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3448A - 전동 예초기 - Google Patents

전동 예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3448A
KR20170083448A KR1020160002926A KR20160002926A KR20170083448A KR 20170083448 A KR20170083448 A KR 20170083448A KR 1020160002926 A KR1020160002926 A KR 1020160002926A KR 20160002926 A KR20160002926 A KR 20160002926A KR 20170083448 A KR20170083448 A KR 20170083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rod
unit
head
rod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션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션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션전자
Priority to KR1020160002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3448A/ko
Publication of KR20170083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4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0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 A01D34/08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01D34/1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06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83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A01D34/84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edges of lawns or fields, e.g. for mowing close to trees or wa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전동 예초기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전동 예초기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커터가 구비되는 헤드부 및 헤드부의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조작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동 예초기{GRASS MOWER}
본 발명은 전동 예초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는 SR모터를 동력원으로 하여 고속회전이 가능하여 예초성능을 향상시키고, 친환경적이며, 소음과 매연이 발생하지 않는 전동 예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초기는 작업자가 등에 멜수 있도록 이루어진 엔진부와, 이러한 엔진부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지면상의 풀, 잡초, 목초 등을 자를 수 있도록 원판형의 커터가 그 회전축 상에 장착된 헤드부와, 엔진부의 동력을 헤드부 상으로 전달하도록 엔진부와 헤드부 사이를 연결하는 동력전달부로 이루어진다.
동력전달부는 파이프 형상의 조작로드를 관통하는 구동력 전달축 또는 구동축이 일단에 설치되고, 엔진부의 의하여 구동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견착벨트를 이용하여 예초기를 어깨에 매고서, 조작로드의 중간위치에 설치된 U자형상의 핸들을 잡고 조작로드를 전후, 좌우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예초날로 풀, 잡초, 목초 등을 절단한다.
한편, 국내 등록특허 제0214887호(등록일:2000.12.14)에는 "예초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칼날의 회전 구동력에 SR모터에 의해 제공되므로 고속회전이 가능하여 예초성능이 향상되고, 소음과 매연을 발생하지 않는 전동 예초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동부의 동력이 칼날의 회전으로 직접 전달될 수 있어 동력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 예초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리되는 구조에 의해 부피를 현저히 줄일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하고, 안전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동 예초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예초기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커터가 구비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조작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별도의 배터리부에 의해 구동되는 SR모터 및 상기 SR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로드는 제1조작로드와 제2조작로드로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2조작로드는 착탈부에 의해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제1조작로드에 형성되어 상기 제2조작로드에 삽입되는 결합관과, 상기 제2조작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결합관의 둘레면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착탈부는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을 상기 구동부로 전달되게 하는 전원연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로드에는 조작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조작손잡이에는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인가를 단속하는 스위치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조작로드로부터 각도조절부에 의해 각도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조작로드와 상기 헤드부를 힌지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에 의한 상기 헤드부의 회동각도를 가변시키는 각도가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도가변부는 일단이 상기 헤드부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조작로드로부터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작동샤프트 및 상기 작동샤프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로드에는 상기 커터에 의한 파편의 방산을 방지하는 안전커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드부에는 바닥면과의 이격거리를 유지시키는 거리유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리유지부는 상기 헤드부에 구비되는 상기 커터를 감싸는 그릴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예초기는 커터의 회전 구동이 배터리에 의한 SR모터로부터 제공되므로 고속회전이 가능하여 예초성능이 극대화되며, 배터리를 구동원으로 하여 친환경적이며, 소음과 매연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부의 동력이 칼날의 회전으로 직접 전달될 수 있어 동력손실을 방지하고, 조작손잡이에 구비되는 스위치부에 의해 전력소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탈부에 의해 조작로드가 분리 가능하므로 부피를 현저히 줄일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로드에 구비되는 안전커버와, 헤드부에 구비되는 거리유지부에 의해 안전성 및 조작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예초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예초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예초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예초기의 구동부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예초기의 착탈부를 보인 도 3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예초기의 각도조절부를 보인 도 3의 B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예초기의 각도조절부에 의한 작용을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예초기의 변형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예초기의 변형예를 보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예초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예초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예초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예초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예초기의 구동부를 보인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예초기의 착탈부를 보인 도 3의 A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예초기의 각도조절부를 보인 도 3의 B부분 확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예초기의 각도조절부에 의한 작용을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예초기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예초기의 변형예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예초기(100)는 구동부(110), 헤드부(130) 및 조작로드(140)를 포함한다.
구동부(110)는 별도의 배터리부(120)에 의해 구동되는 SR모터(112) 및 SR모터(112)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15)를 포함한다. SR모터(112)(Switched Reluctance Motor)는 모터 중에서 가장 간단한 구조로 구성된다. 이러한 SR모터(112)는 로터(113)(회전자)와 스테이터(114)(고정자)의 구성에 있어서 영구자석을 사용하지 않고 철심 내 전자기력(Reluctance torque)만을 이용하는 모터이다. 권선은 스테이터(114)에만 집중적으로 감기어져 있으며 돌극형의 로터(113)에는 권선이 없다. 토오크는 스테이터(114)의 권선에 전류가 흘러서 발생하는 자속에 로터(113)가 일치하려는 즉, 릴럭턴스가 최소가 되려는 현상에서 발생한다.
SR모터(112)의 회전원리를 살펴보면,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터(114) 권선의 한상이 여자되면 인접한 로터(113)의 돌극은 릴럭턴스가 최소가 되려는 방향 즉, 여자된 스테이터(114)와 정렬하려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로터(113)와 스테이터(114)가 일치되기 전에 이 스테이터(114) 권선의 여자를 끊고 인접한 다음 상의 권선을 여자하게 되면 다시 로터(113)가 이 방향까지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로터(113)의 위치에 따라 순차적으로 여자 시켜나가면 로터(113)는 한 쪽방향으로 계속해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SR모터(112)는 기계적으로 튼튼한 구조이므로 다른 전동기에 비해 고속운전에 적합하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높은 자속밀도에서 운전하므로 자계에 저장되는 에너지가 높아 다른 전동기에 비해 출력밀도가 높다.
SR모터(112)의 토크는 로터(113)의 위치에 따라 권선의 여자 전류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구동부(11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120)는 배낭끈부재(122)가 구비되어 예초 작업시 작업자가 등에 메고 작업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부(120)는 하드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일측면에 외부전원 또는 구동부와 연결되는 단자부가 형성된다. 또한, SR모터(112)를 제어하는 제어부(115) 또한 배터리부에 구비된다.
헤드부(130)는 구동부(110)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커터(135)가 구비된다. 헤드부(130)는 SR모터(112)의 하부에 구비되며, 커터(135)는 SR모터(112)의 회전축에 결합된다.
조작로드(140)는 헤드부(130)의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조작로드(140)는 중공형성된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조작로드(140)의 내부에는 구동부(110)에 배터리부(120)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선이 구비된다.
조작로드(140)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작로드(142)와 제2조작로드(144)로 분리되어 형성된다. 즉, 제1조작로드(142)는 주름관(143)에 의해 배터리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조작로드(144)의 단부에는 구동부(110)와 헤드부(130)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2조작로드(142,144)는 착탈부(150)에 의해 착탈 가능하다. 착탈부(150)는 제1조작로드(142)에 형성되어 제2조작로드(144)에 삽입되는 결합관(152)과, 제2조작로드(144)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결합관(152)의 둘레면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재(154)를 포함한다. 결합관(152)의 둘레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2조작로드(144)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너트부재(154)의 회전에 의해 상호 결속될 수 있다.
착탈부(150)는 배터리부(120)의 전원을 구동부(110)로 전달하는 전원연결부(155)가 구비된다. 전원연결부(155)는 콘센트와 플러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조작로드(140)에는 조작손잡이(160)가 구비된다. 그리고, 조작손잡이(160)에는 배터리부(120)의 전원인가를 단속하는 스위치부(165)가 구비된다. 조작손잡이(160)는 도 1과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작로드(142)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2조작로드(144)에는 보조조작손잡이(16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스위치부(165)는 메인스위치(166)와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전원을 인가하는 접촉스위치(167)를 포함한다. 메인스위치(166)는 토클 스위치(Toggle switch)로 이루어지고, 접촉스위치(167)는 푸쉬버튼스위치(Push-button switch)로 이루어질 수 있다.
헤드부(130))는 조작로드(140)로부터 각도조절부(170))에 의해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이는 헤드부(130)에 구비되는 커터(135)의 각도를 변경하므로써, 예초시 바닥면의 경사와 대응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구성이다.
각도조절부(170)는 조작로드(140)와 헤드부(130)를 힌지 연결하는 힌지부(171) 및 힌지부(171)에 의한 헤드부(130))의 회동각도를 가변시키는 각도가변부(175)를 포함한다. 각도가변부(175)는 일단이 헤드부(130)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은 조작로드(140)로부터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작동샤프트(176)) 및 작동샤프트(176)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재(178)를 포함한다.
힌지부(171)는 조작로드(140)와 헤드부(130)에 상호 대응되게 구비되는 힌지브라켓(172)과 힌지브라켓(172)을 연결하는 힌지축(173)을 포함한다. 그리고, 힌지부(171)의 대향되는 부위에는 힌지부(171)에 의한 회동 시 수축, 이완되는 플랙시블부재(174)가 구비된다.
작동샤프트(176)의 타단은 가이드블럭(176a)이 구비되고, 조작로드(140)에는 가이드블럭(176a)이 결합되어 조작로드(14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레일(176b)이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부재(178)는 가이드블럭(176a)에 탄성부재(S)에 탄성지지되는 고정핀(178a)으로 이루어지고, 고정부재(178)의 단부는 가이드레일(176b)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고정홈(178b)에 삽입되어 가이드블럭(176a)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조작로드(140)에는 커터(135)에 의한 파편의 방산을 방지하는 안전커버(180)가 구비된다. 특히, 안전커버(180)는 헤드부(130)에 인접하게 구비되도록 제2조작로드(144)에 구비되어 작업자를 파편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헤드부(130)에는 바닥면과 이격거리를 유지시키는 거리유지부(190)가 더 구비된다. 거리유지부(190)는 커터(135)의 하부에 구비되며, 바닥면과 커터(135)의 일정 이격거리를 유지할 수 있어 구동부(11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어 작업자는 헤드부(130)를 바닥에 놓은 상태로 작업할 수 있다. 이러한 거리유지부(190)는 가장자리가 라운드 형성되어 작업자는 헤드부(130)를 바닥에 놓은 상태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예초기의 변형예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예초기의 변형예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헤드부(130)에는 바닥면과의 이격거리를 유지시키는 거리유지부(195)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거리유지부(195)는 헤드부(130)에 구비되는 커터(135)의 둘레를 감싸는 그릴부재로 이루어진다. 거리유지부(195)는 헤드부(130)에 착탈 가능하도록 양측으로 분할되어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예초기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예초기(100)는 조작로드(140)가 제1조작로드(142)와 제2조작로드(144)로 분리될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하다. 즉, 헤드부(130)를 포함한 제1조작로드(142)와 제2조작로드(144)가 착탈부(150)에 의해 분리 가능하므로 그 부피를 현저히 줄여 보관할 수 있다.
이후, 작업자가 예초작업을 할 경우, 제1,2조작로드(142,144)를 착탈부(150)에 의해 상호 연결한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관(152)을 제1조작로드(142)에 삽입하고, 제1조작로드(14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너트부재(154)를 결합관(152)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호 결속시킬 수 있다. 이때, 결합관(152)의 삽입에 의해 전원연결부(155)가 상호 결합되므로 배터리부(120)의 전원은 구동부(11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처럼 제1,2조작로드(142,144)의 결합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조작손잡이(160)에 구비되는 스위치부(165)를 작동시켜 예초작업을 실시하면 된다.
한 손은 조작손잡이(160)를 파지하고, 다른 한 손은 보조조작손잡이(168)를 파지하여 작업할 수 있다. 이때, 조작손잡이부(160)에는 스위치부(165)가 구비된다. 스위치부(165)는 메인스위치(166)와 접촉스위치(167)로 이루어지는데, 작업자는 메인스위치(166)를 온 시킨 후, 조작손잡이부(160)를 파지하는 것으로 접촉스위치(167)를 온 시켜 예초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조작손잡이(160)를 놓는 작동만으로도 접촉스위치(167)와 접촉이 해제되므로 구동부(110)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어 배터리부(120)의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본 실시예의 구동부(110)는 SR모터(112)로 이루어짐에 따라 기계적으로 튼튼한 구조를 지닌 SR모터(112)에 의해 다른 전동기에 비해 고속운전에 가능하다. SR모터(112)는 상대적으로 높은 자속밀도에서 운전하므로 자계에 저장되는 에너지가 높아 다른 전동기에 비해 출력밀도가 높아 15,000 RPM의 고속회전이 가능하여 예초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구동부(110)는 충전식 배터리부(120)를 전원으로 하여 구동되므로 소음 및 매연이 발생하지 않고, 휴대가 용이한 효과를 지닌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30)는 조작로드(140)로부터 각도 변경이 가능하다. 이는 예초작업 장소의 바닥경사에 커터(135)를 대응되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고정부재(178)를 잡아당겨 고정홈(178a)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가이드블럭(176a)을 가이드레일(176b)을 따라 이동시키면 작동샤프트(176)에 의해 헤드부(130)는 조작로드(140)로부터 각도가 변경된다. 헤드부(130)가 해당각도로 설정되면 고정부재(178)를 놓아 고정부재(178)의 단부가 고정홈(178b)에 수용되게 하여 가이드블럭(176a))을 고정한다. 이처럼 헤드부(130)의 변경된 각도로 예초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헤드부(130)에는 예초작업 시 커터(135)에 의한 파편의 방산을 방지하는 안전커버(180)가 구비되어 작업자를 안전사고로부터 보호한다.
그리고, 헤드부(130에는 바닥면과 이격거리를 유지시키는 거리유지부(190)가 더 구비된다. 거리유지부(190)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135)의 하부에 구비되며, 바닥면과 커터(135)의 일정 이격거리를 유지할 수 있어 작업자는 헤드부(130)를 바닥에 놓은 상태로 작업할 수 있다.
도 8과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30)에는 바닥면과의 이격거리를 유지시키는 거리유지부(195)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한 거리유지부(190)의 변형예로서, 거리유지부(195)는 헤드부(130)에 구비되어 커터(135)의 둘레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그릴부재로 이루어져 하부가 바닥면으로부터 지지될 수 있어 헤드부(130)를 들고 작업하지 않고, 바닥에 놓은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다. 이는 내부로 풀이 진입될 수 있어 이를 가능하게 하고. 이로 인해, 바닥면과 일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어 풀을 일정 높이로 절단할 수 있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커터(135)의 둘레면을 커버함으로써, 커터(135)가 충격에 의해 파손되거나, 분리되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예초기에 의하면, 커터의 회전 구동이 배터리에 의한 SR모터로부터 제공되므로 고속회전이 가능하여 예초성능이 극대화되며, 배터리를 구동원으로 하여 친환경적이며, 소음과 매연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지니며, 안전성은 물론,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전동 예초기 110 : 구동부
112 : SR모터 113 : 로터
114 : 스테이터 115 : 제어부
120 : 배터리부 122 : 배낭끈부재
130 : 헤드부 135 : 커터
140 : 조작로드 142 : 제1조작로드
143 : 주름관 144 : 제2조작로드
150 : 착탈부 152 : 결합관
154 : 너트부재 155 : 전원연결부
160 : 조작손잡이 165 : 스위치부
166 : 메인스위치 167 : 접촉스위치
168 : 보조조작손잡이 170 : 각도조절부
171 : 힌지부 172 : 힌지브라켓
173 : 힌지축 174 : 플랙스블부재
175 : 각도가변부 176 : 작동샤프트
176a : 가이드블럭 176b : 가이드레일
178 : 고정부재 178a : 고정핀
178b : 고정홈 180 : 안전커버
190, 195 : 거리유지부

Claims (12)

  1.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커터가 구비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조작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예초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별도의 배터리부에 의해 구동되는 SR모터; 및
    상기 SR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예초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로드는 제1조작로드와 제2조작로드로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2조작로드는 착탈부에 의해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예초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제1조작로드에 형성되어 상기 제2조작로드에 삽입되는 결합관;
    상기 제2조작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결합관의 둘레면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예초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을 상기 구동부로 전달되게 하는 전원연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예초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로드에는 조작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조작손잡이에는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인가를 단속하는 스위치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예초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조작로드로부터 각도조절부에 의해 각도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예초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조작로드와 상기 헤드부를 힌지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에 의한 상기 헤드부의 회동각도를 가변시키는 각도가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예초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가변부는 일단이 상기 헤드부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조작로드로부터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작동샤프트; 및
    상기 작동샤프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예초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로드에는 상기 커터에 의한 파편의 방산을 방지하는 안전커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예초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에는 바닥면과의 이격거리를 유지시키는 거리유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예초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유지부는 상기 헤드부에 구비되는 상기 커터를 감싸는 그릴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예초기.
KR1020160002926A 2016-01-08 2016-01-08 전동 예초기 KR201700834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926A KR20170083448A (ko) 2016-01-08 2016-01-08 전동 예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926A KR20170083448A (ko) 2016-01-08 2016-01-08 전동 예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448A true KR20170083448A (ko) 2017-07-18

Family

ID=59442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926A KR20170083448A (ko) 2016-01-08 2016-01-08 전동 예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344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5589A1 (ko) * 2017-08-18 2019-02-21 김석조 예초기를 이용한 구동장치
CN109526403A (zh) * 2018-12-07 2019-03-29 宁波可凡电器有限公司 可配置背带式除草仪
KR101996785B1 (ko) 2019-04-18 2019-07-04 김태현 예초기용 커플러
CN111093356A (zh) * 2017-12-06 2020-05-01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割草机
KR102244671B1 (ko) * 2021-02-10 2021-04-26 이에스산업 주식회사 조작로드 탈장착 구조 개선형 예초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5589A1 (ko) * 2017-08-18 2019-02-21 김석조 예초기를 이용한 구동장치
CN111093356A (zh) * 2017-12-06 2020-05-01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割草机
CN109526403A (zh) * 2018-12-07 2019-03-29 宁波可凡电器有限公司 可配置背带式除草仪
KR101996785B1 (ko) 2019-04-18 2019-07-04 김태현 예초기용 커플러
KR102244671B1 (ko) * 2021-02-10 2021-04-26 이에스산업 주식회사 조작로드 탈장착 구조 개선형 예초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3448A (ko) 전동 예초기
AU2017279698B2 (en) Motor system for dual voltage devices
EP2693019B1 (en) Mobile operating machine having hybrid driving system
TWI586481B (zh) 馬達直結驅動之轉角式手持砂輪機
JP5776139B2 (ja) 背負式作業機械及び作業機械
CN108135128A (zh) 打草机及其操作方法和控制方法
EP2288007A2 (en) Power tool
EP2513941B1 (en) Electric hand tool with activation indication device
EP2451264A1 (en) Electrical two-way rotary trimmer
US20180192583A1 (en) Powered spool line winding mechanism for string trimmer
EP2127830A2 (en) Planer
JP2011135840A (ja) 電動刈込機
EP2712750A1 (en) Power tool
US7270100B2 (en) Electric start mini-cultivator
WO2011113445A1 (en) Tools
CN107398868A (zh) 电动工作机
WO2016034133A1 (zh) 电动工具
US20140084704A1 (en) Power tool
JP2014066198A (ja) 動力工具
EP3308622A1 (en) Powered spool line winding mechanism for string trimmer
CN207665487U (zh) 打草机
JP2014079240A (ja) 動力工具
JP5347956B2 (ja) 電動刈払機
CN106922205B (zh) 制动电机的方法和系统
CN108631480B (zh) 一种园艺用割草电动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