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2343A -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2343A
KR20170082343A KR1020160001620A KR20160001620A KR20170082343A KR 20170082343 A KR20170082343 A KR 20170082343A KR 1020160001620 A KR1020160001620 A KR 1020160001620A KR 20160001620 A KR20160001620 A KR 20160001620A KR 20170082343 A KR20170082343 A KR 20170082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image forming
remote support
support ser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목화
박선영
원철연
Original Assignee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1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2343A/ko
Priority to US15/399,236 priority patent/US10750052B2/en
Publication of KR20170082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3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H04N1/4406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 H04N1/4433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to an apparatus, part of an apparatus or an apparatus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4Local printer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1Access control lists [AC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5Multiple levels of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management, maintenance, service or repai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 still pictur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925Inhibiting an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62Input arrangements for operating instructions or parameters, e.g. updating internal software
    • H04N1/00973Input arrangements for operating instructions or parameters, e.g. updating internal software from a remote device, e.g. receiving via the internet instructions input to a comput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H04N1/4406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 H04N1/4413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involving the use of passwords, ID codes or the like, e.g. PI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12Priority interrupt; Job recovery, e.g. after jamming or malfun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75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 G03G15/5079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for maintenan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08Automatic supply devices interacting with the rest of the apparatus, e.g. selection of a specific casset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0Detecting malfunctions relating to paper handling, e.g. j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48Jam, error detection, e.g. double feeding
    • G03G2215/00552Purge of recording medium at j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Abstract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은, 단말 장치 또는 단말 장치와 연결된 서버에 원격 지원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단말 장치로부터 원격 지원 서비스와 관련된 동작에 대한 접근 권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 또는 미리 저장된 설정에 따라 단말 장치에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 단말 장치로부터 원격 지원 서비스를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단말 장치에 부여된 접근 권한에 따라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통신 관련 기술 및 네트워크 관련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러한 기술들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개발 및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복합기, 프린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 역시 통신 장비를 탑재하게 되었으며, 통신 장비를 활용한 네트워크 프린팅, 원격 지원 서비스 등이 가능해졌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의 원격 지원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 상담원 또는 서비스 기사가 원격지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의 복합기, 프린터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복합기, 프린터 화면을 직접 보면서 여러가지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때, 가상 네트워크 컴퓨팅(Virtual Network Computing, VNC) 기술을 사용하면, 별도의 접근 제어 없이, 복합기 앞에서 장치를 사용하듯이 모든 화면을 그대로 보면서 복합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의 화면을 미러링하는 개념으로 원격 지원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에 저장된 모든 정보가 여과없이 상담원 또는 서비스 기사에게 그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특정 기능에서만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담원 또는 서비스 기사에게 모든 기능에 대한 권한을 주게되어, 사용자의 의사와 상관없이 화상 형성 장치가 제어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실수 또는 악의적인 원격 제어에 무방비로 노출될 수 있으며, 개인정보 유출,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복합기 설정의 변경 등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는 사용자가 원격 지원 서비스를 위하여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하는 단말 장치에게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에 따른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은, 단말 장치 또는 상기 단말 장치와 연결된 서버에 원격 지원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원격 지원 서비스와 관련된 동작에 대한 접근 권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 또는 미리 저장된 설정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에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원격 지원 서비스를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치에 부여된 접근 권한에 따라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단말 장치 또는 상기 단말 장치와 연결된 서버에 원격 지원 서비스를 요청하고,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원격 지원 서비스와 관련된 동작에 대한 접근 권한 요청을 수신하며, 사용자 입력 또는 미리 저장된 설정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에 접근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원격 지원 서비스를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며, 상기 단말 장치에 부여된 접근 권한에 따라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화상 형상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작업 수행부를 포함한다.
도 1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가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동작 목록 생성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동작 목록 동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개시된 실시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개시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개시된 실시예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개시된 실시예의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개시된 실시예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개시된 실시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개시된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개시된 실시예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도 1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원격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화상 형성 장치(110), 서버(120) 및 단말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화상 형성 장치(110), 서버(120) 및 단말 장치(130)는 네트워크(140)로 연결된다.
화상 형성 장치(110)는 서버(120) 및 단말 장치(130)로부터 원격 지원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화상 형성 장치(110)는 서버(120) 또는 단말 장치(130)로 원격 지원 서비스를 요청하고, 단말 장치(130)와 접속하여 원격 지원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는 단말 장치(130)로부터 원격 지원 서비스에 필요한 동작들에 대한 접근 권한을 요청 받고, 일정 기준에 따라 접근 권한을 부여한다. 여기서, 일정 기준은 사용자 입력 또는 미리 저장된 설정값이 될 수 있다. 또한, 동작은 화상 형성 장치(110)의 기능의 실행 또는 화상 형성 장치(110)에 저장된 정보의 접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동작은 전원의 on/off, 특정 기능의 활성/비활성화, 프로그램의 업데이트등 화상 형성 장치(110) 자체의 기능의 실행과 사용자 프로필, 주소록, 작업 큐 목록과 같은 정보의 접근을 포함한다. 나아가, 토너 교체, 용지 부족 등 사용자의 직접 조치를 알려주는 알람의 표시 등을 포함한다. 그 후, 단말 장치(130)로부터 원격 지원 서비스를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화상 형성 장치(110)는 단말 장치(130)에 부여한 접근 권한에 따라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거나 실행을 거절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권한 관리 모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원격 지원 서비스 처리 과정 및 결과, 각종 메시지등을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권한 관리 모듈은 원격 지원 서비스에 필요한 계정 및 권한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외부 장치와 통신하여 원격 지원 서비스에 따른 제어 명령 등을 수신하고, 화상 형성 장치(110)의 화면 등을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110)는 복합기, 프린터, 스캐너, 팩스 등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110)는 서버(120)없이 단말 장치(130)만으로부터 원격 지원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화상 형성 장치(110)가 원격 지원 서비스에서 서버(12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120)는 단말 장치(130)와 함께 화상 형성 장치(110)에 원격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120)는 화상 형성 장치(110)로부터 원격 지원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여, 단말 장치(130)에 이를 알려줄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20)는 화상 형성 장치(110)로부터 원격 지원 서비스 요청 수신 시, 화상 형성 장치(110)의 식별 정보, 화상 형성 장치(110)의 상태 정보 등을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110)의 시리얼 번호, 에러 코드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20)는 단말 장치(130)에 원격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형성 장치(110)의 시리얼 번호를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서버(120)는 화상 형성 장치(110)에 발생한 에러 코드를 바탕으로, 원격 지원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화상 형성 장치(110)의 동작들의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서버(120)는 생성된 동작 목록을 단말 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20)는 에러 코드 관리 모듈, 연결 관리 모듈, 네트워크 관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에러 코드 관리 모듈은, 여러 종류의 제품에서 사용되는 에러 코드 및 에러 코드에 따른 제품별 조치 방법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에러 코드 관리 모듈은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에러 코드별 원격 지원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화상 형성 장치(110)의 동작들의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외부 장치와 통신하여 동작 목록을 전송하거나, 각종 서비스 연결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20)없이 단말 장치(130)만을 이용하여 원격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화상 형성 장치(110)가 원격 지원 서비스에서 서버(12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 장치(130)는 화상 형성 장치(110) 또는 서버(120)로부터 원격 지원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여 화상 형성 장치(110)에 원격 지원 서비스에 필요한 동작들에 대한 접근 권한을 요청한다. 그 후, 단말 장치(130)는 화상 형성 장치(110)에 원격 지원 서비스를 위한 제어 명령을 전송하여 원격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1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동작 목록을 서비스 기사에게 표시하고, 서비스 기사로부터 동작 목록 편집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화상 형성 장치(110)의 화면, 각종 메시지 등을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외부 장치와 통신하여, 원격 지원 서비스에 필요한 권한을 요청하고, 원격 지원 서비스에 따른 제어 명령 등을 전송하며, 화상 형성 장치(110)의 화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130)는 PC, 노트북, 휴대폰, 태블릿 PC 등의 네트워크(140)에 접속할 수 있는 모든 단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40)는 각 장치들을 연결하는 역할 모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140)는 인터넷을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 원격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210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10)는 서버(120)로 원격 지원 서비스를 요청한다. 화상 형성 장치(110)에 에러가 발생하거나 기능에 문제가 있는 경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원격 지원 서비스를 요청하는 것이다. 도 2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10)가 서버(120)로 원격 지원 서비스를 요청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화상 형성 장치(110)는 단말 장치(130)로 원격 지원 서비스를 요청할 수도 있고, 단말 장치(130)를 통해 서버(120)로 원격 지원 서비스를 요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110)가 원격 지원 서비스를 요청 시, 화상 형성 장치(110)의 식별 정보, 화상 형성 장치(110)의 상태 정보 등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110)의 시리얼 번호, 에러 코드 등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20)는 화상 형성 장치(110)로부터 요청 받은 원격 지원 서비스를 접수하여 등록할 수 있다. 있다. 또한, 서버(120)는 화상 형성 장치(110)에 발생한 에러 코드를 바탕으로, 원격 지원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화상 형성 장치(110)의 동작들의 목록을 생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동작은 화상 형성 장치(110)의 기능의 실행 또는 화상 형성 장치(110)에 저장된 정보의 접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동작은 전원의 on/off, 특정 기능의 활성/비활성화, 프로그램의 업데이트등 화상 형성 장치(110) 자체의 기능의 실행과 사용자 프로필, 주소록, 작업 큐 목록과 같은 정보의 접근을 포함한다. 나아가, 토너 교체, 용지 부족 등 사용자의 직접 조치를 알려주는 알람의 표시 등을 포함한다.
그 후, 220 단계에서, 서버(120)는 등록된 원격 지원 서비스를 단말 장치(130)에 통보한다. 서비스 기사에게 원격 지원 서비스가 요청되었음을 알리는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20)는 단말 장치(130)에 원격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형성 장치(110)의 시리얼 번호를 함께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서버(120)는 원격 지원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화상 형성 장치(110)의 동작들의 목록을 단말 장치(130)로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230 단계에서 단말 장치(130)는 화상 형성 장치(110)에 접속하여 원격 지원 서비스를 시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130)는 화상 형성 장치(110)에 원격 지원 서비스를 시작함을 통보할 수 있다. 원격 지원 서비스 시작 통보 후, 바로 원격 지원 서비스를 시작할 수도 있고, 화상 형성 장치(110)의 수락 후, 원격 지원 서비스를 시작할 수도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110)가 단말 장치(130)에 접속하여 원격 지원 서비스를 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 제어 서비스는 가상 네트워크 컴퓨팅(Virtual Network Computing, VNC) 기술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원격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240 단계에서 단말 장치(130)는 화상 형성 장치(110)에 원격 지원 서비스와 관련된 동작에 대한 접근 권한 요청을 전송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130)는 원격 지원 서비스와 관련된 동작 목록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목록은, 단말 장치(130)가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동작 목록, 단말 장치(130)가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동작 목록을 편집한 동작 목록, 단말 장치(130)가 생성한 동작 목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동작 목록 생성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원격 지원 사전 동의 작성’ 이라는 제목의 동작 목록 생성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서버(120)는 에러 코드를 기반으로 템플릿 형태의 동작 목록을 생성하여 단말 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고, 단말 장치(130)는 이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버(120)는 에러 코드를 바탕으로, ‘User Profile Management’, ‘Address Book Management’, ‘Admin Information Management’, ‘Document Box Management’, ‘App Management/Feature Management’, ‘Job Queue Manage’, ‘ USB Read Access, USB Write Access’, ‘Print, Copy, Fax, Scan’, ‘Device Setting’ 등의 기능 또는 정보에 대해서 접근 권한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해당 목록을 단말 장치(130)로 전송한 것이다.
동작 목록에는 원격 지원 서비스 대상이 되는 화상 형성 장치(110)를 특정하기 위하여 시리얼 번호 및 IP 주소가 포함될 수 있으며, 부여할 접근 권한의 사용 기한을 포함시킬 수도 있다.
나아가, 불필요한 동작이 목록에 포함되어 있거나, 추가로 필요한 동작이 있는 경우, 단말 장치(130)는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목록을 편집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 장치(130)가 새롭게 동작 목록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도 2의 설명으로 돌아오면, 270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10)는 사용자 입력 또는 미리 저장된 설정에 따라 단말 장치(130)에 접근 권한을 부여한다. 이때, 화상 형성 장치(110)는 단말 장치(130)로부터 수신한 동작 목록에서 동의하는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동작 목록 동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를 참조하면, ‘원격 지원 사전 동의’ 이라는 제목의 동작 목록 동의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110)는 이러한 동작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단말 장치(130)에 선택된 동작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접근 권한 부여에 동의하는 동작들에 대한 체크박스를 선택하면 해당 동작들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Print, Copy, Fax, Scan’, ‘Device Setting’의 체크박스가 선택되어 해당 동작들에 대한 접근 권한이 부여되고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동작들에 대해서는 접근 권한이 부여되지 않는다. 또는, 화상 형성 장치(110)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동작들에 대해서만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도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11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단말 장치(130)로부터 수신한 동작 목록 전체에 대해서 동의할 수도 있고, 일부 동작에 대해서만 동의하는 것도 가능하며, 전체 동작 목록을 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체 동작 목록을 거절하는 경우, 단말 장치(130)는 새롭게 작성된 동작 목록을 다시 전송하여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시 접근 권한을 요청할 수도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110)는 270 단계에서 사용자 입력 또는 미리 저장된 설정에 따른 권한이 부여된 계정의 ID 및 PW를 단말 장치(130) 또는 서버(120)로 전송함으로써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 경우, 화상 형성 장치(110)는 단말 장치(130)로부터 보안 토큰을 수신하고, 수신한 보안 토큰을 서버(120)로 전송하여 보안 토큰에 대한 검증을 받아 해당 계정에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보안 토큰은, 서버(120)가 특정 계정에 대하여 발행한 것으로, 단말 장치(130)가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보안 토큰을 포함할 수 있다.
보안 토근을 이용하는 경우, 특정 계정에 설정된 접근 권한을 부여하게 되어 서비스 기사가 필요할 때마다 해당 계정을 이용하여 별도의 절차 없이 원격 제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80 단계에서 단말 장치(130)는 원격 지원 서비스를 위한 제어 명령을 화상 형성 장치(110)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화상 형성 장치(110)는 290 단계에서 단말 장치(130)에 부여된 접근 권한에 따라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30)는 화상 형성 장치(110)의 전원을 껐다 켜라는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고 이를 수신한 화상 형성 장치(110)는 전원을 껐다 켜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110)는 서버(120)없이 단말 장치(130)만으로부터 원격 지원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화상 형성 장치(110)가 원격 지원 서비스에서 서버(12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110)는 발생한 에러 코드를 바탕으로 원격 지원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화상 형성 장치(110)의 동작들의 목록을 단말 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택된 동작에 대해서만 접근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개인 정보의 유출 및 악의적인 원격 지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310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10)는 단말 장치(130) 또는 단말 장치(130)와 연결된 서버(120)에 원격 지원 서비스를 요청한다. 화상 형성 장치(110)에 에러가 발생하거나 기능에 문제가 있는 경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원격 지원 서비스를 요청하는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110)가 원격 지원 서비스를 요청 시, 화상 형성 장치(110)의 식별 정보, 화상 형성 장치(110)의 상태 정보 등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110)의 시리얼 번호, 에러 코드 등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그 후, 320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10)는 단말 장치(130)로부터 원격 지원 서비스와 관련된 동작에 대한 접근 권한 요청을 수신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130)는 원격 지원 서비스와 관련된 동작 목록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목록은, 단말 장치(130)가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동작 목록, 단말 장치(130)가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동작 목록을 편집한 동작 목록, 단말 장치(130)가 생성한 동작 목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330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10)는 사용자 입력 또는 미리 저장된 설정에 따라 단말 장치(130)에 접근 권한을 부여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110)는 단말 장치(130)로부터 수신한 동작 목록에서 동의하는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접근 권한 부여에 동의하는 동작들에 대한 체크박스를 선택하면 해당 동작들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11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단말 장치(130)로부터 수신한 동작 목록 전체에 대해서 동의할 수도 있고, 일부 동작에 대해서만 동의하는 것도 가능하며, 전체 동작 목록을 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체 동작 목록을 거절하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110)는 단말 장치(130)로부터 새롭게 작성된 동작 목록을 다시 수신하여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도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110)는 사용자 입력 또는 미리 저장된 설정에 따른 권한이 부여된 계정의 ID 및 PW를 단말 장치(130) 또는 서버(120)로 전송함으로써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 경우, 화상 형성 장치(110)는 단말 장치(130)로부터 보안 토큰을 수신하고, 수신한 보안 토큰을 서버(120)로 전송하여 보안 토큰에 대한 검증을 받아 해당 계정에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보안 토큰은, 서버(120)가 특정 계정에 대하여 발행한 것으로, 단말 장치(130)가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보안 토큰을 포함할 수 있다.
보안 토근을 이용하는 경우, 특정 계정에 설정된 접근 권한을 부여하게 되어 서비스 기사가 필요할 때마다 해당 계정을 이용하여 별도의 절차 없이 원격 제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 후, 340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10)는 단말 장치(130)로부터 원격 지원 서비스를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350 단계로 진행하여 단말 장치(130)에 부여된 접근 권한에 따라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가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410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10)는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의 보안 등급을 확인한다. 보안 등급은 동작의 중요도에 따라 접근 권한 없이도 제한없이 접근 가능한 제1 등급, 접근 권한이 있는 경우에만 접근 가능한 제2 등급, 접근이 불가능한 제3 등급으로 분류될 수 있다. 다만, 보안 등급의 분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기준에 의해 분류될 수 있다.
단말 장치(130)가 접근 권한 없이도 제한없이 접근 가능한 제1 등급에 포함되는 동작으로는, 기본적인 서비스를 위해 최소한의 필요한 정보들, 예를 들어, 기본적인 장치 상태 정보, 에러 발생 리스트, 소모품 사용 정보 등에 대한 접근이 포함될 수 있다.
단말 장치(130)가 접근 권한이 있는 경우에만 접근 가능한 제2 등급에 포함되는 동작으로는, 개인 정보로 보호가 필요한 정보들, 예를 들어, 사용자 프로필, 주소록, 관리자 정보 등에 대한 접근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문서 박스(document box),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관련 정보, 작업 큐, USB 읽기/쓰기, 프린트/복사/팩스/스캔, 디바이스 설정 등에 대한 접근이 포함될 수 있다.
단말 장치(130)가 접근이 불가능한 제3 등급에 포함되는 동작으로는, 메모리 클리어, 하드 드라이브 포맷, 장치 초기화, 관리자 비밀번호 변경, 네트워크 설정, 하드 드라이브 암호화 등의 동작이 포함될 수 있다.
410 단계에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의 보안 등급이 제한없이 접근 가능한 제1 등급에 해당하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110)는 430 단계로 진행하여 원격 지원 서비스의 유효 기간을 확인한다. 430 단계에서 유효 기간이 만료된 경우, 원격 지원 서비스를 종료한다. 430 단계에서 유효 기간이 남은 경우, 450 단계로 진행하여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한다.
410 단계에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의 보안 등급이 접근 권한이 있는 경우에만 접근 가능한 제2 등급에 해당하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110)는 420 단계로 진행하여 접근 권한 유무를 판단한다. 420 단계에서 접근 권한이 있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110)는 430 단계로 진행하여 원격 지원 서비스의 유효 기간을 확인한다. 430 단계에서 유효 기간이 만료된 경우, 원격 지원 서비스를 종료한다. 430 단계에서 유효 기간이 남은 경우, 450 단계로 진행하여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한다. 420 단계에서 접근 권한이 없는 경우, 440 단계로 진행하여 동작 실행을 거절한다.
410 단계에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의 보안 등급이 접근이 불가능한 제3 등급에 해당하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110)는 바로 440 단계로 진행하여 동작 실행을 거절한다.
도 4에서 430 단계, 즉, 원격 지원 서비스의 유효 기간을 확인하는 단계는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단계이며, 보안 등급과 접근 권한 유무 만으로 동작을 실행하거나 동작 실행을 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700)는 통신부(710), 사용자 입력부(720), 화상 형성 작업 수행부(730) 및 제어부(740)를 포함한다.
통신부(710)는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통신부(71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710)는 서버(120) 및 단말 장치(130)와 통신하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710)는, 근거리 통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유선 인터넷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710)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720)는 화상 형성 장치(7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부(720)는 원격 지원 서비스와 관련된 동작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0)는,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물리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화상 형성 작업 수행부(730)는 제어부(740)의 제어에 따라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한다.
제어부(740)는 화상 형성 장치(7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통신부(710), 사용자 입력부(720) 및 화상 형성 작업 수행부(730)를 제어함으로써 단말 장치(130)에 선택적으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제어부(740)는 화상 형성 장치(70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전자 장치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 주변기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및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코어(core, 도시되지 아니함)와 GPU(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합한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740)는 단말 장치(130) 또는 단말 장치(130)와 연결된 서버(120)에 원격 지원 서비스를 요청하고, 단말 장치(130)로부터 원격 지원 서비스와 관련된 동작에 대한 접근 권한 요청을 수신하며, 사용자 입력 또는 미리 저장된 설정에 따라 단말 장치(130)에 접근 권한을 부여하고, 단말 장치(130)로부터 원격 지원 서비스를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며, 단말 장치(130)에 부여된 접근 권한에 따라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화상 형상 장치(70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740)는 통신부(710)를 제어함으로써, 단말 장치(130)로부터 원격 지원 서비스와 관련된 동작 목록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목록은, 단말 장치(130)가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동작 목록, 단말 장치(130)가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동작 목록을 편집한 동작 목록 및 단말 장치(130)가 생성한 동작 목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40)는 통신부(710)를 제어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700)의 상태 정보를 단말 장치(130) 또는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40)는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의 보안 등급을 확인하고, 보안 등급 및 단말 장치(130)의 접근 권한 유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반하여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보안 등급은, 접근 권한 없이도 제한없이 접근 가능한 제1 등급, 접근 권한이 있는 경우에만 접근 가능한 제2 등급, 접근이 불가능한 제3 등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40)는 통신부(710)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입력 또는 미리 저장된 설정에 따른 권한이 부여된 계정의 ID 및 PW를 단말 장치(130) 또는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740)는 통신부(710)를 제어함으로써, 단말 장치(130)로부터 보안 토큰을 수신하고, 보안 토큰을 서버(120)로 전송하여 보안 토큰에 대한 검증을 받으며, 보안 토큰은, 서버(120)가 계정에 대하여 발행한 것으로, 단말 장치(130)가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보안 토큰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740)는 원격 지원 서비스에 대한 유효 기한을 확인하고, 유효 기한이 만료된 경우 원격 지원 서비스를 종료할 수 있다.
도 8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서 통신부(810), 사용자 입력부(820), 화상 형성 장치(830) 및 제어부(840)는 도 7의 통신부(710), 사용자 입력부(720), 화상 형성 작업 수행부(730) 및 제어부(740)와 동일한 바,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제어부(840)는 계정 관리부(841) 및 권한 관리부(842)를 포함할 수 있다. 계정 관리부(841)는 화상 형성 장치(800)의 사용자 계정을 관리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계정 관리부(841)는 원격 지원 서비스를 위해 계정을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다. 권한 관리부(842)는 계정 별 접근 권한을 관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850)는 원격 지원 서비스 처리 과정 및 결과, 각종 메시지등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저장부(860)는 화상 형성 장치(8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저장부(8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SD,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860)는 권한 부여에 대한 사용자 설정(861) 및 화상 형성 장치(800)의 상태 정보(862)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개시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개시된 실시예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화상 형성 장치
120: 서버
130: 단말 장치

Claims (18)

  1. 단말 장치 또는 단말 장치와 연결된 서버에 원격 지원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원격 지원 서비스와 관련된 동작에 대한 접근 권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 또는 미리 저장된 설정에 따라 단말 장치에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원격 지원 서비스를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치에 부여된 접근 권한에 따라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원격 지원 서비스와 관련된 동작에 대한 접근 권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원격 지원 서비스와 관련된 동작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목록은,
    상기 단말 장치가 서버로부터 수신한 동작 목록, 단말 장치가 서버로부터 수신한 동작 목록을 편집한 동작 목록 및 상기 단말 장치가 생성한 동작 목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 목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 또는 단말 장치와 연결된 서버에 원격 지원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 정보를 단말 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에 부여된 접근 권한에 따라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의 보안 등급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보안 등급 및 단말 장치의 접근 권한 유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반하여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등급은,
    상기 접근 권한 없이도 제한없이 접근 가능한 제1 등급, 접근 권한이 있는 경우에만 접근 가능한 제2 등급, 접근이 불가능한 제3 등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또는 미리 저장된 설정에 따라 단말 장치에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 또는 미리 저장된 설정에 따른 권한이 부여된 계정의 ID 및 PW를 단말 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또는 미리 저장된 설정에 따라 단말 장치에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보안 토큰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보안 토큰을 서버로 전송하여 보안 토큰에 대한 검증을 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 토큰은,
    상기 서버가 계정에 대하여 발행한 것으로, 단말 장치가 서버로부터 수신한 보안 토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지원 서비스에 대한 유효 기한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 기한이 만료된 경우, 원격 지원 서비스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10.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단말 장치 또는 단말 장치와 연결된 서버에 원격 지원 서비스를 요청하고, 단말 장치로부터 원격 지원 서비스와 관련된 동작에 대한 접근 권한 요청을 수신하며, 사용자 입력 또는 미리 저장된 설정에 따라 단말 장치에 접근 권한을 부여하고, 단말 장치로부터 원격 지원 서비스를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며, 단말 장치에 부여된 접근 권한에 따라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화상 형상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작업 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제어함으로써, 단말 장치로부터 원격 지원 서비스와 관련된 동작 목록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목록은,
    상기 단말 장치가 서버로부터 수신한 동작 목록, 단말 장치가 서버로부터 수신한 동작 목록을 편집한 동작 목록 및 상기 단말 장치가 생성한 동작 목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 목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제어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 정보를 단말 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의 보안 등급을 확인하고, 보안 등급 및 단말 장치의 접근 권한 유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반하여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등급은,
    상기 접근 권한 없이도 제한없이 접근 가능한 제1 등급, 접근 권한이 있는 경우에만 접근 가능한 제2 등급, 접근이 불가능한 제3 등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입력 또는 미리 저장된 설정에 따른 권한이 부여된 계정의 ID 및 PW를 단말 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제어함으로써, 단말 장치로부터 보안 토큰을 수신하고, 보안 토큰을 서버로 전송하여 보안 토큰에 대한 검증을 받으며,
    상기 보안 토큰은,
    상기 서버가 계정에 대하여 발행한 것으로, 단말 장치가 서버로부터 수신한 보안 토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 지원 서비스에 대한 유효 기한을 확인하고, 유효 기한이 만료된 경우 원격 지원 서비스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60001620A 2016-01-06 2016-01-06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8234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620A KR20170082343A (ko) 2016-01-06 2016-01-06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5/399,236 US10750052B2 (en) 2016-01-06 2017-01-05 Image forming apparatus granting access and authorization to client or server to perform remote support service according to list of operations selected by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620A KR20170082343A (ko) 2016-01-06 2016-01-06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343A true KR20170082343A (ko) 2017-07-14

Family

ID=59226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620A KR20170082343A (ko) 2016-01-06 2016-01-06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750052B2 (ko)
KR (1) KR2017008234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2013A (ko) * 2016-04-26 2017-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8107768A (ja) * 2016-12-28 2018-07-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0222811A1 (en) * 2019-04-30 2020-11-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ing device access
KR20220056051A (ko) * 2020-10-27 2022-05-0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원격 지원 강제 실행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2777B2 (ja) * 2002-03-25 2005-08-1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および遠隔管理システム
US20040260704A1 (en) * 2003-06-23 2004-12-23 Moore Keith E. User-requested remote assistance for printing devices
JP2005284985A (ja) * 2004-03-30 2005-10-13 Ricoh Co Ltd ネットワーク対応機器、ネットワーク対応機器を保守する保守方法、プログラム、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媒体及び保守システム
US9007635B2 (en) * 2012-06-18 2015-04-1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forming apparatus communicating with an information-processing apparatus
JP6415048B2 (ja) 2013-12-20 2018-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95523A1 (en) 2017-07-06
US10750052B2 (en) 202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9819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
US928221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n authentication unit,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941194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authentication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US1030340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1075005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granting access and authorization to client or server to perform remote support service according to list of operations selected by the image forming apparatus
US1077886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onfigured to change update processing control depending on whether an update target application is of a type for offering an authentication function
US10817232B2 (en) Image forming device that manages execution permission without increasing administrative workload required for remote operation
US8203738B2 (en) Image forming device, image forming device terminal, and program for authentication printing
JP5069820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ユーザマネージャサーバ装置
US1124969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5412335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
US2018014611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1115346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same, and storage medium
JP2009272770A (ja) 複合機、複合機の利用制限方法
JP5286232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ユーザマネージャサーバ装置
US1065688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2011192120A (ja)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ユーザマネージャサーバ装置
JP4559350B2 (ja) 画像記録システム
JP7373414B2 (ja) 画像形成装置
US11050899B2 (en) Image form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US2023005783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7107576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とそのアプリケーションの利用可能機能決定方法、並びに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3175192A (ja) プリンタドライバ、プリンタドライバの処理方法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22178551A (ja) ログイン処理装置、ログイン処理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およびログイン処理方法
JP5049332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ユーザマネージャサー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