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8591A - Mtc 기기의 pucch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Mtc 기기의 pucch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8591A
KR20170078591A KR1020177006184A KR20177006184A KR20170078591A KR 20170078591 A KR20170078591 A KR 20170078591A KR 1020177006184 A KR1020177006184 A KR 1020177006184A KR 20177006184 A KR20177006184 A KR 20177006184A KR 20170078591 A KR20170078591 A KR 20170078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cch
mtc
uplink
resource
mt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6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4877B1 (ko
Inventor
황대성
이윤정
양석철
서한별
이승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78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2Hopping in multicarrie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7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4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data link layer [OSI layer 2], e.g. HDL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04W72/041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개시는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기기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을 전송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PUCCH 전송 방법은 PUCCH의 반복 수준 별 독립적인 PUCCH 자원에 대한 설정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에 기초하여, 반복 수준에 해당하는 PUCCH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자원 상에서, 상기 PUCCH를 반복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MTC 기기의 PUCCH 전송 방법
본 발명은 이동통신에 관한 것이다.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향상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는 3GPP 릴리이즈(release) 8로 소개되고 있다. 3GPP LTE는 하향링크에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사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사용한다. 최대 4개의 안테나를 갖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를 채용한다. 최근에는 3GPP LTE의 진화인 3GPP LTE-A(LTE-Advanced)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3GPP TS 36.211 V10.4.0 (2011-12)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 (Release 10)"에 개시된 바와 같이, LTE에서 물리채널은 하향링크 채널인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상향링크 채널인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로 나눌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사람과의 상호 작용(human interaction) 없이, 즉 사람의 개입 없이 장치간 또는 장치와 서버간에 일어나는 통신, 즉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되고 있다. 상기 MTC는 인간이 사용하는 단말이 아닌 기계 장치가 기존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개념을 일컫는다.
상기 MTC의 특성은 일반적인 단말과 다르므로, MTC 통신에 최적화된 서비스는 사람 대 사람(human to human) 통신에 최적화된 서비스와 다를 수 있다. MTC 통신은 현재의 이동 네트워크 통신 서비스(Mobile Network Communication Service)와 비교하여, 서로 다른 마켓 시나리오(market scenario), 데이터 통신, 적은 비용과 노력, 잠재적으로 매우 많은 수의 MTC 기기들, 넓은 서비스 영역 및 MTC 기기 당 낮은 트래픽(traffic) 등으로 특징될 수 있다.
MTC 기기의 단가를 낮추기 위한 한가지 방안으로, 셀의 시스템 대역폭과 무관하게, 상기 MTC 기기는 축소된 대역, 즉 부대역만 사용할 수 있다.
상향링크 채널 중 PUCCH는 셀의 상향링크 시스템 대역폭 전체를 기준으로 양끝에서 전송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기존 기술에 의하면, 상기 MTC 기기는 PUCCH를 상기 어느 하나의 부대역 상에서 전송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개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개시는 MTC가 동작하는 부대역 내에서 PUCCH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 방안들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개시는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기기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을 전송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PUCCH 전송 방법은 PUCCH의 반복 수준 별 독립적인 PUCCH 자원에 대한 설정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에 기초하여, 반복 수준에 해당하는 PUCCH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자원 상에서, 상기 PUCCH를 반복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반복 수준에 따라 상기 PUCCH를 반복하여 전송할 횟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UCCH의 반복 전송은 상기 MTC 기기가 셀의 커버리지 확장 지역에 위치한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PUCCH 자원에 대한 설정은 셀-특정적으로(cell-specific) 정해지는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개시는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기기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을 전송하는 방법을 또한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PUCCH를 복수 개의 서브프레임들 상에서 반복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반복 전송 수행 도중에, 상기 PUCCH에 대한 주파수 호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PUCCH가 전송되는 주파수 영역 위치는 상기 복수개 중 적어도 n개의 서브프레임 구간에는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PUCCH가 전송되는 주파수 영역 위치는 슬롯 단위로 호핑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PUCCH가 전송되는 주파수 영역은 상향링크 시스템 대역 중에서 일부 부대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주파수 호핑은 상기 부대역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주파수 호핑은 상기 부대역 단위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개시에 의하면,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해결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개시에 의하면 시스템 대역 전체가 아닌 일부 부대역 상에서 동작하는 MTC 기기가 PUCCH 영역을 효율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기존 일반 UE와 다른 MTC 기기에 대한 PUSCH의 RB 할당에 유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이다.
도 2는 3GPP LTE에서 FDD에 따른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3GPP LTE에서 하나의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3GPP LTE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PUCCH 포맷에 따른 전송 영역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EPDCCH를 갖는 서브프레임의 일 예이다.
도 8a는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통신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8b는 MTC 기기를 위한 셀 커버리지 확장의 예시이다.
도 8c는 상향링크 채널의 묶음을 전송하는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셀의 하향링크 시스템 대역폭 중 일부 부대역만을 MTC 기기가 사용하는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a는 MTC 기기를 위해 시스템 대역의 양끝이 아닌, 부대역의 양끝에 PUCCH를 할당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0b는 MTC 기기를 위해 시스템 대역의 양끝이 아닌, 부대역의 어느 한 끝에 PUCCH를 할당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PUCCH의 반복 수준 별로 PUCCH 영역에 대한 설정을 시그널링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2a 및 도 12b는 PUCCH가 반복 전송되는 경우, 주파수 호핑이 적용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3은 복수의 MTC 기기들 간에 상향링크 부대역 혹은 하향링크 부대역이 동일한 상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개시가 구현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3GPP LTE-A(LTE-Advanced)를 기반으로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것을 기술한다.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LTE라 함은 LTE 및/또는 LTE-A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무선기기와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eNodeB(evolved-NodeB),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그리고 이하, 사용되는 용어인 UE(User Equipment)는,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기기(Device),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단말(Terminal),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MT(mobile terminal)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0)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20)은 특정한 지리적 영역(일반적으로 셀이라고 함)(20a, 20b, 20c)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은 다시 다수의 영역(섹터라고 함)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UE은 통상적으로 하나의 셀에 속하는데, UE이 속한 셀을 서빙 셀(serving cell)이라 한다. 서빙 셀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서빙 기지국(serving BS)이라 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셀룰러 시스템(cellular system)이므로, 서빙 셀에 인접하는 다른 셀이 존재한다. 서빙 셀에 인접하는 다른 셀을 인접 셀(neighbor cell)이라 한다. 인접 셀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인접 기지국(neighbor BS)이라 한다. 서빙 셀 및 인접 셀은 UE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결정된다.
이하에서, 하향링크는 기지국(20)에서 UE(10)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는 UE(10)에서 기지국(20)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분이고, 수신기는 UE(10)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UE(10)의 일부분이고, 수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분일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 시스템은 크게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과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FDD 방식에 의하면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차지하면서 이루어진다. TDD 방식에 의하면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같은 주파수 대역을 차지하면서 서로 다른 시간에 이루어진다. TDD 방식의 채널 응답은 실질적으로 상호적(reciprocal)이다. 이는 주어진 주파수 영역에서 하향링크 채널 응답과 상향링크 채널 응답이 거의 동일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채널 응답은 상향링크 채널 응답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DD 방식은 전체 주파수 대역을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시분할되므로 기지국에 의한 하향링크 전송과 UE에 의한 상향링크 전송이 동시에 수행될 수 없다.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구분되는 TDD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에서 수행된다.
이하에서는, LTE 시스템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2는 3GPP LTE에서 FDD에 따른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무선 프레임은 3GPP TS 36.211 V10.4.0 (2011-12)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 (Release 10)"의 5절을 참조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을 포함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slot)을 포함한다. 무선 프레임 내 슬롯은 0부터 19까지 슬롯 번호가 매겨진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전송시간구간(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라 한다. TTI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단위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무선 프레임의 길이는 10ms이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 일 수 있다.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슬롯은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슬롯에 몇개의 OFDM 심볼이 포함되는지는 순환전치(cyclic prefix: CP)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노멀(normal) CP에서 1 슬롯은 7 OFDM 심벌을 포함하고, 확장(extended) CP에서 1 슬롯은 6 OFDM 심벌을 포함한다. 여기서, OFDM 심벌은 3GPP LTE가 하향링크(downlink, DL)에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사용하므로, 시간 영역에서 하나의 심벌 구간(symbol period)을 표현하기 위한 것에 불과할 뿐, 다중 접속 방식이나 명칭에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OFDM 심벌은 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심벌, 심벌 구간 등 다른 명칭으로 불릴 수 있다.
도 3은 3GPP LTE에서 하나의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슬롯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에서 NRB 개의 자원블록(RB)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LTE 시스템에서 자원블록(RB)의 개수, 즉 NRB은 6 내지 110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은 자원 할당 단위로, 하나의 슬롯에서 복수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슬롯이 시간 영역에서 7개의 OFDM 심벌을 포함하고, 자원블록은 주파수 영역에서 12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면, 하나의 자원블록은 7×12개의 자원요소(resource element: RE)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OFDM 심벌에서 부반송파의 수는 128, 256, 512, 1024, 1536 및 2048 중 하나를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3의 3GPP LTE에서 하나의 상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는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에서는 노멀 CP를 가정하여 예시적으로 하나의 슬롯 내에 7 OFDM 심벌이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DL(downlink) 서브프레임은 시간 영역에서 제어영역(control region)과 데이터영역(data region)으로 나누어진다. 제어영역은 서브프레임내의 첫 번째 슬롯의 앞선 최대 3개의 OFDM 심벌을 포함하나, 제어영역에 포함되는 OFDM 심벌의 개수는 바뀔 수 있다. 제어영역에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및 다른 제어채널이 할당되고, 데이터영역에는 PDSCH가 할당된다.
3GPP LTE에서 물리채널은 데이터 채널인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와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및 제어채널인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및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로 나눌 수 있다.
도 5는 3GPP LTE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어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나뉠 수 있다. 제어 영역에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가 전송되기 위한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가 할당된다. 데이터 영역은 데이터(경우에 따라 제어 정보도 함께 전송될 수 있다)가 전송되기 위한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가 할당된다.
하나의 UE에 대한 PUCCH는 서브프레임에서 자원블록 쌍(RB pair)으로 할당된다. 자원블록 쌍에 속하는 자원블록들은 제1 슬롯과 제2 슬롯 각각에서 서로 다른 부반송파를 차지한다. PUCCH에 할당되는 자원블록 쌍에 속하는 자원블록이 차지하는 주파수는 슬롯 경계(slot boundary)를 기준으로 변경된다. 이를 PUCCH에 할당되는 RB 쌍이 슬롯 경계에서 주파수가 홉핑(frequency-hopped)되었다고 한다.
UE이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부반송파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주파수 다이버시티(frequency diversity) 이득을 얻을 수 있다. m은 서브프레임 내에서 PUCCH에 할당된 자원블록 쌍의 논리적인 주파수 영역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인덱스이다.
PUCCH 상으로 전송되는 상향링크 제어정보에는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acknowledgement)/NACK(non-acknowledgement), 하향링크 채널 상태를 나타내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상향링크 무선 자원 할당 요청인 SR(scheduling request) 등이 있다.
PUSCH는 전송 채널(transport channel)인 UL-SCH에 맵핑된다. PUSCH 상으로 전송되는 상향링크 데이터는 전송시간구간(TTI) 동안 전송되는 UL-SCH를 위한 데이터 블록인 전송 블록(transport block)일 수 있다. 상기 전송 블록은 사용자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는 다중화된(multiplexed) 데이터일 수 있다. 다중화된 데이터는 UL-SCH를 위한 전송 블록과 제어정보가 다중화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에 다중화되는 제어정보에는 CQI,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HARQ, RI (rank indicator) 등이 있을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는 제어정보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PUCCH 포맷에 따른 전송 영역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PUCCH 포맷(PUCCH format)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PUCCH 포맷 1은 스케줄링 요청(SR; Scheduling Request)을 나른다. 이때 OOK(On-Off Keying)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PUCCH 포맷 1a는 하나의 코드워드(codeword)에 대하여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방식으로 변조된 ACK/NACK(Acknowledgement/Non-Acknowledgement)을 나른다. PUCCH 포맷 1b는 2개의 코드워드에 대하여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방식으로 변조된 ACK/NACK을 나른다. PUCCH 포맷 2는 QPSK 방식으로 변조된 CQI(Channel Quality Indicator)를 나른다. PUCCH 포맷 2a와 2b는 CQI와 ACK/NACK을 나른다.
아래의 표는 PUCCH 포맷을 나타낸다.
포맷 변조 방식 서브프레임 당 총 비트수 설명
포맷 1 미정 미정 스케줄링 요청(SR)
포맷 1a BPSK 1 1 비트 HARQ의 ACK/NACK, 스케줄링 요청(SR)은 있을 수도 없고 없을 수도 있음
포맷 1b QPSK 2 2 비트 HARQ의 ACK/NACK, 스케줄링 요청(SR)은 있을 수도 없고 없을 수도 있음
포맷 2 QPSK 20 확장 CP의 경우 CSI 및 1 비트 또는 2비트의 HARQ ACK/NACK
포맷 2a QPSK+BPSK 21 CSI 및 1 비트의 HARQ ACK/NACK
포맷 2b QPSK+BPSK 22 CSI 및 2 비트의 HARQ ACK/NACK
포맷 3 QPSK 48 반송파 집성을 위한 다수의 ACK/NACK들 및 CSI, 스케줄링 요청(SR)은 있을 수도 없고 없을 수도 있음
각 PUCCH 포맷은 PUCCH 영역에 맵핑되어 전송된다. 예를 들어, PUCCH 포맷 2/2a/2b는 단말에게 할당된 대역 가장자리의 자원블록(도 6에서 m=0,1)에 맵핑되어 전송된다. 혼합 PUCCH 자원블록(mixed PUCCH RB)은 상기 PUCCH 포맷 2/2a/2b가 할당되는 자원블록에 상기 대역의 중심 방향으로 인접한 자원블록(예컨대, m=2)에 맵핑되어 전송될 수 있다. SR, ACK/NACK이 전송되는 PUCCH 포맷 1/1a/1b는 m=4 또는 m=5인 자원블록에 배치될 수 있다. CQI가 전송되는 PUCCH 포맷 2/2a/2b에 사용될 수 있는 자원블록의 수(N(2)RB)는 브로드캐스팅되는 신호를 통해 단말에게 지시될 수 있다.
<반송파 집성>
이제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반송파 집성 시스템은 다수의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를 집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반송파 집성에 의해서, 기존의 셀의 의미가 변경되었다. 반송파 집성에 의하면, 셀이라 함은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와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의 조합, 또는 단독의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반송파 집성에서 셀은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과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 서빙 셀(serving cell)로 구분될 수 있다. 프라이머리 셀은 프라이머리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셀을 의미하며, UE이 기지국과의 최초 연결 확립 과정(initial connection establishment procedure) 또는 연결 재확립 과정을 수행하는 셀, 또는 핸드오버 과정에서 프라이머리 셀로 지시된 셀을 의미한다. 세컨더리 셀은 세컨더리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셀을 의미하며, 일단 RRC 연결이 확립되면 설정되고 추가적인 무선 자원을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반송파 집성 시스템에서는 단일 반송파 시스템과 달리 복수의 요소 반송파(CC), 즉, 복수의 서빙 셀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반송파 집성 시스템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지원할 수 있다.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은 특정 요소 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PDCCH를 통해 다른 요소 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PDSCH의 자원 할당 및/또는 상기 특정 요소 반송파와 기본적으로 링크되어 있는 요소 반송파 이외의 다른 요소 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PUSCH의 자원 할당을 할 수 있는 스케줄링 방법이다.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한편, PDCCH는 서브프레임내의 제어 영역이라는 한정된 영역에서 모니터링되고, 또한 PDCCH의 복조를 위해서는 전 대역에서 전송되는 CRS가 사용된다. 제어 정보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제어 정보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기존 PDCCH 만으로는 스케줄링의 유연성이 떨어진다. 또한, CRS 전송으로 인한 부담을 줄이기 위해, EPDCCH(enhanced PDCCH)의 도입되고 있다.
도 7은 EPDCCH를 갖는 서브프레임의 일 예이다.
서브프레임은 영 또는 하나의 PDCCH 영역(410) 및 영 또는 그 이상의 EPDCCH 영역(420, 430)을 포함할 수 있다.
EPDCCH 영역(420, 430)은 무선기기가 EPDCCH를 모니터링하는 영역이다. PDCCH 영역(410)은 서브프레임의 앞선 최대 4개의 OFDM 심벌내에서 위치하지만, EPDCCH 영역(420, 430)은 PDCCH 영역(410) 이후의 OFDM 심벌에서 유연하게 스케줄링될 수 있다.
무선기기에 하나 이상의 EPDCCH 영역(420, 430)이 지정되고, 무선기기는 지정된 EPDCCH 영역(420, 430)에서 E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EPDCCH 영역(420, 430)의 개수/위치/크기 및/또는 EPDCCH를 모니터링할 서브프레임에 관한 정보는 기지국이 무선기기에게 RRC 메시지 등을 통해 알려줄 수 있다.
PDCCH 영역(410)에서는 CRS를 기반으로 PDCCH를 복조할 수 있다. EPDCCH 영역(420, 430)에서는 EPDCCH의 복조를 위해 CRS가 아닌 DM(demodulation) RS를 정의할 수 있다. 연관된 DM RS는 대응하는 EPDCCH 영역(420, 430)에서 전송될 수 있다.
각 EPDCCH 영역(420, 430)은 서로 다른 셀을 위한 스케줄링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PDCCH 영역(420)내의 EPDCCH는 1차셀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나르고, EPDCCH 영역(430)내의 EPDCCH는 2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나를 수 있다.
EPDCCH 영역(420, 430)에서 EPDCCH가 다중 안테나를 통해 전송될 때, EPDCCH 영역(420, 430)내의 DM RS는 EPDCCH와 동일한 프리코딩이 적용될 수 있다.
PDCCH가 전송 자원 단위로 CCE를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EPCCH를 위한 전송 자원 단위를 ECCE(Enhanced Control Channel Element)라 한다. 집합 레벨(aggregation level)은 EPDCCH를 모니터링하는 자원 단위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 ECCE가 EPDCCH를 위한 최소 자원이라고 할 때, 집합 레벨 L={1, 2, 4, 8, 16}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서 EPDDCH 검색 공간(search space)은 EPDCCH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EPDCCH 검색 공간에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집합 레벨 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EPDCCH 후보가 모니터링될 수 있다.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통신>
한편, 이하 MTC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a는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통신의 일 예를 나타낸다.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는 인간 상호작용(human interaction)을 수반하지 않은 MTC 기기(100)들 간에 기지국(200)을 통한 정보 교환 또는 MTC 기기(100)와 MTC 서버(700) 간에 기지국을 통한 정보 교환을 말한다.
MTC 서버(700)는 MTC 기기(100)와 통신하는 개체(entity)이다. MTC 서버(700)는 MTC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MTC 기기에게 MTC 특정 서비스를 제공한다.
MTC 기기(100)는 MTC 통신을 제공하는 무선 기기로,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다.
MTC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기존의 사람이 개입하는 통신에서의 서비스와는 차별성을 가지며, 추적(Tracking), 계량(Metering), 지불(Payment), 의료 분야 서비스, 원격 조정 등 다양한 범주의 서비스가 존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MTC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계량기 검침, 수위측정, 감시 카메라의 활용, 자판기의 재고보고 등이 있을 수 있다.
MTC 기기의 특이성은 전송 데이터량이 적고 상/하향 링크 데이터 송수신이 가끔씩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낮은 데이터 전송률에 맞춰서 MTC 기기의 단가를 낮추고 배터리 소모를 줄이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러한 MTC 기기는 이동성이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채널 환경이 거의 변하지 않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도 8b는 MTC 기기를 위한 셀 커버리지 확장의 예시이다.
최근에는, MTC 기기(100)를 위해서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Coverage Extension 또는 Coverage Enhancement: CE)를 확장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으며, 셀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다양한 기법들의 논의되고 있다.
그런데, 셀의 커버리지가 확장될 경우에, 상기 커버리지 확장 지역에 위치하는 MTC 기기가 상향링크 채널을 전송하면, 상기 기지국은 이를 수신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도 8c는 상향링크 채널의 묶음을 전송하는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c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버리지 확장 영역에 위치하는 MTC 기기(100)는 상향링크 채널(예컨대, PUCCH 및/또는 PUSCH)을 여러 서브프레임들 (예컨대, N개의 서브프레임들) 상에서 반복하여 전송한다. 이와 같이, 상기 여러 서브프레임들 상에서 반복되어 있는 상향링크 채널들을 상향링크 채널의 묶음(bundle)이라고 한다.
한편, 상기 기지국은 상향링크 채널의 묶음을 여러 서브프레임들 상에서 수신하고, 묶음의 일부 또는 또는 전체를 디코딩함으로써, 디코딩 성공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지국도 역시 마찬가지로, 상기 커버리지 확장 지역에 위치하는 MTC 기기에게 하향링크 채널(예컨대, PDCCH 및/또는 PDSCH)의 묶음을 여러 서브프레임들 상에서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셀의 하향링크 시스템 대역폭 중 일부 부대역만을 MTC 기기가 사용하는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MTC 기기의 원가 절감(low-cost)을 한가지 방안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의 하향링크 시스템 대역폭을 일정 크기 단위(예컨대, 1.4 MHz 단위 혹은 몇 개의 RB 단위)의 여러 부대역(sub-band)으로 나누고, MTC 기기가 상기 여러 부대역(sub-band) 중 어느 하나에서만 하향링크 채널을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셀의 상향링크 시스템 대역폭을 일정 크기의 여러 부대역으로 나누고, MTC 기기가 상기 여러 부대역(sub-band) 중 어느 하나에서만 상향링크 채널을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상향링크 채널 중 PUCCH는 셀의 상향링크 시스템 대역폭 전체를 기준으로 양끝에서 전송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기존 기술에 의하면, 상기 MTC 기기는 PUCCH를 상기 셀의 상향링크 시스템 대역폭 중 어느 하나의 부대역 상에서 전송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개시>
따라서, 본 명세서의 개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간략하게, 본 명세서의 개시는 MTC 기기가 셀의 상향링크 시스템 대역 전체가 아닌, 일부의 상향링크 대역(즉, 부대역) 상에서 상향링크 채널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기 상향링크 채널의 맵핑 방식과 전송 방식 등을 제시한다.
다시 말해서, 본 명세서의 개시는 MTC 기기가, 셀의 상향링크 시스템 대역 전체가 아닌, 일부의 상향링크 대역(즉, 부대역) 상에서 PUCCH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PUCCH 영역을 설정하는 방안과 상기 PUCCH를 자원에 매핑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때, 하나의 MTC 기기에게 복수의 부대역이 할당될 수 있고, 상기 MTC 기기는 상기 복수의 부대역 중 어느 하나를 상황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대역의 크기는 셀 내의 모든 MTC 기기들에게 동일할 수 있다. 하향링크 부대역과 상향링크 부대역이 MTC 기기에게 각기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TC 기기1은 상향링크 부대역1과 하향링크 부대역2을 할당받고, MTC 기기2는 상향링크 부대역2와 하향링크 부대역2를 할당받을 수 있다. 또는, 복수의 MTC 기기가 하나의 하향링크 부대역을 동일하게 할당받고, 상향링크 부대역은 서로 다르게 할당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PUCCH의 매핑은 PRB 단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된다. 다만,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 혹은 상향링크/하향링크 부대역 단위의 호핑을 고려할 경우에는 상기 PRB는 다시 VRB(virtual RB)로 재해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VRB를 다시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PRB로 매핑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의 개시를 각 절로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I. PUCCH 영역 설정
PUCCH 포맷 1/포맷 2는 상향링크 시스템 대역폭의 양끝에 대응되는 RB들부터 매핑되어 전송된다. PUCCH 포맷 3계열은 RRC 단에서 설정한 값을 기반으로 PRB 위치가 정해진다. 또한, PUCCH은 슬롯 단위 호핑이 적용되어, 짝수 슬롯과 홀수 슬롯에서 전송되는 PRB 위치가 다를 수 있다. 좀더 자세하게, PUCCH는 시스템 대역폭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매핑(일례로 PUCCH가 짝수 슬롯에서 PRB 0에 매핑되었다면, 홀수에서는 시스템 대역폭-1에 대응하는 PRB에 매핑)된다. 즉, PUSCH의 연속적인 RB 할당을 최대화할 수 있게끔, PUCCH 영역(PUCCH 포맷 3을 제외)이 설계되었다. MTC 기기가 실직적 동작 대역으로서 상향링크 시스템 대역 전체가 아닌, 일부 부대역(예컨대, 6개의 RB)을 할당받은 경우, 상기 MTC 기기의 PUCCH 영역을 상기 일부 부대역의 양끝 단에 배치할 경우에, 일반 UE의 PUSCH를 연속적인 RB에 할당하는데 제약이 생긴다. 또한, 상기 MTC 기기가 할당받은 부대역의 위치와 다른 위치에 부대역을 할당받은 다른 MTC 기기의 PUSCH를 연속적인 RB에 할당하는 데에도 제약이 생길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a는 MTC 기기를 위해 시스템 대역의 양끝이 아닌, 부대역의 양끝에 PUCCH를 할당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0a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존 UE는 상기 MTC 기기에게 할당된 부대역으로 인하여, PUSCH를 연속적인 RB에 할당받지 못한다.
또한, 도 10a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MTC 기기의 PUCCH 영역을 상기 상향링크 시스템 대역의 양끝이 아닌, 부대역의 양끝 단에 배치할 경우에, 기존 UE는 상기 MTC 기기의 부대역의 PUSCH 영역도 사용하기 어려워진다.
PUSCH를 비연속적으로 할당된 RB들 상에서 전송가능 한 UE라 할지라도, 시스템 대역폭에 따라 설정된 RBG에 따라서 MTC 기기의 부대역에 포함된 RBG 사용에 제약이 생길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는 셀의 상향링크 시스템 대역 내에 복수의 MTC 부대역이 설정될 경우에 더욱 가중 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PUCCH 영역 설정을 MTC 기기를 위해서 재설계함으로써 우회 혹은 경감시킬 수 있다. 기존에, PUCCH 영역을 시스템 대역의 양끝에 배치시키는 이유는, PUCCH 전송 시 슬롯 단위 주파수 호핑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기존에, PUCCH는 한 슬롯에서 시스템 대역폭의 한쪽 끝 RB와 다른 슬롯에서 시스템 대역폭의 다른 한쪽 끝 RB를 쌍으로 사용하여 전송되는 형태를 띄며, 이러한 슬롯 단위 호핑을 통해서 PUCCH 전송 시 다이버시티(diversity) 효과를 얻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비용 절감 차원에서 시스템 대역의 전체가 아닌 일부 부대역만을 사용하는 MTC 기기는 주로 고정된 장소에 설치될 것으로 기대되므로, 채널 상태가 변동없이 정적(static)일 것으로 예측되고, 또한 시스템 대역 전체가 아닌 일부 부대역에서만 동작하므로 슬롯 단위 주파수 호핑의 효과는 크지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므로, MTC 기기가 시스템 대역 전체가 아닌 일부 부대역에서만 동작하는 경우, PUCCH 전송을 함에 있어서 슬롯 단위의 주파수 호핑을 수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경우 PUCCH 영역은 시스템 대역폭의 양끝 단이 아니라 시스템 대역폭의 한쪽 끝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기존 UE의 PUSCH를 연속적인 RB에 할당하지 못하는 문제가 다소 경감될 수 있다.
도 10b는 MTC 기기를 위해 시스템 대역의 양끝이 아닌, 부대역의 어느 한 끝에 PUCCH를 할당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0b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MTC 기기의 PUCCH 영역을 상기 상향링크 시스템 대역의 양끝이 아닌, 부대역의 한쪽 끝단에 배치할 경우에, 기존 UE의 PUSCH를 연속적인 RB에 할당하는 게 보다 수월해질 수 있다.
특히, 기존 UE의 PUSCH 영역은 상기 MTC 기기를 위한 PUSCH 영역과 붙어 있으므로, 상기 MTC 기기를 위한 PUSCH 영역도 상기 기존 UE가 활용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이하에서는, MTC 기기를 위한 PUCCH 영역을 할당(또는 설정)하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첫 번째 방안으로서, 시스템 대역 전체가 아닌 일부의 부대역만을 사용하는 MTC 기기를 위한 PUCCH 영역은 상위 계층 시그널을 통해서 할당/설정될 수 있다.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을 통한 할당/설정은 상기 MTC 기기를 위한 PUCCH 영역을 상향링크 시스템 대역폭의 양끝에 배치하는 방식, 상향링크 시스템 대역폭의 위쪽에만 배치하는 방식, 상향링크 시스템 대역폭의 아래쪽에만 배치하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PUCCH를 슬롯 단위로 주파수 호핑할지에 대한 설정을 상위 계층 시그널을 통해 MTC 기기에게 설정해줄 수 있다. 다만, 슬롯 단위의 주파수 호핑은, 상기 MTC 기기를 위한 PUCCH 영역이 상기 상향링크 시스템 대역폭의 양끝에 배치되는 경우에만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PUCCH 영역이 상향링크 시스템 대역폭의 양끝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MTC 기기는 별도의 시그널링이 없어도 상기 슬롯 단위의 주파수 호핑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그러나, PUCCH 영역이 상향링크 시스템 대역폭의 한쪽 끝에만 배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MTC 기기는 별도의 시그널링이 없어도, 슬롯 단위의 주파수 호핑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두 번째 방안으로서, 시스템 대역 전체가 아닌 일부의 부대역만을 사용하는 MTC 기기를 위한 PUCCH 영역은 상기 부대역의 한쪽 끝에 대해서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MTC 기기를 위한 부대역의 가운데 RE 혹은 어느 한쪽 끝 RE가 상기 상향링크 시스템 대역의 가운데 보다 위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MTC 기기를 위한 PUCCH 영역은 상기 상향링크 시스템 대역폭의 위쪽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혹은 반대로 상기 MTC 기기를 위한 부대역의 가운데 RE 혹은 어느 한쪽끝 RE가 상기 상향링크 시스템 대역폭의 가운데 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MTC 기기를 위한 PUCCH 영역은 MTC 상향링크 시스템 대역폭의 아래쪽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세 번째 방안으로서, 시스템 대역 전체가 아닌 일부의 부대역만을 사용하는 MTC 기기를 위한 PUCCH 영역은 상기 상향링크 시스템 대역폭의 한쪽 끝 부근에만 배치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MTC 기기의 부대역의 가운데 RE 혹은 어느 한쪽 끝 RE가 상기 상향링크 시스템 대역폭이 속한 RBG의 중심 RE 혹은 RE 경계보다 위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MTC 기기를 위한 PUCCH 영역은 상기 시스템 대역폭의 위쪽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혹은 반대로, 상기 MTC 기기의 부대역의 가운데 RE 혹은 어느 한쪽 끝 RE가 상기 상향링크 시스템 대역폭이 속한 RBG의 중심 RE 혹은 RE 경계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향링크 시스템 대역폭의 아래 쪽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MTC 기기의 부대역이 복수의 RBG에 걸친 경우에는 많이 걸친 쪽의 RBG를 기준으로 PUCCH 영역을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설정한다. 동일 RB개수가 복수의 RBG에 겹친 경우에는 RBG 인덱스 가 작은 것을 기준으로 PUCCH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전술한 방안을 통해서 기존 UE 혹은 상기 MTC 기기의 부대역과 다른 부대역을 사용하는 다른 MTC 기기에 대한 PUSCH RB 할당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MTC 기기의 부대역 내에 PUCCH 영역을 설정하는 방안으로는 상기 부대역의 양끝 외에도 가운데 RB 영역에 상기 PUCCH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추가로 고려할 수도 있다.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을 통해 지시하는 방안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예로 RRC 시그널을 통해 PUCCH(혹은 HARQ-ACK)가 전송될 부대역 및/또는 PRB 영역에 대한 후보를 복수개 지정할 수 있으며, 다시 DCI를 통해서 최종적으로 PUCCH(혹은 HARQ-ACK)을 전송할 부대역 및/또는 PRB 조합을 지시할 수 있다. 상기 DCI는 하향링크 자원 할당(assignment)을 위한 DCI일 수 있다. 상기 RRC 시그널에 의해 지시된 후보들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인디케이션은 상기 DCI 내에 ARI(AN resource indicator) 형태로 추가되는 것일 수도 있고, TPC 필드를 재사용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TPC 필드의 재사용은, 상기 MTC 기기가 TPC를 활용한 폐루프 파워 제어(closed-loop power control)를 수행하지 않을 때에만 가능할 수 있다.
또 다른 방안으로는 PUCCH(혹은 HARQ-ACK)가 전송될 PRB 시작위치 그리고/혹은 끝 위치를 오프셋 형태로 상위 계층 시그널를 통해서 MTC 기기에게 지정해주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오프셋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일부 비트는 시스템 대역폭 혹은 MTC 기기의 부대역의 시작을 기준으로 할지 혹은 끝을 기준으로 할지를 표현할 수 있으며, 나머지 비트는 적용할 오프셋값을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PUCCH의 반복 횟수가 반복 수준(repetition level)(혹은 CE 수준)에 따라 결정될 경우에, 기지국은 각 반복 수준(혹은 CE 수준) 별로 독립적으로 상기 오프셋을 상기 MTC 기기에게 시그널링하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반복 수준(혹은 CE 수준)은 반복을 수행하지 않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복 수준(혹은 CE 수준)이 0인 경우, 상기 PUCCH의 반복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복 수준(혹은 CE 수준)이 1인 경우에는, 상기 PUCCH가 1번 반복되어, 최종적으로 동일한 PUCCH가 2개의 서브프레임상에서 전송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복 수준(혹은 CE 수준)이 2인 경우에는, 동일한 PUCCH가 4개의 서브프레임 상에서 반복적으로 전송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PUCCH 영역이 슬롯 별로 동일하게 설정된 경우에는 MTC 기기는 PUCCH 전송 시에 슬롯 단위의 주파수 호핑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MTC 기기는 PUCCH 영역이 슬롯 별로 동일 위치의 RB에 배치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또는 PUCCH 영역이 복수의 연속적인 RB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MTC 기기는 상기 복수의 RB들 중에서 슬롯 단위로 호핑을 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MTC 기기가 특정 서브프레임 혹은 서브프레임 영역 상에서만 전송하도록, 상기 MTC 기기의 부대역 혹은 상기 PUCCH 영역이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전송이 허용되지 않거나, 상기 부대역 혹은 PUCCH 영역이 설정되지 않은 서브프레임 상에서 상기 MTC 기기는 PUCCH 등의 상향링크 물리 채널의 전체 혹은 일부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I.1 커버리지 확장 지역에 위치한 MTC 기기를 위한 PUCCH 영역 설정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리지 확장(CE) 지역에 위치한 MTC 기기는 각 채널 별로 다른 반복 수준이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서로 다른 반복 수준으로 상향링크 물리 채널이 전송되면, 기지국 입장에서는 수신 파워가 다를 수 있다. 특히, 복수의 UE에 의해 각기 전송된 PUCCH와 같은 채널은 기지국에서는 CDM 형태로 수신되는데, 이때 채널 별로 수신 파워의 차이가 클 경우에 구현에 따라서 기지국이 채널을 구분하지 못할 수 있다. 이는 곧 PUCCH 검출 성능의 열화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 파워가 비슷한 수준의 채널 들에 한해서만 CDM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반복 수준 혹은 반복 수준의 세트 별로 PUCCH 영역을 구분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여기서, PUCCH 영역을 구분한다는 것은 반복 수준(repetition level)이 다른 채널들 간에는 FDM/TDM 등을 통해서 다른 PUCCH 영역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일례로 기존의 일반적인 UE에 대한 PUCCH 영역 다음에, 반복 수준의 순서대로 PUCCH 영역을 추가로 설정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PUCCH 설정을 반복 수준 별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 구체적으로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PUCCH의 반복 수준 별로 PUCCH 영역에 대한 설정을 시그널링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지국은 PUCCH의 반복 수준 별로 PUCCH 자원에 대한 설정을 MTC 기기에게 시그널링해줄 수 있다.
그러면, 상기 MTC 기기는 PUCCH의 반복 수준을 결정하고, 상기 반복 수준에 따라 PUCCH의 반복 전송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MTC 기기는 상기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반복 수준에 해당하는 PUCCH 자원을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결정된 자원 상에서, 상기 MTC 기기는 상기 PUCCH를 상기 반복 횟수 만큼 전송한다.
상기 PUCCH 설정은 셀-특정적으로(cell-specific) 설정되는 값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UCCH 설정은 순환 자리 이동(Cyclic shift)으로 구분 가능한 개수를 지정하는데 이용되는 deltaPUCC-shift, HARQ-ACK를 포함하는 PUCCH 자원의 시작위치를 지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n1PUCCH-AN nCS-AN, CSI를 포함하는 PUCCH 자원이 포함될 수 있는 슬롯 당 PRB개수를 나타내는 nRB-CQI 등의 전체 혹은 일부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PUCCH 영역은 PUCCH 자원과 PUCCH 협대역(narrowband)에 대한 정보를 파라미터로 표현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커버리지 확장(CE) 지역에 위치하는 MTC 기기는 PUCCH의 반복 회수를 줄이기 위한 일환으로, 슬롯 단위의 주파수 호핑을 다시 적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커버리지 확장(CE) 지역에 위치하는 MTC 기기는 무선 채널 추정 성능을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 주파수 호핑(hopping)을 슬롯 단위 대신에 복수의 서브프레임 혹은 복수의 슬롯 단위로 수행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PUCCH가 반복 전송되는 경우, 주파수 호핑이 적용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2a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MTC 기기가 PUCCH를 N번(예컨대, 8번) 반복을 수행하는 경우에, 처음 N/2 서브프레임(예컨대, 도시된 1-4번 서브프레임) 상에서는 MTC 기기를 위한 부대역 내에서 주파수 인덱스(예컨대, 서브캐리어 인덱스)가 낮은 (높은) 영역을 통해서 상기 PUCCH가 전송되고, 다음 N/2 서브프레임(예컨대, 도시된 5-8번 서브프레임) 상에서는 상기 MTC 기기를 위한 부대역 내에서 주파수 인덱스(예컨대, 서브캐리어 인덱스)가 높은 (낮은) 영역을 통해서 상기 PUCCH가 전송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또 다른 방안으로, 기존 일반 UE 혹은 다른 MTC 기기의 PUSCH에 대한 연속적인 RB의 할당을 보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두 개의 주파수 영역에서 각 PUCCH의 반복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의 개수를 다르게 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일례로 PUCCH가 반복 전송되는 횟수가 N이라 하면, N=N1+N2이라고 가정하자. 여기서, N1>N2로 가정하자. N1개의 서브프레임 상에서 PUCCH의 반복이 전송되는 주파수 영역과 다음 N2 서브프레임 상에서 PUCCH의 반복이 전송되는 주파수 영역을 다르게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여기서, N1과 N2는 미리 설정된 값일 수도 있고, 상위 계층 시그널에 의해서 지정되는 값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PUCCH의 주파수 호핑은 상기 PUCCH가 N번 반복되는 동안에 한 번 수행되는 것을 수도 있고, 복수 번 수행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주파수 호핑을 복수 번 수행하는 예는, 미리 혹은 상위 계층 시그널에 의해서 설정된 Nstep 을 기준으로 각기 다른 주파수 영역을 통해서 PUCCH의 반복을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12b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MTC 기기가 PUCCH를 N번(예컨대, 8번) 반복을 수행하는 경우에, 처음 N/2 서브프레임(예컨대, 도시된 1-4번 서브프레임) 상에서는 MTC 기기를 위한 부대역1을 통해 상기 PUCCH가 전송되고, 다음 N/2 서브프레임(예컨대, 도시된 5-8번 서브프레임) 상에서는 상기 MTC 기기를 위한 부대역2 내에서 상기 PUCCH가 전송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MTC 기기가 제1 PUCCH를 N개의 서브프레임 상에서 반복하여 전송하고, 제2 PUCCH는 M개의 서브프레임 상에서 반복하여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제1 PUCCH는 상기 N개의 서브프레임 상에서는 MTC 기기를 위한 부대역1을 통해 전송되고, 상기 제2 PUCCH는 상기 M개의 서브프레임 상에서는 MTC 기기를 위한 부대역2을 통해 전송될 수 도 있다.
II. PUCCH 자원 매핑
MTC 기기의 하향링크 부대역과 상향링크 부대역이 서로 짝지어(paired) 지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각각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일례로 하향링크 트래픽의 양이 상향링크 트래픽의 양보다 작은 상황에서, 복수의 MTC 기기가 하나의 하향링크 부대역은 공유하지만, 상향링크 부대역은 각기 다르게 설정되는 경우를 고려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복수의 MTC 기기 들 간에 (E)CCE 인덱스가 서로 다르게 지정된 경우에는, PUCCH 자원이 구분되게 되어, PUCCH 자원 사용에 대한 효율이 떨어질 수도 있다 . 예를 들어, MTC 기기1과 MTC 기기2는 하나의 하향링크 부대역은 동일하게 할당받고, 상향링크 부대역은 서로 다르게 할당받았다고 가정하자. 그리고, 상기 동일한 하나의 하향링크 부대역에서 MTC 기기1는 ECCE1을 할당받고, MTC 기기2는 ECCE2를 할당받았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상기 MTC 기기1는 PUCCH 자원1을 할당받게 되고, 상기 MTC 기기2는 PUCCH 자원 2를 할당받게 된다. 그러나, 상기 MTC 기기1과 MTC 기기2 간에 상향링크 부대역은 서로 다르므로, PUCCH 자원이 굳이 서로 다르게 지정될 필요는 없을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상향링크 부대역 내에 PUCCH 자원을 꽉꽉 채워 넣기 위해서는 ARO등을 이용해서, ECCE2에 대해서도 경우에 따라서는 PUCCH 자원1이 할당되는 것이 나을 수도 있다. 반대로, 복수의 MTC 기기들은 상향링크 부대역을 동일하게 할당받지만, 하향링크 부대역은 서로 다르게 할당 받는 상황을 고려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MTC 기기들이 PUCCH 자원 매핑을 수행할 때에, 상기 하향링크 부대역 영역은 서로 다르지만, 상향링크 부대역이 동일하기 때문에, PUCCH 자원이 동일해질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복수의 MTC 기기들 간에 상향링크 부대역 혹은 하향링크 부대역이 동일한 상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MTC 기기1에 대해서는 하향링크 부대역1과 상향링크 부대역1이 서로 짝지어(paired) 지도록 설정되고, MTC 기기2에 대해서는 하향링크 부대역2과 상향링크 부대역1이 서로 짝지어(paired) 지도록 설정되고, MTC 기기3에 대해서는 하향링크 부대역1과 상향링크 부대역2이 서로 짝지어(paired) 지도록 설정되고, MTC 기기4에 대해서는 하향링크 부대역1과 상향링크 부대역2이 서로 짝지어(paired) 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MTC 기기의 상향링크 부대역 혹은 하향링크 부대역은 RRC 시그널에 의해서 지정되거나 DCI 등을 통해서 지정될 수 있다.
위 도 13에 도시된 예에서, MTC 기기1과 MTC 기기2를 살펴보면, 하향링크 부대역은 서로 다르게 할당받지만 상향링크 부대역은 서로 동일하게 할당받았으므로, PUCCH 자원이 동일해질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기지국이 임의 MTC 기기들에게 하향링크 부대역을 동일하게 할당 경우에는 상향링크 부대역도 동일하게 할당할 수 있도록, 하향링크 부대역과 상향링크 부대역의 쌍을 지정해주고, 이를 MTC 기기에게 시그널링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이 여의치 않거나, 시스템 대역폭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 하향링크 부대역과 상향링크 부대역의 쌍을 지정하지 않고, 각각 독립적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효율적으로 PUCCH 자원 할당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방안 혹은 하향링크 부대역은 다르지만, CCE 인덱스를 동일하게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PUCCH 자원 충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절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한다.
제1 방안으로서, 복수의 MTC 기기에 대하여, 해당 상향링크 부대역과 쌍이 지어진 DL 하향링크 부대역이 복수인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은 PDCCH를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에, 상기 기지국은 하향링크 스케줄링을 EPDCCH를 통해 수행한다. 상기 기지국은 EPDCCH의 ARO(ACK/NACK Resource Offset) 등을 통해서, 상기 MTC 기기들이 각기 PUCCH 자원 매핑을 수행할 시에 PUCCH 자원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EPDCCH에 포함된 ARO 값의 범위는 PUCCH 자원 선택에 대한 유연성(flexibility)을 증대하기 위해서 확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안은 MTC 기기의 상향링크 부대역과 하향링크 부대역이 일대일(one to one)으로 쌍이 지어지지 않은 경우에만 적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2 방안으로서, 기지국은 PDCCH 내에 ARO(ACK/NACK Resource Offset)을 추가하여 전송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ARO는 상기 MTC 기기가 PUCCH 자원을 결정할 때에 CCE 및 상위 계층 시그널과 더불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상향링크 부대역이 복수의 하향링크 부대역과 매핑된 상황에서, 상기 기지국은 해당 ARO의 값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부대역들 간에 CCE값이 같은 상황에도, PUCCH 자원이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하향링크 부대역이 복수의 상향링크 부대역과 매핑된 상황에서, 상기 하나의 하향링크 부대역에 대해 복수의 MTC 기기가 서로 다른 CCE값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방안은 각 MTC 기기가 각자의 상향링크 부대역에서 PUCCH 자원을 활용을 좀 더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든다. 한편, 이러한 방안은 해당 상향링크 부대역과 매핑된 하향링크 부대역이 복수개 경우에만 수행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방안의 적용 여부를 결정한 후, 상위 계층 시그널을 통해 상기 적용 여부를 알려줄 수 있다.
제3 방안으로서, 시스템 대역폭 전체가 아닌 일부의 부대역을 사용하는 MTC 기기는, UEID(예컨대 UE-RNTI)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PUCCH 자원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안은 해당 상향링크 부대역과 매핑된 하향링크 부대역이 복수개 경우에만 수행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방안의 적용 여부를 결정한 후, 상위 계층 시그널을 통해 상기 적용 여부를 알려줄 수 있다.
제4 방안으로서, 시스템 대역폭 전체가 아닌 일부의 부대역을 사용하는 MTC 기기는, 하향링크 부대역/상향링크 부대역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고려하여 PUCCH 자원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향링크 부대역은 USS(UE-specific Search Space)내의 (E)PDCCH가 전송되는 영역일 수도 있고, PDSCH가 전송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일례로 하향링크 부대역/상향링크 부대역의 인덱스가 전체 시스템 대역폭을 기준으로 부여된 상태라면, 상기 MTC 기기는 해당 인덱스를 PUCCH 자원 결정 시에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안은 해당 상향링크 부대역과 매핑된 하향링크 부대역이 복수개 경우에만 수행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방안의 적용 여부를 결정한 후, 상위 계층 시그널을 통해 상기 적용 여부를 알려줄 수 있다.
한편, ARO 등의 인디케이션 필드는 MTC 기기를 위해서 새롭게 추가되는 것일 수도 있고, 기존의 TPC 필드가 재사용되는 것일 수도 있다. TPC 필드의 재사용은 MTC 기기가 TPC 필드를 이용한 폐루프 전력 제어(closed loop power control)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다. PUCCH 자원의 결정은 동일한 PRB 내에서 순환 자리 이동(cyclic shift)과 OCC(orthogonal cover code)를 통해서 구분되는 것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다른 PRB를 지시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나열한 방안들은 커버리지 확장 지역에 위치한 MTC 기기가 상향링크 채널 혹은 하향링크 채널의 반복적인 전송을 수행할 때에 적용될 수 있다.
II-2. 커버리지 확장 지역에 위치한 MTC 기기의 PUCCH 자원 매핑
한편, 상기 커버리지 확장 지역에 위치한 MTC 기기는 (E)PDCCH를 복수의 서브프레임 상에서 반복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각 서브프레임 상에서 전송되는 (E)PDCCH 내에서 (E)CCE에 대한 값도 변화될 수도 있다. 상기 서브프레임 별로 변화하는 (E)CCE값은 블라인드 복호(blind decoding)의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물리 채널들의 반복 수준이 서로 다르다면, 상기 물리 채널들의 시작 지점(서브프레임 시작 위치)은 서로 동일하더라도, 상기 물리 채널들의 끝 지점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물리 채널들의 끝 지점은 서로 동일하지만, 상기 물리 채널들의 시작 지점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만약, 제1 반복 수준의 제1 PDCCH가 전송 시작되는 서브프레임과 제2 반복 수준의 제2 PDCCH가 전송 시작되는 서브프레임의 위치는 다르지만, 상기 전송 시작 서브프레임들 내에서의 CCE가 동일한 경우에, PUCCH 자원들은 상기 동일한 CCE를 기초로 결정되기 때문에, 서로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E)PDCCH가 반복 전송되는 경우, 상기 (E)PDCCH의 전송 마지막 서브프레임의 (E)CCE를 기준으로, PUCCH 자원이 결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별개로 혹은 추가적으로, 상기 PUCCH 자원을 결정하기 위한 제3의 파라미터를 도입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며, 다음은 해당 내용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일례이다.
제1 방안으로서, 커버리지 확장(CE)에 위치하는 MTC 기기에 대하여, 상기 기지국은 PDCCH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에, 상기 기지국은 하향링크 스케줄링을 EPDCCH를 통해 수행한다. 상기 기지국은 EPDCCH의 ARO(ACK/NACK Resource Offset) 등을 통해서, 상기 MTC 기기들이 각기 PUCCH 자원 매핑을 수행할 시에 PUCCH 자원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EPDCCH에 포함된 ARO 값의 범위는 PUCCH 자원 선택에 대한 유연성(flexibility)을 증대하기 위해서 확장될 수도 있다.
제2 방안으로서, 기지국은 PDCCH 내에 ARO(ACK/NACK Resource Offset)을 추가하여 전송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ARO는 상기 MTC 기기가 PUCCH 자원을 결정할 때에 CCE 및 상위 계층 시그널과 더불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해당 ARO의 값을 조절함으로써 반복 수준이 서로 다른 채널들 간에 초기 CCE 값이 서로 동일하더라도, PUCCH 자원이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안의 적용 여부에 대해서 상기 기지국은 상위 계층 시그널을 통해 MTC 기기에게 알려줄 수 있다.
제3 방안으로서, 커버리지 확장 지역에 위치하는 MTC 기기는 UEID(예컨대 UE-RNTI)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PUCCH 자원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안의 적용 여부에 대해서 상기 기지국은 상위 계층 시그널을 통해 MTC 기기에게 알려줄 수 있다.
제4 방안으로서, 커버리지 확장 지역에 위치하는 MTC 기기는 반복 수준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고려하여, PUCCH 자원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안의 적용 여부에 대해서 상기 기지국은 상위 계층 시그널을 통해 MTC 기기에게 알려줄 수 있다.
제5 방안으로서, 커버리지 확장 지역에 위치하는 MTC 기기는 (E)PDCCH 전송의 시작 시점 혹은 종료 시점을 추가로 고려하여, PUCCH 자원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시작/종료 시점은 서브프레임 인덱스 형태로 표현될 수도 있고, SC-FDMA 심볼 인덱스나 슬롯 인덱스로 표현될 수도 있다.
상기 방안들 중 일부 또는 전체는 조합될 수도 있다. 일례로, MTC 기기는 ARO와 더불어 반복 수준을 추가로 고려하여, PUCCH 자원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ARO과 같은 지시 필드는 MTC 기기를 위해 PDCCH 내에 새롭게 추가될 수도 있고, 기존 TPC 필드를 재사용하는 것일 수도 있다. TPC 필드의 재사용은 MTC 기기가 TPC 필드를 이용한 폐루프 전력 제어(closed loop power control)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다. PUCCH 자원의 결정은 동일한 PRB 내에서 순환 자리 이동(cyclic shift)과 OCC(orthogonal cover code)를 통해서 구분되는 것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다른 PRB를 지시하는 것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MTC 기기가 PUCCH 자원 혹은 PUCCH가 전송될 RB 위치를 결정하는데 하향링크 부대역이 사용되도록 기지국이 할 수 있다. 상기 MTC 기기는 USS의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하향링크 부대역 혹은 PDSCH가 수신되는 하향링크 부대역에 따라, HARQ-ACK을 포함하는 PUCCH를 전송할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개시가 구현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기지국(200)은 프로세서(processor, 201), 메모리(memory, 202) 및 RF부(RF(radio frequency) unit, 203)을 포함한다. 메모리(202)는 프로세서(20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20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부(203)는 프로세서(201)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프로세서(201)는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 기지국의 동작은 프로세서(2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MTC 기기(100)는 프로세서(101), 메모리(102) 및 RF부(103)을 포함한다. 메모리(102)는 프로세서(10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0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부(103)는 프로세서(101)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프로세서(101)는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프로세서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ROM(read-only memory), RAM(r그리고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RF부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기기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을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PUCCH의 반복 수준 별 독립적인 PUCCH 자원에 대한 설정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에 기초하여, 반복 수준에 해당하는 PUCCH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자원 상에서, 상기 PUCCH를 반복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UCCH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수준에 따라 상기 PUCCH를 반복하여 전송할 횟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UCCH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UCCH의 반복 전송은
    상기 MTC 기기가 셀의 커버리지 확장 지역에 위치한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UCCH 전송 수행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UCCH 자원에 대한 설정은
    셀-특정적으로(cell-specific) 정해지는 값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UCCH 전송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셀-특정적으로(cell-specific) 정해지는 값들은
    순환 자리 이동(Cyclic shift)으로 구분 가능한 개수를 지정하는데 이용되는 파라미터, HARQ-ACK를 포함하는 PUCCH 자원의 시작위치를 지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파라미터, CSI를 포함하는 PUCCH 자원이 포함될 수 있는 슬롯 당 PRB개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UCCH 전송 방법.
  6.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기기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을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PUCCH를 복수 개의 서브프레임들 상에서 반복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반복 전송 수행 도중에, 상기 PUCCH에 대한 주파수 호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PUCCH가 전송되는 주파수 영역 위치는 상기 복수개 중 적어도 n개의 서브프레임 구간에는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UCCH 전송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PUCCH가 전송되는 주파수 영역 위치는 슬롯 단위로 호핑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UCCH 전송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PUCCH가 전송되는 주파수 영역은 상향링크 시스템 대역 중에서 일부 부대역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PUCCH 전송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호핑은
    상기 부대역 내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UCCH 전송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호핑은
    상기 부대역 단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UCCH 전송 방법.
KR1020177006184A 2014-10-30 2015-10-21 Mtc 기기의 pucch 전송 방법 KR1021348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72445P 2014-10-30 2014-10-30
US62/072,445 2014-10-30
US201562107519P 2015-01-26 2015-01-26
US62/107,519 2015-01-26
US201562148744P 2015-04-17 2015-04-17
US62/148,744 2015-04-17
US201562164005P 2015-05-20 2015-05-20
US62/164,005 2015-05-20
PCT/KR2015/011136 WO2016068542A2 (ko) 2014-10-30 2015-10-21 Mtc 기기의 pucch 전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591A true KR20170078591A (ko) 2017-07-07
KR102134877B1 KR102134877B1 (ko) 2020-08-26

Family

ID=55858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6184A KR102134877B1 (ko) 2014-10-30 2015-10-21 Mtc 기기의 pucch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231220B2 (ko)
EP (2) EP3525384B1 (ko)
JP (2) JP2017534193A (ko)
KR (1) KR102134877B1 (ko)
CN (1) CN107113137B (ko)
WO (1) WO2016068542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0941A1 (ko) * 2020-10-15 2022-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버리지 개선을 위한 pucch 전송
WO2022086228A1 (ko) * 2020-10-22 2022-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3778A1 (ko) * 2014-03-07 2015-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 및 단말
CN107113137B (zh) 2014-10-30 2020-09-29 Lg 电子株式会社 通过mtc设备的pucch发送方法
US10516517B2 (en) 2015-01-29 2019-12-24 Intel IP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s for support of frequency hopping for UEs with reduced bandwidth support
US11637593B2 (en) * 2015-07-09 2023-04-25 Qualcomm Incorporated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configuration, interference management, and retuning time for uplink transmissions
WO2017075833A1 (zh) * 2015-11-06 2017-05-11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传输的方法、终端和基站
US10492181B2 (en) * 2016-01-20 2019-11-26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 of uplink control information
US10314037B2 (en) 2016-07-08 2019-06-04 Qualcomm Incorporated Latency reduction techniqu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WO2018084779A1 (en) * 2016-11-03 2018-05-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plink transmission bandwidth control and support
EP3550918A4 (en) 2017-01-07 2019-11-27 LG Electronics Inc. -1- METHOD FOR TRANSMITTING AN UPLINK CONTROL CHANNEL OF A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OF
US10070393B2 (en) * 2017-01-30 2018-09-04 Blackberry Limited Control of uplink data transmission
US10511415B2 (en) 2017-03-13 2019-12-17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ACK resource allocation in new radio
KR102264030B1 (ko) 2017-03-21 2021-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 간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N108633021B (zh) * 2017-03-23 2024-01-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上行控制信道的资源映射方法及装置
KR102288629B1 (ko) * 2017-05-04 2021-08-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장치
DK3622649T3 (da) * 2017-05-10 2021-10-11 Ericsson Telefon Ab L M Planlægning af PUCCH-transmissioner i radioadgangsnetværk
CN109392113B (zh) * 2017-08-09 2022-09-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接收控制信息、发送控制信息的方法及设备
CN111052658B (zh) 2017-08-11 2022-10-25 韦勒斯标准与技术协会公司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或接收上行链路控制信道的方法、设备和系统
CN109672511B (zh) * 2017-10-13 2020-11-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发送pucch的方法和用户终端
AU2017439729A1 (en) * 2017-11-17 2020-05-2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Resource determining method, apparatus, network element, and system
WO2019157685A1 (zh) * 2018-02-13 2019-08-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物理上行共享信道pusch传输方法及装置
US10771198B2 (en) 2018-05-17 2020-09-0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daptive repeti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10691412B (zh) 2018-07-04 2021-11-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Pucch冲突的处理方法和终端
CN110719628B (zh) * 2018-07-11 2021-11-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KR102212867B1 (ko) * 2018-07-12 2021-02-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어정보 수신 장치 및 방법, 신호 측정 장치 그리고 위치 측정 서버 및 방법
US20240031974A1 (en) * 2018-07-12 2024-01-25 Dasan Global New Tech Group Co., Ltd. Control information reception device and method, signal measurement devices, and location measurement server and method
KR102269658B1 (ko) 2018-07-30 2021-06-2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지국 및 신호 전송 설정 방법, 그리고 신호측정기 및 그 방법
EP3833136A4 (en) 2018-07-30 2022-04-27 IUCF-HYU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BASE STATION AND SIGNAL TRANSMISSION CONFIGURATION METHOD AND SIGNAL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THEREOF
US11881953B2 (en) 2018-08-08 2024-01-23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feedback method and apparatus
SG11202104176XA (en) * 2018-10-30 2021-05-28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EP4254842A3 (en) * 2018-10-30 2024-03-2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Resource configurat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CN109618309B (zh) * 2019-01-11 2021-09-28 东南大学 一种基于时隙复用的机器通信随机接入方法
CN110312315A (zh) * 2019-04-19 2019-10-08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及装置
US11832283B2 (en) * 2019-07-25 2023-11-28 Qualcomm Incorporated Details of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repetition with different beams
WO2021142802A1 (zh) * 2020-01-17 2021-07-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上行控制信息的传输方法及装置
US11777674B2 (en) * 2020-02-21 2023-10-03 Commscope Technologies Llc Spectrum-efficient utilization of an uplink control channel
KR20230084502A (ko) * 2020-10-15 2023-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분적 pucch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98012A1 (en) * 2008-10-20 2010-04-2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Up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s for carrier aggregation
WO2014020819A1 (ja) * 2012-08-02 2014-02-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基地局装置、リソース割当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728B1 (ko) * 2006-09-29 2013-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제어채널에 대한 자원 할당 방법
KR20230145244A (ko) * 2011-09-30 2023-10-17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감소된 채널 대역폭을 사용하는 장치 통신
US9131468B2 (en) * 2011-11-08 2015-09-0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handling resource allocation for MTC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CN102624489B (zh) * 2012-03-20 2015-05-2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增强的控制信道传输的方法、装置及系统
CN109327822B (zh) * 2012-10-05 2022-10-25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增强机器类型通信(mtc)设备覆盖的方法和装置
US10306594B2 (en) * 2012-10-30 2019-05-28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coverage enhancements
KR102257996B1 (ko) * 2014-06-23 2021-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계형태통신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CN106465355B (zh) * 2014-06-24 2019-12-31 太阳专利托管公司 终端、基站、发送方法以及接收方法
WO2016004634A1 (en) * 2014-07-11 2016-01-14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 for enb, ue uplink transmission and reception
EP3175570B1 (en) * 2014-07-29 2019-09-2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onveying number of required harq repetitions for coverage enhancement
JP6937685B2 (ja) * 2014-08-15 2021-09-22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Lteシステムにおける低減能力wtruのためのランダムアクセスおよびページングの手順のサポート
KR102309771B1 (ko) * 2014-08-28 2021-10-08 소니그룹주식회사 통신 제어 장치, 통신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CN107113137B (zh) * 2014-10-30 2020-09-29 Lg 电子株式会社 通过mtc设备的pucch发送方法
US9929902B2 (en) * 2015-01-30 2018-03-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single-subband user equipment
US9860030B2 (en) * 2015-03-26 2018-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ssion of system information for low cost user equipment
WO2016159697A1 (en) * 2015-03-31 2016-10-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frequency hopping pattern for mtc 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G10201807216PA (en) * 2015-04-08 2018-09-2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device of multi-subband based transmission for a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 with reduced capability and coverage enhancement
JP6853187B2 (ja) * 2015-05-10 2021-03-31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ップリンク送信のための繰り返しレベルを適応させる方法及び装置
US11637593B2 (en) * 2015-07-09 2023-04-25 Qualcomm Incorporated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configuration, interference management, and retuning time for uplink transmiss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98012A1 (en) * 2008-10-20 2010-04-2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Up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s for carrier aggregation
WO2014020819A1 (ja) * 2012-08-02 2014-02-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基地局装置、リソース割当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40308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0941A1 (ko) * 2020-10-15 2022-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버리지 개선을 위한 pucch 전송
WO2022086228A1 (ko) * 2020-10-22 2022-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05265A (ja) 2020-01-09
US20190159200A1 (en) 2019-05-23
CN107113137A (zh) 2017-08-29
WO2016068542A2 (ko) 2016-05-06
WO2016068542A3 (ko) 2016-06-23
JP6880119B2 (ja) 2021-06-02
US20170245265A1 (en) 2017-08-24
EP3214793A4 (en) 2018-05-30
EP3525384A1 (en) 2019-08-14
KR102134877B1 (ko) 2020-08-26
EP3214793B1 (en) 2019-06-26
EP3525384B1 (en) 2021-03-24
US10863488B2 (en) 2020-12-08
CN107113137B (zh) 2020-09-29
US10231220B2 (en) 2019-03-12
JP2017534193A (ja) 2017-11-16
EP3214793A2 (en) 201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3488B2 (en) PUCCH transmission method by MTC device
US111655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CK/NACK for NB-Io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6682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CK/NACK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397946B2 (en) Uplink reference signal transmitting or receiving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108347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overlap of different channe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676070B2 (ja) データチャネルを送受信する方法及びlc機器
US10455565B2 (en) Method and MTC device for receiving downlink control channel
CN107438973B (zh) 接收pdsch的方法和无线装置
US9106383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 sig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0938543B2 (en) Wireless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downlink control channel
US20170374675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channel and wireless device requiring coverage enhancement
US118825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fining basic resource unit for NB-IoT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20113909A1 (en) Method of Handling an Uplink Control Channel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KR20170094190A (ko) 5개를 초과하는 셀을 반송파 집성에 따라 사용하는 경우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 ack/nack를 전송하는 방법 및 사용자 장치
US20180152271A1 (en) Wireless device and method for uplink transmission using orthogonal spreading c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