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061Y1 - 보이스 코일 구동 자동초점 렌즈 모듈 - Google Patents

보이스 코일 구동 자동초점 렌즈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061Y1
KR200455061Y1 KR2020090007557U KR20090007557U KR200455061Y1 KR 200455061 Y1 KR200455061 Y1 KR 200455061Y1 KR 2020090007557 U KR2020090007557 U KR 2020090007557U KR 20090007557 U KR20090007557 U KR 20090007557U KR 200455061 Y1 KR200455061 Y1 KR 2004550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lens
spring
base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75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757U (ko
Inventor
산-우에이 슈
한-충 우
친-이 초우
Original Assignee
이-핀 옵티칼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핀 옵티칼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핀 옵티칼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087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7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0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0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 H02K41/031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of the permanent magne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02K41/0356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보이스 코일 구동 자동초점 렌즈 모듈이 개시된다. 상기 보이스 코일 구동 자동초점 렌즈 모듈은 베이스, 두 개의 도전성 플레이트, 절연 스페이서, 네 개의 영구자석, 렌즈 홀더, 광학렌즈, 스프링 세트, 코일 및 상부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 홀더, 광학렌즈 및 코일은 렌즈 세트를 구성하여 동시에 움직이며, 상기 네 개의 영구자석은 리프 스프링의 외주에 고정된다. 상기 스프링 세트는 코일 스프링 및 리프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코일 스프링 및 리프 스프링의 신장 또는 압축에 따른 합해진 스프링력은 전자기력과 함께 상기 렌즈 모듈을 빠르게 움직여 안정적으로 초점조절이 이루어지게 하는 한편, 상기 렌즈 모듈의 상하 흔들림을 줄이도록 한다.

Description

보이스 코일 구동 자동초점 렌즈 모듈{VOICE COIL DRIVING AUTO-FOCUS LENS MODULE}
본 고안은 보이스 코일 구동 자동초점 렌즈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초점조절(auto-focusing)을 위해 스프링 세트의 스프링력 및 전자기력에 의해 앞뒤로 움직이도록 구동되는 광학렌즈를 갖는 렌즈 모듈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 또는 촬영기능을 갖는 휴대폰들에는 자동초점조절 또는 줌(zoom)을 위해 광학축을 따라 광학렌즈들을 이동시키도록 구동하는 렌즈 모듈이 마련된다. 광학렌즈의 구동 메커니즘들 중 하나로 보이스 코일 모터(VCM: voice coil motor)를 들 수 있다. 영구자석 및 코일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형성된 전자기장에 의해 광학렌즈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이 만들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설계는 렌즈 모듈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가 작은 크기의 카메라, 카메라장착 휴대폰 또는 웹카메라(web-camera)에 널리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미국특허출원 US 2008/0013196, 미국등록특허 US 6,594,450, US 7,145,738, 대만등록특허 TWM 317027, 일본등록특허 JP 3124292, JP 3132575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보이스 코일 모터형 자동초점 렌즈 모듈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상 기 보이스 코일 모터형 자동초점 렌즈 모듈은 주로 바닥부 커버(bottom cover: 110), 두 개의 도전성 플레이트(conductive plate: 122), 절연 스페이서(insulation spacer: 130), 네 개의 영구자석(140), 렌즈 홀더(150), 광학렌즈(160), 코일 스프링(171), 코일(180) 및 상부 커버(top cover: 190)를 포함한다. 상기 코일 스프링(171)은 상기 렌즈 홀더(150)를 직접적으로 그리고 효율적으로 빠르게 움직이도록 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렌즈 모듈은 움직이는 과정에서 상하로 흔들려 높은 정밀도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형 자동초점 렌즈 모듈의 다른 대안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의 렌즈 홀더(150)는, 미국특허출원 US 2008/0186601, US 2006/0181632, 대만등록특허 TWM 331687, TWM 318736, 일본등록특허 JP 63247924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리프 스프링(leaf spring: 172)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된다. 그러나 상기 리프 스프링(172)의 신장길이(extension length) 및 탄성이 불충분하여 렌즈 모듈의 이동이 느리며, 빠른 초점조절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다. 전술한 불충분한 신장길이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몇몇 종래 기술에서, 두 개의 리프 스프링(172)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동이 느리다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본 고안은 현재 이용가능한 종래 기술에 따른 렌즈 모듈을 많이 변형시키지 않으면서도 높은 정밀도, 빠른 초점조절 및 스프링 세트의 탄성력에 의해 야기되는 상하 흔들림의 최소화라는 요건들을 충족할 수 있는 새로운 렌즈 모듈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보이스 코일 구동 자동초점 렌즈 모듈은 베이스(base), 두 개의 도전성 플레이트, 절연 스페이서, 네 개의 영구자석, 렌즈 홀더, 광학렌즈, 스프링 세트, 코일 및 상부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 홀더, 광학렌즈 및 코일은 렌즈 세트를 구성하여 동시에 움직이며, 상기 네 개의 영구자석은 상기 베이스의 네 귀퉁이에 장착된 리프 스프링의 외주에 고정된다. 상기 스프링 세트는 코일 스프링 및 리프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렌즈 홀더의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렌즈 홀더의 외측 환형 플랜지와 상부 커버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리프 스프링은 상기 렌즈 홀더 상에 배치된다. 상기 리프 스프링의 내주(inner circle)는 상기 렌즈 홀더의 일단면에 고정되는 반면, 상기 리프 스프링의 외주(outer circle)는 상기 절연 스페이서에 고정된 상태로 남는다. 상기 두 유형의 스프링들, 즉 코일 스프링 및 리프 스프링의 신장 또는 압축에 의해, 합해진 스프링력(resultant spring force)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력의 합력과 전자기력의 결합은 상기 렌즈 세트를 빠르게 움직여 안정적으로 초점을 조절하는 한편, 상기 렌즈 모듈의 상하 흔들림을 줄인다.
본 고안에 따른 렌즈 모듈은, 종래의 렌즈 모듈들과 달리, 코일 스프링과 리프 스프링을 조합하여 하나의 스프링 세트로 구성하여, 코일 스프링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상하 흔들림을 리프 스프링을 통해 바로잡는 한편, 리프 스프링의 불안정한 스프링력을 코일 스프링을 통해 보완함으로써, 렌즈 모듈을 많이 변형시키지 않으면서 렌즈 모듈의 상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코일 스프링과 리프 스프링으로 조합구성된 스프링 세트의 탄성력이 합해진 스프링력과 전자기력의 상호작용을 통해, 렌즈 세트를 안정적으로 빠르게 이동시킴으로써 높은 정밀도, 빠른 초점조절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이스 코일 구동 자동초점 렌즈 모듈(1)은 베이스(10), 구리 플레이트와 같은 두 개의 도전성 플레이트(20), 절연 스페이서(30), 네 개의 영구자석(40), 렌즈 홀더(50), 광학렌즈(60), 스프링 세트(80), 코일(70) 및 상부 커버(90)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 세트(80)는 코일 스프링(81) 및 리프 스프링(82)을 포함한다. 상기 렌즈 홀더(50), 광학렌즈(60) 및 코일(70)은 렌즈 세트를 구성하여, 상기 베이스(10)와 상부 커버(90) 사이에서 앞뒤로 움직여 자동초점조절을 수행한다.
도 4, 도 5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10)는 네 귀퉁이에 상기 상부 커버(90)와의 조립을 위한 네 개의 기둥(stand: 11)을 갖는 직사각형 프레임이다. 상기 베이스(10)의 중앙에 마련된 중앙홀(12)은 상기 광학렌즈(60)의 광학 경로를 위한 개구(opening)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복수 개의 위치결정 핀(positioning pin: 13) 및 절연(isolation)을 위한 돌기들(14)이 상기 베이스(10)의 내측면에 마련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 차단필터(IR cut-off filter: 100)가 상기 중앙홀(12) 아래에 배치된다.
도 4, 도 6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두 개의 도전성 플레이트(20)는 각각 자신의 위치결정 홀들(positioning holes: 21)과 상기 위치결정 핀들(13)의 결합에 의해 절연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10) 상에 배치되며, 각각의 돌출 피스(projecting piece: 22)를 통해 서로 다른 전극에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10)의 중앙홀(12)에 대응하는 중앙홀(23)이 상기 두 개의 도전성 플레이트(20) 사이에 형성된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절연 스페이서(30)는 상기 위치결정 핀들(13) 및 그에 대응하는 위치결정 홀들(31)을 통해 상기 두 개의 도전성 플레이트(20) 상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절연 스페이서(30)는 상기 중앙홀들(12,23)에 대응하는 중앙홀(32)을 포함한다.
도 4, 도 9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네 개의 영구자석(40)은 대칭적인 아치형 형상이고, 각각 상기 베이스(10)의 네 개의 기둥들(11)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10)와 상부 커버(90) 사이에 고정된다. 상기 네 개의 영구자석(40)은 상기 리프 스프링(82)의 외주(822)에 고정된다.
도 4, 도 10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렌즈 홀더(50)는 상기 중앙홀들(12,23)에 배치되며, 상기 리프 스프링(82)의 내주(821)는 상기 렌즈 홀더(50)의 바닥부의 외측면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렌즈 홀더(50)는 중앙홀(51)을 갖는 원통형 몸체와 외측 환형 플랜지(52)로 구성된다. 상기 광학렌즈(60)는 상기 중앙홀(51)에 고정되는데, 그 고정방식은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며, 나사결합이나 접착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도 4, 도 11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스프링 세트(80)는 적어도 코일 스프링(81) 및 리프 스프링(82)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 스프링(81)은 상기 렌즈 홀더(50)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렌즈 홀더(50)의 외측 환형 플랜지(52)와 상부 커버(90)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도 4, 도 8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 스프링(82)은 서로 연결된 내주(821)와 외주(822)를 포함한다. 상기 리프 스프링(82)의 내주(821)는 상기 렌즈 홀더(50)에 고정되는 반면, 상기 리프 스프링(82)의 외주(822)는 상기 절연 스페이서(30)에 부착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 스프링(82)의 내주(821)는 상기 렌즈 홀더(50)의 바닥부의 외측면에 끼워져 고정되는 반면, 상기 리프 스프링(82)의 외주(822)는 상기 절연 스페이서(30)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다. 상기 리프 스프링(82)의 구조적 특징에 따르면, 상기 리프 스프링(82)의 내주(821)와 외주(822)가 전술한 바와 같이 배치고정된 후, 양자 사이의 당김 및 신장에 의해 탄성력이 생성된다. 상기 렌즈 세트는 렌즈 홀더(50), 광학렌즈(60) 및 코일(70)로 구성되며, 초점조절을 위해 전자기력, 상기 코일 스프링(81)의 탄성력 및 상기 리프 스프링(82)의 탄성력의 합력(net force)에 의해 움직인다. 상기 코일 스프링(81) 및 리프 스프링(82)은 일련의 스프링 세트를 이루기 때문에, 그 힘은 그들의 탄성계수(spring constant) 의 총합과 같다. 따라서 각각의 탄성력의 영향이 감소하는 것 외에, 상기 렌즈 홀더(50)를 향하는 상기 스프링들(81,82)의 방향은 접촉영역(contacting area)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단일 지점에 대한 단일의 스프링에 의한 작용이 향상되고, 렌즈 세트의 이동 과정 중 상기 렌즈 세트의 상하 흔들림이 줄어든다. 또한, 상기 리프 스프링(82)만을 적용한 경우에서의 불충분한 신장 또는 불충분한 탄성력에 기인한 렌즈 모듈의 느린 움직임의 문제를 극복하도록 상기 코일 스프링(81)의 탄성력과 상기 리프 스프링(82)의 탄성력이 합해진 스프링력을 형성한다.
도 4, 도 12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코일(70)은 코일 스프링(81)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렌즈 홀더(50)의 외측 환형 플랜지(52)에 고정되어, 상기 렌즈 홀더(50)와 함께 연결부재(렌즈 세트)를 형성한다. 상기 렌즈 모듈은 상기 상부 커버(90)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부 링 커버(top ring cover: 90a)를 더 포함하여, 전술한 네 개의 영구자석(40)이 상기 상부 링 커버(90a)의 네 귀퉁이의 내측 모서리에 각각 장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그 다음, 상기 상부 커버(90)는 상기 베이스(10)의 네 개의 기둥들(11)에 고정된다. 그에 따라 상기 상부 링 커버(90a)가 상기 상부 커버(90)와 베이스(10) 사이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하나의 렌즈 모듈(1)이 형성된다. 상기 네 개의 영구자석(40)은 상기 상부 링 커버(90a)의 내측면과 상기 절연 스페이서(3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렌즈 홀더(50), 광학렌즈(60), 코일 스프링(81), 리프 스프링(82) 및 코일(70)은,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서대로 조립된다. 그러나 반드시 그와 같은 조립 순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광학렌즈(60) 및 코일(70)이 상기 렌즈 홀더(50)와 조립될 수 있다. 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 스프링(82)이 상기 렌즈 홀더(50)의 일단에 먼저 배치고정되고, 그 다음에 상기 렌즈 홀더(50)가 절연 스페이서(30)와 조립될 수 있다.
전극들 및 상기 코일(70)의 머리(head) 및 꼬리(tail)에 인가되는 전류가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들(40)의 N극 및 S극들과 상기 코일(70)에 의해 생성되는 상방향/하방향(전방향/후방향)의 전자기력은 초점조절을 위해 상기 렌즈 세트 및 리프 스프링(82)의 내주(821)를 상방향/하방향(전방향/후방향)으로 움직이게 한다. 상기 스프링 세트(80)의 코일 스프링(81)은 압축 스프링(compression spring)이다. 상기 상부 커버(90)와 베이스(10)가 결합된 경우, 압축된 상태인 코일 스프링(81)은 상기 렌즈 홀더(50)를 눌러 하방향(후방향)으로 움직이게 한다. 상기 스프링 세트(80)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렌즈 홀더(50), 광학렌즈(60) 및 코일(70)을 포함하는 렌즈 세트는 "사점(dead point)"에 정지해 있고, 이 위치가 원초점(far focus) 위치이다. 상기 코일(70)과 영구자석들(40) 사이에서 생성되는 전자기력은 상방향(전방향)이 되게 선택된다. 상기 렌즈 세트가 원초점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코일(70)에 인가되는 전류가 없고, 어떠한 전자기력도 생성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렌즈 세트는 전자기력에 의해 영향받지 않고, 아래쪽(후방)의 사점 위치에 머무른다. 초점조절이 수행되면, 일정량의 전류가 상기 코일(70)에 인가되도록 제어됨으로써, 알맞은 전자기력을 생성하여 상기 렌즈 세트를 위쪽(전방)으로 이동시켜 근초점(close focus) 위치에서 멈추게 한다. 상기 스프링 세트(80)의 스프링력과 동일한 전자기력이 상기 렌즈 세트에 작용하는 경우, 상기 렌즈 세 트는 원래의 위치에 머무른다. 즉, 상기 전자기력은 상기 렌즈 세트를 원초점 위치에서 위쪽(전방)인 근초점 위치로 이동시키려 하는 반면, 상기 스프링 세트(80)에 저장된 탄성력은 상기 렌즈 세트를 다시 아래쪽(후방)인 원초점 위치로 이동시키려 하기 때문에, 결국 상기 렌즈 세트는 원래의 위치에 머무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코일(70)에 인가되는 전류를 적절히 제어하여, 생성되는 전자기력이 상기 스프링 세트(80)의 스프링력보다 크도록 또는 작도록 조절함으로써 줌인(zoom in)/줌아웃(zoom out)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이스 코일 구동 자동초점 렌즈 모듈(1a)이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렌즈 모듈(1a)은 전술한 렌즈 모듈(1)과 유사하다. 제2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1a)의 경우, 코일 스프링(81)이 코일(70)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반면, 전술한 렌즈 모듈(1)의 경우, 코일(70)이 코일 스프링(81)을 둘러싸도록, 즉 코일 스프링(81)이 코일(70)의 내측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양자는 차이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렌즈 모듈(1,1a)의 스프링 세트(80)는, 종래의 렌즈 모듈들과 달리, 코일 스프링(81)과 리프 스프링(82)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상기 두 스프링들을 일련의 세트로 구성한 것뿐만 아니라, 상기 리프 스프링(82)은 상기 코일 스프링(81)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상하 흔들림을 바로잡는데 이용된다. 또한, 상기 코일 스프링(81)은 상기 리프 스프링(82)의 불안정한 스프링력을 보완한다. 본 고안에 따른 렌즈 모듈은, 상기 코일 스프링(81) 및 리프 스프링(82)의 탄성력이 합해진 스프링력과 상기 전자기력의 상호작용을 통해, 렌즈 세트를 안정 적으로 빠르게 이동시키며, 렌즈 모듈의 상하 흔들림을 줄인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부가적인 이점들의 형성 및 변형들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들 및 상세한 설명을 통해 개시된 구체적인 실시예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전반적인 고안 및 이와 동등한 기술사상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변형들이 있을 수 있다.
도 1은 코일 스프링을 구비한 종래의 보이스 코일 모터형 자동초점 렌즈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리프 스프링을 구비한 종래의 보이스 코일 모터형 자동초점 렌즈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이스 코일 구동 자동초점 렌즈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보이스 코일 구동 자동초점 렌즈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보이스 코일 구동 자동초점 렌즈 모듈의 각 구성요소의 조립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3의 렌즈 홀더, 코일 및 리프 스프링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보이스 코일 구동 자동초점 렌즈 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이스 코일 구동 자동초점 렌즈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Claims (6)

  1. 베이스; 두 개의 도전성 플레이트; 절연 스페이서; 네 개의 영구자석; 렌즈 홀더; 광학렌즈; 스프링 세트; 코일; 및 상부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상부 커버와의 조립을 위해 네 귀퉁이에 마련되는 네 개의 기둥; 상기 광학렌즈의 광학 경로를 위한 개구를 형성하도록 중앙에 마련되는 중앙홀; 및 내측면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위치결정 핀을 구비하며,
    상기 두 개의 도전성 플레이트는 각각 자신의 위치결정 홀들 및 대응하는 상기 베이스의 위치결정 핀들의 조립에 의해 절연된 상태로, 상기 두 개의 도전성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베이스의 중앙홀에 대응하는 중앙홀이 형성되도록,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절연 스페이서는 상기 중앙홀들에 대응하는 중앙홀을 구비하고, 자신의 위치결정 홀들 및 대응하는 상기 베이스의 위치결정 핀들의 조립에 의해 상기 두 개의 도전성 플레이트 상에 부착되며,
    상기 네 개의 영구자석은 대칭적인 아치형 형상이고, 각각 상기 베이스의 네 개의 기둥들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렌즈 홀더는 중앙홀을 갖는 원통형 몸체와 외측 환형 플랜지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렌즈는 상기 렌즈 홀더의 중앙홀에 고정되며,
    상기 스프링 세트는 코일 스프링 및 리프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은 상기 렌즈 홀더의 외측 환형 플랜지에 고정되고, 상기 코일의 머리 및 꼬리는 상기 두 개의 도전성 플레이트의 서로 다른 전극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베이스에 연결고정되어 상기 베이스를 커버하며,
    상기 렌즈 홀더, 광학렌즈 및 코일은 렌즈 세트를 구성하여 동시에 움직이며,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광학렌즈를 둘러싸도록 상기 렌즈 홀더의 외측 환형 플랜지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 홀더의 외측 환형 플랜지와 상기 상부 커버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상기 리프 스프링은 상기 렌즈 홀더에 고정되는 내주 및 상기 절연 스페이서에 고정된 상태로 남는 외주를 가지며,
    상기 코일 스프링 및 리프 스프링의 스프링력의 합력은, 전류가 인가된 상기 코일 및 상기 영구자석들 사이에서 생성된 전자기력과 함께, 상기 렌즈 세트를 이동시켜 초점조절을 수행하며,
    상기 상부 커버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부 링 커버를 더 포함하여, 상기 네 개의 영구자석이 상기 상부 링 커버의 네 귀퉁이의 내측 모서리에 각각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베이스의 네 개의 기둥들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 링 커버가 상기 상부 커버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네 개의 영구자석이 상기 상부 링 커버의 내측면과 상기 절연 스페이서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스 코일 구동 자동초점 렌즈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코일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스 코일 구동 자동초점 렌즈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 스 코일 구동 자동초점 렌즈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은 인장 코일 스프링(extension coil sp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스 코일 구동 자동초점 렌즈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은 압축 코일 스프링(compression coil sp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스 코일 구동 자동초점 렌즈 모듈.
  6. 삭제
KR2020090007557U 2009-02-24 2009-06-11 보이스 코일 구동 자동초점 렌즈 모듈 KR20045506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8202729 2009-02-24
TW098202729U TWM364879U (en) 2009-02-24 2009-02-24 Lens module for automatic focus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757U KR20100008757U (ko) 2010-09-02
KR200455061Y1 true KR200455061Y1 (ko) 2011-08-12

Family

ID=44386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7557U KR200455061Y1 (ko) 2009-02-24 2009-06-11 보이스 코일 구동 자동초점 렌즈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55061Y1 (ko)
TW (1) TWM36487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8421A1 (en) * 2016-08-24 2018-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26335B (zh) * 2009-09-30 2014-02-11 Hon Hai Prec Ind Co Ltd 自動對焦鏡頭模組
TWI409566B (zh) * 2009-11-26 2013-09-21 Tdk Taiwan Corp 微型自動對焦鏡頭裝置
TWI448800B (zh) * 2009-12-21 2014-08-11 Hon Hai Prec Ind Co Ltd 音圈馬達及相機模組
TWI491969B (zh) * 2012-04-19 2015-07-11 Tdk Taiwan Corp Micro lens focusing structure
KR101518825B1 (ko) * 2013-11-08 2015-05-13 자화전자(주) 카메라 모듈 액츄에이터
US9977219B2 (en) 2014-07-11 2018-05-22 Lg Innotek Co., Ltd. Unit for actuating lens,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179126B1 (ko) * 2014-07-11 2020-11-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구동모터
KR102224476B1 (ko) * 2014-08-11 2021-03-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구동모터
KR102179867B1 (ko) * 2014-07-11 2020-11-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구동모터
KR102323624B1 (ko) * 2014-08-11 2021-11-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구동모터
CN109412354B (zh) * 2018-11-27 2024-01-12 厦门新鸿洲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可感测运动轨迹的音圈马达
KR102461364B1 (ko) * 2021-03-02 2022-11-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구동모터
CN115473979A (zh) * 2021-06-11 2022-12-13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马达、摄像模组及其组装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4131A (ko) * 2005-01-17 2006-07-24 주식회사 씨티전자 정보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KR20060084130A (ko) * 2005-01-17 2006-07-24 주식회사 씨티전자 정보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US20080266681A1 (en) * 2007-04-25 2008-10-30 E-Pin International Tech Co., Ltd. Auto-focus lens modu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4131A (ko) * 2005-01-17 2006-07-24 주식회사 씨티전자 정보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KR20060084130A (ko) * 2005-01-17 2006-07-24 주식회사 씨티전자 정보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US20080266681A1 (en) * 2007-04-25 2008-10-30 E-Pin International Tech Co., Ltd. Auto-focus lens modu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8421A1 (en) * 2016-08-24 2018-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10197891B2 (en) 2016-08-24 2019-0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757U (ko) 2010-09-02
TWM364879U (en) 2009-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5061Y1 (ko) 보이스 코일 구동 자동초점 렌즈 모듈
US7612957B1 (en) Voice coil driving auto-focus lens module
KR101825731B1 (ko) 광학 손떨림 보정 가능한 카메라 렌즈 모듈
US7262927B1 (en) Auto-focus lens module
US10215952B2 (en) Imaging apparatus
JP5775166B2 (ja) ボイスコイルモーター及びその駆動方法
KR101221316B1 (ko)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KR100490253B1 (ko) 소형 광학렌즈의 자동초점 조절장치
US7499231B2 (en) Auto-focus lens module
KR100919118B1 (ko) 자체 체결 수단을 구비한 액츄에이터를 갖는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
US10890733B2 (en) Image sensor module with auto focus control
JP2012032778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US20110141342A1 (en) Lens control apparatus
US7477462B2 (en) Auto-focus lens module
KR100919117B1 (ko) 모바일 기기용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
KR20130055288A (ko)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의 구동 방법
WO2023070596A1 (zh) 透镜驱动装置、摄像装置以及移动终端
KR20100062657A (ko) 촬상 장치용 렌즈 액츄에이터
KR20100124135A (ko) 이미지 촬상 장치용 렌즈 액츄에이터
CN105659137A (zh) 镜头驱动装置
CN1786808B (zh) 光学自动对焦装置
KR101079026B1 (ko) 자동초점 광학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이미징 장치
KR20110058581A (ko) 이미지 촬상장치용 렌즈 액츄에이터
CN115774316A (zh) 光学镜头以及摄像模组
TWI405022B (zh) 音圈馬達驅動之自動對焦鏡頭模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