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8965A -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8965A
KR20170078965A KR1020150188791A KR20150188791A KR20170078965A KR 20170078965 A KR20170078965 A KR 20170078965A KR 1020150188791 A KR1020150188791 A KR 1020150188791A KR 20150188791 A KR20150188791 A KR 20150188791A KR 20170078965 A KR20170078965 A KR 20170078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oint
dimensional image
provid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9799B1 (ko
Inventor
박재범
Original Assignee
(주)태원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원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주)태원이노베이션
Priority to KR1020150188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799B1/ko
Publication of KR20170078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3Reconstruction from projections, e.g. tomograph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5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two or more images, e.g. averaging or subtr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은 회전하는 대상 물체에 대한 일련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이미지 정보가 입력되는 이미지 정보 입력 단계; 상기 이미지 정보에서 대상 물체 이외의 배경을 제거하는 배경 제거 단계; 및 배경이 제거된 상기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물체에 대한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3D IMAGE}
본 발명은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여러 각도에서 대상 물체를 회전시키면서 촬영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대상 물체에 대한 3차원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상품의 광고 방식은 신문, TV 또는 인터넷에 상품의 이미지와 설명을 기재하는 방법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광고 방식은 광고자가 미리 촬영한 상품의 이미지만 소비자에게 보여줄 수 있었으며, 그에 따라 광고를 시청하는 소비자는 상품을 원하는 시점으로 확인할 수 없었다.
그리고, 소비자는 시청한 광고를 바탕으로 구입한 상품을 확인한 결과 구입 만족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심지어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비자가 상품을 원하는 대로 회전시키면서 다양한 시점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각 시점에 따라 상품을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13671호(2010년 02월 10일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48888호(2012년 05월 16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3차원 이미지 생성 시스템 및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러 각도에서 대상 물체를 회전시키면서 촬영할 수 있는 3차원 이미지 생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상 물체의 중심점을 맞추기에 적합한 3차원 이미지 생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여러 각도에서 대상 물체를 회전시키면서 촬영한 복수의 이미지들을 사용자가 원하는 속도와 각도로 연속적으로 제공하여 3차원 이미지처럼 보여줄 수 있는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여러 각도에서 대상 물체를 회전시키면서 촬영한 복수의 이미지에서 배경을 제거하고 대상 물체에 대한 3차원 이미지만 제공할 수 있는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전하는 대상 물체에 맞추어 태그를 제공할 수 있는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해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은 회전하는 대상 물체에 대한 일련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이미지 정보가 입력되는 이미지 정보 입력 단계; 상기 이미지 정보에서 대상 물체 이외의 배경을 제거하는 배경 제거 단계; 및 배경이 제거된 상기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물체에 대한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경 제거 단계는 원본 이미지를 뚜렷하게 만드는 선명화 단계; 뚜렷해진 이미지를 흑백 이미지로 변환하고 이미지를 이진화하는 이진화 단계; 이진화된 이미지에서 대상 물체의 외곽선을 검출하는 외곽선 검출 단계; 및 검출된 외곽선을 이용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에서 배경과 대상 물체를 분리하는 배경 분리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선명화 단계 이전에 블러(blur) 처리를 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를 흐리게 만드는 블러 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명화 단계에서 블러 처리된 이미지의 대비와 색조차이를 증가시켜 뚜렷한 이미지를 만들 수 있다.
이진화 단계와 상기 외곽선 검출 단계 사이에 이진화된 이미지에서 외곽선을 추정한 후 추정 외곽선 내부의 빈공간을 채우는 내부 채움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지정한 상기 대상 물체의 특정 지점에 대한 코멘트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태그, 상기 태그가 상기 특정 지점과 연결되는 지점인 설명점과 상기 코멘트와 상기 설명점을 연결하는 설명선이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특정 지점의 이동과 함께 이동하기 위한 이동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편집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정보는 사용자가 지정한 상기 특정 지점에 대한 좌표와 대상물체의 중심점을 이용하여 도출된 구의 매개변수 방정식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에 상기 3차원 이미지 중 하나의 프레임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현재 출력된 프레임을 다른 프레임으로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3차원 이미지 정보에서 상기 설명점이 위치하는 좌측 끝(LE)에서부터 우측 끝(RE)까지를 연결하는 설명점의 직경(D) 내에서 설명점이 이동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3차원 이미지 정보에서 상기 설명점이 위치하는 좌측 지점(LP), 우측 지점(RP)과 그 사이의 중계 지점(TP)을 잇는 포물선을 따라 설명점이 이동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단계는 사용자가 화면을 좌우로 드래그하면 전체 공간좌표상의 설명점 좌표를 경도 각도만큼 회전시켜 구한 좌표 위치에 설명점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화면을 상하로 드래그할 경우 위도 각도만큼 회전시켜 구한 좌표 위치이 설명점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 컴퓨터 등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3차원 이미지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또한 포함한다.
본 발명은 놓여진 대상 물체를 360도 회전시킬 수 있는 턴테이블부; 상기 대상 물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가 거치되는 카메라 거치부; 턴테이블부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와 턴테이블부 사이, 그리고 제이부와 상기 카메라 사이에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카메라 거치부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대상 물체 주위를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되며, 상기 카메라 거치부의 회전축은 상기 대상 물체의 중심점에 대응하도록 위치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이미지 생성 시스템을 또한 포함한다.
여러 각도에서 대상 물체를 회전시키면서 촬영할 수 있고, 촬영된 이미지에서 배경을 삭제할 수 있어 대상 물체에 대한 3차원 이미지만을 제공할 수 있으며, 회전하는 대상 물체에 맞추어 태그를 제공할 수 있는 3차원 이미지 생성 시스템 및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생성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생성 시스템의 턴테이블부 및 카메라거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생성 시스템을 이용하여 대상물체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생성 시스템에 의해 촬영된 예시적인 이미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 중 배경 제거 단계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7은 이미지 선명화 단계에 따라 변화되는 이미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이미지 이진화 단계에 따라 변화된 이미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외곽선 검출 단계에 따라 변화된 이미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배경 분리 단계에 따라 변화된 이미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태그 설정 및 이미지 디스플레이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의 예시적인 설명점 이동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의 다른 예시적인 설명점 이동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의 또 다른 예시적인 설명점 이동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생성 시스템 및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생성 시스템 및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뜨리지 않도록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생성 시스템은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영장치(이하 "카메라")로 촬영한 대상 물체에 대한 일련의 이미지들을 사용자가 원하는 속도와 각도로 연속적으로 제공하여 마치 사용자가 대상 물체에 대한 3차원 이미지를 회전시켜 보는 것과 같이 보여줄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생성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생성 시스템은 턴테이블부(10), 카메라 거치부(20), 제어부(30), 및 통신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턴테이블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대상물체를 올려놓는 곳으로서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360도 회전한다.
카메라 거치부(20)는 턴테이블부(10)에 놓인 대상 물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가 거치되는 곳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부(10)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이하 "A 방향") 및 대상물체의 중심을 향해 카메라를 위치시키기 위해 A 방향과 직교하는 B 방향으로 거치된 카메라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또한 회전축(O)의 위치를 조정할 수도 있다.
이 중 A방향의 조정은 대상 물체의 크기에 따라 카메라가 대상 물체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하는 것이며, B방향의 조정은 카메라가 대상 물체의 중심점(대상 물체를 구로 보았을 때 구의 중심)에 맞추어 촬영할 수 있도록 조정하는 것이며, C방향의 조정은 카메라 거치부의 회전축(O)이 대상 물체의 중심점에 맞춰지도록 조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대상 물체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카메라를 회전시키는 거치부의 회전축(O)이 대상 물체의 중심점에 맞추어져야 추후 제공되는 3차원 이미지가 사용자가 중심점이 고정된 물체를 회전시키면서 관찰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대상 물체를 촬영하기 전에 카메라 거치부를 조정하여 카메라 처리부의 회전축(O) 및 카메라가 대상 물체의 중심점을 바라보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30)는 카메라(200)가 회전하는 대상 물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턴테이블부(10) 및/또는 카메라 거치부(20)를 제어하는 장치이다. 대상 물체 촬영을 위한 제어부의 제어방법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통신부(40)는 제어부(30)가 턴테이블부(10) 및/또는 카메라 거치부(20)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카메라(200)와 제어부(30) 사이의 신호 전달의 역할도 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는 스마트폰과 통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 디지털 카메라와 통신하기 위한 적외선 통신 등의 무선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는 카메라의 촬영방식(예를 들어 사진촬영 방식, 영상촬영 방식)에 해당하는 프로토콜을 보유하고 있고, 각각의 프로토콜은 수신 프로트콜과 송신 프로토콜로 나뉘며, 수신 프로토콜을 통해 카메라의 촬영방식을 구분하고, 송신 프로토콜을 통해 턴테이블의 회전이 완료되었음을 알린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생성 시스템에 의해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대상물체에 대한 일련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생성 시스템은 예를 들어 모드선택 버튼, 시작버튼, 촬영버튼 등의 버튼을 제공하고 이러한 버튼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를 인식하고 이를 처리한다.
모드선택 버튼은 카메라 사진촬영 모드, 카메라 영상촬영 모드, 수동 모드 등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으로 어떤 모드가 선택되는지에 따라 제어부의 제어가 다음과 같이 달라진다.
우선, 카메라 사진촬영 모드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30)는 시작버튼의 입력신호에 따라 턴테이블을 미리 설정된 회전각도(예를 들어 10도)로 회전시키고 통신부(40)에게 카메라(200)로 촬영 송신 신호를 보내라는 명령 신호를 보내는 것을 한 세트로 총 36번의 명령 신호를 보내 카메라가 10도 간격으로 회전된 대상 물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10도는 미리 설정된 예시적인 각도로서 보다 정밀한 3차원 이미지 제공을 위해 더 작은 각도로 설정하거나 데이터 처리속도를 높이기 위해 더 큰 각도로 설정할 수도 있다.
카메라 영상촬영 모드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30)는 시작버튼의 입력신호에 따라 통신부(40)를 통해 카메라로 1번의 촬영 송신 신호를 보내고 턴테이블을 360도 회전시켜 카메라(200)가 360도 회전하는 대상 물체에 대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수동모드는 사용자가 촬영 및 턴테이블 회전을 제어할 수 있는 모드로서 사용자가 촬영버튼을 누르면 제어부는 통신부에게 카메라로 촬영 송신 신호를 보내게 하고 시작버튼을 누르면 턴테이블을 10도 움직이게 제어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거치부(20)의 각도를 지면에 해당하는 0도부터 90도까지 일정한 각도로 조절하면서 각각의 각도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을 360도 회전시키면서 대상 물체를 촬영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즉, 카메라 사진촬영 모드에서 예를 들어 10도 간격으로 회전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도 3과 같이 카메라 거치부(20)를 15도 각도로 이동시킬 경우 총 254개 프레임의 이미지가 촬영된다.
또한 카메라 영상촬영 모드에서 촬영된 영상은 일정 시간 각격으로 이미지를 추출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사진촬영 모드에서 촬영된 것과 동일하게 대상 물체에 대한 복수 개의 프레임 이미지가 준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위해 도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의 단계들을 일련의 블록들로 도시하고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블록들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몇몇 블록들은 다른 블록들과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고 기술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또는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으며, 동일한 또는 유사한 결과를 달성하는 다양한 다른 분기, 흐름 경로, 및 블록의 순서들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방법의 구현을 위하여 도시된 모든 블록들이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5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의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은 이미지 정보 입력 단계(S100), 배경 제거 단계(S200), 3차원 이미지 생성 단계(S300), 이미지 디스플레이 단계(S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제공 애플리케이션은 이미지 정보 입력 단계(S100), 배경 제거 단계(S200), 3차원 이미지 생성 단계(S300), 이미지 디스플레이 단계(S400)를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가 실행하도록 한다.
우선, 이미지 정보 입력 단계(S100)는 회전하는 대상 물체에 대한 일련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이미지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이다.
회전하는 대상 물체에 대한 일련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이미지 정보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생성 시스템에 의해 촬영된 대상 물체에 대한 일련의 이미지일 수 있다.
이미지 정보 입력 단계는 대상 물체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대상 물체에 대한 동영상에서 복수 개의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또는 이미 생성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배경 제거 단계(S200)는 입력된 이미지 정보에서 대상 물체 이외의 배경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생성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는 대상 물체를 중심으로 카메라가 회전하면서 촬영한 이미지이기 때문에 이러한 이미지를 그대로 디스플레이할 경우 사용자가 대상 물체를 이동시키면서 보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대상 물체를 중심으로 이동하면서 보는 것과 같은 느낌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은 입력된 이미지 정보에서 대상 물체 이외의 배경을 제거하여 사용자가 마치 지구본을 돌려보는 것과 같이 대상 물체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배경 제거 단계를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경 제거 단계(S200)는 이미지 선명화 단계(S210), 이미지 이진화 단계(S220), 외곽선 검출 단계(S230) 및 배경 분리 단계(S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미지 선명화 단계는 대상 물체와 배경을 분리하기 위해 이미지를 촬영된 원본 이미지 보다 뚜렷하게 만드는 단계이다.
이미지를 뚜렷하게 만들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본 이미지 전체에 대해 블러(Blur) 처리를 하여 살짝 흐리게 만든 후 대비와 색조차이를 증가시키면 보다 뚜렷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이미지 이진화 단계(S220)에서 이미지 선명화 단계에서 뚜렷해진 이미지를 흑백 이미지로 변환하고 이진화한다(도 8 참조).
다음으로, 외곽선 검출 단계(S230)에서 이진화된 이미지에서 대상 물체의 외곽선을 검출한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진화된 이미지에는 대상 물체의 외곽선 내부에도 외곽선과 동일한 색으로 이진화된 부분이 있다. 이러한 부분을 그대로 놔둘 경우 배경이 제거된 대상 물체의 최종 이미지에 구멍이 나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구멍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진화된 이미지에서 외곽선을 추정한 후 추정 외곽선 내부의 빈 공간을 채운 후 대상 물체의 외곽선을 검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배경 분리 단계(S240)에서는 검출된 외곽선을 이용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에서 배경과 대상 물체를 분리한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된 외곽선 내부 영역이 대상 물체이기 때문에 이를 원본 이미지와 중첩한 후 검출된 외곽선 바깥 영역의 이미지를 삭제하여 원본이미지로부터 배경을 삭제하고 대상 물체에 대한 이미지만 분리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은 배경이 제거된 일련의 이미지들을 하나의 3차원 이미지로 생성한다(S300). 여기서 생성의 의미는 2차원 이미지를 3차원 이미지로 변환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대상 물체에 대한 연속적으로 촬영된 복수의 2차원 이미지를 묶어 하나의 대상 물체에 대한 3차원 이미지로서 저장함을 의미한다.
이렇게 저장된 일련의 이미지들은 이미지 디스플레이 단계(S400)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사용자가 마치 대상 물체에 대한 3차원이미지를 보는 것과 같은 느낌을 제공한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마트폰 화면의 터치 기능을 이용하여 터치된 손가락을 이동시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제공 애플리케이션은 저장부에 저장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상물체에 대한 일련의 이미지들이 연속적으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때 터치된 손가락의 이동 거리, 즉 드래그된 거리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개수의 프레임을 연속되게 출력하며, 상기 드래그된 속도에 따라 상기 연속된 프레임이 출력되는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마치 사용자가 대상 물체에 손가락으로 돌려가면 직접 보는 것과 같은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은 인터넷 쇼핑과 같이 소비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물건을 직접 보지 않고 구매를 결정해야 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지금까지 판매자가 제품을 좋게 보이게 하기 위해 일부 각도와 위치에서 촬영하여 제공한 몇 개의 이미지를 보고 상품의 구매를 결정해야 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경우 소비자가 원하는 모든 위치와 방향에서 상품을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이해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 제품을 받아본 후 반품하는 비율을 현저히 낮출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은 e-카탈로그로서의 기능을 보다 강화하기 위한 편집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편집 단계는 생성된 이미지 정보를 편집하는 단계이다.
이미지 정보를 편집하는데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이미지를 보정하고 보정된 이미지를 추후에 손쉽게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있도록 메타데이터를 활용한다. 상기 메타데이터는 속성정보라고도 하며, 일정한 규칙에 따라 콘텐츠에 별도로 부여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메타데이터로 태그 및 이동정보를 포함한다.
태그(T)는 대상 물체의 이미지와 함께 출력되는 코멘트를 의미하며,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품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는 텍스트박스(T1), 상기 정보가 가리키는 지점인 설명점(T3) 및 상기 텍스트 박스와 설명점을 연결하는 선인 설명선(T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태그를 이용하여 이미지 정보에 대상 물체의 정보를 추가하는데 있어서, 이미지 정보의 각 프레임마다 촬영된 대상 물체의 위치가 회전되어 있으므로 그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설명점(T3)과 설명선(T2)도 대상 물체의 회전에 맞추어 이동해야 할 필요가 있다.
설명점(T3)과 설명선(T2)을 회전하는 대상 물체에 맞추기 위하여 사용자가 직접 이미지 정보의 각 프레임마다 설명점(T3)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미지 정보의 프레임 수가 많아 질수록 직접적인 위치 설명 방법은 시간이 오래 걸리고 번거로우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도 12는 대상 물체의 직경을 이용한 설명점 지정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은 이미지 정보에 저장된 대상 물체의 프레임을 모두 확인하여 설명점이 위치하는 좌측 끝(LE)에서부터 우측 끝(RE)까지의 거리를 설명점의 직경(D)으로 정의하고, 상기 설명점(T3)은 상기 대상 물체의 각속도에 따라 상기 직경의 범위 내에서 이동하도록 이동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직경을 이용한 설명점 지정 방법은 대상물체가 원통형이고 정면에서 촬영된 이미지 정보인 경우에는 정확하게 설명점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으나, 그 외의 경우에는 예측 위치가 어긋날 수도 있다.
도 13은 3점 지정 방식을 이용한 설명점 지정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이미지 정보에서 상기 회전하는 대상 물체에 형성된 상기 설명점의 좌측 지점(LP), 우측 지점(RP)과 그 사이의 중계 지점(TP)을 지정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200)는 상기 세 지점을 잇는 포물선을 생성하여 상기 설명점의 궤도(R)를 도출하며, 상기 설명점은 상기 대상 물체의 각속도에 따라 상기 궤도를 이동하도록 이동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비록 도 12와 13에는 사용자가 화면을 좌우로 이동시킨 경우 설명점의 이동을 도시하고 있으나 사용자가 화면을 상하로 이동시킨 경우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설명점을 보다 정밀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대상 물체에서 태그를 연결시키기 위한 설명점을 터치하면, 현재 설명점의 좌표, 이미지에서의 대상 물체 중심점의 좌표를 이용하여 구의 매개변수 방정식을 유도한 다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우로 드래그할 경우 전체 공간좌표상의 설명점 좌표를 경도 각도만큼 회전시켜 설명점의 좌표를 구하고, 상하로 드래그할 경우 위도 각도만큼 회전시켜 설명점의 좌표를 구한 다음 해당 위치에 설명점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때 만약 계산된 설명점의 좌표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각도에 위치한 경우 해당 설명점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설명점과 그에 연결되는 태그만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 및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구체적인 실시예로 한정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발명의 사상 및 그 영역을 이탈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턴테이블부 20: 카메라 거치부
30: 제어부 40: 통신부
100: 3차원 이미지 생성 시스템 200: 카메라

Claims (10)

  1. 회전하는 대상 물체에 대한 일련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이미지 정보가 입력되는 이미지 정보 입력 단계;
    상기 이미지 정보에서 대상 물체 이외의 배경을 제거하는 배경 제거 단계; 및
    배경이 제거된 상기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물체에 대한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배경 제거 단계는
    원본 이미지를 뚜렷하게 만드는 선명화 단계;
    뚜렷해진 이미지를 흑백 이미지로 변환하고 이미지를 이진화하는 이진화 단계;
    이진화된 이미지에서 대상 물체의 외곽선을 검출하는 외곽선 검출 단계; 및
    검출된 외곽선을 이용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에서 배경과 대상 물체를 분리하는 배경 분리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명화 단계 이전에 블러(blur) 처리를 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를 흐리게 만드는 블러 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명화 단계에서 블러 처리된 이미지의 대비와 색조차이를 증가시켜 뚜렷한 이미지를 만드는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진화 단계와 상기 외곽선 검출 단계 사이에
    이진화된 이미지에서 외곽선을 추정한 후 추정 외곽선 내부의 빈공간을 채우는 내부 채움 단계를 더 포함하는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지정한 상기 대상 물체의 특정 지점에 대한 코멘트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태그, 상기 태그가 상기 특정 지점과 연결되는 지점인 설명점과 상기 코멘트와 상기 설명점을 연결하는 설명선이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특정 지점의 이동과 함께 이동하기 위한 이동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편집 단계를 더 포함하는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정보는 사용자가 지정한 상기 특정 지점에 대한 좌표와 대상물체의 중심점을 이용하여 도출된 구의 매개변수 방정식인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에 상기 3차원 이미지 중 하나의 프레임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현재 출력된 프레임을 다른 프레임으로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3차원 이미지 정보에서 상기 설명점이 위치하는 좌측 끝(LE)에서부터 우측 끝(RE)까지를 연결하는 설명점의 직경(D) 내에서 설명점이 이동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에 상기 3차원 이미지 중 하나의 프레임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현재 출력된 프레임을 다른 프레임으로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3차원 이미지 정보에서 상기 설명점이 위치하는 좌측 지점(LP), 우측 지점(RP)과 그 사이의 중계 지점(TP)을 잇는 포물선을 따라 설명점이 이동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에 상기 3차원 이미지 중 하나의 프레임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현재 출력된 프레임을 다른 프레임으로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사용자가 화면을 좌우로 드래그하면 전체 공간좌표상의 설명점 좌표를 경도 각도만큼 회전시켜 구한 좌표 위치에 설명점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화면을 상하로 드래그할 경우 위도 각도만큼 회전시켜 구한 좌표 위치이 설명점을 디스플레이하는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
  9. 스마트 디바이스에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3차원 이미지 제공 애플리케이션.
  10. 놓여진 대상 물체를 360도 회전시킬 수 있는 턴테이블부;
    상기 대상 물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가 거치되는 카메라 거치부;
    턴테이블부 제어하는 제어부;
    제어부와 턴테이블부 사이, 그리고 제이부와 상기 카메라 사이에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카메라 거치부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대상 물체 주위를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되며, 상기 카메라 거치부의 회전축은 상기 대상 물체의 중심점에 대응하도록 위치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이미지 생성 시스템.
KR1020150188791A 2015-12-29 2015-12-29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 KR101759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791A KR101759799B1 (ko) 2015-12-29 2015-12-29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791A KR101759799B1 (ko) 2015-12-29 2015-12-29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965A true KR20170078965A (ko) 2017-07-10
KR101759799B1 KR101759799B1 (ko) 2017-08-01

Family

ID=59355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791A KR101759799B1 (ko) 2015-12-29 2015-12-29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79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092A (ko) * 2017-11-22 2019-05-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객체의 3차원 정보 복원 방법 및 장치
KR20200121997A (ko) * 2019-04-17 2020-10-27 주식회사 태산솔루젼스 문화재 보존 복원을 위한 ct영상정보의 3d모듈링 및 그 방법
KR20220022006A (ko) * 2020-08-14 2022-02-23 주식회사 글로벌코딩연구소 빅데이터를 이용한 스마트 농작물 판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517887B1 (ko) * 2022-11-22 2023-04-04 (주)동광사우 딥러닝에 의한 비전인식 시스템용 다각도 촬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1957B2 (ja) * 2000-03-09 2008-04-3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TW201501044A (zh) * 2013-06-24 2015-01-01 Utechzone Co Ltd 偵測臉部動作以產生訊號的裝置、方法以及電腦可讀取紀錄媒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092A (ko) * 2017-11-22 2019-05-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객체의 3차원 정보 복원 방법 및 장치
KR20200121997A (ko) * 2019-04-17 2020-10-27 주식회사 태산솔루젼스 문화재 보존 복원을 위한 ct영상정보의 3d모듈링 및 그 방법
KR20220022006A (ko) * 2020-08-14 2022-02-23 주식회사 글로벌코딩연구소 빅데이터를 이용한 스마트 농작물 판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517887B1 (ko) * 2022-11-22 2023-04-04 (주)동광사우 딥러닝에 의한 비전인식 시스템용 다각도 촬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9799B1 (ko) 201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6395B2 (en) Remote object detection and local tracking using visual odometry
CN110022470B (zh) 使用合成图像训练对象检测算法的方法和系统和存储介质
US20200402248A1 (en) Volumetric depth video recording and playback
US8388146B2 (en) Anamorphic projection device
KR101759799B1 (ko)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
EP3097689B1 (en) Multi-view display control for channel selection
EP3008888B1 (en) Imaging system and imaging method, and program
EP3451285B1 (en) Distance measurement device for motion picture camera focus applications
JP2015018296A (ja) 表示制御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590256B1 (ko) 스마트 디바이스로 촬영한 동영상을 이용한 3d 이미지 생성 방법
JP6576536B2 (ja) 情報処理装置
US11288871B2 (en) Web-based remote assistance system with context and content-aware 3D hand gesture visualization
CN105474070A (zh) 头戴式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KR101703013B1 (ko) 3차원 스캐너 및 스캐닝 방법
KR101643917B1 (ko) 실사 영상 기반의 스마트 피팅장치
US20230153897A1 (en) Integrating a product model into a user supplied image
KR101556158B1 (ko) 실사 영상 기반의 스마트 피팅장치를 이용한 소셜 서비스시스템
KR20190027079A (ko)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US10860166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for generating a depth adjusted image file
JP2015231114A (ja) 映像表示装置
US20170223321A1 (en) Projection of image onto object
JP6649010B2 (ja) 情報処理装置
KR20180070082A (ko) Vr 컨텐츠 생성 시스템
EP3386204A1 (en)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remotely displayed contents by augmented reality
US9811943B2 (en) Processing device for label information for multi-viewpoint images and processing method for label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