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9338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9338B1
KR101119338B1 KR1020050062928A KR20050062928A KR101119338B1 KR 101119338 B1 KR101119338 B1 KR 101119338B1 KR 1020050062928 A KR1020050062928 A KR 1020050062928A KR 20050062928 A KR20050062928 A KR 20050062928A KR 101119338 B1 KR101119338 B1 KR 101119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le
sleep
mode
base st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2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8028A (ko
Inventor
김사진
박윤상
김윤성
정주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2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9338B1/ko
Publication of KR20070008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말의 동작 모드 제어 장치에 있어서, 슬립 모드의 리스닝 윈도우에서 수신한 하향 링크-MAP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이 다른 기지국 영역으로 이동하였는 지를 판단하는 기지국 변경 판단부와, 상기 다른 기지국 영역으로 이동하였다고 판단하면 상기 슬립 모드를 해지하고 노멀 모드로 천이한 후, 아이들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기간(T_idle)을 재설정하는 동작 모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 모드 제어부는, 상기 노멀 모드로 천이 직전의 마지막 슬립 윈도우의 구간이 상기 T_idle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T_idle에서 상기 마지막 슬립 윈도우 구간을 뺀 값으로 새로운 T_idle을 설정하고, 상기 노멀 모드로 천이 직전의 마지막 슬립 윈도우의 구간이 상기 T_idle보다 크면, 상기 리스닝 윈도우의 구간으로 새로운 T_idle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슬립 모드, 슬립 윈도우, 리스닝 윈도우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MODE OF A SUBSCRIBER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SUBSCRIBER STATION}
도 1은 일반적인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서비스 영역을 이동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슬립 모드와 아이들 모드의 운용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S에서의 동작 모드 제어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각 이동 단말(MSS: Mobile Subscriber Station)들(10,12) 일반적으로 이동성을 가지며 각각 기지국(BS:Base Station)들(20,22)을 통해 백본 네트워크(30)에 연결된다. 상기 MSS들(10,12) 각각은 상기 BS들(20,22)과 가입자 간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BS들(20,22)은 MSS(10,12)에 대한 제어, 관리 및 접속성(connectivity)을 제공한다. 그리고 백본 네트워크(30)는 MSS(10,12)의 인증 및 서비스 인증을 위한 ASA(Authentication and Service Authorization Server)(40)에 연결된다.
한편, 이동성을 지원하는 MSS에 있어서 소비 전력을 줄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상기 MSS의 소비 전력을 줄이기 위한 방법 중 하나가 슬립 모드(sleep mode) 또는 아이들 모드(idle mode)를 채용하는 것이다. 상기 슬립 모드 또는 아이들 모드는 파워 세이빙 모드(power saving mode)이다.
상기 슬립 모드 또는 아이들 모드에서의 MSS는 RTC(real time clock)와 위상 동기 루프(PLL) 이외의 모든 기능 예컨대, 송신 기능, 수신 기능 등을 정지한다. 이 때 재기동을 할 수 있도록 PLL은 활성 상태(active)로 되어 있다. 그리고 MSS는 슬립 모드 또는 아이들 모드에서, 이웃하는 BS(Neighbour BSs)에 대한 검색 및 레인징(ranging) 또는 핸드오버(handover)의 수행을 위해 주기적으로 깨어난다. IEEE 802.16e 시스템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이러한 슬립 모드 또는 아이들 모드를 이용하여 MSS의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해준다.
먼저, 상기 슬립 모드 동작은 MSS가 MOB-SLP-REQ 메시지를 전송함으로 인해 시작된다. 상기 MOB-SLP-REQ 메시지는 각 파워 세이빙 클래스(Power Saving class) 별로 최초의 슬립 윈도우(sleep-window)를 지정하는 initial sleep-window(=8 bits)와 마지막 슬립 윈도우를 지정하는 final sleep-window base(=10 bits), final-sleep-window exponent(=3 bits), 그리고 리스닝 윈도우(listening-window)를 설정하는 listening-window(=4 bits)로 구성된다. 상기 MSS가 MOB-SLP-REQ 메시지를 통해 요청한 sleep 상태 동작은 BS의 MOB-SLP-RSP 메시지를 통해 최종 승인이 이루어지고, 상기 MSS는 상기 MOB-SLP-RSP 메시지에 포함된 TRF-IND required가 1로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하면, 자신의 SLPID를 할당받으며,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슬립 모드를 운용한다. 상기 슬립 윈도우 및 리스닝 윈도우는 프레임(frame) 단위로 구성되고, 슬립 윈도우 갱신 알고리듬은 다음과 같다. initial sleep-window를 기본으로 뒤에 이어지는 슬립 윈도우는 2배씩 그 길이가 증가하고, final sleep-window는 final-sleep-window = final-sleep-window base × 2(final-sleep-window exponent)에 의해 설정되고, final sleep-window 이후로는 2배씩 증가하지 않고, 계속 final sleep-window 값을 유지한다.
그리고, 아이들 모드 동작은 DREG-REQ 메시지를 MSS가 전송하고, BS로부터 DREG-CMD 메시지를 수신하면 시작된다. 상기 DREG-REQ 메시지에는 상기 MSS가 요청한 Paging Cycle (=16 bits)이 정의되어 있고, DREG-REQ 메시지를 받은 상기 BS가 전송하는 DREG-CMD에는 Paging Group ID (= 8 bits), Paging Offset (= 8 bits) 그리고 Paging Cycle (=16 bits)가 정의되어 있다. 이를 받은 MSS는 현재 BS와 동기를 이루고 있는 채널의 프레임 넘버(FN:frame number)가 FN % Paging Cycle = Paging Offset을 만족하는 프레임으로부터 5 프레임 동안을 페이징 인터벌(Paging Interval)로 간주하고, 이 구간 동안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MOB-PAG-ADV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MOB-PAG-ADV 메시지는 이 메시지를 전송하는 BS가 속한 Paging Group ID 그리고, 아이들 모드로 동작하는 MSS 중에서 위치 업데이트(Location Update) 혹은 네트워크 재접속(Network Re-entry)가 필요한 단말들을 지시하는 MAC address Hash 정보 및 각 단말별로 수행해야 할 절차에 대해 기술한 Action code로 구성된다. 만일, 상기 MSS가 아이들 모드로 진입하기 이전, 즉, DREG-CMD 메시지를 수신한 BS와 현재 MOB-PAG-ADV 메시지를 전송하는 BS간의 Paging Group ID가 다를 경우 위치 업데이트를 수행하거나, 상기 아이들 모드에 있는 각 MSS 별로 BS가 정해준 액션 코드(Action code)에 따라 일련의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종래 규격에서는 슬립 모드와 아이들 모드의 독립적인 구분만 지어놓은 채, 어떤 상황에서 슬립 모드 혹은 아이들 모드로 진입해야 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이 없는 상태이다. 구현 과정에서 슬립 모드 혹은 아이들 모드 각각에 대해 독립적으로 운용이 가능하나, 두 개의 모드가 동시에 존재하고 서로 유연성 있게 동작하기 위해서는 노멀 모드(Normal mode)에서 슬립 모드 혹은 아이들 모드의 효율적인 천이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규격에 서로 간의 상관성 없이 동작하는 슬립 모드와 아이들 모드를 유연하게 동작하도록 하는 모드 천이 방법 및 이를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말의 동작 모드 제어 장치에 있어서, 슬립 모드의 리스닝 윈도우에서 수신한 하향 링크-MAP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이 다른 기지국 영역으로 이동하였는 지를 판단하는 기지국 변경 판단부와, 상기 다른 기지국 영역으로 이동하였다고 판단하면 상기 슬립 모드를 해지하고 노멀 모드로 천이한 후, 아이들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기간(T_idle)을 재설정하는 동작 모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 모드 제어부는, 상기 노멀 모드로 천이 직전의 마지막 슬립 윈도우의 구간이 상기 T_idle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T_idle에서 상기 마지막 슬립 윈도우 구간을 뺀 값으로 새로운 T_idle을 설정하고, 상기 노멀 모드로 천이 직전의 마지막 슬립 윈도우의 구간이 상기 T_idle보다 크면, 상기 리스닝 윈도우의 구간으로 새로운 T_idle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말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슬립 모드의 리스닝 윈도우에서 수신한 하향링크-MAP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이 다른 기지국 영역으로 이동하였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단말이 상기 다른 기지국 영역으로 이동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슬립 모드를 해지하고 노멀 모드로 천이하는 과정과, 아이들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기간(T_idle)을 재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T_idle를 재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노멀 모드로 천이 직전의 마지막 슬립 윈도우 구간이 상기 T_idle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T_idle에서 상기 마지막 슬립 윈도우 구간을 뺀 값으로 새로운 T_idle를 설정하고, 상기 노멀 모드로 천이 직전의 마지막 슬립 윈도우 구간이 상기 T_idle보다 크면, 상기 리스닝 윈도우의 구간으로 새로운 T_idle를 설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삭제
삭제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서비스 영역을 이동하는 경우에 슬립 모드와 아이들 모드의 운용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서비스 영역을 이동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슬립 모드와 아이들 모드의 운용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SS: Subscriber Station)10)은 슬립 모드 혹은 아이들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 각각 Tsleep, Tidle 기간 동안 하향링크(DownLink, 이하, 'DL'이라 칭하기로 한다)/상향링크(UpLink: 이하, 'UL'라 칭하기로 한다)로 트래픽이 없으면 각 모드로 진입한다. 상기 Tsleep, Tidle 기간은 각각 슬립 모드와 아이들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구간으로 각각 T_sleep과 T_idle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Tidle > Tsleep'이라는 전제 하에 SS의 동작을 설명한다. 즉, Tsleep 기간이 Tidle 기간보다 짧기 때문에 상기 SS(10)는 현재 네트워크(Network Entry)를 수행한 서빙 기지국(BS: base station)(20)에서 Tsleep 기간 만료 후(102)에 MOB-SLP-REQ(RSP) 메시지 교환 후, 슬립 모드로 한다(104).
이후, 상기 SS(10)가 예컨대, 기지국(20)에 의한 서비스 영역(50)에서 타겟 BS (22)에 의한 서비스 영역(52)으로 이동하면 핸드오버(Handover)가 발생한다. 이때, 상기 SS(10)가 슬립 모드의 슬립 윈도우 구간 예컨대, 도 3의 슬립 윈도우(86)에 있는 경우 SS(10)는 상기 서빙 BS(20) 및 상기 타겟 BS(22)와의 통신을 중단하기 때문에 서빙 BS(20)에 의한 서비스 영역(50)에서 타겟 BS(22)에 의한 서비스 영역(52)으로 이동하였음을 알지 못한다.
상기 SS(10)는 슬립 윈도우 후에 나타나는 리스닝 윈도우에서 상기 타겟 BS(22)로부터 첫 프레임을 수신하면, 상기 프레임을 통해서 수신된 기지국 정보를 확인한다. 예컨대, 상기 SS(10)는 도 3의 슬립 윈도우(86)에 후속하는 리스닝 윈도우(87)에서 수신한 첫 프레임의 DL-MAP에 정의되어 있는 프레임 넘버(FN:Frame Number) 및 기지국 ID(BS-ID) 정보 중 어느 하나 혹은 상기 FN과 기지국 정보의 조합을 이전 리스닝 윈도우를 기준으로 계산한 예상 FN 및 기지국 ID(BS-ID) 정보 중 어느 하나 혹은 상기 예상 FN 및 기지국 ID 조합과 비교한다.
예컨대, 도 3에서 상기 SS(10)는 이전 리스닝 윈도우(84)에서 수신한 DL-MAP에 정의되어 있는 FN에 따른 예상 FN 및 기지국 ID(BS-ID #N)중 어느 하나 혹은 그 조합과 현재의 리스닝 윈도우(87)에서 수신한 DL MAP에 정의되어 있는 FN 및 BS ID(#N+1) 정보 중 어느 하나 혹은 그 조합을 비교하여 다르면 자신이 슬립 윈도우 동안 다른 기지국 영역으로 이동을 했다고 간주하고 슬립 모드를 해지한 후 노멀 모드로 천이한다. 그리고, 상기 SS(10)는 Tidle 기간을 하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와 같이 재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노멀 모드로 천이 직전의 마지막 슬립 모드 구간을 Tlastsleepwnd라 정의하고, Tlistenwnd은 상기 Tlastsleepwnd 후 나타나는 리스닝 윈도우 값을 나타낸다.
Tlastsleepwnd <= 기존 Tidle
삭제
Tidle = Tidle - Tlastsleepwnd
Tlastsleepwnd > 기존 Tidle
Tidle = Tlistenwnd
먼저, 상기 <수학식 1>의 조건을 설명하면, 상기 SS(10)는 상기 마지막 슬립 윈도우(86)에서 자신에게 전송되는 트래픽 또는 자신이 전송할 트래픽이 없었으므로, 아이들 모드에 진입하기 위해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는 구간인 Tidle에서 이전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았던 Tlastsleepwnd을 빼준다. 즉, 상기 SS(10)는 핸드오버에 따라 Tidle을 새롭게 카운트하지 않고 이전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았던 Tlastsleepwnd을 Tidle에 반영한다.
또한, 상기 <수학식 2>의 조건을 설명하면, 상기 SS(10)는 핸드오버에 따라 상기 리스닝 윈도우(87)에서 수신되는 MOB-TRF-IND 메시지를 통해 DL 트래픽 유무를 판단하지 못한 상태에서 노멀 모드로 천이했기 때문에 Tidle 기간을 Tlastsleepwnd 후 나타나는 리스닝 윈도우(87) 값 즉, Tlistenwnd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타겟 BS(22)로 이동한 상기 SS(10)는 상 기 노멀 모드 내에서 초기 셀(cell) 탐색을 다시 수행한다. 셀 탐색 및 네트워크 접속 절차를 다 수행한 후(106), DL/UL 트래픽이 Tsleep, 재설정된 Tidle 기간 동안 발생하지 않으면(110), 해당 타이머에 맞는 절차, 즉, 슬립 모드 혹은 아이들 모드 즉, 파워 세이빙 모드(power saving mode)로의 진입을 위한 메시지 교환 절차를 수행한다.
만일, Tsleep이 Tidle보다 작을 경우, Tsleep 기간 만료가 먼저 발생하여 상 상기 SS(10)는 셀 탐색 절차를 통해 동기를 잡은 상기 타겟 BS(22) 와 MOB-SLP-REQ(RSP) 메시지 교환 절차를 통해 슬립 모드로의 진입을 수행한다.
그렇지 않고, Tidle이 Tsleep보다 작을 경우, Tidle 기간 만료가 먼저 발생하여 상기 SS(10)는 셀 탐색 절차를 통해 동기를 잡은 상기 타겟 BS(22)와 DREG-REQ(CMD) 메시지 교환 절차를 통해 아이들 모드로 진입을 수행한다. 그런데, 만일 새롭게 동기를 잡은 BS와 네트워크 접속 상황을 마친 후, DL/UL 트래픽이 발생하면, 상기 네트워크 접속 후 동작시킨 Tsleep, Tidle 기간에 해당하는 타이머 동작이 중지 및 재시동된다. 이때, 이전에 재설정된 Tidle 기간을 최초 설정된 Tidle 값으로 갱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SS(10)는 송수신부(12)와, 기지국 변경 판단부(14) 및 동작 모드 제어부(16)를 포함한다. 상기 SS(10)는 상기 송수신부(12)를 통해 BS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송수신부(12)는 슬립 모드의 리스닝 윈도우에서 BS로부터 수신하는 다운링크 제어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 변경 판단부(14)에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 변경 판단부(14)는 현재 다운링크 제어 메시지의 DL-MAP에 정의되어 있는 FN 및 기지국 ID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슬립 모드 천이 직전의 FN으로부터 예상한 FN 및 알고 있는 BS ID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과 비교한다. 또는, 상기 기지국 변경 판단부(14)는 이미 슬립 모드로 동작 중인 경우에는 현재 DL-MAP에 정의되어 있는 FN 및 기지국 ID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과 이전 리스닝 윈도우에서 받은 DL-MAP에 근거한 예상 FN 및 기지국 ID 정보와 비교한다.
상기 기지국 변경 판단부(14)는 현재의 DL-MAP의 FN 및 기지국 ID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이 예상 FN 및 알고 있는 기지국 ID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과 다르면 새로운 기지국을 식별한다. 다시 말해, 상기 기지국 변경 판단부(14)는 핸드오프 등에 의해 SS(10)의 서비스 기지국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동작 모드 제어부(16)에 알린다. 동작 모드 제어부(16)는 슬립 모드를 해지한 후 노멀 모드로 천이한다. 그리고, 상기 동작 모드 제어부(16)는 Tidle 기간을 재설정할 수 있다. 노멀 모드로 천이 직전의 마지막 sleep window 시간인 Tlastsleepwnd이 <= 기존 Tidle인 경우, 상기 동작 모드 제어부(16)는 Tidle을 새롭게 카운트하지 않고 이전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았던 Tlastsleepwnd을 Tidle에 반영하여 Tidle에서 이전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았던 Tlastsleepwnd을 빼준다. 그리고 동작 모드 제어부(16)는 Tlastsleepwnd이 > 기존 Tidle인 경우 Tidle 기간을 Tlistenwnd으로 설정하는데, 이유는 핸드오버에 따라 리스닝 윈도우(87)에서 수신되는 MOB-TRF-IND 메시지를 통해 DL 트래픽 유무를 판단하지 못한 상태에서 노멀 모드로 천이했기 때문이다.
한편, 동작 모드 제어부(16)는 DL/UL 트래픽이 Tsleep, 재설정된 Tidle 기간동안 발생하지 않으면, 해당 타이머에 맞는 절차, 즉, 슬립 모드 혹은 아이들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메시지 교환 절차를 수행한다. 만일 Tsleep이 Tidle보다 작을 경우, Tsleep 기간 만료가 먼저 발생하여 상기 동작 모드 제어부(16)는 셀 탐색 절차를 통해 동기를 잡은 상기 BS(22)와 MOB-SLP-REQ(RSP) 메시지 교환 절차를 통해 sleep mode로 진입을 수행한다. 그렇지 않고 Tidle이 Tsleep보다 작을 경우, Tidle 기간 만료가 먼저 발생하면 상기 동작 모드 제어부(16)는 셀 탐색 절차를 통해 동기를 잡은 상 BS(22)와 DREG-REQ(CMD) 메시지 교환 절차를 통해 아이들 모드로 진입을 수행한다.
그런데 만일 새롭게 동기를 잡은 BS와 네트워크 엔트리 상황을 마친 후에 DL/UL 트래픽이 발생하면, 네트워크 엔트리 후에 동작시킨 Tsleep, Tidle 기간에 해당하는 타이머 동작이 중지 및 재시동되는데 이때 동작 모드 제어부(16)는 이전에 재설정된 Tidle 기간을 최초 설정된 Tidle 값으로 갱신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S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S에서의 동작 모드 제어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SS(10)는 단계 201에서 슬립 모드에 진입하는 지를 판단한다. 슬립 모드는 진입하면 상기 SS(10)는 단계 203으로 진행하여 리스닝 윈도우가 도래하는 지를 판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슬립 모드에서 상기 SS(10)는 슬립 윈도우와 리스닝 윈도우를 교호적으로 겪는다. 리스닝 윈도우에서 상기 SS(10)는 BS로부터의 다운링크 제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슬립 모드의 리스닝 윈도우가 도래하면 상기 SS(10)는 단계 205로 진행하여 다운링크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다. 다운링크 제어 메시지는 DL-MAP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SS(10)는 단계 207에서 현재 다운링크 제어 메시지의 DL-MAP에 정의되어 있는 FN 및 기지국 ID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예상한 FN 및 알고 있는 기지국 ID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과 비교함으로써 자신이 다른 BS 영역으로 이동하였는 지를 판단한다. SS(10)는 현재의 DL-MAP의 FN 및 기지국 ID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이 예상 FN 및 알고 있는 기지국 ID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과 다르면, 다른 BS 영역으로 이동하였다고 판단하고 단계 209에서 슬립 모드를 해지하고 노멀 모드로 천이한다.
이어서 상기 SS(10)는 단계 210에서 Tidle을 재설정하여 활성화하고 Tsleep를 활성화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SS(10)는 Normal mode로 천이 직전의 마지막 sleep window 시간인 Tlastsleepwnd이 <= Tidle인 경우 Tidle을 새롭게 카운트하지 않고 이전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았던 Tlastsleepwnd을 Tidle에 반영하여 Tidle에서 이전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았던 Tlastsleepwnd을 빼준다. 그리고 상기 SS(10)는 Tlastsleepwnd이 > Tidle인 경우 Tidle 기간을 Tlistenwnd으로 설정한다. 이어서 상기 SS(10)는 단계 211에서 DL/UL 트래픽이 Tsleep, 재설정된 Tidle 기간동안 발생하는 지를 판단한다. 즉, 상기 SS(10)는 Tsleep 또는 Tidle이 타임아웃되는 지를 판단한다. 만약 DL/UL 트래픽이 Tsleep, 재설정된 Tidle 기간 동안 발생하면 Tsleep 또는 Tidle은 타임 아웃될 수 없다.
그리고 상기 SS(10)가 Tsleep 또는 Tidle은 타임 아웃되면, 단계 213으로 진행하여 타임 아웃된 타이머에 맞는 절차, 즉, 슬립 모드 혹은 아이들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메시지 교환 절차를 수행하여 해당 파워 세이빙 모드에 진입한다. 구체적으로, Tsleep이 Tidle보다 작을 경우, Tsleep 기간 만료가 먼저 발생하면, 상기 SS(10)는 cell 탐색 절차를 통해 동기를 잡은 BS(22)와 MOB-SLP-REQ(RSP) 메시지 교환 절차를 통해 슬립 모드로 진입을 수행한다. 또, Tidle이 Tsleep보다 작을 경우, Tidle 기간 만료가 먼저 발생하면 상기 SS(10)는 셀 탐색 절차를 통해 동기를 잡은 기지국(22)과 DREG-REQ(CMD) 메시지 교환 절차를 통해 아이들 모드로 진입을 수행한다.
한편, SS(10)이 Tsleep 또는 Tidle은 타임아웃되지 않고 DL/UL 트래픽이 발생하면, 단계 215로 진행하여 네트워크 엔트리 후에 동작시킨 Tsleep과 Tidle 타이머의 중지 및 재시동을 수행하는데 이때, 단계 217에서 이전에 재설정된 Tidle 기간을 최초 설정된 Tidle 값으로 갱신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전술한 바에 같은 본 발명은 단말이 슬립 모드에서 아이들 모드로 천이할 수 있는 효율적인 구현 방법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각 모드에서 발생하는 추상적인 진입시기를 구체화 함으로서 단말의 구현 절차를 손쉽게 한다. 본 발명은 이동성이 있는 단말에서 DL/UL 트래픽 활성이 발생치 않는 경우 시스템 리소스 및 절전을 위해 아이들 모드로 동작시키는 것이 유리하며, 또한 이동성이 없는 단말에서 DL/UL 트래픽 활성이 발생치 않는 경우 신속한 착신 서비스를 위해 슬립 ㅁ모드로의 동작이 유리함을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구현 타이머의 도입없이 트래픽 활성이 발생치 않아서 단말이 진입하게 된 슬립 모드로부터 노멀 모드를 거쳐 슬립 모드 혹은 아이들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동작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규격에 언급된 채 고립될 수 있는 각 모드에 대한 연관성 부여 및 유연한 접합을 통해 슬립 모드 및 아이들 모드를 지원할 수 있는 단말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Tidle 기간의 적응적인 운용 방법을 통해, 아래와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만일, 상기 단말이 다른 기지국으로 이동한 후 Tidle 기간을 바로 적용하면, 이동한 기지국에서 슬립 모드로의 진입이 이루어질 수 없다. 뿐만 아니라, 약 1 km 반경을 갖는 셀을 단말이 100km/h 이상의 고속으로 이동할 경우, 빈번하게 다른 기지국으로 이동하게 되면 단말은 핸드오프에 관련된 DL/UL 트래픽과 긴 Tidle 기간 값으로 인해 아이들 모드로 진입할 수 없게 된다. 즉, 데이터 트래픽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핸드오프 트래픽 발생으로 인해 Tidle 기간이 만료되기도 전에 다른 기지국으로 이동해야한다. 이와 같은 고속 이동시 발생하는 잦은 핸드오프 상황은 단말의 전력 소모를 가속시킬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제어 메시지의 교환을 야기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Tidle 기간을 짧게 설정하면, 단말이 이동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아이들 모드로 진입하는 횟수가 증가하거나, 단말이 이동한 경우 이동한 기지국에서 아이들 모드 진입이 가능하나 슬립 모드로의 진입이 이루어 질 수가 없다.
하지만 이전 기지국에서 운용된 슬립 모드에 따라 Tidle 기간을 적응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이동한 기지국에서 DL/UL 트래픽에 대한 이전 상황을 반영한 Tidle 기간을 바로 적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단말은 빠른 시간 내에 아이들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 아이들 모드로 진입한 단말은 DREG-REQ(CMD) 메시지 교환 절차를 통해 커넥션(connection)에 대한 정보를 해지하기 때문에 비록 고속으로 이동시 발생하게 되는 잦은 핸드오프 상황에서도 핸드오프 절차를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이는 단말로 하여금 효율적인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단말의 배터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다.

Claims (11)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말의 동작 모드 제어 장치에 있어서,
    슬립 모드의 리스닝 윈도우에서 수신한 하향 링크-MAP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이 다른 기지국 영역으로 이동하였는 지를 판단하는 기지국 변경 판단부와, 상기 다른 기지국 영역으로 이동하였다고 판단하면 상기 슬립 모드를 해지하고 노멀 모드로 천이한 후, 아이들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기간(T_idle)을 재설정하는 동작 모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 모드 제어부는, 상기 노멀 모드로 천이 직전의 마지막 슬립 윈도우의 구간이 상기 T_idle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T_idle에서 상기 마지막 슬립 윈도우 구간을 뺀 값으로 새로운 T_idle을 설정하고, 상기 노멀 모드로 천이 직전의 마지막 슬립 윈도우의 구간이 상기 T_idle보다 크면, 상기 리스닝 윈도우의 구간으로 새로운 T_idle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모드 제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변경 판단부는,
    상기 하향링크-MAP에 정의되어 있는 프레임 넘버(FN:Frame Number) 및 기지국 식별자(ID: Identifier) 정보 중 어느 하나 혹은 상기 FN 및 기지국 ID의 제1조합과, 예상한 FN 또는 알고 있는 기지국 ID 정보 중 어느 하나 혹은 상기 예상한 FN 또는 알고 있는 기지국 ID 정보의 제2 조합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단말이 상기 다른 기지국 영역으로 이동하였는 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모드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제어부는,
    상기 노멀 모드로 천이 후, 상기 슬립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기간(T_sleep) 혹은 상기 T_idle 중 어느 하나가 타임 아웃(time out)되면 해당 슬립 모드 혹은 아이들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메시지 교환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모드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제어부는,
    상기 노멀 모드로 천이 후, 하향 링크/상향 링크 트래픽이 발생하면, 상기 T_sleep과 상기 T_idle을 위한 타이머들을 중지하고, 상기 T_sleep 혹은 상기 T_idle을 초기값으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모드 제어 장치.
  7.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말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슬립 모드의 리스닝 윈도우에서 수신한 하향링크-MAP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이 다른 기지국 영역으로 이동하였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단말이 상기 다른 기지국 영역으로 이동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슬립 모드를 해지하고 노멀 모드로 천이하는 과정과,
    아이들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기간(T_idle)을 재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T_idle를 재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노멀 모드로 천이 직전의 마지막 슬립 윈도우 구간이 상기 T_idle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T_idle에서 상기 마지막 슬립 윈도우 구간을 뺀 값으로 새로운 T_idle를 설정하고, 상기 노멀 모드로 천이 직전의 마지막 슬립 윈도우 구간이 상기 T_idle보다 크면, 상기 리스닝 윈도우의 구간으로 새로운 T_idle를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노멀 모드로 천이 후, 상기 슬립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기간 T_sleep 혹은 상기 T_idle 중 어느 하나가 타임 아웃(time out)되면 해당 슬립 모드 혹은 아이들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메시지 교환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노멀 모드로 천이 후, 하향링크/상향링크 트래픽이 발생하면, 상기 T_sleep과 상기 T_idle을 위한 타이머들을 중지하고, 상기 T_sleep 혹은 T_idle 을 초기값으로 갱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KR1020050062928A 2005-07-12 2005-07-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119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928A KR101119338B1 (ko) 2005-07-12 2005-07-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928A KR101119338B1 (ko) 2005-07-12 2005-07-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028A KR20070008028A (ko) 2007-01-17
KR101119338B1 true KR101119338B1 (ko) 2012-03-06

Family

ID=38010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2928A KR101119338B1 (ko) 2005-07-12 2005-07-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93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917B1 (ko) * 2008-01-16 2010-01-0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단말의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를 위한 수면 모드 동작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8949A (ja) 2002-10-03 2004-04-22 Nec Corp 無線端末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無線通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8949A (ja) 2002-10-03 2004-04-22 Nec Corp 無線端末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無線通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028A (ko) 200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955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서의 동작 모드 천이 방법 및그 단말
US10602447B2 (en) Long paging cycle and paging enhancement for power saving LTE devices
RU2414067C2 (ru) Способ для перехода между множественными уровнями приема
US8270326B2 (en) Operating mode transition method and control apparatus for power saving of mobile station
EP1571785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operational mode of a MAC layer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885158B1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수면모드 단말의 주기적인레인징방법
EP2269418B1 (en) Proxy server for facilitating power conservation in wireless client terminals
KR100584446B1 (ko)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모드 제어방법
EP1473880A2 (en) Method for setting sleep interval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70086567A (ko) Wlan 이동국을 동작시키는 방법
US20190364503A1 (en) Power-save mode for wireless device
WO20060192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a sleep id of a mobile station in a bwa communication system
KR20030014333A (ko) 비동기식 통신 시스템에서 휴지 모드 재획득과 핸드오프를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5515816A (ja) ページングコンフィグレーション情報の受信用の促進ウェイクアップ
US11089548B2 (en) Method and device for low power synchroniz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WO2018000383A1 (zh) 一种站点唤醒方法、相关设备和系统
KR100795564B1 (ko) 이동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수면 주기 관리 방법
KR101402986B1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수면 모드 관리 장치 및 그방법
US20230092687A1 (en) Activation of wake-up signaling operation
US1021263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ell reselection
KR10111933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US1015447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ging information transmission
US103345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aborative paging information transmission
US11910354B2 (en) Paging area update
WO2023240499A1 (zh) 一种通信状态的切换方法及装置、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