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5894A - 산업용 장갑 - Google Patents

산업용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5894A
KR20170085894A KR1020160005603A KR20160005603A KR20170085894A KR 20170085894 A KR20170085894 A KR 20170085894A KR 1020160005603 A KR1020160005603 A KR 1020160005603A KR 20160005603 A KR20160005603 A KR 20160005603A KR 20170085894 A KR20170085894 A KR 20170085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layer
bone
hand
glove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5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4849B1 (ko
Inventor
최봉수
Original Assignee
최봉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봉수 filed Critical 최봉수
Priority to KR1020160005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849B1/ko
Publication of KR20170085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5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47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 A41D19/01558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using a layer of grip improv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47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착용되는 장갑으로, 손바닥면에 불투수성 합성수지 재질 코팅층과, 상기 코팅층에서 돌출된 복수의 라인 형태로 형성되는 베이스 리브와, 상기 코팅층에서 도트 형태로 돌출형성된 마찰돌기를 구비하며, 손등면은 통기성 재질의 커버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에 손허리뼈와 손가락뼈에 대응하여 분할 형성된 완충블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장갑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산업용 장갑{GLOVE FOR INDUSTRIAL}
본 발명은 시추작업 등을 비롯한 산업 현장에서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작업자의 손을 보호하고, 원유 등의 오일류가 장갑의 표면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산업용 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갑은 사용자의 손에 착용 되어 피부 손상, 추위, 충격 등으로부터 손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형태상으로는 5개의 손가락을 분리해 놓은 글러브(glove)와 엄지만을 분리한 미튼(mitten)으로 분리할 수 있으며, 손가락 전체를 감싸는 구조를 가지거나, 손가락을 노출시키는 반장갑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장갑의 경우 작업장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액상의 오염물질이나 유해물질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함과 아울러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작업자의 손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질 수 있는 부위와 사용 환경에 따란 다양한 모양과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종래의 산업용 장갑의 경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충격흡수 부재의 부착이 불가피하나, 이러한 충격흡수 부재의 부착으로 인하여 작업자의 손놀림이 제한되어 작업성이 저해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예를 들면, 오일 등의 시추작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장갑의 경우 드릴 관이나 라이저 등의 시추장비로부터 작업자의 손을 보호하기 위하여 장갑에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부재가 마련되는 데, 이러한 충격흡수 부재는 장갑을 하드(hard)하게 하여 작업자의 손놀림을 제한하며, 이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장갑의 손바닥 면에 오일이 묻으면 오일로 인하여 작업자가 물건을 파지하거나 고정하려고 할 때 오일로 인하여 마찰력이 저하되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갑의 손바닥면에 오일이 잘 묻지 않도록 하고, 오일이 묻더라도 손바닥면의 마찰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산업용 장갑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갑의 손등면에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작업자의 손을 보호할 수 있으면서, 작업성을 저해시키지 않는 산업용 장갑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착용되는 장갑으로,
손바닥면에 구비되는 불투수성 합성수지 재질 코팅층과, 상기 코팅층에서 돌출된 복수의 라인 형태로 형성되는 베이스 리브와, 상기 코팅층에서 도트 형태로 돌출성된 마찰돌기를 구비하는 산업용 장갑을 제공한다.
상기 마찰돌기는 손가락의 마디면에 대응하는 영역과, 엄지손가락의 손허리뼈에 대응하는 영역과, 새끼손가락의 손허리뼈에 대응하는 영역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찰돌기는 손가락의 마디면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제1마찰돌기가 구비되고, 엄지손가락의 손허리뼈에 대응하는 영역과, 새끼손가락의 손허리뼈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제2마찰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제1마찰돌기는 원뿔 모양을 가지며, 상기 제2마찰돌기는 삼각뿔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돌기는 상기 베이스 리브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돌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장갑의 손등면은 통기성 재질의 커버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에 부착된 복수의 완충블럭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블럭은 이격간격을 가지도록 배열되며, 손가락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분할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블럭은 손허리뼈와 첫마디뼈 사이의 관절 부분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허리뼈와 첫마디뼈 사이의 관절 부분에 구비된 완충블럭은 신축성의 향상을 위한 복수개의 타공을 구비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엄지손가락의 손허리뼈에 대응하는 영역에 구비되는 완충블럭은 손가락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분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착용되는 장갑으로, 손바닥면에 불투수성 합성수지 재질 코팅층과, 상기 코팅층에서 돌출된 복수의 라인 형태로 형성되는 베이스 리브와, 상기 코팅층에서 도트 형태로 돌출형성된 마찰돌기를 구비하며, 손등면은 통기성 재질의 커버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에 손허리뼈와 손가락뼈에 대응하여 분할 형성된 완충블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장갑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장갑은 손바닥면에 기름이 잘 묻지 않으며, 기름이 묻더라도 손바닥면과 작업대상물 사이에 마찰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장갑은 손등면이 통기성 재질의 커버 부재로 이루어져 땀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져온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장갑은 손등면에 완충블럭을 구비하되, 손의 해부학적 뼈 구조에 대응하도록 함으로써 손의 움직임이 자유로워 완충블럭의 배치로 인하여 작업성이 저해되지 않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장갑의 손바닥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장갑의 제1마찰돌기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장갑의 제2마찰돌기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장갑의 손등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장갑은 손바닥면은 오일류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불투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손등면은 땀의 배출을 위하여 통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손바닥면의 경우에는 오일류가 묻었을 경우에도 작업물과 장갑의 손바닥면 사이의 마찰력을 확보할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손등면의 경우에는 손의 뼈 형상에 대응하여 완충블록을 구비함으로써, 손등면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작업자의 손을 보호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손놀림이 저해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장갑의 손바닥면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장갑의 제1마찰돌기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장갑의 제2마찰돌기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장갑의 손바닥면(110)은 불투수성 합성수지 재질의 코팅층(120)이 구비되고, 상기 코팅층(120)에 베이스 리브(130)와, 마찰돌기(140,150)를 구비한다.
합성수지 재질의 코팅층(120)은 탄성과, 오일류에 대한 내화학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리브(130)는 상기 코팅층(120)과 동일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리브(130)는 상기 코팅층(120)에서 돌출된 모양으로 형성되며, 복수의 라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리브(130)의 사이에는 이격 간격이 배치된다.
마찰돌기(140,150)는 도트 형태로 돌출 형성된다. 마찰돌기(140,150)는 손바닥면으로 물건을 잡을 때, 물건과 마찰하게 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찰돌기(140, 150)는 손가락의 마디면과, 손 바닥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손가락은 5개의 첫마디뼈와, 4개의 중간마디뼈(엄지손가락은 중간 마디뼈가 없다), 5개의 끝마디뼈를 포함한다.
여기서 손가락의 마디면이라고 함은, 손바닥에서 손가락의 마디뼈의 중간부분들에 대응하는 면을 의미한다.
손가락의 마디면에 구비되는 마찰돌기를 제1마찰돌기(140)로, 칭하고, 손바닥면면에 구비되는 마찰돌기를 제2마찰돌기(150)로 칭한다.
제2마찰돌기(150)는 엄지손가락의 손허리뼈에 대응하는 영역과, 새끼손가락의 손허리뼈에 대응는 영역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으로 물건을 잡을 때, 물건과 접촉하는 부분이 이 부분들이기 때문이다.
제1마찰돌기(140) 원뿔 모양으로 형성되며, 도트 형태로 조밀하게 배치되고, 제2마찰돌기(150)는 삼각뿔 모양으로 형성되며, 도트 형태로 배치된다.
제2마찰돌기(150)는 제1마찰돌기(140)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갑을 낀 손으로 물건을 잡았을 때, 제2마찰돌기(150)가 형성된 영역이 제1마찰돌기(140)가 형성된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큰 압력을 받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한편, 제1마찰돌기(140)와, 제2마찰돌기(150)는 베이스 리브(130)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장갑의 손바닥면에 오일류가 묻은 상태로 물건을 잡았을 때, 손바닥면과 물건 사이의 압력에 의하여 장갑의 손바닥면에 묻은 오일류가 옆으로 밀려나면서, 제1마찰돌기(140)와, 제2마찰돌기(150)가 물건에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건과 장갑의 손바닥면 사이에 마찰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장갑의 손등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장갑에 있어서, 손등면은 땀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며, 작업자의 손등을 보호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손등면(210)은 통기성 재질의 커버 부재(220)와, 상기 커버 부재(220)에 부착된 복수의 완충블럭(230)을 포함한다.
손등면까지 불투수성 재질로 형성할 경우, 작업중 손에서 발생하는 땀이 외부로 배출될 수 없어서 사용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손등면을 덮는 커버 부재(210)는 통기성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블럭(230)은 강도를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블록 형태로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여 손의 부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그런데, 강도를 가지는 완충블럭의 형태에 따라 장갑을 낀 손의 움직임이 제한을 받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완충블럭(230)을 손의 뼈 구조에 대응하게 형성함으로써, 완충블럭(230)이 손의 움직임일 저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손의 뼈대는 8개의 손목뼈(수근골)와 5개의 손허리뼈(중수골), 그리고 14개의 손가락뼈(지골)로 구성된다.
8개의 손목뼈(수근골)는 큰마름뼈(대능형골), 작은마름뼈(소능형골), 알머리뼈(유두골), 갈고리뼈(유구골), 콩알뼈(두상골), 세모뼈(삼각골), 반달뼈(월상골),그리고 손배뼈(주상골)로 구성된다.
손바닥을 구성하는 손허리뼈(중수골)는 모두 5개가 존재한다. 손가락을 구성하는 손가락뼈(지골)에는 5개의 첫마디뼈(기절골), 4개의 중간마디뼈(중절골), 그리고 5개의 끝마디뼈(말절골)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산업용 장갑은 손허리뼈와, 손가락뼈에 대응하는 위치에 완충블럭(230)을 구비하되. 뼈의 형상에 대응하게 분할 형성됨으로써 손의 움직임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손가락뼈에 대응하는 영역(A)의 완충블럭은 손가락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분할형성된어, 손가락의 관절 움직임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새끼 손가락뼈에 대응하는 영역을 A로 표시하였으나, 나머지 손가락뼈에 대응하는 영역의 경우도 동일하다.)
또한, 손허리뼈와 첫마디뼈 사이의 관절 영역(B)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허리뼈와 첫마디뼈 사이의 관절 부분은 주먹을 쥐거나 할 때 돌출되는 부분으로 부상의 위험이 높기 때문이다.
이 때, 상기 손허리뼈와 첫마디뼈 사이의 관절 부분에 구비된 완충블럭은 신축성의 향상을 위한 복수개의 타공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공은 완충블럭의 변형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한편, 엄지손가락의 손허리뼈에 대응하는 영역(C)에 구비되는 완충블럭은 손가락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분할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부분은 상하 좌우로 운동 범위가 넓은 부분으로, 엄지손가락의 관절의 움직임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손바닥면
120 : 코팅층
130 : 베이스 리브
140 : 제1마찰돌기
150 : 제2마찰돌기
210 : 손등면
220 : 커버 부재
230 : 완충블럭

Claims (10)

  1. 사용자에게 착용되는 장갑으로,
    손바닥면에 구비되는 불투수성 합성수지 재질 코팅층과,
    상기 코팅층에서 돌출된 복수의 라인 형태로 형성되는 베이스 리브와,
    상기 코팅층에서 도트 형태로 돌출 형성된 마찰돌기를 구비하는 산업용 장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돌기는 손가락의 마디면에 대응하는 영역과,
    엄지손가락의 손허리뼈에 대응하는 영역과, 새끼손가락의 손허리뼈에 대응하는 영역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장갑.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돌기는 손가락의 마디면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제1마찰돌기가 구비되고,
    엄지손가락의 손허리뼈에 대응하는 영역과, 새끼손가락의 손허리뼈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제2마찰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제1마찰돌기는 원뿔 모양을 가지며,
    상기 제2마찰돌기는 삼각뿔 모양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장갑.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돌기는 상기 베이스 리브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장갑.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의 손등면은 통기성 재질의 커버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에 부착된 복수의 완충블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장갑.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블럭은 이격간격을 가지도록 배열되며,
    손가락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분할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장갑.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블럭은 손허리뼈와 첫마디뼈 사이의 관절 부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장갑.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손허리뼈와 첫마디뼈 사이의 관절 부분에 구비된 완충블럭은 신축성의 향상을 위한 복수개의 타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장갑.
  9. 제 5 항에 있어서,
    엄지손가락의 손허리뼈에 대응하는 영역에 구비되는 완충블럭은 손가락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분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장갑.
  10. 사용자에게 착용되는 장갑으로,
    손바닥면에 불투수성 합성수지 재질 코팅층과, 상기 코팅층에서 돌출된 복수의 라인 형태로 형성되는 베이스 리브와, 상기 코팅층에서 도트 형태로 돌출형성된 마찰돌기를 구비하며,
    손등면은 통기성 재질의 커버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에 손허리뼈와 손가락뼈에 대응하여 분할 형성된 완충블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장갑.
KR1020160005603A 2016-01-15 2016-01-15 산업용 장갑 KR101774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603A KR101774849B1 (ko) 2016-01-15 2016-01-15 산업용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603A KR101774849B1 (ko) 2016-01-15 2016-01-15 산업용 장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5894A true KR20170085894A (ko) 2017-07-25
KR101774849B1 KR101774849B1 (ko) 2017-09-05

Family

ID=59426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5603A KR101774849B1 (ko) 2016-01-15 2016-01-15 산업용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8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0051A1 (en) * 2018-06-28 2020-01-02 Ansell Limited Supported gloves with in-grip features
KR102545855B1 (ko) * 2023-01-13 2023-06-21 주식회사 가드원 안전장갑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4409A (ja) * 2000-02-25 2001-08-31 Chubu Bussan Boeki Kk 作業用手袋
JP2002013014A (ja) 2000-04-26 2002-01-18 Chubu Bussan Boeki Kk 作業用手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0051A1 (en) * 2018-06-28 2020-01-02 Ansell Limited Supported gloves with in-grip features
KR102545855B1 (ko) * 2023-01-13 2023-06-21 주식회사 가드원 안전장갑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4849B1 (ko) 2017-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6146B1 (ko) 오일 및 천연가스 추출 산업용 장갑
WO2018085543A3 (en) Protective glove including impact protection
US10701993B2 (en) Industrial impact safety glove
US8490217B2 (en) Glove with index finger grip and impact guard
CA2278389C (en) Glove for preventing carpal tunnel syndrome
US9572383B2 (en) Cycling glove
US20150181955A1 (en) Ambidextrous, anti-vibration glove with impact and pinch point protection
US9527190B2 (en) High articulation glove with removable work surface attachments
US9635992B2 (en) Scrub gloves
KR101169445B1 (ko) 산업용 장갑
KR101499436B1 (ko) 장갑
KR101774849B1 (ko) 산업용 장갑
US20040221365A1 (en) Glove with seamless finger tips and gussets
WO2005048751A2 (en) High strength, impact resistant hand protector
JP3184379U (ja) 手動工具
JP2004528902A5 (ko)
KR20180128762A (ko) 작업용 장갑
RU2438533C2 (ru) Рукавицы виброзащитные типа кс
CN104720161A (zh) 抗震防寒手套
RU118846U1 (ru) Рукавицы виброзащитные
RU2438534C2 (ru) Виброзащитные рукавицы типа кс
KR102545855B1 (ko) 안전장갑 및 이의 제조방법
RU2513971C1 (ru) Рабочие рукавицы
KR200304345Y1 (ko) 다목적 작업용 장갑
KR100749793B1 (ko) 진동 흡수력을 증대시킨 작업용 장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