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4091A -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4091A
KR20170084091A KR1020177013174A KR20177013174A KR20170084091A KR 20170084091 A KR20170084091 A KR 20170084091A KR 1020177013174 A KR1020177013174 A KR 1020177013174A KR 20177013174 A KR20177013174 A KR 20177013174A KR 20170084091 A KR20170084091 A KR 20170084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poration
digital device
control input
triggering signal
se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3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1441B1 (ko
Inventor
이도영
박시화
천시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84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4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메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실행 가능한 제 1 설정값에 대한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제 1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메인 디바이스만으로는 실행 불가능한 제 2 설정값에 대한 상기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제 2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제 1 오퍼레이션과 관련된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를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코퍼레이션 디바이스에 대한 노피티케이션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1}
본 명세서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의 발달과 함께 다양한 디바이스와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게 되었다.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기존에 MtoM (Machine to Machine)에서 인터넷을 이용한 IoT로 확대되고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주변의 다양한 디바이스들에 의해 센싱되는 주변 정보들을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전달 받을 수 있다. 또한, 유저는 센싱된 주변 정보를 바탕으로 다양한 디바이스를 제어하여 주변 환경을 자신이 원하는 환경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있다.
본 명세서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 메인 디바이스 및 코퍼레이션 디바이스가 포함된 IoT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고, 디텍트된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트리거링 신호를 메인 디바이스 또는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설정값에 기초하여 코퍼레이션 디바이스에 대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오퍼레이션의 오퍼레이션 속성에 기초하여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오퍼레이션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메인 디바이스 및 코퍼레이션 디바이스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IoT 시스템은 메인 디바이스 및 코퍼레이션 디바이스의 협업을 통해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IoT 시스템은 메인 디바이스 및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 정보를 센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외부 디바이스들과 정보를 교환하는 커뮤니케이션 유닛,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컨트롤 인풋을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 및 상기 커뮤니케이션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을 제어하는 상기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상기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메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실행 가능한 제 1 설정값에 대한 상기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면 상기 메인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메인 디바이스만으로는 실행 불가능한 제 2 설정값에 대한 상기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면 상기 제 1 오퍼레이션과 관련된 상기 코퍼레이션 디바이스(Cooperation device)를 디텍트하고, 상기 코퍼레이션 디바이스에 대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메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실행 가능한 제 1 설정값에 대한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제 1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메인 디바이스만으로는 실행 불가능한 제 2 설정값에 대한 상기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제 2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제 1 오퍼레이션과 관련된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를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코퍼레이션 디바이스에 대한 노피티케이션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IoT 시스템은 디지털 디바이스, 메인 디바이스 및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고, 디텍트된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트리거링 신호를 메인 디바이스 또는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설정값에 기초하여 코퍼레이션 디바이스에 대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오퍼레이션의 오퍼레이션 속성에 기초하여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오퍼레이션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메인 디바이스 및 코퍼레이션 디바이스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IoT 시스템은 메인 디바이스 및 코퍼레이션 디바이스의 협업을 통해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IoT 시스템은 메인 디바이스 및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도 1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IoT 시스템에 포함된 디바이스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설정값에 기초하여 제 1 오퍼레이션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제 1 오퍼레이션에 대한 설정값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설정값에 기초하여 코퍼레이션 디바이스에 대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설정값에 기초하여 코퍼레이션 디바이스에 대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오퍼레이션 속성에 기초하여 코퍼레이션 디바이스에 대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오퍼레이션 속성에 기초하여 코퍼레이션 디바이스에 대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오퍼레이션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청구하고자 하는 범위는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명세서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다른 디바이스(100)와 커뮤니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다른 디바이스(100)와 오퍼레이션 실행에 대한 트리거링 신호를 교환할 수 있는 디바이스이면 상술한 디지털 디바이스(100)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HMD, 스마트 워치, 노트북 및 리모콘 등일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유저에 의해 착용되고, 다른 디바이스와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즉, 디바이스 제어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는 디바이스는 디지털 디바이스(100)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커뮤니케이션 유닛(110), 디스플레이 유닛(120),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옵셔널한 구성으로 센서 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각각의 유닛들은 포터블 디바이스(100)를 이루는 구성 요소 또는 부품일 수 있다. 즉, 각각의 유닛들은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하우징된 하나의 독립한 유닛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 1 오퍼레이션은 외부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실행되는 오퍼레이션일 수 있다. 이때, 제 1 오퍼레이션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에서 실행 여부가 제어되는 오퍼레이션일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1 오퍼레이션을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한 경우, 외부 디바이스들 중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메인 디바이스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는 제 1 오퍼레이션과 관련된 서브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외부 디바이스일 수 있다. 즉, 제 1 오퍼레이션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에서 제어되는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디바이스 및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는 제 1 오퍼레이션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유닛(110)은 프로세서(1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커뮤니케이션 유닛(140)은 외부 디바이스와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외부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 디바이스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퍼레이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때, 메인 디바이스는 제 1 오퍼레이션이 실행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는 제 1 오퍼레이션과 관련된 제 2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때, 메인 디바이스 및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는 오퍼레이션 디바이스에 의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 예로, 제 1 오퍼레이션이 냉방 오퍼레이션인 경우, 메인 디바이스는 에어컨일 수 있다. 이때,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는 냉방에 영향을 주는 습도계, 선풍기, 창문 등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제 1 오퍼레이션이 제습 오퍼레이션인 경우, 메인 디바이스는 습도계일 수 있다. 이때,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는 빨래 건조대, 에어컨 등일 수 있다. 즉, 메인 디바이스와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는 오퍼레이션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변경될 수 있다. 즉, 외부 디바이스는 디지털 디바이스(100)와 통신을 수행하는 주변 디바이스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유닛(11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컨텐츠 등의 디지털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커뮤니케이션 유닛(110)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트리거링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트리거링 신호는 디지털 디바이스(100)에서 디텍트된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오퍼레이션 실행에 대한 신호일 수 있다. 이때, 외부 디바이스는 수신된 트리거링 신호에 기초하여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유닛(110)은 외부 디바이스들로부터 주변 환경 정보를 수신할 있다. 이때, 일 예로, 주변 환경 정보는 온도, 습도, 열, 가스, 조도, 초음파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원격 감지, SAR, 레이더 위치, 모션, 영상 센서 등으로부터 주위 환경으로부터 추출된 정보일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커뮤니케이션 유닛(110)을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들이 센싱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프로세서(1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실시예에 따라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자잉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오퍼레이션에 대한 실행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메인 디바이스 및 코퍼레이션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오퍼레이션 실행에 대한 인터페이스 및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오퍼레이션 실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30)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유저 입력 또는 디바이스가 인식하는 환경을 프로세서(140)로 전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30)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유저의 컨트롤 인풋을 센싱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은 터치 센서, 지문 센서, 모션 센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음성 인식 센서 및 압력 센서 등의 컨트롤 인풋 입력을 센싱하기 위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30)은 상술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통칭하는 것으로, 상술한 센서들은 별도의 엘리먼트로 디바이스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로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즉,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20)은 유저의 컨트롤 인풋을 센싱하는 유닛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컨트롤 인풋은 제스처 인풋으로서, 접촉 또는 비접촉의 다양한 인풋일 수 있다. 또한, 컨트롤 인풋은 인풋 디바이스에 의해 입력되는 인풋 또는 음성이나 오디오를 통해 입력되는 인풋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30)은 디스플레이 유닛(110)과 통합된 엘레멘트일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20)일 수 있다.
센서 유닛(미도시)는 주변 환경 정보를 센싱하는 유닛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센서 유닛은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고, 디텍트된 입력 신호를 프로세서로 전달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커뮤니케이션 유닛(110), 디스플레이 유닛(120) 및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30)을 제어하는 유닛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센서 유닛을 더 제어하는 유닛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세서(140)는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유저의 컨트롤 인풋을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30)을 이용하여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제 1 오퍼레이션에 대한 설정값을 셋팅하는 컨트롤 인풋을 더 디텍트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오퍼레이션이 냉방 오퍼레이션인 경우, 설정값은 온도일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일정한 온도로 냉방을 실행하는 유저의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설정값은 온도 및 시간 조건을 모두 포함하는 값일 수 있다. 즉, 설정값은 유저 또는 프로세서(1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값으로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40)가 제 1 오퍼레이션에 대한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한 경우, 프로세서(140)는 트리거링 신호를 커뮤니케이션 유닛(110)을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40)가 메인 디바이스로 실행 가능한 제 1 설정값에 대한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한 경우, 프로세서(140)는 메인 디바이스로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메인 디바이스는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수신하고,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가 메인 디바이스만으로 실행 불가능한 제 2 설정값에 대한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한 경우, 프로세서(140)는 코퍼레이션 디바이스에 대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노티피케이션은 음성 노티피케이션, 문자 노티피케이션 및 이미지 노티피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메인 디바이스로 제 2 설정값에 대한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없다는 정보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40)는 제 1 설정값을 “20분 안에 18도로 냉방하기”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메인 디바이스는 에어컨일 수 있다. 이때, 에어컨이 20분 안에 18도로 냉방할 수 있는 경우, 프로세서(140)는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에어컨으로 송신할 수 있다. 에어컨은 제 1 트리거링 신호에 기초하여 냉방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제 2 설정값을 “10분 안에 18도로 냉방하기”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에어컨은 10분 안에 18도로 냉방할 수 없을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냉방 오퍼레이션에 대한 서브 오퍼레이션으로 습도를 낮추는 습도계에 대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창문 개폐를 통해 공기 유입을 막는 창문에 대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메인 디바이스만으로 실행 불가능한 설정값이 설정되면 코퍼레이션 디바이스에 대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엘레먼트들은 별도의 엘리먼트로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로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IoT 시스템에 포함된 디바이스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IoT 시스템은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주변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IoT 시스템은 트리거링 신호를 이용하여 오퍼레이션의 실행 여부를 제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IoT 시스템에 포함된 디바이스들을 제어하는 제어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노트북, HMD, 스마트 워치, 리모콘 등일 수 있다. 즉, IoT 시스템은 주변 디바이스들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디바이스로서 유저에 의해 사용되는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IoT 시스템은 디지털 디바이스(100)로부터 트리거링 신호를 수신하고,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외부 디바이스들(210, 220, 230, 2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외부 디바이스들(210, 220, 230, 240)에는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메인 디바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들(210, 220, 230, 240)에는 제 1 오퍼레이션과 관련된 제 2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오퍼레이션은 제 1 오퍼레이션의 서브 오퍼레이션일 수 있다. 이때, 메인 디바이스 및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는 오퍼레이션 종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오퍼레이션이 결정되는 경우, 메인 디바이스는 오퍼레이션의 기능과 가장 관련된 디바이스로 설정될 수 있다. 즉, IoT 시스템은 제어 디바이스는 디지털 디바이스(100) 및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외부 디바이스들(210, 220, 230, 240)을 포함할 수 있다. 유저는 IoT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변 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외부 디바이스들은 센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센서 유닛은 주변 환경 정보를 센싱할 수 있으며, 이는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IoT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메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실행 가능한 제 1 설정값에 대한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면 메인 디바이스로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메인 디바이스는 제 1 트리거링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메인 디바이스만으로 실행 불가능한 제 2 설정값에 대한 제 2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면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를 디텍트하고, 코퍼레이션 디바이스에 대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퍼레이션을 메인 디바이스만으로 실행 불가능하다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오퍼레이션의 서브 오퍼레이션인 제 2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에 대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즉, IoT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오퍼레이션의 실행 여부를 제어하여 외부 디바이스들(210, 220, 230, 240)로 트리거링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서 설명되는 내용들은 디지털 디바이스 또는 IoT 시스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시예이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설정값에 기초하여 제 1 오퍼레이션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30)을 이용하여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퍼레이션에 대한 설정값을 제어하는 컨트롤 인풋을 더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1 오퍼레이션에 대한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퍼레이션의 설정값에 대한 제 2 인터페이스(3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인터페이스(320)에서 제 1 오퍼레이션의 설정값에 대한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퍼레이션의 설정값에 기초하여 트리거링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메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실행 가능한 제 1 설정값에 대한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는 외부 디바이스인 메인 디바이스로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메인 디바이스는 제 1 트리거링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1 설정값에 대한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메인 디바이스로 실행 가능 여부에 대한 제 1 인포메이션을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메인 디바이스가 제 1 설정값에 대한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경우, 메인 디바이스는 실행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인 제 2 인포메이션을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2 인포메이션을 수신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메인 디바이스로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메인 디바이스는 수신된 제 1 트리거링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메인 디바이스의 기설정된 한계값에 기초하여 제 1 설정값을 판단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메인 디바이스와 인포메이션을 교환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 1 설정값에 대해 메인 디바이스만으로 실행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메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실행 불가능한 제 2 설정값에 대한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오퍼레이션과 관련된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를 디텍트하고, 디텍트된 코퍼레이션 디바이스에 대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메인 디바이스로 오퍼레이션 실행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메인 디바이스는 수신된 오퍼레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코퍼레이션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디지털 디바이스(100)로 송신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코퍼레이션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를 디텍트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메인 디바이스와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를 디텍트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기설정된 디바이스 중에서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를 디텍트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메인 디바이스와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지 않고, 기설정된 정보에 의해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를 디텍트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퍼레이션에 기초하여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를 디텍트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코퍼레이션 디바이스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퍼레이션의 오퍼레이션 속성 및 설정값에 기초하여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오퍼레이션 속성을 고려하여 설정값을 가장 쉽게 만족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기준으로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기설정된 정보 또는 외부 디바이스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우선 순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를 획득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우선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를 디텍트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메인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로 제 1 오퍼레이션과 관련된 제 2 트리거링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메인 디바이스(100)는 제 1 트리거링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는 수신된 제 2 트리거링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오퍼레이션을 메인 디바이스와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즉, 메인 디바이스와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는 제 2 설정값에 대한 제 1 오퍼레이션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설정값에 대한 제 1 오퍼레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메인 디바이스(100)는 제 1 트리거링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는 제 2 트리거링 신호에 기초하여 제 2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제 2 오퍼레이션은 제 2 설정값에 기초하여 제 1 오퍼레이션의 서브 오퍼레이션일 수 있다. 즉,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는 메인 디바이스가 실행하는 오퍼레이션에 도움을 주는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설정값에 대한 제 1 오퍼레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메인 디바이스 및 코퍼레이션 디바이스에 의해 제 2 설정값에 대한 제 1 오퍼레이션이 실행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메인 디바이스 및 코퍼레이션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 2 설정값에 대한 주변 환경 센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커뮤니케이션 유닛(110)을 통해 주변 환경 센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디바이스 및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는 센싱 유닛을 이용하여 주변 환경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메인 디바이스 및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는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포함하고,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이용하여 제 2 설정값에 대한 주변 환경 센싱 정보를 디지털 디바이스(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는 수신된 주변 환경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설정값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디텍트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주변 환경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를 지속적으로 사용하여야 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주변 환경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설정값이 만족함을 디텍트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로 제 3 트리거링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코퍼레이션 디바이스(100)는 제 3 트리거링 신호에 기초하여 제 2 오퍼레이션을 종료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외부 디바이스들로부터 주변 환경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도 3a를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공기의 통풍을 제어하는 환풍 오퍼레이션에 대한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환풍 오퍼레이션에 대한 제 1 오브젝트(3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디스플레이된 제 1 오브젝트(310)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환풍 오퍼레이션의 설정값에 대한 제 2 인터페이스(3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2 인터페이스(320)는 환풍이 완료되는 시간에 대한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인터페이스(320)를 제어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환풍이 완료되는 시간을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20분 내에 환풍이 완료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외부 디바이스인 환풍기(330)로 실행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인 제 1 인포메이션을 송신할 수 있다. 이때, 환풍기(330)가 환풍 오퍼레이션을 실행하여 20분 내에 환풍을 완료할 수 있는 경우, 환풍기(330)는 제 2 인포메이션을 디지털 디바이스(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인포메이션에 기초하여 환풍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환풍기(330)에 송신할 수 있다. 환풍기(330)는 제 1 트리거링 신호에 기초하여 환풍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메인 디바이스인 환풍기(330)만으로 환풍 오퍼레이션을 실행 가능하면 환풍기(330)에만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기설정된 환풍기(330) 정보에 기초하여 환풍기(330)로 “20분 내 환풍 완료”에 대한 실행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환풍기(330)만으로 환풍 오퍼레이션을 실행 가능하면 환풍기(330)에만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도 3b를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10분 내에 환풍이 완료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실행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인 제 1 인포메이션을 환풍기(330)에 송신할 수 있다. 이때, 환풍기(330)는 10분 내에 환풍을 완료할 수 없는 경우, 환풍기(330)는 실행 불가능에 대한 정보인 제 3 인포메이션을 디지털 디바이스(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환풍 오퍼레이션에 대한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350-1, 350-2, 350-3)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기설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350-1, 350-2, 350-3)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350-1, 350-2, 350-3)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하지 않는다.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350-1, 350-2, 350-3)을 디텍트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350-1, 350-2, 350-3)에 대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노티피케이션은 비주얼 정보일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350-1, 350-2, 350-3)에 대한 비주얼 정보(340-1, 340-2, 340-3)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350-1, 350-2, 350-3)을 디텍트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350-1, 350-2, 350-3)에 대한 노티피케이션(340-1, 340-2, 340-3)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퍼레이션의 오퍼레이션 속성에 기초하여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를 디텍트할 수 있다. 즉, 제 1 오퍼레이션이 환풍 오퍼레이션인 경우,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350-1, 350-2, 350-3)은 환풍기(330)와 관련된 에어컨, 공기 청정기, 창문 등일 수 있다. 즉,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350-1, 350-2, 350-3)은 환풍 오퍼레이션과 관련된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오퍼레이션이 변경되는 경우,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350-1, 350-2, 350-3)은 오퍼레이션 속성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디텍트된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350-1, 350-2, 350-3) 전부에게 제 2 트리거링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350-1, 350-2, 350-3)은 수신된 제 2 트리거링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오퍼레이션 또는 제 1 오퍼레이션의 서브 오퍼레이션인 제 2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도 4a 를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350-1, 350-2, 350-3) 전부에 대한 비주얼 정보(340-1, 340-2, 340-3)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된 비주얼 정보의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코퍼레이션 디바이스(350-1)에 대한 제 1 비주얼 정보(340-1)를 선택하는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메인 디바이스(330)로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동시에,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코퍼레이션 디바이스(350-1)로 제 2 트리거링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메인 디바이스(330)는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동시에 제 1 코퍼레이션 디바이스(350-1)는 제 1 오퍼레이션 또는 제 1 오퍼레이션의 서브 오퍼레이션인 제 2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메인 디바이스(330) 및 제 1 코퍼레이션 디바이스(350-1)만을 이용하여 설정값에 만족하는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오퍼레이션에 대한 제 2 인터페이스(320)를 종료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인터페이스 종료 후 오퍼레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도 4b를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코퍼레이션 디바이스(350-1)에 대한 제 1 비주얼 정보(340-1)를 선택하는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3 코퍼레이션 디바이스(350-3)에 대한 제 3 비주얼 정보(340-3)를 선택하는 제 2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메인 디바이스(330)로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동시에,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코퍼레이션 디바이스(350-1) 및 제 3 코퍼레이션 디바이스(350-3)로 제 2 트리거링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메인 디바이스(300)는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 1 코퍼레이션 디바이스(350-1) 및 제 3 코퍼레이션 디바이스(350-3)는 제 1 오퍼레이션 또는 제 1 오퍼레이션의 서브 오퍼레이션인 제 2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제 1 오퍼레이션에 대한 설정값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퍼레이션에 대한 제 1 오브젝트(3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브젝트(310)에 대한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퍼레이션의 설정값을 제어하는 제 2 인터페이스(320)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2 인터페이스(320)는 제 1 오퍼레이션의 설정값 및 실행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인터페이스(320)에서 제 1 인디케이터(510)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인디케이터(510)는 메인 디바이스(330)만으로 실행 가능한 설정값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제 2 인터페이스(320)에는 메인 디바이스(330)만으로 실행 가능한 한계값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 2 인터페이스(320)는 제 2 인디케이터(520)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2 인디케이터(520)는 현재 상태에서의 설정값일 수 있다. 이때, 제 2 인디케이터(520)는 유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유저는 제 2 인디케이터(520)를 조절하여 제 1 오퍼레이션에 대한 설정값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인디케이터(520)에 기초하여 제 1 오퍼레이션의 설정값을 디텍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설정값에 기초하여 코퍼레이션 디바이스에 대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퍼레이션에 대한 제 1 오브젝트(310)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면 제 2 인터페이스(3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2 인터페이스(320)는 제 1 오퍼레이션의 설정값에 대한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이때, 제 2 인터페이스(320)는 메인 디바이스의 한계값을 나타내는 제 1 인디케이터(5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인터페이스(320)는 현재 설정값을 나타내는 제 2 인디케이터(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인디케이터(520)가 이동됨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2 인디케이터(520)는 제 1 인디케이터(510)보다 뒤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 1 오퍼레이션에 대한 현재 설정값은 메인 디바이스의 한계값보다 작은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에 대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에 대한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인디케이터(520)가 이동됨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2 인디케이터(520)가 제 1 인디케이터(510) 앞으로 이동됨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에 대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에 대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퍼레이션의 속성에 기초하여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에 대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우선 순위가 높은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를 앞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우선 순위가 높은 코퍼레이션 디바이스에 대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하고, 후순위 코퍼레이션 디바이스에 대한 노티피케이션을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우선 순위를 설정하여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우선 순위는 제 1 오퍼레이션 속성 및 설정값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퍼레이션의 속성을 고려하여 설정값에 우선적으로 도달할 수 있는 코퍼레이션 디바이스에 대한 노티피케이션을 먼저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우선 순위에 대한 노티피케이션은 제 2 인터페이스(32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인디케이터(520)가 제 1 인디케이터(510)와 동일한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메인 디바이스의 한계값에 대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노티피케이션은 음성, 이미지 등일 수 있다. 그 후, 제 2 인디케이터(520)가 제 1 인디케이터(510)보다 앞의 제 1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메인 디바이스 및 제 1 코퍼레이션 디바이스(530-1)에 대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코퍼레이션 디바이스(530-1)에 대한 비주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코퍼레이션 디바이스(530-1)는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 중 우선 순위가 높은 디바이스일 수 있다. 그 후, 제 2 인디케이터(520)가 제 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 2 위치는 제 1 위치보다 앞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 2 인디케이터(520)는 메인 디바이스의 한계값보다 더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코퍼레이션 디바이스(530-1) 및 제 2 코퍼레이션 디바이스(530-2)에 대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 2 코퍼레이션 디바이스(530-2)는 제 1 코퍼레이션 디바이스(530-1)보다 우선 순위에서 후순위인 디바이스일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설정값에 따라 코퍼레이션 디바이스의 노티피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설정값에 기초하여 코퍼레이션 디바이스에 대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퍼레이션에 대한 제 1 오브젝트(310)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면 제 2 인터페이스(3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 비주얼 정보(540-1, 540-2, 540-3)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인터페이스(320) 및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540-1, 540-2, 540-3)들에 대한 비주얼 정보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인터페이스(320)에서 제 2 인디케이터(520)를 제어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인디케이터에 기초하여 제 1 오퍼레이션의 설정값을 제 2 설정값으로 설정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2 설정값은 제 1 인디케이터(510)가 나타내는 메인 디바이스의 한계값보다 큰 값일 수 있다. 즉, 제 2 설정값은 메인 디바이스만으로 실행 불가능한 값일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코퍼레이이션 디바이스(540-1)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메인 디바이스 및 제 1 코퍼레이션 디바이스(540-1)만을 이용하여 제 2 설정값에 대한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트리거링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메인 디바이스로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코퍼레이션 디바이스(540-1)로 제 2 트리거링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메인 디바이스 및 제 1 코퍼레이션 디바이스(540-1)는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퍼레이션의 실행 정보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를 통해서 메인 디바이스 및 제 1 코퍼레이션 디바이스(540-1)가 실행되고 있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 2 설정값을 메인 디바이스 및 제 1 코퍼레이션 디바이스(540-1)만을 이용하여 실행 불가능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퍼레이션의 실행 불가능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코퍼레이션 디바이스에 대한 추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퍼레이션의 오퍼레이션 속성 및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의 특징을 고려하여 제 2 설정값을 만족할 수 있는 코퍼레이션 디바이스에 대한 추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제 2 설정값을 만족하는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퍼레이션의 실행 불가능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코퍼레이션 디바이스(540-2)를 더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메인 디바이스, 제 1 코퍼레이션 디바이스(540-1) 및 제 2 코퍼레이션 디바이스(540-2)를 이용하여 제 2 설정값에 대한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트리거링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메인 디바이스로 제 1 오퍼레이션에 대한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제 2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540-1, 540-2)로 제 2 트리거링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메인 디바이스 및 제 1, 2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540-1, 540-2)은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퍼레이션의 실행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오퍼레이션 속성에 기초하여 코퍼레이션 디바이스에 대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퍼레이션에 대한 제 1 오브젝트(310)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면 제 2 인터페이스(3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 비주얼 정보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인터페이스(320) 및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에 대한 비주얼 정보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퍼레이션 및 설정값에 기초하여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를 분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퍼레이션과 관련하여 제 1 속성에 대한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820-1, 820-2)을 분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속성은 제 1 오퍼레이션과 관련된 속성일 수 있다. 즉, 제 1 속성은 제 1 오퍼레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속성일 수 있다. 동일하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속성에 대한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830-1, 830-2)를 분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동일한 방법으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퍼레이션에 관련된 속성별로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을 분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도 8을 참조하면, 제 1 오퍼레이션은 냉방 오퍼레이션일 수 있다. 이때, 제 2 인터페이스(320)는 냉방 온도 및 온도 도달 시간에 대한 설정값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냉방 온도를 18도로 설정하고, 온도 도달 시간을 15분으로 설정하는 제 2 설정값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2 설정값은 메인 디바이스인 에어컨만을 이용하여 실행 불가능한 설정값일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냉방과 관련된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에 대한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냉방 오퍼레이션과 관련된 속성은 습도, 온도, 열차단 등이 있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냉방 오퍼레이션은 현재 습도, 현재 온도, 열차단 여부 등에 의해서 다른 조건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현재 온도가 낮은 상태이고, 외부의 열차단이 효율적으로 되어 있는 상태이면 냉방 오퍼레이션에 대한 온도 도달 시간은 더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퍼레이션의 속성을 고려하여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을 분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냉방 오퍼레이션과 관련하여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820-1, 820-2)을 분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냉방 오퍼레이션과 관련하여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830-1, 830-2)을 분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냉방 오퍼레이션과 관련하여 열차단 여부를 조절할 수 있는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840-1)을 분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제 1 오퍼레이션 및 제 2 설정값에 대한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9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오퍼레이션 속성에 기초하여 코퍼레이션 디바이스에 대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퍼레이션에 대한 제 1 오브젝트(310)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퍼레이션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는 메인 디바이스 및 코퍼레이션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퍼레이션에 대한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메인 디바이스 및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은 제 1 오퍼레이션의 속성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메인 디바이스 및 코퍼레이션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냉방 오퍼레이션에 대한 제 1 오브젝트(310)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메인 디바이스인 에어컨(920)에 대한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냉방 오퍼레이션과 관련된 제 1 속성을 갖는 디바이스들(930-1, 930-2)에 대한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속성은 습도에 대한 특징일 수 있으며,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로서 공기 청정기(930-1) 및 제습기(930-2)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냉방 오퍼레이션과 관련된 제 2 속성을 갖는 디바이스들(940-1, 940-2)에 대한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2 속성은 온도에 대한 특징일 수 있으며,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로서 선풍기(940-1) 및 창문 개폐 장치(940-2)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그 밖에도,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퍼레이션의 속성에 기초하여 메인 디바이스 및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오퍼레이션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IoT 시스템은 디지털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제 1 오퍼레이션에 대한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트리거링 신호를 메인 디바이스 및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로 송신하여 제 1 오퍼레이션에 대한 실행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IoT 시스템에 있어서, 메인 디바이스(1010)가 제 1 오퍼레이션의 실행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메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퍼레이션에 대한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1050-1, 1050-2)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1050-1, 1050-2)은 제 1 트리거링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오퍼레이션 또는 제 1 오퍼레이션의 서브 오퍼레이션인 제 2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IoT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메인 디바이스(1010)는 제어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때, 메인 디바이스(1010)는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메인 디바이스(1010)는 제 1 오퍼레이션에 대한 제 1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메인 디바이스(1010)는 제 1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일 예로, 메인 디바이스(1010)는 제 1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제 1 설정값에 대한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1 설정값은 메인 디바이스(1010)만을 이용하여 실행 가능한 설정값일 수 있다. 이때, 메인 디바이스(1010)는 제 1 설정값에 대한 제 1 오퍼레이션을 직접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디바이스(1010)는 제 2 설정값에 대한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잇다. 이때, 제 2 설정값은 메인 디바이스(1010)만을 이용하여 실행 불가능한 설정값일 수 있다. 이때, 메인 디바이스(1010)는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1050-1, 1050-2)에 대한 노티피케이션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디바이스(1010)는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1050-1, 1050-2)에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코퍼레이션 디바이스(1050-1, 1050-2)들은 메인 디바이스(1010)와 제 1 오퍼레이션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코퍼레이션 디바이스(1050-1, 1050-2)들은 제 1 오퍼레이션과 관련된 서브 오퍼레이션인 제 2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즉, IoT 시스템에서 외부 디바이스들을 제어하는 제어 디바이스로서 디지털 디바이스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IoT 시스템은 별도의 제어 디바이스가 아닌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메인 디바이스(1010)를 이용하여 주변 디바이스들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도면에 있어서,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기능들은 메인 디바이스(1010)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S1110) 이때,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오퍼레이션은 외부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실행되는 오퍼레이션일 수 있다. 이때, 제 1 오퍼레이션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의해서 선택되는 오퍼레이션일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1 오퍼레이션을 선택하는 경우, 외부 디바이스들 중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메인 디바이스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 1 오퍼레이션과 관련된 서브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외부 디바이스가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로 선택될 수 있다. 즉, 제 1 오퍼레이션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에서 선택되는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선택되고, 제 1 오퍼레이션에 기초하여 메인 디바이스 및 코퍼레이션 디바이스가 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1 설정값에 대한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메인 디바이스로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1120) 이때, 도 3a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설정값은 메인 디바이스만을 이용하여 실행 가능한 설정값일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메인 디바이스로 실행 가능 여부에 대한 제 1 인포메이션을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메인 디바이스가 제 1 설정값에 대한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경우, 메인 디바이스는 실행 가능에 대한 제 2 인포메이션을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2 인포메이션을 수신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메인 디바이스로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메인 디바이스는 수신된 제 1 트리거링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2 설정값에 대한 제 2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퍼레이션과 관련된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를 디텍트할 수 있다.(S1130) 도 4a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퍼레이션과 관련된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를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퍼레이션의 오퍼레이션 속성에 기초하여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를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오퍼레이션이 변경되는 경우,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350-1, 350-2, 350-3)은 오퍼레이션 속성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코퍼레이션 디바이스에 대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S1140) 이때,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노티피케이션은 음성 노티피케이션, 문자 노티피케이션 및 이미지 노티피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메인 디바이스로 제 2 설정값에 대한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없다는 정보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오퍼레이션에 대한 설정값을 결정하고, 관련된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에 대한 비주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에 대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메인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퍼레이션과 관련된 제 2 트리거링 신호를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메인 디바이스 및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는 제 1 오퍼레이션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메인 디바이스는 제 1 트리거링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는 제 2 트리거링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오퍼레이션의 서브 오퍼레이션인 제 2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100) 및 그 제어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디지털 디바이스(100) 및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송신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명세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
본 발명은 단말 장치에서 사용 가능하고 반복 가능성이 있는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20)

  1. 디지털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외부 디바이스들과 정보를 교환하는 커뮤니케이션 유닛;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컨트롤 인풋을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 및
    상기 커뮤니케이션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을 제어하는 상기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상기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메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실행 가능한 제 1 설정값에 대한 상기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면 상기 메인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메인 디바이스만으로는 실행 불가능한 제 2 설정값에 대한 상기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면 상기 제 1 오퍼레이션과 관련된 상기 코퍼레이션 디바이스(Cooperation device)를 디텍트하고, 상기 코퍼레이션 디바이스에 대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를 디텍트하면 상기 메인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상기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더 송신하고, 상기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오퍼레이션과 관련된 제 2 트리거링 신호를 더 송신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수신한 상기 메인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트리거링 신호를 수신한 상기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설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오퍼레이션을 동시에 실행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수신한 상기 메인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제 2 트리거링 신호를 수신한 상기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는 제 2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되,
    상기 제 2 오퍼레이션은 상기 제 2 설정값에 기초하여 실행되는 상기 제 1 오퍼레이션의 서브 오퍼레이션인, 포터블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인 디바이스 및 상기 코퍼레이션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제 2 설정값에 대한 주변 환경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주변 환경 센싱 정보가 상기 제 2 설정값을 만족하면 상기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로 제 3 트리거링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는 상기 제 3 트리거링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 2 오퍼레이션을 종료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오퍼레이션의 오퍼레이션 속성에 기초하여 상기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를 디텍트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오퍼레이션과 관련된 복수의 상기 코퍼레이션 디바이스가 디텍트되는 경우, 상기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 각각에 대한 노티피케이션을 모두 제공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설정값 및 상기 제 1 오퍼레이션의 상기 오퍼레이션 속성에 기초하여 상기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인 디바이스 및 상기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 각각에 대한 비주얼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 중 제 1 코퍼레이션 디바이스에 대한 제 1 비주얼 정보를 선택하는 상기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면 상기 제 1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오퍼레이션과 관련된 제 2 트리거링 신호를 송신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인 디바이스 및 상기 제 1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만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설정값에 대한 상기 제 1 오퍼레이션이 실행 가능하면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인 디바이스 및 상기 제 1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만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설정값에 대한 상기 제 1 오퍼레이션이 실행 불가능하면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 제 1 인디케이터를 더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제 1 인디케이터는 상기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들에 대한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상기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면 상기 제 1 오퍼레이션에 대한 설정값을 제어하는 제 2 인터페이스를 더 디스플레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서 제 1 인디케이터를 더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제 1 인디케이터는 상기 메인 디바이스만으로 실행 가능한 설정값을 나타내는, 포터블 디바이스.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인 디바이스로 오퍼레이션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오퍼레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 디바이스가 송신하는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를 디텍트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티피케이션은 음성 노티피케이션, 문자 노티피케이션 및 이미지 노티피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9. IoT(Internet of Things) 시스템에 있어서,
    트리거링 신호를 이용하여 오퍼레이션의 실행 여부를 제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로부터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트리거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메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1 오퍼레이션과 관련된 제 2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제 2 트리거링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트리거링 신호에 기초하여 제 2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가 상기 메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실행 가능한 제 1 설정값에 대한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면 상기 메인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상기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가 상기 메인 디바이스만으로는 실행 불가능한 제 2 설정값에 대한 제 2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면 상기 코퍼레이션 디바이스(Cooperation device)를 디텍트하고, 상기 코퍼레이션 디바이스에 대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하는, IoT 시스템.
  20.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메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실행 가능한 제 1 설정값에 대한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제 1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제 1 트리거링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메인 디바이스만으로는 실행 불가능한 제 2 설정값에 대한 상기 제 1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제 2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제 1 오퍼레이션과 관련된 코퍼레이션 디바이스를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코퍼레이션 디바이스에 대한 노피티케이션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1020177013174A 2014-11-17 2014-11-17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2714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11022 WO2016080561A1 (ko) 2014-11-17 2014-11-17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4091A true KR20170084091A (ko) 2017-07-19
KR102271441B1 KR102271441B1 (ko) 2021-07-01

Family

ID=56014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3174A KR102271441B1 (ko) 2014-11-17 2014-11-17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47785B2 (ko)
KR (1) KR102271441B1 (ko)
WO (1) WO20160805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38910B2 (en) 2015-07-01 2021-03-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covering capabilities of entities in an internet of things setting
US10812541B2 (en) * 2015-07-06 2020-10-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ctuation using collaboration models in an internet of things setting
US10171462B2 (en) 2015-12-14 2019-01-01 Afero, Inc.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 provisioning
US10455452B2 (en) 2015-12-14 2019-10-22 Afero, Inc. System and method for flow control in an internet of things (IoT) system
US10116573B2 (en) * 2015-12-14 2018-10-30 Afero,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and traffic using attribute classes
EP3321710B1 (en) * 2016-11-09 2020-03-25 NXP USA, Inc.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US20230245456A1 (en) * 2020-07-08 2023-08-03 Maxell, Ltd.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remote control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1634A1 (en) * 2012-09-30 2014-04-03 Nest Labs, Inc. Intelligent controller for an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KR20140078629A (ko) * 2011-09-22 2014-06-25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인플레이스 방식으로 값을 편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10048B2 (en) * 2003-02-14 2007-04-24 Intel Corporation Enterprise power and thermal management
KR20070054720A (ko) * 2004-09-28 2007-05-29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환경 관리 장치, 환경 관리 시스템, 환경 관리 방법 및 환경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US8336821B2 (en) * 2005-03-31 2012-12-25 The Boeing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cargo compartment air conditioning using recirculated air
CA2686564C (en) * 2007-05-15 2018-04-17 American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facility power and cooling
US8503460B2 (en) 2008-03-24 2013-08-06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home network assignment
JP2010156494A (ja) * 2008-12-26 2010-07-15 Daikin Ind Ltd 負荷処理バランス設定装置
KR20120072022A (ko) * 2010-12-23 2012-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가상 스마트홈 시스템, 서버 장치, 홈게이트웨이 및 방법
WO2012103014A2 (en) * 2011-01-26 2012-08-02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Enclosure and method of cooling same using ambient air
CN102323800A (zh) 2011-05-31 2012-01-18 北京许继电气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全景用电信息智能家居系统
EP2916083B1 (en) * 2012-11-02 2017-12-27 Fujitsu Limited Modular data cent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9847961B2 (en) 2013-02-25 2017-12-19 Qualcomm Incorporated Automatic IoT device social network expans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8629A (ko) * 2011-09-22 2014-06-25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인플레이스 방식으로 값을 편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WO2014051634A1 (en) * 2012-09-30 2014-04-03 Nest Labs, Inc. Intelligent controller for an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1441B1 (ko) 2021-07-01
US20170339231A1 (en) 2017-11-23
US10447785B2 (en) 2019-10-15
WO2016080561A1 (ko) 2016-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4091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EP3195079B1 (en) Personalized ambient temperature management
US10055055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operation according to damage to touch area of electronic device
KR102177150B1 (ko) 지문인식 장치 및 방법
KR102229006B1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입력 처리 방법 및 장치
US10031587B2 (en) Electronic device
WO2018120818A1 (zh) 一种应用切换的方法、装置和图形用户界面
US11032137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in electronic devic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65244B1 (ko)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143618B1 (ko) 프레임률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161200B1 (ko) 슬립 모드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7111335B (zh) 用于控制电子装置的操作的方法和使用其的电子装置
US980466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electronic device
US11184754B2 (en) Data sharing method and terminal
US201502539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user input in an electronic device
KR102207233B1 (ko) 방사 전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사 전력 제어 방법
KR20150117962A (ko) 안테나 방사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60094032A (ko) 통합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KR20160123200A (ko) 터치 입력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277097B1 (ko)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256683B1 (ko) 재난 관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0865764A (zh) 界面应用显示方法及装置
EP2985675A1 (en)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KR102318808B1 (ko) 여러 종류의 전자 펜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5677211A (zh) 用于处理触摸输入的电子装置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