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6609A - Package for tobacco products - Google Patents

Package for tobacco produc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6609A
KR20170086609A KR1020177016905A KR20177016905A KR20170086609A KR 20170086609 A KR20170086609 A KR 20170086609A KR 1020177016905 A KR1020177016905 A KR 1020177016905A KR 20177016905 A KR20177016905 A KR 20177016905A KR 20170086609 A KR20170086609 A KR 20170086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package
varnish
difference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69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이치 이와타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86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660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81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joined to the container, e.g. coins, pens, cards, spa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65D85/1045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05Means for the attachment of labels, cards, coupo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12Information or decoration elements, e.g. content indicators, or for ma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2Applications of coated or impregnate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65D85/1045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 B65D85/1048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characterized by the shape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2Lab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Package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잉크에 의거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포장체에 디자인성을 부여할 수 있는 담배 상품의 포장체를 제공한다. 담배 상품의 포장체는, 담배 상품을 내부에 수용하는 포장체로서, 포장체의 최외층의 표면은, 포장체의 기재의 외면에 적층된 투명니스에 의해 형성되는 제1영역과, 제1영역에 인접 배치됨과 동시에, 포장체의 기재가 외부에 노출한 기재 노출부 또는 기재의 외면에 적층된 투명니스에 의해 형성되는 제2영역을 포함하고, 제1영역 및 제2영역과의 경계위치가, 투명니스의 유무의 차이 또는 각각의 투명니스의 물성의 차이 만에 의거해서 식별 가능하다. Provided is a package of a cigarette product which is capable of imparting designability to a package with a simple configuration without relying on ink. A package for a cigarette product is a package for containing a cigarette product therein. The surface of the outermost layer of the package includes a first region formed by transparent varnish lamin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of the package, And a second region formed by a transparent varnish that is laminated on the substrate exposed portion exposed on the outside or the out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e boundary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is , The difference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transparent varnish, or the difference in the properties of the respective transparent varnishes.

Description

담배 상품의 포장체{PACKAGE FOR TOBACCO PRODUCTS}The package of tobacco products {PACKAGE FOR TOBACCO PRODUCTS}

본 발명은, 담배 상품의 포장체(包裝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e of a cigarette product

궐련 등의 담배 상품은, 통상, 소정의 개수 마다 포장체(包裝體)로 포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포장체(包裝體)로서, 알루미늄박 가공지(加工紙) 등의 중포지(中包紙)와, 이 중포지(中包紙)를 덮는 외포지(外包紙)에 의해 형성된 것이 잘 알려져 있고, 소위(所謂) 개장(個裝)이라고 불러지고 있다. 외포지(外包紙)로서, 소위(所謂) 소프트 팩 또는 소프트 패키지로 불러지는 박지(薄紙)로 형성된 것이나, 소위(所謂) 하드 팩, 하드 패키지 또는 박스로 불러지는, 판지(板紙)를 상자형태로 조립해서 형성된 것이 알려져 있다.Tobacco products such as cigarettes are usually packed in a package for each predetermined number. As such a package, it is preferable that a package formed of a wrapping paper such as an aluminum foil processed paper and an outer wrapping paper covering the wrapping paper It is known and is called so-called "decoration". (So-called) hard pack, a hard package, or a box, which is called a so-called (so-called) soft pack or a soft package, As shown in Fig.

담배 상품의 포장체(包裝體)의 외면에는, 일반적으로, 제품명이나 성분량 등의 담배 상품에 관한 정보가 인쇄되어 있다. 또, 포장체의 대부분은, 예를 들면 다른 담배 상품과의 식별력을 높이기도 하고, 구입자에 의한 구매의욕을 높이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해서, 색잉크를 사용해서 문자, 그림 등으로 이루어지는 디자인이나 정보 등을 표면에 인쇄하고, 시각효과를 갖도록 하고 있다.On the outer surface of the package of the tobacco product, information on the tobacco product such as the name of the product or the amount of the ingredient is generally printed. Most of the pouches are designed with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discrimination power with other tobacco products and increasing the desire to purchase by the purchaser, And the like are printed on the surface so as to have a visual effect.

특허문헌 1 : 일본공개특허공보 특표 2006-504590호 공보Patent Document 1: JP-A-2006-504590

상기와 같이, 담배 상품의 포장체(包裝體)의 대부분은 잉크를 사용한 디자인의 부여에 의해 시각효과를 얻고 있지만, 잉크를 다용(多用)하는 것으로 제조비용의 증가를 초래하기도 하며, 포장기(包裝機)의 가이드류에 잉크가 부착하는 잉크 더럽혀짐을 초래하는 요인이 된다.As described above, most of the package of the cigarette product has a visual effect due to the design using ink, but it also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by multiplying the ink, Which causes ink to be stained with the ink attached to the guide of the ink jet printer.

본 발명은, 상기(上記)의 실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잉크에 의거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포장체(包裝體)에 디자인성을 부여할 수 있는 담배 상품의 포장체(包裝體)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ckage of a cigarette product which can provide designability to a package with a simple structure, ).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담배 상품의 포장체에 있어서의 최외층(最外層)의 표면에, 투명니스에 의해 형성된 제1영역과, 포장체의 기재(基材)가 외부에 노출한 기재(基材) 노출부 또는 기재의 외면에 적층된 투명니스에 의해 형성되는 제2영역을 인접 배치하고, 제1영역 및 제2영역과의 경계위치가 투명니스의 유무의 차이 또는 각각의 투명니스의 물성의 차이 만에 의거해서 식별가능 하도록 담배 상품의 포장체를 구성하도록 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igarette product package comprising a first region formed by a transparent varnish and a second region formed by a transparent varnish on a surface of an outermost layer of a package of a cigarette product, A second region formed by a transparent varnish laminated on an exposed base material exposed portion or an outer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The package of the tobacco product is constructed so as to be distinguishable only on the basis of the difference i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transparent varnish of the tobacco product.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담배 상품을 내부에 수용하는 포장체로서, 상기 포장체의 최외층(最外層)의 표면은, 상기 포장체의 기재의 외면에 적층된 투명니스에 의해 형성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에 인접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포장체의 기재(基材)가 외부에 노출한 기재(基材) 노출부 또는 상기 기재(基材)의 외면에 적층된 투명니스에 의해 형성되는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과의 경계위치가, 투명니스의 유무의 차이 또는 각각의 투명니스의 물성의 차이 만에 의해서 식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잉크에 의한 디자인 부여에 의존하지 않고, 게다가 간단한 구성으로 담배 상품의 포장체에 디자인성을 부여하여, 포장체의 식별력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과의 경계위치가, 각각의 투명니스에 있어서 시각에 영향을 미치는 소정의 물성의 차이 만에 의해서 식별가능 해도 좋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e for accommodating a cigarette product therein, wherein the surface of the outermost layer (outermost layer) of the package is formed by a transparent varnish lamin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of the package And a transparent varnish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region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a base material of the package body or an outer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And the boundary position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is distinguishable by the difference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transparent varnish or only by the difference i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pective transparent varnishes do. With this configuration, designability can be imparted to the package of the tobacco product with a simple structure, without depending on designing by the ink, and the discriminating power of the package can be increased. Here, the boundary position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may be identifiable only by a difference in predetermined physical properties affecting the time in each transparent varnish.

여기서, 상기 제1영역에서의 투명니스는, 제1의 광택치(光澤値)를 가지며, 상기 제2영역에서의 투명니스는, 상기 제1의 광택치(光澤値)와 다름과 동시에 상시 제1의 광택치(光澤値)와의 차이에 의해 상기 제1영역과의 경계위치를 식별시키는 제2의 광택치(光澤値)를 갖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제1영역 및 제2영역의 표면을 형성하는 투명니스의 광택치(光澤値)를 완전히 다르게 하는 것으로, 소비자에게 제1영역 및 제2영역과의 경계위치를 식별시킬 수 있다. 더욱이, 이 경우, 제1의 광택치(光澤値) 및 제2의 광택치(光澤値)의 차이가 15 이상이면, 제1영역 및 제2영역과의 경계위치를 소비자에게 식별시키는 관점에서 볼 때 바람직하다.Here, the transparent varnish in the first region has a first gloss value (a gloss value), and the transparent varnish in the second region is different from the first gloss value (gloss value) And a second gloss value (gloss value) for distinguishing the boundary position with the first area due to the difference from the gloss value (gloss value) of the first area. Thus, by making the glossiness (gloss value) of the transparent varnish forming the surfaces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completely different, it is possible for the consumer to identify the boundary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Further, in this case,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gloss value and the second gloss value is 15 or more, the position of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is discriminated from the viewpoint of the consumer. .

또, 상기 제1영역에 있어서의 투명니스는, 제1의 헤이즈값을 가지며, 상기 제2영역에 있어서의 투명니스는, 상기 제1의 헤이즈값과 서로 다름과 동시에 상기 제1의 헤이즈값과의 차에 의해 상기 제1영역과의 경계위치를 식별시키는 제2의 헤이즈값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제1영역 및 제2영역의 표면을 형성하는 투명니스의 헤이즈값을 완전히 서로 다르게 하는 것으로, 소비자에게 제1영역 및 제2영역의 경계위치를 식별시킬 수 있다. 더욱이, 이 경우, 제1의 헤이즈값 및 제2의 헤이즈값과의 차가 5%이상 100%이하이면, 제1영역 및 제2영역과의 경계위치를 소비자에게 식별시키는 관점에서 볼 때 바람직하다.The transparent varnish in the first region has a first haze value, and the transparent varnish in the second region is different from the first haze value, and the first haze value and the second haze valu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 second haze value that identifies a boundary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area by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reas. By thus making the haze values of the transparent varnish forming the surfaces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completely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boundary position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can be identified to the consumer. In this case,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haze value and the second haze value is 5% or more and 100% or less, it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identifying the border position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to the consumer.

또,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에 있어서의 표면의 높이가 서로 같아도 좋다. 또,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에 있어서의 표면의 높이의 차가 5㎛이하라도 좋다. 이와 같이, 제1영역 및 제2영역에 있어서의 표면의 높이의 차를 0㎛이상 5㎛이하로 하는 것으로, 이하(以下)의 효과를 발휘한다. 예를 들면, 포장체는, 일반적으로, 시트모양의 블랭크를 접어 넣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와 같이 제1영역 및 제2영역 사이의 단차를 없애거나, 혹은 작게 하는 것으로, 시트모양의 블랭크를 곤포(梱包)해서 유통시키는 때에 블랭크의 부피가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결국, 블랭크의 곤포(梱包)상자에 블랭크를 수용할 때, 상하로 적층되는 블랭크 사이의 빈틈을 될 수 있는 한 작게 하는 것으로, 블랭크의 유통비용을 적게 할 수 있다.The heights of the surfaces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may be the same. The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surfaces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may be 5 占 퐉 or less. By setting the difference in height of the surface i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from 0 占 퐉 to 5 占 퐉 in this manner,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For example, in general, the package is formed by folding a sheet-like blank. However, by eliminating or reducing the step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volume of the blank from becoming large when it is packed and circulated. As a result, when the blanks are received in the blanks of the blank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istribution cost of the blanks by making the gaps between the blanks stacked vertically as small as possible.

또, 블랭크를 접어 넣으면서 담배 상품을 포장하는 포장기의 대부분은, 롤러 장치나 흡착장치를 이용해서 블랭크를 순차로 반송(搬送)하고 있지만, 상기와 같이 제1영역 및 제2영역 사이에 있어서의 단차를 작게 하는 것으로, 포장체의 포장과정에 있어서의 블랭크의 반송안정성(搬送安定性)을 높일 수 있고, 또, 접어 넣기 과정에 있어서 안정된 블랭크의 접어 넣기가 용이하게 된다. 또, 제1영역 및 제2영역 사이에 있어서의 단차를 작게 하는 것으로, 제1영역이나 제2영역에 있어서 기재(基材)에 도포(塗布)하는 투명니스의 사용량이 과잉상태가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포장체의 제조비용을 적게 할 수 있다.Most of the wrapping machines for wrapping the cigarette products while folding the blank are conveying the blanks in sequence using the roller device or the adsorption device.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difference in level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Conveying stability) of the blank in the packaging process of the package can be increased, and it is easy to fold the stable blank in the folding process. By reducing the step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excessive use of the transparent varnish applied (applied) to the base material in the first region or the second region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ackage can be reduced.

또, 상기 기재(基材)의 외면의 일부에 착색된 착색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의 경계위치와, 상기 기재(基材)에 있어서의 상기 착색영역과 그 주위의 무착색영역과의 경계위치가 어긋나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제1영역 및 제2영역에 있어서의 투명니스의 유무의 차이 또는 각각의 투명니스의 물성의 차이 만에 의해서, 제1영역 및 제2영역이 경계위치를 시각을 통해서 식별시킬 수 있다. 결국, 잉크에 의존하지 않고, 용이하게 담배 상품의 포장체에 디자인성을 부여할 수 있다.In addition, a colored region is formed on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ubstrate (base material), and a boundary position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nd the colored region in the base material The boundary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non-coloring region may be shifted. This makes it possible to identify the boundary positions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with the aid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transparent varnish i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or the difference i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transparent varnishes hav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asily impart the design property to the package of the tobacco product without depending on the ink.

또, 상기 기재(基材)의 외면전체가 착색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이처럼 구성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포장체를 제조하는 때에 포장기의 가이드류(類)에 포장체가 접촉한 경우에서도, 이 가이드류(類)가 잉크로 더러워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포장체에 있어서의 기재(基材)의 외면에 잉크를 전혀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포장체의 제조비용을 적게 할 수 있다.Further,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may not be colored. With this configuration, even when the packag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uide stream (s) of the packaging machine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package, the guide stream (s) can be prevented from becoming dirty with ink. In addition, by not using ink at all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in the packag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ackage can be reduced.

또, 상기 기재(基材) 중에,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의 외면이 단일의 잉크에 의해 착색되어 있어도 좋다. 이처럼, 제1영역 및 제2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의 외면이 단일의 잉크에 의해 착색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본 발명에 의하면, 잉크에 의거하지 않고, 제1영역 및 제2영역의 경계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In the base material, the outer surface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may be colored by a single ink. Thus, even when the outer surface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is colored by a single 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undary positions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can be Can be identified.

또, 상기 기재(基材)의 표면에 요철(凹凸)가공이 실시되어 있고,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의 경계위치와, 상기 기재(基材)에 있어서의 오목부(凹部)와 볼록부(凸部)와의 경계위치가 평면적으로 어긋나 있어도 좋다. 이처럼 구성하는 것으로, 제1영역 및 제2영역에 있어서의 투명니스의 유무의 차이 또는 각각의 투명니스의 물성의 차이 만에 의해서, 제1영역 및 제2영역의 경계위치를, 시각을 통해서 식별시킬 수 있다. 결국, 잉크에 의거하지 않고, 용이하게 담배 상품의 포장체에 디자인성을 부여할 수 있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is subjected to uneven processing and the position of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nd the position of the boundary between the concave portion and the non- The position of the boundary with the convex portion may be shifted in a plane direction. With this configuration, the boundary positions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can be identified by time only by the difference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transparent varnish i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or by the difference i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pective transparent varnishes .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asily impart the design property to the package of the tobacco product without relying on the ink.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가능한 한 조합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bined as much as possible.

본 발명에 의하면, 잉크에 의거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포장체에 디자인성을 부여할 수 있는 담배 상품의 포장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ackaged product of a tobacco product which can impart designability to the package with a simple structure, not based on ink.

[도1] 도1은, 실시형태1에 관계되는 포장체를 보여주는 외관도이다.
[도2] 도2는, 실시형태1에 관계되는 포장체의 정면도이다.
[도3] 도3은, 실시형태1에 관계되는 포장체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4] 도4는, 도2에 나타낸 A-A' 화살표방향단면도이다.
[도5] 도5는, 참고예에 관계되는 포장체의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 도6은, 실시형태의 제1변형예에 관계되는 포장체의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 도7은, 실시형태의 제2변형예에 관계되는 포장체의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 도8은, 실시형태의 제3변형예에 관계되는 포장체의 정면도이다.
[도9] 도9는, 실시형태2에 관계되는 포장체의 정면도이다.
[도10] 도10은, 실시형태3에 관계되는 포장체의 정면도이다.
[도11] 도 11은, 실시형태4에 관계되는 포장체의 정면도이다.
[도12] 도12는, 도11에 나타낸 B-B'화살표방향단면도이다.
[도13] 도13은, 실시형태5에 관계되는 포장체의 정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 package according to Embodiment 1. FIG.
[Fig. 2]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packa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3] Fig. 3 is a view showing a blank for forming a package according to Embodiment 1. [Fig.
[Fig. 4]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direction of arrow AA 'shown in Fig.
[Fig. 5] Fig. 5 is a view showing a sectional structure of a package according to a reference example.
[Fig. 6] Fig. 6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package according to Modification 1 of the embodiment.
[Fig. 7] Fig. 7 is a view showing a sectional structure of a package according to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Fig. 8] Fig. 8 is a front view of a package according to Modification 3 of the embodiment.
[Fig. 9] Fig. 9 is a front view of the packag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10 is a front view of a package according to Embodiment 3; FIG.
[Fig. 11] Fig. 11 is a front view of the packag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1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11; Fig.
[Fig. 13] Fig. 13 is a front view of the packag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도1은, 실시형태1에 관계되는 포장체(1)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포장체(1)는, 담배 상품의 일 예로서 궐련을 수용하는 궐련 패키지이다. 포장체(1)는, 수용본채부(2)와, 수용본체부(2)에 힌지(3)를 통해서 회동 자유롭게 연결되는 덮개부(4)를 구비하고 있다. 도1은, 덮개부(4)가 닫혀진 상태의 포장체(1)를 배면측(背面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포장체(1)는, 피포장체의 포장시에 있어서 외형상이 대략 직방체(직6면체)로 되어 있다. 도2에, 실시형태1에 관계되는 포장체(1)의 정면도를 나타낸다.Fig. 1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 package 1 according to Embodiment 1. Fig. The package 1 is a cigarette package that accommodates a cigarette as an example of a cigarette product. The package body 1 has a receiving main body portion 2 and a lid portion 4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ceiving main body portion 2 through a hinge 3.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ackage 1 in a state where the lid part 4 is closed, as viewed from the back side (back side). The packaging body 1 has an approximate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traight six-sided body) in its outer shape at the time of packaging of the body to be packaged. Fig. 2 shows a front view of the packag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포장체(1)는, 소위 하드 패키지라고 불러지는 상자형태의 포장용기이며, 수용본체부(2)의 내부에 궐련을 수용하고 있다. 수용본체부(2)는, 전벽(前壁, 21), 후벽(後壁, 22), 한 조의 측벽(側壁, 23), 저벽(底壁, 24), 직방체 형상의 상단측(上端側)이 비스듬히 절흠(切欠:notch)된 형상을 갖는 상자 몸체(箱體)이다. 덮개부(4)는, 전벽(前壁, 41), 후벽(後壁, 42), 한 조의 側壁(43), 천벽(天壁, 44)을 가지고, 힌지(3, hinge)를 통해서 덮개부(4)에 있어서의 (42, 後壁)의 하연(下緣)과 수용본체부(2)에 있어서의 後壁(22)의 상연(上緣)이 힌지(hinge) 연결되어 있다. The package body 1 is a box-shaped packaging container called a so-called hard package, and accommodates the cigarette in the interior of the receptacle body 2. [ The receiving main body portion 2 includes a front wall 21, a rear wall 22, a pair of side walls 23, a bottom wall 24,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upper end, This is a box body with an oblique notch shape. The lid portion 4 has a front wall 41, a rear wall 42, a pair of side walls 43, and a top wall 44, The lower edge of the rear wall 42 of the main body 4 and the upper edge of the rear wall 22 of the receiving main body 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hinge.

도3은, 실시형태1에 관계되는 포장체(1)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포장체(1)는, 예를 들면 카드지, 마닐라볼지 등의 지재(紙材)를 소정의 크기, 형상으로 구멍을 내어 형성된 블랭크(10)를 조립하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4에 나타내는 파선(破線)은 접어넣기선(罫線)을 보여주고 있다. 포장체(1)의 조립은,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아니한 포장기에 의해 행하여진다. 블랭크(10)을 접어넣기선을 따라 접어 넣고, 적소(適所)를 접착하는 것으로 포장체(1)를 조립할 수 있다. 더욱이, 도3에 나타낸 부호(11)는, 블랭크(10)의 조립 후에 있어서 포장체(1)의 수용본체부(2)가 되는 수용본체부 형성구역을 보여주고 있다. 또, 부호(12)는, 블랭크(10)의 조립 후에 있어서 포장체(1)의 덮개부(4)가 되는 덮개부 형성영역을 보여주고 있다. 3 is a view showing a blank 10 for forming the packag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package body 1 is formed by assembling blank 10 formed by piercing a paper material such as card paper or Manila ball paper into a predetermined size and shape. A broken line (broken line) shown in Fig. 4 shows a fold line. The packaging body 1 is assembled, for example, by a packaging machine not shown. It is possible to assemble the package 1 by folding the blank 10 along the folding line and bonding the appropriate portions. The reference numeral 11 shown in Fig. 3 shows an accommodating body portion forming region serving as the accommodating body portion 2 of the package 1 after the blank 10 is assembled. Reference numeral 12 denotes a lid part formation area serving as the lid part 4 of the package 1 after the blank 10 is assembled.

다음에, 포장체(1)의 단면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4는, 도2에 나타낸 A-A'화살표방향단면도이다. 도2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2영역(R2)는, 마름모형(菱形) 형상을 갖는 영역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이 제2영역(R2)를 제외한 부분에 제1영역(R1)이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영역(R1)은, 제2영역(R2)의 주위를 감싸는 영역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제1영역(R1) 및 제2영역(R2)의 형상은 특정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영역(R1)이나 제2영역(R2)의 형상을, 브랜드 로고의 형상, 혹은, 달, 태양 등의 기하학 모양이나 동식물 등을 모티브로 한 장식 그림의 형상으로 해도 좋다. 또, 제1영역(R1) 및 제2영역(R2)의 어느 한쪽이 다른 쪽에 의해 감싸져 있지 않아도 좋다.Next, the sectional structure of the package 1 will be described.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 the second region R2 is formed as a region having a rhombic shape, and the first region R1 is formed at a portion excluding the second region R2 . In other words, the first region R1 is formed as an area surrounding the second region R2. Furthermore, the shape of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hape, and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first region R1 or the second region R2 may be a shape of a brand logo, or a geometric shape such as a moon, a sun, or a decorative figure with motifs such as animals and plants. Either one of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may not be surrounded by the other.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체(1)에 있어서의 제1영역(R1)의 단면구조(층구조)는, 최내층(最內層)으로서의 기재(基材, 50)와, 최외층(最外層)으로서의 제1니스층(51)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니스층(51)은, 기재(基材, 50)의 외면(50a)을 피복하도록 기재(50)에 적층되어 있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재(50)는, 블랭크(10)의 재료로서 이용되는 카드지, 마닐라볼지 등의 종이 기재를 채용하고 있지만, 기재(50)는 종이 기재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플라스틱이나 필름 맞붙임 종이 등 의 여러 가지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 기재(50)의 두께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4,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layer structure) of the first region R1 in the package 1 includes a base material 50 as the innermost layer and an outermost layer And the first varnish layer 51 as the outermost layer. The first varnish layer 51 is laminated on the base material 50 so as to cover the outer surface 50a of the base material 50. [ 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se material 50 is made of paper base material such as card paper or Manila ball paper used as the material of the blank 10, but the base material 50 is not limited to the paper base material, For example, various materials such as plastic or film-attached paper can be used. The thickness of the base material 5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기재(50)의 내면(50b)은, 포장체(1)의 조립 후에 있어서 궐련을 수용하는 수용공간 측에 임하는 면이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포장체(1)의 기재(50)에는, 색 잉크 등을 이용해서 문자, 그림 등을 포함하는 디자인이 인쇄되는 잉크 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결국, 포장체(1)에는, 색 잉크를 사용한 디자인이 부여되어 있지 않다. 이상과 같은 단면구조를 갖는 포장체(1)의 제1영역(R1)은, 제1니스층(51)에 의해 포장체(1)의 최외층의 표면이 형성되어 있다.The inner surface 50b of the base material 50 is a surface facing the receiving space side for accommodating the cigarette after assembly of the package 1. [ Here, in the base material 50 of the package 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k layer on which the design including characters, pictures and the like are printed using color ink or the like is not formed. As a result, the package 1 is not given a design using color inks. The surface of the outermost layer of the package 1 is formed by the first varnish layer 51 in the first region R1 of the package 1 having the above-described sectional structure.

한편, 포장체(1)에 있어서의 제2영역(R2)의 단면구조는, 최내층으로서의 기재(50)와, 중간층으로서의 제1니스층(51)과, 최외층으로서의 제2니스층(5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기재(50)의 외면(50a)에 제1니스층(51) 및 제2니스층(52)이 이들 순으로 적층되어 있다. 이와 같은 단면구조를 갖는 포장체(1)의 제2영역(R2)은, 제2니스층(52)에 의해 포장체(1)의 최외층의 표면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second region R2 in the package 1 includes a substrate 50 as an innermost layer, a first varnish layer 51 as an intermediate layer, and a second varnish layer 52 as an outermost layer And a first varnish layer 51 and a second varnish layer 52 are laminated on the outer surface 50a of the base material 50 in this order. The surface of the outermost layer of the package 1 is formed by the second varnish layer 52 in the second region R2 of the package 1 having such a sectional structure.

여기에서, 제1니스층(51) 및 제2니스층(52)에 대해서 설명하면, 제1니스층(51) 및 제2니스층(52)은, 같이 투명니스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니스층(51)에 관계되는 투명니스와 제2니스층(52)에 관계되는 투명니스는 서로 물성이 다르고, 구체적으로는, 광택치(光澤値)가 서로 다르다. 여기에서, 「투명니스」라는 것은, 소위 착색되어 있지 아니한 니스이고, 안료, 염료, 금속가루, 유리가루, 운모 등을 포함하지 않는 니스로서 정의된다. 더욱이, 예를 들면, 니스에 포함되는 수지 자체가 색을 갖고 있는 것은, 이들 안료, 염료, 금속가루, 유리가루, 운모 등을 포함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투명니스」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취급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술(上述)한 안료, 염료, 금속가루, 유리가루, 운모의 적어도 어느 것인가를 포함하는 잉크를 색잉크로서 정의한다. 상기와 같이 규정된 제1니스층(51) 및 제2니스층(52)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광택치(光澤値)가 서로 다른 투명의 오버프린트(overprint) 니스(이하, 「OP니스」라고 한다)를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이하, 제1니스층(51)을 형성하는 투명니스를 「제1투명니스」라고 부르고, 제2니스층(52)을 형성하는 투명니스를 「제2투명니스」라고 부른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후술(後述)하는 바와 같이 제1니스층(51)과 제2니스층(52)에 있어서, 각각의 광택치나 헤이즈값 등이라는 시각에 영향을 미치는 투명니스의 물성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제1영역(R1)과 제2영역(R2)과의 경계위치를 식별 가능하게 하고 있지만, 광택치나 헤이즈값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매트(mat)제 등의 첨가제가 첨가된 니스에 대해서도, 안료, 염료, 금속가루, 유리가루, 운모를 포함하지 않는 한 「투명니스」 에 해당한다. Here, the first varnish layer 51 and the second varnish layer 52 will be described. The first varnish layer 51 and the second varnish layer 52 are formed by transparent varnish. In this embodiment, the transparent varnishes related to the first varnish layer 51 and the transparent varnishes associated with the second varnish layer 52 have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from each other, and specifically, they have different gloss values . Here, the term "transparent varnish" is defined as a varnish which is not so-called an uncoloured varnish and contains no pigment, dye, metal powder, glass powder, mica, or the like. Further, for example, the fact that the resin itself contained in the varnish has a color corresponds to "transparent varnish"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unless it includes these pigments, dyes, metal powders, glass powders, mica and the like Handl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 ink containing at least one of the pigments, dyes, metal powders, glass powder and mica mentioned above (described above) is defined as a color ink. The first varnish layer 51 and the second varnish layer 52 defined as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by using a transparent overprint varnish (hereinafter, referred to as " OP varnish ") having different gloss values Quot;) may be used. Hereinafter, the transparent varnish forming the first varnish layer 51 is referred to as a "first transparent varnish", and the transparent varnish forming the second varnish layer 52 is referred to as "second transparent varnish". Moreo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later, the first varnish layer 51 and the second varnish layer 52 have properties of a transparent varnish which affects the time such as the gloss value and the haze value, The boundary position between the first area R1 and the second area R2 can be identified by changing the gloss value and the haze value. However, in order to change the gloss value and the haze value, Is also referred to as " transparent varnish " unless it contains pigments, dyes, metal powders, glass powders and mica.

여기에서, 포장체(1)(블랭크(10))의 기재(50)에 대한 제1니스층(51) 및 제2니스층(52)의 도포(塗布)는, 오프셋(offset) 인쇄, 그라비어(gravure) 인쇄라고 하는 공지의 수법을 적절히 이용해서 행할 수 있다. 제1니스층(51) 및 제2니스층(52)은 같이 투명니스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우선 제1니스층(51)을 형성하는 제1투명니스를 기재(50)의 외면(50a) 전체에 전면 칠을 한 후, 이 제1니스층(51)의 위로부터 제2니스층(52)에 대응하는 디자인이 부여된 판을 이용해서 제2니스층(52)을 형성하는 제2투명니스를 도포(塗布)해도 좋다.Here, the application of the first varnish layer 51 and the second varnish layer 52 to the base material 50 of the package 1 (blank 10) is performed by offset printing, known methods such as gravure printing can be appropriately performed. The first varnish layer 51 and the second varnish layer 52 are formed by the transparent varnish. For example, the first varnish layer 51 forming the first varnish layer 51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50, The entire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50a of the second varnish layer 52 is entirely painted and then the second varnish layer 52 is formed by using a plate provided with a desig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varnish layer 52 from above the first varnish layer 51 The second transparent varnish may be applied (coated).

여기에서, 서로 광택치가 다른 제1니스층(51) 및 제2니스층(52)의 조합의 예시로서, 매트(matt)니스, 노멀(normal)니스, 구로스(gloss)니스 중에서 선택되는 2종류의 투명니스를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포장체(1)에 있어서의 최외층의 외표면 중에, 평면적으로 인접해서 배치되는 제1영역(R1) 및 제2영역(R2)의 각각의 투명니스의 물성의 차이만, 여기에서는 제1영역(R1) 및 제2영역(R2)의 광택치의 차이를 이용해서, 이들의 경계위치를 시인(視認)시키도록 포장체(1)를 구성하고 있다. 이하, 제1니스층(51)의 광택치를 「제1의 광택치」라고 부르며, 제2니스층(52)의 광택치를 「제2의 광택치」라고 부른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니스층(52)에 관계되는 제2의 광택치는, 제1니스층(51)에 관계되는 제1의 광택치와 다르고, 동시에, 제1의 광택치와의 광택차(광택치의 차)에 의해 제1영역(R1)과 제2영역(R2)과의 경계위치를 식별시키는 광택치로서 정의된다.Here, as an example of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varnish layer 51 and the second varnish layer 52 having different gloss values from each other, two kinds of varnishes selected from matt varnish, normal varnish and gloss varnish Of the transparent varnish. In the present embodiment, only the difference in physical properties of the transparent varnishes in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which are arranged in a planar adjacency, i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most layer in the package 1 Here, the package 1 is configured so as to visually check the boundary positions of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by using the difference in gloss values of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Hereinafter, the gloss value of the first varnish layer 51 is referred to as a " first gloss value ", and the gloss value of the second varnish layer 52 is referred to as a " second gloss value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gloss value related to the second varnish layer 52 is different from the first gloss value relating to the first varnish layer 51, and at the same time, Is defined as a gloss value that identifies the boundary position between the first area R1 and the second area R2 by a difference (difference in gloss value).

더욱이, 「제1영역(R1)과 제2영역(R2)과의 경계위치를 식별시킨다」라고 하는 것은, 시각을 통해서, 제1영역(R1)과 제2영역(R2)과의 경계위치를, 포장체(1)를 바라보는 사람에게 인식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도5에 나타낸 참고예에서는, 기재(50) 상에 잉크를 도포하는 것으로 디자인을 붙인 착색영역인 잉크착색부(53)를 형성한 뒤, 제1니스층(51), 제2니스층(52)을 순차로 적층하고 있다. 더욱이, 잉크착색부(53)의 주위에는, 기재(50)의 외면(50a)이 착색되어 있지 않은 무착색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도5에 나타낸 참고예에서는, 잉크착색부(53)의 윤곽(외형)에, 제2니스층(52)의 윤곽(외형)이 평면적으로 일치하고 있다(상하로 겹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영역(R1)및 제2영역(R2)의 경계위치가 기재(50)에 있어서의 잉크착색부(53)와 이 주위의 무착색영역과의 경계위치가 평면적으로 일치하고 있고(상하로 겹치고 있고), 잉크착색부(53)에 의해 부여되는 디자인에 제2니스층(52)이 동조한 태양(態樣)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니스층(52)을 잉크착색부(53) 상에 중첩해서 배치하는 태양(態樣)은, 제1영역(R1)과 제2영역(R2)과의 경계위치를 식별시키는 것에 기여하는 것이기 때문에, 제1니스층(51) 및 제2니스층(52)의 물성의 차이 만에 의해서 제1영역(R1)과 제2영역(R2)과의 경계위치를 식별시키고 있는 것으로는 되지 않는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포장체(1)는 「제1니스층(51) 및 제2니스층(52)의 물성의 차이 만에 의해서 제1영역(R1)과 제2영역(R2)과의 경계위치를 식별시킨다」라고 하는 점에 있어서, 도5에 나타낸 참고예와 구별할 수 있다.Furthermore, "to identify the position of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area R1 and the second area R2" means that the position of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area R1 and the second area R2 is , And the person viewing the package 1 is recognized. Here, in the reference example shown in Fig. 5, an ink coloring portion 53, which is a colored region to which a design is applied by applying ink onto the base material 50, is formed, and then the first varnish layer 51, Layer 52 are sequentially laminated. Further, in the periphery of the ink coloring portion 53, a non-colored region in which the outer surface 50a of the substrate 50 is not colored is formed. In the reference example shown in Fig. 5, the outline (contour) of the second varnish layer 52 is planarly coincident with the outline (contour) of the ink coloring portion 53 (overlapped with the top and bottom). In other words, the positions of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the boundary between the ink coloring portion 53 in the base material 50 and the surrounding non-coloring regions in a planar manner (Overlapp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econd varnish layer 52 is tuned to the design imparted by the ink coloring portion 53. [ In this way,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superimposing the second varnish layer 52 on the ink coloring portion 53 so as to identify the boundary position between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The boundary position between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is identified only by the difference in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rst varnish layer 51 and the second varnish layer 52 . Therefore, the packag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are formed by the difference in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rst and second varnish layers 51 and 52, Quot; is distinguished from the reference example shown in Fig.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담배 상품의 포장체(1)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색 잉크에 의존하지 않고, 제1니스층(51)과 제2니스층(52)과의 물성의 차이만, 구체적으로는 광택치의 차이에 의거해서, 제1영역(R1)과 제2영역(R2)과의 경계위치를, 시각을 통해서 식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색 잉크에 의한 디자인 부여에 의존하지 않고, 게다가 간단한 구성으로 담배 상품의 포장체(1)에 디자인성을 부여하여, 포장체(1)의 식별력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ackage 1 of the tobacco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nly the difference in physical properties between the first varnish layer 51 and the second varnish layer 52, The boundary position between the first area R1 and the second area R2 can be identified through time based on the difference in gloss valu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iscrimination power of the package 1 by giving the package 1 of the cigarette product designability without depending on designing by the color ink, and with a simple structure.

그런데, 담배 상품은 포장기에 의해 고속으로 포장되기 때문에, 포장기의 가이드류(類)와 포장체가 되는 블랭크(10)와의 클리어런스(clearance)가 비교적 좁은 것이 실정(實情)이다. 이 때문에, 담배 상품의 포장과정에 있어서 포장체가 가이드류에 접촉하기 쉽고, 종래처럼 색 잉크를 한 디자인의 부여에 의해 시각효과를 얻으려고 한 경우, 포장기의 가이드류에 잉크가 부착하는 잉크 더럽혀짐이 나타나기가 쉽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의 포장체(1)에 있어서는, 포장체(1)의 기재(50)에 있어서의 외면 전체가 착색되어 있지 않다. 이것에 의하면, 포장체(1)를 제조하는 포장기에 의해 블랭크(10)를 접어 넣을 때, 포장기의 가이드류와 블랭크(10)가 접촉한 때, 색 잉크가 가이드류에 부착하는 잉크 더럽혀짐을 초래하는 우려가 없을뿐더러, 색 잉크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포장체(1)의 제조 비용을 적게 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tobacco product is packed at a high speed by the packing machine, it is a reality that the clearance between the guide type (s) of the packing machine and the blank 10 serving as the packaging body is comparatively narrow. For this reason, in the packaging process of the cigarette product, when the package is likely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guide flow and the visual effect is obtained by giving a design of color ink as in the past, ink in the guide of the packaging machine is smudged It is easy to appear. In contrast, in the packag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50 of the package 1 is not colored. According to this, when the blank 10 is folded by the packing machine for producing the package 1, when the guide flow of the packaging machine and the blank 1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olor ink causes ink sticking to the guide flow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ackage 1 can be reduced by not using the color ink.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포장체(1)에 관계되는 기재(50)의 전면(全面)에 제1니스층(51)을 형성하는 것으로, 제2영역(R2)에 있어서의 제2니스층(52)의 하층(下層)에 제1니스층(51)이 형성되는 태양(態樣)을 예로 설명했지만, 도6에 나타낸 변형예와 같이 제2영역(R2)에 있어서의 제1니스층(51)을 생략하고, 제2니스층(52)을 기재(50)에 직접 적층해도 좋다. 도6은, 제1변형예에 관계되는 포장체(1)의 단면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결국, 포장체(1)에 관계되는 최외층의 표면이, 서로 인접해서 배치되는 제1영역( R1)과 제2영역(R2)을 포함하고, 제2영역(R2)에 관계되는 제2투명니스에 있어서의 제2의 광택치가, 제1영역(R1)에 관계되는 제1투명니스에 있어서의 제1의 광택치와의 광택차이에 의해 제1영역(R1) 및 제2영역(R2)의 경계위치를 식별 가능한 광택치로서 설정되어 있으면 좋다. 또, 도7은, 제2변형예에 관계되는 포장체의 단면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영역(R1)과 제2영역(R2)과의 경계부에 있어서, 제1니스층(51) 및 제2니스층(52)의 단부(端部) 끼리를 상하로 중첩해도 좋다. 여기에서, 도7 중의 부호(R3)는, 제1니스층(51) 및 제2니스층(52)이 서로 중첩되는 것으로 형성되는 「랩(wrap)영역」이다. 도7에 있어서 랩영역(R3)의 폭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0.05㎜~1㎜정도 되는 태양(態樣)이 일 예로서 들 수 있다. 도7에 나타낸 태양(態樣)과 같이, 제1영역(R1)과 제2영역(R2)과의 경계부에 광택치가 서로 다른 투명니스가 적층되는 랩영역(R3)을 배치하는 것으로 제1영역(R1)과 제2영역(R2)의 광택치의 차이를 보다 한층 더 눈에 띄게 할 수 있고, 각 영역의 경계위치를 보다 한층 더 식별하기 쉬워진다. 더욱이, 도7에 나타낸 예에서는, 랩영역(R3)에 있어서 제1니스층(51)에 제2니스층(52)이 적층되어 있지만, 제2니스층(52) 상에 제1니스층(51)이 적층되어 있어도 좋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varnish layer 51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50 relative to the package body 1, The first varnish layer 51 is formed on the lower layer of the layer 52 as an example. However, as in the modification shown in Fig. 6, The layer 51 may be omitted and the second varnish layer 52 may be directly laminated on the substrate 50. [ Fig. 6 shows a sectional structure of the package 1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cation. As a result, the surface of the outermost layer related to the package 1 is divided into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R2 has a second gloss value in the second transparent varnish relative to the second region R2 in the first transparent varnish relative to the first region R1 May be set as a gloss value that can identify the position of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due to the difference in gloss between the first region R1 and the first glossiness. 7 shows a sectional structure of the package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cation. 7,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varnish layers 51 and 52 are bonded to each other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R1 and R2, . Here, the reference symbol R3 in Fig. 7 is a " wrap region "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varnish layers 51 and 52 overlap each other. The width of the wrapping area R3 in Fig. 7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about 0.05 mm to about 1 mm. By arranging the wrap area R3 in which transparent varnishes having different gloss values are stack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area R1 and the second area R2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The difference in gloss value between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can be made more conspicuous and the boundary position of each region can be further identified. 7, the second varnish layer 52 is laminated on the first varnish layer 51 in the lap region R3. However, the first varnish layer 52 may be formed on the second varnish layer 52, 51 may be stacked.

또, 도8은, 실시형태의 제3변형예에 관계되는 포장체의 정면도이다. 도8에 나타낸 변형예는, 포장체(1)(블랭크(10))의 최외층에 있어서의 제1영역(R1) 및 제2영역(R2)의 어느 한쪽이, 다른 쪽에 의해 감싸져 있지 않는 태양(態樣)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영역(R1) 및 제2영역(R2)은 서로 인접해 있으면 좋고, 한 쪽의 영역이 다른 쪽의 영역에 감싸져 있지 않아도 좋다.8 is a front view of a package according to Modification 3 of the embodiment. The modification shown in Fig. 8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either one of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on the outermost layer of the package 1 (blank 10) is not wrapped by the other It is in the form of the sun. Thus,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and one region may not be surrounded by the other region.

<실시예><Examples>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 한층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넘지 않은 한, 이하의 실시예의 기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further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xamples unless the gist thereof is exceeded.

(실시예 1~3)(Examples 1 to 3)

시판되고 있는 백색의 원지(原紙)(실시예 1~3에서는, 백색도가 80~90%의 상질지(上質紙)를 사용)에 시판의 투명니스를 도포한 시료를 준비하여, 시판의 휴대형 광택계를 이용해서 각 시료의 60°반사의 광택치를 측정했다.A commercially available transparent varnish was coated on a commercially available white base paper (using a top quality paper having a degree of whiteness of 80 to 90% in Examples 1 to 3), and a commercially available portable varnish And the gloss value of the 60-degree reflection of each sample was measured using a system.

더욱이, 일반적으로, 니스에는, 수지성분, 용제, 첨가제 등이 포함되어 있고, 니스의 종류로서는 유성니스, 수성니스, UV니스 등이 있다. 유성니스에 포함되는 수지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초화면(硝化綿), 케톤(ketone)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용제로서 예를 들면 초산(硝酸)에틸, IPA(이소프로필 알코올) 등을 들 수 있고, 첨가제로서 예를 들면 왁스, 매트제(필요에 따라, 소포제(消泡劑)) 등을 들 수 있다. 또, 수성니스에 포함되는 수지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수성아크릴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용제로서 예를 들면, 에탄올, IPA, 물 등을 들 수 있고, 첨가제로서 예를 들면 왁스, 매트제(필요에 따라서, 소포제) 등을 들 수 있다. 또, UV에 포함되는 수지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올리고머(acrylate monomer·oligomer), 아크릴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용제로서 예를 들면 초산(酢酸)에틸, IPA 등을 들 수 있고, 첨가제로서 예를 들면 왁스, 매트제(필요에 따라서, 소포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성분 중, 주로 초화면(초화면)은 니스의 내열성에 관련되고, 케톤수지는 니스의 광택성에 관련되고, 수성 아크릴수지는 광택성, 내열성에 관련되고,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올리고머(acrylate monomer·oligomer)는 니스의 투명성, 밀착성에 관련되고, 왁스는 니스의 내마찰성, 미끄럼성에 관련되고, 매트제는 니스의 광택성에 관련된다.Furthermore, in general, varnish includes a resin component, a solvent, an additive and the like, and examples of the varnish include a viscous varnish, an aqueous varnish, a UV varnish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resin component included in the planetary varnish include a nitro resin and a ketone resin. Examples of the solvent include ethyl acetate, IPA (isopropyl alcohol),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additive include waxes, matting agents (defoaming agents if necessary), and the like. As the resin component contained in the aqueous varnish, there may be mentioned, for example, an aqueous acrylic resin. Examples of the solvent include ethanol, IPA, water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additive include waxes, , A defoaming agent). Examples of the resin component contained in UV include acrylate monomer and oligomer and acrylic resin. Examples of the solvent include ethyl acetate, IPA and the like, As the additive, for example, wax, matting agent (defoaming agent if necessary) and the like can be mentioned. Among the above components, mainly the super screen (super screen) relates to the heat resistance of varnishes, the ketone resin relates to glossiness of varnishes, the aqueous acrylic resin relates to glossiness and heat resistance, and the acrylate monomer / oligomer acrylate monomer oligomer relates to transparency and adhesion of varnish, wax relates to abrasion resistance and slipperiness of varnish, and mat agent relates to gloss of varnish.

원지(原紙)에 대한 각 투명니스의 도포는, 시판의 자동식 탁상 그라비어 프루퍼(gravure proofer), 헬리오 175선(線)/inch의 베타판을 이용해서 행하였다. 또, 투명니스의 인쇄에 즈음하여, IPA와 물의 배합비율을 7:3으로 한 희석용제를 이용해서 니스를 희석하고, 잔컵(Zahn cup : 점도컵)#3에서의 점도(粘度)가 16sec가 되도록 조정했다. 원지(原紙)에 도포하는 투명니스로서, 실시예 1은 노멀 투명니스를 이용하고, 실시예 2는 구로스 투명니스를 이용하고, 실시예 3은 매트 투명니스를 이용했다.Each transparent varnish was applied to a base paper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automatic tabletop gravure proofer, Helio 175 line / inch beta plate. In the printing of the transparent varnish, the varnish was diluted with a diluting solvent having a mixing ratio of IPA and water of 7: 3, and the viscosity (viscosity) in the cup (Zahn cup: viscosity cup) Respectively. As a transparent varnish to be applied to a base paper, a normal transparent varnish was used in Example 1, a Gurose clear varnish was used in Example 2, and a mat transparent varnish was used in Example 3.

더욱이, 실시예 1(노멀 투명니스)의 광택치를 기준으로 해서, 실시예 2(구로스 투명니스)는 실시예 1(노멀 투명니스)보다도 광택치가 큰(높은) 값으로 조정되어 있고, 실시예 3(매트 투명니스)은 실시예 1(노멀 투명니스)보다도 광택치가 작은(낮은) 값으로 조정되어 있다. 광택치의 조정은, 예를 들면, 니스에 포함되는 수지성분과 매트제와의 배합비율을 변경하는 것으로 행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니스에 포함되는 수지성분의 배합비율을 늘리는 것으로 니스의 광택치를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니스에 포함되는 매트제의 배합비율을 늘리는 것으로 광택치를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gloss value of Example 2 (Guaros clear varnish) was adjusted to a value higher (higher) than that of Example 1 (normal transparent varnish) with reference to the gloss value of Example 1 (normal transparent varnish) (Matte transparent varnish) is adjusted to a value (lower value) that is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normal transparent varnish). The adjustment of the gloss value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by changing the blending ratio of the resin component included in the varnish and the matting agent. For example, by increasing the mixing ratio of the resin component included in the varnish, the gloss value of the varnish can be relatively increased. Further, for example, by increasing the mixing ratio of the matting agent contained in the varnish, the gloss value can be relatively reduced.

(실시예 4~6)(Examples 4 to 6)

실시예 4~6은, 투명니스를 도포하는 원지(原紙)로서, 백색의 원지(原紙) 대신에 청색의 원지(실시예 1~3에서 이용한 백색도가 80~90%의 상질지(上質紙)에 청(시안)색의 잉크를 전면에 베타칠하기 한 것을 사용)를 이용한 점을 빼고 실시예 1~3과 공통이다.Examples 4 to 6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s 1 to 3 except that a blue base paper (a white paper having a degree of whiteness of 80 to 90% (superior quality paper) used in Examples 1 to 3) was used instead of a white base paper (base paper) (Cyan) ink is appli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ink-jet recording head).

[광택치의 측정][Measurement of gloss value]

실시예 1~6에 대해서, 휴대형 광택계(주식회사 동양정기제작소 제품 마이크로 토리구로스μ(상품명))를 이용해서 각 시료의 60˚반사의 광택치를 측정한 결과를 표1에 나타내고 있다. 각 실시예에 있어서, 시료의 5개소에 있어서의 광택치를 측정하고, 그 평균치를 표1에서 보여주고 있다.Table 1 shows the results of measurement of the gloss value of 60 占 reflection of each sample by using a portable gloss meter (Micro Torigusu 占 (trade name) manufactured by Orient Kikai Kogyo Co., Ltd.) for Examples 1 to 6. In each of the examples, the gloss values at five places of the sample were measured, and the average values thereof are shown in Table 1. [

원지Origin 니스종류Nice type 품번Part number 광택치Gloss value 실시예 1Example 1 back 노멀normal G310 OP니스G310 OP Nice 34.034.0 실시예 2Example 2 back 구로스Guroz G350 OP니스G350 OP Nice 52.052.0 실시예 3Example 3 back 매트mat G370 매트OP니스G370 Matte OP Nice 6.36.3 실시예 4Example 4 blue 노멀normal G310 OP니스G310 OP Nice 44.044.0 실시예 5Example 5 blue 구로스Guroz G350 OP니스G350 OP Nice 61.361.3 실시예 6Example 6 blue 매트mat G370 매트OP니스G370 Matte OP Nice 8.28.2

(관능(官能)평가)(Sensory evaluation)

여기에서, 실시예 1~3에 관계되는 각 시료를 인접해서 정렬하고, 각 시료의 투명니스의 보이는 방법의 차이에 대해서 관능평가를 행하였다. 광택치의 측정치(평균치)의 차가 18.0인 실시예 1에 관계되는 시료(노멀 투명니스)와 실시예 2에 관계되는 시료(구로스 투명니스)를 대비한 결과, 쌍방의 투명니스의 보이는 방법에 차이가 인정되었다. 또, 광택치의 측정치(평균치)의 차가 25.7인 실시예 1에 관계되는 시료(노멀 투명니스)와 실시예 3에 관계되는 시료(투명매트니스)를 대비한 결과, 실시예 1 및 2를 대비한 때에 비해서, 투명니스의 보이는 방법의 차이가 보다 현저했다.Here, the samples according to Examples 1 to 3 were align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sensory evaluation was made on the difference in the visible method of each sample. As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the sample (normal transparent varnish) according to Example 1 having a difference of 18.0 in the measured value (average value) of the gloss value and the sample (Gurose Clear varnish) according to Example 2, It was acknowledged. As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the sample (normal transparent varnish) according to Example 1 in which the difference in the measured value (average value) of the gloss value was 25.7 and the sample (transparent matt varnish) according to Example 3 in comparison with those in Examples 1 and 2 In contrast, The difference in the visible way was more noticeable.

마찬가지로, 실시예 4~6에 관계되는 각 시료에 대해서도, 실시예 1~3과 같게 각 시료의 투명니스의 보이는 방법의 차이에 대해서 관능평가를 행하였다. 광택치의 측정치(평균치)의 차가 17.3인 실시예 4에 관계되는 시료(노멀 투명니스)와 실시예 5에 관계되는 시료(구로스 투명니스)를 대비한 결과, 쌍방의 투명니스의 보이는 방법에 차이를 찾아낼 수 있었다. 또, 광택치의 측정치(평균치)의 차가 35.8인 실시예 4에 관계되는 시료(노멀 투명니스)와 실시예 6에 관계되는 시료(투명 매트니스)를 대비한 결과, 실시예 4 및 5를 대비했을 때, 및 실시예 1 및 3을 대비했을 때에 비해서 투명니스의 보이는 방법의 차이가 보다 더 현저했다.Likewise, for each of the samples according to Examples 4 to 6, the sensory evaluation was made on the difference in the visible method of the transparent varnish of each sample as in Examples 1 to 3. As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the sample (normal transparent varnish) according to Example 4 having a difference of the measured value (average value) of the gloss value of 17.3 and the sample (Gurose Clear varnish) according to Example 5, I could find it. In addition, as compared with the sample (normal transparent varnish) according to Example 4 in which the difference in the measured value (average value) of the gloss value was 35.8 and the sample (transparent mattress varnish) according to Example 6 were compared with those in Examples 4 and 5 The difference in the visible method of the transparent varnish was more remarkable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comparison of the first and third embodiments.

이상으로부터, 포장체(1)에 있어서, 제1영역(R1)의 최외층을 형성하는 제1니스층(51)의 광택치와, 제2영역(R2)의 최외층을 형성하는 제2니스층(52)의 광택치의 차가 15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5이상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35이상인 것이 특히 더 바람직하다. 제1니스층(51)의 광택치와 제2니스층(52)의 광택치의 차를 상기와 같이 하는 것으로, 색 잉크에 의한 디자인 부여에 의존하지 않고, 포장체(1)를 바라 본 사람에, 제1니스층(51) 및 제2니스층(52)의 물성의 차이 만에 의해서, 제1영역(R1) 및 제2영역(R2)의 경계위치를 시인(식별)시킬 수 있다. 또는, 제1니스층(51) 및 제2니스층(52)의 보이는 방법을 상위(相違)시킨다고 하는 관점에서는 양자의 광택차(光澤差)가 큰 것이 바람직하고, 제1니스층(51) 및 제2니스층(52)의 광택차(光澤差)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제1니스층(51) 및 제2니스층(52)의 광택차(光澤差)는, 종이 기재(基材)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100이하로 하는 태양(態樣)이 한 예로서 들 수 있다. 다만, 제1니스층(51) 및 제2니스층(52)의 광택차(光澤差)의 바람직한 상한값은, 기재의 종류에 의해 다를 수 있다.From the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glossiness of the first varnish layer 51 forming the outermost layer of the first region R1 and the glossiness of the second varnish layer 51 forming the outermost layer of the second region R2, The difference in gloss value of the layer 52 is preferably 15 or more, more preferably 25 or more, and particularly preferably 35 or more. By mak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gloss value of the first varnish layer 51 and the gloss value of the second varnish layer 52 as described above, The boundary positions of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can be visually recognized only by the difference in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rst varnish layer 51, the second varnish layer 52, and the lik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fference in glos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varnish layers 51 and 52 is larger than that in the first varnish layer 51 and the second varnish layer 52, The difference in gloss of the first varnish layer 51 and the glossiness of the second varnish layer 52 does not depend on the difference in gloss difference between the paper base material When the base material is used, an example of setting it to 100 or less is an example. However, the preferable upper limit value of the gloss difference (difference in glos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varnish layers 51 and 52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substrate.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포장체(1)는, 제1영역(R1)의 최외층을 형성하는 제1니스층(51)과, 제2영역(R2)의 최외층을 형성하는 제2니스층(52)에 있어서의 시각에 영향을 미치는 소정의 물성의 차이 만에 의해서 제1영역(R1) 및 제2영역(R2)의 경계위치를 식별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투명니스에 있어서의 물성의 차이 만에 의거해서 상기 경계위치를 식별 가능하다면 광택치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영역(R1) 및 제2영역(R2)의경계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제1영역(R1) 및 제2영역(R2)의 최외층을 형성하는 각각의 투명니스의 헤이즈값을 상위(相違)시켜도 좋다. 또한, 헤이즈값은, 「헤즈값」, 「흐림도」라고 칭해지는 경우도 있다. 투명니스에 있어서의 헤이즈값은, 광택치와 마찬가지로, 시각에 영향을 미치는 소정의 물성의 일 예이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투명니스의 헤이즈값의 차에 의거해서 제1영역(R1) 및 제2영역(R2)의 경계위치를 식별해도 좋고, 이와 같은 태양(態樣)도, 제1니스층(51) 및 제2니스층(52)에 있어서의 물성의 차이 만에 의해서 제1영역(R1) 및 제2영역(R2)의 경계위치를 식별하는 태양(態樣)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The package 1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first varnish layer 51 forming the outermost layer of the first region R1 and a second varnish layer 51 forming the outermost layer of the second region R2. The boundary positions of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can be distinguished only by the difference in physical properties affecting the viewing angle in the transparent varnish 52. However, If the boundary position can be identified based on the difference only, the gloss value is not limited. For example, in order to identify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R1 and R2, the haze of each transparent varnish forming the outermost layer of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Value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haze value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quot; haze value &quot; or a &quot; haze value &quot;. The haze value in the transparent varnish, as well as the gloss value, is an example of a predetermined property that affects the visual appearanc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undary positions of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may be identified on the basis of the haze value difference of the transparent varnish. Belongs to a category of a state (state) in which the boundary positions of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are identified only by the difference in physical properties between the varnish layer 51 and the second varnish layer 52 will be.

여기에서, 광택치가 서로 상위하는 투명니스끼리는, 헤이즈값도 상위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1니스층(51)(제1투명니스) 및 제2니스층(52)(제2투명니스)은, 광택치 및 헤이즈값의 쌍방이 서로 상위하고 있다. 여기에서, 제1니스층(51)(제1투명니스) 및 제2니스층(52)(제2투명니스)에 있어서의 헤이즈값을, 각각 「제1의 헤이즈값」, 「제2의 헤이즈값」이라 부른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의 헤이즈값은, 제1의 헤이즈값과의 차이에 의해 제1영역(R1)과 제2영역(R2)과의 경계위치를 식별 가능한 헤이즈값으로서 설정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계된 포장체는, 제1영역(R1) 및 제2영역(R2)의 경계위치를 식별함에 즈음하여, 제1니스층(51) 및 제2니스층(52)에 있어서의 광택치의 차 만에 의거해도 좋고, 헤이즈값의 차 만에 의거해도 좋고, 광택치의 차 및 헤이즈값의 차의 쌍방에 의거해도 좋다.Here, it is usual that haze values are also different between transparent varnishes whose gloss valu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lso in this embodiment, both the first varnish layer 51 (first transparent varnish) and the second varnish layer 52 (second transparent varnish) are different in gloss value and haze value. Here, the haze values in the first varnish layer 51 (first transparent varnish) and the second varnish layer 52 (second transparent varnish) are respectively referred to as "first haze value" and "second haze value" Haze value &quo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haze value is set as a haze value capable of identifying the boundary position between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by a difference from the first haze value. The package relat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lossiness of the first varnish layer 51 and the glossiness of the second varnish layer 52 in the case of identifying the boundary positions of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Or may be based only on the difference in haze value or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gloss value and the haze value.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니스층(51)에 이용하는 제1투명니스 및 제2니스층의(52)에 이용하는 제2투명니스의 헤이즈값은, 제1투명니스 및 제2투명니스의 투명성을 나타내는 물성이고, 이 값이 낮을수록 투명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헤이즈값은, 투명한 필름에 제1투명니스 및 제2투명니스를 도포한 시료를 각각 준비하여, JIS K 7105, JIS K 7136에 준거해서, 시료에 광선을 조사(照射)했을 때의 전광선투과광(全光線透過光)에 대한 확산광의 비율(헤이즈값=산란광/전광선투과광Χ100(%))을 구하는 것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1투명니스 및 제2투명니스에 있어서, 각각 고유의 헤이즈값을 측정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aze value of the second transparent varnish used for the first varnish layer 51 and the haze value of the second transparent varnish 52 used for the second varnish layer is preferably set such that the transparency of the first transparent varnish , And the lower the value, the higher the transparency. The haze value was obtained by preparing samples each having a transparent film coated with the first transparent varnish and the second transparent varnish and measuring the transmittance of all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sample when the sample was irradiated with light in accordance with JIS K 7105 and JIS K 7136 (Haze value = scattered light / total transmitted light X 100 (%)) of the diffused light with respect to the total transmitted light (total light-transmitted light). Thus, in each of the first transparent varnish and the second transparent varnish, the inherent haze value can be measured.

더욱이, 제1영역(R1)의 제1니스층(51)을 형성하는 제1투명니스의 헤이즈값(이하, 「제1헤이즈값」이라고 한다)과, 제2영역(R2)의 제2니스층(52)을 형성하는 제2투명니스의 헤이즈값(이하, 「제2헤이즈값」이라고 한다)과 차는, 5%이상 100%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헤이즈값 및 제2헤이즈값의 차를 이와 같은 범위로 설정하는 것으로, 제1영역(R1) 및 제2영역(R2)의 경계위치를 제1헤이즈값 및 제2헤이즈값의 차에 의거해서 소비자에게 용이하게 식별시킬 수 있다.The haze value of the first transparent varnish constituting the first varnish layer 51 of the first region R1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rst haze value") and the haze value of the second varnish The difference from the haze value (hereinafter referred to as &quot; second haze value &quot;) of the second transparent varnish forming the layer 52 is preferably 5% or more and 100% or less. By set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haze value and the second haze value within such a range, the position of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is determin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haze value and the second haze value So that it can be easily identified to the consumer.

<실시형태 2>&Lt; Embodiment 2 >

다음에, 실시형태 2에 관계되는 포장체(1A)를 설명한다. 도9는, 실시형태 2에 관계되는 포장체(1A)의 정면도이다. 도면 중, 부호(53A)는, 포장체(1A)에 설치된 잉크 착색부이다. 이 잉크 착색부(53A)는, 기재(50)의 외면(50a)에 색 잉크를 도포하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고, 잉크 착색부(53A)가 단독으로 포장체(1A)에 디자인성을 부여하고 있다. 도9에 나타낸 제1영역(R1) 및 제2영역(R2)은, 도4에서 설명한 대로이다. 또한, 포장체(1A)에 있어서, 잉크 착색부(53A)가 형성된 기재의 외면 상에 제1니스층(51) 및 제2니스층(52)이 순차로 적층되어 있다. 또한,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잉크 착색부(53A)는, 기재(50)에 있어서의 외면(50a)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고, 본 발명에 있어서의 착색영역에 상당한다.Next, the package 1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9 is a front view of the package 1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53A denotes an ink coloring portion provided in the package 1A. The ink coloring portion 53A is formed by applying color ink to the outer surface 50a of the base material 50 and the ink coloring portion 53A alone imparts designability to the package 1A . The first area R1 and the second area R2 shown in Fig. 9 are as described in Fig. In the package 1A, the first varnish layer 51 and the second varnish layer 52 are sequentially lamin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bstrate on which the ink colored portion 53A is formed. 9, the ink coloring portion 53A is formed on a part of the outer surface 50a of the substrate 50, and corresponds to the colored region in the present invention.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영역(R1) 및 제2영역(R2)의 경계위치가, 잉크 착색부(53A)의 윤곽(외형), 즉 잉크착색부(53A)와 이 주위에 존재하는 무착색 영역과의 경계위치에 대해서 어긋난 태양(態樣)으로 되어 있다. 게다가, 잉크 착색부(53A)에 대해서 제2영역(R2)이 상하로 중첩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포장체(1A)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잉크 착색부(53A)에 의거하지 않고, 제1영역(R1)에 관계되는 제1니스층(51) 및 제2영역(R2)에 관계되는 제2니스층(52)의 광택치나 헤이즈값과 같이, 제1니스층(51) 및 제2니스층(52)의 물성(시각에 영향을 미치는 소정의 물성)의 차이 만에 의거해서, 소비자에게 제1영역(R1) 및 제2영역(R2)의 경계위치를 식별시킬 수 있다.9, in this embodiment, the boundary positions of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are set such that the outline (contour) of the ink coloring portion 53A, that is, the ink coloring portion 53A, And the boundary position between the coloring area and the non-coloring area existing around the coloring area. In addition, the second region R2 is not overlapped with the ink coloring portion 53A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package 1A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varnish layer 51 and the second region R2, which are related to the first region R1, are not based on the ink coloring portion 53A, (Predetermined physical properties affecting the viewing angle) of the first varnish layer 51 and the second varnish layer 52, such as the gloss value and the haze value of the second varnish layer 52, Thus, the border positions of the first area R1 and the second area R2 can be identified to the consumer.

<실시형태 3>&Lt; Embodiment 3 >

도10은, 실시형태 3에 관계되는 포장체(1B)의 정면도이다. 포장체(1B)는, 실시형태 2에 관계되는 포장체(1A)의 잉크 착색부(53A)와 같은 잉크 착색부(53B)를 구비하고 있다. 포장체(1B)는, 제2영역(R2)과 잉크 착색부(53B)가 부분적으로 중첩되어 있는 점에서 실시형태 2에 관계되는 포장체(1A)와 상위(相違)하고 있다. 이와 같은 태양(態樣)에 있어서도, 제1영역(R1) 및 제2영역(R2)의 경계위치가, 잉크 착색부(53B)의 윤곽(외형), 즉 잉크 착색부(53B)와 이 주위에 존재하는 무착색 영역과의 경계위치에 대해서 어긋난 태양(態樣)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잉크 착색부(53B)에 의거하지 않고, 제1니스층(51) 및 제2니스층(52)의 광택치나 헤이즈값과 같이, 제1니스층(51) 및 제2니스층(52)의 물성(시각에 영향을 미치는 소정의 물성)의 차이 만에 의거해서, 소비자에게 제1영역(R1) 및 제2영역(R2)의 경계위치를 식별시킬 수 있다. 결국, 색 잉크에 의한 디자인 부여에 의존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포장체(1B)에 디자인성을 부여하고, 그 식별력을 높일 수 있다.10 is a front view of the package 1B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package 1B is provided with an ink coloring portion 53B similar to the ink coloring portion 53A of the package 1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package 1B differs from the package 1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 that the second region R2 and the ink coloring portion 53B are partially overlapped. The boundary positions of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are set such that the outline of the ink coloring portion 53B, that is, the boundary between the ink coloring portion 53B and the periphery The first varnish layer 51 and the second varnish layer 52 are formed on the first varnish layer 51 and the second varnish layer 52 without being based on the ink coloring portion 53B as described above, Based on only the difference in physical properties (predetermined physical properties affecting the visual appearance) of the first varnish layer 51 and the second varnish layer 52, such as the gloss value and the haze value of the first varnish layer 51 ) And the second area R2 can be identified. As a result, the package 1B can be provided with designability with a simple structure, and the discrimination power can be increased without depending on the designing by the color ink.

<실시형태 4>&Lt; Fourth Embodiment >

도11은, 실시형태 4에 관계되는 포장체(1C)의 정면도이다. 상술(上述)한 데까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재(50)의 전체를 덮도록 제1니스층(51)의 전면을 칠하고 있었지만, 포장체(1C)에 있어서는, 제1니스층(51)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도12는, 도11에 나타낸 B-B'화살표방향단면도이다. 도12를 참조해서, 실시형태 4에 관계되는 포장체(1C)의 제1영역(R1') 및 제2영역(R2')의 단면구조를 설명한다. 포장체(1C)에 있어서의 제1영역(R1')은, 기재(50)의 외면(50a)이 외부에 노출한 영역이고,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기재 노출부에 상당한다. 한편, 포장체(1C)에 있어서의 제2영역(R2')는, 기재(50)의 외면(50a)에 투명니스가 도포되는 것으로, 투명니스층(52)이 형성되어 있다. 투명니스층(52)은, 포장체(1C)에 있어서의 제2영역(R2')의 최외층을 형성하고 있다.11 is a front view of the package 1C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first varnish layer 51 is coat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50 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described above). However, in the package 1C, Is not formed. 1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11. The sectional structure of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of the package 1C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first region R1 'in the package 1C is a region where the outer surface 50a of the base material 50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corresponds to the base material exposed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region R2 'of the package 1C, the transparent varnish layer 52 is formed by applying a transparent varnish to the outer surface 50a of the base material 50. [ The transparent varnish layer 52 forms the outermost layer of the second region R2 'in the package 1C.

투명니스층(52)을 구성하는 투명니스는, 예를 들면, 안료, 염료, 금속가루, 유리가루, 운모를 포함하지 않는 투명한 매트니스, 노멀니스, 구로스니스 등이다. 게다가, 투명니스층(52)의 광택치는, 제1영역(R1')에 관계되는 기재 노출부의 광택치와 상위(相違)하고 있으며, 기재 노출부의 광택치와의 차이에 의해 제1영역(R1')과 제2영역(R2')과의 경계위치를 식별 가능한 광택치로 설정하고 있다. 결국,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포장체(1C)에 있어서는, 제1영역(R1') 및 제2영역(R2')과의 경계위치가, 투명니스의 유무의 차이 만(제1영역(R1')에 대응하는 기재 외면에는 투명니스가 형성되지 않고, 제2영역(R2')에 대응하는 기재 외면에만 투명니스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임)에 의해 식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영역(R1')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기재 노출부의 광택치가 제1의 광택치에 상당하고, 제2영역(R2')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투명니스층(52)의 광택치가 제2의 광택치에 상당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투명니스층(52) 및 기재 노출부의 광택차에 의해 제1영역(R1') 및 제2영역(R2')의 경계위치를 시인(식별)시키는 관점에서, 투명니스층(52) 및 기재 노출부의 광택차가 15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5이상 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35이상 인 것이 특히 더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포장체(1C)의 최외층의 표면을 형성하는 제1영역(R1') 및 제2영역(R2')의 경계위치를, 제1영역(R1') 및 제2영역(R2')에 있어서의 투명니스의 유무의 차이 만에 의해 소비자에게 식별시킬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포장체(1C)에 의하면, 제1영역(R1') 및 제2영역(R2')의 포장체(1C)에 있어서의 투명니스층(52) 및 기재 노출부의 광택차에 의해 제1영역(R1') 및 제2영역(R2')의 경계위치를 식별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색 잉크에 의한 디자인 부여에 의존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포장체(1C)에 디자인성을 부여할 수 있다.The transparent varnish constituting the transparent varnish layer 52 is, for example,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a pigment, a dye, a metal powder, a glass powder, a transparent mats that do not contain mica, a normal varnish, a gloss varnish, or the like. In addition, the gloss value of the transparent varnish layer 52 is different from the gloss value of the substrate exposed portion relating to the first region R 1 ', and the difference in gloss value of the substrate exposed portion results in the first region R 1 ') And the second area R2' is set as an identifiable gloss value. As a result, in the package 1C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undary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differ only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transparent varnish (the first region R1 'Because the transparent varnish is not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bstrat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egion R2') and the transparent varnish is formed on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bstrat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egion R2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loss value of the base exposed portion constituting the outermost layer of the first region R1 'corresponds to the first gloss value, and the glossiness of the transparent varnish layer 52 correspond to the second gloss value. In the present embodiment, from the viewpoint of visually identifying (identifying) the boundary positions of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by the gloss difference of the transparent varnish layer 52 and the substrate exposed portion, The gloss difference of the varnish layer 52 and the substrate exposed portion is preferably at least 15, more preferably at least 25, even more preferably at least 35. According to this, the surface of the outermost layer of the package 1C The boundary positions of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to be formed by the difference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learness between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 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package 1C, the transparent varnish layer 52 in the package 1C of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boundary positions of the first area R1 'and the second area R2'. As a result, the package 1C can be given a design property with a simple structure without depending on designing by the color ink.

<실시형태 5>&Lt; Embodiment 5 >

도13은, 실시형태 5에 관계되는 포장체(1D)의 정면도이다. 포장체(1D)에 있어서는, 기재(50)에 요철(凹凸)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점이 상술(上述)한 데까지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포장체와 상위(相違)하다. 도13에 있어서, 부호(60)는, 포장체(1D)의 기재가 엠보스 가공에 의해 외측(外側)을 향하여 볼록 모양으로 융기하고 있는 볼록부를 나타내고 있다. 포장체(1D)는, 볼록부(60) 이외의 부분이 그 볼록부(60)보다도 상대적으로 움푹 패인 오목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포장체(1D)는, 실시형태 3에 관계되는 포장체(1B)에 있어서의 잉크 착색부(53B)를 볼록부(60)로 치환한 것과 동일하다. 도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체(1D)는, 제2영역(R2)과 볼록부(60)가 부분적으로 겹치고 있다. 이와 같은 태양(態樣)에 있어서도, 제1영역(R1) 및 제2영역(R2)의 경계위치가, 볼록부(60)의 윤곽(외형), 즉 볼록부(60)와 이 주위에 존재하는 무착색 영역과의 경계위치에 대해서 어긋난 태양(태양)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볼록부(60)에 의거하지 않고, 제1니스층(51) 및 제2니스층(52)의 광택치나 헤이즈값처럼, 제1니스층(51) 및 제2니스층(52)의 물성(시각에 영향을 미치는 소정의 물성)의 차이 만에 의거해서, 소비자에게 제1영역(R1) 및 제2영역(R2)의 경계위치를 식별시킬 수 있다. 또한, 볼록부(60)가 제1영역(R1) 및 제2영역(R2)이 한쪽과 완전히 겹치지 않도록, 제1영역(R1) 및 제2영역(R2)의 다른 쪽의 일부 또는 전부와 겹치도록 배치해 있어도 좋다.13 is a front view of the package 1D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The package 1D differs from the packa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that the substrate 50 is subjected to uneven processing. In Fig. 13, reference numeral 60 denotes a convex portion in which the base material of the package 1D rises in a convex shape toward the outside (outside) by embossing. The package 1D is formed as a concave portion in which a portion other than the convex portion 60 is recessed relative to the convex portion 60. [ The package 1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package 1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 which the ink coloring portion 53B is replaced with the convex portion 60. [ As shown in Fig. 13, in the package 1D, the second region R2 and the convex portion 60 are partially overlapped. Even in such a state, the boundary positions of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are set such that the outline (contour) of the convex portion 60, that is, the convex portion 60 and the surrounding The glossiness of the first varnish layer 51 and the glossiness of the second varnish layer 52 can be improved without depending on the convex portion 60 as described above, Based on only the difference in physical properties (predetermined physical properties affecting visual appearance) of the first varnish layer 51 and the second varnish layer 52, such as the value of the temperature and the haze value, The border position of the region R2 can be identified. The convex portion 60 is formed so as to be overlapped with part or all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so that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do not completely overlap with each other. .

상술(上述)한 각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변경이나 개량을 가하고, 또 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궐련을 수용하는 하드 패키지에 적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하드 패키지 대신에, 소위 소프트 패키지의 외장지(外裝紙)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좋다. 또, 하드 패키지나 소프트 패키지 등의 개장(個裝)은, 통상, 필름재에 의해 밀봉된 상태로 유통하고 있다. 더 나아가서, 상기의 개장(個裝)을 카튼(carton), 파슬(parcel)이라 불러지는 중간 포장체에 복수개(예를 들면, 10상자) 통합해서 채운 상태로 유통하는 경우도 많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담배 상품을 수용하는 하드 패키지나 소프트 패키지 등의 개장(個裝)을 밀봉하는 필름재나, 복수의 개장(個裝)을 통합해서 채우는 카튼(carton) 등의 중간 포장상자도 또, 담배 상품의 포장체에 해당한다. 그래서, 개장(個裝)을 밀봉하기 위한 필름재, 혹은, 복수의 개장(個裝)을 통합해서 채우기 위한 카툰(carton)이나 파슬(parcel) 등의 중간 포장체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좋다. 또, 상술(上述)한 데까지의 실시형태에서는, 담배 상품의 일 예로서 궐련을 들어서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여송연, 시가릴로(cigarillo), 전자담배 등을 포장하는 포장체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좋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can be added and combined. For example,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hard package for accommodating a cigarett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n external paper of a so-called soft package instead of a hard package. In addition, remodings such as a hard package and a soft package are usually circulated in a sealed state by a film material. Furthermore, in many cases, the above-mentioned refill is filled in a state of being filled with a plurality of (for example, 10 boxes) integrated into an intermediate package called a carton or a parcel.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middle packing box such as a film material for sealing a piece of packaging such as a hard package or a soft package for accommodating a cigarette product, or a carton for integrating a plurality of pieces of packaging is also provided. , Tobacco product packag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n intermediate package such as a carton or a parcel for packing a film material for sealing a piece or a plurality of pieces integrally. In addition, although the cigarett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tobacco product in the abov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for example, a package for packaging cigars, cigarillos, electronic cigarettes, Maybe.

1, 1A, 1B, 1C, 1D : 포장체
2 : 수용본체부
3 : 힌지
4 : 덮개부
50 : 기재
51 : 제1니스층
52 : 제2니스층
R1, R1 : 제1영역
R2, R2 : 제2영역
1, 1A, 1B, 1C, 1D:
2:
3: Hinge
4:
50: substrate
51: first Nice layer
52: second Nice layer
R1, R1: first region
R2, R2: second region

Claims (12)

담배 상품을 내부에 수용하는 포장체로서,
상기 포장체의 최외층의 표면은,
상기 포장체의 기재의 외면에 적층된 투명니스에 의해 형성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에 인접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포장체의 기재가 외부에 노출한 기재 노출부 또는 상기 기재의 외면에 적층된 투명니스에 의해 형성되는 제2영역,
을 포함하며,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과의 경계위치가, 투명니스의 유무의 차이 또는 각각의 투명니스의 물성의 차이 만에 의거해서 식별 가능한,
담배 상품의 포장체.
1. A package for accommodating a tobacco product therein,
Wherein a surface of the outermost layer of the package body
A first region formed by a transparent varnish lamin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of the package,
A second region which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region and which is formed by a transparent varnish which is laminated on a base exposed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material of the package or an outer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 RTI &gt;
Wherein a boundary position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is distinguishable based on a difference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lear varnish or a difference in physical properties of each transparent varnish,
Package of tobacco produc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과의 경계위치가, 각각의 투명니스에 있어서 시각에 영향을 미치는 소정의 물성의 차이 만에 의거해서 식별 가능한 담배 상품의 포장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boundary position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is identifiable based only on a difference in physical property that affects time in each transparent varnish.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에 있어서의 투명니스는, 제1의 광택치를 가지며,
상기 제2영역에 있어서의 투명니스는, 상기 제1의 광택치와 서로 다름과 동시에 상기 제1광택치와의 차이에 의해 상기 제1영역과의 경계위치를 식별시키는 제2의 광택치를 갖는 담배 상품의 포장체.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transparent varnish in the first region has a first gloss value,
Wherein the transparent varnish in the second area has a second gloss value different from the first gloss value and identifying a boundary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area by a difference from the first gloss value, Package of good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광택치 및 상기 제2의 광택치의 차가 15 이상인 담배 상품의 포장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gloss value and the second gloss value is 15 or mor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에 있어서의 투명니스는, 제1의 헤이즈값을 가지며,
상기 제2영역에 있어서의 투명니스는, 상기 제1의 헤이즈값과 다름과 동시에 상기 제1의 헤이즈값과의 차이에 의해 상기 제1영역과의 경계위치를 식별시키는 제2의 헤이즈값을 갖는 담배 상품의 포장체.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transparent varnish in the first region has a first haze value,
The transparent varnish in the second region has a second haze value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haze value and identifies a boundary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region by a difference from the first haze value Package of tobacco product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헤이즈값 및 상기 제2의 헤이즈값의 차가 5% 이상 100% 이하인 담배 상품의 포장체.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haze value and the second haze value is 5% or more and 100% or less.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에 있어서의 표면의 높이가 서로 동일한 담배 상품의 포장체.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6,
And the heights of the surfaces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re the same.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에 있어서의 표면의 높이의 차이가 5㎛ 이하인 담배 상품의 포장체.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6,
Wherein the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is 5 占 퐉 or less.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외면의 일부에 착색된 착색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의 경계위치와, 상기 기재에 있어서의 상기 착색영역과 그 주위의 무착색 영역과의 경계위치가 평면적으로 어긋나 있는 담배 상품의 포장체.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Wherein a colored region is formed on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ubstrate,
Wherein a boundary position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nd a boundary position between the colored region and a non-colored region around the colored region are out of planarity.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외면 전체가 착색되어 있지 아니한 담배 상품의 포장체.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Wherein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substrate is not colored.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중에서,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의 외면이 단일의 잉크에 의해 착색되어 있는 담배 상품의 포장체.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Wherein a portion of the base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is colored by a single ink.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표면에 요철(凹凸)가공이 실시되어 있고,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의 경계위치와, 상기 기재에 있어서의 오목부와 볼록부와의 경계위치가 평면적으로 어긋나 있는 담배 상품의 포장체.
1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is subjected to uneven processing,
Wherein a boundary position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nd a boundary position between a concave portion and a convex portion in the base material are shifted from each other in a plane.
KR1020177016905A 2014-12-17 2014-12-17 Package for tobacco products KR20170086609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83376 WO2016098190A1 (en) 2014-12-17 2014-12-17 Package for tobacco produc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6609A true KR20170086609A (en) 2017-07-26

Family

ID=56126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6905A KR20170086609A (en) 2014-12-17 2014-12-17 Package for tobacco products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235759A4 (en)
JP (1) JP6519817B2 (en)
KR (1) KR20170086609A (en)
CN (1) CN107108106B (en)
RU (1) RU2671651C1 (en)
WO (1) WO201609819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33660B (en) * 2020-05-27 2023-03-14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Double-channel forming automatic production line for split type packaging box
EP4245690A1 (en) * 2020-11-11 2023-09-20 Japan Tobacco Inc. Blank for forming cigarette product package and cigarette product packag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09584A (en) * 1982-05-31 1983-12-06 Toyo Shigyo Kk Manufacture of printed matter with lustre difference
DE19636365A1 (en) * 1996-09-06 1998-04-09 Focke & Co Hinged box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04174995A (en) * 2002-11-28 2004-06-24 Toppan Printing Co Ltd Printed matter having image line part in metal gloss and paper container using the same
JP4905711B2 (en) * 2007-08-08 2012-03-28 独立行政法人 国立印刷局 Stereoscopic image forming body
JP5194676B2 (en) * 2007-09-26 2013-05-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Packaging material
US8607974B2 (en) * 2008-12-22 2013-12-17 British America Tobacco (Holdings) Limited Pack for smoking articles
DK2448832T3 (en) * 2009-07-01 2013-12-02 Philip Morris Products Sa Tactile packaging for smoking items
CN104029884A (en) * 2009-07-01 2014-09-10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Fuming product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01597921U (en) * 2010-01-19 2010-10-06 长沙经济技术开发区凯诺包装材料有限公司 Cigarette packing paper
JP3160161U (en) * 2010-01-23 2010-06-17 株式会社シルキー・アクト clear file
JP5424266B2 (en) * 2010-07-06 2014-02-26 独立行政法人 国立印刷局 Anti-counterfeit printed matter
WO2013027275A1 (en) * 2011-08-24 2013-02-28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Cigarette packaging and method for printing same
KR20140043841A (en) * 2011-09-20 2014-04-10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ackage and printing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35759A1 (en) 2017-10-25
CN107108106A (en) 2017-08-29
WO2016098190A1 (en) 2016-06-23
RU2671651C1 (en) 2018-11-06
JPWO2016098190A1 (en) 2017-04-27
JP6519817B2 (en) 2019-05-29
EP3235759A4 (en) 2018-09-05
CN107108106B (en) 2019-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2593B1 (en) Tactile packaging for consumer goods
CN102245478B (en) Slide and shell container with hinged flap
KR20170086609A (en) Package for tobacco products
US9038825B2 (en) Container having transparent optical element
TWI558630B (en) Package of cigarette product
GB2478573A (en) Tobacco Package With Thermochromic Temperature Sensitive Markings
US20130286452A1 (en) Container with diffuse reflection in a transition area
US20220253953A1 (en) Creating a packaging production dataset based on pre-approved packaging features and producing a packaging
EP2746181A1 (en) Container with optical element formed by microstructure
WO2024009449A1 (en) Packaging and packaging production method
WO2018162331A1 (en) Container for consumer articles with improved tactile surface
JP5552355B2 (en) Cosmetic containers and cosmetic products
AU2009349123B2 (en) Tactile packaging for consumer goods
TWM355222U (en) Packaging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