 가닥/리본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층은 그것이 만들어지는 중합체 물질의 변형 결과로서 연장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층(26)은, 예를 들어 점진적인 신장에 노출됨으로써(당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것과 같은 홈형(grooved) 또는 깍지형(interdigitating) 롤들의 쌍을 통해), 또는 연장 가능한 3차원 표면 형태를 부여받음으로써(예를 들어, 참조로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Roe 등의 미국 특허 제5,554,143호에서 SELF 물질로 기술된 바와 같이), 층(26) 형성-후 가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공정들 각각 또는 이들의 조합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이 파열 없이 어느 정도까지 연장될 수 있게 할 것이다. 물론,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바람직하게는 (단일층의) 진탄성 물질 또는 (단일층보다 더 많은 수의 층의) 탄성 적층체 물질로부터 형성되며, 이들 각각은 흡수 용품 설계에서 더 큰 유연성 및 사용자에 대한 편안함을 제공할 것이다.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27)은 그 수가 적어도 2개일 수 있지만,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는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을 구성하는 4개의 개별 로브(lobe, 27)를 포함하는 것과 같이 그 수가 더 많을 수 있다.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27)은 바람직하게는 4개의 로브를 포함하며, 각 로브들(27) 중 2개는 각 흡수 용품 길이 방향 말단(11, 12)에서 또는 그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다. 말단들(또는 로브들)(27)은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서, 로브들(27) 사이의 공간, 또는 환기 말단 개구(50)에 의해 분리되며, 말단 개구가 바람직하게는 곡선 오목부 에지(31A, 31B)에 의해 한정된다. 오목부 에지들(31A, 31B)에서 이러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바람직하게는 흡수 용품의 하부 부분(100) 또는 임의의 하부층에 깊이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접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상면시트층을 제2 상면시트층에 접합하는 부착 구역들(52)은 흡수 용품 주변 밀봉 영역(35) 내부의 흡수 용품 주변 에지를 따라 부분적으로, 그리고 오목부 에지들(31A, 31B)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주변 밀봉 영역(35)은 또한 흡수 용품 하부 부분(100)의 다양한 층들을 함께 밀봉한다. 예를 들면, 이러한 주변 밀봉 영역(35)은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 선택적인 액체 취급/전달/서지층들, 하나 이상의 흡수성 코어층(23), 및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22)을 함께 밀봉한다.
도 2에서, 부착 구역들(52)(평행한 스트라이프들로 도시됨)은 환기 말단 개구들(50)의 오목부 에지들(31A, 31B)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되지만, 말단 개구들(50) 주위에 전체적으로 연장되지는 않는다. 도 2a에서, 부착 구역들(52)은 환기 말단 개구들(50)을 한정하는 오목부 에지들(31A, 31B)의 더 큰 부분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부착 구역들(52)은 이러한 공간(50)을 포함하지 않고, 즉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이 하부층(예를 들어,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에 접합되지 않는 비접합 영역이 용품 가로 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부착 구역들(52) 사이에 존재한다.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27) 사이에서 연장되는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그 부분은, (인접하는 로브들 사이와 대조적으로), 흡수 용품 길이 L을 따라 수평하거나 만곡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31A, 31B) 내의 이러한 오목부 에지들은 바람직하게는 반원형의 구성이지만,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타원형, U-형상 또는 직사각형과 같은 다양한 기하학적 또는 추상적 형상일 수도 있다. (말단 개구들(50)이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각 말단의 일부분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여 있지 않다는 점에서) 부분적인 오목부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말단 개구들(50)의 형상을 한정하는 이러한 오목부 에지들(31A, 31B)은, 대안적인 실시예(미도시)에서, 말단 개구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일부분 내부에 전체적으로 수용되고, 그 일부분에 의해 에워싸이도록 환기 말단 개구(50)를 완전히 둘러쌀 수도 있다. 이러한 오목부 에지들(31A 및 31B)(및 결과적으로 형성된 말단 개구들(50))은 흡수 용품의 각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11, 12)에서 동일한 형상 또는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들은 각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11, 12)에서 동일한 형상이고, 흡수 용품(10)의 중앙 길이 방향 Lc를 따라 정렬되어 있다. 2개의 이러한 말단 개구(50)가 도시되어 있지만, 대신에 다수의 말단 개구(50)가 다수의 로브 또는 말단 조각에 의해 한정된, 제1 상면시트층(26)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27)에서 또는 그에 인접하게 존재할 수도 있음이 인정되어야 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부착 구역들(52)은 오목부 에지들(31A, 31B)을 따라 완전히 연장되지 않음이 인정되어야 한다. 부착 구역들(52)이 오목부 에지들(31A, 31B)을 따라 완전히 연장되는 해당 실시예들에서, 말단 개구들(50)은 존재하지만, 상면시트층들 사이에 상당한 공간적 빈 곳을 통해 상승되지 않는다. 오히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제2 상면시트층이 갭 없이, 말단 개구들 바로 아래에 놓인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27)(또는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로브들)은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11, 12), 또는 그들의 적어도 일부분과 유사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패드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11, 12) 및 제1 상면시트층 말단들(27)은 다수의 부채꼴 주변 에지들을 포함하고 있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제1 상면시트층 말단들(27)의 주변 에지들은, 도 2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지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11, 12)의 단순한 만곡된 주변 에지 형상과 정합할 수도 있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내부에 놓인 에지(29)에 의해, 흡수 용품 깊이 방향 Z를 따라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을 통해 흡수 용품(10)의 하부 부분(100)(및 층(20))으로 액체/유체를 직접 통과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매크로-개구(30)를 또한 한정한다. 개구(30)는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서, 패드 내부에서 중앙에 위치하며, 사용자로부터의 삼출 액체/유체가 흡수 용품(10)의 내부 액체 취급층 및 흡수성 코어층(저장 구성요소들)(23A-C)으로 방해받지 않고 통과시킬 수 있다. 개구(30)는 그 개구(30)를 통한 흡수 용품(10)의 하부층들(적어도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의 방해받지 않는 관찰을 허용하도록 충분히 크고, 도시된 바와 같이(예를 들어, 계란형으로) 단일의 개구 또는 동일 또는 다양한 형상의 다수의 근접한 개구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개구는, 흡수 용품의 중앙 배설 영역에서, 중앙 길이 방향 Lc 및 중앙 가로 방향 Tc(존재하는 경우) 양쪽을 따라 놓이도록, 중앙에 위치하는 단일의 비교적 큰 개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구는, 날개 특징부들(15)이 존재하는 경우, 날개 특징부들(15)에 인접하게 그리고/또는 그들 사이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 개구(30)은 다양한 형상, 예를 들어 대칭의 기하학적 또는 비대칭의 추상적 형상일 수도 있다. 이러한 개구 형상의 구체적인 예는 원형, 계란형, 타원형, 직사각형, 및 긴타원형을 포함하고 있다. 곡선 특징부들을 가지는 개구 형상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중앙 개구는 여성의 해부학 구조의 회음 영역 주위에, 바람직하게는 여성 질 주위에 밀접하게 맞추기 위한 크기로 되어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미도시)에서, 이러한 중앙 개구(30)는 인접하는 날개 특징부들(15) 사이에 위치하고 있지만, 이러한 날개 특징부들(15) 및 중앙 개구(30)는 패드(10)의 하나의 길이 방향 말단에 다른 말단보다 더 가깝게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것은 예를 들어 전통적으로 비대칭적이고 연장된 길이의 오버나이트 패드에 대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에서 더욱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흡수 용품 하부 부분(100)의 인쇄되거나 달리 시각적으로 분명한 특징부들(76)은 개구(30)를 통해 보일 수 있다. 이러한 인쇄된 특징부들은 일련의 인쇄되거나 양각된 점 또는 기하학적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서, 시각적으로 분명한 특징부들(76)은 개구(30)의 형상과 정렬되는, 하부층 상의 설계 구성 및 위치에 격리되어 있다. 즉, 개구가 계란형인 경우, 일 실시예에서 시각적으로 분명한 특징부들이 예를 들어 중앙 개구(30)의 표면 영역과 동일한 하부층의 표면 영역 상에 일반적으로 계란형으로 존재하고 그와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시각적으로 분명한 특징부들은 개구의 존재를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이러한 시각적으로 분명한 특징부들(76)은 상기 개구(30)를 통해서만 보일 수도 있지만, 실제로는 그 위의 개구 형상의 측방향 및 길이 방향 경계를 넘어서 인쇄되거나 달리 마킹된 하부층 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서, 개구(30)는 흡수 용품(10)의 중앙 길이 방향 Lc을 따라 위치하며, 각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27)의 말단 개구들(50)과 정렬되어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개구들(30, 50)의 형상은 유사할 수 있거나 유사한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말단 개구들(50)은 반원형 또는 반계란형일 수도 있고, 중앙 개구(30)는 원형 또는 계란형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3개의 개구 모두는 원형 또는 계란형일 수도 있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바람직하게는 (그의 중앙 개구(30) 및 말단 개구들(50)을 통한 명백한 투과성 외에도) 그의 전체 치수를 따라 액체 투과성이다. 상기 층은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서, 건조한 느낌을 유지하도록, 소수성 또는 반소수성이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이러한 층들이 저장 구성요소를 포함하지 않는 한; 이러한 층들이 용품의 하부 부분(100)으로의 액체의 직접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한; 그리고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중앙 개구를 통한 흡수 용품 하부 부분(100)(및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의 가시화를 방해하지 않는 한, 단일층 또는 층들의 적층체로부터 제조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이러한 선택적인 추가층은 또한 말단 개구를 통한 하부 부분(100)의 가시화도 방해하지 않아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의복 대향면(26B)에 직접 접합되는 임의의 선택/추가 층들은 흡수 용품 깊이 방향 Z를 따라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 내의 개구들과 형상 및/또는 크기가 정렬되는 개구들을 포함하고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흡수 용품(10)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 아래에 있고 때로는 그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이격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을 더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제2 상면시트층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친수성 부분을 포함하며, 대안적으로 전체적으로 친수성이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이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과 폭이 동일하거나 더 좁을 수도 있기 때문에,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흡수 용품 깊이 방향 Z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하고 있다.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은 단일층(도 2 내지 도 2d), 또는 대안적으로 다수의 나란한 물질층들(도 1, 도 3, 도 5)로 제조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도, 일 실시예에서는, 평면형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이 하부의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22)에도 접합되는,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11, 12) 및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들(13, 14)까지 완전히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존재하는 경우, 나란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은 중앙의 길이 방향으로 향한 상면시트 물질층(20A)(중앙 상면시트부), 및 중앙의 길이 방향으로 향한 상면시트 물질층(20A)의 측방향 측면 에지들(21)에 걸치는 2개의 측면 상면시트 물질층(20B)(측면 상면시트부)을 포함하고 있다. 용품 내의 다른 층들과 같이, 중앙의 길이 방향으로 향한 상면시트 물질층(20A)은 사용자 대향면(20C) 및 의복 대향면(20D)을 포함하고, 측면 상면시트층 물질들(20B)은 사용자 대향면(20C) 또는 의복 대향면(20D)에서 중앙의 길이 방향으로 향한 상면시트 물질층(20A)에 접합될 수도 있다. 중앙의 길이방향으로 향한 상면시트층(20A)은 흡수 용품(10)의 전체 폭, 또는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흡수 용품 가로 방향 T를 따른 폭의 일부분만을 횡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의 다층 폭들의 총합은 바람직하게는 흡수 용품(10)의 전체 폭을 예를 들어 날개들(15) 위로 연장시킨다. (중앙의 길이 방향으로 향한 상면시트 물질층(20A)의) 측방향 측면 에지들(21)은 바람직하게는 흡수 용품(10)의 길이 방향 L을 따라 접착제 선(미도시)에 의해 2개의 측면 상면시트 물질층(20B)에 접합된다.
(단일 또는 다층 포맷의) 이러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은 그 표면 상에(그 자체로 또는 흡수 용품 하부 부분(100)의 나머지 부분을 포함하여), 기능적 목적들 중 어느 하나의 심미감을 위해 하나 이상의 양각 특징부(7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양각들은, 액체 흐름을 더욱 유도하도록, 사용 중 용품 휨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게 할 목적을 위해, 또는 순수하게 심미적 장식을 위해 설계될 수도 있다. 도시된 양각 특징부(75)는 부채꼴의 경주트랙형 패턴 및 분리된 원호들을 포함하지만, 양각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임의의 개별 기능 채널(들) 또는 장식용 패턴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양각들은 통상적으로 압력 및/또는 열 접합 기술에 의해 생성되며, 그들 자체가 큰 양각 특징부들의 채널들 내부에 작은 양각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교차-해칭의 미세 양각 디자인(cross-hatching, microembossment design)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27)과 동일한 형상이거나 다른 형상일 수도 있는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101)을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및 제2 상면시트층, 및 배면시트층(22)의 주변 에지 형상(크기와 대조적으로)은 적어도 일부분에서 유사하거나 동일하다.
이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 시(접힌 상태가 아님), 흡수 용품(10)은 소정 거리만큼 분리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과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 사이에 빈 공간을 포함하고 있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Z 방향에서의 상부 상면시트층)은 인접하는 그의 길이 방향 말단들에서 또는 그에 인접하게 다수의 부착 구역(52)에 의해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Z 방향에서의 하부 상면시트층)에 접합되거나 달리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다수의 부착 구역은 그 수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말단들/로브들(27)의 수에 대응할 수도 있지만, 필요하지는 않다. 예를 들면, 도 1, 도 2, 및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부착 구역들(52)은 바람직하게는 각 로브(27)마다 하나씩, 4개가 있다. 이러한 부착 구역들은 Z 방향에서의 하부층들 사이의 접착제(95)의 개별 영역들(도 4에서), 열, 압력, 또는 다른 접합 기술들(또는 기술들의 조합)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부착 구역들(52)은,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11, 12)에서 또는 그에 인접하게 있을 수도 있는,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27)에서 또는 그에 인접하게,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상에서만 개별 영역들에 대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 및 하부층들의 부착을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부착 구역들(52)은 바람직하게는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101)에서 또는 그에 인접하게 놓이다. 부착 구역들(52)은 서로 완전히 분리될 수도 있거나, 또는 도 2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서로 연속적일 수도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부착 구역들(52)은 바람직하게는 흡수 용품의 주변 밀봉 영역들(35)(도 1) 내부에만 배치될 수도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도 2d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주변 밀봉 영역들(35)로부터 분리된 그들 자체의 개별 협소 구역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부착 구역들(52)이 주변 밀봉 영역들(35) 내부에 배치될 때, 그들은 밀봉 영역 내의 전체 용품을 밀봉하는 것(예를 들어, 열 또는 초음파)과는 다른 부착 메커니즘(예를 들어, 접착제)을 포함할 수도 있거나, 또는 그들은 동일한 밀봉 메커니즘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주변 밀봉부(35)는 제2 상면시트층(20)에 대한 제1 상면시트층(26)의 부착뿐만 아니라 전체 용품의 밀봉 양쪽 모두를 달성할 수도 있다. 공간(50)에 의해 분리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길이 방향 말단들(27)에서 개별 부착 구역들(52)을 포함함으로써,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나머지 미접합 영역들은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 중에 아래에 놓인 층들 위로 상승하거나 유동할 수 있게 된다. 부착 구역(52)이 작을수록(그리고 상기 구역이 말단 개구 오목부 에지들로부터 멀수록), 더 많은 말단 개구들(50)이 완전히 개방할 수 있게 되며, 주위의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이 길이 방향 말단들에서 흡수 용품의 하부 부분(및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 위에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이들 개구는 본질적으로 공기가 상면시트층들을 가로질러서 그리고 패드를 통해, 로브들(27) 사이에서 순환하도록 하는 추가 환기 기회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환기 개구들은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들(13, 14)을 따라, 그리고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11, 12)에서 존재한다.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11, 12)이 말단 개구들(50)을 포함하지 않는 실시예들(미도시)에서, 환기는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들(13, 14)을 따라 발생한다. 환기는 흡수 용품의 모든 측면/말단을 따라 개구의 증가된 수만큼 향상되지만, 개구들의 수를 매우 큰 수로 증가시키는 것은 다수의 협소 부착 구역들로부터의 부족한 강도의 결과로서, 사용 중에 파열 없이 압축에 견딜 수 있는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환기는 흡수 용품의 수직 측면 에지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길이 방향 말단들(27)에서의 상부 사용자 대향면, 또는 양쪽의 조합을 따라 존재하는 개구들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27)(및 흡수 용품 말단들(11, 12))을 가로지르는 공기의 양식화된 순환이 도 2a 및 도 2b에서 용품의 일 말단에서 원을 이루는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흡수 용품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액체 제어/전달, 또는 취급층 및 흡수성 코어층들(23A, 23B, 23C)을 흡수 용품(10) 내부에 삽입하도록 흡수 용품 주변 에지들(35)에서 상면시트층들과 함께 밀봉되는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22)을 더 포함하고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인쇄되거나 달리 시각적으로 분명한 특징부들(76)이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예를 들어, 아래에 놓인 의복 대향면), 아래에 놓인 액체 제어 또는 전달층, 또는 흡수성 코어층 상에 전략적으로 위치할 수도 있어, 그들이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중앙에 위치한 개구(30)를 통해 보일 수 있다. 이러한 특징부들은 사용자의 회음 영역 아래에 배치될 용품 영역을 강조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 중에 용품을 배치하는 것을 보조할 수도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추가의 시각적으로 분명한 특징부들이 중앙 개구(30) 또는 말단 개구들(50) 바로 아래의 흡수 용품 하부 부분(100)의 층 또는 층들 상에 존재해서, 이러한 환기 말단 개구들의 존재를 강조할 수도 있다.
도 1에는 중첩하는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액체 투과성 제1 및 제2 상면시트층(26, 20)은 대안적으로 전혀 또는 완전히 중첩하지 않는 말단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 도 2, 및 도 2a에서는, 그들이 중첩하는(유사한 길이 방향 말단 형상/프로파일을 가짐) 반면에, 도 2d에서는 그들이 말단들에서 유사한 프로파일 형상이지만, 중첩하지는 않는다. 그 결과, 도 2d에서의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로브들(27) 상의 부착 구역들(52)은 흡수 용품(10)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11, 12)(및 아래에 놓인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101))로부터 안쪽으로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유동층은 흡수 용품 길이 방향의 더 짧은 길이를 가로질러서 연장하고 있다.
흡수 용품 Z 방향으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 아래에는, 하나 이상의 액체 제어/전달, 또는 취급층 및 흡수성 코어층들(23A, 23B, 23C)이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층들은 흡수 용품의 Z 방향을 통한 액체 흐름을 흡수 용품(10) 내부의 저장 구성요소(이 경우에는 층(23C)임)로 유도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도 1, 도 3, 및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들 액체 제어/전달층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중앙에 위치한 천공/개구(62)를 갖는 층을 한정하는 내부에 위치한 에지(60)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내부에 위치한 에지(60)는, 중앙 개구(30) 및 중앙에 위치한 천공(62)이 서로, 바람직하게는 하나가 다른 것보다 약간 작은 상태로 정렬되도록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에지(29)보다 더욱 중앙에 위치하도록 놓일 수도 있다. 하나보다 많은 개구가 존재하는 경우, 개구들은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할 수도 있거나, 형상 및 크기가 다를 수도 있다. 개구들을 Z 방향으로(그리고 L 및 T 방향을 따라) 정렬시킴으로써, 액체는 흡수 용품(10)의 저장 구성요소(23C)로 신속하게 이동하여 그 안에 직접 흡수될 수 있다. 층 내부 에지들(29, 60) 및 이러한 내부 에지들에 의해 한정된 매크로-개구들/천공들(30, 62)의 깊이 방향으로의 정렬은, 사용자로부터의 액체를 용품의 저장 구성요소(흡수성 코어)로 신속하게 유도하는 깔때기형 구조체를 생성하도록 동작한다. 이러한 깔때기형 구조체는 사용자와 저장 구성요소 사이에 공간적 간극을 유지하면서 액체/유체의 수집을 향상시켜서, 재습윤을 감소시키고 사용자 편안함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하부층은 일 실시예에서, 패드의 중앙 영역 내에 상승된 험프형 특징부를 제공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도 5에서, 흡수성 코어층은 흡수된 액체가 흡수 용품(10) 내부에 보유되도록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22)에 바로 인접하게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5에는 3개의 층(23A, 23B, 23C)만이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과 액체 불투과성 배며시트층(22)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추가 액체 취급층들, 예를 들어 서지층들이 또한 제2 상면시트층(20) 바로 아래에 있을 수 있음이 인정되어야 한다.
흡수 용품(10)은 선택적으로 흡수 용품(10)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들(13, 14) 각각으로부터 연장되는 바깥쪽으로 향한 날개들 또는 탭들(15)을 포함할 수도 있다. 날개들(15)은 사용자의 속옷(미도시)의 가랑이 영역의 측면 에지들 주위에서 접고 서로 또는 사용자의 속옷의 의복 대향 측면(미도시)에 부착함으로써 사용자의 속옷에 흡수 용품(10)을 부착하는 것을 보조한다. 날개들(15)은 흡수 용품 상면시트층 및 배면시트층(20, 22)과 일체형 구성일 수도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비일체형 구조일 수도 있고, 흡수 용품 제조의 나중 단계에서 개별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날개들(15)은 흡수 용품의 중앙 가로 방향 Tc를 따라 위치해서(도 3 참조), 사용자의 속옷의 더 좁은 가랑이 영역에서만 흡수 용품의 부착을 용이하게 한다. 다양한 도면 전부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의복 접착제의 패치들(110), 후크 및 루프 체결장치들, 또는 다른 구조체들과 같은 다양한 부착 또는 접합 메커니즘이 배면시트층(22)의 의복 대향면 또는 날개들(존재하는 경우)의 의복 대향면 상에 위치해서 사용자의 속옷에 대한 흡수 용품(10)의 부착을 개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복 접착제 패치들(110)은 바람직하게는 사용할 때까지 접착제 패치들(110)을 보호하기 위한 제거 가능한 이형 시트들(111)에 의해 덮여 있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서, 컵 모양 또는 만곡된 구성에서의 본 발명의 흡수 용품의 길이 L1은 보통 크기의 패드에 대해 약 15cm와 25mm 사이이지만, 오버나이트 패드들을 포함하면, 약 15cm와 약 50cm 사이이고, 대안적으로 보통 크기의 패드들에 대해 약 17cm 와 22cm 사이이지만, 오버나이트 패드들을 포함하면, 약 17cm와 45cm 사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통의 패드 구성에서, 흡수 용품(10)의 컵 모양 길이 L1(컵 모양의 구성으로 있을 때의 길이), 및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 그 자체의 길이 L2는 동일할 수도 있다.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 및 배면시트층의 컵 모양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유사하거나 동일하다. 일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 및 배면시트층(22)(및/또는 흡수 용품 하부 부분(100)의 실제 이완된 길이 L7(도 3 참조)은 바람직하게는 보통 크기의 패드들에 대해 약 15cm와 30cm 사이이지만, 오버나이트 패드들을 포함하면, 약 15cm와 50cm 사이이고, 대안적으로 보통 크기의 패드들에 대해 약 18cm와 28cm 사이지지만, 오버나이트 패드들을 포함하면, 약 18cm와 43cm 사이이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실제 이완된 길이 L2는 보통 크기의 패드들에 대해 약 15cm와 28cm 사이이지만, 오버나이트 패드들을 포함하면, 약 15cm와 48cm 사이이며, 대안적으로 보통 크기의 패드들(일부 실시예에서는 흡수 용품(10)의 컵 모양 길이와 동일함)에 대해 약 18cm와 24cm 사이이지만, 오버나이트 패드들을 포함하면, 약 18cm와 41cm 사이다. 예를 들어 도 2d에 도시된 해당 실시예에 대해서, 흡수 용품 및 제1 상면시트층의 컵모양 길이는 다를 것이다. 제1 상면시트층의 선택된 길이 L2는 부분적으로 제1 상면시트층의 신축성에 의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이러한 층이 쉽게 신축할 수 있는 경우이면, 이러한 층의 길이는 흡수 용품의 하부 부분(100)(또는 제2 상면시트층(20))과 유사할 필요가 없고, 흡수 용품의 하부 부분보다도 상당히 짧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서, 중앙에 위치한 개구(30)의 길이 L3은 약 5cm와 20cm 사이, 대안적으로 약 6cm와 15cm 사이이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서, 말단 개구들(50)의 길이 L4는 약 0.1cm와 7cm 사이, 대안적으로 약 1cm와 4.5cm 사이이다. 이러한 길이는 또한 부착 구역들(52)의 길이에 대응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존재하는 경우, 일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길이 방향 말단(27)과 제2 상면시트층(20)의 길이 방향 말단(101) 사이의 상면시트층 말단 분리 거리 L5는 약 1cm와 5.5cm 사이, 대안적으로 약 1cm와 3cm 사이이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의 폭 W1은 약 8cm와 25cm 사이, 대안적으로 약 12cm와 18cm 사이이다(존재하는 경우 날개들을 포함함).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과 배면시트층(22)의 폭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이 폭 범위 W1에 대응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폭 W2는 약 6cm와 15cm 사이, 대안적으로 약 7.5cm와 12cm 사이이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서, 중앙 개구(30)의 폭 W3은 약 1cm와 5cm 사이, 대안적으로 약 2cm와 3.5cm 사이이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서 말단 개구(50)의 폭 W4는 약 0.1cm와 10cm 사이, 대안적으로 약 2cm와 8cm 사이이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측방향 에지(28)와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13)(또는 흡수 용품)의 측방향 에지(13, 14) 사이의 상면시트층 분리 폭 W5 또는 거리는 약 0.1cm와 3cm 사이, 대안적으로 약 0.1cm와 1.5cm 사이이다.
상부 사시도로 도시된 생리대(10)의 대안적인 실시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사용자의 속옷의 가랑이 측면 에지들 주위에 접힐 것처럼 아래로 접힌(folded-under) 구성으로 있는 날개들(15)을 포함하고 있다. 피부-접촉(사용자 대향) 제1 상면시트층 표면(26A)은 패드 하부 부분(100)(및 구체적으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 위에서 상승되거나 유동하는 상태로 있다. 2개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 개구들(50)은 4개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 로브(27)에 의해 한정되며, 일련의 평행한 스트라이프들에 의해 강조된 4개의 개별 부착 구역(52)에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에 부착되어 있다. 4개의 로브(27)는 흡수 용품 말단들(11, 12)의 일부분 및 그들이 중첩하는 아래에 놓인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및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22))과 유사한 프로파일 형상이다. 원형 시각 요소들(76)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중앙에 위치한 개구(30)를 통해 보일 수 있다. 아래에 놓인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으로부터 보일 수 있는 원형 시각 요소들(76)은 전체 치수에서 중앙에 위치한 개구(30) 치수로 제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들은 전체 계란 형상으로 배열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이것은 항상 그럴 필요는 없다.
생리대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가 도 2a에서 상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이한 형상의 패드는 상승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을 포함하며,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들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날개들(15)을 포함하고 있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이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의 형상과 부분적으로 유사하지만, 그의 말단 에지들(27)은 이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장식용이거나 부채꼴이 아니라, 단지 아래에 놓인 층들의 단순한 만곡된 프로파일 에지를 모방하고 있다. 제1 상면시트층(26)은 또한 아래에 놓인 제2 상면시트층(20)보다도 폭이 현저하게 좁다. 도 1, 도 2,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공기 순환은 환기/말단 개구들(50) 및 측방향 측면 에지 개구들을 통해 흡수 용품(10)의 모든 에지를 따라,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 표면을 가로질러서 촉진된다. 공기 순환은 원형 화살표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생리대(10)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가 도 2b 및 도 2e에서 상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생리대(10)의 중앙 유체 배설 영역에 인접하게 액체 제어 배리어들을 생성하도록 흡수 용품(10)의 각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를 따라 추가(및 선택적인) 측면 배리어 벽들(53)이 포함되어 있다. 추가 측면 배리어 벽들(53)은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 또는 날개들(15)의 상부 표면들 사이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들(28)에, 또는 대안적으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B)의 하측면(의복 대향면)에 접합되는 비일체형(분리된) 물질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추가 측면 배리어 벽들(53)은 하부층(예를 들어, 20)까지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일체형 연장부들(도 2e)일 수도 있다. 이러한 배리어들은 또한 추가 소수성 처리부들 또는 추가 배리어 층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추가 측면 배리어 벽들(53)은 단일층 또는 다층 구성일 수도 있고, 특히 날개(15) 영역에서,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들(13, 14) 밖으로의 액체의 측방향 흐름을 차단하거나 늦추도록, 제1 상면시트층과 유사한 연장성을 가지는 소수성 또는 액체 불투과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사용자의 움직임 중에 팽창을 허용한다. 이러한 추가 측면 배리어 벽들(53)은 바람직하게는 인접하는 날개(15) 영역들로부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으로 일반적으로 수직하게 위쪽으로(Z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 길이보다 흡수 용품 길이 방향 L을 따라 더 짧은 길이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공기 순환은 흡수 용품(10)의 모든 4개의 측면 에지들을 따라, 하지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보다 더욱 제한된 방식으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 주위에서 여전히 허용된다. 이러한 배리어 벽들(53)은 장기간의 용품 사용 중에 팽창(및/또는 수축)을 허용하도록 그들 자체가 신장 가능하거나 탄성일 수도 있다. 이러한 제한된 측면 배리어 벽들(53)은 용품 길이 방향을 따라, 날개들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의 것일 수도 있다. 도면들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러한 측면 배리어들은 또한 사용 중에 그들의 팽창을 허용하도록 Z-접음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생리대(10)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도 2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추가 측면 배리어 벽들(54)은 길이 방향 L을 따라 컵 모양 흡수 용품(10) 또는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상이한 컵 모양 길이들의 것인 경우)의 길이의 전체 길이 또는 상당 부분(50% 초과, 대안적으로 80% 초과, 대안적으로 90% 초과)을 연장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추가 측면 배리어 벽들(54)은 말단 개구들(50)을 제외하고는, 액체 투과성 제1 및 제2 상면시트층(26, 20) 사이의 빈 공간을 완전히 에워싸도록 작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기 순환은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11, 12)에서, 예를 들어 이전의 용품 실시예들의 4개의 측면보다는 2개의 용품 말단 에지들에서 적어도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 주위에서 여전히 허용된다. 배리어 벽들(53, 54)이 소수성 물질로 형성되는 경우에, 이들이 흡수 용품의 측방향 측면 에지들을 따라 통기성을 또한 제공할 수 있음이 인정되어야 한다. 또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이러한 배리어 벽들(53, 54)이 액체 불투과성 물질로부터 형성되거나, 또는 그에 부착되는 추가 액체 불투과성 층을 포함하는 경우, 그들은 액체를 통과시키는 그들의 능력에 상관없이, 선택적으로 통기성을 갖출 수도 있다.
도 2d의 상부 평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패드(10)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는 흡수 용품(10)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11, 12) 및 또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101)로부터 안쪽으로 한 위치에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 상에 위치하는,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27)을 가지는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을 포함하고 있다. 부착 구역들(52)은 말단들(27)에서 개별 영역들에 한정된다. 말단들(27) 및 부착 구역들(52)은 하부의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및 배면시트층)과 유사한 형상 부분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모든 실시예에서는, 이완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길이 L2가 흡수 용품 하부 부분(100)의 길이 L7보다 짧지만, 도 2d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길이 L2가 이전의 실시예들보다도 상대적으로 더 짧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평면도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27)은 부착 구역들(52) 내에 접합제로서 접착제 영역들(95)을 포함하고 있다. 도 1의 흡수 용품(10)의 분해 단면도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부착 접착제(110)가 사용 시 흡수 용품(10)을 속옷에 부착하기 위해 날개들(15)의 하측면들 및 배면시트층(또한 접착제 이형 시트(111))의 중앙 길이 방향 상에 위치하고 있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다양한 연장 가능하거나 탄성인 물질로부터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층은 단일층 또는 다층 적층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이에 직접 부착되는 저장 구성요소를 포함하지 않아, 액체/유체가 장기간의 흡수 용품 사용 중에 사용자의 신체에 바로 인접한 코어형 층 내에 보유되지 않는다. 이러한 층은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서 탄성 적층체 물질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제1 상면시트층은 (국소 처리와 대조적으로) 층 내에 함유된 중합체 물질에 기초하여 고유한 소수성을 나타내고 있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층은, 예를 들어 소수성 표면 처리와 같은, 층에 이루어지는 처리에 기초하여 소수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처리는 당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으므로, 추가 설명하지는 않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상기 층(26)을 구성하는 모든 물질은 본질적으로 소수성이며,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및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와 같은, 탄성 합성 중합체 및 비탄성 합성 중합체, 대안적으로 신축 접합된 적층체로부터 형성된 층으로부터 만들어진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층은 그에 부분적인 소수성을 부여하도록 처리될 수도 있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용품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가능한 또는 탄성 기능을 제공하는 한, 임의의 수의 종래의 연장 가능한 또는 탄성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물질들의 비한정 예는, 발포체(개방-셀형 발포체), 섬유상 부직포 시트 물질, 예를 들어 스펀본드, 스펀레이스, 멜트블로운, 및 카디드 웹 물질(예를 들어 열 접합 카디드 웹(TBCW), 통기 접합 카디드 웹(TABCW)), 섬유상 직조 시트 물질, 천공된 필름 물질, 및 상기한 물질들의 적층 조합을 포함한다.
하나의 적합한 물질은 탄성 코어 또는 중간층이 2개의 대향하는 외부 부직포층이 부착되기 전에 연신되는 신축 접합된 적층체(SBL)이다. 이러한 물질들은 일반적으로 기계 방향을 따라 탄성 기능을 제공하도록 생산될 수도 있다. 그러나, 탄성 적층체가 일반적으로 교차-기계 방향을 따라 탄성 기능을 제공하도록 생산되는 경우, 적층체는 원하는 용품 길이 방향을 따라 탄성 성능을 부여하도록, 용품 내부에 배치하기 전에 90도 회전될 수도 있다.
다른 적합한 물질은 네크형 접합된 적층체(necked-bonded laminate: NBL)이다. NBL 물질은 또한 3층 적층체이지만, 탄성 코어 또는 중간층은 2개의 외부 부직포 층에 부착되기 전에 미리 신축되지 않는다. 대신에, 대향하는 외부 층들은 탄성 코어 또는 중간층이 그들에 부착되기 전에 네크형 신축된다(necked-stretched).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이러한 탄성 물질들의 다른 많은 구체 예는 연속 필라멘트 신축 접합된 적층체(CFSBL), 수직 필라멘트 신축 접합된 적층체(VFL), 네크형 신축 접합된 적층체(NSBL) 또는 네크형 열 적층체(NTL), 탄성 멜트블로운 기반 신축 적층체, 탄성 필름 기반 신축 적층체, 및 미리 형성된 탄성 가닥 또는 얀 기반 신축 적층체를 포함한다. 상기 물질들의 조합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물질들은, 예를 들어 Vander Wielen 등의 미국 특허 제4,720,415호, Fitts 등의 미국 특허 제5,366,793호, Wright의 미국 특허 제5,385,775호, Welch 등의 미국 특허 제6,969,441호, Zhou 등의 미국 특허 제6,978,486호, Siqueira 등의 미국 특허 제7,803,244호, 및 Morman 등의 미국 특허 제5,226,992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은 그 전체 내용이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또한, 탄성 섬유/얀 기반 부직포 적층체가 제1 상면시트층(26)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층은 미리 형성된 탄성 시트들(즉, 스판덱스형 물질들), 또는 LYCRA 브랜드로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연신된 가닥 형태의 그러한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 공중합체 섬유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그런 다음 이러한 섬유들이 신축된 상태에 있을 때에 하나 이상의 소수성 부직포 층에 접착제로 접합된다. 접합 후 및 수축 시, 부직포 층은 또한 전술한 적층체들과 함께 발생하는 바와 같이 주름들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적층체들은 통상적으로 연장 가능한 층 또는 탄성 층, 및 멜트블로운, 스펀본드 또는 통기 접합된 웹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표면 접합된 부직포 층을 포함할 것이다. 다양한 연장 가능한 또는 탄성 물질은, 이들이 흡수 용품 길이 방향(또한 용품 생산 기계 방향일 수도 있음)을 따라 연장성 또는 탄성을 제공하도록 흡수 용품 구조체 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물질들은 미리 신축된 또는 미리 인장력이 가해진 상태에 있는 동안에 흡수 용품 내에 배치될 수도 있어, 흡수 용품의 하부 부분(100)(예를 들어,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으로의 부착 후, 층의 수축이 흡수 용품의 말단들을 위쪽으로 그리고/또는 위쪽으로 만곡시키며, 바람직하게는 용품이 이완되고 개방된(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에 제1 상면시트층 위로 말리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탄성 물질들은 미리 신축되지 않고 용품에 접합될 수도 있지만,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더 짧은 길이는, 제1 상면시트층의 말단들이 흡수 용품/제2 상면시트층의 말단들에 부착된 후에 흡수 용품 하부 부분이 만곡된 구성(상면시트층들 사이에 공간적 간극을 가짐)을 취하게 한다. 재차, 이전의 실시예들과 같이, 이러한 비인장의 연장 가능한 또는 탄성 제1 상면시트층은, 바람직하지 않게 일 실시예에서, 이완된 흡수 용품 하부 부분(100) 길이에 대해 너무 짧아, 형성된(그리고 이완된) 컵 모양 용품 말단들이 용품이 이완된 상태에 있을 때에 그들 자신 위로, 또는 제1 상면시트층(26)의 사용자 대향면 위로 말리거나 만곡되게 한다.
특히 제1 상면시트층(26)에서 사용될 수도 있는 탄성 물질은,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또는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기반 물질을 포함한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이 탄성이기보다는 연장 가능한 경우, 이러한 층은 바람직하게는 용품이 사용 전에 보관되어 있는 동안에 그 길이가 제2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20)과 동일한 길이(이완된)까지 연장되게 하는 최대 연신을 허용하는 연장성을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상면시트층(26)은 또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에 원하는 속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천공, 양각 및/또는 처리될 수도 있다. 추가 처리의 예는, 피부 건강제, 착색제, 탈취제, 얼룩 차폐제, 추가 소수성제 등의 적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Siquiera의 참조문헌에 기술된 물질들과 같은, 천공된 탄성 필름 양측면에 적층된 스펀본드 물질의 신축-접합된 적층체다. 또한, 연장 가능 및/또는 탄성의 투과성 상면시트 물질은 Singh Kainth 등의 미국 특허 제8,383,877호에도 기술되어 있고, 그 전체 내용이 본원과 모순되지 않는 목적을 위해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은 천연 섬유, 또는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유사한 물질로 만들어 질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은 바람직하게는 본질적으로 친수성이거나 또는 어느 정도의 친수성을 부여하도록, 대안적으로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보다 더욱 친수성이 되도록 처리된다. 이러한 친수성은 당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용이하게 입수 가능한 계면활성제에 의해 부여될 수도 있으므로, 추가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의 이완된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보다 더 크며, 바람직하게는 2개의 층의 말단들이 부착 구역들에서 접합된다.
도면들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은 2개 이상의 상이한 부직포 또는 필름 물질로부터 만들어질 수도 있고, 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본질적으로 친수성이거나, 또는 이러한 특성을 제공하도록 처리되며, 상이한 물질들은 제2 상면시트층(20)을 가로 방향으로 가로질러서 그리고 흡수 용품 가로 방향을 따라 분리된 위치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은 (예를 들어, 동일 또는 2개의 다른 수평면 내의) 2개 층 또는 다수의 구성요소 재료일 수 있으며, 중심 길이 방향으로 향하는 상면시트부는 용품의 중심 길이 방향을 따라서 그리고 가로질러 위치되며, 측방향 측면 상면시트부상면시트부는 중심 길이 방향을 향하는 상면시트층 부분의 각 측면(또는 측면 길이 방향 에지) 옆에 배치되고 연결된다. 중심의 상면시트부는, 예를 들어, 상기 언급한 TABCW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또는 친수성으로 처리된 천공 필름으로 제조될 수 있다. 측방향 측면 상면시트부는 예를 들어, 접착제 또는 열 접합에 의하여 중심 길이 방향을 향하는 부분에 연결된 상이한 섬유상 부직포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2층 상면시트 구조는, 예를 들어, Coe의 미국특허 제5,961,505호, Kirby의 제5,415,640호 및 Sugahara의 제6,117,523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각은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원용된다.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은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서 천공형 TABCW 또는 천공형 PE 필름이다. 적절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 물질은 Matthews 등의 미국 특허 제4,397,644호, Curro 등의 미국 특허 제4,629,643호, Van Iten 등의 미국 특허 제5,188,625호, Pike 등의 미국 특허 제5,382,400호, Kirby 등의 미국 특허 제5,533,991호, Daley 등의 미국 특허 제6,410,823호, Abuto 등의 미국 특허출원 공개 제2012/0289917호에 기술된 것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들 문헌 각각의 전체 내용이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액체 투과성 제1 또는 제2 상면시트층으로 사용할 부직포 웹의 평량은, 일반적으로 가변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약 5gsm 내지 200gsm일 수 있고,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5gsm 내지 약 150gsm, 대안적으로는 약 10gsm 내지 약 125gsm,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15gsm 내지 약 120gsm일 수 있다.
도면들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용품 깊이 방향(Z)으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 아래에는 상면시트층을 통과한 신체 삼출물을 흡수 용품에 이송시키거나 보유하도록 설계된, 하나 이상의 내부에 위치된 흡수성 코어층(흡수성 코어층이 저장 구성요소임) 및 액체 관리층이 위치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유체 전달층이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의복 대향면(26B)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부가적인 유체 전달층은 바람직하게는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개구와 정렬되는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의 개구를 포함하고 본디드 카디드 웹, 수력엉킴 부직포 웹 또는 스펀본드 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적인 유체 전달층은 이러한 층의 중합체 조성물에 기초하여, 본질적으로 소수성이거나, 대안적으로 소수성을 부여하도록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 코어층(들)(23C)과 액체 처리층(들)은, 그들 자체가 단층 또는 다층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하나 이상의 층들은 유사한 또는 다른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구성요소로 사용되는 고 흡수성 코어층은, 종종, 목재 펄프 섬유, (SAP 또는 SAM으로도 알려져 있는) 초흡수성 입자들 또는 섬유, 합성 목재 펄프 섬유, 합성 섬유, 코폼 재료,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배트(batt) 또는 웹을 포함하지만, 이러한 예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흡수성 코어층(23C)은 다수의 재료 및 구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선택은 원하는 부하 용량, 유연성, 흡수될 신체 유체 및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른 인자에 따라 변할 것이다. 예를 들어, 흡수성 코어층에 적절한 재료 및/또는 구조는, 제한되지는 않지만, Weisman 등의 미국특허 제4,610,678호, Yahiaoui 등의 제6,060,636호, Latimer 등의 제6,610,903호, Krueger 등의 제7,358,282호 및 Di Luccio 등의 미국특허출원공개 제2010/0174260호에 설명된 것을 포함하며, 이 문헌 각각은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원용된다.
흡수성 코어층의 형상은, 필요시 달라질 수 있으며, 개략적으로 삼각형, 직사각형, 개뼈 및 타원 형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러한 예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흡수성 코어층은 흡수 용품의 전체적인 주변 형상과 대략적으로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있어 흡수성 코어층(들)이 주변 밀봉 영역(35)에 인접하여 끝나게 된다. 흡수성 코어층의 치수는 전체 흡수 용품의 치수와 사실상 유사할 수 있지만; 흡수성 코어층의 치수는 유사하지만, 용품 내에 적절하게 수용되기 위하여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에지 둘레에서 밀봉되기 위하여 전체 흡수 용품의 치수보다 종종 다소 작다는 점이 인식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흡수성 코어층은 약 20 내지 80gsm, 대안적으로 약 30 내지 80gsm, 대안적으로 약 30 내지 50gsm의 평량을 갖는 친수성 스펀레이스 웹 재료이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흡수성 코어층은 예를 들어 PET 및 레이온 섬유의 블렌드(blend)와 같은 스펀레이스 웹의 합성 섬유의 블렌드, 또는 대안적으로 필요시 친수성이 되도록 처리되는, 100% 레이온 섬유, 에어레이드 재료, 또는 폼 고무 재료의 균일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흡수성 코어층(23)이,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 및/또는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22)에 위치된 열가소성 중합체를 녹이기 위한 열과 압력의 적용에 의해 형성된 주변 밀봉 영역을 따라 하나 이상의 흡수성 코어층의 주변에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과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22) 사이에서 밀봉된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주변 밀봉 영역(35) 내에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은 적어도 그의 주변에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22)에 접합되어 있으나, 또한 주변 밀봉 영역의 내측에 있는 다른 위치에서 그것에 접합될 수도 있다.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22)은 흡수된 유체를 착용자의 의복 또는 침구로부터 분리하는 역할을 하며, 바람직하게는, 다양한 액체 불투과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22)은, 선택 적으로 액체의 통과를 방지하지만 공기와 수증기는 통과할 수 있게 하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22)은 단일 층 또는 다수의 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하나 이상의 층 자체는 유사한 또는 서로 다른 재료들을 포함한다. 적절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 재료는, 제한되지는 않지만, 폴리올레핀 필름, 부직포 및 부직포 적층체, 및 필름/부직포 적층체를 포함한다.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22)의 특정 구조와 조성은 알려져 있는 다양한 필름 및/또는 섬유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특별한 재료는 액체 장벽, 강도, 내마모성, 촉각 특성, 심미성(예를 들어, 질감 및 인쇄성(printability)) 등의 원하는 수준을 제공하도록 적절히 선택된다. 적절한 배면시트층은, 제한되지는 않지만, Tusim 등의 미국특허 제4,376,799호, Whitehead 등의 미국특허 제4,578,069호, Shawver 등의 미국특허 제5,695,849호, McCormack 등의 미국특허 제6,075,179호 및 Cheung 등의 미국특허 제6,376,095호에 설명되어 있는 배면시트층을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 내에 참고로 원용된다. 아마도 원하는 바와 같이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22)은 통기성 또는 비통기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은 폴리에틸렌 필름과 같이 약 18 내지 40gsm, 대안적으로 약 20 내지 30gsm의 평량을 갖는 통기성 폴리올레핀 필름이다.
측면 배리어 벽들(53, 54)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 또는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의 연장부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배리어 구조체들은 상이한 물질들, 예를 들어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들로부터 액체/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는 소수성 또는 액체 불투과성 부직포 또는 필름 물질(전술한 바와 같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측면 배리어 벽들(53, 54)은 그들 자체가 연장 가능하거나 탄성일 수도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Z-접음부들과 함께 발생할 것과 같은, 사용 중에 그들의 구조체의 우선적인 휨을 허용하기 위한 표면 접음부들(미도시)을 포함할 수도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수 용품들은 당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다른 추가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특징부들은, 바람직하게는 용품(10)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들(13, 14)로부터 밖으로 연장되는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 및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22)의 연장부인 날개 또는 탭형 특징부들(15)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날개들은 또한 제2 상면시트층(20) 또는 배면시트층(22)에 부착되는 비일체형 구성일 수도 있다.
용품들은 또한 당 기술분야에 일반적으로 알려져 잇는 것과 같은, 파우치 내에 개별적으로 포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예에서, 이러한 용품은 용품 취금 및 궁극적인 폐기의 용이성을 위해 이러한 파우치의 내부 표면에 이형 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라 만들어질 수도 있는 흡수 용품의 제1 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Siqueira에 따라 만들어지고, Kimberly-Clark Corporation으로부터 입수 가능한, 천공된 탄성 필름 기반의 신축-접합된 적층체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물질은 기계 방향 연신 및 수축 능력을 나타내며, 기계 방향 연신이 용품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용품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2 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미국 위스콘신주 그린 베이의 NPS Corporation으로부터 STRATAFLEXX 135 GSM (EM-33750)이라는 명칭으로 입수 가능한 것과 같은, 탄성 섬유 기반 적층체로부터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탄성 섬유 기반 적층체는 2개의 30gsm PP/PET 스펀레이스 외부층 사이에 개재된 탄성 섬유 코어를 갖는 횡-방향 신축 트리-적층체 부직포 물질일 수도 있다. NPS 물질은, 용품 길이 방향을 따라 용품 신축을 제공하도록, 제1 상면시트층으로서 흡수 용품 상에 접합하기 전에 90도 회전될 수도 있다.
각 예에서, 이러한 제1 상면시트층들은 바람직하게는 약 214mm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 사이의 길이, 약 99mm의 그의 가장 넓은 지점에서의 측방향 폭, 약 91mm의 길이, 약 38mm의 폭을 가지는 중앙에 위치한 절개된 계란형 개구, 약 26mm의 길이 및 약 47mm의 폭을 가지는 반원형 구성의 2개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 개구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예들에서의 제2 상면시트층은 약 240mm의 길이 및 약 80mm와 110mm 사이의 폭을 가질 것이다(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추가 측면 커버부를 포함함). 어느 예에서도, 이러한 제1 상면시트층들은, 접착제, 열, 또는 초음파 접합 방법에 의해, 그들의 길이 방향 말단들에서 또는 그에 인접하게 제2 상면시트층의 길이 방향 말단들에 접합될 것이다. 어느 예에서도, 이러한 제1 상면시트층들은 제2 상면시트층보다도 짧은 이완된/수축된 길이를 가질 것이어서, 최종 용품은 이완된 상태에 있을 때에 만곡된 구성을 취할 것이고 사용 중일 때에 용품 길이 방향을 따라 신축할 것이다. 각각의 이러한 예들에서, 이러한 용품들은 제2 상면시트층과 배면시트층 사이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액체 취급층 및 적어도 하나의 흡수성 코어층을 포함할 것이다. 이러한 용품 내부 층들의 예는, 제1 상면시트층과 유사한 계란형 천공을 가지며 약 8gsm과 180gsm 사이의 평량을 가지는, 제2 상면시트층 아래의 전달층, 전달층 아래에 있고 약 20gsm과 260gsm 사이의 평량을 가지는 에어레이드층, 에어레이드층 아래에 있고 약 30과 280gsm 사이의 평량을 가지는 SAP 시트(펄프 및 SAP의), 및 약 20gsm과 30gsm 사이의 평량을 가지는 폴리올레핀 필름 배면시트(통기성 또는 비통기성)를 포함한다. 추가적인 내부 흡수 용품 층들, 예를 들어 서지, 전달, 및 다수의 흡수성 코어층은, 제2 상면시트층 아래에서, 본 발명의 흡수 용품 내부에 원하는 대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층들은, 예를 들어 Kim 등의 미국 특허공개 2012/0277711, 및 Miao Lin 등의 국제공개 WO2014/085974에 기술되어 있고, 이들 각각은 그 전체 내용이 본원과 일치하는 목적을 위해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흡수 용품에는, 이격된 2개 층의 상면시트가 그들 사이에 중간 유체 저장 구성요소 없이 제공되어 있다. 이격된 상면시트들은 그들의 구조체 사이에서뿐만 아니라 최상부의 신체 접촉 상면시트층을 통해 그리고 그를 가로질러서 공기 흐름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것은 용품 내의 양쪽의 측방향 측면 갭들뿐만 아니라, 용품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에서의 일련의 말단 개구들에 의해 향상된다. 이러한 구조체는 중단되지 않은 천공 개구들을 통해 직접 하부 패드 표면에 신속하게 유체를 획득하는 것뿐만 아니라, 장기간의 패드 사용에 걸쳐서 통기성 및 건조성도 제공한다 하부의 제2 상면시트층과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작은 치수로 된 신축 가능한(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탄성인)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을 사용함으로써, 사용 중에 자연스럽게 만곡된 구성을 취하여 유지하는 용품이 생성된다. 이러한 작은 치수로 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사용자의 신체의 유체 배설 영역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유체가 직접 상기 층 내의 개구들 및 천공들을 통해 패드 본체 내로 통과하게 한다. 액체의 이러한 신속한 획득은 용품 깊이 방향 Z를 따라 정렬된 매크로-개구들을 가지는 용품 내의 다수 층의 사용에 의해 향상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렬된 개구들을 빈 공간을 두고서 분리시킴으로써, 재습윤 감각이 감소될 수도 있다.
사용 중, 2개의 상면시트는 그들 전체 길이의 대부분을 따라 분리되어 있는 일차 단계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패드 변형 및 패드 힘으로 인해 때때로 서로 접촉하고 있는 단계로 전이한다. 층 접촉 및 분리 사이의 이러한 일정한 상호 작용은, 공기 순환이 층들 사이에서 그리고 패드 및 패드의 최상부의 사용자 대향면 내부의 개구들을 통해 제공됨에 따라, 재습윤의 감각을 감소시키는 것을 보조한다. 연장 가능한 또는 탄성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상기 층이 사용자의 속옷과 함께 용품 하부 부분의 움직임에 의한 충격이 적으면서 사용자의 신체에 기계적으로 순응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연장성/탄성은 상부 상면시트층이 사용 중에 분리 성향을 보일 수 있게 해서, 가능할 때마다 상면시트층들의 물리적인 분리를 유지하고, 또한 흡수 용품의 오염된 부분으로부터 사용자의 신체의 분리를 유지한다.
본 발명을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전술한 바를 이해함에 따라,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대체예, 변형예, 균등예를 쉽게 구상할 수 있다는 점을 알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로서 평가되어야 한다.

Claims (27)

  1. 길이 방향, 가로 방향 및 깊이 방향을 갖는 흡수 용품으로, 상기 흡수 용품은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제1 및 제2 길이 방향 말단, 및 상기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제1 및 제2 길이 방향 말단 사이에서 연장되는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들을 가지되, 상기 흡수 용품은
    제1 상면시트층 이완된 길이,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 및 상기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들을 갖는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으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개구를 정의하며, 적어도 상기 흡수 용품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가능한,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상기 흡수 용품 깊이 방향을 따라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아래에 있는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으로, 상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은 상기 제1 상면시트층 이완된 길이보다 더 긴 제2 상면시트층 이완된 길이를 가지고,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부착 구역들에 의해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에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은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개구를 통해 보일 수 있는, 상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
    상기 흡수 용품 깊이 방향을 따라 상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 아래에 있는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
    상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과 상기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 사이에 개재된 적어도 하나의 흡수성 코어층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흡수 용품은 상기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에서 또는 그에 인접하게 적어도 2개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 개구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길이 방향 말단 개구들은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흡수 용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적어도 4개의 분리된 부착 구역에 의해 상기 흡수 용품 상에 부착되고, 상기 부착 구역들 중 적어도 2개는 각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에서 또는 그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어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내의 적어도 하나의 말단 개구가 각각의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에서 또는 그에 인접하게, 그리고 상기 적어도 2개의 부착 구역 사이에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에 의해 정의되는, 흡수 용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용품은 중앙 길이 방향, 및 상기 중앙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하고 있는, 적어도 2개인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 개구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 개구들은 곡선 에지형, 반원형, 또는 U 형상 개구 구성으로부터 선택되는, 흡수 용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 개구는 상기 흡수 용품 중앙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정렬되어 있는, 흡수 용품.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부착 구역들은 상기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되어 있는, 흡수 용품.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부착 구역들은 상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의 안쪽으로 이격되어 있는, 흡수 용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및 상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은 각각 상기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에서 또는 그에 인접하게 주변 에지들을 포함하고, 상기 주변 에지들은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및 제2 상면시트층 각각에 대해 일반적으로 유사한 형상을 갖는, 흡수 용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에서의 또는 그에 인접한 각 상면시트층의 주변 에지들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 흡수 용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적어도 하나의 중앙에 위치한 개구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용품은 중앙 길이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에 위치한 개구는 상기 대향하는 길이방향 말단 개구들 사이에서 상기 흡수 용품 중앙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하고 있는 계란형, 원형, 긴타원형, 및 다수의 근접한 개구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흡수 용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용품은 중앙에 위치한 천공을 가지는 천공층을 포함하고, 상기 천공층은 상기 흡수 용품 깊이 방향으로 상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과 상기 흡수성 코어층 사이에 놓이며, 또한 여기서 상기 중앙에 위치한 천공은 상기 중앙에 위치한 개구와 상기 흡수 용품 깊이 방향을 따라 정렬되어 있는, 흡수 용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에 위치한 개구 및 상기 중앙에 위치한 천공은 모두 타원형인, 흡수 용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용품은, 각각의 상기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에서 또는 그에 인접하게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에 의해 정의된 하나보다 많은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 개구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상기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들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또는 그에 인접하게, 상기 흡수 용품 깊이 방향을 따라 그 아래의 층에 부착된, 흡수 용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상기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들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에서 또는 그에 인접하게, 상기 흡수 용품 깊이 방향을 따라 그 아래의 층에 부착된, 흡수 용품.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탄성인, 흡수 용품.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은 중앙 상면시트부 및 측면 상면시트부를 가지는 다성분 상면시트층이고, 여기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의 상기 중앙 상면시트부는 중간층의 시각적 방해 없이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내의 개구를 통해 보일 수 있는, 흡수 용품.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소수성인, 흡수 용품.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용품 깊이 방향으로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아래에 있는 층 상의 표면형태의 시각 특징은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통해 보일 수 있는, 흡수 용품.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용품 사용 중에 약 0.01mm와 6mm 사이의 거리만큼 상기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흡수 용품.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길이방향 말단들에서만 상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에 부착되고, 상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은 상기 흡수 용품이 이완된 구성에 있을 때에 만곡된 구성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
  23. 다수의 상면시트층, 배면시트층 및 상기 상면시트층들 중 하나와 상기 흡수성 코어층 사이에 개재된 흡수성 코어층을 포함하되,
    제1 평면형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 및 제2 평면형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평면형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 및 상기 제2 평면형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은 모두 길이 방향 및 가로 방향을 갖는 실질적으로 세장형 형상을 가지며, 각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은 2개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평면형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은 연장 가능하며, 그 안에 중앙에 위치한 개구 및 적어도 2개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 개구를 정의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평면형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이 상기 중앙에 위치한 개구 및 적어도 2개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 개구를 통해 보일 수 있고;
    상기 제1 평면형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은 상기 제2 평면형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 사이에 매달려 있고, 이에 따라 상기 2개의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이 그들의 대향하는 길이방향 말단들에서만 또는 그에 인접하게 상호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 평면형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은, 빈 공간이 상기 제1 평면형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과 상기 제2 평면형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 사이에 존재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고;
    상기 제1 평면형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은, 양쪽의 상면시트층이 이완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2 평면형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의 길이 미만의 길이를 가지는, 흡수 용품.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면형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은 상기 흡수 용품 내부에 미리 인장력이 가해진 상태로 있는, 흡수 용품.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면형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은 탄성인, 흡수 용품.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면형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은 소수성이고, 상기 제2 평면형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친수성인, 흡수 용품.
  27. 길이 방향, 가로 방향 및 깊이 방향을 갖는 흡수 용품으로, 상기 흡수 용품은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제1 및 제2 길이 방향 말단, 및 상기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제1 및 제2 길이 방향 말단 사이에서 연장되는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들을 가지되, 상기 흡수 용품은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 및 상기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들을 갖는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으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개구를 정의하며, 적어도 상기 흡수 용품 길이 방향을 따라 탄성인,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상기 흡수 용품 깊이 방향을 따라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아래에 있는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으로, 상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은 부착 구역들에 의해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에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에 대한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부착이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을 향하여 상기 흡수 용품에 굴곡을 부여하고; 상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은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개구를 통해 보일 수 있는, 상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
    상기 흡수 용품 깊이 방향을 따라 상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 아래에 있는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
    상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과 상기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 사이에 개재된 적어도 하나의 흡수성 코어층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흡수 용품은 상기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들에서 또는 그에 인접하게 적어도 2개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 개구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길이 방향 말단 개구들은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흡수 용품.
KR1020177019348A 2014-12-30 2014-12-30 상승된 피부-접촉 상면시트층을 갖는 흡수 용품 KR1018041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4/072714 WO2016108833A1 (en) 2014-12-30 2014-12-30 Absorbent article with elevated skin-contacting topsheet lay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6669A true KR20170086669A (ko) 2017-07-26
KR101804107B1 KR101804107B1 (ko) 2017-12-01

Family

ID=56284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9348A KR101804107B1 (ko) 2014-12-30 2014-12-30 상승된 피부-접촉 상면시트층을 갖는 흡수 용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42688B2 (ko)
KR (1) KR101804107B1 (ko)
CN (1) CN106999314B (ko)
BR (1) BR112017013213B1 (ko)
DE (1) DE112014007191T5 (ko)
MX (1) MX2017007389A (ko)
WO (1) WO201610883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674A (ko) * 2017-12-07 2019-06-17 송석준 유기농 목화 압축 솜을 사용한 일체형 면 생리대
KR20200090364A (ko) * 2019-01-21 2020-07-29 주식회사 업드림코리아 흡수율 및 통기성 향상을 위한 하이브리드 생리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99322B (zh) * 2014-12-30 2018-09-21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具有部分可分离的皮肤接触顶片层的吸收性制品
BR112018016123B1 (pt) 2016-02-29 2023-03-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rtigo absorvente
AU2017225676B2 (en) * 2016-02-29 2021-06-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flat-back protection feature
CN109310554B (zh) * 2016-06-29 2022-01-28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具有带开口的吸收系统的吸收制品
US10835426B2 (en) * 2016-08-12 2020-11-17 Rebecca Coffman Sanitary pad
KR102164191B1 (ko) 2017-03-31 2020-10-12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삼출물 관리층을 구비한 흡수 용품
WO2018183651A1 (en) * 2017-03-31 2018-10-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an exudate management layer
GB2574985B (en) 2017-03-31 2022-09-07 Kimberly Clark Co Absorbent article with an exudate management layer
EP3621570A1 (en) * 2017-05-12 2020-03-1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Feminine hygiene article
CN110573120B (zh) 2017-05-12 2022-04-15 宝洁公司 女性卫生制品
US11246770B2 (en) 2017-05-12 2022-02-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eminine hygiene article with improved wings
US11058591B2 (en) * 2017-05-12 2021-07-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eminine hygiene article with improved wings
WO2018213225A1 (en) 2017-05-17 2018-11-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inks printed on heat sensitive absorbent article components
JP6775554B2 (ja) * 2018-08-14 2020-10-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11963856B2 (en) 2018-11-28 2024-04-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CN109394428A (zh) * 2018-12-21 2019-03-01 浙江珍琦护理用品有限公司 一种具有超大打孔棉面层的纸尿裤及其制造方法
USD917692S1 (en) * 2019-03-19 2021-04-27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Absorbent article
USD919084S1 (en) 2019-03-19 2021-05-11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Absorbent article
USD978342S1 (en) * 2019-09-06 2023-02-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eminine pad
US20220249303A1 (en) * 2021-02-04 2022-08-11 3RTW International Corporation Reusable sanitary napkin and a combined panty and reusable sanitary napkin underwear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2727U (ko) 1988-02-16 1989-08-21
ES2047165T3 (es) 1989-02-08 1994-02-16 Kao Corp Articulo absorbente.
US5062840B1 (en) * 1989-05-22 1995-01-03 John N Holt Disposable diapers
US5007906A (en) 1989-10-27 1991-04-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coupled sanitary napkin
PL167617B1 (pl) 1990-10-29 1995-09-30 Procter & Gamble P odpaska higieniczna PL
JP3130367B2 (ja) * 1992-04-17 2001-01-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オムツの肌当て上面シートに弾性開口部を形成する方法
US5269775A (en) * 1992-06-12 1993-12-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risection topsheets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such trisection topsheets
AU4404093A (en) * 1992-06-12 1994-01-04 Procter & Gamble Company, The Spacers for use in hygienic absorbent articles an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such spacer
US5593400A (en) 1994-02-09 1997-01-14 Paragon Trade Brands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suspended absorbent structure
JP3169311B2 (ja) 1994-10-21 2001-05-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US5853403A (en) 1994-10-25 1998-12-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body contacting liquid control member
ITTO950698A1 (it) 1995-08-23 1997-02-23 Procter & Gamble Articolo assorbente, quale ad esempio articolo igienico sanitario
SE508206C2 (sv) 1995-09-06 1998-09-14 Moelnlycke Ab Absorberande alster för upptagande av kroppsvätskor
CN1125624C (zh) 1996-05-28 2003-10-29 花王株式会社 具有吸水收缩体的吸收性物品
US5885268A (en) 1996-12-18 1999-03-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structures having decoupled topsheet and topsheet support strip
SE509537C2 (sv) 1997-06-24 1999-02-08 Moelnlycke Ab Absorberande alster med förbättrad kroppskontakt
SE509536C2 (sv) 1997-06-24 1999-02-08 Moelnlycke Ab Absorberande alster med förbättrad vätskemottagningsförmåga
WO1999045872A1 (en) * 1998-03-10 1999-09-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extensible flaps comprising microporous film
JPH11313851A (ja) 1998-05-01 1999-11-16 Uni Charm Corp 生理用ナプキン
JP3652505B2 (ja) 1998-05-14 2005-05-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3294203B2 (ja) 1998-09-08 2002-06-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3510133B2 (ja) 1999-02-04 2004-03-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6443936B1 (en) 1999-08-06 2002-09-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adhesive system to provide flexibility and breathability
US7247152B2 (en) 1999-10-15 2007-07-24 Associated Hygienic Products Ll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containment structure
US6652498B1 (en) 1999-11-08 2003-11-25 Mcneil-Ppc, Inc. Tapered compound sanitary napkin
SE0000729L (sv) 2000-03-06 2001-09-07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med förbättrad läckagesäkerhet
JP3859418B2 (ja) 2000-03-07 2006-12-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859419B2 (ja) 2000-03-07 2006-12-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02000154A1 (fr) * 2000-06-29 2002-01-03 Oji Paper Co., Ltd. Produit absorbant
JP3971595B2 (ja) 2000-10-31 2007-09-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吸収性物品をアンダーガーメントに取り付けるための手段
JP3811001B2 (ja) * 2000-12-06 2006-08-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3701864B2 (ja) * 2000-12-12 2005-10-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4017839B2 (ja) 2001-02-23 2007-12-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吸収製品
US20020143309A1 (en) 2001-03-30 2002-10-03 Tara Glasgow Dynamic fitting compound sanitary napkin
JP4090703B2 (ja) 2001-04-20 2008-05-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U2002343826A1 (en) 2002-03-14 2003-09-22 Uni-Charm Corporation Sanitary product
AU2002343821A1 (en) 2002-11-18 2004-06-15 Uni-Charm Corporation Absorbable article for mounting auxiliary pad
WO2004045475A1 (ja) 2002-11-18 2004-06-03 Uni-Charm Corporation 吸収性物品取り付け用補助パッド
JP4712376B2 (ja) 2004-12-28 2011-06-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4587948B2 (ja) 2005-12-20 2010-11-2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2037854A4 (en) 2006-06-30 2011-08-31 Sca Hygiene Prod Ab VOIDABLE PRODUCT
US8383877B2 (en) 2007-04-28 2013-02-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composites exhibiting stepped capacity behavior
US7947027B2 (en) 2007-12-28 2011-05-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ody adhering absorbent article
US7976525B2 (en) 2008-02-13 2011-07-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mpound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body contact
US8513483B2 (en) 2009-02-27 2013-08-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ydrophobic surface coated material for use in absorbent articles
KR101651675B1 (ko) 2009-10-30 2016-08-29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환형의 흡수부재를 구비하는 흡수제품
US9237973B2 (en) 2012-01-31 2016-01-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reated apertures
KR102091634B1 (ko) 2012-12-04 2020-03-20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다층 탑시트를 구비한 흡수 용품
KR102332161B1 (ko) * 2013-12-27 2021-11-26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일회용 기저귀
KR20170042797A (ko) * 2014-09-29 2017-04-19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환형 구멍을 갖는 흡수 시스템을 구비한 흡수 용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674A (ko) * 2017-12-07 2019-06-17 송석준 유기농 목화 압축 솜을 사용한 일체형 면 생리대
KR20200090364A (ko) * 2019-01-21 2020-07-29 주식회사 업드림코리아 흡수율 및 통기성 향상을 위한 하이브리드 생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999314B (zh) 2019-05-31
MX2017007389A (es) 2017-10-20
KR101804107B1 (ko) 2017-12-01
CN106999314A (zh) 2017-08-01
DE112014007191T5 (de) 2017-08-24
WO2016108833A1 (en) 2016-07-07
US10842688B2 (en) 2020-11-24
BR112017013213A2 (pt) 2018-04-10
BR112017013213B1 (pt) 2022-02-15
US20170354549A1 (en) 2017-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4107B1 (ko) 상승된 피부-접촉 상면시트층을 갖는 흡수 용품
KR101749448B1 (ko) 불균일한 치수의 측면 배리어를 갖는 흡수 용품
KR101892332B1 (ko) 개별 부분에 종방향으로 배향된 층을 갖는 흡수성 개인 위생 용품
KR101804106B1 (ko)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한 피부-접촉 상면시트층을 갖는 흡수 용품
JP4070804B2 (ja) 毛管積層材料
KR100420247B1 (ko) 미리 형성된 부재를 갖는 흡수성 제품
RU2603609C2 (ru) Абсорб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с углубленной прилегающей к телу структурой
KR101732572B1 (ko) 흡수성 물품 및 흡수성 물품 패키징
KR101948501B1 (ko) 플랫-백 보호 특징부를 갖는 흡수 용품
US20080300564A1 (en) Absorbent Product
AU2005339199A1 (en) Absorbent product
CN108348367B (zh) 具有通道和成形弹性构件的吸收制品
HUT69679A (en) Stretchable absorbent structure
AU2012397333B2 (en)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t least two stacked individual absorbent pads
KR101780171B1 (ko) 다용도 보호층을 구비한 흡수 용품
KR20170046676A (ko) 확장형 흡수 용품
KR101947978B1 (ko) 플랫-백 보호 특징부를 갖는 흡수 용품
US20210361494A1 (en) Male incontinence guard, kit, and method
JP2013208323A (ja) 吸収性物品
KR20210014652A (ko) 신체 순응 구조를 구비한 흡수 용품
RU2742091C1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WO2004047696A1 (en) Male incontinence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