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5547A - 오토포커싱이 적용된 무선통신 단말기용 카메라장치 - Google Patents
오토포커싱이 적용된 무선통신 단말기용 카메라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125547A KR20090125547A KR1020080051710A KR20080051710A KR20090125547A KR 20090125547 A KR20090125547 A KR 20090125547A KR 1020080051710 A KR1020080051710 A KR 1020080051710A KR 20080051710 A KR20080051710 A KR 20080051710A KR 20090125547 A KR20090125547 A KR 2009012554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rier
- coil
- disposed
- optical axis
- gui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02—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moving lens along baseboar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토포커싱이 적용된 무선통신 단말기용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코일과 마그네트의 배치구조 및 렌즈유닛이 결합되는 캐리어의 유동(광축방향) 가이드구조를 개선하여 개선하여 이들을 견실하면서도 용이하게 조립 구성할 수 있으며, 제품 사이즈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오토포커싱이 적용된 무선통신 단말기용 카메라장치에 의하면; 이미지센서(11)가 상면 중앙부위에 배치되는 홀더(10)와; 이 홀더(10)의 상면에 배치되되, 바닥면에는 이미지센서(11)와 대향되게 개방홀(21)이 천공되고 가장자리측으로 제1안착부(22)와 제2안착부(23)가 계단식으로 형성되며, 코너부위에는 각각 가이드핀(24L)(24R)(26L)(26R)이 세워져 배치되는 베이스(20)와; 이 베이스(20)의 바닥면 가장자리측에 형성된 제2안착부(23)에 배치되며 내측에 폐곡선 형태로 권선된 코일(60)이 배치되는 통 형상의 요크(30)와; 베이스(20)의 바닥면 개방홀(21) 주변에 형성된 제1안착부(22)에서 광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되, 내부에는 렌즈유닛(50)이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되고 외측으로는 가이드핀(24L)(24R)(26L)(26R)들이 결합되어 광축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수단이 마련된 통 형상의 캐리어(70)와; 코일(60)과 대향되는 캐리어(70)의 외벽에 배치되며 코일(60)에서 발생되는 전자기력과 상호작용하여 캐리어(70)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마그네트(80)와; 캐리어(70)에 복원력을 가하도록 가이드핀(24L)(24R)(26L)(26R)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코일스프링(90)과; 베이스(20)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며 코너부위에는 가이드핀(24L)(24R)(26L)(26R)들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결합홀(41)이 각각 형성된 커버(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카메라장치, 오토포커싱, 자동초점, 렌즈, 가이드핀, 광축이동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용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으로, 피사체의 이미지가 선명하게 맺혀질 수 있도록 마그네트와 보이스코일을 통해 렌즈와 촬상소자의 촬상면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오토포커싱이 적용된 무선통신 단말기용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휴대폰 또는 PDA와 같은 휴대용 무선통신 단말기는 통신 기능은 물론이며 영상을 촬영 기록할 수 있도록 카메라장치를 갖추고 있다. 즉, 휴대용 무선통신 단말기에는 이미지 센서와 렌즈 등을 모듈화하여 사이즈를 줄인 카메라장치가 적용되며, 이를 통해 정지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저장하는 기능도 병행하게 된다. 종래 카메라장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소형이어야 하는 설계적 제약을 갖고 있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구성이 간단한 고정렌즈 방식을 채택하여 왔다. 이러한 종래 고정렌즈 방식의 무선통신 단말기용 카메라장치는 제작 시 설정된 특정의 배율로만 촬영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원거리의 피사체를 확대하여 촬영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의 카메라장치에는 피사체의 이미지가 선명하게 맺혀질 수 있도록 렌즈와 촬상소자의 촬상면 사이의 거리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오토포커싱 모듈이 적용된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카메라장치의 오토포커싱 모듈(일명, 액추에이터라 칭함)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의 몸체에 부착되는 홀더(1)와, 이 홀더(1)의 일측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자성체의 요크(2)와, 홀더(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하로 유동되는 캐리어(4)와, 이 캐리어(4) 내부에 구비되어 일체로 이동하는 렌즈유닛(미도시)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캐리어(4) 외측에는 원형 코일(5)이 배치되어 일체로 유동 가능하며, 이 원형 코일(5)과 대향되는 요크(2)의 내측에는 마그네트(3)가 고정 배치된다. 또한, 캐리어(4) 상부에는 유동되는 코일(5)을 외부단자와 연결하는 단자 기능을 하면서 캐리어(4)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판스프링유닛(7)이 배치되어 있다. 즉, 마그네트(3)는 고정부인 요크(2)에 고정되며, 코일(5)은 유동부인 캐리어(4)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판스프링유닛(7)은 캐리어(4)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커버(6)에 의해 견실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제어부(미도시)에서는 코일(4)에 전력을 인가하여 자기장의 상호작용에 의해 유동부인 코일(5)과 함께 캐리어(4)를 유동시킴으로써, 피사체의 이미지가 선명하게 맺혀질 수 있도록 렌즈와 촬상소자(8)의 촬상면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카메라장치의 오토포커싱 모듈에서는 코일(5)이 유동부 인 캐리어(4)에 배치되고, 외부단자와 연결되는 판스프링유닛(7)을 코일(7)과 솔더링함으로 인하여 진동 또는 낙하 등의 경우 코일이 쉽게 단락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코일(5)과 판스프링유닛(7)을 솔더링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이 상당히 난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판스프링유닛(7)은 캐리어(4)에 복원력을 가하면서 단자 기능을 병행하는데, 이를 위해 상부스프링(7a)과 하부스프링(7b)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재 스페이서(7c)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판스프링유닛(7)의 구성이 복잡한 것은 물론이며 이로 인해 조립 작업공수가 많아진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전반적인 소형 카메라장치의 개발 및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것은 물론이며 생산성 역시 저하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코일과 마그네트의 배치구조 및 렌즈유닛이 결합되는 캐리어의 유동(광축방향) 가이드구조를 개선하여 이들을 견실하면서도 용이하게 조립 구성할 수 있으며, 제품 사이즈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오토포커싱이 적용된 무선통신 단말기용 카메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렌즈유닛이 결합되는 캐리어의 유동(광축방향)을 보다 정확하게 가이드하여 렌즈 틸팅 현상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는 오토포커싱이 적용된 무선통신 단말기용 카메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피사체 영상을 렌즈유닛에 배치된 렌즈를 통해 포획하여 이미지센서로 보내 피사체 영상을 촬상하며 상기 렌즈와 이미지센서와의 광축방향 거리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오토포커싱이 적용된 무선통신 단말기용 카메라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장치는; 상기 이미지센서가 상면 중앙부위에 배치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상면에 배치되되, 바닥면에는 상기 이미지센서와 대향되게 개방홀이 천공되고 가장자리측으로 제1안착부와 제2안착부가 계단식으로 형성되며, 코너부위에는 각각 가이드핀이 세워져 배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바닥면 가장자리측에 형성된 상기 제2안착부에 배치되며 내측에 폐곡선 형태로 권선된 코일이 배치 되는 통 형상의 요크와; 상기 베이스의 바닥면 개방홀 주변에 형성된 상기 제1안착부에서 광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되, 내부에는 상기 렌즈유닛이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되고 외측으로는 상기 가이드핀들이 결합되어 광축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수단이 마련된 통 형상의 캐리어와; 상기 코일과 대향되는 상기 캐리어의 외벽에 배치되며 상기 코일에서 발생되는 전자기력과 상호작용하여 상기 캐리어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마그네트와; 상기 캐리어에 복원력을 가하도록 상기 가이드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베이스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며 코너부위에는 상기 가이드핀들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결합홀이 각각 형성된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캐리어의 가이드수단이 상기 캐리어의 하부 외측에서 상호 대향되게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며, 선단부에는 일측 대각방향의 가이드핀이 여유있게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홀이 천공된 한 쌍의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제1가이드부재 사이의 상기 캐리어의 하부 외측에서 상호 대향되게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며, 타측 대각방향의 가이드핀이 각각 상하로 관통하도록 원통 형태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2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일스프링이 상기 제1가이드부재의 관통홀을 관통한 일측 대각방향의 가이드핀들에 각각 결합되어, 상단은 상기 커버 하면에 지지되고 하단은 상기 제1가이드부재 상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오토포커싱이 적용된 무선통신 단말기용 카메라장치에 의하면; 마그네트가 유동부재인 캐리어의 외벽에 마그네트가 부착되고, 코일은 고정부인 베이스의 요크 내부에 마그네트를 감싸도록 배치됨으로써, 진동 또는 낙하 등의 경우에도 코일이 단락되는 현상은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코일이 고정부인 요크측에 배치됨으로써 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이 종래에 비해 쉽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렌즈유닛이 결합된 캐리어의 광축방향 유동이 베이스의 네 코너부위에 배치된 가이드핀들을 통해 정확하게 가이드됨으로써, 렌즈 틸팅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카메라장치의 수직 높이를 종래에 비해 월등하게 낮춰 제품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실질적으로 종래 카메라장치 수직높이가 4mm 인 것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수직 높이는 2.5mm로, 20~35% 정도 낮출 수 있다.)
또한, 코일스프링들이 가이드핀에 배치되어 캐리어의 복원력을 가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캐리어가 편심됨이 없이 광축방향으로 유동되며, 이들의 조립을 종래에 비해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결국, 이러한 장점들로 인해 전반적인 소형 카메라장치의 개발 및 제조비용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생산성은 월등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 신 단말기용 카메라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사시도로 보인 것이고,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용 카메라장치의 내부 조립구조를 단면도로 보인 것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용 카메라장치는 경통 형태의 렌즈유닛(50)에 배치된 렌즈(51)를 통해 피사체 영상을 포획하여 이미지센서(11)로 보내 피사체 영상을 촬상하며 렌즈(51)와 이미지센서(11)와의 광축방향 거리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무선통신 단말기의 메인회로기판(미도시)측과 접속되게 부착되며 상면 중앙 부위에 이미지센서(11)가 배치되는 홀더(10)와; 이 홀더(10)의 상면에 배치되며 코너부위에 가이드핀(24L)(24R)(26L)(26R)이 세워져 배치되는 베이스(20)와; 이 베이스(20)의 바닥 가장자리에 배치되며 내측에 코일(60)이 마련되는 통 형상의 요크(30)와; 상기 베이스(20)의 바닥면에서 광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되 내부에는 상기 렌즈유닛(50)이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통 형상의 캐리어(70)와; 코일(60)과 대향되는 캐리어(70)의 외벽에 배치되며 코일(60)에서 발생되는 전자기력과 상호작용하여 캐리어(70)를 광축방향(도 4와 도 5의 화살표 방향 참조)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마그네트(80)와; 캐리어(70)에 복원력을 가하도록 가이드핀(24L)(24R)(26L)(26R)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코일스프링(90)과; 베이스(20)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며 코너부위에는 가이드핀(24L)(24R)(26L)(26R)들의 상단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결합홀(41)이 각각 형성된 커버(40)를; 갖추고 있는데, 각 구성요소들의 상세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홀더(10)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메인회로기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플렉시블 회로기판(일명 FPCB라 함)에 접속되는 것으로, 이의 상부 중앙에는 렌즈유닛(50)으로부터 포획된 피사체 영상을 출력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센서(11)가 배치된다. 즉, 카메라장치의 코일(60)과 이미지센서(11)는 홀더(10)와 플렉시블 회로기판을 매개로 하여 메인회로기판측과 접속되어 제어된다. 또한, 이미지센서(11)는 와이어 본딩을 통해 홀더(10) 상면 중앙에 견실하게 배치된다.
베이스(20)는 홀더(10) 상면에 배치되며, 사각 블록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베이스(20)의 바닥면에는 이미지센서(11)와 대향되게 개방홀(21)이 천공되어 있고, 이의 가장자리측으로 제1안착부(22)와 제2안착부(23)가 계단식으로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20)의 코너부위에는 각각 가이드핀(24L)(24R)(26L)(26R)이 세워져 배치된다. 이 가이드핀(24L)(24R)(26L)(26R)들 중에서 일측 대각방향으로 대향하는 것(24L)(24R)들은 베이스(20)의 코너부위에 일체로 형성되며, 타측 대각방향을 대향하는 것(26L)(26R)들은 별도로 제작되어 베이스(20)의 코너부위에 끼워져 입설된다. 도 3에서 미설명 부호 "25"는 별도로 제작된 가이드핀(26L)(26R)을 입설시키기 위해 베이스(20)의 코너부위에 형성된 고정홀이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크(30)는 베이스(20)의 바닥면 가장자리측에 형성된 제2안착부(23)에 배치되게 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의 내측에는 폐곡선 형태로 권선된 코일(60)이 배치된다.
캐리어(70)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베이스(20)의 바닥면 개방 홀(21) 주변에 형성된 제1안착부(22)에서 광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캐리어(70)의 내부에는 렌즈유닛(5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부(71)가 마련된다. 따라서 캐리어(70)의 내부에 렌즈유닛(50)의 수나사부(52)가 나사 결합방식으로 결합되어 일체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결합방식은 조립 생산과정에서 렌즈유닛(50)을 돌리면서 렌즈(51) 초점을 정확하게 맞추기 위한 것이다.
또한, 캐리어(50)의 하부 외측으로는 가이드핀(24L)(24R)(26L)(26R)들이 결합되어 광축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수단이 마련된다. 캐리어(70)의 가이드수단은 캐리어(70)의 하부 외측에서 상호 대향되게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며 선단부에는 일측 대각방향의 가이드핀(24L)(24R)이 여유있게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홀(73)이 천공된 한 쌍의 제1가이드부재(72L)(72R)와, 이 한 쌍의 제1가이드부재(72L)(72R) 사이의 캐리어(70)의 하부 외측에서 상호 대향되게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며 타측 대각방향의 가이드핀(26L)(26R)이 각각 상하로 관통하도록 원통 형태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2가이드부재(74L)(74R)로 구별된다. 한 쌍의 제1가이드부재(72L)(72R)는 캐리어(70)의 광축방향 이동을 가이드함은 물론이며 캐리어(70)에 복원력을 가하는 코일스프링(90)을 배치하기 위한 것인데, 이러한 것을 코일스프링(90) 배치구조 설명에서 상술한다.
그리고 마그네트(80)는 코일(60)과 대향되는 캐리어(70)의 외벽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코일(60)에서 발생되는 전자기력과 상호작용하여 캐리어(70)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코일(60)에 전원이 인가되면, 코일(60)을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지나는 자속의 영향으로 광축 방향으로 구동력 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전자기력과 마그네트(80)가 상호작용하여 렌즈유닛(50)이 배치된 캐리어(70)가 광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원호형태로 제작된 4개의 마그네트(80)를 캐리어(70) 외벽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하였다.
또한, 커버(4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베이스(20)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이의 코너부위에는 가이드핀(24L)(24R)(26L)(26R)들이 각각 끼워져 결합되도록 결합홀(41)이 천공되어 있다.
한편, 코일스프링(90)은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캐리어(70)에 복원력을 가하기 위한 것으로, 가이드핀(24L)(24R)(26L)(26R)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코일스프링(90)들을 제1가이드부재(72L)(72R)의 관통홀(73)을 관통한 일측 대각방향의 가이드핀(24L)(24R)들에 각각 배치하여, 코일스프링(90)들의 상단은 커버(40) 하면에 지지되고, 이들의 하단은 제1가이드부재(72L)(72R) 상면에 지지되게 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장치를 이루는 홀더(10)와, 이 홀더(10) 상부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베이스(20)와, 코일(60)이 마련된 요크(30)와, 커버(40) 등의 구성요소들은 접착제 일명 실런트(SEALANT)를 통해 견실하게 장착되는데, 이들은 가이드핀(24L)(24R)(26L)(26R)들을 통해 캐리어(70)를 광축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조립하면서 정위치에 장착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작동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상 시 코일스프링(90)은 소정의 탄성력으로 캐리어(70)에 일체로 마련된 제1가이드부재(72L)(72R) 상면을 광축선상의 아래측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무선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키패드(미도시)를 통해 촬영버튼(미도시)을 누르면, 무선통신 단말기의 제어부(미도시)에서는 이미지센서(11)를 먼저 구동시킨다. 따라서 렌즈유닛(50) 전방에 위치하는 피사체의 영상은 렌즈(51)가 배치된 렌즈유닛(50)을 통과하여 이미지센서(11)에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어 플렉시블 회로기판을 통해 제어부로 전송된다.
그리고 제어부에서는 이미지센서(11)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신호를 분석한 결과 피사체 영상이 흐릿하면, 렌즈유닛(50)에 포커싱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캐리어(7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코일(60)에 인가한다.
이와 같이, 베이스(20)에 고정된 요크(30) 내면의 코일(60)에 전원이 인가되면, 코일(60)을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지나는 자속의 영향으로 광축방향으로 구동력이 발생된다. 이 전자기력에 의해 마그네트(80)가 부착된 캐리어(70)가 코일스프링(90)의 가압력(복원력)을 이기면서 광축방향(도 4와 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구동하게 된다. 이때, 요크(30)는 마그네트(80)의 자속을 코일(60)까지 유인하여 효율적인 구동력이 발생되게 한다.
즉, 이러한 구동력에 의해 캐리어(70)는 코일스프링(90)들의 탄성 복원력을 이기면서 광축 방향으로 구동하며, 제어부에서는 전류의 방향을 변환시켜 캐리어(70)를 광축선상에서 상승 또는 하강시켜 이미지센서(11)에 촬상되는 피사체 영 상을 선명하게 한다.
이때, 캐리어(70)들은 베이스(20)의 코너부위에 각각 배치된 가이드핀(24L)(24R)(26L)(26R)들을 통해 가이드되면서 정확하게 광축방향으로 유동하게 됨으로써, 렌즈유닛(50)의 틸팅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코일스프링(90)들이 베이스(20)의 코너부위에서 대향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편심됨이 없이 캐리어(70)에 복원력을 가하여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오토포커싱을 보다 정밀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무선통신 단말기용 카메라장치의 오토포커싱 모듈을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토포커싱이 적용된 무선통신 단말기용 카메라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 - Ⅳ선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Ⅴ - Ⅴ선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홀더 11..이미지센서
20..베이스 24L,24R,26L,26R..가이드핀
30..요크 40..커버
50..렌즈유닛 51..렌즈
60..코일 70..캐리어
72L,72R..제1가이드부재 74L,74R..제2가이드부재
80..마그네트 90..코일스프링
Claims (3)
- 피사체 영상을 렌즈유닛(50)에 배치된 렌즈(51)를 통해 포획하여 이미지센서(11)로 보내 피사체 영상을 촬상하며 상기 렌즈(51)와 이미지센서(11)와의 광축방향 거리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오토포커싱이 적용된 무선통신 단말기용 카메라장치에 있어서;상기 카메라장치는;상기 이미지센서(11)가 상면 중앙부위에 배치되는 홀더(10)와;상기 홀더(10)의 상면에 배치되되, 바닥면에는 상기 이미지센서(11)와 대향되게 개방홀(21)이 천공되고 가장자리측으로 제1안착부(22)와 제2안착부(23)가 계단식으로 형성되며, 코너부위에는 각각 가이드핀(24L)(24R)(26L)(26R)이 세워져 배치되는 베이스(20)와;상기 베이스(20)의 바닥면 가장자리측에 형성된 상기 제2안착부(23)에 배치되며 내측에 폐곡선 형태로 권선된 코일(60)이 배치되는 통 형상의 요크(30)와;상기 베이스(20)의 바닥면 개방홀(21) 주변에 형성된 상기 제1안착부(22)에서 광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되, 내부에는 상기 렌즈유닛(50)이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되고 외측으로는 상기 가이드핀(24L)(24R)(26L)(26R)들이 결합되어 광축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수단이 마련된 통 형상의 캐리어(70)와;상기 코일(60)과 대향되는 상기 캐리어(70)의 외벽에 배치되며 상기 코 일(60)에서 발생되는 전자기력과 상호작용하여 상기 캐리어(70)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마그네트(80)와;상기 캐리어(70)에 복원력을 가하도록 상기 가이드핀(24L)(24R)(26L)(26R)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코일스프링(90)과;상기 베이스(20)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며 코너부위에는 상기 가이드핀(24L)(24R)(26L)(26R)들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결합홀(41)이 각각 형성된 커버(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포커싱이 적용된 무선통신 단말기용 카메라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캐리어(70)의 가이드수단은;상기 캐리어(70)의 하부 외측에서 상호 대향되게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며, 선단부에는 일측 대각방향의 가이드핀(24L)(24R)이 여유있게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홀(73)이 천공된 한 쌍의 제1가이드부재(72L)(72R)와;상기 한 쌍의 제1가이드부재(72L)(72R) 사이의 상기 캐리어(70)의 하부 외측에서 상호 대향되게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며, 타측 대각방향의 가이드핀(26L)(26R)이 각각 상하로 관통하도록 원통 형태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2가이드부재(74L)(74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포커싱이 적용된 무선통신 단말기용 카메라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코일스프링(90)은 상기 제1가이드부재(72L)(72R)의 관통홀(73)을 관통한 일측 대각방향의 가이드핀(24L)(24R)들에 각각 결합되어, 상단은 상기 커버(40) 하면에 지지되고 하단은 상기 제1가이드부재(72L)(72R) 상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포커싱이 적용된 무선통신 단말기용 카메라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51710A KR20090125547A (ko) | 2008-06-02 | 2008-06-02 | 오토포커싱이 적용된 무선통신 단말기용 카메라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51710A KR20090125547A (ko) | 2008-06-02 | 2008-06-02 | 오토포커싱이 적용된 무선통신 단말기용 카메라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25547A true KR20090125547A (ko) | 2009-12-07 |
Family
ID=41687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51710A KR20090125547A (ko) | 2008-06-02 | 2008-06-02 | 오토포커싱이 적용된 무선통신 단말기용 카메라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125547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80730A (ko) * | 2014-01-02 | 2015-07-10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CN106657485A (zh) * | 2017-03-07 | 2017-05-10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移动终端 |
WO2017119727A3 (ko) * | 2016-01-08 | 2018-08-02 | 엘지이노텍(주) | 카메라 모듈 |
US10834245B2 (en) | 2017-03-07 | 2020-11-10 |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 Receiver and camera assembly |
-
2008
- 2008-06-02 KR KR1020080051710A patent/KR2009012554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80730A (ko) * | 2014-01-02 | 2015-07-10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WO2017119727A3 (ko) * | 2016-01-08 | 2018-08-02 | 엘지이노텍(주) | 카메라 모듈 |
US10841474B2 (en) | 2016-01-08 | 2020-11-17 | Lg Innotek Co., Ltd. | Camera module |
CN106657485A (zh) * | 2017-03-07 | 2017-05-10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移动终端 |
CN106657485B (zh) * | 2017-03-07 | 2020-05-12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移动终端 |
US10834245B2 (en) | 2017-03-07 | 2020-11-10 |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 Receiver and camera assembly |
US11025759B2 (en) | 2017-03-07 | 2021-06-01 |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 Electronic apparatus and camera assembl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099350B2 (en) |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 |
US20200348532A1 (en) |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same | |
US20210072617A1 (en) |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which include same | |
US7262927B1 (en) | Auto-focus lens module | |
KR101221316B1 (ko) |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 |
KR101971639B1 (ko) | 보이스 코일 모터 | |
US10574868B2 (en) | Lens driving unit, camera module, and optical instrument | |
KR200455061Y1 (ko) | 보이스 코일 구동 자동초점 렌즈 모듈 | |
KR101141722B1 (ko) | 보이스 코일 모듈 | |
US20230393369A1 (en) |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same | |
KR100770680B1 (ko) | 모바일용 카메라모듈 패키지 및 이에 사용되는 액추에이터 | |
KR20060084130A (ko) | 정보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 |
KR20130026726A (ko) | 자동 초점기 | |
KR20130055288A (ko) |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의 구동 방법 | |
KR20110068504A (ko) | 저가 제작 및 소형화가 가능한 렌즈 액츄에이터 | |
KR20220029613A (ko) |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 |
KR20090125547A (ko) | 오토포커싱이 적용된 무선통신 단말기용 카메라장치 | |
KR20100062657A (ko) | 촬상 장치용 렌즈 액츄에이터 | |
KR20100124135A (ko) | 이미지 촬상 장치용 렌즈 액츄에이터 | |
KR102262571B1 (ko) | 보이스 코일 모터 | |
KR102311819B1 (ko) | 보이스 코일 모터 | |
KR102186477B1 (ko) | 보이스 코일 모터 | |
KR102384414B1 (ko) | 보이스 코일 모터 | |
KR102438242B1 (ko) | 보이스 코일 모터 | |
KR102109774B1 (ko) | 보이스 코일 모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