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4757A - 단말 및 그 비연속 수신 모드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및 그 비연속 수신 모드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4757A
KR20170084757A KR1020160003873A KR20160003873A KR20170084757A KR 20170084757 A KR20170084757 A KR 20170084757A KR 1020160003873 A KR1020160003873 A KR 1020160003873A KR 20160003873 A KR20160003873 A KR 20160003873A KR 20170084757 A KR20170084757 A KR 20170084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over
sleep
sleep state
state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익
장성철
정수정
조승권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03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4757A/ko
Publication of KR20170084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47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16Hand-off preparation specially adapted for end-to-end data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단말 및 그 비연속 수신 모드 운용 방법이 개시된다. 단말은 단기 수면 상태에서 소정의 기간 동안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패킷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장기 수면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DRX(Handover-Discontinuous Reception)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장기 수면 상태의 수면 사이클 구간보다 짧은 수면 사이클 구간을 가지는 핸드오버 수면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 및 그 비연속 수신 모드 운용 방법{TERMINAL AND DISCONTINUOUS RECEPTION MODE MANAGEMENT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단말 및 그 비연속 수신 모드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LTE와 LTE-Advanced와 같은 무선이동통신은 VoIP 및 비디오 스트리밍과 같은 실시간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사용자 만족(user satisfaction)을 보장함과 동시에 단말의 소비 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비연속 수신(DRX, Discontinuous Reception) 기술을 채택하고 있다.
DRX 모드는 단말이 미리 설정된(predetermined) 구간 동안 단말의 수신기를 끄는 것으로서, 단말은 수면 구간(Sleep period) 동안 배터리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수면 구간에서 송신 패킷이 발생하는 경우, 소스 기지국(Source base station)은 DRX 사이클의 온 기간(On Duration, 즉, 주기적 데이터 전송 구간)이 발생할 때까지 송신 패킷을 버퍼링한다. 이로 인해, 지연(delay)이 DRX 사이클(cycle) 크기에 따라 발생한다.
한편, 이러한 실시간(real time) 트래픽에 대한 저지연 보장(low latency guarantee)은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할 시에도 필요하다. 단말이 핸드오버 수행 시 무선 링크가 끊어지는 경우(radio link failure), 단말은 통신연결 복귀하기 위해 셀 탐색(cell search)과 같은 재접속을 시도한다. 이로 인해, 서비스 중단 시간(service interruption time)이 발생하여 QoS(Quality of Service)를 보장 할 수 없을 수 있다. 이때, 단말이 DRX 모드로 동작 중인 경우에는 DRX의 장기 수면 구간(long sleep period)로 인해 소스 기지국으로부터의 핸드오버 시그널링 메시지들의 전송이 연기될 수 있다.
단말의 핸드오버 절차는 다음과 같다. 단말로부터 인접셀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를 수신한 소스 기지국은 단말의 핸드오버 여부를 결정한다. 소스 기지국은 타겟(Target) 기지국(후보 셀)들로 핸드오버 수락(handover admission)을 요청하고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피드백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소스 기지국은 단말로 핸드오버 요청(Handover Command)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와 같은 핸드오버 절차에서 단말이 DRX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소스 기지국은 단말이 온 기간(On Duration)이 될 때까지 버피링 한 후 핸드오버 명령(Handover Command)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이로 인해 핸드오버 절차의 지연 시간이 증가하게 되며, 핸드오버 실패 확률(handover failure probability)가 증가한다. 그리고 단말은 소스 기지국 또는 타겟 기지국으로 재접속을 수행하게 되고, 결국 단말의 서비스 중단 시간(service interruption time)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 유럽 등록 특허 1,915,010(EP 1,915,010 B1)가 있다. 이 특허는 단말이 소스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위한 인접셀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 메시지를 전송할 시에, 단말의 핸드오버가 완료될 때까지 DRX 모드를 비활성화를 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매크로셀 엣지(macro cell edge) 또는 소형 셀(small cepp) 내에 있는 단말들이 인접셀 측정보고(Measurement Report) 메시지를 자주 전송하거나 또는 소스 기지국에서의 핸드오버 결정이 늦어지는 경우, 단말이 지속적으로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전력 절감 효과가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핸드오버 수행 시 발생하는 서비스 중단 시간(service interruption time)을 줄이는 단말의 비연속 수신 모드 운영 방법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이 비연속 수신 모드를 운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단기 수면 상태에서 소정의 기간 동안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패킷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장기 수면 상태로 천이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DRX(Handover-Discontinuous Reception)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장기 수면 상태의 수면 사이클 구간보다 짧은 수면 사이클 구간을 가지는 핸드오버 수면 상태로 천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드오버 수면 상태로 천이하는 단계는, 활성화 상태 또는 상기 단기 수면 상태에서,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핸드오버 수면 상태로 천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드오버-DRX 명령은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DL-SCH MAC CE(DownLink-Shared Channel MAC Control Element)의 LCID(Logical Channel ID)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핸드오버 수면 상태의 수면 사이클 구간은 핸드오버 시그널링들간의 전송 간격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단기 수면 상태의 수면 사이클 구간 및 상기 장기 수면 상태의 수면 사이클 구간은 트래픽 패턴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활성화 상태에서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패킷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단기 수면 상태로 천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단기 수면 상태에서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활성화 상태로 천이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장기 수면 상태에서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활성화 상태로 천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핸드오버 수면 상태에서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활성화 상태로 천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기 수면 상태와 장기 수면 상태를 포함하는 비연속 수신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단기 수면 상태에서, 인접셀에 대한 측정 보고를 소스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DRX(Handover-Discontinuous Reception)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기 수면 상태에서, 상기 장기 수면 상태의 수면 사이클 구간보다 짧은 수면 사이클 구간을 가지는 핸드오버 수면 상태로 천이하는 단계,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핸드오버 수행 절차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드오버-DRX 명령은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DL-SCH MAC CE(DownLink-Shared Channel MAC Control Element)의 LCID(Logical Channel ID)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핸드오버 수면 상태의 수면 사이클 구간은 상기 단기 수면 상태의 수면 사이클 구간과 동일하거나 짧을 수 있다.
상기 핸드오버 수면 상태의 수면 사이클 구간은 핸드오버 시그널링들간의 전송 간격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단기 수면 상태의 수면 사이클 구간 및 상기 장기 수면 상태의 수면 사이클 구간은 트래픽 패턴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핸드오버 수면 상태를 종료하는 단계, 그리고 타겟 기지국으로 상기 핸드오버 수행 절차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이 제공된다. 상기 단말은,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DRX(Handover-Discontinuous Reception) 명령을 수신하는 RF 모듈, 그리고 제1 수면 사이클 구간을 가지는 제1 수면 상태, 상기 제1 수면 사이클 구간보다 긴 수면 사이클 구간을 가지는 제2 수면 상태, 상기 제2 수면 사이클 구간보다 짧은 수면 사이클 구간을 가지는 제3 수면 상태를 운영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핸드오버-DRX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수면 상태에서 상기 제3 수면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상기 핸드오버-DRX 명령은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DL-SCH MAC CE(DownLink-Shared Channel MAC Control Element)의 LCID(Logical Channel ID)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수명 상태의 수면 사이클 구간 및 상기 제2 수명 상태의 수면 사이클 구간은 트래픽 패턴에 의해 설정되고, 상기 제3 수명 상태의 수면 사이클 구간은 핸드오버 시그널링들간의 전송 간격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활성화 상태를 더 운용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3 수면 상태에서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활성화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상기 제3 수명 상태의 수면 사이클 구간은 상기 제1 수명 상태의 수면 사이클 구간과 같거나 짧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연속 수신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에 별도의 핸드오버 수면 모드를 추가함으로써, 핸드오버 수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서비스 중단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DRX 상태 천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연속 수신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은(terminal)은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이동국(mobile station, MS), 진보된 이동국(advanced mobile station, AMS), 고신뢰성 이동국(high reliability mobile station, HR-MS),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단말, MT, AMS, HR-MS, SS, PSS, AT, UE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진보된 기지국(advanced base station, ABS), 고신뢰성 기지국(high reliability base station, HR-BS),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 B, eNodeB),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기(relay station, R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고신뢰성 중계기(high reliability relay station, HR-R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ABS, 노드B, eNodeB, AP, RAS, BTS, MMR-BS, RS, HR-R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및 그 비연속 수신 모드 운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비연속 수신 모드 운용 방법은 DRX 모드로 동작 중인 단말이 핸드오버 수행 시에도 전력 절감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핸드오버로 인한 추가적인 지연시간(delay)을 줄이는 방법이다.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비연속 수신 모드 운용 방법은 단기 수면 상태(Short sleep state), 장기 수면 상태(Long sleep state), 그리고 핸드오버 수면 상태(Handover sleep state)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기 수면 상태의 수면 사이클 구간 및 장기 수면 상태의 수면 사이클 구간은 트래픽 패턴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핸드오버 수면 상태의 수면 사이클 구간은 핸드오버 시그널링들간의 전송 간격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단기 수면 상태(Short sleep state) 및 장기 수면 상태(Long sleep state)에 대한 수면 사이클 정보는 소스 기지국(즉, 소스 셀)이 현재 송수신되는 트래픽 패턴에 따라 설정하여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수면 상태(Handover sleep state)에 대한 수면 사이클 정보는 단말이 미리 알고 있거나 소스 기지국(즉, 소스 셀)이 주기적으로 방송하는 시스템정보(SIB, System Information Block) 메시지 또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단기 수면 상태는 단기 DRX 상태(short DRX state)와 혼용하여 사용되며, 장기 수면 상태는 장기 DRX 상태(long DRX state)와 혼용하여 사용된다. 그리고 핸드오버 수면 상태는 핸드오버 DRX 상태(handover DRX state)와 혼용하여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DRX 상태 천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DRX(Discontinuous Reception) 상태는 활성화 상태(Awake state), 단기 수면 상태(Short sleep state), 장기 수면 상태(Long sleep state), 그리고 핸드오버 수면 상태(Handover sleep state)를 포함한다.
DRX 모드로 동작 중인 단말은 소스 기지국(소스 셀)으로부터 활성화(Awake) 정보 및 수면 사이클(sleep cycle)정보를 포함하는 DRX 파라미터를 수신한다. 단말은 수신한 DRX 파라미터에 포함된 사이클에 대응하여, 활성화 상태(Awake state)와 수면 상태(sleep state)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단말이 활성화 상태에서 패킷을 지속적으로 수신하는 경우, 단말은 활성화 상태(Awake state)를 지속한다(S101). 여기서, 단말이 패킷 수신에 따른 활성화 상태를 지속하는 구간은 LTE 및 LTE-A에서는 Inactivity period라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단말이 일정 시간 동안 패킷을 수신하지 않는 경우, 단말은 단기 수면 상태(Short sleep state)로 천이한다(S102).
단말이 단기 수면 상태(Short sleep state)에서 온 기간(On Duration)동안 패킷을 수신하면, 단말은 활성화 상태(Awake State)로 천이한다(S103).
그리고 단말이 단기 수면 상태(Short sleep state)에서 수면 사이클 타이머(Sleep cycle timer)가 종료될 때까지 소스 기지국(소스 셀)으로부터 패킷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단말은 장기 수면 상태(Long sleep state)로 천이한다(S104).
단말이 장기 수면 상태(Long sleep state)에서 온 기간(On Duration)동안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단말은 활성화 상태(Awake State)로 천이한다(S105).
한편, 단말이 활성화 상태(Awake state)에서 소스 기지국(소스 셀)으로부터 핸드오버 DRX(Discontinuous Reception) 명령 MAC CE(Control Element)를 수신하는 경우, 단말은 핸드오버 수면 상태(Handover sleep state)로 천이한다(S106).
단말이 핸드오버 수면 상태(Handover sleep state) 상태에서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명령(Handover Command) 메시지는 수신하는 경우, 단말은 활성화 상태(Awake State)로 천이한다(S107).
단말이 활성화 상태(Awake state)에서 핸드오버 수면 상태(Handover sleep state)로 천이하기 위해서, 소스 기지국(소스 셀)이 단말로 트리거(trigger) 해준다. 트리거 하는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LTE 및 LTE-A에서 정의하고 있는 5bit의 DL-SCH MAC CE(DownLink-Shared Channel MAC Control Element)의 LCID(Logical Channel ID)가 사용된다. DL-SCH MAC CE의 LCID에 핸드오버-DRX 명령(Handover-DRX Command)이 추가된다. 즉, 단말로부터 인접셀 측정보고(Measurement Report) 메시지를 수신한 소스 기지국은 단말의 핸드오버를 결정한다. 그리고, 소스 기지국은 핸드오버-DRX 명령(Handover-DRX Command)를 통해 핸드오버 수면 상태로 천이하도록 단말로 지시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비연속 수신 모드 운용 방법에 대해서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연속 수신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비연속 수신 모드(DRX 모드)로 동작 중인 단말(100)은 온 기간(ON Duration)에 인접셀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 메시지를 소스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S201).
인접셀 측정 보고 메시지를 수신한 소스 기지국(200)은 단말의 핸드오버를 결정한다(S202). 소스 기지국(200)이 단말의 핸드오버를 결정하는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알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소스 기지국(200)은 핸드오버 결정을 한 후 타겟 기지국(타겟 셀)(300)으로 핸드오버 수락 요청(HO-REQ, Handover-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S203). 그리고, 소스 기지국(200)은 DRX의 온 기간(On Duration)에 핸드오버-DRX 명령(Handover-DRX Command)을 단말(100)로 전송한다(S204).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핸드오버-DRX 명령은 DL-SCH MAC CE의 LCID에 추가되어 전송된다.
소스 기지국(200)으로부터 핸드오버-DRX 명령을 수신한 단말(100)은 단기 수면 상태(Short sleep state)에서 핸드오버 수면 상태(Handover sleep state)로 천이한다(S205). 여기서, 핸드오버 수면 상태(Handover sleep state)의 수면 사이클 구간(Sleep cycle period)은 핸드오버 실패율(handover failure probability)이 증가하지 않도록 짧게 설정된다. 핸드오버 수면 상태의 수면 사이클 구간은 장기 수면 상태(Long sleep state)의 수면 사이클 구간보다 짧을 수 있다. 즉, 핸드오버 수면 상태(Handover sleep state)의 온(ON)- 오프(OFF) 주기는 장기 수면 상태(Long sleep state)의 온(ON)-오프(OFF)의 주기보다 짧을 수 있다. 그리고 핸드오버 수면 상태의 수면 사이클 구간은 단기 수면 상태(Short sleep state)의 수면 사이클과 같거나 짧을 수 있다.
다음으로, 타겟 기지국(300)은 핸드오버 수락 응답(HO-REQ-ACK, Handover-Request-ACK) 메시지를 소스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S206).
핸드오버 수락 응답(HO-REQ-ACK)를 수신한 소스 기지국(200)은 핸드오버 수면 상태(Handover sleep state)의 온 기간(On Duration)에 핸드오버 명령(Handover Command) 메시지를 단말(100)로 전송한다(S207). 이때, 핸드오버 수면 상태(Handover sleep state)의 수면 사이클 구간(Sleep cycle period)이 장기 수면 상태(Long sleep state)의 수면 사이클 구간보다 짧기 때문에, 소스 기지국(200)은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지연시간 없이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핸드오버 명령(Handover Command)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100)은 현재 동작중인 핸드오버 수면 상태(Handover sleep state)를 종료하고 타겟 기지국(300)으로 핸드오버 수행(Handover Execution) 절차를 실행한다(S208). 이때, 단말(100)은 핸드오버 수행 절차를 실행하기 위해 전체 DRX 모드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DRX 모드로 동작 중인 단말이 핸드오버 수행 시 발생할 수 있는 핸드오버 시그널링 지연 시간을 최소함으로써, 핸드오버 실패율을 감소시키며 서비스 중단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은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및 RF 모듈(130)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10)는 도 1 내지 도 2에서 설명한 절차, 방법 및 기능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0)는 활성화 상태(Awake state), 단기 수면 상태(Short sleep state), 장기 수면 상태(Long sleep state), 그리고 핸드오버 수면 상태(Handover sleep state)를 운영한다. 프로세서(110)는 활성화 상태(Awake state) 또는 단기 수면 상태(Short sleep state)에서 소스 기지국(소스 셀)(200)으로부터 핸드오버 DRX(Discontinuous Reception)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핸드오버 수면 상태(Handover sleep state)로 천이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핸드오버 수면 상태에서 소스 기지국(200)으로부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프로세서(110)는 핸드오버 수면 상태(Handover sleep state)를 종료하고 타겟 기지국(300)로 핸드오버 수행(Handover Execution) 절차를 실행한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핸드오버 수행 절차를 실행하기 위해 전체 DRX 모드를 종료한다.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10)와 연결되고 프로세서(11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 모듈(130)은 안테나(도시 하지 않음)와 연결되고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한다. 그리고 안테나는 단일 안테나 또는 다중 안테나(MIMO 안테나)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9)

  1. 단말이 비연속 수신 모드를 운용하는 방법으로서,
    단기 수면 상태에서 소정의 기간 동안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패킷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장기 수면 상태로 천이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DRX(Handover-Discontinuous Reception)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장기 수면 상태의 수면 사이클 구간보다 짧은 수면 사이클 구간을 가지는 핸드오버 수면 상태로 천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수면 상태로 천이하는 단계는,
    활성화 상태 또는 상기 단기 수면 상태에서,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핸드오버 수면 상태로 천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DRX 명령은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DL-SCH MAC CE(DownLink-Shared Channel MAC Control Element)의 LCID(Logical Channel ID)에 포함되어 있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수면 상태의 수면 사이클 구간은 핸드오버 시그널링들간의 전송 간격에 의해 설정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기 수면 상태의 수면 사이클 구간 및 상기 장기 수면 상태의 수면 사이클 구간은 트래픽 패턴에 의해 설정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활성화 상태에서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패킷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단기 수면 상태로 천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기 수면 상태에서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활성화 상태로 천이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장기 수면 상태에서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활성화 상태로 천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수면 상태에서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활성화 상태로 천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단기 수면 상태와 장기 수면 상태를 포함하는 비연속 수신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단기 수면 상태에서, 인접셀에 대한 측정 보고를 소스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DRX(Handover-Discontinuous Reception)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기 수면 상태에서, 상기 장기 수면 상태의 수면 사이클 구간보다 짧은 수면 사이클 구간을 가지는 핸드오버 수면 상태로 천이하는 단계,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핸드오버 수행 절차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DRX 명령은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DL-SCH MAC CE(DownLink-Shared Channel MAC Control Element)의 LCID(Logical Channel ID)에 포함되어 있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수면 상태의 수면 사이클 구간은 상기 단기 수면 상태의 수면 사이클 구간과 동일하거나 짧은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수면 상태의 수면 사이클 구간은 핸드오버 시그널링들간의 전송 간격에 의해 설정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기 수면 상태의 수면 사이클 구간 및 상기 장기 수면 상태의 수면 사이클 구간은 트래픽 패턴에 의해 설정되는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핸드오버 수면 상태를 종료하는 단계, 그리고
    타겟 기지국으로 상기 핸드오버 수행 절차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DRX(Handover-Discontinuous Reception) 명령을 수신하는 RF 모듈, 그리고
    제1 수면 사이클 구간을 가지는 제1 수면 상태, 상기 제1 수면 사이클 구간보다 긴 수면 사이클 구간을 가지는 제2 수면 상태, 상기 제2 수면 사이클 구간보다 짧은 수면 사이클 구간을 가지는 제3 수면 상태를 운영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핸드오버-DRX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수면 상태에서 상기 제3 수면 상태로 천이하는
    단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DRX 명령은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DL-SCH MAC CE(DownLink-Shared Channel MAC Control Element)의 LCID(Logical Channel ID)에 포함되어 있는 단말.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명 상태의 수면 사이클 구간 및 상기 제2 수명 상태의 수면 사이클 구간은 트래픽 패턴에 의해 설정되고, 상기 제3 수명 상태의 수면 사이클 구간은 핸드오버 시그널링들간의 전송 간격에 의해 설정되는 단말.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활성화 상태를 더 운용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3 수면 상태에서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활성화 상태로 천이하는
    단말.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수명 상태의 수면 사이클 구간은 상기 제1 수명 상태의 수면 사이클 구간과 같거나 짧은 단말.
KR1020160003873A 2016-01-12 2016-01-12 단말 및 그 비연속 수신 모드 운용 방법 KR201700847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873A KR20170084757A (ko) 2016-01-12 2016-01-12 단말 및 그 비연속 수신 모드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873A KR20170084757A (ko) 2016-01-12 2016-01-12 단말 및 그 비연속 수신 모드 운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4757A true KR20170084757A (ko) 2017-07-21

Family

ID=59462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873A KR20170084757A (ko) 2016-01-12 2016-01-12 단말 및 그 비연속 수신 모드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475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64637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obility enhancement in drx
KR10068955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서의 동작 모드 천이 방법 및그 단말
WO2017012540A1 (en) Measurement enhancements for lte systems
US8929898B2 (en) Method and arrangments for an event triggered DRX cycle adjustment
US10225753B2 (en) Radio terminal measurements in extended DRX
US11722962B2 (en) Method of receiving a wake-up signal, wireless device and computer program
US9497674B2 (en) UE reporting of mobility information useful for optimizing UE parameter settings
KR10206548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장치
US20160165642A1 (en) Latency Reduction for User Equipment with Bursty Interactive Traffic
GB2500260A (en) Comparing channel measurements for selecting discontinuous reception cycle lengths or intra-frequency neighbour cell measurement frequency
US20220086757A1 (en) Communications devices,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KR101402986B1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수면 모드 관리 장치 및 그방법
US11910354B2 (en) Paging area update
KR20170084757A (ko) 단말 및 그 비연속 수신 모드 운용 방법
CN111937443B (zh) 接收唤醒信号的方法、无线设备和计算机程序
KR10111933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084125B1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전력소모방지모드에서의 하향트래픽 알림 방법
Goyal et al. A study of energy efficiency techniques using DRX for handover management in LTE-A networks
KR20190017295A (ko) 단말의 동작 방법, 기지국의 동작 방법 및 연결모드 불연속 수신 제어 장치
CN114731518A (zh) 参考信号设计和配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