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3594A - 무선 통신의 방법, 웨어러블 설비, 이동 단말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의 방법, 웨어러블 설비, 이동 단말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3594A
KR20170083594A KR1020177015653A KR20177015653A KR20170083594A KR 20170083594 A KR20170083594 A KR 20170083594A KR 1020177015653 A KR1020177015653 A KR 1020177015653A KR 20177015653 A KR20177015653 A KR 20177015653A KR 20170083594 A KR20170083594 A KR 20170083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equency band
band information
baseband signal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5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이 마
슈링 휴
빈 첸
자오자오 수
Original Assignee
지티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티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70083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5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03Software-defined radio [SDR] systems, i.e. systems wherein components typically implemented in hardware, e.g. filters or modulators/demodulators, are implented using software, e.g. by involving an AD or DA conversion stage such that at least part of the signal processing is performed in the digital domain
    • H04B1/0007Software-defined radio [SDR] systems, i.e. systems wherein components typically implemented in hardware, e.g. filters or modulators/demodulators, are implented using software, e.g. by involving an AD or DA conversion stage such that at least part of the signal processing is performed in the digital domain wherein the AD/DA conversion occurs at radiofrequency or intermediate frequency stage
    • H04B1/0017Digital filt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무선 통신의 방법, 웨어러블 설비, 이동 단말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방안에서는 이동 단말이 웨어러블 설비로 주파수 대역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2 신호를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며,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제3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3 신호를 제3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며;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와 상기 제3 베이스 밴드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함으로써, 다수의 웨어러블 설비의 통신 능력을 이용하여 다중 경로를 통하여 동시에 데이터를 수신하여, 핸드폰의 수신 능력을 크게 향상시키며, 아울러 웨어러블 설비 또는 기타 이동 단말도 최종적인 데이터 처리 단말로 할 수 있고, 또한 기타 이동 단말로 릴레이로서 네트워크에 가입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의 방법, 웨어러블 설비, 이동 단말 및 시스템{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EARABLE DEVICE, MOBILE TERMINAL, AND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 통신의 방법, 웨어러블 설비, 이동 단말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몇 년간, 웨어러블 설비는 빠른 발전을 가져왔는 바, 스마트 밴드, 스마트 외치로부터 구글 글래스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편리한 웨어러블 설비가 이동 통신 단말 분야의 신생 사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시중의 스마트 밴드의 주요한 기능으로는 여러 가지 센서 및 GPS, 블루투스, WIFI 등 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인체에 대하여 맥박 탐지, 온도 탐지, GPS 좌표 확정 등을 진행하고, 정보를 핸드폰 또는 태블릿으로 피드백하여 데이터 처리를 진행하는 것이며; 스마트 와치는 스마트 밴드의 기능과 유사하며; 스마트 글래스, 예를 들면 구글 글래스는 현재 사용자들이 적기는 하지만, 기능이 막강하여 핸드폰의 주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머지않은 앞날에 웨어러블 설비는 많은 사람들의 필수품이 될 것이고, 많은 사람들이 더욱 많게 스마트 와치 스크린 또는 스마트 글래스 스크린을 사용하고 핸드폰에 대한 수요는 날로 적어지게 될 것이다.
다른 일 방면으로, 4G의 빠른 발전에 따라 핸드폰은 이미 4G 시대로 진입하였으며, 현재 4G 핸드폰이 다중 모드 다중 주파수를 지원하는 것은 이미 각 운영자의 필수 조건으로 되었고, 많은 핸드폰은 5 가지 모드를 지원하고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은 18개에 달하나, 핸드폰은 공간의 제한으로 인하여 광대역과 다중 대역 성능이 비교적 차하지만, 방안에서 사용하는 다이버시티 수신은 공간과 환경이 복잡하여 비교적 훌륭한 상태에 도달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주요한 목적으로는 무선 통신의 방법을 제공하여, 어떻게 하면 이동 단말이 기지국 데이터를 수신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기술방안은 하기와 같다.
무선 통신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웨어러블 설비가 이동 단말이 송신하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는 상기 이동 단말이 통신 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포함되며;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로 송신하며;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와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에는,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1신호를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켜, 상기 이동 단말로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와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하는 단계에는,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2 신호를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에는,
상기 이동 단말이 수신된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제3 신호를 제3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와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하는 단계에는,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와 상기 제3 베이스 밴드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가 상기 웨어러블 설비로부터 전송을 거친 후의 신호인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상기 제1 신호를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켜, 상기 이동 단말로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에는,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상기 제1 신호를 증폭 처리한 후 믹서와 국부 발진기를 통하여 믹싱을 진행하여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를 취득하고,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에 대하여 신호 처리를 진행한 후 무선 전송을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제2 신호를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는 단계에는,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제2 신호에 대하여 필터링, 증폭 처리를 거친 후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복원시키는 바,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와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가 동일하거나 비슷한 것이 포함된다.
무선 통신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이동 단말이 송신하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는 상기 이동 단말이 통신 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포함되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로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에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1신호를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켜, 상기 이동 단말로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신호를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켜, 상기 이동 단말로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에는,
상기 제1 신호를 증폭 처리한 후 믹서와 국부 발진기를 통하여 믹싱을 진행하여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를 취득하고,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에 대하여 신호 처리를 진행한 후 무선 전송을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포함된다.
무선 통신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웨어러블 설비로 주파수 대역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는 상기 이동 단말이 통신 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포함되며;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와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와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하는 단계에는,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2 신호를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며; 수신된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제3 신호를 제3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며;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와 상기 제3 베이스 밴드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가 상기 웨어러블 설비로부터 전송을 거친 후의 신호인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신호를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는 단계에는,
상기 제2 신호에 대하여 필터링, 증폭 처리를 거친 후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복원시키는 바,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와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가 동일하거나 비슷한 것이 포함된다.
웨어러블 설비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설비에는 제1 수신 유닛, 제2 수신 유닛과 송신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제1 수신 유닛은 이동 단말이 송신하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는 상기 이동 단말이 통신 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포함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제2 수신 유닛은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로 송신하도록 설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웨어러블 설비에는 또한 전환 유닛이 포함되며, 그 중에서,
상기 제2 수신 유닛은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전환 유닛은 상기 제1 신호를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도록 설정되며;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이동 단말로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를 송신하도록 설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환 유닛은 하기 방식에 따라 상기 제1 신호를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도록 설정되는 바, 즉
상기 제1 신호를 증폭 처리한 후 믹서와 국부 발진기를 통하여 믹싱을 진행하여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를 취득하고,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에 대하여 신호 처리를 진행한 후 상기 송신 유닛에 통지하여 무선 전송을 통하여 신호 처리를 거친 후의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한다.
이동 단말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에는 송신 유닛, 수신 유닛 및 취득 유닛이 포함되며, 그 중에서,
상기 송신 유닛은 웨어러블 설비로 주파수 대역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는 상기 이동 단말이 통신 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포함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취득 유닛은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와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하도록 설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취득 유닛은 하기 방식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와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하도록 설정되는 바, 즉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2 신호를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며; 수신된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제3 신호를 제3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며;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와 상기 제3 베이스 밴드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가 상기 웨어러블 설비로부터 전송을 거친 후의 신호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취득 유닛은 하기 방식에 따라 상기 제2 신호를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도록 설정되는 바, 즉
상기 제2 신호에 대하여 필터링, 증폭 처리를 거친 후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복원시키는 바,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와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가 동일하거나 비슷하다.
무선 통신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는 이동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설비가 포함되며;
상기 웨어러블 설비는 이동 단말이 송신하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는 상기 이동 단말이 통신 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포함되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로 송신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이동 단말은 웨어러블 설비로 주파수 대역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는 적어도 상기 이동 단말이 통신 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포함되며;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와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하도록 설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웨어러블 설비는 하기 방식에 따라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로 송신하도록 설정되는 바, 즉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1신호를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켜, 상기 이동 단말로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웨어러블 설비는 하기 방식에 따라 상기 제1 신호를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켜, 상기 이동 단말로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를 송신하도록 설정되는 바, 즉
상기 제1 신호를 증폭 처리한 후 믹서와 국부 발진기를 통하여 믹싱을 진행하여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를 취득하고,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한 후 무선 전송을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은 하기 방식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와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하도록 설정되는 바, 즉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2 신호를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며; 수신된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제3 신호를 제3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며;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와 상기 제3 베이스 밴드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가 상기 웨어러블 설비로부터 전송을 거친 후의 신호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은 하기 방식에 따라 상기 제2 신호를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도록 설정되는 바, 즉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제2 신호에 대하여 필터링, 증폭 처리를 거친 후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복원시키는 바,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와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가 동일하거나 비슷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선 통신의 방법, 웨어러블 설비, 이동 단말 및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그 캐리어를 제공하는 바, 상기 방법은 이동 단말을 통하여 웨어러블 설비로 주파수 대역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는 적어도 상기 이동 단말이 통신 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포함되며;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2 신호를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며,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제3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3 신호를 제3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며;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와 상기 제3 베이스 밴드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함으로써, 다수의 웨어러블 설비의 통신 능력을 이용하여 다중 경로를 통하여 동시에 데이터를 수신하여, 핸드폰의 수신 능력을 크게 향상시키며, 아울러 웨어러블 설비 또는 기타 이동 단말도 최종적인 데이터 처리 단말로 할 수 있고, 또한 기타 이동 단말도 릴레이로서 네트워크에 가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선 통신의 방법 제1 실시예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무선 통신의 상황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웨어러블 설비의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이동 단말의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무선 통신의 방법 제2 실시예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무선 통신의 방법 제3 실시예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웨어러블 설비의 제1 실시예의 기능 모듈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이동 단말의 제1 실시예의 기능 모듈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시스템 구조도.
본 발명의 목적의 구현, 기능 특징 및 장점에 대하여 실시예와 결합시켜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여기에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해석에 불과하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선 통신의 방법을 제공한다.
도1을 참조하면, 도1은 본 발명의 무선 통신의 방법 제1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제1 실시예에서, 해당 무선 통신의 방법에는 아래와 같은것이 포함된다.
101 단계: 웨어러블 설비가 이동 단말이 송신하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는 적어도 상기 이동 단말이 통신 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포함되며;
구체적으로 말하면, 도2를 참조하면,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무선 통신의 상황도이다. 핸드폰 단말이 하나 또는 다수의 웨어러블 설비와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또한 이러한 하나 또는 다수의 웨어러블 설비가 지원하는 통신 모드 및 지원하는 통신 모드의 구체적인 주파수 대역을 취득한다. 상기 핸드폰 단말은 통신 진행 중인 주파수 대역 정보를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웨어러블 설비로 송신한다.
102 단계: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로 송신하며;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웨어러블 설비에는 통신 수신 모듈이 구비되고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아울러 다수의 웨어러블 설비 및 핸드폰 단말 사이에서는 근거리 통신 방식(무선랜(Wireless Fidelity, WIFI), BT 등)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어, 다점 대 다점의 복합 네트워크 구조를 구성하여 핸드폰 측의 수신 능력을 크게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로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1신호를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켜, 상기 이동 단말로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상기 제1 신호를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켜, 상기 이동 단말로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상기 제1 신호를 증폭 처리한 후 믹서와 국부 발진기를 통하여 믹싱을 진행하여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를 취득하고,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한 후 무선 전송을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도3을 참조하면,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웨어러블 설비의 구조도로서, 상기 웨어러블 설비에는 RF 앰프, 국부 발진기(LO), 저역 필터(LPF), 베이스 밴드 신호 처리 모듈, WIFI 송수신 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베이스 밴드 신호 처리 모듈에는 RF 앰프, 국부 발진기(LO), 저역 필터(LPF)가 포함되며, 상기 베이스 밴드 신호 처리 모듈은 수신된 기지국이 송신하는 신호를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고, 상기 WIFI 송수신 모듈은 상기 이동 단말로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를 송신한다. 웨어러블 설비는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고주파수 신호에 대하여 증폭 처리를 진행한 후 믹서를 통하여 국부 발진기(LO)의 신호와 믹싱을 진행하여 베이스 밴드 신호를 취득하고, 그 후 필터링을 진행하고 WIFI 송수신 모듈로 진입하여, 베이스 밴드 신호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한 후 WIFI 송수신 모듈을 통하여 송신 안테나로 진입하여 송신된다.
103 단계: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며;
104 단계: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와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와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하는 것에는,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2 신호를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며; 상기 이동 단말이 수신된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제3 신호를 제3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며;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와 상기 제3 베이스 밴드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가 상기 웨어러블 설비로부터 전송을 거친 후의 신호인 것이 포함된다.
그 중에서,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와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는 동일할 수도 있고, 또한 다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제2 신호를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는 것에는,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제2 신호에 대하여 필터링, 증폭 처리를 거친 후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복원시키는 것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도4를 참조하면,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이동 단말의 구조도로서, 상기 이동 단말에는 WIFI 송수신 모듈, 신호 처리 모듈 및 베이스 밴드 처리 모듈이 포함되며,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신호를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고, 상기 베이스 밴드 처리 모듈은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와 상기 제3 베이스 밴드 신호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한다. WIFI 안테나가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한 후, WIFI 송수신 모듈에 진입하여 필터링, 증폭 등 처리를 진행하고, 이어 신호 처리 모듈에 진입하여 신호를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킨다. 상기 이동 단말은 수신된 기지국이 송신하는 제3 신호를 제3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고, 베이스 밴드 처리 모듈을 통하여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와 상기 제3 베이스 밴드 신호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한다.
전반 통신 과정에서, 웨어러블 설비가 담당하는 역할은 핸드폰 측의 다이버시티 수신 모듈로서, 웨어러블 설비의 타고난 장점으로 인하여 안테나 환경과 안테나 공간이 형성하는 안테나 성능이 비교적 우수하고, 지어 핸드폰 측의 통신 안테나보다 우수하며, 이러한 장점을 릴레이로 사용함으로 인하여 웨어러블 설비는 핸드폰 측의 수신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웨어러블 설비가 지원하는 통신 모드는 2G/3G/4G 및 WIFI, BT, GPS 등 여러 가지 모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선 통신의 방법, 웨어러블 설비, 이동 단말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바, 상기 방법은 이동 단말을 통하여 웨어러블 설비로 주파수 대역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는 적어도 상기 이동 단말이 통신 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포함되며;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2 신호를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며,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제3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3 신호를 제3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며;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와 상기 제3 베이스 밴드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함으로써, 다수의 웨어러블 설비의 통신 능력을 이용하여 다중 경로를 통하여 동시에 데이터를 수신하여, 핸드폰의 수신 능력을 크게 향상시키며, 아울러 웨어러블 설비 또는 기타 이동 단말도 최종적인 데이터 처리 단말로 할 수 있고, 또한 기타 이동 단말도 릴레이로서 네트워크에 가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나아가 무선 통신의 방법을 제공한다.
도5를 참조하면, 도5는 본 발명의 무선 통신의 방법 제2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제2 실시예에서, 해당 무선 통신의 방법에는 아래와 같은 것을 포함한다.
501 단계: 이동 단말이 송신하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는 적어도 상기 이동 단말이 통신 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포함되며;
502 단계: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로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로 송신하는 것에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1신호를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켜, 상기 이동 단말로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신호를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켜, 상기 이동 단말로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제1 신호를 증폭 처리한 후 믹서와 국부 발진기를 통하여 믹싱을 진행하여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를 취득하고,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한 후 무선 전송을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도3을 참조하면,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웨어러블 설비의 구조도이다. 웨어러블 설비는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고주파수 신호에 대하여 증폭 처리를 진행한 후 믹서를 통하여 국부 발진기(LO)의 신호와 믹싱을 진행하여 베이스 밴드 신호를 취득하고, 그 후 필터링을 진행하고 WIFI 송수신 모듈로 진입하여, 베이스 밴드 신호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한 후 WIFI 송수신 모듈을 통하여 송신 안테나로 진입하여 송신된다.
전반 통신 과정에서, 웨어러블 설비가 담당하는 역할은 핸드폰 측의 다이버시티 수신 모듈로서, 웨어러블 설비의 타고난 장점으로 인하여 안테나 환경과 안테나 공간이 형성하는 안테나 성능이 비교적 우수하고, 지어 핸드폰 측의 통신 안테나보다 우수하며, 이러한 장점을 릴레이로 사용함으로 인하여 웨어러블 설비는 핸드폰 측의 수신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웨어러블 설비가 지원하는 통신 모드는 2G/3G/4G 및 WIFI, BT, GPS 등 여러 가지 모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선 통신의 방법, 웨어러블 설비, 이동 단말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바, 상기 방법은 이동 단말을 통하여 웨어러블 설비로 주파수 대역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는 적어도 상기 이동 단말이 통신 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포함되며;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2 신호를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며,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제3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3 신호를 제3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며;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와 상기 제3 베이스 밴드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함으로써, 다수의 웨어러블 설비의 통신 능력을 이용하여 다중 경로를 통하여 동시에 데이터를 수신하여, 핸드폰의 수신 능력을 크게 향상시키며, 아울러 웨어러블 설비 또는 기타 이동 단말도 최종적인 데이터 처리 단말로 할 수 있고, 또한 기타 이동 단말도 릴레이로서 네트워크에 가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나아가 무선 통신의 방법을 제공한다.
도6을 참조하면, 도6은 본 발명의 무선 통신의 방법 제3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제3 실시예에서, 해당 무선 통신의 방법에는 아래와 같은 것을 포함한다.
601 단계: 웨어러블 설비로 주파수 대역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는 적어도 상기 이동 단말이 통신 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포함되며;
602 단계: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며;
603 단계: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와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와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하는 것에는,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2 신호를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며; 수신된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제3 신호를 제3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며;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와 상기 제3 베이스 밴드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가 상기 웨어러블 설비로부터 전송을 거친 후의 신호인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신호를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는 것에는,
상기 제2 신호에 대하여 필터링, 증폭 처리를 거친 후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복원시키는 바,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와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가 동일하거나 비슷한 것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도4를 참조하면,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이동 단말의 구조도이다. WIFI 안테나가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한 후, WIFI 송수신 모듈에 진입하여 필터링, 증폭 등 처리를 진행하고, 이어 신호 처리 모듈에 진입하여 신호를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킨다. 상기 이동 단말은 수신된 기지국이 송신하는 제3 신호를 제3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고, 베이스 밴드 처리 모듈을 통하여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와 상기 제3 베이스 밴드 신호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한다.
전반 통신 과정에서, 웨어러블 설비가 담당하는 역할은 핸드폰 측의 다이버시티 수신 모듈로서, 웨어러블 설비의 타고난 장점으로 인하여 안테나 환경과 안테나 공간이 형성하는 안테나 성능이 비교적 우수하고, 지어 핸드폰 측의 통신 안테나보다 우수하며, 이러한 장점을 릴레이로 사용함으로 인하여 웨어러블 설비는 핸드폰 측의 수신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웨어러블 설비가 지원하는 통신 모드는 2G/3G/4G 및 WIFI, BT, GPS 등 여러 가지 모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선 통신의 방법, 웨어러블 설비, 이동 단말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바, 상기 방법은 이동 단말을 통하여 웨어러블 설비로 주파수 대역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는 적어도 상기 이동 단말이 통신 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포함되며;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2 신호를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며,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제3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3 신호를 제3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며;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와 상기 제3 베이스 밴드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함으로써, 다수의 웨어러블 설비의 통신 능력을 이용하여 다중 경로를 통하여 동시에 데이터를 수신하여, 핸드폰의 수신 능력을 크게 향상시키며, 아울러 웨어러블 설비 또는 기타 이동 단말도 최종적인 데이터 처리 단말로 할 수 있고, 또한 기타 이동 단말도 릴레이로서 네트워크에 가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나아가 웨어러블 설비를 제공한다.
도7을 참조하면, 도7은 본 발명의 웨어러블 설비의 제1 실시예의 기능 모듈 도면이다. 해당 웨어러블 설비에는,
이동 단말이 송신하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는 적어도 상기 이동 단말이 통신 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포함되는 제1 수신 유닛(701);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수신 유닛(702);
상기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로 송신하는 송신 유닛(703)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웨어러블 설비에는 또한 전환 유닛(704)이 포함되며;
상기 제2 수신 유닛(702)은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제1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전환 유닛(704)은 상기 제1 신호를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며;
상기 송신 유닛(703)은 상기 이동 단말로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환 유닛(704)은,
상기 제1 신호를 증폭 처리한 후 믹서와 국부 발진기를 통하여 믹싱을 진행하여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를 취득하고,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에 대하여 신호 처리를 진행한 후 무선 전송을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도3을 참조하면,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웨어러블 설비의 구조도이다. 웨어러블 설비는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고주파수 신호에 대하여 증폭 처리를 진행한 후 믹서를 통하여 국부 발진기(LO)의 신호와 믹싱을 진행하여 베이스 밴드 신호를 취득하고, 그 후 필터링을 진행하고 WIFI 송수신 모듈로 진입하여, 베이스 밴드 신호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한 후 WIFI 송수신 모듈을 통하여 송신 안테나로 진입하여 송신된다.
전반 통신 과정에서, 웨어러블 설비가 담당하는 역할은 핸드폰 측의 다이버시티 수신 모듈로서, 웨어러블 설비의 타고난 장점으로 인하여 안테나 환경과 안테나 공간이 형성하는 안테나 성능이 비교적 우수하고, 지어 핸드폰 측의 통신 안테나보다 우수하며, 이러한 장점을 릴레이로 사용함으로 인하여 웨어러블 설비는 핸드폰 측의 수신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웨어러블 설비가 지원하는 통신 모드는 2G/3G/4G 및 WIFI, BT, GPS 등 여러 가지 모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선 통신의 방법, 웨어러블 설비, 이동 단말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바, 상기 방법은 이동 단말을 통하여 웨어러블 설비로 주파수 대역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는 적어도 상기 이동 단말이 통신 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포함되며;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2 신호를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며,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제3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3 신호를 제3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며;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와 상기 제3 베이스 밴드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함으로써, 다수의 웨어러블 설비의 통신 능력을 이용하여 다중 경로를 통하여 동시에 데이터를 수신하여, 핸드폰의 수신 능력을 크게 향상시키며, 아울러 웨어러블 설비 또는 기타 이동 단말도 최종적인 데이터 처리 단말로 할 수 있고, 또한 기타 이동 단말도 릴레이로서 네트워크에 가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나아가 이동 단말을 제공한다.
도8을 참조하면, 도8은 본 발명의 이동 단말의 제1 실시예의 기능 모듈 도면이다. 상기 이동 단말에는,
웨어러블 설비로 주파수 대역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는 적어도 상기 이동 단말이 통신 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포함되는 송신 유닛(801);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802);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와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하는 취득 유닛(803)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취득 유닛(803)은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2 신호를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며; 수신된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제3 신호를 제3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며;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와 상기 제3 베이스 밴드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가 상기 웨어러블 설비로부터 전송을 거친 후의 신호이다.
상기 취득 유닛(803)에서 상기 제2 신호를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는데는,
상기 제2 신호에 대하여 필터링, 증폭 처리를 거친 후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복원시키는 바,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와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가 동일하거나 비슷한 것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도4를 참조하면,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이동 단말의 구조도이다. WIFI 안테나가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한 후, WIFI 송수신 모듈에 진입하여 필터링, 증폭 등 처리를 진행하고, 이어 신호 처리 모듈에 진입하여 신호를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킨다. 상기 이동 단말은 수신된 기지국이 송신하는 제3 신호를 제3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고, 베이스 밴드 처리 모듈을 통하여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와 상기 제3 베이스 밴드 신호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한다.
전반 통신 과정에서, 웨어러블 설비가 담당하는 역할은 핸드폰 측의 다이버시티 수신 모듈로서, 웨어러블 설비의 타고난 장점으로 인하여 안테나 환경과 안테나 공간이 형성하는 안테나 성능이 비교적 우수하고, 지어 핸드폰 측의 통신 안테나보다 우수하며, 이러한 장점을 릴레이로 사용함으로 인하여 웨어러블 설비는 핸드폰 측의 수신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웨어러블 설비가 지원하는 통신 모드는 2G/3G/4G 및 WIFI, BT, GPS 등 여러 가지 모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선 통신의 방법, 웨어러블 설비, 이동 단말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바, 상기 방법은 이동 단말을 통하여 웨어러블 설비로 주파수 대역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는 적어도 상기 이동 단말이 통신 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포함되며;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2 신호를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며,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제3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3 신호를 제3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며;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와 상기 제3 베이스 밴드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함으로써, 다수의 웨어러블 설비의 통신 능력을 이용하여 다중 경로를 통하여 동시에 데이터를 수신하여, 핸드폰의 수신 능력을 크게 향상시키며, 아울러 웨어러블 설비 또는 기타 이동 단말도 최종적인 데이터 처리 단말로 할 수 있고, 또한 기타 이동 단말도 릴레이로서 네트워크에 가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나아가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9를 참조하면, 도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시스템 구조도이다. 상기 시스템에는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설비(901) 및 이동 단말(902)이 포함되며;
상기 웨어러블 설비(901)는 이동 단말이 송신하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는 적어도 상기 이동 단말이 통신 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포함되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로 송신하며;
상기 이동 단말(902)은 웨어러블 설비로 주파수 대역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는 적어도 상기 이동 단말이 통신 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포함되며;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와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로 송신하는 것에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1신호를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켜, 상기 이동 단말로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상기 제1 신호를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켜, 상기 이동 단말로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제1 신호를 증폭 처리한 후 믹서와 국부 발진기를 통하여 믹싱을 진행하여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를 취득하고,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에 대하여 신호 처리를 진행한 후 무선 전송을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도3을 참조하면,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웨어러블 설비의 구조도이다. 웨어러블 설비는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고주파수 신호에 대하여 증폭 처리를 진행한 후 믹서를 통하여 국부 발진기(LO)의 신호와 믹싱을 진행하여 베이스 밴드 신호를 취득하고, 그 후 필터링을 진행하고 WIFI 송수신 모듈로 진입하여, 베이스 밴드 신호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한 후 WIFI 송수신 모듈을 통하여 송신 안테나로 진입하여 송신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와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하는 것에는,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2 신호를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며; 수신된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제3 신호를 제3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며;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와 상기 제3 베이스 밴드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가 상기 웨어러블 설비로부터 전송을 거친 후의 신호인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제2 신호를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는 것에는,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제2 신호에 대하여 필터링, 증폭 처리를 거친 후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복원시키는 바,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와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가 동일하거나 비슷한 것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도4를 참조하면,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이동 단말의 구조도이다. WIFI 안테나가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한 후, WIFI 송수신 모듈에 진입하여 필터링, 증폭 등 처리를 진행하고, 이어 신호 처리 모듈에 진입하여 신호를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킨다. 상기 이동 단말은 수신된 기지국이 송신하는 제3 신호를 제3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고, 베이스 밴드 처리 모듈을 통하여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와 상기 제3 베이스 밴드 신호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한다.
전반 통신 과정에서, 웨어러블 설비가 담당하는 역할은 핸드폰 측의 다이버시티 수신 모듈로서, 웨어러블 설비의 타고난 장점으로 인하여 안테나 환경과 안테나 공간이 형성하는 안테나 성능이 비교적 우수하고, 지어 핸드폰 측의 통신 안테나보다 우수하며, 이러한 장점을 릴레이로 사용함으로 인하여 웨어러블 설비는 핸드폰 측의 수신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웨어러블 설비가 지원하는 통신 모드는 2G/3G/4G 및 WIFI, BT, GPS 등 여러 가지 모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바, 프로그램 명령이 포함되고, 해당 프로그램 명령이 웨어러블 설비에 의하여 실행될 때, 해당 웨어러블 설비는 상기 임의의 무선 통신의 방법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적재된 캐리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바, 프로그램 명령이 포함되고, 해당 프로그램 명령이 이동 단말에 의하여 실행될 때, 해당 이동 단말은 상기 임의의 무선 통신의 방법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적재된 캐리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선 통신의 방법, 웨어러블 설비, 이동 단말 및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캐리어를 제공하는 바, 상기 방법은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설비로 주파수 대역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는 적어도 상기 이동 단말이 통신 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포함되며;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2 신호를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며,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제3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3 신호를 제3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며;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와 상기 제3 베이스 밴드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함으로써, 다수의 웨어러블 설비의 통신 능력을 이용하여 다중 경로를 통하여 동시에 데이터를 수신하여, 핸드폰의 수신 능력을 크게 향상시키며, 아울러 웨어러블 설비 또는 기타 이동 단말도 최종적인 데이터 처리 단말로 할 수 있고, 또한 기타 이동 단말도 릴레이로서 네트워크에 가입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선 통신의 방법, 웨어러블 설비, 이동 단말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바, 상기 방법은 이동 단말을 통하여 웨어러블 설비로 주파수 대역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는 적어도 상기 이동 단말이 통신 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포함되며;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2 신호를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며,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제3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3 신호를 제3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며;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와 상기 제3 베이스 밴드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함으로써, 다수의 웨어러블 설비의 통신 능력을 이용하여 다중 경로를 통하여 동시에 데이터를 수신하여, 핸드폰의 수신 능력을 크게 향상시키며, 아울러 웨어러블 설비 또는 기타 이동 단말도 최종적인 데이터 처리 단말로 할 수 있고, 또한 기타 이동 단말도 릴레이로서 네트워크에 가입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아주 훌륭한 산업상 활용성을 갖고 있다.

Claims (21)

  1. 무선 통신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웨어러블 설비가 이동 단말이 송신하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는 상기 이동 단말이 통신 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포함되며;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로 송신하며;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와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에는,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1신호를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켜, 상기 이동 단말로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와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하는 단계에는,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2 신호를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에는,
    상기 이동 단말이 수신된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제3 신호를 제3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와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하는 단계에는,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와 상기 제3 베이스 밴드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하는 바,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가 상기 웨어러블 설비로부터 전송을 거친 후의 신호인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상기 제1 신호를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켜, 상기 이동 단말로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에는,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상기 제1 신호를 증폭 처리한 후 믹서와 국부 발진기를 통하여 믹싱을 진행하여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를 취득하고,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에 대하여 신호 처리를 진행한 후 무선 전송을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제2 신호를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는 단계에는,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제2 신호에 대하여 필터링, 증폭 처리를 거친 후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복원시키는 바,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와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가 동일하거나 비슷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5. 무선 통신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이동 단말이 송신하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는 상기 이동 단말이 통신 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포함되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로 송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에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1신호를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켜, 상기 이동 단말로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를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켜, 상기 이동 단말로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에는,
    상기 제1 신호를 증폭 처리한 후 믹서와 국부 발진기를 통하여 믹싱을 진행하여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를 취득하고,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에 대하여 신호 처리를 진행한 후 무선 전송을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8. 무선 통신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웨어러블 설비로 주파수 대역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는 상기 이동 단말이 통신 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포함되며;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와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와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하는 단계에는,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2 신호를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며; 수신된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제3 신호를 제3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며;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와 상기 제3 베이스 밴드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하는 바,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가 상기 웨어러블 설비로부터 전송을 거친 후의 신호인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를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는 단계에는,
    상기 제2 신호에 대하여 필터링, 증폭 처리를 거친 후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복원시키는 바,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와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가 동일하거나 비슷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11. 웨어러블 설비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설비에는 제1 수신 유닛, 제2 수신 유닛과 송신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제1 수신 유닛은 이동 단말이 송신하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는 상기 이동 단말이 통신 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포함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제2 수신 유닛은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로 송신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설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설비에는 또한 전환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제2 수신 유닛은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전환 유닛은 상기 제1 신호를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도록 설정되며;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이동 단말로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를 송신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설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유닛은
    상기 제1 신호를 증폭 처리한 후 믹서와 국부 발진기를 통하여 믹싱을 진행하여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를 취득하고,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에 대하여 신호 처리를 진행한 후 상기 송신 유닛에 통지하여 무선 전송을 통하여 신호 처리를 거친 후의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방식에 따라 상기 제1 신호를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설비.
  14. 이동 단말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에는 송신 유닛, 수신 유닛 및 취득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송신 유닛은 웨어러블 설비로 주파수 대역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는 상기 이동 단말이 통신 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포함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취득 유닛은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와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 유닛은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2 신호를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며; 수신된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제3 신호를 제3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며;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와 상기 제3 베이스 밴드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하는 방식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와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하도록 설정되는 바,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가 상기 웨어러블 설비로부터 전송을 거친 후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 유닛은
    상기 제2 신호에 대하여 필터링, 증폭 처리를 거친 후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복원시키는 방식에 따라 상기 제2 신호를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도록 설정되는 바,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와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가 동일하거나 비슷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17. 무선 통신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는 이동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설비가 포함되며;
    상기 웨어러블 설비는 이동 단말이 송신하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는 상기 이동 단말이 통신 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포함되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로 송신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이동 단말은 웨어러블 설비로 주파수 대역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는 적어도 상기 이동 단말이 통신 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포함되며;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와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설비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1신호를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켜, 상기 이동 단말로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를 송신하는 방식에 따라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로 송신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설비는
    상기 제1 신호를 증폭 처리한 후 믹서와 국부 발진기를 통하여 믹싱을 진행하여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를 취득하고,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에 대하여 신호 처리를 진행한 후 무선 전송을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방식에 따라 상기 제1 신호를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켜, 상기 이동 단말로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를 송신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시스템.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2 신호를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며; 수신된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제3 신호를 제3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며;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와 상기 제3 베이스 밴드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하는 방식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설비가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와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취득하도록 설정되는 바,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가 상기 웨어러블 설비로부터 전송을 거친 후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제2 신호에 대하여 필터링, 증폭 처리를 거친 후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복원시키는 방식에 따라 상기 제2 신호를 제2 베이스 밴드 신호로 전환시키도록 설정되는 바, 상기 제2 베이스 밴드 신호와 상기 제1 베이스 밴드 신호가 동일하거나 비슷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시스템.

KR1020177015653A 2014-11-12 2015-05-20 무선 통신의 방법, 웨어러블 설비, 이동 단말 및 시스템 KR201700835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635603.9 2014-11-12
CN201410635603.9A CN105657717A (zh) 2014-11-12 2014-11-12 无线通信的方法、可穿戴设备、移动终端及系统
PCT/CN2015/079400 WO2016074464A1 (zh) 2014-11-12 2015-05-20 无线通信的方法、可穿戴设备、移动终端及系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594A true KR20170083594A (ko) 2017-07-18

Family

ID=55953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5653A KR20170083594A (ko) 2014-11-12 2015-05-20 무선 통신의 방법, 웨어러블 설비, 이동 단말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43422B2 (ko)
EP (1) EP3206424A4 (ko)
KR (1) KR20170083594A (ko)
CN (1) CN105657717A (ko)
WO (1) WO20160744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41860B (zh) * 2016-08-26 2020-01-2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中继网络连接方法及相关设备
CN109104722B (zh) * 2018-07-27 2022-01-1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终端访问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30239877A1 (en) * 2020-04-24 2023-07-27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wearable device to acquire communication resource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5256A (ja) * 2000-10-16 2002-04-26 Casio Comput Co Ltd 携帯端末システム
CN1549644A (zh) * 2003-05-23 2004-11-24 �ʼҷ����ֵ��ӹɷ����޹�˾ 无线通信体系中的多频段和多模式移动终端
CN2722450Y (zh) * 2004-08-09 2005-08-31 电子科技大学 一种无线通信终端可穿戴式分集天线装置
CN100373807C (zh) 2004-08-09 2008-03-05 电子科技大学 一种无线通信终端可穿戴式分集天线装置
JP2010087828A (ja) * 2008-09-30 2010-04-15 Fujitsu Ltd 近距離mimoリピータ装置、近距離mimo携帯端末装置、近距離mimo無線通信方法
US8458353B2 (en) 2009-08-13 2013-06-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link aggregation in a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
US8583035B2 (en) * 2010-02-02 2013-11-12 Blackberry Limited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user equipment radio frequency assistant system
US20130033996A1 (en) * 2011-08-05 2013-02-07 Kee-Bong Song Electronic device with antenna switching capabilities
CN102412858B (zh) * 2011-11-04 2016-08-24 南京中兴软件有限责任公司 射频收发器、终端和终端接收信号的方法
US20140308930A1 (en) 2013-04-12 2014-10-16 Bao Tran Timely, glanceable information on a wearable device
KR102134425B1 (ko) * 2013-08-01 2020-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유휴 자원을 이용한 가상 전 이중 통신을 위한 무선 트랜시버
CN103491217B (zh) * 2013-10-09 2019-06-11 深圳市道格恒通科技有限公司 一种分体手机
CN103781202B (zh) * 2014-02-26 2017-10-17 华为终端有限公司 多模无线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06424A1 (en) 2017-08-16
WO2016074464A1 (zh) 2016-05-19
EP3206424A4 (en) 2017-12-06
CN105657717A (zh) 2016-06-08
US20170319135A1 (en) 2017-11-09
US10143422B2 (en) 201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89548B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N110719371B (zh) 跨设备的通信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9998900B1 (en) Backpack-type mobile base sta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TVWS and satellite backhaul
KR101713930B1 (ko) 휴대 단말기의 송신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CN103828479A (zh) 蓝牙通信的装置、系统和方法
EP3187023B1 (en) Method for a wireless network bridge
EP331012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2202017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and vehicle
WO2014157929A3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NCT를 고려한 CoMP 지원 방법 및 그 장치
CN102857609B (zh) 在耳机与基站之间传输无线电信号
CN101834626B (zh) 一种移动终端、基站及通信系统
CN109792289A (zh) 对所选通信频段基于位置的接入
KR20170083594A (ko) 무선 통신의 방법, 웨어러블 설비, 이동 단말 및 시스템
CN112929964B (zh) 一种通信方法与通信装置
CA3037957A1 (en) Booster with an integrated satellite location system module
CN107182133B (zh) 一种wifi信号中继装置及其控制方法
EP3110182A1 (en) Communication system, server device,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CN111818594A (zh) 一种网络切换方法、网络设备及终端
RU121411U1 (ru) Терминал беспроводной голосовой связи
CN113133133B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CN209805816U (zh) 一种智能对讲设备及系统
US9042861B2 (en) Emergency wireless connection system and emergency wireless connection method
CN111010217A (zh) 一种无线直放站及实现mimo的方法
JP2021505006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干渉を識別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0773748B1 (ko) 지능형 멀티모드 기기 및 그 구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