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6073A -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86073A KR20170086073A KR1020177016504A KR20177016504A KR20170086073A KR 20170086073 A KR20170086073 A KR 20170086073A KR 1020177016504 A KR1020177016504 A KR 1020177016504A KR 20177016504 A KR20177016504 A KR 20177016504A KR 20170086073 A KR20170086073 A KR 201700860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terminal device
- distance
- designated
- scan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1—Interfacing with vending machines using mobile or wearable 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06F21/55—Detecting local intrusion or implementing counter-measures
- G06F21/556—Detecting local intrusion or implementing counter-measures involving covert channels, i.e. data leakage between process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4—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output devices, e.g. displays or monito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4—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displayed on the M-devi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04L63/049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by using a location-limited connec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or limited proximity of entit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5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an additional device, e.g. smartcard, SIM or a different communication termi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detecting or protecting against malicious traffic
- H04L63/14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detecting or protecting against malicious traffic by monitoring network traffic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3—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 H04W12/64—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using geofenced area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50, 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 G06F2221/032—Protect output to user by software mea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04W12/77—Graphical ident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안전하게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와 지정된 장치 사이의 거리를 감시하도록 구성되는 감시 모듈, 거리가 사전 설정된 거리보다 작은지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판단 모듈, 및 판단 모듈이 거리가 사전 설정된 거리보다 작다고 판단하면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표시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연관된
출원에 대한 상호참조
이 출원은 2014년 11월 20일에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410670705.4호에 기반하며 그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전체 내용이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출원은 컴퓨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정보를 안전하게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기술의 계속적인 발전과 함께, 다양한 단말 장치가 사람들의 일상에서 필수적인 도구가 되고 있다. 사용자는 단말 장치를 통해 종종 다양한 유형의 정보(예컨대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를 표시하며, 표시된 정보에 따라 연관된 동작(예를 들면, 2차원 코드에 따라 연락처 정보를 송신하는 것과 같은 동작)이 수행되도록 허용한다. 사용자가 동작이 수행되도록 허용하기 전에, 단말 장치에 의해 표시된 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 정보의 보안을 감소시킨다.
예를 들면, 다양한 소셜 네트워크 계정 또는 게임 계정과 같은 계정 정보 각각이 2차원 코드에 대응할 수 있다. 단말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2차원 코드에 대응하는 계정 정보는, 스캐닝 장치를 통해 2차원 코드를 스캔하여 획득될 수 있다.
사용자가 2차원 코드를 표시하여야 할 때, 2차원 코드는 종종 사용자가 로그인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단말 장치의 표시 인터페이스 상에 직접 표시된다. 실제 응용에서, 사용자는 종종 2차원 코드를 미리 표시하여, 스캐닝 장치가 2차원 코드를 스캔하기 위하여 단말 장치에 접근하기를 기다린다. 이러한 방법으로, 스캐닝 장치가 접근하기를 기다리는 전체 과정에서, 2차원 코드가 유출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혼잡하고 안전하지 않은 환경에 있을 때, 단말 장치 상의 2차원 코드가 장시간 동안 공중에 노출되며, 2차원 코드는 단말 장치 주변의 사람 또는 장치에 의해 쉽게 불법적으로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차원 코드는 단말 장치 주변의 캔디드 카메라(candid camera)에 의해 쉽게 캡처될 수 있으며, 사용자 정보의 유출을 가져오고, 사용자 정보의 보안을 감소시킨다.
본 개시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 부합하여,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와 지정된 장치 사이의 거리를 감시하도록 구성되는 감시 모듈, 거리가 사전 설정된 거리보다 작은지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판단 모듈, 및 판단 모듈이 거리가 사전 설정된 거리보다 작다고 판단하면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표시 모듈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감시 모듈은 레이저 거리 측정기, 초음파 거리 측정기 또는 적외선 거리 측정기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다른 실시예에 부합하여, 정보 표시용 단말 장치는 지정된 장치의 장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획득 모듈, 장치 정보가 단말 장치에 사전 저장된 장치 정보와 매칭되는지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판단 모듈, 및 판단 모듈이 장치 정보가 단말 장치에 사전 저장된 장치 정보와 매칭된다고 판단하면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표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단말 장치 상에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 부합하여, 단말 장치 상에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은, 단말 장치에 의하여, 단말 장치와 지정된 장치 사이의 거리를 감시하는 단계, 단말 장치에 의하여, 거리가 사전 설정된 거리보다 작은지 판단하는 단계, 및 만일 그러하면, 단말 장치 상에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그렇지 않으면, 단말 장치 상에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다른 실시예에 부합하여, 단말 장치 상에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은, 지정된 장치의 장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장치 정보가 단말 장치에 사전 저장된 장치 정보와 매칭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만일 그러하면, 단말 장치 상에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그렇지 않으면, 단말 장치 상에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의 추가적인 목적과 이점은 다음의 설명에 의해 부분적으로 제시되고, 부분적으로는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거나 실시예의 실행으로부터 습득될 수 있을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의 목적 및 이점은 청구범위에 제시된 요소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되고 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모두 예시적이고 설명적인 것일 뿐 청구된 바에 따르는 개시된 실시예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여기에 통합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개시에 부합하는 실시예를 도시하며,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부합하여, 단말 장치 상에 정보를 표시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부합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다른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이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부합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예시적인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이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부합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다른 예시적인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부합하여, 단말 장치 상에 정보를 표시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부합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다른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이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부합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예시적인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이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부합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다른 예시적인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다음의 설명은 상이한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내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음 설명에 기재된 구현들은 본 발명에 부합하는 모든 구현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대신, 이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과 관련된 양상들에 부합하는 장치 및 방법의 예에 불과하다.
이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부합하여, 정보를 안전하게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개시된 방법 및 장치를 사용하여, 사용자는, 공공 환경에 있는 동안, 필요한 때에만 정보를 표시할 필요가 있으며, 정보 유출을 가져올 수 있는 상대적으로 긴 기간 동안 정보를 표시할 필요가 없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부합하여, 단말 장치가 정보를 표시하기 전에,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 주위의 분위기 또는 환경을 감시하여 사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면,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 자체와 단말 장치로부터 정보를 스캔하기 위한 지정된 장치 사이의 거리를 감시할 수 있다. 또는, 단말 장치는 지정된 장치의 장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장치 정보가 사전 저장된 장치 정보와 매칭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첫번째 예에서 거리가 사전 설정된 조건 내이거나, 두번째 예에서 지정된 장치가 사전 저장된 장치 정보와 매칭되면, 단말 장치는 현재 환경이 사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정보를 표시한다. 그렇지 않으면, 단말 장치는 현재 환경이 사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정보를 표시하지 않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공중에게 정보를 제시하는 시간이 효율적으로 단축될 수 있으며, 사용자 정보의 보안을 개선한다.
본 출원의 목적, 기술적 해결책 및 이점을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책이 본 출원의 특정한 실시예와 대응하는 첨부된 도면을 통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된다. 명백하게, 이하의 설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지 일부이며, 모든 실시예가 아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기반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 의하여 창의적인 노력이 없이 유도될 수 있는 모든 다른 실시예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정보 표시 방법이 자세히 기술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표시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를 나타낸다.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101: 단말 장치와 지정된 장치 사이의 거리 감시
일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에 의해 표시될 정보는 2차원 코드일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계정에 대응하는 계정 정보 또는 다른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단말 장치는 모바일 장치(에컨대, 이동전화, 태블릿, 또는 시계) 또는 디스플레이를 갖는 컴퓨터일 수 있다. 지정된 장치는, 예를 들면, 2차원 코드를 스캔하여, 2차원 코드를 수신 또는 캡처하기 위한 다른 단말 장치일 수 있다. 지정된 장치는 스캐너 또는 카메라, 또는 스캐너 또는 카메라를 갖춘 이동전화 또는 컴퓨터와 같은 다른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되어야 할 정보는 지불 계정에 대응하는 바코드일 수 있으며, 지정된 장치는 바코드를 스캔할 수 있는 스캐닝 장치(예를 들면, 바코드 스캐닝 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1 단말 장치 상의 소셜 앱을 통해 소셜 네트워크 계정에 대응하는 2차원 코드를 제2 단말 장치로 표시하여야 한다고 가정하면, 사용자는, 로그인된 소셜 앱 내에서, 제1 단말 장치가 2차원 코드 표시 기능을 개시하도록 유발할 수 있다. 제1 단말 장치가 2차원 코드 표시 기능을 개시한 후에, 제1 단말 장치는 사용자에게 프롬프트 정보를 송신하여, 사용자가 제1 단말 장치를 제2 단말 장치 가까이로 움직이도록 알릴 수 있다. 제1 단말 장치는 제1 단말 장치와 제2 단말 장치 사이의 거리 L을 감시하는 감시 모듈을 개시할 수 있다. 감시 모듈은 레이저 거리 측정기, 초음파 거리 측정기, 적외선 거리 측정기, 또는 두 물체 사이의 거리를 탐지할 수 있는 다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거리 측정에 사용되는 감시 모듈(예를 들면, 적외선 거리 측정기)이 제1 단말 장치에 통합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감시 모듈은 제1 단말 장치 상에 장착될 수 있다. 감시는 감시된 거리가 아래에서 자세히 논의할 사전 설정된 거리보다 작아지거나 사용자에 의해 멈추도록 명령될 때까지 연속적일 수 있다.
S102: 감시된 거리 L이 사전 설정된 거리 L'보다 작은지 판단, 및 그러하면, 단계 S103 수행; 그렇지 않으면, 단계 S104 수행.
위의 예를 계속 사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거리 L'은 사용자에 의해 제1 단말 장치 내에서 사전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는 10cm로 사전 설정될 수 있다. 제1 단말 장치는 제1 단말 장치와 제2 단말 장치 사이의 거리 L이, 예를 들면, 5cm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단말 장치는 이어서 거리 L을 사전 설정된 거리 L'와 비교하고, 감시된 거리 L이 사전 설정된 거리 L'보다 작다고 판단한다. 제1 단말 장치는 이제 제2 단말 장치가 제1 단말 장치에 가까운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 시점에서 연관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단말 장치는 제1 단말 장치와 제2 단말 장치 사이의 거리 L이 30cm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단말 장치는 감시된 거리 L을 사전 설정된 거리 L'와 비교하고 감시된 거리 L이 사전 설정된 거리 L'보다 크다고 판단한다. 제1 단말 장치는 이제 제2 단말 장치가 제1 단말 장치에 가깝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 시점에서 연관된 동작은 수행될 수 없다.
일부 실시예에서, 감시된 거리 L과 사전 설정된 거리 L' 사이의 비교는 제1 단말 장치 상의 소셜 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단말 장치와 제2 단말 장치 사이의 거리 L을 감시하는 제1 단말 장치 상의 감시 모듈은 거리 L을 소셜 앱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감시 모듈로부터 거리 L을 수신할 때, 소셜 앱은 거리 L을 사전 설정된 거리 L'와 비교하고 감시된 거리 L이 사전 설정된 거리 L'보다 작은지 판단한다.
감시 모듈은 미리 소셜 앱에 등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단말 장치가 소셜 앱을 사용하여 현재 환경을 감시할 때, 제1 단말 장치는 등록된 감시 모듈로부터 거리 L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소셜 앱은 등록된 감시 모듈에 의해 송신된 거리 L이 신뢰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S103: 정보 표시.
위의 예를 계속 사용하여, 제1 단말 장치가, 단계 S102를 통해, 제2 단말 장치가 제1 단말 장치에 가깝다고(즉, 감시된 거리가 사전 설정된 거리보다 작다고) 판단할 때, 제1 단말 장치는 2차원 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표시 화면 상에서 감추어진 상태였던 2차원 코드를 제2 단말 장치가 스캔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S104: 정보를 표시하지 않음.
위의 예를 계속 사용하여, 제1 단말 장치가, 단계 S102를 통해, 제2 단말 장치가 제1 단말 장치에 가깝지 않다고(즉, 감시된 거리가 사전 설정된 거리보다 크다고) 판단할 때, 제1 단말 장치는 2차원 코드를 표시하지 않을 것이다.
도 1에 나타난 방법에서, 단말 장치가 정보를 표시하기 전에, 단말 장치와 지정된 장치 사이의 거리를 감시하여, 단말 장치가 현재 환경이 사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고, 만일 그러하면, 단말 장치가 정보를 표시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말 장치는 정보를 표시하지 않을 것이다. 실제 응용에서, 지정된 장치가 단말 장치에 접근(또는 단말 장치가 지정된 장치에 접근) 및 정보를 획득하는 시간은 짧다. 사용자의 대기(예를 들면, 줄에 서서 기다리는) 시간은 길 수 있다. 대기 시간 동안, 정보가 단말 장치 상에 표시되면, 이는 제3자에 의해 보이거나 캡처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단말 장치가 지정된 장치가 단말 장치에 가까운지 감시하고, 지정된 장치가 단말 장치에 가까울 때에만 정보를 표시한다. 대기 단계 동안 정보는 표시되지 않으며, 따라서, 정보가 공중에게 제시되는 시간이 단축되어, 정보 유출의 가능성이 효과적으로 감소되고, 사용자 정보의 보안을 개선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지불 공제 메커니즘(예를 들면, 지불 계좌)에 대응하는 지불 그래픽 식별자(예를 들면,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를 다른 당사자에게 표시할 수 있을 때, 지정된 장치가 지불 그래픽 식별자를 스캔한 후에, 인증이 필요 없이 공제 동작이 바로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에 대해서, 지정된 장치가 지불 그래픽 식별자를 스캔하기 전에, 지불 그래픽 식별자가 유출되면, 사용자는 경제적 손실을 입을 수 있다. 따라서, 지불 계좌에 대응하는 지불 그래픽 식별자의 보안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의 실시예는 이 지불 시나리오를 예로 사용한다.
먼저,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와 지정된 장치 사이의 거리를 감시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물리적 상점의 계산대에서 체크아웃할 때, 사용자는 계산원에게 바코드(즉, 지불 그래픽 식별자)를 표시할 수 있으며, 계산원은 스캐닝 장치(지정된 장치)를 사용하여 바코드를 스캔하고, 바코드에 대응하는 지불 계좌를 획득하고, 지불 계좌로부터 대금을 공제하는 요청을 지불 서버로 송신하여, 체크아웃 공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바코드를 계산원에게 표시하기 전에, 사용자는 단말 장치(이동전화 또는 이동형 컴퓨터와 같은) 상의 지불 앱의 계정으로 로그인하고, 지불 앱을 사용하여, 단말 장치가 바코드 표시 기능을 개시하도록 유발할 수 있다. 단말 장치가 바코드 표시 기능을 개시한 후에, 사용자가 단말 장치를 스캐닝 장치에 가깝게 움직이도록 알리는 프롬프트 정보가 먼저 사용자에게 송신될 수 있다. 그러면, 단말 장치는 감시 모듈을 개시하여 단말 장치와 스캐닝 장치 사이의 거리를 감시할 수 있다.
이어서, 단말 장치는 감시된 거리가 사전 설정된 거리보다 작은지 판단하고, 그러하면, 단말 장치는 바코드를 표시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말 장치는 바코드를 표시하지 않을 것이다.
이 방법으로, 스캐닝 장치가 바코드를 스캔하기를 사용자가 대기하고 있을 때, 단말 장치는 바코드를 공중에 표시하지 않고, 단말 장치는 스캐닝 장치가 단말 장치에 가까울 때에만 바코드를 표시하며, 따라서, 공중에게 바코드를 제시하는 시간이 단축되어, 바코드 유출의 가능성이 효과적으로 줄어들며, 바코드의 보안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개시는 정보 표시의 다른 예시적인 방법을 더 제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 따라, 예시적인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201: 단말 장치에 의해 수집된 지정된 장치의 장치 정보 획득.
예시를 위하여 사용자가 물리적 상점의 계산대에서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체크아웃하는 시나리오가 예로 사용된다. 이 예에서, 단말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정보는 지불 그래픽 식별자이며, 구체적으로, 지불 그래픽 식별자는 바코드일 수 있다. 지정된 장치는 스캐닝 장치일 수 있으며, 지정된 장치의 장치 정보는 스캐닝 장치 유형, 예를 들면, 스캐닝 장치의 모델일 수 있다.
바코드를 표시하도록 요청받을 때,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에 의해 수집된 스캐닝 장치 유형을 획득할 수 있다.
스캐닝 장치는 일반적으로 상이한 스캐닝 장치 유형에 대응하는 상이한 외형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에 의해 수집된 스캐닝 장치의 영상을 획득하고, 영상에 기반하여 스캐닝 장치 유형을 식별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다수의 스캐닝 장치 유형 및 각 스캐닝 장치 유형에 대응하는 다수의 스캐닝 장치의 외관 영상을 사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캐닝 장치 유형 A에 대하여, 단말 장치는 스캐닝 장치 유형 A에 대응하는 스캐닝 장치의 다수의 각도에서의 외관 영상을 저장하여, 사전 저장된 외관 영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계산대에서 스캐닝 장치의 외관 영상을 수집하고, 외관 영상을 현재 외관 영상으로 사용하며, 현재 외관 영상을 사전 저장된 외관 영상과 비교할 수 있다. 사전 저장된 외관 영상 중에, 현재 외관 영상과 매칭되는 사전 저장된 외관 영상이 있으면, 사전 저장된 외관 영상에 대응하는 스캐닝 장치 유형이 검색될 수 있으며, 단말 장치는 검색된 스캐닝 장치 유형을 식별된 스캐닝 장치 유형으로 사용한다.
S202: 장치 정보(예를 들면, 장치 유형)이 사전 저장된 장치 정보와 매칭되는지 판단, 및 만일 그러하면, 단계 S203 수행; 그렇지 않으면, 단계 S204 수행.
위의 예를 계속 사용하여, 단말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바코드가 신뢰할 수 있는 스캐닝 장치에 의해서만 스캔되도록 하기 위하여, 스캐닝 장치의 장치 유형이 단말 장치 상의 지불 앱에 사전 등록될 수 있다. 사전 등록 정보는 사전 저장된 장치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단말 장치가 단계 S201에서 수집된 장치 정보가 사전 저장된 장치 정보와 매칭된다고 판단할 때, 단말 장치는 스캐닝 장치가 신뢰성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위의 예에서, 단말 장치가 스캐닝 장치 유형을 식별한 후에, 단말 장치는 스캐닝 장치 유형을 사전 저장된 스캐닝 장치 유형과 비교할 수 있다. 사전 저장된 스캐닝 장치 유형이 식별된 스캐닝 장치 유형과 매칭되면, 단말 장치는 스캐닝 장치의 장치 정보가 사전 저장된 장치 정보와 매칭되며, 스캐닝 장치가 신뢰성 있는 스캐닝 장치라고 판단하여, 바코드가 표시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단말 장치는 스캐닝 장치의 장치 정보가 사전 저장된 장치 정보와 매칭되지 않으며, 스캐닝 장치는 신뢰할 수 없는 스캐닝 장치라고 판단하여, 바코드는 표시되지 않는다.
S203: 정보 표시
스캐닝 장치의 장치 정보가 사전 저장된 장치 정보와 매칭된다고 판단될 때, 단말 장치는 바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
S204: 정보를 표시하지 않음.
스캐닝 장치의 장치 정보가 사전 저장된 장치 정보와 매칭되지 않는다고 판단될 때, 단말 장치는 바코드를 표시하지 않는다.
이 방법으로, 스캐닝 장치가 단말 장치에 가까울 때,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에 의해 수집된 스캐닝 장치의 스캐닝 장치 유형에 따라, 현재 스캐닝 장치가 신뢰할 수 있는 스캐닝 장치인지 판단하고, 현재 스캐닝 장치가 신뢰할 수 있는 스캐닝 장치라고 단말 장치가 판단할 때에만 바코드를 표시한다. 정보를 공중에게 제시하는 시간은 매우 감소할 수 있으며, 신뢰할 수 없는 스캐닝 장치에 의해 바코드가 획득될 가능성이 효과적으로 감소하여, 사용자 정보의 보안이 개선된다.
본 개시의 도 1에 나타난 정보 표시 방법에서,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와 지정된 장치 사이의 거리를 감시하여 정보를 표시할지 판단한다. 단말 장치는 그에 가까운 장치가 적법하게 지정된 장치인지 판단하지 못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에 가까운 장치가 불법적인 장치(예를 들면, 정보 도용을 위한 장치)이고, 불법적 장치와 단말 장치 사이의 거리가 사전 설정된 거리 이내이면, 단말 장치가 정보를 표시할 것이며, 이는 표시된 정보의 유출을 가져올 수 있다.
정보 유출을 피하기 위하여,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먼저 단말 장치와 지정된 장치 사이의 거리를 감시하여 거리가 사전 설정된 거리보다 작은지 판단한다. 거리가 사전 설정된 거리보다 작으면,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에 의해 수집된 지정된 장치의 장치 정보를 더 획득한다. 단말 장치는 이어서 장치 정보가 사전 저장된 장치 정보와 매칭되는지 판단한다. 장치 정보가 사전 저장된 장치 정보와 매칭되면, 단말 장치는 정보를 표시한다. 매칭되지 않으면, 단말 장치는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다. 단말 장치가 단말 장치에 의해 수집된 지정된 장치의 장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은 도 2와 함께 설명된 과정과 유사하며, 여기에서 되풀이되지 않는다. 장치의 감시 단계에서, 거리가 사전 설정된 거리보다 작지 않으면, 단말 장치는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다.
또는, 단말 장치는 먼저 지정된 장치 정보를 획득하고 장치 정보가 사전 저장된 장치 정보와 매칭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단말 장치가 장치 정보가 사전 저장된 장치 정보와 매칭된다고 판단하면, 단말 장치는 감시 모듈을 개시하여 단말 장치와 지정된 장치 사이의 거리를 감시하고, 감시된 거리가 사전 설정된 거리보다 작으면, 단말 장치가 정보를 표시한다.
이 방법으로,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와 지정된 장치 사이의 거리가 사전 설정된 거리 이내이고 지정된 장치의 장치 정보가 사전 저장된 장치 정보와 매칭되는 때에만 정보를 표시한다. 이들 예시적인 방법은 도 1과 도 2의 결합에 의해 설명된다. 방법은 사용자 정보 유출의 가능성을 더욱 감소시키며 사용자 정보의 보안을 개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는 안전하게 정보를 표시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또한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장치 및 시스템을,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공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정보를 안전하게 표시하는 장치를 나타낸다. 장치는 감시 모듈(31), 판단 모듈(32), 및 표시 모듈(33)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감시 모듈은 자신과 지정된 장치 사이의 거리를 감시하도록 구성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감시 모듈(31)은 레이저 거리 측정기, 초음파 거리 측정기, 적외선 거리 측정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를 갖는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되는, 판단 모듈(32)은 거리가 사전 설정된 거리보다 작은지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를 갖는 프로세서와 화면에 의해 구현되는, 표시 모듈(33)은 거리가 사전 설정된 거리보다 작을 때 정보를 표시하고, 거리가 사전 설정된 거리보다 클 때 정보를 표시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표시될 정보는 사용자가 보호하고자 하는 임의의 정보, 예를 들면, 위에서 논의된 지불 그래픽 식별자일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 표시 장치를 나타낸다. 장치는 획득 모듈(41), 판단 모듈(42), 및 표시 모듈(43)을 포함할 수 있다. 획득 모듈(41)은 단말 장치 또는 획득 모듈(41)에 의해 수집된 지정된 장치의 장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획득 모듈(41)은 지정된 장치의 영상을 캡처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를 갖는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되는, 판단 모듈(42)은 장치 정보가 사전 저장된 장치 정보와 매칭되는지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를 갖는 프로세서와 화면에 의해 구현되는, 표시 모듈(43)은 장치 정보가 사전 저장된 장치 정보와 매칭될 때 정보를 표시하고, 장치 정보가 사전 저장된 장치 정보와 매칭되지 않을 때 정보를 표시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단말 장치는 사전 저장된 장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될 정보는 사용자가 보호하고자 하는 임의의 정보, 예를 들면, 위에서 논의된 지불 그래픽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정된 장치는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스캐닝 장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획득 모듈(41)은 획득 모듈(41)에 의해 수집된 스캐닝 장치의 영상을 획득하고, 영상으로부터 스캐닝 장치 유형을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의 관점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에서는, 지정된 장치가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정보를 획득하기 전에, 단말 장치가 단말 장치와 지정된 장치의 거리를 감시하여 지정된 장치가 단말 장치에 가까운지 판단할 수 있다. 만일 그러하면, 단말 장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단말 장치는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보는 지정된 장치가 가깝지 않고 단말 장치로부터 정보를 획득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으면 표시되지 않는다. 공중에게 정보가 제시되는 시간은 단축되며, 따라서 제3자가 사용자 정보를 도용할 가능성이 감소하고, 사용자 정보의 보안이 개선된다.
또한, 일반적인 바코드의 예에서, 단말 장치가 바코드를 표시하기 전에,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에 의해 수집된 스캐닝 장치 유형에 따라, 현재의 스캐닝 장치가 신뢰성 있는 스캐닝 장치인지 판단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가 현재의 스캐닝 장치가 신뢰성 있는 스캐닝 장치라고 판단할 때에만 바코드를 표시한다. 이 방법으로 사용자 정보의 보안은 더욱 개선된다.
이 분야의 기술자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방법, 시스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하드웨어 실시예,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소트프웨어와 하드웨어를 결합한 실시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 실행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 매체(디스크 메모리, CD-ROM, 광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 상에 구현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장치(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를 참조하여 본 출원이 기술되었다.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 내의 흐름 및/또는 블록, 및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 내의 흐름 및/또는 블록의 조합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범용 컴퓨터의 프로세서, 전용 컴퓨터, 내장된 처리 유닛 또는 기계를 생성하기 위한 다른 프로그램 가능 데이터 처리 장치에 제공되어, 컴퓨터의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이 흐름도의 하나 이상의 흐름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이상의 블록에 특정된 기능을 구현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를 생성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데이터 처리 장치가 특정한 모드에서 기능하도록 안내할 수 있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 내에 저장된 명령은 흐름도의 하나 이상의 흐름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이상의 블록에 특정된 기능을 구현하는 명령을 갖는 제품을 생성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데이터 처리 장치에 로드될 수 있다.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데이터 처리 장치 상에서 실행될 때 명령은 흐름도의 하나 이상의 흐름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이상의 블록에 특정된 기능을 구현하는 단계를 제공한다.
전형적인 구성에 따르면 개시된 방법 및 장치를 구현하는 컴퓨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CPUs), 입/출력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포트,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컴퓨터 장치는 이동전화 또는 시계와 같은 이동형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임의접근 메모리(RAM)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NVM), 예컨대 읽기-전용 메모리(ROM) 또는 플래시 RAM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예이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는 상변화 임의접근 메모리(PRAM), 정적 임의접근 메모리(SRAM), 동적 임의접근 메모리(DRAM), 다른 유형의 RAM, 읽기-전용 메모리(ROM), 전자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읽기-전용 메모리(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내부 메모리, 컴팩트 디스트 읽기-전용 메모리(CD-ROM),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DVD) 또는 다른 광 저장장치, 자기 테이프 카세트, 자기 테이프 또는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다른 자기 저장 장치 또는 컴퓨터 장치에 의해 접근될 수 있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비-전송 매체를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문맥의 정의에 따라,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예를 들면, 변조 데이터 신호 및 반송파와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일시적 매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제1" 및 "제2"와 같은 관계형 용어는 하나의 대상 또는 동작을 다른 대상 또는 동작과 구분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며 이들 대상 또는 동작 사이의 임의의 실제 관계 또는 순서를 요구하거나 암시하지 않는 점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포함하는(comprising)", "갖는(having)", "함유하는(containing)" 및 "포함하는(including)"의 용어 및 다른 유사한 형태는 의미가 동일한 것으로 의도되며 이들 용어 중 임의의 것을 따르는 항목 또는 항목들이 이러한 항목 또는 항목들의 철저한 목록이 되거나 열거된 항목 또는 항목들로만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열려 있다(open-end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여기에서 개시된 발명의 실행 및 명세서의 고려로부터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 출원은 그 일반적인 원리를 따르며 이 분야에서 공지되거나 통상적인 관행에 따르는 것과 같은 본 개시로부터의 이탈을 포함하는 발명의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용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 및 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되며,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및 사상은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다.
본 발명이 위에서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도시된 정확한 구성에 제한되지 않으며, 그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0)
- 단말 장치와 지정된 장치 사이의 거리를 감시하도록 구성되는 감시 모듈;
상기 거리가 사전 설정된 거리보다 작은지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판단 모듈; 및
상기 판단 모듈이 상기 거리가 상기 사전 설정된 거리보다 작다고 판단하면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표시 모듈을 포함하는
정보 표시용 단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모듈은 상기 단말 장치와 지정된 장치 사이의 거리를 감시하기 위한 레이저 거리 측정기, 초음파 거리 측정기 또는 적외선 거리 측정기를 포함하는 정보 표시용 단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지불 그래픽 식별자를 포함하는 정보 표시용 단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바코드를 포함하는 정보 표시용 단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2차원 코드를 포함하는 정보 표시용 단말 장치.
- 지정된 장치의 장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획득 모듈;
상기 장치 정보가 단말 장치에 사전 저장된 장치 정보와 매칭되는지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판단 모듈; 및
상기 판단 모듈이 상기 장치 정보가 상기 단말 장치에 사전 저장된 장치 정보와 매칭된다고 판단하면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표시 모듈을 포함하는
정보 표시용 단말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모듈은 상기 지정된 장치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하는 정보 표시용 단말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지불 그래픽 식별자를 포함하는 정보 표시용 단말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장치는 스캐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획득 모듈은 상기 스캐닝 장치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에 기반하여 스캐닝 장치 유형을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표시용 단말 장치. - 단말 장치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와 지정된 장치 사이의 거리를 감시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하여, 상기 거리가 사전 설정된 거리보다 작은지 판단하는 단계;
만일 그러하면, 상기 단말 장치 상에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그렇지 않으면, 상기 단말 장치 상에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상에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지불 그래픽 식별자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상에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바코드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상에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2차원 코드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상에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지불을 나타내는 단말 장치 상에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 지정된 장치의 장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장치 정보가 상기 단말 장치에 사전 저장된 장치 정보와 매칭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만일 그러하면, 상기 단말 장치 상에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그렇지 않으면, 상기 단말 장치 상에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상에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지불 그래픽 식별자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상에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장치는 스캐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지정된 장치의 장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스캐닝 장치의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영상에 기반하여 스캐닝 장치 유형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상에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바코드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상에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2차원 코드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상에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지불을 나타내는 단말 장치 상에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410670705.4 | 2014-11-20 | ||
CN201410670705.4A CN105653963B (zh) | 2014-11-20 | 2014-11-20 | 一种信息展示方法及装置 |
PCT/US2015/060355 WO2016081274A1 (en) | 2014-11-20 | 2015-11-12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6073A true KR20170086073A (ko) | 2017-07-25 |
KR102195303B1 KR102195303B1 (ko) | 2020-12-28 |
Family
ID=56010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16504A KR102195303B1 (ko) | 2014-11-20 | 2015-11-12 |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US (1) | US10366230B2 (ko) |
EP (1) | EP3221774B1 (ko) |
JP (1) | JP6716559B2 (ko) |
KR (1) | KR102195303B1 (ko) |
CN (2) | CN111651797B (ko) |
ES (1) | ES2877506T3 (ko) |
PL (1) | PL3221774T3 (ko) |
SG (1) | SG11201703866WA (ko) |
TW (1) | TWI669659B (ko) |
WO (1) | WO2016081274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47628A (ko) * | 2017-08-28 | 2020-05-07 | 텐디론 코포레이션 | 보안 표시 방법, 장치 및 보안 단말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075845B2 (en) * | 2015-10-29 | 2018-09-11 | Ricoh Company, Ltd. | Authentication system, terminal apparatus, and authentication method |
GB201608749D0 (en) * | 2016-05-18 | 2016-06-29 | Tixserve Ltd | An electronic ticketing system |
CN107644333A (zh) * | 2016-07-22 | 2018-01-30 |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 扫码支付方法、装置及支付终端 |
CN107037955A (zh) * | 2016-10-24 | 2017-08-11 |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 一种显示图像信息的方法及装置 |
US11321551B2 (en) * | 2016-12-07 | 2022-05-03 | Meta Platforms, Inc. | Detecting a scan using on-device sensors |
CN107038570A (zh) | 2016-12-09 | 2017-08-11 |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 一种支付页面显示方法、客户端及电子设备 |
CN107274190A (zh) * | 2017-01-18 | 2017-10-20 | 孙瑞峰 | 智能支付牌及系统 |
CN107248071A (zh) * | 2017-06-06 | 2017-10-13 | 深圳正品创想科技有限公司 | 一种提高二维码消费凭证的安全性的方法及装置 |
CN112800802B (zh) * | 2018-03-23 | 2022-12-06 | 西安艾润物联网技术服务有限责任公司 | 立体车库的预约取车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CN110135835B (zh) * | 2018-09-29 | 2021-08-24 |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可穿戴设备的支付信息获取方法及可穿戴设备 |
CN111210220A (zh) * | 2018-11-22 | 2020-05-29 | 奇酷互联网络科技(深圳)有限公司 | 二维码加密方法、移动终端及具有存储功能的装置 |
CN109993014A (zh) * | 2018-12-14 | 2019-07-09 | 中国银联股份有限公司 | 受理设备、移动终端及条码读取控制方法 |
CN109982314A (zh) * | 2019-02-28 | 2019-07-05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电子装置的标识码检测方法、电子装置、设备及存储介质 |
JP2022071881A (ja) * | 2019-03-22 | 2022-05-17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 |
CN110517036A (zh) * | 2019-08-29 | 2019-11-29 | 湖南工学院 | 一种二维码付款防盗刷支付的方法及装置 |
KR102257994B1 (ko) | 2019-09-02 | 2021-05-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근접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
CN112837057A (zh) * | 2019-11-22 | 2021-05-25 | 华为技术有限公司 | 付款码防盗刷方法、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CN111401884A (zh) * | 2020-03-10 | 2020-07-10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
CN114885319A (zh) * | 2021-02-05 | 2022-08-09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设备发现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CN114282561A (zh) * | 2021-12-23 | 2022-04-05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码标识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CN115422783B (zh) * | 2022-11-04 | 2023-03-21 | 中国海洋大学 | 一种数据建模方法和系统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224862A (ja) * | 2009-03-24 | 2010-10-07 | Denso Wave Inc | データ通信システム |
US20120330743A1 (en) * | 2011-06-27 | 2012-12-27 | Felix Schul | Method and a system for providing a service transaction for a mobile device |
US20130246220A1 (en) * | 2011-09-13 | 2013-09-19 | Ayman Hammad | Mobile location notifications system and method |
JP2013235613A (ja) * | 2009-05-11 | 2013-11-21 | Toshiba Global Commerce Solutions Holdings Corp | 購買分析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棚札 |
Family Cites Families (3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695301B2 (ja) * | 1991-04-26 | 1997-12-24 | シャープ株式会社 | 携帯情報端末機 |
EP1601172B1 (en) | 1997-12-29 | 2007-10-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ouch pad |
US7392945B1 (en) | 1998-09-11 | 2008-07-01 | Lv Partners, L.P. | Portable scanner for enabling automatic commerce transactions |
US7290285B2 (en) | 2000-06-30 | 2007-10-30 | Zinio System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and viewing electronic documents |
JP3761505B2 (ja) * | 2002-03-04 | 2006-03-29 | 株式会社東芝 | 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装置 |
US8312222B1 (en) * | 2002-12-13 | 2012-11-13 | Open Text, S.A. | Event-driven regeneration of pages for web-based applications |
US7387250B2 (en) | 2003-12-04 | 2008-06-17 | Scanbuy, Inc. | System and method for on the spot purchasing by scanning barcodes from screens with a mobile device |
US7309015B2 (en) | 2004-07-14 | 2007-12-18 | Scanbuy, Inc. | Mobile device gateway providing access to instant information |
US20140020068A1 (en) * | 2005-10-06 | 2014-01-16 | C-Sam, Inc. | Limiting widget access of wallet, device, client applications, and network resources while providing access to issuer-specific and/or widget-specific issuer security domains in a multi-domain ecosystem for secure personalized transactions |
US20070101366A1 (en) | 2005-10-27 | 2007-05-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for analyzing information and executing function corresponding to analyzed information in portable terminal |
US8016187B2 (en) * | 2006-02-21 | 2011-09-13 | Scanbury, Inc. | Mobile payment system using barcode capture |
JP4827626B2 (ja) * | 2006-06-14 | 2011-11-30 | キヤノン株式会社 | 被制御機器、遠隔制御システムおよび遠隔制御システム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
US8736427B2 (en) * | 2008-09-03 | 2014-05-27 | Apple Inc. | Intelligent infrared remote pairing |
TWM356181U (en) * | 2008-10-29 | 2009-05-01 | Kang Siang Technology Co Ltd | Exhibition monitoring system promoting marketing effect |
US8688517B2 (en) * | 2009-02-13 | 2014-04-01 | Cfph, Llc | Method and apparatus for advertising on a mobile gaming device |
US20110099070A1 (en) * | 2009-10-22 | 2011-04-28 | Twittad | Method of Advertising |
US8589069B1 (en) * | 2009-11-12 | 2013-11-19 | Google Inc. | Enhanced identification of interesting points-of-interest |
GB2476989A (en) * | 2010-01-19 | 2011-07-20 | Proxama Ltd | Activation of secure function in mobile computing device using authentication tag |
US8496164B2 (en) | 2010-05-19 | 2013-07-30 | Arinc Incorpora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customer/passenger specific interactive flight information data notification using boarding pass barcode scanning capabilities on low-cost display devices |
US8942430B2 (en) * | 2010-07-19 | 2015-01-27 | The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area biometric scanners |
US8510188B2 (en) * | 2010-07-28 | 2013-08-13 | The Western Union Company | Receiver driven money transfer alert system |
CN103493034B (zh) * | 2010-12-15 | 2017-03-08 | 赛门铁克公司 | 通过具有成像系统的移动通信装置进行自动用户认证、在线结账和电子支付 |
KR20120096787A (ko) * | 2011-02-23 | 2012-08-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모바일 장치 인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그리고 모바일 장치 인증 시스템 |
US20120305643A1 (en) * | 2011-06-06 | 2012-12-06 | Code Marketing and Management, Inc. |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Eligibility of a Card Holder at a Point of Service |
US20130181054A1 (en) * | 2011-07-06 | 2013-07-18 | Chris Juarez Durham |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bar-code enabled cards |
US9110608B2 (en) * | 2011-09-30 | 2015-08-18 |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mobile printing |
IN2014MN00977A (ko) * | 2011-10-25 | 2015-05-22 | Isi Corp | |
US9161174B2 (en) | 2011-11-18 | 2015-10-13 | Dallas/Fort Worth International Airport Board | Interactive information display |
US9373112B1 (en) * | 2012-03-16 | 2016-06-21 | Square, Inc. | Ranking of merchants for cardless payment transactions |
EP2834959B1 (en) * | 2012-04-01 | 2018-06-06 | Early Warning Services, LLC | Secure authentication in a multi-party system |
WO2014028514A2 (en) * | 2012-08-16 | 2014-02-20 | Kumar Himalesh Cherukuvada |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credentials |
US9246959B2 (en) * | 2012-10-10 | 2016-01-26 | Salesforce.Com, Inc. |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based social network feeds |
US20140207545A1 (en) * | 2013-01-22 | 2014-07-24 | Brett Aksel Berman |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merchant-customer retail events using a financial transaction facilitation system |
US8938558B2 (en) * | 2013-03-04 | 2015-01-20 | Microsoft Corporation | Modifying functionality based on distances between devices |
CN103903161A (zh) * | 2013-12-02 | 2014-07-02 | 奇易科技有限公司 | 一种存在检测、参与、处理支付及客户奖赏的方法及系统 |
CN104065744B (zh) * | 2014-07-07 | 2018-05-25 |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 一种远端智能设备的控制管理方法及远程终端 |
-
2014
- 2014-11-20 CN CN202010637023.9A patent/CN111651797B/zh active Active
- 2014-11-20 CN CN201410670705.4A patent/CN105653963B/zh active Active
-
2015
- 2015-04-30 TW TW104113915A patent/TWI669659B/zh active
- 2015-11-12 ES ES15860331T patent/ES2877506T3/es active Active
- 2015-11-12 KR KR1020177016504A patent/KR10219530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11-12 SG SG11201703866WA patent/SG11201703866WA/en unknown
- 2015-11-12 EP EP15860331.6A patent/EP3221774B1/en active Active
- 2015-11-12 PL PL15860331T patent/PL3221774T3/pl unknown
- 2015-11-12 US US14/939,796 patent/US10366230B2/en active Active
- 2015-11-12 WO PCT/US2015/060355 patent/WO201608127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11-12 JP JP2017525806A patent/JP6716559B2/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224862A (ja) * | 2009-03-24 | 2010-10-07 | Denso Wave Inc | データ通信システム |
JP2013235613A (ja) * | 2009-05-11 | 2013-11-21 | Toshiba Global Commerce Solutions Holdings Corp | 購買分析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棚札 |
US20120330743A1 (en) * | 2011-06-27 | 2012-12-27 | Felix Schul | Method and a system for providing a service transaction for a mobile device |
US20130246220A1 (en) * | 2011-09-13 | 2013-09-19 | Ayman Hammad | Mobile location notifications system and method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47628A (ko) * | 2017-08-28 | 2020-05-07 | 텐디론 코포레이션 | 보안 표시 방법, 장치 및 보안 단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60147994A1 (en) | 2016-05-26 |
JP2017536764A (ja) | 2017-12-07 |
KR102195303B1 (ko) | 2020-12-28 |
EP3221774B1 (en) | 2021-06-09 |
CN111651797A (zh) | 2020-09-11 |
TWI669659B (zh) | 2019-08-21 |
CN105653963A (zh) | 2016-06-08 |
CN105653963B (zh) | 2020-06-19 |
CN111651797B (zh) | 2023-05-16 |
JP6716559B2 (ja) | 2020-07-01 |
TW201619871A (zh) | 2016-06-01 |
PL3221774T3 (pl) | 2021-10-25 |
WO2016081274A1 (en) | 2016-05-26 |
EP3221774A1 (en) | 2017-09-27 |
ES2877506T3 (es) | 2021-11-17 |
EP3221774A4 (en) | 2017-11-01 |
SG11201703866WA (en) | 2017-06-29 |
US10366230B2 (en) | 2019-07-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95303B1 (ko) |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 |
EP3547604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ty question generation and identity verification | |
CN105117663B (zh) | 一种应用的加密对象显示方法及装置 | |
JP2017536764A5 (ko) | ||
US20160026862A1 (en) | Eye reflected content for verification of user liveliness | |
EP3200417B1 (en) | Method and device for information interaction and association between human biological feature data and account | |
US20180012094A1 (en) | Spoofing attack detection during live image capture | |
WO2020055657A1 (en) | Liveness detec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 |
RU2016141136A (ru) |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вызова | |
CN111368578A (zh) | 一种信息处理方法和电子设备 | |
EP3472784B1 (en) | Paym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user device | |
US9680823B2 (en) | Convenient logi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nd filling in login field within web environment or application | |
RU2603549C2 (ru) |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верификации для защиты от подделок | |
US20200372511A1 (en) | Information Remin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 |
US11170188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graphic codes | |
CN106896996B (zh) | 一种信息图像显示方法及装置 | |
TW201518977A (zh) | 應用安全驗證方法、應用伺服器、應用用戶端及系統 | |
CN106302528B (zh) | 短信息处理方法及装置 | |
KR101473671B1 (ko) | 이미지 비교를 통한 피싱 사이트 탐지 방법 및 장치 | |
US11030336B2 (en) | Switch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 |
CN107247900B (zh) | 一种获取操作系统登录密码的方法及装置 | |
AU2016100197A4 (en) | Mobile computing device security | |
TW202030660A (zh) | 資料處理方法、裝置、物流對象處理系統和機器可讀媒體 | |
CN109756620B (zh) | 基于手机的虚拟摄像头识别方法及相关设备 | |
CN114282561A (zh) | 一种码标识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