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4730A - 배기장치 - Google Patents

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4730A
KR20170084730A KR1020160003573A KR20160003573A KR20170084730A KR 20170084730 A KR20170084730 A KR 20170084730A KR 1020160003573 A KR1020160003573 A KR 1020160003573A KR 20160003573 A KR20160003573 A KR 20160003573A KR 20170084730 A KR20170084730 A KR 20170084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housing
inlet
main body
contac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7095B1 (ko
Inventor
고준빈
명태식
강민기
김규태
김남수
윤홍석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03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095B1/ko
Publication of KR20170084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4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064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temperature changes
    • B08B7/0071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temperature changes b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유입구 및 토출구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팬; 상기 본체의 유입구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포집하는 필터; 및 상기 후드 본체의 유입구와 상기 필터를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에 접촉한 접촉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에 적층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청소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 상기 접촉부재가 상기 필터에 적층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청소유닛에 의해 필터에 적층된 이물질을 제거함에 따라 필터의 필터링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고, 배기장치에 의하면, 필터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청소유닛을 구비함에 따라, 필터 세척에 소모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필터를 후드 본체에서 분리하지 않고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기장치{EXHAUST DEVICE}
본 발명은 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기장치의 일종인 레인지 후드의 필터에 적층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기장치의 일종인 레인지 후드는 주방에서 사용되는 가스레인지 위쪽에 설치되어 조리시 발생하는 배기가스, 연기 및 냄새 등을 실외로 배출하여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레인지 후드는 배기가스 등을 흡일할 수 있는 유입구와, 배기판이 설치된 배기통로를 구비한다. 특히 유입구에는 필터가 설치된다. 조리시에 발생하는 배기가스 등은 필터를 통과하여 배기통로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배기가스 등이 필터를 통과하면서 배기가스 등이 포함하는 이물질이 필터에 포집된다. 필터는 배기가스 등이 함유하는 이물질을 필터링하고,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배기가스 등만이 실외로 배출된다. 배기가스 등이 포함하는 이물질은 조리시 발생하는 기름기, 먼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레인지 후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먼저, 종래기술에 따른 레인지 후드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필터에 이물질이 많이 적층되게 된다. 필터에 이물질이 많이 적층되게 되면 필터의 필터링 기능이 저하되고, 이에 따라 이물질이 그대로 포함된 배기가스를 실외로 배출하게 된다. 결국 종래기술에 따른 레인지 후드에 따르면 필터의 필터링 기능 저하로 공기오염을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둘째, 종래기술에 따른 레인지 후드에 따르면, 필터에 이물질이 적층되면 필터를 분리한 후 필터를 청소해야 한다. 장기간 사용에 따라 필터에 적층된 이물질은 쉽게 필터에서 제거할 수 없어 필터 세척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필터를 세척하기 직전까지는 필터가 적절한 필터링 성능을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8-0095529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이물질에 의해 필터의 필터링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필터를 분리하지 않고 필터를 세척할 수 있는 배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는, 유입구 및 토출구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팬; 상기 본체의 유입구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포집하는 필터; 및 상기 본체의 유입구와 상기 필터를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에 접촉한 접촉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에 적층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청소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 상기 접촉부재가 상기 필터에 적층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배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의, 상기 청소유닛은 열선을 더 구비하고, 상기 열선은 상기 필터와 상기 필터에 적층된 이물질에 열을 가하는 배기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의, 상기 열선은 상기 접촉부재에 형성되는 것인 배기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의, 상기 청소유닛은 상기 하우징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더 구비하는 것인 배기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의, 상기 청소유닛은 상기 유입구 둘레의 상기 본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상기 센서가 상기 본체를 감지하면 상기 하우징의 이동을 멈추게 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한 배기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의, 상기 청소유닛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된 스토퍼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가이드 레일의 단부에 인접하게 되면 상기 하우징의 이동을 멈추게 하는 것인 배기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의, 상기 청소유닛은 상기 접촉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접촉부재에서 상기 필터에 접촉된 부분을 변경시키기 위한 변경부를 더 구비하는 것인 배기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에 의하면, 청소유닛에 의해 필터에 적층된 이물질을 제거함에 따라 필터의 필터링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에 의하면, 필터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청소유닛을 구비함에 따라, 필터 세척에 소모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에 의하면, 필터를 후드 본체에서 분리하지 않고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배기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배기장치가 포함하는 청소유닛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배기장치가 포함하는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의 배기장치가 포함하는 스토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10)는 후드 본체(110: 간략히 본체로 지칭할 수 있다)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팬(120: 간략히 팬으로 지칭할 수 있다)과, 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필터(130)와, 필터(130)에 적층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청소유닛(14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후드 본체(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10)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후드 본체(110)는 윗면과 아랫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드 본체(110)는 가스 레인지(미도시)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물리적으로고정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후드 본체(110)의 아랫면의 크기는 가스 레인지의 크기와 대략 유사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가스 레인지로부터 발생하는 연기를 유입하는데 필요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후드 본체(110)의 윗면은 주방의 천장에 결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후드 본체(110)는 실내의 천장과 바닥의 사이에 설치되고, 후드 본체(110)와 실내의 천장은 별도의 배기통로를 이용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후드 본체(110)의 측면은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후드 본체(110)의 측면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드 본체(110)의 측면 단턱이 형성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후드 본체(110)의 측면은 위로 향할수록 좁아지도록 경사진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후드 본체(110)에는 유입구(111)와 토출구(112)가 형성된다.
유입구(111)는 후드 본체(110)의 아랫면에 형성된다. 유입구(111)는 후드 본체(110)의 아랫면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유입구(111)로 조리시 발생하는 배기가스, 연기 또는 냄새 등이 후드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구(111)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유입구(11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예에 따라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토출구(112)는 후드 본체(110)이 윗면에 형성된다. 토출구(112)는 후드 본체(110)의 윗면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토출구(112)에는 별도의 배기통로(미도시)가 결합될 수도 있다. 토출구(112)의 형상은 배기통로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12)의 형상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토출구(112)의 크기는 유입구(111)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유입구(111)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111)를 통해 후드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된 배기가스 등은 토출구(112)를 통해 후드 본체(1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후드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된 배기가스 등은 토출구(112) 및 토출구(112)에 연결된 배기통로를 통해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흡기팬(120)은 후드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된다. 흡기팬(120)은 공기를 흡입하여 배기가스 등이 유입구(111)를 통해 후드 본체(110) 내부로 흡입되게 한다. 흡기팬(120)은 공기를 흡입하여 후드 본체(110) 내부로 흡입된 배기가스 등을 토출구(112) 및 배기통로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게 한다.
흡기팬(120)은 후드 본체(110) 내에서 토출구(112)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기팬(120)은 상기 후드 본체(110) 내에서 도출구(112)의 시작 지점 근방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필터(130)는 배기가스 등에 함유된 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것이다. 필터(130)는 후드 본체(110)의 유입구(111)에 설치된다.
필터(130)는 유입구(111)의 형상과 대략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130)는 상기 유입구(11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130)는 유입구(111)의 크기와 대략 유사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130)는 유입구(111)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유입구(111)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130)는 유입구(111)를 통해 후드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배기가스 등이 함유한 이물질을 필터링한다. 필터(130)가 배기가스 등에 함유된 이물질을 필터링함에 따라 필터(130)에는 이물질이 적층될 수 있다. 배기가스 등이 함유한 이물질은 기름기, 먼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130)는 탄소필터, 섬유필터 및 금속필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청소유닛(140)은 후드 본체(110)의 아랫면에 설치될 수 있다. 청소유닛(140)은 후드 본체(110)의 유입구(111)의 아래쪽에 설치될 수 있다. 청소유닛(140)은 필터(130)의 아래쪽에 설치될 수 있다.
청소유닛(140)은 필터(130)에 적층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청소유닛(140)은 필터(130)에 적층된 이물질을 지속적으로 제거하여 필터(130)의 필터링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10)에 따르면, 이물질이 함유된 배기가스 등이 실외로 배출되어 대기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10)에 따르면, 필터(130)를 후드 본체(110)에서 분리하여 세척하는 경우에도 필터(130)에 적층된 이물질을 최소화하여 필터(130)를 쉽게 세척할 수 있게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청소유닛(140)은 유입구(111)를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가이드 레일(141)과, 가이드 레일(14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142)과, 필터(130)에 접촉하여 필터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접촉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가이드 레일(141)은 하우징(142)의 이동을 안내한다. 하우징(142)은 가이드 레일(141)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가이드 레일(141)은 유입구(111)를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41)은 필터(130)를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41)은 후드 본체(110)의 아랫면에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41)은 필터(130)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41)은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우징(142)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상에 청소유닛(140)에 2개의 가이드 레일(141)이 설치되어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우징(142)의 안정적인 이동을 위해서 가이드 레일(141)이 2개보다 더 많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하우징(142)은 가이드 레일(14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하우징(142)은 가이드 레일(14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하우징(142)은 가이드 레일(141)에 의해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하우징(142)은 가이드 레일(141)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142)은 가이드 레일(141)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하우징(142)은 사용자가 손으로 이동시키는 수동 형태일 수도 있고, 별도의 구동부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하는 자동 형태일 수도 있다.
하우징(142)은 접촉부재(143)와 같은 청소유닛(140)의 각종 구성품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하우징(142)은 필터(130)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하우징(142)은 윗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42)의 측면은 전체적으로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접촉부재(143)는 필터(130)에 접촉하여 필터(130)에 적층된 이물질을 직접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접촉부재(143)는 필터(130)에 접촉되도록 하우징(142)에 설치된다. 접촉부재(143)는 하우징(142)에서 돌출되도록 하우징(142)에 설치된다. 접촉부재(143)는 하우징(142)에서 돌출되어 필터(130)에 접촉되도록 하우징(142)에 설치된다.
접촉부재(143)는 하우징(142)과 같이 가이드 레일(14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접촉부재(143)는 필터(130)와 접촉한 상태에서 가이드 레일(14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접촉부재(143)는 이동하면서 필터(130) 전체와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접촉부재(143)는 필터(130) 전체적으로 적층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접촉부재(143)는 필터(130)의 아랫면에 접촉될 수 있다. 접촉부재(143)는 필터(130)의 아랫면에 접촉하여 필터(130)에 적층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접촉부재(143)는 필터(130)의 윗면에 접촉될 수도 있다. 접촉부재(143)는 필터(130)의 윗면에 접촉하여 필터(130)에 적층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청소유닛(140)은 필터(130)의 아랫면에 접촉하는 접촉부재(143)와, 필터(130)의 윗면에 접촉하는 접촉부재(143)를 모두 구비할 수도 있다.
청소유닛(140)은 필터(130)와 필터(130)에 적층된 이물질에 열을 가하기 위한 열선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열선은 필터(130)와 필터(130)에 적층된 이물질에 열을 가하여 접촉부재(143)가 필터(130)에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열선은 접촉부재(143)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청소유닛(140)은 접촉부재(143)가 감겨있는 제1롤(145) 및 제2롤(146)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유닛(140)은 제2롤(146)을 회전시켜 접촉부재(143)를 변경시키기 위한 변경부(147)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접촉부재(143)는 제1롤(145)과 제2롤(146)에 감겨있을 수 있다. 접촉부재(143)의 일단쪽의 부분은 제1롤(145)에 감겨있고, 타단쪽의 부분은 제2롤(146)에 감겨있을 수 있다. 접촉부재에서 제1롤(145)과 제2롤(146)의 사이에 있는 부분이 필터(130)에 접촉될 수 있다.
변경부(147)는 제2롤(146)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변경부(147)를 이용하여 제2롤(146)을 회전시키면, 제2롤(146)쪽에 접촉부재(143)가 더 감기게 된다. 반면 제1롤(145)쪽에서는 접촉부재(143)가 풀리게 된다. 이렇게 되면 접촉부재(143)가 이동하면서 접촉부재(143)에서 필터(130)에 접촉된 부분이 변경되게 된다.
변경부(147)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롤(146)을 회전시킬 수 있는 레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롤(146)을 회전시킬 수 있다면 다이얼 형태 등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접촉부재(143)가 고정되어 있고 접촉부재(143)를 변경 내지 교체할 수 없다면, 접촉부재(143)의 장기간 사용 시 접촉부재(143) 자체에 이물질이 적층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접촉부재(143)에 적층된 이물질에 의해 오히려 필터(130)가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10)는 접촉부재(143)에서 필터(130)에 접촉된 부분을 변경하게 하여 접촉부재(143)가 이물질에 의해 더렵혀지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접촉부재(143)의 청소 성능 및 필터(130)의 필터링 성능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후드 본체(110)에는 접촉부재(143)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13)는 하우징(142)에서 돌출된 접촉부재(143)가 필터(13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지지부(113)는 접촉부재(143)가 필터(13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접촉부재(143)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113)는 후드 본체(1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13)는 유입구(111)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113)는 유입구(111)를 가로 질러 후드 본체(110)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13)는 필터(130)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청소유닛(140)은 하우징(142)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1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51)는 하우징(142)을 자동으로 이동시킨다. 구동부(151)는 하우징(142)이 가이드 레일(141)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한다.
구동부(151)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 등을 이용한 실린더방식, 랙기어(Rack Gear)와 피니언기어(Pinion Gear) 등을 이용한 기어방식, 볼스크류(Ball screw) 등을 이용한 볼스크류방식, 풀리와 벨트 등을 이용한 벨트방식, 코일과 영구자석 등을 이용한 리니어모터(Linear Motor)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구동부(151)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전원부는 열선의 동작을 위해서 열선에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후드 본체(110)의 아랫면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152)와, 청소유닛(140)은 구동부(15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3)는 각종 신호를 통해 구동부(15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부(153)는 구동부(151)를 동작하게 하거나, 구동부(151)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제어부(153)는 구동부(151)를 제어하여, 구동부(151)에 의해 이동하는 하우징(142)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센서(152)는 후드 본체(110)의 아랫면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센서(152)는 유입구(111) 둘레에 위치한 후드 본체(110)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센서(152)는 후드 본체(110)의 아랫면에서 가이드 레일(141)이 설치된 부분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가이드 레일(141)은 후드 본체(110)에서 가이드 레일 지지부(1411)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152)는 가이드 레일 지지부(1411)를 감지하여, 가이드 레일(141)이 끝나는 부분을 감지하게 된다.
센서(152)는 하우징(142)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152)는 하우징(142)에서 가이드 레일(141)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센서(152)는 하우징(142)에서 하우징(142)의 이동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센서(152)는 가이드 레일 지지부(1411) 및 가이드 레일(141)이 끝나는 부분을 감지하여, 하우징(142)이 가이드 레일(141)의 단부에 인접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센서(152)는 가이드 레일 지지부(1411) 및 가이드 레일(141)이 끝나는 부분을 감지하면, 제어부(153)에 신호를 전달한다. 제어부(153)는 센서(152)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으면 구동부(151)의 동작을 중단하여 하우징(142)을 멈추게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10)에 따르면, 하우징(142)이 가이드 레일(141)의 단부에 인접하여 이동할 수 없음에도 계속하여 이동함으로써 하우징(142)이 파손되거나, 구동부(151)가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청소유닛(140)은 가이드 레일(141)의 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된 스토퍼(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54)는 하우징(142)이 가이드 레일(141)의 단부에 인접하게 되면 하우징(142)의 이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토퍼(154)는 가이드 레일(141)의 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54)는 가이드 레일 지지부(1411)에 설치될 수 있다. 스토퍼(154)는 가이드 레일 지지부(1411)에서 가이드 레일(141)을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54)는 가이드 레일 지지부(1411)에서 가이드 레일(141)이 연장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스토퍼(154)는 가이드 레일 지지부(1411)에서 하우징(142)을 향해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스토퍼(154)는 하우징(142)이 가이드 레일 지지부(1411)와 충돌하여 하우징(142)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토퍼(154)는 하우징(142)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54)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하우징(142)을 이동시키는 형태인 경우 하우징(142)의 이동을 제한 및 가이드하여 하우징(14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42)이 구동부(151)에 의해 자동으로 움직이는 형태인 경우에도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구동부(151)의 동작이 중지되었으나 하우징(142)이 슬라이딩되면서 다른 구성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배기장치
110 : 후드 본체 111 : 유입구
112 : 토출구 113 : 지지부
120 : 흡기팬 130 : 필터
140 : 청소유닛
141 : 가이드 레일 142 : 하우징
143 : 접촉부재
151 : 구동부 152 : 센서
153 : 제어부 154 : 스토퍼

Claims (7)

  1. 유입구 및 토출구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팬;
    상기 본체의 유입구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포집하는 필터; 및
    상기 본체의 유입구와 상기 필터를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에 접촉한 접촉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에 적층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청소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 상기 접촉부재가 상기 필터에 적층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배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유닛은 열선을 더 구비하고,
    상기 열선은 상기 필터와 상기 필터에 적층된 이물질에 열을 가하는
    배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은 상기 접촉부재에 형성되는 것인
    배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유닛은 상기 하우징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더 구비하는 것인
    배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유닛은
    상기 유입구 둘레의 상기 본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상기 센서가 상기 본체를 감지하면 상기 하우징의 이동을 멈추게 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한
    배기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유닛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된 스토퍼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가이드 레일의 단부에 인접하게 되면 상기 하우징의 이동을 멈추게 하는 것인
    배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유닛은 상기 접촉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접촉부재에서 상기 필터에 접촉된 부분을 변경시키기 위한 변경부를 더 구비하는 것인
    배기장치.
KR1020160003573A 2016-01-12 2016-01-12 배기장치 KR102357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573A KR102357095B1 (ko) 2016-01-12 2016-01-12 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573A KR102357095B1 (ko) 2016-01-12 2016-01-12 배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4730A true KR20170084730A (ko) 2017-07-21
KR102357095B1 KR102357095B1 (ko) 2022-01-28

Family

ID=59462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573A KR102357095B1 (ko) 2016-01-12 2016-01-12 배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70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16074A (zh) * 2019-02-14 2019-06-21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自清洁过滤装置及新风系统
CN115722497A (zh) * 2022-11-14 2023-03-03 曹钢 一种用激光清除油烟机积碳的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5529A (ko) 2007-04-25 2008-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벽걸이형 전자렌지 및 후드
KR20090052117A (ko) * 2007-11-20 2009-05-2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진공 흡입 구조를 갖는 필터 재생 시스템
KR200472445Y1 (ko) * 2013-10-11 2014-05-07 진도현 주방용 렌지 후드
KR20150146103A (ko) * 2014-06-20 2015-12-31 한대곤 공기정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5529A (ko) 2007-04-25 2008-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벽걸이형 전자렌지 및 후드
KR20090052117A (ko) * 2007-11-20 2009-05-2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진공 흡입 구조를 갖는 필터 재생 시스템
KR200472445Y1 (ko) * 2013-10-11 2014-05-07 진도현 주방용 렌지 후드
KR20150146103A (ko) * 2014-06-20 2015-12-31 한대곤 공기정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16074A (zh) * 2019-02-14 2019-06-21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自清洁过滤装置及新风系统
CN115722497A (zh) * 2022-11-14 2023-03-03 曹钢 一种用激光清除油烟机积碳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7095B1 (ko) 2022-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41992B1 (en)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JP6336063B2 (ja) ダスト容器
US11491503B2 (en) Coating material mist remover and coating equipment
KR20170084730A (ko) 배기장치
KR200492136Y1 (ko) 차량 도장부스의 방지시설
KR101104076B1 (ko) 집진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CN109011786B (zh) 一种建筑工地临时污水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KR100787778B1 (ko) 공조기용 에어필터의 자동 진공 청소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16283A (ko) 공기 여과
JP2010240531A (ja) スクリーンメッシュ式塵埃除去装置
KR101685147B1 (ko) 분진 여과장치
KR101936741B1 (ko) 공기청정기용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하는 벽걸이 겸용 공기청정기
US11852369B2 (en) Air clea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same
KR20110116864A (ko) 공기조화기
KR101567568B1 (ko) 워터가이드를 이용한 워터필름 습식 공기정화장치에서 워터가이드에 구비된 와이어의 배치방법
KR20090129199A (ko) 공기조화기
US5215562A (en) Self-cleaning filter apparatus
CN103776105A (zh) 空气净化设备
JP2004278845A (ja) 空気調和機
KR20090082732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733761B1 (ko) 습식 필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클린룸 시스템
JPH08168623A (ja) 溶接ヒューム集塵装置
KR101235750B1 (ko) 광휘소둔로 분위기가스의 이물질 제거장치
CN110788076B (zh) 清洁设备及清洁系统
CN102794287A (zh) 多工位节能低噪除尘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