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3795A -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3795A
KR20170123795A KR1020160052778A KR20160052778A KR20170123795A KR 20170123795 A KR20170123795 A KR 20170123795A KR 1020160052778 A KR1020160052778 A KR 1020160052778A KR 20160052778 A KR20160052778 A KR 20160052778A KR 20170123795 A KR20170123795 A KR 20170123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electrode layer
lens
liquid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3708B1 (ko
Inventor
박승룡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60052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708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EP20192427.1A priority patent/EP3770650B1/en
Priority to CN201780026581.8A priority patent/CN109073792B/zh
Priority to PCT/KR2017/004615 priority patent/WO2017188798A1/ko
Priority to JP2018556335A priority patent/JP6938540B2/ja
Priority to EP17789982.0A priority patent/EP3451029B1/en
Priority to US15/651,838 priority patent/US9880327B2/en
Publication of KR20170123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795A/ko
Priority to US15/820,119 priority patent/US10281621B2/en
Priority to US16/366,992 priority patent/US10908326B2/en
Priority to US17/132,751 priority patent/US1154356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2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 G02B3/14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of variable focal lengt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5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 G02B13/007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having an element with variable opt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04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based on a displacement or a deformation of a fluid
    • G02B26/005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based on a displacement or a deformation of a fluid based on electrowet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2006/12133Functions
    • G02B2006/12142Modulat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207/00Coding scheme for general features or characteristics of optical elements and systems of subclass G02B, but not including elements and systems which would be classified in G02B6/00 and subgroups
    • G02B2207/115Electrowet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렌즈의 일 실시예는, 중공이 형성되는 코어; 상기 코어에 배치되는 전극층; 상기 코어 상측에 결합하는 상부글래스; 상기 코어 하측에 결합하는 하부글래스; 및 상기 코어의 중공에 배치되는 액체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층은 상기 코어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코어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전극층을 연결하는 관통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Len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실시예는, 간단한 구조를 가진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들어,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가 내장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의 IT 제품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전자제품에 실장되는 카메라 모듈의 경우, 오토 포커싱을 구현하는 장치가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에는 광학계를 형성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와 광축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렌즈부를 통해 입사하는 광이 도달하는 이미지가 결상되는 이미지 센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 등에 사용되는 카메라 모듈은 웨이퍼 렌즈(wafer lens)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웨이퍼 렌즈란 광이 통과하는 부위에 액체가 충진되고, 렌즈의 작동에 필요한 구성을 웨이퍼에 증착하여 형성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는 렌즈이다.
웨이퍼 렌즈는 충진되는 액체의 곡률, 형상 등을 변화시켜서 초점을 조절하는 인간의 눈의 수정체의 동작을 응용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기계적 구동부가 없어서 신뢰성이 높고 대량 생산에 적합할 뿐 아니라 반응 속도가 빠르며 소모 전력이 매우 낮고 용이하게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웨이퍼 렌즈는 액체의 곡률, 형상 등을 변화시켜 오토 포커싱 기능,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최근 카메라 모듈을 소형화하기 위해, 웨이퍼 렌즈도 소형화되는 추세이다. 웨이퍼 렌즈를 소형화하기 위해서는, 간단한 구조를 가진 웨이퍼 렌즈의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간단한 구조를 가진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렌즈의 일 실시예는, 중공이 형성되는 코어; 상기 코어에 배치되는 전극층; 상기 코어 상측에 결합하는 상부글래스; 상기 코어 하측에 결합하는 하부글래스; 및 상기 코어의 중공에 배치되는 액체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층은 상기 코어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코어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전극층을 연결하는 관통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전극층은 상기 코어의 상기 중공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코어는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는 패턴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액체렌즈부는, 도전성 액체로 구비되고, 상기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액체층; 및 비도전성 액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1액체층과 경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2액체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렌즈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전극층과 상기 제2액체층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전극층은, 상기 코어의 상면, 하면, 상기 중공의 표면 및 상기 관통구의 표면에 증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패턴부는, 상기 전극층이 증착되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패턴부는, 상기 복수의 단자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코어의 상면에 증착되는 상기 전극층 및 상기 관통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패턴부는, 상기 하부글래스와 결합하는 제1패턴부; 및 상기 하부글래스로부터 노출되는 제2패턴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패턴부는 상기 하부글래스의 일측에 노출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패턴부는, 외부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자는, 상기 코어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전극층과, 상기 관통구에 형성되는 상기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단자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렌즈의 일 실시예는, 전극층이 증착되는 코어; 상기 코어 상측에 결합하는 상부글래스; 상기 코어 하측에 결합하는 하부글래스; 상기 코어에 형성되는 중공에 배치되는 액체렌즈부; 및 상기 전극층과 상기 액체렌즈부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는, 표면에 상기 전극층이 증착되고, 상기 코어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기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관통구; 및 하면에 형성되고, 복수의 단자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패턴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상기 렌즈; 및 상기 렌즈와 광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구비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코어 하면에 형성되는 패턴부에서만 상기 코어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된 증착층을 외부전원과 전기적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어의 상면과 하면의 증착층을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조에 비해 간단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한 렌즈의 간단한 구조로 인해,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간소화, 소형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제작시간, 노력, 비용이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렌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의 렌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의 렌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의 렌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의 렌즈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일 실시예의 렌즈와 외부 인쇄회로 간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렌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의 렌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실시예의 렌즈는 코어(100), 상부글래스(200), 하부글래스(300), 액체렌즈부(400) 및 절연층(5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글래스(200)는 코어(100)의 상측에 결합하여, 상기 코어(10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글래스(200)는 상기 코어(100)에 구비되는 액체렌즈부(400)의 액체의 외부누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하부글래스(300)는 상기 코어(100)의 하측에 결합하여, 상기 코어(10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글래스(300)는, 상기 상부글래스(200)와 함께, 상기 코어(100)에 구비되는 액체렌즈부(400)의 액체의 외부누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상부글래스(200) 및 하부글래스(300)는, 투명한 고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한 유리,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광은 상기 상부글래스(200)로 입사하여 상기 코어(100) 및 상기 하부글래스(300)를 관통하여 이미지 센서(미도시)에 입사할 수 있다.
액체렌즈부(400)는 상기 코어(100)에 광축방향으로 형성되는 중공(120)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액체렌즈는, 예를 들어, 서로 섞이지 않는 복수의 액체들로 구비될 수 있고, 각 액체들의 경계면의 형상, 곡률 등이 변경됨으로써,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이 오토포커싱 기능,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액체렌즈의 구체적인 구조는 하기에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코어(100)는 상기 상부글래스(200)와 하부글래스(300) 사이에 배치되고, 전극층(110), 중공(120), 관통구(130), 및 패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층(110)은 상기 코어(100)에 배치되고, 상기 코어(100)에 증착되어 얇은 막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층(110)은 화학기상증착, 플라즈마진공증착, 기타의 방법으로 상기 코어(100)에 증착될 수 있다.
중공(120)은 상기 코어(10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공(120)에는 적어도 일부에 액체렌즈부(400)가 구비될 수 있고, 상부글래스(200)를 통과한 광이 상기 코어(100)를 통과하는 부위이다. 이때, 상기 전극층(110)은 상기 코어(100)의 상기 중공(120)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관통구(130)는 상기 코어(10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코어(100)의 상면에 증착되는 상기 전극층(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관통구(130)는, 코어(100)의 상면의 전극층(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표면에 상기 증착층이 증착될 수 있다.
패턴부(140)는 상기 코어(100)의 하면에 형성되고, 복수의 단자(14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패턴부(140)의 구체적인 구조는 하기에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의 렌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극층(110)은 상기 코어(100)의 상면, 하면, 상기 중공(120)의 표면 및 상기 관통구(130)의 표면에 증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기 코어(100)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각 증착층은 상기 관통구(130)의 표면에 형성된 증착층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관통구(130)에 의해 상기 코어(10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전극층(110)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액체렌즈부(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액체층(410)과 제2액체층(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액체층(410)은 도전성 액체로 구비되고, 상기 전극층(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액체층(420)은 비도전성 액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1액체층(410)과 경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액체층(410)과 제2액체층(42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중공(120)에 충진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액체층(410)과 상기 제2액체층(420)은 서로 섞이지 않고, 서로 경계를 이룰 수 있다. 제1액체층(410)은 상기 전극층(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극층(110)을 통해 외부전원으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을 수 있다.
상기 제1액체층(410)에 전류가 인가되면, 제1액체층(410)과 제2액체층(420)의 경계는 그 형상, 곡률 등이 변경될 수 있고,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상기 경계의 형상, 곡률 등을 제어함으로써, 실시예의 렌즈가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은 오토포커싱 기능, 손떨림 보정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절연층(500)은 상기 전극층(110)과 상기 제2액체층(4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연층(5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어(100)의 상면 일부, 상기 중공(120)의 표면 및 상기 하부글래스(300)의 상면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연층(500)은 상기 코어(100)의 상면, 상기 중공(120)의 표면에서는 상기 전극층(110)의 표면에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500)은 도전성 재질의 제1액체층(410)이 상기 코어(100) 하면에 형성되는 전극층(110)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절연층(5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액체층(410)이 코어(100) 하면의 전극층(110)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있는 부위 전부에 걸쳐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500)이 배치됨으로 인해 상기 제1액체층(410)은 상기 관통구(130)를 통해서만 상기 코어(100) 하면의 전극층(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코어(100) 구조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순서의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코어(100)에 중공(120) 및 관통구(130)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코어(100)의 상면, 하면, 중공(120) 및 관통구(130) 표면에 전극층(110)을 증착한다. 이때, 하기에 설명하겠지만, 상기 코어(100)의 하면에 증착된 전극층(110)에는 패턴부(140)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하부글래스(300)를 상기 코어(100)의 하면에 융착 등의 방법으로 결합한다. 다음으로 상기 코어(100)에 절연막을 적층한다.
다음으로, 상기 코어(100)에 액체를 주입하여 제1액체층(410)과 제2액체층(420)을 포함하는 액체렌즈부(400)를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상부글래스(200)를 상기 코어(100)의 상면에 융착 등의 방법으로 결합하여 코어(100)의 조립을 완성한다.
렌즈는 작동을 위해 전류가 인가되어야 하고, 상기 코어(100) 상면의 전극층(110)과 하면의 전극층(110)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구조에서는 외부 전원과 전기적 연결을 위한 별도의 커넥터 등이 코어(100) 상면과 하면의 각 전극층(110)에 별도로 연결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별도의 커넥터 등을 연결하는 구조는,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복잡하게 하고, 대형화되며, 이로 인해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제작시간, 노력,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실시예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의 렌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의 렌즈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전극층(110)이 형성되는 관통구(130)는 상기 코어(100) 상면의 전극층(110)과 코어(100) 하면의 패턴부(1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패턴부(140)는, 예를 들어, 상기 전극층(110)이 증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코어(100) 하면에 증착되는 전극층(110)을 식각 등으로 패터닝하여 패턴부(14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턴부(140)는 상기 복수의 단자(143)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단자(143)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코어(100)의 상면에 증착되는 상기 전극층(110) 및 상기 관통구(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기 복수의 단자(143)는 상기 코어(100)의 상면 및 하면의 전극층(110)과 모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복수의 단자(143)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액체층(4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패턴부(1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패턴부(141)와 제2패턴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패턴부(141)는 상기 하부글래스(300)와 결합하는 부위이고, 제2패턴부(142)는 상기 하부글래스(300)의 일측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부위이다.
상기 제2패턴부(142)는 외부 인쇄회로기판(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패턴부(142)는 외부 인쇄회로기판(10)과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정렬되며,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단자(143)의 일부 부위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단자(143)는 접지단자(143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접지단자(143a)는 상기 코어(100)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전극층(110)과, 상기 관통구(130)에 형성되는 상기 전극층(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접지단자(143a)를 제외한 나머지 단자(143)들은 상기 제1액체층(4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액체층(410)에는 접지단자(143a)를 제외한 단자(143)들에 의해 외부전원으로부터 전류가 인가됨으로써, 제1액체층(410)과 제2액체층(420)이 형성하는 경계의 곡률 경계면의 형상, 곡률 등이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이 오토포커싱 기능,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일 실시예의 렌즈와 외부 인쇄회로 간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턴부(140)에 형성되는 복수의 단자(143)는 하부글래스(300)의 일측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제2패턴부(142)에서 외부 인쇄회로기판(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인쇄회로기판(10)은 양단에 외부 단자(1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외부 단자(11) 중 일단은 상기 렌즈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은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렌즈의 제2패턴부(142)에서 단자(143)들은 상기 외부 인쇄회로기판(10)의 외부 단자(11)와 전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자(143)들과 상기 외부 단자(11)들은 솔더링, 융착, 도전성 필름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코어(100) 하면에 형성되는 패턴부(140)에서만 상기 코어(100)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된 증착층을 외부전원과 전기적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어(100)의 상면과 하면의 증착층을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조에 비해 간단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한 렌즈의 간단한 구조로 인해,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간소화, 소형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제작시간, 노력, 비용이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렌즈와 광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렌즈를 통과한 광은 상기 이미지 센서에 입사하게 되고, 상기 이미지 센서에는 피사체의 이미지가 결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렌즈와 상기 이미지 센서 사이에는 상기 렌즈 및 상기 이미지 센서와 광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적외선 차단필터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적외선 차단필터는 이미지 센서에 결상되는 이미지의 화질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00: 코어
110: 전극층
120: 중공
130: 관통구
140: 패턴부
200: 상부글래스
300: 하부글래스
400: 액체렌즈부
410: 제1액체층
420: 제2액체층
500: 절연층

Claims (14)

  1. 중공이 형성되는 코어;
    상기 코어에 배치되는 전극층;
    상기 코어 상측에 결합하는 상부글래스;
    상기 코어 하측에 결합하는 하부글래스; 및
    상기 코어의 중공에 배치되는 액체렌즈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층은 상기 코어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코어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전극층을 연결하는 관통구를 포함하는 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은 상기 코어의 상기 중공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렌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는 패턴부를 포함하는 렌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렌즈부는,
    도전성 액체로 구비되고, 상기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액체층; 및
    비도전성 액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1액체층과 경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2액체층을 포함하는 렌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과 상기 제2액체층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렌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은,
    상기 코어의 상면, 하면, 상기 중공의 표면 및 상기 관통구의 표면에 증착되는 렌즈.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상기 전극층이 증착되어 형성되는 렌즈.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상기 복수의 단자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코어의 상면에 증착되는 상기 전극층 및 상기 관통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렌즈.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상기 하부글래스와 결합하는 제1패턴부; 및
    상기 하부글래스로부터 노출되는 제2패턴부
    를 포함하는 렌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패턴부는 상기 하부글래스의 일측에 노출도록 구비되는 렌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패턴부는,
    외부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렌즈.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상기 코어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전극층과, 상기 관통구에 형성되는 상기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단자를 포함하는 렌즈.
  13. 전극층이 증착되는 코어;
    상기 코어 상측에 결합하는 상부글래스;
    상기 코어 하측에 결합하는 하부글래스;
    상기 코어에 형성되는 중공에 배치되는 액체렌즈부; 및
    상기 전극층과 상기 액체렌즈부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층
    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는,
    표면에 상기 전극층이 증착되고, 상기 코어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기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관통구; 및
    하면에 형성되고, 복수의 단자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패턴부
    를 포함하는 렌즈.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렌즈; 및
    상기 렌즈와 광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구비되는 이미지 센서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160052778A 2016-04-29 2016-04-29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603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778A KR102603708B1 (ko) 2016-04-29 2016-04-29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201780026581.8A CN109073792B (zh) 2016-04-29 2017-04-28 相机模块以及包括相机模块的光学装置
PCT/KR2017/004615 WO2017188798A1 (ko) 2016-04-29 2017-04-28 액체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및 액체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방법
JP2018556335A JP6938540B2 (ja) 2016-04-29 2017-04-28 液体レンズ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これを含む光学機器、及び液体レンズ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EP20192427.1A EP3770650B1 (en) 2016-04-29 2017-04-28 Camera module including liquid lens
EP17789982.0A EP3451029B1 (en) 2016-04-29 2017-04-28 Camera module including liquid lens, optical device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amera module including liquid lens
US15/651,838 US9880327B2 (en) 2016-04-29 2017-07-17 Camera module including liquid lens, opt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amera module including liquid lens
US15/820,119 US10281621B2 (en) 2016-04-29 2017-11-21 Camera module including liquid lens, opt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amera module including liquid lens
US16/366,992 US10908326B2 (en) 2016-04-29 2019-03-27 Camera module including liquid lens, opt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amera module including liquid lens
US17/132,751 US11543567B2 (en) 2016-04-29 2020-12-23 Camera module including liquid lens, opt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amera module including liquid le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778A KR102603708B1 (ko) 2016-04-29 2016-04-29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795A true KR20170123795A (ko) 2017-11-09
KR102603708B1 KR102603708B1 (ko) 2023-11-17

Family

ID=60385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778A KR102603708B1 (ko) 2016-04-29 2016-04-29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37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666A (ko) * 2018-08-21 2020-03-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리개, 이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및 이 렌즈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12189149A (zh) * 2018-05-23 2021-01-05 Lg伊诺特有限公司 液体透镜模块、包括液体透镜模块的相机模块以及包括相机模块的光学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97911A1 (en) * 2007-01-30 2008-12-04 Dmetrix, Inc. Liquid-lens variable-control optics in array microscope
US20100302646A1 (en) * 2009-04-16 2010-12-02 Sony Corporation Liquid lens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10127922A (ko) * 2010-05-20 2011-11-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멤스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97911A1 (en) * 2007-01-30 2008-12-04 Dmetrix, Inc. Liquid-lens variable-control optics in array microscope
US20100302646A1 (en) * 2009-04-16 2010-12-02 Sony Corporation Liquid lens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10127922A (ko) * 2010-05-20 2011-11-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멤스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89149A (zh) * 2018-05-23 2021-01-05 Lg伊诺特有限公司 液体透镜模块、包括液体透镜模块的相机模块以及包括相机模块的光学设备
US11619768B2 (en) 2018-05-23 2023-04-04 Lg Innotek Co., Ltd. Liquid lens module,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the module
KR20200021666A (ko) * 2018-08-21 2020-03-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리개, 이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및 이 렌즈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3708B1 (ko) 2023-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3567B2 (en) Camera module including liquid lens, opt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amera module including liquid lens
KR101237627B1 (ko) 카메라 모듈
KR100744925B1 (ko) 카메라 모듈 패키지
US7663083B2 (en) Image sensor module having electric component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1190253B1 (ko) 멤스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20210173173A1 (en) Lens assembly,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KR102493391B1 (ko) 카메라 모듈
KR102322843B1 (ko) 액체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70123795A (ko)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10291444B (zh) 包括液体透镜的相机模块以及光学装置
JP7183166B2 (ja) 液体レンズモジュール、これ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これを含む光学機器、及び液体レンズ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102471184B1 (ko) 카메라 모듈
KR102344463B1 (ko) 액체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210573117U (zh) 一种电致变色滤光模块及摄像头
CN110418985B (zh) 包括液体透镜的相机模块和包括相机模块的光学装置
KR20180087078A (ko) 액체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US20160133662A1 (en) Image sensor device with different width cell layers and related methods
US20230350273A1 (en) Camera device
KR20100020614A (ko) 카메라 모듈
KR20100122199A (ko) 카메라 모듈용 인쇄회로기판 및 카메라 모듈
KR20130099470A (ko) 카메라 모듈의 솔더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