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3213A -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진열대 - Google Patents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진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3213A
KR20170083213A KR1020160002381A KR20160002381A KR20170083213A KR 20170083213 A KR20170083213 A KR 20170083213A KR 1020160002381 A KR1020160002381 A KR 1020160002381A KR 20160002381 A KR20160002381 A KR 20160002381A KR 20170083213 A KR20170083213 A KR 20170083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light source
scanner
display module
pro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혁
권재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2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3213A/ko
Publication of KR20170083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2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09F23/06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the advertising matter being combined with articles for restaurants, shops or off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14Display trays or contain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18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involving the use of optical projection means, e.g. projection of images on clou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5/00Audible adverti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5Signs associated with a sens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027/001Comprising a presence or proximity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은,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선반 케이스, 수납 공간의 전면에 배치되는 스크린, 및, 수납 공간의 내부에 배치되고, 소정 영상을 스크린으로 투사하는 프로젝터를 포함하고, 프로젝터는, 복수의 색상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광원부에서 출력되는 광을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스캐닝(Scanning)하는 스캐너, 영상을 포함하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및,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광원부를 구동하는 광원 구동 신호 및 스캐너를 구동하는 스캐너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진열대{SHELF DISPLAY MODULE INCLUDING PROJECTOR AND DISPLAY STAND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진열대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매장 및 상품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진열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진열대는 물건이나 상품을 놓고 진열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선반을 포함하고 있다. 단지 물건만 진열하는 선반의 경우, 선반이 물건의 적재 이외에 다른 역할을 하지 않으므로 물건 적재에 특화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한편, 선반의 앞 또는 위에는, 매장에 관한 정보 또는 선반 상에 진열된 상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종이 프린트(print)물, 장식품 등이 부착되기도 한다.
이 경우에는 제공할 수 있는 정보의 종류 및 양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정보의 업데이트에도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선반의 앞 또는 위에 소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배치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진열대 및 진열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한편, 선반 디스플레이 유닛은 고품질의 영상을 구현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선반 디스플레이 유닛은 고객의 존재 유무, 고객의 행동에 따라 적절한 컨텐츠를 제공하여 고객의 쇼핑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품질의 영상 구현이 가능한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진열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객 유무 등에 따라 다양한 컨텐츠 제공이 가능한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진열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케쥴에 맞춰 컨텐츠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진열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은, 복수의 색상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광원부에서 출력되는 광을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스캐닝(Scanning)하는 스캐너, 영상을 포함하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및,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광원부를 구동하는 광원 구동 신호 및 스캐너를 구동하는 스캐너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프로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또는 다른 목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진열대는,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프로젝터는, 복수의 색상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광원부에서 출력되는 광을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스캐닝(Scanning)하는 스캐너, 영상을 포함하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및,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광원부를 구동하는 광원 구동 신호 및 스캐너를 구동하는 스캐너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고품질의 영상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고객 유무 등에 따라 다양한 컨텐츠 제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스케쥴에 맞춰 컨텐츠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그 외의 다양한 효과는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의 표시 영상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에 포함되는 스캐닝 프로젝터의 개념도를 예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에 포함되는 스캐닝 프로젝터의 간략한 내부 구조도의 일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시스템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열대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은 그 내부에 프로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젝터로 광 스캐너로 영상을 투사하는 스캐닝 프로젝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선반 케이스(130), 상기 수납 공간의 전면에 배치되는 스크린(120) 및, 상기 수납 공간의 내부에 배치되고, 소정 영상을 상기 스크린(120)으로 투사하는 프로젝터(1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크린(120)은 상기 프로젝터(110)로부터 상기 프로젝터의(110) 영상 투사 방향, 즉 상기 수납 공간의 전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은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외관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으로, 선반 케이스(130)의 상판 케이스(131)까지 도시하였다.
하지만, 도 2와 도 3은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내부 수납 공간을 보여주기 위하여 상판 케이스(131)를 도시하지 않았다.
선반 케이스(130)의 상판 케이스(131)는 물품이 놓여지고, 물품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선반 케이스(130)의 하판 케이스(132)는 상판 케이스(131)와 함께 내부 수납 공간을 형성하고, 프로젝터(110)의 고정 및 상판 케이스(131), 측면판(133)을 지지할 수 있다.
하판 케이스(132)의 윗면은, 수납 공간의 내부 바닥면이 되고, 내부 바닥면에 프로젝터(110)를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선반 케이스(130)의 측면판(133)은 하판 케이스(132)와 일체형 혹은 분리형으로 구성 가능하며, 상판 케이스(131)/하판 케이스(132)와 함께 물품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선반 케이스(130)의 내부 수납 공간에는 프로젝터(110)가 배치된다.
스크린(120)은 프로젝터(110)의 전면, 즉, 영상 투사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프로젝터(110)에서 나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현재 마트, 백화점등 소매 시장(retail market)에서 가격 등 제품의 정보를 표시해주는 방법으로 종이(paper price tag)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한편, 종이 태그의 문제점은 가격 정보를 수시로 변경하고자 할 때, 수작업으로 인한 교체 시간 및 비용이 증가하며, 잦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종이 태그 대체 방안으로, 다양한 디스플레이 유닛을 이용하는 방안들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ESL (Electronic shelf label, 전자선반표시장치)를 이용하면, 중앙서버에서 가격 정보를 업데이트 가능하다.
하지만, e-ink로 구현되는 ESL은 검정(black)/회색(grey)/적색(red) 등 단색 표현만 가능하다는 단점과 정지화면만 디스플레이 가능하여 시인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LCD)은, 진열대의 긴화면을 구현하기 위해 막대한 시설투자 필요하고 소비전력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카트와의 충돌로 인한 파손 우려 및 교체비용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존 선반 가격 표시 방법들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프로젝터로 상품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멤스 스캐너(MEMS scanner)를 이용하여 저전력으로 대화면이 구현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가격 이외에도 진열되는 제품의 정보(e.g. 원산지), 이미지 및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은 프로젝터(110), 스크린(120), 선반 케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110)는 멤스 스캐너 및 레이저 광원, 광학계 등 광학 부품을 구비하는 광학 엔진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멤스 스캐너는 수직 및 수평 구동하여, 시야 범위(Field Of View: FOV, 190)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은,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내의 공기 유동 및 온도 유지를 위하여, 상기 선반 케이스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팬(fan)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미도시)은 상기 하판 케이스(132)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하판 케이스(132)는, 상기 팬에 대응하는 통풍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은, 외부의 공기를 상기 수납 공간으로 유입하는 제1 팬과 상기 수납 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2 팬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선반 케이스의 내부 바닥면(132)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speaker,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는 스크린(120)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통해 광고 효과 목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은, 고객 카운트(count) 등 마케팅 목적 및 도난 방지 목적 등으로 카메라(미도시) 및/또는 센싱부(미도시)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카메라는 스크린(120) 뒤에 설치될 수 있고, 카메라의 영상 획득이 용이하도록 스크린(120)의 일부 영역, 카메라의 전면에 위치하는 영역에는 홀(hole)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의 표시 영상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상품 'A'의 명칭, 가격 정보, 뿐만 아니라, 상품 'B'의 명칭, 'C'의 가격 정보도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서로 다른 여러 상품에 관련된 정보를 스크린(120)에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상품 'D'의 명칭, 가격 정보, 뿐만 아니라,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는 상품 'D' 또는 제조사 또는 매장과 관련된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소정 상품 'D'에 대한 할인 정보 등 추가 정보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은 그 내부에 프로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젝터로 광 스캐너로 영상을 투사하는 스캐닝 프로젝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에 포함되는 스캐닝 프로젝터의 개념도를 예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스캐닝 프로젝터 내의 스캐너(240)는, 입력되는 광을, 제1 방향 스캐닝 및 제2 방향 스캐닝을 순차 및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외부 투사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반사형 스크린(202)의 투사 영역에, 스캐닝 프로젝터(110)로부터 가시광(RGB)에 기초한 투사 영상이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또는, 투과형(transmission-type)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하여, 스크린을 기준으로 스캐너(240)가 영상을 투사하는 측의 반대 측에서 영상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스캐닝 프로젝터는, 복수의 광원(210r, 210g, 210b), 광 반사부(223), 광파장 분리부(224, 225), 스캐너(24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광원(210r, 210g, 210b)은, 외부 대상물에, 광 투사를 위해, 광의 시준성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레이저 다이오드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광원(210r, 210g, 210b)은, 청색 단일광을 출력하는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210b), 녹색 단일광을 출력하는 녹색 레이저 다이오드(210g), 적색 단일광을 출력하는 적색 레이저 다이오드(210r)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1에서는, 파장이 짧은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210b)가 스캐너(240)에서 가장 멀리 배치되고, 순차적으로, 녹색 레이저 다이오드(210r)와 적색 레이저 다이오드(210g)가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6과 같이, 스캐닝 프로젝터는 3개의 광원(210r, 210g, 210b)을 포함할 수 있고, 그 외 다양한 개수의 광원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광원 및 광학 부품들의 배치 순서와 위치는 설계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 광원(210b)에서 출력되는 광은, 광 반사부(223)에서 반사되고, 광파장 분리부(224)에서 투과되어, 스캐너(240)로 입사될 수 있다.
또한, 소정 광원(210g)에서 출력되는 광은, 광파장 분리부(224)에서 반사되고, 광파장 분리부(225)에서 투과되어, 스캐너(240)로 입사될 수 있다.
또한, 소정 광원(210r)에서 출력되는 광은, 광파장 분리부(226)에서 반사되어, 스캐너(240)로 입사될 수 있다.
광파장 분리부(224, 225)는, 광 파장 별로, 반사 또는 투과가 가능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다이크로익 미러(Dichroic Mirror)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어느 하나의 광원의 파장이 다른 광원의 파장 보다 더 짧은 경우, 광파장 분리부(224, 225)는, 더 짧은 파장의 광은 투과시키고, 더 긴 파장의 광은 반사시킬 수 있다.
한편, 스캐너(240)는, 광원(210r, 210g, 210b)으로부터의 출력광을, 입력받아, 외부로 제1 방향 스캐닝 및 제2 방향 스캐닝을 순차적으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스캐너(240)는, 광합성부에서 합성된 광을, 입력받아,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투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캐너(240)는, 제1 라인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합성된 광을 투사(수평 스캐닝)하며, 제1 라인 하의 제2 라인으로 수직 이동(수직 스캐닝)한다. 이후, 다시 제2 라인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합성된 광을 투사(수평 스캐닝)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따라, 스캐너(240)는, 표시할 영상을 스크린(202)의 전 영역에 투사할 수 있게 된다.
도면과 같이, 스캐너(240)는, 스캐닝 가능한 영역을 중심으로, 좌에서 우로 수평 스캐닝을 수행하고, 상에서 하로 수직 스캐닝을 수행하며, 다시 우에서 좌로 수평 스캐닝을 수행하고, 다시 상에서 하로 수직 스캐닝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스캐닝 동작을, 투사 영역의 전체에 대해,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에 포함되는 스캐닝 프로젝터의 간략한 내부 구조도의 일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에 포함되는 프로젝터(110)는, 복수의 색상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210), 상기 광원부(210)에서 출력되는 광을 광을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주사하는 스캐너(24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원부(210)에서 출력되는 광을 합성하는 광학계(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광원부(210)에서 출력되는 광은 광학계(220) 내의 광합성부(221)에서 합성될 수 있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스캐닝 프로젝터(110)는, 광학 엔진(200)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엔진(200)은 광원부(210), 광학계(220), 스캐너(240)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엔진(200)은 레이저 광을 생성하는 복수 개의 레이저 광원부, 발광하는 레이저 광을 집광시켜주는 집광렌즈부(collimating lens), 상기 생성된 각 레이저 광을 합성하는 광 합성부(예를 들어, 필터, 다이크로익 미러), 화면에 영상을 투사하는 MEMS 스캐너(24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스캐닝 프로젝터(110)는, 복수의 광원을 구비하는 광원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적색 광원부(210R), 녹색 광원부(210G), 청색 광원부(210B)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광원부(210R, 210G, 210B)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프로젝터(110)는, 광원 구동부(1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광원부(210R, 210G, 210B)는, 광원 구동부(185)로부터의 전기 신호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광원 구동부(185)의 전기 신호는,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광원부(210)에서 출력되는 광은 광학계 거쳐 광 스캐너(240)로 전달될 수 있다.
광학계(220)는 다양한 광학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광학계는 광의 반사나 굴절을 이용하여 영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필터(filter), 거울(mirror)이나 렌즈(lens) 등의 광학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광원부(210)에서 출력되는 광들은, 광학계(220), 특히 집광부 내의 각 집광 렌즈(collimator lens)를 통해, 시준될 수 있다(collimate).
즉,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프로젝터는, 상기 광원부(2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부(210)의 빛을 평행광으로 만드는 콜리메이팅 렌즈(collimating lens)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콜리메이팅 렌즈(collimating lens)는 각 광원의 수에 대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광합성부(221)는, 각 광원부(210R, 210G, 210B)에서 출력되는 광을 합성하여 일 방향으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광합성부(221)는, 소정 개수의 필터 또는 미러(mirror)(221a, 221b, 221c)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합성부(221a), 제2 광합성부(221b), 및 제3 광합성부(221c)는, 각각, 적색 광원부(210R)에서 출력되는 적색광, 녹색 광원부(210G)에서 출력되는 녹색광, 청색 광원부(210B)에서 출력되는 청색광을, 스캐너(240) 방향으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개별 광합성부들은 하나 이상의 광학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광학 부품들의 집합을 광합성부로 통칭할 수도 있다.
광학계(220)의 광반사부(226)는, 광합성부를 통과한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을 스캐너(240)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광반사부(226)는, 다양한 파장의 광을 반사시키며, 이를 위해, Total Mirror(TM)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광학계(220)는 광의 반사나 굴절을 이용하여 물체의 영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필터(filter), 거울(mirror)이나 렌즈(lens) 등의 광학부품들의 구성을 통칭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프로젝터(110)는, 영상을 포함하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860)를 구비할 수 있다.
통신 모듈(860)은, 유/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로 스캐닝 프로젝터(11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통신 모듈(860)은, 스캐닝 프로젝터(11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860)은,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860)은,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820)는, 프로세서(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820)는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8은 메모리(820)가 프로세서(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메모리(820)는 프로세서(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스캐닝 프로젝터(110)는, 통신 모듈(860)을 통하여 유/무선 네트워크 연결된 전자 기기. 예를 들어, 소정 서버, PC로부터 영상을 포함하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프로세서(170)는 상기 입력 데이터에 기초한 영상이 상기 스크린(202)에 구현되도록 스캐닝 프로젝터(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상기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부(210)를 구동하는 광원 구동 신호 및 상기 스캐너(240)를 구동하는 스캐너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입력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을 처리하는 비디오 프로세서(video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통신 모듈(860)은,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수행하는 NFC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 근거리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스캐닝 프로젝터(11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86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865)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스캐닝 프로젝터(11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스캐닝 프로젝터(11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통신 모듈(860)은 프로젝터(110)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의 통신 모듈(860)은 프로젝터(110)의 인터페이스(865)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한편, 스캐닝 프로젝터(110)는, 통신 모듈(860) 및/또는 인터페이스(865)를 통하여, 컨텐츠 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 데이터는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스캐너(240)는, 광원부(210)로부터의 가시광(RGB)을, 입력받아, 외부로 제1 방향 스캐닝 및 제2 방향 스캐닝을 순차적으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캐닝 동작을, 외부 스캔 영역의 전체에 대해,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스캐너(240)에서 출력되는 가시광(RGB)은, 스크린(202)의 투사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스캐너(240)는, 광원부(210), 예를 들어,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에서 나온 빔을 영상에 맺히도록 수평/수직으로 스캐닝하는 장치로, 입력되는 광을, 제1 방향 스캐닝 및 제2 방향 스캐닝을 순차 및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외부에 출력할 수 있다.
스캐너(240)는, 외부 스캔 영역에 대해, 좌에서 우 방향 스캐닝 및 우에서 좌방향 스캐닝을 순차 및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외부 스캔 영역 전체에 대한 스캐닝을 프레임 단위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스캐닝에 의해, 가시광에 기초한 투사 영상을, 외부 스캔 영역에 대해 출력할 수 있다.
제1 방향 스캐닝 및 제2 방향 스캐닝을 순차적으로 수행 가능한, 2D 스캐너를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스캐너가 필요 없게 되며, 따라서 스캐닝 프로젝터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조비용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스캐너(240)는, MEMS(micro-electro-mechenical system) 스캐너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투사 영상이 표시되는 스크린(202)이 자유 곡면(free-form)을 가져도, 해당 스크린의 곡면에 대응하여, 투사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스캐닝 프로젝터(11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캐닝 프로젝터(110) 내의 각 유닛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 영상을, 투사 영상으로서, 외부 스캔 영역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70)는, R, G, B 등의 가시광을 출력하는 광원부(210)를 제어하는 광원 구동부(185)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원 구동부(185)에, 표시할 비디오 영상에 대응하는 R, G, B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스캐너(2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향 스캐닝 및 제2 방향 스캐닝을 순차 및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외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스캐너(240)를 구동하는 스캐너 구동부(145)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170)는, 스캐너(240)를 제어하는 스캐너 구동부(145)를 제어할 수 있다.
스캐너 구동부(145)는 사인파 생성회로, 삼각파 생성회로, 신호 합성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캐너 구동부(145)는 수신되는 스캐너 구동 신호에 따라, 스캐너(24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주파수를 생성하고, 스캐너(240)는 수평 및 수직 구동 주파수에 따라, 수평 및 수직 구동하여 광을 스크린(202)에 스캐닝함으로써, 스크린(202)에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스캐너 구동부(145)는, 상기 수평 방향 스캐닝은 사인(sine) 파형으로 구동하고, 상기 수직 방향 스캐닝은 톱니(sawtooth) 파형으로 구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스캐너 구동부(145)는 MEMS 스캐너(240)의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카메라(825)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100) 전면 방향의 고객 존재 여부, 고객의 위치, 동작 등을 인식할 수 있다.
광원부(210)는, 청색 단일광을 출력하는 청색 광원부, 녹색 단일광을 출력하는 녹색 광원부, 및 적색 단일광을 출력하는 적색 광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광원부는, 레이저 다이오드로 구현될 수 있다.
광원 구동부(185)는, 프로세서(170)로부터 수신되는 R, G, B 신호에 대응하여, 광원 구동부(185) 내의 적색 광원부, 녹색 광원부, 청색 광원부에서, 각각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 구동부(185)는, 비디오 데이터,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따라 레이저 다이오드의 커런트 변조(current modulation)를 수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890)는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상기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전면 방향의 사람 존재 유무를 센싱하는 센싱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830)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100) 전면 방향의 고객(사람) 존재 유무, 고객의 체류 시간 등을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스크린(202)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부 이외에 입력부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스크린(202)은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거나, 별도의 터치 센서와 결합되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센싱부(830)가 소정 터치 센서, 예를 들어, 광학식 터치 센서를 구비하여, 스크린(202)을 직접적으로 터치하는 터치 입력과 스크린(202)의 소정 지점에 근접하는 근접 입력을 터치 입력으로써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170)는,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에 스크린(202)에 표시되는 소정 영상이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830)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830)는 고객 음성 또는 고객이 발생시키는 다양한 소리를 센싱하는 음성 센서, 고객의 위치를 센싱하는 위치 센서, 고객의 제스처 동작 등을 센싱하는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센서 또는 동작 센서는 적외선 감지 센서 또는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고객의 존재 유무,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고객 사이의 거리, 고객의 움직임 유무, 고객의 손동작, 고객의 키, 고객의 눈 높이 등을 센싱할 수 있다.
상술한 각 센서는 사용자의 음성, 터치, 위치, 동작들을 센싱한 결과를 별도의 센싱신호 처리부(미도시)로 전달하거나, 또는 센싱 결과를 1차적으로 해석하고 그에 상응하는 센싱 신호를 생성하여 프로세서(170)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830)는 상술한 센서 외에도, 다양한 방식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상기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전면 방향, 즉, 상기 스크린(202)의 전면을 촬영하는 카메라(8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825)는 상기 스크린(202)의 전면을 촬영한다. 상기 카메라(825)는 1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카메라(825)는 스크린(202)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825)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프로세서(170)에 입력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카메라(825)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830)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앞에 고객이 있는지 여부, 고객의 체류 시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70)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앞에 고객이 있는지 여부 에 따라서 스크린(202)에 표시되는 소정 영상이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선반 케이스의 내부 바닥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8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840)는, 통신 모듈(86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82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840)는, 프로세서(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시스템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프로젝터(110)는 소정 서버(900)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통신 모듈(도 8의 860)을 통하여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900)와 영상 및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프로세서(도 8의 170)는 수신한 영상 신호에 기초한 영상이 스크린(120) 상에 구현되도록 프로젝터(110) 등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100) 내 각 유닛들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별도의 선반 관리 시스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프로젝터(110)의 프로세서(170)가 아니라 선반 관리 시스템 유닛이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100) 내 각 유닛들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시스템의 소정 서버(900)는 복수의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서버(900)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 유/무선으로 영상 및 스케줄을 개별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 및/또는 선반 관리 시스템 유닛은 스케쥴(schedule)에 맞춰 영상을 재생하고, 센싱부(830)로부터의 센신 정보 획득 후에 서버(900)와 통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830)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전방의 고객 유무, 고객 수, 체류시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각 소정 서버(900a 내지 900n) 서버는, 매장 POS(point on sale)/CMS(contents management system)등 메인 서버(1000)와 연동되어 상품 가격, 광고, 재고현황, 고객 수 등의 다양한 변수들을 분석하여 실시간 정보들을 업데이트(update)할 수 있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열대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 디스플레이 2단 구조의 진열대의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열대(1000)는, 각각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100a, 100b), 상기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100a, 100b)과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암(Arm, 1110)과 상기 암(1110)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메인(main) 프레임(11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암(1110)은 상기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100a, 100b)과 결합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1110)은, 상기 메인 프레임(1100)의 측면에 상하로 소정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프레임(1100)과 상기 암(1110)은 일체형으로 제작되거나, 별도로 제작된 후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프레임(1100)과 상기 암(1110)을 먼저 조립한 후,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100a, 100b)을 암(1110)에 결합시켜 조립할 수 있다.
또는, 먼저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100a, 100b)을 암(1110)에 결합, 조립한 후, 상기 암(1110)을 상기 메인 프레임(1100)에 결합시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은,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쪽에, 진열되는 물건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복수의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100a, 100b)은, 각각,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선반 케이스, 상기 수납 공간의 전면에 배치되는 스크린, 및, 상기 수납 공간의 내부에 배치되고, 소정 영상을 상기 스크린으로 투사하는 프로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프로젝터는, 복수의 색상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서 출력되는 광을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스캐닝(Scanning)하는 스캐너, 영상을 포함하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부를 구동하는 광원 구동 신호 및 상기 스캐너를 구동하는 스캐너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반 케이스는, 상기 프로젝터가 고정되는 하판 케이스, 상기 하판 케이스와 상기 수납 공간을 형성하고 탈부착 가능한 상판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상판 케이스와 상기 하판 케이스의 상기 수납 공간의 전면 측 일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반 케이스는, 상기 상판 케이스에서 분리 가능한 엔진 조립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 진열대(1000)는 진열대(1000)의 강성 보강 및 안정적인 배치를 위하여 진열대 하단의 지지부(1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130)는 상기 메인 프레임(1100)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메인 프레임(1100)은 지지부(1130)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11에서는 선반 디스플레이 2단 구조의 진열대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열대는 3개 이상의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진열대는 하나의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거나, 진열대의 양측면 방향으로 복수의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을 배치할 수도 있다.
또는, 진열대는 강성 보강 및 안정적인 배치뿐만 아니라, 물건들을 수납할 수 있는 하단 적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재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1100)의 하단과 결합하여, 내부 적재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열대(1200)는, 각각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1300)을 포함할 수 있다.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1300)의 스크린(1305)에는 프로젝터가 투사하는 소정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품 진열 선반에 광고 동영상 및 이벤트 행사 안내가 가능하다. 상기 스크린(1305)에는 선반 맞춤형의 풀 컬러(full color) 동영상을 구현할 수 있고, 광고 동영상, 가격 정보, 이벤트 정보, 기타 관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크린(1305)은 터치스크린일 수 있고, 고객의 화면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1300)은 상기 화면 터치에 따라 상기 스크린(1305)에 표시되는 소정 영상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내 상품 중 고객이 터치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연관 상품을 소개하는 영상으로 표시 영상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열대(1200)에 포함되는 복수의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1300) 중 적어도 하나는, 각종 센서(1310)를 포함하는 센싱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1310)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전방의 고객 유무, 고객 수, 체류시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1300)은 전방의 고객 유무에 따라 상기 스크린(1305)에 표시되는 소정 영상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1300) 전방에 고객이 없는 경우에는 정지 화면 상태로 있다가 고객이 감지되면 동영상으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1300)은 통신 모듈을 통하여 서버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1300) 및/또는 서버는, 고객의 체류 시간 등 센싱 데이터와 POS 시스템을 비교하여 고객 관심도와 매출 영향을 분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열대(1200)에 포함되는 복수의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1300) 중 적어도 하나는, 스피커(1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1320)는 영상에 대응하는 오디오를 재생,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및 각종 상황, 동작을 센싱하여 고객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는 매출 증가와 광고 수입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100
프로젝터: 110
스크린: 120
선반 케이스: 130

Claims (20)

  1.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선반 케이스;
    상기 수납 공간의 전면에 배치되는 스크린; 및,
    상기 수납 공간의 내부에 배치되고, 소정 영상을 상기 스크린으로 투사하는 프로젝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터는, 복수의 색상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서 출력되는 광을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스캐닝(Scanning)하는 스캐너, 영상을 포함하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부를 구동하는 광원 구동 신호 및 상기 스캐너를 구동하는 스캐너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소정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센싱하는 터치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에 상기 소정 영상이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전면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전면 방향의 사람 존재 유무를 센싱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전면 방향의 사람 존재 유무에따라, 상기 소정 영상이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케이스의 내부 바닥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speak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소정 서버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광원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부를 구동하는 광원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스캐너 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스캐너의 수평 방향 스캐닝 및 수직 방향 스캐닝을 제어하는 스캐너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11.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과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암(Arm), 및,
    상기 암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메인(main)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은,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선반 케이스, 상기 수납 공간의 전면에 배치되는 스크린, 및, 상기 수납 공간의 내부에 배치되고, 소정 영상을 상기 스크린으로 투사하는 프로젝터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젝터는, 복수의 색상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서 출력되는 광을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스캐닝(Scanning)하는 스캐너, 영상을 포함하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부를 구동하는 광원 구동 신호 및 상기 스캐너를 구동하는 스캐너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면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대.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스크린의 소정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센싱하는 터치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에 상기 소정 영상이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대.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스크린의 전면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대.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전면 방향의 사람 존재 유무를 센싱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대.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전면 방향의 사람 존재 유무에따라, 상기 소정 영상이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대.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선반 케이스의 내부 바닥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speak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대.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소정 서버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대.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광원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부를 구동하는 광원 구동부, 및, 상기 스캐너 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스캐너의 수평 방향 스캐닝 및 수직 방향 스캐닝을 제어하는 스캐너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대.

KR1020160002381A 2016-01-08 2016-01-08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진열대 KR201700832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381A KR20170083213A (ko) 2016-01-08 2016-01-08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진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381A KR20170083213A (ko) 2016-01-08 2016-01-08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진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213A true KR20170083213A (ko) 2017-07-18

Family

ID=59430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381A KR20170083213A (ko) 2016-01-08 2016-01-08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진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32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98757B2 (ja) 製品情報表示用プロジェクタを有するディスプレイ棚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備えるモジュール型棚システム
US7954958B2 (en) Display shelf with a plurality of placing tables
TWI684172B (zh) 用於零售行銷的多投影機顯示盒
KR101392877B1 (ko) 디지털 쇼케이스 및 이를 포함한 디지털 쇼케이스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마케팅방법
CN108931881B (zh) 扫描投影仪
JP5444403B2 (ja) 画像投影方法及び画像投影システム
JP6981002B2 (ja) 陳列棚、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陳列棚システム
JP4999489B2 (ja) 陳列棚
KR20170083213A (ko)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진열대
KR102596100B1 (ko) 스캐닝 프로젝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KR102517612B1 (ko)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진열대
KR101720709B1 (ko) 쇼케이스
JP4981654B2 (ja) 画像投影方法及び画像投影システム
KR20170071813A (ko)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진열대
KR20190021964A (ko) 제품정보표시 및 구매제품결제를 지원하는 선반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선반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
KR20170071811A (ko)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KR101729018B1 (ko)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진열대
JP2008194121A (ja) 陳列棚
KR20180007570A (ko) 스캐닝 프로젝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JP2016090634A (ja)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