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0343A -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0343A
KR20170080343A KR1020150191775A KR20150191775A KR20170080343A KR 20170080343 A KR20170080343 A KR 20170080343A KR 1020150191775 A KR1020150191775 A KR 1020150191775A KR 20150191775 A KR20150191775 A KR 20150191775A KR 20170080343 A KR20170080343 A KR 20170080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cattering particles
display device
reflection
reflection re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17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49477B1 (en
Inventor
유선아
민성준
김재형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91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477B1/en
Publication of KR20170080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3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4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281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8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in which the switching element is a three-electrode device
    • H01L27/3225
    • H01L27/3262
    • H01L51/0097
    • H01L51/502
    • H01L51/5268
    • H01L51/5275
    • H01L2227/32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Display Devices Of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착 공정 시 실런트가 균일하게 퍼질 수 있는 광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상기 제 2 기판과 마주보는 상기 제 1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된 제 1 전극, 상기 제 1 기판과 마주보는 상기 제 2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된 제 2 전극,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사이에 배치되며, 광을 투과시키거나 차광하는 액정셀들,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사이에서 액정셀들을 밀봉시키는 실런트, 상기 액정셀들과 접하는 상기 실런트의 내측을 감싸며 상기 실런트와 액정셀들의 경계에 마련되는 제 1 댐구조물 및 상기 실런트의 외측을 감싸는 제 2 댐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 control device capable of uniformly spreading a sealant during a laminating process, comprising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facing each other, a first substrate facing the first substrate, A second electrod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facing the first substrate, liquid crystal cells arrang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the liquid crystal cells transmitting or shielding light, A first dam structure which surrounds the inside of the sealant contacting with the liquid crystal cells and is provided at a boundary between the sealant and the liquid crystal cells and a second dam structure which surrounds the outer side of the sealant, Dam structures.

Description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0002]

본 발명은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최근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처리 및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표시장치가 개발되어 각광받고 있다. 이와 같은 표시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D),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등을 들 수 있다.Recently, as the information age is approaching, a display field for processing and displaying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has been rapidly developed, and various display devices have been developed in response to this. Specific examples of such a display device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D),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이중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표시 패널에 구비되는 유기발광소자가 높은 휘도와 낮은 동작 전압 특성을 가지며, 또한 스스로 빛을 내는 자체발광형이기 때문에 명암비가 좋고, 초박형 디스플레이 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응답 시간이 수 마이크로초 정도로 동화상 구현이 쉽고, 시야각의 제한이 없으며 저온에서도 안정적인 특성이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the dual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s high brightness and low operating voltage characteristics and is self-emitting type that emits light by itself, so that the contrast ratio is good and the ultra thin display can be realized . In addition, the response time is as short as several microseconds, the moving picture is easy to implement, the viewing angle is not limited, and the characteristic is stable even at low temperatures.

근래에는 휴대성이 용이하고 다양한 형태의 구성이 가능하며, 파손 방지 등의 다양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평판 표시장치를 플렉서블 표시장치(Flexible Display Device)로 구현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액정 표시장치와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플라스틱과 같은 플렉서블한 기판에 배치함으로써 플렉서블 액정표시장치와 플렉서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a lot of efforts have been made to implement a flat panel display device as a flexible display device in order to realize various purposes such as easy portability and various types of configurations and prevention of breakage. For example, a flexibl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n be manufactured by dispos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n a flexible substrate such as plastic.

또한 이러한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투과부를 마련하여, 화상이 구현되지 않을 때 투명 모드로 동작하여 배면에 사물이 보일 수 있는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In addition, a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has been developed in which a transparent portion is provided in such a flexible display device, and when the image is not implemented, 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can display objects on the back surface thereof.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종래 일반적인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반사 방지 필름(1, Anti-reflection), 접착제(2), 봉지층(3), 투과부(4), 박막 트랜지스터(5), 멀티 버퍼층(6), 투명 PI층(7), 및 컬러 필터층(8)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es an antireflection film 1, an adhesive 2, a sealing layer 3, a transmission portion 4, a thin film transistor 5, a multi-buffer layer 6 ), A transparent PI layer (7), and a color filter layer (8).

상기 반사 방지 필름(1)은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며, 유연한 고분자 물질을 사용한다. 이러한 고분자 물질의 성질에 따라 굴절률 및 두께를 설계하고 외부광에 의한 반사를 상쇄간섭으로 유도하여 반사율을 저감시킨다. The antireflection film 1 is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and uses a flexible polymer material. Refractive index and thickness are designed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such a polymer material, and reflectance caused by external light is induced to cancel out interference to reduce reflectance.

상기 접착제(2)는 상기 반사 방지 필름(1)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반사 방지 필름(1)이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와 접하는 면에 배치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러한 접착제(2)와 반사 방지 필름(1) 사이에는 고분자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지지체 필요하다. 반사 방지 필름(1)의 두께가 얇아 균일한 증착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함이다.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on of the antireflection film (1), the antireflection film (1) is disposed on the side in contact with 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support made of a polymer or metal is required between the adhesive 2 and the antireflection film 1. The thickness of the antireflection film 1 is thin so that uniform deposition can be achieved.

상기 봉지층(3)은 발광층을 봉지하는 역할을 하며, 발광층의 상부에 위치한다. The sealing layer 3 serves to seal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light emitting layer.

상기 투과부(4)는 컬러 필터층(8)과 동일한 층에, 상기 컬러 필터층(8)이 배치되지 않아서 외부광이 그대로 통과하는 영역이다.The transmissive portion 4 is a region where the color filter layer 8 is not disposed in the same layer as the color filter layer 8 and external light passes through.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5)는 표시 모드에서 화상을 구동시키는 구동 소자를 포함한다.The thin film transistor 5 includes a driving element for driving an image in a display mode.

상기 멀티 버퍼층(6)은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 내부로 수분이 투습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multi-buffer layer 6 prevents moisture from permeating into 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상기 투명 PI층(7)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희생층이 제거되고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기판 역할을 한다. Although the transparent PI layer 7 is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acrificial layer is removed and serves as a substrate of a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이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Such conventional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반사 방지 필름(1)과 접착제(2) 및 지지체의 두께의 합은 일반적으로 75~100㎛의 값을 갖는데, 이러한 두께로 인해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유연성이 떨어질 수 있다.First, the sum of the thicknesses of the antireflection film 1, the adhesive 2 and the support of 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generally has a value of 75 to 100 탆. Such a thickness may decrease the flexibility of 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

둘째, 이러한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낮은 유연성으로 인한 유, 무기층의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Second, cracks in the organic and inorganic layers may occur due to the low flexibility of such a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셋째,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벤딩 시 외부 힘의 영향성을 줄여주는 중립면 설계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Third, when bending a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it may be difficult to design a neutral plane that reduces the influence of external force.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반사 방지 필름의 두께를 최소화 하면서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반사율 상승을 막고,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유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s have studied a method for maximizing the flexibility of 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while preventing the increase of the reflectance of 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while minimizing the thickness of the antireflection film.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반사 방지 필름, 접착제 및 지지체를 제거하여 두께를 최소화한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in which an antireflection film, an adhesive, and a support are removed to minimize the thickness.

또한 유연성이 향상된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flexibility.

또한 반사율을 저감시켜 시인성이 향상된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reduced reflectance and improved visibility.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표시 영역과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되며 무기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박막 트랜지스터층,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 상에 구비된 발광소자층,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과 상기 발광소자층 사이에 구비된 제1 반사저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무기층은 상기 투과 영역 내에 개구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반사저감부는 상기 투과 영역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a substrate including a display region and a transmissive region, a thin film transistor layer formed on the substrate and including an inorganic layer, And a first reflection reduction part provided between the thin film transistor layer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layer, wherein the inorganic layer has an opening area in the transmission area, and the first reflection reduction part comprises: And is provided in the transmission region.

또한 상기 기판 하면에 배치되는 제 2 반사저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second reflection reducing member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bstrate.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olution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두께를 최소화 하여 미감이 증진된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얻을 수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obtain a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in which the thickness is minimized to improve the aesthetics.

둘째, 두께를 최소화 하여 유연성이 향상된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얻을 수 있다.Secondly, it is possible to obtain a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in which flexibility is improved by minimizing the thickness.

셋째, 두께를 최소화 하여 크랙을 방지할 수 있는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얻을 수 있다.Third, a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the thickness and preventing cracks can be obtained.

넷째, 반사율을 저감시켜 시인성이 향상된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얻을 수 있다.Fourth, a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reflectivity and visibility can be obtained.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효과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o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entioned above,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or may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and the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제 1 반사저감부의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제 2 반사저감부의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 1 반사저감부와 제 2 반사저감부의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추가적인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 general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the effect of the first reflection reducing sec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the effect of the second reflection reducing section.
6 is a diagram showing the effects of the first and second reflection reduction sections.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urther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The shapes, sizes, ratios, angles, numbers, and the like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In the case where the word 'includes', 'having', 'done', etc. are used in this specification, other parts can be added unless '~ only' is used.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cluding the plural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In interpreting the constituent elements, it is construed to include the error rang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i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on top', 'under', and 'next to' Or " direct " is not used, one or more other portions may be located between the two portions.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temporal relationship, for example, if the temporal relationship is described by 'after', 'after', 'after', 'before', etc., May not be continuous unless they are not used.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ach of the features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partially or wholly,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and that the embodiments may be practic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t is possible.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투과부에 입사되는 광과 반사되는 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light incident on a transmission portion and light reflected by a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105) 상에 구비된 표시부 및 투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표시부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 투과부에 대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2,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and a transmissive unit provided on a substrate 105. 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unit will be described and a description of the transmission unit will be given.

상기 표시부의 기판(105)상에는 멀티 버퍼층(107) 박막 트랜지스터층(T), 패시베이션층(145), 평탄화층(171), 무기층(173), 뱅크층(175), 애노드 전극(180), 유기발광층(190), 캐소드 전극(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 multi-buffer layer 107, a passivation layer 145, a planarization layer 171, an inorganic layer 173, a bank layer 175, an anode electrode 180, and a passivation layer 173 are formed on the substrate 105 of the display unit.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90, and a cathode electrode 200.

상기 기판(105)은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plastic film)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5)은 TAC(triacetyl cellulose) 또는 DAC(diacetyl cellulose) 등과 같은 셀룰로오스 수지(Cellulose resin), 노르보르넨 유도체(Norbornene derivatives) 등의 COP(cyclo olefin polymer), COC(cyclo olefin copolymer), PMMA(poly(methylmethacrylate) 등의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 PC(polycarbonate), PE(polyethylene) 또는 PP(polypropylene) 등의 폴리올레핀(polyolefin), PVA(polyvinyl alcohol), PES(poly ether sulfone), PEEK(polyetheretherketone), PEI(polyetherimide), PEN(polyethylenenaphthalate),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등의 폴리에스테르(polyester), PI(polyimide), PSF(polysulfone), 또는 불소 수지(fluoride resin) 등을 포함하는 시트 또는 필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substrate 105 may be a transparent plastic film. For example, the substrate 105 may include a COP (cyclo olefin polymer) such as a cellulose resin such as TAC (triacetyl cellulose) or DAC (diacetyl cellulose), a Norbornene derivative, polyolefin such as polyolefin such as acrylic resin, polycarbonate, PE or polypropylene such as poly (methylmethacrylate), polyvinyl alcohol (PVA), polyetheretherketone (PES) sulfide), polyetheretherketone (PEEK), polyetherimide (PEI), polyethylenenaphthalate (PEN) and 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polyimide (PI), polysulfone (PSF)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멀티 버퍼층(107)은 Si, Al, Ba, Mo, Cu, Mo, Ti, Zn 등 금속 물질의 산화/질화물 포함무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의 제조 공정 중 고온 공정시 상기 기판(105) 상에 함유된 물질이 박막 트랜지스터(T)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멀티 버퍼층(107)은 본 외부의 수분이나 습기가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The multi-buffer layer 107 may include an oxide / nitride-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such as Si, Al, Ba, Mo, Cu, Mo, And serves to prevent diffusion of a substance contained on the substrate 105 into the thin film transistor T during a high temperature proces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thin film transistor T. [ In addition, the multi-buffer layer 107 can also prevent moisture and moisture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T)은 액티브층(110), 게이트 절연막(120), 게이트 전극(130), 층간 절연막(140), 소스 전극(150) 및 드레인 전극(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thin film transistor layer T includes an active layer 110, a gate insulating layer 120, a gate electrode 130, an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40, a source electrode 150, and a drain electrode 160.

상기 액티브층(110)은 상기 게이트 전극(130)과 중첩되도록 상기 기판(105) 상에 형성된다. 상기 액티브층(110)은 실리콘계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산화물계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기판(105)과 상기 액티브층(110) 사이에 차광막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기판(105)의 하면을 통해서 입사되는 외부광이 상기 차광막에 의해서 차단됨으로써 상기 액티브층(110)이 외부광에 의해서 손상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The active layer 110 is formed on the substrate 105 so as to overlap with the gate electrode 130. The active layer 110 may be formed of a silicon-based semiconductor material or an oxide-based semiconductor material. Although not shown, a light shielding film may be additionally formed between the substrate 105 and the active layer 110. In this case, external light incident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5 is shielded by the light shielding film, The problem that the active layer 110 is damaged by external light can be prevented.

상기 게이트 절연막(120)은 상기 액티브층(110) 상에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20)은 상기 액티브층(110)과 게이트 전극(130)을 절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20)은 무기 절연 물질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또는 이들의 다중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20)은 상기 영역(PA)까지 연장될 수 있다. The gate insulating layer 120 is formed on the active layer 110. The gate insulating layer 120 functions to isolate the active layer 110 from the gate electrode 130. The gate insulating layer 120 may be formed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a silicon oxide layer (SiO x ), a silicon nitride layer (SiN x ), or a multilayer thereof. However, the gate insulating layer 120 is not limited thereto. The gate insulating layer 120 may extend to the region PA.

상기 게이트 전극(130)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120) 상에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전극(130)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12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액티브층(110)과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전극(130)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일 수 있으나,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gate electrode 130 is formed on the gate insulating layer 120. The gate electrode 130 is formed to overlap the active layer 110 with the gate insulating layer 120 therebetween. The gate electrode 130 may be formed of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o, Al, Cr, Au, Ti, Ni, Ne, And may be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made of these alloys,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상기 층간 절연막(140)은 상기 게이트 전극(130) 상에 형성된다. 상기 층간 절연막(140)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120)과 동일한 무기 절연 물질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또는 이들의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40 is formed on the gate electrode 130.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40 may be formed of the same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as the gate insulating layer 120, for example, a silicon oxide layer (SiO x ), a silicon nitride layer (SiN x ), or a multilayer thereof. However, It is not.

상기 소스 전극(150) 및 드레인 전극(160)은 상기 층간 절연막(140) 상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게이트 절연막(120)과 층간 절연막(140)에는 상기 액티브층(110)의 일단 영역을 노출시키는 제 1 콘택홀(CH1) 및 상기 액티브층(110)의 타단 영역을 노출시키는 제 2 콘택홀(CH2)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소스 전극(150)은 상기 제 2 콘택홀(CH2)을 통해서 상기 액티브층(110)의 타단 영역과 연결되고, 상기 드레인 전극(160)은 상기 제 1 콘택홀(CH1)을 통해서 상기 액티브층(110)의 일단 영역과 연결된다. The source electrode 150 and the drain electrode 160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40. The first contact hole CH1 exposing the one end region of the active layer 110 and the second contact hole CH1 exposing the other end region of the active layer 110 are formed in the gate insulating layer 120 and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40, The source electrode 15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region of the active layer 110 through the second contact hole CH2 and the drain electrode 16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hole CH2, (CH1) to the one end region of the active layer (110).

상기 소스 전극(150)은 하부 소스 전극(151), 중앙 소스 전극(152), 및 상부 소스 전극(1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ource electrode 150 may include a lower source electrode 151, a central source electrode 152, and an upper source electrode 153.

상기 하부 소스 전극(151)은 상기 층간 절연막(140)과 상기 중앙 소스 전극(152)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층간 절연막(140)과 상기 중앙 소스 전극(152) 사이의 접착력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소스 전극(151)은 상기 중앙 소스 전극(152)의 하면을 보호함으로써 상기 중앙 소스 전극(152)의 하면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소스 전극(151)의 산화도는 상기 중앙 소스 전극(152)의 산화도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소스 전극(151)을 이루는 물질이 상기 중앙 소스 전극(152)을 이루는 물질보다 내식성이 강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 소스 전극(151)은 접착력 증진층 또는 부식 방지층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몰리브덴과 티타늄의 합금(MoTi)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lower source electrode 151 may be formed betwee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40 and the central source electrode 152 to improve adhesion betwee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40 and the central source electrode 152. [ have. In addition, the lower source electrode 151 may protect the lower surface of the central source electrode 152, thereby preven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central source electrode 152 from being corroded. Therefore, the degree of oxidation of the lower source electrode 151 may be less than the degree of oxidation of the central source electrode 152. That is, the material of the lower source electrode 151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er corrosion resistance than the material of the central source electrode 152.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source electrode 151 serves as an adhesion promoting layer or an anti-corrosion layer, and may be made of an alloy of molybdenum and titanium (MoTi),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중앙 소스 전극(152)은 상기 하부 소스 전극(151)과 상기 상부 소스 전극(153)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중앙 소스 전극(152)은 저항이 낮은 금속인 구리(Cu)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중앙 소스 전극(152)은 상기 하부 소스 전극(151) 및 상기 상부 소스 전극(153)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항이 낮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150)의 전체 저항을 줄이기 위해서 상기 중앙 소스 전극(152)의 두께는 상기 하부 소스 전극(151) 및 상기 상부 소스 전극(153) 각각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The central source electrode 152 is formed between the lower source electrode 151 and the upper source electrode 153. The central source electrode 152 may be made of copper (Cu), which is a metal having a low resistan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central source electrode 152 may be formed of a metal having a relatively lower resistance than the lower source electrode 151 and the upper source electrode 153. The thickness of the central source electrode 152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lower source electrode 151 and the upper source electrode 153 to reduce the total resistance of the source electrode 150. [

상기 상부 소스 전극(153)은 상기 중앙 소스 전극(152)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중앙 소스 전극(152)의 상면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소스 전극(153)의 산화도는 상기 중앙 소스 전극(152)의 산화도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소스 전극(153)을 이루는 물질이 상기 중앙 소스 전극(152)을 이루는 물질보다 내식성이 강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 소스 전극(153)은 ITO와 같은 투명 도전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upper source electrode 153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ral source electrode 152 to prevent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ral source electrode 152 from being corroded. Thus, the degree of oxidation of the upper source electrode 153 may be less than the degree of oxidation of the central source electrode 152. That is, the material of the upper source electrode 153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er corrosion resistance than the material of the central source electrode 152. The upper source electrode 153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TO,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드레인 전극(160)은 전술한 소스 전극(150)과 유사하게 하부 드레인 전극(161), 중앙 드레인 전극(162) 및 상부 드레인 전극(1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drain electrode 160 may include a lower drain electrode 161, a center drain electrode 162, and an upper drain electrode 163, similar to the source electrode 150 described above.

상기 하부 드레인 전극(161)은 상기 층간 절연막(140)과 상기 중앙 드레인 전극(162)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층간 절연막(140)과 상기 중앙 드레인 전극(162) 사이의 접착력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또한 상기 중앙 드레인 전극(162)의 하면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드레인 전극(161)의 산화도는 상기 중앙 드레인 전극(162)의 산화도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드레인 전극(161)을 이루는 물질이 상기 중앙 드레인 전극(162)을 이루는 물질보다 내식성이 강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 드레인 전극(161)은 전술한 하부 소스 전극(151)과 동일한 몰리브덴과 티타늄의 합금(MoTi)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lower drain electrode 161 is formed betwee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40 and the central drain electrode 162 to improve adhesion betwee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40 and the center drain electrode 162 Also, the lower surface of the central drain electrode 162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rroded. Therefore, the degree of oxidation of the lower drain electrode 161 may be lower than the degree of oxidation of the center drain electrode 162. That is, the material forming the lower drain electrode 161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corrosion resistance than the material forming the center drain electrode 162.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drain electrode 161 may be made of the same molybdenum and titanium alloy (MoTi) as the lower source electrode 151,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중앙 드레인 전극(162)은 상기 하부 드레인 전극(161)과 상기 상부 드레인 전극(163) 사이에 형성되며, 전술한 중앙 소스 전극(152)과 동일한 구리(Cu)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중앙 드레인 전극(162)은 상기 하부 드레인 전극(161) 및 상기 상부 드레인 전극(163)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항이 낮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전극(160)의 전체 저항을 줄이기 위해서 상기 중앙 드레인 전극(162)의 두께는 상기 하부 드레인 전극(161) 및 상기 상부 드레인 전극(163) 각각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The central drain electrode 162 is formed between the lower drain electrode 161 and the upper drain electrode 163 and may be made of the same copper as the central source electrode 152 described above, It is not. The center drain electrode 162 may be made of a metal having a lower resistance than the lower drain electrode 161 and the upper drain electrode 163. The thickness of the center drain electrode 162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each of the lower drain electrode 161 and the upper drain electrode 163 to reduce the total resistance of the drain electrode 160.

상기 상부 드레인 전극(163)은 상기 중앙 드레인 전극(162)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중앙 드레인 전극(162)의 상면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드레인 전극(163)의 산화도는 상기 중앙 드레인 전극(162)의 산화도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드레인 전극(163)을 이루는 물질이 상기 중앙 드레인 전극(162)을 이루는 물질보다 내식성이 강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 드레인 전극(163)은 ITO와 같은 투명 도전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upper drain electrode 163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er drain electrode 162 to prevent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er drain electrode 162 from being corroded. Accordingly, the degree of oxidation of the upper drain electrode 163 may be smaller than the degree of oxidation of the center drain electrode 162. That is, the material of the upper drain electrode 163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er corrosion resistance than the material of the central drain electrode 162. The upper drain electrode 163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TO,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상부 드레인 전극(163)은 상기 상부 소스 전극(153)과 동일한 물질 및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중앙 드레인 전극(162)은 상기 중앙 소스 전극(152)과 동일한 물질 및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부 드레인 전극(161)은 상기 하부 소스 전극(151)과 동일한 물질 및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드레인 전극(160)과 소스 전극(150)을 동일한 공정을 통해 동시에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upper drain electrode 163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nd the same thickness as the upper source electrode 153 and the center drain electrode 162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nd the same thickness as the central source electrode 152 And the lower drain electrode 161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nd the same thickness as the lower source electrode 151. In this case, the drain electrode 160 and the source electrode 150 may be formed at the same tim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formed.

이상과 같은 박막 트랜지스터층(T)의 구성은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에게 공지된 구성으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예로서, 도면에는 게이트 전극(130)이 액티브층(110)의 위에 형성되는 탑 게이트 구조(Top Gate) 구조를 도시하였지만, 게이트 전극(130)이 액티브층(110)의 아래에 형성되는 바텀 게이트 구조(Bottom Gate)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structure of the thin film transistor layer T as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shown in the drawings, but may be variously modified in a structur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although the top gate structure in which the gate electrode 130 is formed on the active layer 110 is shown in the drawing, the gate electrode 130 may be formed on the bottom layer of the active layer 110, Or a bottom gate structure.

상기 패시베이션층(145)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T) 상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소스 전극(150) 및 드레인 전극(160)의 상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패시베이션층(145)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T)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며, 이와 같은 패시베이션층(145)은 무기 절연 물질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막(SiOX) 또는 실리콘 질화막(SiNX)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passivation layer 145 is formed on the thin film transistor layer T and more specifically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source electrode 150 and the drain electrode 160. The passivation layer 145 functions to protect the thin film transistor layer T. The passivation layer 145 may be formed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a silicon oxide film (SiOX) or a silicon nitride film (SiNX).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평탄화층(171)은 상기 패시베이션층(165) 상에 형성된다. 상기 평탄화층(171)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가 구비되어 있는 상기 기판(105) 상부를 평탄하게 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평탄화층(171)은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의 유기 절연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planarization layer 171 is formed on the passivation layer 165. The planarization layer 171 functions to flatte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5 on which the thin film transistor T is formed. The planarization layer 171 may be formed of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an acryl resin, an epoxy resin, a phenolic resin, a polyamide resin, or a polyimide resi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무기층(173)은 산화물 및 질화물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SiNx, SiOx, TiOx, AlOx, IGO, IZO, IGZO 등의 무기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무기층(173)은 내부로 수분이 투습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일반적으로 높은 굴절률을 갖는다.The inorganic layer 173 may be made of a material including an oxide and a nitride, and may be made of an inorganic material such as SiNx, SiOx, TiOx, AlOx, IGO, IZO, IGZO, or the like. The inorganic layer 173 serves to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inside, and generally has a high refractive index.

상기 뱅크층(175)은 상기 무기층(173) 상면에 형성되며 패시베이션층(145)과 평탄화층(171)에서 소스 전극(150)을 노출시키는 제 3 콘택홀(CH3)을 포함한다. 이렇게 뱅크층(175)은 수분이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 내부로 투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뱅크층(175)은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아크릴 수지(acryl resin), 벤조사이클로뷰텐(BCB) 등과 같은 유기절연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뱅크층(175)은 유기물질로 이루어져서 일반적으로 낮은 굴절률을 갖는다.The bank layer 175 is formed on the inorganic layer 173 and includes a third contact hole CH3 exposing the source electrode 150 in the passivation layer 145 and the planarization layer 171. [ Thus, the bank layer 175 can prevent moisture from being permeated into 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The bank layer 175 may be formed of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polyimide resin, acryl resin, benzocyclobutene (BCB),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lso, such a bank layer 175 is made of an organic material and generally has a low refractive index.

상기 애노드 전극(180)은 상기 평탄화층(17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패시베이션층(165)과 평탄화층(170)에는 상기 소스 전극(150)을 노출시키는 제 3 콘택홀(CH3)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 3 콘택홀(CH3)을 통하여 상기 소스 전극(150)과 상기 애노드 전극(180)이 연결된다.The anode electrode 180 is formed on the planarization layer 170. The third contact hole CH3 exposing the source electrode 150 is formed in the passivation layer 165 and the planarization layer 170. The third contact hole CH3 is formed in the passivation layer 165 and the planarization layer 170, And the anode electrode 18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유기발광층(190)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유기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층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층은 화소 별로 동일한 색, 예로서 백색(white)의 광을 방출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화소 별로 상이한 색, 예로서, 적색, 녹색, 또는 청색의 광을 방출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9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hole injecting layer, a hole transporting layer,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 electron transporting layer, and an electron injecting layer are sequentially stacked. However, one or more layers of the hole injection layer, the hole transport layer,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may be omitted.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may be formed to emit light of the same color, for example white, for each pixel, or may emit light of different colors, for example, red, green, or blue, for each pixel.

다음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투과부는 기판(105), 멀티 버퍼층(107), 게이트 절연막(120), 층간 절연막(140), 패이베이션층(145), 평탄화층(171), 무기층(173), 뱅크층(175) 및 캐소드 전극(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표시부와 중복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transmissive portion of 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105, a multi-buffer layer 107, a gate insulating layer 120, an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40, a passivation layer 145, a planarization layer 171, A bank layer 173, a bank layer 175, and a cathode electrode 200. The description of the overlapping portion with the display portion will be omitted.

상기 투과부에는 표시부와 달리, 멀티 버퍼층(107), 게이트 절연막(120), 층간 절연막(140), 패이베이션층(145)의 네 개의 층은, 가장 상층인 패시베이션층(145)을 증착 후 드라이 에칭 공정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 영역(A영역)이 형성된다. 이후 이러한 개구 영역(A영역)에 평탄화층(171)이 전면 증착되면서 기판(105)의 일면과 평탄화층(171)이 접하게 된다.In the transmissive portion, the four layers of the multi-buffer layer 107, the gate insulating layer 120,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40, and the passivation layer 145 are formed by depositing the passivation layer 145, which is the uppermost layer, An opening region (region A) is formed as shown by the process. Thereafter, the planarization layer 171 is entirely deposited on the opening region (region A), and the planarization layer 17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105.

이후, 순서대로 상기 패시베이션층(145)의 하면 및 A영역에 해당하는 기판(105)의 상면에 제 1 층인 평탄화층(171)이 형성되고, 상기 평탄화층(171) 상면에는 제 2 층인 무기층(173)이 형성된다. 상기 무기층(173) 상면에는 제 3 층인 뱅크층(175) 형성되고, 상기 뱅크층(175) 상면에 캐소드 전극(200)이 전면 증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층 내지 제 3 층은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A planarization layer 171 as a first laye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5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rface and the A region of the passivation layer 145 in ord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lanarization layer 171 is provided with an inorganic layer (173) is formed. A bank layer 175 as a third laye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organic layer 173 and the cathode electrode 200 is entirely deposited on the bank layer 175. Here, the first to third layers may have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이때, 이러한 투과부 상의 평탄화층(171), 무기층(173), 뱅크층(175)은 제 1 반사저감부(170)로 정의한다. 본 발명은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두께를 최소화면서 반사율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인셀 타입(In-cell Type)의 반사 방지부를 포함한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는바, 상기 제 1 반사저감부(170)는 외부로 입사된 광의 투과율을 높이고, 반사율을 저감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lattening layer 171, the inorganic layer 173, and the bank layer 175 on the transmission portion are defined as the first reflection reducing portion 170.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an anti-reflection part of an in-cell type capable of reducing the reflectance while minimizing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The reflector 170 may have a structure for increasing the transmittance of the light incident to the outside and reducing the reflectance.

예를 들면, 만일 상기 평탄화층(171)과 접하는 개구 영역(A영역)의 기판(105)의 굴절률을 n1이라 하고, 상기 개구 영역(A영역)의 기판(105)의 상면에 형성된 평탄화층(171)의 굴절률을 n2이라 하고, 상기 평탄화층(171)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무기층(173)의 굴절률을 n3라 하고, 상기 무기층(173)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뱅크층(175)의 굴절률을 n4라 하고, 공기층의 굴절률이 n5라 한다면 n5에서 n1로 갈수록 굴절률의 크기는 일정하게 감소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ubstrate 105 in the opening region (region A) contacting the planarization layer 171 is n1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lanarization layer (region A)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5 in the opening region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inorganic layer 173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narization layer 171 is n3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bank layer 175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organic layer 173 And wh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air layer is n5, the magnitude of the refractive index can be reduced steadily from n5 to n1.

또한 여기서 특정 층의 굴절률을 x라 가정하였을 때, x와 x-1의 굴절률 차이는 x와 x-2의 굴절률 차이보다 작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x와 x+1의 굴절률 차이는 x와 x+2의 굴절률 차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이처럼 특정층과 가장 인접하는 층과의 굴절률 차이가 인접하지 않는 층과의 굴절률 차이가 작게 설계된다면, 입사되는 외부광에 대한 반사되는 광의 비율이 줄어들 수 있다.Here, when the refractive index of a specific layer is assumed to be x,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between x and x-1 may be smaller than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between x and x-2. In addition,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between x and x + 1 may be smaller than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between x and x + 2. If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between the specific layer and the nearest layer is designed to have a small refractive index difference from the non-adjacent layer, the ratio of the reflected light to the incident external light can be reduced.

즉 도 3 및 수학식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반사되는 R1%, R2%, R3%를 계산할 수 있다.That is, referring to FIG. 3 and Equation 1, R1%, R2%, and R3% that are reflected can be calculated.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도 3에 도시된 평탄화층(175)의 굴절률을 n1이라 하고 하면에 배치된 무기층(173)의 굴절률을 n2라 가정했을 때, 평탄화층(175)과 무기층(173)의 계면에서 반사되는 광은 수학식 1에 나타낸 수식을 따른다. 따라서 분자에 위치한 (n1-n2)값이 작은 값을 가질수록 입사된 광에 대한 반사되는 광의 비율이 줄어들게 된다.Assuming that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lanarization layer 175 shown in FIG. 3 is n1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inorganic layer 173 disposed at the bottom is n2, the light reflect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planarization layer 175 and the inorganic layer 173 The light follows the formula shown in equation (1). Therefore, the smaller the value of (n1-n2) located in the molecule, the smaller the ratio of the reflected light to the incident light.

이를 정리하면, 공기층과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 사이에 배치된 제 1 반사저감부(170) 각 층간의 굴절률의 차를 서서히 감소시킨다면 입사광에 대한 반사율이 저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반사율이 저감되어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에서 화상이 구현될 때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고, 화상이 구현되지 않을 때는 보다 선명한 투명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반사방지필름과 접착제를 사용하는 구조에서 인셀 타입의 제 1 반사저감부(170)를 사용함으로써 두께를 최소화한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얻을 수 있어, 유연성이 확보되어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In summary, if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layers of the first reflection reducing section 170 disposed between the air layer and 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is gradually reduced, the reflectance of the incident light can be reduced. That is, the reflectance is reduced, the visibility can be improved when the image is implemented in 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and a clearer transparent mode can be realized when the image is not implemented. Further, in the structure using the conventional antireflection film and adhesive, a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in which the thickness is minimized can be obtained by using the first reflection reducing portion 170 of the in-cell type, whereby flexibility is secured and cracks can be prevented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 1 반사저감부(170)는 유기물질과 무기물질을 교번하여 증착함으로 반사율이 저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reflection reducing portion 170 of 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effect of reducing the reflectance by alternately depositing the organic material and the inorganic material.

즉, 저굴절률을 갖는 무기물질을 포함하는 제 1 층이 개구 영역(A영역)의 기판(105)의 상면에 형성된 후, 고굴절률을 갖는 유기물질을 포함하는 제 2 층이 상기 제 1 층 상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 2 층 상면에 다시 저굴절률을 갖는 무기물질을 포함하는 제 3 층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굴절률을 갖는 무기물질과 저굴절률을 갖는 유기물질이 교번하여 적층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층은 평탄화층(171)과 같이 아크릴계 수지의 유기물질을 사용하면 굴절률을 1.4 이하의 값을 갖게 되고, 제 2 층은 무기층(173)과 같이 산화물, 질화물 등의 무기물질을 사용하면 굴절률을 1.4 이상의 고굴절률을 갖고, 제 3 층은 뱅크층(175)과 같은 아크릴계 수지의 유기물질을 사용하면 다시 1.4 이하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That is, after a first layer including an inorganic material having a low refractive index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5 in the opening region (region A), a second layer containing an organic material having a high refractive index is formed on the first layer upper surface . Thereafter, a third layer including an inorganic material having a low refractive index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lay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 inorganic material having a high refractive index and an organic material having a low refractive index may be alternately stacked. For example, the first layer has a refractive index of 1.4 or less when using an organic material of acrylic resin like the planarization layer 171, and the second layer has a refractive index of 1.4 or less, such as inorganic layer 173, When the material is use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third layer is higher than 1.4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third layer is lower than 1.4 when an organic material of acrylic resin such as the bank layer 175 is used.

이렇게 고굴절률을 갖는 무기물질과 저굴절률을 갖는 유기물질이 교번하여 적층하면, 외부광을 이용하여 반사 파장에 대해 상쇄 간섭을 유도할 수 있다. 즉 적층 구조의 두께와 각 층의 재료를 변경하여 하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상쇄간섭을 유도할 수 있다. 입사광의 파장을 λ라 하고, 적층구조의 두께를 d라 하고, 적층구조의 굴절률을 n이라 했을 때 하기 수학식 2에 따른 상쇄간섭을 유도할 수 있다.When an inorganic material having a high refractive index and an organic material having a low refractive index are alternately stacked, destructive interference can be induced with respect to a reflected wavelength by using external light. That is, the destructive interference can be induced by changing the thickness of the laminated structure and the material of each layer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2). When the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is?, The thickness of the laminated structure is d,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aminated structure is n, destructive interference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2) can be induced.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이를 정리하면, 공기층과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 사이에 배치된 제 1 반사저감부(170) 각 층을 고굴절률을 갖는 무기층과 저 굴절률을 갖는 유기층으로 교번하여 적층하면 반사되는 광이 입사광으로 인하여 상쇄되어 반사율이 저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반사율이 저감되어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에서 화상이 구현될 때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고, 화상이 구현되지 않을 때는 보다 선명한 투명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반사방지필름과 접착제를 사용하는 구조에서 인셀 타입의 제 1 반사저감부(170)를 사용함으로써 두께를 최소화한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얻을 수 있어, 유연성이 확보되어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In summary, when each layer of the first reflection reducing portion 170 disposed between the air layer and 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is alternately stacked with the inorganic layer having a high refractive index and the organic layer having a low refractive index, light reflected by the first reflection reducing portion 170 is canceled And the reflectance is reduced. That is, the reflectance is reduced, the visibility can be improved when the image is implemented in 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and a clearer transparent mode can be realized when the image is not implemented. Further, in the structure using the conventional antireflection film and adhesive, a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in which the thickness is minimized can be obtained by using the first reflection reducing portion 170 of the in-cell type, whereby flexibility is secured and cracks can be prevented .

도면에는 이러한 제 1 반사저감부(170)가 세 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굴절률이 서서히 감소하는 복수개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고굴절률과 저굴절률이 교번하여 증착되는 복수개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 1 반사저감부(170)의 세 개의 층이 반복되어 증착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Although the first reflection reduction unit 170 is shown as being composed of three layers in the figure, i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plurality of layers having a gradually decreasing refractive index, and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s in which a high refractive index and a low refractive index are alternately deposited, and the three layers of the first reflective reducing portion 170 are repeated Deposited structure.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나타낸다. 도 5는 제 2 반사저감부의 효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 1 반사저감부 및 제 2 반사저감부를 이용한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shows a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effect of the second reflection reducing section. 6 is a diagram showing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first reflection reduction unit and the second reflection reduction unit of 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기판(105) 하면에 제 2 반사저감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제 1 실시예에 추가적으로 제 2 반사저감부(103)를 구비한 것으로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4, 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cond reflection reducing section 103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bstrate 105. 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provided with the second reflection reducing part 103 in addition to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scription of the overlapping parts will be omitted.

상기 제 2 반사저감부(103)는 기판(105) 하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반사율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second reflection reducing portion 103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5 and serves to reduce the reflectance of 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 2 반사저감부(103)는 SiNx, SiOx, TiOx, AlOx, IGO, IZO, IGZO를 포함하는 무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복수개의 층으로 이룰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반사저감부(103)는 기판(105) 하면에 배치되고 저굴절률을 갖는 제 1 반사저감층(103a) 및 제 1 반사저감층(103a) 하면에 배치된 제 2 반사저감층(103b)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반사저감층(103a) 및 제 2 반사저감층(103b)은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The second reflection reducing portion 103 may be formed of an inorganic material including SiNx, SiOx, TiOx, AlOx, IGO, IZO and IGZO, and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s. For example, the second reflection reducing section 103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5 and includes a first reflection reducing layer 103a having a low refractive index and a second reflection reducing layer 103b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reflection reducing layer 103a. (103b). Here, the first reflection reducing layer 103a and the second reflection reducing layer 103b may have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이때, 상기 제 1 반사저감층(103a)의 굴절률과 제 2 반사저감층(103b)의 굴절률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반사율을 저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제 1 반사저감층(103a)의 굴절률을 제 2 반사저감층(103b)의 굴절률 보다 작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반사저감층(103a)의 굴절률과 제 2 반사저감층(103b)의 굴절률 사이의 차이를 작게 설정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reflection reducing layer 103a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reflection reducing layer 103b may be set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o reduce the reflectance. For exampl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reflection reduction layer 103a can be set to be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reflection reduction layer 103b.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reflection reduction layer 103a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reflection reduction layer 103b can be set small.

여기서 상기 제 2 반사저감부(103)의 특정 층의 굴절률을 x라 가정하였을 때, x와 x-1의 굴절률 차이는 x와 x-2의 굴절률 차이보다 작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x와 x+1의 굴절률 차이는 x와 x+2의 굴절률 차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이처럼 특정층과 가장 인접하는 층과의 굴절률 차이가 인접하지 않는 층과의 굴절률 차이가 작게 설계된다면, 입사되는 외부광에 대한 반사되는 광의 비율이 줄어들 수 있다. 이러한 반사되는 광의 비율은 도 5 및 전술한 수학식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반사되는 R2%를 계산할 수 있다. Here, when the refractive index of a specific layer of the second reflection reduction unit 103 is x,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between x and x-1 may be smaller than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between x and x-2. In addition,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between x and x + 1 may be smaller than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between x and x + 2. If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between the specific layer and the nearest layer is designed to have a small refractive index difference from the non-adjacent layer, the ratio of the reflected light to the incident external light can be reduced. The ratio of the reflected light can be calculated by referring to FIG. 5 and the above-mentioned Equation 1, and the reflected R2% can be calculated.

도 5에 도시된 제 2 반사저감층(103b)의 굴절률을 n1이라 하고 하면에 배치된 제 1 반사저감층(103a)의 굴절률을 n2라 가정했을 때, 제 2 반사저감층(103b)과 제 1 반사저감층(103a)의 계면에서 반사되는 광은 전술한 수학식 1에 나타낸 수식을 따른다. 따라서 수학식 1의 분자에 위치한 (n1-n2)값이 작은 값을 가질수록 입사된 광에 대한 반사되는 광의 비율이 줄어들게 된다.Assuming that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reflection reduction layer 103b shown in FIG. 5 is n1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reflection reduction layer 103a disposed thereunder is n2, the second reflection reduction layer 103b and the second reflection reduction layer 103b The light reflected at the interface of the first reflection reducing layer 103a follows the formula shown in the above-mentioned formula (1). Therefore, the smaller the value of (n1-n2) located in the numerator of Equation 1, the smaller the ratio of the reflected light to the incident light.

이를 정리하면, 공기층과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 사이에 배치된 제 2 반사저감부(103) 각 층의 굴절률의 차를 서서히 감소시킨다면 입사광에 대한 반사율이 저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반사율이 저감되어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에서 화상이 구현될 때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고, 화상이 구현되지 않을 때는 보다 선명한 투명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반사방지필름과 접착제를 사용하는 구조에서 인셀 타입의 제 1 반사저감부(170)를 사용함으로써 두께를 최소화한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얻을 수 있어, 유연성이 확보되어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In summary,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exes of the respective layers of the second reflection reducing section 103 disposed between the air layer and 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is gradually reduced, the reflectance to the incident light can be reduced. That is, the reflectance is reduced, the visibility can be improved when the image is implemented in 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and a clearer transparent mode can be realized when the image is not implemented. Further, in the structure using the conventional antireflection film and adhesive, a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in which the thickness is minimized can be obtained by using the first reflection reducing portion 170 of the in-cell type, whereby flexibility is secured and cracks can be prevented .

또한 상기 제 2 반사저감부를 고굴절률을 갖는 무기물질과 저굴절률을 갖는 유기물질을 교번하여 적층함으로써 반사율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제 1 반사저감부(170)와 제 2 반사저감부(103)를 동시에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교번 적층 구조는 제 1 반사저감부(170)와 제 2 반사저감부(103)를 포함한 전체층을 통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reflectance can be reduced by alternately laminating the second reflection reducing portion with an inorganic material having a high refractive index and an organic material having a low refractive index. 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reflection reducing portion 170 and a second reflection reducing portion 103 at the same time, And a second reflection reduction section 103. The second reflection reduction section 103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 1 반사저감부 및 제 2 반사저감부를 통한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the effect of the first reflection reducing section and the second reflection reducing section of 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하면에 저굴절률을 갖는 제 2 반사저감부(103)가 배치되고, 제 2 반사저감부(103) 상면에는 고굴절률을 갖는 기판(105)이 배치되고, 기판(105) 상면에는 저굴절률을 갖는 패시베이션층(171)이 배치되고, 패시베이션층(171) 상면에는 고굴절률을 갖는 무기층(173)이 배치되고, 무기층(173) 상면에는 저굴절률을 갖는 뱅크층(175)이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6, 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econd reflection reducing section 103 having a low refractive index on the bottom surface and a high refractive index A passivation layer 171 having a low refractive index i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5 and an inorganic layer 173 having a high refractive index i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assivation layer 171, And a bank layer 175 having a low refractive index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electrode 173.

이와 같이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투과부상의 각 층이 고굴절률과 저굴절률을 갖는 적층구조를 이루면, 전술한 수학식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외부광이 반사광에 대해 상쇄간섭을 유도할 수 있어서 반사율을 저감시킬 수 있다.When each layer on the transparent portion of 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has a laminate structure having a high refractive index and a low refractive index as described above, external light can induce destructive interference with reflected light as shown in Equation (2) .

이를 정리하면, 공기층과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 사이에 배치된 제 1 반사저감부(170)와 제 2 반사저감부(103)의 각 층을 고굴절률을 갖는 무기층과 저 굴절률을 갖는 유기층으로 교번하여 적층하면 반사되는 광이 입사광으로 인하여 상쇄되어 반사율이 저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반사율이 저감되어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에서 화상이 구현될 때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고, 화상이 구현되지 않을 때는 보다 선명한 투명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반사방지필름과 접착제를 사용하는 구조에서 인셀 타입의 반사저감부(170)를 사용함으로써 두께를 최소화한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얻을 수 있어, 유연성이 확보되어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To summarize, each layer of the first reflection reducing portion 170 and the second reflection reducing portion 103 disposed between the air layer and 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is alternately made of an inorganic layer having a high refractive index and an organic layer having a low refractive index When stacked, the reflected light is canceled by the incident light and the reflectance is reduced. That is, the reflectance is reduced, the visibility can be improved when the image is implemented in 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and a clearer transparent mode can be realized when the image is not implemented. Further, in the structure using the conventional antireflection film and adhesive, 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minimized thickness can be obtained by using the insensitive reflection reducing portion 170, and flexibility can be ensured and cracks can be prevented.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 2 반사저감부를 나태내는 도면이다. 이는 도 4 내지 도 6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일부 구성을 변경하거나 추가한 것으로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IG. 7 is a diagram showing a second reflection reducing section of 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This is a modification or addition of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Figs. 4 to 6, and a description of the overlapping portions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제 2 반사저감부(103)에 제 1 산란 입자(103c)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제 1 산란입자(103c)가 제 2 반사저감층(103b)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산란입자(103c)는 제 1 반사저감층(103a)에 배치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층 모두에도 배치될 수 있다.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itionally include first scattering particles 103c in the second reflection reducing section 103. [ In the drawing, the first scattering particles 103c are disposed on the second reflection reducing layer 103b,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irst scattering particles 103c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reflection reducing layer 103a or on both of the plurality of layers.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산란 입자(103c)는 입자의 크기를 제 2 반사저감층(103b)의 코팅 두께보다 크게 설계하여, 난반사를 유도할 수 있다. 즉 제 2 반사저감층(103b)과 제 1 산란 입자(103c)의 굴절률을 동일하게 설정하면, 제 1 산란 입자(103c)가 제 2 반사저감층(103b) 표면에서 요철처럼 작용하여 난반사가 유도될 수 있다. 이렇게 유도된 난반사를 통해 반사율이 저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반사율이 저감되어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에서 화상이 구현될 때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고, 화상이 구현되지 않을 때는 보다 선명한 투명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반사방지필름, 접착제 및 지지체를 사용하는 구조에서 접착제와 지지체가 필요없는 제 2 반사저감부(103)를 사용함으로써 두께를 최소화하고 유연성이 확보된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얻을 수 있어서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first scattering particles 103c may be designed to have a larger particle size than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second reflection reducing layer 103b, thereby inducing irregular reflection. That is, if the refractive indexes of the second reflection reducing layer 103b and the first scattering particles 103c are set to the same value, the first scattering particles 103c act as irregularities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reflection reducing layer 103b, . The reflectance can be reduced by the diffused reflection. That is, the reflectance is reduced, the visibility can be improved when the image is implemented in 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and a clearer transparent mode can be realized when the image is not implemented. Further, by using the second reflection reducing section 103 which does not require an adhesive and a support in a structure using an existing antireflection film, adhesive and support, a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a minimized thickness and flexibility can be obtained, .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 2 반사저감부를 나태내는 도면이다. 이는 도 4 내지 도 6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일부 구성을 변경하거나 추가한 것으로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8 is a diagram showing a second reflection reducing section of a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modification or addition of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Figs. 4 to 6, and a description of the overlapping portions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제 2 반사저감부(103)에 제 2 산란 입자(103d)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제 2 산란 입자(103d)가 제 2 반사저감층(103b)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제 2 산란 입자(103d)는 제 1 반사저감층(103a)에 배치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층 모두에도 배치될 수 있다.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itionally include second scattering particles 103d in the second reflection reducing section 103. [ In the drawing, the second scattering particles 103d are disposed in the second reflection reducing layer 103b,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second scattering particles 103d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reflection reducing layer 103a or on both of the plurality of layers.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산란 입자(103d)는 입자의 크기를 제 2 반사저감층(103b)의 코팅 두께보다 작게 설계하여, 내부 반사율을 저감시킬 수 있다. 즉 제 2 반사저감층(103b)의 굴절률이 제 2 산란 입자(103d)의 굴절률보다 작게 설정하면. 제 2 반사저감층(103b)을 통과하여 제 2 산란 입자(103d)에 입사된 광을 보다 큰 굴절률을 가지고 있는 제 2 산란 입자(103d)에 의해 굴절되어 내부 반사율이 저감될 수 있다. 이렇게 제 2 반사저감부(103)의 내부 반사율이 저감되면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반사율이 저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반사율이 저감되어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에서 화상이 구현될 때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고, 화상이 구현되지 않을 때는 보다 선명한 투명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반사방지필름, 접착제 및 지지체를 사용하는 구조에서 접착제와 지지체가 필요없는 제 2 반사저감부(103)를 사용함으로써 두께를 최소화하고 유연성이 확보된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얻을 수 있어서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second scattering particles 103d can be designed to have a smaller particle size than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second reflection reducing layer 103b, thereby reducing the internal reflectance. That is, if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reflection reducing layer 103b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scattering particles 103d. The light incident on the second scattering particles 103d through the second reflection reducing layer 103b is refracted by the second scattering particles 103d having a larger refractive index and the internal reflectance can be reduced. When the internal reflection factor of the second reflection reduction section 103 is reduced in this manner, the reflectivity of 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can be reduced. That is, the reflectance is reduced, the visibility can be improved when the image is implemented in 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and a clearer transparent mode can be realized when the image is not implemented. Further, by using the second reflection reducing section 103 which does not require an adhesive and a support in a structure using an existing antireflection film, adhesive and support, a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a minimized thickness and flexibility can be obtained, .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 2 반사저감부를 나태내는 도면이다. 이는 도 4 내지 도 6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일부 구성을 변경하거나 추가한 것으로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9 is a diagram showing a second reflection reducing section of a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modification or addition of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Figs. 4 to 6, and a description of the overlapping portions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제 2 반사저감부(103)에 제 3 산란 입자(103e)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제 3 산란 입자(103c)가 제 2 반사저감층(103e)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제 3 산란 입자(103e)는 제 1 반사저감층(103a)에 배치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층 모두에도 배치될 수 있다.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itionally include third scattering particles 103e in the second reflection reducing section 103. [ In the drawing, the third scattering particles 103c are disposed in the second reflection reducing layer 103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third scattering particles 103e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reflection reducing layer 103a or on both of the plurality of layers.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산란 입자(103e)를 이중층으로 형성하여 입사된 광의 경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제 2 반사저감층(103b)을 통과하여 제 3 산란 입자(103e)에 입사된 광은 제 3 산란 입자(103e)의 이중층 구조에 의해 광 경로가 변경되게 된다. 이렇게 제 3 산란 입자(103e)를 통한 광 경로변경은 제 2 반사저감부(103)의 반사율을 저감시켜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반사율이 저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반사율이 저감되어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에서 화상이 구현될 때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고, 화상이 구현되지 않을 때는 보다 선명한 투명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반사방지필름, 접착제 및 지지체를 사용하는 구조에서 접착제와 지지체가 필요없는 제 2 반사저감부(103)를 사용함으로써 두께를 최소화하고 유연성이 확보된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얻을 수 있어서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third scattering particles 103e may be formed as a double layer to change the path of the incident light. That is, light passing through the second reflection reducing layer 103b and incident on the third scattering particles 103e is changed in the optical path by the double layer structure of the third scattering particles 103e. By changing the light path through the third scattering particles 103e in this manner, the reflectance of the second reflection reducing section 103 is reduced, and the reflectivity of 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can be reduced. That is, the reflectance is reduced, the visibility can be improved when the image is implemented in 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and a clearer transparent mode can be realized when the image is not implemented. Further, by using the second reflection reducing section 103 which does not require an adhesive and a support in a structure using an existing antireflection film, adhesive and support, a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a minimized thickness and flexibility can be obtained, .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 2 반사저감부를 나태내는 도면이다. 이는 도 4 내지 도 6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일부 구성을 변경하거나 추가한 것으로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10 and 11 are views showing a second reflection reducing portion of 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modification or addition of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Figs. 4 to 6, and a description of the overlapping portions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제 2 반사저감부(103)에 제 3 산란 입자(103e) 및 제 4 산란 입자(103f)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제 3 산란 입자(103e) 및 제 4 산란 입자(103f)들이 제 2 반사저감층(103b)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제 3 산란 입자(103e) 및 제 4 산란 입자(103f)들은 제 1 반사저감층(103a)에 배치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층 모두에도 배치될 수 있다.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ird scattering particles 103e and fourth scattering particles 103f in the second reflection reducing section 103. [ Although the third scattering particles 103e and the fourth scattering particles 103f are disposed on the second reflection reducing layer 103b, the third scattering particles 103e and the fourth scattering particles 103f are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third scattering particles 103e and the fourth scattering particles 103f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reflection reducing layer 103a or on both of the plurality of layers.

여기서 제 4 산란 입자(103f)와 제 3 산란 입자(103e)를 모두 이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4 산란 입자(103f)와 제 3 산란 입자(103e)는 서로 굴절률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4 산란 입자(103f)의 굴절률이 제 3 산란 입자(103e)보다 크거나 작을수 있다. 또한 제 4 산란 입자(103f)와 제 3 산란 입자(103e)는 서로 크기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4 산란 입자(103f)의 크기가 제 3 산란 입자(103e)보다 크거나 작을수 있다.Here, both the fourth scattering particles 103f and the third scattering particles 103e may be formed as a double layer. Further, the fourth scattered particles 103f and the third scattered particles 103e may have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ourth scattering particles 103f may be larger or smaller than that of the third scattering particles 103e. The fourth scattering particles 103f and the third scattering particles 103e may have different sizes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size of the fourth scattering particles 103f may be larger or smaller than that of the third scattering particles 103e.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이렇게 크기와 굴절률이 서로 다른 제 4 산란 입자(103f)와 제 3 산란 입자(103e) 입사된 광의 경로를 보다 효율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제 2 반사저감층(103b)을 통과하여 제 4 산란 입자(103f)에 입사된 광은 제 3 산란 입자(103e)에 다시 입사되어 내부 광 경로가 변경된다. 추가적으로 제 3 산란 입자(103e) 및 제 4 산란 입자(103f)들은 그 크기가 제 2 반사저감층(103b)보다 크게 설정되어 제 2 반사저감층(103b) 표면에서 요철로 작용하여 난반사를 유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0 and 11, it is possible to more efficiently change the path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fourth scattering particles 103f and the third scattering particles 103e having different sizes and refractive indices. That is, the ligh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reflection reducing layer 103b and is incident on the fourth scattering particle 103f is again incident on the third scattering particle 103e, and the internal light path is changed. In addition, the third scattering particles 103e and the fourth scattering particles 103f are set larger than the second reflection reducing layer 103b and act as irregularities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reflection reducing layer 103b to induce irregular reflection .

이와 같이 굴절률과 크기가 서로 다른 이중층의 제 4 산란 입자(103f)와 제 3 산란 입자(103e)를 이용하여 제 2 반사저감부(103)의 반사율을 저감시켜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반사율이 저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반사율이 저감되어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에서 화상이 구현될 때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고, 화상이 구현되지 않을 때는 보다 선명한 투명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반사방지필름, 접착제 및 지지체를 사용하는 구조에서 접착제와 지지체가 필요없는 제 2 반사저감부(103)를 사용함으로써 두께를 최소화하고 유연성이 확보된 투명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얻을 수 있어서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By using the fourth scattering particles 103f and the third scattering particles 103e of the double layer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exes and sizes as described above, the reflectance of the second reflection reducing section 103 is reduced to reduce the reflectance of 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Effect can be obtained. That is, the reflectance is reduced, the visibility can be improved when the image is implemented in the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and a clearer transparent mode can be realized when the image is not implemented. Further, by using the second reflection reducing section 103 which does not require an adhesive and a support in a structure using an existing antireflection film, adhesive and support, a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a minimized thickness and flexibility can be obtained, .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general inventive concept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5: 기판 107: 멀티 버퍼층
120: 게이트 절연막 140: 층간 절연막
145: 패이베이션층 171: 평탄화층
173: 무기층 175: 뱅크층
180: 애노드 전극 190: 유기 발광층
200: 캐소드 전극 170: 제 1 반사저감부
103: 제 2 반사저감부 103a: 제 1 반사저감층
103b: 제 2 반사저감층
105: substrate 107: multi-buffer layer
120: Gate insulating film 140: Interlayer insulating film
145: passivation layer 171: planarization layer
173: inorganic layer 175: bank layer
180: anode electrode 190: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200: cathode electrode 170: first reflection reducing portion
103: second reflection reducing section 103a: first reflection reducing layer
103b: a second reflection reducing layer

Claims (14)

표시부와 투과부를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층;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 상에 구비된 발광소자층;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과 상기 발광소자층 사이에 구비된 제 1 반사저감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반사저감부은 상기 투과부에 구비되어 있는 투명표시장치.
A substrate including a display portion and a transmissive portion;
A thin film transistor layer provided on the substrate;
A light emitting element layer provided on the thin film transistor layer; And
And a first reflection reducing part provided between the thin film transistor layer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layer,
Wherein the first reflection reduc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transmissiv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이 노출되는 개구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반사저감부는 상기 개구 영역을 통해서 상기 기판과 접하고 있는, 투명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opening region through which the substrate is exposed, wherein the first reflection reducing section is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through the opening reg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 상에 배치되는 평탄화층 및 상기 평탄화층 상에 배치되는 무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평탄화층 및 무기층은 상기 개구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투명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planarization layer disposed on the thin film transistor layer and an inorganic layer disposed on the planarization layer, wherein the planarization layer and the inorganic layer are disposed in a region overlapping the opening reg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하면에 배치되는 제 2 반사저감부를 더 포함하는, 투명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reflection reducing section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bstra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사저감부는,
상기 기판 상면 및 상기 무기층과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제 1 층;
상기 제 1 층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 2 층; 및
상기 제 2 층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 3 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층 내지 제 3 층은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 투명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reflection reduction unit comprises:
A first layer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a region overlapping the inorganic layer;
A second layer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layer; And
And a third layer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layer,
Wherein the first layer to the third layer have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층에서 상기 제 1 층으로 갈수록 굴절률이 감소하는 투명표시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third layer decreases from the third layer toward the first lay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 내지 제 3 층은 고굴절률을 갖는 유기층과 저굴절률을 갖는 무기층이 교번하여 적층되는, 투명표시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layer to the third layer are alternately laminated with an organic layer having a high refractive index and an inorganic layer having a low refractive index.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사저감부가 복수로 적층된, 투명표시장치.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7,
Wherein the first reflection reduction portion is laminated in plura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사저감부는,
상기 기판 하면 배치되는 제 1 반사저감층; 및
상기 제 1 반사저감층의 하면에 배치되는 제 2 반사저감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반사저감층 내지 제 2 반사저감층은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 무기물질인, 투명표시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cond reflection reduction unit comprises:
A first reflection reducing layer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And a second reflection reduction layer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reflection reduction layer,
Wherein the first reflection reducing layer and the second reflection reducing layer are inorganic material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사저감층에서 상기 제 1 반사저감층 으로 갈수록 굴절률이 감소하는, 투명표시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refractive index decreases from the second reflection reduction layer toward the first reflection reduction lay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사저감부에는 산란 입자를 포함하는, 투명표시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second reflection reducing portion includes scattering particles.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 입자는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 제 1 산란 입자 및 제 2 산란 입자로 구분되고,
상기 제 1 산란 입자의 크기는 상기 제 2 산란 입자의 크기보다 크고
상기 제 2 반사저감부는 상기 제 1 산란 입자 또는 제 2 산란 입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투명표시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cattering particles are divided into first scattering particles and second scattering particle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The size of the first scattering particles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second scattering particles
Wherein the second reflection reducing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first scattering particles or the second scattering particles.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 입자는 이중층으로 구조를 이루며,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 제 3 산란 입자 및 제 4 산란 입자로 구분되고,
상기 제 2 반사저감부에는 상기 3 산란 입자 또는 제 4 산란 입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투명표시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cattering particles have a double layer structure,
Third scattering particles and fourth scattering particle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And the second reflection reducing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three scattering particles or the fourth scattering particles.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사저감부가 복수로 적층된, 투명표시장치.
1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3,
And the second reflection reduction portion is laminated in plural.
KR1020150191775A 2015-12-31 2015-12-31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4494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775A KR102449477B1 (en) 2015-12-31 2015-12-31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775A KR102449477B1 (en) 2015-12-31 2015-12-31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343A true KR20170080343A (en) 2017-07-10
KR102449477B1 KR102449477B1 (en) 2022-09-29

Family

ID=59356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1775A KR102449477B1 (en) 2015-12-31 2015-12-31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9477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4091A (en) * 2018-02-28 2019-09-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US10903451B2 (en) 2017-12-22 2021-01-26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4120834A (en) * 2021-11-26 2022-03-01 赛德半导体有限公司 Glass cover plate, preparation method thereof, benda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14420873A (en) * 2022-01-20 2022-04-29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9026A (en) * 2010-08-24 2012-03-0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1482628B1 (en) * 2011-05-03 2015-0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9026A (en) * 2010-08-24 2012-03-0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1482628B1 (en) * 2011-05-03 2015-0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3451B2 (en) 2017-12-22 2021-01-26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90104091A (en) * 2018-02-28 2019-09-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CN114120834A (en) * 2021-11-26 2022-03-01 赛德半导体有限公司 Glass cover plate, preparation method thereof, benda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14420873A (en) * 2022-01-20 2022-04-29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9477B1 (en) 202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2292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JP7153044B2 (en) Display pan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214977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10181503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CN111446379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090709B1 (en)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WI674525B (en) Anti-reflective integrated touch display panel
US10177208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curved surface portion having a correcting layer
KR102449468B1 (en) Reflective display device
US11199918B2 (en) Display apparatus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KR102645419B1 (en)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KR20200058643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KR102449477B1 (en)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device
US9625619B2 (en) Optical film assembly,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062868B2 (en) Pixel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2349751A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1957145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56779B1 (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200079977A (en) Cover Window and Flexibl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459216B1 (en) Display panel
CN117881225A (en) Display device
JP2020181695A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and evaporation mask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