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2912A - Rotor, torque sensor and electronic power stee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Rotor, torque sensor and electronic power stee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2912A
KR20170082912A KR1020160002225A KR20160002225A KR20170082912A KR 20170082912 A KR20170082912 A KR 20170082912A KR 1020160002225 A KR1020160002225 A KR 1020160002225A KR 20160002225 A KR20160002225 A KR 20160002225A KR 20170082912 A KR20170082912 A KR 20170082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stopper
rotor
shaft sleev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2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20900B1 (en
Inventor
최호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2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900B1/en
Publication of KR20170082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9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9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02K1/2706Inner rotors
    • H02K1/272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 H02K1/274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the rotor consisting of two or more circumferentially positioned magnets
    • H02K1/2753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the rotor consisting of two or more circumferentially positioned magnets the rotor consisting of magnets or groups of magnets arranged with alternating polar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8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 B62D6/1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nsing or determining torqu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7Torqu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단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샤프트 슬리브 및 상기 샤프트 슬리브의 외주면과 접착 결합하며, 내측면의 일 영역에서 하측 단부까지 형성되는 복수의 저장홈을 구비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로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aft sleeve having a tubular main body and a stopper protruding from an end of the main body, and a plurality of storage grooves which are join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sleeve, And a magnet provided on the rotor.

Description

로터, 이를 포함하는 토크 센서와 전동식 조향장치{ROTOR, TORQUE SENSOR AND ELECTRONIC POWER STEE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or, a torque sensor including the rotor,

실시예는 결합력을 향상시킨 마그네트가 연결되는 로터, 이를 포함하는 토크 센서와 전동식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relate to a rotor to which a magnet having improved coupling force is connected, a torque sensor including the rotor, and an electric steering system.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향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장치로 별도의 동력으로 보조하는 조향장치가 사용된다.Generally, a separate power assisted steering device is used as a device for ensuring the stability of steering of a vehicle.

이와 같은 보조 조향장치는 유압을 이용한 장치를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동력의 손실이 적고 정확성이 우수한 전동식 조향장치(Electronic Power Steering System)가 사용된다.In such an auxiliary steering apparatus, an apparatus using hydraulic pressure is used, but in recent years, an electronic power steering system having less power loss and excellent accuracy is used.

상기와 같은 전동식 조향장치(EPS)는 차속센서, 앵글센서 및 토크센서 등에서 감지한 운행조건에 따라 전자제어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에서 모터를 구동하여 선회 안정성을 보장하고 신속한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electric steering system (EPS) operates the motor in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according to the driving conditions sensed by the vehicle speed sensor, the angle sensor, and the torque sensor to ensure swing stability and provide quick restoring force Ensure safe driving for the driver.

그런데, 이러한 동력장치가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는 힘에 개입하기 위해서는 조향축에 걸리는 토크나 조향각 뿐만 아니라, 조향각 속도를 측정할 필요성이 있다. However, in order for this power unit to intervene in the force for operating the steering wheel,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steering angle velocity as well as the torque and the steering angle applied to the steering shaft.

일반적으로 조향축의 회전 각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앵글센서를 사용하고, 조향 토크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토크 센서를 사용하지만, 최근에는 토크와 회전 각도를 하나의 센서에서 감지할 수 있는 토크 앵글 센서(TAS)가 많이 사용된다. In general, an angle sensor is used to measure the rotation angle of the steering shaft, and a torque sensor is used to measure the steering torque. Recently, a torque angle sensor (TAS) It is widely used.

그러나, 이러한 조향각이나 조향각 속도를 검출하는 토크 앵글 센서는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고장이나 오작동의 확률이 높아, 인덱스 센서(Index Sensor) 방식의 토크 인덱스 센서(Torque Index Sensor: TIS)가 사용되기도 한다.However, the torque angle sensor for detecting the steering angle and the steering angle velocity is complicated in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probability of failure or malfunction is high, and a torque index sensor (TIS) of the index sensor type is also used.

한편, 토크 앵글 센서(TAS)나 토크 인덱스 센서(TIS) 등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마그네트는 대략 링 형상(ring shape)으로 형성되며, 요크에 상하 유동이 규제될 수 있도록 고정된다.On the other hand, the magnet commonly used in the torque angle sensor TAS, the torque index sensor TIS, etc.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ing shape and fixed to the yoke so that the upward and downward flow can be regulated.

그런데, 이와 같이 마그네트를 상하 방향으로만 고정할 경우,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마그네트에 금이 가거나, 깨지는 손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깨진 마그네트가 마그네트의 원주방향으로 이탈되어 설치된 위치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리된 마그네트는 주변에 설치된 다른 센서들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으며, 손상이 발생된 마그네트는 정상적으로 자기장을 형성하지 못하므로, 조향축의 토크를 측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magnet is fixed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agnet is cracked or broken due to an external impact or the like, the broken magnet can be separated from the installed position by being detach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magnet. The magnet thus separated may damage other sensors installed around the magnet, and the magnet having the damage can not normally form a magnetic field, so that the torque of the steering shaft can not be measured.

실시예는 차량용 조향축 등의 토크를 감지하는 센서에 사용되는 마그네트에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최초 장착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장착구조가 개선된 로터, 이를 포함하는 토크 센서와 전동식 조향장치 제공한다.Embodiments provide a rotor with improved mounting structure, a torque sensor including the same, and an electric steering apparatus such that even if a magnet is used in a sensor for sensing torque of a steering shaft for a vehicle, breakage occurs, the steering mechanism is not released from the initial mounting position.

또한, 마그네트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ucture for improving the adhesive force of magnet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here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관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샤프트 슬리브; 및 상기 샤프트 슬리브의 외주면과 접착 결합하며, 내측면의 일 영역에서 하측 단부까지 형성되는 복수의 저장홈을 구비하는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at assembly comprising: a shaft sleeve having a tubular body and a stopper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body; And a magnet having a plurality of storage grooves that are bond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sleeve and formed from one area to the lower area of the inner surface.

상기 저장홈은 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torage groove may be formed in a linear shape.

상기 저장홈은 상기 내측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torage grooves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inner surface.

상기 마그네트는 N극과 S극이 교대로 배열되며, 상기 저장홈은 상기 N극과 상기 S극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The magnet may have N poles and S poles alternately arranged, and the storage groove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N poles and the S poles.

상기 스토퍼는 본체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stopper may be bent at an end of the main body.

상기 스토퍼에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마그네트에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An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the stopper, and a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may be formed in the magnet.

상기 스토퍼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마그네트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를 구비될 수 있다.The stopper may have at least one fixing groove, and the magnet may include at least one fix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상기 스토퍼는 상기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폭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topper may have a predetermined width along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상기 삽입홈은 상기 스토퍼를 따라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sertion groove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long the stopper.

상기 과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술된 로터; 및 스테이터를 포함하는 토크 센서에 의해서 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roto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a torque sensor including a stator.

상기 과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로터 및 스테이터를 포함하는 토크센서를 포함하는 전동식 조향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orque sensor including the rotor and the sta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rranged inside the housing.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충격에 의해 마그네트가 깨지더라도, 최초 본딩 된 위치로부터 이탈되어 다른 부품들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even if the magnet is broken by an external impact,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originally bonded position and damaging other parts.

또한, 마그네트 내측면에 본드 저장홈을 형성하여 접착강도를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bonding strength can be increased by forming a bond storage groove in the inner side of the magnet.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various and advantageous advantag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in the course of describ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로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구성요소인 마그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저장홈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마그네트의 저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크센서의 분해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FIG. 4 is a view showing a magnet as a component of FIG. 1,
FIG. 5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storage groove of FIG. 4,
Fig. 6 is a bottom view of the magnet of Fig. 4,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orque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embodiments.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2 구성 요소는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1 구성 요소도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element가 다른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in the case where one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n or under" another element, the upper (upper) or lower (lower) or under are all such that two elem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or one or more other elements are indirectly formed between the two elements. Also, when expressed as "on or under", it may include not only an upward direction but also a down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one ele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 내지 도 6는,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1 to 6 are intended to clearly illustrate major feature parts only in order to provide a conceptual and clea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s a result various variations of the illustrations are to be expected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by the specific shapes shown in the drawings It does not need to b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로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로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마그네트의 결합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otor,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gnet in a coupled stat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터(1)는 샤프트 슬리브(100)와 마그네트(2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a ro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haft sleeve 100 and a magnet 200.

샤프트 슬리브(100)는 조향축(미도시)와 연결되며, 조향축과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조향축은 샤프트 슬리브(100)의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샤프트 슬리브(100)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조향축이 삽입될 수 있다.The shaft sleeve 100 is connected to a steering shaft (not shown) and can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steering shaft. The steering shaft can be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sleeve 100, and the shaft sleeve 100 can be formed in a tubular shape so that the steering shaft can be inserted.

샤프트 슬리브(100)는 내주면이 조향축(미도시)와 연결되는 관 형상의 본체(110)와 본체(110)의 단부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스토퍼(1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haft sleeve 100 may include a tubular main body 110 hav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onnected to a steering shaft (not shown) and a stopper 130 protruding from an end of the main body 110.

본체(110)는 조향축(미도시)과 연결되어 조향축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본체(110)와 조향축의 연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main body 110 is connected to a steering shaft (not shown) and can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shaft.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steering shaft, and the steering shaft can be connected in various ways.

스토퍼(130)는 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마그네트(200)와 결합시, 마그네트(200)의 결합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The stopper 130 protrudes outward from the main body 110 and can fix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magnet 200 when the magnet 200 is coupled with the magnet 200.

스토퍼(130)는 본체(110)의 하측 단부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30)는 본체(11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마그네트(200)를 지지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스토퍼(130)의 형상을 본체(110) 하부 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110)의 하부 측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스토퍼(130)가 구비되어 마그네트(200)를 지지할 수 있다.The stopper 130 may protrude outward along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10. The stopper 130 may have a predetermined width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to support the magnet 200. 2, the shape of the stopper 130 is shown to protrude outwar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1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Stoppers 130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magnets 200.

일실시예로, 스토퍼(130)는 본체(110)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마그네트(200)를 지지할 수 있다. 스토퍼(130)는 본체(11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폭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스토퍼(130)에는 삽입홈(132)이 형성되어 마그네트(200)에 구비되는 돌출부(240)가 삽입될 수 있다. 삽입홈(132)의 형상은 돌출부(240)의 형상에 따라 변형될 수 있으며, 삽입홈(132)은 스토퍼(130)를 따라 원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130)의 폭은 마그네트(200)의 폭보다 좁게 마련되어 로터(1)의 내부공간을 확보하고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opper 130 may be bent at the end of the body 110 to support the magnet 200. The stopper 130 may have a predetermined width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The stopper 130 may have an insertion groove 132 to receive the protrusion 240 of the magnet 200 . The shape of the insertion groove 132 may be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protrusion 240 and the insertion groove 132 may be formed in a circular band shape along the stopper 130. Also, the width of the stopper 130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magnet 200, thereby secur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rotor 1 and reducing the material cost.

스토퍼(130)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134)이 형성되어 마그네트(2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230)와 결합할 수 있다. 고정홈(134)은 마그네트(200)와 샤프트 슬리브(100)가 결합시 마그네트(200)의 위치를 지정하여 정확한 방향에 마그네트(200)가 고정되도록 하며, 회전에 의해 마그네트(20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고정홈(134)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정간격으로 마련되어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At least one fixing groove 134 may be formed in the stopper 130 to engage with at least one fixing protrusion 230 provided on the magnet 200. The fixing groove 134 designates the position of the magnet 200 when the magnet 200 and the shaft sleeve 100 are coupl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magnet 200 is fixed in the correct direction and the magnet 200 is detached Can be prevented. 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fixing grooves 134 may be provided, and the fixing grooves 134 may b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to improve the fixing force.

마그네트(200)는 샤프트 슬리브(10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magnet 200 may be installed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rotation of the shaft sleeve 100.

마그네트(200)는 샤프트 슬리브(100)의 외주면과 접착 결합하며, 저장홈(220), 고정돌기(230), 요철부 및 돌출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gnet 200 is adhesively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sleeve 100 and may include a storage groove 220, a fixing protrusion 230, a concave and convex portion, and a protrusion 240.

저장홈(220)은 마그네트(200) 내측면의 일 영역에서 하측 단부까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샤프트 슬리브(100)와 마그네트(200)를 결합시 접착결합을 하게 된다. 이때 샤프트 슬리브(100)와 마그네트(200) 사이에는 본드를 사용하여 결합을 하게 되는데, 마그네트(200)와 샤프트 슬리브(100) 사이의 간격이 작아 마그네트(200)를 삽입시 본드가 밀려 내려가는 현상이 발생한다. 두 부품 사이에 본드량이 적어짐에 따라, 마그네트(200)와 샤프트 슬리브(100) 사이의 접착력이 저하된다.The storage grooves 220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ways from one area to the lower area of the inner side of the magnet 200. Generally, when the shaft sleeve 100 and the magnet 200 are combined, they are bonded together. The gap between the magnet 200 and the shaft sleeve 100 is small so that the phenomenon that the bond is pushed down when the magnet 200 is inserted Occurs. As the amount of the bond between the two parts decreases,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magnet 200 and the shaft sleeve 100 decreases.

또한, 마그네트(200)가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 접착력의 약화로 마그네트(200)가 이탈을 하게 되어 마그네트(200)는 주변에 설치된 다른 센서들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으며, 손상이 발생된 마그네트(200)는 정상적으로 자기장을 형성하지 못하므로, 조향축의 토크를 측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magnet 200 is cracked, the magnet 200 detaches due to the weakening of the adhesive force,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magnet 200 may damage other sensors installed around the magnet 200,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orque of the steering shaft can not be measured.

저장홈(220)은 마그네트(200)의 삽입방향인 일측은 개방되며, 일측은 폐쇄되는 형상을 가져, 마그네트(200)가 샤프트 슬리브(100)와 결합시 저장홈(220)으로 본드가 저장되어 본드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저장홈(220)은 선형으로 형성되어 마그네트(200) 삽입시 본드가 저장홈(220)의 폐쇄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저장홈(22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저장홈(220)에 저장된 본드는 샤프트 슬리브(100)와 마그네트(200) 사이의 결합결을 증대시켜, 마그네트(200)에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어 종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One side of the storage groove 220 which is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magnet 200 is opened and one side is closed so that the bond is stored in the storage groove 220 when the magnet 200 is coupled with the shaft sleeve 1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ond from flowing down. In addition, the storage groove 220 may be formed in a linear shape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bond to the closed region of the storage groove 220 when the magnet 200 is inserted. The shape of the storage groove 220 is not limited,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As described above, the bond stored in the storage groove 220 increases coupling between the shaft sleeve 100 and the magnet 200, so that even when cracks are generated in the magnet 200, the bonding force can be maintained, Can be solved.

고정돌기(230)는 마그네트(200) 하부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어 스토퍼(130)에 형성되는 고정홈(134)과 연결될 수 있다. 고정돌기(23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며, 고정홈(134)과 결합하기 위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고정돌기(230)는 마그네트(200)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하며, 샤프트 슬리브(100)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마그네트(200)가 이탈되지 않도록 마그네트(200)를 지지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xing protrusions 230 may be formed under the magnet 20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fixing groove 134 formed in the stopper 130.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shape of the fixing protrusion 230, and various modifications for coupling with the fixing groove 134 are possible. The fixing protrusion 230 guides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magnet 200 and can support the magnet 200 so that the magnet 200 is not separated by the centrifugal force when the shaft sleeve 100 rotates.

요철부(250)는 마그네트(200)의 상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요철부(250)는 지그(미도시)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쐐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요철부(250)의 요철 형상은 미세한 라인 형상의 홈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단수 또는 복수의 돌기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25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gnet 20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 250 may be formed in a wedge shape to facilitate coupling with a jig (not shown). The concavo-convex shape of the concave-convex portion 250 may be formed by a fine line-shaped groove, or may be formed by a single or multiple projections.

따라서 요철부(250)는 지그의 일단과 접촉하여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로터(1)의 중점 조정시, 지그를 통해 요철부(250)는 정확한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Therefore,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 250 can come into contact with one end of the jig to provide a frictional force. Accordingly, when adjusting the center of the rotor 1,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 250 can receive accurate rotational force through the jig.

돌출부(240)는 마그네트(2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스토퍼(130)의 삽입홈(132)에 삽입된다. 일실시예로, 돌출부(240)는 마그네트(200) 하부에서 타원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삽입홈(132)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홈(132)에는 마그네트(200)와 샤프트 슬리브(100)의 결합시 흐르는 본드가 저장될 수 있으며, 돌출부(240)는 삽입홈(132)으로 흐른 본드에 의해 샤프트 슬리브(100)와 결합하며,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홈(132)은 마그네트(200)가 삽입시 흘러나오는 본드 전체를 수용하여 마그네트(200)와 샤프트 슬리브(100)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otrusion 240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gnet 200 a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32 of the stopper 130. In one embodiment, the protrusion 240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n ellipse at the bottom of the magnet 200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32. The insertion groove 132 may store a bond that flows when the magnet 200 and the shaft sleeve 100 are coupled with each other and the protrusion 240 is coupled with the shaft sleeve 100 by a bond that flows into the insertion groove 132 The insertion groove 132 formed in a circular shape can receive the entire bond that flows out when the magnet 200 is inserted and further improv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magnet 200 and the shaft sleeve 100.

도 4는 로터(1)의 구성요소인 마그네트(20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마그네트(200)의 저장홈(220)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마그네트(200)의 저면도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storage groove 220 of the magnet 200 and FIG. 6 is a plan view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gnet 200. FIG. 4 is a view showing the magnet 200 as a component of the rotor 1, to be.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마그네트(200)의 내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저장홈(220)이 형성되며, 마그네트(200)의 하부에는 복수의 고정돌기(230)가 일정간격으로 위치할 수 있다.4 to 6, a plurality of storage grooves 220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gnet 200 that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230 May be positioned at regular intervals.

마그네트(200)는 N극과 S극이 교대로 배열되며, 저장홈(220)을 N극과 S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환형으로 형성되는 마그네트(200)는 N극와 S극이 번갈아 가면서 존재하므로 저장홈(220)을 마그네트(200)의 극 분할 위치의 중앙에 형성하여 저장홈(220) 형성에 따른 마그네트(200)의 자속 값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magnet 200 may be formed by alternately arranging the N pole and the S pole, and the storage groove 220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N pole and the S pole. Since the annularly formed magnet 200 alternately exists between the N pole and the S pole, the storage groove 22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ole division position of the magnet 200, It is possible to prevent a change in the magnetic flux value from occurring.

고정돌기(230)는 마그네트(200) 하부에 형성되는 돌출부(240)의 외측에 형성되어 스토퍼(130)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돌기(230)는 샤프트 슬리브(100)의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각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마그네트(20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The fixing protrusion 230 may b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protrusion 240 formed under the magnet 20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stopper 130. The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230 may be arranged to have a certain angle from the center of the shaft sleeve 100 to stably fix the magnet 200.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크 센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torque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ame parts as those described in the ro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크센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6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orque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7,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in Figs. 1 to 6 denote the same member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크 센서(2)는 조향축(미도시)의 토크를 측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torque sensor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easure the torque of a steering shaft (not shown).

토크 센서(2)는 로터(1), 스테이터(300) 및 하우징(4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300)은 상부 케이스(410)와 하부 케이스(4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orque sensor 2 may include a rotor 1, a stator 300, and a housing 400. Here, the housing 300 may include an upper case 410 and a lower case 420.

하우징(300)의 상부 케이스(410)와 하부 케이스(420)는 서로 결합되어 토크 센서(2)의 외형을 형성하고, 하우징(300)의 내부에는 로터(1)와 스테이터(300)가 배치될 수 있다.The upper case 410 and the lower case 420 of the housing 300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n outer shape of the torque sensor 2 and the rotor 1 and the stator 300 ar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300 .

상기 로터(1)는 상기 조향축과 연결되어, 상기 조향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터(1)는 스테이터(3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rotor (1) is connected to the steering shaft and can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shaft. The rotor 1 may be disposed inside the stator 30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조향장치(EPS)는 상기 토크 센서(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torque sensor 2.

여기서, 상기 토크 센서(2)는 전동식 조향장치의 조향축에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torque sensor 2 may be connected to the steering shaft of th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substitu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d not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로터
2 : 토크 센서
100 ; 샤프트 슬리브
110 : 본체
130 : 스토퍼
132 : 삽입홈
134 : 고정홈
200 : 마그네트
220 : 저장홈
230 : 고정돌기
240 : 돌출부
250 : 요철부
300 : 스테이터
400 : 하우징
1: Rotor
2: Torque sensor
100; Shaft sleeve
110:
130: Stopper
132: insertion groove
134: Fixing groove
200: Magnet
220: store home
230: Fixing projection
240: protrusion
250: uneven portion
300:
400: housing

Claims (11)

관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샤프트 슬리브; 및
상기 샤프트 슬리브의 외주면과 접착 결합하며, 내측면의 일 영역에서 하측 단부까지 형성되는 복수의 저장홈을 구비하는 마그네트
를 포함하는 로터.
A shaft sleeve having a tubular body and a stopper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body; And
And a plurality of storage grooves which are bond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sleeve and are formed from one region of the inner side surface to a lower end portion of the shaft sleeve,
≪ / RTI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홈은 선형으로 형성되는 로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orage groove is linearly form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홈은 상기 내측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로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orage groov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inner surfa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N극과 S극이 교대로 배열되며,
상기 저장홈은 상기 N극과 상기 S극의 중앙에 형성되는 로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gnet has N poles and S poles alternately arranged,
And the storage groov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N pole and the S pol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본체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로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opper is bent at an end of the main bod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에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마그네트에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로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opper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Wherein the magnet is formed with a protrusion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마그네트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를 구비하는 로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fixing groove is formed in the stopper,
Wherein the magnet has at least one fix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폭 가지도록 구비되는 로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topper
The rotor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long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스토퍼를 따라 원형으로 형성되는 로터.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long the stopper.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로터; 및
스테이터
를 포함하는 토크 센서.
housing;
A ro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rranged inside the housing; And
The stator
.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로터 및 스테이터를 포함하는 토크센서
를 포함하는 전동식 조향장치.
housing;
A torque sensor including a rotor and a sta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disposed inside the housing;
.
KR1020160002225A 2016-01-07 2016-01-07 Rotor, torque sensor and electronic power stee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6209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225A KR102620900B1 (en) 2016-01-07 2016-01-07 Rotor, torque sensor and electronic power stee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225A KR102620900B1 (en) 2016-01-07 2016-01-07 Rotor, torque sensor and electronic power stee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912A true KR20170082912A (en) 2017-07-17
KR102620900B1 KR102620900B1 (en) 2024-01-05

Family

ID=59443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225A KR102620900B1 (en) 2016-01-07 2016-01-07 Rotor, torque sensor and electronic power stee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900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8729A (en) * 2009-03-30 2010-10-08 주식회사 만도 Torque ro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120120852A (en) * 2011-04-25 2012-11-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Rotor for torque sensor
KR20130022283A (en) * 2011-08-25 2013-03-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Anti-separating structure of torque magnet
KR20140083782A (en) * 2012-12-26 2014-07-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Non-contacting type torque sensor for magnet prevention
JP2014190850A (en) 2013-03-27 2014-10-06 Showa Corp Rotation angle detection device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KR20150053901A (en) * 2012-09-18 2015-05-19 히타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스티어링 가부시키가이샤 Torque senso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8729A (en) * 2009-03-30 2010-10-08 주식회사 만도 Torque ro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120120852A (en) * 2011-04-25 2012-11-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Rotor for torque sensor
KR20130022283A (en) * 2011-08-25 2013-03-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Anti-separating structure of torque magnet
KR20150053901A (en) * 2012-09-18 2015-05-19 히타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스티어링 가부시키가이샤 Torque sensor
KR20140083782A (en) * 2012-12-26 2014-07-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Non-contacting type torque sensor for magnet prevention
JP2014190850A (en) 2013-03-27 2014-10-06 Showa Corp Rotation angle detection device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900B1 (en) 2024-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5396B2 (en) Stator assembly and torque measuring device
US10161815B2 (en) Rotor, and torque sensor and electronic power stee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JP5628883B2 (en) Motor sensing magnet assembly
KR101787755B1 (en) Anti-seperating structure of sensing magnet for eps motor
KR102363168B1 (en) Apparatus for sensing
JP2017533407A (en) Torque sensor device
US20190178733A1 (en) Sensor apparatus
KR102385207B1 (en) Rotor, torque sensor and electronic power stee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862866B1 (en) Anti-Separating structure of torque magnet
CN108474699A (en) Stator retainer, stator module, the method for assembling stator module, the torque sensor device with stator module and stator retainer, and the motor vehicles with torque sensor device
KR20170082912A (en) Rotor, torque sensor and electronic power stee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140083782A (en) Non-contacting type torque sensor for magnet prevention
US20230038153A1 (en) Sensing device
US11719587B2 (en) Sensing device
KR101939393B1 (en) Anti-Separating structure of torque magnet
KR102224462B1 (en) Rotor, torque sensor and electronic power stee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US10432068B2 (en) Sensing unit and motor using the same
US20200348196A1 (en) Sensing device
JP2012194143A (en) Torque sensor
KR102656073B1 (en) Apparatus for sensing
KR101890597B1 (en) Sensing magnet apparatus for eps motor
KR102105643B1 (en) Torque sensor unit
US20210175760A1 (en) Sensing device
KR101656939B1 (en) Torque sensor unit
KR20160081137A (en) Torque angle sensor module and apparatus for sensing steering angle of vehicl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