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1489A -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이용한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이용한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1489A
KR20170081489A KR1020160000582A KR20160000582A KR20170081489A KR 20170081489 A KR20170081489 A KR 20170081489A KR 1020160000582 A KR1020160000582 A KR 1020160000582A KR 20160000582 A KR20160000582 A KR 20160000582A KR 20170081489 A KR20170081489 A KR 20170081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area
display
content
contro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8003B1 (ko
Inventor
천가원
김도형
강성훈
박미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0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003B1/ko
Priority to US16/067,455 priority patent/US10712991B2/en
Priority to EP17736095.5A priority patent/EP3376366B1/en
Priority to PCT/KR2017/000111 priority patent/WO2017119722A1/ko
Priority to CN201780005619.3A priority patent/CN108475183A/zh
Publication of KR20170081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08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42Handling or displaying different aspect ratios, or changing the aspect rati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92Change of orientation of the displayed image, e.g. upside-down, mirror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6/00Detection of the display position w.r.t. other display scree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콘텐트(content)가 저장되는 메모리; 상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접점 구조(contact points); 및 상기 메모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복수의 접점 구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이용한 콘텐츠의 디스플레이{Display Content using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기술과 관련된다.
기존의 다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은, 각각의 디스플레이를 중앙 시스템과 연결하고, 중앙 시스템에서 각각의 디스플레이를 제어/관리하는 방법을 주로 이용하였다.
일반적으로 다수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물리적인 위치의 변화나 장치의 고장 등이 발생하는 경우, 재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중앙 시스템에서 수동적으로 콘텐츠가 출력되는 뷰(view)를 일일이 수동으로 조정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의 다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콘텐츠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장치들 사이의 연결 관계가 없으며, 각각의 디스플레이 사이의 관계가 정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중앙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별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수반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각각 개별적으로 운용되기 때문에, 전력 공급을 위한 케이블을 모두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전체적인 디스플레이의 레이아웃에 따른 콘텐츠 출력 방식을 수동으로 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위상이나 회전과 같은 물리적인 속성의 변화 또는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의 분리나 결합에 따른 변화를 즉시 확인할 수 없고, 배치-테스트-피드백 과정을 반복하여 최적의 출력 방식을 결정해야 했다.
또한, 추가적인 기능, 예를 들어 카메라 기능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부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시스템을 구축하거나, 중앙 시스템에서 카메라 기능을 제어해야 했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전술한 문제 및 본 문서에서 제기되는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를 모듈(module)화 하고, 디스플레이들 사이의 상호 연계를 통하여 대형 디스플레이 구조물을 직관적으로 구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베젤 영역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들 사이의 결합을 수행하고, 결합을 통해 전체 디스플레이 구조물을 관리/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들이 전달되고, 데이터 연결과 전력 배분을 위한 하드웨어들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는, 콘텐트(content)가 저장되는 메모리, 상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접점 구조(contact points), 및 상기 메모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복수의 접점 구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접점 구조 중 제1 접점 구조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2 접점 구조와 접촉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트 중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출력될 제1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기 콘텐트 중 상기 결정된 제1 영역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화된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직관적으로 결합하고 분리할 수 있어, 즉각적인 사이니지(signage)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의 설치나 운영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어도, 용이하게 디스플레이 구조물을 배치하고 콘텐츠의 최적화된 디스플레이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기능을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를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용도와 목적으로 디스플레이 구조물을 활용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3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점 구조의 개념적인 예시를 나타낸다.
도 3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점 구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의 전원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4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결합 예시를 나타낸다.
도 4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다른 결합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5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결합에 따라 콘텐츠의 디스플레이가 변경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5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다른 결합에 따라 콘텐츠의 디스플레이가 변경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6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트가 출력되는 영역의 결정 방법을 나타낸다.
도 6b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콘텐트가 출력되는 영역의 결정 방법을 나타낸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기능이 있는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예시를 나타낸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NFC 기능이 있는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예시를 나타낸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콘(beacon) 기능이 있는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예시를 나타낸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거치 방식을 나타낸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결합 구조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1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결합 구조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의 예시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명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서로 일 측면의 일부를 공유한 상태로 접촉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서로 동일한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완전히 동일한 제품일 수 있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크기 또는 해상도 중 하나가 동일한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서로 다른 종류의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27인치의 크기를 갖는 반면,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14인치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16:9의 화면 비율(예: 가로(width):세로(height) = 16:9)을 갖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도시된 것과 다르게, 4:3의 화면 비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해상도(예: 3840 x 2160, UHD(Ultra High-Definition)/4k)의 해상도를 갖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2 해상도(예: 1920 x 1080, FHD(Full HD)/2k)의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모두 연산 수행을 위한 처리 회로 또는 제어 회로(예: CPU, AP(application processor)와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 중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만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출력될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고, 전달 받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panel)에 출력하기 위한 회로(예: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Display Driving Integrated Chip (DDI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2개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접하는 예시가 도시되었으나, 3개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일 측면을 공유하며 서로 직접 접하고 있으나, 도시되지 않은 임의의 제3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만 직접 접하거나,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모두 직접 접하거나,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에만 직접 접할 수 있다. 제3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에만 직접 접하는 경우, 제3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들 사이의 연결은, 접점 구조(contact point)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측면에 마련된 접점 구조들 중 하나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측면에 마련된 접점 구조들 중 하나가 서로 접촉함으로써,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배치에 따라 둘 이상의 접점 구조들에 의해 2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접점 구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 회로(110), 디스플레이 모듈(120), 통신 회로(130), 센서(들)(140), 전력 관리 회로(150), 배터리(160), 및 접점 구조들(101, 102, 103, 104, 105, 106)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비교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순히 디스플레이 장치(100)으로 참조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은 일반적인 구성 요소 들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 회로(11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11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제어 회로(11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콘텐츠(contents)의 적어도 일부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 회로(110)는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제어 회로(1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회로(110)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11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또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110)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예: 통신 회로(13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 회로(110)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 회로(110)는 AD 보드(analog to digital board)나 미디어 보드(media board)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LCD 모니터나 AMOLED 모니터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 회로(110)는 화소 당 RGB 값을 지정하기 위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전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ED (OLED))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 미러 디스플레이(mirror display), 또는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2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처, 근접, 또는 호버링(hovering)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하는 여러 가지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편광 레이어, 커버 글라스(cover glass),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 BLU), 및, 경우에 따라서, 터치 패널(touch panel)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콘텐트(a content)를 출력한다는 것과, 디스플레이 패널에 콘텐트를 출력한다는 것과, 디스플레이 모듈에 콘텐트를 출력한다는 것은 동일한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통신 회로(130)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 하기 위한 무선 통신 모듈(예: RF 모듈) 및 유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유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RF 모듈은, 예를 들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과 같은 셀룰러 통신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은, Wi-Fi(Wireless Fidelity), 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MST(magnetic stripe transmission), BLE(Bluetooth Low Energy), WI-Fi Direct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각각의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기 위한 안테나 방사체(radiator)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안테나 방사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베젤(bezel) 또는 측면 프레임을 구성하는 금속 물질로 적어도 일부 대체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기 위한 안테나가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다이버시티(diversity) 안테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NFC를 지원하기 위한 안테나가 각각의 모서리(예: 4개의 귀퉁이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와 같은 위성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예: USB 3.1(type C)),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I2C(Inter Integrated Circuit), 또는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을 위한 배선 구조(wire)는 각각의 접점 구조들(101, 102, 103, 104, 105, 106)과 연결될 수 있다.
센서(들)(140)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4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울기를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근접(예: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접점 구조(101)에 대한 근접)을 감지하기 위한 근접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조도 센서, 마이크, 압력 센서, 온도 센서 등이 센서(들)(140)에 포함될 수 있다.
전력 관리 회로(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회로(150)는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charger integrated circuit),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 게이지(battery or fuel gauge)를 포함할 수 있다. PMIC는, 유선 및/또는 무선 충전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은,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을 포함하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배터리(160)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160)은,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 및/또는 태양 전지(solar battery)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회로(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과 접점 구조를 통해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배치, 동작 환경 등을 고려하여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들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큰 크기 또는 높은 해상도를 갖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많은 양의 전력을 공급하고,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 또는 낮은 해상도를 갖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적은 양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접점 구조에 직접/간접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의 배치를 고려하여 전력 공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점 구조(102)를 통해 직접/간접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가 5개이고, 접점 구조(105)를 통해 연결된 디스플레이가 1개인 경우, 접점 구조(102)를 통해 많은 양의 전력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70)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에서 디스플레이 될 이미지, 동영상, 미디어 파일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가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내장 메모리에 해당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삽입되거나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외장 메모리에 해당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23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마스크(mask) ROM, 플래시(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낸드플래시(NAND flash) 또는 노아플래시(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SSD(solid state driv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 Mini-SD,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기능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접점 구조들(101, 102, 103, 104, 105, 106)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마련된 다른 접점 구조들과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접점 구조들(101, 102, 103, 104, 105, 106)의 개수 및 배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가질 수 있는 접점의 개수와 배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폭(width) 방향으로 5개의 접점이 배치되고, 높이(height) 방향으로 2개의 접점이 배치될 수도 있다. 접점 구조의 배치와 개수에 따라서, 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다양한 배치를 갖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3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점 구조의 개념적인 예시를 나타낸다.
도 3a를 참조하면, 접점 구조(101)는 체결부(301), 데이터 포트(303), 전원 포트(30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점 구조(101)는 선택적으로 근접 센서(307)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접점 구조들은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결합하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들에 구비된 접점 구조들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접점 구조와 동일하거나, 또는 호환되는 규격의 접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체결부(301)는 접점 구조(101)를 통해 연결되는 2개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을 유지시키는 구조 또는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30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예: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또는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충분한 자력을 갖는 체결 용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301)에 구비된 자석의 N극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S극의 자력에 의한 접촉에 의해 두 디스플레이들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301)는 기구적으로 두 디스플레이를 결합하기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301)는 버클 또는 요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자석을 이용한 실시 예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접점 구조(101)는 데이터 포트(303)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포트(303)는, 접점 구조(101)를 통한 디스플레이 장치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때,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데이터 포트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데이터 라인(data line)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크기, 디스플레이 해상도, 배터리 잔량, 외부 전원과의 연결 여부,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연결된 다른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정보 등을 데이터 포트(303)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데이터 포트(303)를 통해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출력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간접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예: 제3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제3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데이터를 제3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하라는 명령을 상기 데이터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접점 구조(101)는 전원 포트(30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포트(305)는, 접점 구조(101)를 통한 디스플레이 장치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때,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포트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 사이의 전력 공급을 위한 전력 공급 선(power supply line)이 연결될 수 있다.
접점 구조(101)는 근접 센서(3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 접점 구조(예: 접점 구조(101))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예: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2 접점 구조와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접점 구조가 배치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 측면(예: 우측 측면)과, 제2 접점 구조가 배치된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일 측면(예: 좌측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접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디스플레이 배치를 형성하기 위해 측면의 일부가 접한 상태에서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움직이다가, 제2 접점 구조와 인접한 제3 접점 구조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 접점 구조와 불완전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점 구조의 양 끝에 2개의 자석이 배치되는 경우, 데이터 포트(303)나 전원 포트(305)는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자석끼리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 제1 접점 구조의 상단 자석과 제2 접점 구조의 하단 자석끼리 결합) 이러한 경우 데이터 라인이나 전력 공급 라인이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근접 센서에 의해 접점 구조들 사이의 결합이 완전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회로(110)는 근접 센서에 의해 제1 접점 구조가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2 접점 구조와 정상적으로 접촉(결합)되었다는 것이 감지되었을 때,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배치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분할하여 출력하고, 제1 접점 구조와 제2 접점 구조가 접촉하지 않았거나 접촉이 해제되었다는 것이 감지되면 콘텐트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만 출력할 수 있다.
도 3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점 구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접점 구조(310)는,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접점 구조들(101, 102, 103, 104, 105, 106) 중 어느 하나의 접점 구조(예: 제1 접점 구조)에 해당할 수 있다. 접점 구조(32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접점 구조들 중 임의의 접점 구조(예: 제2 접점 구조)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접점 구조(310)와 접점 구조(320)은 서로 동종의 것이고 대응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접점 구조(310)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접점 구조(32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b의 <disconnected> 상태는 접점 구조(310)와 접점 구조(320)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양단에 위치한 영구 자석(311)은 다른 자기적 영향 또는 기구적인 영향으로 접점 구조(310)의 내부의 특정 공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전원 라인(313), 접지 라인(314), 및 데이터 라인(315)이 접점 구조(3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배선 구조는 접점 구조(310)의 표면에서 일단이 노출될 수 있다. 노출된 영역을 통해서 접점 구조(320)과 회로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전원 라인(313), 접지 라인(314), 및 데이터 라인(315)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될 수 있다.
접점 구조(310)는 근접 센서(317)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317)는 도 3b에 도시된 것과 다른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영구 자석(311)의 외측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라인들의 상단 혹은 하단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접점 구조(310)와 유사하게, 접점 구조(320)도 영구 자석(321), 전원 라인(323), 접지 라인(324), 데이터 라인(325), 및 근접 센서(32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b의 <connected> 상태는 접점 구조(310)와 접점 구조(320)가 정상적으로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connected> 상태는 접점 구조(310)의 양단에 배치된 영구 자석과 접점 구조(320)의 양단에 배치된 영구 자석이 자기적으로 강하게 결합한 상태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접점 구조(310, 320)는 특정 방향에 대해서만 결합이 가능하도록 배선들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에서, 결합 방향에 관계 없이 배선들이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점 구조(310)는 2개의 행(row)으로 배치되는 전원 라인(313), 접지 라인(314), 및 데이터 라인(315)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접점 구조(310)는 총 6개의 라인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행에 배치되는 라인들의 역순으로 제2 행에 라인들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설명된 접점 구조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석이나 포트, 배선 구조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생략 또는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들이 자체 배터리 또는 외부 AC 전원 공급을 통해 동작하는 경우에는, 전력 공급 배선이 생략될 수도 있다.
도 4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의 전원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4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10개의 접점 구조(상단 측면에 3개, 하단 측면에 3개, 좌측면에 2개, 우측면에 2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예시적인 것이며, 접점 구조의 배치와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a 및 후술하는 4b와 4c에서는 전력 공급과 연관된 배선만 표시 및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어댑터(external adaptor)(402)를 통해 AC 전원(401)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단에 위치한 접점 구조 중 하나를 통해 외부 AC 전원(401)과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예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후면에 AC 전원(401)과 연결을 위한 별도의 전원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전원 포트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벽걸이 TV와 같이 벽면에 부착 가능한 경우, 후면에 위치한 전원 포트를 통해 전력을 공급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다른 외부 디스플레이들에는 접점 구조를 통해 전력을 공급하면, 외형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들로 제공되는 전력 선이 보이지 않아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은 우측면, 하단 측면, 및 좌측면에 각각 1개씩 총 3개의 외부 디스플레이들이 연결될 수 있다. AC 전원(401)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은 전력 관리 회로(150)를 통해 배터리(160)를 충전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20)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 공급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내부 배선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전기적 경로를 통해, AC 전원(401)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은 우측면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 하단 측면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좌측면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들로 적절하게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전력 관리 회로(150), 또는 제어 회로(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와 해상도, 소모 전력 등을 고려하여 AC 전원(401)로부터 공급되는 전력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용 전력(예: 외부 전력 및 내장 배터리의 전력) 중 일부 전력을 연결 상태의 접점으로 적절하게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측면에 배치된 접점 구조를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직접적으로 1개, 간접적으로 3개 연결되고, 좌측면에 배치된 접점 구조를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직접적으로 1개만 연결된 경우, 전력 관리 회로(150)는 우측면으로 상대적으로 더 많은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력 배선 구조는, 선택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전력 관리 회로(150)에서 관리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적어도 일부의 전기적 경로는 바이패스(bypass)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a에 도시된 접점 구조는, 전력 공급 단자(포트) VCC(431), 접지 단자 GND(432), 및 결합용 자석(magnet)을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포트(예: 데이터 포트(303))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3a와 비교할 때, 자석(N극)(433)과 자석(S극)(434)는 체결부(301)에, VCC(431)과 GND(432)는 전원 포트(305)에, 센서(435)는 근접 센서(307)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도 4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결합 예시를 나타낸다. 도 4b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이 직접 결합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제3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제4 디스플레이 장치(400)이 직접 결합되고, 제4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제5 디스플레이 장치(500)이 직접 결합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이 경우, 제3 디스플레이 장치(300), 제4 디스플레이 장치(400), 및 제5 디스플레이 장치(500)은 모두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과 간접적인 연결 관계에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접점 구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일 측면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 측면과 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직접적인 연결 관계에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측면 일부의 접함 없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접점 구조와 전기적으로만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간접적인 연결 관계에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도시된 5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두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
도 4b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AC 전원(power source)으로부터 전력(power)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간접 연결된 3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300, 400, 500)의 전력 소모를 고려하여, 접점 구조를 통해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직접 연결된 제3 디스플레이 장치(300) 및 제4 디스플레이 장치(400)와, 간접 연결된 제5 디스플레이 장치(500)의 전력 소모를 고려하여, 제3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제공되는 전력의 약 2배의 전력을 제4 디스플레이 장치(4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4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다른 결합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4c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하여 다수의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예시의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9개의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마스터 디스플레이(master display)로 동작할 수 있다. 다른 9개의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패시브 디스플레이(passive display)로 동작할 수 있다. 마스터와 패시브의 구분은 장치가 수행하는 역할이나 기능에 따라서 결정되며, 장치에 따라서 원시적으로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마스터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그룹(예: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9개의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들, 또는 마스터 디스플레이 및 하나 이상의 패시브 디스플레이들)에 의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구조물에 표시할 정보나 콘텐츠를 관리하고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마스터 디스플레이 자체 및 마스터 디스플레이와 연결되어 있는 패시브 디스플레이들의 기울기, 사용자의 근접 여부 등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베젤 터치(bezel touch) 또는 터치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 입력 등을 인식하여 콘텐츠를 네비게이션 하거나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패시브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멀티 터치(예: 줌 인)를 입력하면, 마스터 디스플레이는 현재 디스플레이 구조물에 출력된 콘텐츠가 전체로서 확대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이 경우, 패시브 디스플레이에서 패시브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콘텐츠 영역만 확대하게 되면, 디스플레이 구조물 전체를 보았을 때 통일성이 흐트러지므로 사용자 경험을 저해할 수 있다.
다시 도 4c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력 충전 경로(441)를 통해 외부 AC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들의 배치 및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가용 전력 중 일부 전력을 접점 구조를 통해 직접 연결 관계에 있는 각각의 패시브 디스플레이들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회로(110) 또는 전력 관리 회로(150)는 패시브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 전원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 패시브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패시브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모 전력 등에 기초하여 패시브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AC 전원과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용 전력이나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해상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소모 전류도 패시브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력을 제공할 때 고려될 수 있다.
만약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모든 패시브 디스플레이 장치들로 충분한 전력 공급이 어려운 경우, 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요구되는 전력보다 적은 전력 공급이 예상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또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직접/간접적으로 연결되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직접 연결된 다른 패시브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력 부족이 예상된다는 알림(indication)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은 전력 부족을 나타내는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력 보충 경로(442)를 통해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에도 외부 전력을 공급해줄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전력 부족을 나타내는 정보(201)가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직접 표시되는 대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전력 부족이 예상된다는 정보가 표시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110) 또는 전력 관리 회로(150)는 디스플레이 사이의 결합 또는 해제가 발생할 때마다 접점을 통해 공급되어야 하는 전력량을 체크할 수 있다.
도 5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결합에 따라 콘텐트(content)의 디스플레이가 변경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5a의 상태 <501>을 참고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결합하기 전에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만 콘텐트(content)가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콘텐트(content)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과 같은 미디어 데이터나 웹 페이지, 플래시 데이터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마스터 디스플레이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패시브 디스플레이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출력 대상이 되는 콘텐트의 해상도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해상도를 고려하여 적절한 영역을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거나, 혹시 콘텐트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 100에 모두 보여지도록 콘텐트를 리사이징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콘텐트의 비율을 유지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갖는 해상도와 높이를 일치시키거나 폭을 일치시키고, 특정 기준으로 정렬(예: 가운데 정렬, 좌측 정렬 등)하여 콘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상태 <502>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우측에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이 결합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배치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과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각각 출력될 콘텐트의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11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출력될 제1 영역과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출력될 제2 영역을 결정하고, 제1 영역에 해당하는 콘텐트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출력하고, 제2 영역에 해당하는 콘텐트는 접점 구조를 통해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11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크기, 해상도, 및 상기 제2 영역에 기초하여 미디어 데이터를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데이터를 접점 구조를 통해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 결과, 상태 <503>과 같이 콘텐트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배치에 의한 디스플레이 구조물에 전체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출력될 데이터는, 접점 구조를 통하지 않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동종의 근거리 네트워크(예: Wi-Fi, Bluetooth 등)를 지원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 회로(130)를 통해 적절한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제2 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다른 결합에 따라 콘텐트의 디스플레이가 변경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태 <511>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직 방향(예: 중력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벽면에 부착되는 경우, 각 디스플레이 장치는 중력 방향에 대한 기울기를 자이로 센서나 중력 센서 등을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울기를 감지하여, 콘텐트가 출력되는 각도를 보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장치의 기울기에 관계 없이 사용자가 항상 일정하게 배치된 이미지를 보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회전하더라도, 회전 각도의 보정에 의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보여지는 이미지는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이제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 지점과 상태 <512>와 같이 결합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결합한 접점의 위치,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크기 및 해상도, 결합이 이루어진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접점의 위치 등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과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배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회로(11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출력될 제1 영역을 결정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출력될 제2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의해 콘텐트가 출력되더라도, 임의의 디스플레이 장치(예: 마스터 디스플레이)의 기울기에 관계 없이 콘텐트는 항상 일정하게(예: 지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또는 중력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출력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에서, 마스터 디스플레이 역할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울기나 각도에 따라서, 회전된 콘텐트가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도 6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트가 출력되는 영역의 결정 방법을 나타낸다.
도 6a는 2개의 디스플레이가 일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하면서 접점을 통해 연결된 예시를 나타낸다. 설명의 편의 상 좌측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우측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가정한다. 이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마스터 디스플레이로 동작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패시브 디스플레이로 동작할 수 있다. 그러나 좌/우측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바뀌거나, 마스터/패시브 디스플레이 역할이 서로 바뀌거나, 3개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임의로 배치되더라도 도 6a에서 설명하는 콘텐트 출력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다시 도 6a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들의 배치에 의해 형성되는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에 외접하는 가상의 사각형의 영역에 출력될 콘텐트를 맵핑할 수 있다. 도 6a의 경우, 외접하는 가상의 사각형은 폭(가로)이 a, 높이(세로)가 b인 사각형일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 가상의 사각형 영역 중에서,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해당하는 영역에 맵핑된 콘텐츠의 영역을 각각의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될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응되는 영역은 제1 영역으로,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응되는 영역은 제2 영역으로, 가상의 사각형 영역 중 어떤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대응되지 않는 영역의 콘텐트는 출력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출력되지 않는 부분을 보완하고, 콘텐트를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 하기 위하여, 콘텐트는 지정된, 또는 임의의 마진(margin) 영역을 제외하고 가상의 사각형 영역과 맵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이미지는 가장자리로부터 300pixel의 마진을 제외하고 가상의 사각형 영역과 맵핑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이미지는, 상기 가상의 사각형 영역보다 가로/세로가 600 pixel 더 큰 사각형 영역에 맵핑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마스터 디스플레이)는 각각의 디스플레이에 컨텐트(예: 이미지)가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듯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컨텐트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출력될 수 있다. 컨텐트의 이동 효과는, 위에서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 상단 마진이 0인 지점(콘텐츠의 상단 끝)이 출력될 때까지 지속되다가, 상단 마진이 0인 지점까지 출력되면 반대 방향 혹은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효과가 적용될 수 있다.
도 6b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콘텐트가 출력되는 영역의 결정 방법을 나타낸다.
도 6b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벽면 등에 고정되어서, 중력(수직)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각도를 판단할 수 있는 경우의 실시 예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앞서 도 6a에 도시된 실시 예는 기울기를 고려하지 않거나, 디스플레이 장치가 평지 등에 배치되어 있어서 기울기를 고려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의 예시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 도 6a의 가정은 도 6b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들의 배치에 의해 형성되는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에 외접하는 가상의 사각형의 영역에 출력될 콘텐트를 맵핑할 수 있다. 도 6a의 경우, 외접하는 가상의 사각형의 가로 및 세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로 및 세로 길이에 의해 결정되었으나, 도 6b의 경우 외접하는 가상의 사각형은 디스플레이 배치에 의해 형성되는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의 수직/수평 방향으로 최대 길이를 갖는 사각형에 해당할 수 있다.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이 차지하는 최상단 좌표와 최하단 좌표 사이의 길이가 높이 b이고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이 차지하는 최우측 좌표와 최좌측 좌표 사이의 길이가 폭 a인 가상의 사각형이, 도 6b에서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에 외접하는 사각형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 가상의 사각형 영역 중에서,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해당하는 영역에 맵핑된 콘텐츠의 영역을 각각의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될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도 6b의 실시 예에서도, 가상의 사각형 영역은 기울어지지 않도록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형성되므로,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되는 콘텐트는 기울어지지 않는다.
도 6a 또는 도 6b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회로(110)는 가상의 사각형 영역과 콘텐트를 다양한 방식으로 맵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110)는 가상의 사각형 영역의 중심과 콘텐트의 중심을 맵핑하고, 맵핑된 중심 점을 기준으로 콘텐트의 폭이나 높이가 가상의 사각형 영역의 폭이나 높이와 대응되도록 콘텐트를 가상의 사각형 영역에 맵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100)는 가상의 사각형 영역이 100x100이고, 콘텐트가 50 x 200의 해상도를 가질 때, 콘텐트의 폭(50)이 가상의 사각형 영역의 폭(100)에 대응되도록 맵핑할 수 있다. 이 경우, 콘텐트의 높이는 400으로 확장될 수 있다. 콘텐트의 중심과 가상의 사각형의 중심이 서로 맵핑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이 가상의 사각형 영역과 일치한다 하더라도, 콘텐트의 좌측 및 우측 150px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이동 효과를 적용하여 콘텐트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에 모두 보여지도록 할 수 있다.
위 예시에서, 콘텐트의 높이(200)를 가상의 사각형 영역의 높이(100)에 맵핑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당 부분에 표시될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상의 사각형 영역과 디스플레이 영역이 일치한다 하더라도, 가상의 사각형 영역 중 중심 부근의 25x100 영역만 콘텐트가 출력되고, 75x100에 해당하는 영역에는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제어 회로(110)는 설정에 따라서 폭과 높이 중 적절하게 의도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맵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제어 회로(110)는 가상의 사각형 영역의 일단과, 콘텐트의 일단을 맵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의 사각형의 최상단과 콘텐트의 최상단을 맵핑하거나, 가상의 사각형의 좌측과 콘텐트의 좌측을 맵핑할 수 있다. 또는, 제어 회로(110)는 가상의 사각형 영역의 크기와 일치하도록 콘텐트의 크기를 리사이징 하여 맵핑할 수 있다. 이 경우, 콘텐트의 가로/세로 비율이 가상의 사각형의 가로/세로 비율로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대부분의 예시들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2개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결합 예시를 설명하였으나, 3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결합한 경우에도 상술한 방법 및 원리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1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직접 결합(연결)하고, 제2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1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 제어 회로(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제1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에 기초하여, 콘텐트 중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출력될 제1 영역, 제1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될 제2 영역, 제2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될 제3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 회로(110)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1 영역을 출력하고, 접점 구조를 통해 제1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2 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고, 또한 제1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3 영역에 대한 데이터 및 해당 데이터를 제2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하라는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2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으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2 영역에 대한 데이터 및 제3 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디스플레이의 결합을 통해 활용 가능한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기능이 있는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예시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직접 연결된 상태에서,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카메라 기능이 있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700)가 직접 연결된다. 도 7 및 이하에서 설명하는 예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모두 전술한 접점 구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카메라 모듈(70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것과 달리, 마스터 디스플레이(예: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700)이 직접 연결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에 구비된 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카메라 기능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결된 것을 인지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700)로 카메라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획득되는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전달할 수 있다.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700)로부터 영상이 획득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배치를 고려하여 획득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배치를 고려할 때 제외되고 지정된 영상을 출력하거나 지정된 기능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700)에는 계속해서 카메라 프리뷰(preview) 영상이 출력되고 있을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NFC 기능이 있는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예시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결합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800)는 NFC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800)가 NFC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NFC가 지원됨을 나타내는 표시(801)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800)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800)는 NFC를 지원하지 않으나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NFC를 지원하는 경우, 해당 표시(801)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 상에, 예를 들어 NFC 태깅(tagging)이 가능한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NFC 태깅이 발생하면, NFC 태깅에 따른 결제, 등록, 체크인, 또는 태깅한 사용자 단말(802)(예: 스마트폰)로 현재 출력된 콘텐트에 대한 자세한 정보의 제공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콘(beacon) 기능이 있는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예시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결합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900)는 비콘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900)가 비콘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비콘 기능이 있음을, 또는 비콘을 통한 방송 메시지가 있음을 나타내는 표시(901)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900)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NFC와 달리, 비콘 기능을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어느 장치인지는 사용자에게 중요하지 않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 상에 표시(901)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비콘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단말(902)을 가지고 디스플레이 구조물 근처에 위치하면, 사용자 단말(902)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쿠폰, 프로모션과 같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900)로 출력되는 콘텐트 영역에 대한 정보와 함께 비콘을 통해 브로드캐스팅 될 메시지나 데이터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900)는 제공받은 메시지나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 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902)은 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거치 방식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표지판(1010)과 같이 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의 프레임(frame)에 단독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정된 화면을 출력하고,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접점 구조를 통해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술한 방식에 따라 콘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중앙의 프레임을 통해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들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벽면에 액자나 벽화, 거울과 같은 형식(1020)으로 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에는 벽면에 접합하기 위한 자석이 포함될 수 있다. 이 자석은 벽면 뒤에 미리 배치된 자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가 벽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벽면에 미리 구비된 무선 충전용 회로를 통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무선 충전될 수 있다.
또 다른 형식으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걸이식(1030)으로 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정에 고정된 프레임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호 연결되어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레임은 복수의 디스플레이의 측면에 구비된 접점 구조를 통해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선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결합 구조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호텔이나 건물의 로비에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이 결합된 디지털 사이니지가 배치될 수 있다. 기존의 방식에 따르면, 중앙 시스템에서 미리 디스플레이들의 배치와 출력될 콘텐츠를 결정하기 때문에, 만약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가 고장나거나 전력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매우 어색하거나 이상한 방식으로 콘텐츠가 출력되는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느 디스플레이 하나와의 결합 구조가 끊어지는 경우(예: 결합의 물리적 분리, 전력 이상이나 기계 고장으로 인한 전기적인 분리의 경우 등)에도 마스터 디스플레이가 연결된 디스플레이들을 판단하여 출력될 콘텐츠를 다시 결정할 수 있다.
도 1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결합 구조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호텔이나 회사 로비의 표지판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회의의 세션 위치를 알리는 간단한 표지판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할 수 있으나, 보다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는 표지판은 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결합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기존의 방식을 따르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Samsung Confeferce / Grand Ballroom AM 09:00 ~ PM 01:00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가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Samsung Conference가 어디에서 몇 시에 열리는 지 알 수 없게 되거나(하단에 위치한 디스플레이가 오작동 하는 경우), Grand Ballroom에서 열리는 회의가 무슨 회의인지 알 수 없게 된다(상단에 위치한 디스플레이가 오작동 하는 경우).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오작동 하는 경우,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혹은 오작동하는 디스플레이를 제외하고 결합 상태에 있는 디스플레이들의 배치에 따라 안내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다양한 기능을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능을 지원하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 제2 기능을 지원하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3 기능을 지원하는 제3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그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들) 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마스터 디스플레이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예: 제1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기능, 제2 기능, 제3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활성화하고, 디스플레이들의 배치에 기초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능이 TV 기능인 경우(예: 제1 디스플레이 장치가 TV인 경우), 마스터 디스플레이는 TV 화면을 제1 디스플레이 장치, 제2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3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에 기초하여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에 있어서,
    콘텐트(content)가 저장되는 메모리;
    상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접점 구조(contact points); 및
    상기 메모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복수의 접점 구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접점 구조 중 제1 접점 구조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2 접점 구조와 접촉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트 중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출력될 제1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기 콘텐트 중 상기 결정된 제1 영역을 출력하도록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점 구조가 배치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접점 구조가 배치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서로 접하도록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배치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트 중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될 제2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2 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통신 회로로 하여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결정된 제2 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방식은, Wi-Fi, Bluetooth, Wi-Fi Direct, NFC, BL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용 전력 중 일부 전력을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 전원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 전원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및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일부 전력을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일부 전력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요구되는 전력보다 적은 경우, 전력 부족을 나타내는 알림(indication)을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배치에 의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외접하는 가상의 사각형 영역에 상기 콘텐트를 맵핑할 때 상기 가상의 사각형 영역 중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되는 영역을 상기 제1 영역으로 결정하도록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가상의 사각형 영역 중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2 영역으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2 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가상의 사각형 영역의 중심과 상기 콘텐트의 중심을 맵핑하도록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가상의 사각형 영역의 일단과 상기 콘텐트의 일단을 맵핑하도록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가상의 사각형 영역의 크기와 일치하도록 상기 콘텐트의 크기를 조정하도록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콘텐트의 폭(width)과 높이(height)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가상의 사각형의 폭과 높이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도록 상기 콘텐트를 확대하도록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접점 구조 중 어느 하나의 접점을 통해 제2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2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상기 제1 외부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점 구조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체결 용 자석, 데이터 포트, 및 전원 포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점 구조 각각은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근접 센서에 의해 상기 제1 접점 구조가 상기 제2 접점 구조와 접촉하였다는 것이 감지되었을 때 상기 결정된 제1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출력하고,
    상기 근접 센서에 의해 상기 제1 접점 구조가 상기 제2 접점 구조와 접촉하지 않았거나 접촉이 해제되었다는 것이 감지되었을 때 상기 콘텐트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출력하도록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점 구조 각각은 접지 라인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에 있어서,
    콘텐트(content)가 저장되는 메모리;
    상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접점 구조(contact points); 및
    상기 메모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복수의 접점 구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접점 구조 중 제1 접점 구조는 제1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2 접점 구조와 접촉하고,
    상기 제1 접점 구조를 포함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접점 구조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접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제1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1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상기 제1 접점 구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트 중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출력될 제1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기 콘텐트 중 상기 결정된 제1 영역을 출력하도록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배치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트 중 상기 제1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될 제2 영역 및 상기 제2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될 제3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제1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제3 영역에 대한 데이터 및 상기 제3 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제2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하도록 하는 명령을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60000582A 2016-01-04 2016-01-04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이용한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KR102418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582A KR102418003B1 (ko) 2016-01-04 2016-01-04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이용한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US16/067,455 US10712991B2 (en) 2016-01-04 2017-01-04 Content display using multiple display devices
EP17736095.5A EP3376366B1 (en) 2016-01-04 2017-01-04 Content display using multiple display devices
PCT/KR2017/000111 WO2017119722A1 (ko) 2016-01-04 2017-01-04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이용한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CN201780005619.3A CN108475183A (zh) 2016-01-04 2017-01-04 使用多个显示设备的内容显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582A KR102418003B1 (ko) 2016-01-04 2016-01-04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이용한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489A true KR20170081489A (ko) 2017-07-12
KR102418003B1 KR102418003B1 (ko) 2022-07-07

Family

ID=59273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582A KR102418003B1 (ko) 2016-01-04 2016-01-04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이용한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12991B2 (ko)
EP (1) EP3376366B1 (ko)
KR (1) KR102418003B1 (ko)
CN (1) CN108475183A (ko)
WO (1) WO2017119722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745B1 (ko) * 2018-07-25 2019-03-06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항공기용 전자 제어 장치 및 터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CN110111721A (zh) * 2019-05-28 2019-08-09 明基智能科技(上海)有限公司 显示装置及显示装置的拼接结构
KR20200071266A (ko) * 2018-12-11 2020-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이니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42198A (ko) * 2019-08-30 2022-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11321040B2 (en) 2019-04-18 2022-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user terminal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er terminal device
WO2022149711A1 (ko) * 2021-01-08 2022-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4215A (ko) * 2017-06-08 2018-12-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마트 사이니지를 이용한 컨텐츠 재생 방법 및 시스템
US11093197B2 (en) * 2017-07-31 2021-08-17 Stmicro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to increase display area utilizing a plurality of discrete displays
DE102019202581B4 (de) 2019-02-26 2021-09-0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Fahrerinformationssystems in einem Ego-Fahrzeug und Fahrerinformationssystem
DE102019202588A1 (de) 2019-02-26 2020-08-2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Fahrerinformationssystems in einem Ego-Fahrzeug und Fahrerinformationssystem
CN110264932A (zh) * 2019-05-29 2019-09-20 明基智能科技(上海)有限公司 控制显示器拼装结构的方法
CN110489044B (zh) * 2019-07-01 2021-02-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对象分享方法及终端
CN115148171A (zh) * 2019-10-09 2022-10-04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TWI731691B (zh) * 2020-05-21 2021-06-2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發光二極體顯示系統及模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62475A1 (en) * 2010-09-15 2012-03-15 Lenovo (Singapore) Pte, Ltd. Combining multiple slate displays into a larger display
US20130214995A1 (en) * 2012-02-21 2013-08-22 Research In Motion Tat Ab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across multiple electronic devices
US8823640B1 (en) * 2010-10-22 2014-09-02 Scott C. Harris Display reconfiguration and expansion across multiple devices
KR20140146487A (ko) * 2013-06-17 2014-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50379964A1 (en) * 2014-06-25 2015-12-3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687401A (en) * 2000-06-14 2001-12-24 Inc American Healthcare Produc Heating pad systems, such as for patient warming applications
US7564425B2 (en) 2002-04-04 2009-07-21 Lenovo (Singapore) Pte Ltd. Modular display device
CA2547902A1 (en) * 2003-12-19 2005-07-21 Speechgear, Inc. Display of visual data as a function of position of display device
US20070000849A1 (en) 2005-01-25 2007-01-04 Daktronics, Inc. Modular display system
US20100053151A1 (en) * 2008-09-02 2010-03-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line mediation for manipulating three-dimensional content on a display device
US9009984B2 (en) * 2008-09-08 2015-04-21 Qualcomm Incorporated Multi-panel electronic device
US8860632B2 (en) * 2008-09-08 2014-10-14 Qualcomm Incorporated Multi-panel device with configurable interface
KR101075233B1 (ko) 2009-06-12 2011-10-19 에버브라이튼주식회사 멀티비젼 시스템의 단위 디스플레이 결합장치
US9298362B2 (en) * 2011-02-11 2016-03-29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media in a multi-device environment
US9013416B2 (en) 2011-02-25 2015-04-21 Amazon Technologies, Inc. Multi-display type device interactions
US9240145B2 (en) 2011-04-27 2016-01-19 Sharp Kabushiki Kaisha Multi-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US9367224B2 (en) * 2011-04-29 2016-06-14 Avay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wing drag-and-drop operations across the shared borders of adjacent touch screen-equipped devices
JP2013140455A (ja) * 2011-12-29 2013-07-18 Panasonic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498603B1 (ko) 2012-09-04 2015-03-05 주식회사 팬택 정보 전달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55703A (ko) * 2012-11-01 2014-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19841A (ko) 2013-08-16 2015-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KR102436513B1 (ko) * 2015-08-12 2022-08-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해상도 조정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62475A1 (en) * 2010-09-15 2012-03-15 Lenovo (Singapore) Pte, Ltd. Combining multiple slate displays into a larger display
US8823640B1 (en) * 2010-10-22 2014-09-02 Scott C. Harris Display reconfiguration and expansion across multiple devices
US20130214995A1 (en) * 2012-02-21 2013-08-22 Research In Motion Tat Ab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across multiple electronic devices
KR20140146487A (ko) * 2013-06-17 2014-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50379964A1 (en) * 2014-06-25 2015-12-3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745B1 (ko) * 2018-07-25 2019-03-06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항공기용 전자 제어 장치 및 터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200071266A (ko) * 2018-12-11 2020-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이니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321040B2 (en) 2019-04-18 2022-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user terminal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er terminal device
US11726735B2 (en) 2019-04-18 2023-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user terminal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er terminal device
CN110111721A (zh) * 2019-05-28 2019-08-09 明基智能科技(上海)有限公司 显示装置及显示装置的拼接结构
KR20220042198A (ko) * 2019-08-30 2022-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WO2022149711A1 (ko) * 2021-01-08 2022-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76366A1 (en) 2018-09-19
US20190018637A1 (en) 2019-01-17
KR102418003B1 (ko) 2022-07-07
EP3376366B1 (en) 2021-11-24
WO2017119722A1 (ko) 2017-07-13
EP3376366A4 (en) 2018-12-12
US10712991B2 (en) 2020-07-14
CN108475183A (zh) 2018-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8003B1 (ko)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이용한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EP3367208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with rounded corners
CN111034161B (zh) 包括使用显示面板的结构的天线的电子装置
US20150198978A1 (en) Electronic device
US20210175297A1 (en)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portion
EP3291516B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and senso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0283079B2 (en) Low power driv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hereof
US10068315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display
US11054978B2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rightness of the same
CN103488253A (zh) 智能保护盖窥视
US20130040657A1 (en) Electronic document reading devices
KR20160139643A (ko) 확장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KR20220045136A (ko) 표시 장치 및 정보 처리 장치
US9144815B2 (en) 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56263A (ko) 표시 제어 방법, 이를 구현한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장치
US20180289114A1 (en) Sports retronic wearable terminal
CN109196865A (zh) 一种数据处理方法及终端
US9648747B2 (en) Companion integrated circuit having decoupling capacitor and mobile device having the same
KR20140044981A (ko) 단말의 알림창 표시 방법 및 그 단말
KR20150117482A (ko)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445857B2 (en) Electronic frame and image displaying method of electronic frame
US20150062037A1 (en) Touch display device
WO2013179733A1 (en) Route search apparatus and route search method
KR20150033117A (ko) 터치 패널 및 이동 단말기
KR20100136712A (ko)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미지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