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2671A - 온수 무한 공급형 전기순간온수기 - Google Patents

온수 무한 공급형 전기순간온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2671A
KR20170082671A KR1020160001378A KR20160001378A KR20170082671A KR 20170082671 A KR20170082671 A KR 20170082671A KR 1020160001378 A KR1020160001378 A KR 1020160001378A KR 20160001378 A KR20160001378 A KR 20160001378A KR 20170082671 A KR20170082671 A KR 20170082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heating
pipe
wat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건영
김영학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타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타임텍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01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2671A/ko
Publication of KR20170082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6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01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 F24H1/121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속하게 유체를 목적하는 온도로 가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일러의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하고, 또 상기 유체를 가열하는 전기에너지의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온수 무한 공급형 전기순간온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통형의 본체(10) 일 측에는 유체공급구(11)가 설치되고, 타 측에는 유체배출구(12)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유체공급구(11)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가열하는 가열선(40)이 설치된 유체가열 관(30)을 배열하되, 그 유체가열 관은 본체의 내부 일 측에서 타 측에 이르는 직관(31)이 복수 개 배열되고, 그 복수 개의 직관 중 인접한 직관의 상/하단은 곡관(32)으로 상호 연결 설치되어 직관이 상호 연결되게 구성시키며, 상기 각 가열 선은 제어부(C)와 연결 설치되어 그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각 가열 선의 전원공급 및 차단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온수 무한 공급형 전기순간온수기{Electric hot water heater}
본 발명은 신속하게 유체를 목적하는 온도로 가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일러의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하고, 또 상기 유체를 가열하는 전기에너지의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온수 무한 공급형 전기순간온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순간온수장치는 그 용량 또는 가열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으며, 소형인 경우 즉 비데 등에 적용되는 비교적 용량이 작은 간이형은 가열수단을 수로에 직접 설치하여 유체를 가열 사용하고, 대형의 경우에는 버너 등을 이용하여 유체를 가열 사용한다.
종래의 순간온수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물이 공급되는 원통형의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에 연통되는 배출관(102)과, 하우징(110) 내부에 삽입되어 유입되는 물을 가열하는 히터(130)와, 하우징(110) 일단부를 커버하는 캡(120)과, 하우징(110) 내의 잔수를 배출하도록 캡(120)에 장착된 배수수단(150)으로 크게 구성된다.
여기서, 캡(120) 내측으로는 홀(151a)이 형성된 패킹부재(151)가 장착되고, 패킹부재(151)의 홀(151a)을 개폐하도록 원판이 형성되어 캡(120)에 끼워져 설치되는 누름밸브(152)가 설치된다. 여기서 누름밸브(152)의 일단은 캡(120)의 홀(121)에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은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부재(154)의 홀에 끼워지는 형태로 장착된다. 여기서 가이드부재(154)와 원판사이에는 탄성스프링(153)이 개재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히터(130)의 구동을 제어하는 히팅제어부가 장착된 제어부가 하우징(110)과 별도로 구성되고, 제어부 및 히팅제어부를 냉각시키도록 히트싱크등의 방열부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종래의 순간온수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급수기를 통해 히터(130) 내부로 물이 공급된 상태에서 제어부를 통해 히터(130)를 구동시키면 히터(130)를 통과한 물은 온도가 상승되고 배출관(102)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하우징(110) 일단에 장착된 패킹부재(151)의 홀(151a)을 누름밸브(152)의 원판이 밀폐하고 있는 상태로 온수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목적하고자 하는 온수의 양을 모두 소진한 후, 하우징(110) 내에 잔존하는 잔수를 배수해야 하는데, 이는 캡(120) 외부로 노출되는 누름밸브(152)의 일단을 눌러 패킹부재(151)와 누름밸브(152)의 원판이 이격되게 함으로써 캡(120)의 홀(121)을 통해 배수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이는 순간온수장치(100) 생산 후 하우징(100) 내에 물이 잔존하였을 경우, 겨울철 동작 중 동파에 의해 장치(1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누름밸브(152)의 원판과 가이드부재(154) 사이에 개재된 탄성스프링(153)이 하우징(110) 내부에 장착된 이유로 항상 온수에 노출되게 됨으로써 부식되거나, 장시간 사용함에 있어서 탄성력이 저하되어 누름밸브(152)의 원판이 패킹부재(151)를 원활하게 밀폐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패킹부재(151)의 홀(151a)을 통해 온수가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가이드부재(154)를 비롯한 여러 부품을 장착하게 됨으로써 조립비용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히터(130) 내부를 통과하여 가열된 온수가 히터(130) 외면을 통해 배출관(102)으로 배출될 때, 그 끝단 모서리부가 각진 홀을 형성하고 있는 이유로 배출관(102) 측으로 원활히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하우징(110)과 별도로 제어부가 제작되고, 히터(130)를 제어하는 히팅제어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방열부가 제어부에 추가로 장착됨으로써 원가 상승 및 제어부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보일러는 주지하고 있는 바와 같이, 석유, 가스 등의 연료와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열에너지를 발생하고, 열에너지와 물의 열 교환에 의하여 난방수 또는 온수를 생성하는 장치로 에너지원에 따라 기름보일러, 가스보일러, 전기보일러로 나누어진다.
상기 석유, 가스 등의 연료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연소방식 보일러는 버너에 의하여 연료를 연소하여 열에너지를 발생하며, 열에너지와 펌프의 작동에 의하여 배관을 순환하는 물을 열 교환하여 난방수를 생성한다.
그러나 연소방식 보일러는 연료의 저장, 공급, 연소, 배기 등에 많은 부품이 사용되어 고가이고,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연소방식 보일러는 버너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의 공급과 배기가스의 누출로 인한 가스중독 사고의 예방을 위하여 통풍이 원활하면서도 난방 영역과 격리되어 있는 별도의 보일러실을 마련하여 설비해야 하므로, 보일러와 난방 영역 사이에 설비되는 배관의 길이가 복잡하고 길어져 열에너지의 손실이 크고, 시공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가스보일러의 경우, 가스의 누출로 인한 가스 중독 및 폭발 사고는 인명과 재산의 막대한 손실을 야기하므로, 버너와 배관 등의 주기적인 점검이 요구되는 등 가동이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이 있다.
한편으로, 전기보일러는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연소방식 보일러에 비하여 설치와 가동이 간편한 장점이 있으나, 고장이 쉽게 발생하고, 에너지 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전기보일러의 가동비를 절감하기 위하여 전기료가 할인되는 심야(22:00∼익일 08:00)시간에 가동하여 90℃ 정도의 온수를 생성한 후 저장하고, 사용자가 필요한 시간에 온수를 사용하는 심야 축열식 전기보일러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다양하게 개발된 전기보일러 중 그 대표적인 것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히팅코일(5)이 내장되고 진공으로 밀폐된 히팅관(7)과, 상기 히팅관(7)과 이를 감싸는 열전달 매개체(6)를 내부에 포함하는 밀폐관(8)과, 보일러 케이스(1)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다수의 상기 밀폐관(8)과 난방수로 채워지며 난방수의 유입과 유출을 위한 유입부(4)와 배출부(3)가 포함된 물탱크(2)와, 상기 물탱크에 내설된 온도센서와 난방수 설정온도 및 보일러 작동 스위치의 신호를 받아 상기 히팅코일(5)에 가해지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여 난방수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9)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종래 전기보일러는 물탱크(2)의 물을 가열할 때에, 히팅코일(5)에 전원을 공급하여 1차로 히팅관(7)을 가열하고, 그 가열된 히팅관(7)은 2차로 열전달 매개체(6)를 가열하며, 그 가열된 열전달 매개체(6)는 3차로 밀폐관(8)을 가열하고, 그 가열된 밀폐관(8)은 4차로 물탱크(2)의 물을 가열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의 종래 물 가열방법은, 히팅코일(5)에서 출발하여 히팅관(7)→열전달매개체(6)→ 밀폐관(8)→물탱크(2)의 물을 순차적으로 가열해야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신속한 가열이 이루어지지 못함은 물론, 열손실이 많아 전력이 많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물탱크(2)의 물 가열은, 밀폐관(8)의 표면과 접촉된 부분에서부터 그 외부로 점차 영역을 확장하며 가열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열 손실은 물론, 신속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전력(에너지)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상기의 종래 물탱크의 물 가열방식은, 밀폐 관(8)이 고열로 가열되게 되면 그 가열된 밀폐관(8)의 표면에서 열기가 발생하게 되고, 그 열기에 의해 밀폐관(8)의 표면과 그 표면과 접촉되는 물간에 미세 간극이 형성됨은 물론, 밀폐관(8)의 표면에 기포와 수막이 발생하게 되어 밀폐 관(8)의 열이 물에 100% 전달되지 못함으로(실제 70~80%) 그에 따른 전력(에너지) 소모량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공보 제0817504호(2008.03.21)에서와 같이, 외부탱크와, 상부탱크 및 하부탱크와, 상하부탱크를 연결하는 연결 관과, 히팅 선과, 보조탱크와, 에어배출구로 이루어진 전기보일러를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한 기술은 유체가 히팅선에 직접 접촉되며 진행하는 상태로 가열되게 함으로써 유체의 가열을 신속하게 함은 물론 종래 문제점으로 제기되던 물과 가열수단 간의 미세 간극, 기포, 수막이 발행하지 않음으로 가열효율이 좋아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하고, 또 최소의 전력으로 최대의 열효율을 발휘하여 난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그러나 에너지 절약을 위해 유체를 더욱 신속하게 가열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고, 또 유체의 가열로 인한 부피 팽창시 이를 효과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파손을 줄이도록 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첫째, 유체와 가열선의 접촉시간 증가로 유체의 가열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적은 량의 전기에너지로도 유체를 효과적으로 가열하여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둘째, 단시간 내에 유체를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어 전기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셋째, 순간온수장치로 보일러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한 온수 무한 공급형 전기순간온수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통형의 본체(10) 일 측에는 유체공급구(11)가 설치되고, 타 측에는 유체배출구(12)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유체공급구(11)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가열하는 가열선(40)이 설치된 유체가열 관(30)을 배열하되, 그 유체가열 관은 본체의 내부 일 측에서 타 측에 이르는 직관(31)이 복수 개 배열되고, 그 복수 개의 직관 중 인접한 직관의 상/하단은 곡관(32)으로 상호 연결 설치되어 직관이 상호 연결되게 구성시키며, 상기 각 가열 선은 제어부(C)와 연결 설치되어 그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각 가열 선의 전원공급 및 차단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유체가열 관(30)은 본체의 내부에 종 또는 횡 방향으로 2열 이상 배열시키고, 상기 유체공급구(11) 및 유체배출구(12)에는 상기 2열 이상 배열된 유체가열 관(30)의 각 단부와 연결 설치되는 분기 관(13.14)이 설치되며, 상기 가열선(40)은 유체가열 관(30)의 내부 또는 외부 표면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되고, 상기 유체공급구(11) 또는 유체배출구(12) 중 어느 일 측 또는 양측 모두에는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유체온도측정센서(S1.S2)가 설치된다.
또 상기 본체(10)의 일 측에는 난방목적지에 배열된 유체순환 관(20)을 순환하고 돌아온 유체를 공급받는 유체공급 관(15)이 설치되고, 상기 본체(10)의 타 측에는 유체공급 관(15)으로 공급받은 유체를 유체가열 관(30)의 열과 열 교환 된 후 배출되어 상기 유체순환 관(20)으로 재공급되는 유체배출 관(16)이 설치되며, 상기 유체공급 관 (15) 또는 유체배출 관(16) 중 어느 일 측 또는 양측 모두에는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유체온도측정센서(S3.S4)가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온수 무한 공급형 전기순간온수기는 유체와 가열선의 접촉시간 증가로 유체의 가열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적은 량의 전기에너지로도 유체를 효과적으로 가열하여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또 단시간 내에 유체를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어 전기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순간온수장치로 보일러 기능을 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순간 온수장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전기보일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 예에 따른 온수 무한 공급형 전기순간온수기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제2실시 예에 따른 온수 무한 공급형 전기순간온수기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제3실시 예에 따른 온수 무한 공급형 전기순간온수기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제4실시 예에 따른 온수 무한 공급형 전기순간온수기 구성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전열선이 직관에 설치된 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온수 무한 공급형 전기순간온수기에 보일러 기능이 추가된 상태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온수 무한 공급형 전기순간온수기 회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온수 무한 공급형 전기순간온수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온수 무한 공급형 전기순간온수기는 통형의 본체(10) 일 측에는 유체공급구(11)가 설치되고, 타 측에는 유체배출구(12)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유체공급구(11)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가열하는 가열선(40)이 설치된 유체가열 관(30)을 배열하되, 그 유체가열 관은 본체의 내부 일 측에서 타 측에 이르는 직관(31)이 복수 개 배열되고, 그 복수 개의 직관 중 인접한 직관의 상/하단은 곡관(32)으로 상호 연결 설치되어 직관이 상호 연결되게 구성시키며, 상기 각 가열 선은 제어부(C)와 연결 설치되어 그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각 가열 선의 전원공급 및 차단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온수 무한 공급형 전기순간온수기는 도 3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C)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가열선(40)이 발열 되면서 유체가열 관(30)이 가열되고, 그와 동시에 유체가 유체공급구(11)를 통하여 공급되면 그 유체는 상기 가열된 유체가열 관(30)을 따라 진행되면서 열 교환이 이루어져 유체가 가열된다. 상기와 같이하여 가열된 유체는 유체배출구(12)로 배출되면서 사용자가 사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유체가열 관(30)은 본체(10) 내부에 배열된 복수개의 직관(31)과 그 복수개의 직관(31) 중 인접한 직관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의 곡관(32)으로 연결 설치하여 연이어지게 형성시켰기 때문에 유체는 상기 유체가열 관(30)의 입 측(유체공급구(11) 쪽)에서부터 출 측(유체배출구(12) 쪽)으로 진행하는 동안 충분한 가열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온수(가열수)가 되는 것이다.
상기 유체가열 관(30)은 직관(31)과 곡관(32)을 일체로 형성시키거나 또는 직관과 곡관을 상호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유체가열 관(30)은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0)의 내부에 종 또는 횡 방향으로 2열 이상 배열시켜 사용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유체의 신속한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유체가열 관(30)을 본체(10)의 내부에 종 또는 횡 방향으로 2열 이상 배열시키기 위해서는 유체공급구(11) 및 유체배출구(12)에 각각의 분기 관(13,14)을 설치하여 상기 종 또는 횡 방향으로 2열 이상 배열시킨 유체가열 관(30)으로 유체가 골고루 분기 진행되게 함으로써 유체의 신속한 가열을 유도한다.
상기 유체가열 관(30)에 설치된 가열선(40)은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체가열 관(30)의 내부 또는 외부 표면 중 어느 한 곳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가열선(40)을 유체가열 관(30)의 외부에 설치할 때에는 가열선(40)을 유체가열 관(30)의 직관(31) 외부 표면에 직관(31)의 길이방향을 따라 권취하는 형태로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열선(40)을 유체가열 관(30)의 내부에 설치할 때에는 가열선의 형태를 직선 또는 코일스프링 형태의 것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코일스프링 형태의 것을 사용함이 좋다. 그 이유는 유체의 열 교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또 본 발명의 가열선(40)은 직관(31)부분에만 설치하여 사용하거나, 또 직관(31)과 곡관(32)부분 모두에 설치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어부(C)에서는 유체가열 관(30)에 설치된 각 가열선(40) 중 모두에 전기를 공급하여 발열되게 하거나 또는 상기 각 가열선(40) 중 어느 일부는 전기를 공급하여 발열되게 하고 나머지 일부는 전기 공급을 차단하여 유체의 가열 온도 및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 상기 유체공급구(11) 또는 유체배출구(12) 중 어느 일 측 또는 양측 모두에는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유체온도측정센서(S1.S2)를 설치하는데, 그 이유는 유체공급구(11)를 통하여 공급되는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거나 상기 유체배출구(12)를 통하여 배출되는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유체가열 관(30)에 설치된 각 가열선(40)의 전원 공급 및 차단을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전기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절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C)부에는 유체의 온도를 조절하는 유체온도조절구(R)가 설치됨으로써 유체의 가열온도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며, 상기 유체가열온도 조절은 유체온도조절구(R), 유체온도측정센서(S1.S2), 제어부(C)의 상호 유기적인 작용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는 이미 실시되고 있는 통상의 기술임으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유체가열 관(30)은 직관(31)의 상부 및 하부에 곡관(32)을 분해 결합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서, 해당 가열선(40)이 훼손되었을 때 그 훼손된 가열선 만을 수리 또는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해당 직관(31)이나 곡관(32)이 훼손되었을 때 그 훼손된 직관(31) 및 곡관(32)만을 보수 또는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그리고 상기 유체가열 관(30)을 형성하는 직관(31)과 곡관(32)은 그 재질을 내 부식성 및 열전달이 좋은 금속재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본체(10)의 일 측에는 난방목적지에 배열된 유체순환 관(20)을 순환하고 돌아온 유체를 공급받는 유체공급 관(15)이 설치되고, 상기 본체(10)의 타 측에는 유체공급 관(15)으로 공급받은 유체를 유체가열 관(30)의 열과 열 교환 된 후 배출되어 상기 유체순환 관(20)으로 재공급되는 유체배출 관(16)이 설치되며, 상기 유체공급 관(15) 또는 유체배출 관(16) 중 어느 일 측 또는 양측 모두에는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유체온도측정센서(S3.S4)가 설치된 온수 무한 공급형 전기순간온수기를 마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 이유는 본 발명의 주목적인 순간온수장치 외에도 보일러 겸용으로 사용하기 위함인바, 이는 제어부(C)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가열선(40) 이 발열 되면서 유체가열 관(30)이 가열되고 그와 동시에 상기 난방목적지에 배열된 유체순환 관(20)을 순환하고 돌아온 유체가 유체공급 관(15)을 통하여 공급되면서 상기 가열된 유체가열 관(30)과 열 교환이 이루어져 유체배출 관(16)으로 배출되면서 난방목적지를 난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유체는 유체가열 관(30)의 입 측에서부터 출 측으로 진행하는 동안 충분한 가열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난방목적지를 난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어부(C)에서는 유체가열 관(30)에 설치된 각 가열선(40) 중 모두에 전기를 공급하여 발열되게 하거나 또는 상기 각 가열선(40) 중 어느 일부는 전기를 공급하여 발열되게 하고 나머지 일부는 전기 공급을 차단하여 유체의 가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 상기 유체공급 관(15) 또는 유체배출 관(16) 중 어느 일 측 또는 양측 모두에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유체온도측정센서(S3.S4)를 설치하는데, 그 이유는 유체공급 관(15)을 통하여 공급되는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거나 상기 유체배출 관(16)을 통하여 배출되는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유체가열 관(30)에 설치된 각 가열선(40)의 전원 공급 및 차단을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전기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절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유체순환 관(20)의 일 측 또는 유체공급 관(15) 또는 유체배출 관(16) 중 어느 일 측에는 펌프(P)를 설치하여 유체순환 관(20)의 유체 순환을 원활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전기식 순간온수기는, 유체와 가열선의 접촉시간 증가로 유체의 가열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적은 량의 전기에너지로도 유체를 효과적으로 가열하여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또 단시간 내에 유체를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어 전기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순간온수장치로 보일러 기능을 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 보일러본체 11 : 유체공급구
12 : 유체배출구 13.14 : 분기 관
15 : 공급 관 16 : 배출 관
20 : 유체순환 관 30 : 유체가열 관
31 : 직관 32 : 곡관
40 : 가열선 C : 제어부
P : 펌프 S1.S2.S3.S4 : 유체온도측정센서

Claims (5)

  1. 통형의 본체(10) 일 측에는 유체공급구(11)가 설치되고, 타 측에는 유체배출구(12)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유체공급구(11)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가열하는 가열선(40)이 설치된 유체가열 관(30)을 배열하되, 그 유체가열 관은 본체의 내부 일 측에서 타 측에 이르는 직관(31)이 복수 개 배열되고, 그 복수 개의 직관 중 인접한 직관의 상/하단은 곡관(32)으로 상호 연결 설치되어 직관이 상호 연결되게 구성시키며, 상기 각 가열 선은 제어부(C)와 연결 설치되어 그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각 가열 선의 전원공급 및 차단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순간온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가열 관(30)은 본체의 내부에 종 또는 횡 방향으로 2열 이상 배열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순간온수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공급구(11) 및 유체배출구(12)에는 상기 2열 이상 배열된 유체가열 관(30)의 각 단부와 연결 설치되는 분기 관(13.14)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순간온수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선(40)은 유체가열 관(30)의 내부 또는 외부 표면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순간온수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공급구(11) 또는 유체배출구(12) 중 어느 일 측 또는 양측 모두에는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유체온도측정센서(S1.S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순간온수기.
KR1020160001378A 2016-01-06 2016-01-06 온수 무한 공급형 전기순간온수기 KR201700826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378A KR20170082671A (ko) 2016-01-06 2016-01-06 온수 무한 공급형 전기순간온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378A KR20170082671A (ko) 2016-01-06 2016-01-06 온수 무한 공급형 전기순간온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671A true KR20170082671A (ko) 2017-07-17

Family

ID=59443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378A KR20170082671A (ko) 2016-01-06 2016-01-06 온수 무한 공급형 전기순간온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26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584B1 (ko) 2019-04-02 2020-08-03 (주)엘케이시스템즈 능동형 베이퍼 챔버 보일러 시스템
KR20220028278A (ko) 2020-08-28 2022-03-08 (주)엘케이시스템즈 유도가열 방식의 보일링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584B1 (ko) 2019-04-02 2020-08-03 (주)엘케이시스템즈 능동형 베이퍼 챔버 보일러 시스템
KR20220028278A (ko) 2020-08-28 2022-03-08 (주)엘케이시스템즈 유도가열 방식의 보일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7858B2 (en) Compact boiler with tankless heater for providing heat and domestic hot water and method of operation
KR101827252B1 (ko) 확장성을 갖는 히팅 모듈이 일체로 형성된 소형 자기유도가열 보일러
KR20170082671A (ko) 온수 무한 공급형 전기순간온수기
KR20150028468A (ko) 전기 순간온수기용 가열장치
KR101468724B1 (ko) 순간 가열식 전기보일러 시스템
KR101852404B1 (ko) 열교환기의 드레인장치
KR100817504B1 (ko) 전기보일러
WO2020093405A1 (zh) 一种燃料电池冷却循环系统
KR101909574B1 (ko) 열매체 전기보일러 기반의 난방장치
KR20020040230A (ko) 심야전기를 이용한 온수기의 열교환기
KR20130107568A (ko) 전기식 순간온수장치
KR100541401B1 (ko) 듀얼타입 가스보일러
KR100870985B1 (ko) 히트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열교환 시스템
KR100701799B1 (ko) 열교환기
JP2006317094A (ja) 熱交換器
KR20130096106A (ko) 전기보일러
KR200436745Y1 (ko) 난방용 연료전지 시스템의 배관구조
KR101671670B1 (ko) 드레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열교환기
KR20080062418A (ko) 히트파이프 보일러
CN220567342U (zh) 电热循环设备以及电热循环取暖装置
KR100958693B1 (ko) 축열식 보일러
JP2014016058A (ja) 水−冷媒熱交換器及びヒートポンプ給湯機
CN214120493U (zh) 一种环保设备用散热装置
JP2004245499A (ja) 流体加熱用ヒータ
CN104114956B (zh) 即热式的热水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