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7295A - 단말의 동작 방법, 기지국의 동작 방법 및 연결모드 불연속 수신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의 동작 방법, 기지국의 동작 방법 및 연결모드 불연속 수신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7295A
KR20190017295A KR1020170101903A KR20170101903A KR20190017295A KR 20190017295 A KR20190017295 A KR 20190017295A KR 1020170101903 A KR1020170101903 A KR 1020170101903A KR 20170101903 A KR20170101903 A KR 20170101903A KR 20190017295 A KR20190017295 A KR 20190017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od
measurement
discontinuous reception
timer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영
최준구
이성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70101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7295A/ko
Publication of KR20190017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2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04W36/0088Scheduling hand-off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04W36/0094Definition of hand-off measurement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02D70/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단말의 동작 방법, 기지국의 동작 방법 및 연결모드 불연속 수신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이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고, 기지국과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연결 모드에 있는 단말이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서브프레임에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모니터링하는 불연속 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자원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무선 자원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상기 불연속 수신 동작에서 상기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지 않는 비활성 구간을 줄이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말의 동작 방법, 기지국의 동작 방법 및 연결모드 불연속 수신 제어 장치{OPERATION METHOD OF TERMINAL UNIT AND BASE STATION, CONTROL APPARATUS FOR CONNECTED DISCONTINUOUS RECEPTION}
본 발명은 단말의 동작 방법, 기지국의 동작 방법 및 연결모드 불연속 수신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LTE(Long Term Evolution) 스마트폰이 광대역화, 다중 안테나 사용, 의도적 또는 비의도적 데이터 접속 회수 증대, 예를들면, 실시간 동영상 시청, 파일다운로드, 웹서핑, Application 이용 및 업데이트 등으로 인하여 배터리 소모가 늘어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의 통신 기능을 주기적으로 저전력 모드로 전환시켜 배터리 사용량을 줄이는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 시스템에서의 단말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이하, 'PDCCH'라 통칭함)을 모니터링한다.
그런데, 데이터 송수신이 없는 시점에서의 PDCCH 모니터링은 단말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발생시키기에 비효율적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이하, 'DRX'라 통칭함)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DRX 기술은 단말이 데이터를 수신하는 시점에만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그 외의 기간 동안은 휴지 상태에 머물도록 하여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이는 기법이다.
LTE 규격에서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라 통칭함) 연결 모드(connected mode) 에서도 DRX를 정의하였으며, 이를 CDRX 라고 한다.
기지국과 단말은 RRC 설정 및 재설정을 통해 CDRX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단말의 패킷 송수신이 없을 때에는 단말 송수신단을 오프(Off)하여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CDRX가 단말에서 턴 온(Turn ON)되면 비활성 시간(Inactive time)에서는 기지국이 단말과 스케줄링을 할 수 없다.
그러나, 단말이 급격한 무선 환경 변화를 겪을 때, 기지국은 비활성 시간 동안 단말의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보고 등 RF(Radio Frequency) 정보를 알 수 없으므로, PDCCH 수신 실패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무선 링크 실패(Radio Link Failure)에 의한 콜 드롭(Call Drop, 이동 전화 가입자가 통화를 완료하기 전에 무선 구간의 불량으로 통화가 끊긴 호의 백분율) 등 품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무선 링크 실패는 단말과 서빙 셀간의 라디오 환경이 좋지 않아서 시그널링이나 데이터를 제대로 수신이나 전송할 수 없는 상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PDCCH를 모니터링하지 않는 비활성 시간을 줄여 핸드오버 성공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고, 기지국과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연결 모드에 있는 단말이 수행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서브프레임에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모니터링하는 불연속 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자원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무선 자원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상기 불연속 수신 동작에서 상기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지 않는 비활성 구간을 줄이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단말이 측정을 수행한 결과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 보고에 따라 설정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은, 측정 구성 정보, 불연속 수신 구성 정보 및 핸드오버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이전 측정 주기보다 짧아진 측정 주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주기는, 상기 측정 보고를 트리거링하는 측정 이벤트의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마진(Margin)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측정 주기는, 지속구간(OnDuration) 타이머와 불연속 수신 비활성 타이머를 합한 타이머 이하로 설정된 측정 인터벌(Interva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연속 수신 구성 정보는, 지속구간(OnDuration) 타이머가 장기 불연속 수신 주기의 0을 제외한 양의 정수배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핸드오버 파라미터는, 장기 불연속 수신 주기의 0을 제외한 양의 정수배로 설정되며,
상기 줄이는 단계는, 상기 핸드오버 파라미터가 수신되면, 기 설정된 지속구간(OnDuration) 타이머를 무시하고, 상기 핸드오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활성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기지국이 수행하는 방법은,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연결된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이 측정을 수행한 결과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측정 보고에 따라 상기 단말의 연결모드 불연속 수신 주기에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모니터링하지 않는 비활성 시간을 줄이는 설정을 하는 단계, 그리고 설정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자원 제어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설정을 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 보고의 측정 주기를 축소시키는 설정을 할 수 있다.
상기 설정을 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 보고를 트리거링하도록 하는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마진을 증가시키는 설정을 할 수 있다.
상기 설정을 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 보고의 측정 인터벌(Interval)을 지속구간(OnDuration) 타이머 및 불연속 수신 비활성 타이머를 합한 타이머 이하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설정을 하는 단계는, 지속구간(OnDuration) 타이머를 장기 불연속 수신 주기의 0을 제외한 양의 정수배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설정을 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지속구간(OnDuration) 타이머를 무시하고, 상기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활성 구간을 구동시키는 핸드오버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상기 핸드오버 파라미터는, 장기 불연속 수신 주기의 0을 제외한 양의 정수배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연결모드 불연속 수신 제어 장치는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서브프레임에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모니터링하는 연결모드 불연속 수신(Connected Discontinuous Reception, CDRX) 동작을 구동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무선 환경의 상태가 양호한지 여부에 따라 상기 연결모드 불연속 수신의 주기에서 상기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모니터링하지 않는 비활성 구간을 줄이는 동작을 수행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무선 환경의 상태를 측정하는 주기를 축소시키는 제1 동작, 상기 무선 환경의 상태를 판단하는 기준인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마진을 증가시키는 제2 동작, 상기 무선 환경의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 인터벌(Interval)을 상기 연결모드 불연속 수신의 주기에서 지속구간(OnDuration) 타이머 및 불연속 구간 비활성 타이머를 합한 타이머 이하로 설정하는 제3 동작, 상기 지속구간 타이머를 장기 불연속 수신 주기의 0을 제외한 양의 정수배로 설정하는 제4 동작, 그리고 상기 지속구간 타이머를 무시하고, 상기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활성 구간을 구동시키는 핸드오버 파라미터를 장기 불연속 수신 주기의 0을 제외한 양의 정수배로 설정하는 제5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환경이 불안정한 측정 이벤트가 트리거되면,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 MR) 주기를 줄이거나, 지속 구간(On Duration) 타이머를 늘리거나, 새로운 파라미터를 개발하여 비활성 시간을 줄인다. 따라서, 비활성 시간이 줄어드는 만큼 PDCCH를 모니터링 하는 구간이 길어져 그만큼 핸드오버 성공율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불연속 송수신을 가지는 RRC 연결 모드에 있는 단말의 측정에 의한 단말의 전력 소모(Power consumption)를 최소화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RX 파라미터와 DRX 동작을 매핑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CDRX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 주기를 축소하는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 주기를 축소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의 실시예와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 주기를 축소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의 실시예와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DRX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CDRX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8 또는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CDRX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단말 및 기지국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Terminal)은 사용자 기기로서, 디바이스(Device), UE(User Equipment), ME(Mobile Equipment),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의 용어로 언급될 수도 있고, 이동 단말, 이동국,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국, 사용자 장치, 접근 단말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 B(Node 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불연속적인 PDCCH(Physicla Downlink Control Channel) 모니터링은 단말이 정해진 특정 서브프레임(Subframe)에서만 PDCCH를 모니터링함을 의미하고, 연속적인 PDCCH 모니터링은 단말이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함을 의미한다.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이하, 'DRX'라 통칭함)은 기지국과 단말이 서로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기지국이 단말에게 언제 무선자원의 할당에 관한 정보를 보낼 것인지에 관한 동작과 관련한다. 단말이 무선 자원 할당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하향 채널, 특히 PDCCH를 항상 모니터링(monitoring)하는 것은 전력 소모를 초래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단말과 기지국이 미리 지정된 일정한 규칙에 따라, 특정한 시간에서만 기지국이 단말에게 PDCCH를 통해서 무선 자원할당정보를 전송하고 단말은 특정한 시간에서만 PDCCH를 통해 무선 자원할당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즉, 활성 시간(Active Time)에만 불연속적인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여기서, 활성 시간은 단말이 활성화 되어 하향 채널, 즉, PDCCH를 모니터링 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활성 시간 이후에 단말은 PDCCH를 모니터링 할 필요가 없다.
이때,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로 통칭함) 메시지에 포함된 DRX 관련 파라미터에 따라 PDCCH 모니터링을 제어한다. 기지국에 위치하는 RRC 계층은 단말과 무선 접속망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Radio Bearer)의 설정·재설정·해제, 메시지 전달 관리 등의 기능들을 담당한다. 단말은 2가지 타입의 RRC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RRC 상태란 단말의 RRC가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의 RRC와 논리적 연결(Logical Connection) 상태인지 여부를 말한다. 이때, RRC가 E-UTRAN의 RRC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RRC 연결상태(Connected State)(RRC_CONNECTED)라 한다.
RRC 연결상태의 단말에서 DRX 관련 파라미터가 설정되었을 경우를 DRX 연결모드(Connected mode Discontinuous Reception, 이하, 'CDRX'라 통칭함)'로 분류한다.
CDRX에서의 단말은 RRC 메시지에 포함된 DRX 관련 파라미터에 따라 설정된 서브프레임에서만 PDCCH를 모니터링한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RRC 연결(Connection)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구성(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DRX 관련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이때, DRX 관련 파라미터는 DRX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파라미터들로서, 표 1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DRX 관련 파라미터 설명
지속구간 타이머(On Duration Timer) DRX 사이클 초기에 PDCCH를
모니터링하는 시간
DRX 비활성 타이머(Inactivity Timer) 활성 구간에서 PDCCH 수신시 PDCCH 모니터링 연장 시간
장기 DRX 주기(Long DRX Cycle) On Duration Timer의 발생 주기
Drx 단기 주기 타이머(Short Cycle Timer) DRX 비활성 타이머 종료시 장기 DRX 사이클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휴지 상태를 제공하는 시간
단기 DRX 주기(Short DRX Cycle) DRX 단기 사이클 타이머 기간 내에서만 동작하는 DRX 주기
DRX 동작은 DRX 사이클 단위로 반복되는데, 비활성(Inactivity)이 가능한 구간을 따라오는 지속구간의 주기적인 반복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한 주기의 DRX 사이클은 활성 구간과 비활성 구간(Inactive Time)으로 구분된다.
활성 구간은 지속구간 타이머, DRX 비활동 타이머가 구동 중인 구간에 해당하며, 그 외의 구간은 비활성구간이다. 또는 활성 시간은 단말이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모든 구간을 의미할 수도 있다. 활성 구간에 해당하는 서브프레임에서 단말은 PDCCH를 모니터링하고, 비활성 구간에서는 슬립 모드(Slip Mode)로 천이한다.
지속구간 타이머(On Duration Timer)는 DRX 사이클의 시작에 의해 시작된다. 즉, 지속구간 타이머의 시작시점은 DRX 사이클의 시작시점과 일치한다. 지속구간 타이머는 DRX 사이클의 시작 지점, 즉, DRX 사이클이 시작된 서브프레임을 포함하여 연속된(consecutive) PDCCH 서브프레임들의 개수를 지정한다. 지속구간 타이머로 허용된 값들은 예를들면, 1, 2, 3, 4, 5, 6, 8, 10, 20, 30, 40, 50, 60,80, 100, 및 200이 될 수 있다.
DRX 비활성 타이머(Inactivity Timer)는 단말이 활성 구간에서 PDCCH로 데이터를 수신하였을 경우, 설정된 파라미터 길이만큼 활성 구간을 연장시켜, 연달아 전송되는 데이터의 수신 확률을 높이기 위한 타이머이다. DRX 비활성 타이머는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의 사용자 데이터 전송을 위한 PDCCH를 성공적으로 복호한 시점부터 연속적인 PDCCH 서브프레임 개수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지속적인 데이터 수신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이 지속적으로 PDCCH를 모니터해야 하는 시간이다. DRX 비활성 타이머는 원하는 대로 임의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DRX 비활성 타이머가 시작하기 위해서는 단말이 DRX 동작 중 활성 시간에 진입한 상태여야하고, PDCCH 서브프레임이 존재해야 하며, PDCCH 디코딩에 성공, 즉, PDCCH를 수신한 경우여야 한다. DRX 비활성 타이머는 DRX 비활성 타이머가 구동하는 중에 새로운 PDCCH 수신이 발생하면, 리셋되어 재구동하고, 만료(expiration)까지 작동한다.
DRX는 두 개의 DRX 주기를 사용하는데, 두 개의 DRX 주기는 장기 DRX 주기(Long DRX cycle)와 단기 DRX 주기(Short DRX cycle)이다. 장기 DRX 주기는 단말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며, 짧은 단기 DRX 주기는 데이터 전송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처럼, 두 개의 DRX 주기를 사용하는 이유는 데이터의 전송 상황에 따라서, 장기 DRX 주기와 단기 DRX 주기를 적절히 사용하여, 데이터의 전송 지연은 최소화하면서도, 단말의 배터리 절약은 최대화하기 위해서이다.
이때, 단기 DRX 주기는 장기 DRX 주기보다 단말에 대한 더 짧은 슬립(Sleep) 기간을 제공하며, DRX 관련 파라미터에 선택적으로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RX 파라미터와 DRX 동작을 매핑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SFN은 시스템 프레임 번호(System Frame Number)를 나타낸다. 하나의 시스템 프레임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이루어져 있다. SFN은 셀 안에서 절대적인 시간의 기준이 된다.
단말은 지속구간 타이머 동안 PDCCH를 모니터링한다. 첫번째, 장기 DRX 주기에는 단말과 관련된 PDCCH 수신이 없다.
다음, 지속구간 타이머가 시작되는 서브프레임에서 단말이 자신의 식별자와 관련된 PDCCH를 성공적으로 수신하면, DRX 비활성 타이머는 PDCCH로 데이터를 수신한 서브프레임 0번 이후 즉시 구동되어, 서브프레임 1번 ~ 6번만큼 단말의 활성구간을 연장시킨다. 만약, DRX 비활성 타이머가 구동되는 동안, 즉, 서브프레임 1번 ~ 6번 중 임의의 서브프레임에서 추가로 PDCCH가 수신되면, DRX 비활성 타이머는 그 전송이 발생한 즉시 재구동되어 단말의 활성구간을 연장시킨다. 예를들면, 서브프레임 2번에서 PDCCH가 또 수신되면, 이때, DRX 비활성 타이머의 구간은 6개 서브프레임이므로, DRX 비활성 타이머는 PDCCH로 데이터를 수신한 서브프레임 2번 이후 즉시 구동되어, 서버프레임 3번 내지 8번만큼 활성 구간을 연장시킨다.
다음, DRX 비활성 타이머 동안 더 이상의 수신이 없을 때, DRX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한 시점에 DRX 주기가 시작되는데, 이때, 단기 DRX 주기로 동작할 수 있다. 단기 DRX 설정은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의 패킷이, 짧고 일정한 인터벌(Interval)을 갖는 경우에 적절하다. DRX 비활성 타이머 만료 후, 단기 DRX 주기가 단기 DRX 타이머 내에서 반복된다. 단기 DRX 타이머가 10이므로, 단기 DRX 주기는 2번 반복되었다. 단기 DRX 주기는 장기 DRX 주기 대비 주기가 작아 지속구간 타이머가 자주 설정되므로, 비활성(Inactive) 구간이 장기 DRX 주기 대비 감소한다. 즉, 처음 장기 DRX 주기의 비활성 구간은 서브프레임 8개에 해당하였지만, 단기 DRX 주기의 비활성 구간은 총 6개이므로, 감소하였다.
한편, 단기 DRX 타이머가 만료되면, 전력 감소 상태(DRX)로 전이하며, 전력 감소 상태에서 동작하고 있는 기간 동안, 단말은 기저대역 로직 컴포넌트들 및/또는 무선 컴포넌트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로의 전원을 끊어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후, 장기 DRX 주기는 반복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DRX 운용시 비활성 구간에서는 기지국이 단말과 스케줄링을 할 수 없다. 특히, 장기 DRX 주기가 시작하면, 단말이 급격한 무선 환경 변화를 겪더라도, 기지국은 새로운 지속구간 타이머가 구동할 때까지, 단말의 무선 채널 정보를 알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말의 무선 환경이 나쁠 때, PDCCH 모니터링이 수행되지 않는 비활성 구간을 줄이는 다양한 CDRX 제어 방법을 제시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말과 기지국은 RRC 연결 상태에 있다.
또한, 단말은 DRX 주기에 따라 서빙 셀 또는 타겟 셀, 또는 서빙 셀과 타겟셀에 대한 측정을 수행한다. 이때, 활성 구간에서 측정을 수행하고, 비활성 구간에서는 측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단말은 셀의 신호를 측정하는데, 예를들면, 레퍼런스 신호 수신 품질(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RQ), 레퍼러스 신호 수신 세기(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수신 신호 세기 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r, RSSI)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 보고는 이러한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무선 환경의 RF(Radio Frequency) 정보,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기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측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트리거되는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 이하, 'MR'로 통칭함)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때, 측정 이벤트는 단말의 무선 환경이 나쁘다는 것을 나타내며,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이벤트 타입 설명
이벤트 A1 Serving becomes better than threshold (서빙 셀이 임계값보다 양호할때)
이벤트 A2 Serving becomes worse than threshold (서빙 셀이 임계값보다 악화될때)
이벤트 A3 Neighbour becomes offset better than serving (이웃 셀이 서빙 셀보다 오프셋
이벤트 A4 Neighbour becomes better than threshold
이벤트 A5 Serving becomes worse than threshold1 and neighbour becomes better than threshold2
이벤트 A6 Neighbour become offset better than S Cell (This event is introduced in Release 10 for CA)
이벤트 B1 Inter RAT neighbour becomes better than threshold
이벤트 B2 Serving becomes worse than threshold1 and inter RAT neighbour becomes better than threshold2
이벤트 C1 CSI-RS resource becomes better than threshold
이벤트 C2 CSI-RS resource becomes offset better than reference CSI-RS resource
표 2에 따르면, 이벤트 A1은 서빙 셀의 신호가 특정값(threshold)보다 큰 값일때 트리거된다. 이벤트 A2는 서빙 셀의 신호가 특정값(threshold)보다 작은 값일때 트리거된다. 이벤트 A3는 네이버 셀의 신호가 서빙 셀의 신호보다 A3 오프셋(Offset)만큼 큰 값일 때 트리거된다. 이벤트 A4는 네이버 셀의 신호가 특정값보다 큰값일 때 트리거된다. 이벤트 A5는 서빙 셀의 신호가 특정값(threshold1)보다 작고, 네이버 셀의 신호가 특정값(threshold2)보다 클 때, 트리거된다. 이벤트 A6는 네이버 셀의 신호가 세컨더리 셀의 신호보다 A6 오프셋만큼 큰 값일 때 트리거된다.
이벤트 B1은 부하 기반 핸드오버를 위해 상이한 시스템의 인접 셀이 절대 임계치보다 높은 품질을 가질 때 트리거된다. 이벤트 B2는 커버리지 기반 핸드오버를 위해 서빙 셀이 제1 절대 임계치 1보다 낮은 품질을 갖고, 다른 시스템의 인접 셀이 제2 절대 임계치 2보다 높은 품질을 가질 때 트리거된다.
이벤트 C1은 CSI(Channel State Indicator)-RS(Reference Signals)가 임계값보다 높은 품질을 가질 때 트리거된다. 이벤트 C2는 CSI-RS가 레퍼런스 CSI-RS보다 오프셋(Offset)만큼 큰 값일 때 트리거된다.
이때, 표 2의 각 측정 이벤트는 측정 결과가 임계 조건을 충족할 때 트리거되는데, 임계 조건은 일정한 마진(Margin)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또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단말의 측정 보고를 구성하는데 사용된다. 즉, 측정 구성 정보가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되어,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 전송된다.
또한, 단말이 CDRX를 구동하는 상태에서, 단말의 무선 환경이 나쁠 때, 기지국에 의하여 PDCCH 모니터링이 수행되지 않는 비활성 구간을 줄이는 CDRX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CDRX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 주기를 축소하는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4는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 주기를 축소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5는 도 4의 실시예와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 주기를 축소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7은 도 6의 실시예와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측정 이벤트가 트리거되면, 측정 보고(Measurement, MR)를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S101).
기지국(200)은 측정 보고에 기초하여 단말(100)의 무선 환경이 나쁘다고 판단(S103)하면, 측정 주기를 축소(S105)하는 설정을 한다.
기지국(200)은 축소된 측정 주기 정보가 포함된 측정 구성 정보를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시켜, 단말(100)로 전송한다(S107).
단말(100)은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획득한 축소된 측정 주기에 따른 CDRX 동작을 제어한다(S109).
이때, 측정 주기를 축소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 다음 도면들을 참고하여 실시예 별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측정 주기를 매우 짧게 설정하는 실시예로서, 이전 측정 주기보다 측정 주기를 매우 짧게 설정하거나 또는 측정 보고를 트리거링하는 측정 이벤트의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마진(Margin)이 증가한 경우에 해당한다. 예를들면, 표 2의 각 측정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 이벤트에 새로 정의된 마진(Margin) 파라미터(M_CDRX)를 3~5dB 주어 측정 보고를 자주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즉, 측정 보고를 트리거링하도록 하는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마진의 값을 증가시킴으로써, 해당 측정 이벤트의 발생을 자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측정 주기가 서브프레임 1로 설정된 경우를 예시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MR 이후, MR에 대한 응답은 4개의 서브프레임 이후 서브프레임을 통해 수신된다. 따라서, 단말(100)은 n+1 SFN의 5번 서브프레임에서 측정 보고(이하, MR로 통칭함)를 수행한 후, n+2 SFN의 1번 서브프레임에서 RRC 연결 재구성을 수신한다. 여기서, RRC 연결 재구성은 측정 인터벌(Interval)이 서브프레임 1로 설정된 측정 구성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단말(100)은 측정 이벤트가 트리거되면, n+2 SFN의 4번 서브프레임, n+2 SFN의 6번 서브프레임, n+3 SFN의 0번 서브프레임, n+3 SFN의 2번 서브프레임, n+3 SFN의 4번 서브프레임 등과 같이, 측정 인터벌을 서브프레임 1로 하여 MR을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각각의 MR에 대한 응답인 RRC 연결 재구성은 n+2 SFN의 9번 서브프레임, n+2 SFN의 1번 서브프레임, n+2 SFN의 5번 서브프레임, n+2 SFN의 7번 서브프레임, n+2 SFN의 9번 서브프레임 등을 통해 수신된다.
이때, n+2 SFN의 6번 서브프레임 다음 주기의 8번 서브프레임은 비활성 구간이므로, MR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PDCCH를 통해 RRC 연결 재구성이 수신되면, 수신 서브프레임 다음 서브프레임부터 비활성 타이머가 구동한다. 따라서, n+2 SFN의 9번 서브프레임부터는 활성 구간이 연속되므로, DRX가 오프된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측정 인터벌(Interval)을 지속구간(OnDuration) 타이머+불연속 수신 비활성 타이머 이하로 설정한 경우에 해당한다.
이때, 지속구간 타이머는 서브프레임 2개, 불연속 수신 비활성 타이머는 서브프레임 6개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측정 인터벌은 8개 서브프레임 이하로 설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측정 인터벌을 가장 긴 주기인 8개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한 경우를 설명한다.
단말(100)은 n+1 SFN의 5번 서브프레임에서 측정 보고(이하, MR로 통칭함)를 수행한 후, n+2 SFN의 1번 서브프레임에서 RRC 연결 재구성을 수신한다. 여기서, RRC 연결 재구성은 측정 인터벌(Interval)이 서브프레임 8로 설정된 측정 구성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단말(100)은 측정 이벤트가 트리거되면, n+2 SFN의 2번 서브프레임에서 MR을 을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MR에 대한 응답인 RRC 연결 재구성은 n+2 SFN의 7번 서브프레임을 통해 수신된다. 그러면, n+2 SFN의 8번 서브프레임부터 DRX 비활성 타이머가 시작된다.
단말(100)은 다음, 주기인 n+2 SFN의 9번 서브프레임에서 MR을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MR에 대한 응답이 RRC 연결 재구성은 n+3 SFN의 4번 서브프레임을 통해 수신되고, 바로 이어서 5번 서브프레임부터 DRX 비활성 타이머가 시작된다.
이와 같이, n+2 SFN의 6번 서브프레임, n+3 SFN의 4번 서브프레임에서 DRX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하더라도, 바로 이어서 RRC 연결 재구성의 수신으로 인하여 DRX 비활성 타이머가 재시작되므로, 활성 구간이 연속되어, DRX가 오프된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도 5는 도 4와 동일한 조건이나, 측정 인터벌을 지속구간(OnDuration) 타이머+불연속 수신 비활성 타이머를 초과하여 설정한 경우로서, 9개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하였다.
단말(100)은 n+1 SFN의 5번 서브프레임에서 측정 보고(이하, MR로 통칭함)를 수행한 후, n+2 SFN의 1번 서브프레임에서 RRC 연결 재구성을 수신한다. 여기서, RRC 연결 재구성은 측정 인터벌(Interval)이 서브프레임 9로 설정된 측정 구성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단말(100)은 측정 이벤트가 트리거되면, n+2 SFN의 2번 서브프레임에서 MR을 을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MR에 대한 응답인 RRC 연결 재구성은 n+2 SFN의 7번 서브프레임을 통해 수신된다. 그러면, n+2 SFN의 8번 서브프레임부터 DRX 비활성 타이머가 시작된다.
단말(100)은 다음, 주기인 n+3 SFN의 0번 서브프레임에서 MR을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MR에 대한 응답이 RRC 연결 재구성은 n+3 SFN의 5번 서브프레임을 통해 수신되고, 바로 이어서 6번 서브프레임부터 DRX 비활성 타이머가 시작된다.
또한, 단말(100)은 다음, 주기인 n+3 SFN의 8번 서브프레임에서 MR을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MR에 대한 응답이 RRC 연결 재구성은 n+4 SFN의 3번 서브프레임을 통해 수신되고, 바로 이어서 4번 서브프레임부터 DRX 비활성 타이머가 시작된다.
따라서, 도 4와 달리, n+3 SFN의 4번 서브프레임과 n+4 SFN의 3번 서브프레임에서 비활성 구간이 발생하므로, DRX가 완전히 오프되지 않는다.
도 6은 도 4와 같이, 측정 인터벌을 지속구간 타이머+불연속 수신 비활성 타이머 이하로 설정하였으나, 도 4가 측정 인터벌의 시작을 n+2 SFN 2번 서브프레임에서 시작한 것과 달리, n+2 SFN 6번 서브프레임에서 시작하는 경우의 실시예이다.
이때, 측정 인터벌은 가장 긴 주기인 8개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하였다.
단말(100)은 n+1 SFN의 5번 서브프레임에서 MR을 전송한 후, n+2 SFN의 1번 서브프레임에서 RRC 연결 재구성을 수신한다. 여기서, RRC 연결 재구성은 측정 인터벌이 서브프레임 8로 설정된 측정 구성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단말(100)은 측정 이벤트가 트리거되면, n+2 SFN의 6번 서브프레임에서 MR을 을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 즉,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하는 서브프레임에서 MR을 전송하였다. 그러면, MR에 대한 응답인 RRC 연결 재구성은 n+3 SFN의 1번 서브프레임을 통해 수신된다. 그러면, n+3 SFN의 2번 서브프레임부터 DRX 비활성 타이머가 시작된다.
단말(100)은 다음, 주기인 n+3 SFN의 3번 서브프레임에서 MR을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MR에 대한 응답이 RRC 연결 재구성은 n+3 SFN의 8번 서브프레임을 통해 수신되고, 바로 이어서 9번 서브프레임부터 DRX 비활성 타이머가 시작된다.
단말(100)은 다음, 주기인 n+4 SFN의 0번 서브프레임에서 MR을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MR에 대한 응답이 RRC 연결 재구성은 n+4 SFN의 5번 서브프레임을 통해 수신되고, 바로 이어서 6번 서브프레임부터 DRX 비활성 타이머가 시작된다.
이와 같이, n+3 SFN의 0번 서브프레임부터는 DRX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하더라도, 바로 이어서 RRC 연결 재구성의 수신으로 인하여 DRX 비활성 타이머가 재시작되므로, 활성 구간이 연속되어, DRX가 오프된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도 7은 도 6과 동일한 조건이나, 측정 인터벌을 지속구간 타이머+불연속 수신 비활성 타이머를 초과하여 설정한 경우로서, 9개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하였다.
단말(100)은 n+1 SFN의 5번 서브프레임에서 MR을 전송한 후, n+2 SFN의 1번 서브프레임에서 RRC 연결 재구성을 수신한다. 여기서, RRC 연결 재구성은 측정 인터벌이 서브프레임 9로 설정된 측정 구성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단말(100)은 측정 이벤트가 트리거되면, n+2 SFN의 6번 서브프레임에서 MR을 을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 즉,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하는 서브프레임에서 MR을 전송하였다. 그러면, MR에 대한 응답인 RRC 연결 재구성은 n+3 SFN의 1번 서브프레임을 통해 수신된다. 그러면, n+3 SFN의 2번 서브프레임부터 DRX 비활성 타이머가 시작된다.
단말(100)은 다음, 주기인 n+3 SFN의 4번 서브프레임에서 MR을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MR에 대한 응답이 RRC 연결 재구성은 n+3 SFN의 9번 서브프레임을 통해 수신되고, 바로 이어서 n+4 SFN의 0번 서브프레임부터 DRX 비활성 타이머가 시작된다.
단말(100)은 다음, 주기인 n+4 SFN의 2번 서브프레임에서 MR을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MR에 대한 응답이 RRC 연결 재구성은 n+4 SFN의 7번 서브프레임을 통해 수신되고, 바로 이어서 8번 서브프레임부터 DRX 비활성 타이머가 시작된다.
따라서, 도 6과 달리, n+3 SFN의 8번 서브프레임과 n+4 SFN의 6번 서브프레임에서 비활성 구간이 발생하므로, DRX가 완전히 오프되지 않는다.
이상, 도 4 ~ 도 7을 통해 설명한 바에 따르면, 측정 인터벌을 지속구간 타이머+불연속 수신 비활성 타이머 이하로 설정하면, DRX를 오프하는 효과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측정 주기를 줄이면 이에 대한 응답, 즉, RRC 메시지 송신(또는 수신) 주기도 짧아지기 때문에 장기 DRX 주기로 동작하는 경우가 줄어들고 지속구간 타이머+DRX 비활성 타이머도 자주 발생하여, 결국 비활성 시간이 줄어든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DRX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CDRX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10은 도 8 또는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CDRX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측정 이벤트가 트리거되면, 측정 보고(MR)를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S201).
기지국(200)은 측정 보고에 기초하여 단말(100)의 무선 환경이 나쁘다고 판단(S203)하면, 지속구간 타이머를 재설정(S205)한다.
기지국(200)은 재설정된 지속구간 타이머가 포함된 DRX 구성 정보를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시켜, 단말(100)로 전송한다(S207).
단말(100)은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획득한 재설정된 지속구간 타이머에 따른 CDRX 동작을 제어한다(S209).
이때, 재설정된 지속구간 타이머는 장기 DRX 주기의 n배(n>1, n은 (+)정수)로 설정된다. 여기서, 장기 DRX 주기는 최소 주기가 서브프레임 10개이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측정 이벤트가 트리거되면, 측정 보고(MR)를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S301).
기지국(200)은 측정 보고에 기초하여 단말(100)의 무선 환경이 나쁘다고 판단(S303)하면, 지속구간 핸드오버(ON_Duration_HO) 파라미터를 설정(S305)한다. 여기서, 지속구간 핸드오버 파라미터는 새로 정의된 파라미터이다.
기지국(200)은 지속구간 핸드오버 파라미터가 포함된 DRX 구성 정보를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시켜, 단말(100)로 전송한다(S307).
단말(100)은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획득한 지속구간 핸드오버 파라미터에 따른 CDRX 동작을 제어한다(S309).
이때, 단말(100)은 지속구간 핸드오버 파라미터가 수신되면, 기 설정된 지속구간(OnDuration) 타이머를 무시하고, 지속구간 핸드오버 파라미터에 따라 PDCCH를 모니터링하는 활성 구간을 설정한다.
지속구간 핸드오버 파라미터는 장기 DRX 주기의 n배(n>1, n은 (+)정수)로 설정된다. 여기서, 장기 DRX 주기는 최소 주기가 서브프레임 10개이다.
이러한, 도 8 및 도 9의 실시예는 도 10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즉,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100)은 n+1 SFN의 5번 서브프레임에서 측정 보고(이하, MR로 통칭함)를 수행한 후, n+2 SFN의 1번 서브프레임에서 RRC 연결 재구성을 수신한다.
이때, RRC 연결 재구성은 장기 DRX 주기의 n배로 설정된 지속구간 타이머 또는 지속구간 핸드오버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단말(100)은 지속구간 타이머를 장기 DRX 주기만큼 연장시킨다. 이때, 장기 DRX 주기가 서브프레임 20개라면, n+2 SFN, n+3 SFN에 이르는 모든 서브프레임 동안 PDCCH를 모니터링하는 활성 구간이 되므로, DRX가 오프된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단말 및 기지국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100)은 통신 장치(101), 메모리(103) 및 프로세서(105)를 포함한다. 통신 장치(101)는 프로세서(105)와 연결되어, 기지국(200)과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메모리(103)는 프로세서(105)와 연결되어, 도 1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 및/또는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프로세서(105)는 메모리(103)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기지국(200)은 통신 장치(201), 메모리(203) 및 프로세서(205)를 포함한다. 통신 장치(201)는 프로세서(205)와 연결되어, 단말(100)과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메모리(203)는 프로세서(205)와 연결되어, 도 1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 및/또는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프로세서(205)는 메모리(203)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여기서, 프로그램은 무선 환경의 상태가 양호한지 여부에 따라 CDRX 주기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하지 않는 비활성 구간을 줄이는 동작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무선 환경의 상태를 측정하는 주기를 축소시키는 제1 동작, 무선 환경의 상태를 판단하는 기준인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마진을 증가시키는 제2 동작, 무선 환경의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 인터벌(Interval)을 CDRX 주기에서 지속구간(OnDuration) 타이머 및 불연속 구간 비활성 타이머를 합한 타이머 이하로 설정하는 제3 동작, 지속구간 타이머를 장기 불연속 수신 주기의 n배(n>1, n은 (+)정수)로 설정하는 제4 동작, 그리고 지속구간 타이머를 무시하고, PDCCH를 모니터링하는 활성 구간을 구동시키는 핸드오버 파라미터를 장기 불연속 수신 주기의 n배(n>1, n은 (+)정수)로 설정하는 제5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6)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고, 기지국과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연결 모드에 있는 단말이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서브프레임에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모니터링하는 불연속 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자원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무선 자원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상기 불연속 수신 동작에서 상기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지 않는 비활성 구간을 줄이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단말이 측정을 수행한 결과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 보고에 따라 설정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을 수신하는, 방법.
  3. 제2항에서,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은,
    측정 구성 정보, 불연속 수신 구성 정보 및 핸드오버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이전 측정 주기보다 짧아진 측정 주기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서,
    상기 측정 주기는,
    상기 측정 보고를 트리거링하는 측정 이벤트의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마진(Margin)이 증가된, 방법.
  6. 제4항에서,
    상기 측정 주기는,
    지속구간(OnDuration) 타이머와 불연속 수신 비활성 타이머를 합한 타이머 이하로 설정된 측정 인터벌(Interval)을 포함하는, 방법.
  7. 제3항에서,
    상기 불연속 수신 구성 정보는,
    지속구간(OnDuration) 타이머가 장기 불연속 수신 주기의 0을 제외한 양의 정수배로 설정되는, 방법.
  8. 제3항에서,
    상기 핸드오버 파라미터는,
    장기 불연속 수신 주기의 0을 제외한 양의 정수배로 설정되며,
    상기 줄이는 단계는,
    상기 핸드오버 파라미터가 수신되면, 기 설정된 지속구간(OnDuration) 타이머를 무시하고, 상기 핸드오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활성 구간을 설정하는, 방법.
  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기지국이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연결된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이 측정을 수행한 결과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측정 보고에 따라 상기 단말의 연결모드 불연속 수신 주기에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모니터링하지 않는 비활성 시간을 줄이는 설정을 하는 단계, 그리고
    설정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자원 제어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서,
    상기 설정을 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 보고의 측정 주기를 축소시키는 설정을 하는, 방법.
  11. 제9항에서,
    상기 설정을 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 보고를 트리거링하도록 하는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마진을 증가시키는 설정을 하는, 방법.
  12. 제9항에서,
    상기 설정을 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 보고의 측정 인터벌(Interval)을 지속구간(OnDuration) 타이머 및 불연속 수신 비활성 타이머를 합한 타이머 이하로 설정하는, 방법.
  13. 제9항에서,
    상기 설정을 하는 단계는,
    지속구간(OnDuration) 타이머를 장기 불연속 수신 주기의 0을 제외한 양의 정수배로 설정하는, 방법.
  14. 제9항에서,
    상기 설정을 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지속구간(OnDuration) 타이머를 무시하고, 상기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활성 구간을 구동시키는 핸드오버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상기 핸드오버 파라미터는,
    장기 불연속 수신 주기의 0을 제외한 양의 정수배로 설정되는, 방법.
  15.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서브프레임에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모니터링하는 연결모드 불연속 수신(Connected Discontinuous Reception, CDRX) 동작을 구동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무선 환경의 상태가 양호한지 여부에 따라 상기 연결모드 불연속 수신의 주기에서 상기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모니터링하지 않는 비활성 구간을 줄이는 동작을 수행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포함하는, 연결모드 불연속 수신 제어 장치.
  16. 제15항에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무선 환경의 상태를 측정하는 주기를 축소시키는 제1 동작,
    상기 무선 환경의 상태를 판단하는 기준인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마진을 증가시키는 제2 동작,
    상기 무선 환경의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 인터벌(Interval)을 상기 연결모드 불연속 수신의 주기에서 지속구간(OnDuration) 타이머 및 불연속 구간 비활성 타이머를 합한 타이머 이하로 설정하는 제3 동작,
    상기 지속구간 타이머를 장기 불연속 수신 주기의 0을 제외한 양의 정수배로 설정하는 제4 동작, 그리고
    상기 지속구간 타이머를 무시하고, 상기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활성 구간을 구동시키는 핸드오버 파라미터를 장기 불연속 수신 주기의 0을 제외한 양의 정수배로 설정하는 제5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연결모드 불연속 수신 제어 장치.
KR1020170101903A 2017-08-10 2017-08-10 단말의 동작 방법, 기지국의 동작 방법 및 연결모드 불연속 수신 제어 장치 KR201900172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903A KR20190017295A (ko) 2017-08-10 2017-08-10 단말의 동작 방법, 기지국의 동작 방법 및 연결모드 불연속 수신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903A KR20190017295A (ko) 2017-08-10 2017-08-10 단말의 동작 방법, 기지국의 동작 방법 및 연결모드 불연속 수신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295A true KR20190017295A (ko) 2019-02-20

Family

ID=65562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903A KR20190017295A (ko) 2017-08-10 2017-08-10 단말의 동작 방법, 기지국의 동작 방법 및 연결모드 불연속 수신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72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7569B2 (en) Adjusting connection states of a mobile wireless device based on a period of inactivity
EP2468050B1 (en) Discontinuous reception for multi-component carrier system
JP6279551B2 (ja) 多様なデータの使用のためのユーザー機器の改善
WO2017012540A1 (en) Measurement enhancements for lte systems
US11722962B2 (en) Method of receiving a wake-up signal, wireless device and computer program
CN106105330B (zh) 无线通信网络中的方法及网络节点
US10299312B2 (en) Managing transitions between different user equipment activity configurations
JP2008236436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ユーザ装置、基地局装置及び方法
US10687283B2 (en) Status changing apparatus and method
US20200092936A1 (en) Discontinuous reception method and device
US20220078715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using power-saving signal pattern, device and system
WO2022042752A1 (zh) 物理下行控制信道的监听方法、装置和设备
US201801100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ntinuous Reception
US20220086757A1 (en) Communications devices,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US20230379817A1 (en) Terminal State Control Method, Terminal, and Non-transitory Readable Storage Medium
US11178722B2 (en) Discontinuous reception
US20200314879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access network device, terminal device, and network entity
WO2021056469A1 (zh) 一种定时器控制的方法和装置
KR20190017295A (ko) 단말의 동작 방법, 기지국의 동작 방법 및 연결모드 불연속 수신 제어 장치
TWI599247B (zh) 切換非連續接收操作狀態的方法
US20230337315A1 (en) Reference signal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WO2024070472A1 (ja) 接続先のセルを効率的に変更する端末装置
KR20230164058A (ko) 불연속 통신을 위한 방법
JP2019517747A (ja) 無線チャネルの品質に基づく条件付きデータ通信
WO2023131431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network access when associated relay user equipment is unavail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