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3254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3254A
KR20170083254A KR1020160002480A KR20160002480A KR20170083254A KR 20170083254 A KR20170083254 A KR 20170083254A KR 1020160002480 A KR1020160002480 A KR 1020160002480A KR 20160002480 A KR20160002480 A KR 20160002480A KR 20170083254 A KR20170083254 A KR 20170083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unit
base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1184B1 (ko
Inventor
최용복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2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184B1/ko
Priority to CN201780006117.2A priority patent/CN108541373B/zh
Priority to PCT/KR2017/000119 priority patent/WO2017119727A2/ko
Priority to US16/068,616 priority patent/US10841474B2/en
Publication of KR20170083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3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2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 G02B3/14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of variable focal leng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96Casings for storing test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5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 G02B13/007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having an element with variable opt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04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based on a displacement or a deformation of a flu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2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3/00Testing correct operation of photographic apparatu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04N5/225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2010/0074Vaginal or cervical secre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Toxicology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제1렌즈부; 상기 제1렌즈와 광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제2렌즈부; 상기 제2렌즈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2렌즈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탄성부재가 장착되는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의 각 부품들이 모두 작동하는 상태에서 액티브 얼라인 공정을 진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들어,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가 내장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의 IT 제품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전자제품에 실장되는 카메라 모듈의 경우, 오토 포커싱을 구현하는 장치가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에는 광학계를 형성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와 광축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렌즈부를 통해 입사하는 광이 도달하는 이미지가 결상되는 이미지센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의 각 부품들을 조립하는 경우, 각 부품들이 설계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액티브 얼라인(active align)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액티브 얼라인 공정을 진행하는 경우, 카메라 모듈의 각 부품들이 모두 작동하는 상태에서 진행해야 액티브 얼라인 공정이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의 각 부품들이 모두 작동하는 상태에서 액티브 얼라인 공정을 진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제1렌즈부; 상기 제1렌즈와 광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제2렌즈부; 상기 제2렌즈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2렌즈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탄성부재가 장착되는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는 전기신호에 따라 곡률이 변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액체렌즈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내벽에 광축방향인 제1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에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제1방향으로 보아 중공을 가진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베이스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은,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의 각 모서리 부위에 하나씩 총 4개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각각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총 4개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의 상단에는 상기 제1렌즈부를 상기 베이스에 결합시키기 위한 후크(hook)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후크는, 상기 베이스의 각 변의 길이방향으로 총 4개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적어도 일부가 제1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전극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전극은, 일단이 상기 후크의 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렌즈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전극은, 상기 베이스의 각 변을 제1방향으로 관통하여 총 4개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전극은, 접지전극으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1렌즈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제1렌즈부를 가압하고, 타단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접촉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1렌즈 및 제2렌즈와 광축방향인 제1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이미지센서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2렌즈와 상기 이미지센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렌즈와 상기 이미지 센서와 광축방향으로 대향되고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적외선 차단필터인 것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다른 실시예는, 전기신호에 따라 곡률이 변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액체렌즈를 포함하는 제1렌즈부; 상기 제1렌즈와 광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제2렌즈부; 상기 제2렌즈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2렌즈부를 수용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탄성부재;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제1렌즈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전기신호에 따라 곡률이 변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액체렌즈를 포함하는 제1렌즈부; 상기 제1렌즈와 광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제2렌즈부; 상기 제2렌즈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2렌즈부를 수용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탄성부재; 및 상기 베이스와 결합하고, 상기 제1렌즈부를 수용하며, 상기 제1렌즈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는, 제1방향 중 하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제1렌즈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는, 상면이 상기 접촉부와 접촉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면이 상기 탄성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는 중공이 형성되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커버부재의 각 모서리 부위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도전성 탄성부재를 사용하여 제1렌즈부와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액티브 얼라인을 위해 제1렌즈부 및/또는 인쇄회로기판이 다소 움직이더라도 상기 탄성부재가 제1렌즈부와 인쇄회로기판의 전기적 연결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액티브 얼라인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가 제1렌즈부와 인쇄회로기판에 고정적으로 결합하는 것이 아니므로, 액티브 얼라인을 위해 제1렌즈부와 인쇄회로기판의 고정적 결합을 해체하는 별도의 작업이 불필요하여, 액티브 얼라인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전극은 상기 제1렌즈부를 포함한 카메라 모듈의 조립후 즉시, 자신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의 조립후 액티브 얼라인 공정 진행시 상기 전극이, 다른 부품들과 마찬가지로, 작동을 하게된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의 각 부품들이 작동되는 상태에서 액티브 얼라인을 진행할 수 있어 정확하고 효과적인 액티브 얼라인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실시예에서, 커버부재를 접지부로 사용하고,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커버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면, 별도의 접지전극을 형성하지 않고, 인쇄회로기판을 용이하게 접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카메라 모듈의 각 부품을 수용하고 보호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은 외부의 기계적, 전기적 충격을 잘 견딜 수 있는 견고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직교 좌표계(x, y, z)를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 x축과 y축은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편의상 광축 방향(z축 방향)은 제1방향, x축 방향은 제2방향, y축 방향은 제3방향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제1렌즈부(100), 제2렌즈부(200), 인쇄회로기판(300), 베이스(400), 탄성부재(500), 전극(600) 및 필터(7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부(100)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렌즈부(100)는 적어도 하나의 액체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체렌즈는 전기신호를 인가받아 곡률이 변화하여 카메라 모듈의 초점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액체렌즈의 곡률을 피드백 제어를 통해 적절하게 변화시킴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액체렌즈는 예를 들어, 유연하고 투명한 재질의 멤브레인(membrane)에 투명한 액체가 충진되어 상기 멤브레인의 곡률이 변화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액체렌즈에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멤브레인의 곡률이 변화할 수 있고, 상기 멤브레인의 곡률을 피드백 제어하여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전기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멤브레인의 곡률을 변화시키는 수단으로는 예를 들어, 압전소자,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미세전기기계시스템) 기술을 이용한 초소형 구동장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2렌즈부(200)는 상기 제1렌즈와 광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200)는 복수의 렌즈들이 광축방향으로 배열되어 광학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200)는 예를 들어, 복수의 렌즈들이 광축방향으로 배열된 렌즈배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인쇄회로기판(300)은 상기 제2렌즈부(200)와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은 상기 제1렌즈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렌즈부(200)에 전기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은 상기 제1렌즈부(100)에 전기신호를 인가하기 위해 외부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아 작동하여 상기 제1렌즈부(100)의 오토 포커싱을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에는 전류를 인가받기 위한 각종 소자, 회로패턴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에는 상기 제1렌즈부(100)에 전기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제1렌즈부(100)가 오토포커싱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제어소자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은 이미지센서(3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센서(310)는 상기 제1렌즈 및 제2렌즈와 광축방향인 제1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센서(310)는 상기 제1렌즈 및 제2렌즈를 통해 입사하는 광이 도달하여 이미지가 결상되는 부위이다.
상기 이미지센서(310)에 결상된 이미지는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을 통해 별도로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장치, 메모리 등에 전송될 수 있다.
이미지센서(310)에 결상되는 이미지는 오토 포커싱을 통해 선명한 이미지가 결상되어야 하는데,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렌즈부(100)가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베이스(400)는 상기 제2렌즈부(200)를 수용하고, 상기 제1렌즈부(10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탄성부재(50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400)는 상기 탄성부재(500)를 장착하기 위해 관통홀(4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400)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내벽에 광축방향인 제1방향으로 관통홀(410)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410)에 상기 탄성부재(500)가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400)는 제1방향으로 보아 중공을 가진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410)은 상기 베이스(400)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500)는 상기 관통홀(410)에 삽입되어 양단이 각각 제1렌즈부(100)와 인쇄회로기판(300)과 접촉하여 상기 제1렌즈부(10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500)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일단이 상기 제1렌즈부(100)와 접촉하도록 상기 제1렌즈부(100)를 가압하고, 타단이 상기 인쇄회로기판(300)과 접촉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렌즈부(10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조립시 액티브 얼라인(active align)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액티브 얼라인 공정은 카메라 모듈을 조립한 후, 제1렌즈부(100), 제2렌즈부(200), 이미지센서(310) 등을 설계된 위치에 정렬시키는 공정이다.
따라서, 액티브 얼라인 공정 진행시 카메라 모듈의 각 부품들은 작동되는 상태에서 진행되는 것이 적절하다.
예를 들어, 제1렌즈부(100)와 제2렌즈부(200)가 이미지센서(310)와 광축방향으로 설계된 위치에 정렬시키기 위해서는 이미지센서(310)에 결상되는 이미지의 화질, 초점거리 등을 확인하면서 액티브 얼라인 공정을 진행하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의 부품이 조립된 후 액티브 얼라인 공정을 진행하는 경우, 이미지센서(310)에 결상되는 이미지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카메라 모듈의 부품들이 움직이는 경우에도 제1렌즈부(100)와 인쇄회로기판(300)은 서로 전기적 연결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500)가 제1렌즈부(100)와 인쇄회로기판(300)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므로, 예를 들어 제1렌즈부(100)와 인쇄회로기판(300)이 액티브 얼라인을 위해 조립후 다소 움직이더라도, 탄성부재(500)의 탄성력으로 인해 서로 전기적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도전성 탄성부재(500)를 사용하여 제1렌즈부(100)와 인쇄회로기판(3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액티브 얼라인을 위해 제1렌즈부(100) 및/또는 인쇄회로기판(300)이 다소 움직이더라도 상기 탄성부재(500)가 제1렌즈부(100)와 인쇄회로기판(300)의 전기적 연결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액티브 얼라인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500)가 제1렌즈부(100)와 인쇄회로기판(300)에 고정적으로 결합하는 것이 아니므로, 액티브 얼라인을 위해 제1렌즈부(100)와 인쇄회로기판(300)의 고정적 결합을 해체하는 별도의 작업이 불필요하여, 액티브 얼라인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관통홀(410)은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400)의 각 모서리 부위에 하나씩 총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500)는 상기 관통홀(410)의 개수에 대응하여 즉, 상기 각각의 관통홀(410)에 삽입되어 총 4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렌즈부(100)가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기 위해 제1방향에 수직한 x-y평면상에서 x축 방향 즉, 제2방향과 y축 방향 즉, 제3방향 각각으로 변형이 일어날 수 있도록 제어되어야 하고, 이러한 변형을 제어하는 소자는 2개로 마련되어야 하고, 상기 각 소자들은 전기신호를 인가받기 위해 각각 2개의 단자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1렌즈부(100)가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총 4개의 단자가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단자는 상기 탄성부재(500)에 의해 상기 인쇄회로기판(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탄성부재(500)는 총 4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부(100)가 액체렌즈를 사용하여 오토 포커싱을 수행할 경우, 액체렌즈의 곡률은 x-y 평면상에서 제2방향과 제3방향을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이때, 액체렌즈의 제2방향의 곡률을 변화시키는 소자 또는 장치에 구비되는 2개의 단자는 2개의 탄성부재(500)에 의해 상기 인쇄회로기판(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액체렌즈의 제3방향의 곡률을 변화시키는 소자 또는 장치에 구비되는 2개의 단자는 나머지 2개의 탄성부재(500)에 의해 상기 인쇄회로기판(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500)는 상기 베이스(400)의 모서리부위에 상기 탄성부재(5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 또는 방사상으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렌즈부(100)에 제1방향으로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렌즈부(100)가 x-y 평면상에서 기울어지지 않고 상기 베이스(40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400)는 돌출부(420)와 후크(421)(hook)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400)는 상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돌출부(420)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420)의 상단에는 상기 제1렌즈부(100)를 상기 베이스(400)에 결합시키기 위한 후크(4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크(421)는, 예를 들어,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베이스(400)의 각 변의 길이방향으로 총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421)는 상측이 경사진 형태로 구비되고, 하측이 경사가 없는 단차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후크(421)의 구조로 인하여, 상기 제1렌즈부(100)를 상기 베이스(400)에 용이하게 결합시키고, 결합후 상기 제1렌즈부(100)와 상기 베이스(400)는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렌즈부(100)를 상기 베이스(400)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제1렌즈부(100)를 하측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제1렌즈부(100)는 상기 후크(421)의 경사를 따라 밀려 내려가서 상기 베이스(400)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100)가 상기 베이스(400)에 결합한 후에는 상기 후크(421)에 구비되는 단차에 의해 상기 제1렌즈부(100)는 상기 베이스(40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필터(700)는 상기 제2렌즈와 상기 이미지센서(3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렌즈와 상기 이미지센서(310)와 광축방향 즉, 제1방향으로 대향되고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700)는 상기 제1렌즈부(100)와 상기 제2렌즈부(200)를 통해 입사하는 광 중 특정 주파수 영역의 광을 차단하여, 상기 이미지센서(310)에 결상되는 이미지의 화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700)는 예를 들어, 적외선 차단필터(700)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렌즈부(100)는 상기 탄성부재(500)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가압 되는데, 상기 돌출부(420)에 형성되는 상기 후크(421)는 상기 제1렌즈부(100)가 설계상의 위치를 이탈하지 않도록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에는 전극(6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극(600)은 적어도 일부가 제1방향으로 상기 베이스(400)를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극(600)은 일부가 상기 베이스(400)의 하면에서 상기 베이스(400)의 내부를 관통하여 제1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나머지는 상기 돌출부(420)의 내부와 상기 후크(421)의 단부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421)는 상기 돌출부(420)로터 하측 방향으로 절곡되고 경사진 부위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전극(600)은 상기 후크(421)의 형상에 따라 상측 일부가 절곡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600)은, 이러한 구조로 인해, 일단이 상기 후크(421)의 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렌즈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400)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극(600)이 상기 후크(421)의 단부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일단에서는 상기 전극(600)이 상기 제1렌즈부(100)와 확실한 전기적 접촉을 위해 상기 후크(421)가 상기 제1렌즈부(100)와 접촉하는 단면보다 약간 더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극(600)이 상기 베이스(400)의 하부를 관통하는 타단에서는, 상기 전극(60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의 전기적 접촉을 위해, 상기 전극(600)이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에 솔더링(soldering)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전극(600)의 타단은 상기 베이스(400)의 하면보다 약간 더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이 상기 베이스(400)와 접착제 등으로 결합할 경우, 상기 전극(600)의 타단의 돌출부(420)위가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에 형성되는 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전극(60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전극(600)은 상기 베이스(400)의 각 변을 제1방향으로 관통하여 총 4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극(600)과 상기 탄성부재(500)가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 쇼트(short)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전극(600)과 상기 탄성부재(500)는 x-y 평면상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적절하다.
이때, 상기 전극(600)은 예를 들어, 접지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500)가 총 4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전극(600)은 접지전극의 역할을 하기 위해, 상기 탄성부재(500)와 대응하는 개수로 총 4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전극(600)이 접지전극의 역할을 할 경우, 상기 탄성부재(500)의 개수보다 적게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전극(600)은 그 역할에 따라 필요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전극(600)은 상기 탄성부재(500)의 개수와 동일하거나, 또는 이보다 적거나, 또는 이보다 많게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400)를 인서트(insert) 사출방식을 통해 제조하여 상기 전극(600)을 상기 베이스(400)에 용이하게 배치 및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전극(600)은 상기 제1렌즈부(100)를 포함한 카메라 모듈의 조립후 즉시, 자신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의 조립후 액티브 얼라인 공정 진행시 상기 전극(600)이, 다른 부품들과 마찬가지로, 작동을 하게된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의 각 부품들이 작동되는 상태에서 액티브 얼라인을 진행할 수 있어 정확하고 효과적인 액티브 얼라인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제1렌즈부(100), 제2렌즈부(200), 인쇄회로기판(300), 베이스(400), 탄성부재(500), 필터(700) 및 커버부재(8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100), 제2렌즈부(200), 인쇄회로기판(300), 탄성부재(500) 및 필터(700)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하였다.
베이스(4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돌출부(420)와 상기 돌출부(420) 상단에 형성되는 후크(421)가 구비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는 이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커버부재(800)는 상기 베이스(400)와 결합하고, 상기 제1렌즈부(100)를 수용하며, 상기 제1렌즈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800)는 제2렌즈부(200), 인쇄회로기판(300), 탄성부재(500) 및 필터(700)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800)는 접촉부(810)를 구비할 수 있다. 접촉부(8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 중 하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800)와 상기 제1렌즈부(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800)는, 예를 들어, 중공이 형성되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접촉부(810)는 상기 커버부재(800)의 각 모서리 부위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렌즈부(100)는, 상면이 상기 접촉부(810)와 접촉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8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면이 상기 탄성부재(500)와 접촉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부재(80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00)과 접착 등에 의해 결합하여 카메라 모듈이 조립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이 조립되면, 상기 도전성 탄성부재(500)는 상기 제1렌즈부(100)의 하면을 가압하면서 상기 제1렌즈부(100)와 접촉 및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이 조립되면 접촉부(810)는 상기 제1렌즈부(100)의 상면을 가압하면서 접촉하여, 상기 제1렌즈부(100)와 상기 커버부재(80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은 상기 탄성부재(500)와 접촉부(810)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8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커버부재(800)는 접지부(ground)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300)은 커버부재(8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커버부재(800)를 접지부로하는 접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커버부재(800)를 접지부로 사용하고, 인쇄회로기판(300)을 상기 커버부재(80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면, 별도의 접지전극을 형성하지 않고, 인쇄회로기판(300)을 용이하게 접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800)는 카메라 모듈의 각 부품을 수용하고 보호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은 외부의 기계적, 전기적 충격을 잘 견딜 수 있는 견고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00: 제1렌즈부
200: 제2렌즈부
300: 인쇄회로기판
310: 이미지센서
400: 베이스
410: 관통홀
420: 돌출부
421: 후크
500: 탄성부재
600: 전극
700: 필터
800: 커버부재
810: 접촉부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제1렌즈부;
    상기 제1렌즈와 광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제2렌즈부;
    상기 제2렌즈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2렌즈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탄성부재가 장착되는 베이스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부는 전기신호에 따라 곡률이 변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액체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내벽에 광축방향인 제1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에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되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제1방향으로 보아 중공을 가진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베이스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의 각 모서리 부위에 하나씩 총 4개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각각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총 4개로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의 상단에는 상기 제1렌즈부를 상기 베이스에 결합시키기 위한 후크(hook)가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베이스의 각 변의 길이방향으로 총 4개가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적어도 일부가 제1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전극이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일단이 상기 후크의 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렌즈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베이스의 각 변을 제1방향으로 관통하여 총 4개로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접지전극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1렌즈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제1렌즈부를 가압하고, 타단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접촉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카메라 모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1렌즈 및 제2렌즈와 광축방향인 제1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이미지센서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와 상기 이미지센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렌즈와 상기 이미지 센서와 광축방향으로 대향되고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적외선 차단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6. 전기신호에 따라 곡률이 변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액체렌즈를 포함하는 제1렌즈부;
    상기 제1렌즈와 광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제2렌즈부;
    상기 제2렌즈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2렌즈부를 수용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탄성부재;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제1렌즈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전극
    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7. 전기신호에 따라 곡률이 변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액체렌즈를 포함하는 제1렌즈부;
    상기 제1렌즈와 광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제2렌즈부;
    상기 제2렌즈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2렌즈부를 수용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탄성부재; 및
    상기 베이스와 결합하고, 상기 제1렌즈부를 수용하며, 상기 제1렌즈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버부재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제1방향 중 하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제1렌즈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부는,
    상면이 상기 접촉부와 접촉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면이 상기 탄성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중공이 형성되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커버부재의 각 모서리 부위에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160002480A 2016-01-08 2016-01-08 카메라 모듈 KR102471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480A KR102471184B1 (ko) 2016-01-08 2016-01-08 카메라 모듈
CN201780006117.2A CN108541373B (zh) 2016-01-08 2017-01-05 相机模块
PCT/KR2017/000119 WO2017119727A2 (ko) 2016-01-08 2017-01-05 카메라 모듈
US16/068,616 US10841474B2 (en) 2016-01-08 2017-01-05 Camera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480A KR102471184B1 (ko) 2016-01-08 2016-01-08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254A true KR20170083254A (ko) 2017-07-18
KR102471184B1 KR102471184B1 (ko) 2022-11-25

Family

ID=59274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480A KR102471184B1 (ko) 2016-01-08 2016-01-08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41474B2 (ko)
KR (1) KR102471184B1 (ko)
CN (1) CN108541373B (ko)
WO (1) WO201711972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6974A1 (ko) * 2018-01-23 2019-08-01 엘지이노텍(주) 카메라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79460B (zh) 2018-10-15 2019-11-26 华为技术有限公司 镜头、主动发光模组及终端
KR102616778B1 (ko) * 2018-11-09 2023-12-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액츄에이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6285A (ko) * 2010-12-29 2012-07-09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64980A (ko) * 2013-12-04 2015-06-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구동모터
KR20150064987A (ko) * 2013-12-04 2015-06-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구동모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5547A (ko) * 2008-06-02 2009-12-07 (주)나노지피 오토포커싱이 적용된 무선통신 단말기용 카메라장치
KR101139368B1 (ko) * 2010-07-15 2012-04-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428842B1 (ko) 2011-11-08 2014-08-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 모듈
US9720204B2 (en) * 2013-12-04 2017-08-01 Lg Innotek Co., Ltd. Motor for actuating lens
EP3413119A1 (en) * 2014-12-17 2018-12-12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6285A (ko) * 2010-12-29 2012-07-09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64980A (ko) * 2013-12-04 2015-06-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구동모터
KR20150064987A (ko) * 2013-12-04 2015-06-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구동모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6974A1 (ko) * 2018-01-23 2019-08-01 엘지이노텍(주) 카메라 모듈
US11363182B2 (en) 2018-01-23 2022-06-14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19727A3 (ko) 2018-08-02
US20190028624A1 (en) 2019-01-24
US10841474B2 (en) 2020-11-17
WO2017119727A2 (ko) 2017-07-13
CN108541373A (zh) 2018-09-14
CN108541373B (zh) 2021-04-16
KR102471184B1 (ko) 2022-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7133B2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instrument
CN105511049B (zh) 透镜驱动装置
KR101190253B1 (ko) 멤스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11740429B2 (en) Lens assembly,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KR102493391B1 (ko) 카메라 모듈
CN108541373B (zh) 相机模块
US9621774B2 (en) Camera module
KR20170129532A (ko) 카메라 모듈
KR20230124525A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256625B1 (ko) 렌즈 구동장치
KR20230006426A (ko) 카메라 모듈
KR101677523B1 (ko) 멤스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70123795A (ko)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104839B1 (ko) 카메라 모듈
KR102481972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280986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US20230350273A1 (en) Camera device
KR20110007492A (ko) Mems엑츄에이터와 인쇄회로기판간의 전기적 연결부
KR20140117029A (ko) 카메라 모듈
KR20200144331A (ko) 카메라 장치
KR20200144330A (ko) 카메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