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6464A -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6464A
KR20170086464A KR1020177008246A KR20177008246A KR20170086464A KR 20170086464 A KR20170086464 A KR 20170086464A KR 1020177008246 A KR1020177008246 A KR 1020177008246A KR 20177008246 A KR20177008246 A KR 20177008246A KR 20170086464 A KR20170086464 A KR 20170086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device
visual information
display area
display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8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5374B1 (ko
Inventor
이유리
김현희
신명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86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6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2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selecting desired characters out of a number of characters or by selecting indicating elements the position of which represent the time, e.g. by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G04G9/04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selecting desired characters out of a number of characters or by selecting indicating elements the position of which represent the time, e.g. by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by controlling light sources, e.g. electroluminescent diod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023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light valves in general
    • G04G9/0029Details
    • G04G9/0035Details constructional
    • G04G9/0041Illumination devic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39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based on proj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ject the image of a two-dimensional display, such as an array of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or a CR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ojector or beamer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3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1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in the context of movement of objects on the screen or movement of the observer relative to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충전 상태로 변경됨을 디텍트하는 단계,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1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2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충전 중인 상태에서 제 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이벤트를 디텍트하는 단계,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 3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 1 비주얼 정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되고,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 2 비주얼 정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밖으로 투영되는 광원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본 명세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스마트 워치, HMD 등과 같은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유저에 의해 착용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한정적일 수 있다. 따라서, 웨어어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확장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명세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의 비주얼 정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의해 디스플레이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의 비주얼 정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 밖으로 투영되는 광원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충전 상태로 변경됨을 디텍트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의 비주얼 정보를 제어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충전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이벤트를 디텍트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이벤트에 대한 비주얼 정보를 제어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충전 레벨을 디텍트하고, 충전 레벨에 기초하여 비주얼 정보의 디스플레이 여부를 제어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어플리케이션 속성에 기초하여 이벤트에 대한 비주얼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스처 인풋을 디텍트하고, 제스처 인풋에 기초하여 비주얼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충전 정보 및 비주얼 정보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의 비주얼 정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의해 디스플레이되고,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의 비주얼 정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밖으로 투영되는 광원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되고,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충전 상태로 변경됨을 디텍트한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1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2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충전 중인 상태에서 제 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이벤트를 디텍트하면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 3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충전 상태로 변경됨을 디텍트하는 단계,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1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2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충전 중인 상태에서 제 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이벤트를 디텍트하는 단계,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 3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 1 비주얼 정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되고,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 2 비주얼 정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밖으로 투영되는 광원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의 비주얼 정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의 비주얼 정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밖으로 투영되는 광원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충전 상태로 변경됨을 디텍트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의 비주얼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충전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이벤트를 디텍트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이벤트에 대한 비주얼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충전 레벨을 디텍트하고, 충전 레벨에 기초하여 비주얼 정보의 디스플레이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어플리케이션 속성에 기초하여 이벤트에 대한 비주얼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스처 인풋을 디텍트하고, 제스처 인풋에 기초하여 비주얼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충전 정보 및 비주얼 정보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충전 여부에 기초하여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에 기초하여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충전 레벨에 기초하여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어플리케이션의 속성에 기초하여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제스처 인풋에 기초하여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충전 장소에 기초하여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청구하고자 하는 범위는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명세서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유저에 의해 착용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유저로부터 분리되어 충전될 수 있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유저로부터 분리되어 충전 디바이스와 결합되어 충전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충전 디바이스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받고, 결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충전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충전 디바이스는 크래들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크래들은 벽면, 책상 등에 부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충전 디바이스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서로 결합되어 크래들에 의해 벽면에 고정되어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충전 디바이스와 결합하여 책상 등에 고정되어 충전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별도의 충전 디바이스에 의해 유저에게 분리된 상태로 충전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스마트 워치, HMD, 스마트 렌즈 등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목걸이 타입으로 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은 유저에 의해 착용 및 분리될 수 있는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프로세서(1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옵셔널한 구성으로 광원 유닛(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옵셔널한 구성으로 카메라 유닛(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옵셔널한 구성으로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옵셔널한 구성으로 커뮤니케이션 유닛(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위치 정보 수신 유닛(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상에 포함된 유닛일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프로세서(160)에 의해 제어되는 유닛일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자잉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구비되어 있는 유닛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상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옵셔널한 구성으로 광원 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광원 유닛(120)은 프로세서(160)에 의해 제어되는 유닛일 수 있다. 일 예로, 광원 유닛(120)은 광원을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밖으로 투영하여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유닛일 수 있다. 일 예로, 광원 유닛(120)은 소형 프로젝터일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광원 유닛(120)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밖으로 광원을 투영하고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광원 유닛(120)은 광원, 패널, 반사칩, 렌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광원 유닛(120)은 프로세서(1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6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충전 중임을 디텍트하면 광원 유닛(120)을 이용하여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광원 유닛(120)은 광원을 패널에 통과시키고, 패널에 통과된 광원을 반사칩에 반사시킨 후 렌즈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밖으로 투영하여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광원 유닛(12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아닌 충전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광원 유닛(120)은 별도의 디바이스로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정보를 교환한 후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3a 및 도 3b에서 후술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옵셔널한 구성으로 카메라 유닛(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 유닛(130)은 프로세서(160)에 의해 제어되는 유닛일 수 있다. 일 예로, 카메라 유닛(130)은 전방의 이미지 또는 유저의 제스처를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 유닛(13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주변 환경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카메라 유닛(130)은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광학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카메라 유닛(130)에서 촬영되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이미지는 스토리지 유닛(미도시)에 저장된 후 프로세서(160)로 출력되거나, 저장 없이 바로 프로세서(160)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유닛(13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주변에 위치하는 유저의 제스처를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스처는 카메라 유닛(130)에서 디텍트되는 인풋일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60)는 카메라 유닛(130)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제스처와 동일한 제스처를 디텍트하면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카메라 유닛(130)을 이용하여 유저의 제스처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제어하는 인풋으로 디텍트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관련해서, 도 8a 및 도 8b에서 후술한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옵셔널한 구성으로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40)은 프로세서(160)에 의해 제어되는 유닛일 수 있다.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4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유저 입력 또는 디바이스가 인식하는 환경을 프로세서(160)로 전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4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유저의 컨트롤 인풋을 센싱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은 터치 센서, 지문 센서, 모션 센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음성 인식 센서 및 압력 센서 등의 컨트롤 인풋 입력을 센싱하기 위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60)은 상술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통칭하는 것으로, 상술한 센서들은 별도의 엘리먼트로 디바이스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로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40)은 디스플레이 유닛(110)과 통합된 엘레멘트일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일 수 있다. 즉, 프로세서(16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비주얼 정보에 대한 인풋을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40)을 통해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커뮤니케이션 유닛(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커뮤니케이션 유닛(150)은 프로세서(1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커뮤니케이션 유닛(150)은 외부 디바이스와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커뮤니케이션 유닛(150)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커뮤니케이션 유닛(150)을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커뮤니케이션 유닛(150)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별도의 위치 정보 수신 유닛(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위치 정보 수신 유닛은 GPS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위성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위치 정보 수신 유닛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유닛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60)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하는 유닛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60)는 광원 유닛(120), 카메라 유닛(130),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40) 및 커뮤니케이션 유닛(1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유닛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세서(160)는 비주얼 정보를 제 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 2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의 비주얼 정보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의 비주얼 정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위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비주얼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의 비주얼 정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밖으로 투영되는 광원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세서(16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상이 아닌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60)는 광원 유닛(120)을 이용하여 광원을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밖으로 투영하고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충전 디바이스와 결합하여 벽면에 걸어진 상태로 충전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60)는 광원 유닛(120)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옆의 벽면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은 광원이 투영되는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60)는 광원 유닛(120)을 이용하여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60)는 광원이 투영되는 범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범위에 기초하여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비주얼 정보의 크기도 동시에 커질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해서는 도 10에서 후술한다.
또한, 프로세서(16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충전 상태로 변경됨을 디텍트할 때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프로세서(160)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충전 상태로 변경됨을 디텍트하는 경우, 프로세서(16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상의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1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동시에, 프로세서(160)는 광원 유닛(120)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밖의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2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비주얼 정보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가 디텍트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디스플레이되는 비주얼 정보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비주얼 정보는 충전 상태인지 여부에만 기초하여 설정되고, 외부 이벤트 및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변경되지 않는 비주얼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비주얼 정보는 충전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 전체에 충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전체 영역을 통해 충전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충전 정보로서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1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 상에 제 1 인디케이터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인터페이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충전 정도를 나타내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또한, 제 1 인디케이터는 충전 정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충전 레벨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 1 비주얼 정보는 배경화면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 2 비주얼 정보는 배경화면, 날짜,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제 2 비주얼 정보는 제 1 오브젝트에 대한 비주얼 정보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세서(16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충전 상태로 전환되기 이전에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1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오브젝트는 아이콘, 어플리케이션, 날짜, 시간 등에 대한 오브젝트일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60)는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제 1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충전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프로세서(160)는 제 2 비주얼 정보를 제 1 오브젝트에 대한 비주얼 정보로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오브젝트가 시간 및 날짜 정보에 대한 오브젝트인 경우, 프로세서(160)는 제 2 비주얼 정보로서 시간 및 날짜 정보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프로세서(160)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1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2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제 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이벤트를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1 어플리케이션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이벤트는 커뮤니케이션 유닛(150)을 통해 외부에서 수신되는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이벤트는, SNS, 메시지, 통화 신호 등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이벤트는 기설정된 설정값에 기초하여 디텍트되는 정보일 수 있다. 일 예로, 이벤트는 기설정된 시간에 디텍트되는 알람일 수 있다. 즉, 이벤트는 제 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관련된 것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프로세서(160)는 이벤트를 디텍트면 노티피케이션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노티피케이션은 음성 노티피케이션, 진동 노티피케이션, 이미지 노티피케이션 및 텍스트 노티피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이벤트가 디텍트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60)는 제 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이벤트를 디텍트하면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 3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3 비주얼 정보는 이벤트와 관련된 비주얼 정보일 수 있다. 일 예로, 이벤트가 메시지인 경우, 제 3 비주얼 정보는 메시지에 대한 요약 정보 또는 알람 정보일 수 있다. 즉, 제 3 비주얼 정보는 이벤트에 대한 비주얼 정보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엘레먼트들은 별도의 엘리먼트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로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나타내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충전 상태가 아닌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210)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디스플레이 영역(2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상의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충전 상태로 변경됨을 디텍트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210)에 제 1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동시에,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제 2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밖에서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역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도 2a를 참조하면 제 1 비주얼 정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충전 레벨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즉, 제 1 비주얼 정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충전 정도일 수 있다. 또한, 제 2 비주얼 정보는 배경 화면 정보일 수 있다. 즉, 제 2 비주얼 정보는 시간, 날짜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주얼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벽면에 부착되어 충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b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충전 디바이스와 결합하여 벽면에 부착된 상태로 충전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충전 디바이스는 크래들을 통해 벽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벽면에 결합된 충전 디바이스(230) 및 크래들을 이용하여 벽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을 벽면에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벽면에 부착된 형태로 충전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광원 유닛(120)을 이용하여 광원을 벽면에 비출 수 있다. 이때,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은 광원이 도달하는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의 크기는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 2 비주얼 정보의 크기도 조절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투영되는 광원의 범위를 조절하여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충전 중인 상태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대한 비주얼 정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충전 중인 경우에도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나타내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도 3a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충전 상태로 변경됨을 디텍트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210)에 제 1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제 2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밖에서 광원이 투영되어 설정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때, 도 3b를 참조하면, 광원 유닛(12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포함되지 않은 별도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광원 유닛(120)은 별도의 프로젝터(310)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충전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프로젝터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프로젝터(310)는 수신한 충전 정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인접한 영역에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프로젝터(310)는 광원을 투사하고, 투사된 영역을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비주얼 정보에 대한 신호를 프로젝터(310)로 송신할 수 있다. 프로젝터(310)는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 2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프로젝터(3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위치 정보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인접한 영역에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유저 또는 프로세서(160)에 의해 설정되는 영역을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의 크기 및 설정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광원 유닛은 충전 디바이스(230) 또는 크래들에 부착된 유닛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충전 디바이스(230) 또는 크래들에 부착된 경우, 충전 디바이스(230)는 광원을 투사하여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비주얼 정보에 대한 신호를 충전 디바이스(230) 또는 크래들로 송신할 수 있다. 충전 디바이스(230) 또는 크래들은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 2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충전 여부에 기초하여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충전 상태가 아닌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210)에 제 1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비주얼 정보는 배경화면 정보 또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비주얼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광원에 기초하여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을 설정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충전 상태가 아니면 광원을 투사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도 4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충전 상태로 변경됨을 디텍트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비주얼 정보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충전 이전 상태에 제 1 디스플레이 영역(210)에 디스플레이한 제 1 비주얼 정보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210)에 제 2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2 비주얼 정보는 충전 정보일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충전 상태로 변경됨을 디텍트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광원을 투사하여 제 1 비주얼 정보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210)에 제 2 비주얼 정보로서 충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충전이 중단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비주얼 정보를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다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은 사라질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충전 상태에서만 광원을 투사하고,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지를 충전 여부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기설정된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오브젝트는 아이콘,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오브젝트는 물리적인 버튼일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충전 상태가 아니어도 광원을 투사하여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에 기초하여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난 도면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충전 상태로 변경됨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210)에 제 1 비주얼 정보(5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제 2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충전 중인 상태에서 제 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이벤트를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 3 비주얼 정보(5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3 비주얼 정보(530)는 이벤트에 대한 비주얼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3 비주얼 정보(530)는 제 2 비주얼 정보(520)와 동시에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제 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이벤트를 디텍트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비주얼 정보(520)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하고, 제 3 비주얼 정보(5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도 5를 참조하면, 제 1 비주얼 정보(510)는 충전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 2 비주얼 정보(520)는 배경화면 정보일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충전 상태에서 충전 정보(510)를 제 1 디스플레이 영역(2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충전 상태에서 배경화면 정보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어플리케이션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한, 이벤트는 외부에서 수신되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메시지일 수 있다. 이때, 제 3 비주얼 정보(530)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에 대한 요약 정보(530)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배경화면을 유지하면서 메시지에 대한 요약 정보(5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충전 중인 상태에서도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충전 레벨에 기초하여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충전 상태로 변경됨을 디텍트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210)에 제 1 비주얼 정보(6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동시에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제 2 비주얼 정보(6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충전 레벨을 더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충전 레벨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충전된 정도일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모두 방전된 경우, 충전 레벨은 0일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모두 충전된 경우, 충전 레벨은 100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충전 레벨이 제 1 스레스홀드 레벨(630) 이상임을 더 디텍트하면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제 2 비주얼 정보(620)를 더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6a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충전 레벨이 제 1 스레스홀드 레벨(630) 미만인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비주얼 정보(610) 및 제 2 비주얼 정보(620)를 제 1 디스플레이 영역(2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광원을 투사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을 설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스레스홀드 레벨(630)은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제 2 비주얼 정보(620)를 디스플레이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임계 레벨일 수 있다. 또한, 제 1 스레스홀드 레벨(630)은 유저 또는 프로세서(160)에 의해 변경설정 될 수 있으며, 일정한 오차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6b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충전 레벨이 제 1 스레스홀드 레벨(630) 이상인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210)에 제 1 비주얼 정보(6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제 2 비주얼 정보(6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충전 상태를 디텍트하고, 충전 레벨이 제 1 스레스홀드 레벨(630) 이상임을 더 디텍트할 때만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제 2 비주얼 정보(6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상술한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의 설정 유무를 유저 또는 프로세서(160)에 의해 변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충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어플리케이션의 속성에 기초하여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충전 상태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영역(210)에 제 1 비주얼 정보(5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동시에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제 2 비주얼 정보(5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제 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이벤트를 디텍트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3 비주얼 정보(5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속성에 기초하여 제 3 비주얼 정보(530)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어플리케이션의 속성은 어플리케이션의 특징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7a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제 1 속성을 갖는 제 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이벤트를 디텍트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비주얼 정보(520) 및 제 3 비주얼 정보(530)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제 1 속성을 갖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은 일부 영역에 부가적인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속성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은 SNS, 메신저 등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7b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제 2 속성을 갖는 제 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이벤트를 디텍트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비주얼 정보(520)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하고, 제 3 비주얼 정보(530)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제 2 속성을 갖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은 전체 영역에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속성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은 전화, 알람 등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속성은 유저 또는 프로세서(160)에 의해 변경설정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의 속성은 변경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어방법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제스처 인풋에 기초하여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충전 상태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영역(210)에 제 1 비주얼 정보(5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동시에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제 2 비주얼 정보(5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30)을 이용하여 제스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스처 인풋은 유저의 손동작을 디텍트하는 인풋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유저의 머리의 움직임을 디텍트하는 인풋일 수 있다. 즉, 제스처 인풋은 카메라 유닛(130)에 의해 디텍트되는 유저의 기설정된 제스처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40)을 이용하여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컨트롤 인풋 인풋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 상을 터치하는 인풋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컨트롤 인풋은 음성 인풋일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음성 인풋을 어플리케이션 및 이벤트를 제어하는 인풋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8a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이벤트를 디텍트하면 제 3 비주얼 정보(5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제스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스처 인풋은 유저의 손(820) 동작에 의해 디텍트되는 인풋일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제스처 인풋에 기초하여 이벤트와 관련된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810)을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210)에 제 1 비주얼 정보(510)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에서 제 3 비주얼 정보(530)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하고,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8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제스처 인풋을 이용하여 이벤트를 제어하고, 관련된 실행 화면(8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음성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음성 인풋에 기초하여 제 3 비주얼 정보(530)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하고,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8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스처 인풋, 음성 인풋 등을 이용하여 이벤트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40)에 의해 디텍트되는 인풋을 이용하여 이벤트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제스처 인풋에 기초하여 제 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충전이 중단됨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810)을 제 1 디스플레이 영역(2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210)의 충전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종료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충전이 중단되면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광원을 투사하지 않고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충전 중에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디스플레이된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810)을 제 1 디스플레이 영역(2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충전이 중단되어도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도 8b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이벤트를 디텍트하면 제 3 비주얼 정보(5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2 제스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2 제스처 인풋에 기초하여 제 3 비주얼 정보(530)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할 수 있다. 그 후,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비주얼 정보(520)를 다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3 비주얼 정보(530)와 관련된 제 4 비주얼 정보(미도시)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2 제스처 인풋을 이용하여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를 강제 종료 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어플리케이션이 전화 어플리케이션이고, 이벤트는 수신되는 통화 이벤트일 수 있다. 유저는 제 1 제스처 인풋을 통해 통화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제 2 제스처 인풋을 통해 통화를 강제 종료 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40)을 이용하여 다른 인풋을 디텍트하고, 디텍트된 인풋으로 이벤트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및 이벤트는 유저 또는 프로세서(160)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충전 상태로 변경됨을 디텍트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210)에 제 1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동시에,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제 2 비주얼 정보(5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제 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이벤트를 디텍트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 3 비주얼 정보(5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3 비주얼 정보(530)는 이벤트에 대한 비주얼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도 9a를 참조하면,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이벤트를 디텍트한 후 제 1 스레스홀드 시간 이내에 제 1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인풋은 카메라 유닛(130)에 의해 디텍트되는 제 1 제스처 인풋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제스처 인풋은 유저의 손(910)에 의해 디텍트되는 제스처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 1 인풋은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40)에 의해 디텍트되는 인풋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풋에 기초하여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920)을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210)에 제 1 비주얼 정보(510)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에서 제 3 비주얼 정보(530)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하고,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9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제스처 인풋을 이용하여 이벤트를 제어하고, 관련된 실행 화면(9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스레스홀드 시간은 제 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는 임계 시간일 수 있다. 또한, 제 1 스레스홀드 시간은 유저 또는 프로세서(160)에 의해 변경설정될 수 있으며, 일 정한 오차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9b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이벤트를 디텍트하고, 제 1 스레스홀드 시간 이내에 제 1 제스처를 디텍트하지 못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3 비주얼 정보(530)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할 수 있다. 그 후,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3 비주얼 정보와 관련된 제 4 비주얼 정보(9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4 비주얼 정보는 이벤트가 디텍트되었음을 나타내는 요약 정보 또는 알람 정보일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이벤트를 디텍트하고, 일정 시간 내에 인풋을 디텍트하지 않으면 관련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이벤트에 대한 디텍트를 종료할 수 있다.
도 10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충전 장소에 기초하여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충전 상태로 변경됨을 디텍트하면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밖으로 광원을 투사하고, 투사된 광원에 기초하여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도 10을 참조하면,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은 광원이 투영되는 영역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즉,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의 크기는 광원이 도달하는 영역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광원이 투영되는 영역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디스플레이되는 비주얼 정보의 크기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충전 중 부착되는 위치에 기초하여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벽면에 부착되어 충전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사이즈로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책상 위에 부착되어 충전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2 사이즈로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 2 사이즈는 제 1 사이즈보다 클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충전하기 위해 부착되는 위치에 기초하여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광원을 투사하고, 투사된 광원이 반사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투사된 광원이 지면이나 벽면 등의 굴곡에 의해 반사되는 정보가 변경되는 지점에 기초하여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충전 디바이스 또는 크래들과 결합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충전 디바이스 또는 크래들부터 광원 투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충전 디바이스 또는 크래들은 부착되는 위치에 기초하여 광원 투사 정보가 변경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광원 투사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부착되어 충전되는 위치에 따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220)의 크기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충전 상태로 변경됨을 디텍트할 수 있다.(S1110) 이때,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유저로부터 분리되어 충전될 수 있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유저로부터 분리되어 충전 디바이스와 결합되어 충전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충전 디바이스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받고, 결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충전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충전 디바이스는 크래들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크래들은 벽면, 책상 등에 부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충전 디바이스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서로 결합되어 크래들에 의해 벽면에 고정되어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충전 디바이스와 결합하여 책상 등에 고정되어 충전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별도의 충전 디바이스에 의해 유저에게 분리된 상태로 충전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1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120) 이때,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 1 비주얼 정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의 디스플레이 유닛(110)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제 1 비주얼 정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위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비주얼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비주얼 정보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가 디텍트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디스플레이되는 비주얼 정보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비주얼 정보는 충전 상태인지 여부에만 기초하여 설정되고, 외부 이벤트 및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변경되지 않는 비주얼 정보일 수 있다.
다음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2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130) 이때,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 2 비주얼 정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밖으로 투영된 광원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비주얼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광원 유닛(120)을 이용하여 광원을 투사하고, 투사된 광원에 기초하여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2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제 2 비주얼 정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밖에서 투영된 광원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비주얼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또한, 일 예로, 제 2 비주얼 정보는 배경화면, 날짜,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제 2 비주얼 정보는 제 1 오브젝트에 대한 비주얼 정보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세서(16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충전 상태로 전환되기 이전에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1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오브젝트는 아이콘, 어플리케이션, 날짜, 시간 등에 대한 오브젝트일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60)는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제 1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충전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프로세서(160)는 제 2 비주얼 정보를 제 1 오브젝트에 대한 비주얼 정보로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오브젝트가 시간 및 날짜 정보에 대한 오브젝트인 경우, 프로세서(160)는 제 2 비주얼 정보로서 시간 및 날짜 정보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충전 중인 상태에서 제 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이벤트를 디텍트할 수 있다.(S1140) 이때,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어플리케이션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이벤트는 커뮤니케이션 유닛(150)을 통해 외부에서 수신되는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이벤트는, SNS, 메시지, 통화 신호 등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이벤트는 기설정된 설정값에 기초하여 디텍트되는 정보일 수 있다. 일 예로, 이벤트는 기설정된 시간의 알람 등일 수 있다. 즉, 이벤트는 제 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관련된 정보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프로세서(160)는 이벤트를 디텍트면 노티피케이션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노티피케이션은 음성 노티피케이션, 진동 노티피케이션, 이미지 노티피케이션 및 텍스트 노티피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이벤트가 디텍트됨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 3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150) 이때,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이벤트를 디텍트하면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 3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3 비주얼 정보는 이벤트와 관련된 비주얼 정보일 수 있다. 일 예로, 이벤트가 메시지인 경우, 제 3 비주얼 정보는 메시지에 대한 요약 정보 또는 알람 정보일 수 있다. 즉, 제 3 비주얼 정보는 이벤트에 대한 비주얼 정보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어플리케이션의 속성에 기초하여 제 2 비주얼 정보 및 제 3 비주얼 정보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2 비주얼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하고, 제 3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및 그 제어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및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송신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명세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
본 발명은 단말 장치에서 사용 가능하고 반복 가능성이 있는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20)

  1. 제 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의 비주얼 정보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의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의 비주얼 정보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밖으로 투영되는 광원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충전 상태로 변경됨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1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2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충전 중인 상태에서 제 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이벤트를 디텍트하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 3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밖으로 투영하는 광원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충전 상태로 변경됨을 디텍트하면 상기 광원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광원을 투영하고,
    상기 투영된 광원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충전 레벨을 더 디텍트하고, 상기 충전 레벨이 제 1 스레스홀드 레벨 이상임을 더 디텍트할 때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속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비주얼 정보를 제어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텍트된 이벤트가 제 1 속성을 갖는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인 경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제 2 비주얼 정보 및 상기 제 3 비주얼 정보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텍트된 이벤트가 제 2 속성을 갖는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인 경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제 2 비주얼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하고, 상기 제 3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전방 이미지 또는 제스처 인풋을 디텍트하는 카메라 유닛;을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벤트를 디텍트하고 제 1 스레스홀드 시간 이내에 제 1 제스처 인풋을 디텍트하면 상기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충전이 중단됨을 디텍트하면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실행 화면을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벤트를 디텍트하고 상기 제 1 스레스홀드 시간 이내에 상기 제 1 제스처 인풋을 디텍트하지 않으면 상기 제 3 비주얼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3 비주얼 정보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된 경우, 상기 제 3 비주얼 정보와 관련된 제 4 비주얼 정보를 상기 제 2 비주얼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벤트를 디텍트하고 제 1 스레스홀드 시간 이내에 제 2 제스처 인풋을 디텍트하면 상기 이벤트 및 상기 제 3 비주얼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주얼 정보는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이벤트가 디텍트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디스플레이되는 비주얼 정보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15. 제 1 항에 있어서,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는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충전 상태로 전환되기 이전에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1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제 1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충전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제 2 비주얼 정보를 상기 제 1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주얼 정보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충전 정보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전 정보를 나타내는 제 1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 전체에 디스플레이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상에 제 1 인디케이터를 더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제 1 인디케이터는 상기 충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충전 레벨을 나타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벤트를 디텍트하면 노티피케이션을 더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노티피케이션은 음성 노티피케이션 및 진동 노티피케이션, 이미지 노티피케이션, 텍스트 노티피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20. 제 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충전 상태로 변경됨을 디텍트하는 단계;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1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제 1 비주얼 정보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되고,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2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제 2 비주얼 정보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밖으로 투영되는 광원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충전 중인 상태에서 제 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이벤트를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 3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1020177008246A 2014-11-18 2014-11-18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2453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11062 WO2016080565A1 (ko) 2014-11-18 2014-11-18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6464A true KR20170086464A (ko) 2017-07-26
KR102245374B1 KR102245374B1 (ko) 2021-04-28

Family

ID=56014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8246A KR102245374B1 (ko) 2014-11-18 2014-11-18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34826B2 (ko)
KR (1) KR102245374B1 (ko)
WO (1) WO20160805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69131B2 (ja) * 2016-04-26 2019-09-0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嵌合検知機能を有する電気接続装置
DE102016215746A1 (de) * 2016-08-23 2018-03-01 Robert Bosch Gmbh Projektor mit berührungsfreier Steuerung
US11657740B1 (en) * 2022-04-18 2023-05-23 Qualcomm Incoporated Displaying directional visual indicators from a wearable device for naviga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9526A (ko) * 2009-12-17 2011-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40137227A (ko) * 2013-05-22 2014-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141108A (ko) * 2013-05-31 2014-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07130A (ko) * 2013-07-10 2015-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제어 방법
KR20150046594A (ko) * 2013-10-22 2015-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장치 및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1616B1 (en) 1999-11-12 2002-04-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miniature devices with embedded projectors
US20020063855A1 (en) 2000-11-29 2002-05-30 Williams John W. Digital projection system for phones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U2002951208A0 (en) 2002-09-05 2002-09-19 Digislide International Pty Ltd A portable image projection device
US20090046140A1 (en) 2005-12-06 2009-02-19 Microvision, Inc. Mobile Virtual Reality Projector
KR101607888B1 (ko) 2009-06-03 2016-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계 겸용 휴대 단말기 및 동작방법
TWI596937B (zh) * 2014-12-23 2017-08-21 帕戈技術股份有限公司 穿戴式相機、用於提供無線電力之系統,用於以無線方式提供電力之方法及用於處理影像之方法
CN105141025A (zh) * 2015-09-29 2015-12-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可穿戴设备、用于可穿戴设备的充电设备以及充电系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9526A (ko) * 2009-12-17 2011-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40137227A (ko) * 2013-05-22 2014-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141108A (ko) * 2013-05-31 2014-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07130A (ko) * 2013-07-10 2015-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제어 방법
KR20150046594A (ko) * 2013-10-22 2015-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장치 및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5374B1 (ko) 2021-04-28
WO2016080565A1 (ko) 2016-05-26
US20180314212A1 (en) 2018-11-01
US10234826B2 (en) 2019-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4874B1 (en) Digit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985984B1 (en) Communication device for presenting the communication-log during a do-not-disturb mode
US9086687B2 (en) Smart watch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244856B1 (ko) 웨어러블 장치와의 사용자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웨어러블 장치
US20150123898A1 (en) Digit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29006B1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입력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271833B1 (ko)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EP3211509A1 (en) Mobile device comprising stylus pen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EP2778865A2 (en) Input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WO2014084224A1 (ja) 電子機器および視線入力方法
JP6105953B2 (ja) 電子機器、視線入力プログラムおよび視線入力方法
CN109542279B (zh) 一种终端设备控制方法及终端设备
KR20160026337A (ko) 전자장치의 통지 이벤트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60027775A (ko) 터치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US20190303549A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ler, and oper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US20150109200A1 (en) Identifying gestures corresponding to functions
US202004013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anning touch screen, and medium
KR20180124235A (ko)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20160165039A1 (en) Terminal device
KR102340234B1 (ko)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20865A (ko) 전자 장치의 입력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245374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EP3151019A1 (en) Portable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KR102518404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시선 정보를 이용한 컨텐트 실행 방법
JP2018160239A (ja) タッチ入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