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1392A - 안전모용 내피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 - Google Patents

안전모용 내피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1392A
KR20170081392A KR1020160000367A KR20160000367A KR20170081392A KR 20170081392 A KR20170081392 A KR 20170081392A KR 1020160000367 A KR1020160000367 A KR 1020160000367A KR 20160000367 A KR20160000367 A KR 20160000367A KR 20170081392 A KR20170081392 A KR 20170081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buffer
head
buffer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왕규
오명석
Original Assignee
박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왕규 filed Critical 박왕규
Priority to KR1020160000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1392A/ko
Publication of KR20170081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3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4Suspension device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모용 내피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안전모는, 외관을 이루며 착용자의 머리 외측을 덮는 형상을 갖는 외피; 및 상기 외피의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외피로부터 상기 착용자의 머리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내피를 포함하며, 상기 내피는, 외력에 의해 상기 외피의 형상에 따라 반구 형태로 변형이 가능한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블레이드가 방사형으로 배치된 내피 본체; 및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로부터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 본체 간의 이격 공간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외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둘 이상의 완충돌기;를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장시간 착용시에도 안전모의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으면서, 안전모의 본연의 기능인 사용자의 머리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안전모용 내피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전모용 내피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INNER CELL FOR SAFETY HELMET AND SAFETY HELMET EQUIPP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안전모용 내피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시간 착용시에도 안전모의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으면서, 안전모의 본연의 기능인 사용자의 머리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안전모용 내피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모는 각종 산업현장에서 작업중에 비래하는 물건이나 낙하하는 물건 등에 의한 위험성을 방지하고, 작업자가 높은 곳에서 작업을 하던 중 부주의 등으로 추락했을 때, 머리부위에 상해를 받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머리부위에 감전될 우려가 있는 전기공사 작업에서 산업 재해를 방지하기 위해 머리에 착용하는 모자이다.
이와 같은 안전모는 통상 본체와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내피로 이루어진다.
본체는 두부의 곡면 형상을 따라 곡면으로 형성되고, 외부의 상당한 충격에도 사용자의 두부를 보호하기 위해 합성수지, 경금속 또는 복합재료 등의 단단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내피는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단단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본체와 사용자의 머리 사이에서 완충 작용과, 사용자의 머리에 안착 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안전모는 외피를 통해 작업자의 머리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흡수하기 위한 수단으로 밴드를 엮거나 스티로폼, 스펀지 등의 쿠션재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내피를 형성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대부분의 안전모는 장시간 착용하게 되면 머리부위가 완충부재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장시간 착용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머리에서 발생된 열기나 땀이 외부로 배출되기 어렵다. 따라서, 착용자는 안전모를 착용하는데 따른 무게감뿐만 아니라 머리에서 발생되는 열기 및 습기가 외부로 잘 배출되지 않는데 따르는 불쾌감에 의해 안전모의 착용을 꺼리게 되고, 이로 인하여 안전사고의 가능성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안전모는 내피를 착탈하거나 교체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위생 상태를 관리하기 어렵고 외피에는 손상이 없더라도 내피가 찢어지거나 오염되는 경우 안전모 자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장시간 착용시에도 안전모의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으면서, 안전모의 본연의 기능인 사용자의 머리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안전모용 내피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를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관을 이루며 착용자의 머리 외측을 덮는 형상을 갖는 외피; 및 상기 외피의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외피로부터 상기 착용자의 머리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내피를 포함하며, 상기 내피는, 외력에 의해 상기 외피의 형상에 따라 반구 형태로 변형이 가능한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블레이드가 방사형으로 배치된 내피 본체; 및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로부터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 본체 간의 이격 공간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외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둘 이상의 완충돌기;를 포함하는 안전모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완충돌기는, 상기 외피의 측면 영역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측면 완충돌기; 및 상기 외피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중앙 완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피 본체는, 상기 착용자의 머리의 중앙에 위치하는 홀 영역; 상기 홀 영역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인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외피와 체결되고, 상기 중앙 완충돌기 및 상기 측면 완충돌기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메인 블레이드; 및 상기 메인 블레이드들 사이에 배치되고 자유 단부에 상기 측면 완충 돌기를 포함하는 서브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블레이드는, 상기 홀 영역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일단부에는 상기 외피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을 포함하고 타단부에는 상기 중앙 완충돌기를 포함하는 한 쌍의 밴드; 및 상기 한 쌍의 밴드의 중앙 영역에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며 일 영역에는 상기 측면 완충돌기를 포함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블레이드는, 상기 중앙의 홀 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 블레이드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그 일단부에 상기 측면 완충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 완충돌기가 상기 외피에 접하도록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외력에 의해 외피의 내측에 장착 가능한 형태로 변형되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고, 착용자의 머리의 중앙에 위치하는 홀 영역; 상기 홀 영역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인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외피와 체결되는 메인 블레이드; 상기 메인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되는 서브 블레이드; 상기 메인 블레이드로부터 상기 외피와의 이격 공간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외피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중앙 완충돌기; 및 상기 메인 블레이드 및 상기 서브 블레이드로부터 상기 외피와의 이격 공간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외피의 측면 영역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측면 완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안전모의 내피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모용 내피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에 따르면, 착용자의 머리에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으며, 특히 정수리 부분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해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모용 내피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에 따르면, 통기성이 향상되어 장시간 착용시에도 안전모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모용 내피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에 따르면, 외피와 내피를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여 내피를 세척하거나 교체하는 등의 방법으로 안전모를 위생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용 내피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전모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용 내피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용 내피를 위에서 아래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용 내피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용 내피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의 내측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용 내피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의 착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용 내피(100)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10)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안전모(10)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내피(100)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안전모(10)는 외관을 이루며 착용자의 머리 외측을 덮는 형상을 갖는 외피(12), 외피(12)의 내면에 설치되어 외피(12)로부터 착용자의 머리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내피(100) 및 외피(12) 및 내피(100)의 양단에 구성되어 착용시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착탈 수단(14)을 포함한다.
외피(12)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안전모(10)의 외관을 이루며 외부로부터의 충격으로부터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막을 형성할 수 있다.
착탈 수단(14)은 외피(12)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끈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내피(100)는 외피(12)의 내측에 설치되어 외피(12)가 받는 충격 에너지를 완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내피(100)는 외력에 의해 상기 외피(12)의 형상에 따라 반구 형태로 변형이 가능한 플렉서블(flexible) 한 재질, 예컨대, 합성수지, 우레탄, 실리콘 또는 폴리스틸렌 계열의 발포성 또는 다공성 물질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내피(100)의 소재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렉서블한 재질에 충격 흡수가 가능한 소재라면 어떤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내피(100)는 복수개의 블레이드(120, 130)가 방사형으로 배치된 내피 본체(110)와 각 블레이드로부터 외피(12)와 내피(100) 간의 이격 공간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외피(12)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둘 이상의 완충돌기(200a, 200b)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돌기(200a, 200b)는 외피(12)와 내피(100) 간의 이격 공간에 개재되어 외피(12)에 가해진 충격이 착용자의 두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완충돌기(200a, 200b)는 안전모(10)를 착용한 착용자의 머리의 측면 영역(A2)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측면 완충돌기(200b)와 착용자의 머리의 정수리 영역, 즉, 외피(12)의 중앙 영역(A1)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중앙 완충돌기(200a)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 완충돌기(200b)와 중앙 완충돌기(200a)의 높이는 충격흡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며, 충격흡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완충돌기(200)는 외피(12)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컨대, 중앙 완충돌기(200a)의 경우 외피(12)와 내피(100) 간의 이격 거리가 3cm라면, 중앙 완충돌기(200a)의 높이는 1.5cm 내외, 예컨대, 1.3cm로 설계될 수 있다. 측면 완충돌기(200b)의 경우 외피(12)와 내피(100) 간의 이격 거리를 고려하여 중앙 완충돌기(200a)와는 다른 높이로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안전모(10)의 내피(100)는 외피(12)에 장착된 상태일 경우 외피(12)의 형태에 따라 반구형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갖고, 외피(12)로부터 분리된 상태일 경우 편평한 상태로 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용 내피(100)가 펴진 상태인 경우 위에서 아래로 바라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용 내피(100)가 펴진 상태인 경우 측면에서 아래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피(100)는 착용자의 머리의 중앙 영역(A1)에 홀 영역(H)을 포함하고, 홀 영역(H)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외피(12)와 체결되는 메인 블레이드(120) 및 메인 블레이드(120)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되는 서브 블레이드(130)를 포함하는 내피 본체(110)와 내피 본체(110) 상에 형성된 완충돌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내피 본체(110)는 착용자의 머리의 중앙에 위치하는 홀 영역(H), 홀 영역(H)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인 형태로 배치되어 외피(12)와 체결되는 메인 블레이드(120) 및 메인 블레이드(120) 사이에 배치되는 서브 블레이드(130)를 포함할 수 있다. 내피 본체(110)의 메인 블레이드(120)와 서브 블레이드(130)는 착용시 착용자의 얼굴을 중심으로 홀 영역(H)에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블레이드(120)는 홀 영역(H)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밴드(121, 123)와, 이들 밴드(121, 123)의 중앙 영역에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블레이드(120)를 형성하는 밴드(121, 123)의 일단부에는 외피(12)에 마련된 걸림부와 체결하기 위한 체결홀(127)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하나의 메인 블레이드(120)는 양 측 밴드(121, 123)의 체결홀(127)이 외피(12)에서 제공되는 걸림부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메인 블레이드(120)를 형성하는 밴드(121, 123)의 타단부, 즉, 홀 영역(H)의 근접 영역에는 중앙 완충돌기(200a)가 형성된다. 홀 영역(H)의 근접 영역은 안전모(10)의 중앙 영역(A1)으로서 메인 블레이드(120)에 형성된 중앙 완충돌기(200a)는 안전모(10)의 중앙 영역(A1)으로 가해진 충격이 착용자의 정수리에 전달되는 것을 완충시킬 수 있다.
메인 블레이드(120)를 형성하는 한 쌍의 밴드(121, 123)는 중앙 영역에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12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25)에는 측면 완충돌기(200b)가 형성된다. 밴드(121, 123)의 중앙 영역은 안전모(10)의 측면 영역(A2)에 해당되어 연결부(125)에 형성된 측면 완충돌기(200b)는 안전모(10)의 측면 영역(A2)으로 가해진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앙 완충돌기(200a)와 측면 완충돌기(200b)를 갖는 메인 블레이드(120)는 홀 영역(H)을 중심으로 좌측에 2개 및 우측에 2개가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블레이드(120) 상에 형성되는 중앙 완충돌기(200a) 및 측면 완충돌기(200b)는 그 크기와 개수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서브 블레이드(130)는 메인 블레이드(120)에 의해 보호되지 못하는 영역에 측면 완충돌기(200b)를 위치시킨다. 서브 블레이드(130)는 외피(12)에 체결되지 않은 상태로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메인 블레이드(120)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서브 블레이드(130)는 중앙의 홀 영역(H)을 중심으로 메인 블레이드(120)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그 일단부에 측면 완충돌기(200b)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블레이드(130)는 측면 완충돌기(200b)가 형성된 단부가 따로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측면 완충돌기(200b)가 외피(12)에 근접하도록 절곡된 절곡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용 내피(100)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10)의 내측면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용 내피(100)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10)의 착용 상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안전모용 내피(100)는 메인 블레이드(120)에 형성된 체결홀(127)을 이용하여 외피(12)에 고정될 수 있다. 내피(100)는 외피(12)의 형상을 따라 반구형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고 외피(12)의 내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내피(100)의 블레이드는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메인 블레이드(120)와 3개의 서브 블레이드(130)가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블레이드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4개의 메인 블레이드(120)가 적용된 경우 착용자의 얼굴을 중심으로 좌우 각각 2개의 메인 블레이드(120)가 대칭인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메인 블레이드(120)에는 중앙 영역(A1)을 보호하는 중앙 완충돌기(200a)와 측면 영역(A2)를 보호하는 측면 완충돌기(200b)가 형성될 수 있다.
3개의 서브 블레이드(130)는 메인 블레이드(120) 사이에 위치하여 착용자의 얼굴을 중심으로 좌우 각각 1개와 후면부에 1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서브 블레이드(130)에는 메인 블레이드(120)의 측면 완충돌기(200b)로 커버되지 못하는 측면 영역(A2)을 보호하기 위한 측면 완충돌기(200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작업자가 안전모(10)를 착용하면 외피(12)와 내피(100)의 이격 공간상에 중앙 완충돌기(200a)와 측면 완충돌기(200b)가 배치될 수 있다. 완충돌기(200) 중 중앙 영역(A1)에 배치된 중앙 완충돌기(200a)는 안전모(10)의 중앙 영역(A1)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측면 영역(A2)에 배치된 측면 완충돌기(200b)는 안전모(10)의 측면 영역(A2)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러한 내피(100)의 재질은, 합성수지, 우레탄, 실리콘 또는 폴리스티렌 계열의 발포성 또는 다공성 물질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내피(100)의 소재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렉서블한 재질에 충격 흡수가 가능한 소재라면 어떤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내피(100)는 외피(12)의 내측에 장착 가능한 형태로 변형되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고, 방사형 내피 본체(110)와 내피 본체(110)에서 돌출되어 착용자의 머리의 중앙 영역(A1)을 보호하는 중앙 완충돌기(200a) 및 측면 영역(A2)을 보호하는 측면 완충돌기(200b)를 포함한다. 이에, 착용자의 머리의 중앙 영역과 측면 영역을 모두 보호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향상되고, 외피(12)와 착용자의 머리 사이에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피(100)는 외피(12)에 마련된 걸림부에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여 내피(100)를 세척 혹은 교체하는 등, 안전모(10)를 위생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산업용 안전모에 본원발명의 적용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스포츠용 헬멧(야구용, 인라인스케이트 등) 또는 오토바이용 헬멧 또한, 그 기본 구성이 상이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설명하는 부분에 있어서 차이가 없기 때문에 본원발명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안전모 12 : 외피
14 : 착탈 수단 100 : 내피
110 : 내피 본체 120 : 메인 블레이드
127 : 체결홀 130 : 서브 블레이드
132 : 절곡부 200 : 완충돌기

Claims (6)

  1. 외관을 이루며 착용자의 머리 외측을 덮는 형상을 갖는 외피; 및
    상기 외피의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외피로부터 상기 착용자의 머리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내피를 포함하며,
    상기 내피는,
    외력에 의해 상기 외피의 형상에 따라 반구 형태로 변형이 가능한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블레이드가 방사형으로 배치된 내피 본체; 및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로부터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 본체 간의 이격 공간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외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둘 이상의 완충돌기;
    를 포함하는 안전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돌기는,
    상기 외피의 측면 영역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측면 완충돌기; 및
    상기 외피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중앙 완충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는,
    상기 착용자의 머리의 중앙에 위치하는 홀 영역;
    상기 홀 영역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인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외피와 체결되고, 상기 중앙 완충돌기 및 상기 측면 완충돌기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메인 블레이드; 및
    상기 메인 블레이드들 사이에 배치되고 자유 단부에 상기 측면 완충 돌기를 포함하는 서브 블레이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안전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블레이드는,
    상기 홀 영역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일단부에는 상기 외피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을 포함하고 타단부에는 상기 중앙 완충돌기를 포함하는 한 쌍의 밴드; 및
    상기 한 쌍의 밴드의 중앙 영역에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며 일 영역에는 상기 측면 완충돌기를 포함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블레이드는,
    상기 중앙의 홀 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 블레이드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그 일단부에 상기 측면 완충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 완충돌기가 상기 외피에 접하도록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6. 외력에 의해 외피의 내측에 장착 가능한 형태로 변형되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고,
    착용자의 머리의 중앙에 위치하는 홀 영역;
    상기 홀 영역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인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외피와 체결되는 메인 블레이드;
    상기 메인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되는 서브 블레이드;
    상기 메인 블레이드로부터 상기 외피와의 이격 공간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외피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중앙 완충돌기; 및
    상기 메인 블레이드 및 상기 서브 블레이드로부터 상기 외피와의 이격 공간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외피의 측면 영역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측면 완충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안전모의 내피.
KR1020160000367A 2016-01-04 2016-01-04 안전모용 내피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 KR201700813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367A KR20170081392A (ko) 2016-01-04 2016-01-04 안전모용 내피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367A KR20170081392A (ko) 2016-01-04 2016-01-04 안전모용 내피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578U Division KR20170002610U (ko) 2017-07-10 2017-07-10 안전모용 내피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392A true KR20170081392A (ko) 2017-07-12

Family

ID=59353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367A KR20170081392A (ko) 2016-01-04 2016-01-04 안전모용 내피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13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3797B2 (en) Football helmet having improved impact absorption
US10376011B2 (en) Football helmet with raised plateau
US2250275A (en) Protective shield support
US7120941B2 (en) Crash helmet assembly
US6772447B2 (en) Protective sport helmet
CN101340829B (zh) 头盔
US20170224042A1 (en) Head protective insert technology for significantly reducing subconcussive level impacts to protective headgear used in contact and collision sports
JP2004076167A (ja) 安全用ヘルメットのための頭部保護体
US9603408B2 (en) Football helmet having improved impact absorption
JP5878202B2 (ja) 産業用安全帽
US20190090576A1 (en) Scaled impact protection
KR102099555B1 (ko) 접이식 헬멧
EP2768332B1 (en) Neck collar
KR20060089967A (ko) 안전모용 내피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
US10595577B1 (en) Lewis helmet
JP3131987U (ja) 衝撃吸収帽子
KR100406219B1 (ko) 헬멧
KR20170081392A (ko) 안전모용 내피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
KR20170002610U (ko) 안전모용 내피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
US20210378344A1 (en) Protective equipment
KR20150128363A (ko) 충격 흡수 기능을 갖는 헬멧
JP2003129324A (ja) 保護帽子の構造
JP2021147731A (ja) ヘルメット
JP6611506B2 (ja) ヘルメット用ハンモック
CN219578363U (zh) 安全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CV Withdrawal of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converted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