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5937A - 유체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유체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5937A
KR20170085937A KR1020160086360A KR20160086360A KR20170085937A KR 20170085937 A KR20170085937 A KR 20170085937A KR 1020160086360 A KR1020160086360 A KR 1020160086360A KR 20160086360 A KR20160086360 A KR 20160086360A KR 20170085937 A KR20170085937 A KR 20170085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housing
storage pack
paint storag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6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3635B1 (ko
Inventor
조성암
Original Assignee
조성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암 filed Critical 조성암
Publication of KR20170085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5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1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1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the form of a fine jet, e.g. for use in wind-screen wa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2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gate valve, a sliding valve or a c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5Pen-like spr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5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with stepwise advancement of the piston, e.g. for spraying a predetermined quantity of cont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02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02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64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a liquid being fed by mechanical pumping from the container to the nozz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02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67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a liquid being fed by a pressure generated in the container, which is not produced by a carrying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료액을 스프레이 건으로 이송 안내하기 위해 도료토출구를 갖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고 도료액을 저장하는 도료저장팩, 도료저장팩을 도료토출구 측으로 개방시켜 도료의 토출을 허용하는 개방부, 및 도료저장팩을 도료토출구 측으로 밀어 도료의 토출량을 유지하는 푸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도료가 저장되어 포장된 도료저장팩을 하우징에 장착 후 도료저장팩의 일측을 개방시키며 스프레이 건 측으로 분출시킴으로써 분출량을 일정하게 확보할 수 있고, 도료저장팩의 사용으로 인해 도료의 보관 및 사용에 편의성을 제공하며, 서로 다른 색상의 도료를 저장한 도료저장팩을 하우징 내측에 수납 후 동시에 도료를 분출함으로써 뿜칠의 인테리어 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도료저장팩을 가압하는 가압판부재의 둘레면에 외측으로 벌어지려는 힘이 작용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도료저장팩이 가압판부재와 하우징 사이에 끼여서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체이송장치{SPRAY GUN}
본 발명은 유체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료가 저장되어 포장된 도료저장팩을 하우징에 장착 후 도료저장팩의 일측을 개방시키며 스프레이 건 측으로 분출시킴으로써 분출량을 일정하게 확보할 수 있고, 도료저장팩의 사용으로 인해 도료의 보관 및 사용에 편의성을 제공하며, 서로 다른 색상의 도료를 저장한 도료저장팩을 하우징 내측에 수납 후 동시에 도료를 분출함으로써 뿜칠의 인테리어 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도료저장팩을 가압하는 가압판부재의 둘레면에 외측으로 벌어지려는 힘이 작용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도료저장팩이 가압판부재와 하우징 사이에 끼여서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체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 스프레이는 건(gun)의 형태를 지니며 에어호스와 연결되어 고압의 공기와 함께 도료 및 샌드 등의 소재를 분사하면서 도장 작업 및 샌드브라스팅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 중 탄성코트용 에어 스프레이 건 건축용 인테리어 도장 작업에 주로 사용된다.
여기서, 탄성코트는 특수 수용성 수지와 고급 안료로 설계된 최고급 인테리어 도료로서 크랙이 커버되고 보수 도장이 용이하며 천연 대리석질감의 환경친화적인 수성 특수 도료이다. 특히, 탄성코트는 벽면용으로 사용되어 시멘트의 부식방지, 내구성, 습기 방지 등에 쓰이게 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탄성코트용 스프레이 장치에 대해서는 국내등록특허 제10-1083270호(발명의 명칭: 뿜칠형 엠보싱 무늬 시공 장치 및 방법)에 제안된 바 있다.
기존의 탄성코트용 에어 스프레이장치는 압축기를 이용하여 번갈아 에어를 공급받아 비연속되게 도료를 분사함으로써 뿜칠 품질이 고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료가 저장되어 포장된 도료저장팩을 하우징에 장착 후 도료저장팩의 일측을 찢거나 개방시켜 스프레이 건 측으로 분출 유도함으로써 분출량을 일정하게 확보하고자 하는 유체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포장된 도료저장팩을 하우징에 수납하여 도료를 분출함에 따라 도료의 보관 및 사용에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유체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색상의 도료 또는 동일 색상의 도료를 저장한 복수 개의 도료저장팩을 하우징 내측에 수납 후 동시에 도료를 분출함으로써 뿜칠의 인테리어 감각을 향상시키거나 뿜칠 속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유체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료저장팩을 가압하는 가압판부재의 둘레면에 외측으로 벌어지려는 힘이 작용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도료저장팩이 가압판부재와 하우징 사이에 끼여서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유체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송장치는: 도료액을 스프레이 건으로 이송 안내하기 위해 도료토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고, 도료액을 저장하는 도료저장팩; 상기 도료저장팩을 상기 도료토출구 측으로 개방시켜 도료의 토출을 허용하는 개방부; 및 상기 도료저장팩을 상기 도료토출구 측으로 밀어 도료의 토출량을 유지하는 푸쉬부를 포함한다.
상기 푸쉬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도료저장팩을 상기 도료토출구 측으로 밀어 가압하는 가압판부재; 및 상기 가압판부재를 상기 도료토출구 측으로 밀도록 작동하는 작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판부재는, 가압되는 상기 도료저장팩이 상기 가압판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둘레면에 지지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도료토출구를 갖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도료저장팩의 수납을 허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도료저장팩을 복수 개 구비하고, 상기 개방부를 복수 개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개방부는, 상기 하우징에 수납된 채 상기 도로토출구 측으로 밀리는 상기 도료저장팩을 뚫는 핀부재; 및 상기 도료토출구 내측면 또는 상기 하우징 내측면에서 복수 개 연장되어 상기 핀부재를 지지하는 리브를 포함한다.
다른 예로서, 상기 개방부는, 상기 도료저장팩의 일측에 연장되어 상기 도료토출구에 수납되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료저장팩의 도료가 분출되는 것을 허용하고, 외기의 유입을 방지하는 체크밸브부재;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하여, 상기 도료저장팩의 미사용시 상기 체크밸브부재를 보호하는 캡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판부재는 상기 지지부재를 안착하기 위해 탄턱을 둘레면에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원주 궤적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탄성적으로 벌어지기 위해 절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키트가 분리 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키트는 상기 도료저장팩을 하나 이상 수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송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도료가 저장되어 포장된 도료저장팩을 하우징에 장착 후 도료저장팩의 일측을 찢거나 개방시켜 스프레이 건 측으로 분출 유도함으로써 분출량을 일정하게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포장된 도료저장팩을 하우징에 수납하여 도료를 분출함에 따라 도료의 보관 및 사용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색상의 도료 또는 동일 색상의 도료를 저장한 복수 개의 도료저장팩을 하우징 내측에 수납 후 동시에 도료를 분출함으로써 뿜칠의 인테리어 감각을 향상시키거나 뿜칠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료저장팩을 가압하는 가압판부재의 둘레면에 외측으로 벌어지려는 힘이 작용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도료저장팩이 가압판부재와 하우징 사이에 끼여서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장치의 도료 분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장치의 가압판부재가 안내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배치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장치의 푸쉬부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송장치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장치의 도료 분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장치는 하우징(10), 도료저장팩(20), 개방부(30) 및 푸쉬부(4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고, 일측으로 개방되는 도료토출구(12)를 형성한다. 물론, 하우징(1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하우징(10)은 손잡이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도료저장팩(20)은 탄성코트용 등의 도료를 저장한다. 특히, 도료저장팩(20)은 규격 용량만큼의 도료를 포장한 채 유통된다.
아울러, 도료저장팩(20)은 비닐 등 찢어질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물론, 도료저장팩(20)은 특정 부위가 잘 찢어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특히, 도료저장팩(20)은 액체 상태인 도료를 저장하고, 비닐 재질임에 따라, 하우징(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0)은 도료토출구(12)를 형성한 일측에 반대되는 측을 개방하여 도료저장팩(20)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한편, 개방부(30)는 도료저장팩(20)을 도료토출구(12) 측으로 개방시켜 도료의 토출을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즉, 개방부(30)는 하우징(10) 또는 도료토출구(12) 내측에 구비되어 밀리는 도료저장팩(20)을 자연적으로 찢어 도료의 토출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개방부(30)는 핀부재(31) 및 리브(32)를 포함한다.
핀부재(31)는 하우징(10) 또는 도료토출구(12) 내측에 구비되어 도료토출구(12) 측으로 강제 밀려오는 도료저장팩(20)을 자연적으로 뚫는 역할을 한다. 물론, 핀부재(31)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리브(32)는 도료토출구(12) 내측면 또는 하우징(10) 내측면에서 복수 개 연장되어 핀부재(3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료저장팩(20)으로부터 도료가 도료토출구(12) 측으로 분출 허용하도록 방사상으로 복수 개 구비된다.
이때, 리브(32)는 핀부재(31)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도료저장팩(20)이 도료액을 담아 팽창되어 있는 상태에서 핀부재(31)에 의해 통공될 경우 수축하게 되는데, 하우징(10) 또는 핀부재(31)는 통공 부위가 도료토출구(12) 측을 향하도록 도료저장팩(20)을 지지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하우징(10)의 도료토출구(12) 측에는 체크밸브부재(36)가 구비될 수 있다. 체크밸브부재(36)는 도료토출구(12) 외측으로 분출되는 도료액이 하우징(10) 내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푸쉬부(40)는 도료저장팩(20)을 도료토출구(12) 측으로 밀어 도료의 토출량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푸쉬부(40)는 도료저장팩(20)을 도료토출구(12) 측으로 밀어 핀부재(31)에 의해 뚫리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푸쉬부(40)는 가압판부재(42) 및 작동부(44)를 포함한다.
가압판부재(42)는 하우징(10)의 내측에 구비되어 도료저장팩(20)을 도료토출구(12) 측으로 밀어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작동부(44)는 가압판부재(42)를 도료토출구(12) 측으로 밀도록 작동하는 것으로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한 실린더 등으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작동부(44)는 하우징(10) 내부에 매립될 수도 있고, 하우징(10) 외측에서 하우징(10) 내측의 가압판부재(42)를 밀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료토출구(12)에서 토출되는 도료액은 스프레이 건(2)으로 이송된다.
즉, 스프레이 건(2)은 일측과 타측으로 개방되는 메인채널(4)을 형성한다. 메인채널(4)의 일측은 외기(air)가 공급되고, 메인채널(4)의 타측은 외기와 도료액이 혼합되어 토출(뿜칠)된다.
그리고, 스프레이 건(2)은 둘레면에서 메인채널(4)로 연결되는 서브채널(6)을 형성한다. 서브채널(6)은 도료토출구(12)에서 토출되는 도료액을 공급받는 역할을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장치의 가압판부재가 안내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장치는 하우징(10), 도료저장팩(20), 개방부(30) 및 푸쉬부(40)를 포함한다.
도료저장팩(20)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하우징(10)은 도료저장팩(20)의 수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헤드부(15) 및 케이싱(17)으로 나뉜다.
헤드부(15)는 대략 깔대기 형상으로서, 도료토출구(12)를 구비한다. 물론, 헤드부(15)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케이싱(17)은 헤드부(15)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도료저장팩(20)의 수납을 허용한다. 물론, 케이싱(17)은 나사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헤드부(15)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이때, 하우징(10)은 도료저장팩(20)이 도로토출구 측으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내측면에 가이드리브(14)를 복수 개 구비할 수 있다. 물론, 가이드리브(1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개수 및 크기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개방부(30)는 개구부(35), 체크밸브부재(36) 및 캡(37)을 포함한다.
개구부(35)는 도료저장팩(20)의 일측에 연장되거나 구비되고, 도료액의 토출을 허용하며, 도료토출구(12) 내측에 수납되어 위치 고정된다. 이때, 개구부(35)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체크밸브부재(36)는 개구부(35) 내측에 구비되어, 도료저장팩(20)의 도료가 분출되는 것을 허용하고, 반대로 외기의 유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체크밸브부재(3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캡(37)은 개구부(35)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하여, 도료저장팩(20)의 미사용시 체크밸브부재(36)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캡(37)은 개구부(35)에 나사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푸쉬부(40)는 가압판부재(42) 및 작동부(44)를 포함한다.
가압판부재(42)는 하우징(10)의 내측에 구비되어 도료저장팩(20)을 도료토출구(12) 측으로 밀어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가압판부재(42)는 하우징(10)의 가이드리브(14) 사이를 따라 직선 안내되도록 둘레면에 돌부(43)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가압판부재(42)는 하우징(10)의 가이드리브(14) 사이를 따라 직선 안내되도록 둘레면에 돌부(43)를 형성할 수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배치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장치는 하우징(10), 도료저장팩(20), 개방부(30), 푸쉬부(40) 및 지지부재(50)를 포함한다.
하우징(10), 도료저장팩(20), 개방부(30) 및 푸쉬부(4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특히, 도료저장팩(20)은 가요성과 팽창성을 갖는 고무나 수지 재질임에 따라 가압되는 과정에서 가압판부재(42)와 하우징(10)의 내측면에 끼일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도료저장팩(20)은 끼인 부위가 터짐으로써 도료가 하우징(10)의 후측으로 누출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지지부재(50)는 가압되는 도료저장팩(20)이 가압판부재(42)와 하우징(10)의 내측면 사이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둘레면에 형성된다.
특히, 지지부재(50)는 하우징(10)의 내측면 원주 궤적과 동일하게 형성되면서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하우징(1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절개된 절개부(52)를 구비한다.
아울러, 가압판부재(42)는 둘레면에 단턱(45)을 형성할 수 있다. 단턱(45)은 지지부재(50)를 지지하여 가압판부재(42)가 도료토출구(12) 측으로 전진시 지지부재(50)의 후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단턱(45)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지지부재(50)는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고, 개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편의상, 지지부재(50)는 3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이때, 지지부재(50)가 복수로 구비될 경우, 절개부(52)의 위치는 상이하게 배치된다. 이로 인해, 지지부재(50) 전체가 하우징(10)의 내측면에 원주 궤적을 따라 비교적 고른 힘으로 밀착된다. 물론, 지지부재(5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가압판부재(42)는 둘레면이 경사진 경사면(46)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가압판부재(42)는 도료저장팩(20)과 접하는 전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아울러, 링 형상인 복수 개의 지지부재(50)는 각각이 경사면(46)에 내측면에 접하도록 내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부재(50) 각각의 외경은 유사하거나 동일한 것으로 한다.
이에 따라, 도료저장팩(20)과 직접적으로 접하는 지지부재(50)의 표면적이 다른 지지부재(50) 보다 넓으며, 최상측의 지지부재(50)가 도료저장팩(20)을 미는 힘을 증대하면서 절개부(52)에 의해 하우징(10)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최상측의 지지부재(50) 하측에 배치되는 지지부재(50)가 최상측의 지지부재(50)를 지지하면서 각각이 절개부(52)에 의해 하우징(10)의 내측면에 밀착됨에 따라, 압축 기밀성이 향상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장치는 하우징(10), 도료저장팩(20), 개방부(30) 및 푸쉬부(40)를 포함한다.
하우징(10) 및 푸쉬부(4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또한, 도료저장팩(20)은 서로 다른 색상의 도료를 동시에 분출하거나, 많은 양의 도료를 분출하기 위해 복수 개가 동시에 하우징(10)에 수납될 수 있다.
이때, 개방부(30)는 도료저장팩(20)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하우징(10)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개방부(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핀부재(31) 및 리브(32)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하우징(10) 또는 가압판부재(42)는 복수 개의 도료저장팩(20)이 대응되는 개방부(30) 측으로 가압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부재(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할 수 있다. 안내부재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장치는 하우징(10), 도료저장팩(20), 개방부(30), 푸쉬부(40) 및 키트(60)를 포함한다.
하우징(10), 도료저장팩(20), 개방부(30) 및 푸쉬부(4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특히, 작업자가 일일이 정형화되지 않은 풍선 형태의 도료저장팩(20)을 하우징(10)에 하나 이상 수납하기 불편하게 된다.
그래서, 키트(60)가 도료저장팩(20)을 하나 이상 수납한 상태로 유통, 보관되며, 작업자는 하우징(10)에 경질의 키트(60)를 교체하는 작업만으로 도료저장팩(2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트(60)는 하우징(10) 내측에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삽입 및 이탈 가능하게 형성된다. 물론, 키트(60)는 하우징(10) 내측에 삽입 후 로킹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키트(60)는 수납된 도료저장팩(20)이 가압되는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랜지(62)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압판부재(42)는 키트(60) 내측에 배치되어 도료저장팩(20)을 도료토출구(12) 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장치의 푸쉬부 측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장치는 하우징(10), 도료저장팩(20), 푸쉬부(40) 및 지지부재(50)를 포함한다.
하우징(10) 및 도료저장팩(20)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또한, 푸쉬부(40)는 가압판부재(42) 및 작동부(44)를 포함한다.
가압판부재(42)는 하우징(10)의 내측에 구비되어 도료저장팩(20)을 도료토출구(12) 측으로 밀어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작동부(44)는 가압판부재(42)를 도료토출구(12) 측으로 밀도록 작동하는 것으로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한 실린더 등으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작동부(44)는 하우징(10) 내부에 매립될 수도 있고, 하우징(10) 외측에서 하우징(10) 내측의 가압판부재(42)를 밀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부재(50)는 가압판부재(42)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하우징(10)의 내측면에 접하게 된다. 이는, 압축 기밀성 확보를 위해 지지부재(50)가 구비된다. 물론, 지지부재(50)는 가압판부재(42)의 단부를 덮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아울러, 지지부재(50)가 하우징(10)의 내측면에 항상 접하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지지부재(50)는 둘레면에 경사면(46)을 형성한다. 경사면(46)은 도료저장팩(20)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들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특히, 경사면(46)은 탄성 변형량에 한계가 있고, 탄성 변형시 찢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지지부재(50)는 둘레면에 절개부(52)를 형성한다. 절개부(52)는 지지부재(50) 둘레면의 일부가 절개되어 지지부재(50)의 충분한 탄성 변형을 허용하고, 지지부재(50)의 변형을 허용함으로써 찢어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절개부(5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하우징 12: 도료토출구
14: 가이드리브 15: 헤드부
17: 케이싱 20: 도료저장팩
30: 개방부 31: 핀부재
32: 리브 35: 개구부
36: 체크밸브부재 37: 캡
40: 푸쉬부 42: 가압판부재
43: 돌부 44: 작동부

Claims (8)

  1. 도료액을 스프레이 건으로 이송 안내하기 위해 도료토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고, 도료액을 저장하는 도료저장팩;
    상기 도료저장팩을 상기 도료토출구 측으로 개방시켜 도료의 토출을 허용하는 개방부; 및
    상기 도료저장팩을 상기 도료토출구 측으로 밀어 도료의 토출량을 유지하는 푸쉬부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도료저장팩을 상기 도료토출구 측으로 밀어 가압하는 가압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판부재는, 가압되는 상기 도료저장팩이 상기 가압판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도료토출구를 갖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도료저장팩의 수납을 허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도료저장팩을 복수 개 구비하고, 상기 개방부를 복수 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상기 하우징에 수납된 채 상기 도로토출구 측으로 밀리는 상기 도료저장팩을 뚫는 핀부재; 및
    상기 도료토출구 내측면 또는 상기 하우징 내측면에서 복수 개 연장되어 상기 핀부재를 지지하는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상기 도료저장팩의 일측에 연장되어 상기 도료토출구에 수납되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료저장팩의 도료가 분출되는 것을 허용하고, 외기의 유입을 방지하는 체크밸브부재;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하여, 상기 도료저장팩의 미사용시 상기 체크밸브부재를 보호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장치.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는, 상기 가압판부재를 상기 도료토출구 측으로 밀도록 작동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부재는 상기 지지부재를 안착하기 위해 탄턱을 둘레면에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탄성적으로 벌어지기 위해 절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키트가 분리 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키트는 상기 도료저장팩을 하나 이상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장치.
KR1020160086360A 2016-01-15 2016-07-07 유체이송장치 KR1018736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05601 2016-01-15
KR1020160005601 2016-0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5937A true KR20170085937A (ko) 2017-07-25
KR101873635B1 KR101873635B1 (ko) 2018-07-02

Family

ID=59422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360A KR101873635B1 (ko) 2016-01-15 2016-07-07 유체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63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6603A (ja) 2000-10-19 2002-05-08 Kansai Paint Co Ltd 圧送式塗料供給装置
JP4206301B2 (ja) 2002-11-15 2009-01-07 日本工機株式会社 防犯用液体噴射装置
JP2009023684A (ja) 2007-07-19 2009-02-05 Eiji Mori 塗装スプレー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3635B1 (ko) 2018-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8196B2 (en) Cartridge-type coating machine and cartridge thereof
US20230191446A1 (en) Texturizing a wall or ceiling with non-acoustical joint compound
US7703704B2 (en) Spray gun
JP5400359B2 (ja) ガス噴射ノズル
BRPI0918254B1 (pt) bocal de reparo e sistema de reparo
NO329202B1 (no) Forbedringer i og relatert til vaeskeutdelingsapparat
CN109203835B (zh) 一种油画绘制用喷枪装置
KR101873635B1 (ko) 유체이송장치
CN110525053A (zh) 一种环形墨盒
US7222803B2 (e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US20070215721A1 (en) Spray gun
KR101848596B1 (ko) 유체이송장치
US10239185B2 (en) Self-powered pressurized granular particle ejector tool with remote operation
US10604331B2 (en) Reusable spray apparatus
JP2007326579A (ja) 噴出器の内容物混合装置、および噴出器
JP2004213602A (ja) 防犯用液体噴射装置
KR101992025B1 (ko) 도료 분출장치
US7798429B1 (en) Handheld spray receptor
KR20180102748A (ko) 도료 분사장치
KR200491806Y1 (ko) 스프레이 도장용 호퍼건
CN114025887B (zh) 气动喷枪筒
KR200382244Y1 (ko) 에어 스프레이
JP2022134728A (ja) エアゾールスプレー缶
CN111867736A (zh) 手持式流体喷射器
KR20130123001A (ko)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