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7553A -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 usb 플러그 케이블 및 c 타입 usb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 usb 플러그 케이블 및 c 타입 usb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7553A
KR20170077553A KR1020150187525A KR20150187525A KR20170077553A KR 20170077553 A KR20170077553 A KR 20170077553A KR 1020150187525 A KR1020150187525 A KR 1020150187525A KR 20150187525 A KR20150187525 A KR 20150187525A KR 20170077553 A KR20170077553 A KR 20170077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ground
contact
pow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7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7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7553A/ko
Publication of KR20170077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75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7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special arrangement of ground and signal conductors, e.g. GSGS [Ground-Signal-Ground-Sig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ingle component
    • H01R13/66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ingle component with resisto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 USB 플러그 케이블 및 C 타입 USB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의 일 양태는, USB 리셉터클 커넥터에 접속되는 USB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USB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되는 플러그부 및 상기 플러그부의 후단에 구비되는 케이블 연결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케이블 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플러그부의 내부로 연장되고, 전원의 공급을 위한 제1 및 제2전원 터미널; 상기 케이블 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플러그부의 내부로 연장되고, 신호의 전달을 위한 제1 및 제2신호 터미널; 상기 케이블 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플러그부의 내부로 연장되고, 접속되는 장치의 감지를 위한 CC(Configuration Channel) 터미널; 상기 케이블 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플러그부의 내부로 연장되고, 접지를 위한 제1 및 제2접지 터미널; 상기 제2전원 터미널은, 및 CC 터미널에 접촉되는 저항부; 및 상기 플러그부를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쉘;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 USB 플러그 케이블 및 C 타입 USB 커넥터 어셈블리{TYPE C USB PLUG CONNECTOR, USB PLUG CABLE AND TYPE C USB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 USB 플러그 케이블 및 C 타입 USB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기존의 A 타입이나 B 타입 USB 커넥터에 비하여 크기가 감소되고, 접속 방향이 자유로운 C 타입 USB 커넥터가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C 타입 USB 커넥터는, 기존의 A 타입이나 B 타입 USB 커넥터과 상이하게 상하 및 좌우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USB 플러그 커넥터와 USB 리셉터클 커넥터의 결합 방향이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A 타입 USB 기기와 C 타입 USB 기기를 연결하는 USB 플러그 케이블의 경우에는, 케이블의 양단에 A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 및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가 구비된다. USB 협회규격에서는, 이와 같은 경우에 A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와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 사이의 터미널 배열차 등에 의한 전압 강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의 터미널 중 전원 터미널과 CC 터미널 사이에 저항을 연결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Universal Serial Bus Type-C Cable and Connector Specification 3.5.1 및 4.11.1 참조)
또한 C 타입 USB 커넥터에 연결되는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1개의 전원선, 2개의 신호선 및 1개의 접지선을 포함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C 타입 USB 커넥터는 결합 방향에 제한이 없어야 하므로, 접지 터미널은 좌우로 및 상하로 대칭되도록 USB 커넥터의 양측에 구비되는 2개로 구성된다.
종래의 경우에는, USB 플러그 터미널이 PCB에 의하여 케이블에 연결되므로, PCB 상에 저항을 실장하거나, PCB 패턴에 의하여 2개의 접지 터미널이 1개의 접지선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터미널 및 케이블을 PCB에 납땜하여야 하므로, 작업 공수의 증가 및 이에 따른 제작 비용의 증가가 우려될 수 있다.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198932호(명칭: 전기 커넥터)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PCB를 사용하지 않고 케이블을 직접 터미널에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 USB 플러그 케이블 및 C 타입 USB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의 일 양태는, USB 리셉터클 커넥터에 접속되는 USB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USB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되는 플러그부 및 상기 플러그부의 후단에 구비되는 케이블 연결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케이블 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플러그부의 내부로 연장되고, 전원의 공급을 위한 제1 및 제2전원 터미널; 상기 케이블 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플러그부의 내부로 연장되고, 신호의 전달을 위한 제1 및 제2신호 터미널; 상기 케이블 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플러그부의 내부로 연장되고, 접속되는 장치의 감지를 위한 CC(Configuration Channel) 터미널; 상기 케이블 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플러그부의 내부로 연장되고, 접지를 위한 제1 및 제2접지 터미널; 상기 플러그부를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쉘; 및 상기 제2전원 터미널 및 CC 터미널에 접촉되는 저항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전원 터미널에는, 상기 저항부에 탄성 접촉되는 제1저항 접촉부가 구비되고, 상기 CC 터미널에는, 상기 저항부에 탄성 접촉되는 제2저항 접촉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전원 터미널은, 제2전원 터미널 바디; 상기 제2전원 터미널 바디의 선단에 구비되고, USB 리셉터클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2전원 핀; 및 상기 제2전원 터미널 바디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저항부에 탄성 접촉되는 제1저항 접촉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저항 접촉부는, 상기 제2전원 터미널 바디의 일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수평 연장부; 및 상기 제1수평 연장부의 선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CC 터미널에 구비되는 제2저항 접촉부와 마주보게 위치되는 제1수직 연장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수직 연장부에는, 상기 저항부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접촉 돌기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전원 터미널 바디는, 상기 제2전원 핀 및 제1저항 접촉부가 구비되는 제1바디부; 상기 제1바디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바디부; 및 상기 제1 및 제2바디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바디부에는, 상기 제1접촉 돌기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저항부와 접촉되는 보조 접촉 돌기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CC 터미널은, CC 터미널 바디; 상기 CC 터미널 바디의 선단에 구비되고, USB 리셉터클 커넥터에 접속되는 CC 핀; 및 상기 CC 터미널 바디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저항부에 탄성 접촉되는 제2저항 접촉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저항 접촉부는, 상기 CC 터미널 바디의 일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수평 연장부; 및 상기 제2수평 연장부의 선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신호 터미널에 구비되는 제1저항 접촉부와 마주보게 위치되는 제2수직 연장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수직 연장부에는, 상기 저항부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접촉 돌기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전원 터미널은, 케이블의 신호선에 연결되고, 상기 제2전원 터미널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연결 플레이트에 의하여 상기 제1전원 터미널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CC 터미널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연결 플레이트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전원 터미널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USB 리셉터클 커넥터에 접속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접지 터미널은, 케이블의 접지선에 연결된 상태에서 USB 리셉터클 커넥터에 접속되고, 상기 제2접지 터미널은, 상기 쉘에 의하여 상기 제1접지 터미널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USB 리셉터클 커넥터에 접속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접지 터미널은, 제1접지 터미널 바디; 상기 제1접지 터미널 바디의 선단에 구비되고, 상기 USB 리셉터클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1접지 핀; 상기 제1접2지 터미널 바디의 일측에 구비되고, 케이블의 접지선이 연결되는 접지선 연결부; 및 상기 제1접지 터미널 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쉘과 접촉되는 제1접촉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접지 터미널은, 제2접지 터미널 바디; 상기 제2접지 터미널 바디의 선단에 구비되고, 상기 USB 리셉터클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2접지 핀; 및 상기 제2접지 터미널 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쉘과 접촉되는 제2접촉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쉘은 상기 제1 및 제2접지 터미널과 접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쉘은,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쉘 바디; 상기 쉘 바디의 후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 및 상기 고정 브라켓의 후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접지 터미널과 접촉되는 접촉 리브;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플러그부는, 서로 직교되는 가상의 제1 및 제2평면에 대하여 대칭되는 중공의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평면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2신호 터미널을 중심으로 상기 1신호 터미널과 CC 터미널, 상기 제1 및 제2전원 터미널, 및 상기 제1 및 제2접지 터미널이 각각 대칭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USB 플러그 케이블의 일 양태는,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의 USB 플러그 커넥터; 상기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에 일단이 연결되는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의 타단에 연결되는 A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USB 플러그 케이블의 일 양태에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제1전원 터미널에 연결되는 1개의 전원선, 상기 제1 및 제2신호 터미널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신호선 및 상기 제1접지 터미널에 연결되는 1개의 접지선을 포함하는 케이블;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C 타입 USB 커넥터 어셈블리의 일 양태는,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의 USB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USB 플러그 커넥터가 접속되는 USB 리셉터클 커넥터; 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 USB 플러그 케이블 및 C 타입 USB 커넥터 어셈블리에서는, 제2전원 터미널과 CC 터미널 사이에 저항부가 위치되고, 제1 및 제2접지 커넥터가 쉘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1접지 터미널이 케이블의 접지선과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PCB를 사용하지 않고 터미널을 케이블에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전원 터미널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CC 터미널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접지 터미널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접지 터미널을 보인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전원 터미널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CC 터미널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접지 터미널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접지 터미널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USB 플러그 커넥터(1)는, 하우징(100), 다수개의 터미널(200), 쉘(300) 및 저항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0)에 상기 터미널(200)이 설치되고, 상기 쉘(300)은 상기 하우징(10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터미널(200)이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200)을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100)의 다른 일부를 차폐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항부(4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터미널(200) 중 후술할 제2전원 터미널(220) 및 CC 터미널(250)에 접촉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우징(100)은 플러그부(110) 및 케이블 연결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부(110)는, 상기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1)가 결합되는 USB 리셉터클 커넥터(미도시)에 삽입되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러그부(110)가, 서로 직교되는 가상의 제1 및 제2평면(A)(B)에 대하여 대칭되는 중공의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연결부(120)는, 상기 플러그부(110)의 후단에 구비된다. 상기 케이블 연결부(120)에서, 상기 터미널(200)과 케이블(C)이 연결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케이블 연결부(120)는, 그 상면 일부 및 후면이 개방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연결부(120)의 상하면에는 각각 체결 돌기(12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200)은,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되어 상기 USB 리셉터클 커넥터의 터미널(미도시)과 각각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터미널(200)이 전원의 공급을 위한 제1 및 제2전원 터미널(210)(220), 신호의 전달을 위한 제1 및 제2신호 터미널(230)(240), 접속되는 장치의 감지를 위한 CC(Configuration Channel) 터미널(250), 접지를 위한 제1 및 제2접지 터미널(260)(270)을 포함한다.
상기 터미널(200)은, 상기 케이블 연결부(120)에 설치되어 상기 플러그부(110)의 내부로 연장된다. 예를 들면, 상기 터미널(200)은,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으로 상기 제2접지 터미널(270), 제1전원 터미널(210), 제1 및 제2신호 터미널(230)(240), CC 터미널(250), 제2전원 터미널(220), 및 제1접지 터미널(260)의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평면(B)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2신호 터미널(240)을 중심으로 상기 제1신호 터미널(230)과 CC 터미널(250), 상기 제1 및 제2전원 터미널(210)(220), 및 상기 제1 및 제2접지 터미널(260)(270)이 각각 대칭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1전원 터미널(210)은, 상기 플러그부(110)의 내부에서 상기 USB 리셉터클 커넥터의 터미널에 접속되고, 상기 케이블 연결부(120)의 내부에서 케이블(C)의 전원선(C1)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전원 터미널(220)은,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연결 플레이트(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제1전원 터미널(2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부(110)의 내부에서 상기 USB 리셉터클 커넥터의 터미널에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전원 터미널(220)이, 제2전원 터미널 바디(221), 제2전원 핀(222) 및 제1저항 접촉부(225)를 포함한다. 상기 제2전원 터미널 바디(221)는 기설정된 길이 및 면적을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전원 핀(222)은, 상기 제2전원 터미널 바디(221)의 선단에 구비되는 한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플러그부(110)의 내부에서 상기 USB 리셉터클 커넥터의 터미널에 접속된다. 상기 제1저항 접촉부(225)는, 상기 제2전원 터미널 바디(221)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저항부(400)에 탄성 접촉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전원 터미널 바디(221)는, 제1 및 제2바디부(221A)(221B) 및 연결부(221C)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바디부(221A)(221B)는, 상기 연결부(221C)에 의하여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연결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바디부(221A)에는, 상기 제2전원 핀(222) 및 상기 제1저항 접촉부(225)가 구비된다.
상기 제1저항 접촉부(225)는, 제1수평 연장부(226) 및 제1수직 연장부(227)를 포함한다. 상기 제1수평 연장부(226)는, 상기 제1바디부(221A)의 일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수직 연장부(227)는, 상기 제1수평 연장부(226)의 선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1수직 연장부(227)에는 제1접촉 돌기(228)가 구비된다. 상기 제1접촉 돌기(228)는, 상기 저항부(400)에 접촉되는 것으로, 상기 제1수직 연장부(227)의 일부가 상기 저항부(400)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정의된다.
상기 제2바디부(221B)에는, 보조 접촉 돌기(229)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 접촉 돌기(229)는, 상기 제2바디부(221B)의 일부가 상기 제1접촉 돌기(228)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저항부(400)와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신호 터미널(230)(240)은, 상기 플러그부(110)의 내부에서 상기 USB 리셉터클 커넥터의 터미널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케이블 연결부(120)의 내부에서 케이블(C)의 제1 및 제2신호선(C2)(C3)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CC 터미널(250)은, USB 리셉터클 커넥터에 접속되고,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연결 플레이트(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전원 터미널(210)(22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USB 리셉터클 커넥터의 터미널에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CC 터미널(250)이, CC 터미널 바디(251), CC 핀(252) 및 제2저항 접촉부(255)를 포함한다. 상기 CC 터미널 바디(251)는, 기설정된 길이 및 면적을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CC 핀(252)은, 상기 CC 터미널 바디(251)의 선단에 구비되는 한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플러그부(110)의 내부에서 상기 USB 리셉터클 커넥터의 터미널에 접속된다. 상기 제2저항 접촉부(255)는, 상기 CC 터미널 바디(251)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저항부(400)에 탄성 접촉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저항 접촉부(255)는, 제2수평 연장부(256) 및 제2수직 연장부(257)를 포함한다. 상기 제2수평 연장부(256)는, 상기 CC 터미널 바디(251)의 일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수직 연장부(257)는, 상기 제2수평 연장부(256)의 선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2수직 연장부(257)는, 상기 제1저항 접촉부(225), 즉 상기 제1수직 연장부(227)와 마주보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수직 연장부(257)에는, 제2접촉 돌기(258)가 구비된다. 상기 제2접촉 돌기(258)는, 상기 제2수직 연장부(257)의 일부가 상기 저항부(400)와 접촉되는 방향, 즉 상기 제1접촉 돌기(228)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정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접지 터미널(260)은, 상기 플러그부(110)의 내부에서 상기 USB 리셉터클 커넥터의 터미널에 접속되고, 상기 케이블 연결부(120)의 내부에서 케이블(C)의 접지선(C4)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접지 터미널(270)은, 상기 쉘(300)에 의하여 상기 제1접지 터미널(26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부(110)의 내부에서 상기 USB 리셉터클 커넥터의 터미널에만 접속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접지 터미널(260)은, 제1접지 터미널 바디(261), 제1접지 핀(262), 접지선 연결부(263) 및 제1접촉부(265)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접지 터미널 바디(261)는 기설정된 길이 및 면적을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접지 핀(262)은, 상기 제1접지 터미널 바디(261)의 선단에 구비되는 한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플러그부(110)의 내부에서 상기 USB 리셉터클 커넥터의 터미널에 접속된다. 상기 접지선 연결부(263)는, 상기 제1접지 핀(262)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제1접지 터미널 바디(261)의 후단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블 연결부(120)의 내부에서 상기 접지선(C4)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접촉부(265)는, 상기 제1접지 터미널 바디(261)에 구비되고, 상기 쉘(300)과 접촉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접촉부(265)는, 상기 제1접지 터미널 바디(261)의 상단에서 기설정된 방향으로 밴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접지 터미널(270)은, 제2접지 터미널 바디(271), 제2접지 핀(272) 및 제2접촉부(275)를 포함한다. 상기 제2접지 터미널 바디(271), 제2접지 핀(272) 및 제2접촉부(275)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접지 터미널 바디(261), 제1접지 핀(262) 및 제2접촉부(275)와 대동소이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제2접지 터미널(270)은, 상기 제2접지 터미널(270)과 비교하여 상기 접지선 연결부(263)가 삭제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쉘(300)은, 금속 재질로 성형되고, 상기 플러그부(110)를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10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쉘(300)이 상기 제1 및 제2접지 터미널(260)(270)과 접촉된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접지 터미널(260)(270)이 상기 쉘(300)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쉘(300)은, 쉘 바디(310), 한쌍의 고정 브라켓(320) 및 한쌍의 접촉 리브(330)를 포함한다. 상기 쉘 바디(310)는, 상기 플러그부(110)를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100)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중공의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브라켓(320)은, 상기 쉘 바디(310)의 후단 상하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고정 브라켓(320)에는, 상기 쉘(300)이 상기 하우징(100)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면, 상기 체결 돌기(121)가 삽입되는 체결홀(32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접촉 리브(330)는, 상기 고정 브라켓(320)의 후단에서 각각 연장된다. 상기 접촉 리브(330)는, 상기 쉘(300)이 상기 하우징(100)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면, 상기 제1 및 제2접지 터미널(260)(270),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접촉부(265)(275)에 각각 접촉된다.
상기 저항부(400)는, 상기 제2전원 터미널(220) 및 CC 터미널(250) 사이에 배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저항부(400)는, USB 협회의 규격을 만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저항 접촉부(225)(255)에 접촉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접촉 돌기(228)(258) 및 보조 접촉 돌기(229)에 의하여 적어도 3점에서 상기 제2전원 터미널(220) 및 CC 터미널(250)에 접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1)에 연결되는 케이블(C)은, 1개의 전원선(C1), 제1 및 제2신호선(C2)(C3) 및 1개의 접지선(C4)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선(C1)은, 상기 제1전원 터미널(210)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신호선(C2)(C3)은, 상기 제1 및 제2신호 터미널(230)(240)에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접지선(C4)은, 상기 제1접지 터미널(260), 즉 상기 접지선 연결부(263)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C), 즉 상기 전원선(C1), 제1 및 제2전원선(C2)(C3) 및 접지선(C4)의 타단에는, A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미도시)가 연결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PCB를 사용하지 않고도, USB 협회규격에 맞춰서 상기 제2전원 터미널(220) 및 CC 터미널(250) 사이에 상기 저항부(400)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케이블(C)을 구성하는 상기 전원선(C1), 제1 및 제2신호선(C2)(C3) 및 접지선(C4)을 상기 제1전원 터미널(210), 제1 및 제2신호 터미널(230)(240) 및 제1접지 터미널(260)에 직접 압압하여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터미널과 케이블을 각각 PCB에 납땜 등에 의하여 연결하는 종래에 비하여 부품의 개수를 절감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작업 공수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하우징 110: 플러그부
120: 케이블 연결부 210, 220: 전원 터미널
230, 240: 신호 터미널 250: CC 터미널
260, 270: 접지 터미널 300: 쉘
400: 저항부 C: 케이블

Claims (21)

  1. C 타입 USB 리셉터클 커넥터에 접속되는 USB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USB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되는 플러그부(110) 및 상기 플러그부(110)의 후단에 구비되는 케이블 연결부(120)를 포함하는 하우징(100);
    상기 케이블 연결부(120)에 설치되어 상기 플러그부(110)의 내부로 연장되고, 전원의 공급을 위한 제1 및 제2전원 터미널(210)(220);
    상기 케이블 연결부(120)에 설치되어 상기 플러그부(110)의 내부로 연장되고, 신호의 전달을 위한 제1 및 제2신호 터미널(230)(240);
    상기 케이블 연결부(120)에 설치되어 상기 플러그부(110)의 내부로 연장되고, 접속되는 장치의 감지를 위한 CC(Configuration Channel) 터미널(250);
    상기 케이블 연결부(120)에 설치되어 상기 플러그부(110)의 내부로 연장되고, 접지를 위한 제1 및 제2접지 터미널(260)(270);
    상기 플러그부(110)를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10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쉘(300); 및
    상기 제2전원 터미널(220) 및 CC 터미널(250)에 접촉되는 저항부(400); 를 포함하는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 터미널(220)에는, 상기 저항부(400)에 탄성 접촉되는 제1저항 접촉부(225)가 구비되고,
    상기 CC 터미널(250)에는, 상기 저항부(400)에 탄성 접촉되는 제2저항 접촉부(255)가 구비되는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 터미널(220)은,
    제2전원 터미널 바디(221);
    상기 제2전원 터미널 바디(221)의 선단에 구비되고, USB 리셉터클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2전원 핀(222); 및
    상기 제2전원 터미널 바디(221)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저항부(400)에 탄성 접촉되는 제1저항 접촉부(225); 를 포함하는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항 접촉부(225)는,
    상기 제2전원 터미널 바디(221)의 일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수평 연장부(226); 및
    상기 제1수평 연장부(226)의 선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CC 터미널(250)에 구비되는 제2저항 접촉부(255)와 마주보게 위치되는 제1수직 연장부(227); 를 포함하는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 연장부(227)에는, 상기 저항부(400)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접촉 돌기(228)가 구비되는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 터미널 바디(221)는,
    상기 제2전원 핀(222) 및 제1저항 접촉부(225)가 구비되는 제1바디부(221A);
    상기 제1바디부(221A)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바디부(221B); 및
    상기 제1 및 제2바디부(221A)(221B)를 연결하는 연결부(221C); 를 포함하는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부(221B)에는, 상기 제1접촉 돌기(228)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저항부(400)와 접촉되는 보조 접촉 돌기(229)가 구비되는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C 터미널(250)은,
    CC 터미널 바디(251);
    상기 CC 터미널 바디(251)의 선단에 구비되고, USB 리셉터클 커넥터에 접속되는 CC 핀(252); 및
    상기 CC 터미널 바디(251)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저항부(400)에 탄성 접촉되는 제2저항 접촉부(255); 를 포함하는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항 접촉부(255)는,
    상기 CC 터미널 바디(251)의 일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수평 연장부(256); 및
    상기 제2수평 연장부(256)의 선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신호 터미널(240)에 구비되는 제1저항 접촉부(225)와 마주보게 위치되는 제2수직 연장부(257); 를 포함하는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직 연장부(257)에는, 상기 저항부(400)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접촉 돌기(258)가 구비되는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 터미널(210)은, 케이블(C)의 신호선(C1)에 연결되고,
    상기 제2전원 터미널(220)은,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연결 플레이트에 의하여 상기 제1전원 터미널(210)에 연결되는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C 터미널(250)은,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연결 플레이트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전원 터미널(210)(22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USB 리셉터클 커넥터에 접속되는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지 터미널(260)은, 케이블(C)의 접지선(C4)에 연결된 상태에서 USB 리셉터클 커넥터에 접속되고,
    상기 제2접지 터미널(270)은, 상기 쉘(300)에 의하여 상기 제1접지 터미널(26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USB 리셉터클 커넥터에 접속되는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지 터미널(260)은,
    제1접지 터미널 바디(261);
    상기 제1접지 터미널 바디(261)의 선단에 구비되고, 상기 USB 리셉터클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1접지 핀(262);
    상기 제1접2지 터미널 바디(261)의 후단에 구비되고, 케이블(C)의 접지선(C4)이 연결되는 접지선 연결부(263); 및
    상기 제1접지 터미널 바디(261)에 구비되고, 상기 쉘(300)과 접촉되는 제1접촉부(265); 를 포함하는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지 터미널(270)은,
    제2접지 터미널 바디(271);
    상기 제2접지 터미널 바디(271)의 선단에 구비되고, 상기 USB 리셉터클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2접지 핀(272); 및
    상기 제2접지 터미널 바디(271)에 구비되고, 상기 쉘(300)과 접촉되는 제2접촉부(275); 를 포함하는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쉘(300)은 상기 제1 및 제2접지 터미널(260)(270)과 접촉되는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쉘(300)은,
    상기 하우징(100)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쉘 바디(310);
    상기 쉘 바디(310)의 후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100)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320); 및
    상기 고정 브라켓(320)의 후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접지 터미널(260)(270)과 접촉되는 접촉 리브(330); 를 포함하는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110)는, 서로 직교되는 가상의 제1 및 제2평면(A)(B)에 대하여 대칭되는 중공의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평면(B)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2신호 터미널(240)을 중심으로 상기 제1신호 터미널(230)과 CC 터미널(250), 상기 제1 및 제2전원 터미널(210)(220), 및 상기 제1 및 제2접지 터미널(260)(270)이 각각 대칭되게 배치되는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의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1);
    상기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1)에 일단이 연결되는 케이블(C); 및
    상기 케이블(C)의 타단에 연결되는 A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 를 포함하는 USB 플러그 케이블.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C)은, 상기 제1전원 터미널(210)에 연결되는 1개의 전원선(C1), 상기 제1 및 제2신호 터미널(230)(240)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신호선(C2)(C3) 및 상기 제1접지 터미널(260)에 연결되는 1개의 접지선(C4)을 포함하는 USB 플러그 케이블.
  21.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의 USB 플러그 커넥터(1); 및
    상기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1)가 접속되는 USB 리셉터클 커넥터; 를 포함하는 C 타입 USB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150187525A 2015-12-28 2015-12-28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 usb 플러그 케이블 및 c 타입 usb 커넥터 어셈블리 KR201700775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525A KR20170077553A (ko) 2015-12-28 2015-12-28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 usb 플러그 케이블 및 c 타입 usb 커넥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525A KR20170077553A (ko) 2015-12-28 2015-12-28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 usb 플러그 케이블 및 c 타입 usb 커넥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553A true KR20170077553A (ko) 2017-07-06

Family

ID=59354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7525A KR20170077553A (ko) 2015-12-28 2015-12-28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 usb 플러그 케이블 및 c 타입 usb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755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0401A (ko) * 2018-03-20 2019-09-30 주식회사 신화콘텍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플러그
CN113067207A (zh) * 2021-03-30 2021-07-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线及电子设备
CN114156680A (zh) * 2021-02-09 2022-03-08 上海飞科电器股份有限公司 Typec接口及其加工方法及电子器械
KR20230157781A (ko) 2022-05-10 2023-11-17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신호 전송용 타입-c 커넥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0401A (ko) * 2018-03-20 2019-09-30 주식회사 신화콘텍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플러그
CN114156680A (zh) * 2021-02-09 2022-03-08 上海飞科电器股份有限公司 Typec接口及其加工方法及电子器械
CN113067207A (zh) * 2021-03-30 2021-07-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线及电子设备
KR20230157781A (ko) 2022-05-10 2023-11-17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신호 전송용 타입-c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13192B (zh) 插头电连接器及插座电连接器
CN105375157B (zh) 电连接器及其组件
JP4943404B2 (ja) 電気コネクタ
CN106207669B (zh) 线缆连接器组件
CN104505642B (zh) 插头电连接器
JP3465486B2 (ja) 電気コネクタ
US20140073190A1 (en) Socket connector with a sub-shell flexibly connect with a printed circuit board
US8172610B2 (en) Electric connector
CN105098529B (zh) 插座电连接器
JP2011014144A (ja) 電子カード
TWI568095B (zh) 插頭連接器
TWI511169B (zh) 軟排線、電連接器及其組合
KR20170077553A (ko)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 usb 플러그 케이블 및 c 타입 usb 커넥터 어셈블리
CN116231359A (zh) 电连接器
TWM552692U (zh) 高構型電連接器
KR101697264B1 (ko) Usb 플러그 커넥터의 접지 구조, usb 플러그 커넥터, usb 플러그 케이블장치, 및 usb 커넥터 어셈블리
US20120208379A1 (en) Ac inlet
KR101784677B1 (ko) Emc 스프링을 포함하는 usb 커넥터
EP2985839B1 (en) Plug
TWM539167U (zh) 電連接器組件
CN210092410U (zh) 插座
JP2011228297A (ja) Usbプラグソケット
KR101734834B1 (ko) 장착이 용이한 usb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CN105119089B (zh) 插座电连接器
KR101857098B1 (ko) 리셉터클 커넥터