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3326A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mp of a vehicl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mp of a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3326A
KR20170083326A KR1020160002657A KR20160002657A KR20170083326A KR 20170083326 A KR20170083326 A KR 20170083326A KR 1020160002657 A KR1020160002657 A KR 1020160002657A KR 20160002657 A KR20160002657 A KR 20160002657A KR 20170083326 A KR20170083326 A KR 20170083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amp
receiving unit
magnitude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6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42958B1 (en
Inventor
김현민
손채은
박희정
김석배
황동혁
Original Assignee
현대아이에이치엘 주식회사
주식회사 알.에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아이에이치엘 주식회사, 주식회사 알.에프.텍 filed Critical 현대아이에이치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2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2958B1/en
Publication of KR20170083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3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2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29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1S48/3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H05B37/0209
    • H05B37/0272
    • F21W2101/02
    • F21W2101/12
    • F21W2101/14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제어 장치는, 무선전력 송신기, 무선전력 수신기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무선전력 송신기는 제1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1 전력 송신부 및 제2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2 전력 송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무선전력 수신기는 상기 제1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력 수신부 및 상기 제2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력 수신부를 포함하여, 상기 무선전력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전력을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제1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를 기초로, 상기 제1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1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를 기초로, 상기 제2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2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한다.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lamp controll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 wireless power receiver, and a controller. In this case,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ncludes a first power transmitte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power for driving the first lamp and a second power transmitte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power for driving the second lamp. The wireless power receiver further includes a first power receiv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lamp and a second power receiv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lamp, and receives power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power supply from the first power receiving unit to the first lamp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power received by the first power receiving unit and controls the magnitude of the power received by the second power receiving unit, And controls power supply from the second power receiving unit to the second lamp.

Description

차량의 램프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MP OF A VEHICLE}[0001]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MP OF A VEHICLE [0002]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각종 램프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램프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various lamps mounted on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lamp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wer required for driving a lamp.

차량에는, 운전자의 편의와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여러 가지 조명 장치가 장착된다. 대표적으로,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헤드램프(HEAD LAMP)를 들 수 있다.The vehicle is equipped with various lighting devices for the convenience and safety of the driver. Typically, a head lamp for securing the front view of the driver can be mentioned.

뿐만 아니라, 후방의 사람에게 차량의 존재와 상태를 알리는 리어 콤비램프(REAR LAMP)가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고 있다.In addition, a rear comb lamp (REAR LAMP) which notifies the person in the rear to the presence and condition of the vehicle is generally mounted on the vehicle.

하지만, 종래 차량에 장착되는 각종 램프는, 차량의 배터리와 커넥터 및 커넥터 및 전선을 통해 연결되어, 전력을 유선으로 공급받고,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점등하게 된다.However, various lamps mounted on a conventional vehicle are connected through a battery, a connector, a connector, and a wire of a vehicle, and are supplied with electric power through a wire, and are turned on using supplied electric power.

이러한 통상적인 차량용 램프의 전력 송수신 구조는, 필연적으로 수많은 배선 및 볼트 체결 작업을 동반하는바, 이르 인해 공간이 협소해지고, 작업 생산성 향상에 큰 제약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유선 방식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램프의 구조 특성 상, 어느 정도의 공차 또는 유격이 존재하게 되고, 이로 인해 램프 내로 먼지나 벌레와 같은 이물질이 침투하여, 고장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Such a conventional power transmission / reception structure of a vehicle lamp necessarily involves a lot of wire and bolt fastening operations, which results in a narrow space and a great limitation in improving work productivity. Also,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lamp supplied with the wired method, some tolerance or clearance exists, which causes a foreign matter such as dust or insects to penetrate into the lamp, which is a main cause of failure.

특히, 램프 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경우, 램프 및 이와 연결된 부품의 부식은 물론, 합선이나 화재 등의 심각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Particularly, when moisture is introduced into the lamp, serious conditions such as short-circuiting or fire can occur as well as corrosion of the lamp and the parts connected thereto.

한편, 최근에는 서로 다른 기기 간에 전선 등을 통한 유선 연결없이, 무선으로 전력을 송수신하는 이른바 '무선전력전송'이 각광을 받고 있다.Meanwhile, in recent years, so-call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n which power is transmitted and received wirelessly between different devices without wired connection through wires or the like, is getting attention.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차량에 장착된 복수의 램프 각각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ular lamp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wer required for driving each of a plurality of lamps mounted on a vehicle by us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1 전력 송신부 및 제2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2 전력 송신부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송신기, 상기 제1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력 수신부 및 상기 제2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력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전력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기 및 상기 무선전력 수신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를 기초로, 상기 제1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1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고세서는, 상기 제2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를 기초로, 상기 제2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2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including a first power transmitte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power for driving a first lamp and a second power transmitte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power for driving a second lamp, A first power receiver coupled to the first lamp and a second power receiver coupled to the second lamp, the wireless power receiver receiving power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lamp control devic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power supply from the first power receiving unit to the first lamp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power received by the first power receiving unit. In addition, the firmware may control power supply from the second power receiver to the second lamp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power received by the second power receive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상기 제1 램프에 대하여 설정된 제1 기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1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상기 제1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상기 제1 기준 전력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1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When the magnitude of the power received by the first power receiving unit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power set for the first lamp, the control unit starts power supply from the first power receiving unit to the first lamp And the power supply from the first power receiving unit to the first lamp may be cut off when the magnitude of the power received by the first power receiving unit is smaller than the first reference powe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상기 제2 램프에 대하여 설정된 제2 기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2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상기 제2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상기 제2 기준 전력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2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2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When the magnitude of the power received by the second power receiving unit is greater than a second reference power set for the second lamp, the control unit starts power supply from the second power receiving unit to the second lamp And the power supply from the second power receiving unit to the second lamp is cut off when the magnitude of the power received by the second power receiving unit is smaller than the second reference power.

또한, 상기 무선전력 송신기와 상기 무선전력 수신기는, 자기 공명 방식을 이용하여,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can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power using a magnetic resonance method.

또한, 상기 무선전력 송신기를 수용하는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와 분리되고, 상기 무선전력 수신기 및 상기 제어부를 수용하는 제2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ase for accommodat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second case separate from the first case and accommodating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nd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는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차량의 서로 다른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Further,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may be mounted at different positions of the vehicl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무선전력 송신기는, 제3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3 전력 송신부 및 제4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4 전력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무선전력 수신기는, 상기 제3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전력 수신부 및 상기 제4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4 전력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may further include a third power transmitte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power for driving the third lamp and a fourth power transmitte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power for driving the fourth lamp. In this case, the wireless power receiver may further include a third power receiv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lamp, and a fourth power receiv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ourth lamp.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상기 제3 램프에 대하여 설정된 제3 기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제3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3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상기 제3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상기 제3 기준 전력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3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3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When the magnitude of the power received by the third power receiving unit is greater than the third reference power set for the third lamp, the control unit starts power supply from the third power receiving unit to the third lamp And the power supply from the third power receiving unit to the third lamp is cut off when the magnitude of the power received by the third power receiving unit is smaller than the third reference powe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상기 제4 램프에 대하여 설정된 제4 기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제4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2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상기 제4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상기 제4 기준 전력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4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4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When the magnitude of the power received by the fourth power receiving unit is greater than a fourth reference power set for the fourth lamp, the control unit starts power supply from the fourth power receiving unit to the second lamp And may cut off power supply from the fourth power receiving unit to the fourth lamp when the magnitude of the power received by the fourth power receiving unit is smaller than the fourth reference power.

또한, 상기 제1 램프 내지 제4 램프는 각각은, 제동등, 후미등, 후진등 및 방향 지시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램프 내지 제4 램프 중 어느 하나는 나머지와 다른 종류일 수 있다.The first lamp to the fourth lamp may be any one of a braking lamp, a tail lamp, a reverse lamp, and a turn signal lamp. In this case,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lamps may be of a different kind from the others.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면, 램프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함으로써, 종래 유선 방식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에 비하여, 램프 및 체결 구조가 단순해지고, 이로 인해 조립 생산성이 증대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required for driving the lamp is wirelessly transmitted and received, so that the lamp and the fastening structure are simplified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method of supplying electric power in a wired manner,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면, 복수의 램프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경우, 무선을 통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를 기초로, 복수의 램프들 중 특정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 또는 차단함으로써, 별도의 통신 수단 없이도 복수의 램프들에 대한 개별적인 점등 및 소등이 가능하다.Further,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lurality of lamps are controlled individually, the power supply to the specific one of the plurality of lamps is started or stopped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power received via the radio. By disconnection, it is possible to individually turn on and off the plurality of lamps without any separate communication mea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면, 무선전력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전력이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복수의 램프들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함으로써, 무선전력 송신기에 의한 불필요한 전력을 송신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무선전력 송신기의 발열을 저감하고, 무선 전력 전송 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tarting power supply to the plurality of lamps only when the power received by the wireless power receiver meets a certain con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power transmission. Thus, the heat gener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can be reduced, and the efficiency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을 보여준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의 상세한 블록 다이어그램을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에서, 수신 전력의 크기와 무관하게 무선전력 수신기로부터 조명부로의 전원 공급이 개시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오동작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송신기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기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며, 도 4c는 도 4b에 도시된 방법에서 램프별 점등 조건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가 도 3에 도시된 오작동 문제를 제거하는 동작의 일 예를 보여준다.
FIG. 1 show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vehicle lamp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vehicle lamp control device shown in Fig. 1. Fig.
FIG. 3 shows an example of a malfunction that may occur when the supply of power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er to the illumination unit is started regardless of the magnitude of the received power in the vehicular lamp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B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power recei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Which is referred to in explaining the lighting condition for each lamp in the illustrated method.
5 shows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lamp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move the malfunction problem shown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100)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을 보여준다.1 show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vehicle lamp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램프 제어 장치(100)는 조명부(10), 무선전력 송신기(110), 무선전력 수신기(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10)는 복수의 램프들(10-1 ~ 10-n)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1보다 큰 정수이다. 즉, 램프 제어 장치(100)는 적어도 둘 이상의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lamp control apparatus 100 may include an illumination unit 10,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110, a wireless power receiver 120, and a controller 130. The illumination unit 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lamps 10-1 to 10-n. Where n is an integer greater than one. That is, the lamp control device 100 may include at least two lamps.

각각의 램프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광원으로는,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LD(Laser Diode) 등 전기 에너지를 빛으로 변환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조명부(10)는 일정 조건을 만족 시, 무선전력 수신기(120)와의 전기적 연결이 형성되어, 무선전력 수신기(12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소모하는 전기부하로 작용할 수 있다.Each lamp may include at least one light source. For example, the light sourc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convert electrical energy such as LED (Light Emitting Diode),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LD (Laser Diode) into light. The lighting unit 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120 and may serve as an electrical load that consume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er 120 when a certain condition is met.

무선전력 송신기(110)는 무선전력 수신기(120)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무선전력 송신기(110)에 의해 무선으로 송신되는 전력은 차량에 장착되는 복수의 램프들(10-1 ~ 10-n)을 하나씩 또는 둘 이상을 동시에 구동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전력 송신기(110)는 서로 다른 전력원에 의한 복수의 전력(P-1 ~ P-n)을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10 may transmit power wirelessly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120. [ The power transmitted wirelessly by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10 may be for driving one or more than one lamps 10-1 to 10-n mounted on the vehicle at the same time. In this case, as show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10 can wirelessly transmit a plurality of powers (P-1 to P-n) by different power sources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무선전력 수신기(120)는 복수의 램프들(10-1 ~ 10-n)과 유선을 통한 전기적 연결이 형성 또는 해제되고, 무선전력 송신기(110)에 의해 무선으로 송신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일정 조건에 따라, 수신된 전력의 적어도 일부를 복수의 램프들(10-1 ~ 10-n)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급할 수 있다.The wireless power receiver 120 can receive or transmit power wirelessly transmitted by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10, and the wireless connec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lamps 10-1 through 10- . Furth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at least a part of the received power can be su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lamps 10-1 to 10-n.

이 경우, 무선전력 송신기(110)와 무선전력 수신기(120)는, 자기유도 방식 또는 자기공명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10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120 can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power using either the magnetic induction method or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제어부(130)는 무선전력 수신기(120)와 연결되어, 무선전력 수신기(1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무선전력 수신기(120)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를 기초로, 무선전력 수신기(120)로부터 복수의 램프들(10-1 ~ 10-n)로의 전원 공급을 개별적으로 개시 또는 차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may be coupled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120 to control the wireless power receiver 120. [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power supply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er 120 to the plurality of lamps 10-1 to 10-n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power received by the wireless power receiver 120, As shown in FIG.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100)의 상세한 블록 다이어그램을 보여준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램프 제어 장치(100)에는 4개의 서로 다른 종류의 램프(10-1 ~ 10-4)가 포함되는 것으로 가정한다.Fig. 2 show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vehicular lamp control apparatus 100 shown in Fig.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lamp control device 100 includes four different kinds of lamps 10-1 to 10-4.

도 2를 참조하면, 무선전력 송신기(110)는 복수의 송신 코일(110-1 ~ 110-4) 및 복수의 송신부(111 ~ 114)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송신부는 '전력 송신부'로 명명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송신 코일(110-1 ~ 110-4) 및 송신부(111 ~ 114) 각각의 개수는 램프 제어 장치(100)에 포함된 램프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가정처럼, 램프가 4개인 경우, 송신 코일 및 송신부 각각의 개수 역시 4개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내지 제4 송신부(111 ~ 114)는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ransmission coils 110-1 to 110-4 and a plurality of transmission units 111 to 114. Each transmission unit may be referred to as a 'power transmission unit'. In this case, the number of the transmission coils 110-1 to 110-4 and the transmission units 111 to 114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the lamps included in the lamp control device 100. [ If there are four lamps as in the home, the number of each of the transmitting coil and the transmitting part may also be fou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to fourth transmission units 111 to 114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무선전력 송신기(110)는 차량에 구비된 배터리(210) 및 인터페이스부(220)와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210)는 제1 내지 제4 송신부(111 ~ 114)에 전력 송신에 요구되는 전기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20)는 복수의 램프들(10-1 ~ 10-4) 각각의 구동을 명령하는 웨이크업 신호를 무선전력 송신기(110)에 제공한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10 may be connected to the battery 210 and the interface unit 220 provided in the vehicle. The battery 210 may provide the first to fourth transmitters 111 to 114 with electrical energy required for power transmission. The interface unit 220 provides a wake-up signal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10 instructing to drive each of the plurality of lamps 10-1 to 10-4.

가령, 제1 내지 제4 램프(10-1 ~ 10-4)가 순서대로 제동등, 후미등, 후진등 및 방향 지시등인 것으로 가정하자. For example, assume that the first to fourth lamps 10-1 to 10-4 are a brake light, a tail light, a reverse light, and a turn signal light in order.

만약, 브레이크 페달이 눌려지면, 인터페이스부(220)는 제동등(10-1)의 구동을 명령하는 제1 웨이크업 신호를 제1 송신부(111)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송신부(111)는 제1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송신 코일(110-1)을 통해 제1 전력(P-1)을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If the brake pedal is depressed, the interface unit 220 may provide a first wake-up signal to the first transmission unit 111 instructing to drive the brake light 10-1. The first transmitting unit 111 may wirelessly transmit the first power P-1 through the first transmitting coil 110-1 in response to the first wake-up signal.

만약, 전조등이 켜지면, 인터페이스부(220)는 후미등(10-2)의 구동을 명령하는 제2 웨이크업 신호를 제2 송신부(112)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송신부(112)는 제2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제2 송신 코일(110-2)을 통해 제2 전력(P-2)을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If the headlight is turned on, the interface unit 220 may provide a second wake-up signal to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112 instructing driving of the taillight 10-2. The second transmitting unit 112 may wirelessly transmit the second power P-2 through the second transmitting coil 110-2 in response to the second wake-up signal.

만약, 변속기 레버가 후진 위치('R')에 놓여지면, 인터페이스부(220)는 후진등(10-3)의 구동을 명령하는 제3 웨이크업 신호를 제3 송신부(113)에 제공할 수 있다. 제3 송신부(113)는 제3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제3 송신 코일(110-3)을 통해 제3 전력(P-3)을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If the transmission lever is placed in the reverse position ('R'), the interface 220 may provide a third wake-up signal to the third transmitter 113, which commands a drive of the reverse light 10-3 have. The third transmitting unit 113 can wirelessly transmit the third power P-3 through the third transmitting coil 110-3 in response to the third wake-up signal.

만약, 방향 지시 레버가 좌측 위치 또는 우측 위치에 놓여지면, 인터페이스부(220)는 방향 지시등(10-4)의 구동을 명령하는 제4 웨이크업 신호를 제4 송신부(114)에 제공할 수 있다. 제4 송신부(114)는 제4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제4 송신 코일(110-4)을 통해 제4 전력(P-4)을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If the direction indication lever is placed in the left position or the right position, the interface unit 220 may provide the fourth transmitter 114 with a fourth wake-up signal instructing driving of the turn signal lamp 10-4 . The fourth transmitting unit 114 can wirelessly transmit the fourth power P-4 through the fourth transmitting coil 110-4 in response to the fourth wake-up signal.

무선전력 수신기(120)는 복수의 수신 코일(120-1 ~ 120-4) 및 복수의 수신부(121 ~ 124)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송신부는 '전력 수신부'로 명명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신 코일 및 수신부 각각의 개수는 램프 제어 장치(100)에 포함된 램프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가정처럼, 램프가 4개인 경우, 수신 코일 및 수신부 각각의 개수 역시 4개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내지 제4 수신부(121 ~ 124)는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The wireless power receiver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ceiving coils 120-1 to 120-4 and a plurality of receiving units 121 to 124. Each transmitter may be termed a 'power receiver'. In this case, the number of each of the receiving coil and the receiving unit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the lamps included in the lamp control device 100. As in the assumption, if there are four lamps, the number of each of the receiving coil and the receiving part may also be fou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to fourth receiving units 121 to 124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1 내지 제4 수신 코일(120-1 ~ 120-4)은 순서대로 제1 내지 제4 송신 코일(110-1 ~ 110-4)과 서로 마주보도록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The first to fourth reception coils 120-1 to 120-4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face the first to fourth transmission coils 110-1 to 110-4.

제1 내지 제4 수신부(121 ~ 124)는 순서대로 제1 내지 제4 램프(10-1 ~ 10-4)과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수신 코일(120-1 ~ 120-4)을 통해 수신된 전력은 각각 제1 내지 제4 수신부(121 ~ 124)로 전달될 수 있다. The first to fourth receiving units 121 to 124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to fourth lamps 10-1 to 10-4 by wire in order. The power received through the first to fourth receiving coils 120-1 to 120-4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to fourth receiving units 121 to 124, respectively.

제어부(130)는 제1 내지 제4 수신부(121 ~ 124)와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제1 내지 제4 수신부(121 ~ 124) 각각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를 기초로, 제1 내지 제4 램프(10-1 ~ 10-4) 각각의 구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30)는 MCU(Micro Controller Unit)와 같은 하드웨어적인 컴퓨팅 소자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first to fourth receiving units 121 to 124 individually and controls the first to fourth receiving units 121 to 124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power received by the first to fourth receiving units 121 to 124,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each of the lamps 10-1 to 10-4 is driven. The controller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hardware computing device such as an MCU (Micro Controller Unit).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전력 측정부(131), 비교부(132) 및 스위칭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30 may include a power measuring unit 131, a comparing unit 132, and a switching unit 133.

전력 측정부(131)는 제1 내지 제4 수신부(121 ~ 124) 각각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를 측정한다. The power measuring unit 131 measures the magnitude of the power received by the first to fourth receiving units 121 to 124, respectively.

비교부(132)는 제1 내지 제4 수신부(121 ~ 124) 각각에 대하여 측정된 전력을 기 설정된 제1 내지 제4 기준 전력과 비교하여 대소를 판단한다. 예컨대, 제1 내지 제4 기준 전력은 순서대로 제1 내지 제4 램프(10-1 ~ 10-4)의 적정 구동 전력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기준 전력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4c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comparing unit 132 compares the measured power with respect to each of the first to fourth receiving units 121 to 124 to determine the magnitude by comparing the measured first to fourth reference powers. For example, the first to fourth reference powers may correspond to the proper driving powers of the first to fourth lamps 10-1 to 10-4 in order.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ference power will be given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C.

스위칭부(133)는 비교부(132)에 의한 대소 판단 결과를 기초로, 제1 내지 제4 수신부(121 ~ 124)로부터 제1 내지 제4 램프(10-1 ~ 10-4)로의 전력 공급을 개별적으로 개시 또는 차단한다. 예컨대, 스위칭부(133)는 i)제1 수신부(121)와 제1 램프(10-1)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치, ii)제2 수신부(122)와 제2 램프(10-2)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치, iii)제3 수신부(123)와 제3 램프(10-3) 사이에 연결되는 제3 스위치 및 iv)제4 수신부(124)와 제4 램프(10-4) 사이에 연결되는 제4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witching unit 133 supplies power from the first to fourth receivers 121 to 124 to the first to fourth lamps 10-1 to 10-4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comparison unit 132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switching unit 133 may include: i) a first switch connected between the first receiving unit 121 and the first lamp 10-1; ii) a second switch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receiving unit 122 and the second lamp 10-2; Iii) a third switch connected between the third receiving part 123 and the third lamp 10-3; and iv) a third switch connected between the fourth receiving part 124 and the fourth lamp 10-4. And a fourth switch connected between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만약, 제1 수신부(121)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제1 기준 전력보다 작은 경우, 스위칭부(133)는 제1 스위치를 열어, 제1 수신부(121)로부터 제1 램프(10-1)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반면, 제1 수신부(121)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제1 기준 전력보다 큰 경우, 스위칭부(133)는 제1 스위치를 닫아, 제1 수신부(121)로부터 제1 램프(10-1)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할 수 있다. If the magnitude of the power received by the first receiving unit 121 is smaller than the first reference power, the switching unit 133 opens the first switch and outputs the first power from the first receiving unit 121 to the first lamp 10-1 Can be cut off. On the other hand, when the magnitude of the power received by the first receiving unit 121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power, the switching unit 133 closes the first switch, and the first lamp 10-1 ) Can be started.

만약, 제2 수신부(122)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제2 기준 전력보다 작은 경우, 스위칭부(133)는 제2 스위치를 열어, 제2 수신부(122)로부터 제2 램프(10-2)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반면, 제2 수신부(122)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제2 기준 전력보다 큰 경우, 스위칭부(133)는 제2 스위치를 닫아, 제2 수신부(122)로부터 제1 램프(10-2)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할 수 있다. 각각의 스위치는 트랜지스터 등의 전기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If the magnitude of the power received by the second receiving unit 122 is smaller than the second reference power, the switching unit 133 opens the second switch and the second lamp 10-2 Can be cut off. On the other hand, when the magnitude of the power received by the second receiving unit 122 is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power, the switching unit 133 closes the second switch, ) Can be started. Each of the switches may include an electric element such as a transistor.

만약, 제3 수신부(123)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제3 기준 전력보다 작은 경우, 스위칭부(133)는 제3 스위치를 열어, 제3 수신부(123)로부터 제3 램프(10-3)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반면, 제3 수신부(123)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제3 기준 전력보다 큰 경우, 스위칭부(133)는 제3 스위치를 닫아, 제3 수신부(123)로부터 제3 램프(10-3)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할 수 있다. If the magnitude of the power received by the third receiving unit 123 is smaller than the third reference power, the switching unit 133 opens the third switch and the third receiving unit 123 receives the third lamp 10-3 Can be cut off. On the other hand, when the magnitude of the power received by the third receiving unit 123 is greater than the third reference power, the switching unit 133 closes the third switch, and the third lamp 10-3 ) Can be started.

만약, 제4 수신부(124)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제4 기준 전력보다 작은 경우, 스위칭부(133)는 제4 스위치를 열어, 제4 수신부(124)로부터 제4 램프(10-4)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반면, 제4 수신부(124)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제4 기준 전력보다 큰 경우, 스위칭부(133)는 제4 스위치를 닫아, 제4 수신부(124)로부터 제4 램프(10-4)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할 수 있다. If the magnitude of the power received by the fourth receiving unit 124 is smaller than the fourth reference power, the switching unit 133 opens the fourth switch and outputs the fourth signal from the fourth receiving unit 124 to the fourth lamp 10-4 Can be cut off. On the other hand, when the magnitude of the power received by the fourth receiving unit 124 is larger than the fourth reference power, the switching unit 133 closes the fourth switch, and the fourth lamp 10-4 ) Can be started.

이 경우, 각각의 스위치는 트라이악, 사이리스터, 트랜지스터 등의 스위칭 소자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each of the switches may include at least one switching element such as a triac, a thyristor, or a transistor.

한편, 램프 제어 장치(100)는 제1 케이스(C1) 및 제2 케이스(C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C1)는 무선전력 송신기(110)를 수용할 수 있다. 제2 케이스(C2)는 제1 케이스(C1)와 분리되고, 무선전력 수신기(120) 및 제어부(130)를 수용할 수 있다. 제1 케이스(C1) 및/또는 제2 케이스(C2)는 이에 수용된 구성요소가 외부와 격리되도록, 완전히 밀폐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케이스(C1)와 제2 케이스(C2)는 무선 전력의 송수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차량의 서로 다른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Meanwhile, the lamp control device 100 may include a first case C1 and a second case C2. The first case C1 may receive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10. [ The second case C2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ase C1 and can accommodate the wireless power receiver 120 and the control unit 130. [ The first case C1 and / or the second case C2 may be embodied in a completely sealed form so that the components accommodated therein are isolated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the first case C1 and the second case C2 may be mounted at different positions of the vehicl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in a range where wireless power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또한, 제1 케이스(C1) 및 제2 케이스(C2)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은 무선으로 송수신되는 전력이 통과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least a part of each of the first case C1 and the second case C2 may be made of a material through which power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wirelessly.

도 2 및 이하에서는 제1 내지 제4 램프(10-1 ~ 10-4)가 각각 제동등, 후미등, 후진등 및 방향 지시등인 것으로 가정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순서는 무관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2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to fourth lamps 10-1 to 10-4 are a brake light, a tail light, a back light, and a turn signal lamp, respectivel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do.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100)에서, 수신 전력의 크기와 무관하게 무선전력 수신기(120)로부터 조명부(10)로의 전원 공급이 개시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오동작의 일 예를 보여준다. 즉, 도 3은, 웨이크업 신호에 대응하지 않는 램프(소등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는 램프)가, 이와 연결된 수신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점등 상태로 전환되는 오동작을 예시한다.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lamp control apparatus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3, As shown in FIG. That is, FIG. 3 illustrates a malfunction in which a lamp (lamp to be maintained in the unlit state)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wake-up signal is switched to the lit state by the power supplied from the receiver connected thereto.

도 3을 참조하면, 무선전력 송신기(110)는 인터페이스부(220)로부터 제공되는 웨이크업 신호에 대응하는 특정 송신부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10 selectively drives a specific transmission unit corresponding to a wakeup signal provided from the interface unit 220 to transmit power wirelessly.

가령, 인터페이스부(220)로부터 제2 웨이크업 신호(도 2에 관한 설명 참조)만이 제공되는 경우, 무선전력 송신기(110)는 제2 송신부(112)만을 구동할 수 있다. 제2 송신부(112)가 구동됨에 따라, 제2 송신 코일(110-2)을 통해 제2 전력(P-2)이 무선으로 송신될 수 있다. For example, if only a second wake-up signal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is provided from the interface 220,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10 may only drive the second transmitter 112. As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112 is driven, the second power P-2 may be transmitted wirelessly through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110-2.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전력(P-2)은 제2 램프(10-2)만을 구동(즉, 점등)하기 위해 송신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무선 전력 전송의 특성 상, 무선으로 전송되는 전력은 전자기파의 형태일 수 있는데, 이 경우 전자기파가 무선전력 송신기(110)로부터 이격된 무선전력 수신기(120)를 향하여 방사되어 나아감에 따라, 최초 송신된 전력의 일부만이 목표로 하는 수신부(122)에 도달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power P-2 may be transmitted to drive (i.e., turn on) only the second lamp 10-2.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he power transmitted over the air can be in the form of electromagnetic waves, where electromagnetic waves are radiated towar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120 spac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10, Only a part of the transmitted power can reach the target receiving section 122. [

도면을 참조하면, 제2 송신 코일(110-2)로부터 송신된 제2 전력(P-2)의 일부분은 제2 수신 코일(120-2)에 의해 수신되지만, 나머지 부분은 송신 중에 소실되거나, 제1 수신 코일(120-1), 제3 수신 코일(120-3) 및 제4 수신 코일(120-4)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figure, a portion of the second power P-2 transmitted from the second transmit coil 110-2 is received by the second receive coil 120-2, but the remaining portion is lost during transmission, May be receiv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receiving coil 120-1, the third receiving coil 120-3 and the fourth receiving coil 120-4.

예컨대, 송신 중의 공간에서 소실되는 전력이 없다고 가정할 때, 제2 송신 코일(110-2)로부터 송신된 제2 전력(P-2)이 9W인 경우, 제2 수신 코일(120-2)에 의해 6W의 전력만이 수신되고, 제1 수신 코일(120-1) 및 제3 수신 코일(120-3)에 의해 각각 1.5W의 전력이 수신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cond power P-2 transmitted from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110-2 is 9W, assuming that there is no power to be lost in the space during transmission, the second reception coil 120-2 Only 6W of power can be received, and 1.5W of power can be received by the first receiving coil 120-1 and the third receiving coil 120-3, respectively.

이에 따라, 제2 송신 코일(110-2)에 의해 수신된 6W의 전력이 제2 수신부(120)를 통해 제2 램프(10-2)로 공급되어, 제2 램프(10-2)가 점등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ower of 6 W received by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110-2 is supplied to the second lamp 10-2 through the second receiving unit 120, and the second lamp 10-2 is turned on .

다만, 만약 제1 수신부(121)와 제1 램프(10-1)의 전기적 연결 및 제2 수신부(122)와 제2 램프(10-2)의 전기적 연결이 유지(enable)되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송신 코일(110-1) 및 제3 송신 코일(110-3)에 의해 송신된 전력이 없음에도, 제1 수신 코일(120-1) 및 제3 수신 코일(120-3) 각각에 의해 수신된 1.5W의 전력에 의해 제1 램프(10-1) 및 제3 램프(10-3)도 점등되는 오동작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However, if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receiving unit 121 and the first lamp 10-1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receiving unit 122 and the second lamp 10-2 are enabled, The first receiving coil 120-1 and the third receiving coil 120-3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any power transmitted by the first transmitting coil 110-1 and the third transmitting coil 110-3, The first lamp 10-1 and the third lamp 10-3 may also be turned on by a power of 1.5 W received by each of them.

즉, 제1 램프(10-1)가 제동등인 경우,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이 밟고 있지 않음에도 제동등이 켜질 수 있고, 제3 램프(10-3)가 후진등인 경우, 변속기 레버가 후진 위치('R')에 놓여져 있지 않음에도 후진등이 켜질 수 있다. That is, when the first lamp 10-1 is the brake light, the brake light can be turned on even if the driver does not step on the brake pedal. If the third lamp 10-3 is in the reverse state, 'R'), the backlight may be turned on.

이에 따라, 제1 램프(10-1) 및 제3 램프(10-3)의 점등에 따른 잘못된 정보가 외부에 표시되고 사고 위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제1 램프(10-1) 및 제3 램프(10-3)가 불필요하게 점등됨에 따라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램프(10-2)만이 아니라, 제1 램프(10-1) 및 제3 램프(10-3)까지 제2 송신부(112)에 대한 전기부하로 작용하게 되므로, 제2 송신부(112)의 부하 임피던스의 상승으로 인하여 제2 송신부(112)가 불필요한 전력을 추가적으로 송신하게 되고, 결국 전력전송의 효율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발열이 심하진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Accordingly, erroneous information due to the lighting of the first lamp 10-1 and the third lamp 10-3 is displayed on the outside, and the risk of an accident can be increased. Also, since the first lamp 10-1 and the third lamp 10-3 are unnecessarily turned on, the lifetime can be shortened. In addition, not only the second lamp 10-2 but also the first lamp 10-1 and the third lamp 10-3 function as electrical loads for the second transmitter 112,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112 transmits additional power unnecessarily due to an increase in the load impedance of the power supply unit 112. As a result, not only the efficiency of power transmission is reduced but also the heat generation is severe.

한편, 도 3에서는 제2 송신부(112)에 의해 송신되는 제2 전력(P-2)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송신부에 의해 송신되는 전력에 의해서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3, the second power (P-2) transmitted by the second transmitter 112 is used as a reference, but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ame problem may be caused by the power transmitted by another transmitter.

이하, 도 4 및 도 5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무선 전력 전송에 따른 램프 오동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4 and 5, a method for solving the lamp malfunction problem according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will be described.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송신기(110)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기(120)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며, 도 4c는 도 4b에 도시된 방법에서 램프별 점등 조건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FIG. 4A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1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B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power receiver 12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C is a diagram referred to explain the lighting condition for each lamp in the method shown in FIG. 4B. FIG.

도 4a를 참조하면, 무선전력 송신기(110)의 제1 송신부(111)는 제1 웨이크업 신호를 대기한다(S411). 제1 웨이크업 신호는 브레이크 페달이 눌려진 경우 인터페이스부(22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4A, the first transmitter 111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10 waits for a first wake-up signal (S411). The first wake-up signal may be a signal provided from the interface unit 220 when the brake pedal is depressed.

이어, 제1 송신부(111)는 제1 웨이크업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한다(S412). 예컨대, 인터페이스부(22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의 상태가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전환되는 경우, 제1 송신부(111)는 제1 웨이크업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Next, the first transmitting unit 111 determines whether a first wake-up signal has been received (S412). For example, when the state of the signal provided from the interface unit 220 is switched from the low level to the high level, the first transmitting unit 111 can determine that the first wake-up signal is received.

다음, 제1 송신부(111)는 제1 송신 코일(110-1)을 통해 제1 전력(P-1)을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S413). 이때, 제1 전력(P-1)은 제1 램프(10-1)를 구동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크기의 전력일 수 있다.Next, the first transmitting unit 111 can wirelessly transmit the first power P-1 through the first transmitting coil 110-1 (S413). In this case, the first power P-1 may be a power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for driving the first lamp 10-1.

이어, 제1 송신부(111)는 제1 웨이크업 신호가 종료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414). 예컨대, 브레이크 페달이 눌리지 않는 위치로 복귀하는 경우, 인터페이스부(22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의 상태가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전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송신부(111)는 제1 웨이크업 신호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n, the first transmitting unit 111 may determine whether the first wake-up signal is terminated (S414). For example, when the brake pedal is returned to a position where the brake pedal is not depressed, the state of the signal provided from the interface unit 220 can be switched from the high level to the low level,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process has ended.

만약, 제1 웨이크업 신호가 유지되는 경우, 제1 송신부(111)는 제1 송신 코일(110-1)을 통해 제1 전력(P-1)을 연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If the first wake-up signal is maintained, the first transmitting unit 111 can transmit the first power P-1 continuously or periodically through the first transmitting coil 110-1.

한편, 도 4a에서는 제1 송신부(111)에 의한 전력 송신 과정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나머지 송신부(112 ~ 114) 역시 제1 송신부(111)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2 내지 제4 전력(P-2 ~ P-4)을 개별적으로 송신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4A, the remaining transmitters 112 to 114 are also configured to transmit the second to fourth powers P-2 to P-4 in the same manner as that of the first transmitter 111, To P-4) may be transmitted separately.

도 4b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제1 수신 코일(120-1)을 통해 제1 수신부(121)가 전력을 수신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421). 예컨대, 제어부(130)는 제1 수신 코일(120-1)에 의해 수신된 후 제1 수신부(121)에 의해 정류된 전력에 대응하는 전압 또는 전류의 변화를 기초로, 제1 수신부(121)가 전력을 수신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수신 코일(120-1)을 통해 수신되는 전력은 제1 내지 제4 송신부(111 ~ 114)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무선으로 송신되는 전력일 수 있다. 한편, 단계 S421 이전에는 무선전력 수신기(120)로부터 조명부(10)로의 전원 공급이 모두 차단(disable)된 상태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4B,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whether the first receiving unit 121 has received power through the first receiving coil 120-1 (S421).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first receiving unit 121 based on a change in voltage or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power rectified by the first receiving unit 121 after being received by the first receiving coil 120-1. Lt; RTI ID = 0.0 > power. ≪ / RTI > In this case, the power received through the first receiving coil 120-1 may be power that is wirelessly transmitt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fourth transmitting units 111 to 114. [ On the other hand, before step S421, the power supply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er 120 to the illumination unit 10 may be all disabled.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제1 수신부(121)에 수신된 전력을 측정한다(S422). 구체적으로, 제어부(130)에 포함된 전력 측정부(131)는 무선전력 송신기(110)에 포함된 모든 송신부(111 ~ 114)와 연결되어, 각각의 송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전력을 개별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Next, the control unit 130 measures the power received by the first receiving unit 121 (S422). Specifically, the power measuring unit 131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130 is connected to all the transmitting units 111 to 114 included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10, and separately measures the power received by each transmitting unit .

한편, 제어부(130)에는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은 데이터 테이블(430)이 저장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테이블(430)에는 제1 내지 제4 램프(10-1 ~ 10- 4) 각각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4 적정 구동 전력 및/또는 제1 내지 제4 기준 전력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4 램프(10-1 ~ 10- 4)의 적정 구동 전력은 순서대로, 12W, 7W, 10W 및 10W일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적정 구동 전력은 램프별 사양에 따라 출고 당시부터 설정되는 값일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ler 130 may store a data table 430 as shown in FIG. 4C. As shown in the figure, the data table 430 stores the first to fourth proper driving powers and / or the first to fourth reference powers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 fourth lamps 10-1 to 10-4, Data may be included. Specifically, the optimum driving powers of the first to fourth lamps 10-1 to 10-4 may be 12W, 7W, 10W and 10W in order. At this time, the appropriate driving power may be a value set from the time of shipment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for each lamp.

또한, 각각의 기준 전력은 이에 대응하는 적정 구동 전력에 따라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기준 전력은 적정 구동 전력의 80%에 해당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램프(10-1)에 대한 제1 적정 구동 전력인 12W의 80%에 해당하는 9.6W가 제1 기준 전력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2 내지 제4 램프(10-2 ~ 10-4) 각각에 대한 제2 기준 전력 내지 제4 기준 전력 역시 동일한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Further, each of the reference powers may be set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appropriate driving power. For example, the reference power may have a magnitude corresponding to 80% of the optimum drive power. For example, 9.6 W corresponding to 80% of 12 W which is the first appropriate driving power for the first lamp 10-1 may be set as the first reference power. The second reference power to the fourth reference power for each of the second to fourth lamps 10-2 to 10-4 may be set to the same reference.

이어서, 제어부(130)는 상기 측정된 전력의 크기가 제1 기준 전력보다 큰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교부(132)는 제1 수신부(121)에 대하여 측정된 전력의 크기와 기 설정된 제1 기준 전력을 비교하여, 상호 간의 대소를 판단할 수 있다. Then,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whether the measured power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power. Specifically, the comparing unit 132 compares the magnitude of the measured power with respect to the first receiving unit 121 and determines a magnitude of each other by comparing the first reference power.

만약, 상기 측정된 전력의 크기가 제1 기준 전력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130)는 단계 S422로 회귀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위칭부(133)에 의해 제1 수신부(121)와 제1 램프(10-1)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끊겨, 제1 수신부(121)로부터 제1 램프(10-1)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disable)된 상태가 계속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램프(10-1)는 제1 송신부(111)에 대한 부하 임피던스 상승을 유발하지 않는 상태가 될 수 있다.If the measured power is smaller than the first reference power, the controller 130 may return to step S422. In this case,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receiving part 121 and the first lamp 10-1 is cut off by the switching part 133 so that the electric power is supplied from the first receiving part 121 to the first lamp 10-1 The disabled state can be maintained. Accordingly, the first lamp 10-1 may be in a state in which the load impedance of the first transmitter 111 is not increased.

만약, 상기 측정된 전력의 크기가 제1 기준 전력보다 큰 경우, 제어부(130)는 제1 수신부(121)로부터 제1 램프(10-1)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enable)할 수 있다(S424). 일 예로, 스위칭부(133)는 양단이 제1 수신부(121)와 제1 램프(10-1)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치를 닫아, 제1 수신부(121)에 의해 수신된 전력이 제1 램프(10-1)에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램프(10-1)가 점등될 수 있다. If the magnitude of the measured power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power, the controller 130 may enable power supply from the first receiving unit 121 to the first lamp 10-1 (S424 ). For example, the switching unit 133 closes the first switch, whose both ends ar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receiving unit 121 and the first lamp 10-1, so that the power received by the first receiving unit 121 becomes the first And to be supplied to the lamp 10-1. Thus, the first lamp 10-1 can be turned on.

한편, 도 4b에서는 제1 수신부(121)에 의한 전력 수신 과정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나머지 수신부(122 ~ 124) 역시 제1 수신부(121)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2 내지 제4 램프(10-2 ~ 10-4)에 대한 전원 공급이 개시(enable) 또는 차단(disable)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4B, the remaining reception units 122 to 124 are also connected to the second to fourth lamps 10-2 to 12-4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reception unit 121. However, To 10-4 may be enabled or disabl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100)가 도 3에 도시된 오작동 문제를 제거하는 동작의 일 예를 보여준다.5 shows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vehicular lamp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move the malfunction problem shown in FIG.

도 3과 유사하게, 도 5는 제2 송신 코일(110-2)을 통해 제2 전력(P-2)이 무선으로 송신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 경우, 제1 송신 코일(110-1), 제2 송신 코일(110-3) 및 제4 송신 코일(110-4)을 통해 송신되는 전력은 없는 상태일 수 있다.Similar to FIG. 3, FIG. 5 illustrates that the second power P-2 is transmitted wirelessly via the second transmit coil 110-2. In this case, there may be no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transmission coil 110-1,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110-3, and the fourth transmission coil 110-4.

제2 전력(P-2)의 일부분은 제2 수신 코일(120-2)에 의해 수신될 수 있고, 일부분은 송신 과정 중에 소실될 수 있고, 나머지는 제1 수신 코일(120-1) 및 제3 수신 코일(120-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second power P-2 may be received by the second receive coil 120-2, a portion thereof may be lost during the transmission process, and the remainder may be received by the first receive coil 120-1 and the second receive coil 120-2. 3 receive coil 120-3.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내지 제3 수신 코일(120-1 ~ 120-3)에 의해 수신되는 전력은 순서대로 1,5W, 6W, 1.5W인 것으로 가정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powers received by the first to third receiving coils 120-1 to 120-3 are 1,5W, 6W, and 1.5W, respectively.

도 4c를 함께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제1 수신 코일(120-1)을 통해 제1 수신부(121)에 수신되는 전력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고, 이를 제1 기준 전력인 9.6W와 비교할 수 있다. 제1 수신부(121)에 수신되는 전력은 제1 기준 전력인 9.6W보다 작은 1.5W이므로, 제어부(130)는 제1 수신부(121)로부터 제1 램프(10-1)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disable)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과 달리, 제1 램프(10-1)는 제2 전력(P-2)의 송신 전후로 소등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C, the controller 130 can measure the magnitude of the power received by the first receiving unit 121 through the first receiving coil 120-1, and outputs the first reference power of 9.6 W Can be compared. Since the power received by the first receiving unit 121 is 1.5 W smaller than the first reference power of 9.6 W, the controller 130 cuts off the power supply from the first receiving unit 121 to the first lamp 10-1 disable). Accordingly, unlike FIG. 3, the first lamp 10-1 can maintain a state of being turned off before and after the transmission of the second power P-2.

이와 동시에, 제어부(130)는 제2 수신 코일(120-2)을 통해 제2 수신부(122)에 수신되는 전력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고, 이를 제2 기준 전력인 5.6W와 비교할 수 있다. 제2 수신부(122)에 수신되는 전력은 제1 기준 전력인 5.6W보다 큰 6W이므로, 제어부(130)는 제2 수신부(122)로부터 제2 램프(10-2)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enable)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과 동일하게, 제2 램프(10-2)는 제2 전력(P-2)의 송신에 따라 점등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At the same time, the controller 130 can measure the magnitude of the power received by the second receiving unit 122 through the second receiving coil 120-2, and compare the magnitude of the power to the second reference power of 5.6W. The power received from the second receiving unit 122 is 6W larger than the first reference power of 5.6W so that the controller 130 can start supplying power from the second receiving unit 122 to the second lamp 10-2 )can do. 3, the second lamp 10-2 can be turned on in accordance with the transmission of the second power P-2.

또한, 제어부(130)는 제3 수신 코일(120-3)을 통해 제3 수신부(123)에 수신되는 전력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고, 이를 제3 기준 전력인 8W와 비교할 수 있다. 제3 수신부(123)에 수신되는 전력은 제3 기준 전력인 8W보다 작은 1.5W이므로, 제어부(130)는 제3 수신부(123)로부터 제3 램프(10-3)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disable)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과 달리, 제3 램프(10-3)는 제2 전력(P-2)의 송신 전후로 소등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130 can measure the magnitude of the power received by the third receiving unit 123 through the third receiving coil 120-3 and compare it with the third reference power of 8W. The power received from the third receiving unit 123 is 1.5W which is smaller than the third reference power 8W and thus the control unit 130 disables the power supply from the third receiving unit 123 to the third lamp 10-3 )can do. Accordingly, unlike FIG. 3, the third ramp 10-3 can remain off before and after the transmission of the second power P-2.

즉, 제1 램프(10-1) 및 제3 램프(10-3)가 불필요하게 점등됨에 따른 수명 단축 문제를 저감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램프(10-1) 및 제3 램프(10-3)는 제2 송신부(112)에 대한 전기부하로 작용하지 않으므로, 제2 송신부(112)의 부하 임피던스가 불필요하게 상승되지 않아 제2 송신부(112)는 제2 램프(10-2)만의 점등에 요구되는 전력만을 송신하게 되고, 결국 도 3과 비교할 때 전력전송의 효율이 개선되고, 발열을 낮추는 기술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at i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blem of shortening the lifetime due to unnecessary lighting of the first lamp 10-1 and the third lamp 10-3. In addition, since the first lamp 10-1 and the third lamp 10-3 do not act as electrical loads to the second transmitter 112, the load impedance of the second transmitter 112 is not unnecessarily increased The second transmitting unit 112 transmits only the power required to turn on only the second lamp 10-2. As a result, the efficiency of the power transmission is improved and the technical effect of lowering the heat generation can be provided .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스위치를 제어하여, 제1 및 제3 수신부(121, 123)와 제2 램프(10-2) 간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함으로써, 제1 및 제3 수신부(121, 123)로부터 제2 램프(10-2)로의 전원 공급을 개시할 수도 있다.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switch to form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and third receiving units 121 and 123 and the second lamp 10-2 so that the first and third The power supply from the receivers 121 and 123 to the second lamp 10-2 may be started.

도 5에 따르면, 램프 제어 장치(100)는, 제1 내지 제4 수신부(121 ~ 124) 각각에 의해 수신되는 전력의 측정값을 제1 내지 제4 기준 전압과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제1 내지 제4 램프(10-1 ~ 10-4)로의 전력 공급을 개별적으로 차단 또는 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lamp control device 100 determines,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measured value of the power received by each of the first to fourth receiving units 121 to 124 with the first to fourth reference voltages, 1 to the fourth lamps 10-1 to 10-4 can be individually shut off or started.

이에 따라, 무선전력 송신기(110)로부터 무선으로 송신되는 전력이 목표로 하는 특정 수신부 외의 다른 수신부에 간섭을 일으키더라도, 인터페이스부(220)로부터 무선전력 송신기(110)로 입력되는 웨이크업 신호에 대응하는 특정 램프만을 정확히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ly, even if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10 wirelessly interferes with the receiving unit other than the target specific receiving unit, the wakeup signal input from the interface unit 220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10 It is possible to precisely drive only a specific lamp.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제어하는 방법은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code that can be read by a processor o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processor included in a lamp controller for a vehicle.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s stored. Examples of the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the processor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also a carrier wave such as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n addition, the processo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de readable by the processor in a distributed manner can be stored and execut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all elem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one operation.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또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Furthermor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substitu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d not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램프 제어 장치
10: 조명부
110: 무선전력 송신기
120: 무선전력 수신기
130: 제어부
100: Lamp control device
10:
110: Wireless power transmitter
120: Wireless power receiver
130:

Claims (10)

제1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1 전력 송신부 및 제2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2 전력 송신부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송신기;
상기 제1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력 수신부 및 상기 제2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력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전력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기; 및
상기 무선전력 수신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를 기초로, 상기 제1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1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를 기초로, 상기 제2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2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including a first power transmitte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power for driving the first lamp and a second power transmitte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power for driving the second lamp;
A wireless power receiver for receiving power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he wireless power receiver comprising: a first power receiv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lamp; and a second power receiv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lamp. An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power receiver,
Wherein,
Controls power supply from the first power receiver to the first lamp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power received by the first power receiver,
And controls power supply from the second power receiving unit to the second lamp based on a magnitude of the power received by the second power receiv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상기 제1 램프에 대하여 설정된 제1 기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1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상기 제1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상기 제1 기준 전력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1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magnitude of the power received by the first power receiving unit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power set for the first lamp, the power supply from the first power receiving unit to the first lamp is started,
And stops power supply to the first lamp from the first power receiving unit when the magnitude of the power received by the first power receiving unit is smaller than the first reference pow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상기 제2 램프에 대하여 설정된 제2 기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2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상기 제2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상기 제2 기준 전력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2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2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magnitude of the power received by the second power receiving unit is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power set for the second lamp, the power supply from the second power receiving unit to the second lamp is started,
And disconnects the power supply from the second power receiver to the second lamp when the magnitude of the power received by the second power receiver is smaller than the second reference pow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기와 상기 무선전력 수신기는,
자기 공명 방식을 이용하여,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comprising:
A vehicle lamp control apparatus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electric power using a magnetic resonance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기를 수용하는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와 분리되고, 상기 무선전력 수신기 및 상기 제어부를 수용하는 제2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case for receiv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nd a second case separated from the first case and accommodating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nd the control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는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차량의 서로 다른 위치에 장착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are mounted at different positions of the vehicl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기는,
제3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3 전력 송신부 및 제4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4 전력 송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전력 수신기는,
상기 제3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전력 수신부 및 상기 제4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4 전력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comprising:
A third power transmitte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power for driving the third lamp, and a fourth power transmitte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power for driving the fourth lamp,
The wireless power receiver comprising:
Further comprising: a third power receiv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lamp; and a fourth power receiv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ourth lamp.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상기 제3 램프에 대하여 설정된 제3 기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제3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3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상기 제3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상기 제3 기준 전력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3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3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When the magnitude of the power received by the third power receiving unit is larger than the third reference power set for the third lamp, the power supply from the third power receiving unit to the third lamp is started,
And disconnects the power supply from the third power receiving unit to the third lamp when the magnitude of the power received by the third power receiving unit is smaller than the third reference pow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상기 제4 램프에 대하여 설정된 제4 기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제4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2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상기 제4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상기 제4 기준 전력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4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4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When the magnitude of the power received by the fourth power receiving unit is larger than the fourth reference power set for the fourth lamp, the power supply from the fourth power receiving unit to the second lamp is started,
And cuts off power supply from the fourth power receiving unit to the fourth lamp when the magnitude of the power received by the fourth power receiving unit is smaller than the fourth reference pow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램프 내지 제4 램프는 각각은,
제동등, 후미등, 후진등 및 방향 지시등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1 램프 내지 제4 램프 중 어느 하나는 나머지와 다른 종류인,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Each of the first to fourth lamps may be,
A brake light, a tail light, a back light, and a turn signal light,
Wherein one of the first lamp to the fourth lamp is of a different type from the rest.
KR1020160002657A 2016-01-08 2016-01-0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mp of a vehicle KR1018429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657A KR101842958B1 (en) 2016-01-08 2016-01-0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mp of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657A KR101842958B1 (en) 2016-01-08 2016-01-0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mp of a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326A true KR20170083326A (en) 2017-07-18
KR101842958B1 KR101842958B1 (en) 2018-03-28

Family

ID=59430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657A KR101842958B1 (en) 2016-01-08 2016-01-0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mp of a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295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511Y1 (en) 2018-02-23 2019-06-28 주식회사 파워리퍼블릭 Wireless Power Transmission Rear Lamp
KR20190078744A (en) *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아모센스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metoth for controlling rear lamp using the smae
KR20190078743A (en) *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아모센스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metoth for controlling rear lamp using the sma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6008917U1 (en) * 2006-06-02 2006-08-17 Oxyphen Gmbh Dresden Air permeable closure element for enclosed equipment, such as headlamps, electronic control appliance and similar elements, with filter disc and its cover and elastomer seal
US20090268475A1 (en) * 2008-04-24 2009-10-29 Earl Ball Ventilation system for lamp enclosures
KR101135690B1 (en) * 2011-10-04 2012-04-13 (주)바오스 Cube type light source apparatus
JP6430717B2 (en) * 2014-05-09 2018-11-2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Vehicle lamp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744A (en) *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아모센스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metoth for controlling rear lamp using the smae
KR20190078743A (en) *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아모센스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metoth for controlling rear lamp using the smae
KR200489511Y1 (en) 2018-02-23 2019-06-28 주식회사 파워리퍼블릭 Wireless Power Transmission Rear 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2958B1 (en) 2018-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3892B2 (en) Intrinsic flux detection
KR10184295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mp of a vehicle
JP3167266U (en) Uninterruptible power system
WO2013077171A1 (en) Lighting apparatus for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n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using said apparatus
CN102196630A (en) Methods and systems for minimizing light source power supply compatibility issues
JP2008206086A (en) Visible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EP2359666A1 (en) Led driver with single inverter circuit with isolated multi-channel outputs
CN104137656A (en) Led lighting arrangement and method of controlling a led lighting arrangement
KR101232304B1 (en)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for lighting
US7388337B2 (en) Fluorescent lamp lighting apparatus and lighting control system
US9462652B2 (en) Device for LED operation
CN103037588A (en) Novel type global function aircraft outer lighting controller
US10668811B2 (en) Power supply system and railroad car
KR102581920B1 (en) Lamp for vehicle
KR102109045B1 (en) Led lamp brighness maintenance system after fault detection of serial led lamp for vehicle
US20150312979A1 (en) Radio transmission between modules in a potential-separated led converter
JP2011234204A (e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having light emission power control function
KR102617539B1 (en) Lamp for vehicle
KR20150012331A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lightings installed
EP3975666B1 (en) Lighting apparatus
CN113365398B (en) Navigation aid lamp bidirectional independent control system for airport guidance
KR102617538B1 (en) Lamp for vehicle
JP3175935U (en) Uninterruptible lighting equipment
CN211959616U (en) LED driving power supply and LED lamp
KR20220001209A (en) Light control system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